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6098A - 매물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 및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의 매물 영상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 - Google Patents

매물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 및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의 매물 영상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098A
KR20180036098A KR1020160126242A KR20160126242A KR20180036098A KR 20180036098 A KR20180036098 A KR 20180036098A KR 1020160126242 A KR1020160126242 A KR 1020160126242A KR 20160126242 A KR20160126242 A KR 20160126242A KR 20180036098 A KR20180036098 A KR 20180036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camera
wall
s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브이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브이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브이알
Priority to KR1020160126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6098A/ko
Priority to US15/350,478 priority patent/US20180075652A1/en
Publication of KR20180036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0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1Encoding,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different image sign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07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 H04N13/232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using fly-eye lenses, e.g. arrangements of circular lens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공자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영상에 대한 3차원 모델링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때,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제공자 단말로부터 매물 영상을 수신하고, 매물 영상의 카메라의 높이에 대한 정보와 복수의 모서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매물 영상에 대응하는 바닥면 정보 및 벽면 정보를 추출하며, 바닥면 정보 및 벽면 정보에 기초하여 매물 영상으로부터 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생성하여 제공자 단말로 제공한다. 그리고 모서리는 매물 영상에 포함된 벽면과 벽면 사이에 정의되는 것이며, 3차원 모델은 매물의 바닥면 및 벽면이 입체적으로 연결되고, 매물 영상에 대응하는 영역이 각 면에 매핑된 입체 영상이며, 매물 영상은 카메라를 통해 제자리에서 360° 회전하여 촬영한 매물의 내부의 영상들을 결합한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이다.

Description

매물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 및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의 매물 영상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SERVER AND METHOD OF 3-DIMENSION MODELING FOR OFFERINGS IMAGE}
본 발명은 매물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 및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의 매물 영상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동산 거래는 오프라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부동산 거래는 매도 또는 임대를 희망하는 사용자가 매물을 오프라인의 부동산 중개업자에게 의뢰한다. 그리고 부동산 중개 업자는 오프라인으로 부동산의 매입 또는 임차를 희망하는 사용자에게 해당 매물을 소개한다. 이때, 매입 또는 임차를 희망하는 사용자는 직접 매물 방문하거나, 사진을 통하여 매물을 확인할 수 있다.
최근에는 주요 포털을 중심으로 온라인 부동산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다. 온라인 부동산 서비스는 부동산 중개업자가 업로드한 매물의 정보를 매입 또는 임차를 희망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매물의 정보는 위치, 가격, 평면도 및 사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온라인 부동산 서비스는 매입 또는 임차를 희망하는 사용자가 매물을 검색할 수 있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매입 또는 임차를 희망하는 사용자는 매도 또는 임대를 희망하는 사용자 또는 부동산 중개업자가 직접 촬영한 사진만을 서비스받기 때문에 광각 렌즈를 통하여 실내 공간감을 왜곡되거나, 불리한 부분이 제외된 채 촬영된 사진 만을 제공 받을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360° 파노라마 영상을 3차원으로 모델링하여 3차원 모델을 생성할 수 있는 매물 영상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 및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의 매물 영상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을 제공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매물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는 제공자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영상에 대한 3차원 모델링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때,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제공자 단말로부터 매물 영상을 수신하고, 매물 영상의 카메라의 높이에 대한 정보와 복수의 모서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매물 영상에 대응하는 바닥면 정보 및 벽면 정보를 추출하며, 바닥면 정보 및 벽면 정보에 기초하여 매물 영상으로부터 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생성하여 제공자 단말로 제공한다. 그리고 모서리는 매물 영상에 포함된 벽면과 벽면 사이에 정의되는 것이며, 3차원 모델은 매물의 바닥면 및 벽면이 입체적으로 연결되고, 매물 영상에 대응하는 영역이 각 면에 매핑된 입체 영상이며, 매물 영상은 카메라를 통해 제자리에서 360° 회전하여 촬영한 매물의 내부의 영상들을 결합한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의 매물 영상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은 제공자 단말로부터 매물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카메라의 높이에 대한 정보와 복수의 모서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매물 영상에 대응하는 바닥면 정보 및 벽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바닥면 정보 및 벽면 정보에 기초하여 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3차원 모델을 제공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모서리는 매물 영상에 포함된 벽면과 벽면 사이에 정의되는 것이고, 3차원 모델은 매물의 바닥면 및 벽면이 입체적으로 연결되고, 매물 영상에 대응하는 영역이 각 면에 매핑된 입체 영상이며, 매물 영상은 카메라를 통해 제자리에서 360° 회전하여 촬영한 매물의 내부의 영상들을 결합한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이다.
