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4187A -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 은행잎 성분을 함유하는 녹생토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 은행잎 성분을 함유하는 녹생토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4187A
KR20180034187A KR1020170052098A KR20170052098A KR20180034187A KR 20180034187 A KR20180034187 A KR 20180034187A KR 1020170052098 A KR1020170052098 A KR 1020170052098A KR 20170052098 A KR20170052098 A KR 20170052098A KR 20180034187 A KR20180034187 A KR 20180034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soil
air
ginkgo leaf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9626B1 (ko
Inventor
권오준
Original Assignee
(주)도시와 나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시와 나무 filed Critical (주)도시와 나무
Publication of KR20180034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4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4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from human faecal ma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하여, 하수슬러지를 녹생토로 재활용하면서도, 미생물 배양액에 의하여 완전 발효시켜 토양 속에서 후속 발효로 발아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고, 은행잎 성분으로 토양 속에 있는 벌레의 유충, 식물에 기생하는 곰팡이, 바이러스 등을 죽이거나 억제시켜 발아 후 생육을 증대시킬 수 있어 녹화용 등에 사용될 수 있는 녹생토 및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 은행잎 성분을 함유하는 녹생토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 시공방법{VEGETATIVE SOIL PRODUCED BY RECYCLING SYSTEM OF ORGANIC WASTE AND CONSTRUCTION METHOD OF INCLINED PLAN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녹생토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 은행잎 성분을 함유하는 녹생토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토목공사 등으로 노출된 절개지의 경사면은 주로 암반이거나 척박한 토양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단시간에 자연 식생에 의한 복구는 거의 불가능하다.
이에 인위적인 인공토양에 의한 식생 복구가 필요함에 따라, 녹생토에 관하여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그 중에서 한국 등록특허 제10-1572110호 및 제10-1205575호 등이 있다.
전자는 제지슬러지와 마사토를 포함하는 거름에 왕겨와 참숯가루를 첨가한 식생토를 개시하고 있으며, 후자는 축산 및 음식 폐기물 발효 퇴비에 마사토와 톱밥 등을 포함하는 녹생토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자에서 참숯가루로 거름에 존재하는 유해미생물 제거효과는 미미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축산 및 음식 폐기물이 완전 발효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면, 발효되면서 내는 열로 씨앗의 발아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생활, 환경폐기물이나 산업폐기물 속에 들어있는 유기성 폐기물은 대부분 호기성 발효를 통해 유기질 비료나 녹생토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되는데, 호기성 발효를 위해서는 녹생토 등의 생산시설에 공기(산소)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53428호에서는 발효처리시설의 콘크리트 바닥에 소정의 깊이로 급기관을 매립하고, 급기관의 상부에 복수 개의 급기구를 콘크리트 바닥에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는 복수 개의 급기구를 급기관에 맞추어 콘크리트 바닥에 형성하여야 하므로 시공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발효과정에서 발생하는 침출수는 급기구를 통해 급기관으로 유도하여 외부로 돌출된 말단의 개폐캡을 통해 시설물 밖으로 배수하는 것이어서 이로 인한 주변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점 등이 있다.
또한, 유기성 폐기물을 발효하며 퇴비화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특허 제10-1289539호에서는 악취가스가 통과하는 통로를 벤츄리관으로 구비한 이산화염소 혼화장치, 이온교환 스크러버 및 재생액 저장탱크로 구성된 이산화염소와 이온교환섬유를 이용한 탈취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두 번째 특허는 단순 벤츄리관을 통과하며 이산화염소가 악취가스와 강제접촉되는 것이어서 서로 제대로 교반되어 반응되기 어렵고, 이산화염소 혼화장치뿐만 아니라 이온교환 스크러버 및 재생액 저장탱크를 별도 구비해야 하므로, 시설비 및 운영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하여, 하수슬러지를 녹생토로 재활용하면서도, 미생물 배양액에 의하여 완전 발효시켜 토양 속에서 후속 발효로 발아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고, 은행잎 성분으로 토양 속에 있는 벌레의 유충, 식물에 기생하는 곰팡이, 바이러스 등을 죽이거나 억제시켜 발아 후 생육을 증대시킬 수 있음으로써, 녹화용 등에 사용될 수 있는 녹생토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 은행잎 성분을 함유하는 녹생토는 숙성동, 교반동 및 포장동으로 나누어진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 녹생토에 있어서, 상기 숙성동 및 상기 교반동은 각각 바닥, 측벽 및 지붕으로 둘러싸인 독립적인 폐쇄공간에 공기주입장치, 악취저감장치 및 하나 이상의 발효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기주입장치는 상기 발효조의 바닥에 일정 간격으로 소정의 깊이, 폭과 길이를 갖도록 파지고 길이방향으로 상부가 개방된 복수 개의 장 홈; 상기 복수 개의 장 홈에 각각 배치되어 측면에 형성된 기공이 노출되고 발효조의 바닥을 관통하여 상기 숙성동 또는 상기 교반동의 외부로 돌출된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 상기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을 상기 숙성동 또는 상기 교반동의 외부에서 연결하여 공기를 분배하는 공기 분배관; 및 상기 공기 분배관의 일단에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주입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고, 상기 숙성동 및 상기 교반동의 각 지붕 내측에는 복수 개의 노즐이 상기 발효조를 향하여 구비된 미생물 배양액 주입관이 설치되고, 상기 녹생토의 조성물은 펄프(제지) 슬러지, 마사토, 하수 슬러지, 파쇄목, 유기질퇴비, 은행잎 및 미생물 배양액을 포함하되, 상기 펄프(제지) 슬러지는 20~30중량%, 상기 마사토는 20~30중량%, 상기 하수 슬러지는 15~20중량%, 상기 파쇄목은 10~15중량%, 상기 유기질퇴비는 10~15중량%, 상기 은행잎은 4~10중량%, 상기 미생물 배양액은 1~5중량%를 포함하여 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 홈의 깊이는 상기 공기 공급관의 외경보다 3.5/3~4/3배 크고, 상기 장 홈의 폭은 상기 공기 공급관의 외경보다 4/3~5/3배 크고, 상기 장 홈의 길이는 상기 발효조의 측벽 중 나란한 측벽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공기 분배관은 상기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보다 일정 높이로 높은 위치에서 연결된 것이고, 상기 복수 개의 장 홈에는 각각 두께 1~2mm 인 'ㄷ' 형으로 절곡된 금속판이 장 홈의 양 측면과 바닥면에 밀착 부착되고, 상기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은 각각 상기 절곡된 금속판 안에 배치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 은행잎 성분을 함유하는 녹생토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악취저감장치는 상기 지붕의 악취배출구에 체결되어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가스배출관; 상기 가스배출관의 전방 내측에 체결된 분사노즐을 통해 이산화염소를 공급하는 이산화염소 생성장치; 상기 가스배출관의 후방에 체결된 배기장치; 및 상기 가스배출관 내에 상기 분사노즐과 상기 배기장치 