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4599A -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4599A
KR20180034599A KR1020187005763A KR20187005763A KR20180034599A KR 20180034599 A KR20180034599 A KR 20180034599A KR 1020187005763 A KR1020187005763 A KR 1020187005763A KR 20187005763 A KR20187005763 A KR 20187005763A KR 20180034599 A KR20180034599 A KR 20180034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power
predetermined
transmit power
transmiss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5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7713B1 (ko
Inventor
통보 왕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34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2Network monitoring prob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0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error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the quality of service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7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the inform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02D70/14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에 이용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에 액세스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모바일 단말기가 AP에 액세스한 경우, AP가 송신하여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를 검출하는 단계와, 모바일 단말기가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검출하는 단계와, 사전 수립된 송신 전력 관계 표를 구하는 단계와, 송신 전력 관계 표에서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검색하고, 이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제1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는 단계와, 모바일 단말기가 제1 목표 송신 전력에 따라 AP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제1 목표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모바일 단말기의 원치 않는 전력 손실을 크게 감소시켜,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전력 손실을 감소시키고 모바일 장치의 배터리 수명을 더 연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계속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및 이북(e-book)과 같은 더 많은 유형의 모바일 단말기 제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들 모바일 단말기 제품은 거의 모두 무선 네트워크 와이파이(Wi-Fi) 액세스 기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기능은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인터넷을 서핑할 수 있도록 상당한 편의를 제공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여 인터넷 서핑을 위해 AP(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에 액세스할 경우, 사용자의 위치가 변함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가 변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가 AP에 더 가까울수록,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하는 AP의 신호는 더 강하다. 모바일 단말기가 AP로부터 더 멀수록,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수신된 AP의 신호는 더 약하다.
현재, 모바일 단말기가 약한 신호를 갖는 AP에 액세스하는지 또는 보다 강한 신호를 갖는 AP에 액세스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모바일 단말기의 Wi-Fi 모듈은 고정된 송신 전력으로 동작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가 상대적으로 약한 신호를 갖는 AP에 액세스할 경우, 모바일 단말기와 AP 사이에 가능한 한 많은 양질의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기의 Wi-Fi 모듈은 대체로 최대 송신 전력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모바일 단말기가 액세스하는 AP의 신호가 더 강해질 경우에도, 모바일 단말기의 Wi-Fi 모듈은 여전히 항상 최대 송신 전력으로 동작한다. 이는 필연적으로 모바일 단말기의 전력 소비를 증가시킨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용량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최대 송신 전력으로 AP에 액세스하면, 배터리 전력이 과도하게 소비되므로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수명이 심각한 영향을 받는다.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에 이용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에 액세스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에 액세스한 경우, 상기 AP가 송신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를 검출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검출하는 단계와, 사전 수립된 송신 전력 관계 표를 구하는 단계 - 상기 송신 전력 관계 표에서, 동일한 RSSI의 경우, 각각의 데이터 전송 레이트는 사전 설정된 하나의 송신 전력에 대응함 - 와, 상기 송신 전력 관계 표에서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검색하고, 상기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제1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1 목표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제1 목표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제1 양태와 관련하여, 제1 양태의 가능한 제1 구현예에서, 이 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1 목표 송신 전력으로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제1 패킷 에러율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상한 임계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상한 임계치보다 더 큰 경우, 상기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2 목표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제1 목표 송신 전력으로부터 상기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제1 구현예와 관련하여, 제1 양태의 가능한 제2 구현예에서, 이 방법은 상기 송신 전력 관계 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제1 구현예와 관련하여, 제1 양태의 가능한 제3 구현예에서, 상기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는 단계는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최대 송신 전력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최대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고, 전력 프로브 프레임(power probe frame)을 상기 AP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가 상기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제2 패킷 에러율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전력 변화 스텝 값을 감산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제2 패킷 에러율을 구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고, 상기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상기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제3 구현예와 관련하여, 제1 양태의 가능한 제4 구현예에서, 이 방법은 상기 제2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preset attenuation stop threshold)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에 가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에 이용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에 액세스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에 액세스한 경우, 상기 AP가 송신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하는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를 검출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최대 송신 전력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최대 송신 전력으로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가 상기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제3 패킷 에러율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제3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3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전력 변화 스텝 값을 감산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제3 패킷 에러율을 구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3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RSSI,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및 상기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송신 전력 관계 표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제2 양태와 관련하여, 제2 양태의 가능한 제1 구현예에서, 이 방법은, 상기 제3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3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3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에 상기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가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상기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3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상기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RSSI,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및 상기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상기 송신 전력 관계 표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양태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에 이용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에 액세스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에 액세스한 경우, 상기 AP가 송신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하는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를 검출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최대 송신 전력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최대 송신 전력으로 데이터를 상기 AP로 전송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가 상기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제4 패킷 에러율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제4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4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전력 변화 스텝 값을 감산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제4 패킷 에러율을 구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4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고, 상기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제3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3 목표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제3 목표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제3 양태와 관련하여, 제3 양태의 가능한 제1 구현예에서, 이 방법은 상기 제4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4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4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에 가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3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4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제3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3 목표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제3 목표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4 양태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에 이용되는 송신 전력 제어 장치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에 액세스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제1 모니터링 유닛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에 액세스한 경우, 상기 AP가 송신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1 RSSI 검출 유닛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1 데이터 전송 레이트 검출 유닛과, 사전에 수립된 송신 전력 관계 표를 구하도록 구성된 관계 표 획득 유닛 - 상기 송신 전력 관계 표에서, 동일한 RSSI의 경우, 각각의 데이터 전송 레이트는 하나의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에 대응함 - 과, 상기 송신 전력 관계 표에서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검색하고 상기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제1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된 검색 유닛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제1 목표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 전력 조정 유닛을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제4 양태와 관련하여, 제4 양태의 가능한 제1 구현예에서, 이 장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1 목표 송신 전력으로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제1 패킷 에러율을 구하도록 구성된 제1 패킷 에러율 획득 유닛과, 상기 제1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상한 임계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1 패킷 에러율 판정 유닛과, 상기 제1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상한 임계치보다 큰 경우,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된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 계산 유닛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제2 목표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AP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제1 목표 송신 전력으로부터 상기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 전력 조정 유닛을 더 포함한다.
제4 양태의 가능한 제1 구현예와 관련하여, 제4 양태의 가능한 제2 구현예에서, 이 장치는 송신 전력 관계 표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 업데이트 유닛을 더 포함한다.
