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6237A - 셀 밸런싱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셀 밸런싱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237A
KR20180036237A KR1020160126574A KR20160126574A KR20180036237A KR 20180036237 A KR20180036237 A KR 20180036237A KR 1020160126574 A KR1020160126574 A KR 1020160126574A KR 20160126574 A KR20160126574 A KR 20160126574A KR 20180036237 A KR20180036237 A KR 20180036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cell balancing
balancing
switch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7423B1 (ko
Inventor
김학인
윤석진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126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423B1/ko
Publication of KR20180036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02J7/0019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using switched or multiplexed charge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G01R31/387Determining ampere-hour charge capacity or SoC
    • G01R31/388Determining ampere-hour charge capacity or SoC involving voltage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1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9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02J7/007194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of the battery
    • H02J7/04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 밸런싱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각 셀의 셀 밸런싱을 수행하는 부품들의 주변온도를 측정하고 셀 밸런싱을 제어하여 셀 밸런싱 시 부품들의 발열로 인하여 발생되는 배터리 팩의 손상을 방지하는 셀 밸런싱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셀 밸런싱 제어장치 및 방법{CELL BALANC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셀 밸런싱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각 셀의 셀 밸런싱을 수행하는 부품들의 주변온도를 측정하고 셀 밸런싱을 제어하여 셀 밸런싱 시 부품들의 발열로 인하여 발생되는 배터리 팩의 손상을 방지하는 셀 밸런싱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튬이온전지 등과 같은 배터리는 다양한 전자기기의 전력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배터리(팩)는 단위 셀(cell)이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복수 개의 셀은 사용에 따른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쿨롱 효율 및 용량에서 기인하는 개별적인 동적 상태의 차이에 의해 충전전압이 서로 달라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로 인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이 다른 셀들보다 훨씬 낮은 상태의 충전전압을 가지는 경우, 배터리 전체의 방전 능력을 영구적으로 제한되게 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이 다른 셀들보다 훨씬 높은 충전전압을 가지는 경우, 배터리 전체의 충전량이 영구적으로 제한되게 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만약 하나의 셀이 최저 충전전압의 한계 값을 갖는 상태이고, 다른 어느 하나의 셀이 최고 충전전압의 한계 값을 갖는 상태이면 모든 다른 셀들이 적당한 충전전압을 가지고 있더라도 상기 배터리는 충전뿐만 아니라 방전도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셀의 충/방전을 반복하는 경우에도 셀 전압 간에 불균형이 발생하며, 그로 인하여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고 배터리 셀의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배터리 팩은 셀 밸런싱이 필요한데, 일반적인 셀 밸런싱은 높은 셀의 전압을 소모시켜 다른 셀들과의 전압 편차를 감소시킨다. 이때, 빠른 셀 밸런싱을 수행하기 위하여 큰 전류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저항, 스위치 및 기판에서는 열이 발생하게 되며, 여기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부품에 흐르는 전류에 비례하여 큰 전류 사용 시 많은 열이 발생되고 이러한 발열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상기 부품과 기판의 크기를 키우는 방안은 한계가 있다.
또한, 발열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작은 전류로 셀 밸런싱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셀 밸런싱을 통해 셀 간 전압편차가 감소하는 것보다 셀의 퇴화로 인하여 늘어나는 셀 간 전압편차가 크므로 셀 밸런싱을 수행하는 다른 방안이 필요로 하다.