본 발명은 3차원 모델링 방법은 제공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모서리 정보에 기초하여 360° 파노라마 영상을 3차원으로 모델링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제공자가 별도의 작업 없이 쉽고 간단하게 매물의 매입 또는 임차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실재 현장에서 매물을 확인하는 것과 같은 사실감을 제공할 수 있는 가상 현실 기반의 3차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물 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모델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각도 및 수직 각도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모델링된 영상에서의 벽 및 360° 파노라마 영상에서의 벽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모델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모델 및 360° 파노라마 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물 영상의 3차원 모델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변환된 좌표가 매핑된 360° 파노라마 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서버의 매물 영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공자 단말(120)은 부동산 등의 매물의 매매 및 임대 등에 수요가 있는 공급자와 사용자를 중개하는 중개인의 단말을 의미한다. 또한, 제공자 단말(120)은 공급자 또는 중개인으로부터 수신한 매물 영상을 3차원 모델링하는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110)의 관리자의 단말일 수 있다. 즉, 제공자 단말(120)은 매물에 대한 영상을 3차원 모델링하여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하거나, 매입이나 임차 등과 같이 부동산 활용에 수요가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30)에 전달하도록 요청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110)는 제공자 및 사용자를 중개하는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서버 또는 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에 포함된 하나의 서비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110)는 제공자 및 사용자를 중개하는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서버와 연결된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11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다음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100)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100)의 블록도이다.
영상 제공 시스템(100)은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110), 제공자 단말(120), 사용자 단말(130) 및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한다.
이때,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110)는 제공자 단말(120)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한다. 그리고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110)는 제공자 단말(120)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영상을 3차원으로 모델링하여 생성한 3차원 모델을 제공자 단말(120) 및 사용자 단말(1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영상을 전달하는 제공자 단말, 영상을 3차원 모델로 모델링 하는 제공자 단말 및 영상을 요청하는 제공자 단말은 동일할 수도 있으며, 각각 상이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110)를 통하여 제공자 단말(120)이 3차원 모델링을 요청한 영상을 수신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30)은 사용자 단말(130)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수신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30)은 컴퓨터 및 스마트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30)은 가상 현실 기기 또는 가상 현실 기기와 연결될 수 있는 스마트 단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40)는 복수의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140)는 영상을 저장을 위하여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110)와 연결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140) 서버일 수 있다. 또는, 데이터베이스(140)는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110)에 탑재된 데이터베이스(140) 서비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는 영상은 제공자 단말(120) 또는 사용자 단말(130)에 제공할 수 있는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영상은 2차원 영상을 3차원으로 모델링한 3차원 모델일 수도 있다. 영상은 정지 영상일 수도 있으며, 동영상일 수도 있다. 그리고 영상은 가상 현실 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은 하나 이상의 360° 영상으로 구성된 정지 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은 제공자 단말(120)이 360°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후,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110)로 업로드되고,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또한, 360° 영상은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110)를 통하여, 3차원으로 모델링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영상은 가상 현실 기기를 통해 재생될 수 있다. 이때, 가상 현실 기기는 사용자의 시야 전체가 커버되도록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가상 현실 기기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제어 수단으로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실제 현실과 유사한 공간적 또는 시간적 경험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가상 현실 기기는 영상을 직접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헤드 마운트(head mount)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가상 현실 기기는 스마트폰과 같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기기를 마운트하고, 마운트된 기기 및 사용자의 눈과 인접하도록 설치된 두 개의 광각 렌즈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그러므로 가상 현실 기기는 사용자가 영상을 볼 때, 가상 현실 기기의 위치 변화 또는 스마트 단말의 위치 변화에 따라 해당 영상 내의 영상 데이터도 함께 변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오른쪽으로 고개를 돌리면 가상 현실 기기는 오른쪽 영상이 조회되도록 구현되며, 왼쪽으로 고개를 돌리면 왼쪽 영상이 조회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현실 기기는 카드보드(card board) 및 스마트 단말의 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이때, 카드 보드는 스마트 단말을 거치할 수 있고 빛 차단할 수 있는 상자, 2개의 어안 렌즈, 자석 및 NFC 태그로 구성된 가상 현실 기기이다. 카드 보드는 스마트 단말이 삽입될 경우 2개의 어안렌즈를 통해 스마트 단말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사용자의 전체 시야를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고, 사용자 단말(130)에 제공되는 영상은 360° 영상 또는 3차원으로 모델링된 3차원 모델일 수 있다.
