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6537A -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 - Google Patents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537A
KR20180036537A KR1020170118472A KR20170118472A KR20180036537A KR 20180036537 A KR20180036537 A KR 20180036537A KR 1020170118472 A KR1020170118472 A KR 1020170118472A KR 20170118472 A KR20170118472 A KR 20170118472A KR 20180036537 A KR20180036537 A KR 20180036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photographed
port
lens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돈원
Original Assignee
(주)컴버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컴버스테크 filed Critical (주)컴버스테크
Publication of KR20180036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282Autofocusing of zoom len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 대상물의 이미지 및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한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에 있어서, 스테이지부를 갖는 본체와,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일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대와, 지지대와 교차 방향으로 배치되며, 일단이 지지대와 관통 결합 되고, 타단이 스테이지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구와, 선단이 스테이지부를 향하도록 상기 연결구의 타단에 관통 결합되어 촬영 대상물을 고배율의 이미지 및 영상으로 조정하는 관측부 및 일측에 커넥터수단이 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관측부의 후단과 관통 결합된 채 상기 연결구의 상부에 구비되는 거치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물화상기에 현미경 기능을 갖는 관측부가 구비됨으로써, 촬영 대상물을 고배율의 이미지 및 영상으로 조정 가능하여, 문서화된 교육 자료와 관측부로 확대된 촬영 대상물을 동시에 관찰 및 설명할 수 있는 교육이 용이하다.

Description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Wireless visual presenter with microscope function}
본 발명은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 대상물을 실시간으로 관측하여 고배율 이미지 및 동영상을 제공하는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물화상장치는 촬상소자를 이용하여 필름이나 사진 등의 실물을 촬상한 다음 영상데이터로 변환하여 모니터, 비디오기기 또는 컴퓨터 등의 영상기기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실물화상장치는 원고를 베이스의 상면에 적치하고 카메라가 내장된 헤드부를 상하좌우로 이동시켜 조정함으로써, 실물화상기의 원고대 중심과 카메라 입력화상의 중심을 일치되게 맞춘다.
그리고 카메라에 의하여 원고를 촬상한 후 영상정보를 이미지 파일형태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전송하므로써, 화면에 원고를 구현하게 된다.
실물화상장치는 원고대에 표시된 원고위치 설정표시의 중심과 카메라 입력화상의 중심을 일치시키는 작업을 조립공정에서 실시하여 사용자의 원고 결정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종래에는 고성능 카메라가 내장되어 별도의 카메라 없이도 촬영을 하고, 영상을 무선통신으로 전송하여 다른 사람과 공유가능한 휴대폰용 실물화상장치가 사용되었다.
휴대폰용 실물화상장치는 대상물에 직접 접촉되어 영상을 확대하고 휴대폰으로 영상을 촬영하였지만, 고배율의 이미지 및 영상을 제공하지는 못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0166호가 제시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실물화상기는, 무선 USB 기반의 카메라 탈착형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영상을 전송하는 반면에, 광물의 결정구조 및 생물의 세포 등의 미세한 대상물을 촬영하기에는 확대배율의 한계가 있어 촬영이 곤란하였다.
더욱이, 미세한 대상물의 영상을 확대하여 관찰할 수 있는 고배율 현미경 또는 실체 현미경 등에 연결되어 확대된 영상을 촬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 대상물을 실시간으로 관측하여 고배율 이미지 및 동영상을 제공하는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촬영 대상물의 이미지 및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한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에 있어서, 스테이지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일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교차 방향으로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지지대와 관통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테이지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구와, 선단이 상기 스테이지부를 향하도록 상기 연결구의 타단에 관통 결합되어 촬영 대상물을 고배율의 이미지 및 영상으로 조정하는 관측부 및 일측에 커넥터수단이 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관측부의 후단과 관통 결합 된 채 상기 연결구의 상부에 구비되는 거치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측부가 제 1 렌즈모듈, 제 2 렌즈모듈, 연결 파이프 및 제 3 렌즈모듈의 순차적인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렌즈모듈은 촬영 대상물의 배율 조절을 위해 선택적으로 교체가능하고, 상기 제 3 렌즈모듈의 외측에는 상기 거치대와 관측부의 상호 고정을 위한 클램프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수단은,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 배치되어 USB 카메라와 연결되기 위한 제 1 포트 및 상기 제 1 포트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스마트폰과 연결되기 위한 제 2 포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포트 또는 제 2 포트에 연결된 USB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관측부에서 관측된 대상물의 이미지 및 영상을 촬영하여 무선으로 전송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및 USB 카메라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그네트가 내장되어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거치대에 결합 된 채 회동 가능한 가이더가 더 구비되되, 상기 거치대는, 상기 지지대의 길이 방향에 따라 상하 조절되는 상기 연결구에 대응하도록 상기 가이더와 연동하여 상하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부에 안착된 촬영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고정편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실물화상장치에 현미경 기능을 갖는 관측부가 구비됨으로써, 촬영 대상물을 고배율의 이미지 및 영상으로 조정가능하므로, 문서화된 교육 자료와 관측부로 확대된 활영 대상물을 동시에 관찰 및 설명할 수 있는 교육이 용이하다.