사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라인 믹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 은행잎 성분을 함유하는 녹생토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붕에는 내측으로 가스 감지센서로 더 구비되고, 상기 배기장치는 상기 가스 감지센서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공기 주입기는 상기 배기장치와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라인 믹서는 상기 가스배출관의 내에 흐르는 혼합 가스가 1/2로 양분되어 180도로 회전하며 통과하도록 하는 180도 비틀린 꽈배기 판이 90도 틀어지며 복수 개 직렬로 연결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 은행잎 성분을 함유하는 녹생토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생물 배양액 주입관에 공급되어 상기 녹생토의 조성물을 이루는 미생물 배양액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와 아스퍼질러스 오리지에(Aspergillus oryzae)가 각각 1x106~7cfu/g이 포함된 유용미생물 분말을 물에 400~600배 희석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 은행잎 성분을 함유하는 녹생토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숙성동은 1개 준비조와 3개 이상의 발효조가 길이 방향과 수직이게 서로 마주보며 같은 크기로 2열로 대칭되게 구획되고, 상기 교반동은 1개 이상의 발효조가 길이 방향으로 구획되고, 상기 교반동의 발효조 양 측벽 상부에는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레일에는 전후 이송 장치가 체결되고, 상기 전후 이송 장치에는 소정의 프레임에 교반용 팔의 상하 이동 및 회전 수단이 구비된 교반 장치가 체결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 은행잎 성분을 함유하는 녹생토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후 이송 장치는 상기 레일에 체결되는 전후 좌우 4개의 이송용 바퀴; 상기 이송용 바퀴 중 전후 각각에 좌우 바퀴에 체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 1, 2 구동축; 및 상기 제 1, 2 구동축의 각각에 연결된 제 1, 2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 은행잎 성분을 함유하는 녹생토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용 팔의 상하 이동 및 회전 수단은 상기 레일과 수직이게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힌지 축; 상기 힌지 축에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지지용 팔; 상기 지지용 팔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체결된 제 3 구동축; 상기 제 3 구동축에 나선형으로 부착된 복수 개의 교반용 팔; 상기 교반용 팔의 각 끝단에 부착된 교반 돌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용 팔의 일측으로 연장된 보조 팔의 끝단에 체결된 상하운동 구동부; 및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제 3 구동축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 은행잎 성분을 함유하는 녹생토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장동은 적재실과 포장실로 구획되고, 상기 적재실과 포장실의 분리 측벽 중 일부 바닥 아래에는 소정의 포집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포집 공간에는 원료를 받아 상기 포장실로 이송시키는 제 1 컨베이어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컨베이어 상부에는 자석선별기가, 끝단에는 분쇄기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분쇄기는 제 2 컨베이어를 사이에 두고 선별기로 연결되고, 상기 선별기의 전방에는 제 3 컨베이어가, 상기 선별기의 밑에는 제 4 컨베이어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 4 컨베이어의 양측은 제 5, 6 컨베이어를 통해 유기질비료용 분배기와 녹생토용 분배기로 각각 연결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 은행잎 성분을 함유하는 녹생토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경사 사면 녹화용 녹생토의 시공방법은 상기 녹생토를 살포하고자 하는 표면에 고압으로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하여, 하수슬러지를 녹생토로 재활용하면서도, 미생물 배양액에 의하여 완전 발효시켜 토양 속에서 후속 발효로 발아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고, 은행잎 성분으로 토양 속에 있는 벌레의 유충, 식물에 기생하는 곰팡이, 바이러스 등을 죽이거나 억제시켜 발아 후 생육을 증대시킬 수 있어 녹화용 등에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녹생토 생산시스템에 있어 숙성동의 일 실시 예에 대한 평면 배치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 숙성동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구조를 보여준다.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 숙성동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구조를 보여준다.
도 5는 도 4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녹생토 생산시스템에 있어 교반동의 일 실시 예에 대한 평면 배치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6의 DD'선 단면도로 교반동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구조를 보여준다.
도 8은 도 7에서 교반용 팔의 상하 이동 및 회전 수단이 구비된 교반 장치의 구조 및 동작관계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유기질비료 및 녹생토 생산시스템에 있어 포장동의 일 실시 예에 대한 측면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은행잎을 첨가하지 않은 녹생토의 비교 예와 본 발명에 의한 은행잎을 첨가한 녹생토의 실시 예에 의한 법면 녹화 대비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은행잎 성분을 함유하는 녹생토는, 도 1, 도 6 및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숙성동(100), 교반동(120) 및 포장동(140, 200)으로 나누어진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다.
상기 숙성동(100) 및 상기 교반동(120)은, 도 2 및 도 7과 같이, 각각 바닥(1), 측벽(2) 및 지붕(3)으로 둘러싸인 독립적인 폐쇄공간에 공기주입장치(20), 악취저감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발효조(4, 5; 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주입장치는, 도 1과 도 2 및 도 6과 도 7에 공통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발효조(4, 5; 6)의 바닥(1)에 일정 간격으로 소정의 깊이, 폭과 길이를 갖도록 파지고 길이방향으로 상부가 개방된 복수 개의 장 홈(10); 상기 복수 개의 장 홈에 각각 배치되어 측면에 형성된 기공(26)이 노출되고 발효조의 바닥을 관통하여 상기 숙성동(100) 또는 상기 교반동(120)의 외부로 돌출된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24); 상기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24)을 상기 숙성동(100) 또는 상기 교반동(120)의 외부에서 연결하여 공기를 분배하는 공기 분배관(22); 및 상기 공기 분배관(22)의 일단에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주입기(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장 홈(10)은 도랑(trench) 형상으로 시멘트 바닥(1)에 시멘트 양성시 형성할 수 있는데, 각각 발효조(4, 5; 6))의 측벽 중 나란한 측벽의 길이보다 작고, 장 홈(10)의 깊이는 공기 공급관(24)의 외경보다 3.5/3~4/3배 크고, 장 홈(10)의 폭은 공기 공급관(24)의 외경보다 4/3~5/3배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퇴적물에서 생긴 침출수를 장 홈(10)에 저장하도록 하고, 공기 주입기(21)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가 장 홈(10) 및 공기 공급관(24) 내로 스며든 침출수를 복수 개의 기공(26)을 통해 장 홈(10)에 밖으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며, 이때, 장 홈(10)에 들어온 왕겨와 같은 미세 퇴적물(S)도 침출수와 함께 장 홈(10)에서 배출되어 퇴적물(S)의 하부로 뿌려지게 된다.