여기서 360° 영상이란 영상을 촬영한 카메라의 위치로부터 모든 방향의 시야에 대한 정지 영상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360° 영상은 하나의 카메라의 위치를 기준으로 전방/우측/후방/좌측에 대한 촬영 영상이다. 즉, 하나의 360° 영상은 하나의 카메라의 위치를 기준으로 촬영된 위 전방 영상, 우측 영상, 후방 영상, 좌측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360° 영상에는 상방이나 하방 등과 같은 그 외의 다양한 방면의 영상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360° 영상은 하나 이상의 영상을 결합한 파노라마 영상일 수 있다.
그리고 3차원으로 모델은 제공자 단말(120)이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110)를 통하여, 360° 영상을 3차원으로 변환한 것일 수 있다. 이때, 360° 영상의 3차원 모델링 과정은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11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110)는 통신 모듈(200), 메모리(210) 및 프로세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통신 모듈(200)은 제공자 단말(12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메모리(210)는 영상에 대한 3차원 모델링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때, 메모리(21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이 필요한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프로세서(220)는 제공자 단말(120)로부터 수신하였거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영상 중 제공자 단말(120)이 선택한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모델링한다.
예를 들어, 제공자가 부동산 중개인인 경우, 제공자 단말(120)을 통하여 수신된 영상은 매매 또는 임대하고자 하는 건물, 주택, 사무실 등의 부동산에 대한 360° 영상이 될 수 있다. 이때, 영상은 부동산 내의 방과 같은 하나 이상의 공간에 대하여 촬영된 하나 이상의 360°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은 제공자가 소비자에게 임대하거나, 매도하고자 하는 매물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영역에 대한 영역 영상일 수 있다. 이때, 영역 영상은 매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포함된 각 공간에 대응하는 영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역 영상은 주택에 포함된 방에 대한 영상일 수 있다. 또는, 영역 영상은 실내의 하나의 공간을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로 가상의 공간으로 분할 한 이후 생성한 가상의 공간에 대한 영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역 영상은 도서관과 같은 하나의 커다란 공간을 복수의 가상의 공간으로 분할하고, 각 가상의 공간에 대하여 생성한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 매물 영상은 앞에서 설명한 영상 또는 영역 영상을 의미한다. 즉, 매물 영상은 부동산 또는 매물 전체의 영상일 수도 있으며, 부동산 또는 매물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영역에 대한 영상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매물 영상은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여 3차원 공간에 매핑될 수 있는 360° 파노라마 영상을 의미한다. 그리고 3차원 모델은 매물 영상을 3차원 모델링 하여 3차원 공간에 매핑한 3차원 영상이 될 수 있다. 매물 영상 및 3차원 모델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물 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매물 영상(300)은 카메라를 기준으로 매물 내의 특정 영역에 대한 360° 파노라마 영상이 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는 360°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을 위하여 제작된 360° 카메라일 수 있다. 또는, 카메라는 자동 회전기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일반 카메라 또는 스마트 단말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는 자동회전기기, 스마트 단말, 렌즈 및 삼각대로 구성된 조합이 될 수 있다. 이때, 렌즈는 촬영하고자 하는 공간상의 천장 및 바닥면까지 확대 촬영할 수 있도록 화각이 넓은 광각 렌즈이거나, 광각 렌즈 중 화각이 180도 이상인 어안 렌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360° 파노라마 영상의 커버리지는 촬영하는 영역의 공간 전체가 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360° 파노라마 영상의 가로는 해당 공간의 전체 즉, 360°를 커버할 수 있다. 또한, 360° 파노라마 영상의 세로는 카메라 위치를 중심으로 상부 및 하부 각각 90°를 커버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360° 파노라마 영상은 광각 또는 어안 렌즈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을 2차원 이미지에 매핑한다. 그러므로 도 3을 참조하면, 360° 파노라마 영상은 촬영되는 공간의 일부가 왜곡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모델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20)는 2차원인 360° 파노라마 영상을 3차원 모델링 과정을 통하여 3차원 공간에 매핑하여 3차원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3차원 모델은 매물 영상에 대응하는 매물의 바닥면과 벽면을 입체적으로 연결한 것이다. 또한, 3차원 모델은 매물 영상에 포함된 영역이 각각 바닥 면 및 벽면에 대응되어 매칭된 것일 수 있다.
