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6538A -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자원에 기초한 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자원에 기초한 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538A
KR20180036538A KR1020170118956A KR20170118956A KR20180036538A KR 20180036538 A KR20180036538 A KR 20180036538A KR 1020170118956 A KR1020170118956 A KR 1020170118956A KR 20170118956 A KR20170118956 A KR 20170118956A KR 20180036538 A KR20180036538 A KR 20180036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ase station
common
resource
syste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3595B1 (ko
Inventor
김재흥
이경석
김철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80036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7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자원에 기초한 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 중에서 제1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자원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상기 공통 자원을 통해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공통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 중에서 제2 기지국과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자원에 기초한 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BASED ON COMMON RESOURCE IN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불필요한 시스템 정보의 획득 절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접속 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
급증하는 무선 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LTE(long term evolution) 기반의 통신 시스템(또는, LTE-A 기반의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이하, "통합(integration) 통신 시스템"이라 함)이 고려되고 있다. 높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전파의 경로 손실, 전파의 반사 등에 따라 신호의 수신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매크로(marco) 기지국에 비해 좁은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를 지원하는 스몰(small) 기지국이 통합 통신 시스템에 도입될 수 있다. 통합 통신 시스템에서 스몰 기지국은 유선 백홀 링크(backhaul link)를 사용하여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통합 통신 시스템은 통신 프로토콜(protocol)의 모든 기능들(예를 들어, 원격 무선 송수신 기능, 기저대역(baseband)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스몰 기지국, 통신 프로토콜의 모든 기능들 중에서 원격 무선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들, 통신 프로토콜의 모든 기능들 중에서 기저대역의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BBU(baseband unit) 블록(block)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RP는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등일 수 있다. BBU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BBU 또는 적어도 하나의 DU(digital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BBU 블록은 "BBU 풀(pool)", "집중화된(centralized) BBU"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하나의 BBU 블록은 복수의 TRP들과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TRP들로부터 수신된 신호 및 복수의 TRP들로 전송될 신호에 대한 기저대역의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통신 시스템들에서 복수의 기지국들이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기지국들 각각은 시스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복수의 기지국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시스템 정보를 사용하여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에서 시스템 정보의 일부는 공통될 수 있으며, 공통 시스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단말은 접속 절차를 위해 기지국의 전체 시스템 정보의 획득 절차를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의 획득 절차에 따른 오버헤드(overhead)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시스템에서 불필요한 시스템 정보의 획득 절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기지국들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 중에서 제1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자원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상기 공통 자원을 통해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공통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 중에서 제2 기지국과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통 자원 및 상기 공통 정보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에서 동일하게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는 상기 제2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의 획득 절차의 수행 없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는 상기 공통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기지국의 다른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2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다른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다른 시스템 정보는 상기 제2 기지국의 전체 시스템 정보 중에서 상기 공통 정보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를 제외한 시스템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일 수 있고, 상기 다른 시스템 정보는 랜덤 액세스 응답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통 정보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에서 동일하게 설정된 시스템 정보, 제어 정보, 물리 채널 정보, 참조 신호 정보 및 자원 할당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통 정보는 상기 공통 정보가 적용되는 서비스 영역을 지시하는 SA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SA 식별자에 의해 지시되는 상기 서비스 영역에 속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통 자원은 상기 공통 정보에 포함된 자원 할당 정보의 종류에 따라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자원 할당 정보는 제어 채널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 스케쥴링 요청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및 하향링크 전송 요청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기지국들 중에서 제1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에서 동일하게 설정된 공통 자원의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에서 동일하게 설정된 공통 정보를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상기 공통 자원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공통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과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는 상기 제1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의 전송 절차의 수행 없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은 복수의 기지국들 중에서 제2 기지국과 연결 절차를 완료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의 다른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다른 시스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다른 시스템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의 전체 시스템 정보 중에서 상기 공통 정보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를 제외한 시스템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통 정보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에서 동일하게 설정된 시스템 정보, 제어 정보, 물리 채널 정보, 참조 신호 정보, 자원 할당 정보 및 상기 공통 정보가 적용되는 서비스 영역을 지시하는 SA 식별자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통 자원은 상기 공통 정보에 포함된 자원 할당 정보의 종류에 따라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자원 할당 정보는 제어 채널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 스케쥴링 요청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및 하향링크 전송 요청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기지국들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 중에서 제1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자원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상기 공통 자원을 통해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공통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 중에서 제2 기지국과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도록 실행되며, 상기 공통 자원 및 상기 공통 정보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에서 동일하게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는 상기 제2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의 획득 절차의 수행 없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제2 기지국의 다른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2 기지국에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다른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도록 실행될 수 있고, 상기 다른 시스템 정보는 상기 제2 기지국의 전체 시스템 정보 중에서 상기 공통 정보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를 제외한 시스템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통 정보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에서 동일하게 설정된 시스템 정보, 제어 정보, 물리 채널 정보, 참조 신호 정보 및 자원 할당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통 정보는 상기 공통 정보가 적용되는 서비스 영역을 지시하는 SA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SA 식별자에 의해 지시되는 상기 서비스 영역에 속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통 자원은 상기 공통 정보에 포함된 자원 할당 정보의 종류에 따라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자원 할당 정보는 제어 채널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 스케쥴링 요청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및 하향링크 전송 요청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공통 정보)가 획득된 경우, 단말은 제2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의 획득 절차의 수행 없이(또는, 제2 기지국의 일부 시스템 정보의 획득 절차를 수행한 후) 제1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사용하여 제2 기지국과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최소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최소 시스템 정보 이외의 다른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추가 시스템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 다른 시스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고, 기지국으로부터 다른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시스템 정보의 획득 절차가 최소화될 수 있고, 통신 시스템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통신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통합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통합 통신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통신 시스템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자원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자원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정보의 획득 절차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이다.
도 10은 통신 시스템에서 빔 페어링 절차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전송 요청 절차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의 전송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15는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들 간의 매핑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아래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network)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100)은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예를 들어, S-GW(serving-gateway), P-GW(PDN(packet data network)-gateway),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4G 통신(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5G 통신 등을 지원할 수 있다. 4G 통신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고, 5G 통신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G 통신 및 5G 통신을 위해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WCDMA(wideband C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iltered 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CP(cyclic prefix)-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C(single carrier)-F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GFDM(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BMC(filter bank multi-carrier)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UFMC(universal filtered multi-carrier)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매시브 안테나(massive antenna)에 의한 빔포밍(beamforming) 방식에 따른 다중 접속이 가능한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2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저장 장치(2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2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110-1, 110-2, 110-3, 120-1, 120-2),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 및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100)은 "액세스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매크로 셀(macro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 및 제5 기지국(120-2) 각각은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의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 내에 제4 기지국(120-1), 제3 단말(130-3) 및 제4 단말(130-4)이 속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1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2 단말(130-2),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이 속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10-3)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5 기지국(120-2), 제4 단말(130-4), 제5 단말(130-5) 및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1 단말(130-1)이 속할 수 있다. 제5 기지국(12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ABS(advanced base station), HR-BS(high reliability-base station),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eNodeB), gN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액세스 노드(node), RAS(radio access station), MMR-BS(mobile multihop relay-base station), RS(relay station), ARS(advanced relay station), HR-RS(high reliability-relay station), 스몰(small) 기지국, 펨토(femto) 기지국, 피코(pico) 기지국, 메트로(metro) 기지국, 마이크로(micro) 기지국, HNB(home NodeB), HeNB(home eNodeB), RSU(road side unit), RRH(radio remote head), TP(transmission point),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앞서 설명된 개체(entity)들(예를 들어, ABS, NodeB, eNodeB, AP, RAS, BTS, MMR-BS, RS, RN, ARS, HR-RS, 스몰 기지국, RSU, RRH, TP, TRP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UE(user equipment), TE(terminal equipment), MT(mobile terminal), MS(mobile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HR-MS(high reliability-mobile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PSS(portable subscriber station), AT(access terminal), 디바이스(device), 스테이션(station), IoT(Internet of Things) 장치, 탑재된 모듈(mounted module), OBU(on board unit)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앞서 설명된 개체들(예를 들어, MT, MS, AMS, HR-MS, SS, PSS, AT, UE, IoT 장치, 탑재된 모듈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링크(ideal backhaul link) 또는 논(non)-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아이디얼 백홀 링크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링크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에 전송할 수 있고,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MIMO 전송(예를 들어, SU(single user)-MIMO, MU(multi user)-MIMO, 대규모(massive) MIMO 등), CoMP(coordinated multipoint) 전송, CA(carrier aggregation) 전송,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전송, 단말 간 직접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또는, ProSe(proximity services))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과 대응하는 동작,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110-2)은 S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S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기지국(110-2)은 M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M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CoMP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CoMP 방식에 의해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에 속한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과 CA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제4 단말(130-4)과 제5 단말(130-5) 간의 D2D를 제어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의 제어에 의해 D2D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통신 프로토콜의 모든 기능들(예를 들어, 원격 무선 송수신 기능, 기저대역(baseband)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통신 프로토콜의 모든 기능들 중에서 원격 무선 송수신 기능은 TRP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통신 프로토콜의 모든 기능들 중에서 기저대역 처리 기능은 BBU(baseband unit) 블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TRP는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TP(transmission point) 등일 수 있다. BBU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BBU 또는 적어도 하나의 DU(digital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BBU 블록은 "BBU 풀(pool)", "집중화된(centralized) BBU"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TRP는 유선 프론트홀(fronthaul) 링크 또는 무선 프론트홀 링크를 통해 BBU 블록에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링크 및 프론트홀 링크로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통신 프로토콜의 기능 분리(function split) 기법이 적용되는 경우, TRP는 BBU의 일부 기능 또는 MAC/RLC의 일부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통신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코어 네트워크 및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는 MME(310-1), S-GW(310-2), P-GW(310-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는 매크로 기지국(320), 스몰 기지국(330), TRP(350-1, 350-2), 단말(360-1, 360-2, 360-3, 360-4, 360-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RP(350-1, 350-2)는 통신 프로토콜의 모든 기능들 중에서 원격 무선 송수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으며, TRP(350-1, 350-2)를 위한 기저대역 처리 기능은 BBU 블록(340)에서 수행될 수 있다. BBU 블록(340)은 액세스 네트워크 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속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 속한 통신 노드(예를 들어, MME, S-GW, P-GW, 매크로 기지국, 스몰 기지국, TRP, 단말, BBU 블록)는 도 2에 도시된 통신 노드(20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매크로 기지국(320)은 유선 백홀 링크 또는 무선 백홀 링크를 사용하여 코어 네트워크(예를 들어, MME(310-1), S-GW(310-2))에 연결될 수 있고,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4G 통신 프로토콜, 5G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단말들(360-3, 360-4)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스몰 기지국(330)은 유선 백홀 링크 또는 무선 백홀 링크를 사용하여 코어 네트워크(예를 들어, MME(310-1), S-GW(310-2))에 연결될 수 있고,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4G 통신 프로토콜, 5G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제5 단말(360-5)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BBU 블록(340)은 MME(310-1), S-GW(310-2) 또는 매크로 기지국(320)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BBU 블록(340)은 MME(310-1), S-GW(310-2) 및 매크로 기지국(320) 각각과 독립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BU 블록(340)은 매크로 기지국(320)과 MME(310-1)(또는, S-GW(310-2)) 사이의 논리 기능으로 구성될 수 있다. BBU 블록(340)은 복수의 TRP(350-1, 350-2)들을 지원할 수 있고, 유선 프론트홀 링크 또는 무선 프론트홀 링크를 사용하여 복수의 TRP(350-1, 350-2)들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즉, BBU 블록(340)과 TRP(350-1, 350-2) 간의 링크는 "프론트홀 링크"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TRP(350-1)는 유선 프론트홀 링크 또는 무선 프론트홀 링크를 통해 BBU 블록(340)에 연결될 수 있고,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4G 통신 프로토콜, 5G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제1 단말(360-1)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TRP(350-2)는 유선 프론트홀 링크 또는 무선 프론트홀 링크를 통해 BBU 블록(340)에 연결될 수 있고,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4G 통신 프로토콜, 5G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제2 단말(360-2)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엑스홀 네트워크 및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은 "통합(integration) 통신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통합 통신 시스템에 속한 통신 노드(예를 들어, MME, S-GW, P-GW, BBU 블록, XDU(Xhaul distributed unit), XCU(Xhaul control unit), 기지국, TRP, 단말 등)은 도 2에 도시된 통신 노드(20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엑스홀 네트워크에 속한 통신 노드들은 엑스홀 링크를 사용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엑스홀 링크는 백홀 링크 또는 프론트홀 링크일 수 있다.
또한, 통합 통신 시스템의 S-GW는 기지국과 패킷(예를 들어, 제어 정보, 데이터)을 교환하는 코어 네트워크의 종단 통신 노드를 지칭할 수 있고, 통합 통신 시스템의 MME는 단말의 무선 접속 구간(또는, 인터페이스)에서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코어 네트워크의 통신 노드를 지칭할 수 있다. 여기서, 백홀 링크, 프론트홀 링크, 엑스홀 링크, XDU, XCU, BBU 블록, S-GW 및 MME 각각은 RAT(radio access technology)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의 기능(예를 들어, 엑스홀 네트워크의 기능, 코어 네트워크의 기능)에 따라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도 4는 통합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합 통신 시스템은 액세스 네트워크, 엑스홀 네트워크 및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엑스홀 네트워크는 액세스 네트워크와 코어 네트워크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액세스 네트워크와 코어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통합 통신 시스템에 속한 통신 노드는 도 2에 도시된 통신 노드(20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는 TRP(430), 단말(4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엑스홀 네트워크는 복수의 통신 노드들(420-1, 420-2, 420-3)을 포함할 수 있다. 엑스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통신 노드는 "XDU"로 지칭될 수 있다. 엑스홀 네트워크에서 XDU들(420-1, 420-2, 420-3)은 무선 엑스홀 링크를 사용하여 연결될 수 있고, 멀티홉(multi-hop) 방식에 기초하여 연결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는 S-GW/MME(410-1), P-GW(410-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GW/MME(410-1)는 S-GW와 MME를 포함하는 통신 노드를 지칭할 수 있다. BBU 블록(450)은 S-GW/MME(410-1)에 위치할 수 있으며, 유선 링크를 통해 제3 XDU(420-3)와 연결될 수 있다.
