KR20180037314A - 콘텐츠 시청 장치 및 그 콘텐츠 시청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시청 장치 및 그 콘텐츠 시청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7314A
KR20180037314A KR1020187009233A KR20187009233A KR20180037314A KR 20180037314 A KR20180037314 A KR 20180037314A KR 1020187009233 A KR1020187009233 A KR 1020187009233A KR 20187009233 A KR20187009233 A KR 20187009233A KR 20180037314 A KR20180037314 A KR 20180037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ile
display interface
content source
ti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9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9428B1 (ko
Inventor
아브너 로넨
소피아 성
조나단 게이저
멕셀 케인
마가렛 스미스
크리스 터크스트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7037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019B1/ko
Publication of KR20180037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1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grid, e.g. sorted out by channel and broadcast ti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8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by altering the content in the rendering process, e.g. blanking, blurring or masking an image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3Implementing client middleware, e.g. Multimedia Home Platform [MH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4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Abstract

텔레비전과 같은 콘텐츠 시청 장치 상에 홈 메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그 인터페이스는 런처와 가속기의 두 가지 구성요소로 구성된다. 이러한 각 구성 요소에는 다수의 타일이 포함된다. 런처 타일의 한 유형은 콘텐츠 소스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이 타일을 선택하고 콘텐츠 소스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이렉트 링크를 활성화 할 수 있다. 타일을 선택한 후에만 콘텐츠 소스 애플리케이션이 열린다. 가속기는 특정 콘텐츠 소스와 연결된다. 가속기 타일은 콘텐츠 프리뷰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콘텐츠 소스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쉽게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가속기 타일을 선택하고 콘텐츠에 대한 딥 링크를 활성화하여 사용자가 메뉴 옵션의 계층구조를 바이패싱하여 콘텐츠에 곧바로 접근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텐츠 시청 장치 및 그 콘텐츠 시청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본 발명은 콘텐츠 시청 장치들 및 그러한 장치 상의 시스템 메뉴 인터페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텐츠 소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TV 및 기타 콘텐츠 시청 장치에서 볼 수 있는 콘텐츠의 범위, 양 및 소스가 크게 증가했다. 현재 스트리밍 및 웹 콘텐츠를 비롯하여 장치들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볼 수 있는 비 전통적 콘텐츠 소스가 있어,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선택하고 액세스하는 것이 더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 당연히 TV 시청자들은 이러한 현재 상태의 단편화된 콘텐츠 환경에 불만스러워하고 있다. 그들은 종종 보고 싶은 콘텐츠를 찾기가 비효율적이거나 번거롭다고 느끼며, 다른 유형의 콘텐츠 소스간에 전환해야 한다. 또한 TV 시청자들은 인터페이스의 제시가 균일하지 않고 그리고 직관적이고 균일하거나 쾌적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는 TV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게다가, 모든 사용자가 예컨대 앱들, 입력 장치들, 스트리밍 및 라이브 TV 사이를 전환하기에 충분한 기술적인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다. 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 정확한 콘텐츠 소스를 찾고, 실행하거나 열어보고, 사용 가능한 콘텐츠를 탐색하고, 보고 싶은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해 몇 가지 메뉴 옵션을 거쳐야 한다.
필요한 것은 콘텐츠 소스 또는 서비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소스에서 특정 콘텐츠를 여는 옵션과 관련하여 통합된 접근 및 제시이다. 이러한 특징들과 시스템 기능에 대한 진입 점들은 하나의 균일하고 간단한 메뉴로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있어서, 텔레비전과 같은 콘텐츠 시청 장치에 콘텐츠 시청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기술된다.
콘텐츠 시청 장치에 콘텐츠 시청 옵션을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본 발명 및 그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제공하는 다음의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 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TV 또는 다른 대형 포맷 시청 수단과 같은 콘텐츠 시청 장치용 모니터의 스크린 샷 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속기(accelerator)에서의 타일(tile)들을 보여주는 TV 용 모니터의 디스플레이의 스크린 샷 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메뉴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시청 장치 상에 런처(launcher) 및 가속기를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소스 애플리케이션을 런칭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
도 6은 가속기 타일이 인에이블 될 때 콘텐츠를 재생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메뉴 플랫폼의 개념도를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시청 장치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있어서, 텔레비전과 같은 콘텐츠 시청 장치에 콘텐츠 시청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기술된다. 다수의 런처 타일을 갖는, 런처라고 불리는 제 1 타일 디스플레이 프레임워크는 콘텐츠 시청 장치 상에 렌더링된다. 한 그룹의 런처 타일은 콘텐츠 소스 전용이며, 이 그룹의 각 타일은 콘텐츠 소스를 나타내며 그 소스를 나타내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런처 타일은 애플리케이션, 스트리밍 서비스, 연결된 입력 장치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소스와 같은 콘텐츠 소스에 대한 다이렉트다이렉트 링크를 제공한다. 다수의 가속기 타일을 갖는, 가속기로 지칭되는 제 2 타일 디스플레이 프레임워크 또한 콘텐츠 시청 장치 상에 렌더링 될 수 있다. 가속기 타일은 콘텐츠 또는 콘텐츠 요약으로부터 스틸 프레임과 같은 콘텐츠 미리보기를 보여준다. 가속기 타일은 또한 그 콘텐츠에 대한 딥 링크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콘텐츠 소스를 여는 가속기 링크를 선택하여 그 가속기 링크를 활성화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런처 또는 가속기 타일을 선택하기 전에는 그 콘텐츠 소스가 열리지 않았다. 콘텐츠 소스, 예를 들어 앱을 여는 것에 의해, 콘텐츠 시청 장치는 그 콘텐츠에 액세스하거나 검색하고 그 특정 콘텐츠 상세 페이지 또는 재생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콘텐츠 시청 장치는 디스플레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컴퓨터-판독가능(computer-readable)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요소를 구비한다.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콘텐츠 시청 장치로 하여금: 복수의 제 1 타일들을 포함하는 제 1 타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렌더링하게 하되, 각각의 제1 타일은 콘텐츠 소스를 나타내고 콘텐츠 소스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이렉트다이렉트 링크를 제공하며; 각각이 상기 콘텐츠 소스로부터 콘텐츠를 미리보기하고 상기 콘텐츠 소스 애플리케이션 내에 딥 링크를 제공하는 복수의 제 2 타일을 포함하는 제 2 타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렌더링하게 하며; 그리고 제 2 타일의 선택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 소스에서 상기 콘텐츠에 액세스하게 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콘텐츠 시청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콘텐츠 시청 장치로 하여금 더: 상기 제 1 타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소스 입력 타일을 렌더링하게 하고; 상기 제 1 타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설정 타일을 렌더링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타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쇼케이스 타일을 렌더링하게 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장치 제조 회사가 콘텐츠 소스 타일 그룹에 디스플레이 된 콘텐츠 소스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콘텐츠 시청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콘텐츠 파트너가 상기 제 2 타일 디스플레이 프레임워크에 디스플레이 된 콘텐츠를 결정하는 콘텐츠 시청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저장된 비 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콘텐츠 시청 장치에 콘텐츠 시청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 매체는: 각각이 콘텐츠 소스를 나타내며 콘텐츠 소스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이렉트 링크를 제공하는 복수의 제 1 타일을 포함하는 제 1 타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렌더링하는 명령어들; 각각이 상기 콘텐츠 소스로부터 콘텐츠를 미리보기하고 상기 콘텐츠 소스 애플리케이션 내에 딥 링크를 제공하는 복수의 제 2 타일을 포함하는 제 2 타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렌더링하기 위한 명령어들; 그리고 제2 타일의 선택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 소스의 상기 콘텐츠를 액세스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콘텐츠 소스 애플리케이션을 런칭하지 않고 상기 제 2 타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상기 콘텐츠의 미리보기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비 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 제 1 타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소스 입력 타일을 렌더링하기 위한 명령어들; 상기 제 1 타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설정 타일을 렌더링하기 위한 명령어들; 그리고 상기 제 1 타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쇼케이스 타일을 렌더링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 콘텐츠 소스 애플리케이션을 런칭하지 않고 콘텐츠의 미리보기를 디스플레이하는 소정의 콘텐츠 타일을 강조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발명의 실시 형태]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콘텐츠 소스에 다이렉트 액세스 할 수 있는 홈 메뉴 인터페이스 및 프레임워크(framework)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들과 시스템들이 다양한 도면에 설명되어 있다. 홈 메뉴 인터페이스 및 기본 기능은 시각적으로 균일한 방식으로 사용자들에게 콘텐츠 미리보기 및 다른 옵션의 재생을 제공하는데, 시청 장치에서 콘텐츠 소스 소프트웨어를 열거나 완전히 실행할 필요 없이 그렇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홈 메뉴 인터페이스는 상기 시청 장치의 콘텐츠, 서비스 및 시스템 기능을 단일 진입 포인트(single entry point)에 모이게 한다.