한편, 3차원 모델링을 위하여 프로세서(220)는 매물 영상에 대한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매물 영상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의 비율이 미리 정해진 길이 비율이 되도록 가로 길이 또는 세로 길이에 대한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비율은 도 3과 같이 1:2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기 저장된 매물 영상의 정보로부터 모서리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220)는 통신 모듈(200)을 통하여 제공자 단말(120)로부터 매물 영상에 대한 모서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모서리는 매물 영상에 포함된 벽면과 벽면 사이에 정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모서리 정보는 각 모서리의 길이 또는 좌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서리 정보는 제공자 단말(120)이 입력한 좌표일 수도 있다. 즉, 제공자 단말(120)은 제공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모서리에 대한 좌표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제공자 단말(120)이 입력한 좌표 정보를 통하여, 모서리의 개수 및 모서리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모서리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하여 매물 영상 내에 제공자 단말(120)이 입력한 선분표시에 기초하여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통신 모듈(200)을 통하여 매물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고, 매물 영상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자 단말(120)로 전달할 수 있다. 제공자 단말(1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매물 영상(300)에 제 1 모서리(310)에 대응하는 선분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20)는 제공자 단말(120)을 통하여 입력된 선분에 기초하여, 제 1 모서리(310)의 좌표를 포함하는 제 1 모서리(310)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220)는 제공자 단말(120)을 통하여 입력된 선분에 기초하여, 제 2 모서리(320), 제 3 모서리(330), 제 4 모서리(340) 및 제 5 모서리(350)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공자 단말을 통하여 수신한 선분은 직선이 아닐 수 있다. 그러므로 프로세서(220)는 제공자 단말(120)을 통하여 입력된 선분을 전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제공자 단말(120)을 통하여 입력된 선분의 시작 지점의 좌표 및 종료 지점의 좌표에 기초하여 직선으로 변경하는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20)는 전처리가 수행된 선분으로부터 모서리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통신 모듈(200)을 통하여 제공자 단말(120)로부터 매물 영상에 대응하는 카메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정보는 매물 영상을 촬영할 때 카메라의 위치 좌표 또는 카메라의 높이가 될 수 있다.
이때, 모서리 정보 및 카메라의 정보에 포함된 높이 또는 길이는 픽셀(pixel) 단위 또는 mm, cm 및 inch와 같은 길이 단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모서리 정보 및 카메라의 정보에 포함된 좌표는 GPS 등을 이용한 절대 좌표이거나, 특정 지점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20)는 각 모서리의 정보에 기초하여, 매물 영상과 대응하는 바닥면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바닥면 정보는 각 모서리의 수평 각도 및 수직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 정보는 각 모서리가 위치한 곳의 평면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각도는 카메라 정보 및 각 모서리의 위치 좌표에 기초하여 기준점에 대한 각 모서리의 상대적인 수평 각도를 산출한 것이다. 또한, 수직 각도는 카메라 정보 및 각 모서리의 위치 좌표에 기초하여 상대적인 수직 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기준점은 매물 영상을 촬영한 카메라 위치가 될 수 있다. 또는, 기준점은 미리 정해진 한 지점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그리고 프로세서(220)는 각 모서리의 위치 좌표 및 기준점에 기초하여, 각 모서리의 상대적인 수평 각도 및 수직 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각도 및 수직 각도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준점(P400)의 높이는 바닥면으로부터 'he'가 될 수 있으며, 특정 지점(P)의 높이는 바닥면으로부터 'hw'가 될 수 있다. 즉, 특정 지점(P)와 기준점(P400)의 높이 차이는 'hw-he'가 될 수 있다.
또한, 기준점(P400)과 특정 지점(P)의 거리는 'r'이 될 수 있다. 수평 각도는 기준점(P400)을 기준으로 특정 지점(P)과 임의의 모서리 간의 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의 각도(θ)가 될 수 있다. 또한, 수직 각도는 기준점(P400)을 기준으로 특정 지점(P) 및 벽면 상의 기준점과 직교하는 지점(420)간의 각도(γ)가 될 수 있다.