제4 양태의 가능한 제1 구현예와 관련하여, 제4 양태의 가능한 제3 구현예에서, 상기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 계산 유닛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따라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최대 송신 전력을 구하도록 구성된 최대 송신 전력 획득 모듈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최대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 송신 전력 조정 모듈과,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력 프로브 프레임 전송 모듈과, 상기 단말기가 상기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제2 패킷 에러율을 구하도록 구성된 제2 패킷 에러율 획득 모듈과, 상기 제2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2 패킷 에러율 판정 모듈과, 상기 제2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감산하도록 구성된 제1 현재의 송신 전력 계산 모듈과, 상기 제2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고 상기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상기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된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 결정 모듈을 포함한다.
제4 양태의 가능한 제3 구현예와 관련하여, 제4 양태의 가능한 제4 구현예에서, 이 장치는 제2 현재의 송신 전력 계산 모듈 및 제2 목표 송신 전력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패킷 에러율 판정 모듈은 또한, 상기 제2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현재의 송신 전력 계산 모듈은, 상기 제2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에 가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목표 송신 전력 결정 모듈은, 상기 제2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5 양태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에 이용되는 송신 전력 제어 장치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에 액세스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제2 모니터링 유닛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에 액세스한 경우, 상기 AP가 송신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하는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2 RSSI 검출 유닛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 검출 유닛과,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최대 송신 전력을 구하도록 구성된 제1 최대 송신 전력 획득 유닛과, 상기 최대 송신 전력으로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전력 프로브 프레임 전송 유닛과, 상기 단말기가 상기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제3 패킷 에러율을 구하도록 구성된 제3 패킷 에러율 획득 유닛과, 상기 제3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3 패킷 에러율 판정 유닛과, 상기 제3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감산하도록 구성된 제1 현재의 송신 전력 계산 유닛과, 상기 제3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는 현재의 송신 전력 결정 유닛과, 상기 RSSI,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및 상기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송신 전력 관계 표에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1 저장 유닛을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제5 양태와 관련하여, 제5 양태의 가능한 제1 구현예에서, 이 장치는 제2 현재의 송신 전력 계산 유닛, 제1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 결정 유닛, 및 제2 저장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패킷 에러율 판정 유닛은 또한, 상기 제3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3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현재의 송신 전력 계산 유닛은, 상기 제3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에 상기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가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 결정 유닛은, 상기 제3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저장 유닛은 상기 RSSI,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및 상기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상기 송신 전력 관계 표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6 양태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에 이용되는 송신 전력 제어 장치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에 액세스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제3 모니터링 유닛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에 액세스한 경우, 상기 AP가 송신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3 RSSI 검출 유닛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3 데이터 전송 레이트 검출 유닛과, 상기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AP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최대 송신 전력을 구하도록 구성된 제2 최대 송신 전력 획득 유닛과, 상기 최대 송신 전력으로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송신 유닛과, 상기 단말기가 상기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상기 AP에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제4 패킷 에러율을 구하도록 구성된 제4 패킷 에러율 획득 유닛과, 상기 제4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4 패킷 에러율 판정 유닛과, 상기 제4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감산하도록 구성된 제3 현재의 송신 전력 계산 유닛과, 상기 제4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고 상기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제3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된 제2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 결정 유닛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제3 목표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 제3 목표 송신 전력 조정 유닛을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제6 양태와 관련하여, 제6 양태의 가능한 제1 구현예에서, 이 장치는 제4 현재의 송신 전력 계산 유닛 및 제3 목표 송신 전력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패킷 에러율 판정 유닛은, 상기 제4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4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4 현재의 송신 전력 계산 유닛은, 상기 제4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에 가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3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3 목표 송신 전력 결정 유닛은, 상기 제4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제3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목표 송신 전력 조정 유닛은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제3 목표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해결책은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모바일 단말기가 AP에 액세스하였다고 감지되면, AP가 송신하여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한 데이터 신호의 RSSI와, 모바일 단말기가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레이트를 별도로 검출하고, 사전에 수립된 송신 전력 관계 표에서 RSSI와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검색하여, 모바일 단말기가 현재의 송신 전력을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변환하고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AP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모바일 단말기는 특정 응용 환경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가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 전력을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항상 고정된 송신 전력으로 AP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발생하는 종래 기술의 원치 않는 과도한 전력 소비 문제를 피할 수 있고,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전력 손실을 줄이고 모바일 장치의 배터리 수명을 더욱 효과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을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원의 도면은 본원 명세서에 포함되어 본원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보여주고, 본원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전류와 송신 전력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계 S180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의 응용 시나리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 계산 유닛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 예시적인 실시예의 예들을 첨부 도면에 제시한다. 이하의 설명이 첨부 도면과 관련될 경우,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상이한 첨부 도면들 내의 동일한 번호는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다음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현예는 본 발명과 일치하는 모든 구현예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반대로, 이들은 본 발명의 일부 양태와 일치하고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상세히 기술되는 장치 및 방법의 예에 불과하다.
관련 기술에서, 모바일 단말기는 AP에 액세스한 후 고정된 송신 전력으로 AP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 결과, 모바일 단말기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과도하게 크고, 배터리 전력이 과도하게 빨리 소비되어,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수명이 심각하게 영향을 받는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10. 모바일 단말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에 액세스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모바일 단말기는 자신이 AP에 액세스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때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AP로 전송할 수 있다. AP는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한 후에 AP가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전송된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했음을 확인응답하는 ACK(Acknowledgment, acknowledgement)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한다. 모바일 단말기가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AP로 전송한 후, AP에 의해 전송된 ACK를 수신하면 모바일 단말기는 AP에 성공적으로 액세스한 것이고, 모바일 단말기가 AP에 의해 전송된 ACK를 수신하지 않으면 모바일 단말기는 AP에 액세스하는데 실패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는 휴대 전화 또는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Wi-Fi 기능을 갖는 장치일 수 있다.
단계 S120. 모바일 단말기가 AP에 액세스하였으면, AP가 송신하고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하는 신호의 RSSI를 검출하고, 또한 모바일 단말기가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검출한다.
AP에 액세스한 후, 모바일 단말기는 AP가 송신하고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하는 신호의 RSSI를 검출할 필요가 있다. RSSI는 AP에 의해 송신되어 현재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 레벨을 나타낼 수 있는 지표이다. RSSI가 클수록 모바일 단말기가 위치하는 네트워크의 신호 커버리지가 더 양호함을 나타낸다.
AP에 액세스한 후, 모바일 단말기는 AP로 전송해야 하는 데이터 패킷의 상태에 따라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조정한다. 즉, 모바일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레이트는 가변적이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가 현재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검출할 필요가 있다.
단계 S130. 사전에 수립된 송신 전력 관계 표를 획득한다.
송신 전력 관계 표는 사전에 수립되어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될 수 있다. 송신 전력 관계 표에서, 동일한 RSSI의 경우, 각각의 데이터 전송 레이트는 하나의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에 대응한다.
