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5160A - 제어가 향상된 발광 모듈, 특히 자동차용 발광 모듈 - Google Patents

제어가 향상된 발광 모듈, 특히 자동차용 발광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5160A
KR20180035160A KR1020170124142A KR20170124142A KR20180035160A KR 20180035160 A KR20180035160 A KR 20180035160A KR 1020170124142 A KR1020170124142 A KR 1020170124142A KR 20170124142 A KR20170124142 A KR 20170124142A KR 20180035160 A KR20180035160 A KR 20180035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uminescent elements
substrate
elements
emitting modul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5602B1 (ko
Inventor
빈센트 고드빌론
파트리스 콜롯
프랭크 밀론
쟝-디디에 킨팩
로타 세이프
아르노 아발라
링슈안 주
나타샤 오디
Original Assignee
발레오 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비젼 filed Critical 발레오 비젼
Publication of KR20180035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7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51Light emitting diodes [LED] arranged in one or more lines
    • F21S41/153Light emitting diodes [LED] arranged in one or more lines arranged in a matri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8Cover g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85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1/24 - F21S41/280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switch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5Strips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3/195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483Containers
    • H01L33/486Containers adapted for surface 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2Encapsulations
    • H01L33/54Encapsulations having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05B33/08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4/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07General lighting circuits comprising dimming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eing additional front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eing additional front lights
    • B60Q1/20Fog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30Daytime running lights [DRL], e.g.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3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30Fog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10Position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35Brake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55Daytime running lights [DR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18Rigid curved substr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06Light emitting diode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발광 모듈, 특히 자동차용 발광 모듈. 상기 모듈은, 길이 방향(D)으로 연장된 만곡형 주요부(20)를 포함하는 기판(14); 상기 기판 상에 배열되고,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때에 빛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분포되는 복수의 전계 발광 소자(16); 및 상기 전계 발광 소자들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조절하기에 적합한 제어 조립체(34)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조립체는, 상기 전계 발광 소자들에 의해 대응하는 주 발광 방향으로 방출되며 상기 기판의 상기 길이 방향(D)을 따라 상이한 적어도 2개의 최대 광 강도를 얻기 위해, 적어도 상기 전계 발광 소자들 각각의 주 발광 방향(dp1, ..., dp6)의 함수로서 결정된 각각의 전기 에너지 및/또는 전력을 상기 전자 발광 소자들(16)에 공급하도록 제어 조립체가 구성되게 되는 작동 모드를 갖는다.

Description

제어가 향상된 발광 모듈, 특히 자동차용 발광 모듈{LIGHT EMISSION MODULE WITH ENHANCED CONTROL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의 분야는 자동차용 발광 장치, 특히 조명 및/또는 신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이러한 장치들 중 많은 장치는 장치의 발광 코어를 형성하는 복수의 전계 발광 소자가 구비된 발광 모듈을 포함한다.
일부 응용 분야, 특히 신호 발생 장치에 있어서, 이 장치는 그가 수용되어지는 차체의 형태를 취하도록 곡선들을 갖는 프로파일, 즉 만곡형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이러한 기하학적 형태는 장치 설계에 대한 많은 제약을 반영한다.
사실상, 관찰자가 전계 발광 소자들을 주어진 범위 내에서 개별적으로 구별해내는 데 있어서의 곤란성, 심지어는 불가능성까지도 반영되어야 하는, 얻어진 광 출력의 균질성에 대한 고려 외에도, 이러한 유형의 장치는, 특히 장치가 소정의 광 강도의 공간 분포, 즉 장치에 의해 방출되는 광 강도가 적어도 특정 방향들에서는 사전결정된 최소치보다 크고 그리고/또는 사전결정된 최대치보다 작은 값을 나타내는 범위 내에 있는 소정의 광 강도의 공간 분포를 나타낼 것을 요구하는 규정의 적용을 받는다.
현재로서는, 이러한 특성을 나타내며 아울러 곡선들이 있는 장치를 얻는 것은 쉽지 않다.
이러한 결과를 얻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한 가지 해결책은, 구상된 우선 방출 방향(preferred direction of emission)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로 배향되며 서로 분리된 복수의 평판들의 형태를 취하는 전계 발광 소자들을 수용하는 기판을 구비하는 데 있다.
이 해결책은 특히 소형화 및 복잡성 측면에서 단점들을 갖는다. 사실상, 장치의 곡선 때문에, 이 판들은, 인접한 기판들에 의해 전계 발광 소자들이 덮여 가려지는 임의의 가능한 마스킹 현상 외에도, 상당한 점유 체적이 반영되며, 판들을 장치 내에 연결하고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요소의 존재가 반영된, 상대적 계단형 배치를 나타내야 한다.