이때, 도 5에서 기준점(P400)은 매물 영상을 촬영하는 사용자의 위치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준점(P400)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카메라의 위치 또는 미리 설정된 특정 지점이 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20)는 각 모서리의 좌표 및 카메라의 위치에 기초하여 각 모서리에 대응하는 대표점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대표점은 해당 모서리와 카메라의 위치에 대응하는 점 사이의 수선이 직교하는 지점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제 1 모서리(310)의 좌표 및 카메라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 1 모서리(310)의 대표점(315)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20)는 제 1 모서리(310)의 대표점(315)과 기준점 간의 각도를 수평 각도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 1 모서리(310)에 대응하는 수평 각도는 제 1 모서리(310)의 대표점(315)의 x 좌표/ 매물 영상의 너비 * 2π'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20)는 제 1 모서리(310)의 좌표의 y 값 중 가장 큰 값을 이용하여 제 1 모서리(310)의 수직 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 1 모서리(310)에 대응하는 수직 각도는 '(제 1 모서리(310)의 y 좌표 중 최대값 -카메라의 높이) / 이미지의 높이 * π'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이때, 매물 영상이 실내를 촬영한 영상인 경우, 모서리의 길이는 일정할 수 있다. 즉, 매물 영상 상에 포함된 복수의 모서리의 길이 및 수직 각도는 일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수직 각도는 모서리 중 가장 길이가 긴 모서리 또는 모서리의 y 축의 좌표 값이 가장 큰 모서리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만약, 매물 영상에 포함된 모서리의 길이가 상이할 경우, 프로세서(220)는 각 모서리마다 각각 수직 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기준점을 중심으로 각 모서리의 수직 각도 및 수평 각도를 산출한 이후, 이를 이용하여 각 모서리의 평면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수학식 1]에 기초하여 모서리 i의 거리(dist i )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에서 θ i 는 모서리에 대한 수평 각도이며, hw는 해당 벽면의 높이이고, he는 카메라의 높이이다. 이때, 벽면의 높이는 공급자 단말을 통하여 수신한 값일 수 있다. 또는 벽면의 높이는 영상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것일 수 있다.
Figure pat00001
그리고 프로세서(220)는 수직 방향의 기준점으로부터 각 모서리의 평면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수학식 2]를 통하여, 모서리 i의 x 좌표를 산출하고, [수학식 3]을 통하여 모서리 i의 y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각 모서리의 좌표는 기준점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일 수 있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프로세서(220)는 각 모서리의 평면 좌표를 산출한 이후, 산출된 평면 좌표를 이용하여 평면도를 산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의 예시도이다.
프로세서(220)는 기준점(500) 및 제 1 모서리(310)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모서리(310)의 평면 좌표(510)를 산출하고 평면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같은 방법으로 기준점(500) 및 각 모서리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모서리(320)의 평면 좌표(520), 제 3 모서리(330)의 평면 좌표(530), 제 4 모서리(340)의 평면 좌표(540) 및 제 5 모서리(350)의 평면 좌표(550)를 산출하고 이를 평면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20)는 각 모서리의 평면 좌표를 연결시켜 평면도를 완성할 수 있다.
각 모서리의 평면 좌표를 연결한 선은 매물 영상에 대응하는 공간의 벽이 될 수 있다. 즉, 벽은 영상 상에서 하나의 모서리와 다른 모서리의 사이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벽은 실제로 존재하는 벽일 수 있으며, 영상 상에만 표현된 가상의 벽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모서리(310)의 평면 좌표(510)과 제 2 모서리(320)의 평면 좌표(520)를 연결한 실선은 제 1 벽이 될 수 있다. 제 2 모서리(320)의 평면 좌표(520)와 제 3 모서리(330)의 평면 좌표(530)를 연결한 실선은 제 2 벽이 될 수 있으며, 제 3 모서리(330)의 평면 좌표(530)과 제 4 모서리(340)의 평면 좌표(530)를 연결한 실선은 제 3 벽, 제 4 모서리(340)의 평면 좌표(540)과 제 5 모서리(350)의 평면 좌표(550)를 연결한 실선은 제 4 벽이 될 수 있다. 또한, 제 1 모서리(310)의 평면 좌표(510)과 제 5 모서리(350)의 평면 좌표(550)를 연결한 실선은 제 5 벽이 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20)는 바닥면 정보에 기초하여, 매물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각 벽면에 대응하는 벽면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모델링된 영상에서의 벽 및 360° 파노라마 영상에서의 벽의 예시도이다. 도 7의 (a)는 영상에 대응하는 실제 벽의 예시도이며, 도 7의 (b)는 360° 파노라마 영상 상에서의 벽의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360° 파노라마 영상에서는 실제 직사각형인 벽의 모양이 왜곡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왜곡된 360° 파노라마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지점의 좌표를 평면 상의 좌표로 변환시켜 매물 영상을 3차원으로 모델링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20)는 360° 파노라마 영상의 일 지점 P'(610)의 좌표 (x', y')에 대응하는 P(600)의 좌표 (x, y)에 기초하여, 360° 파노라마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먼저, 프로세서(220)는 각 벽면과 기준점 간의 최단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20)는 각 벽면에 포함된 복수의 지점과 기준점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모델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의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제 2 모서리(320)와 제 3 모서리(330) 사이의 제 2 벽면과 기준점(500) 간의 최단거리를 가지는 최근접 선(710)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 2 벽면은 제 2 모서리(320)의 좌표(520), 제 3 모서리(330)의 좌표(530) 및 직선의 방정식(line equation)을 통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제 2 벽면과 기준점(500)과의 최단거리는 제 2 벽면과 기준점(500)을 통과하는 수선이 직교하는 점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제 