KR 2016-0080381 A
본 발명은 한정된 크기의 부품과 큰 전류를 이용하여 빠르고 안전하게 셀 밸런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셀 밸런싱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 밸런싱 제어장치는 배터리 팩에 구성되는 복수개의 셀의 밸런싱을 제어하는 셀 밸런싱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셀의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각 셀에 셀 밸런싱이 필요한지 판단하여 해당 셀에 셀 밸런싱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하나의 셀의 양(+)전극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해당 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온/오프하는 스위치, 일단이 상기 스위치와 연결되고 타단은 셀의 음(-)전극과 연결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와 하나의 셀의 음(-)전극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감소시키는 저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셀 밸런싱 수행 시 해당 셀에 구성되어 있는 상기 스위치를 온 시켜 해당 셀의 전류가 상기 저항에 흘러 감소되도록 하고, 셀 밸런싱 수행 중 상기 온도센서에서 제1 소정온도를 초과하는 값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를 오프 시켜 셀 밸런싱을 중지하고, 상기 온도센서가 제2 소정온도의 미만인 값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를 온 시켜 셀 밸런싱을 재개한다.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스위치와 저항의 온도를 감지한다.
상기 제1 소정온도 및 제2 소정온도는 제어부 내부 또는 외부에 추가로 구성되어 있는 메모리에 기 저장되어 있는 값으로, 상기 셀 용량 및 저항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 밸런싱 제어방법은 복수개의 셀의 밸런싱을 온도에 따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셀에 셀 밸런싱이 필요한지 진단하는 셀 밸런싱 진단단계, 상기 셀 밸런싱 진단단계로부터 셀 밸런싱이 필요한 것으로 진단된 경우, 밸런싱이 필요한 셀의 전류가 감소되도록 해당 셀의 각 스위치를 온 시켜 해당 셀의 전류를 저항에 공급하는 셀 밸런싱 수행단계, 상기 셀 밸런싱 수행단계에서 상기 스위치와 저항의 온도가 제1 소정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셀 밸런싱이 일시 중지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오프 시키는 셀 밸런싱 중지단계 및 셀 밸런싱 중지 후 상기 셀 용량 및 저항의 온도가 제2 소정온도 미만인 경우, 셀 밸런싱이 재개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온 시키는 셀 밸런싱 재개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셀 밸런싱 진단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셀의 각 전압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셀 전압 측정단계, 상기 셀 전압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복수개의 셀 전압을 이용하여 셀 간의 전압편차를 연산하는 전압편차 연산단계 및 상기 전압편차 연산단계에서 연산된 셀 간의 전압편차와 기 설정된 소정 범위의 전압편차를 비교하는 전압편차 비교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압편차 비교단계에서 셀 간의 전압편차가 기 설정된 소정 범위의 전압편차보다 큰 경우, 상기 셀 밸런싱 수행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제1 소정온도 및 제2 소정온도는 기저장되어 있는 값으로, 상기 셀 용량 및 저항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 밸런싱 제어 장치 및 방법은 기존의 셀 밸런싱 장치 사이에 온도센서를 연결하여 셀 밸런싱 장치의 온도에 따라 셀 밸런싱을 수행하므로 부품크기에 제약 없이 빠른 셀 밸런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 밸런싱 제어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 밸런싱 제어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 밸런싱 제어방법 중 셀 밸런싱 진단단계의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지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식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 밸런싱 제어장치
본 발명의 셀 밸런싱 제어장치는 셀 밸런싱 수행 시 해당 셀의 전류를 공급하는 스위치와 스위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감소시키는 저항 사이에 스위치와 저항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장착하여 온도에 따른 셀 밸런싱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 밸런싱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 밸런싱 제어장치(100)는 배터리 팩에 구성되는 복수개의 셀의 밸런싱을 제어하며, 셀 밸런싱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10),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온/오프하는 스위치(120), 상기 스위치(12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30) 및 상기 스위치(12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감소시키는 저항(14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복수개의 셀의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한 셀들의 전압편차를 연산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한 셀 중 연산된 전압편차가 소정의 기준편차보다 큰 경우, 셀 밸런싱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셀 밸런싱 수행 명령을 해당 셀의 스위치(120)에 전송한다. 여기서 소정의 기준편차는 배터리 팩에 구성된 셀의 특성 및 용량을 반영하여 설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셀 밸런싱 수행명령을 받은 상기 스위치(120)를 온 시켜 해당 셀의 전류가 상기 저항(140)에 흘러 감소되도록 하고, 셀 밸런싱 수행 중 상기 온도센서(130)에서 제1 소정온도를 초과하는 값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120)를 오프 시켜 셀 밸런싱을 중지한다.