복수 개의 기공(26)은 공기 공급관(24)의 전 측면을 돌아가며 불규칙하게 형성될 수 있고, 미세 퇴적물(S)이 기공(26) 내로 들어가지 않도록 1~3mm의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장 홈(10)의 깊이가 공기 공급관(24)의 외경보다 3.5/3배 미만이면 중장비 등이 지날 때 공기 공급관(24)이 파손될 우려가 있고, 그렇다고 4/3배 초과하면 장 홈(10) 안으로 미세 퇴적물(S)이 많이 쌓이게 되어 공기 주입기(21)의 압축공기만으로 장 홈(10) 안으로 들어온 침출수와 미세 퇴적물(S)을 장 홈(10) 밖으로 배출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장 홈(10)의 폭도 공기 공급관(24)의 외경보다 4/3배 미만이면 장 홈(10)에 충분한 침출수를 저장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장 홈(10)의 측벽과 공기 공급관(24)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장 홈(10) 밑으로 들어온 미세 퇴적물(S)을 기공(26)을 통한 압축공기로 원활히 장 홈(10) 밖으로 배출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 장 홈(10)의 깊이는 8cm, 폭은 10cm로 하고, 공기 공급관(24)의 외경은 6cm로 하여, 공기 공급관(24)이 장 홈(10)의 바닥 가운데 위치한 상태에서 공기 공급관(24)의 위와 좌우로 각각 2cm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복수 개의 장 홈(10)에는, 도 3과 같이, 각각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두께 1~2mm 인 'ㄷ' 형으로 절곡된 금속판(12)이 장 홈(10)의 양 측면과 바닥면에 밀착 부착되고, 절곡된 금속판(12) 안에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24)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시멘트 바닥(1)에 복수 개의 장 홈(10) 형성시 시멘트 양성 과정에서 'ㄷ' 형으로 절곡된 복수 개의 금속판(12)을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며 삽입하면 되므로, 시공이 용이하고, 장 홈(10)을 통한 침출수 누수 문제는 물론 중장비 등의 이동에 의한 장 홈(10)이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공기 분배관(22)은, 도 2와 같이,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24)보다 일정 높이로 높은 위치에서 연결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함으로써, 공기 공급관(24) 내로 스며든 침출수가 공기 분배관(22)으로 흘러나오지 않게 된다.
다음, 상기 발효조(4, 5; 6)를 폐쇄공간으로 둘러싸는 숙성동(100)과 교반동(120), 그리고 포장동 적재실(140)의 각 지붕(3)에는 악취저감장치(110)가 연결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악취저감장치(110)를 통해 발효조에서 나온 침출수를 증발시켜 악취가스와 함께 외부로 내보내게 되어 침출수 배출로 인한 주변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악취저감장치(110)는 상기 지붕(3)의 악취배출구(3a)에 체결되어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가스배출관(40); 상기 가스배출관의 전방(42) 내측에 체결된 분사노즐(54)을 통해 이산화염소(ClO2)를 공급하는 이산화염소 생성장치(50); 상기 가스배출관의 후방(46)에 체결된 배기장치(60); 및 상기 가스배출관 내에 상기 분사노즐(54)과 상기 배기장치(60) 사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라인 믹서(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숙성동(100)과 교반동(120), 그리고 포장동 적재실(140)의 각 지붕(3)의 모양은 다양할 수 있으나, 도 2와 같이, 가스배출관(40)의 전방 입구가 체결되는 악취배출구(3a)를 가운데 두고 이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가스배출관(40)은 지붕(3)의 일측 기울기를 따라 설치되며 좌우 측면(2) 중 하나를 따라 바닥까지 내려오게 꺾여진 것으로 연결, 배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배기장치(60)가 구동하지 않을 경우에 좌우 발효조(4, 5; 6)에서 발효되면서 나오는 악취가스가 있어도 이로 인한 폐쇄공간(100, 120, 140)의 내부 압력이 바깥 대기압보다 높기 전에는 상기 악취가스가 대부분 지붕(3) 밑의 폐쇄공간(100) 상부에 머물러 있게 되므로, 악취가스가 가스배출관(40)을 통해 바깥으로 배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 예로,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가스배출관(40)의 전방(42)은 상기 지붕(3)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가스배출관(40)의 후방(46)은 상기 지붕(3) 밖에서 상기 가스배출관의 전방(42)과 수직인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시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때에는 가스배출관(40)의 전방(42) 부분을, 도 4와 같이, 지붕(3) 내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붕(3) 밑의 폐쇄공간(100, 120, 140) 상부에 악취가스가 머물러 있더라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정 압력 이상 등 기준조건이 되었을 때 가스배출관(40)을 통해 바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상기 지붕(3)의 내측에는 가스 감지센서(3b)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배기장치(60)는 상기 가스 감지센서(3b)에 의하여 감지되는 수치가 일정 이상일 경우에만 동작 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스 감지센서(3b)는 압력센서 또는 악취 감지센서일 수 있다.