엑스홀 네트워크의 제1 XDU(420-1)는 유선 링크를 사용하여 TRP(430)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1 XDU(420-1)는 TRP(430)에 통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XDU(420-2)는 무선 링크(예를 들어, 무선 엑스홀 링크)를 사용하여 제1 XDU(420-1) 및 제3 XDU(420-3) 각각에 연결될 수 있고, 제3 XDU(420-3)는 유선 링크를 사용하여 코어 네트워크의 종단 통신 노드(예를 들어, S-GW/MME(410-1))와 연결될 수 있다. 엑스홀 네트워크의 복수의 XDU들(420-1, 420-2, 420-3) 중에서 코어 네트워크의 종단 통신 노드와 연결되는 XDU는 "XDU 애그리게이터(aggregator)"로 지칭될 수 있다. 즉, 엑스홀 네트워크에서 제3 XDU(420-3)는 XDU 애그리게이터일 수 있다. XDU 애그리게이터의 기능은 코어S-GW/MME(410-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복수의 XDU들(420-1, 420-2, 420-3) 간의 통신은 액세스 프로토콜(예를 들어, 단말(440)과 TRP(430)(또는, 매크로 기지국, 스몰 기지국) 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과 다른 엑스홀 링크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이하, "엑스홀 프로토콜"이라 함)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엑스홀 프로토콜이 적용된 패킷은 엑스홀 링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 및 액세스 네트워크 각각에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패킷은 제어 정보, 데이터 등을 지시할 수 있다.
TRP(430)는 액세스 프로토콜(예를 들어, 4G 통신 프로토콜, 5G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단말(440)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유선 링크를 사용하여 제1 XDU(420-1)에 연결될 수 있다. TRP(430)는 통신 프로토콜의 모든 기능들 중에서 원격 무선 송수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으며, TRP(430)를 위한 기저대역 처리 기능은 BBU 블록(4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원격 무선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TRP(430)와 기저대역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BBU 블록(450) 간의 링크(예를 들어, "TRP(430)- 제1 XDU(420-1) - 제2 XDU(420-2) - 제3 XDU(420-3)- BBU 블록(450)(또는, S-GW/MME(410-1))"의 링크)는 "프론트홀 링크"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저대역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BBU 블록(450)의 위치에 따라 프론트홀 링크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통합 통신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통합 통신 시스템은 액세스 네트워크, 엑스홀 네트워크 및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엑스홀 네트워크는 액세스 네트워크와 코어 네트워크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액세스 네트워크와 코어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통합 통신 시스템에 속한 통신 노드는 도 2에 도시된 통신 노드(20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는 매크로 기지국(530), 스몰 기지국(540), TRP(550), 단말(560-1, 560-2, 560-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엑스홀 네트워크는 복수의 통신 노드들(520-1, 520-2, 520-3, 520-4, 520-5, 520-6)을 포함할 수 있다. 엑스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통신 노드는 "XDU"로 지칭될 수 있다. 엑스홀 네트워크에서 XDU들(520-1, 520-2, 520-3, 520-4, 520-5, 520-6)은 무선 엑스홀 링크를 사용하여 연결될 수 있고, 멀티홉 방식에 기초하여 연결될 수 있다. BBU 블록(570)은 복수의 XDU들(520-1, 520-2, 520-3, 520-4, 520-5, 520-6) 중에서 하나의 XDU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BU 블록(570)은 제6 XDU(520-6)에 위치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는 S-GW/MME(510-1), P-GW(510-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GW/MME(510-1)는 S-GW와 MME를 포함하는 통신 노드를 지칭할 수 있다.
엑스홀 네트워크의 제1 XDU(520-1)는 유선 링크를 사용하여 매크로 기지국(530)에 연결될 수 있거나, 매크로 기지국(530)에 통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엑스홀 네트워크의 제2 XDU(520-2)는 유선 링크를 사용하여 스몰 기지국(540)에 연결될 수 있거나, 스몰 기지국(540)에 통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엑스홀 네트워크의 제5 XDU(520-5)는 유선 링크를 사용하여 TRP(550)에 연결될 수 있거나, TRP(550)에 통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엑스홀 네트워크의 제4 XDU(520-4)는 유선 링크를 사용하여 코어 네트워크의 종단 통신 노드(예를 들어, S-GW/MME(510-1))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XDU들(520-1, 520-2, 520-3, 520-4, 520-5, 520-6) 중에서 코어 네트워크의 종단 통신 노드와 연결되는 XDU는 "XDU 애그리게이터"로 지칭될 수 있다. 즉, 코어 네트워크에서 제4 XDU(520-4)는 XDU 애그리게이터일 수 있다. 복수의 XDU들(520-1, 520-2, 520-3, 520-4, 520-5, 520-6) 간의 통신은 엑스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엑스홀 프로토콜이 적용된 패킷(예를 들어, 데이터, 제어 정보)은 엑스홀 링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 및 액세스 네트워크 각각에 전송될 수 있다.
매크로 기지국(530)은 액세스 프로토콜(예를 들어, 4G 통신 프로토콜, 5G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제1 단말(560-1)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유선 링크를 사용하여 제1 XDU(520-1)에 연결될 수 있다. 매크로 기지국(530)은 엑스홀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으며, "매크로 기지국(530) - 제1 XDU(520-1) - 제4 XDU(540-4) - S-GW/MME(510-1)"의 링크는 "백홀 링크"로 지칭될 수 있다. 스몰 기지국(540)은 액세스 프로토콜(예를 들어, 4G 통신 프로토콜, 5G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제2 단말(560-2)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유선 링크를 사용하여 제2 XDU(520-2)에 연결될 수 있다. 스몰 기지국(540)은 엑스홀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으며, "스몰 기지국(540) - 제2 XDU(520-2) - 제3 XDU(540-3) - 제4 XDU(540-4) - S-GW/MME(510-1)"의 링크는 "백홀 링크"로 지칭될 수 있다.
TRP(550)는 액세스 프로토콜(예를 들어, 4G 통신 프로토콜, 5G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제3 단말(560-3)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유선 링크를 사용하여 제5 XDU(520-5)에 연결될 수 있다. TRP(550)는 통신 프로토콜의 모든 기능들 중에서 원격 무선 송수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으며, TRP(550)를 위한 기저대역 처리 기능은 BBU 블록(57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원격 무선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TRP(550)와 기저대역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BBU 블록(570) 간의 링크(예를 들어, "TRP(550) - 제1 XDU(520-5) - BBU 블록(570)(또는, 제6 XDU(520-6))"의 링크)는 "프론트홀 링크"로 지칭될 수 있고, BBU 블록(570)과 S-GW/MME(510-1) 간의 링크(예를 들어, "BBU 블록(570)(또는, 제6 XDU(520-6)) - 제4 XDU(520-4) - S-GW/MME(510-1)"의 링크)는 "백홀 링크"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저대역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BBU 블록(570)의 위치에 따라 프론트홀 링크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의 획득 절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접속 제어 방법들이 설명될 것이다. 통신 노드들 중에서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전송 또는 수신)이 설명되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노드는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과 상응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기지국은 단말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기지국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단말은 기지국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통신 시스템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제1 기지국(610-1), 제2 기지국(610-2), 제3 기지국(610-3), 단말(6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통신 시스템은 도 1의 통신 시스템(100), 도 3의 통신 시스템, 도 4의 통합 통신 시스템 또는 도 5의 통합 통신 시스템에 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통합 통신 시스템의 매크로 기지국, 스몰 기지국, TRP, XDU, 단말 등에 적용될 수 있다. 기지국들(610-1, 610-2, 610-3) 및 단말은 도 2에 도시된 통신 노드(20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SA)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 시스템의 제어 개체(예를 들어, MME, S-GW, P-GW)는 복수의 서비스 영역들 각각을 관리/제어할 수 있다. 기지국들(610-1, 610-2, 610-3)(예를 들어, 기지국들(610-1, 610-2, 610-3)의 셀 커버리지)은 하나의 서비스 영역에 속할 수 있고, 기지국들(610-1, 610-2, 610-3) 각각의 셀 커버리지는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들(610-1, 610-2, 610-3)은 특정 지역(예를 들어, 교차로, 도로의 합류 지점, 도로의 분기 지점 등)에 위치할 수 있다. 기지국들(610-1, 610-2, 610-3)은 유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단말(620)은 이동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620)은 기지국들(610-1, 610-2, 610-3) 각각의 셀 커버리지에서 이동할 수 있다.
특정 영역(예를 들어, 서비스 영역)에 복수의 기지국들(610-1, 610-2, 610-3)이 위치하는 경우, 특정 영역(예를 들어, 서비스 영역)에 위치한 단말(620)에 대한 효율적인 제어와 통신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해 복수의 기지국들(610-1, 610-2, 610-3)을 위한 공통 자원 및 공통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영역은 통신 시스템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일 수 있다. 공통 자원 및 공통 정보는 하나의 서비스 영역에 속한 복수의 기지국들(610-1, 610-2, 610-3)에서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고, 공유될 수 있다. 공통 자원 및 공통 정보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 개체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이 경우에 통신 시스템의 제어 개체가 공통 자원 및 공통 정보를 복수의 기지국들(610-1, 610-2, 610-3)에 알려줄 수 있다.
또는, 공통 자원 및 공통 정보는 복수의 기지국들(610-1, 610-2, 610-3) 간의 협상 절차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기지국들(610-1, 610-2, 610-3)은 유선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공통 자원 및 공통 정보의 설정을 위한 협상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기지국들(610-1, 610-2, 610-3)은 셀 커버리지에 속한 단말 관련 정보(예를 들어, 밀집도, 이동 경로, 이동 속도 등)를 서로 교환할 수 있고, 단말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공통 자원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공통 자원의 크기의 결정 절차는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비주기적(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복수의 기지국들(610-1, 610-2, 610-3)은 공통 자원의 크기의 결정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또는,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단말(620)은 복수의 기지국들(610-1, 610-2, 610-3)에 공통 자원의 크기의 결정 절차의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
공통 정보는 복수의 기지국들(610-1, 610-2, 610-3)에서 사용되는 동일한 정보를 지시할 수 있고, 공통 정보는 공통 자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공통 정보는 시스템 정보, 제어 정보, 물리 채널 설정/할당 정보,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설정/할당 정보, 자원 할당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통 정보는 공통 정보가 적용되는 서비스 영역을 지시하는 SA 식별자, 공통 정보가 유효하게 사용되는 시간을 지시하는 구간 지시자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A 식별자를 포함하는 공통 정보는 동일 SA 식별자가 적용되는 서비스 영역에 속한 복수의 기지국들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620)의 이동에 따라 기지국(예를 들어, 단말(620)이 속한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동일 SA 식별자가 적용되는 해당 서비스 영역에서 단말(620)은 앞서 설명된 공통 정보(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랜덤 액세스 자원 등의 물리채널 설정/할당 정보)를 새롭게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저장된 공통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새로운 기지국(또는 셀)에서 다른 SA 식별자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단말(620)은 공통 정보를 새롭게 획득하는 절차를 수행하여야 한다.
만일, 공통 정보가 통신 시스템의 전체 영역에 적용되는 경우, SA 식별자 및 구간 지시자는 공통 정보에서 생략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620)은 공통 정보에 포함된 SA 식별자 및 구간 지시자에 기초하여 해당 기지국(예를 들어, 제1 기지국(610-1), 제2 기지국(610-2) 또는 제3 기지국(610-3))과의 통신(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절차(random access procedure), 셀 선택 절차(cell selection procedure), 셀 재선택 절차(cell reselection procedure))를 위해 공통 정보를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공통 정보는 공통 정보가 적용되는 서비스 영역을 지시하기 위해 특정 코드 시퀀스에 기초하여 마스킹(masking)될 수 있고, 공통 정보가 적용되는 서비스 영역을 지시하기 위해 특정 패턴(pattern)을 가지는 참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자원 할당 정보는 하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및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원 할당 정보는 제어 채널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 스케쥴링 요청(scheduling request) 절차(예를 들어, 자원 요청 절차)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 하향링크 전송 요청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D2D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예를 들어, 디스커버리(discovery) 절차를 위한 자원 풀(resource pool), 데이터 송수신 절차를 위한 자원 풀, 제어 신호의 송수신 절차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원 할당 정보는 주파수 자원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라미터(parameter)로서 중심 주파수, 시스템 대역폭, 서브캐리어 인덱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원 할당 정보는 시간 자원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라미터로서 라디오 프레임 인덱스(예를 들어, SFN(system frame number)), 서브프레임 인덱스, TTI(transmission time index), 슬롯(slot) 인덱스, 미니-슬롯(mini-slot) 인덱스, 심볼(symbol) 인덱스, 송수신 시간 관련 정보(예를 들어, 주기, 구간, 윈도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덱스는 번호를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자원 할당 정보는 자원 호핑 패턴(resource hopping pattern), 빔포밍 관련 정보(예를 들어, 빔 설정 정보, 빔 인덱스), 코드 시퀀스(code sequence)(예를 들어, 비트 시퀀스, 신호 시퀀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공통 정보가 전송되는 공통 자원은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자원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주파수 대역#1은 도 6의 제1 기지국(610-1)에 할당될 수 있고, 주파수 대역#2는 도 6의 제2 기지국(610-2)에 할당될 수 있고, 주파수 대역#3은 도 6의 제3 기지국(610-3)에 할당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610-1, 610-2, 610-3)은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공통 정보의 전송을 위해 공통 자원#1 및 공통 자원#2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고, 공통 자원#1 및 공통 자원#2 각각의 할당 패턴(예를 들어, 할당된 주파수 자원, 할당된 시간 자원, 할당 주기 등)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축에서 공통 자원#1의 위치는 복수의 기지국들(610-1, 610-2, 610-3) 각각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 중에서 중심 영역일 수 있고, 주파수 축에서 공통 자원#2의 위치는 복수의 기지국들(610-1, 610-2, 610-3) 각각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 중에서 가장자리 영역일 수 있다. 라디오 프레임이 10개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는 경우, 시간 축에서 공통 자원#1은 5개의 서브프레임들 마다 할당될 수 있고, 시간 축에서 공통 자원#2는 20개의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2개의 라디오 프레임들) 마다 할당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기지국들(610-1, 610-2, 610-3)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설정된 공통 자원을 사용하여 공통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시간 축에서 공통 자원의 위치는 주파수 대역#0 내지 #3에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지국(610-1)은 주파수 대역#1에 설정된 공통 자원#1 및 공통 자원#2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공통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제2 기지국(610-2)은 주파수 대역#2에 설정된 공통 자원#1 및 공통 자원#2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공통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제3 기지국(610-3)은 주파수 대역#3에 설정된 공통 자원#1 및 공통 자원#2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공통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공통 자원#1 및 공통 자원#2 각각은 하향링크 전송, 상향링크 전송, 사이드링크(sidelink) 전송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자원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주파수 대역#1은 도 6의 제1 기지국(610-1)에 할당될 수 있고, 주파수 대역#2는 도 6의 제2 기지국(610-2)에 할당될 수 있고, 주파수 대역#3은 도 6의 제3 기지국(610-3)에 할당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610-1, 610-2, 610-3)은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공통 정보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공통 자원은 주파수 대역#2에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축에서 공통 자원의 위치는 주파수 대역#2 중에서 가장자리 영역일 수 있다. 