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6045A - 멀티비전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비전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045A
KR20180036045A KR1020160126094A KR20160126094A KR20180036045A KR 20180036045 A KR20180036045 A KR 20180036045A KR 1020160126094 A KR1020160126094 A KR 1020160126094A KR 20160126094 A KR20160126094 A KR 20160126094A KR 20180036045 A KR20180036045 A KR 20180036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air
fixed
display devi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희
Original Assignee
(주)웨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웨이비 filed Critical (주)웨이비
Priority to KR1020160126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6045A/ko
Publication of KR20180036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0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비전 설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설치장치는 수직방향으로 기립하게 설치되며 측면에 한 쌍의 레일(110)이 설치되는 고정틀(100)과, 상기 한 쌍의 레일(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영상표시장치(1)를 분리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브라켓(200)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200)은 상기 영상표시장치(1)와 결합되는 한 쌍의 이송프레임(210)과, 상기 한 쌍의 이송프레임(210)이 수평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게 각각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220)과,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220)과 일면이 고정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230)와, 상기 회전플레이트(230)와 일면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240)와, 일측이 상기 고정플레이트(240)와 고정결합되고 타측에 힌지축(256)이 마련된 회전부재(250)와, 상기 힌지축(256)의 양 끝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262)가 일면에 결합되는 이송플레이트(260) 및, 상기 이송플레이트(260)의 타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틀(10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2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비전 설치장치{multi-vision devices installed}
본 발명은 멀티비전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멀티비전을 이루고 있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장치들을 원터치 방식으로 쉽게 설치하고 분리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멀티비전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멀티비전은 하나의 영상을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화면을 출력하거나 여러개의 영상을 동시에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 다수의 영상표시장치들을 대게는 격자형으로 배열하여 전체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게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멀티비전은 주로 전시장, 행사장, 대형건물, 박물관, 스포츠 경기장, 관공서 등과 같은 넓은 장소에서 전시 또는 행상에 필요한 영상을 출력하여 영상정보를 전달하거나 광고를 하기 위한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비전을 대게 다수의 표시장치들을 설치할 수 있는 설치대에 고정 또는 분리되게 설치되는 데, 그 대표적인 예가 등록특허 제10-0898682호의「멀티비전용 유니버설거치대」를 들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멀티비전용 유니버설거치대(10)는 사각형의 기초프레임(11)과, 기초프레임(11) 상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2)을 구비한다. 지지프레임(12)에는 디스플레이장치(20)가 설치된다. 유니버설거치대(10)는 복수개가 3×3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20)가 각각의 유니버설거치대(10)에 설치됨으로써, 멀티비전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프레임(12)은 기초프레임(11) 상에 좌우 또는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20)가 지지프레임(12)에 설치되면, 디스플레이장치(20)가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다른 인접한 유니버설거치대(1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20)와 서로 밀착 고정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장치(20)들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고 긴밀히 밀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2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디스플레이장치(20)의 걸림핀(13)이 지지프레임(12)의 설치홀(12a)과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위치시킨 다음, 걸림핀(13)의 헤드부(13a)를 설치홀(12a)의 삽입부에 삽입한다(위치 A). 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20)를 아래쪽으로 당기면 걸림핀(13)이 설치홀(12a)의 제 1 걸림부로 이송되어(위치 B), 디스플레이장치(20)는 지지프레임(12) 상에 고정된다.
한편 멀티비전을 형성한 디스플레이장치(20)들 중에서 고장난 디스플레이장치(20)를 탈부착하려고 할 때에, 제2걸림부는 인접한 디스플레이장치(20)를 지지프레임(12)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해준다.