2 벽면 상의 임의의 직선과 기준점(500)을 통과하는 수선이 직교하는 점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00)는 기준점(500)과 추출된 점의 거리를 제 2 벽면과 기준점(500)과의 최단 거리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20)는 제 2 벽면 상의 복수의 지점과 기준점(500)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지점은 제 2 벽면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에 따라 나눈 것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길이는 1 픽셀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제 2 벽면에 포함된 복수의 지점을 최근접 선(710)에 대응하는 최근접 점(700)에 기초하여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20)는 제 2 모서리(320) 또는 제 3 모서리(330)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지점과 기준점(500)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최근접 점(700)에 기초하여, 복수의 지점을 2개로 구분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피타고라스 정의(Pythagoras formula) 및 제 2 모서리(320)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모서리(320)와 최근접 점(700) 사이에 포함된 지점과 기준점(500)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프로세서(220)는 피타고라스 정의 및 제 3 모서리(330)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모서리(320)와 최근접 점(700) 사이에 포함된 지점과 기준점(500)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제 2 벽면에 포함된 복수의 지점에 대한 거리를 산출한 이후, 나머지 벽면에 포함된 복수의 지점과 기준점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20)는 각 벽면에 포함된 복수의 지점에 대한 거리를 벽면 정보로 산출한 이후, 모서리 정보 및 벽면 정보에 기초하여 매물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모델링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모델 및 360° 파노라마 영상의 예시도이다. 이때, 도 9의 (a)는 3차원 영상의 예시도이며, 도 9의 (b)는 360° 파노라마 영상의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도 9의 (a)에서 기준점과 일 지점 P의 수직 방향 각도는 도 9에서 (b)에서의 기준점과 일 지점 P'의 수직 방향 각도와 동일하다. 즉, 3차원 영상에서 일 지점 P와 기준점과의 각도가 이라면, 매물 영상에서도 기준점과 일 지점 P'의 각도는 가 된다. 이때, 3차원 영상에서 tan()는 P의 y 좌표 값(y) 및 기준점과 x 좌표에 대응하는 지점의 거리(r)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매물 영상에서 tan(dγ)는 P'의 y 좌표 값(y') 및 카메라와 x'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물 영상의 3차원 모델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때, 도 10의 (a)는 일 지점 P(1000) 및 모서리(1010, 1020)의 상대적인 위치를 원에 투영한 예시도이다. 또한, 도 10의 (b)는 파노라마 영상의 일 지점 P(1000) 및 특정 모서리(1010)의 상대적인 거리를 표현한 예시도이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모서리 중 하나의 길이가 반지름이 되도록 원을 그렸을 때, P는 원 내부에 존재하게 된다. 즉, 도 10의 (b)를 참조하면, 도 9의 (b)에서 P는 실제의 높이보다 매물 영상 상에서 높게 표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P'의 y 좌표 값(y')은 모서리의 길이(dist i ), 카메라와 x' 간의 거리(r) 및 기준점과 일 지점 P'의 각도는 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물 영상의 일 지점 P'의 좌표는 수학식 4와 같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4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변환된 좌표가 매핑된 360° 파노라마 영상의 예시도이다.
프로세서(220)는 매물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좌표가 3차원 영상에 대응되도록 매핑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20)는 모서리 정보 및 변환된 좌표에 기초하여, 도 4와 같이 3차원 영상을 모델링하여 3차원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매물 영상은 복수의 영역에 대한 360°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프로세서(220)는 매물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360°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가 각각 대응되도록 하나 이상의 3차원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360° 영상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를 촬영한 카메라 위치로부터 모든 방향의 시야의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통신 모듈(210)을 통하여 생성된 하나 이상의 3차원 모델을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하거나, 제공자 단말(1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해당 3차원 모델을 서비스받는 제공자 단말(120) 또는 사용자 단말(130)의 설정에 따라 3차원 모델에 포함된 복수의 방향에 대한 영상 데이터 중 일 방향의 영상 데이터를 제공자 단말(120) 또는 사용자 단말(13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방향을 다르게 조작하는 사용자 단말(130)의 입력에 따라 다른 방향의 시야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30)의 입력은 터치 입력, 마우스 입력 및 사용자 단말(130)의 위치 변화 입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음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110)의 영상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110)의 매물 영상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110)는 제공자 단말(120)로부터 매물 영상을 수신한다(S1100). 그리고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110)는 제공자 단말(120)로부터 카메라의 높이에 대한 정보 및 복수의 모서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100). 이때, 모서리는 매물 영상에 포함된 벽면과 벽면 사이에 정의되는 것이다. 또한, 3차원 모델은 매물의 바닥면 및 벽면이 입체적으로 연결되고, 매물 영상에 대응하는 영역이 각 면에 매핑된 입체 영상이다. 그리고 매물 영상은 카메라를 통해 제자리에서 360° 회전하여 촬영한 매물의 내부의 영상들을 결합한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이다.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110)는 카메라의 높이에 대한 정보와 복수의 모서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매물 영상에 대응하는 바닥면 정보 및 벽면 정보를 추출한다(S1110).