또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홈 메뉴 인터페이스의 2 가지 주요 구성요소를 소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들 주요 구성 요소들의 특정 구성요소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제공한다.
도 1은 TV 또는 다른 대형 포맷 디스플레이와 같은 콘텐츠 시청 장치용 모니터의 스크린 샷 다이어그램이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콘텐츠 시청 장치는 TV이지만, 본 발명의 홈 메뉴 인터페이스는 태블릿, 디스플레이를 갖는 원격 제어장치, 스마트 폰, 컴퓨터, 키오스크 및 기타 적절하게 포맷 된 장치를 비롯한 다른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스크린(102)은 처음 전원이 켜졌을 때 배경 콘텐츠(104)를 디스플레이한다. 이 콘텐츠는 사용자가 TV에서 시청했던 마지막 콘텐츠 일 수 있다. 홈 메뉴 프레임워크는 스크린(102) 상의 배경 콘텐트(104)에 오버레이된다.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서, 런처(106)라고 하는 한 줄의 메뉴 요소들이 스크린(102)의 아래쪽에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런처(106)가 스크린의 상부에 있거나 측면들을 따라 있을 수 있다 런처(106)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은 타일들이라고 한다. 일 실시예에서, 타일들은 아래에 설명 된 3 개의 카테고리들로 그룹화된다. 런처(106)의 다른 실시예는 더 많거나 적은 타일들의 카테고리들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카테고리는 설정(setting), 콘텐츠 소스(content source) 및 쇼케이스(showcase)이다. 콘텐츠 소스 카테고리의 타일은 본 발명과 특히 관련이 있다. 이 타일들은 사용자-구성가능 타일이라고도 한다. 이하에서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런처 타일들의 콘텐츠는 TV 또는 장치 제조자에 의해 결정된다. 런처 타일, 특히 콘텐츠 소스 타일을 강조 표시하는 것에 의해, 기본 애플리케이션 또는 소스가 열리는 것은 아니다. 런처(106)는 사용자가 TV의 전원을 켜고 리모콘의 홈 메뉴 버튼 또는 이와 동등한 것을 누를 때 디스플레이 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TV를 켜면 홈 메뉴를 본다. 사용자는 런처를 통해 탐색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속기에서 타일들을 보여주는 TV 용 모니터 디스플레이의 스크린 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런처(106) 위에 가속기(202)라고 하는 한 줄의 타일들이 있다. 사용자는 좌측 및 우측 내비게이션 버튼을 사용하여 런처 타일을 강조 표시할 수 있다. 가속기는 강조 표시된 런처 타일에 대한 것이다. 모든 런처 타일들에 가속기가 있는 것은 아니다. 가속기 타일들에 표시된 이미지 또는 정보는, 런처에서 강조 표시된 타일인 콘텐트 소스(콘텐트 파트너 또는 공급자라고도 함)에 의해 결정된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콘텐츠 파트너는 사용자에 의해 가장 최근에 시청, 스트리밍 또는 액세스 된 쇼의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해 2 개의 가장 왼쪽의 가속기 타일(204 및 206)을 사용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런처 타일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이미지는 콘텐츠 소스 앱을 열지 않고도 사용자에게 나타내어질 수 있다. 가속기(202) 내의 다른 타일들, 타일들(208, 210) 은 사용자가 이전에 본 것에 기초하여 콘텐츠 파트너가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다른 쇼들에 대한 이미지 또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그것들은 콘텐츠의 우선 순위를 정하고 홍보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가속기 타일에 나타내어진 정보는 영화 또는 TV 시리즈 추천 및 콘텐츠 파트너가 사용자에게 흥미로울 것으로 생각하는 기타 정보일 수 있다. 기술 된 실시예에서, 타일들(204-210)의 순서는 콘텐츠 파트너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기본 콘텐츠 소스 앱을 열거나 실행하지 않고도 해당 런처 타일을 단순히 강조 표시함으로써 시청할 수 있는 것을 용이하게 보고 평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가속기 타일에 나타내어진 정보는 콘텐츠 파트너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추천일 수 있다. 이러한 추천들에 대한 콘텐츠는 상기 장치에서 수행된 자동화 된 콘텐츠 인식 분석을 통해 또는 상기 장치에서 상기 서버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메뉴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뉴 인터페이스(302)는 두 개의 주요 구성요소, 즉 런처(304) 및 가속기(306)를 포함한다. 런처(304)는 다수의 런처 타일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들 타일은 설정(308), 콘텐츠 소스(310) 및 쇼케이스(312)의 3 개의 그룹으로 구분된다. 광고 전용이고 정적 이미지 또는 비디오를 포함하는 광고 제공자에 의해 정의되는 하나 이상의 타일이 있을 수 있다. 설정(308)의 타일은 사용자가 편집, 구성 또는 삭제할 수 없을 수도 있다. 그것들은 기존의 TV 설정(사운드, 사진, 수면 등)을 선택하고, (영화, TV 쇼, 채널, 앱, 사람 등의) 검색을 수행하고, 그리고 시스템 소스(라이브 TV, HDMI 포트, 콘솔, 등)를 선택하는 데 이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소스 그룹(310)의 타일들은 사용자가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타일에는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소스 타일은 콘텐츠 파트너, 즉 넷플릭스(Netflix), 후후(Hulu), 유투브(YouTube), 아마존(Amazon) 등과 같은 콘텐츠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3 자 엔티티(Entity)를 나타낸다. 이러한 엔티티들은 TV 제조업체의 파트너이다. 타일들 중 하나는 케이블 TV 회사, 위성 네트워크 또는 안테나와 같은 라이브 TV 콘텐츠를 제공하는 엔티티를 나타내는 라이브 TV 타일이다. 이러한 경우들에 있어서, 입력 소스는 셋톱 박스, 안테나, 동축 케이블 또는 위성 접시 일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타일들은 콘텐츠 파트너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며 파트너의 로고 또는 이름이 런처 타일에 표시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그룹(310)의 런처 타일들은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게임 또는 접속된 장치일 수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앱과 게임들은 TV에 설치되어 실행된다. 