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5615A - 인서트형 철근고정구 - Google Patents

인서트형 철근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5615A
KR20180035615A KR1020160125934A KR20160125934A KR20180035615A KR 20180035615 A KR20180035615 A KR 20180035615A KR 1020160125934 A KR1020160125934 A KR 1020160125934A KR 20160125934 A KR20160125934 A KR 20160125934A KR 20180035615 A KR20180035615 A KR 20180035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bar
reinforcing
insert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3535B1 (ko
Inventor
김영학
김민재
Original Assignee
김영학
김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학, 김민재 filed Critical 김영학
Priority to KR1020160125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535B1/ko
Publication of KR20180035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other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서트형 철근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철근콘크리트의 시공에 사용되는 철근(2)이 거푸집(1)에서 이탈되지 않게 결속하는 철근고정구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철근고정구에 있어서, 거푸집(1)의 시공면에서 철근(2)을 거푸집(1)에 결박구속할 수 있게 거푸집(1)을 관통하여 끼움 결속되는 인서트결속구(10)와 상기 인서트결속구(10)의 결속편결속부(12)에 결속되는 거푸집끼움결속편(13), 상기 인서트결속구(10)에서 연장형성된 연결바(20) 및 상기 열결바에서 연장되어 철근(2)을 결박 구속하는 결박바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지 않고 거푸집(1)의 상면에서 구멍을 뚫고 바로 거푸집(1)에 끼워 결합하여 시공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인서트형 철근고정구{Iron bar Fixing Device}
본 발명은 인서트형 철근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근고정구에 있어서, 거푸집의 시공면에서 철근을 거푸집에 결박구속할 수 있게 거푸집을 관통하여 끼움 결속되는 인서트결속구와 상기 인서트결속구의 결속편결속부에 결속되는 거푸집끼움결속편, 상기 인서트결속구에서 연장형성된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에서 연장되어 철근을 결박 구속하는 결박바로 구성하여서, 철근콘크리트의 시공에 사용되는 철근이 거푸집에서 이탈되지 않게 결속하는 철근고정구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는 철근과 시멘트몰탈로 이루어져 벽체 또는 슬라브를 구성하는 구조물을 말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철근콘크리트는 바닥면 또는 측면에 거푸집을 시공하고 그 전면에 철근을 설치한 후 시멘트몰탈을 부어 벽체 또는 슬라브를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통상 아파트는 벽체를 이용하여 건물을 하중을 버틸 수 있게 벽체를 내력벽으로 시공하여 실시하고 있으나, 벽체가 내력벽으로 시공되어 있을 경우 아파트의 구조변경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어 아파트 내부의 벽체는 내력벽이 아닌 건식벽체로 시공한 무량판이 적용되어 실시되고 있다.
상기 무량판은 건축구조의 한 종류로, 수직재의 기둥에 연결되어 하중을 지탱하고 있는 수평구조 부재인 보가 없이 기둥과 슬라브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무량판 건축구조는 슬라브에 발생하는 하중이 곧바로 기둥을 통하여 바닥에 전달되어 지반으로 내려가도록 하는 방식으로 보를 설치하기 위하여 50∼70㎝의 공간을 별도로 확보하지 않아도 되므로 층의 높이를 줄일 수 있어 제한된 높이에서 아파트의 층수를 늘릴 수 있어 아파트의 원가저하에 매우 유익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무량판 건축구조에 적용되는 슬라브가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이를 경량화할 수 있게 철근 사이에 감량볼을 설치하여 채워지는 시멘트몰탈을 줄여 경량화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슬라브의 경량화를 위하여 감량볼을 사용하게 되면 시멘트몰탈의 타설시 비중 차이에 따라 상기 감량볼에 의한 부력이 발생하여 배근된 철근이 들려 슬라브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철근을 거푸집에 고정하는 철근고정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철근고정구는 거푸집에 끼움결속되는 거푸집고정구와 상기 거푸집고정구에서 연장 연성된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에서 연장형성되어 철근을 결박하는 철근 결박바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철근고정구는 슬라브가 시공되는 아래층에서 거푸집(1)에 구멍을 뚫고 철근고정구를 끼워서 거푸집고정구가 거푸집에 고정되게 하고 연결바가 상면으로 노출되게 한 후 철근 결박바로 철근을 결박하여 철근을 결속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철근고정구는 슬라브의 아래층에서 일정길이를 갖는 작업봉으로 철근고정구를 잡고 슬라브의 하부에서 거푸집에 형성된 작은 구멍에 끼워 결합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철근고정구는 일정 두께를 가지고 있어 거푸집에 형성된 구멍이 철근을 고정하는 철사부분인 연결바(20)보다 매우 굵게 형성되어 거푸집에 철근고정구의 구멍 형성으로 인하여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철근고정구의 거푸집고정부가 연결바보다 매우 굵어 거푸집을 제거하면서 분리되지 않아 절단기를 이용하여 거푸집고정부를 절단 분리하여야 하므로 거푸집의 해체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413039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철근고정구는 