송신 전력 관계 표에서, 동일한 RSSI의 경우, 각각의 데이터 전송 레이트는 하나의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에 대응하고,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은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양자 모두에 대응하는 최소 송신 전력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가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양자에 대응하는 최소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AP에 데이터를 전송하면, 모바일 단말기의 전력 소비를 최대로 줄일 수 있다. 물론, 모바일 단말기는,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과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 사이의 송신 전력을 사용함으로써 AP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관련 기술 분야에서 최대 송신 전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과 비교해 볼 때, 이는 모바일 단말기의 전력 소비를 어느 정도 줄일 수 있지만, 모바일 단말기의 전력 소비는,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최소 송신 전력으로 데이터가 AP로 전송될 때 최대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송신 전력 관계 표에서, 각 데이터 전송 레이트는 동일한 RSSI의 경우에 하나의 최소 송신 전력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한 공간 간섭이 없는 경우, 휴대 전화가 5-GHz Wi-Fi의 54Mbps AP에 연결되는 예(표 1을 참조)에서, 휴대 전화의 송신 전력이 상이한 RSSI 하에서 감소될 때의 테스트 결과를 얻을 수 있는데, 즉, RSSI가 -55dBm을 초과하면, 휴대 전화의 송신 전력이 통상의 값 16dBm에서 10dBm으로 감소할 때, 휴대 전화와 AP 사이의 통신 품질은 본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Figure pct00001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와 AP 사이의 통신 품질에 본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보장될 수 있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기의 송신 전력은 가능한 한 많이 감소될 수 있으며,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상이한 RSSI 및 상이한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갖는 송신 전력 관계 표를 형성할 수 있다.
단계 S140. 송신 전력 관계 표에서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검색하고,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제1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한다.
단계 S150. 제1 목표 송신 전력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제1 목표 송신 전력으로 조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전류와 송신 전력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의 송신 전력이 16dBm에서 10dBm으로 감소할 때,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전류가 130mA에서 약 103mA로 감소함을 볼 수 있다. 이는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전력 소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는, 송신 전력 관계 표에서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검색하여, 최소 송신 전력으로 AP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렇게 하면 모바일 단말기의 전력 손실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전력이 제한적일 때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수명을 효과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가 AP에 액세스하였음을 감지하면, AP가 송신하여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한 데이터 신호의 RSSI 및 모바일 단말기가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레이트를 별도로 검출하고, 사전 수립된 송신 전력 관계 표에서 RSSI 및 전송 레이트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검색하여, 모바일 단말기가 현재의 송신 전력을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고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AP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다. 즉, 모바일 단말기는 특정 응용 환경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가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 전력을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통상적으로 고정된 송신 전력으로 데이터가 AP로 전송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관련기술에서의 원치 않는 과도한 전력 소비 문제를 회피할 수 있으며,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전력 손실을 감소시키고 모바일 장치의 배터리 수명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다.
송신 전력 관계 표는 사전에 수립되기 때문에, 모바일 단말기가 AP에 액세스하는 현재 환경이 변하면, 현재의 RSSI 및 현재의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며 송신 전력 관계 표에서 발견된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이 실제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수신되는 잡음 간섭이 비교적 심각할 경우, 사전에 수립된 송신 전력 관계 표에서 발견된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사용하면 비교적 큰 패킷 에러율을 초래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와 AP 사이의 통신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패킷 에러율을 더 보장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공된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이 다음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S160. 모바일 단말기가 제1 목표 송신 전력으로 AP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제1 패킷 에러율을 구한다.
모바일 단말기와 AP 사이의 양호한 통신 품질을 얻기 위해, 송신 전력 관계 표에서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검색하고, 최소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AP에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모바일 단말기는 모바일 단말기가 AP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발생하는 패킷 에러율을 검출할 필요가 있다. 패킷 에러율은 다음 식(1)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PER_CURRENT = Δtxbad/(Δtxbadtxgood) (1)
여기서, PER_CURRENT는 패킷 에러율을 나타내며, Δtxgood은 모바일 단말기가 AP에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의 양을 나타내며, Δtxbad는 모바일 단말기가 데이터 패킷을 AP로 송신한 후에 수신되지 않는 ACK 응답의 양을 나타낸다.
단계 S170. 제1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상한 임계치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한다.
S160 단계에서 계산된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제1 패킷 에러율과 사전 설정된 상한 임계치를 비교한다. 제1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상한 임계치보다 크지 않으면,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은 모바일 단말기가 AP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양호한 링크 전송 품질을 얻을 수 있으며,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제1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상한 임계치보다 크면, 모바일 단말기가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 전력이 지나치게 낮고, 모바일 단말기가 AP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링크 전송 품질이 영향을 받는다.
단계 S180. 제1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상한 임계치보다 크면,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제1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상한 임계치보다 큰 경우, 모바일 단말기가 AP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발생하는 패킷 에러율을 줄이고 모바일 단말기가 AP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양호한 링크 전송 품질을 구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기가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 전력을 재조정한다.
단계 S190. 모바일 단말기가 제2 목표 송신 전력에 따라 AP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제1 목표 송신 전력으로부터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조정한다.
도 3의 방법의 개선된 구현예에서 모바일 단말기가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재계산한 후, 모바일 단말기가 동일한 RSSI 및 동일한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따라 송신 전력 관계 표를 검색하여 직접 해당 송신 전력을 구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3의 방법이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텝 S191. 송신 전력 관계 표를 업데이트한다.
재계산된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이 송신 전력 관계 표에 기록되어, 송신 전력 관계 표에 있는,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원래의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대체한다. 이렇게 하면, 모바일 단말기가 송신 전력 관계 표를 재검색할 때 재계산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도 3의 방법의 개선된 구현예에서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계 S180이 다음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81. 모바일 단말기가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따라 AP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최대 송신 전력을 구한다.
모바일 단말기가 IEEE 802.11ac 표준을 따르는 5-GHz Wi-Fi에 접속되는 예에서, IEEE 802.11ac 표준의 물리층 레이트가 표 2에 나열되어 있다. 표 2에서, 변조 차수가 높을수록 고정된 Wi-Fi 전력 증폭기 효율의 경우 EVM(Error Vector Magnitude) 지표에 대한 요건이 더 엄격하고 송신 전력이 더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 2는 모바일 단말기가 프로브 프레임을 AP에 송신할 때의 가변 제어 처리를 보여준다.
Figure pct00002
단계 S182.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최대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고,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AP로 송신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가 AP로 전송하는 전력 프로브 프레임은 구체적으로 IEEE 802.11ac 표준을 따르는 관리 프레임 또는 제어 프레임일 수도 있으며, 데이터 프레임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S183. 단말기가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AP로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제2 패킷 에러율을 구한다.