상기 이산화염소 생성장치(50)는, 도 2 또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일 측벽(2)의 외측에 구비된 이산화염소 가스생성기(51), 이산화염소 공급관(52), 분사노즐(54) 및 노즐개폐제어부(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고, 이때 노즐개폐제어부는 사람이 직접 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배기장치(60)의 동작과 연동하여 자동으로 분사노즐(54)이 개폐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후자의 구체적 예들은, 노즐개폐제어부를 벤튜리관 구조로 하여 배기장치(60)가 동작 되어 가스배출관(40)으로 악취가스가 배출되는 경우 벤튜리관 내의 낮아진 압력을 감지하여 분사노즐(54)이 열리도록 하거나, 노즐개폐제어부를 솔레노이드 구조로 하여 배기장치(60)의 동작으로 가스배출관(40)에 이온화된 악취가스가 지날 때 이를 감지하여 분사노즐(54)이 열리도록 하거나, 노즐개폐제어부를 전기적 스위치로 구성하여 배기장치(60)의 동작시 배기장치(60)의 제어스위치와 함께 턴온(Turn On)/턴오프(Turn Off)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라인 믹서(70)는 직렬식 혼합기(inline mixer)로, 가스배출관(40)의 내에 복수 개의 180도 비틀린 꽈배기 판이 90도 틀어지며 직렬로 연결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라인 믹서(70)는 이산화염소와 악취가스의 혼합 가스가 각 꽈배기 판을 지나갈 때마다 1/2로 양분 및 교반되며 180도로 회전하면서 통과하게 되어, n번째 꽈배기 판을 지날 때에는 2n 개로 분할된 가스 흐름이 다시 양분되어 각 일 측을 180도로 회전(S자 회전)하며 교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라인 믹서(70)를 가스배출관(40) 내에 분사노즐(54)과 배기장치(60) 사이에 구비할 경우에는, 각 꽈배기 판을 지날 때마다 이산화염소와 악취가스를 180도로 회전(S자 회전)시키며 분할과 혼합(교반)을 반복함으로써, 가스배출관(40)을 통과하는 도중에서 서로 충분히 교반 및 반응하게 되어 탈취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라인 믹서(70)는 복수 개의 180도 비틀린 꽈배기 판이 소정의 각도(예컨대, 90도)로 틀어지며 직렬로 연결된 구성을 갖기 때문에 단순히 기계적인 구성으로 인하여, 종래보다 악취 저감을 위한 시설비 및 운영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라인 믹서(70)는, 도 2 또는 도 5와 같이, 가스배출관(40)의 전방(42)에 분사노즐(54)이 체결된 이웃한 위치로 직선 관(44)으로 시작되는 부위에 내장되도록 함이 S자 회전되며 나온 혼합 가스가 나머지 가스배출관(40)을 지나며 계속 반응하게 되어 바람직하나, 2개 이상으로 나누어 가스배출관(40)의 내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배기장치(60)는 가스배출관(40)의 후방(46)에 설치되어, 폐쇄공간(100, 120, 140) 내의 악취가스를 가스배출관(40)을 통하여 강제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므로, 가스배출관(40)의 후방 내측에 구비된 배기용 팬(62)과 이를 구동하는 모터 및 제어부(6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장치(60)의 제어부(64)는 제어스위치 등으로 구비되어, 배기용 팬(62)의 모터가 수동은 물론 상술한 가스 감지센서(3b)에 의하여 감지된 제어신호로 자동으로 동작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 주입기(21)는 일종의 압축기(compressor)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배기장치(60)와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가스 감지센서(3b)로 감지된 신호로 배기장치(60), 분사노즐(54)의 개폐, 공기 주입기(21)를 전자동으로 동작시켜, 발효조(4, 5)에 공기 주입 및 악취가스를 저감 내지 제거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공기 주입기(21)를 상기 배기장치(60)와 연동하여 작동시키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나, 상기 배기장치(60)의 제어부(64)를 배기용 팬(62)의 모터가 상술한 공기 주입기(21)와 동시 또는 10분 이내로 더 작동되도록 하거나, 공기 주입기(21)로 공급되는 공기량과 동일하거나 10% 범위 내에서 초과하도록 제어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평균적으로 공기 주입기(21)로 폐쇄공간(100, 120, 140)에 공급된 외기의 양만큼 배기장치(60)로 이산화염소로 탈취(중화)된 가스가 배출되도록 하여 배기용 팬(62)의 모터뿐만 아니라 공기 주입기(21)의 모터 부하를 줄여 이로 인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숙성동(100) 및 상기 교반동(120)의 각 지붕(3) 내측에는, 도 2 및 도 7과 같이, 미생물 배양액 주입관(30)이 더 설치되고, 상기 미생물 배양액 주입관(30)에는 복수 개의 노즐(32)이 발효조(4, 5; 6)를 향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미생물 배양액 주입관(30)과 노즐(32)을 각 지붕(3) 내측에 구비함으로써, 발효조(4, 5; 6)에 소정의 미생물 배양액을 용이하게 접종할 수 있고, 이로써 유기성 폐기물을 발효 및 교반 과정에서 완전 발효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유기성 폐기물에는 폐수 슬러지, 하수 슬러지, 건조음식물(탈수케익), 파쇄목 및 펄프(제지) 슬러지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폐수 슬러지는 폐수처리장에서 활성슬러지법, 화학저리법 등으로 폐수 처리하여 얻은 슬러지로, 유기성 슬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기성 슬러지라 함은,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이, 고형물 중 유기물 함량이 40% 이상인 것을 말한다.
상기 폐수처리장은 식품, 농공단지, 산업단지 등의 폐수종말처리시설을 포함하나, 유기성 슬러지 내에 비료 규격의 중금속 성분 기준(mg/kg)인 구리(Cu) 500, 납(Pb) 150, 크롬(Cr) 300, 카드뮴(Cd) 5, 수은(Hg) 2, 비소(As) 50을 초과하지 않는 곳으로 제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폐수 슬러지는 폐수처리장에서 함수율이 약 80% 되는 탈수케익 형태로 반입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수 슬러지는 하수처리장에서 활성슬러지법 등으로 처리하여 얻은 슬러지로, 유기성 슬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에도, 유기성 슬러지라 함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고형물 중 유기물 함량이 40% 이상인 것을 말한다.
상기 하수처리장은 각종 생활 하수종말처리시설일 수 있으나, 여기서도 유기성 슬러지 내에 상술한 비료 규격의 중금속 성분 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곳으로 제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수 슬러지도 하수처리장 내에서 중력식 또는 원심 분리식 농축방식으로 감량화(수분감소)하여 함수율이 약 80% 되는 탈수케익 형태로 반입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조음식물(탈수케익)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업체에서 선별 또는 분쇄 처리 후 탈수과정을 거쳐 함수율이 60% 이하인 탈수케익 형태로 반입된다. 상기 건조음식물은 단백질과 탄수화물 등 각종 유기물과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어 발효과정을 거쳐 식물 생육에 필요한 유기물의 주요 공급원으로 제공된다.
상기 파쇄목은 통기성, 배수성을 유지하고 유기물을 제공하며 유기질비료나 녹생토의 결속력을 제고하는 것으로, 톱밥을 포함한다. 파쇄목의 원자재에 특별한 한정은 요구되지 않으나 노송나무, 삼목, 바오밥나무, 전나무 또는 이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나무 조각(가지) 또는 나무껍질로부터 얻은 것일 수 있다.
상기 펄프(제지) 슬러지는 제지공장에서 얻은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 등과 같은 식물성 탄수화물의 섬유질 세립물로, 함수율이 약 80% 되는 탈수케익 형태로 반입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미생물 배양액 주입관(30)에 공급되는 미생물 배양액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와 아스퍼질러스 오리지에(Aspergillus oryzae)가 각각 1x106~7cfu/g이 포함된 유용미생물 분말을 물에 400~600배 희석한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는 고초균으로 알려져 있는데, 포도당과 같은 다양한 당류, 전분 등을 혐기적으로 대사할 뿐만 아니라, 식물조직과 같은 유기물의 펙틴과 다당류를 분해하고, 특히 난분해성 탄수화물인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의 분해능이 뛰어나다.