구체적으로, 도 2와 같이 지지프레임(12)이 좌우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경우 탈부착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장치(20)의 좌우측의 디스플레이장치(20)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좌우측에는 탈부착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장치(20)를 위한 충분한 공간이 생긴다. 하지만, 상하간의 디스플레이장치(20) 사이의 간섭이 문제될 수 있는데, 그 문제는 탈부착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장치(20)의 위쪽 디스플레이장치(20)를 제2걸림부에 걸쳐놓음으로써(도 3의 위치C) 해결할 수 있다. 즉, 탈부착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장치(20)의 위쪽 디스플레이장치(20)가 위치 C에 놓이게 되면, 상하간 일정한 공간이 생기게 되고, 위쪽 디스플레이장치(20)의 간섭없이 탈부착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장치(20)를 삽입부을 통해 탈부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을 갖는 멀티비전용 유니버설거치대(10)는 디스플레이장치(20)를 거치하는 작업이 복잡하고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멀티비전 사용 중 고장 등의 이유로 디스플레이장치(20)를 교체하게 되는 경우 주변 디스플레이장치(20)를 좌우 또는 상하로 이송시키면서 해당 디스플레이장치(20)를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2010년 3월에 『원터치분리형 멀티비전 설치장치』란 명칭으로 특허 출원을 진행하여 등록을 받은바 있다.(등록번호10-0960726)
이를 살펴보면, 영상표시장치를 설치장치에 원터치 방식으로 설치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또는 분리하는 데 소요되는 작업시간과 작업량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설치 후 고장 등의 이유로 영상표시장치를 교체할 경우 주변 영상표시장치를 움직이지 않고도 해당 영상표시장치만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원터치분리형 멀티비전 설치장치는 원터치 방식으로 쉽고 간편하게 설치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은 있었으나, 복수개의 영상표시장치가 일렬로 배치될 경우 중앙에 위치되는 영상표시장치만을 분리하기 까다로운 단점이 있었으며, 영상표시장치를 설치한 후 각도를 조절하기에도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멀티비전 설치장치를 강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설치장치는 영상표시장치를 설치장치에 원터치방식으로 설치하고 분리 가능하게 함으로써, 최초 설치하는 데 소요되는 작업시간과 작업량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후 고장 등의 이유로 영상표시장치를 교체할 때 주변 영상표지장치의 움직임 없이 해당 영상표시장치만을 분리하고 새로운 것으로 설치함으로써 교체하는 데 소요되는 작업시간과 작업량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영상표시장치를 회전시킬 수 있는 멀티비전 설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직방향으로 기립하게 설치되며 측면에 한 쌍의 레일이 설치되는 고정틀과, 상기 한 쌍의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영상표시장치를 분리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영상표시장치와 결합되는 한 쌍의 이송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이송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게 각각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과 일면이 고정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와 일면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일측이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고정결합되고 타측에 힌지축이 마련된 회전부재와, 상기 힌지축의 양 끝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가 일면에 결합되는 이송플레이트 및,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타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로 이루어진 멀티비전 설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멀티비전 설치장치에 따르면, 영상표시장치를 설치장치에 설치 후 다양한 각도로 영상표시장치를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화면을 다양한 형태로 배치할 수 있으며, 영상표시장치를 고정틀의 후방에 측면에서 결합한 후, 전방측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킨 후 회전 고정시킬 수 있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고정틀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를 고정틀에 끼움결합하는 방식으로 설치하고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최초 설치하는 데 소요되는 작업시간과 작업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설치 후 고장 등의 이유로 영상표시장치를 교체할 때 주변 영상표지장치의 움직임 없이 해당 영상표시장치만을 분리하고 새로운 것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교체하는 데 소요되는 작업시간과 작업량도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멀티비전 기초프레임이 서로 상하좌우로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유니버설 거치대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설치홀에 디스플레이장치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설치장치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된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5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설치장치의 설치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멀티비전 설치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설치장치는 수직방향으로 기립하게 설치되는 고정틀(100)과, 상기 고정틀(100)에 영상표시장치(1)를 분리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브라켓(200)을 포함한다.
고정틀(100)은 복수개의 영상표시장치(1)를 n×n 또는 n×m 배열로 설치될 수 있게 설치되는 영상표시장치(1)의 갯 수에 맞게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연결부재가 상호 연결되는 구조의 사각 기둥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고정틀(100)은 스탠드형, 이동형 또는 매립형 등으로 그 용도에 맞게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고정틀(100)은 복수개의 영상표시장치(1)들이 n×n 또는 n×m 배열로 설치될 때 영상표시장치(1)들이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한 쌍의 레일(11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가 고정설치되는 고정틀(100)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후술하는 브라켓(200)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한 쌍의 레일(110)이 상호 마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레일(110)은 상기 고정틀(100)의 측면 양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틀(100)의 네 면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다.