라디오 프레임이 10개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는 경우, 시간 축에서 공통 자원은 20개의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2개의 라디오 프레임들) 마다 할당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기지국들(610-1, 610-2, 610-3)은 동일한 공통 자원(예를 들어, 주파수 대역#2에 설정된 공통 자원)을 사용하여 공통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공통 자원은 하향링크 전송, 상향링크 전송, 사이드링크 전송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공통 자원의 설정 정보는 할당 패턴(예를 들어, 할당된 주파수 자원, 할당된 시간 자원, 할당 주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통 자원의 할당 주기는 통신 시스템에서 규정된 스케쥴링(예를 들어, 자원 할당)의 최소 주기의 배수 또는 절대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쥴링의 최소 주기가 하나의 심볼인 경우에 공통 자원의 할당 주기는 심볼의 배수로 설정될 수 있고, 스케쥴링의 최소 주기가 하나의 TTI인 경우에 공통 자원의 할당 주기는 TTI의 배수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공통 자원의 할당 주기는 절대 시간의 단위인 마이크로초(microsecond), 밀리초(millisecond), 초(second), 분(minute)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610-1, 610-2, 610-3)은 시스템 정보의 전송 절차 또는 별도의 제어 정보의 시그널링 절차를 통해 공통 자원의 설정 정보를 단말(620)에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시그널링 절차는 RRC 계층의 전용 제어 메시지, MAC 계층의 제어 메시지(예를 들어, MAC 제어 PDU 또는 엘리먼트(element)),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의 제어 필드/파라미터 등을 사용하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절차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공통 자원은 공통 정보에 포함된 정보의 종류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채널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 스케쥴링 요청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및 하향링크 전송 요청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각각을 위한 공통 자원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7에서 공통 자원#1은 제어 채널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의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도 7에서 공통 자원#2는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의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종류의 정보를 포함하는 공통 정보를 위한 공통 자원은 복수의 기지국들(610-1, 610-2, 610-3)에서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고, 동일한 종류의 정보를 포함하는 공통 정보를 위한 공통 자원은 복수의 기지국들(610-1, 610-2, 610-3)에서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또는, 스케쥴링 요청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하향링크 전송 요청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공통 정보는 복수의 기지국들(610-1, 610-2, 610-3)이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자원(또는, 스케쥴링 요청을 위한 자원, 하향링크 전송 요청을 위한 자원)을 절대적으로 또는 상대적으로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자원이 절대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은 주파수 자원을 지시하는 파라미터(예를 들어, 서브캐리어 인덱스), 시간 자원을 지시하는 파라미터(예를 들어, 라디오 프레임 인덱스, 서브프레임 인덱스, TTI, 슬롯 인덱스, 미니-슬롯 인덱스, 심볼 인덱스 등), 송수신 시간 관련 정보(예를 들어, 주기, 구간, 윈도우), 자원 호핑 패턴, 빔포밍 관련 정보(예를 들어, 빔 설정 정보, 빔 인덱스) 및 코드 시퀀스(예를 들어, 비트 시퀀스, 신호 시퀀스) 각각이 동일한 값(또는, 동일한 범위)으로 설정되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자원이 상대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은 주파수 자원을 지시하는 파라미터, 시간 자원을 지시하는 파라미터, 송수신 시간 관련 정보, 자원 호핑 패턴, 빔포밍 관련 정보 및 코드 시퀀스 각각이 기준 값(reference value)과 오프셋(offset)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단말(620)이 속한 셀 커버리지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단말(620)은 기준 값과 오프셋을 사용하여 단말(620)이 현재 속한 셀 커버리지를 지원하는 기지국의 공통 자원을 알아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축에서 공통 자원의 위치는 서브캐리어의 기준 값(예를 들어,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가장 큰 주파수를 가지는 서브캐리어 또는 가장 작은 주파수를 가지는 서브캐리어)과 오프셋(예를 들어, x개의 서브캐리어들)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x은 0 이상의 자연수, 정수 또는 실수일 수 있다. 또한, 시간 축에서 공통 자원의 위치는 시간 자원을 지시하는 파라미터, 송수신 시간 관련 정보, 자원 호핑 패턴, 빔포밍 관련 정보 및 코드 시퀀스 각각의 기준 값과 오프셋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축 또는 시간 축에서 공통 자원의 위치는 모듈러(modular) 연산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모듈러 연산을 위해 기지국의 식별자, 시스템 대역폭, FFT(fast Fourier transform) 크기, 서브캐리어들의 개수, 서브캐리어 인덱스, SFN, 라디오 프레임(또는, 서브프레임, 심볼)들의 개수, 라디오 프레임 인덱스(또는, 서브프레임 인덱스, 심볼 인덱스), 기지국(또는, 기지국 그룹)의 식별을 위해 사용되는 시퀀스(예를 들어, 스크램블링(scrambling) 시퀀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들에 기초한 공통 정보의 획득 절차는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정보의 획득 절차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제1 기지국(610-1), 제2 기지국(610-2), 제3 기지국(610-3), 단말(6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의 통신 시스템은 도 6의 통신 시스템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제1 기지국(610-1), 제2 기지국(610-2), 제3 기지국(610-3) 및 단말(620) 각각은 도 6의 제1 기지국(610-1), 제2 기지국(610-2), 제3 기지국(610-3) 및 단말(620)과 동일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610-1, 610-2, 610-3)은 하나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할 수 있고, 단말(620)은 해당 서비스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들(610-1, 610-2, 610-3) 및 단말은 도 2에 도시된 통신 노드(20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610-1, 610-2, 610-3)은 공통 자원 및 공통 정보의 설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901). 공통 자원 및 공통 정보의 설정 절차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식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의 제어 개체(예를 들어, MME, S-GW, P-GW)가 공통 자원 및 공통 정보를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공통 자원 및 공통 정보를 복수의 기지국들(610-1, 610-2, 610-3)에 알려줄 수 있다. 또는, 복수의 기지국들(610-1, 610-2, 610-3) 간의 협상 절차에 의해 공통 자원 및 공통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901에서 설정된 공통 자원은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공통 자원과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공통 정보는 복수의 기지국들(610-1, 610-2, 610-3)에서 사용되는 동일한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공통 정보는 시스템 정보, 제어 정보, 물리 채널 설정/할당 정보, 참조 신호 설정/할당 정보, 자원 할당 정보, 공통 정보가 적용되는 서비스 영역을 지시하는 SA 식별자, 공통 정보가 유효하게 사용되는 시간을 지시하는 구간 지시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610-1, 610-2, 610-3)은 공통 자원의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공통 자원의 설정 정보는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공통 자원의 할당 패턴(예를 들어, 할당된 주파수 자원, 할당된 시간 자원, 할당 주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610-1, 610-2, 610-3)은 공통 자원의 설정 정보를 시스템 정보의 전송 절차 또는 별도의 제어 정보의 시그널링 절차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S902).
한편, 단말(920)은 제1 기지국(610-1)과 연결 확립(connection establishment) 절차를 완료한 상태일 수 있고, RRC_커넥티드 상태(radio resource control_connected state)로 동작할 수 있다. 단계 S902에서 단말(620)이 제1 기지국(610-1)의 셀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경우, 단말(620)은 시스템 정보의 전송 절차 또는 별도의 제어 정보의 시그널링 절차를 통해 제1 기지국(610-1)으로부터 공통 자원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903). 따라서 단말(620)은 공통 자원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지국들(610-1, 610-2, 610-3)을 위한 공통 자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단말(620)은 공통 자원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공통 자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610-1, 610-2, 610-3)은 공통 자원을 사용하여 공통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904). 단말(620)은 단계 S903에서 확인된 공통 자원에 대한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기지국들(610-1, 610-2, 610-3)을 위한 공통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905). 예를 들어, 단계 S904 및 단계 S905에서 단말(620)이 제1 기지국(610-1)의 셀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경우, 단말(620)은 제1 기지국(610-1)으로부터 공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 후에 단말(620)이 제1 기지국(610-1)의 셀 커버리지에서 제2 기지국(610-2)의 셀 커버리지로 이동한 경우, 단말(620)은 제2 기지국(610-2)의 공통 정보의 획득 절차의 수행 없이 단계 S905에서 제1 기지국(610-1)으로부터 획득된 공통 정보를 사용하여 제2 기지국(610-2)과 통신(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절차, 스케쥴링 요청 절차, 하향링크 전송 요청 절차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620)과 제2 기지국(610-2) 간의 연결 확립 절차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도, 단말(620)은 제2 기지국(610-2)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620)은 제2 기지국(610-2)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제2 기지국(610-2)으로부터 추가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다른(other)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단계 S904 및 단계 S905에서 단말(620)이 제2 기지국(61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경우, 단말(620)은 제1 기지국(610-1)으로부터 획득된 공통 자원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제2 기지국(610-2)으로부터 공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620)은 제2 기지국(610-2)으로부터 획득된 공통 정보를 사용하여 제2 기지국(610-2)과 통신(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절차, 스케쥴링 요청 절차, 하향링크 전송 요청 절차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620)과 제2 기지국(610-2) 간의 연결 확립 절차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도, 단말(620)은 제2 기지국(610-2)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단말(620)이 제1 기지국(610-1)의 셀 커버리지에서 제2 기지국(610-2)의 셀 커버리지로 이동한 경우, 단말(620)은 제2 기지국(610-2)의 동기를 획득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자원에 대한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동기 신호 및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측정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자원은 단계 S902에서 제1 기지국(610-1)으로부터 획득된 설정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공통 자원일 수 있다. 단말(620)은 제2 기지국(610-2)으로부터 수신된 동기 신호 및 RRM 측정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2 기지국(610-2)의 동기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단말(620)은 제2 기지국(620-2)을 위해 설정된 시간 자원의 위치(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인덱스)와 제2 기지국(620-2)을 위해 설정된 주파수 자원의 위치(예를 들어, RB(resource block) 인덱스, 서브캐리어 인덱스)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620)은 제1 기지국(610-1)으로부터 수신된 공통 정보(예를 들어, 공통 정보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 또는 별도로 수신된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1 기지국(610-1)을 위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1에서 공통 자원#1과 공통 자원#2 간의 매핑(mapping) 관계가 제2 기지국(610-2)을 위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2에서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공통 자원#1과 공통 자원#2 간의 매핑 관계는 시간 자원의 상대적인 차이(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인덱스 오프셋(offset))와 주파수 자원의 상대적인 차이(예를 들어, RB 인덱스 오프셋, 서브캐리어 인덱스 오프셋)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또는, 공통 자원#1과 공통 자원#2 간의 매핑 관계는 절대적인(absolute) 인덱스(예를 들어, 절대적인 값, 절대적인 범위(range))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제2 기지국(610-2)이 주파수 대역#2의 공통 자원#1을 사용하여 하향링크 버스트(burst) 전송을 수행하고, 단말(620)이 주파수 대역#2의 공통 자원#2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버스트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공통 자원#1과 공통 자원#2 간의 매핑 관계는 시간-주파수 자원의 상대적인 차이뿐만 아니라 공통 자원#1을 구성하는 하향링크 자원과 공통 자원#2를 구성하는 상향링크 자원의 대응 관계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주파수 대역#1에서 공통 자원#1과 공통 자원#2 간의 매핑 관계가 주파수 대역#2에 적용되는 경우, 단말(620)은 제2 기지국(610-2)의 공통 정보의 획득 절차 또는 제2 기지국(610-2)의 별도의 물리 채널의 획득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한편, 제1 기지국(610-1)의 주파수 대역#1에서 빔포밍 방식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버스트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에 하향링크 빔은 아날로그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기지국(610-1)의 주파수 대역#1에서 빔포밍 방식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버스트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에 상향링크 빔은 아날로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하향링크 빔의 아날로그 부분과 상향링크 빔의 아날로그 부분은 제1 기지국(610-1)의 가상 섹터를 구성하는 요소일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과 같이, 도 8의 주파수 대역#2에서 공통 정보를 획득한 단말(620)은 획득된 공통 정보를 사용하여 도 8의 주파수 대역#1에서 제1 기지국(610-1)과 통신(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절차, 스케쥴링 요청 절차, 하향링크 전송 요청 절차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620)과 제1 기지국(610-1) 간의 연결 확립 절차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도, 단말(620)은 제1 기지국(610-1)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말이 속한 셀 커버리지가 변경된 경우에도, 단말은 셀 커버리지의 변경 전에 획득된 공통 정보를 사용하여 현재 셀 커버리지를 지원하는 기지국과 통신(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절차, 스케쥴링 요청 절차, 하향링크 전송 요청 절차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은 현재 기지국의 공통 정보의 획득 절차의 수행 없이 이전 기지국으로부터 획득된 공통 정보를 사용하여 현재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 빔 페어링 절차(beam pairing procedure)
한편, 밀리미터파(milimeter wave, mmWave) 기반의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단말 간의 통신은 빔포밍 방식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빔포밍 방식에 기초한 통신을 위해 빔 페어링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은 통신 시스템에서 빔 페어링 절차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제1 기지국(610-1), 단말(6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의 통신 시스템은 도 6의 통신 시스템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제1 기지국(610-1)은 도 6의 제1 기지국(610-1)일 수 있고, 도 10의 단말(620)은 도 6의 단말(620)일 수 있다. 제1 기지국(610-1) 및 단말(620)은 도 2에 도시된 통신 노드(20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지국(610-1) 및 단말(620)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610-1)은 빔 페어링 절차를 위해 사용되는 공통 자원을 설정할 수 있다(S1001). 공통 자원은 하향링크 빔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이하, "하향링크 빔 자원"이라 함) 및 상향링크 빔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이하, "상향링크 빔 자원"이라 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610-1)은 도 7의 공통 자원#1을 하향링크 빔 자원으로 설정할 수 있고, 도 7의 공통 자원#2를 상향링크 빔 자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하향링크 빔 자원은 "하향링크 버스트 자원"으로 지칭될 수 있고, 상향링크 빔 자원은 "상향링크 버스트 자원"으로 지칭될 수 있다. 버스트는 LTE 기반의 통신 시스템에서 PRB(physical resource block)에 대응할 수 있고, 물리 계층에서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의 전송을 위해 점유되는 시간-주파수 자원들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버스트는 빔포밍을 위해 사용되는 자원 영역을 지시할 수 있다.