실제로, 이 해결책은 일부 경우에서는 적용을 어렵게 하며, 심지어는 사용할 수 없게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들을 나타내지 않는 발광 모듈 및 발광 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발광 모듈, 특히 자동차용 발광 모듈로서,
-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만곡형 주요부를 포함하는 기판;
- 상기 기판 상에 배열되고,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때에 광선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전계 발광 소자; 및
- 상기 전계 발광 소자들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조절하기에 적합한 제어 조립체로서, 상기 제어 조립체는, 상기 전계 발광 소자들에 의해 대응하는 주 발광 방향으로 방출되며 상기 기판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이한 적어도 2개의 최대 광 강도를 얻기 위해, 적어도 상기 전계 발광 소자들의 각각의 주 발광 방향의 함수로서 결정된 각각의 전기 에너지 및/또는 전력을 상기 전자 발광 소자들에 공급하도록 제어 조립체가 구성되게 되는 작동 모드를 갖는, 상기 제어 조립체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작동 모드에서, 상기 제어 조립체는 상기 상이한 최대 광 강도를 얻기 위해 전계 발광 소자들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기판은 상기 주요부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탭들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분포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탭들은 실질적으로 평면이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전계 발광 소자들은 상기 탭들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전계 발광 소자들은 전계 발광 소자들의 그룹을 형성하는 소정의 탭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작동 모드에서, 상기 제어 조립체는, 소정의 그룹 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계 발광 소자들에 의해 공급되는 최대 광 강도들을 얻기 위해, 전계 발광 소자들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2개의 전계 발광 소자들은, 그 2개의 전계 발광 소자들에 의해 각각 방출되는 최대 광 강도가 소정의 공급 전력에 따라 달라지도록 상이한 작동 특성들을 나타내고, 소정의 전계 발광 소자에 공급된 전기 에너지는 상기 전계 발광 소자의 작동 특성들로부터도 결정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작동 모드에서, 상기 길이 방향 축을 따르는 기판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있어서, 상기 제어 조립체는, 상기 전계 발광 소자들의 각각의 광 강도가 기판의 길이에 있어서의 상기 일부분의 소정의 이동 방향으로 증가하도록, 전계 발광 소자들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 및/또는 전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제어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전계 발광 소자와 각각 관련되며 관련된 전계 발광 소자 또는 소자들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 및/또는 전력을 조절하도록 각각 구성된 복수의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제어 모듈들은 기판과 접촉한 상태로 배치되며 기판을 따라 분포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전계 발광 소자들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일부의 전계 발광 소자 각각은 당해 전계 발광 소자를 수용하는 기판의 구역에서 기판에 대한 법선으로부터 각을 이루어 편위된 주 발광 방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일부의 전계 발광 소자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당해 전계 발광 소자를 수용하는 상기 구역에서 기판에 접하는 국부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주 발광 방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발광 모듈은, 전계 발광 소자들을 향하게 배치되며 전계 발광 소자들에 의해 방출된 광선으로부터 조명되는 표면을 형성하도록 제공되는 발산 스크린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발산 스크린과 상기 기판과 상기 전계 발광 소자들은 상기 조명되는 표면이 실질적으로 균질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위에 규정된 발광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명 및/또는 신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자동차는 축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작동 모드에서, 제어 조립체는, 조명 및/또는 신호 발생 장치가, 복수의 방향에 대해서, 사전결정된 최소치보다 큰 값 및/또는 사전결정된 최대치보다 작은 값을 나타내며 상기 방향들 각각에서 방출되는 광 강도를 나타내는 광 강도 공간 분포를 나타내도록, 전계 발광 소자들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 및/또는 전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자동차는 축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작동 모드에서, 상기 제어 조립체는, 당해 전계 발광 소자의 주 발광 방향과 상기 자동차의 축 사이에 형성된 각도가 작으면 전계 발광 소자들의 전부 또는 일부에 의해 각각 방출되는 최대 광 강도가 그만큼 더 커지도록, 전계 발광 소자들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 및/또는 전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단지 예로서 제공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게 되면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이점들을 제공한다.
먼저, 규정상의 요건들에 부합되는 광 강도의 분포를 얻는 것이 용이하며 아주 간단하다. 특히, 이는 전계 발광 소자들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제어한 결과로서 제공되는 경우에는 특히 간단하다.
이는, 규정상의 요건들에 부합되는 광 강도의 분포를 얻는 것이 장치의 균질한 외관과 양립하기가 쉽지 않은 경우인, 곡선을 갖는 장치(2)에 특히 유리하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장치의 발광 모듈의 일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모듈의 일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모듈의 발산 스크린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2)(이하에서는, 장치(2)라 함)를 도시하고 있다.
장치(2)는 빛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장치(2)는 유리하게는 자동차에 통합되도록 의도된다. 즉, 자동차의 발광 장치를 주제로 한다.
유리하게는, 장치(2)는 자동차용 조명 및/또는 신호 발생 장치이다.
이는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측광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측광 기능은 예를 들면 인간의 눈에 보이는 조명 및/또는 신호 발생 기능이다. 이러한 측광 기능은 방출된 빛의 색측정, 광도, 소위 측광 그리드에 따른 공간 분포, 또는 심지어 시도 범위 등의 요건을 설정하는 하나 이상의 규정의 적용을 받을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장치(2)는 예를 들면 조명 장치이고, 게다가 차량 전방에 배치되도록 의도된 차량 헤드라이트를 구성한다. 그래서 장치는 예를 들어 "코드 기능"이라고 하는 하향 빔 기능, "도로 기능"이라고 하는 상향 빔 기능, 및 안개등 기능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측광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또는 병행해서, 장치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도록 의도된 신호 발생 장치이다.
장치가 차량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의도된 경우, 구현되게(아마도, 조명 장치의 능력 내에서 구현하는 측광 기능 또는 기능들에 부가하여 구현되게) 구성된 측광 기능들에는 방향 전환 표시 기능, 두문자어 DRL로 알려진 주간 주행등 기능, 위치등 기능, 전방 특징 표시등(front light signature) 기능, 및 측면 신호 발생을 반영할 수 있는 소위 측면 표시기(side-marker) 기능이 포함된다.
장치가 후방에 배치되도록 의도된 경우, 측광 기능들에는 후진 표시 기능, 정지등 기능, 안개등 기능, 방향 전환 표시 기능, 후방 특징 표시등(rear light signature) 기능, 후미등 기능, 및 "측면 표시기" 기능이 포함된다.
대안적으로, 장치(2)는 차량의 내부 조명을 위해 제공되고, 그러면 주로 차량 내부에 빛을 방출하도록 의도된다.
이하에서는 장치(2)를 차량 외부로 빛을 방출하도록 의도된 것이며 후방 신호 발생 장치인 구성으로 설명하는데, 이는 비제한적인 설명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장치(2)는 내부에 공동(8)이 획정되도록 서로 협동하는 하우징(4) 및 폐쇄 외부 렌즈(6)를 포함한다. 장치(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모듈(10)(이하, 모듈(10)이라 함)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장치(2)는 곡선들을 가지거나 혹은 만곡형이다. 즉, 위에서 본 바와 같이, 적어도 외부 렌즈(6)는, 이 예에서는 장치(2)가 배치되도록 한 영역에서 차량의 차체의 형태를 취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도 1b의 장치의 가장 왼쪽 부분은 예를 들면 차량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의도되고, 반면에 우측 부분은 차량의 중앙면을 향해 배향된다.
모듈(10)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공동(8) 내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장치(2)는 모듈(1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리세스를 포함한다. 이 리세스는 예를 들면 하우징(4)에 배치된다. 이 하우징은 폐쇄되는 것이 유리하다. 하우징은 예를 들면 상기 리세스의 후방부를 형성하는 포위부와, 후술하는 발산 스크린 또는 상기 포위부와 협동하며 발산 스크린이 형성된 요소에 의해 한정된다. 스크린 이외의 상기 리세스의 내벽들은 예를 들면 모듈(10)에 의해 방출되어 내벽들에 도달하는 빛을 반사 및/또는 발산시킨다(상기 스크린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빛을 발산시키기는 하지만 반사시키지는 않음).
