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5277A - 복수의 보행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보행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보행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보행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5277A
KR20180035277A KR1020160124921A KR20160124921A KR20180035277A KR 20180035277 A KR20180035277 A KR 20180035277A KR 1020160124921 A KR1020160124921 A KR 1020160124921A KR 20160124921 A KR20160124921 A KR 20160124921A KR 20180035277 A KR20180035277 A KR 20180035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support
walking
foot
sh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6276B1 (ko
Inventor
신충수
김동철
하상언
신건우
서호진
예병훈
이진규
김판권
Original Assignee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24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276B1/ko
Publication of KR20180035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75Means for protecting the manipulator from its environment or vice ver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91Shock 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복수의 보행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보행 보조 장치는, 발에 대응하는 발 지지부, 발 지지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정강이에 대응하는 정강이 지지부, 및 발 지지부의 제1 지점과 정강이 지지부의 제2 지점을 연결하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력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 중 적어도 하나는 보행 조건에 따라 복수개의 지점 중 하나를 선택하여 변경이 가능하여 다양한 보행 환경에 따라 최적의 보행 보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보행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보행 보조 장치 {WALKING ASSISTANT DEVICE ADAPTABLE TO PLURALITY OF SITUATIONS}
본 발명은 보행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생활 환경의 다양한 보행환경에 적응하여 보행자의 보행을 보조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습관성 발목 불안정성을 지니고 있는 환자들은 발목관절의 능력 상실 등으로 인하여 보행을 하는데 불편함이 발생하며, 이들 환자의 경우 발목의 근육이 약해져서 과도한 발목관절의 배굴이 발생하면 발목의 통증을 느낄 수가 있다. 이를 보조하기 위해서 발목 또는 족관절에 착용할 수 있는 보행 보조 장치가 몇몇 개발되고 있다.
일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1641344호는 "발목용 보행 보조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보행 보조 장치는 정강이 지지체, 발이 안착되는 발판체, 상단부 측이 상기 지지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부 측이 발판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발판 각도조절체를 포함한다. 상기 보행 보조 장치는 발목관절에서 발생하는 발목처짐(Foot Drop)을 방지하고, 한쪽 발끝을 지면에서 떼었을 경우(Toe Off) 시 체중을 지지하여 보행 시 바닥 끌림 없이 원활한 보행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650101호도 "발목 강성 보조 장치 및 작동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발목 강성 보조 장치는 인체운동시 하퇴와 발이 이루는 각도가 변형되며 발생하는 힘을 탄성체에 저장 후 방출하여 이동에 필요한 추진력을 보조할 수 있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발에 대응하는 제1 결합부; 하퇴에 대응하는 제2 결합부; 및 양측 단부가 제1, 2 결합부에 연결되며 보행자의 발과 하퇴가 이루는 각도 변화에서 발생하는 힘을 저장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종래의 보행 보조 장치는 발목의 운동을 발목관절에 직접적으로 제한을 가하여 발목관절의 저굴 및 배굴을 제한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형태로 개발되거나 보행 시 발생하는 힘을 저장하여 추진 시에 이를 반발력으로 복원시키는 역할만 함으로써 발목에 부하를 효과적으로 줄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무엇보다도, 실제 생활 환경에 따르면 보행 환경은 평지, 경사면, 계단 등과 다양하며, 같은 경사면이나 계단이라도 올라갈 때와 내려갈 때가 다르고, 각 상황에 따라 발목의 관절운동 범위는 현저하게 변하는데, 종래의 보행 보조 장치는 발목 관절의 능력 상실로 인하여 발목관절의 저굴 및 배굴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할 수가 있다.
