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6003A - 농축액 플라스크 - Google Patents

농축액 플라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003A
KR20180036003A KR1020160125996A KR20160125996A KR20180036003A KR 20180036003 A KR20180036003 A KR 20180036003A KR 1020160125996 A KR1020160125996 A KR 1020160125996A KR 20160125996 A KR20160125996 A KR 20160125996A KR 20180036003 A KR20180036003 A KR 20180036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k
joint hole
collection container
present
concen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3846B1 (ko
Inventor
이평호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60125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846B1/ko
Publication of KR20180036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8Fl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6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6Reagents, handling or stor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48Specific forms of parts of containers
    • B01L2300/0851Bottom wa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농축액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는 플라스크 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크는 상측에 개구부가 구현되는 목부; 상기 개구부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 마련되어 외부와 연통하는 접합홀부; 및 상기 접합홀부에 결착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수거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농축액 플라스크{flask}
본 발명은 농축액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는 플라스크 구조에 대한 것이다.
농축기(evaporator)를 이용하여 유기화합물(천연물포함)을 농축할 때 농축 플라스크 내부 표면 및 바닥에 농축성분이 잔류하게 되어 유효성분의 회수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농축물을 다시 소량의 용매를 이용하여 녹인 다음에 다시 작은 농축용 용기(플라스크, 바이알, 튜브 등)을 이용하여 농축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회수시간이 길어져 업무처리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일부 제품 중에는 농축플라스크 바닥이 돌출되도록 고안되어 유효성분이 바닥에 모이도록 디자인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나 유효성분의 점성이 높은 경우에는 분리 과정 중에서 농축플라스크에 일부 유효성분이 다시 묻게 되거나 돌출부위에 잔류하게 되어 회수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1761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스크의 구조의 하면에 농축액을 직접 외부로 추출하여 수용할 수 있는 접합홀부를 구현하도록 하여, 농축기를 이용하여 용매 추출물 등을 농축시의 유효성분 회수율을 향상할 수 있는 농축액 플라스크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측에 개구부가 구현되는 목부; 상기 개구부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 마련되어 외부와 연통하는 접합홀부; 및 상기 접합홀부에 결착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수거용기;를 포함하는 농축액 플라스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접합홀부가 마련되는 상기 몸체부의 하면의 두께가 상기 목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농축액 플라스크를 구현하여 접합홀부를 내측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마련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상기 접합홀부의 내표면에 상기 수거용기의 결합부에 대응되는 스크류 패턴이 구현되는, 농축액 플라스크를 제공하여 결합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합홀부의 외측에 돌출고정패턴부가 마련되며, 상기 수거용기는 상기 돌출고정패턴부에 결착되는 구조의 농축액 플라스크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이 경우 상기 돌출고정패턴부의 내측에 상기 수거영기의 결합부에 대응되는 스크류 패턴이 구현되는, 농축액 플라스크를 제공하여 결합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돌출고정패턴부와 상기 수거용기가 접촉하는 구조로 배치되고, 외측부에서 상기 돌출고정패턴부 및 상기 수거용기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농축액 플라스크를 구현하여 고정력이 확보되는 구조물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어느 경의 실시예이던, 상기 접합홀부의 상측 에지부가 곡률(R)을 구비하는 구조로 라운딩처리되는, 농축액 플라스크를 구현하여 농축액이 모이는 과정을 효율화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접합홈부는, 상기 접합홈부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하진는 구조인, 농축액 플라스크를 구현하여 기울임 작업에 적용되는 경우 농축액의 수거과정을 효율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스크에는 상기 목부의 일영역에 내측과 외부를 관통하는 보조 주입홀이 더 구현되는 농축액 플라스크를 구현하여 추가 용매의 주입을 별도의 분리공정 없이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술한 상기 보조 주입홀의 직경에 