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6439A - Navigation set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Navigation set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439A
KR20180036439A KR1020160127094A KR20160127094A KR20180036439A KR 20180036439 A KR20180036439 A KR 20180036439A KR 1020160127094 A KR1020160127094 A KR 1020160127094A KR 20160127094 A KR20160127094 A KR 20160127094A KR 20180036439 A KR20180036439 A KR 20180036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ag
destination
tag information
recogn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0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85169B1 (en
Inventor
콜러 세바스티안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7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169B1/en
Publication of KR20180036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4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1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44Landmark guidance, e.g. using POIs or conspicuous other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61Preferred or disfavoured areas, e.g. dangerous zones, toll or emission zones, intersections, manoeuvre types, segments such as motorways, toll roads, fer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92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employing speed data or traffic data, e.g. real-time or historic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navigation setting apparatus. The navigation set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ag provided in a multi-object; a tag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ag information from the tag;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operation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recognized tag information when the tag information is recognized by the tag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and controlling a navig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detected operation information.

Description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NAVIGATION SETTING APPARATUS}Navigation setting device {NAVIGATION SE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소지한 오브젝트의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인식하여 인식된 태그정보와 매칭되는 동작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vigation set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avigation setting device that recognizes tag information from a tag of an object held by a user and automatically sets operation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recognized tag information.

일반적으로 내비게이션 장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을 통해서 수신받은 차량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자신의 위치를 파악한 후, 내장 또는 수신된 도로 데이터베이스에서 현재 위치의 데이터를 읽어 화면에 차량의 위치와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주행하는 도로의 위치를 식별하거나 초행 도로에서 주행할 때 목적지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이다.Generally, the navigation device recognize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received through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satellite, reads the current position data from the built-in or received road database, So that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road on which the user is presently driving or to easily find the destination when driving on the oncoming road.

최근에는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목적지를 설정하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예상 도착 예정시간을 안내하거나 목적지까지의 도로 상황에 따른 우회 도로를 제안하는 등의 선진화된 기술들이 내비게이션이나 스마트폰에 접목되어 사용자에게 보다 구체화된 경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Recently, in order to meet the user's needs, advanced technology such as guiding the expected arrival time from the departure place to the destination or suggesting a detour route according to the road situation to the destination is provided to the navigation device or smart phone And provides more specific route information to the user.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31972호(2012.04.04.공개, 발명의 명칭: 경로탐색 장치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경로 정보 안내 방법)가 있다.BACKGROUND ART [0002]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2-0031972 (April 04, 2012, entitled Path search device terminal and route information guidance method using the same).

종래의 내비게이션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목적지를 입력 받아 해당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 받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내비게이션 장치에 목적지를 포함한 여러 정보를 직접 입력 및 설정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A conventional navigation apparatus receives a destination directly from a user and guides a route to the destination. However, in order for the user to receive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the user has to input and set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the destination directly in the navigation devic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가 소지한 오브젝트의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인식하여 인식된 태그정보와 매칭되는 동작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tag information from a tag of an object held by a user and automatically setting operation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recognized tag information And a navigation setting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는 오브젝트에 구비된 태그; 상기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인식하는 태그정보 인식부; 및 상기 태그정보 인식부에 의해 태그정보가 인식되면, 인식된 태그정보와 매칭된 동작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동작 정보에 따라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avigation setting device including: A tag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ag information from the tag; And a controller for detecting operation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recognized tag information when the tag information is recognized by the tag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and controlling the navig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detected opera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태그정보가 인식되면 태그정보가 인식된 시점의 환경정보와 상기 패턴정보에 따라 상기 동작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ag information is recognized, the controller sets the op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t the time when the tag information is recognized and the pattern information.

본 발명에서, 상기 패턴정보는 탑승시간, 탑승장소, 하차시간, 하차장소, 탑승 후 하차 시까지의 주행 궤적 및 소요 시간, 하차 후 재탑승까지의 소요 시간, 하차 지점에서의 사용자 등록 지점 정보, 하차 지점에서의 사용자 검색 정보, 탑승지점에서 하차 지점까지의 동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ter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boarding time, a boarding place, a getting-off time, a getting-off place, a running locus and a required time until getting off after boarding, User search information at a point, and traveling information from a boarding point to a getting off point.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태그가 인식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이벤트를 인식하고, 인식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패턴정보를 생성 및 누적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recognizes a predetermined event in a state where the tag is recognized, and generates and accumulates the patter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cognized event.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태그정보와 매칭된 목적지 정보, 목적지까지의 경로,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정 시간, 및 검색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추가 목적지 또는 경유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guide at least one of destination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tag information, a route to the destination, a scheduled arrival time to the destination, and additional destination or destin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search data.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태그정보와 매칭된 경험 정보를 내비게이션 기능에 적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pplying the tag information to the navigation function.

본 발명에서, 상기 경험 정보는 최근 목적지, 즐겨찾기 및 관심 POI(Point Of Interes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erience information includes a recent destination, a favorite, and a POI of interes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는 오브젝트에 구비된 태그; 상기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인식하는 태그정보 인식부; 및 상기 태그정보 인식부에 의해 태그정보가 인식되면, 인식된 태그정보를 메인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동작 정보를 전달받으면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동작 정보에 따라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avigation setting device including: A tag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ag information from the tag;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recognized tag information to the main server when the tag information is recognized by the tag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and controlling the navig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in server upon receiv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main server, And a control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태그정보와 매칭된 목적지 정보, 목적지까지의 경로,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정 시간, 및 검색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추가 목적지 또는 경유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guide at least one of destination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tag information, a route to the destination, a scheduled arrival time to the destination, and additional destination or destin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search data.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태그정보와 매칭된 경험 정보를 내비게이션 기능에 적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pplying the tag information to the navigation function.

본 발명에서, 상기 경험 정보는 최근 목적지, 즐겨찾기 및 관심 POI(Point Of Interes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erience information includes a recent destination, a favorite, and a POI of interest.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교통정보를 반영한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 및 출발 필요 시간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guide the time required to the destination reflecting the traffic information and the time required for departure.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목적지와 연계된 부가 서비스를 전달받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receives and provides an additional service associated with a destination from the main server.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는 패턴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차량 단말로부터 태그정보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태그정보와 매칭된 동작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검출한 후, 검출된 동작 정보를 상기 차량 단말에 전달하는 제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avigation setting apparatus comprising: a database unit for storing pattern information; And a control server for receiving the tag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terminal, detecting operation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received tag information in the database,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vehicle terminal.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 서버는 태그정보가 인식된 시점의 환경정보와 상기 패턴정보에 따라 상기 동작 정보를 검출한 후, 검출한 상기 동작 정보를 상기 차량 단말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server detects the op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t the time when the tag information is recognized and the pattern information, and then transmits the detected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vehicle terminal.