모바일 단말기가 AP로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전송한 후, AP가 모바일 단말기가 전송한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수신하면, AP는 모바일 단말기로 ACK를 전송하여 모바일 단말기가 전송한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AP가 성공적으로 수신했음을 확인응답한다. 모바일 단말기가 AP에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전송한 후, AP가 송신한 ACK를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하지 않으면, AP는 모바일 단말기가 전송한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정확하게 수신하는 데 실패한 것이다. 이로 인해 데이터가 손실되고 패킷 에러율이 발생한다.
따라서, 단말기가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 AP에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제2 패킷 에러율은 전술한 수식 1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반복하지 않는다.
단계 S184. 제2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결정한다.
제2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으면 단계 S185가 수행되고, 제2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단계 S186이 수행된다.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는 특정 요건에 따라 설정될 수 있는데, 예컨대, 5%일 수 있다.
단계 S185.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에서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power change step value)을 뺀 후, 단계 S183으로 되돌아 간다.
제2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으면,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에서 사전에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뺀 후 다시 S183 단계로 진행하여 다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은 상황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은 2 dB일 수 있다.
단계 S186.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고,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한다.
제2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모바일 단말기가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AP에 전송할 때 발생되는 제2 패킷 에러율은 이미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다.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더 감소시켜 모바일 단말기가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AP에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제2 패킷 에러율을 더 증가시키는 것을 피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전력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뺄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매번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에서 감산된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이, 예컨대 2dB와 같이 그다지 크지 않기 때문에, 모바일 단말기의 패킷 에러율은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제2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검출되면,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이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계산을 통해 구해질 수도 있고, 또는 송신 전력 관계 표의 검색을 통해 얻어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최소 송신 전력이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된다는 것이 설명의 예로서 여전히 사용된다. 송신 전력 관계 표를 검색하는 방식은 주로, 현재의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최소 송신 전력을 송신 전력 관계 표에서 검색한 후, 모바일 단말기가 최소 송신 전력에 따라 AP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모바일 단말기가 현재 AP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발생하는 패킷 에러율이 미리 설정되어있는 상한 임계치보다 크다는 것을 검출하면, 해당 모바일 단말기는 현재의 RSSI와 현재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최소 송신 전력보다 큰 송신 전력을 송신 전력 관계 표에서 검색하고, 최소 송신 전력에 인접한 송신 전력을 검색하며, 발견된 송신 전력을 모바일 단말기의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고, 모바일 단말기가 AP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발생하는 패킷 에러율이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패킷 에러율이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모바일 단말기가 AP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발생하는 패킷 에러율이 그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송신 전력 관계 표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 사용될 더 높은 송신 전력을 계속해서 검색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송신 전력 관계 표에서 현재의 RSSI 및 현재의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최소 송신 전력을 검색한 후, 최소 송신 전력에 따라 AP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가 현재 AP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발생하는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상한 임계치보다 크다고 검출하면, 모바일 단말기는 모바일 단말기가 현재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현재의 송신 전력에, 예컨대 2dB의 지정된 전력이 더해질 때마다 한 번씩 현재의 패킷 에러율이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고, 조건에 맞는 송신 전력이 구해질 때까지 지정된 전력이 모바일 단말기의 송신 전력에 추가될 때마다 이 전력이 AP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된다.
도 4의 방법의 개선된 구현예에서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더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 방법이 다음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811. 제2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제2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86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제2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단말 장치의 현재의 전송 레이트가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된다. 여기서, 이렇게 결정된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에 의해 발생하는 제2 패킷 에러율은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큰 패킷 에러율일 수 있다. 물론 이것은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과 분명 관련이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제2 패킷 에러율과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를 더 비교하여 추가 결정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는 허용 가능한 최소 패킷 에러율이어야 한다.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가 패킷 에러율보다 작으면, 정상적인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의 요건이 충족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는 10% 일 수도 있고 특정 요건에 따라 설정될 수도 있다.
제2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단계 S1822가 수행되고, 제2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단계 S1823이 수행된다.
단계 S1822.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에 가산하고, 그 결과를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한다.
모바일 단말기는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으로 시작하여 AP에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전송하고, 한번씩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에서 감산한다. 제2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이는, 하나의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이 하나 더 감산되었음을 의미하는데, 따라서,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에 가산함으로써 제2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을 것이라는 조건이 충족될 수 있다.
단계 S1823.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한다.
이 경우, 제2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을 것이라는 조건이 만족되고,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이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가 송신 전력 관계 표를 검색하여 현재의 RSSI 및 현재의 전송 레이트에 따라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신속하게 구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상이한 RSSI들 및 상이한 전송 레이트들에 대응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들을 계산하고, 이들 상이한 RSSI들 및 상이한 전송 레이트들 및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들을 송신 전력 관계 표에 저장하고, 모바일 단말기의 송신 전력 관계 표를 수립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601. 모바일 단말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에 액세스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단계 S602. 모바일 단말기가 AP에 액세스한 경우, AP가 송신하여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를 검출하고, 모바일 단말기가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검출한다.
단계 S603. 모바일 단말기가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따라 AP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최대 송신 전력을 구한다.
단계 S604. 최대 송신 전력으로 AP에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모바일 단말기를 제어한다.
단계 S605. 단말기가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AP에 전송할 때 발생되는 제3 패킷 에러율을 얻는다.
단계 S606. 제3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607. 제3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으면,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에서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빼고 S605 단계로 되돌아간다.
단계 S608. 제3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한다.
단계 S609. RSSI, 데이터 전송 레이트 및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송신 전력 관계 표에 저장한다.
도 6의 방법의 개선된 구현예에서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더욱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 방법이 다음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610. 제3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제3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611. 제3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 이상인 경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에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가산하고, 그 결과를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한다.
단계 S612. 제3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으면,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한다.
단계 S613. RSSI, 데이터 전송 레이트 및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송신 전력 관계 표에 저장한다.
송신 전력 관계 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방법에 따라 수립된다. 송신 전력 관계 표에서, 상이한 RSSI 및 상이한 전송 레이트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구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의 RSSI에 따라 그룹화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표 3에 열거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의 송신 전력 관계 표가 수립된다.
Figure pct00003
표 3의 제1 행은 모바일 단말기의 상이한 전송 레이트를 나열하고 있고, 다른 행들은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상이한 RSSI를 나열하고 있으며, 여기서 Min은 최초 RSSI 값이고, Delta는 변수를 나타낸다. 표 3의 이들 다른 행들은 위에서 아래로, 변수 Delta가 RSSI에 가산된 후에 매번 얻은 일련의 상이한 RSSI 값을 최소값부터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현재의 RSSI와 현재의 전송 레이트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가 RSSI 및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직접 계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전력 제어 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801. 모바일 단말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에 액세스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단계 S802. 모바일 단말기가 AP에 액세스한 경우, AP가 송신하여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를 검출하고, 모바일 단말기가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검출한다.