대응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수거용기의 결합부의 외주면에 결착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농축액 플라스크를 제공하여 밀봉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스크의 구조의 하면에 농축액을 직접 외부로 추출하여 수용할 수 있는 접합홀부를 구현하도록 하여, 농축기를 이용하여 용매 추출물 등을 농축시의 유효성분 회수율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농축기를 이용하는 농축공정 중, 농축 플라스크의 메인 주입구인 목부의 측면에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보조 주입홀을 구현하여 추가 용매를 투입하기 위한 농축 플라스크 분리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해, 업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액 플라스크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합홀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수거용기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크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크의 요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액 플라스크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합홀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수거용기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액 플라스크는 상측에 개구부(G)가 구현되는 목부(110)와, 상기 개구부(G)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되는 몸체부(120), 그리고 상기 몸체부(120)의 하면에 마련되어 외부와 연통하는 접합홀부(150) 및 상기 접합홀부에 결착하는 결합부(142)를 구비하는 수거용기(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액 플라스크의 특징적인 구조는 종래의 일반적인 플라스크 구조물과는 달리, 플라스크의 하면 부분에 농축된 농축액 추출물이 하부로 모이게 하고, 이를 외부로 배출함과 동시에 수용이 가능한 수거용기를 결합시킬 수 있는 접합홀부를 구현한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액 플라스크(이하, '플라스크'라 한다.)의 접합홀부(13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라스크 하면에 내측방향으로 구현되는 홀구조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의 플라스크는, 다른 플라스크의 몸체부나 목부를 구성하는 부분의 두께 보다 더 두꺼운 구조로 하부면(이하, '후막부'라 한다.)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후막부(125)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체부의 전체 높이(D)의 1/2 이하의 부분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후막부(125)의 두께는 플라스크 몸체부의 중심부(Z)로 갈수록 두꺼운 구조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후막부(125)가 일정한 두께를 구비한 구조로 구현되고, 플라스크 몸체부의 중심부(Z)에 형성되는 상기 접합홀부(130)가 상기 후막부를 관통하는 구조로 구현하여, 향후 수거용기(140)의 결합부(142)가 상기 접합홀부에 삽입되는 구조로 결합되고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142)와 상기 접합홀부(130)의 밀착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상기 결합부(142)의 내표면에는 스크류 패턴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패턴(132)은 도 2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합홀부(130)의 내표면에 구현되며, 이 경우 수거용기의 결합부(142)에도 이에 대응되는 스크로패턴이 구현되어 나사결합과 같은 구조로 결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류 패턴을 이용한 결착구조에서도 상기 수거용기(140)의 결합부(142)의 상단에는 용액의 누수를 막기 위한 링형태의 실싱부재(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스크의 구조에서 상기 접합홀부(130)의 폭(d3)는 상기 목부(110)의 폭(d1) 이하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추출물 등이 아래 부분에서 모이거나 교반이나 회전 동작시 원활하게 플라스크 하부바닥의 중심점으로 자연스럽게 모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스크의 구조에서의 상기 접합홀부(130)은 도 2의 (b)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상기 접합홀부(130)의 상측 에지부가 곡률(R)을 구비하는 구조로 라운딩처리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에지부가 곡률(R)을 가지게 되면, 보다 용이하게 플라스크의 접합홀부의 내측으로 용액이 모여들수 있게 되는바, 유효성분이 포함된 농축액의 효율적으로 모이게 하여 모인 농축액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플라스크 구조에서 상기 접합홀부(130)은 도 2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접합홈부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하진는 구조(a>b)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접합홀부(130)의 상측 에지부가 곡률(R)을 구비하는 도 2 (b)의 구조도 동시에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플라스크를 기울여서 실험이나 공정이 구현되는 경우, 접합홈부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하진는 구조(a>b)로 구현되는 홀에 경사가 자연스럽게 구현되게 되는바, 매우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용액을 수거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플라스크의 접합홈부에 결합하는 수거용기(140)의 다양한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다.