슬라브의 아래층에서 일정길이를 갖는 작업봉으로 철근고정구를 잡고 슬라브의 하부에서 거푸집에 형성된 작은 구멍에 끼워 결합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종래 철근고정구는 일정 두께를 가지고 있어 거푸집에 형성된 구멍이 철근(2)을 고정하는 철사부분인 연결바(20)보다 매우 굵게 형성되어 거푸집에 철근고정구의 구멍 형성으로 인하여 훼손되는 문제점 및 철근고정구의 거푸집고정부가 연결바보다 매우 굵어 거푸집을 제거하면서 분리되지 않아 절단기를 이용하여 거푸집고정부를 절단 분리하여야 하므로 거푸집의 해체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철근고정구에 있어서, 거푸집의 시공면에서 철근을 거푸집에 결박구속할 수 있게 거푸집을 관통하여 끼움 결속되는 인서트결속구와 상기 인서트결속구의 결속편결속부에 결속되는 거푸집끼움결속편, 상기 인서트결속구에서 연장형성된 연결바 및 상기 열결바에서 연장되어 철근을 결박 구속하는 결박바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서트결속구는 전단 측에 거푸집결속공에 끼움 결합이 용이하게 원추형으로 형성한 결속돌기와 상기 결속돌기의 후방 측에 결속되어 거푸집결속공에 관통 결합시 후방으로 접어지는 거푸집끼움결속편이 거푸집결속공에 걸리지 않게 결속돌기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된 결속편결속부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속편결속부에 측면으로 관통되는 끼움공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공에 거푸집끼움결속편이 끼워 결합되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속편결속부에 측면에 거푸집끼움결속편이 일체로 연장형성되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거푸집끼움결속편을 합성수지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보강판을 결속하여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거푸집의 시공면에서 철근을 거푸집에 결박구속할 수 있게 거푸집을 관통하여 끼움 결속되는 인서트결속구와 상기 인서트결속구의 결속편결속부에 결속되는 거푸집끼움결속편을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지 않고 거푸집의 상면에서 구멍을 뚫고 바로 거푸집에 끼워 결합하여 시공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분리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체결 순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의 구성 중 거푸집걸림지지부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구성 중 결박바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거푸집끼움결속편에 보강판을 구비한 것을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거푸집에 철근을 고정함에 있어 거푸집의 상면에서 끼워 결합하여 철근고정구의 시공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철근(2)을 거푸집(1)에 고정시키는 철근고정구에 있어서, 거푸집(1)의 시공면에서 철근(2)을 거푸집(1)에 결박구속할 수 있게 거푸집(1)을 관통하여 끼움 결속되는 인서트결속구(10)와 상기 인서트결속구(10)의 결속편결속부(12)에 결속되는 거푸집끼움결속편(13), 상기 인서트결속구(10)에서 연장형성된 연결바(20) 및 상기 연결바에서 연장되어 철근(2)을 결박 구속하는 결박바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인서트결속구(10)는 전단 측에 거푸집결속공에 끼움 결합이 용이하게 원추형으로 형성한 결속돌기(11)와 상기 결속돌기(11)의 후방 측에 결속되어 거푸집결속공에 관통 결합시 후방으로 접어지는 거푸집끼움결속편(13)이 거푸집결속공에 걸리지 않게 결속돌기(11)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된 결속편결속부(12)로 구성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결속편결속부(12)에 측면으로 관통되는 끼움공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공에 거푸집끼움결속편(13)이 끼워 결합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거푸집끼움결속편(13)은 합성수지판과 금속판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결속편결속부(12)에 측면에 거푸집끼움결속편(13)이 일체로 연장형성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거푸집끼움결속편(13)을 합성수지판으로 형성한 경우 일면 또는 양면에 보강판(13a)을 결속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보강판(13a)은 접착제에 의하여 합성수지판 거푸집끼움결속편(13)에 결속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강판(13a)은 "ㄷ"으로 절곡하여 합성수지판 거푸집끼움결속편(13)을 감싸 결속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강판(13a)는 합성수지판 거푸집끼움결속편(13)에 리벳결속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연결바(20)와 결박바(30) 중 어느 일측에 거푸집(1)에 끼워 결속된 거푸집관통결속구가 거푸집(1) 아래로 떨어지지 않게 거푸집(1)의 상면에 걸려 지지되게 하는 거푸집걸림지지부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거푸집걸림지지부는 연결바(20)와 결박바(30) 중 어느 일측에 측면으로 절곡 돌출하여 형성한 절곡거푸집걸림지지부(41)로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거푸집걸림지지부는 연결바(20)와 결박바(30) 중 어느 일측에 합성수지 또는 블럭거푸집걸림지지부(42)을 끼워 결합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결박바(30)에 철근(2) 결박을 위한 구부림이 원활하게 외면에 절곡홈(31)을 등 간격으로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철근고정구에 있어서, 철근고정구에 있어서, 거푸집(1)의 시공면에서 철근(2)을 거푸집(1)에 결박구속할 수 있게 거푸집(1)을 관통하여 