일정시간이 흐른 후 상기 온도센서가 제2 소정온도의 미만인 값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를 온 제어하여 셀 밸런싱을 재개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소정온도는 상기 셀 용량 및 저항(140) 등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고, 일 실시 예로써 90℃로 설정하여 큰 전류가 흘러 발생하는 열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소정온도는 상기 셀 용량 및 저항(140) 등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고, 일 실시 예로써 40℃로 설정하여 셀 밸런싱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셀 밸런싱 수행 시 상기 온도센서(130)가 스위치(120) 및 저항(140) 간의 온도를 91℃로 감지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스위치(120)을 오프 제어하여 해당 셀의 전류가 상기 저항(140)에 흐르는 것을 저지한다. 그 후 셀 밸런싱은 대기하고 온도센서(130)가 주기적으로 온도를 감지하여 스위치(120) 및 저항(140) 간의 감지된 온도가 38℃인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스위치(120)를 온 제어하여 해당 셀의 전류가 상기 저항(140)에 다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소정온도 및 제2 소정온도는 제어부(110) 내부 또는 외부에 구성되어 있는 메모리(미도시)에 기 저장되어 있다.
아래에서 상기 셀 밸런싱 제어장치(100)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00)는 셀 밸런싱 수행 명령을 전송하기 위하여 각 셀의 스위치(120)와 연결되어 있고, 셀 밸런싱 수행 시 상기 스위치(120) 및 저항(140)에서 발산되는 열로 인하여 상승하는 주변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00)로 전송하는 상기 온도센서(130)와도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스위치(120) 및 온도센서(130)는 각 셀에 하나씩 연결되어 있으며 하나의 제어부(110)에 복수개의 셀 개수에 따른 복수개의 스위치(120) 및 온도센서(130)의 연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120)는 하나의 셀의 양(+)전극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셀 밸런싱 수행명령을 받으면 온 제어되고, 해당 셀의 전류가 셀 밸런싱 수행 회로에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셀 밸런싱 수행회로는 상기 스위치(120), 온도센서(130), 저항(140) 및 셀을 포함하여 하나의 셀에 구성되어 셀 밸런싱이 필요한 셀의 셀 밸런싱을 수행하는 회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130)는 상기 스위치(120)와 저항(140) 사이에 구성되어 셀 밸런싱 수행 시 큰 전류가 흘러 스위치(120)와 저항(140)에서 발생되는 열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감지된 온도는 제어부(110)에 전송되어 셀 밸런싱 수행 시 과열된 경우, 셀 밸런싱을 중지시켜 배터리 팩의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저항(140)은 상기 온도센서(130)와 하나의 셀의 음(-)전극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120)로 인하여 들어오는 해당 셀의 전류를 감소시켜 해당 셀의 전압을 낮춘다.
따라서 하나의 셀의 양(+)전극에 스위치(120), 온도센서(130), 저항(140)이 차례대로 연결되며, 일측은 온도센서(130)에 연결된 저항(140)의 타측은 음(-)전극에 연결됨에 따라 하나의 셀 밸런싱 수행회로를 형성한다.
한편, 밸런싱 제어장치(100)의 구동방법을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밸런싱 제어장치(100)는 제어부(100)를 통해 복수개의 셀의 전압을 측정하고 전압편차를 연산하여 셀 밸런싱이 필요한지 진단한다.