브라켓(200)은 상기 한 쌍의 레일(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브라켓(2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와 결합되는 한 쌍의 이송프레임(210)과, 상기 한 쌍의 이송프레임(210)이 수평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게 각각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220)과,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220)과 일면이 고정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230)와, 상기 회전플레이트(230)와 일면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240)와, 일측이 상기 고정플레이트(240)와 고정결합되고 타측에 힌지축(256)이 마련된 회전부재(250)와, 상기 힌지축(256)의 양 끝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262)가 일면에 결합되는 이송플레이트(260)와, 상기 이송플레이트(260)의 타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틀(10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27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이송프레임(210)은 점선으로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의 후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이송프레임(210)은 상기 영상표시장치(1)와 결합되는 면의 양 끝단에 각각 거꾸로 뒤집힌 오뚜기 모양의 결합공(212)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영상표시장치(1)의 후면에는 상기 결합공(212)에 끼움결합될 수 있는 결합돌기(10)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결합공(212)이 형성된 이송프레임(210)의 하부면에는 결합공(212)에 끼움결합되는 결합돌기(10)의 위치 즉, 결합공(212) 내에서의 결합돌기(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조절나사(214)가 결합된다.
즉, 상하조절나사(214)는 영상표시장치(1)의 상하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결합공(212)에 내에 끼움결합되는 결합돌기(10)를 가압하여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도 7참고)
한 쌍의 고정프레임(220)은 상기 한 쌍의 이송프레임(210)이 삽입될 수 있게 중공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프레임(210)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220)의 일면에는 상기 이송프레임(210)과의 슬라이딩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수평조절나사(224)가 삽입되는 장공(2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공(222)이 형성된 위치의 상기 이송프레임(210)에는 상기 수평조절나사(224)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한 나사공(216)이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프레임(220)에 상기 이송프레임(21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프레임(210)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수평조절나사(224)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프레임(220)에 이송프레임(210)을 고정하는 형태로 이송프레임(21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영상표시장치(1)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230)는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220)에 고정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플레이트(230)는 일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기 고정프레임(220)이 위치되도록 한 후 볼트(232)에 의해 고정설치되며, 타면에는 고정플레이트(24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회전플레이트(23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240)는 각각 중심부에 회전공(234,244)이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회전축(246)에 의해 상기 회전플레이트(2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240)에 대해 회전되는 회전플레이트(230)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240)의 측면 양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공(244)을 사이에 두고 양 측면에 장공(242)을 형성하고, 상기 장공(242)이 형성된 위치의 회전플레이트(230)에는 상기 장공(242)을 관통한 위치구속나사(248)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한 위치구속공(236)이 마련된다.
즉, 상기 회전축(246)을 통해 상기 고정플레이트(240)에 결합된 회전플레이트(230)를 회전시킨 후 고정플레이트(240)에 형성된 장공(242)으로 위치구속나사(248)를 삽입한 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플레이트(230)를 회전시킨 후 원하는 위치에서 위치구속나사(248)를 이용하여 조이는 작업을 통해 상기 회전플레이트(2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회전부재(250)는 상기 회전플레이트(230)와 일면이 결합된 고정플레이트(240)의 타면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25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플레이트(240)와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도록 측면 양측에 고정플랜지(252)가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이 고정플랜지(252)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판(254)이 마련된 구조로서, 상기 마주보게 위치된 고정플랜지(152)의 끝단에는 힌지축(256)이 고정설치된다.
이송플레이트(26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면에는 상기 회전부재(25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지지부재(262)가 마련되고, 타면에는 상기 고정틀(10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110)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부재(270)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플레이트(260)는 일면에 상기 회전부재(25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볼트(S)에 의해 결합되는 지지부재(262)가 마련된다. 상기 지지부재(262)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호 마주보게 위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일측에 상기 회전부재(250)의 힌지축(256) 양단이 끼움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한 힌지공(26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공(261) 내에는 상기 힌지축(256)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베어링(263)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이송플레이트(260)의 타면에는 슬라이딩부재(270)가 고정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270)는 상기 이송플레이트(260)의 네 모서리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고정틀(100)의 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재(270)가 결합된 이송플레이트(260) 상에는 스토퍼(264)가 마련된다.