끼움 결속되는 인서트결속구(10)와 상기 인서트결속구(10)의 결속편결속부(12)에 결속되는 거푸집끼움결속편(13), 상기 인서트결속구(10)에서 연장형성된 연결바(20) 및 상기 연결바에서 연장되어 철근(2)을 결박 구속하는 결박바(30)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지 않고 거푸집(1)의 상면에서 구멍을 뚫고 바로 본 발명에 따른 철근고정구의 인서트결속구(10)를 거푸집(1)에 끼워 결합한 후 결박(30)바를 철근(2)에 감아 결박함으로써 철근(2)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거푸집(1)에 결속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근고정구에 의하여 철근(2)을 거푸집(1)에 결속시키면 시멘트몰탈을 타설시 감량볼에 의하여 발생되는 부력에 대하여 철근(2)이 부상되지 않고 배근상태가 유지되어서 슬라브의 타설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인서트결속구(10)는 전단 측에 거푸집결속공에 끼움 결합이 용이하게 원추형으로 형성한 결속돌기(11)와 상기 결속돌기(11)의 후방 측에 결속되어 거푸집결속공에 관통 결합시 후방으로 접어지는 거푸집끼움결속편(13)이 거푸집결속공에 걸리지 않게 결속돌기(11)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된 결속편결속부(12)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원추형으로 형성된 결속돌기(11)에 의하여 거푸집결속공에 쉽게 끼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결속편결속부(12)에 측면으로 관통되는 끼움공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공에 거푸집끼움결속편(13)이 끼워 결합되게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철근(2)에 작용되는 부상력에 따라 거푸집끼움결속편(13)을 금속판 또는 합성수지판 중 어느 하나를 필요에 따라 선택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결속편결속부(12)에 측면에 거푸집끼움결속편(13)이 일체로 연장형성되게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별도의 거푸집끼움결속편(13)의 결합작업 없이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하여 신속하게 제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거푸집끼움결속편(13)을 합성수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합성수지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보강판(13a)을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거푸집끼움결속편(13)의 기계적 내구성이 향상되어 본 발명에 의한 부상 지지력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연결바(20)와 결박바(30) 중 어느 일측에 거푸집(1)에 끼워 결속된 거푸집관통결속구가 거푸집(1) 아래로 떨어지지 않게 거푸집(1)의 상면에 걸려 지지되게 하는 거푸집걸림지지부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거푸집(1)에 인서트결속구(10)를 끼워 놓은 상태에서 상기 거푸집걸림지지부가 거푸집(1)의 상면에 걸려 하부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거푸집걸림지지부를 연결바(20)와 결박바(30) 중 어느 일측에 측면으로 절곡 돌출하여 형성한 절곡거푸집걸림지지부(41)로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별도의 부품의 결합 작업 없이 연결바(20) 또는 결박바(30)의 절곡을 통하여 이루어져 그 제작작업이 편리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결박바에 절곡홈(31)을 등 간격으로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철근(2) 결박을 위한 결박바의 구부림이 절곡홈(31)에 의하여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거푸집(1)의 탈영시 거푸집끼움결속편(13)의 절단 손상을 통하여 쉽게 탈영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1 : 거푸집 2 : 철근
10 : 인서트결속구
11 : 결속돌기
12 : 결속편결속부
13 : 거푸집끼움결속편 13a: 보강판
20 : 연결바
30 : 결박바 31 : 절곡홈
41 : 절곡거푸집걸림지지부 42 : 블럭거푸집걸림지지부

Claims (4)

  1. 철근고정구에 있어서;
    거푸집(1)의 시공면에서 철근(2)을 거푸집(1)에 결박구속할 수 있게 거푸집(1)을 관통하여 끼움 결속되는 인서트결속구(10)와 상기 인서트결속구(10)의 결속편결속부(12)에 결속되는 거푸집끼움결속편(13), 상기 인서트결속구(10)에서 연장형성된 연결바(20) 및 상기 연결바에서 연장되어 철근(2)을 결박 구속하는 결박바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형 철근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결속구(10)는 전단 측에 거푸집결속공에 끼움 결합이 용이하게 원추형으로 형성한 결속돌기(11)와 상기 결속돌기(11)의 후방 측에 결속되어 거푸집결속공에 관통 결합시 후방으로 접어지는 거푸집끼움결속편(13)이 거푸집결속공에 걸리지 않게 결속돌기(11)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된 결속편결속부(1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형 철근고정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끼움결속편(13)을 합성수지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보강판(13a)을 결속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형 철근고정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20)와 결박바(30) 중 어느 일측에 거푸집(1)에 끼워 결속된 거푸집관통결속구가 거푸집(1) 아래로 떨어지지 않게 거푸집(1)의 상면에 걸려 지지되게 하는 거푸집걸림지지부를 구비하되,
    상기 거푸집걸림지지부는 연결바(20)와 결박바(30) 중 어느 일측에 측면으로 절곡 돌출하여 형성한 절곡거푸집걸림지지부(41)로 구성한 것과, 블럭거푸집걸림지지부(42)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형 철근고정구.