연결된 장치들은 TV에 물리적으로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임의의 장치일 수 있으며, 셋톱 박스, 스트리밍 미디어 장치(예: Roku, Chromecast, Apple TV 등), 컴퓨터(예: 랩톱, PC), 저장 장치(예: USB 스틱, 하드 드라이브),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또는 TV의 I/O 시스템과 함께 작동하도록 설계된 기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일이 강조 표시(highlighted)될 때, 그 타일에 편집 표시기(indicator)가 나타나면 런처 타일을 편집할 수 있다. 활성화되면 편집 또는 옵션 표시기가 이동 또는 제거와 같은 타일에 대한 상황 별 옵션의 하위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타일이나 객체의 유형에 따라 다른 옵션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콘텐츠 소스 타일들의 구성 또는 순서를 변경할 수 있고, 다른 콘텐츠 제공자를 나타내는 타일을 추가할 수 있으며, 타일을 삭제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시청 습관에 맞게 사용자 맞춤형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새로운 콘텐츠 제공자가 시장에 나타나고 TV 제조자와 파트너가 되면, 사용자는 그룹(310)에서 새로운 제공자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새로운 제공자에 대한 타일을 추가(및 배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콘텐츠 제공자는 TV 또는 장치 제조업체와의 파트너쉽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컨텐트 제공자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사용자가 액세스 가능한 앱 스토어(app store) 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자는 그룹(310)에 그 타일을 포함시킬 수 있다. TV 제조업체는 장치 API를 열어 모든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또는 기타 엔티티가 콘텐츠를 게시 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가 그룹(310)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그룹(306)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타일을 강조 표시하고 적절한 상호작용을 통해 선택을 유발하는 등의 런처 타일 선택 또는 실행(예: 리모컨에서 SELECT 또는 ENTER 하드 버튼 누르기, 태블릿 또는 전화기의 터치 스크린에서 소프트 버튼 터치, 인식된 에어 제스처 사용, 또는 화면 가리키기)은 사용자가 특정 입력 소스로 전환할 수 있게 하여, 콘텐츠 또는 서비스를 TV 예를 들어 라이브 TV용 HDMI1에 제공하거나 또는 콘텐츠 소스 앱 또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앱에 대한 다이렉트 링크(direct link)라고 한다. 사용자는 앱이나 게임에서 마지막으로 사용한 상태로 이동한다. 또는 사용자가 로그인 페이지를 볼 수 있으며 먼저 로그인 프로세스를 거쳐야 할 수도 있다. 이 단계에서는 홈 메뉴가 표시되지 않는다. 이것은 콘텐츠 (영화, TV, 비디오 등)를 제공하는 앱, 스트리밍 서비스, 셋톱 박스, 게임 콘솔, 안테나 등과 같은 연결된 입력 장치,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소스를 런치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가속기(306)는 콘텐츠 소스에 의해 선택되고 우선 순위를 갖는 콘텐츠에 대한 딥 링크(deep link)인 타일을 포함한다. 이것은 콘텐츠 파트너가 최근 시청된 쇼들의 재생이 가능하게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콘텐트 또는 파트너가 시각적으로 균일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홍보하려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회이다. 사용자는 앱을 열거나 화면이나 페이지를 넘기거나, 또는 메뉴 옵션의 계층 구조를 통해 탐색할 필요가 없다. 가속기 타일을 선택하면 기본 앱이 실행(launches)된다. 이를 콘텐츠에 대한 딥 링크라고 한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메뉴 옵션의 계층 구조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이 단계를 생략하고 미리보기 된 콘텐츠로 깊숙이 곧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속기들은 또한 장치뿐만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으로의 딥 링크로서 특징지워질 수도 있는 "기능 타일(Function Tiles)"을 포함할 수 있다. 주요 특성은 그 가속기들이 목적지 대신 함수에 링크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Netflix용 가속기 타일에는 "switch user"라는 기능 타일이 있을 수 있다. 이 타일은 Netflix 앱을 실행하고 그것에 Netflix 내에서 "사용자 전환"을 선택하는 것과 동등한 이벤트를 트리거하는 URL을 전달한다. 또 다른 예로, 셋톱 박스용 가속기는 홈, 가이드 또는 메뉴와 같은 STB(set-top box) 기능을 위한 기능 타일들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기능 타일들은 다른 가속기 타일과 유사하지만 사용자에게 다르게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명시된 바와 같이 특별히 콘텐츠와 관련이 없는 목적지들과 딥 링크 할 수 있다.
쇼케이스 타일(312)은 TV 또는 장치 제조업체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앱 및 게임용 타일이다. 쇼케이스 타일은 삭제하거나 추가할 수 없지만 사용자가 구성하거나 순서가 부여될 수 있다. 이 런처 타일 각각에는 사용자를 위한 앱이나 게임을 “소개하는(showcases)” 가속기가 있다. 가속기의 앱 또는 게임의 구성은 콘텐츠 소스 앱의 구성, 예를 들어 가장 최근에 액세스한 앱 또는 게임들은 왼쪽에, 그리고 추천된 앱 또는 게임들은 오른쪽에 배치하는 것과 유사할 수 있다. 쇼케이스 런처 타일에서 앱 또는 게임을 선택하면 앱 또는 게임 페이지에 대한 다이렉트 링크가 되어 전체 화면 앱 또는 게임 탐색 인터페이스를 불러온다 (예: 많은 앱 또는 게임들을 디스플레이하고, 마이 앱(My App), 가장 인기 있는 것, 새로운 기능 등에 관한 탭 보여주기). 앱 또는 게임 쇼케이스 타일들 중 하나에서 가속기 타일을 선택하면 딥 링크가 시작되고(trigger) 그 타일에 해당하는 앱이나 게임이 실행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시청 장치 상에 런처 및 가속기를 디스플레이 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단계(402)에서, 장치에 전원이 켜지고 홈 메뉴에 액세스하기 위한 지시(indication)를 수신한다(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격제어 또는 TV에서 홈 메뉴 하드 버튼을 누르거나, 태블릿 또는 전화의 터치 스크린상의 소프트 버튼을 터치하거나, 인식된 에어 제스처 (air gestures)을 사용하거나, 화면을 가리킴). 단계(404)에서, TV는 런처 열(launcher row)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처리를 시작한다. 런처는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 마지막으로 본 콘텐츠, 기타 애니메이션 콘텐츠, 정적 콘텐츠 (예: 사용자가 구성한 사진, 색상 등)와 같은 백그라운드 콘텐츠 위에 겹쳐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홈 메뉴는 TV가 켜질 때 디폴트로 나타날 수 있다.