단계 S803. 모바일 단말기가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따라 AP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최대 송신 전력을 얻는다.
단계 S804. 최대 송신 전력으로 AP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모바일 단말기를 제어한다.
단계 S805. 단말기가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AP에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제4 패킷 에러율을 얻는다.
단계 S806. 제4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807. 제4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으면,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에서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뺀 후, S805 단계로 진행한다.
단계 S808. 제4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고, 이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제3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한다.
단계 S809. 제3 목표 송신 전력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가 AP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제3 목표 송신 전력으로 조정한다.
도 8의 방법의 개선된 구현예에서,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더욱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이 다음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810. 제4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제4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811. 제4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에 가산하고, 그 결과를 제3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한다.
단계 S812. 제4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제3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한다.
단계 S813. 제3 목표 송신 전력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가 AP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제3 목표 송신 전력으로 조정한다.
본 발명에 제공된 전술한 실시예들은 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해결책은 반복하여 기술되지 않으며, 관련된 특정 기술 방법들 및 단계들 사이에 상호 참조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의 적용 시나리오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가 B 지점에 있는 경우, 이 경우 휴대 전화와 AP 사이의 거리를 100m로 가정할 때, 건물과 같은 요인에 의해 AP와 모바일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통신에 간섭이 일어나는 경우를 고려해 보면, AP가 송신하고 B 지점의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한 신호의 RSSI는 상대적으로 작고, 모바일 단말기가 주어진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사용할 때 AP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비교적 높은 송신 전력이 필요하다. 도 10에서, 100은 AP를 제공하는 장치를 나타내고, 200은 휴대 전화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가 B 점에서 A 점으로 이동하면, 본 경우에는, AP에서 100m 떨어진 위치로부터 AP에서 10m 떨어진 위치로 이동하면, AP에 의해 전송되어 휴대 전화에 의해 수신되는 RSSI가 모바일 단말기가 B 지점에 있을 때보다 더 클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가 주어진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휴대 전화가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공된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을 사용하면, 휴대 전화가 최대 송신 전력으로 AP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종래 기술을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휴대 전화의 전력 손실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전력 손실이 감소하고,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수명이 연장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된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가 AP에 액세스한 것을 모니터링한 후, AP가 송신하여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한 데이터 신호의 RSSI와, 모바일 단말기가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레이트를 별도로 검출하며, 사전 수립된 송신 전력 관계 표에서 RSSI 및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검색하여 모바일 단말기가 현재 송신 전력을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고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AP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모바일 단말기는 특정 응용 환경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가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 전력을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는, 데이터가 통상적으로 고정된 송신 전력으로 AP로 전송되기 때문에 과도하게 큰 원치 않는 전력 소비가 발생하는 종래기술의 문제를 회피하며,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전력 손실을 감소시키고 모바일 장치의 배터리 수명을 더욱 효과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는 송신 전력 관계 표를 수립하기 위한 계산 과정이 더 제공되며, 모바일 단말기는 현재 환경에서 AP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신호의 RSSI 및 모바일 단말기가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레이트에 따라 현재의 최소 송신 전력과 같은 적절한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계산할 수 있고, 특정 응용 환경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가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 전력을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는 데이터가 보통 고정된 송신 전력으로 AP로 보내지기 때문에 과도하게 큰 원치 않는 전력 소비가 발생하는 종래기술의 문제를 회피하며,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전력 손실을 감소시키고 모바일 장치의 배터리 수명을 더욱 효과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게 한다.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따라, 당업자는 본 발명이 필요한 일반적인 하드웨어 플랫폼과 함께 소프트웨어를 사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으며, 물론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는데, 전자가 대부분의 경우에 바람직한 구현임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 또는 종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이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음)로 하여금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술된 방법의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몇 가지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ROM,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의 구현 중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송신 전력 제어 장치를 더 제공한다. 이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 내에 위치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장치는 제1 모니터링 유닛(10), 제1 RSSI 검출 유닛(20), 제1 데이터 전송 레이트 검출 유닛(30), 관계 표 획득 유닛(40), 검색 유닛(50) 및 제1 송신 전력 조정 유닛(60)을 포함한다.
제1 모니터링 유닛(10)은 모바일 단말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에 액세스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제1 RSSI 검출 유닛(20)는 모바일 단말기가 AP에 액세스한 경우, AP가 송신하여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를 검출한다.
제1 데이터 전송 레이트 검출 유닛(30)은 모바일 단말기가 AP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관계 표 획득 유닛(40)은 사전 수립된 송신 전력 관계 표를 구하도록 구성되며, 송신 전력 관계 표에서, 동일한 RSSI의 경우, 각각의 데이터 전송 레이트는 하나의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에 대응한다.
검색 유닛(50)은 송신 전력 관계 표에서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검색하고,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제1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제1 송신 전력 조정 유닛(60)은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제1 목표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11에 기초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송신 전력 제어 장치는 제1 패킷 에러율 획득 유닛(71), 제1 패킷 에러율 판정 유닛(72),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 계산 유닛(73) 및 제2 송신 전력 조정 유닛 유닛(7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킷 에러율 획득 유닛(71)은 모바일 단말기가 제1 목표 송신 전력으로 AP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제1 패킷 에러율을 구하도록 구성된다.
제1 패킷 에러율 판정 유닛(72)은 제1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상한 임계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사전 송신 전력 계산 유닛(73)은, 제1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상한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제2 송신 전력 조정 유닛(74)은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제1 목표 송신 전력으로부터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여 모바일 단말기가 제2 목표송신 전력에 따라 AP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도 12에 기초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송신 전력 제어 장치는 업데이트 유닛(7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업데이트 유닛(75)은 송신 전력 관계 표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다.
도 12에 기초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송신 전력 제어 장치의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 계산 유닛(73)은 최대 송신 전력 획득 모듈(731), 송신 전력 조정 모듈(732), 전력 프로브 프레임 전송 모듈(733), 제2 패킷 에러율 획득 모듈(734), 제2 패킷 에러율 판정 모듈(735), 제1 현재의 송신 전력 계산 모듈(736) 및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 결정 모듈(737)을 포함한다.
최대 송신 전력 획득 유닛(731)은 모바일 단말기가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따라 AP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최대 송신 전력을 구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전력 조정 모듈(732)은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최대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전력 프로브 프레임 전송 모듈(733)은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AP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2 패킷 에러율 획득 모듈(734)은 단말기가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 파워 프로브 프레임을 AP로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제2 패킷 에러율을 구하도록 구성된다.