또한, 종래의 보행 보조 장치는 발목운동의 제한을 하지만, 직접적인 제한으로 인해 보행 지지기에 발생하는 발목의 부하를 줄여주지 못하고, 입각기에 추진력을 얻지 못하는 등 전체적으로 발목의 운동에 효과적으로 보조하지 못하며, 상황에 따라 일률적인 각도로 발목운동을 제한하기 때문에 보행 지지기나 입각기에 원활한 충격 흡수 및 반발 추진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평지 보행, 하강면 보행, 상승면 보행, 계단보행 등 다양한 지형에서 보행 시 발목관절에 작용하는 운동학, 운동역학적 변수들이 다름을 고려하여, 다양한 보행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보행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보행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보행 보조 장치는, 발에 대응하는 발 지지부, 발 지지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정강이에 대응하는 정강이 지지부, 및 발 지지부의 제1 지점과 정강이 지지부의 제2 지점을 연결하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력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 중 적어도 하나는 보행 조건에 따라 복수개의 지점 중 하나를 선택하여 변경이 가능하여 다양한 보행 환경에 따라 최적의 보행 보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종래의 보행 보조 장치는 발 지지부의 제1 지점 및 정강이 지지부의 제2 지점이 고정되어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보행 보조 장치에서는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이 보행 조건에 따라, 즉 평지 보행, 오르막 보행, 내리막 보행, 계단 오르기, 계단 내리기 등의 보행 조건에 따라 지지되는 지점을 변경할 수 있게 하며, 발목의 배굴시 발목 관절로 가해지는 하중이 탄력 지지대를 통해 최적의 각도로 분산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 지점보다는 제1 지점의 위치를 다양하게 정의하고, 보행 조건에 따라 변경되게 할 수 있지만, 제2 지점 역시 보행 중 변경되게 하거나 보행 전에 변경된 지점으로 셋팅하여 보행을 보조하도록 할 수가 있다.
제1 지점 또는 제2 지점에 대응하여 탄력 지지대의 단부를 가이드하는 이동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 지지대는 발 지지부에 설치되거나 정강이 지지부에 설치될 수 있고, 양 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동 지지대와 탄력 지지대는 다양한 결합 방식으로 상호 결속될 수 있지만, 일 예로 이동 지지대는 탄력 지지대의 단부와 결속되는 직선, 원호, 곡선 또는 절곡선 형상의 가이드 슬롯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복수의 지점에 대응하여 탄력 지지대의 단부를 고정하기 이한 복수개의 고정 홈이 가이드 슬롯에 형성될 수가 있다.
정강이 지지부에 정의되는 제2 지점은 정강이의 무게 중심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으며, 정강이 무게 중심이라 함은 정강이의 상하 길이의 중심부로 이해될 수 있고, 착용자의 무게 중심 라인과 정강이 뼈의 교차점에 대응되는 위치로도 이해될 수 있다. 제2 지점은 정확히 무게 중심에 위치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무게 중심의 주변에 대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보행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보행 보조 장치는, 발에 대응하는 발 지지부, 발 지지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정강이에 대응하는 정강이 지지부, 및 발 지지부의 제1 지점과 정강이 지지부의 제2 지점을 연결하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력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 중 적어도 하나는 보행 조건에 따라 보행 중에 이동하면서, 탄력 지지대로 하여금 계속적으로 변경되는 위치에서 발 지지부와 정강이 지지부 사이를 지지하게 할 수도 있다. 즉,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이 보행 중 일시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보행 중에 계속 변경되면서 최적의 위치에서 발 지지부와 정강이 지지부를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보행 보조 장치는 다양한 보행 환경에 대응하여 발목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발목으로 가해지는 부하를 발목이나 정강이로 분산을 시켜 발목을 보호할 수가 있다.
즉, 발목관절의 저굴 및 배굴 시 발생하는 발목의 부하를 탄력 지지대가 정강이를 포함한 다리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발목 부상으로 인하여 약화된 발목의 근육을 대체를 함과 동시에, 발목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행 보조 장치는 탄력 지지대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발목관절 부하의 일부가 정강이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보행 지지기에 저장된 탄력에너지를 입각기에 발산하면서 보행 시에 사용되는 육체적 에너지를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행 보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평지를 보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상승 경사면을 보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상승 경사면을 보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평지를 보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상승 경사면을 보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하강 경사면을 보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의 이동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보행 보조 장치 중 탄력 지지대 및 이동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보행 보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보행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보행 보조 장치(100)는, 발에 대응하는 발 지지부(110), 발 지지부(110)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정강이에 대응하는 정강이 지지부(120), 및 발 지지부(110)의 제1 지점(I)과 정강이 지지부(120)의 제2 지점(II)을 연결하며 제1 지점(I) 및 제2 지점(II)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력 지지대(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지점(I)에 대응하여 발 지지부(110)에 이동 지지대(130)가 제공되며, 이동 지지대(130)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슬롯(132) 및 가이드 슬롯(132)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 홈(134)을 포함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탄력 지지대(140)에서 제2 지점(II)에 대응하는 연결부 역시 짧은 장공으로 형성되어, 탄력 지지대(140)는 장공 방향의 유격 이동이 가능하게 정강이 지지부(120)의 상부 고정대(124)의 측면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력 지지대(140) 및 이동 지지대(130)는 보행 보조 장치(100)의 양측에 제공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보행 보조 장치의 일측에만 제공될 수 있고, 설계 조건도 동일하지 않고 차별화된 구조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정강이 지지부(120)는 정강이의 중심부에 대응하는 상부 고정대(124) 및 발 지지부(110)와 상부 고정대(124) 사이에서 정강이의 하부 또는 발목 부분을 고정하는 하부 고정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오르막길, 계단, 평지 보행 시 발목의 패턴 분석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평지를 보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상승 경사면을 보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상승 경사면을 보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위 도면에서 x축은 one-step process(%) 이며 y축은 Ankle angle(deg)과 Ankle moment(Nm/kg)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평지 보행을 하는 경우로서, 최고 발목 각도(Maximum Ankle angle)는 약 17°이며, 최대 발목 모멘트(Maximum Ankle moment)는 성인 남성 70kg기준으로 약 119Nm가 나옴을 알 수 있다.