런처 열이 일단 디스플레이 되면, 단계(406)에서 시스템은 TV상의 마지막으로 액세스 된 콘텐츠 소스를 결정하고 연관된 런처 타일을 강조 표시 한다. 타일을 결정할 수 없는 경우, 기본 타일(a default tile) (예: 맨 왼쪽 타일, 설정 타일 등)이 강조 표시된다. 런처 타일들에 나타내어진 콘텐츠는 적절한 소스들로부터 가져온다. 예를 들어, 콘텐츠 소스가 앱인 경우, 해당 특정 런처 타일에서 렌더링 할 콘텐츠(예: 비디오 이미지, 텍스트 등)를 확인하기 위해 앱 서버에 호출할 수 있다. 런처 타일 콘텐츠, 예를 들어 타일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은 다양하다. 설정 타일들은 TV 또는 기타 콘텐츠 시청 장치 제조업체가 결정한다. 사용자가 구성할 수 있는 타일에는 콘텐츠 파트너 로고, 상표 또는 기타 소스 식별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408)에서, 시스템은 단계(406)에서 런처에서 강조 표시된 콘텐츠 소스가 연관된 가속기를 갖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가속기가 있다고 결정되면, 단계(410)로 진행하여 시스템은 적절한 서버로부터 가속기 데이터를 검색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속기 콘텐츠는 다수의 서버들로부터 호스팅 될 수 있고, 대부분의 경우 콘텐츠 제공자 서버들에서 호스팅 되지만, TV 또는 장치 제조자의 서버 상에서 호스팅 될 수도 있다. 콘텐트 제공자에 의해 결정된 이 데이터는 단계(414)에서 가속기 타일들에 디스플레이 된다. 콘텐트 소스에 대한 가속기가 없다면, 런처 위에 아무 것도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이 단계에서 TV에 전원을 공급하고 런처에 액세스하면 런처 및 가속기를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스가 완료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 소스 애플리케이션들을 런칭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4의 단계 406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시스템은 마지막으로 액세스된 콘텐츠 소스 런처 타일을 강조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른 런처 타일로 포커스를 이동시키기 위해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조종 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원하는 콘텐츠 소스를 선택하고, 콘텐츠 소스들 사이에서 효과적으로 스위칭하고, 단계 5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504)에서, 상기 시스템은 신호가 수신 될 때 초점에 있거나 또는 강조 표시된 런처 타일이 내부 소프트웨어에 링크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링크가 TV 또는 장치 메모리에 상주하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것인 경우, 단계(506)에서 시스템은 논리적인 의사 결정 프로세스(logical decision-making process)를 계속한다. 링크된 소프트웨어가 콘텐츠 소스 애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그러하다면, 단계(508)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실행된다. 그렇지 않다면, 단계(510)에서 소프트웨어가 게임 프로그램인지 여부를 시스템이 결정한다. 게임 프로그램인 경우 단계(512)에서 게임이 런칭된다. 게임 소프트웨어가 아닌 경우, 단계(51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가 쇼케이스 애플리케이션인지를 시스템이 결정한다. 쇼케이스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인 경우, 어느 타일이 선택되었는지에 따라서, 단계 518에 나타낸 것처럼 TV 제조사 앱 스토어 또는 게임 스토어가 런칭된다. 런처 타일이 이들 내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중 어느 것에도 링크되지 않으면, 시스템은 단계 (516)에서 TV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고, 전체 화면 환경(full screen experience) 은 TV 설정 및 검색을 위한 옵션을 나타낸다.
단계 504로 돌아가서, 시스템이 런처 타일들이 내부 소프트웨어에 링크되지 않고 오히려 외부 장치에 링크되어 있다고 결정하면, 단계 520로 진행한다. 여기서 시스템은 먼저 외부 장치의 전원이 꺼져 있는지 검사한다. 전원이 꺼져 있으면, 단계 522에서, TV가 외부 장치를 켤 수 있는지가 결정된다. 켤 수 없다면, 단계 524에서 TV는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장치가 꺼짐). TV가 장치의 전원을 켤 수 있다면, 단계 526에서 TV는 장치의 전원을 켜고, 단계 528에서 시스템은 선택된 소스로 전환된다. 외부 장치의 전원이 켜져 있다고 판단되면, 시스템은 단계 520로부터 소스로의 스위칭으로 곧바로 진행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4에서, 시스템은 대응 런처 타일에 대한 가속기 열(row)을 렌더링한다. 사용자는 강조 표시 또는 선택을 조작하고 가속 타일들을 탐색하는 것을 시작할 수도 있고, 각각의 가속기 타일은 재생 재개, 세부 페이지, 에피소드 목록 등의 디스플레이와 같은 해당 콘텐츠 소스 런처 타일에 대한 콘텐츠를 보여준다.
도 6은 가속기 타일이 인에이블 될 때 콘텐츠를 재생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602에서, 시스템은 커서가 런처에서부터 가속기 열(row)까지 이동했음을 나타내는 내비게이션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604에서 가속기 타일이 강조 표시된다. 강조 표시된 타일은 기본(default) 선택 일 수 있다(예: 그 줄에서 가장 왼쪽 타일, 가장 최근에 액세스 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타일 등). 설명된 실시예에서, 콘텐츠 파트너는 가속기의 타일들의 순서를 제어한다. 선택적으로, 서버 또는 그 장치는 가속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타일들의 순서를 제어할 수도 있다. 가속기 타일을 설명하는 한 가지 방법은 콘텐츠 미디어 "미리보기 이미지(thumbnail)"이지만, 타일의 기능이 더 넓다. 타일들은 다양한 카테고리(예: 최신 콘텐츠, 추천 콘텐츠 등)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왼쪽에 있는 두 개의 타일은 가장 최근에 시청한 두 개의 쇼 또는 게임을 보여줄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시청 또는 재생을 다시 시작할 수 있는 쉬운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타일들은 콘텐츠 추천하기일 수 있으며, 추천 콘텐츠의 세부 사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중 하나를 선택하면 콘텐츠 소스 앱이 시작되고 재생이 시작된다. 선택적으로, 재생 전에, 콘텐츠 소스에 따라 로그인 소스 자격 증명이 요구될 수 있다. 이러한 자격 증명은 저장되어 있어 로그인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가 자동으로 제공하거나 제출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가속기 타일들은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앱을 실행하고 콘텐츠 소스에서 재생을 시작하여 사용자가 중간 메뉴 옵션을 우회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점에서 딥 링크 타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사용자가 원하는 가속기 타일로 이동하여 그것을 선택하면, 단계 606에서 시스템은 엔터(ENTER)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608에서, 시스템은 런처에 관해 도 5에서 취해진 것들과 유사한 일련의 단계들을 시작한다. 이 프로세스는 선택된 가속기 타일이 TV 또는 콘텐츠 시청 장치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링크되는지를 시스템이 결정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소프트웨어가 그 장치 내부에 있으면, 제어는 단계 610으로 진행한다. 단계 610에서, 시스템은 링크되어 있는 소프트웨어가 콘텐츠 소스 애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그러하다면, 단계 612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된다 (launched). 일단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되면, 강조 표시된 특정 가속기 타일과 연관된 URL 또는 링크가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전달된다. 그 애플리케이션은 URL의 지침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이 외부 서버들(일반적으로 콘텐츠 공급자가 운영)에서 콘텐츠를 가져 와서 전체 화면 환경으로 TV에 디스플레이한다.