그리고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110)는 바닥면 정보 및 벽면 정보에 기초하여 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생성한다(S1120).
구체적으로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110)는 매물 영상에 포함된 바닥면과 벽면에 대한 좌표를 3차원 모델에 대응하는 좌표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110)는 3차원 모델에 대응하는 좌표에 기초하여 매물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매핑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110)는 생성된 3차원 모델을 제공자 단말에 전달한다(S11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110) 및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110) 3차원 모델링 방법은 제공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모서리 정보에 기초하여 360° 파노라마 영상을 3차원으로 모델링 할 수 있다. 그러므로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110) 및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110) 3차원 모델링 방법은 제공자가 별도의 작업 없이 쉽고 간단하게 매물의 매입 또는 임차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실재 현장에서 매물을 확인하는 것과 같은 사실감을 제공할 수 있는 가상 현실 기반의 3차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영상 제공 시스템
110: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장치
120: 제공자 단말
130: 사용자 단말
140: 데이터베이스

Claims (14)

  1. 매물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에 있어서,
    제공자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영상에 대한 3차원 모델링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제공자 단말로부터 매물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매물 영상의 카메라의 높이에 대한 정보와 복수의 모서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매물 영상에 대응하는 바닥면 정보 및 벽면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바닥면 정보 및 상기 벽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물 영상으로부터 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생성하여 상기 제공자 단말로 제공하되,
    상기 모서리는 상기 매물 영상에 포함된 벽면과 벽면 사이에 정의되는 것이며,
    상기 3차원 모델은 상기 매물의 바닥면 및 상기 벽면이 입체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매물 영상에 대응하는 영역이 상기 바닥면 및 상기 벽면에 매핑된 입체 영상이며,
    상기 매물 영상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제자리에서 360° 회전하여 촬영한 상기 매물의 내부의 영상들을 결합한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인,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공자 단말로부터 상기 매물 영상의 상기 카메라의 높이에 대한 정보와 상기 복수의 모서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인,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바닥면 정보 및 상기 벽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물 영상에 포함된 바닥면과 벽면에 대한 좌표를 상기 3차원 모델에 대응하는 좌표로 변환하고,
    상기 3차원 모델에 대응하는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매물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매핑하는 것인,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 정보는 상기 복수의 모서리 각각에 대한 수평 각도, 수직 각도 및 평면 좌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모서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각 모서리 및 상기 카메라에 대응하는 수평 각도 및 수직 각도를 산출하고,
    상기 각 모서리의 수평 각도 및 수직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각 모서리에 대응하는 평면 좌표를 산출하는 것인,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정보는 상기 복수의 모서리 중 어느 두 개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벽이 배치된 평면 위치 상에 정의되는 복수의 벽 지점과 카메라 간의 거리를 포함하는,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모서리에 포함된 제 1 모서리 및 제 2 모서리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벽에 포함된 복수의 벽 지점과 카메라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복수의 벽 지점에 대응하는 거리를 상기 제 1 벽의 정보로 추출하되,
    상기 제 1 벽은 상기 제 1 모서리 및 상기 제 2 모서리 사이의 공간에 대응하는 것이며,
    상기 복수의 벽 지점은 상기 제 1 벽을 미리 정해진 길이에 따라 분할한 것인,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모서리 및 상기 제 2 모서리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카메라의 거리, 및 상기 복수의 벽 지점과 카메라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매물 영상에서의 상기 제1 벽의 일 지점의 좌표를 상기 3차원 모델에 대응하는 좌표로 변환하는,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공자 단말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자 단말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신호로부터 상기 모서리 정보를 추출하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공자 단말에 상기 매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입력 신호는 상기 제공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영상에 입력한 것인,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물 영상은 복수의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에 각각 대응하는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3차원 모델에 포함된 일 방향의 시야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되,
    방향을 다르게 조작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따라 다른 방향의 시야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매물에 대응하는 3차원 모델을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은, 터치 입력, 마우스 입력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변화 입력 중 어느 하나인 것인,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물 영상은 부동산 실내 또는 실외에 대한 영상인,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
  12.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의 매물 영상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에 있어서,
    제공자 단말로부터 매물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카메라의 높이에 대한 정보와 복수의 모서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물 영상에 대응하는 바닥면 정보 및 벽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바닥면 정보 및 상기 벽면 정보에 기초하여 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3차원 모델을 상기 제공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모서리는 상기 매물 영상에 포함된 벽면과 벽면 사이에 정의되는 것이며,
    상기 3차원 모델은 상기 매물의 바닥면 및 벽면이 입체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매물 영상에 대응하는 영역이 상기 바닥면 및 상기 벽면에 매핑된 입체 영상이며,
    상기 매물 영상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제자리에서 360° 회전하여 촬영한 상기 매물의 내부의 영상들을 결합한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인, 3차원 모델링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매물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공자 단말로부터 상기 카메라의 높이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모서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3차원 모델링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매물 영상에 포함된 바닥면과 벽면에 대한 좌표를 상기 3차원 모델에 대응하는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모델에 대응하는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매물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모델링 방법.