또한, 거치대에 구비된 커넥터수단이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로 이루어짐으로써, 제 1 포트 또는 제 2 포트가 USB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과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무선 전송이 가능하므로, 학습자에게 고배율의 이미지 및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의 관측부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의 관측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의 커넥터수단과 USB 카메라가 연결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의 커넥터수단과 스마트폰이 연결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의 거치대에 USB 카메라가 탈착가능하게 결속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가 위치 조절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이하 실물화상기, 100)는 촬영 대상물(A)의 이미지 및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체(110), 지지대(120), 연결구(130), 관측부(140) 및 거치대(15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전체 구성의 하부에 배치되며 또는 책상 등과 같은 사무 시설상에서 올바르게 안착 되도록 특정 두께의 형상을 갖는다.
본체(110)의 일면에는 촬영 대상물(A)이 안착 되기 위한 스테이지부(111)가 구비되되, 촬영 대상물(A)을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고정편(111b)이 포함된다.
한 쌍의 고정편(111b)은 스테이지부(111)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리 독립 가능하여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자체 변형에 따른 교체가 용이하도록 탈착이 자유롭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지부(111)는 그 내부가 관찰 가능하도록 일면이 투명하게 마련되되, 본체(110)와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기 위한 죄임구(111a)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대(120)는 스테이지부(111)와 이격된 본체(110)의 일측으로부터 일방으로 연장 배치되며, 내부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본체(110)의 내부와 연계 가능하다.
연결구(130)는 지지대(120)와 교차 방향으로 배치되며, 일단이 지지대(120)와 관통 결합되고, 타단이 스테이지부(111)의 상부에 구비된다.
연결구(130)의 일단 및 타단에는 각각 지지대(120) 및 관측부(140)와 관통 결합되기 위한 관통홀(130a, 130b)이 형성된다.
연결구(130)에는 그 일단의 관통홀(130a)을 통해 지지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조절이 가능함과 동시에 특정 위치에 고정되기 위한 죄임구(131)가 구비될 수 있다.
관측부(140)는 촬영 대상물(A)이 고배율의 이미지 및 영상으로 조정되도록 선단이 스테이지부(111)를 향한 채 연결구(130)의 타단에 형성된 관통홀(130b)을 통해 관통 결합 된다.
관측부(140)는 제 1 렌즈모듈(141), 제 2 렌즈모듈(143), 연결 파이프(145) 및 제 3 렌즈모듈(147)의 순차적인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연결구(130) 및 관측부(140)는 고정핀(133)을 통해 상호 고정 및 분리된다.
고정핀(133)은 관측부(140)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도록 홀 형식 끼움 또는 나사산 형식 죄임으로 배치 가능하며, 이러한 홀 및 나사산이 연결구(130)에 형성될 수 있다.
거치대(150)는 일측에 커넥터수단(151)이 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이 관측부(140)의 후단과 관통 결합 된 채 연결구(130)의 상부에 배치된다.
거치대(150)의 일측은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되며, 제 3 렌즈모듈(147)의 후단이 관찰 가능하도록 홀이 형성된다.
커넥터수단(151)은 제 1 포트(151a) 및 제 1 포트(151a)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2 포트(151b)로 이루어진다.
실물화상장치(100)는 제 1 포트(151a) 또는 제 2 포트(151b)에 연결된 촬영기기(미도시)를 통해 관측부(140)에서 관측된 대상물의 이미지 및 영상을 촬영하여 무선으로 전송 가능하다.