시스템이 그것이 콘텐츠 소스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것으로 결정하면, 제어는 소프트웨어가 게임 프로그램인지 여부를 시스템이 결정하는 단계 618로 간다. 게임 프로그램인 경우, 제어는 게임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되는 단계 620으로 진행한다. 가속기 타일과 관련된 URL이 게임 프로그램에 전달된다. 게임 프로그램은 URL의 지침에 따라 게임 공급자 서버로부터 추가적인 게임 프로그램 콘텐츠를 가져온다. 만약 그것이 게임 소프트웨어가 아닌 경우, 제어는 소프트웨어가 쇼케이스 애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시스템이 결정하는 단계 626로 간다. 그것이 쇼케이스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인 경우, 단계 6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타일에 따라 TV 제조자 앱 스토어 또는 게임 스토어가 시작된다. 콘텐츠 및 게임 가속기 타일들과 마찬가지로, 특정 가속기 타일에 대한 URL은 단계 630에서 앱 또는 게임 저장 소프트웨어에 전달된다. 단계 632에서 쇼케이스 앱 또는 게임은 URL로부터의 명령어들을 따른다. 만약 가속기 타일이 이러한 내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중 어느 것과도 연결되지 않으면, 시스템은 단계 634에서 TV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고 전체 화면 환경은 TV 설정 및 검색에 대한 옵션을 보여준다.
단계 608로 돌아가서, 가속기 타일이 TV의 소프트웨어에 링크되어 있지 않다고 시스템이 결정하면, 제어는 단계 636로 진행하여 시스템은 대응하는 외부 장치를 체크한다. 여기서 시스템은 먼저 외부 장치의 전원이 꺼져있는지 확인한다. 전원이 꺼진 경우, 제어는 단계 640으로 진행하여, TV가 외부 장치에 대해 전원을 켤 수 있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TV가 장치에 대해 전원을 켤 수 없는 경우, 단계 524에서 TV는 사용자에게 스크린 상에(예를 들어, "외부 장치가 오프임")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한다. TV가 장치의 전원을 켤 수 있으면, 단계 642로 진행하여 TV는 장치의 전원을 켜고, 단계 644에서 TV는 선택된 입력 소스로 전환한다. 외부 장치의 전원이 켜져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시스템은 단계 636로부터 입력 소스로의 스위칭으로 곧바로 진행한다. 단계 646에서 TV는 장치-특화된 제어 메시지들을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구성가능 런처 타일들은 콘텐츠 소스에 대한 다이렉트 링크라고 하는 것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타일에서 타일로 이동하여 타일을 강조 표시하거나 "초점"에 타일을 붙일 수 있다.런처 타일에 초점이 맞춰지면,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여 콘텐츠 공급자가 운영하는 기본 콘텐츠 소스 앱을 시작할 수 있다. 런처 타일에 초점이 맞춰지면, 가속기가 실행되어 타일의 보조 막대(secondary bar)로서 런처 위에 나타날 수 있다. 런처 타일에는 연관된 가속기가 없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런처로부터 콘텐츠 소스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것은 애플리케이션을 열거나 시작한다. 보안 요구 사항에 따라, 사용자는 그 앱의 사인인 (sign in)페이지로 이동하여 로그인 자격 증명(credentials)을 입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콘텐츠 소스를 위한 가속기 타일을 선택하면 장치에 콘텐츠가 재생되기 전에 먼저 사용자의 사인인인 페이지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최근 시청한' 또는 '최근에 스트리밍 한' 쇼나 비디오의 재생을 다시 시작할 때, 그 앱은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사인인을 요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시나리오에서, 사용자가 아직 가입자가 아닌 경우 그 사용자는 무료 평가판 사인인 페이지 (free sign-in page)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쇼의 세부 사항 페이지 (details page) (그리고 특정 콘텐츠의 재생이 아닌)를 제공하는 가속기 타일을 선택하는 것은 콘텐츠 소스 애플리케이션을 반드시 오픈하는 것이 아닐 수도 있다. 일단 세부 정보 페이지가 나타나고 예를 들어 쇼의 에피소드들을 나열하고, 사용자가 에피소드를 선택하면 (예: 재생될 수 있는 다른 컨텐츠 또는 에피소드에서 엔터(ENTER) 또는 리턴(RETURN)을 나타냄), 앱이 런칭되고 에피소드가 재생되기 시작한다.
사용자가 런처에서 사용자-구성가능 타일을 선택하면, 대잉하는 앱이 런칭되고, 화면에는 로그인 화면, 무료 평가판 페이지 또는 마지막으로 사용한 콘텐츠와 같은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된다. 런처와 가속기는 더 이상 표시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런처 타일을 선택하지 않으면, 커서가 가속기 타일들까지 향하게 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가속기 타일에 표시된 콘텐츠 또는 이미지는 콘텐츠 파트너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콘텐츠 파트너는 가속기의 타일들의 순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왼쪽의 타일들은 사용자가 최근에 본 콘텐츠 또는 액세스 한 콘텐츠를 표시 할 수 있다. 가속기의 다른 타일들은 콘텐츠 파트너가 결정한 대로 사용자에 대한 추천 콘텐츠(사용자가 시청한 내용을 기반으로 함)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게임의 경우, 타일은 마지막 게임 재생 재시작, 가장 최근 게임들, 그리고 추천 게임들을 보여줄 수 있다.