제2 패킷 에러율 판정 모듈(735)은 제2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제1 현재의 송신 전력 계산 모듈(736)은 제2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감산하도록 구성된다.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 결정 모듈(737)은, 제2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터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고,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14에 기초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송신 전력 제어 장치는 제2 현재의 송신 전력 계산 모듈(738) 및 제2 목표 송신 전력 결정 모듈(73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패킷 에러율 판정 모듈(735)은 제2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제2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2 현재의 송신 전력 계산 모듈(738)은 제2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에 가산하고, 그 결과를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제2 목표 송신 전력 결정 모듈(739)은 제2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송신 전력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 내에 위치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장치는 제2 모니터링 유닛(80), 제2 RSSI 검출 유닛(81),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 검출 유닛(82), 제1 최대 송신 전력 획득 유닛(83), 전력 프로브 프레임 전송 유닛(84), 제3 패킷 에러율 획득 유닛(85), 제3 패킷 에러율 판정 유닛(86), 제1 현재의 송신 전력 계산 유닛(87), 현재의 송신 전력 결정 유닛(88) 및 제1 저장 유닛(89)을 포함한다.
제2 모니터링 유닛(80)은 모바일 단말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에 액세스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제2 RSSI 검출 유닛(81)은 모바일 단말기가 AP에 액세스한 경우, AP가 송신하여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를 검출한다.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 검출 유닛(82)은 모바일 단말기가 AP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제1 최대 송신 전력 획득 유닛(83)은 모바일 단말기가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따라 AP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최대 송신 전력을 구하도록 구성된다.
전력 프로브 프레임 전송 유닛(84)은 최대 송신 전력으로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AP로 전송하도록 모바일 단말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3 패킷 에러율 획득 유닛(85)은 단말기가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 파워 프로브 프레임을 AP로 전송할 때 발생되는 제3 패킷 에러율을 구하도록 구성된다.
제3 패킷 에러율 판정 유닛(86)은 제3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제1 현재의 송신 전력 계산 유닛(87)은 제3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으면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에서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빼도록 구성된다.
현재의 송신 전력 결정 유닛(88)은, 제3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일 때,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1 저장 유닛(89)은 RSSI, 데이터 전송 레이트 및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송신 전력 관계 표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도 16에 기초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송신 전력 제어 장치는 제2 현재의 송신 전력 계산 유닛(91), 제1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 결정 유닛(92) 및 제2 저장 유닛(9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패킷 에러율 판정 유닛(86)은 또한, 제3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제3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제2 현재의 송신 전력 계산 유닛(91)은, 제3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 이상일 때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에 가산하고, 그 결과를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 결정 유닛(92)은, 제3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2 저장 유닛(93)은 RSSI, 데이터 전송 레이트 및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송신 전력 관계 표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송신 전력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 내에 위치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에 액세스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제3 모니터링 유닛(101), 모바일 단말기가 AP에 액세스한 경우, AP가 송신하여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3 RSSI 검출 유닛(102), 모바일 단말기가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3 데이터 전송 레이트 검출 유닛(103),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가 AP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최대 송신 전력을 구하도록 구성된 제2 최대 송신 전력 획득 유닛(104), 최대 송신 전력으로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모바일 단말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송신 유닛(105), 단말기가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AP로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제4 패킷 에러율을 구하도록 구성된 제4 패킷 에러율 획득 유닛(106), 제4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은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4 패킷 에러율 판정 유닛(107), 제4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감산하도록 구성된 제3 현재의 송신 전력 계산 유닛(108), 제4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RSSI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고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제3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는 제2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 결정 유닛(109), 및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제3 목표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 제3 목표 송신 전력 조정 유닛(110)을 포함한다.
도 18에 기초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송신 전력 제어 장치는 제4 현재의 송신 전력 계산 유닛(111) 및 제3 목표 송신 전력 결정 유닛(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패킷 에러율 판정 유닛(107)은 또한, 제4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제4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제4 현재의 송신 전력 계산 유닛(111)은 제4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 이상일 때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에 가산하고 그 결과를 제3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제3 목표 송신 전력 결정 유닛(112)은, 제4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제3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제3 목표 송신 전력 조정 유닛(110)은 또한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제3 목표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장치에 대해, 각 모듈에 의한 동작을 실행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그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당업자는 명세서를 검토하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을 실시해 보면 본 발명의 다른 구현 해결책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은 본 발명의 임의의 변형, 기능 또는 적응적인 변경을 모두 포함하고자 한다. 이러한 변형, 기능 또는 적응적인 변경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를 따르며, 본 발명에 개시되지 않은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 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적 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서 간주되며, 본 발명의 실제 범위 및 사상은 이하의 청구 범위에서 언급한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그리고 첨부 도면에 도시된 정확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8)

  1. 모바일 단말기에 이용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에 액세스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에 액세스한 경우, 상기 AP가 송신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를 검출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검출하는 단계와,
    사전 수립된 송신 전력 관계 표를 구하는 단계 - 상기 송신 전력 관계 표에서, 동일한 RSSI의 경우, 각각의 데이터 전송 레이트는 사전 설정된 하나의 송신 전력에 대응함 - 와,
    상기 송신 전력 관계 표에서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검색하고, 상기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제1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1 목표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제1 목표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1 목표 송신 전력으로 데이터를 상기 AP로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제1 패킷 에러율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상한 임계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상한 임계치보다 더 큰 경우,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2 목표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제1 목표 송신 전력으로부터 상기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 관계 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는 단계는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최대 송신 전력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최대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고, 전력 프로브 프레임(power probe frame)을 상기 AP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제2 패킷 에러율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전력 변화 스텝 값을 감산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제2 패킷 에러율을 구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고, 상기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상기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preset attenuation stop threshold)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에 가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6. 모바일 단말기에 이용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에 액세스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에 액세스한 경우, 상기 AP가 송신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하는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를 검출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최대 송신 전력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최대 송신 전력으로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제3 패킷 에러율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제3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3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전력 변화 스텝 값을 감산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제3 패킷 에러율을 구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3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RSSI,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및 상기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송신 전력 관계 표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3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3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에 상기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가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상기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3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상기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RSSI,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및 상기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상기 송신 전력 관계 표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8. 모바일 단말기에 이용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에 액세스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에 액세스한 경우, 상기 AP가 송신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하는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를 검출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최대 송신 전력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최대 송신 전력으로 데이터를 상기 AP로 전송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제4 패킷 에러율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제4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4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전력 변화 스텝 값을 감산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제4 패킷 에러율을 구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4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고, 상기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제3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3 목표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제3 목표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4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4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에 가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3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4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제3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3 목표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제3 목표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10. 모바일 단말기에 이용되는 송신 전력 제어 장치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에 액세스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제1 모니터링 유닛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에 액세스한 경우, 상기 AP가 송신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1 RSSI 검출 유닛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1 데이터 전송 레이트 검출 유닛과,
    사전 수립된 송신 전력 관계 표를 구하도록 구성된 관계 표 획득 유닛 - 상기 송신 전력 관계 표에서, 동일한 RSSI의 경우, 각각의 데이터 전송 레이트는 하나의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에 대응함 - 과,
    상기 송신 전력 관계 표에서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검색하고 상기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제1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된 검색 유닛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제1 목표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 제1 송신 전력 조정 유닛을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1 목표 송신 전력으로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제1 패킷 에러율을 구하도록 구성된 제1 패킷 에러율 획득 유닛과,
    상기 제1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상한 임계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1 패킷 에러율 판정 유닛과,
    상기 제1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상한 임계치보다 큰 경우,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된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 계산 유닛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제2 목표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AP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제1 목표 송신 전력으로부터 상기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 제2 송신 전력 조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 관계 표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 업데이트 유닛을 더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 계산 유닛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따라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최대 송신 전력을 구하도록 구성된 최대 송신 전력 획득 모듈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최대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 송신 전력 조정 모듈과,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력 프로브 프레임 전송 모듈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제2 패킷 에러율을 구하도록 구성된 제2 패킷 에러율 획득 모듈과,
    상기 제2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2 패킷 에러율 판정 모듈과,
    상기 제2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감산하도록 구성된 제1 현재의 송신 전력 계산 모듈과,
    상기 제2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고 상기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상기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된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 결정 모듈을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제2 현재의 송신 전력 계산 모듈 및 제2 목표 송신 전력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패킷 에러율 판정 모듈은 또한, 상기 제2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현재의 송신 전력 계산 모듈은, 상기 제2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에 가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목표 송신 전력 결정 모듈은, 상기 제2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제2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전력 제어 장치.