한편, 일단이 지지대(120)에 결합되고, 타단이 거치대(150)에 결합 된 채 회동 가능한 가이더(1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거치대(150)는 지지대(120)의 길이 방향에 따라 상하 조절되는 연결구(130)에 대응하도록 가이더(160)와 연동하여 상하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진 않았지만, 본체(110)에는 램프수단 및 콘트롤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체(110)에는 스테이지부(111)에 광원을 조사하여 관측 작업 중에는 항상 일정한 밝기가 유지되도록 하는 램프수단이 포함되며, 이러한 램프수단은 콘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수단(151)의 제 1 포트(151a) 및 제 2 포트(151b)는 콘트롤러와 유선으로 연결 가능하되, 전기적 유선이 본체(110) 내부에서 지지대(120)의 내부 및 가이더(160)의 내부를 통해 거치대(150)로 연장되는 흐름으로 구현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의 관측부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의 관측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관측부(140)는 제 1 렌즈모듈(141), 제 2 렌즈모듈(143), 연결 파이프(145) 및 제 3 렌즈모듈(147)의 순차적인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 1 렌즈모듈(141)은 스테이지부(111) 또는 촬영 대상물(A)과 가장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관측수단으로써, 렌즈 하우징(141a), 제 1 렌즈 파이프(141b), 제 1 렌즈(141c) 및 제 2 렌즈(141d)로 구성된다.
제 1 렌즈모듈(141)은 렌즈 하우징(141a)의 내부에 제 1 렌즈 파이프(141b)가 결합되고, 제 1 렌즈 파이프(141b)의 길이 방향으로 제 1 렌즈(141c) 및 제 2 렌즈(141d)가 이격 배치된다.
제 2 렌즈모듈(143)은 제 1 렌즈모듈(141)에 순차적으로 결합 되는 관측수단으로써, 제 2 렌즈 파이프(143a), 제 3 렌즈(143b), 제 4 렌즈(143c) 및 제 5 렌즈(143d)로 구성된다.
제 2 렌즈모듈(143)은 제 2 렌즈 파이프(143a)의 길이 방향으로 제 3 렌즈(143b), 제 4 렌즈(143c) 및 제 5 렌즈(143d)가 상호 이격 된 채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연결 파이프(145)는 제 2 렌즈모듈(143)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관측 보조수단으로써, 제 1 렌즈 내지 제 5 렌즈(141c, 141d, 143b, 143c, 143d)를 통해 관측된 촬영 대상물(A)의 배율 영역을 집중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제 3 렌즈모듈(147)은 연결 파이프(145)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관측수단으로써, 제 3 렌즈 파이프(147a) 제 6 렌즈(147b) 및 제 7 렌즈(147c)로 구성된다.
제 3 렌즈모듈(147)은 제 3 렌즈 파이프(147a)의 길이 방향으로 제 6 렌즈(147b) 및 제 7 렌즈(147c)가 이격 배치된다.
관측부(140)의 결합 관계에 있어서, 렌즈 하우징(141a)의 후단에 제 2 렌즈 파이프(143a)가 결합되고, 제 2 렌즈 파이프(143a)의 후단에 연결 파이프(145)가 연결되며, 연결 파이프(145)의 후단에 제 3 렌즈 파이프(147a)가 연결된다.
이때, 관측부(140)의 각 구성요소 간의 결합은 끼움식 또는 죄임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관측부(140)의 일체화 및 개별화가 구현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취급의 편리성이 제공되도록 한다.
한편, 관측부(140)는 배율 조정이 용이한 제 1 내지 제 3 렌즈모듈(147)을 구비함으로써, 촬영 대상물(A)을 통한 고배율의 이미지 및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현미경류의 관측장비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렌즈모듈(141)은 촬영 대상물(A)의 배율 조절을 위해 선택적으로 교체 가능하되, 광물과 같은 천연자원의 연구 또는 가공품의 표면 검사 등과 같이 촬영 목적에 맞게 다양한 배율을 갖는 렌즈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제 3 렌즈모듈(147)의 외측에는 거치대(150)와 관측부(140)의 상호 고정을 위한 클램프수단(170)이 더 포함되어 관측부(140)와 거치대(150)의 상호 결합이 견고해질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의 커넥터수단(151)과 USB 카메라(B)가 연결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의 커넥터수단(151)과 스마트폰(C)이 연결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의 거치대(150)에 USB 카메라(B)가 탈착 가능하게 결속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가 위치 조절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인 바, 이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5a 및 도 5b에서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수단(151)은 거치대(150)의 일측에 배치되어 USB 카메라(B)와 연결되기 위한 제 1 포트(151a) 및 제 1 포트(151a)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스마트폰(C)과 연결되기 위한 제 2 포트(151b)로 이루어진다.