사용자가 가속기 타일들을 탐색할 때, 콘텐츠 소스 앱이 아직 열리지 않았지만 사용자가 홈 메뉴 인터페이스에서 콘텐츠의 미리보기 이미지 및 정보를 계속 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사용자가 가속기 타일을 선택하여 새로운 재생을 다시 시작하거나 시작하면, 앱이 열리고 콘텐츠가 검색되며 콘텐츠 재생이 시작된다. 추천 콘텐츠의 타일이 선택되면, 앱이 열리고 콘텐츠의 세부 정보 페이지가 검색되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일 실시예에서, 홈 메뉴 인터페이스는 TV 또는 다른 콘텐츠 시청 장치상의 애플리케이션 간 스위칭에 사용될 수 있어,, 멀티태스킹으로 언급 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 인터페이스는 태블릿, 휴대 전화, 컴퓨터, 디스플레이가 있는 리모컨, 기타 장치와 같이 TV에 연결된 장치들에 표시될 수도 있다. 그 홈 메뉴 인터페이스는 리모컨의 버튼에 매핑된다. 홈 메뉴 화면에서는 사용자는 다른 앱들과 다른 콘텐츠 소스간에 쉽게 전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터치 스크린 상의 소프트 버튼, 제스처에 의해 개시된 오버레이 등과 같은 홈 메뉴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기 위한 대안적인 옵션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콘텐츠 액세스 히스토리 트래킹을 가능하게 한다. 이 데이터는 서로 다른 콘텐츠 소스들에 대해 개인화 된 콘텐츠 추천 사항을 생성하는 데 활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콘텐츠와 공유하여 자신의 콘텐츠 추천 사항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상위 레벨(high level)에서 최하위 레벨(lowest level)로 점프할 수 있다. 상위 레벨에서, 사용자는 앱을 열거나 임의의 입력 소스들로 전환하지는 않았지만, 사용 가능한 콘텐츠를 계속 탐색할 수 있다. 최하위 레벨이나 루트(root)에서는,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한 후에만, 시스템 소프트웨어가 앱을 여는 데 더 많은 리소스와 시간을 필요로 하는 앱을 여는 단계가 진행되며, 더된다. 원하는 콘텐츠에 도달하기 위해 옵션의 계층구조를 탐색하는 데 통상적으로 필요한 (홈 메뉴로 표시된) 상위 레벨 사이의 모든 단계들이 바이패스된다. 가속기에서, 콘텐츠 파트너는 환경들(experiences)과 콘텐츠에 대한 딥 링크를 게시하거나 표시하여 사용자들이 앱의 어느 위치로든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메뉴 인터페이스 플랫폼의 개념도를 도시하는 시스템도이다. 홈 메뉴 스크린 프레임워크(702)는 다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런처 모듈(706)의 시스템 타일들을 포함하는 프레임워크 모듈(704)은 하나 이상의 광고 타일을 나타낸다. 프레임워크 모듈(708)은 입력 소스 타일 (712), 콘텐츠 애플리케이션 타일(714) 및 게임 타일(716)을 포함한다. 프레임워크 모듈(710)은 쇼케이스 타일 (앱 섹션 타일, 게임 섹션 타일 및 서비스 타일)을 포함한다.
프레임워크 모듈은 도 7의 박스에 표시된 바와 같이 다른 스크린으로 인도하거나, 특정 동작을 야기하거나, 또는 서비스들을 시작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모듈들은 여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소스 타일들(712)에 대한 프레임워크 모듈은 박스(718)에 표시된 바와 같이 런처에서 소스들을 스위칭할 수 있게 한다. 소스 타일이 런처에서 선택된 후에, 특정 장치 또는 서비스가 선택될 수 있고 명령어(a command)가 장치 또는 서비스로 전송될 수 있다. 프레임워크 모듈(714)은 콘텐츠 제공자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런처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 박스(7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이 열린다. 콘텐츠 애플리케이션이 강조 표시된 경우, 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가속기 타일들이 표시된다. 이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박스(7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자 애플리케이션 서브 페이지로의 딥 링크가 있다. 프레임워크 모듈(716)은 박스(7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을 런칭하게하거나, 또는 박스(7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기로부터 게임이 선택되면, 게임 서브-스크린으로의 딥 링크로 이끌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시스템(800)의 블록도이다. 시스템(800)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시스템 및/또는 컴퓨팅 장치 중 임의의 것을 구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는 도 7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홈 메뉴 인터페이스의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콘텐츠 시청 장치를 구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도 4, 5 및 6의 논리 흐름도들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장치는 도 1-7과 관련하여 설명된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장치는 TV를 조작하기 위한 원격제어장치일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된 다양한 예들에서, 시스템(800)은 TV와 같은 콘텐츠 시청 장치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800)은 시스템 버스(815) 또는 입/출력(I/O) 서브 시스템과 같은 다른 적절한 회로를 통해 메모리 요소(810)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805)를 포함한다. 시스템(800)은 메모리 요소(810) 내에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다. 프로세서(805)는 시스템 버스(815)를 통해 메모리 요소(810)로부터 액세스 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한다. 메모리 요소(810)는 예를 들어 로컬 메모리(820) 및 하나 이상의 벌크 저장 장치(825)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물리적 메모리 장치를 포함한다. 로컬 메모리(820)는 프로그램 코드의 실제 실행 동안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또는 다른 비 영구적 메모리 장치를 지칭한다. 벌크 저장 장치(825)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또는 다른 영구 데이터 저장 장치로서 구현 될 수 있다. 시스템 (800)은 또한 실행 동안 프로그램 코드가 대용량 저장 장치 (825)로부터 검색되어야 하는 횟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적어도 일부 프로그램 코드의 임시 저장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캐시 메모리 (미도시)를 포함 할 수 있다.
시스템(800)은 스크린(835)과 같은 하나 이상의 I/O 장치 및 하나 이상의 추가 I/O 장치(들)(84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 기술된 I/O 장치는 다이렉트 또는 중재 I/O 제어기를 통해 시스템(8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스크린(835)은 TV 디스플레이와 같이 터치에 민감하지 않은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스크린(835)은 터치에 민감한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구현 될 수 있다.