상기 제어부(100)에서 셀 밸런싱이 필요하다고 진단된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스위치(120)에 온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저항(140)에 전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저항(140)을 통해 셀 밸런싱 수행 중 상기 온도센서(130)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1 소정온도가 초과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120)를 오프 하여 셀 밸런싱이 일시적으로 중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감지된 온도가 제1 소정온도를 초과되는지 판단하는 것과 스위치(120)를 오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어부(100)에서 수행한다.
또한, 밸런싱 중지 후 상기 온도센서(130)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2 소정온도보다 미만인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스위치(120)를 온 제어하여 셀 밸런싱을 다시 수행한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 밸런싱 제어방법
본 발명의 셀 밸런싱 제어방법은 셀 밸런싱 수행 시 셀 밸런싱을 수행하는 소자들의 온도가 소정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셀 밸런싱을 일시적으로 중지시켜 발열로부터 배터리 팩의 손상을 방지하는 방법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 밸런싱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 밸런싱 제어방법은 일단 복수개의 셀에 셀 밸런싱이 필요한지 진단한다(셀 밸런싱 진단단계: S210).
상기 셀 밸런싱 진단단계(S210)에서 셀 밸런싱이 필요하다고 진단된 경우, 셀 밸런싱이 필요한 셀들의 전류가 감소되도록 스위치(120)를 온 시켜 저항(140)에 전류를 공급한다(셀 밸런싱 수행단계: S220).
그러나 상기 셀 밸런싱 수행단계에서 상기 스위치(120)와 저항(140)의 온도가 제1 소정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셀 밸런싱이 일시적으로 중지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오프 시킨다(셀 밸런싱 중지단계: S230).
또한, 셀 밸런싱 중지 후 상기 스위치(120) 및 저항(140)의 온도가 제2 소정온도 미만인 경우, 셀 밸런싱이 재개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온 시킨다(셀 밸런싱 재개단계: S240).
여기서 상기 제1 소정온도는 상기 셀 용량 및 저항(140) 등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고, 일 실시 예로써 90℃로 설정하여 큰 전류가 흘러 발생하는 열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소정온도는 상기 셀 용량 및 저항(140) 등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고, 일 실시 예로써 40℃로 설정하여 셀 밸런싱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셀 밸런싱 수행 중 스위치(120) 및 저항(140)의 발열로 인하여 부품 간의 온도가 93℃인 경우, 상기 스위치(120)를 오프 시켜 해당 셀의 전류가 상기 저항(140)에 흐르는 것을 저지한다. 그 후 셀 밸런싱은 대기하면서 주기적으로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부품 간의 온도가 39℃가 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120)를 온 시켜 해당 셀의 전류가 상기 저항(140)에 다시 흐르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소정온도와 제2소정온도는 기 저장되어 있는 값이다.
이하 아래에서 셀 밸런싱 진단단계(S210)를 도 3을 들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 밸런싱 제어방법 중 셀 밸런싱 진단단계(S210)의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셀 밸런싱 진단단계(S210)는 상기 복수개의 셀의 각 전압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셀 전압 측정단계: S211), 상기 셀 전압 측정단계(S211)에서 측정된 복수개의 셀 전압을 이용하여 셀 간의 전압편차를 연산한다(전압편차 연산단계: S212). 여기서 전압편차 연산방법은 각 셀에서 측정된 전압의 최고값을 이용하여 최고값에서 각 셀의 전압값을 빼는 방법이다.
상기 전압편차 연산단계(S212)에서 연산된 셀 간의 전압편차와 기 설정된 소정 범위의 전압편차를 비교한다(전압편차 비교단계: S213).
또한, 상기 전압편차 비교단계(S213)에서 셀 간의 전압편차가 기 설정된 소정 범위의 전압편차보다 큰 경우, 상기 셀 밸런싱 수행단계(S220)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 범위의 전압편차는 배터리의 사용효율이 저하되는 최소범위의 전압편차 값이며, 일 실시 예로써 1V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실시 예는 셀 밸런싱 수행 여부를 실시간으로 진단하여 수행하는 방식으로 실시간으로 전압을 측정하고 판단해야 하므로 알고리즘이 복잡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 예는 우선 배터리 팩의 충전을 완료하고, 복수개의 셀의 각 전압을 측정한다.