상기 스토퍼(264)는 상기 슬라이딩부재(270)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브라켓(200)의 이동시 상기 고정틀(100)의 레일(110) 사이에 설치된 멈춤돌기(120)와 접촉되면서 브라켓(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젼 설치장치의 설치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틀(100)을 제작하고, 상기 고정틀(100)의 측면에 한 쌍의 레일(110)을 설치한다.
이후, 상기 한 쌍의 레일(110)에 브라켓(200)을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다음 영상표시장치(1)를 브라켓(200)의 이송프레임(210)과 결합한다. 이때 영상표시장치는 후면에 결합돌기(10)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프레임(210)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공(21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끼움결합할 수 있다.
이후,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00)을 레일(210)을 따라 전방(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이동되는 상기 브라켓(200)은 상기 한 쌍의 레일(210) 사이에 마련된 멈춤돌기(120)에 스토퍼(264)가 접촉되면서 이동을 멈춘다.
이후, 이동을 멈춘 브라켓(200)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멈춤돌기(120)와 스토퍼(264)를 고정나사(265)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따라서, 레일(110)을 따라 이동된 브라켓(200)이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한편, 브라켓(200)을 고정틀(100)의 전방측에 고정시킨 후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6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재(250)를 회전시켜 영상표시장치(1)가 전방측으로 향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방으로 회전된 회전부재(25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재(250)의 연결판(254)에 볼트공(254a)을 형성하고, 상기 볼트공(254a)이 위치되는 상기 이송플레이트(260) 상에 상기 볼트공(254a)과 동일한 형상의 구속공(260a)이 형성되도록 한 후 회전구속나사(258)를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회전부재(25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설치 후 영상표시장치(1)의 화면 각도를 조절할 경우에는 고정플레이트(240)와 회전플레이트(230)를 구속하고 있는 위치구속나사(248)의 조임력을 해제한 후 원하는 각도로 회전플레이트(230)를 회전시킨 다음 다시 위치구속나사(248)를 이용하여 고정플레이트(240)와 회전플레이트(230)를 고정시킴으로써, 영상표시장치(1)를 다양한 각도로 배치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설치장치는 영상표시장치(1)를 고정틀(100)에 끼움결합하는 방식으로 설치하고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최초 설치하는 데 소요되는 작업시간과 작업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를 고정틀(100)의 후방에서 결합한 후 전방측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킨 후 영상표시장치(1)를 고정하고 있는 브라켓(200)의 회전부재(250)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영상표시장치(1)를 설치 또는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후 고장 등의 이유로 영상표시장치(1)를 교체할 때 주변 영상표지장치(1)의 움직임 없이 해당 영상표시장치(1)만을 분리하고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수 있어 교체하는 데 소요되는 작업시간과 작업량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고정플레이트(240)에 대해 회전플레이트(230)를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영상표시장치(1)를 고정틀(100)에 설치 후 다양한 각도로 배치할 수 있으며, 영상표시장치(1)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결합할 수 있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설치장치에 설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영상표시장치 10 : 결합돌기
100 : 고정틀 110 : 레일
200 : 브라켓 210 : 이송프레임
212 : 결합공 214 : 상하조절나사
216 : 나사공 220 : 고정프레임
222 : 장공 224 : 수평조절나사
230 : 회전플레이트 232 : 볼트
234 : 회전공 236 : 위치구속공
240 : 고정플레이트 244 : 회전공
246 : 회전축 248 : 위치구속나사
250 : 회전부재 252 : 고정플랜지
254 : 연결판 254a : 볼트공
256 : 힌지축 258 : 회전구속나사
260 : 이송플레이트 260a : 구속공
262 : 지지부재 263 : 베어링
264 : 스토퍼 265 : 고정나사
270 : 슬라이딩부재

Claims (4)

  1. 수직방향으로 기립하게 설치되며 측면에 한 쌍의 레일(110)이 설치되는 고정틀(100)과,
    상기 한 쌍의 레일(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영상표시장치(1)를 분리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브라켓(200)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200)은
    상기 영상표시장치(1)와 결합되는 한 쌍의 이송프레임(210)과,
    상기 한 쌍의 이송프레임(210)이 수평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게 각각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220)과,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220)과 일면이 고정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230)와,
    상기 회전플레이트(230)와 일면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240)와,
    일측이 상기 고정플레이트(240)와 고정결합되고 타측에 힌지축(256)이 마련된 회전부재(250)와,