I/O 장치(들)(840)의 예는 범용 원격 제어 장치, 키보드, 모바일 장치, 포인팅 장치, 제어기, 카메라,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경우에,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가 스크린(835)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서와 같이 하나 이상의 I/O 장치(들)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크린(835)은 또한 키보드 및 포인팅 장치를 구현할 수도 있다. I/O 장치(840)의 다른 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센서는 가속도계, 광 센서, 터치 스크린 센서, 하나 이상의 생체 센서, 자이로스코프, 나침반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O 장치들(840)은 또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어댑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어댑터는 다른 장치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링크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통신 회로이다. 통신 링크는 네트워크 상에 또는 피어-투-피어 통신 링크로서 확립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어댑터는 시스템(800)이, 콘텐츠를 저장하는 원격 서버와 같은, 다른 시스템, 컴퓨터 시스템, 원격 프린터 및/또는 원격 저장 장치에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네트워크 어댑터의 예로는, 단거리 및/또는 장거리 무선 송수신기(예: 셀룰러 송수신기, 802.11x(Wi-Fi ™) 호환 트랜시버, 블루투스 호환 트랜시버 등)에 관계없이, 모뎀, 케이블 모뎀, 이더넷 카드,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요소(810)는 운영 체제(855) 및, 콘텐츠 소스 애플리케이션, 게임 애플리케이션 또는 쇼케이스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860)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실행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구현되는 운영 체제(855) 및 애플리케이션(860)들은 시스템(800)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805)에 의해 실행된다. 이와 같이, 운영 체제(855) 및 애플리케이션(860)들은 시스템(800)의 통합된 부분으로 간주될 수 있다. 운영 시스템(855), 애플리케이션(860), 및 시스템(800)에 의해 사용, 생성 및/또는 동작되는 임의의 데이터 항목은 시스템(800)의 일부로서 채용될 때 기능을 부여하는 기능적 데이터 구조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양태에서, 시스템(800)은 TV를 구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시스템(800)은 퍼스널 컴퓨터, 서버 등과 같은 컴퓨터를 구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양태상에서, 시스템(800)은 모바일 컴퓨팅 장치를 구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모바일 컴퓨팅 장치의 예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모바일 미디어 장치 및 게임 콘솔, 모바일 인터넷 장치(MID),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랩톱 컴퓨터, 모바일 응용 장치 등일 수 있다.
시스템(800)은 구현된 장치의 특정 유형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보다 더 적은 구성요소들 또는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함된 특정 운영 체제 및/또는 애플리케이션은 포함된 네트워크 어댑터의 유형이 변하는 것처럼 장치 유형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은 다른 구성 요소에 통합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적어도 일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별개의 특징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도면 또는 실시예의 임의의 특징 또는 기능이 어떤 다른 도면 또는 실시예에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단지 몇몇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출원 및 도면은 홈 메뉴 인터페이스 및 콘텐츠 시청 장치에 대한 기본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명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들 중 하나 이상의 단계들이 수정, 재정렬 및/또는 삭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여기에 주어진 세부 사항에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15)

  1. 콘텐츠 시청 장치에 콘텐츠 시청 옵션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제 1 타일이 콘텐츠 소스를 나타내며 콘텐츠 소스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이렉트 링크(direct link)를 제공하는 복수의 제 1 타일들을 포함하는 제 1 타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렌더링하는 단계;
    각각의 제 2 타일이 상기 콘텐츠 소스로부터 콘텐츠를 프리뷰(preview)하고 상기 콘텐츠 소스 애플리케이션 내에 딥 링크(deep link)를 제공하는 복수의 제 2 타일을 포함하는 제2 타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렌더링하는 단계; 및
    제 2 타일의 선택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 소스에서 상기 콘텐츠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콘텐츠 소스 애플리케이션을 런칭하지 않고 상기 콘텐츠의 프리뷰 콘텐츠를 상기 제 2 타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타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로부터 마지막-액세스 콘텐츠 소스 타일 (last-accessed content source tile)을 강조 표시하는(highlighting) 단계; 및
    콘텐츠 소스를 나타내는 제 1 타일이 대응하는 제 2 타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갖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제 2 타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콘텐츠 소스 애플리케이션을 런칭하지 않고 상기 콘텐츠의 프리뷰를 디스플레이하는 소정의 콘텐츠 타일을 강조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타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소스 입력 타일을 렌더링하는 단계;
    상기 제 1 타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 설정 타일(setting tile)을 렌더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타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쇼케이스 타일(showcase tile)을 렌더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에 액세스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트의 재생을 인에이블하는(enabling)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타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제 2 타일 디스플레이 프레임워크로 초점을 이동시키는 제 1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콘텐츠 시청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컴퓨터-판독가능(computer-readable)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콘텐츠 시청 장치로 하여금:
    각각의 제1 타일이 콘텐츠 소스를 나타내고 콘텐츠 소스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이렉트 링크를 제공하는 복수의 제 1 타일들을 포함하는 제 1 타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렌더링하며;
    각각의 제2 타일이 상기 콘텐츠 소스로부터 콘텐츠를 프리뷰하고 상기 콘텐츠 소스 애플리케이션 내에 딥 링크를 제공하는 복수의 제 2 타일들을 포함하는 제 2 타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렌더링하고;
    제 2 타일의 선택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 소스에서 상기 콘텐츠에 액세스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시청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콘텐츠 시청 장치로 하여금, 상기 콘텐츠 소스 애플리케이션을 런칭하지 않고 상기 콘텐츠의 프리뷰 콘텐츠를 상기 제 2 타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시청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콘텐츠 시청 장치로 하여금 :
    상기 제 1 타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로부터 마지막-액세스 콘텐츠 소스 타일을 강조 표시하게 하고;
    콘텐츠 소스를 나타내는 제 1 타일이 대응하는 제 2 타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갖는지 여부를 결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시청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콘텐츠 시청 장치로 하여금, 상기 콘텐츠 소스 애플리케이션을 런칭하지 않고 상기 콘텐츠의 프리뷰를 디스플레이하는 소정의 콘텐츠 타일을 강조 표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시청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콘텐츠 시청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 1 타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소스 입력 타일을 렌더링하게 하고;
    상기 제 1 타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설정 타일을 렌더링하게 하고;
    상기 제 1 타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쇼케이스 타일을 렌더링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시청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콘텐츠 시청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 1 타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제 2 타일 디스플레이 프레임워크로 초점을 이동시키는 제 1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시청 장치.