모듈(10)은 빛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기로는, 도 1a 및 도 1b의 예에서와 같이, 모듈은 (모듈(10)에 의해 방출된 빛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투명한) 폐쇄 외부 렌즈를 향해 빛을 방출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장치(2)는 적어도 복수의 주어진 방향에서는 최소치 및/또는 최대치를 나타내는 광 강도의 공간 분포를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즉, 이들 방향에서, 장치(2)에 의해 방출되는 광 강도는 사전결정된 임계값(이 값 또는 이들 값은 예를 들면 고려된 각각의 방향에 대해서 한정된다)보다 크거나 그리고/또는 작아야 한다. 상기 임계값은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규정에 의해 규정된다. 이러한 방향(P)은 도 1b에 도시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차량이 연장되는 축이며 장치(2)에 의해 방출되는 광 강도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커야 하는 축인, 차량의 이동 축(X)(수평)에 평행한 수평 방향(차량 내의 장치(2)의 배치 방향의 의미에서)이다. 이 방향(P)은 (복수의 방향 중에서) 우선 방출 방향으로 볼 수 있다.
강도 분포의 이러한 고려 사항에는, 고려된 방향의 함수로서 방출되는 광 강도의 측면에서의 모듈(10)에 대한 강력한 제약들이 반영된다.
도 1a, 도 1b, 및 도 2를 참조하면, 모듈(10)은 기판(14), 전계 발광 소자들(16), 및 스크린(18)을 포함한다.
기판(14)은 전계 발광 소자들(16)을 위한 지지체를 형성한다.
또한, 기판은 전계 발광 소자들(16)에 의한 광선 발생을 위해 전기 에너지를 그 전계 발광 소자들 쪽으로 돌리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전계 발광 소자들(16)을 전기 에너지 공급원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전기 에너지 라우팅 수단(electrical energy routing means)을 포함한다. 이 수단은, 예를 들면, 구리 트랙 또는 와이어와 같은 금속 또는 금속화 연결 요소들을 포함한다.
도 2는 서로 접촉하게 배치된 2개의 기판(14)을 도시하고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이 기판들은 장치(2)에 포함된 별개의 모듈(10)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구성에서, 모듈들(10)의 각 스크린(18)은 예를 들면 하나의 동일한 부품 상에 형성된다. 이 도면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4)은 차량의 배치 방향(상부 기판)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치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수평(하부 기판)에 대해 경사진다.
기판(14)은 직사각형과 같은 일반적인 다각형 형태를 갖는다. 기판은 길이 방향 또는 경로(D)를 따라 연장된다. 이 방향 또는 경로는, 예를 들면, 형태가 (도 2에서 하부 기판에 대해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만곡되고 예를 들면 절곡되는 기판의 곡선을 고려하고 그리고/또는 기판의 기하학적 형태를 고려하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이 곡률은 예를 들면 기판(또는 기판의 일부분)이 구부러진 결과이다.
기판(14)은 직선 또는 직선이 아닌 가장자리를 갖는 윤곽(C)을 갖는다.
기판(14)은 주요부(20) 및 탭들(22)을 포함한다.
주요부(20)는 그 외부가 윤곽(C)에 의해 획정되며, 기판(14)에 그의 일반적인 외관을 부여한다. 주요부는 직사각형과 같은 다각형 판의 일반적인 형태를 취하는데, 그의 두께는 다른 치수들과 관련해서 보면 작다. 선택적으로, 주요부의 모서리들은 둥글다.
주요부(20)는 후술하는 탭들(22)로부터 떨어져 있는 기판 모두에 의해 형성된다.
유리하게는, 주요부(20)는 가요성이다. 더 구체적으로, 주요부는, 길이 방향 단부들을 서로 더 가까워지게 하는 경향이 있으며 기판의 면에 법선 방향으로 가해지는 굽힘과 같은 굽힘 하중의 영향 하에서는 특히,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특히 주요부와 기판으로 하여금 곡선을 가질 수 있게 하며, 특히 장치(2)가 곡선을 가지는 경우에는 폐쇄 외부 렌즈(6)에 그리고/또는 하우징(4)의 후방벽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즉, 주요부는, 예를 들면, 그의 길이의 전체 또는 일부에 걸쳐 폐쇄 외부 렌즈의 곡선 및/또는 스크린(18)의 곡선과 동일한 곡선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탭들(22)은 설형재의 형태를 취한다. 탭들은 주요부에서 연장된다. 더 구체적으로, 탭들은 각각 주요부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다. 즉, 탭들은 기판(14)의 외측 가장자리, 즉 기판(14)의 외측을 향해 방향을 튼 가장자리로부터는 연장되지 않는다.
이 탭들은 예를 들면 초기에 솔리드(solid) 표면을 갖는 기판을 절단함으로써 형성된다.
탭들(22)은 연결 가장자리(22B)(도 2의 일부 탭들 상에 파선으로 표시됨)에 의해 주요부(20)에 연결되고, 탭들의 다른 가장자리들은 자유로운 상태, 즉 기판(14)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다. 연결 가장자리(22B)는 예를 들면 주요부를 갖는 단일품으로 만들어진다.
유리하기로는, 탭들은 모서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선택적으로 둥글게 한, 직사각형과 같은 일반적인 다각형 형태를 갖는다. 연결 가장자리(22B)는 이 다각형의 적어도 한 측면에 대응하고, 다른 측면들은 자유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유리하기로는, 탭들은 이들 중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를 갖는다. 기판의 크기 또는 형태 때문에, 단부 탭들은 기판의 단부들에 관하여 인접하지 않은 탭들과는 다른 치수 또는 형태를 갖도록 만들어질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탭들(22)은 실질적으로 평면이다. 또한, 유리하기로는, 탭들은 주요부 상에서 탄성적으로 굽혀지는 경우에 실질적으로 평면을 유지하도록 마련된다.