본 발명에서, 상기 패턴정보는 탑승시간, 탑승장소, 하차시간, 하차장소, 탑승 후 하차 시까지의 주행 궤적 및 소요 시간, 하차 후 재탑승까지의 소요 시간, 하차 지점에서의 사용자 등록 지점 정보, 하차 지점에서의 사용자 검색 정보, 탑승지점에서 하차 지점까지의 동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ter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boarding time, a boarding place, a getting-off time, a getting-off place, a running locus and a required time until getting off after boarding, User search information at a point, and traveling information from a boarding point to a getting off point.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 서버는 태그정보와 매칭된 목적지 정보, 목적지까지의 경로,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정 시간, 및 검색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추가 목적지 또는 경유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차량 단말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server transmits at least one of destination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tag information, a route to the destination, a scheduled arrival time to the destination, and additional destination or waypoint information based on the search data to the vehicle terminal .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 서버는 태그정보와 매칭된 경험 정보를 상기 차량 단말에 전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server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he experience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tag information to the vehicle terminal.

본 발명에서, 상기 경험 정보는 최근 목적지, 즐겨찾기 및 관심 POI(Point Of Interes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erience information includes a recent destination, a favorite, and a POI of interest.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 서버는 교통정보를 반영한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 및 출발 필요 시간을 상기 차량 단말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server transfers the time required to the destination reflecting the traffic information and the time required for departure to the vehicle terminal.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 서버는 부가 서비스 서버와 연계하여 목적지와 연계된 부가 서비스를 상기 차량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server provides an additional service associated with a destination to the vehicle terminal in cooperation with an additional service serv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는 사용자가 소지한 오브젝트의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인식하여 인식된 태그정보와 매칭되는 동작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함으로써, 내비게이션 사용시 그 편의성을 향상시킨다.The navigation sett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ag information from a tag of an object held by a user and automatically sets operation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recognized tag information,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when using navig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의 서비스 개념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설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그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베이스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의 서비스 개념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설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그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베이스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service conceptual diagram of a navigation set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navigation set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navigation setting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king a database based on a ta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rvice conceptual diagram of a navigation set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of a navigation set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of a navigation setting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forming a database based on a ta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Hereinafter, a navigation se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Further,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의 서비스 개념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FIG. 1 is a service conceptual diagram of a navigation set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navigation se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는 태그(10) 및 차량 단말(2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navigation set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g 10 and a vehicle terminal 20.

태그(10)는 사용자가 소지한 오브젝트에 구비되며 각기 고유한 태그정보를 포함한다. 태그(10)는 사용자 및 오브젝트 별로 각각 마련된다. 따라서, 태그정보가 인식되면, 인식된 태그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및 오브젝트가 인식될 수 있다. The tag 10 is provided in an object held by a user and includes tag information unique to each object. The tag 10 is provided for each user and each object. Accordingly, when the tag information is recognized, the user and the object can be recognized based on the recognized tag information.

오브젝트(object)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물이다. 오브젝트에는 옷, 골프가방, 서류가방, 쇼핑백, 스마트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An object is an object possessed by a user. Objects may include clothes, golf bags, briefcases, shopping bags, smart phones, and the like.

태그정보는 해당 태그(10)에 형성된 식별정보이며, 태그 ID(IDentification) 등이 해당된다. The tag information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med in the tag 10, and corresponds to a tag ID (IDentification).

차량 단말(20)은 차량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한다. 제1 실시예에서의 차량 단말(20)로는 차량에 탑재된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채용될 수 있다.The vehicle terminal 20 is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provides various navigation functions to the user. A navigation system mounted on the vehicle can be employed as the vehicle terminal 20 in the first embodiment.

차량 단말(20)은 사용자가 오브젝트를 소지한 상태로 차량에 탑승하면 오브젝트에 구비된 태그의 태그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예를 들어 RFID 또는 블루투스 등을 통해 인식한다. The vehicle terminal 20 recognizes the tag information of the tag included in the object through a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RFID or Bluetooth when the user boarded the vehicle while holding the object.

이어 차량 단말(20)은 이 태그정보와 매칭된 동작 정보를 검출하고, 이 동작 정보에 따라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한다. Then, the vehicle terminal 20 detects the operation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tag information, and performs the navig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동작 정보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어 및 안내하기 위한 정보이다.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controlling and guiding the navigation function.

동작 정보에는 목적지 정보, 검색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추가 목적지 또는 경유지 정보, 경험 정보, 및 교통정보를 반영한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과 출발 필요 시간을 포함한다. 아울러, 차량 단말(20)은 상기한 목적지가 설정될 경우 목적지까지의 경로,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정 시간 등을 추가적으로 더 제공한다.Th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es destination information, additional destinations based on the search data, route information, experience information, and time required for departure to the destination reflecting the traffic information and time required for departure. In addition, when the destination is set, the vehicle terminal 20 further provides a route to the destination, a scheduled arrival time to the destination, and the like.

특히, 경험 정보는 사용자가 이전에 차량 단말(20)을 이용한 경험에 대한 정보이다. 경험 정보에는 최근 목적지, 즐겨찾기 및 관심 POI(Point Of Interest)가 포함된다. In particular, the experience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an experience that the user has previously used the vehicle terminal 20. Experience information includes recent destinations, favorites, and points of interest (POIs).

도 2 를 참조하면, 차량 단말(20)은 태그정보 인식부(21), 입력부(22), 출력부(23), 위치 감지부(24), 경로 탐색부(25), 저장부(26) 및 제어부(27)를 포함한다. 2, the vehicle terminal 20 includes a tag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21, an input unit 22, an output unit 23, a position sensing unit 24, a path search unit 25, a storage unit 26, And a control unit 27.

태그정보 인식부(21)는 사용자가 소지한 오브젝트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태그(10)로부터 태그정보를 인식한다. The tag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21 recognizes the tag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tag 10 provided in the object held by the user.

입력부(22)는 사용자의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 받아 제어부(27)에 입력한다. 입력부(22)는 사용자로부터 경로 탐색을 위한 목적지나 옵션 또는 메뉴 선택 등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특히, 입력부(22)는 출력부(23)를 통해 동작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표출되면, 표출된 동작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The input unit 22 receives user's various control commands and inputs them to the control unit 27. The input unit 22 can receive a destination, an option, a menu selection, and the like for route search from a user. In particular, when one or more of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through the output unit 23, the input unit 22 can select any one or more of the displayed operation information.