제 1 포트(151a) 또는 제 2 포트(151b)에 연결된 USB 카메라(B) 또는 스마트폰(C)을 통해 관측부(140)에서 관측된 대상물의 이미지 및 영상을 촬영하여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거치대(150)의 일측에는 거치대(150)에 관통 결합 된 제 2 렌즈모듈(143)의 후단이 배치되되, 제 2 렌즈모듈(143)의 후단에 근접된 USB 카메라(B) 또는 스마트폰(C)의 카메라렌즈를 통해 촬영 가능하여 실시간으로 고배율의 이미지 및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도 5c에서와 같이, 거치대(150) 및 USB 카메라(B)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그네트(M)가 내장되어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속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와같이, 실물화상장치(100)에는 일단이 지지대(120)에 결합 되고, 타단이 거치대(150)에 결합 된 채 회동 가능한 가이더(1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실물화상장치(100)에 가이더(160)가 구비됨으로써, 거치대(150)는 지지대(120)의 길이 방향에 따라 상하 조절되는 연결구(130)에 대응하도록 가이더(160)와 연동하여 상하 조절 가능하다.
이때, 연결구(130)는 죄임구(131)를 통해 세밀한 상하 위치 조절되거나 또는 필요로 하는 위치에 고정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물화상장치(100)는 연결구(130) 및 가이더(160)가 위치 조절가능하므로, 스테이지부(111)에 안착된 촬영 대상물(A)의 부피에 대응하여 관측부(140)의 선단이 촬영 대상물(A)과 올바른 이격 거리를 갖도록 작업자의 기준에 따른 관측 조절이 용이하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 본 실시예에 따른 실물화상장치(100)의 구성은 이미 상술되었으므로,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도 7에서와같이, 실물화상장치(100)는 촬영 대상물(A)의 고배율 이미지 및 영상을 실시간으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실물화상장치(100)가 연구소 및 학교 등과 같은 실내 공간에서 사용될 경우, 촬영 대상물(A)은 실물화상장치(100)를 통해 표면이 고배율로 관측된 후, 그 결과물이 무선으로 디스플레이장비(예컨대, 컴퓨터 및 빔 프로젝트 등)에 전달되어 개인 또는 다수에게 촬영 대상물(A)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촬영 대상물(A)이 악취를 동반한 대상일 경우, 실외에 마련된 공간에서 실물화상장치(100)를 통해 표면이 고배율로 관측된 후, 그 결과물이 실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장비(예컨대, 컴퓨터 및 빔 프로젝트 등)에 실시간으로 무선 전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실물화상장치(100)에 현미경 기능을 갖는 관측부(140)가 구비됨으로써, 촬영 대상물(A)을 고배율의 이미지 및 영상으로 조정가능하므로, 문서화된 교육 자료와 관측부(140)로 확대된 촬영 대상물(A)을 동시에 관찰 및 설명할 수 있는 교육이 용이하다.