도 3은 이렇게 굽혀진 형태의 탭들의 기하학적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 탭들은 주요부에 대해 국부적으로 접하는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된다.
탭들은 기판(14)의 나머지 부분과 동일한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유리하다. 탭들의 평탄도, 특히 주요부가 굽혀진 형태에서의 탭들의 평탄도는 주요부에 부여된 굽힘 하중이 탭들 상에 배치된 구성 요소들 및/또는 탭들의 표면에 상기 구성 요소들을 고정시키는 용접부들로 전달되는 것을 제한한다.
기판(14)은 예를 들면 기판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탭(22)을 포함한다. 따라서, 탭들은 예를 들면 기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정렬되게 배치된다.
탭들은 예를 들면 하나의 동일한 공간적 배치 방향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들의 연결 가장자리(22B)는 기판의 하나의 동일한 단부에 관하여 인접한 탭들의 길이 방향 단부를 형성하고, 반대 측 단부는 이 단부로부터 타 단부를 향하여 기판의 주행 방향으로 뒤를 잇는 탭(22)을 향해 방향이 돌아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탭들의 연결 가장자리(22B)는 기판의 국부적인 곡률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탭들은 기판(14) 굽힘 하중에 의해서는 기계적으로 거의 또는 전혀 구속되지 않는다.
기판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 열의 탭, 또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이 길이 방향을 가로질러 서로 편위된 복수 열의 탭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은 예를 들면 통상적으로 유리 섬유로 강화된 강화 에폭시 수지 복합체로 제작된다. 예를 들어, 기판은 일반적으로 PCB FR-4(PCB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의 두문자어임)라는 소재로 제작된다.
기판은 0.3mm 내지 1.6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기판의 표면에 만들어진 개구들(탭들의 윤곽)의 존재와 결합된 이러한 구성은, 기판의 가요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하며, 가요성 기판을 형성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값비싼 재료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게 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전계 발광 소자들(16)은 기판의 주어진 면(24)에 배치된다. 유리하기로는, 이 면(24)은 전계 발광 소자들(16)로부터 나와 그에 도달하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이 면은 이를 위해 흰색으로 한다.
유리하기로는 또는 병행해서, 이 면(24)은 또한 전계 발광 소자들(16)로부터 나와 그에 도달하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발산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이 면은 이를 위해 적합한 조도를 갖는다.
전계 발광 소자들(16)은 각각 전기 에너지를 적절하게 공급받은 때에 빛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전계 발광 소자들(16)은 모듈(10)의 발광 코어를 형성한다.
유리하기로는, 이 소자들(16)은 전자 발광에 의한 광자 생성에 적합한 반도체 전계 발광 소자이다. 유리하기로는, 모듈(10)에 포함되는 소자들(16)의 적어도 일부의 소자(16) 각각은 발광 다이오드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모든 소자들이 그렇게 형성된다. "~로 형성된"이라는 말은, 이 예에서는, 소자들(16)에 포함되는 광방출 구조체가 때로는 LED 칩이라고도 하는 '발광 다이오드'라고 하는 의미로 이해해야 한다.
유리하기로는, 일부 실시예에서, 전계 발광 소자들(16)의 적어도 일부는 다이오드 및 해당 다이오드가 배치된 하우징(26)을 포함한다. 하우징(26)은 때로는 "패키지"라고도 한다.
하우징 내 다이오드의 배치는, 관련된 하우징(26)의 배향이 주어져 있는 상태에서 선택된 대응하는 다이오드로부터 주 방출 방향을 얻을 수 있게 선택된다. 이 주 방향은 당해 소자(16)가 최대 광 강도를 방출하는 방향에 대응한다.
전계 발광 소자들(16)은 기판에 배치된다. 앞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소자들은 기판의 하나의 동일한 면(24)에 배치된다. 이 면(24)은 스크린(18)과 폐쇄 외부 렌즈(6) 쪽으로 향한다.
이를 위해, 하우징(26)은 면(24) 위에 고정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전계 발광 소자들은 기판의 탭들(22) 상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어, 전계 발광 소자들은 탭 당 2개 이상, 예를 들면, 탭 당 4, 6, 8, 10 개 또는 그 이상이 탭 상에 배치된다. 하나의 주어진 탭 상에 배치된 소자들(16)은 한 그룹의 전계 발광 소자를 형성한다.
소자들(16)은 기판 상에 하나 이상의 열로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들 열은 각각 (고려된 기판(14)의 형태에 따라서 안으로 굽혀질 수 있는) 기판의 길이 방향(D)에 평행한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도면의 예에서는 소자들(16)이 2개의 평행한 열로 배치되어 있다.
유리하기로는, 2개의 연속적인 소자들(16)을 기판을 따라서 분리시키는 거리는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유리하기로는, 소자들(16)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각각의 소자(16)는 기판을 따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소자(16)와 관련된다. 즉, 대응하는 전계 발광 소자들은 또한 적어도 2개의 소자(16)를 각각 포함하는 세로줄에 배치된다.
유리하기로는, 소자들(16)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소자들(16)은 당해 소자(16)를 지지하는 기판의 구역에서 기판에 대한 법선 방향으로부터 각을 이루어 편위된 주 방출 방향을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즉, 이 방향은 기판에 대한 국부 법선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소자들(16)은 기판의 대응하는 구역에 접하는 국부 평면에 평행한 평면과 기판에 대한 국부 법선 사이에서 각을 이루어 놓인 우선 주 방향(preferred main direction)으로 빛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기로는, 대응하는 소자들(16)은 기판의 대응하는 구역에 접하는 국부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에 놓인 우선 방향으로 빛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계 발광 소자들은 이들이 위치되는 탭(22)에 대해 상기 방향이 평행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대응하는 소자들(16)은 예를 들면 "측면 LED"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발광 다이오드이다.
실제로, 원하는 주 방향은 대략적으로 대응 하우징(26) 내에 다이오드를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얻어진다.