또한, 측정된 복수개의 셀 전압을 기 설정된 소정 전압 값과 비교하여 상기 측정된 복수개의 셀 전압이 기 설정된 소정 전압 값 미만인 경우, 셀 밸런싱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해당 셀들의 전류가 감소되도록 스위치(120)를 온 시켜 저항(140)에 전류를 공급한다
그러나 상기 셀 밸런싱 수행단계에서 상기 스위치(120)와 저항(140)의 온도가 제1 소정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셀 밸런싱이 일시적으로 중지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오프 시킨다(셀 밸런싱 중지단계: S230).
또한, 셀 밸런싱 중지 후 상기 스위치(120) 및 저항(140)의 온도가 제2 소정온도 미만인 경우, 셀 밸런싱이 재개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온 시킨다(셀 밸런싱 재개단계: S240).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서술한 특허청구범위 기술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셀 밸런싱 제어장치
110: 제어부
120: 스위치
130: 온도센서
140: 저항

Claims (7)

  1. 배터리 팩에 구성되는 복수개의 셀의 밸런싱을 제어하는 셀 밸런싱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셀의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각 셀에 셀 밸런싱이 필요한지 판단하여 해당 셀에 셀 밸런싱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하나의 셀의 양(+)전극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해당 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온/오프하는 스위치;
    일단이 상기 스위치와 연결되고 타단은 셀의 음(-)전극과 연결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와 하나의 셀의 음(-)전극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감소시키는 저항;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셀 밸런싱 수행 시 해당 셀에 구성되어 있는 상기 스위치를 온 시켜 해당 셀의 전류가 상기 저항에 흘러 감소되도록 하고, 셀 밸런싱 수행 중 상기 온도센서에서 제 1소정온도를 초과하는 값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를 오프 시켜 셀 밸런싱을 중지하고, 상기 온도센서가 제2소정온도의 미만인 값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를 온 시켜 셀 밸런싱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밸런싱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스위치와 저항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밸런싱 제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정온도 및 제2 소정온도는 제어부 내부 또는 외부에 추가로 구성되어 있는 메모리에 기 저장되어 있는 값으로, 상기 셀 용량 및 저항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밸런싱 제어장치.
  4. 복수개의 셀의 밸런싱을 온도에 따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셀에 셀 밸런싱이 필요한지 진단하는 셀 밸런싱 진단단계;
    상기 셀 밸런싱 진단단계로부터 셀 밸런싱이 필요한 것으로 진단된 경우, 밸런싱이 필요한 셀의 전류가 감소되도록 해당 셀의 각 스위치를 온 시켜 해당 셀의 전류를 저항에 공급하는 셀 밸런싱 수행단계;
    상기 셀 밸런싱 수행단계에서 상기 스위치와 저항의 온도가 제1 소정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셀 밸런싱이 일시 중지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오프 시키는 셀 밸런싱 중지단계; 및
    셀 밸런싱 중지 후 상기 셀 용량 및 저항의 온도가 제2 소정온도 미만인 경우, 셀 밸런싱이 재개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온 시키는 셀 밸런싱 재개단계;
    를 포함하는 셀 밸런싱 제어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셀 밸런싱 진단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셀의 각 전압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셀 전압 측정단계;
    상기 셀 전압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복수개의 셀 전압을 이용하여 셀 간의 전압편차를 연산하는 전압편차 연산단계; 및
    상기 전압편차 연산단계에서 연산된 셀 간의 전압편차와 기 설정된 소정 범위의 전압편차를 비교하는 전압편차 비교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밸런싱 제어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압편차 비교단계에서 셀 간의 전압편차가 기 설정된 소정 범위의 전압편차보다 큰 경우, 상기 셀 밸런싱 수행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밸런싱 제어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정온도 및 제2 소정온도는 기 저장되어 있는 값으로, 상기 셀 용량 및 저항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밸런싱 제어방법.