제1 기지국(610-1)은 공통 자원의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공통 자원의 설정 정보는 하향링크 빔 자원의 할당 패턴(예를 들어, 할당된 주파수 자원, 할당된 시간 자원, 할당 주기 등) 및 상향링크 빔 자원의 할당 패턴(예를 들어, 할당된 주파수 자원, 할당된 시간 자원, 할당 주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통 자원의 설정 정보는 상향링크 빔 자원의 할당 패턴 대신에 하향링크 빔 자원과 상향링크 빔 자원 간의 매핑 관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매핑 관계 정보는 하향링크 빔 자원과 상향링크 빔 자원 간의 주파수 오프셋, 시간 오프셋, 할당 주기 오프셋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매핑 관계 정보는 하향링크(또는 상향링크) 빔 자원 의 할당 정보가 상향링크(또는 하향링크) 빔 자원의 할당 정보에 대응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매핑 규칙에 따라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빔 자원의 할당 정보는 주파수 축에서 서브캐리어 인덱스, 시간 축의 구성 단위(예를 들어, 라디오 프레임, 서브프레임, 심볼 등)의 인덱스, 빔포빙 기법에 의한 빔 인덱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620)이 빔 페어링을 위하여 수신한 하향링크 빔의 자원에 대하여 송신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상향링크 빔의 자원은 매핑 관계에 따라 특정한 상향링크 빔의 자원으로 한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기지국(610-1)은 단말(620)로부터 수신된 상향링크 빔의 자원만을 사용하여 해당 빔 페어링을 위하여 단말(620)이 수신한 하향링크 빔의 자원(예를 들어, 제1 기지국(610-1)이 송신한 빔의 자원)에 대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제1 기지국(610-1)은 시스템 정보의 전송 절차 또는 별도의 제어 정보의 시그널링 절차를 통해 공통 자원의 설정 정보를 단말(620)에 알려줄 수 있다(S1002). 단말(620)은 제1 기지국(610-1)으로부터 공통 자원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공통 자원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빔 자원 및 상향링크 빔 자원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기지국(610-1)은 하향링크 빔 자원(예를 들어, 도 7의 공통 자원#1)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빔을 전송할 수 있다(S1003). 예를 들어, 제1 기지국(610-1)은 도 7의 라디오 프레임#0에 포함된 서브프레임#0의 공통 자원#1을 통해 하향링크 빔#0을 전송할 수 있고, 도 7의 라디오 프레임#0에 포함된 서브프레임#5의 공통 자원#1을 통해 하향링크 빔#1을 전송할 수 있고, 도 7의 라디오 프레임#1에 포함된 서브프레임#0의 공통 자원#1을 통해 하향링크 빔#2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하향링크 빔의 전송은 하향링크 버스트 전송 또는 하향링크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을 지시할 수 있다.
단말(620)은 하향링크 빔 자원에 대한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1 기지국(610-1)의 하향링크 빔들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하향링크 빔들에 기초하여 제1 기지국(610-1)의 전송 빔을 결정할 수 있다(S1004). 예를 들어, 단말(620)은 하향링크 빔들 중에서 가장 큰 수신 신호 세기를 가지는 하향링크 빔을 제1 기지국(610-1)의 전송 빔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기지국(610-1)의 전송 빔이 결정된 경우, 단말(620)은 응답 메시지를 제1 기지국(610-1)에 전송할 수 있다(S1005). 응답 메시지는 단계 S1004에서 결정된 제1 기지국(610-1)의 전송 빔의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응답 메시지는 스케쥴링 요청을 위한 메시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포함하는 메시지 등일 수 있다. 제1 기지국(610-1)의 전송 빔(예를 들어, 하향링크 빔의 자원)과 단말(620)의 전송 빔(예를 들어, 상향링크 빔의 자원) 간에 매핑 관계가 설정된 경우, 단계 S1004의 응답 메시지는 제1 기지국(610-1)의 전송 빔의 인덱스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기지국(610-1)의 전송 빔의 인덱스 대신에 매핑 관계에 따라 선택된 랜덤 액세스 프리엠블 또는 상향링크 빔의 자원 정보가 응답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제1 기지국(610-1)은 단말(620)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1 기지국(610-1)의 전송 빔을 확인할 수 있다. 응답 메시지의 송수신 절차가 완료된 경우, 제1 기지국(610-1)의 전송 빔의 결정 절차가 종료될 수 있다.
한편, 단말(620)의 전송 빔의 결정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단말(620)의 전송 빔의 결정 절차는 제1 기지국(610-1)의 전송 빔의 결정 절차의 종료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단말(620)의 전송 빔의 결정 절차는 제1 기지국(610-1)의 전송 빔의 결정 절차와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다.
단말(620)은 상향링크 빔 자원(예를 들어, 도 7의 공통 자원#2)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빔을 전송할 수 있다(S1006). 예를 들어, 단말(620)은 도 7의 라디오 프레임#0의 공통 자원#2를 통해 상향링크 빔#0을 전송할 수 있고, 도 7의 라디오 프레임#2의 공통 자원#2를 통해 상향링크 빔#1을 전송할 수 있고, 도 7의 라디오 프레임#4의 공통 자원#2를 통해 상향링크 빔#2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향링크 빔의 전송은 상향링크 버스트 전송 또는 상향링크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을 지시할 수 있다.
단말(620)과 제1 기지국(610-1) 간의 초기 접속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 단말(620)은 상향링크 빔 자원을 통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620)은 하나의 프리앰블 시퀀스를 n번 반복 전송함으로써 상향링크 버스트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단말(620)은 n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은 한 번씩 전송함으로써 상향링크 버스트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n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은 단말(620)의 식별자(예를 들어, UE ID), 하향링크 빔 자원의 인덱스(예를 들어, 슬롯 인덱스, 미니-슬롯 인덱스, 심볼 인덱스 등), 또는 상향링크 빔 자원의 인덱스(예를 들어, 슬롯 인덱스, 미니-슬롯 인덱스, 심볼 인덱스 등)의 함수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n은 2 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단말(620)과 제1 기지국(610-1) 간의 연결 확립 절차가 완료된 경우, 단말(620)은 상향링크 빔 자원을 통해 SRS(sounding reference signal)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기지국(610-1)은 상향링크 빔 자원에 대한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단말(620)의 상향링크 빔들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상향링크 빔들에 기초하여 단말(620)의 전송 빔을 결정할 수 있다(S1007). 예를 들어, 제1 기지국(610-1)은 상향링크 빔들 중에서 가장 큰 수신 신호 세기를 가지는 상향링크 빔을 단말(620)의 전송 빔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말(620)의 전송 빔이 결정된 경우, 제1 기지국(610-1)은 단계 S1007에서 결정된 단말(620)의 전송 빔의 인덱스를 단말(620)에 알려줄 수 있다. 다만, 앞서 설명된 제1 기지국(610-1)의 전송 빔(예를 들어, 하향링크 빔 자원)과 단말(620)의 전송 빔(예를 들어, 상향링크 빔 자원) 간에 매핑 관계에 의하여 단말(620)의 전송 빔이 결정되는 경우, 제1 기지국(610-1)이 단말(620)의 전송 빔의 인덱스를 알려주는 절차는 생략될 수 있다. 제1 기지국(610-1)의 전송 빔과 단말(620)의 전송 빔이 결정된 경우, 제1 기지국(610-1) 및 단말(620) 각각은 전송 빔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 단말의 상태에 따른 랜덤 액세스 절차
한편, 랜덤 액세스 절차는 초기 접속(initial access)을 위한 랜덤 액세스 절차(이하, "초기 랜덤 액세스 절차"라 함)와 비초기 접속(non-initial access)을 위한 랜덤 액세스 절차(이하, "비초기 랜덤 액세스 절차"라 함)로 분류될 수 있다. 초기 랜덤 액세스 절차는 컨텍스트(context)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컨텍스트 정보는 RRC 컨텍스트 정보, AS(access stratum) 설정 정보 등일 수 있다. 컨텍스트 정보는 단말에 대한 RRC 설정 정보, 암호화(security) 설정 정보,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정보(예를 들어, ROHC(robust header compression) 모드에 따른 PDCP 정보), 단말의 식별자(예를 들어,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기지국의 식별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초기 랜덤 액세스 절차는 송신 데이터(또는, 수신 데이터)의 도래(arrival)에 따른 통신 절차, 연결 재시작(resume) 절차, 자원 할당 요청 절차, 단말 기반의 전송 요청 절차, 무선 링크 실패(radio link failure) 이후의 링크 재설정 요청 절차, 이동성 지원 절차(예를 들어, 핸드오버(handover) 절차),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의 추가/변경 절차, 액티브 빔(active beam)의 추가/변경 절차, 동기 획득을 위한 접속 요청 절차 등을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초기 랜덤 액세스 절차 또는 비초기 랜덤 액세스 절차는 단말의 동작 상태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단말의 동작 상태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도 11은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은 RRC_아이들(idle) 상태, RRC_커넥티드 상태 또는 RRC_인액티브(inactive)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RAN_커넥티드(radio access network_connected) 상태는 RRC_커넥티트 상태 및 RRC_인액티브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RAN_커넥티드 상태에서 기지국과 단말은 컨텍스트 정보, 또는 연결 설정 정보 등을 저장/관리할 수 있다. 즉, RAN_커넥티드 상태는 네트워크와 단말 간에 컨텍스트 정보 또는 연결 설정 정보 등을 저장/관리하는 점에서 커넥티드 상태이며, RRC 연결 관점의 커넥티드 상태와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RC 연결 관점의 커넥티드 상태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가 설정/유지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RRC_커넥티드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을 위해, 연결 설정 유지 및 데이터의 송수신 절차를 위해 사용되는 제어 채널, 참조 신호 등이 설정될 수 있다. 참조 신호는 데이터의 복조를 위해 사용되는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채널 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SRS, 빔포밍을 위해 사용되는 참조 신호 등일 수 있다. 따라서 RRC_커넥티드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은 별도의 지연 없이 데이터의 송수신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RRC_인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을 위한 컨텍스트 정보, 연결 설정 정보 등은 기지국과 해당 단말에서 저장/관리될 수 있다. 다만, RRC_인액티브 상태에서 단말은 RRC_아이들 상태와 유사하게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무선 베어러가 해제되었거나 데이터 무선 베어러의 설정이 중지되었기 때문에, RRC_인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은 데이터의 송수신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비초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비초기 랜덤 액세스 절차가 완료된 경우, 단말의 동작 상태는 RRC_인액티브 상태에서 RRC_커넥티드 상태로 천이될 수 있고, RRC_커넥티드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은 설정된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RRC_인액티브 상태의 단말은 제한된 크기의 데이터, 제한된 서비스 품질에 따른 데이터, 제한된 서비스에 따른 데이터 등을 전송할 수 있다.
RRC_아이들 상태에서, 기지국과 단말 간의 연결이 설정되지 않을 수 있고,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 연결 설정 정보 등은 기지국과 해당 단말에 저장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RRC_아이들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은 초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의 동작 상태는 RRC_아이들 상태에서 RRC_커넥티드 상태로 천이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의 제어에 따라 단말의 동작 상태는 RRC_아이들 상태에서 RRC_인액티브 상태로 천이될 수 있고, RRC_인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을 위해 제한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별도로 규정된 랜덤 액세스 절차에 의해 단말의 동작 상태가 RRC_아이들 상태에서 RRC_인액티브 상태로 천이될 수 있다. RRC_아이들 상태에서 RRC_인액티브 상태로의 천이 동작의 수행 여부는 단말의 종류(type), 단말의 캐퍼빌러티(capability), 서비스의 종류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기지국(또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 개체)은 RRC_아이들 상태에서 RRC_인액티브 상태로의 천이 조건을 설정할 수 있고, 천이 조건에 따라 RRC_아이들 상태에서 RRC_인액티브 상태로의 천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또는, 통신 시스템의 제어 개체)이 RRC_아이들 상태에서 RRC_인액티브 상태로의 천이 동작을 허용한 경우, 단말의 동작 상태는 RRC_아이들 상태에서 RRC_인액티브 상태로 천이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자원은 셀-특정(cell-specific) 자원일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공통 자원이 복수의 셀들(예를 들어, 복수의 기지국들)에서 설정되는 경우, 공통 자원을 식별하기 위해 특정 지역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자 또는 가상 셀 식별자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공통 자원은 가상 셀 식별자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가상 셀 식별자가 하향링크 식별자와 상향링크 식별자를 포함하는 경우, 공통 자원 중에서 하향링크 자원은 하향링크 식별자에 의해 식별될 수 있고, 공통 자원 중에서 상향링크 자원은 상향링크 식별자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하향링크 자원과 상향링크 자원이 항상 존재할 수 있다. 반면, 통신 시스템에서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하향링크 자원 및 상향링크 자원은 기지국마다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TDD 기반의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기지국들이 동일한 UL-DL(uplink-downlink) 설정(configuration)을 사용하는 경우, 복수의 기지국들을 위한 공통 자원은 설정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 집합(예를 들어, 공통 자원을 공유하는 기지국 집합)에 속한 임의의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자원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간 축에서 공통 자원의 위치는 기지국 집합에 속한 모든 기지국들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자원들(예를 들어, 하향링크 자원들, 상향링크 자원들) 내에 속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통 자원이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 기지국 집합에 속한 모든 기지국들에서 하향링크 자원(예를 들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된 자원이 공통 자원으로 설정될 수 있다. 공통 자원이 상향링크 전송 또는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 기지국 집합에 속한 모든 기지국들에서 상향링크 자원(예를 들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된 자원이 공통 자원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NR(new radio) 통신 시스템에서 FDD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하향링크 자원과 상향링크 자원이 항상 존재할 수 있다. 반면, NR 통신 시스템에서 TDD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하향링크 자원 및 상향링크 자원은 기지국마다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R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dynamic) TDD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기지국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또는, 하향링크 슬롯)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또는, 상향링크 슬롯) 각각의 위치는 다른 기지국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또는, 하향링크 슬롯)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또는, 상향링크 슬롯)의 위치와 다를 수 있다.
공통 자원을 공유하는 복수의 기지국들 중에서 일부 기지국은 동적 TDD 방식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고, 나머지 기지국은 준정적(semi-static) TDD 방식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는, 공통 자원을 공유하는 모든 기지국들은 동적 TDD 방식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NR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TDD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시간 축에서 특정 영역에 위치한 자원의 종류는 하향링크 자원 또는 상향링크 자원으로 고정될 수 있고, 하향링크 자원 또는 상향링크 자원으로 고정된 자원은 공통 자원으로 설정될 수 있다. 고정된 자원의 패턴은 주기 및 오프셋에 기초하여 지시될 수 있다. 기지국은 고정된 자원의 패턴을 지시하는 주기 및 오프셋을 시스템 정보의 전송 절차 또는 별도의 제어 정보의 시그널링 절차를 통해 단말에 알려줄 수 있고,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획득된 주기 및 오프셋에 기초하여 고정된 자원의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된 자원은 RRM 측정 자원,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자원(예를 들어,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등일 수 있다. 기지국은 RRM 측정을 위해 하향링크 자원(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슬롯, 미니-슬롯)을 미리 설정된 주기(예를 들어, 40ms)에 따라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하향링크 자원을 사용하여 RRM RS(reference signal)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상향링크 자원(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슬롯, 미니-슬롯)을 미리 설정된 주기(예를 들어, 2ms)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 하향링크 전송 요청 절차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들에 기초한 하향링크 전송 요청 절차가 설명될 것이다. 하향링크 전송 요청 절차에서, 단말은 필요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고, 기지국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필요한 정보는 펌웨어(firmware)(예를 들어, 단말을 위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정보), 단말의 동작(예를 들어, 서비스)을 위해 요구되는 정보 등일 수 있다. 또한, 필요한 정보는 브로드캐스팅(broadcast) 방식으로 전송되는 공통 정보(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뿐만 아니라 시그널링 정보(예를 들어, 전용 제어 메시지(dedicated control message))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한 정보는 아래 표 1과 같을 수 있다.