아스퍼질러스 오리지에는 누룩곰팡이로 황국균이라 불리는데,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전분을 포도당으로 분해하여, 건조음식물뿐만 아니라 폐수 슬러지와 하수 슬러지의 유기성 슬러지에 있는 고분자 유기물(고형물)을 빠른 시간 내에 발효하는 특성이 있고, 특히 다른 발효균은 활성화되기 어려운 고온에서도 발효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유용미생물 분말에는 식생에 유용한 유산균, 효모, 광합성세균, 방선균, 사상균 등이 적정량 더 포함될 수 있고,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와 아스퍼질러스 오리지에는 각각 1x106~7cfu/g이 포함되어, 물에 400~600배 희석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와 아스퍼질러스 오리지에 균이 각각 전체 분말에 1x106~107cfu/g 보다 적게 포함될 경우에는 물의 적정 희석량이 적게 되어 충분한 미생물 배양액을 얻을 수 없게 되고, 그렇다고 각 균 수를 높이면 균의 배양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미생물 배양액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와 아스퍼질러스 오리지에가 각각 1x106~7cfu/g이 포함된 유용미생물 분말을 물에 500배 희석한 것으로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와 아스퍼질러스 오리지에가 포함된 미생물 배양액은, 도 1에 예시된 복수 개의 발효조(4, 5; ②~⑩)를 거치며 각 발효조에서 퇴적물(S)을 뒤집어주거나 3~4일에 이웃 발효조로 옮길 때 일정 량 뿌려주며 숙성동(100)에서 27~36 일간 숙성 및 발효시키게 되면, 이미 거의 발효되어 냄새나 가스 발생이 나지 않게 된다. 이어, 퇴적물(S)은 교반동(120)에 옮겨져 후술하는 교반 장치(80)로 교반시에도 상기 미생물 배양액을 일정 량 뿌려주며 교반하게 되어 미생물 배양액이 퇴적물(S)에 고루 섞여 완전 발효단계에 이를 수 있게 된다.
상기 유기성 폐기물에는 유기질퇴비와 은행잎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은행잎은 플라보노이드라는 살균, 살충 성분이 들어 있어, 토양 속에 있는 벌레의 유충, 식물에 기생하는 곰팡이, 바이러스 등을 죽이거나 억제시켜 발아 후 생육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은행잎은 은행나무에 달린 잎을 채취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은행나무 가로수 등에서 떨어진 낙엽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지자체 등에서 수거된 낙엽을 반입 받아 유기질비료나 녹생토로 재활용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실시 예에 따라 은행잎을 8mm 이하의 크기를 갖도록 세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열수 추출 등 공지의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은행잎 추출물로 첨가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은행잎은 퇴적물(S)이 포장동의 적재실(140)로 옮겨진 이후 첨가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숙성동(100), 교반동(120) 및 포장동(140, 200)의 구체적인 구조적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숙성동(100)은, 도 1과 같이, 1개 준비조(①)와 3개 이상의 발효조(4, 5; ②~⑩)가 길이 방향과 수직이게 서로 마주보며 같은 크기로 2열로 대칭되게 구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숙성동(100)의 발효조(4, 5; ②~⑩)는 7개 또는 9개로 하여, 한 개의 발효조에서 3~4일 동안 퇴적 발효시킨 후 이웃 발효조로 옮겨가며 뒤섞어 주고 상기 미생물 배양액으로 발효시켜(예컨대, 도 1과 같이 ②~⑩ 순번으로 옮겨가며 발효), 숙성동(100)에서 27~36 일간 숙성 및 발효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준비조(①)는 퇴적물(S)의 원료로 사용되는 각종 유기성 폐기물을 종류별로 잠시 적재하여 보관하는 곳으로, 발효조(4, 5; ②~⑩)와 달리 바닥(1)에 복수 개의 장 홈(1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교반동(120)은,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1개 이상의 발효조(6)가 길이 방향으로 구획되고, 상기 교반동의 발효조 양 측벽(6) 상부에는 레일(96)이 구비되고, 상기 레일(96)에는 전후 이송 장치(90)가 체결되고, 상기 전후 이송 장치(90)에는 소정의 프레임(83)에 교반용 팔(84)의 상하 이동 및 회전 수단(81, 85)이 구비된 교반 장치(80)가 체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교반용 팔(8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이송 장치(90)에 의하여 레일(96)을 따라 수평이동하면서, 상하 이동 및 회전 수단(81, 85)에 의하여 퇴적물(S)을 향해 상하 이동하며 소정의 구동축(82)으로 회전하게 되어 골고루 퇴적물(S)을 교반하게 된다.
상기 전후 이송 장치(90)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레일(96)에 체결되는 전후 좌우 4개의 이송용 바퀴(94a, 94b); 상기 이송용 바퀴 중 전후 각각에 좌우 바퀴에 체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 1, 2 구동축(95a, 95b); 및 상기 제 1, 2 구동축의 각각에 소정의 체인(93)으로 연결된 제 1, 2 모터(9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후 이송용 바퀴(94a, 94b)를 감싸는 각 지지부재(92)에는 전후 이동스토퍼(97a, 97b)가 더 부착되어 자동으로 상기 제 1, 2 모터(91)를 제어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반용 팔(84)의 상하 이동 및 회전 수단(81, 85)은 상기 레일(96)과 수직이게 상기 프레임(83)에 고정된 힌지 축(87); 상기 힌지 축에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지지용 팔(89); 상기 지지용 팔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체결된 제 3 구동축(82); 상기 제 3 구동축에 나선형으로 부착된 복수 개의 교반용 팔(84); 상기 교반용 팔의 각 끝단에 부착된 교반 돌기(86); 상기 프레임(83)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용 팔(89)의 일측으로 연장된 보조 팔의 끝단에 체결된 상하운동 구동부(85); 및 상기 프레임(83)에 고정되어 상기 제 3 구동축(82)을 소정의 체인(81a)으로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부(8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포장동은, 도 9와 같이, 적재실(140)과 포장실(200)로 구획되고, 상기 적재실(140)과 포장실(200)의 가운데 분리 측벽 중 일부 바닥(1) 아래에는 호퍼(hopper) 모양으로 포집 공간(144)이 형성되고, 상기 포집 공간(144)에는 원료를 받아 상기 포장실(200)로 이송시키는 제 1 컨베이어(212)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컨베이어 끝단에는 호퍼형 분쇄기(210)가 구비되고, 상기 분쇄기는 제 2 컨베이어(222)를 사이에 두고 선별기(220)로 연결되고, 상기 선별기의 전방에는 제 3 컨베이어(228)가, 상기 선별기의 밑에는 제 4 컨베이어(231)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 4 컨베이어의 양측은 제 5, 6 컨베이어(242, 232)를 통해 유기질비료용 분배기(240)와 녹생토용 분배기(230)로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재실(140)은 앞서 교반동(120)에서 교반된 퇴적물(S)을 이동시켜 일측에 쌓아놓고 은행잎 등을 추가 배합하게 된다.
추가 배합되는 것은 유기질비료나 녹생토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후자의 경우에는 법면 살포시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해 마사토와 함께 액상폴리머가 더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액상폴리머는 폴리에스터, 폴리에폭시, 폴리우레아,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옥세탄, 수성 라텍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액상폴리머는 별도 용기에 담겨 상기 미생물 배양액으로 발효된 녹생토에 포함될 수 있으나, 아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소량 함유하게 되므로, 함께 섞여 녹생토 조성물로 포장될 수 있다.