이때 최대 발목 모멘트 지점은 뒤꿈치를 떼며 앞으로 나가기 전 발목이 굽어질 때의 순간이다. 발목이 굽어지는 각도 또한 이 경우에서 최대 발목 각도인데, 해당 각도를 장치에 적용하면 발목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승 경사면 보행으로서, 최대 발목 각도는 약 22°이며, 최대 발목 모멘트는 성인 남성 70kg기준으로 84Nm가 나옴을 알 수 있다.
이는 평지 보행보다 최대 발목 모멘트가 낮게 나온 것이며, 이는 경사면을 걸을 시 보행자가 스스로 인식하여 몸을 기울인 것이 반영될 수 있다. 발목에 힘이 가해지는 것이 아니라 허벅지 쪽에 힘이 많이 가해져, 이때는 발목보다 허벅지가 몸을 지탱할 수도 있다.
하지만, 최대 발목 각도가 커서 평지보다 경사면 보행 시 낙상의 위험이 크므로 발을 고정시켜 발바닥의 압력의 이동을 안정하게 할 필요가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승 계단 보행으로서, 최대 발목 각도는 약 27°이며, 최대 발목 모멘트는 성인 남성 70kg기준으로 약 133Nm가 나옴을 알 수 있다. 발목 모멘트가 크다는 것은 곧 발목에 큰 무리가 가해진다는 사실을 의미하므로 실제 보행 상황들 중, 계단을 오르는 상황이 사람의 발목에 가장 큰 충격을 가한다는 것 또한 알 수 있다.
발목 환자들은 평지 보행을 하다가 계단 보행으로 전환 시 발목에 강한 충격을 받을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계단 상황은 낙상의 위험이 같이 있으므로 보행자들에게 계단 보행이 가장 위험할 수가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평지 보행, 경사면 보행, 계단 보행에서의 최대 발목 각도는 입각기와 유각기(1-step process)의 각각 다른 보행주기에서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그 값 또한 차이가 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평지를 보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상승 경사면을 보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하강 경사면을 보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탄력 지지대(140)의 단부는 이동 지지대(130)에 형성된 3개의 고정 홈(134) 중 가운데에 있는 고정 홈에 결속되며, 탄력 지지대(140)는 착용자가 평지를 보행하는 동안 저굴과 배굴에 대응하여 충격을 흡수하고 반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승 경사면 보행에 대응하여 탄력 지지대(140)의 단부는 이동 지지대(130)에 형성된 3개의 고정 홈(134) 중 안쪽, 즉 정강이 지지부(120)에 인접한 고정 홈에 결속될 수 있다. 이러한 결속의 경우 탄력 지지대(140)의 스프링 등은 더욱 압축된 상태를 형성하므로, 상대적으로 배굴에 대한 반발력을 강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오르막길을 오르는 동안 증강된 반발력으로 편하게 오르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탄력 지지대(140)의 상부 회전 중심, 즉 제2 지점(II)은 정강이의 무게 중심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동 지지대(130)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정강이로 분산시킬 수가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하강 경사면 보행에 대응하여 탄력 지지대(140)의 단부는 이동 지지대(130)에 형성된 3개의 고정 홈(134) 중 바깥쪽, 즉 정강이 지지부(120)에서 가장 먼 고정 홈에 결속될 수 있다. 이러한 결속의 경우 탄력 지지대(140)는 상대적으로 배굴에 대해 상대적으로 약한 반발력을 제공하여, 과도한 반발력으로 인해 사용자가 내리막길을 보행하는 동안 앞으로 넘어지거나 쏠리는 경우를 예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의 이동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탄력 지지대(140)와 발 지지부(110)를 연결하는 이동 지지대(130')에는 곡선 또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 슬롯(132')이 형성되며, 가이드 슬롯(132')에는 더 많은 단수의 고정 홈, 즉 7개의 고정 홈(134')이 형성될 수가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탄력 지지대(140)와 발 지지부(110)를 연결하는 이동 지지대(130")에는 곡선 또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 슬롯(132")이 형성되며, 가이드 슬롯(132")의 중심을 통과하는 원호의 중심이 대략 탄력 지지대(140)의 제2 지점, 그 중심에 위치하도록 할 수가 있다.