출력부(23)는 제어부(27)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출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사용자는 동작 정보를 선택할 수 있고, 현재 차량 단말(20)의 동작 상태 등을 인지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23 can display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27. [ Based on this, the user can select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can recognize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terminal 20 and the like.

일 예로, 출력부(23)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한다. 이를 위해, 출력부(23)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지도상에 표출함과 더불어 차량의 현재 위치를 지도에 매칭시켜 표출한다. 또한 출력부(23)는 상기한 바와 같이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화면으로 표출함과 더불어 음성으로도 안내하며, 추가적으로 경로 상에서의 각종 교통상황이나 안내 정보 등도 더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utput unit 23 guides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To this end, the output unit 23 displays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on the map, and expresse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by matching the map. In addition, the output unit 23 can display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as a screen as well as voice guidance, and further provide various traffic conditions and guide information on the route.

위치 감지부(24)는 차량의 현재 위치를 감지한다. 위치 감지부(24)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 채용될 수 있다.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거리 정보를 측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후,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하여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The position sensing unit 24 sense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module may be employed as the position sensing unit 24. [ The GPS module calculates time information measuring distance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and then calculates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by applying trigonometry to the calculated distance information.

경로 탐색부(25)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한다. 경로 탐색부(25)는 동작 정보에 따라 목적지가 설정되면, 위치 감지부(24)로부터 입력된 차량의 현재 위치 또는 입력부(22)로부터 입력된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한다. The path search unit 25 searches for a path to a destination. When the destination is set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the route searching unit 25 searches for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inputted from the position sensing unit 24 or the route from the position input from the input unit 22 to the destination.

저장부(26)는 경로 탐색을 위한 지도 정보를 저장한다. The storage unit 26 stores map information for path search.

제어부(27)는 태그정보 인식부(21)에 의해 태그정보가 인식되면, 인식된 태그정보와 매칭된 동작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동작 정보에 따라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어한다. When the tag information is recognized by the tag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21, the control unit 27 detects the operation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recognized tag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navig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detected operation information.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27)는 태그정보 인식부(21)에 의해 태그가 인식되면 태그가 인식된 시점의 환경정보와 패턴정보에 따라 동작 정보를 설정한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tag is recognized by the tag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21, the control unit 27 sets the op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pattern information at the time when the tag is recognized.

여기서, 환경정보는 태그가 인식된 시점의 시간정보와 위치정보이다. 환경정보에는 차량에 탑승한 탑승시간과 탑승장소, 차량에서 하차한 하차시간과 하차장소, 및 재탑승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environment information is time informa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at the time when the tag is recognized.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may include the boarding time and the boarding place on board the vehicle, the getting-off time and getting-off time from the vehicle, and the re-boarding time.

제어부(27)는 태그정보가 인식된 시점의 환경정보를 패턴정보와 비교하여 환경정보와 매칭된 패턴정보를 검출하고, 이 패턴정보를 토대로 동작 정보를 생성한다. 제어부(27)는 동작 정보에 따라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어하거나 내비게이션의 기능에 대응되는 정보를 출력한다. The control unit 27 compares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t the time when the tag information is recognized with the pattern information, detects the pattern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generates the oper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pattern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27 controls the navig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or outpu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of the navigation.

여기서, 패턴정보는 각 태그 정보별로 저장되며,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거나 하차하는 등의 이벤트를 토대로 패턴화된 정보이다. Here, the pattern information is stored for each tag information, and is patterned information based on an event such as a user boarding or getting off the vehicle.

태그정보 인식부(21)에 의해 태그정보가 인식되면, 제어부(27)는 해당 태그정보의 패턴정보 중에서 환경정보와 유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패턴정보를 해당 동작 정보로 설정한다. When the tag information is recognized by the tag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21, the control unit 27 sets, as corresponding operation information, the pattern information having relatively high similarity with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mong the pattern information of the tag information.

패턴정보에는 탑승시간, 탑승장소, 하차시간, 하차장소, 탑승 후 하차 시까지의 주행 궤적 및 소요 시간, 하차 후 재탑승까지의 소요 시간, 하차 지점에서의 사용자 등록 지점 정보, 하차 지점에서의 사용자 검색 정보, 탑승지점에서 하차 지점까지의 동승 정보가 포함된다. The patter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a boarding time, a boarding location, a getting-off time, a getting-off place, a running locus and a required time until getting off after boarding,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f getting from the boarding point to the getting off point.

따라서, 제어부(27)는 인식된 태그정보의 패턴정보 중 환경정보와 그 유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패턴정보를 검출하고, 이 패턴정보를 토대로 동작 정보를 설정한다. Therefore, the control unit 27 detects the pattern information having relatively high similarity to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mong the pattern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tag information, and sets the oper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pattern information.

일 예로, 제어부(27)는 태그정보와 매칭된 목적지 정보, 목적지까지의 경로,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정 시간, 및 검색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추가 목적지나 경유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부(23)를 통해 안내하여 입력부(22)를 통해 선택하도록 하거나, 목적지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7)는 해당 목적지까지의 경로 중 주요 선호 경로를 추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7 may transmit at least one of destination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tag information, a route to the destination, a scheduled arrival time to the destination, and additional destination or destin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search data to the output unit 23 Or through the input unit 22, or automatically set the destination.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7 can recommend the main preferred route among the routes to the destination.

더욱이, 제어부(27)는 해당 태그정보와 매칭된 경험 정보를 사전에 저장하며, 해당 태그정보가 인식되면 해당 태그정보와 매칭된 경험 정보를 출력부(23)를 통해 출력하거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적용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27 stores experiential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corresponding tag information in advance. When the tag information is recognized, the controller 27 outputs the experiential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tag information through the output unit 23 or applies it to the navigation system .

예를 들어, 태그정보가 인식되면 제어부(27)는 해당 태그정보와 매칭된 최근 목적지, 즐겨찾기 및 관심 POI(Point Of Interest)를 내비게이션 기능에 적용한다. 이후 사용자가 목적지를 설정하거나 경로를 안내할 경우, 제어부(27)는 최근 목적지, 즐겨찾기 및 관심 POI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 단말(20)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For example, when the tag information is recognized, the control unit 27 applies the latest destination, favorite, and POI (Point of Interest) matched with the tag information to the navigation function. Then, when the user sets a destination or guides the route, the control unit 27 provides at least one of a recent destination, a favorite, and a POI of interes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use the vehicle terminal 20.