법면 등 경사지의 녹생토 살포시 현장에서 소정의 경화제 및 종자 등을 배합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고압펌프를 이용하여 펌핑(pumping) 방식으로 살포할 수 있게 된다. 즉, 녹생토를 살포하고자 하는 표면에 고압으로 살포하는 방식으로 경사 사면 녹화 시공을 하게 된다. 기타 상세한 내용은 동일 발명자에 의하여 특허를 받은 한국특허 제10-1232290호를 참조할 수 있다.
한편, 동일한 원료의 퇴적물(S)을 포집 공간(144)에 투입시켜, 제 1, 2 컨베이어(212, 222)로 이동시키고 선별기(220)의 망상구조의 원통(일명, 통돌이; 226)에 통과시켜 제 4 컨베이어(231)의 구동(선택적으로 전, 후 구동)에 따라 유기질비료용 분배기(240)의 호퍼(244)를 통해 유기질비료(246)로 포장되거나 녹생토용 분배기(230)의 호퍼(234)를 통해 녹생토(236)로 포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통돌이(226)를 통과하지 못한 찌꺼기는 상기 제 3 컨베이어(228)를 통해 밖으로 버려질 수 있으나, 제 6 컨베이어(232)를 통해 녹생토용 분배기(230)로 이동되어 녹생토(236)로 포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통돌이(226)를 통과한 것은 제 4 컨베이어(231) 및 제 5 컨베이어(242)로 이동시켜 유기질비료(246)도 함께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통돌이(226)의 망상 크기는 8mm 정도로 할 수 있고, 상기 제 1 컨베이어(212)의 상부에는, 도 9와 같이, 자석선별기(214)가 더 부착되어 퇴적물(S)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성분이 자동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유기성 폐기물인 퇴적물(S)을 숙성, 발효시켜 유기질비료나 녹생토로 재활용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악취가스는 암모니아(NH3), 메르캅탄(CH3SH), 황화수소(H2S) 등 8가지가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는데, 이들 악취가스는 이산화염소(ClO2)로 분해하여 제거할 수 있음은 한국 특허등록 제10-1289539호 등에 기재되어 널리 알려진 바이고, 이산화염소 가스 생산 원리도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 녹생토에는 펄프(제지) 슬러지, 마사토, 하수 슬러지, 파쇄목, 유기질퇴비, 은행잎 및 미생물 배양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 상기 펄프(제지) 슬러지는 20~30중량%, 상기 마사토는 20~30중량%, 상기 하수 슬러지는 15~20중량%, 상기 파쇄목은 10~15중량%, 상기 유기질퇴비는 10~15중량%, 상기 은행잎은 4~10중량%, 상기 미생물 배양액은 1~5중량%를 포함하여 배합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녹생토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 있어서, 각 구성이 갖는 범위의 한계적 의미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먼저, 상기 펄프(제지) 슬러지가, 함수율이 약 80% 되는 탈수케익을 기준으로, 20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비탈면에서 점착성이 떨어지고, 그렇다고 3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생산시스템으로 완전 발효시키는데 미생물이 많이 요구되거나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마사토는 20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녹생토의 배수성과 통기성이 떨어지고, 그렇다고 3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녹생토의 경도가 지나치게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하수 슬러지도 배합시 함수율이 약 80%인 탈수케익을 기준으로 한 것이고, 각각 15중량% 미만으로 배합되면, 하수 슬러지를 녹생토로 재활용하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고, 그렇다고 2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생산시스템에서 슬러지로부터 나오는 침출수 처리 및 완전 발효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파쇄목은 녹생토의 통기성, 배수성을 유지하며 유기물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10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고, 그렇다고 15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생산시스템에서 숙성 및 발효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유기질퇴비는 10중량% 미만으로 첨가하게 되면 식생에 필요한 각종 유, 무기물과 영양소를 제대로 공급받기 어렵고, 그렇다고 15중량% 초과하게 되면 다른 조성물의 함량을 줄여야 하므로, 이 경우 산업폐기물인 펄프(제지) 슬러지, 환경폐기물인 하수 슬러지와 파쇄목 등을 재활용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미생물 배양액은 펄프(제지) 슬러지, 하수 슬러지 및 파쇄목 등을 숙성/발효시키기 위한 것으로, 1중량%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상기 생산시스템에서 원하는 발효를 얻기 어렵고, 그렇다고 5중량%를 초과하여 배합할 경우에는 미생물 처리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은행잎은 4중량% 미만으로 첨가하게 되면 토양 속에서의 살균, 살충 효과가 떨어져 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그렇다고 10중량% 초과하게 되면 다른 조성물의 함량을 줄여야 하므로, 이 경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펄프(제지) 슬러지는 25중량%, 상기 마사토는 25중량%, 상기 하수 슬러지는 20중량%, 상기 파쇄목은 10중량%, 상기 유기질퇴비는 10중량%, 상기 은행잎은 5중량%, 상기 미생물 배양액은 5중량%로 배합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녹생토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미생물 배양액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와 아스퍼질러스 오리지에가 각각 1x106~7cfu/g이 포함된 유용미생물 분말을 물에 500배 희석한 것으로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표 1 및 도 10을 참조하며, 상기 마지막 실시 예에서 은행잎을 첨가하기 전에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 배양액에 의한 발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미생물 배양액을 달리한 비교례(표 1 참조)와 완성된 녹생토 조성물에서 은행잎을 전혀 첨가하지 않은 비교례(도 10 참조)를 대비한 결과를 살펴본다.
구 분 실시예 비교례1 비교례2 비교례3 비교례4 비교례5 비교례6

7/12
13:30
가스
냄새
열(내부, ℃) 47.5 41.3 40.9 40.2 47.5 42 40.2
열(외부, ℃) 32 33 34 33 34.5 35 29

7/12
15:00
가스
냄새
열(내부, ℃) 44.1 43 43.3 43.6 40.9 43.7 41.2
열(외부, ℃) 36.4 35.7 34.7 34.2 35.7 36.6 31.2

7/12
17:00
가스
냄새
열(내부, ℃) 39.5 44.6 39.5 37.9 40 40.1 37.4
열(외부, ℃) 32.8 33.5 32.7 31.9 33.4 34.7 29.1

7/13
09:00
가스
냄새
열(내부, ℃) 33.2 36.7 34.4 35 33.3 34.5 31.9
열(외부, ℃) 29.9 30.1 30 29.9 30.4 30.5 27.8

7/13
13:30
가스
냄새
열(내부, ℃) 36.5 38.7 37.6 37.8 36.2 38.2 35.8
열(외부, ℃) 34.9 35.6 34.6 34.7 34.3 36.8 35
여기서, 실시예는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 배양액을 첨가하여 발효한 것이고, 비교례1은 Rhodopseudomonas palustris 1x106cfu/ml이 포함된 것이고, 비교례2는 유산균(Lactobacillus sp. 2.8x106cfu/ml), 효모(Yeast 4.6x107cfu/ml), 광합성세균(Rhodobacter sp. 2.3x106cfu/ml) 등이 포함된 것이고, 비교례3은 Lactobacillus casei 1x106cfu/ml이 포함된 것이고, 비교례4는 Lactobacillus casei 1x106cfu/g 이상 포함된 것이고, 비교례5는 효모균, 바실러스균, 유산균 등 복합미생물 제제가 포함된 것이고, 비교례6는 미생물이 첨가되지 않은 일반퇴비를 각각 발효하여 대비한 것이다.