가이드 슬롯(132")의 곡률 중심이 탄력 지지대(140)의 제2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고정 홈(134")의 이동에 따른 탄력 지지대(140)의 반력 변화가 경감될 수 있지만, 상승 경사면, 평지 또는 하강 경사면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발목의 각도에 대응하여 적절한 각도로 스프링을 배치시킬 수 있다. 이때, 탄력 지지대(140) 역시 길이 조절 등을 통해 스프링에 의한 반력을 조절하여 적절한 반력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슬롯(132")에는 3개의 고정 홈(134")이 형성될 수가 있다.
가이드 슬롯은 원호, 곡선, 직선 또는 절곡선 등으로 그 형상 및 각도, 방향 등을 다양하게 할 수 있으며, 고정 홈도 그 개수 및 간격 등은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지지대에 슬롯 및 홈을 이용한 구조를 이용하였으나, 이동 지지대에 탄력 지지대의 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슬롯과 홈을 이용하지 않고, 탄력 지지대에 홈이나 돌기를 형성하고, 반대로 이동 지지대에는 돌기나 홈을 형성하여 상호 결속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이전 실시예에서 이동 지지대와 탄력 지지대 간의 결속 위치는 수동으로 결정되었지만, 보행 조건이 바뀔 때마다 수동으로 제1 지점을 변경하지 않고, 별도의 액츄에이터,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 볼 스크류 등을 이용한 모터 등을 통해 자동으로 제1 지점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고, 보행 조건뿐만 아니라 보행하는 동안에도 실시간으로 제1 지점이 이동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보행 보조 장치 중 탄력 지지대 및 이동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복수의 보행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보행 보조 장치(200)는, 발에 대응하는 발 지지부(210), 발 지지부(210)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정강이에 대응하는 정강이 지지부(220), 및 발 지지부(210)의 제1 지점(I)과 정강이 지지부(220)의 제2 지점(II)을 연결하며 제1 지점(I) 및 제2 지점(II)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력 지지대(2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지점(I)에 대응하여 발 지지부(210)에 이동 지지대(230)가 제공되며, 이동 지지대(230)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슬롯(232)을 포함하며, 이전 실시예와 같은 고정 홈을 포함하지 않는다. 물론, 고정 홈을 포함하더라도 가이드 슬롯의 고정 홈에 고정되지 않고, 가이드 슬롯만 이동하도록 설계되는 경우도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력 지지대(240) 및 이동 지지대(230)는 보행 보조 장치(200)의 양측에 제공되며, 제1 지점(I)은 보행에 실시간으로 위치를 변경하면서 최적으로 지지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
정강이 지지부(220)는 정강이의 중심부에 대응하는 상부 고정대(224) 및 발 지지부(210)와 상부 고정대(224) 사이에서 정강이의 하부 또는 발목 부분을 고정하는 하부 고정대(22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평지 보행시, 보행 보조 장치(200)를 포함한 착용자는 뒤꿈치로 바닥을 딛고(heel strike), 평지에 발바닥이 닿고(flat foot), 발가락으로 바닥을 차는(toe off)를 반복한다. 이는 도 11 및 도 12에서 각각 (a), (b) 및 (c)에 대응될 수 있다.