KR1020160126574A 2016-09-30 2016-09-30 셀 밸런싱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167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574A KR102167423B1 (ko) 2016-09-30 2016-09-30 셀 밸런싱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574A KR102167423B1 (ko) 2016-09-30 2016-09-30 셀 밸런싱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237A true KR20180036237A (ko) 2018-04-09
KR102167423B1 KR102167423B1 (ko) 2020-10-19

Family

ID=61978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574A KR102167423B1 (ko) 2016-09-30 2016-09-30 셀 밸런싱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4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0647A (zh) * 2019-03-27 2019-06-2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池系统及处理方法
WO2020080881A1 (ko) * 2018-10-19 2020-04-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관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3867A (ja) * 2003-05-14 2004-12-02 Rohm Co Ltd レギュレータ用保護回路及びそれを備えた電源装置
WO2013021589A1 (ja) * 2011-08-11 2013-02-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均等化回路、電源システム、及び車両
KR20160080381A (ko) 2014-12-29 2016-07-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셀 밸런싱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3867A (ja) * 2003-05-14 2004-12-02 Rohm Co Ltd レギュレータ用保護回路及びそれを備えた電源装置
WO2013021589A1 (ja) * 2011-08-11 2013-02-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均等化回路、電源システム、及び車両
JP5919560B2 (ja) * 2011-08-11 2016-05-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均等化回路、電源システム、及び車両
KR20160080381A (ko) 2014-12-29 2016-07-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셀 밸런싱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881A1 (ko) * 2018-10-19 2020-04-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관리 장치
KR20200044574A (ko) *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관리 장치
US11616257B2 (en) 2018-10-19 2023-03-28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anagement device
CN109950647A (zh) * 2019-03-27 2019-06-2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池系统及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7423B1 (ko) 2020-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47009B (zh) 電池控制裝置及用於檢測電池的內部短路的方法
US10250043B2 (en) Initializer-based control of a module bypass switch for balancing of battery pack system modules
US9954384B2 (en) Instrumented super-cell
US108407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effective battery cell balancing through duty control
JP2007244142A (ja) 電池群制御装置及び電池電源システム
JP5942882B2 (ja) 電池システム
JP2022532105A (ja) 電池診断装置および方法
JP2009178040A (ja) 電池群制御装置及び電池電源システム
JP6639686B2 (ja) セルバランシング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20160080381A (ko) 셀 밸런싱 장치 및 방법
JPWO2015072510A1 (ja) 蓄電池、蓄電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80094029A1 (en) Lithium-Ion Battery Diagnostic and Prognostic Techniques
JP2009064682A (ja) 電池劣化判定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リチウムイオン電池パック
KR20120079674A (ko) 차등적 soc 추정의 배터리 관리 장치와 방법 및 배터리 팩
KR20180036237A (ko) 셀 밸런싱 제어장치 및 방법
JP5518001B2 (ja) 組電池の制御装置
JP2021535721A (ja) バッテリー管理方法、バッテリー装置、およびバッテリーを含む自動車
KR20180103214A (ko) 펄스폭변조를 이용한 배터리 팩 밸런싱 장치 및 그 방법
TWI623123B (zh) Charge monitoring device for series battery pack
KR20200011014A (ko) 배터리 제어 장치 및 배터리의 내부단락 검출 방법
KR102554007B1 (ko) 배터리 상태 감지 장치 및 배터리 상태 감지 방법
KR20210051461A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배터리 셀의 과전압 판단 방법
JP2007018761A (ja) 2次電池の充電システム装置
EP4283821A1 (en) A device,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cell balancing in an electric battery system
JP2018137058A (ja) 電池装置および電池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