  15. 모바일 단말기에 이용되는 송신 전력 제어 장치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에 액세스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제2 모니터링 유닛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에 액세스한 경우, 상기 AP가 송신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하는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2 RSSI 검출 유닛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 검출 유닛과,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최대 송신 전력을 구하도록 구성된 제1 최대 송신 전력 획득 유닛과,
    상기 최대 송신 전력으로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전력 프로브 프레임 전송 유닛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 상기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제3 패킷 에러율을 구하도록 구성된 제3 패킷 에러율 획득 유닛과,
    상기 제3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3 패킷 에러율 판정 유닛과,
    상기 제3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감산하도록 구성된 제1 현재의 송신 전력 계산 유닛과,
    상기 제3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는 현재의 송신 전력 결정 유닛과,
    상기 RSSI,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및 상기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송신 전력 관계 표에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1 저장 유닛을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제2 현재의 송신 전력 계산 유닛, 제1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 결정 유닛, 및 제2 저장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패킷 에러율 판정 유닛은 또한, 상기 제3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3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현재의 송신 전력 계산 유닛은, 상기 제3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에 상기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가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 결정 유닛은, 상기 제3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저장 유닛은 상기 RSSI,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및 상기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상기 송신 전력 관계 표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전력 제어 장치.
  17. 모바일 단말기에 이용되는 송신 전력 제어 장치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에 액세스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제3 모니터링 유닛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에 액세스한 경우, 상기 AP가 송신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 지표(RSSI)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3 RSSI 검출 유닛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3 데이터 전송 레이트 검출 유닛과,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AP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최대 송신 전력을 구하도록 구성된 제2 최대 송신 전력 획득 유닛과,
    상기 최대 송신 전력으로 상기 AP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송신 유닛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 전력 프로브 프레임을 상기 AP에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제4 패킷 에러율을 구하도록 구성된 제4 패킷 에러율 획득 유닛과,
    상기 제4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4 패킷 에러율 판정 유닛과,
    상기 제4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감산하도록 구성된 제3 현재의 송신 전력 계산 유닛과,
    상기 제4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RSSI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모두에 대응하는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으로 결정하고 상기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을 제3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된 제2 사전 설정된 송신 전력 결정 유닛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제3 목표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 제3 목표 송신 전력 조정 유닛을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제4 현재의 송신 전력 계산 유닛 및 제3 목표 송신 전력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패킷 에러율 판정 유닛은, 상기 제4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트리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4 패킷 에러율이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4 현재의 송신 전력 계산 유닛은, 상기 제4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사전 설정된 전력 변경 스텝 값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에 가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3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3 목표 송신 전력 결정 유닛은, 상기 제4 패킷 에러율이 상기 사전 설정된 감쇠 정지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제3 목표 송신 전력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목표 송신 전력 조정 유닛은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의 송신 전력을 상기 제3 목표 송신 전력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전력 제어 장치.