Figure pat00001
도 12는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전송 요청 절차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제1 기지국(610-1), 단말(6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의 통신 시스템은 도 6의 통신 시스템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의 제1 기지국(610-1)은 도 6의 제1 기지국(610-1)일 수 있고, 도 12의 단말(620)은 도 6의 단말(620)일 수 있다. 제1 기지국(610-1) 및 단말(620)은 도 2에 도시된 통신 노드(20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기지국(610-1)은 공통 자원을 통해 공통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201). 단계 S1201은 도 9의 단계 S904와 동일할 수 있다. 공통 정보는 시스템 정보, 제어 정보, 물리 채널 설정/할당 정보, 참조 신호 설정/할당 정보, 자원 할당 정보, 공통 정보가 적용되는 서비스 영역을 지시하는 SA 식별자, 공통 정보가 유효하게 사용되는 시간을 지시하는 구간 지시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원 할당 정보는 제어 채널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 스케쥴링 요청 절차(예를 들어, 자원 요청 절차)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 하향링크 전송 요청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예를 들어, 하향링크 전송 요청 절차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 D2D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620)은 제1 기지국(610-1)으로부터 공통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공통 정보에 포함된 하향링크 전송 요청 절차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하향링크 전송 요청 절차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는 주파수 자원을 지시하는 파라미터, 시간 자원을 지시하는 파라미터, 자원 호핑 패턴, 빔포밍 관련 정보, 코드 시퀀스(예를 들어, 비트 시퀀스, 신호 시퀀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원 할당 정보는 표 1에 기재된 정보 요소별로 서로 다른 자원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의 정보 요소#1은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코드 시퀀스#1에 매핑될 수 있고, 표 1의 정보 요소#2는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코드 시퀀스#2에 매핑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요소#1이 필요한 경우, 단말(620)은 코드 시퀀스#1을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제1 기지국(610-1)에 전송할 수 있고, 제1 기지국(610-1)은 단말(620)로부터 코드 시퀀스#1이 수신된 경우에 코드 시퀀스#1에 대응하는 정보 요소#1을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단말(62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코드 시퀀스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사용되는 프리앰블 시퀀스일 수 있다.
또한, 표 1의 정보 요소#3은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시간-주파수 자원#1에 매핑될 수 있고, 표 1의 정보 요소#4는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시간-주파수 자원#2에 매핑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요소#3이 필요한 경우, 단말(620)은 시간-주파수 자원#1을 사용하여 요청 메시지를 제1 기지국(610-1)에 전송할 수 있고, 제1 기지국(610-1)은 요청 메시지가 시간-주파수 자원#1을 통해 수신된 경우에 시간 및 주파수 자원#1에 대응하는 정보 요소#3을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단말(62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주파수 자원은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사용되는 자원일 수 있다. 표 1의 정보 요소와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 간의 매핑 관계는 공통 정보의 전송 절차, 시스템 정보의 전송 절차, 제어 정보의 시그널링 절차 등을 통해 제1 기지국(610-1)에서 단말(620)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단말(620)은 공통 정보에 포함된 자원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필요한 정보(예를 들어, 표 1에 기재된 정보 요소)에 매핑되는 자원을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자원을 사용하여 요청 메시지를 제1 기지국(610-1)에 전송할 수 있다(S1201). 요청 메시지는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공통 자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요소#2가 필요한 경우에 단말(620)은 코드 시퀀스#2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제1 기지국(610-1)에 전송할 수 있고, 정보 요소#4가 필요한 경우에 단말(620)은 시간-주파수 자원#2를 사용하여 요청 메시지를 제1 기지국(610-1)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요청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사용되는 메시지(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일 수 있다.
또는, 요청 메시지는 물리 계층 제어 채널 또는 MAC 계층 이상의 제어 채널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특정 필드의 값과 표 1에 기재된 정보 요소가 매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00"으로 설정된 특정 필드는 표 1의 정보 요소#5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고, "101"로 설정된 특정 필드는 표 1의 정보 요소#6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표 1에 기재된 정보 요소와 특정 필드의 값 간의 매핑 관계는 공통 정보의 전송 절차, 시스템 정보의 전송 절차, 제어 정보의 시그널링 절차 등을 통해 제1 기지국(610-1)에서 단말(620)로 전송될 수 있다.
제1 기지국(610-1)은 단말(620)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단말(620)로 전송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 메시지가 코드 시퀀스#2를 포함하는 경우, 제1 기지국(610-1)은 코드 시퀀스#2에 대응하는 표 1의 정보 요소#2의 전송이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요청 메시지가 시간-주파수 자원#2를 통해 수신된 경우, 제1 기지국(610-1)은 시간-주파수 자원#2에 대응하는 표 1의 정보 요소#4의 전송이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요청 메시지의 특정 필드가 "100"으로 설정된 경우, 제1 기지국(610-1)은 "100"으로 설정된 특정 필드에 대응하는 표 1의 정보 요소#5의 전송이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610-1)은 전송이 요구되는 정보 요소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고, 응답 메시지를 단말(620)에 전송할 수 있다(S1203). 응답 메시지는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공통 자원 또는 각 기지국(예를 들어, 제1 기지국(610-1))의 하향링크 무선 자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단말(620)은 제1 기지국(610-1)으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요소를 확인할 수 있다.
■ 랜덤 액세스 절차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들에 기초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설명될 것이다.
도 13은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제1 기지국(610-1), 제2 기지국(610-2), 단말(6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의 통신 시스템은 도 6의 통신 시스템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의 제1 기지국(610-1)은 도 6의 제1 기지국(610-1)일 수 있고, 도 13의 제2 기지국(610-2)은 도 6의 제2 기지국(610-2)일 수 있고, 도 13의 단말(620)은 도 6의 단말(620)일 수 있다. 제1 기지국(610-1), 제2 기지국(610-2) 및 단말(620)은 도 2에 도시된 통신 노드(20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기지국(610-1)은 공통 자원을 통해 공통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301). 단계 S1301은 도 9의 단계 S904와 동일할 수 있다. 공통 정보는 복수의 기지국들(예를 들어, 제1 기지국(610-1), 제2 기지국(610-2))에서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공통 정보는 시스템 정보, 제어 정보, 물리 채널 설정/할당 정보, 참조 신호 설정/할당 정보, 자원 할당 정보, 공통 정보가 적용되는 서비스 영역을 지시하는 SA 식별자, 공통 정보가 유효하게 사용되는 시간을 지시하는 구간 지시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원 할당 정보는 제어 채널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 스케쥴링 요청 절차(예를 들어, 자원 요청 절차)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 하향링크 전송 요청 절차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 D2D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원 할당 정보는 주파수 자원을 지시하는 파라미터(예를 들어, 기준 값, 오프셋), 시간 자원을 지시하는 파라미터(예를 들어, 기준 값, 오프셋), 자원 호핑 패턴, 빔포밍 관련 정보, 코드 시퀀스(예를 들어, 비트 시퀀스, 신호 시퀀스), 비활성화된 무선 자원 영역(또는, 구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620)은 제1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에 속할 수 있고, 단말(620)과 제1 기지국(610-1) 간의 연결 확립 절차가 완료된 상태일 수 있다. 단말(620)은 제1 기지국(610-1)으로부터 공통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공통 정보에 포함된 랜덤 액세스 절차(또는, 하향링크 전송 요청 절차)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절차(또는, 하향링크 전송 요청 절차)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는 주파수 자원을 지시하는 파라미터, 시간 자원을 지시하는 파라미터, 자원 호핑 패턴, 빔포밍 관련 정보, 코드 시퀀스(예를 들어, 비트 시퀀스, 신호 시퀀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기지국(610-1)은 빔 스위핑(beam sweeping) 방식(예를 들어, 하향링크 버스트 전송 방식)에 기초하여 공통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공통 정보는 제1 기지국(610-1)의 복수의 가상 섹터들에서 TDM(time division multiplex)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지국(610-1)은 가상 섹터별로 방송 정보(예를 들어, 하향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을 위한 자원과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자원 간의 매핑 관계)를 설정할 수 있고, 빔 스위핑 방식에 기초하여 공통 자원을 통해 방송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고려하면, 제1 기지국(610-1)의 가상 섹터들에서 동일한 매핑 관계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기지국(610-1)은 하향링크 버스트 전송 방식에 기초하여 동일한 방송 정보를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고, 단말(620)은 제1 기지국(610-1)으로부터 방송 정보를 한 번만 수신한 경우에도 제1 기지국(610-1)의 방송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620)이 제1 기지국(610-1)의 셀 커버리지에서 제2 기지국(610-2)의 셀 커버리지로 이동한 경우, 단말(620)은 제1 기지국(610-1)으로부터 획득된 공통 정보(예를 들어, 방송 정보)를 사용하여 제2 기지국(610-2)과 통신(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절차, 하향링크 전송 요청 절차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620)은 제2 기지국(610-2)으로부터 공통 정보를 획득하는 절차의 수행 없이 제2 기지국(610-2)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단말(620)은 제2 기지국(610-2)으로부터 부분적인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추가 시스템 정보, 다른 시스템 정보)를 획득한 후에 제2 기지국(610-2)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620)은 제1 기지국(610-1)으로부터 획득된 공통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사용하여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또는, 하향링크 전송 요청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에 도 12의 단계 S1202에서 요청 메시지)을 제2 기지국(610-2)에 전송할 수 있다(S1302). 제2 기지국(610-2)은 단말(620)로부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또는, 도 12의 단계 S1202에서 요청 메시지)을 수신할 수 있고,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 메시지(또는, 도 12의 단계 S1203에서 응답 메시지(즉, 단말(620)에 의해 요구되는 정보(예를 들어, 표 1의 정보 요소)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단말(620)에 전송할 수 있다(S1303). 단말(620)은 제2 기지국(610-2)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 메시지(또는, 도 12의 단계 S1203에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303에서 수신된 응답 메시지는 단계 S1305의 시그널링 메시지를 위한 스케쥴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케쥴링 정보는 단계 S1305의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지국(예를 들어, 제2 기지국(610-2))의 식별자, 빔 인덱스, 스케쥴링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지시자, 자원 할당 정보,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정보, 피드백 메시지(예를 들어, ACK(acknowledgement) 메시지, NACK(negative ACK)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원 할당 정보는 주파수 자원을 지시하는 파라미터, 시간 자원을 지시하는 파라미터, 송수신 시간 관련 정보(예를 들어, 주기, 구간, 윈도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기지국들은 단말(620)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수신할 수 있고, 이 경우에 복수의 기지국들 각각은 랜덤 액세스 응답을 단말(62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랜덤 액세스 응답은 기지국의 식별자(예를 들어, 셀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로부터 랜덤 액세스 응답들이 수신된 경우, 단말(620)은 복수의 기지국들 중에서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하나의 기지국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조건은 단계 S1303의 랜덤 액세스 응답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단말(620)은 복수의 기지국들 중에서 임의로 하나의 기지국을 선택할 수 있다. 단말(620)은 선택된 기지국과 단계 S1304 및 단계 S1305를 수행할 수 있다.
하향링크 전송 요청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 단계 S1303의 응답 메시지는 필수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MIB(master information block)),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SIB1(system information block 1))의 스케쥴링 정보, 해당 기지국의 물리 계층 채널의 설정 정보(예를 들어, SIB2), 특정 기능(예를 들어, MBMS, D2D 통신,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IoT, 차량 통신(예를 들어, V2X(vehicle to everything)), 재난/재해 및 사회 안전망을 위한 경보, 위치 정보 및 공통 시간의 전송, 다른 RAT 시스템과의 연동 등)을 위한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된 시스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지국(610-2)으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단말(620)은 단말(620)의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메시지를 제2 기지국(610-2)에 전송할 수 있다(S1304). 단말(620)의 정보는 식별자, 캐퍼빌러티, 속성, 이동 상태,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304의 시그널링 메시지는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단계 S1304의 시그널링 메시지는 도 12의 단계 S1202의 요청 메시지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단계 S1302만으로 단말(620)에 의해 요청된 정보 요소(예를 들어, 표 1의 정보 요소)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단계 S1304의 시그널링 메시지는 전송될 수 있다. 즉, 단계 S1302만으로 단말(620)에 의해 요청된 필요한 정보 요소가 인지된 경우, 단계 S1304는 생략될 수 있다. 단계 S1304가 수행된 경우,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는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한 제2 기지국(610-2)은 단말(620)에 의해 요구되는 정보(예를 들어, 표 1의 정보 요소)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고, 시그널링 메시지를 단말(620)에 전송할 수 있다(S1305). 단말(620)은 제2 기지국(610-2)으로부터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시그널링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 S1305는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필요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단말(620)은 단계 S1305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단말(620)은 제2 기지국(610-2) 대신에 제3 기지국(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제3 기지국(610-3))과 단계 S1304 및 단계 S1305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기지국(610-3)에 의해 지원되는 RAT(예를 들어, 시스템 대역폭, 전송 캐리어, 프로토콜 계층의 설정)는 제1 기지국(610-1) 또는 제2 기지국(610-2)에 의해 지원되는 RAT(예를 들어, 시스템 대역폭, 전송 캐리어, 프로토콜 계층의 설정)와 다를 수 있다. 단계 S1301의 공통 정보는 기지국들(610-1, 610-2, 610-3)에서 공유될 수 있고, 공통 정보는 단말(620)과 기지국들(610-1, 610-2, 610-3) 간의 랜덤 액세스 절차, 필요한 정보의 요청 절차(예를 들어, 하향링크 전송 요청 절차)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1304에서 단말(620)은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는 시그널링 메시지를 제3 기지국(610-3)에 전송할 수 있고, 제3 기지국(610-3)은 단말(620)로부터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305에서 제3 기지국(610-3)은 단말(620)에 의해 요구되는 정보(예를 들어, 표 1의 정보 요소)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고, 시그널링 메시지를 단말(620)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620)은 제3 기지국(610-3)으로부터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시그널링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단말(620)과 기지국들(610-1, 610-2, 610-3) 간의 송수신 절차에서 기지국들(610-1, 610-2, 610-3)의 물리 계층 동기가 고려될 수 있다. 제1 기지국(610-1)과 제2 기지국(610-2)이 TDD 방식으로 동작하는 경우, 제1 기지국(610-1)은 제2 기지국(610-2)에 동기된 것으로 가정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기지국(610-1)과 제2 기지국(610-2)이 FDD 방식으로 동작하는 경우, 제1 기지국(610-1)은 제2 기지국(610-2)에 동기되지 않은 것으로 가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기지국(610-1)과 제2 기지국(610-2) 간에 공통 자원이 설정된 경우에도, 시간 축에서 제1 기지국(610-1)의 공통 자원의 위치는 시간 축에서 제2 기지국(610-2)의 공통 자원의 위치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통 자원을 사용하여 랜덤 액세스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 단말(620)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제1 기지국(610-1)에 전송하는 시점은 단말(620)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제2 기지국(610-2)에 전송하는 시점과 다를 수 있다. 즉, 제1 기지국(610-1)을 위한 랜덤 액세스 절차는 제1 기지국(610-1)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경계(boundary)에 따라 수행되고, 제2 기지국(610-2)을 위한 랜덤 액세스 절차는 제2 기지국(610-2)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경계에 따라 수행되기 때문에, 제1 기지국(610-1)을 위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전송 시점은 제2 기지국(610-2)을 위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전송 시점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제1 기지국(610-1)으로부터 공통 자원의 설정 정보를 획득한 단말(620)은 제2 기지국(610-2)과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제2 기지국(610-2)의 상향링크 동기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기지국(610-2)의 상향링크 동기가 획득된 후, 단말(620)은 제1 기지국(610-1)으로부터 획득된 공통 자원의 설정 정보를 사용하여 제2 기지국(610-2)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자원(예를 들어, PRACH)을 추정할 수 있고, 추정된 자원을 통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제2 기지국(610-2)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말(620)은 공통 자원을 사용하여 공통 자원을 공유하는 모든 기지국들(예를 들어, 제1 기지국(610-1), 제2 기지국(610-2), 제3 기지국(610-3))과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할 타겟 기지국(예를 들어, 제2 기지국(610-2))을 결정하기 위해 RRM 측정 절차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단말(620)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송신 전력의 결정 및 전력 램핑(ramping)을 위해 제2 기지국(610-2)의 참조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620)은 제2 기지국(610-2)의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경로 손실을 추정할 수 있고, 추정된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위한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620)은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하기 위해 타겟 기지국(예를 들어, 제2 기지국(610-2))의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기지국(610-2)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620)은 제2 기지국(610-2)의 하향링크 동기 정보뿐만 아니라 제어 정보의 복조를 위해 필요한 정보(예를 들어, 시스템 대역폭, PHICH(physical hybrid-ARQ(automatic repeat request) indicator channel) 자원 설정 정보, SFN,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포트 설정 정보 등)를 미리 획득할 수 있다. LTE 기반의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620)은 MIB를 통해 제어 정보의 복조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NR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620)은 MIB 또는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최소 시스템 정보, 필수 시스템 정보)를 통해 제어 정보의 복조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정보의 복조를 위해 필요한 정보는 다른 시스템 정보의 스케줄링 정보, 다중 무선 프레임의 구성 정보, 설정 대역폭(bandwidth)의 서브케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의 구성 정보, 심볼(symbol) 구성에 따른 주파수(또는, 시간) 축상의 물리 계층 제어 채널 할당(또는, 설정) 파라미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는 복수의 기지국들(예를 들어, 복수의 셀들)에서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단말(620)은 공통 정보에 포함된 SA 식별자, 시스템 정보의 유효성을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공통 정보가 유효하게 사용되는 시간을 지시하는 구간 지시자, 태그, 시스템 정보의 변경을 예고하는 정보)등에 기초하여 랜덤 액세스 절차(또는, 셀 선택 절차, 셀 재선택 절차)에서 사용될 공통 정보(예를 들어, 이미 획득된 공통 정보, 새롭게 획득될 공통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 온디멘드(on-demand) 방식에 기초한 시스템 정보의 전송 절차
다음으로, 온디멘드 방식에 기초한 시스템 정보의 전송 절차가 설명될 것이다. 온디멘드 방식에 기초한 시스템 정보의 전송 절차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추가 시스템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추가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수행되는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식별자 및 무선 자원은 별도로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추가 시스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단말에 의해 요구되는 추가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을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할 수 있고, 랜덤 액세스 응답에 포함된 추가 시스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시스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태그(tag)가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가 수신된 경우, 단말은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태그를 확인할 수 있다. 태그가 1개의 추가 시스템 정보가 필요한 것을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1개의 추가 시스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로부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기지국은 1개의 추가 시스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1개의 추가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1개의 추가 시스템 정보가 획득된 경우에 시스템 정보의 전송 절차가 종료될 수 있다.