KR1020160126242A 2016-09-13 2016-09-30 매물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 및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의 매물 영상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 KR2018003609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242A KR20180036098A (ko) 2016-09-30 2016-09-30 매물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 및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의 매물 영상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
US15/350,478 US20180075652A1 (en) 2016-09-13 2016-11-14 Server and method for producing virtual reality image about obj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242A KR20180036098A (ko) 2016-09-30 2016-09-30 매물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 및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의 매물 영상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098A true KR20180036098A (ko) 2018-04-09

Family

ID=61977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242A KR20180036098A (ko) 2016-09-13 2016-09-30 매물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 및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의 매물 영상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60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373A (ko) * 2018-05-23 2019-12-03 (주)신한항업 영상이미지 정보 클라우드 기반의 3d 실내공간 이미지 자동 생성시스템과 생성방법
WO2020091182A1 (ko) * 2018-10-30 2020-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증강 현실을 이용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373A (ko) * 2018-05-23 2019-12-03 (주)신한항업 영상이미지 정보 클라우드 기반의 3d 실내공간 이미지 자동 생성시스템과 생성방법
WO2020091182A1 (ko) * 2018-10-30 2020-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증강 현실을 이용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48714A (ko) * 2018-10-30 2020-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증강 현실을 이용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867495B2 (en) 2018-10-30 2024-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image data using augmented reality and control method for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75652A1 (en) Server and method for producing virtual reality image about object
CN111247561B (zh) 一种基于拍照重建三维空间场景的方法
US10740980B2 (en)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virtual reality data from a three-dimensional point cloud
EP2976748B1 (en) Image-based 3d panorama
US9420253B2 (en) Presenting realistic designs of spaces and objects
US8542911B1 (en) Photogrammetry engine for model construction
CN100511284C (zh) 图像处理设备、图像处理方法
US8390617B1 (en) Visualizing oblique images
US20160210785A1 (en)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and mapping
US20110285703A1 (en) 3d avatar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ing background image
KR101867020B1 (ko) 박물관/미술관용 증강 현실 구현 방법 및 장치
AU2019200032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gmented reality
Knabb et al. Scientific visualization, 3D immersive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and archaeology in Jordan and the Near East
CN111340598B (zh) 一种添加交互标签的方法及装置
CN102096938A (zh) 一种可量测全景图像的构建方法
Möser et al. Context aware terrain visualization for wayfinding and navigation
CN114895796B (zh) 一种基于全景图的空间交互方法、装置及应用
US20050078053A1 (en) Image-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pixel data therefor
KR20180036098A (ko) 매물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 및 3차원 모델링 영상 제공 서버의 매물 영상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
US11836965B2 (en) Determining visual overlap of images by using box embeddings
KR20180029690A (ko) 매물에 관한 가상현실영상 제공방법 및 제공서버, 매물에 관한 가상현실영상 제작방법 및 제작서버
KR102005251B1 (ko) 가상 현실에 기반하여 매물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서버, 제공자 단말 및 방법
WO2001001075A2 (en) Photogrammetry engine for model construction
KR101265554B1 (ko) 3차원 광고 시스템 및 방법
CN109840943B (zh) 三维可视化分析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19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727

Effective date: 201908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1006969;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1006969;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930

Effective date: 2020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