평지에 발바닥이 닿는 영역(b)에 대비하여, 뒤꿈치로 바닥을 딛는 영역(a)은 제1 지점(I)이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하며, 발가락으로 바닥을 차는 영역(c)에서 제1 지점(I)은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보행 보조 장치 110 : 발 지지부
120 : 정강이 지지부 130 : 이동 지지대
140 : 탄력 지지대

Claims (7)

  1. 발에 대응하는 발 지지부;
    상기 발 지지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정강이에 대응하는 정강이 지지부; 및
    상기 발 지지부의 제1 지점과 상기 정강이 지지부의 제2 지점을 연결하며,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력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 중 적어도 하나는 보행 조건에 따라 복수개의 지점 중 하나를 선택하여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 또는 상기 제2 지점에 대응하여 상기 탄력 지지대의 단부를 가이드하는 이동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지대는 상기 탄력 지지대의 단부와 결속되는 직선, 원호, 곡선 또는 절곡선 형상의 가이드 슬롯을 제공하며, 상기 가이드 슬롯에는 복수개의 고정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점은 정강이의 무게 중심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장치.
  5. 발에 대응하는 발 지지부;
    상기 발 지지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정강이에 대응하는 정강이 지지부; 및
    상기 발 지지부의 제1 지점과 상기 정강이 지지부의 제2 지점을 연결하며,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력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 중 적어도 하나는 보행 조건에 따라 보행 중에 이동하면서, 상기 탄력 지지대로 하여금 계속적으로 변경되는 위치에서 상기 발 지지부와 상기 정강이 지지부 사이를 지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 또는 상기 제2 지점에 대응하여 상기 탄력 지지대의 단부를 가이드하는 이동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 지지대는 상기 탄력 지지대의 단부와 결속되는 곡선 형상 또는 직선 형상의 가이드 슬롯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점은 정강이의 무게 중심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장치.
KR1020160124921A 2016-09-28 2016-09-28 복수의 보행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보행 보조 장치 KR101846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921A KR101846276B1 (ko) 2016-09-28 2016-09-28 복수의 보행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보행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921A KR101846276B1 (ko) 2016-09-28 2016-09-28 복수의 보행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보행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277A true KR20180035277A (ko) 2018-04-06
KR101846276B1 KR101846276B1 (ko) 2018-05-21

Family

ID=61973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921A KR101846276B1 (ko) 2016-09-28 2016-09-28 복수의 보행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보행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2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7580A (zh) * 2019-10-12 2019-12-20 西南交通大学 减少振动冲击的上肢工业外骨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8205B (zh) * 2018-06-28 2020-08-28 罗绍远 一种移动机器人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3899A (ja) * 2010-03-17 2011-10-06 Toyota Motor Corp 下肢装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7580A (zh) * 2019-10-12 2019-12-20 西南交通大学 减少振动冲击的上肢工业外骨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6276B1 (ko) 201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2900B1 (ko) 인체 보철 장비
JP6084751B2 (ja) 湾曲したソールを有する整形外科用歩行装具
KR102087484B1 (ko) 발목 보조장치
JP2010142353A (ja) 体重支持装置
JP2008535639A (ja) 三拍子歩行用履物
US8221341B1 (en) Adjustable response ankle foot orthotic
JP2005536247A (ja) 身体位置感覚/運動感覚装置及び方法
KR101846276B1 (ko) 복수의 보행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보행 보조 장치
US20210245030A1 (en) Training devices and methods
KR101975493B1 (ko) 충격완화 보행 보조기
US5514054A (en) Stilts
EP2299947B1 (en) Assisting device for adopting the correct posture of lower limbs and for pursuing walking activity
EP0600145B1 (en) Sports shoes
EP2289478A1 (en) A-frame walker
JP3229460U (ja) 歩行補助具
KR20190069804A (ko) 의지발
KR101196569B1 (ko) 걸음걸이 교정 및 근력 강화용 신발
TWI783452B (zh) 輔助背架支撐穿戴式外骨骼
WO2019044980A1 (ja) 歩行支援装置
JP2509505B2 (ja) 靴の底
JP2019076443A (ja) 歩行補助具
US20210275870A1 (en) Apparatus reducing compensatory leg, ankle and foot movements during heel raise exercises in rehabilitation and fitness
KR101091768B1 (ko) 라커형 신발 밑창
JP3019544U (ja) 運動靴
JP4982700B2 (ja) 身体機能向上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