또는, 태그가 2개의 추가 시스템 정보가 필요한 것을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2개의 추가 시스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요청 메시지는 2개의 추가 시스템 정보 각각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로부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기지국은 2개의 추가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자들에 의해 지시되는 2개의 추가 시스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2개의 추가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2개의 추가 시스템 정보가 획득된 경우에 시스템 정보의 전송 절차가 종료될 수 있다.
한편, 시스템 정보가 변경(예를 들어, 업데이트)된 경우,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가 변경된 것을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시스템 정보가 변경된 것을 지시하는 정보는 비트맵(bitmap) 또는 태그(예를 들어, SIB 단위의 태그)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시스템 정보가 복수의 시스템 정보 블록(SIB)들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SIB 단위로 비트맵의 비트가 설정될 수 있고, 각각의 SIB 단위로 SIB 태그 값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비트맵의 비트 또는 SIB 태그 값은 매핑되는 해당 시스템 정보 블록(SIB)의 유효성 여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맵 내에서 0으로 설정된 특정 비트는 특정 비트에 대응하는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지 않은 것을 지시할 수 있고, 비트맵 내에서 1로 설정된 특정 비트는 특정 비트에 대응하는 시스템 정보가 변경된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획득된 비트맵 또는 태그에 기초하여 변경된 시스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현재 비트맵(또는, 태그)과 이전 비트맵(또는, 태그)을 비교함으로써 변경된 시스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가 최소(minimum) 시스템 정보 및 다른(other) 시스템 정보로 분류되는 경우, 기지국은 최소 시스템 정보 및 다른 시스템 정보 각각의 변경 여부를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최소 시스템 정보는 필수(necessary) 시스템 정보, 기본(basic) 시스템 정보 등으로 지칭될 수 있고, 다른 시스템 정보는 추가(additional) 시스템 정보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최소 시스템 정보는 SIB를 통해 전송되는 공통 제어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시스템 정보는 전체 시스템 정보 중에서 최소 시스템 정보를 제외한 시스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최소 시스템 정보는 프라이머리(primary) 최소 시스템 정보 및 세컨더리(secondary) 최소 시스템 정보로 분류될 수 있다. 최소 시스템 정보는 시스템 정보가 변경된 것을 지시하는 태그 및 비트맵을 포함할 수 있다. 세컨더리 최소 시스템 정보는 다른 시스템 정보의 전송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다중 무선 프레임 구성 정보,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의 구성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중 무선 프레임 구성 정보는 해당 셀(또는, 기지국)의 라디오 프레임이 하나 이상의 프레임 포맷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프레임을 구성하는 미니-슬롯, 서브프레임을 위한 설정 파라미터, 서브케리어 스페이싱 및 심볼 설정 파라미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의 구성 정보는 다중 프레임 구성 또는 데이터/제어 정보 전송을 위한 대역폭(bandwidth) 설정 파라미터, 각 대역폭에 할당된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 파라미터(예를 들어, 주파수 또는 시간 축에서 무선 자원 엘리먼트(radio resource element) 설정 정보, 전송 주기, 전송 구간, 데이터/제어 정보의 전송 심볼 구간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라이머리 최소 시스템 정보 및 세컨더리 최소 시스템 정보 각각은 서로 다른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최소 시스템 정보는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를 통해 전송될 수 있고, 세컨더리 최소 시스템 정보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또는 다른 PB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프라이머리 최소 시스템 정보가 전송되는 PBCH의 시간-주파수 자원은 세컨더리 최소 시스템 정보가 전송되는 PBCH의 시간-주파수 자원과 다를 수 있다. PDSCH를 통해 전송되는 세컨더리 최소 시스템 정보는 브로드캐스트 방식,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 또는 유니캐스트(unicast) 방식을 사용하여 특정 빔포밍 단위(예를 들어, 빔포밍 그룹 단위)로 전송될 수 있다. 즉, PDSCH를 통해 전송되는 세컨더리 최소 시스템 정보는 셀 전체에서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세컨더리 최소 시스템 정보가 전송되는 PBCH 또는 PDSCH의 스케쥴링 정보를 위한 식별자(예를 들어, 최소 SI-RNTI(system information-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가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최소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최소 시스템 정보, 세컨더리 최소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시간-주파수 자원에 대한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최소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최소 시스템 정보, 세컨더리 최소 시스템 정보)의 스케쥴링 정보를 위한 식별자(예를 들어, 최소 SI-RNTI)를 탐색할 수 있다.
즉, 프라이머리 최소 시스템 정보가 PBCH로 전송되고, 세컨더리 최소 시스템 정보가 PDSCH로 전송되는 경우, 단말은 최소 SI-RNTI를 모니터링하거나 또는 통신 시스템에서 일정한 주기에 따라 반복 할당된 무선 자원을 통하여 세컨더리 최소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세컨더리 최소 시스템 정보가 전송되는 PDSCH의 무선 자원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는 프라이머리 최소 시스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세컨더리 최소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자원의 구성 정보, 전송 주기, 또는 다중 무선 프레임 구성에 따른 인덱스(또는, 인덱스의 오프셋)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최소 시스템 정보와 다른 시스템 정보 각각이 변경된 것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는 별도의 자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소 시스템 정보가 변경된 것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채널(예를 들어, 채널의 발생 주기)은 다른 시스템 정보가 변경된 것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채널(예를 들어, 채널의 발생 주기)과 다를 수 있다. 또한, 최소 시스템 정보가 변경된 것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의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정보(예를 들어, 스케쥴링 식별자, 스케쥴링 정보 내의 제어 필드 설정 정보) 및 스크램블링 시퀀스 각각은 다른 시스템 정보가 변경된 것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의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정보(예를 들어, 스케쥴링 식별자, 스케쥴링 정보 내의 제어 필드 설정 정보) 및 스크램블링 시퀀스와 다를 수 있다. 최소 시스템 정보가 프라이머리 최소 시스템 정보 및 세컨더리 최소 시스템 정보로 분류되는 경우, 앞서 설명된 방식과 동일하게 프라이머리 최소 시스템 정보와 세컨더리 최소 시스템 정보 각각이 변경된 것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는 별도의 자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시스템 정보가 변경(예를 들어, 업데이트)된 것을 지시하는 정보는 빔포밍 단위(예를 들어, 빔포밍 그룹 단위)로 전송되는 제어 채널(예를 들어, 제어 메시지)을 통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채널(예를 들어, 제어 메시지)은 시스템 정보의 변경을 예고하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가 변경된 것을 지시하는 정보는 비트맵 또는 태그로 표현될 수 있다. 비트맵은 비트 시퀀스로 구성될 수 있고, 비트 시퀀스에 포함된 비트들 각각은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SIB)에 매핑될 수 있다. 비트에 매핑된 시스템 정보의 변경 여부는 해당 비트 값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시스템 정보의 변경을 예고하는 정보는 SIB에 따라 설정될 수 있고, 시스템 정보의 변경 주기(또는, 변경 시점)를 지시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의 변경을 예고하는 정보가 변경 시점을 지시하는 경우, 변경 시점은 HFN(hyper frame number), SFN, 서브프레임 인덱스 등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또는, 변경 시점은 절대적인 시간(예를 들어, 밀리초, 초, 분, 시간 등)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또는, 변경 시점은 타이머(timer)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타이머는 미니-슬롯, 슬롯, 서브프레임, 라디오 프레임, 밀리초, 초, 분, 시간 등의 단위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시스템 정보가 변경된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시스템 정보가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시스템 정보의 변경을 예고하는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시스템 정보가 변경될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변경된 시스템 정보의 획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시스템 정보의 변경 전에 온디멘드 방식에 기초하여 새로운 시스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고, 기지국으로부터 새로운 시스템 정보(즉, 변경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DRX(discontinuous reception) 동작의 수행 전, RRC_커넥티드 상태에서 RRC_아이들 상태로의 천이 동작의 수행 전, 기타 필요한 경우에 시스템 정보가 변경된 것을 확인(또는, 시스템 정보가 변경될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의 변경(또는, 시스템 정보의 변경 예정)이 확인된 경우, 단말은 온디멘드 방식으로 새로운 시스템 정보(즉, 변경된 시스템 정보) 또는 시스템 정보의 변경 전에 필요한 시스템 정보의 전송을 기지국에 요청할 수 있고, 기지국으로부터 새로운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의 변경 전 또는 후에 새로운 시스템 정보를 획득 가능한 시점을 지시하는 타이머가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타이머에 의해 지시되는 시점에 새로운 시스템 정보의 전송을 기지국에 요청할 수 있고, 기지국으로부터 새로운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IoT 단말, MTC 단말 또는 발신 서비스(예를 들어, MO(mobile originated) 서비스)만을 지원하는 단말은 착신 서비스(예를 들어, MT(mobile terminated) 서비스)를 위한 페이징 채널(paging) 채널(이하, "착신 페이징 채널"이라 함)을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페이징 채널을 수신하지 않는 단말(이하, "발신 단말"이라 함)을 위해 시스템 정보가 변경된 것을 지시하는 정보는 페이징 채널 대신에 다른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시스템 정보가 변경된 것을 지시하는 정보의 전송을 위한 페이징 채널(이하, "시스템 페이징 채널"이라 함)은 착신 페이징 채널과 별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페이징 채널을 위한 스케쥴링 정보는 착신 페이징 채널을 위한 스케쥴링 정보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스케쥴링 정보는 시간-주파수 자원, 스케쥴링 식별자, 스케쥴링 정보 내의 제어 필드의 설정 정보 등일 수 있다. 따라서 발신 단말은 착신 페이징 채널 대신에 시스템 페이징 채널에 대한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온디멘드 방식에 기초한 하향링크 전송 요청 절차(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의 전송 요청 절차)는 상향링크 자원(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해 설정된 자원)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말은 하향링크 전송 요청 절차를 트리거링하기 위해 상향링크 신호(예를 들어, 프리앰블 시퀀스, 시그널링 정보, 제어 정보 등)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리앰블 시퀀스는 온디멘드 방식에 기초한 하향링크 전송 요청 절차가 개시되는 것을 지시할 수 있고, 하향링크 전송 요청 절차를 트리거링하는 상향링크 신호는 단말에 의해 선택된 시간-주파수 자원 또는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시간-주파수 자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온디멘드 방식에 기초한 하향링크 전송 요청 절차를 위해 사용되는 프리앰블 시퀀스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단말이 첫 번째로 전송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또는 시스템 정보의 전송 요청 절차를 위해 설정된 프리앰블 시퀀스일 수 있다. 프리앰블 시퀀스는 최소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필수 시스템 정보),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 특정 영역(예를 들어, 빔포밍 단위, 빔포밍 그룹 단위)을 위한 시스템 정보 등의 전송 요청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필수 시스템 정보는 물리 계층 자원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MIB, SIB1, SIB2 등)일 수 있다. 온디멘드 방식에 따라 프리앰블 시퀀스를 사용하여 시스템 정보의 전송이 요청되는 경우, 프리앰블 시퀀스(또는, 해당 프리앰블의 무선 자원 영역의 설정 정보)는 요청되는 시스템 정보와 매핑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즉, 특정 프리앰블 시퀀스(또는, 해당 프리앰블의 무선 자원 영역의 설정 정보, 마스크 정보 등)는 최소 시스템 정보 또는 다른 시스템 정보를 구성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SIB)들 중에서 특정 시스템 정보 블록을 지시하거나 특정 시스템 정보 블록과 매핑 관계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프리앰블의 무선 자원 영역의 설정 정보는 프리앰블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무선 자원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로 대역폭, 서브캐리어(그룹) 등 주파수 축상의 정보, 프레임, 서브프레임, 슬롯, 미니-슬롯, 또는 심볼 등의 시간 축상의 정보, 빔포밍 기법에 의한 빔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필요한 시스템 정보 블록을 고려하여 매핑 관계에 부합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또는 프리앰블 무선 자원 영역(예를 들어, 라디오 프레임, 서브프레임 또는 전송 대역/서브캐리어 인덱스)을 선택함으로써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고, 기지국(또는 셀)은 수신된 프리엠블 시퀀스 또는 프리앰블이 수신된 무선 자원 영역에 대한 정보만을 사용하여 단말에 의해 전송이 요청되는 시스템 정보 블록을 구별할 수 있다.