특히, 태그정보와 경험 정보가 매칭될 경우, 복수의 사용자가 복수의 차량을 카쉐어링하더라도, 각 사용자는 자신의 오브젝트를 소지함으로써 상기한 경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한 사용자가 복수의 차량에 탑승하더라도 각 차량에서 자신의 경험 정보를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바, 차량 이용시 그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Particularly, when the tag information and the experience information are matched, even if a plurality of users car-share a plurality of vehicles, each user can set the experience information by holding his or her own object. Therefore, even if a user is aboard a plurality of vehicles, his or her experience information can be used equally in each vehicle, so that convenience in using the vehicle can be greatly improved.

한편, 제어부(27)는 차량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해당 이벤트 정보를 누적 저장하여 패턴정보를 생성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27 accumulates corresponding event information every time a specific event occurs in the vehicle, and generates pattern information.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27)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이 이벤트를 인식하여 이벤트 정보를 생성한다. 이 경우, 제어부(27)는 이들 이벤트 정보를 반복적으로 누적 저장하여 패턴화시켜 상기한 패턴정보를 생성한다. 이 경우, 이벤트 정보는 패턴정보로 가공 및 저장될 수 있는 정보이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7 recognizes the event whenever a specific event occurs, and generates event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7 repeatedly cumulatively stores these event information and patterns them to generate the above-mentioned pattern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event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can be processed and stored as the pattern information.

예를 들어, 제어부(27)는 태그정보 인식부(21)에 의해 태그정보가 인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오브젝트를 소지한 채 차량을 이용할 때의 이벤트 정보를 저장한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7 stores event information when the user uses the vehicle while the tag information is recognized by the tag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21 while the user holds the object.

예를 들어, 제어부(27)는 오브젝트를 소지하고 운행한 경로를 저장하거나, 운전자가 오브젝트를 가지고 차량에 탑승한 탑승장소와 탑승시간, 하차장소와 하차시간, 재탑승 시간 등을 패턴정보로 저장한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7 may store the route in which the object is carried and stores the traveled place where the driver holds the object, the boarding time, the getting-off place and the getting-off time, do.

패턴 정보는 이벤트 정보가 생성될 때마다 계속 업데이트되며, 이들 이벤트 정보가 생성된 주기 및 빈도 등이 포함된 정보로 구성된다. The pattern information is continuously updated every time the event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is composed of information including the period and frequency of generation of the event information.

이 경우, 제어부(27)는 주기와 빈도를 토대로 패턴정보의 중복 횟수 및 빈도수를 확인하고, 이 중복 횟수 및 빈도수를 토대로 해당 패턴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한다.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7 confirms the number of repetition and frequency of the pattern information based on the repetition period and the repetition frequency, and secures the reliability of the repetition pattern information based on the repetition count and the repetition frequency.

아울러, 제어부(27)는 태그가 입력되면 이 태그를 기반으로 한 동작정보를 제공함과 더불어, 차량 운행에 따른 해당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패턴 정보를 계속 업데이트한다. In addition, when the tag is input, the controller 27 provides the oper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tag, and updates the pattern information using the ev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operation.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설정 방법을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navigation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동작 정보 중 목적지를 설정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동작 정보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For reference, setting the destination of the operation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this embodiment. However,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operation information.

도 3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설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3 is a flowchart of a navigation setting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을 참조하면, 태그(10)가 구비된 오브젝트를 구비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면, 태그정보 인식부(21)는 태그(10)로부터 태그정보를 인식한다(S110).Referring to FIG. 3, when a user having an object equipped with the tag 10 is boarded on the vehicle, the tag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21 recognizes the tag information from the tag 10 (S110).

태그정보 인식부(21)에 의해 태그정보가 인식되면, 제어부(27)는 태그정보가 인식된 시점의 환경정보 예를 들어, 시간정보와 위치정보를 해당 태그정보의 패턴정보와 비교하여 그 유사도를 토대로 목적지를 검출한다(S112). When the tag information is recognized by the tag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21, the control unit 27 compares the time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with the patter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ag information, (S112).

예를 들어, 제어부(27)는 해당 태그의 패턴정보 중에서 패턴정보, 예를 들어 탑승시간, 탑승장소, 하차시간, 하차장소, 탑승 후 하차 시까지의 주행 궤적 및 소요 시간, 하차 후 재탑승까지의 소요 시간, 하차 지점에서의 사용자 등록 지점 정보, 하차 지점에서의 사용자 검색 정보, 탑승지점에서 하차 지점까지의 동승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목적지를 설정한다(S114).For example, the controller 27 determines pattern information of the tag, for example, the boarding time, the boarding place, the getting-off time, the getting-off place, the running locus and the required time until getting off after boarding, The destination is set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required time, the user registration point information at the getting-off point, the user search information at the getting-off point, and the carry-in information from the boarding point to the getting off point (S114).

이 경우, 제어부(27)는 상기한 목적지를 자동으로 설정할 뿐만 아니라, 태그정보와 매칭된 목적지 정보, 및 검색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추가 목적지 또는 경유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부(23)를 통해 안내하여 입력부(22)를 통해 선택하도록 하거나, 목적지까지의 경로 중 주요 선호 경로를 추천하거나 자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7 not only sets the destination automatically, but also transmits at least one of the destin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tag information and the additional destination or waypoint information based on the search data through the output unit 23 And may be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22, or a main preferred route among the routes to the destination may be recommended or automatically set.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목적지가 설정됨에 따라, 제어부(27)는 위치 감지부(24)에 의해 감지된 현재위치에 따라 경로 탐색부(25)를 통해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고,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출력부(23)를 통해 지도상에 표출함과 더불어 차량의 현재 위치를 지도에 매칭시켜 출력함으로써,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한다(S116). 이 경우, 제어부(27)는 설정된 목적지를 기반으로 목적지까지의 경로 및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정 시간 등을 안내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27 searches for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through the route search unit 25 according to the current position sensed by the position sensing unit 24, The route is displayed on the map through the output unit 23, and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is matched to the map and outputted to guide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S116).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7 may guide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and the estimated arrival time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set destination.

이 외에도, 제어부(27)는 태그가 인식되면 해당 태그와 매칭된 경험 정보를 출력부(23)를 통해 출력하거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7)는 태그정보에 매칭된 최근 목적지, 즐겨찾기 및 관심 POI를 내비게이션 기능에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tag is recognized, the control unit 27 may output the experience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tag through the output unit 23 or apply it to the navigation system.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7 may apply the latest destination, favorite, and POI of interest matched to the tag information to the navigation function.

도 4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그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베이스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king a database based on a ta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를 참조하면, 태그(10)가 구비된 오브젝트를 구비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면, 태그정보 인식부(21)는 태그(10)로부터 태그정보를 인식한다(S120).Referring to FIG. 4, when a user having an object equipped with the tag 10 is boarded on the vehicle, the tag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21 recognizes the tag information from the tag 10 (S120).