이러한 구성들은 결합될 수 있고, 모듈(10)은 고려된 기판에 대해 국부적으로 접하는 평면에 평행한 소자들(16) 및/또는 상기 국부적으로 접하는 평면에 평행한 평면과 고려된 구역에 대한 법선 사이에서 각을 이루어 방출하는 타 소자들을 포함하게 됨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주 발광 방향을 갖는 전계 발광 소자들의 존재에 대한 대안으로 또는 그와 병행하여, 모듈(10)은 기판에 대한 국부 법선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주 방향을 갖는 전계 발광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도 3에서, 상기 국부적으로 접하는 평면에 평행하게 향한 주 방향은 도면부호 dp3 내지 dp6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관련된 국부 법선은 도면부호 nloc3 내지 nloc6으로 나타내고 있다. 다른 대응하는 법선에 대해 단순하게 경사진 형태를 갖는 주 방향은 도면부호 dp1 및 dp2로 나타내고 있다(관련된 국부 법선은 도면부호 nloc1 및 nloc2로 나타내고 있음).
일부 실시예에서, 모듈(10)은 상기 국부적으로 접하는 평면에 평행한 주 방향을 갖는 소자들(16)만 포함한다.
모듈(10)은 예를 들어 백색광, 또는 심지어 적색광 또는 황색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목표로 하는 적용 분야 여하에 따라서는 다른 색상도 구상할 수 있다.
모듈(10)은 백색광, 다른 황색광 및/또는 다른 적색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소자들(16)을 포함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소자들(16) 각각은 소정의 공급받는 전기 에너지 또는 전력에 대해서 그들이 공급하는 광 강도 및 색상을 한정하게 되는 작동 특성을 나타낸다.
실제로, 공지된 바와 같이, 이러한 작동 특성은, 전계 발광 소자 제조 시에, 동일한 제품 기준, 예를 들어 공급자 기준을 갖는 다이오드가 소정의 전력 하에서 서로 실질적으로 상이한 소정의 광 강도들을 적어도 나타낼 수 있게 할 정도로 정교하게 조절할 수 없다.
이러한 양상은 작동 특성에 따라 제작되는 소자들을 상이한 카테고리로, 혹은 소자들의 작동 특성이 유사한 "빈(bin)"으로 분류하는 방법인 소위 "비닝(binning)" 방법을 이끌어낸 원천이다. 따라서, 유사하거나 심지어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동 특성을 갖는 소자들(16)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유리하기로는, 소자들(16)의 적어도 일부는 주어진 전기 에너지 또는 전력 하에서 별개의 작동 특성들을 나타낸다. 이는 소정의 빈에 속하는 소자들만 더 비싼 것을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장치(2)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스크린(18)은 소자들(16)에 의해 방출된 빛으로 조명되는 표면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스크린은 광방출 소자들로부터 수광되어 그를 통과하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발산시키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크린은 기판(14) 및 광방출 소자들과 함께 실질적으로 균질한 피조명면을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균질이라 함은 시선을 스크린으로 보내는 관찰자가 육안으로는 상기 피조명면 내에서 광방출 소자들을 구별해낼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실제로, 이 특성은 기판과 스크린 사이의 거리와 기판 상의 광방출 소자들의 분포 밀도가 조합된 결과로, 다른 모든 것도 동일하게 됨, 생긴다.
유리하기로는, 이를 위해, 광방출 소자들의 적어도 일부 및 유리하게는 모두에 있어서, 두 개의 인접한 광방출 소자들 사이의 거리는 광방출 소자들을 스크린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거리보다 작거나 같고, 유리하게는 상기 분리시키는 거리의 70% 미만이다.
균질성을 정량화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예를 들어, 균질성을 H로 표시함으로써, 균질성은 국부 균일성 L_U와 전역 균일성 G_U 사이의 최소치로부터 결정되거나, 혹은 그 최소치로 결정될 수 있다.
전역 균일성은 예를 들면 아래의 관계식으로부터 결정된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ROI는 스크린에 의해 제공된 피조명면을 나타내고, LROI는 피조명면의 휘도를 나타낸다(σ는 표준 편차를, Moy는 평균을 나타냄).
국부 균일성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피조명면의 픽셀 X, X를 중심으로 하는 측면 n의 정사각형 영역(예, n 개의 픽셀), 및 측면 n의 8 개의 인접한 정사각형 영역을, 이들 영역은 지점 X로부터 거리 n에 각각 위치하는 픽셀들 Xi를 각각 중심으로 함, 고려한다. 지점들 Xi는 예를 들면 X 주위에 고르게 분포된다.
국부 콘트라스트 l_c는 다음의 관계식에 따른 n의 함수로서 정의되며,
Figure pat00002
여기서, M 및 Mi는 각각, X를 중심으로 하는 영역의 픽셀들의 평균 휘도, Xi를 중심으로 하는 영역의 픽셀들의 평균 휘도이다.
MSlocal_contrast 양은 n = 2p + 1인 경우에, 여기서 p는 1에서 20까지의 범위임, 국부 콘트라스트들 l_c(n) 중에서 최대치로 결정되며, L_U 양은 관계식 L_U = 100(1-2MSlocal_contrast)에 따라 결정된다.
장치(2)가 2개의 비교적 뚜렷이 구분되는 구역을 포함하는 일부 실시예에서는 전역 균질성은 예를 들면 2개의 영역의 각각의 균질성들 중 최소치로 결정됨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전역 균질성을 여러 축에 대해서 고려된 균질성의 선형 조합으로(또는 대안으로는 최소치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하여, 균일성 H는 85%보다 큰 것이 유리하다.
스크린(18)은 소자들(16)로부터 나온 빛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하다.
스크린(18)의 발산 효과를 얻기 위해 여러 가지 구성이 구상된다.
제 1 구성에서, 스크린(18)은 "대량으로" 발산시키는 것이라 한다. 즉, 스크린은 발산 재료로 제작된다. 이러한 유형의 재료를 때로는 유백광 재료라고 한다.
대안적으로, 스크린은 광방출 소자들부터 나온 빛을 발산 시키도록 마련되는 미세 구조체(28)가 구비된 표면을 갖는다. 미세 구조체들은 빛을 투과 시에 회절에 의해 발산시키도록 마련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미세 구조체들(28)은 예를 들면 스크린의 외면의 표면, 즉 폐쇄 외부 렌즈 쪽으로 향한 면에 형성된다. 미세 구조체들은 스크린의 표면 전체에 걸쳐 존재한다(미세 구조체들은, 명확성을 위해, 도 4의 스크린(18)의 일부분에만 도시됨).