일예로, 도 3의 (a)와 같이, 상기 수거용기(140)가 접합홈부(130)에 슬라이딩되어 삽입결착(끼움결합)하거나, 스크류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도 3의 (b)와 같이, 결합부(146)의 외면에 탄성을 가지는 실링부재(P)를 배치하여 끼움결합이나 스크류결합시 밀봉력을 높여 결합틈새로 용액이 누수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수거용기(140)은 도 3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간편하게는, 기존에 사용하는 바이알이나 병, 튜브(c), 플라스크(d)도 본 발명의 수거용기로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플라스크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목부의 일영역에 내측과 외부를 관통하는 보조 주입홀(115)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 주입홀의 직경에 대응되는 커버부재(117)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보조 주입홀(115)은 농축기를 이용하는 농축공정 중, 농축 플라스크의 메인 주입구인 목부의 측면에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보조 주입홀을 구현하여 추가 용매를 투입하기 위한 농축 플라스크 분리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해, 업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크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의 실시예가 도 1의 실시예 구조와 다른 점은 접합홀부(250)의 구조를 내부에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플라스크의 외주면의 외측에 돌출구조로 구현하는 점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목부(210)과 몸체부(220)의 구조는 일반적인 구조로 도 1과 유사하나, 플라스크의 하면에 접합홀부(230)를 개구 형태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접합홀부(230)의 외측에 돌출고정패턴부(250)가 마련되며, 상기 수거용기는 상기 돌출고정패턴부에 결착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돌출고정패턴부(250)는 내측에 상기 수거용기의 결합부에 대응되는 스크류 패턴이 구현되어 도 3과 같은 수거용기가 결합될 수 있게 스크류 결합하거나, 또는 끼움결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도 5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돌출고정패턴부(250)는 내측에 수거용기의 결합부에 대응되는 스크류 패턴(235)이 구현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도 5의 (b)와 같은 형태로, 접합홀부(230)에 해당하는 홀을 구현한 후, 접합홀부(230)과 일정한 간격(y)으로 이격되는 단차부(252)를 갖도록 돌출고정패턴부(250)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단차부에 상기 수거용기의 결합부가 끼움결합형태로 고정될 수 있게 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또는, 도 5의 (c)와 같은 구조로, 상기 돌출고정패턴부(237)와 상기 수거용기(250)의 결합부가 접촉하는 구조로 배치되고, 외측부에서 상기 돌출고정패턴부 및 상기 수거용기를 고정하는 고정부재(260)를 더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재(260)은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고정클립과 같은 구조로 구현할 수 있으며, 원활할 고정을 위해서 상기 돌출고정패턴부(237)에는 고정부재 안착홈(238)을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스크의 구조의 하면에 농축액을 직접 외부로 추출하여 수용할 수 있는 접합홀부를 구현하도록 하여, 농축기를 이용하여 용매 추출물 등을 농축시의 유효성분 회수율을 향상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목부
115: 보조 주입홀
120: 몸체부
130: 접합홀부
140: 수거용기

Claims (10)

  1. 상측에 개구부가 구현되는 목부;
    상기 개구부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 마련되어 외부와 연통하는 접합홀부; 및
    상기 접합홀부에 결착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수거용기;
    를 포함하는 농축액 플라스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합홀부가 마련되는 상기 몸체부의 하면의 두께가 상기 목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농축액 플라스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합홀부의 내표면에 상기 수거용기의 결합부에 대응되는 스크류 패턴이 구현되는,
    농축액 플라스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합홀부의 외측에 돌출고정패턴부가 마련되며,
    상기 수거용기는 상기 돌출고정패턴부에 결착되는 구조의 농축액 플라스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돌출고정패턴부의 내측에 상기 수거영기의 결합부에 대응되는 스크류 패턴이 구현되는, 농축액 플라스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돌출고정패턴부와 상기 수거용기가 접촉하는 구조로 배치되고,
    외측부에서 상기 돌출고정패턴부 및 상기 수거용기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농축액 플라스크.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홀부의 상측 에지부가 곡률(R)을 구비하는 구조로 라운딩처리되는, 농축액 플라스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접합홈부는,
    상기 접합홈부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하진는 구조인, 농축액 플라스크.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목부의 일영역에 내측과 외부를 관통하는 보조 주입홀;
    이 더 구현되는 농축액 플라스크.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조 주입홀의 직경에 대응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수거용기의 결합부의 외주면에 결착되는 실링부재;
    를 더 포함하는 농축액 플라스크.