이와 같이 태그정보가 인식된 상태에서, 제어부(27)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해당 이벤트 정보를 생성한다. 이 경우, 제어부(27)는 이들 이벤트 정보를 반복적으로 누적 저장하여 정형화시켜 상기한 패턴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패턴정보를 누적 저장한다(S122). In a state where the tag information is recogniz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27 generates corresponding event information each time an event occurs.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7 repeatedly cumulatively stores these event information to form the above-described pattern information, and cumulatively stores the generated pattern information (S122).

예를 들어, 제어부(27)는 오브젝트를 소지한 운전자가 운행한 경로, 탑승장소, 탑승시간, 하차장소, 하차시간, 재탑승 시간 등을 패턴정보로 저장한다. 이 경우, 제어부(27)는 상기한 패턴 정보를 계속 업데이트한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7 stores the route, the boarding place, the boarding time, the getting-off place, the getting-off time, the re-boarding tim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7 continuously updates the above-described pattern information.

여기서, 태그정보를 토대로 동작 정보를 검출하는 것과 패턴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은 별개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27)는 태그를 인식할 때마다 이들을 동시에 수행하거나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Here, the detection of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updating of the pattern information are not separately performed based on the tag information, and the control unit 27 may simultaneously perform these operations each time the tag is recognized or selectively perform any one of them .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를 도 5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navigation set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FIG.

도 5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의 서비스 개념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FIG. 5 is a service conceptual diagram of a navigation set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block diagram of a navigation set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part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는 태그(10), 차량 단말(20), 메인 서버(30) 및 부가 서비스 서버(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5, a navigation set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g 10, a vehicle terminal 20, a main server 30, and an additional service server 40.

태그(10)는 사용자가 소지한 오브젝트에 구비되며 각기 고유한 태그(10)를 포함한다. The tag 10 is provided in an object held by a user and includes a tag 10 unique to each object.

차량 단말(20)은 차량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한다. 차량 단말(20)은 스마트폰 등에 구비된 통신형 내비게이션 시스템 등이 채용될 수 있다.The vehicle terminal 20 is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provides various navigation functions to the user. The vehicle terminal 20 may be a communication type navigation system provided in a smart phone or the like.

차량 단말(20)은 사용자의 오브젝트에 구비된 태그(10)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예를 들어 RFID 또는 블루투스 등을 통해 인식한다. The vehicle terminal 20 recognizes the tag 10 provided in the user's object through a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example, RFID or Bluetooth.

이어 차량 단말(20)은 이 태그정보를 메인 서버(30)에 전달하고, 이후 메인 서버(30)로부터 동작 정보를 전달받는다. 동작 정보가 전달됨에 따라, 차량 단말(20)은 동작 정보에 따라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며, 이 경우 동작 정보를 토대로 다양한 부가 서비스도 제공한다. Then, the vehicle terminal 20 transmits the tag information to the main server 30, and then receives the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main server 30. As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e vehicle terminal 20 provides the navig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in this case, also provides various additional services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메인 서버(30)는 차량 단말(20)로부터 태그정보가 전달되면 태그정보와 매칭된 동작 정보를 검출한 후, 검출된 동작 정보를 차량 단말(20)에 전달한다. 이 경우, 메인 서버(30)는 부가 서비스 서버(40)와 연동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부가 서비스 정보를 차량 단말(20)에 제공할 수 있다. The main server 30 detects the operation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tag information when the tag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20, and then transmits the detected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vehicle terminal 20. In this case, the main server 30 can detect various supplementary service inform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supplementary service server 40, and provide the detected supplementary service information to the vehicle terminal 20.

도 6 을 참조하면, 차량 단말(20)은 태그정보 인식부(21), 입력부(21), 출력부(23), 위치 감지부(24) 및 제어부(28)를 포함한다. 6, the vehicle terminal 20 includes a tag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21, an input unit 21, an output unit 23, a position sensing unit 24, and a control unit 28.

여기서, 태그정보 인식부(21), 입력부(21), 출력부(23) 및 위치 감지부(24)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 the tag information recognizing unit 21, the input unit 21, the output unit 23, and the position sensing unit 24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어부(28)는 태그정보 인식부(21)에 의해 태그정보가 인식되면, 인식된 태그정보를 메인 서버(30)에 전달하고, 메인 서버(30)로부터 동작 정보를 전달받으면 메인 서버(30)로부터 전달받은 동작 정보에 따라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어한다. When the tag information is recognized by the tag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21, the control unit 28 transmits the recognized tag information to the main server 30. When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ain server 30, And controls the navig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navigation device.

예를 들어, 제어부(28)는 태그정보와 매칭된 목적지 정보, 목적지까지의 경로,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정 시간, 및 검색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추가 목적지 또는 경유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부(23)를 통해 안내하여 입력부(21)를 통해 선택하도록 하거나, 해당 목적지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8)는 해당 목적지까지의 경로 중 주요 선호 경로를 추천하거나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8 may output at least one of destination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tag information, a route to the destination, a scheduled arrival time to the destination, and additional destination or destin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search data, Or through the input unit 21, or can set the destination automatically.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8 may recommend or automatically set the main preferred route among the routes to the destination.

더욱이, 제어부(28)는 해당 태그정보와 매칭된 경험 정보를 사전에 저장하며, 해당 태그(10)가 인식되면 해당 태그정보와 매칭된 경험 정보를 출력부(23)를 통해 출력하거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적용한다. The control unit 28 previously stores the experience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tag information. When the tag 10 is recognized, the controller 28 outputs the experience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tag information through the output unit 23, or outputs it to the navigation system To be applied.

예를 들어, 제어부(28)는 태그정보와 매칭된 최근 목적지, 즐겨찾기 및 관심 POI를 내비게이션 기능에 적용함으로써, 이후 사용자가 목적지를 설정하거나 경로를 안내할 경우, 최근 목적지, 즐겨찾기 및 관심 POI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 단말(20)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sets a destination or guides a route by applying the latest destination, favorite and interest POI matched with the tag information to the navigation function, the control unit 28 transmits the latest destination, favorite, and interested POI So that the user can easily use the vehicle terminal 20.

또한, 제어부(28)는 태그정보가 인식된 상태에서 이벤트가 인식될 때마다 해당 이벤트 정보를 메인 서버(30)에 전달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28 transmits the event information to the main server 30 whenever the event is recognized while the tag information is recognized.