  15. 콘텐츠 시청 장치 상에 콘텐츠 시청 옵션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소프트웨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저장 매체는,
    각각의 제1 타일이 콘텐츠 소스를 나타내고 콘텐츠 소스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이렉트 링크를 제공하는 복수의 제 1 타일들을 포함하는 제 1 타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렌더링하는 명령어들;
    각각의 제2 타일이 상기 콘텐츠 소스로부터 콘텐츠를 프리뷰하고 상기 콘텐츠 소스 애플리케이션 내에 딥 링크를 제공하는 복수의 제 2 타일들을 포함하는 제 2 타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렌더링하는 명령어들; 및
    제 2 타일의 선택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 소스에서 상기 콘텐츠에 액세스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87009233A 2015-09-04 2016-08-26 콘텐츠 시청 장치 및 그 콘텐츠 시청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KR102059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7037668A KR102400019B1 (ko) 2015-09-04 2016-08-26 콘텐츠 시청 장치 및 그 콘텐츠 시청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14435P 2015-09-04 2015-09-04
US62/214,435 2015-09-04
US15/153,259 US10212481B2 (en) 2015-09-04 2016-05-12 Home menu interface for displaying content viewing options
US15/153,259 2016-05-12
PCT/KR2016/009535 WO2017039243A1 (en) 2015-09-04 2016-08-26 Content viewing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viewing options there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7668A Division KR102400019B1 (ko) 2015-09-04 2016-08-26 콘텐츠 시청 장치 및 그 콘텐츠 시청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314A true KR20180037314A (ko) 2018-04-11
KR102059428B1 KR102059428B1 (ko) 2019-12-26

Family

ID=5818791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7668A KR102400019B1 (ko) 2015-09-04 2016-08-26 콘텐츠 시청 장치 및 그 콘텐츠 시청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KR1020187009233A KR102059428B1 (ko) 2015-09-04 2016-08-26 콘텐츠 시청 장치 및 그 콘텐츠 시청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KR1020227031263A KR102488975B1 (ko) 2015-09-04 2016-08-26 콘텐츠 시청 장치 및 그 콘텐츠 시청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KR1020227016436A KR102443056B1 (ko) 2015-09-04 2016-08-26 콘텐츠 시청 장치 및 그 콘텐츠 시청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7668A KR102400019B1 (ko) 2015-09-04 2016-08-26 콘텐츠 시청 장치 및 그 콘텐츠 시청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1263A KR102488975B1 (ko) 2015-09-04 2016-08-26 콘텐츠 시청 장치 및 그 콘텐츠 시청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KR1020227016436A KR102443056B1 (ko) 2015-09-04 2016-08-26 콘텐츠 시청 장치 및 그 콘텐츠 시청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12481B2 (ko)
EP (1) EP3345401B1 (ko)
KR (4) KR102400019B1 (ko)
WO (1) WO201703924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4725A (ko) * 2018-11-12 2020-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3055211A1 (ko) * 2021-09-30 2023-04-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4900B2 (en) 2016-03-15 2019-05-07 Sony Corporation Multiview as an application for physical digital media
US20180004370A1 (en) * 2016-06-29 2018-01-04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Quick navigation menu
US10582245B2 (en) * 2016-09-02 2020-03-03 Opentv, Inc. Displaying non-time bound content in a time bound grid
CN110493631A (zh) * 2018-05-15 2019-11-22 中国移动通信集团浙江有限公司 一种机顶盒Launcher适配方法
USD874484S1 (en) 2018-10-05 2020-02-04 Google Ll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301273B2 (en) * 2020-03-11 2022-04-12 Atlassian Pty Ltd. Computer user interface for a virtual workspace having multiple application portals displaying context-related content
US20220070546A1 (en) * 2020-08-31 2022-03-03 Xandr Inc. Presentation generating platform
CN112596652A (zh) * 2020-12-11 2021-04-02 中信银行股份有限公司 菜单导航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US11838563B2 (en) * 2021-04-15 2023-12-05 Synamedia Limited Switching between transmitting a preauthored video frame and a composited video fram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2237A1 (en) * 2000-04-10 2002-08-15 Kelts Brett R.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display interface for information objects
US7899915B2 (en) * 2002-05-10 2011-03-01 Richard Reisma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wsing using multiple coordinated device sets
US8117548B1 (en) * 2005-05-03 2012-02-14 Apple Inc. Image preview
US7933632B2 (en) 2005-09-16 2011-04-26 Microsoft Corporation Tile space user interface for mobile devices
US20080178125A1 (en) 2007-01-23 2008-07-24 Microsoft Corporation Providing dynamic content in a user interface in an application
US8065628B2 (en) 2007-06-25 2011-11-22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user interface for previewing live content
KR101653348B1 (ko) 2008-01-04 2016-09-02 유나이티드 비디오 프로퍼티즈, 인크. 대화형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를 위한 미디어 애셋을 선택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110099519A1 (en) * 2009-10-27 2011-04-28 Apple Inc. Menuing Structure for Media Content
KR101683556B1 (ko) 2010-01-06 2016-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타일 기반의 렌더링 장치 및 렌더링 방법
US8291452B1 (en) * 2011-05-20 2012-10-16 Google Inc. Interface for watching a stream of videos
US20130174201A1 (en) * 2011-12-30 2013-07-04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three-dimensional objects in a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US9060152B2 (en) * 2012-08-17 2015-06-16 Flextronics Ap, Llc Remote control having hotkeys with dynamically assigned functions
US9483443B2 (en) 2012-09-17 2016-11-01 Konica Minolta Laboratory U.S.A., Inc. Tiled display list
US9124931B2 (en) 2012-11-02 2015-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naging a TV application for over-the-top TV
US9532111B1 (en) * 2012-12-18 2016-12-27 Apple Inc. Devices and method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hints on a display
KR102051540B1 (ko) 2013-02-21 2020-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40351722A1 (en) 2013-05-23 2014-11-27 Microsoft User interface elements for multiple displays
KR20150037209A (ko) * 2013-09-30 201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젯을 표시하는 방법, 전자 장치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US20150128042A1 (en) 2013-11-04 2015-05-07 Microsoft Corporation Multitasking experiences with interactive picture-in-picture
KR20150057277A (ko) * 2013-11-19 2015-05-28 (주)휴맥스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26244A (ko) * 2014-08-29 2016-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삭제 정보 관리방법
KR102355622B1 (ko) * 2014-12-24 2022-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4725A (ko) * 2018-11-12 2020-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3055211A1 (ko) * 2021-09-30 2023-04-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046800A (ko) * 2021-09-30 2023-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45401B1 (en) 2023-05-10
EP3345401A4 (en) 2018-11-07
US10212481B2 (en) 2019-02-19
KR20190143470A (ko) 2019-12-30
WO2017039243A1 (en) 2017-03-09
EP3345401A1 (en) 2018-07-11
KR102400019B1 (ko) 2022-05-19
KR102488975B1 (ko) 2023-01-18
KR102443056B1 (ko) 2022-09-14
KR102059428B1 (ko) 2019-12-26
KR20220069121A (ko) 2022-05-26
US20170070786A1 (en) 2017-03-09
KR20220127384A (ko) 202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9428B1 (ko) 콘텐츠 시청 장치 및 그 콘텐츠 시청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CN108289236B (zh) 智能电视及电视画面截图的图形用户界面的显示方法
US11601719B2 (en) Method for processing television screenshot, smart television, and storage medium
KR102230747B1 (ko) 잠금 스크린 방법 및 이동 단말기
US10162496B2 (en) Presentation of metadata and enhanced entertainment media content
US96093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xtual functionality for presented content
CN108055590B (zh) 电视画面截图的图形用户界面的显示方法
CN107113468B (zh) 一种移动计算设备以及实现的方法、计算机存储介质
US201101618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hapter utilization in video player ui
US201402234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pdating a search request
US9043842B2 (en) Method for virtual channel management, method for retrieving digital contents, and network-based multimedia reproduction system with virtual channels
US20140123177A1 (en) Pre-encoded user interface video
EP2934017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111898B (zh) 电视画面截图的图形用户界面的显示方法以及智能电视
US8744240B2 (en) Video distribution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video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distributing video to a plurality of receiving terminals
US20210014570A1 (en) Video Preview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2552286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6004831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4827745B (zh) 视频字幕的生成方法及电子设备
KR2015011721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181468B2 (ja) 情報処理端末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