    상기 힌지축(256)의 양 끝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262)가 일면에 결합되는 이송플레이트(260) 및,
    상기 이송플레이트(260)의 타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틀(10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270)로 이루어진 멀티비전 설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100)의 한 쌍의 레일(110) 사이에는 멈춤돌기(120)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레일(110)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상기 브라켓(200)의 이송플레이트(260)에는 상기 멈춤돌기(120)와 접촉될 수 있는 스토퍼(264)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고정나사(26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멀티비전 설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25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플레이트(240)와 결합될 수 있게 측면 양측에 고정플랜지(252)가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상기 고정플랜지(252)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판(254)이 마련된 구조로서, 상기 마주보게 위치된 고정플랜지(152)의 끝단에는 힌지축(256)이 고정설치되어 상기 이송플레이트(260)의 지지부재(262)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멀티비전 설치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송플레이트(260)에 대해 회전되는 상기 회전부재(250)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재(250)의 연결판(254)에는 볼트공(254a)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254a)이 위치되는 상기 이송플레이트(260) 상에는 구속공(260a)이 형성되도록 하여 회전구속나사(258)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멀티비전 설치장치.
KR1020160126094A 2016-09-30 2016-09-30 멀티비전 설치장치 KR201800360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094A KR20180036045A (ko) 2016-09-30 2016-09-30 멀티비전 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094A KR20180036045A (ko) 2016-09-30 2016-09-30 멀티비전 설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045A true KR20180036045A (ko) 2018-04-09

Family

ID=61977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094A KR20180036045A (ko) 2016-09-30 2016-09-30 멀티비전 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604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0432A (zh) * 2019-07-08 2019-10-22 中机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高层建筑外墙电子显示屏的安装方法
CN111336353A (zh) * 2018-12-19 2020-06-26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器安装装置及具有该显示器安装装置的多显示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6353A (zh) * 2018-12-19 2020-06-26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器安装装置及具有该显示器安装装置的多显示器
CN111336353B (zh) * 2018-12-19 2022-01-21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器安装装置及具有该显示器安装装置的多显示器
CN110360432A (zh) * 2019-07-08 2019-10-22 中机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高层建筑外墙电子显示屏的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9657B1 (en) Multivision display system
CN111336353B (zh) 显示器安装装置及具有该显示器安装装置的多显示器
KR101712620B1 (ko)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
JP3872590B2 (ja) 投射型映像表示装置
US8186637B2 (en) Media device mounting system
CN101738838B (zh) 背面投影型图像显示装置
KR20180036045A (ko) 멀티비전 설치장치
US20100045943A1 (en) Projector Mount
US9538117B2 (en) Support fr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0485121Y1 (ko)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고정장치
JP3374091B2 (ja) マルチスタッキング投写装置
CN110390892A (zh) 箱体、显示屏模块单元和显示屏模组
US9998706B2 (en) Video conference endpoint displays
KR20180071623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6276834A (ja) フラットパネル表示装置を構成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CN101738832A (zh) 投影型图像显示装置
CN202698290U (zh) 可移动的摄像头测试桌
BR102013033029A2 (pt) Dispositivo mostrador
JP4424328B2 (ja) 壁面取付け機能を備えた薄型表示装置および薄型表示装置を壁面に取付ける壁面取付け装置
JP3160260U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CN212672885U (zh) 一种高端微调万能吊架
JP6469461B2 (ja) 画像表示装置の取付構造
US20160081208A1 (en) Display apparatus with multiple means of support
JP6120532B2 (ja) マルチビジョン表示装置
WO2016010373A1 (ko) 곡률을 갖는 스크린이 설치된 상영관 및 그 의자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