최소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필수 시스템 정보),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 및 특정 영역(예를 들어, 빔포밍 단위, 빔포밍 그룹 단위)을 위한 시스템 정보를 제외한 시스템 정보는 "다른 시스템 정보"로 지칭될 수 있다. 다른 시스템 정보는 데이터 채널 또는 멀티캐스트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시스템 정보는 온디멘드 방식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다.
온디멘드 방식에 기초한 시스템 정보의 전송 요청 절차에서, 전송이 요청되는 시스템 정보를 지시하는 비트맵이 사용될 수 있고, 전송이 요청되는 시스템 정보의 단위는 SIB 단위 또는 SIB 그룹 단위일 수 있다. 여기서, 비트맵은 비트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고, 비트 시퀀스에 포함된 비트들 각각은 SIB 또는 SIB 그룹에 매핑될 수 있고, 비트 값은 시스템 정보의 전송 요청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로 설정된 특정 비트는 특정 비트에 대응하는 SIB(또는, SIB 그룹)의 전송이 요청되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한편, 최소 시스템 정보의 전송 요청 절차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상향링크 자원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위해 할당된 자원을 사용하여 최소 시스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시스템 정보의 전송 요청 절차는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메시지#3(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응답의 수신 후에 단말이 전송하는 메시지)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상향링크 자원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메시지#3을 위해 할당된 자원을 사용하여 다른 시스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시스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송수신 빔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과 단말 간에 빔포밍 방식에 기초한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 송수신 빔 관련 정보는 기지국의 관점에서 최적의 송수신 빔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피드백 정보(예를 들어, 빔 설정 정보, 빔 인덱스, 빔 측정 결과, 안테나 포트 등), 단말의 송수신 빔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시스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단말로부터 수신된 경우, 기지국은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송수신 빔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송수신 빔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빔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다른 시스템 정보, 최적의 빔 인덱스 등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고,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해당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다른 시스템 정보, 최적의 빔 인덱스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 빔 관련 정보에 단말에 의해 결정된 특정 빔의 인덱스가 포함된 경우, 기지국은 특정 빔의 인덱스에 의해 지시되는 하향링크 빔을 사용하여 다른 시스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복수의 하향링크 빔들을 사용하여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최소 시스템 정보, 다른 시스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동일한 시간에 복수의 하향링크 빔들을 사용하여 동일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서로 다른 시간에 하향링크 빔을 사용하여 시스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온디멘드 방식에 기초한 시스템 정보의 전송 요청 절차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시스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서 수신될 수 있다. 시스템 정보가 랜덤 액세스 응답을 위해 설정된 자원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하나의 단말이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위해 설정된 자원과 랜덤 액세스 응답을 위해 설정된 자원 간의 시간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의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시스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의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시스템 정보의 스케쥴링 정보(예를 들어,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설정 정보, 그룹 공통 PDCCH 설정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위해 설정된 자원을 통해 수신된 경우,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의 스케쥴링 정보를 랜덤 액세스 응답을 위해 설정된 자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은 시스템 정보의 전송이 요청되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의 전송이 요청되는 것을 지시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위한 자원(예를 들어, 시간-주파수 자원, 프리앰블 시퀀스 등)은 연결 설정을 위해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위한 자원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시스템 정보의 전송이 요청되는 것을 지시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위한 자원은 연결 설정을 위해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위한 자원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의 스케쥴링 정보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응답은 시스템 정보의 전송이 요청되는 것을 지시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이 기지국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된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랜덤 액세스 응답에 시스템 정보의 전송이 요청되는 것을 지시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이 기지국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된 것을 지시하는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은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타이머)이 경과한 후에 시스템 정보의 전송이 요청되는 것을 지시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반복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은 미리 설정된 최대 전송 횟수만큼 반복 전송될 수 있고, 서로 다른 프리앰블 시퀀스를 사용하여 반복 전송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자원을 통해 반복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빔포밍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은 서로 다른 빔 설정 정보(예를 들어, 빔 인덱스)에 기초하여 반복 전송될 수 있다.
시스템 정보의 전송이 요청되는 것을 지시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수신한 기지국은 해당 시스템 정보에 대응하는 스케쥴링 식별자 또는 온디멘드 방식에 기초한 시스템 정보의 전송 요청 절차를 위해 설정된 스케쥴링 식별자(예를 들어, C-RNTI)를 사용하여 스케쥴링 정보(예를 들어, PDCCH 설정 정보, 그룹 공통 PDCCH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스케쥴링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통해 시스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스케쥴링 식별자(예를 들어, 그룹 스케쥴링 식별자)에 기초하여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랜덤 액세스 응답을 위한 수신 윈도우 또는 온디멘드 방식에 기초한 시스템 정보의 전송 요청 절차를 위해 설정된 수신 윈도우에서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윈도우는 심볼, 미니-슬롯, 슬롯, 서브프레임, TTI, 라디오 프레임, 마이크로초, 밀리초, 초 등의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스케쥴링 정보가 수신된 경우, 단말은 스케쥴링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통해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 윈도우 내에서 스케쥴링 정보(또는, 시스템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단말은 온디멘드 방식에 기초한 시스템 정보의 전송 요청 절차를 다시 시작할 수 있다. 또는, RRC_아이들 상태 또는 RRC_인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은 RRC_커넥티드 상태로 천이할 수 있고, RRC_커넥티드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은 시스템 정보의 전송 요청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온디멘드 방식에 기초한 시스템 정보의 전송 요청 절차에서 하나의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RRC_아이들 상태 또는 RRC_인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은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RRC_아이들 상태 또는 RRC_인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은 시스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고, 그 후에 RRC_아이들 상태 또는 RRC_인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은 RRC_커넥티드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RRC_커넥티드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은 유니캐스트 자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시스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전송 후에, RRC_아이들 상태 또는 RRC_인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은 RRC_커넥티드 상태로의 천이 동작 없이 별도의 스케쥴링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 멀티캐스트 자원 또는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를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은 랜덤 액세스 응답을 위해 설정된 자원 또는 온디멘드 방식에 기초한 시스템 정보의 전송 절차를 위해 설정된 자원을 통해 시스템 정보의 전송을 위해 설정된 정보(예를 들어, 스케쥴링 정보,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정보,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메시지는 RRC 계층, MAC 계층 또는 물리 계층의 제어 정보, 제어 엘리먼트(element), 제어 파라미터, 제어 필드, 인디케이션indication) 비트(또는, 심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메시지는 브로드캐스트 전송, 멀티캐스트 전송 또는 유니캐스트 전송을 위한 자원의 스케쥴링 정보 또는 해당 자원의 스케쥴링을 위해 설정된 스케쥴링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스케쥴링 정보를 확인할 수 있거나, 스케쥴링 식별자에 기초하여 스케쥴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은 확인된 스케쥴링 정보에 기초하여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메시지가 RRC_커넥티드 상태로의 천이 동작을 지시하지 않는 경우, 단말은 RRC_아이들 상태 또는 RRC_인액티브 상태에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온디멘드 방식에 기초한 시스템 정보가 전송되는 자원(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 자원, 멀티캐스트 자원, 유니캐스트 자원)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는 시간 자원 정보(예를 들어, 구간, 윈도우, 전송 주기), 주파수 자원 정보(예를 들어, 할당된 대역, 서브캐리어 인덱스), 반복 전송 관련 정보, MCS 정보, 빔포밍 관련 정보(예를 들어, 빔 설정 정보, 빔 인덱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스케쥴링 정보에 기초하여 시스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단말은 스케쥴링 정보에 기초하여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시스템 정보가 브로드캐스트 채널 또는 멀티캐스트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복수의 단말들이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전송될 시스템 정보를 위한 전송 주기와 무선 자원을 준정적으로 설정할 수 있고, 전송 주기와 무선 자원의 정보를 단말들에 알려줄 수 있다. 단말들은 기지국으로부터 획득된 전송 주기와 무선 자원에 기초하여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브로드캐스트 채널의 전송 주기 내에 온디멘드 방식에 기초한 시스템 정보의 전송 요청이 단말로부터 수신된 경우, 기지국은 해당 전송 주기에 따라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단말에 의해 요청된 시스템 정보)를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는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고, 공용의 스케쥴링 식별자(예를 들어, SI-RNTI)에 기초하여 시스템 정보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예를 들어,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스케쥴링 정보)가 전송되기 때문에 모든 단말들이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은 멀티캐스트 채널을 통해 전송될 시스템 정보를 위한 전송 주기와 무선 자원을 준정적으로 설정할 수 있고, 전송 주기와 무선 자원의 정보를 단말들에 알려줄 수 있다. 모든 단말들은 기지국으로부터 획득된 전송 주기와 무선 자원에 기초하여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멀티캐스트 채널을 통해 전송될 시스템 정보를 위한 전송 주기와 무선 자원을 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고, 멀티캐스트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식별자(예를 들어, SIMC(system information multicast)-RNTI)를 사용하여 시스템 정보를 위한 스케쥴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온디멘드 방식에 기초한 시스템 정보의 전송 절차를 위해 설정된 스케쥴링 식별자에 기초하여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스케쥴링 정보에 기초하여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온디멘드 방식에 기초한 시스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를 브로드캐스트 방식 또는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온디멘드 방식에 기초한 시스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의 전송 전에, 단말은 기지국의 제어 정보(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 스케쥴링 식별자)를 수신함으로써 필요한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온디멘드 방식을 기초로 단말에 의해 요청될 시스템 정보)의 전송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단말의 시스템 정보의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 스케쥴링 식별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고, 수신된 응답에 기초하여 단말이 필요한 시스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윈도우, 타이머) 내에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될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말은 온디멘드 방식에 기초한 시스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단말이 필요한 시스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윈도우, 타이머) 내에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말은 온디멘드 방식에 기초한 시스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온디멘드 방식에 기초한 시스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의 전송에 따른 오버헤드가 감소할 수 있다.
한편, 셀 커버리지들이 중첩된 환경에서 온디멘드 방식에 기초한 시스템 정보의 전송 절차의 간소화를 위해, 기지국은 이웃 기지국(예를 들어, 이웃 셀)의 시스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온디멘드 방식에 기초한 시스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온디멘드 방식에 기초한 시스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해당 단말이 셀 커버리지들 간을 이동하거나 셀 커버리지들 간에 중첩된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자신의 시스템 정보와 이웃 기지국(예를 들어, 이웃 셀)의 시스템 정보를 해당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와 이웃 기지국(예를 들어, 이웃 셀)의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기지국들 각각의 시스템 정보는 셀 식별자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단말이 이웃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로 이동한 경우, 단말은 이웃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시스템 정보 또는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이웃 기지국의 셀 식별자를 확인할 수 있고, 셀 식별자와 대응하는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 획득된 이웃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이웃 기지국과 시스템 정보의 획득 절차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 자원들 간의 매핑 관계에 기초한 랜덤 액세스 절차
다음으로, 하향링크 자원(예를 들어, 동기 신호 버스트 전송을 위해 설정된 자원)과 상향링크 자원(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해 설정된 자원) 간의 매핑 관계에 기초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설명될 것이다.
도 14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의 전송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동기 신호 블록은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PBC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기 신호 버스트는 동기 신호 버스트의 구간 내에서 전송되는 동기 신호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동기 신호 버스트 셋(set) 내에서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동기 신호 버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일 수 있다. 빔포밍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기지국은 동기 신호 버스트 셋 내에서 모든 빔들 각각을 사용하여 동기 신호(예를 들어, 동기 신호 블록, 동기 신호 버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 신호(예를 들어, 동기 신호 블록, 동기 신호 버스트)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반복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향링크 자원(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해 설정된 자원)이 하향링크 자원(예를 들어, 동기 신호 버스트 전송을 위해 설정된 자원)에 매핑되는 경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은 상향링크 자원(예를 들어, 공통 자원)을 통해 반복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기지국들에서 공유되는 공통 자원은 미리 설정된 주파수 대역 또는 동일한 대역폭에서 동기 신호 버스트 셋(예를 들어, 동기 신호 버스트)을 동일하거나 공통 규칙이 적용되는 설정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단말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반복 전송할 수 있도록,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빔에 기초하여 매핑 관계가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동기 신호 버스트 셋(또는, 랜덤 액세스 절차)의 종료 시점까지 단말에 의해 선택된 프리앰블 시퀀스(예를 들어, 코드 시퀀스, 비트 시퀀스, 신호 시퀀스)의 변경 없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반복 전송할 수 있다.