상기 표 1의 결과는 동일한 환경에서 대비한 것으로, 가스는 수증기 발생 정도로 측정하였고, 냄새는 관찰자의 코로 직접 맡는 것으로, 그리고 내부 및 외부의 열은 온도계로 각각 측정한 것이다.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실시예에 의한 미생물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와 아스퍼질러스 오리지에가 각각 첨가됨으로써, 발효 결과로 나타나는 내부 발생 열(온도)이 하루 사이에 11℃ 차이가 나고, 가스 및 냄새가 현저히 줄어드는 반면, 비교례들은 내부 열의 차이가 약 3~5℃ 차이에 그치고, 가스와 냄새는 많이 줄어들지 않았음을 알 수 있고, 특히 비교례4의 경우는 내부 발생 열의 차이는 많이 났으나 가스와 냄새는 본 실시예에 대비하여 상당히 많이 나는 차이점이 있었다.
도 10은 은행잎을 첨가하지 않은 녹생토 조성물의 비교 예(A)와 본 발명에 의한 은행잎을 첨가한 녹생토 조성물의 실시 예(B)에 의한 법면 녹화 대비 사진이다.
도 10의 결과는 녹생토를 만듦에 있어 미생물 배양액 첨가 여부만 달리하여, 제조된 녹생토에 동일한 종자 등을 배합하여 고압펌프를 이용하여 펌핑(pumping) 방식으로 녹화 시공한 다음 6개월 후의 결과를 대비한 것이다.
도 10에 의하면, 은행잎을 첨가하지 않은 비교례(A)는 시공 후 종자의 발아율은 높으나, 발아 이후 생육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대부분 고사한 반면, 본 실시예에 의하여 은행잎을 첨가한 경우(B)에는 비교례(A)와 동일한 발아율을 유지하면서 발아 후 생육 상태가 현저하게 좋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은행잎을 첨가함으로써, 은행잎에서 나온 유효성분으로 토양 속에 있는 벌레의 유충, 식물에 기생하는 곰팡이, 바이러스 등을 죽이거나 억제시켜 발아 이후 생육에 도움이 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실시 예 특히, 상기 생산시스템으로 미생물 배양액을 첨가하여 충분히 발효된 녹생토를 얻음으로써, 녹화 시공 후 토양에서 후속 발효를 억제하여 종자의 발아율을 높이는 것과, 은행잎을 첨가함으로써, 살균, 살충 성분으로 발아 이후 생육에 도움이 되도록 한 기술적 사상은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다 할 것이다.
10: 바닥의 장 홈 20: 공기주입장치
30: 미생물 배양액 주입관 40: 가스배출관
50: 이산화염소 생성장치 60: 배기장치
70: 라인 믹서 80: 교반 장치
90: 전후 이송 장치 100: 숙성동
110: 악취저감장치 120: 교반동
140: 적재실 200: 포장실

Claims (10)

  1. 숙성동, 교반동 및 포장동으로 나누어진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 녹생토에 있어서,
    상기 숙성동 및 상기 교반동은 각각 바닥, 측벽 및 지붕으로 둘러싸인 독립적인 폐쇄공간에 공기주입장치, 악취저감장치 및 하나 이상의 발효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기주입장치는 상기 발효조의 바닥에 일정 간격으로 소정의 깊이, 폭과 길이를 갖도록 파지고 길이방향으로 상부가 개방된 복수 개의 장 홈;
    상기 복수 개의 장 홈에 각각 배치되어 측면에 형성된 기공이 노출되고 발효조의 바닥을 관통하여 상기 숙성동 또는 상기 교반동의 외부로 돌출된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
    상기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을 상기 숙성동 또는 상기 교반동의 외부에서 연결하여 공기를 분배하는 공기 분배관; 및
    상기 공기 분배관의 일단에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주입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고,
    상기 숙성동 및 상기 교반동의 각 지붕 내측에는 복수 개의 노즐이 상기 발효조를 향하여 구비된 미생물 배양액 주입관이 설치되고,
    상기 녹생토의 조성물은 펄프(제지) 슬러지, 마사토, 하수 슬러지, 파쇄목, 유기질퇴비, 은행잎 및 미생물 배양액을 포함하되,
    상기 펄프(제지) 슬러지는 20~30중량%, 상기 마사토는 20~30중량%, 상기 하수 슬러지는 15~20중량%, 상기 파쇄목은 10~15중량%, 상기 유기질퇴비는 10~15중량%, 상기 은행잎은 4~10중량%, 상기 미생물 배양액은 1~5중량%를 포함하여 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 은행잎 성분을 함유하는 녹생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 홈의 깊이는 상기 공기 공급관의 외경보다 3.5/3~4/3배 크고,
    상기 장 홈의 폭은 상기 공기 공급관의 외경보다 4/3~5/3배 크고,
    상기 장 홈의 길이는 상기 발효조의 측벽 중 나란한 측벽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공기 분배관은 상기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보다 일정 높이로 높은 위치에서 연결된 것이고,
    상기 복수 개의 장 홈에는 각각 두께 1~2mm 인 'ㄷ' 형으로 절곡된 금속판이 장 홈의 양 측면과 바닥면에 밀착 부착되고,
    상기 복수 개의 공기 공급관은 각각 상기 절곡된 금속판 안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 은행잎 성분을 함유하는 녹생토.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저감장치는 상기 지붕의 악취배출구에 체결되어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가스배출관;
    상기 가스배출관의 전방 내측에 체결된 분사노즐을 통해 이산화염소를 공급하는 이산화염소 생성장치;
    상기 가스배출관의 후방에 체결된 배기장치; 및
    상기 가스배출관 내에 상기 분사노즐과 상기 배기장치 사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라인 믹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 은행잎 성분을 함유하는 녹생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에는 내측으로 가스 감지센서로 더 구비되고,
    상기 배기장치는 상기 가스 감지센서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공기 주입기는 상기 배기장치와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라인 믹서는 상기 가스배출관의 내에 흐르는 혼합 가스가 1/2로 양분되어 180도로 회전하며 통과하도록 하는 180도 비틀린 꽈배기 판이 90도 틀어지며 복수 개 직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 은행잎 성분을 함유하는 녹생토.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배양액 주입관에 공급되어 상기 녹생토의 조성물을 이루는 미생물 배양액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와 아스퍼질러스 오리지에(Aspergillus oryzae)가 각각 1x106~7cfu/g이 포함된 유용미생물 분말을 물에 400~600배 희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 은행잎 성분을 함유하는 녹생토.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동은 1개 준비조와 3개 이상의 발효조가 길이 방향과 수직이게 서로 마주보며 같은 크기로 2열로 대칭되게 구획되고,
    상기 교반동은 1개 이상의 발효조가 길이 방향으로 구획되고,
    상기 교반동의 발효조 양 측벽 상부에는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레일에는 전후 이송 장치가 체결되고,
    상기 전후 이송 장치에는 소정의 프레임에 교반용 팔의 상하 이동 및 회전 수단이 구비된 교반 장치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 은행잎 성분을 함유하는 녹생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이송 장치는 상기 레일에 체결되는 전후 좌우 4개의 이송용 바퀴;
    상기 이송용 바퀴 중 전후 각각에 좌우 바퀴에 체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 1, 2 구동축; 및
    상기 제 1, 2 구동축의 각각에 연결된 제 1, 2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 은행잎 성분을 함유하는 녹생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용 팔의 상하 이동 및 회전 수단은 상기 레일과 수직이게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힌지 축;