KR1020160125996A 2016-09-30 2016-09-30 농축액 플라스크 KR101953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996A KR101953846B1 (ko) 2016-09-30 2016-09-30 농축액 플라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996A KR101953846B1 (ko) 2016-09-30 2016-09-30 농축액 플라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003A true KR20180036003A (ko) 2018-04-09
KR101953846B1 KR101953846B1 (ko) 2019-03-06

Family

ID=61977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996A KR101953846B1 (ko) 2016-09-30 2016-09-30 농축액 플라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84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629A (ja) * 1994-07-04 1996-01-16 Seitai Kinou Kenkyusho:Kk 小型濃縮用フラスコ
KR100717614B1 (ko) 2003-06-27 2007-05-15 프로뒤 베르제 다공성 물질로 제조된 촉매 연소 버너 및 그러한 버너가장착된 플라스크
KR20070057817A (ko) * 2004-08-04 2007-06-07 피터 에이.케이. 용 생물학적 시료의 채취, 운반 및 투약 시스템
KR20120019885A (ko) * 2010-08-27 2012-03-0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검체 채취 및 주입 장치
JP2012510272A (ja) * 2008-12-01 2012-05-10 バクスター・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生体物質を処理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20130131714A (ko) * 2012-05-24 2013-12-04 주식회사 대홍바이오텍 검체 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629A (ja) * 1994-07-04 1996-01-16 Seitai Kinou Kenkyusho:Kk 小型濃縮用フラスコ
KR100717614B1 (ko) 2003-06-27 2007-05-15 프로뒤 베르제 다공성 물질로 제조된 촉매 연소 버너 및 그러한 버너가장착된 플라스크
KR20070057817A (ko) * 2004-08-04 2007-06-07 피터 에이.케이. 용 생물학적 시료의 채취, 운반 및 투약 시스템
JP2012510272A (ja) * 2008-12-01 2012-05-10 バクスター・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生体物質を処理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20120019885A (ko) * 2010-08-27 2012-03-0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검체 채취 및 주입 장치
KR20130131714A (ko) * 2012-05-24 2013-12-04 주식회사 대홍바이오텍 검체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3846B1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64774S1 (en) Liquid sample collector and test device
US9637281B2 (en) Container
JP2021192847A (ja) 不正開封防止キャップ
US9841044B2 (en) Grooved rotatably fastening structure, rotatably fastening combo, and packaging structure
US8796548B2 (en) Underground utility box assembly
RU2411026C2 (ru) Муфта для приема горлышка капельницы,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е тара и комплект
US9917427B2 (en) Underground utility box assembly
US8413830B2 (en) Closure
US20080179274A1 (en) Seal and saver container
WO2003057591A3 (en) Fitment and package for storing fluid-containing materials and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CN104891002A (zh) 具有两个显窃启构件的显窃启封闭组合件及相关方法
BRPI0311342B8 (pt) conector para embalagens que contêm líquidos medicinais
US8408410B2 (en) Reusable drinking straw holder with bottle neck securing assembly
WO2010030528A3 (en) Closure for containers
CN205495477U (zh) 具有容器穿孔部件的多相液体混合容器
KR101953846B1 (ko) 농축액 플라스크
WO2017049331A1 (de) Behälter
EP2144823A1 (en) One-piece squeeze and turn child-resistant closure and container system
CN208898774U (zh) 一种水蛭素的提取装置
CN215400463U (zh) 一种两面通用的安全盖
ITMI990220A1 (it) Dispositivo di apertura con tappo a strappo per contenitori ermetici di bevande in specie lattine e tetrapacco con cannuccia interna a fuori
IT201800009269A1 (it) Adattatore maschio-femmina per connettore a chiusura ermetica, perforabile con innesto maschio ed automaticamente richiudibile a tenuta, particolarmente per dispositivi di contenimento ed erogazione di soluzioni liquide ad uso farmacologico e/o nutrizionale, e connettore ad innesto maschio munito di adattatore maschio-femmina.
US7900525B2 (en) Cathode handler system
CN202880060U (zh) 一种新型塑料胶水瓶
CN203698927U (zh) 用于农药的滴液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