메인 서버(30)는 경로 탐색부(31), 데이터베이스부(32) 및 제어 서버(33)를 포함한다.The main server 30 includes a path search unit 31, a database unit 32, and a control server 33. [

경로 탐색부(31)는 차량 단말(20)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현재 위치를 토대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한 경로를 제어 서버(33)에 입력한다. The route search section 31 searches for a route to a destination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sensed by the vehicle terminal 20 and inputs the search route to the control server 33. [

데이터베이스부(32)는 태그정보 및 각 태그정보의 패턴정보를 저장한다. The database unit 32 stores tag information and pattern information of each tag information.

제어 서버(33)는 차량 단말(20)로부터 태그정보가 전달되면 데이터베이스부(32)를 이용하여 태그정보와 매칭된 동작 정보를 검출하고, 이 동작 정보를 차량 단말(20)에 전달한다. 여기서, 제어 서버(33)가 태그정보를 기반으로 태그정보와 매칭된 동작 정보를 검출하는 것은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When the tag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20, the control server 33 detects the operation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tag information by using the database unit 32, and transmits the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vehicle terminal 20. Here, the control server 33 detects the operation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tag information based on the tag informa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한편, 제어 서버(33)는 차량 단말(20)로부터 이벤트 정보가 전달되면, 이 이벤트 정보를 상기한 패턴정보로 생성 및 누적 저장한다. 여기서, 제어 서버(33)가 이벤트 정보를 패턴정보로 누적 저장하는 것은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ve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20, the control server 33 generates and accumulates the event information with the pattern information. Here, the control server 33 accumulates event information as pattern information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더욱이, 제어 서버(33)는 부가 서비스 서버(40)와 연동하여 목적지와 연계된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생성한다. Furthermore, the control server 33 generates supplementary service information linked with the destination by interlocking with the supplementary service server 40.

특히, 부가 서비스 정보는 목적지와 연계된 서비스 정보이다. 일 예로, 부가 서비스 정보에는 목적지가 쇼핑과 관련된 지점일 경우의 할인 정보 또는 쇼핑 리스트에 대한 쇼핑 정보, 및 예약과 관련된 지점일 경우의 예약 정보 또는 예약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supplementary service information is servic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destination. For example, the supplementary service information may include discount information when the destination is a point related to shopping or shopping information on the shopping list, and reservation information or reservation message when the destination is a point related to the reservation. In addition, various additional services may be further included.

부가 서비스 서버(40)는 메인 서버(30)로부터 목적지와 연계된 부가 서비스 정보 제공을 요청 받으면, 해당 목적지와 연계된 부가 서비스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부가 서비스 정보를 메인 서버(30)에 전달한다. When the supplementary service server 40 is requested to provide the supplementary servic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destination from the main server 30, the supplementary service server 40 detects the supplementary servic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destination and transmits the detected supplementary service information to the main server 30 do.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설정 방법을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navigation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동작 정보 중 목적지를 설정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동작 정보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For reference, setting the destination of the operation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this embodiment. However,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operation information.

도 7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설정 방법의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of a navigation setting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을 참조하면, 태그(10)가 구비된 오브젝트를 구비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면, 태그정보 인식부(21)는 태그(10)의 태그정보를 인식한다(S210).Referring to FIG. 7, when a user having an object equipped with the tag 10 is boarded on the vehicle, the tag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21 recognizes the tag information of the tag 10 (S210).

태그정보 인식부(21)에 의해 태그정보가 인식됨에 따라, 제어부(28)는 인식된 태그정보를 메인 서버(30)에 전달한다(S212).As the tag information is recognized by the tag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21, the control unit 28 transmits the recognized tag information to the main server 30 (S212).

메인 서버(30)의 제어 서버(33)는 태그(10)가 인식된 시점의 시간정보와 위치정보와 같은 환경정보를 패턴정보와 비교하여 환경정보와 유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목적지를 검출한다(S214). The control server 33 of the main server 30 compares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the time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at the time when the tag 10 is recognized with the pattern information and detects a destination having a relatively high degree of similarity with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S214 ).

이 경우, 제어 서버(33)는 해당 태그(10)의 패턴정보 중에서 패턴정보, 예를 들어 탑승시간, 탑승장소, 하차시간, 하차장소, 탑승 후 하차 시까지의 주행 궤적 및 소요 시간, 하차 후 재탑승까지의 소요 시간, 하차 지점에서의 사용자 등록 지점 정보, 하차 지점에서의 사용자 검색 정보, 탑승지점에서 하차 지점까지의 동승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목적지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server 33 determines pattern information of the tag 10, for example, the boarding time, the boarding place, the getting-off time, the getting-off place, The destination can be automatically set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time taken until boarding, user registration point information at the getting-off point, user search information at the getting-off point, and moving information from the boarding point to the getting off point.

이 경우, 제어 서버(33)는 상기한 목적지를 자동으로 설정할 뿐만 아니라, 태그정보와 매칭된 목적지 정보, 목적지까지의 경로,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정 시간, 및 검색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추가 목적지 또는 경유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부(23)를 통해 안내하여 입력부(21)를 통해 선택하도록 하거나, 목적지까지의 경로 중 주요 선호 경로를 추천하거나 자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server 33 not only sets the destination automatically, but also adds destination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tag information, a route to the destination, a scheduled arrival time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can be guided through the output unit 23 and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21, or a main preferred route among the routes to the destination can be recommended or automatically set.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목적지가 설정됨에 따라, 제어 서버(33)는 해당 목적지를 차량 단말(20)에 전달한다(S216). On the other hand, as the destination is set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server 33 transmits the destination to the vehicle terminal 20 (S216).

이에 따라, 차량 단말(20)의 제어부(28)는 위치 감지부(24)에 의해 감지된 현재위치에 따라 경로 탐색부(31)를 통해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고,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출력부(23)를 통해 지도상에 표출함과 더불어 차량의 현재 위치를 지도에 매칭시켜 출력함으로써,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한다(S218). The control unit 28 of the vehicle terminal 20 searches for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through the route searching unit 31 according to the current position sensed by the position sensing unit 24 and outputs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Step S218). In step S218,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is displayed by match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with the map and outputting it.

한편, 제어 서버(33)는 상기한 바와 같이 태그정보가 전달됨에 따라 해당 태그정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동작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바, 부가 서비스 서버(40)에 목적지와 연계된 부가 서비스 정보를 요청한다(S220).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server 33 can provide various oper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corresponding tag information as the tag information is transmitted. Accordingly, the control server 33 can provide additional servic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destination to the supplementary service server 40 (S220).

부가 서비스 정보를 요청받은 부가 서비스 서버(40)는 목적지와 연계된 부가 서비스 정보를 검출하고(S222), 이 부가 서비스 정보를 제어 서버(33)에 전달한다(S224).The supplementary service server 40 that has received the supplementary service information detects the supplementary servic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destination (S222), and transfers the supplementary service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33 (S224).