유리하기로는, 미세 구조체들(28)은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이들 미세 구조체들은 예를 들면 스크린의 면의 표면에 형성된 오목부 및/또는 돌출부의 형태를 취한다. 미세 구조체들은 전계 발광 소자들(16)에 의해 방출된 빛의 파장의 크기 수준과 이 수준의 100배 사이에 있는 크기 수준의 특성 치수를 나타낸다.
스크린(18)은 직사각형과 같은 일반적인 다각형 형태를 갖는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스트립 형태를 취한다. 선택적으로, 스크린의 모서리들은 둥글다.
스크린은 광방출 소자들(16)을 지지하는 기판(14)의 면을 향하게 배치된다. 스크린은 상기 면과 광방출 소자들로부터 떨어져 위치된다.
스크린은 기판으로부터 예를 들어 20mm 내지 90mm의 범위의 거리에 위치된다.
유리하기로는, 스크린(18)은 곡선들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스크린은 그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서 기판의 곡선과 동일한 곡선을 나타낸다. 즉, 스크린, 또는 더 구체적으로는 미세 구조체를 지지하는 스크린의 면은 기판의 주요부(즉, 스크린을 향하는 기판의 큰 면)의 적어도 일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소자들(16)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고려된 모든 광방출 소자들은 모두 스크린(18)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에 위치된다.
스크린(18)은 선택적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10)에 속하는 요소(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스크린(18)에 부가하여, 상기 요소(30)는 그의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스크린을 둘러싸는 고정부(32)를 포함한다. 이 고정부(32)는 상기 요소(30)를 공간(8) 내에, 선택적으로는 리세스(12) 내에 고정하기 위해서, 그리고 상기 요소(30)를 취급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상기 요소(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이 도면에서, 상기 요소는 실질적으로 수평인 제 1 스크린과, 상기 제 1 스크린으로부터 수평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된 절곡 형태의 제 2 스크린(182)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요소들에 부가하여, 모듈(10)은 전계 발광 소자들(16)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조립체(34)를 더 포함한다.
제어 조립체(34)는 소자들을 켜고 끄기 위해 그리고 소자들 각각에 의해 방출되는 광 강도를 제어하기 위해 소자들(16)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 및/또는 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어 조립체(34)는 기판을 따라 분포된 복수의 제어 모듈(36)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각각의 모듈은 복수의 소자들(16)에 이들을 제어하기 위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주어진 제어 모듈이 하나의 주어진 탭 상에 배치된 소자들(16)과 관련된다. 제어 모듈은 예를 들어 탭 자체에, 예를 들어 면(24)에 대향된 면에, 또는 주요부(20) 상의 탭과 나란히 위치된다.
이들 모듈은, 예를 들면, ASIC(주문형 집적 회로) 유형의 집적 회로 또는 통합형 레귤레이터 또는 별개의 부품들을 사용하여 제작된 레귤레이터와 같은, 프로그램 가능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조립체(34)는, 전계 발광 소자들에 의해 대응하는 주 발광 방향으로 방출되며 상이한 적어도 2개의 최대 광 강도를 얻을 수 있도록, 전계 발광 소자들에, 적어도 전계 발광 소자들의 주 발광 방향의 함수로서 결정된 각각의 전기 에너지(또는 전력)를 공급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게, 제어 조립체가 구성되게 되는 작동 모드를 갖는다.
여기서, 이 작동 모드는 장치의 진정으로 의도된 작동 모드를 구성하며, 예를 들어 장치가 켜질 때의 장치의 단순한 과도 상태가 아니라 때에 맞추어 유지될 수 있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이 작동 모드에서, 고려된 소자들(16)은 켜짐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작동 모드는 선택적으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위해, 유리하기로는, 제어 조립체(34)는 소자들(16)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제어함으로써 이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즉, 이러한 상이한 광 강도들은 소자들(16)에 공급되는 전류가 조립체(34)에 의해 조절되는 것에 적어도 기인한다.
유리하기로는, 이러한 작동 모드에서, 소자들(16)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제어 조립체(34)는, 고려된 소자들(16)에, 고려된 모듈의 주 방출 방향과 차량의 축(X) 사이의 각도 편차가 작기 때문에 그만큼 더 커지는 방출된 최대 광 강도가 반영된 각각의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즉, 고려된 소자들 중 한 소자(16)의 방출 방향이 축(X)에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제어 조립체(34)에 의해 방출이 제어되는 최대 광 강도는 더 커진다. 이는 모든 광원이 모두 동일한 광 강도를 나타내도록 제어되는 경우라면 불가능했을 구성에서 규정상의 요건들에 부합되는 강도 분포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 한다.
도면과 같은 실시예에서, 기판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있어서, 이는 상기 부분의 한 단부로부터 타 단부까지 나아간 길이 방향(D)을 따라 증가하는 소자들(16)의 최대 광 강도를 반영한다.
일반적으로, 유리하기로는,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조립체(34)는 소자들(16)을 제어하되, 소자들에 의해 방출된 광 강도가 기판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기판의 이동 방향으로 하나의 소자로부터 연속하는 소자까지 그리고/또는, 적어도, 하나의 탭으로부터 다른 탭까지 증가할 수 있게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소자들(16)에 의해 공급되는 광 강도 수준은 2개의 연속하는 광 강도들 사이의 차이가 사람의 눈으로는 식별할 수 없을 만큼 충분히 낮도록 한정된다. 이는 시스템의 균질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광 강도들의 분포에 작용할 수 있게 한다.
주어진 소자들(16)에 대해 결정된 전력은 그 소자의 작동 특성의 함수로서 결정되는데, 여기서, 상기 작동 특성은 특히 주어진 전력 하에서의 소자(16)의 광 강도를 필요조건으로 한다. 이 때문에, 제 1 작동 모드를 얻기 위한 조립체(34)의 정확한 구성은 시스템에 포함된 소자들(16)의 집단의 함수로서 크게 가변적이다.
또한, 유사한 작동 특성을 갖는 2개의 소자(16), 예를 들어 동일한 제품 기준을 가지며 하나의 동일한 카테고리 또는 "빈"에 속하는 2개의 소자에 있어서, 뚜렷이 구분되는 최대 광 강도들을 얻는 것은 소자들에 뚜렷이 구분되는 각각의 전기 강도를 공급함으로써 구현된다. 반대로, 전류의 세기의 이러한 차이만으로도 상이한 작동 특성을 갖는 소자들(16)에 대해 동일한 최대 강도가 생기게 할 수 있다.