또한, 거치대(150)에 구비된 커넥터수단(151)이 제 1 포트(151a) 및 제 2 포트(151b)로 이루어짐으로써, 제 1 포트(151a) 또는 제 2 포트(151b)가 USB 카메라(B) 또는 스마트폰(C)과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무선 전송이 가능하므로, 학습자에게 고배율의 이미지 및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실물화상장치 110: 본체
111: 스테이지부 111a, 131: 죄임구
111b: 고정편 120: 지지대
130: 연결구 130a, 130b: 관통홀
133: 고정핀 140: 관측부
141: 제 1 렌즈모듈 141a: 렌즈 하우징
141b: 제 1 렌즈 파이프 141c: 제 1 렌즈
141d: 제 2 렌즈 143: 제 2 렌즈모듈
143a: 제 2 렌즈 파이프 143b: 제 3 렌즈
143c: 제 4 렌즈 143d: 제 5 렌즈
145: 연결 파이프 147: 제 3 렌즈모듈
147a: 제 3 렌즈 파이프 147b: 제 6 렌즈
147c: 제 7 렌즈 150: 거치대
151: 커넥터수단 151a: 제 1 포트
151b: 제 2 포트 160: 가이더
170: 클램프수단
A: 촬영 대상물 B: USB 카메라
C: 스마트폰 M: 마그네트

Claims (6)

  1. 촬영 대상물의 이미지 및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한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에 있어서,
    스테이지부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일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와 교차 방향으로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지지대와 관통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테이지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구;
    선단이 상기 스테이지부를 향하도록 상기 연결구의 타단에 관통 결합되어 촬영 대상물을 고배율의 이미지 및 영상으로 조정하는 관측부; 및
    일측에 커넥터수단이 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관측부의 후단과 관통 결합된 채 상기 연결구의 상부에 구비되는 거치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측부가 제 1 렌즈모듈, 제 2 렌즈모듈, 연결 파이프 및 제 3 렌즈모듈의 순차적인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렌즈모듈은 촬영 대상물의 배율 조절을 위해 선택적으로 교체가능하고, 상기 제 3 렌즈모듈의 외측에는 상기 거치대와 관측부의 상호 고정을 위한 클램프수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수단은,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 배치되어 USB 카메라와 연결되기 위한 제 1 포트 및 상기 제 1 포트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스마트폰과 연결되기 위한 제 2 포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포트 또는 제 2 포트에 연결된 USB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관측부에서 관측된 대상물의 이미지 및 영상을 촬영하여 무선으로 전송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및 USB 카메라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그네트가 내장되어 상호 탈착가능하게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거치대에 결합 된 채 회동 가능한 가이더가 더 구비되되,
    상기 거치대는, 상기 지지대의 길이 방향에 따라 상하 조절되는 상기 연결구에 대응하도록 상기 가이더와 연동하여 상하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부에 안착 된 촬영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고정편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
KR1020170118472A 2016-09-30 2017-09-15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 KR201800365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26314 2016-09-30
KR1020160126314 2016-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537A true KR20180036537A (ko) 2018-04-09

Family

ID=61978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472A KR20180036537A (ko) 2016-09-30 2017-09-15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65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07206A (zh) * 2020-01-23 2020-05-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KR102442858B1 (ko) 2022-02-16 2022-09-14 주식회사 큐리오시스 원추형 나사로 고정하는 베셀홀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07206A (zh) * 2020-01-23 2020-05-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KR102442858B1 (ko) 2022-02-16 2022-09-14 주식회사 큐리오시스 원추형 나사로 고정하는 베셀홀더
WO2023158007A1 (ko) * 2022-02-16 2023-08-24 주식회사 큐리오시스 원추형 나사로 고정하는 베셀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2687A1 (en) Multi camera photo booth with three-dimensional effect and its operation method
TW201508325A (zh) 顯微鏡用可攜式終端轉接器和使用可攜式終端轉接器的顯微鏡拍攝方法
MX2013000484A (es) Ensamble de camara tridimensional variable para fotografia fija.
WO2015137741A1 (ko) 의료용 영상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CN109026923A (zh) 用于使拼接显示器对准的固定器
WO2016161769A1 (zh) 液晶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EP1729528A3 (en) Image display
KR20180036537A (ko) 현미경 기능을 갖는 무선 실물화상장치
US20150256817A1 (en) Imaging Adapter and Method of recording and playback
CN109031642A (zh) 一种通用的体视显微裸眼可视化的显示方法和系统装置
CN208459748U (zh) 一种摄影棚
CN109061883A (zh) 一种自动测量瞳距的头戴式显示设备和方法
CN108389438A (zh) 一种板书采集系统
WO2016078132A1 (zh) 光栅与显示面板对位贴合方法及装置
US10237472B2 (en) Image acquisition system
CN106254863A (zh) 全景双摄模组的摄像模组辅助校准设备及校准方法
CN203573021U (zh) 3d智能数码显微镜
CN103376637A (zh) 一种3d拍照系统
KR101456650B1 (ko) 직교식 입체 카메라의 광축 정렬 방법 및 직교식 입체 카메라
CN204883038U (zh) 样本检测用便携式平板电脑数码显微镜
CN107977998B (zh) 一种基于多视角采样的光场校正拼接装置及方法
CN203324570U (zh) 一种便于手机、相机显微摄影的装置
CN210225556U (zh) 一种拍照装置、多功能业务自助办理终端以及办理系统
CN109274785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移动终端设备
KR20190115712A (ko) 소도체 등심 영상 획득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