이 경우 부가 서비스 서버(40)는 목적지가 쇼핑과 관련된 지점일 경우 할인 정보 또는 쇼핑 리스트에 대한 쇼핑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목적지가 예약과 관련된 지점일 경우의 목적지에 대한 예약 정보 또는 예약 메시지 등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upplementary service server 40 can provide discount information or shopping information for a shopping list when the destination is a point related to shopping, reservation information or a reservation message for a destination when the destination is a point related to reservation Can be provided.

제어 서버(33)는 부가 서비스 서버(40)로부터 전달받은 부가 서비스 정보를 차량 단말(20)에 전달하고(S226), 제어부(28)는 메인 서버(30)로부터 전달받은 해당 부가 서비스 정보를 출력한다(S228).The control server 33 transmits the additional servi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dditional service server 40 to the vehicle terminal 20 at step S226 and the control unit 28 outputs the additional servi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in server 30 (S228).

추가적으로, 제어 서버(33)는 태그(10)가 인식되면 해당 태그정보와 매칭된 경험 정보를 검출하고, 이 경험 정보를 차량 단말(20)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단말(20)은 해당 경험 정보를 출력하거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단말(20)의 제어부(28)는 태그정보에 매칭된 최근 목적지, 즐겨찾기 및 관심 POI를 내비게이션 기능에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tag 10 is recognized, the control server 33 can detect the experience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tag information, and can transmit the experience information to the vehicle terminal 20. In this case, the vehicle terminal 20 can output the experience information or apply it to the navigation system.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8 of the vehicle terminal 20 may apply the latest destination, favorite, and POI of interest matched to the tag information to the navigation function.

도 8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그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베이스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forming a database based on a ta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을 참조하면, 태그(10)가 구비된 오브젝트를 구비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면, 차량 단말(20)의 태그정보 인식부(21)는 태그(10)의 태그정보를 인식한다(S230).8, when a user having an object equipped with the tag 10 is boarded on the vehicle, the tag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21 of the vehicle terminal 20 recognizes the tag information of the tag 10 (S230 ).

태그정보가 인식됨에 따라, 제어부(28)는 해당 태그정보를 메인 서버(30)에 전달한다(S232).As the tag information is recognized, the control unit 28 transmits the tag information to the main server 30 (S232).

이와 같이 태그정보가 인식된 상태에서, 제어부(28)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이 이벤트를 인식하여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벤트 정보를 메인 서버(30)에 전달한다(S234,S236). When the tag information is recognized, the controller 28 recognizes the event every time an event occurs, generates event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event information to the main server 30 (S234, S236).

이 경우, 제어 서버(33)는 이들 이벤트 정보를 반복적으로 누적 저장하고 정형화시켜 상기한 패턴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패턴정보를 누적 저장한다(S238). In this case, the control server 33 repeatedly accumulates and stores these event information, forms the above pattern information, and cumulatively stores the generated pattern information (S238).

예를 들어, 제어 서버(33)는 오브젝트를 소지한 운전자가 운행한 경로, 탑승장소, 탑승시간, 하차장소, 하차시간, 재탑승 시간 등을 패턴정보로 저장한다. 이 경우, 제어 서버(33)는 상기한 이벤트 정보를 계속 업데이트하고, 이때 태그(10)를 기반으로 저장된 패턴정보의 중복 횟수 및 빈도수 등을 확인하여 이 중복 횟수 및 빈도수를 토대로 해당 패턴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한다. For example, the control server 33 stores the route, the boarding place, the boarding time, the getting-off place, the getting-off time, the re-boarding time, In this case, the control server 33 continuously updates the above-described event information, checks the number of repetition and frequency of the pattern information stored on the basis of the tag 10 at this time, Ensure reliability.

여기서, 태그(10)를 토대로 동작 정보를 검출하는 것과 패턴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은 별개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제어 서버(33)는 태그(10)를 인식할 때마다, 태그정보와 매칭된 동작 정보를 검출할 뿐만 아니라, 차량 운행에 따른 해당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패턴 정보를 계속 업데이트한다. Here, the detection of the oper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tag 10 and the updating of the pattern information are not separately performed. Each time the control server 33 recognizes the tag 10, the oper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tag information And continuously updates the pattern information using the ev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oper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는 운전자의 오브젝트를 인식하여 인식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기 등록된 목적지를 자동으로 설정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As described above, the navigation set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an object of a driver and automatically sets a pre-registered destin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object, thereby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태그 20: 차량 단말
21: 태그정보 인식부 22: 입력부
23: 출력부 24: 위치 감지부
25,32: 경로 탐색부 26: 저장부
27,28: 제어부 30: 메인 서버
31: 데이터베이스부 33: 제어 서버
40: 부가 서비스 서버
10: Tag 20: Vehicle terminal
21: tag information recognition section 22: input section
23: output unit 24: position sensing unit
25, 32: path search unit 26: storage unit
27, 28: control unit 30: main server
31: Database part 33: Control server
40: Additional service server

Claims (21)