유리하기로는,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 1 작동 모드에서, 제어 조립체(34)는 주어진 탭(22) 상에 배치된 소자들(16)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최대 광 강도를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기로는, 제어 조립체(34)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으로 활성화 가능한 다른 작동 모드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어 조립체는 다음의 작동 모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작동 모드를 포함한다:
- 소자들(16)에 공급되는 전력이, 소자들(16)의 최대 광 강도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구성되는 작동 모드, 및
- 제어 조립체(34)가 소자들에, 소자들(16)의 전부 또는 일부가 순차적으로 그리고/또는 동시에 켜지고 그리고/또는 꺼지는 조명 시퀀스가 구현되도록 하는 명령을 내리는 작동 모드.
예를 들어, 이들 모드 중 한 모드 또는 다른 모드는, 차량의 스위치 켜기, 차량에 포함된 도어의 개방, 또는 방향 변경 지시 명령의 작동과 같은, 차량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구현된다.
이제부터는 장치(2)의 작동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장치(2)가 시동될 때, 제어 조립체(34)는 소자들이 켜지는 것이 반영되는, 소자들(16)로의 전기 에너지 공급을 제어한다.
전술한 작동 모드가 예를 들어 디폴트로 구현될 때, 제어 조립체(34)는, 적어도 2개의 소자(16)의 최대 강도가 유리하기로는 전술한 강도 체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적용함으로써 구별되도록,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조절하는 것을 보장한다.
예를 들어, 다른 작동 모드가 예를 들어 차량에서의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이점들을 제공한다.
먼저, 규정상의 요건들에 부합되는 광 강도의 분포를 얻는 것이 용이하며 아주 간단하다. 특히, 이는 전계 발광 소자들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제어한 결과로서 제공되는 경우에는 특히 간단하다.
이는, 규정상의 요건들에 부합되는 광 강도의 분포를 얻는 것이 장치의 균질한 외관과 양립하기가 쉽지 않은 경우인, 곡선을 갖는 장치(2)에 특히 유리하다.

Claims (17)

  1. 발광 모듈, 특히 자동차용 발광 모듈에 있어서,
    - 길이 방향(D)으로 연장된 만곡형 주요부(20)를 포함하는 기판(14);
    - 상기 기판 상에 배열되고,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때에 광선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전계 발광 소자(16); 및
    - 상기 전계 발광 소자들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어 조립체(34)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조립체는, 상기 전계 발광 소자들에 의해 대응하는 주 발광 방향으로 방출되며 상기 기판의 상기 길이 방향(D)을 따라 상이한 적어도 2개의 최대 광 강도를 얻기 위해, 적어도 상기 전계 발광 소자들의 각각의 주 발광 방향(dp1, ..., dp6)의 함수로서 결정된 각각의 전기 에너지 및/또는 전력을 상기 전자 발광 소자들(16)에 공급하도록 상기 제어 조립체가 구성되게 되는 작동 모드를 갖는
    발광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모드에서, 상기 제어 조립체(34)는 상기 상이한 최대 광 강도를 얻기 위해 상기 전계 발광 소자들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발광 모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주요부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탭(22)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탭들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분포되는
    발광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탭들은 실질적으로 평면인
    발광 모듈.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 발광 소자들(16)은 상기 탭들(22)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전계 발광 소자들은 전계 발광 소자들의 그룹을 형성하는 소정의 탭 상에 배치되는
    발광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모드에서, 상기 제어 조립체(34)는, 소정의 그룹 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계 발광 소자들에 의해 공급되는 최대 광 강도들을 얻기 위해, 전계 발광 소자들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발광 모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전계 발광 소자들은, 그 2개의 전계 발광 소자들에 의해 각각 방출되는 최대 광 강도가 소정의 공급 전력에 따라 달라지도록 상이한 작동 특성들을 나타내고, 소정의 전계 발광 소자(16)에 공급된 전기 에너지는 상기 전계 발광 소자(16)의 상기 작동 특성들로부터도 결정되는
    발광 모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모드에서, 상기 길이 방향 축을 따르는 기판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있어서, 상기 제어 조립체(34)는, 상기 전계 발광 소자들의 각각의 광 강도가 기판의 길이에 있어서의 상기 일부분의 소정의 이동 방향으로 증가하도록, 전계 발광 소자들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 및/또는 전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발광 모듈.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조립체(34)는, 적어도 하나의 전계 발광 소자와 각각 관련되고 관련된 전계 발광 소자 또는 소자들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 및/또는 전력을 조절하도록 각각 구성된 복수의 제어 모듈(36)을 포함하는
    발광 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들은 기판과 접촉한 상태로 배치되며 기판을 따라 분포되는
    발광 모듈.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 발광 소자들(16)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일부의 전계 발광 소자 각각은 당해 전계 발광 소자를 수용하는 기판의 구역에서 기판에 대한 법선(nloc1, ..., nloc6)으로부터 각을 이루어 편위된 주 발광 방향을 나타내는
    발광 모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의 전계 발광 소자들(16)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당해 전계 발광 소자를 수용하는 상기 구역에서 기판에 접하는 국부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주 발광 방향을 나타내는
    발광 모듈.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 발광 소자들을 향하게 배열되며, 상기 전계 발광 소자들에 의해 방출된 광선으로부터 조명되는 표면을 형성하도록 제공되는 발산 스크린(18)을 더 포함하는
    발광 모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산 스크린(18)과 상기 기판(14)과 상기 전계 발광 소자들(16)은 상기 조명되는 표면이 실질적으로 균질하도록 구성되는
    발광 모듈.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광 모듈(10)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명 및/또는 신호 발생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는 축(X)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작동 모드에서, 상기 제어 조립체(34)는, 상기 조명 및/또는 신호 발생 장치가, 복수의 방향에 대해서, 사전결정된 최소치보다 큰 값 및/또는 사전결정된 최대치보다 작은 값을 나타내며 상기 방향들 각각에서 방출되는 광 강도를 나타내는 광 강도 공간 분포를 나타내도록, 상기 전계 발광 소자들(16)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 및/또는 전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동차의 조명 및/또는 신호 발생 장치.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는 축(X)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작동 모드에서, 상기 제어 조립체(34)는, 상기 전계 발광 소자의 주 발광 방향과 상기 자동차의 축(X) 사이에 형성된 각도가 작으면 상기 전계 발광 소자들(16)의 전부 또는 일부에 의해 각각 방출되는 최대 광 강도가 그만큼 더 커지도록, 상기 전계 발광 소자들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 및/또는 전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자동차의 조명 및/또는 신호 발생 장치.