KR1020187005763A 2015-09-21 2015-09-21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027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5/090086 WO2017049427A1 (zh) 2015-09-21 2015-09-21 发射功率控制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599A true KR20180034599A (ko) 2018-04-04
KR102027713B1 KR102027713B1 (ko) 2019-10-01

Family

ID=58385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5763A KR102027713B1 (ko) 2015-09-21 2015-09-21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92149B2 (ko)
EP (1) EP3322225B1 (ko)
JP (1) JP6553288B2 (ko)
KR (1) KR102027713B1 (ko)
CN (1) CN106576305B (ko)
WO (1) WO20170494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12062A (zh) * 2017-12-19 2018-06-01 中山大学花都产业科技研究院 LoRaWAN自适应功率和速率结合的低功耗控制方法
CN108205130B (zh) * 2017-12-22 2021-11-30 重庆物奇科技有限公司 深度传感器、探测系统及传感器的发射功率的控制方法
CN110351820A (zh) * 2018-04-02 2019-10-18 天擎积体电路股份有限公司 能自动调整发射功率的无线传输系统
US20190357150A1 (en) * 2018-05-17 2019-11-21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power configuration
CN110719626A (zh) * 2018-07-12 2020-01-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WiFi发射功率控制方法、装置、电路及计算机存储介质
CN109041192B (zh) * 2018-07-12 2021-02-09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基于室内相对定位的无线局域网射频功率控制方法
CN109219123B (zh) * 2018-09-30 2021-10-22 锐捷网络股份有限公司 一种调整发射功率的方法和无线接入点ap
CN109544744A (zh) * 2018-11-20 2019-03-29 北京千丁互联科技有限公司 智能门锁通信系统及方法
CN111343673B (zh) * 2018-12-18 2023-01-06 华为技术有限公司 确定发射参数的方法和无线设备
CN109640484B (zh) * 2018-12-26 2021-09-28 合肥大明智联科技股份有限公司 单灯控制器
CN110856245B (zh) * 2019-11-15 2022-12-09 普联技术有限公司 网络信号的功率强度设定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10996382B (zh) * 2019-11-21 2023-04-07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功率调整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1465090B (zh) * 2020-02-27 2023-01-24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无线数据发送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
CN111642000B (zh) * 2020-05-27 2021-11-05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918351B (zh) * 2020-07-31 2023-04-28 展讯半导体(成都)有限公司 一种网络参数调整的方法及装置
CN111970067B (zh) * 2020-08-26 2022-08-12 炬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校准输出功率的方法和装置
US11751056B2 (en) 2020-08-31 2023-09-05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5G user equipment (UE) historical mobility tracking and security screening using mobility patterns
US11832172B2 (en) 2020-09-25 2023-11-28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mitigating spoofing attacks on security edge protection proxy (SEPP) inter-public land mobile network (inter-PLMN) forwarding interface
US11825310B2 (en) 2020-09-25 2023-11-21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mitigating 5G roaming spoofing attacks
US11622255B2 (en) 2020-10-21 2023-04-04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validating a 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registration request
CN112272402A (zh) * 2020-10-28 2021-01-26 安徽理工大学 一种LoRa发射功率参数自动判断调节的方法
CN112305377A (zh) * 2020-10-29 2021-02-02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南宁供电局 输电线路监测方法、装置和系统
US11528251B2 (en) * 2020-11-06 2022-12-13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ingress message rate limiting
US11770694B2 (en) 2020-11-16 2023-09-26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validating location update messages
US11818570B2 (en) 2020-12-15 2023-11-14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message validation in fifth generation (5G) communications networks
US11812271B2 (en) 2020-12-17 2023-11-07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mitigating 5G roaming attacks for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based on expected user equipment (UE) behavior patterns
US11700510B2 (en) 2021-02-12 2023-07-11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short message delivery status report validation
CN113194527B (zh) * 2021-04-28 2023-01-20 潍坊歌尔电子有限公司 Wifi设备及其发射功率调节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689912B2 (en) 2021-05-12 2023-06-27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conducting a velocity check for outbound subscribers roaming to neighboring countries
CN113543295B (zh) * 2021-06-28 2023-11-07 山东省计算中心(国家超级计算济南中心) 基于声波通讯的数据传输方法及系统
CN113923765A (zh) * 2021-09-08 2022-01-11 北京维普无限智能技术有限公司 无线发射功率的调整方法及装置
CN114040484B (zh) * 2021-12-01 2024-05-07 深圳市远飞网络科技有限公司 动态调节无线ap发射功率及能耗控制系统
CN114268822A (zh) * 2021-12-13 2022-04-01 青岛智动精工电子有限公司 控制设备、显示设备及信息发送方法和信息接收方法
CN117528746A (zh) * 2022-07-29 2024-02-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发射功率调整方法、装置、芯片、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5742A (ja) * 2004-12-03 2006-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及び送信出力制御方法
US20130039212A1 (en) * 2011-08-08 2013-02-14 Chien-Yen Li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wireless device
CN103415066A (zh) * 2013-08-12 2013-11-27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wifi发射功率的调整方法和终端
US20150098377A1 (en) * 2013-10-09 2015-04-09 Netgear, Inc. Wireless router or residential gateway capable of distinguishing power-sensitive wireless sensors and providing separate treatment theret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1631B2 (ja) * 2006-03-15 2012-06-13 フリースケール セミコンダクタ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wlan)半導体チップの向上した転送速度適応と低電力制御のための最適化方法、wlanデバイス、および通信デバイス
CN101765195B (zh) 2008-12-25 2013-01-30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发射功率控制方法与系统
CN101951671B (zh) * 2010-08-25 2013-01-16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无线网络连接方法、装置及终端
CN101977097B (zh) * 2010-11-18 2012-12-19 天津大学 远距离WiFi链路的自适应速率和功率联合调整方法
TWI435320B (zh) * 2011-07-01 2014-04-21 Wistron Corp 電子裝置及其運作方法
CN104301982B (zh) * 2013-07-19 2019-07-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自适应可控功率式wifi调整方法及装置
CN103546952B (zh) 2013-11-05 2017-01-18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功率控制方法及装置
CN104717726A (zh) * 2013-12-17 2015-06-1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无线通信装置
CN105900497B (zh) 2014-02-10 2019-08-09 英特尔Ip公司 用于改进的飞行时间性能的传输功率控制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5742A (ja) * 2004-12-03 2006-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及び送信出力制御方法
US20130039212A1 (en) * 2011-08-08 2013-02-14 Chien-Yen Li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wireless device
CN103415066A (zh) * 2013-08-12 2013-11-27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wifi发射功率的调整方法和终端
US20150098377A1 (en) * 2013-10-09 2015-04-09 Netgear, Inc. Wireless router or residential gateway capable of distinguishing power-sensitive wireless sensors and providing separate treatment there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49427A1 (zh) 2017-03-30
EP3322225B1 (en) 2023-03-22
US10492149B2 (en) 2019-11-26
US20180270765A1 (en) 2018-09-20
EP3322225A1 (en) 2018-05-16
EP3322225A4 (en) 2018-08-08
JP6553288B2 (ja) 2019-07-31
KR102027713B1 (ko) 2019-10-01
CN106576305B (zh) 2020-12-22
JP2018526935A (ja) 2018-09-13
CN106576305A (zh) 201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713B1 (ko)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896531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signal transmission, and terminal
US946791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adio link imbalance compensation
US8478329B2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and its control program
JP2013017189A (ja) ワイヤレス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仮想雑音指数を使用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A2901095C (en) Mitigating interference with wireless communications
WO2012002851A1 (en) Uplink switched antenna transmit d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JP2013529397A (ja) アップリンクのアンテナ送信ダイバーシティを行う方法および装置
TW201404216A (zh) 用於增強之傳輸功率控制之方法及裝置
KR10159323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397985B1 (ko)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EP4195571A1 (en) Srs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11202265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8588783B2 (en) Power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during hand-over
JP5651497B2 (ja) 閾値算出装置及び閾値算出プログラム
US9756577B2 (en) Method for defining parameter values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a piece of user equipment
US11405872B1 (en) Managing uplink connectivity in high noise environments
US20240147528A1 (en) Managing listen before talk
US1144545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imiting device transmit power
JP531681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通信装置および送信電力制御方法
JP4539436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通信端末、および送信電力制御方法
CN116193554A (zh) 功率控制方法、装置及相关设备
Song et al. Interactive admission and power control protocol for cooperative spectrum underlay in distributed cognitive radio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