오브젝트에 구비된 태그;
상기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인식하는 태그정보 인식부; 및
상기 태그정보 인식부에 의해 태그정보가 인식되면, 인식된 태그정보와 매칭된 동작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동작 정보에 따라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
A tag included in the object;
A tag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ag information from the tag; And
And a controller for detecting operation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recognized tag information when the tag information is recognized by the tag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and controlling the navig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detected operation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태그정보가 인식되면 태그정보가 인식된 시점의 환경정보와 상기 패턴정보에 따라 상기 동작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
The navigation sett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when the tag information is recognized, the controller sets the op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t the time when the tag information is recognized and the pattern informa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정보는 탑승시간, 탑승장소, 하차시간, 하차장소, 탑승 후 하차 시까지의 주행 궤적 및 소요 시간, 하차 후 재탑승까지의 소요 시간, 하차 지점에서의 사용자 등록 지점 정보, 하차 지점에서의 사용자 검색 정보, 탑승지점에서 하차 지점까지의 동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atter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boarding time, a boarding place, a getting-off time, a getting-off place, a running locus and a required time until getting off after boarding, , User search information at the getting-off point, and moving-in information from the boarding point to the getting-off poin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태그가 인식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이벤트를 인식하고, 인식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패턴정보를 생성 및 누적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
4. The navigation se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controller recognizes a predetermined event in a state in which the tag is recognized, and generates and accumulates the patter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cognized ev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태그정보와 매칭된 목적지 정보, 목적지까지의 경로,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정 시간, 및 검색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추가 목적지 또는 경유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guides at least one of destination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tag information, a route to the destination, a scheduled arrival time to the destination, and additional destination or destin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search data.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태그정보와 매칭된 경험 정보를 내비게이션 기능에 적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
2. The navigation sett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further applies the experience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tag information to the navigation func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험 정보는 최근 목적지, 즐겨찾기 및 관심 POI(Point Of Interes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
7. The navigation se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experience information includes a recent destination, a favorite, and a POI of interest.
오브젝트에 구비된 태그;
상기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인식하는 태그정보 인식부; 및
상기 태그정보 인식부에 의해 태그정보가 인식되면, 인식된 태그정보를 메인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동작 정보를 전달받으면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동작 정보에 따라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
A tag included in the object;
A tag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ag information from the tag; And
When the tag information is recognized by the tag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transmits the recognized tag information to the main server, and when receiv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main server, controls the navig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in server Comprising a navigation setting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태그정보와 매칭된 목적지 정보, 목적지까지의 경로,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정 시간, 및 검색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추가 목적지 또는 경유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guide at least one of destination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tag information, a route to the destination, a scheduled arrival time to the destination, and additional destination or waypoint information based on the search data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태그정보와 매칭된 경험 정보를 내비게이션 기능에 적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
9. The navigation setting device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ler further applies the experience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tag information to the navigation func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경험 정보는 최근 목적지, 즐겨찾기 및 관심 POI(Point Of Interes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
11. The navigation se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experience information includes a recent destination, a favorite, and a POI of interes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교통정보를 반영한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 및 출발 필요 시간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
9. The navigation se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controller guides the required time to the destination reflecting the traffic information and the required time for departur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목적지와 연계된 부가 서비스를 전달받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
The navigation setting device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ler receives and provides an additional service associated with a destination from the main server.
패턴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차량 단말로부터 태그정보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태그정보와 매칭된 동작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검출한 후, 검출된 동작 정보를 상기 차량 단말에 전달하는 제어 서버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
A database unit for storing pattern information; And
And a control server that receives tag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terminal, detects operation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received tag information in the database, and transmits the detected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vehicle terminal.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태그정보가 인식된 시점의 환경정보와 상기 패턴정보에 따라 상기 동작 정보를 검출한 후, 검출한 상기 동작 정보를 상기 차량 단말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
15. The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control server detects the op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t the time when the tag information is recognized and the pattern information, and then transmits the detected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vehicle terminal Setting devic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정보는 탑승시간, 탑승장소, 하차시간, 하차장소, 탑승 후 하차 시까지의 주행 궤적 및 소요 시간, 하차 후 재탑승까지의 소요 시간, 하차 지점에서의 사용자 등록 지점 정보, 하차 지점에서의 사용자 검색 정보, 탑승지점에서 하차 지점까지의 동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patter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boarding time, a boarding place, a getting-off time, a getting-off place, a running locus and a required time until getting off after boarding, , User search information at the getting-off point, and moving-in information from the boarding point to the getting-off point.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태그정보와 매칭된 목적지 정보, 목적지까지의 경로,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정 시간, 및 검색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추가 목적지 또는 경유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차량 단말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
1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control server transmits at least one of destination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tag information, a route to the destination, a scheduled arrival time to the destination, and additional destination or waypoint information based on the search data to the vehicle terminal And transmits the navigation setting information.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태그정보와 매칭된 경험 정보를 상기 차량 단말에 전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
15. The navigation se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control server further transmits the experience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tag information to the vehicle terminal.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경험 정보는 최근 목적지, 즐겨찾기 및 관심 POI(Point Of Interes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
18. The navigation se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experience information includes a recent destination, a favorite, and a POI of interest.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교통정보를 반영한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 및 출발 필요 시간을 상기 차량 단말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
15. The navigation se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control server delivers the required time to the destination reflecting the traffic information and the required time for departure to the vehicle terminal.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부가 서비스 서버와 연계하여 목적지와 연계된 부가 서비스를 상기 차량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설정 장치.
15. The navigation se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control server provides an additional service associated with a destination to the vehicle terminal in cooperation with an additional service server.
KR1020160127094A 2016-09-30 2016-09-30 Navigation setting apparatus KR1025851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094A KR102585169B1 (en) 2016-09-30 2016-09-30 Navigation set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094A KR102585169B1 (en) 2016-09-30 2016-09-30 Navigation set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439A true KR20180036439A (en) 2018-04-09
KR102585169B1 KR102585169B1 (en) 2023-10-05

Family

ID=61977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094A KR102585169B1 (en) 2016-09-30 2016-09-30 Navigation set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16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5494A (en) * 2004-11-24 2006-06-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upport device for destination setting
JP2008293102A (en) * 2007-05-22 2008-12-04 Denso Corp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vehicle-side device, center-side device, user-side device and program
JP2014157093A (en) * 2013-02-15 2014-08-28 Aisin Aw Co Ltd Navigation system, navigation method, and navigation progra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5494A (en) * 2004-11-24 2006-06-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upport device for destination setting
JP2008293102A (en) * 2007-05-22 2008-12-04 Denso Corp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vehicle-side device, center-side device, user-side device and program
JP2014157093A (en) * 2013-02-15 2014-08-28 Aisin Aw Co Ltd Navigation system, navigation method, and navigation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169B1 (en)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7748B2 (en) Navigation device, server device for navigation system, destination esti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destination estimation processing program
CN102027325B (en)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etection that a parking facility is sought
US20110022305A1 (en) Car navigation apparatus,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a car navigation system
EP148458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ravel route in navigation system
US20120310520A1 (en) Route calculation apparatus
JP2009109329A (en) Navigation system
JP5954941B2 (en) Navigation system, navigation device, an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US20140046594A1 (en) Mobile-body navigation device and mobile-body navigation system
JP2007071665A (en) Navigation system
US20220164737A1 (en) Vehicle dispatch service boarding loca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vehicle dispatch service boarding location determination device
JP2019144028A (en) Electronic device
JP5083264B2 (en) Traffic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KR20050050361A (en)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guide path considered user freference
JP4654968B2 (en) Navigation device
JP6037817B2 (en) Portable navigation device and navigation method
JP2011209151A (en) Navigation apparatus
KR102585169B1 (en) Navigation setting apparatus
KR100451439B1 (en) Navigation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motor vehicle
JP2012160077A (en) Traffic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JP4289211B2 (en) Route guidance device
JP5142044B2 (en) Vehicle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vehicle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KR20070099727A (en) Method for searching multi-path and information of navigation system
JP3864733B2 (en) Navigation system, information center and in-vehicle device
KR101614726B1 (en) Navigation system, navigation apparatus and controling method thereof
WO2022201722A1 (en) Information display program,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