도 15는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들 간의 매핑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은 FDD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 각각은 도 6에 도시된 제1 기지국(610-1) 및 제2 기지국(610-2)과 동일할 수 있다.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을 위한 공통 정보가 설정될 수 있고, 공통 정보는 브로드캐스트 방식(또는,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최소 시스템 정보, 필수 시스템 정보), 동기 신호(예를 들어, 동기 신호 블록, 동기 신호 버스트) 등일 수 있다. 또한, 공통 정보는 시스템 정보, 제어 정보, 물리 채널 설정/할당 정보, 참조 신호 설정/할당 정보, 자원 할당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통 정보는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을 위해 설정된 공통 자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제1 기지국의 하향링크 공통 자원과 제1 기지국의 상향링크 공통 자원 간의 매핑 관계가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기지국의 하향링크 공통 자원의 위치를 알고 있는 단말은 제1 기지국의 하향링크 공통 자원의 위치와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제1 기지국의 상향링크 공통 자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제2 기지국의 하향링크 공통 자원과 제2 기지국의 상향링크 공통 자원 간의 매핑 관계가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기지국의 하향링크 공통 자원의 위치를 알고 있는 단말은 제2 기지국의 하향링크 공통 자원의 위치와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제2 기지국의 상향링크 공통 자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하향링크 공통 자원은 공통 정보의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상향링크 공통 자원은 랜덤 액세스 절차, 스케쥴링 요청 절차, 하향링크 전송 요청 절차, 시스템 정보의 요청 절차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향링크 공통 자원과 상향링크 공통 자원 간의 매핑 관계는 RRC 계층의 전용 제어 메시지, MAC 제어 PDU 등을 이용한 시그널링 절차 또는 시스템 정보의 전송 절차를 통해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 공통 자원은 제1 기지국과 제2 기지국에서 공유될 수 있고, 시간 축에서 상향링크 공통 자원의 위치는 제1 기지국과 제2 기지국에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지국의 PRACH(예를 들어, PRACH 오케이션(occasion))는 제2 기지국의 PRACH(예를 들어, PRACH 오케이션)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들 간의 PRACH(예를 들어, PRACH 오케이션)가 동일하게 설정된다는 것은 앞서 설명된 절대적 또는 상대적인 방법에 따른 동일한 규칙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기지국의 상향링크 공통 자원의 위치를 알고 있는 단말은 제2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의 획득 절차의 수행 없이 제1 기지국의 상향링크 공통 자원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2 기지국의 상향링크 공통 자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고, 제2 기지국의 상향링크 공통 자원을 사용하여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제2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공통 자원의 위치는 해당 자원의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대역폭, 서브캐리어(그룹)), 전송 시간, 송신/수신 빔 등을 지시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공통 자원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은 단말이 하향링크 동기 신호의 자원 위치 정보로부터 매핑 관계를 사용하여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는 상향링크 PRACH 자원의 전송 대역(예를 들어, 대역폭)의 지시(indication) 정보, 전송 시간(예를 들어, 프레임, 서브프레임, 슬롯, 미니-슬롯, 또는 심볼 등) 인덱스, 마스크 값, 프리앰블 인덱스 범위, 송신 빔 인덱스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공통 자원 및 공통 정보에 기초한 통신 절차(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절차, 시스템 정보의 전송 절차 등)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통합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DU(또는, XDU 애그리게이터)는 앞서 설명된 공통 자원 및 공통 정보에 기초한 통신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복수의 XDU(또는, 복수의 XDU 애그리게이터)들은 공통 자원을 설정할 수 있고, 공통 자원의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XDU(또는, 복수의 XDU 애그리게이터)들은 공통 정보를 설정할 수 있고, 공통 자원을 통해 공통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성을 가지는 XDU는 다른 XDU(또는, 다른 XDU 애그리케이터)에 의해 설정된 공통 자원 및 공통 정보를 사용하여 통신(예를 들어, 앞서 설명된 단말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복수의 기지국들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 중에서 제1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자원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상기 공통 자원을 통해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공통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 중에서 제2 기지국과 랜덤 액세스 절차(random access procedure)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통 자원 및 상기 공통 정보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에서 동일하게 설정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는 상기 제2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의 획득 절차의 수행 없이 수행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는 상기 공통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기지국의 다른 시스템 정보(other system information)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2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다른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른 시스템 정보는 상기 제2 기지국의 전체 시스템 정보 중에서 상기 공통 정보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를 제외한 시스템 정보인, 단말의 동작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random access preamble)이고, 상기 다른 시스템 정보는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을 통해 획득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정보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에서 동일하게 설정된 시스템 정보, 제어 정보, 물리 채널 정보, 참조 신호 정보 및 자원 할당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정보는 상기 공통 정보가 적용되는 서비스 영역을 지시하는 SA(service area)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SA 식별자에 의해 지시되는 상기 서비스 영역에 속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통 자원은 상기 공통 정보에 포함된 자원 할당 정보의 종류에 따라 독립적으로 설정되며, 상기 자원 할당 정보는 제어 채널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 스케쥴링 요청(scheduling request)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및 하향링크 전송 요청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인, 단말의 동작 방법.
  9.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기지국들 중에서 제1 기지국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에서 동일하게 설정된 공통 자원의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에서 동일하게 설정된 공통 정보를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상기 공통 자원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공통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과 랜덤 액세스 절차(random access procedure)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기지국의 동작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는 상기 제1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의 전송 절차의 수행 없이 수행되는, 제1 기지국의 동작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복수의 기지국들 중에서 제2 기지국과 연결 절차(connection procedure)를 완료한 상태인, 제1 기지국의 동작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의 다른 시스템 정보(other system information)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다른 시스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른 시스템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의 전체 시스템 정보 중에서 상기 공통 정보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를 제외한 시스템 정보인, 제1 기지국의 동작 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정보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에서 동일하게 설정된 시스템 정보, 제어 정보, 물리 채널 정보, 참조 신호 정보, 자원 할당 정보 및 상기 공통 정보가 적용되는 서비스 영역을 지시하는 SA(service area) 식별자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기지국의 동작 방법.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공통 자원은 상기 공통 정보에 포함된 자원 할당 정보의 종류에 따라 독립적으로 설정되며, 상기 자원 할당 정보는 제어 채널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 스케쥴링 요청(scheduling request)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및 하향링크 전송 요청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인, 제1 기지국의 동작 방법.
  15. 복수의 기지국들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로서,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memory)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 중에서 제1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자원의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상기 공통 자원을 통해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공통 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공통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 중에서 제2 기지국과 랜덤 액세스 절차(random access procedure)를 수행하도록 실행되며,
    상기 공통 자원 및 상기 공통 정보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에서 동일하게 설정되는, 단말.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는 상기 제2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의 획득 절차의 수행 없이 수행되는, 단말.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제2 기지국의 다른 시스템 정보(other system information)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2 기지국에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다른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다른 시스템 정보는 상기 제2 기지국의 전체 시스템 정보 중에서 상기 공통 정보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를 제외한 시스템 정보인, 단말.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정보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에서 동일하게 설정된 시스템 정보, 제어 정보, 물리 채널 정보, 참조 신호 정보 및 자원 할당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정보는 상기 공통 정보가 적용되는 서비스 영역을 지시하는 SA(service area)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SA 식별자에 의해 지시되는 상기 서비스 영역에 속하는, 단말.
  20.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공통 자원은 상기 공통 정보에 포함된 자원 할당 정보의 종류에 따라 독립적으로 설정되며, 상기 자원 할당 정보는 제어 채널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자원 할당 정보, 스케쥴링 요청(scheduling request)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및 하향링크 전송 요청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인, 단말.
KR1020170118956A 2016-09-30 2017-09-15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자원에 기초한 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53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26811 2016-09-30
KR1020160126811 2016-09-30
KR1020160145271 2016-11-02
KR20160145271 2016-11-02
KR1020160170264 2016-12-14
KR20160170264 2016-12-14
KR1020170032023 2017-03-14
KR20170032023 2017-03-14
KR20170053045 2017-04-25
KR1020170053045 2017-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538A true KR20180036538A (ko) 2018-04-09
KR102153595B1 KR102153595B1 (ko) 2020-09-08

Family

ID=61762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956A KR102153595B1 (ko) 2016-09-30 2017-09-15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자원에 기초한 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80018B2 (ko)
EP (2) EP3522659A4 (ko)
JP (1) JP2019530272A (ko)
KR (1) KR102153595B1 (ko)
CN (2) CN115190564A (ko)
WO (1) WO201806273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2643A1 (ko) * 2018-08-09 2020-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0060356A1 (ko) * 2018-09-21 2020-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5570B (zh) * 2016-08-09 2020-07-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系统消息的发送方法和设备
CN107959647B (zh) * 2016-10-14 2022-02-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载波系统的符号配置方法及装置、数据解调方法及装置
US10313070B2 (en) * 2016-11-03 2019-06-04 Futurewei Technologies, Inc. Fast millimeter-wave cell acquisition
US20180132244A1 (en) * 2016-11-10 2018-05-1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configuring a common uplink portion in new radio
KR102531880B1 (ko) * 2016-12-22 2023-05-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네트워크에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JP6913750B2 (ja) * 2017-01-06 2021-08-04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制御情報の送信
CN108289016B (zh) * 2017-01-09 2023-10-24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11165607B2 (en) * 2017-01-17 2021-11-0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for transmitt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WO2018202718A1 (en) * 2017-05-05 2018-11-08 Sony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WO2018208214A1 (en) * 2017-05-12 2018-11-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and methods for system information transmission
CN109392129B (zh) * 2017-08-11 2023-04-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分配的方法,终端以及网络设备
KR102604568B1 (ko) * 2017-09-27 2023-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V2x 시스템 및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방법 및 장치
CN109587673B (zh) * 2017-09-28 2021-06-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及装置
ES2945829T3 (es) 2018-05-11 2023-07-07 Ericsson Telefon Ab L M Método y aparato para utilizar información de indicación de asignación de recursos del dominio del tiempo
CN109076321B (zh) * 2018-07-26 2021-11-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车联网设备之间的系统信息传输方法、装置及系统
EP3841391A1 (en) * 2018-09-27 2021-06-30 Sony Corporation User equipment positioning estimation in wireless networks with base stations that support multibeam operation
US11510133B2 (en) 2018-09-27 2022-11-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information update for NR-U
KR20200086920A (ko) * 2019-01-10 2020-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전송 자원을 할당하는 장치 및 방법
EP3975633A4 (en) * 2019-07-04 2022-06-1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0856276B (zh) * 2019-11-15 2022-03-22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非连接态ue的数据传输、接收方法及装置、终端、基站
CN111710062B (zh) * 2020-06-28 2021-09-03 李龙德 基于车联网的用于大数据分析的乘员身份信息传输方法及系统
CN111710060B (zh) * 2020-06-28 2021-05-07 上海悟景信息科技有限公司 基于车联网的用于大数据分析的乘车人员信息传输方法及系统
CN111986766A (zh) * 2020-09-04 2020-11-24 北京贝耀信科技有限公司 一种社区医疗大数据的获取方法及系统
CN117979456A (zh) * 2022-10-19 2024-05-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随机接入方法以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2580A (ko) * 2010-03-11 2011-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이 효율적으로 비코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40071266A (ko) * 2010-11-08 2014-06-11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통지방법, 유저단말 및 무선기지국
KR20140071480A (ko) * 2011-09-30 2014-06-11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감소된 채널 대역폭을 사용하는 장치 통신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48930A1 (en) 2006-06-21 2007-12-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to transmit downlink signaling message on cellular systems for packet transmission and method for receiving the message
GB2447878A (en) * 2006-10-04 2008-10-01 Nec Corp Signalling system inform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WO2009129144A2 (en) * 2008-04-18 2009-10-2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 of system information transmission window
US8843115B2 (en) * 2008-06-23 2014-09-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ystem information modif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391206B2 (en) 2008-08-07 2013-03-05 Alcatel Lucent Method of joint resource allocation and clustering of base stations
WO2010085127A2 (ko) 2009-01-26 2010-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전송 지점을 포함하는 협력 멀티 포인트(coordinated multi-point: comp)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JP5203400B2 (ja) * 2010-01-14 2013-06-0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装置およびシステムインフォメーションの通知方法
MY164719A (en) 2010-02-12 2018-01-3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uplink random access channel transmission
KR101599857B1 (ko) * 2011-12-13 2016-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오프로딩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32984B1 (ko) * 2012-03-02 2018-12-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말기 관리 방법
US20130229931A1 (en) 2012-03-02 2013-09-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s of managing terminal performed in base station and terminal
KR102141375B1 (ko) 2012-09-27 2020-08-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점 협력 전송을 위한 제어 정보 시그널링 방법
US9357476B2 (en) * 2013-03-28 2016-05-31 Tejas Network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system information acquisition optimization
US9763151B2 (en) 2013-07-04 2017-09-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ntrol method for supporting multiple connection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connections
US9125112B2 (en) 2013-08-06 2015-09-01 Blackberry Limited Communicating radio resource configuration information
EP2836050B1 (en) 2013-08-09 2017-07-19 HTC Corporation Method, device and network for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allocation in dual connectivity
EP3031261B1 (en) * 2013-08-09 2022-01-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information broadcast for machine-type communication
CN104519590A (zh) 2013-09-27 2015-04-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双连接下小小区上进行随机接入的方法及系统
KR102307452B1 (ko) 2014-01-29 2021-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9560645B2 (en) 2014-01-31 2017-01-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E, a secondary ENB and a master ENB and respective method performed thereby for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to the UE
EP3783941B1 (en) * 2014-03-19 2024-02-2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ystem information block (sib) acquisition for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s (wtrus) in non-ce and coverage enhanced (ce) modes
WO2016182401A1 (ko) * 2015-05-14 2016-11-17 주식회사 케이티 시스템 정보 변경 방법 및 그 장치
US9807679B2 (en) * 2015-09-22 2017-10-31 Intel IP Corporation Methods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s, mobile terminal devices, and servers
US10117199B2 (en) * 2015-09-24 2018-10-30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and apparatus therefor
JP6624604B2 (ja) * 2016-02-05 2019-12-25 ホアウェイ・テクノロジーズ・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アップリンクサブキャリア間隔指示方法、基地局および端末
US10390331B2 (en) * 2016-04-20 2019-08-20 Convida Wireless, Llc System information provisioning and light weight connection signaling
EP3389289B1 (en) * 2016-05-31 2020-06-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locating idle state user equipment
WO2018062771A1 (en) * 2016-09-29 2018-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serv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20036052A (ja) * 2017-01-05 2020-03-05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その通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2580A (ko) * 2010-03-11 2011-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이 효율적으로 비코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40071266A (ko) * 2010-11-08 2014-06-11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통지방법, 유저단말 및 무선기지국
KR20140071480A (ko) * 2011-09-30 2014-06-11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감소된 채널 대역폭을 사용하는 장치 통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2643A1 (ko) * 2018-08-09 2020-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0060356A1 (ko) * 2018-09-21 2020-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42375A2 (en) 2023-03-01
CN109644499A (zh) 2019-04-16
KR102153595B1 (ko) 2020-09-08
US10980018B2 (en) 2021-04-13
EP3522659A1 (en) 2019-08-07
CN115190564A (zh) 2022-10-14
US20190215828A1 (en) 2019-07-11
EP4142375A3 (en) 2023-06-14
WO2018062735A1 (ko) 2018-04-05
EP3522659A4 (en) 2020-09-09
JP2019530272A (ja)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595B1 (ko)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자원에 기초한 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
JP740591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
US10952257B2 (en) Access method in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performing same
JP684025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d2d端末が通信装置と通信リンクを形成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JP687191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v2x端末のメッセージ送受信方法及び装置
US1108293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2D synchronization signal and terminal therefor
CN111972030A (zh) 用于在通信系统中控制终端接入的方法
JP692121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端末がcrを測定して送信を行う方法及び装置
JP201953163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端末のd2dデータ伝送方法及び装置
EP3425978B1 (en) User terminal, wireless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JP2018534843A (ja) D2d通信における参照信号送信方法及び端末
KR10242630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플래툰 통신에 관련된 신호 송수신 방법
KR20150128611A (ko) 장치 간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회피를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3036084A2 (ko)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셀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20031250A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7440426B2 (ja) 通信システムで端末の接続制御方法
JP202051720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サイドリンク信号を送信する方法及び装置
JP201953255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端末の測定によるリソース選択及びデータ伝送方法及び装置
KR20200073118A (ko)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인터페이스 설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43667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carrier aggregation 전송 시 단말이 복수의 cc에 대하여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JP202050584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サブフレームタイプに関連する送受信を行う方法及び装置
JP2022548659A (ja) 統合アクセスおよびバックホールネットワークランダムアクセスパラメータ最適化
JPWO2018025947A1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