KR1020160125934A 2016-09-29 2016-09-29 인서트형 철근고정구 KR101933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934A KR101933535B1 (ko) 2016-09-29 2016-09-29 인서트형 철근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934A KR101933535B1 (ko) 2016-09-29 2016-09-29 인서트형 철근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615A true KR20180035615A (ko) 2018-04-06
KR101933535B1 KR101933535B1 (ko) 2018-12-28

Family

ID=61973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934A KR101933535B1 (ko) 2016-09-29 2016-09-29 인서트형 철근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5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2868A (zh) * 2019-08-08 2019-11-29 中国葛洲坝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无孔浇筑模板及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8733A (ja) * 2009-04-13 2010-11-04 Wakai & Co Ltd ボイド型枠架台の固定装置
KR20120014097A (ko) * 2010-08-08 2012-02-16 이재민 인서트 앙카 겸용 철근받침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3876B2 (ja) * 1999-10-19 2005-12-07 有限会社Omni house.et スラブ用埋込材の取付具
JP4276665B2 (ja) * 2006-05-31 2009-06-10 株式会社井本鉄工 鉄筋保持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8733A (ja) * 2009-04-13 2010-11-04 Wakai & Co Ltd ボイド型枠架台の固定装置
KR20120014097A (ko) * 2010-08-08 2012-02-16 이재민 인서트 앙카 겸용 철근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2868A (zh) * 2019-08-08 2019-11-29 中国葛洲坝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无孔浇筑模板及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535B1 (ko) 2018-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78452C (en) Device for anchoring concrete to an insulating panel and form employing the device
KR101527716B1 (ko) 중공형성체의 부력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2방향 중공슬래브의 시공방법
JP5965544B2 (ja) Hバー、並びにこのhバー及び非金属製せき板を用いた型枠設置方法
JP2008063736A (ja) コンクリートボイドスラブ
KR101933535B1 (ko) 인서트형 철근고정구
KR101312873B1 (ko) 벽체 시공을 위한 수도관 지지 장치
KR100689963B1 (ko) 스페이서
CA2929009A1 (en) Joist hanger/bracket
KR101730518B1 (ko) 단편 결속형 철근고정구
JP6552863B2 (ja) 外壁の増打ち方法
KR102065623B1 (ko) 개량형 멍에트러스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거푸집 구조
US20170016237A1 (en) Assembly and Method for Creating a Wall from a Flowable Material
KR100727683B1 (ko)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시스템
JP5947105B2 (ja) PCa型枠の固定構造
KR200443097Y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
WO2009027960A1 (en) A connector for connecting a pair of spaced apart formwork panels, a formwork assembly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formwork assembly
KR101933536B1 (ko) 수축브레이드형 철근고정구
KR101601629B1 (ko) 경량체가 구비된 중공형 데크플레이트
KR101870717B1 (ko) 연성와이어 결박형 거푸집 상부관통 철근고정구
KR200476569Y1 (ko) 전선관 지지홀더
KR102080976B1 (ko) 연성와이어 결박형 철근고정구의 시공방법
KR20190037615A (ko) 연성와이어 결박형 철근고정구
KR100850230B1 (ko) 입상 성형 슬리브 설치 구조체 및 그것을 이용한 공사 방법
KR200412098Y1 (ko) 천장용 인서트
KR20180124434A (ko) 콘크리트 몰탈 타설량을 줄여주는 철근과 단열재가 일체화된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