    상기 힌지 축에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지지용 팔;
    상기 지지용 팔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체결된 제 3 구동축;
    상기 제 3 구동축에 나선형으로 부착된 복수 개의 교반용 팔;
    상기 교반용 팔의 각 끝단에 부착된 교반 돌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용 팔의 일측으로 연장된 보조 팔의 끝단에 체결된 상하운동 구동부; 및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제 3 구동축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 은행잎 성분을 함유하는 녹생토.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동은 적재실과 포장실로 구획되고,
    상기 적재실과 포장실의 분리 측벽 중 일부 바닥 아래에는 소정의 포집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포집 공간에는 원료를 받아 상기 포장실로 이송시키는 제 1 컨베이어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컨베이어 상부에는 자석선별기가, 끝단에는 분쇄기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분쇄기는 제 2 컨베이어를 사이에 두고 선별기로 연결되고,
    상기 선별기의 전방에는 제 3 컨베이어가, 상기 선별기의 밑에는 제 4 컨베이어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 4 컨베이어의 양측은 제 5, 6 컨베이어를 통해 유기질비료용 분배기와 녹생토용 분배기로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 은행잎 성분을 함유하는 녹생토.
  10. 제 3 항의 녹생토를 살포하고자 하는 표면에 고압으로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사면 녹화용 녹생토의 시공방법.
KR1020170052098A 2016-09-27 2017-04-24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 은행잎 성분을 함유하는 녹생토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 시공방법 KR101939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23899 2016-09-27
KR1020160123899 2016-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187A true KR20180034187A (ko) 2018-04-04
KR101939626B1 KR101939626B1 (ko) 2019-01-18

Family

ID=61975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098A KR101939626B1 (ko) 2016-09-27 2017-04-24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 은행잎 성분을 함유하는 녹생토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6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9924A (zh) * 2019-04-04 2019-05-28 和县聂兴圩蔬菜种植有限责任公司 一种蔬菜种植土壤营养调节剂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461B1 (ko) * 2023-02-03 2023-08-28 농업회사법인(주)한국농업경영기술연구원 생강 생육 및 품질 저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추출물 및 그의 용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291B1 (ko) * 1994-01-14 1996-10-14 라위출 장기간 방치되는 신설배관의 내부보호방법
KR20120069858A (ko) * 2010-12-21 2012-06-29 박경원 녹생토 조성물
KR20140040896A (ko) * 2012-09-26 2014-04-04 박화목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또는 비료 조성물
KR20160010916A (ko) * 2014-07-21 2016-01-29 (주)농업회사법인 서울그린텍 토양개량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291B1 (ko) * 1994-01-14 1996-10-14 라위출 장기간 방치되는 신설배관의 내부보호방법
KR20120069858A (ko) * 2010-12-21 2012-06-29 박경원 녹생토 조성물
KR20140040896A (ko) * 2012-09-26 2014-04-04 박화목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또는 비료 조성물
KR20160010916A (ko) * 2014-07-21 2016-01-29 (주)농업회사법인 서울그린텍 토양개량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9924A (zh) * 2019-04-04 2019-05-28 和县聂兴圩蔬菜种植有限责任公司 一种蔬菜种植土壤营养调节剂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626B1 (ko) 2019-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64935B (zh) 有机活化肥料
US5738703A (en) Method to produce a substitute for peat moss
US9260351B2 (en) Process, apparatus and system for treatment of animal effluent
RU2420500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органоминеральных удобрений 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линия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3664259B (zh) 利用鸭粪便发酵生产生物有机肥料的方法
CN106588286A (zh) 一种用有机废弃物吸附猪粪污生产有机肥的制备方法
KR101939626B1 (ko)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 은행잎 성분을 함유하는 녹생토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 시공방법
DE3049302A1 (de) Verfahren zur verwertung von lebenstaetigkeitsprodukten von tieren und anlage zur ausfuehrung desselben
AU2011320453A1 (en) Organic fertilizer and method of its production
CN114685214A (zh) 一种食用菌菌糠的生物消化方法
JP3706097B2 (ja) 有機廃棄物発酵処理システム
KR101886219B1 (ko) 유기질비료 및 녹생토 생산시스템
KR102362141B1 (ko) 가축분뇨를 이용한 친환경 유기질 발효비료의 제조방법
KR101939621B1 (ko)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 생산시스템으로 생산된 녹생토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 시공방법
KR101595184B1 (ko)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방법
US20050230309A1 (en) Functional water with deodorization activity and sterilization activity against multi-drug resistent bacteria,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9990075159A (ko) 음식물 쓰레기 사료화 방법
DE3727408A1 (de) Anlage zur schlammverwertung
CA2614940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generating compost
JP7341383B1 (ja) きのこ廃培地発酵乾燥資材の使用方法
KR20010010663A (ko) 축산폐수의 퇴비화 방법에 의한 무방류 처리공법 및 수도용비료
CN106833673A (zh) 一种含有污泥的秸秆生物质炭土壤改良剂
CA3226627A1 (en) Bionutritional compositions for plants and soils
Duvoort-van Engers et al. State of the Art” on Sludge Composting
EP0545864B1 (en) Disposal of obsolete treated se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