KR1020170124142A 2016-09-28 2017-09-26 제어가 향상된 발광 모듈, 특히 자동차용 발광 모듈 KR1025156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59231 2016-09-28
FR1659231A FR3056705B1 (fr) 2016-09-28 2016-09-28 Module d'emission lumineuse a commande ameliore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160A true KR20180035160A (ko) 2018-04-05
KR102515602B1 KR102515602B1 (ko) 2023-03-29

Family

ID=57590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142A KR102515602B1 (ko) 2016-09-28 2017-09-26 제어가 향상된 발광 모듈, 특히 자동차용 발광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65641B2 (ko)
EP (1) EP3339094A1 (ko)
KR (1) KR102515602B1 (ko)
CN (1) CN107871806B (ko)
FR (1) FR30567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56678B1 (fr) * 2016-09-28 2020-07-24 Valeo Vision Module d'emission lumineuse ameliore pour vehicule automobile
CN108644735B (zh) * 2018-04-25 2020-03-20 东风汽车有限公司 动态信号灯及其控制方法
US11131438B2 (en) * 2018-12-19 2021-09-28 Valeo North America, Inc. IR illuminator with secondary function
DE102019102124A1 (de) * 2019-01-29 2020-07-3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9219721A1 (de) * 2019-12-16 2021-06-17 Vosla Gmbh LED-Leuchtstreifen und Fahrzeugleuchte
TWI775069B (zh) * 2020-04-27 2022-08-21 宏碁股份有限公司 頭戴式顯示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0216A (ja) * 1998-09-21 2000-04-07 Ichikoh Ind Ltd 車両用ランプ装置
KR20070102937A (ko) * 2006-04-17 2007-10-22 스탠리 일렉트릭 컴퍼니, 리미티드 차량용 등구
KR20130138111A (ko) * 2012-06-08 2013-12-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램프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차량
KR20140028769A (ko) * 2012-08-30 2014-03-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조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0860B1 (fr) * 1991-09-02 1997-07-04 Valeo Vision Element de support, notamment pour feu de signalisation de vehicule automobil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US20030147253A1 (en) * 2002-02-06 2003-08-07 Jack Shy Curved warning light device for attaching to vehicle
US6769798B2 (en) * 2002-04-11 2004-08-03 E'sam Co.,. Ltd. Side mirror cover and cover lamp to be used therefor
JP2007528016A (ja) * 2003-07-09 2007-10-0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デューティーサイクル制御を有する電界発光表示装置
DE102006031345A1 (de) * 2006-07-06 2008-01-10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Formflexibles Beleuchtungssystem
JP4631838B2 (ja) * 2006-10-20 2011-02-16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5444046B2 (ja) * 2010-03-09 2014-03-19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
FR2962877B1 (fr) * 2010-07-13 2014-03-21 Valeo Vision Procede de commande de diodes electroluminescentes
US20130134898A1 (en) * 2011-11-29 2013-05-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ight Emitting Diode Producing Any Desired Color
FR2989647B1 (fr) * 2012-04-23 2015-02-27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Bloc optique multifonctions de vehicule, a sources lumineuses et intensite lumineuse controlables
EP2671756B1 (en) * 2012-06-08 2022-01-19 LG Innotek Co., Ltd. Lamp unit and vehicle using the same
US20140265934A1 (en) * 2013-03-15 2014-09-18 Federal-Mogul Corporation Vehicle interior lighting
US10064259B2 (en) * 2016-05-11 2018-08-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lluminated vehicle bad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0216A (ja) * 1998-09-21 2000-04-07 Ichikoh Ind Ltd 車両用ランプ装置
KR20070102937A (ko) * 2006-04-17 2007-10-22 스탠리 일렉트릭 컴퍼니, 리미티드 차량용 등구
KR20130138111A (ko) * 2012-06-08 2013-12-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램프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차량
KR20140028769A (ko) * 2012-08-30 2014-03-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39094A1 (fr) 2018-06-27
CN107871806B (zh) 2022-06-21
FR3056705A1 (fr) 2018-03-30
US20180092180A1 (en) 2018-03-29
KR102515602B1 (ko) 2023-03-29
CN107871806A (zh) 2018-04-03
US10165641B2 (en) 2018-12-25
FR3056705B1 (fr) 2020-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5160A (ko) 제어가 향상된 발광 모듈, 특히 자동차용 발광 모듈
CN108131636B (zh) 初级光学件、次级光学件、交通工具前照灯和前照灯系统
US8475023B2 (en) Light emitting module and automotive lamp
EP3076069A2 (en) Light device of vehicle
US11320112B2 (en) Optical device for an automobile vehicle
JP2008053235A (ja) 自動車リアランプ用ledアセンブリ
US9810393B2 (en) Motor vehicle light device including light guide and flat electroluminsscence diode
US11447069B2 (en) Illumin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CN110056832B (zh) 车辆的照明装置
EP2690346A1 (en) Illumination device
CN109539160B (zh) 发光模块以及车载用灯具
CN108730910B (zh) 照明系统和前照灯
EP2045514A1 (en) Modular reflective optical lighting system and lighting device equipped therewith, in particular for vehicles
EP3182806A1 (en)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CN109790965B (zh) 用于机动车辆的改进的发光模块
JP7127213B2 (ja) 自動車のヘッドライト用の照明ユニット
JP2007176219A (ja) 発光装置およびこの発光装置を用いた車両用灯具
US10509156B2 (en) Light emitting devices
CN109466435B (zh) 用于车辆的照明装置
US20210054983A1 (en) Motor vehicle lighting module
US20200191349A1 (en) Dual cct automotive headlight
EP3174035A1 (en) Light-emitting device
JP2016122535A (ja) 照明器具
KR20190033240A (ko) 신호등
CN117795586A (zh) 机动车照明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