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3809A - 배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3809A
KR20180033809A KR1020160123216A KR20160123216A KR20180033809A KR 20180033809 A KR20180033809 A KR 20180033809A KR 1020160123216 A KR1020160123216 A KR 1020160123216A KR 20160123216 A KR20160123216 A KR 20160123216A KR 20180033809 A KR20180033809 A KR 20180033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using
center
packing memb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3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동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슈어조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슈어조인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슈어조인트
Priority to KR1020160123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3809A/ko
Publication of KR20180033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8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2Joints for pipes being spaced apart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Abstract

배관과 배관을 간편하고 쉽게 연결시킬 수 있으면서 이와 동시에 밀폐효율이 향상된 배관 연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배관을 연결하는 배관 연결장치로서, 양단이 서로 연통된 원통형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각 단 내측에 배치되며 중앙에 배관이 삽입되는 중앙홀이 형성된 패킹부재; 중앙에 배관이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배관 삽입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홀의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가 형성되며, 일측면이 상기 패킹부재의 일측면에 맞닿게 상기 하우징의 각 단 내측에 배치된 내측링; 상기 가이드홀에 연통되는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링의 테이퍼각에 대응되는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된 탄성재질의 걸림돌기가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내측링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의 각 단 내측에 배치된 그립링; 중앙에 배관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일측 외주면에 상기 테이퍼각에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이 상기 걸림돌기에 맞닿게 상기 하우징의 각 단 내측에 배치된 외측링;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양단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외측링이 상기 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배관 연결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pipe}
본 발명은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과 배관을 서로 연결하여 유체 등이 계속 흐를 수 있도록 한 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 기름, 가스 등의 유체를 이송하는 한 쌍의 배관을 상호 연결하는 배관연결장치로 니플이 널리 사용된다. 니플은 양 배관의 단부의 외주면을 서로 감싸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니플이 고압의 스팀을 비롯한 유체 등을 이송 하는 배관에 적용되는 경우, 니플과 배관들 사이의 틈으로 유체가 누설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였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니플은 배관과의 복잡한 결합구조를 가지며, 니플을 배관과 결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도구를 사용해야 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003호(2006. 2. 22)
본 발명은 배관과 배관을 간편하고 쉽게 연결시킬 수 있으면서 이와 동시에 밀폐효율이 향상된 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배관을 연결하는 배관 연결장치로서, 양단이 서로 연통된 원통형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각 단 내측에 배치되며 중앙에 배관이 삽입되는 중앙홀이 형성된 패킹부재; 중앙에 배관이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배관 삽입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홀의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가 형성되며, 일측면이 상기 패킹부재의 일측면에 맞닿게 상기 하우징의 각 단 내측에 배치된 내측링; 상기 가이드홀에 연통되는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링의 테이퍼각에 대응되는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된 탄성재질의 걸림돌기가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내측링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의 각 단 내측에 배치된 그립링; 중앙에 배관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일측 외주면에 상기 테이퍼각에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이 상기 걸림돌기에 맞닿게 상기 하우징의 각 단 내측에 배치된 외측링;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양단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외측링이 상기 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패킹부재는 배관 삽입 방향을 따라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패킹부재는 배관이 삽입되는 쪽의 반대쪽 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외측링은 경사면이 형성된 측의 반대측에 걸림단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관과 배관을 용접이나 나사 체결없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력이 향상되어 연결부위가 누수되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킹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링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립링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링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의 일단에 배관을 연결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들은 후술하는 실시 예들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대응되는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번호로 참조된다. 또한, 구성요소들의 형상이나 크기 등은 실제보다 과장될 수 있다. 그리고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생각되는 경우 그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배관 연결장치는 배관과 배관을 서로 연결하여 유체나 압력 등이 전달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킹부재, 내측링, 그립링, 외측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배관 연결장치(1)는 하우징(50), 패킹부재(10), 내측링(20), 그립링(30), 외측링(40)을 포함한다.
하우징(50)은 양단이 서로 연통된 원통형 부재이다. 하우징(50)은 외경은 일정하되 아래에서 설명할 패킹부재(10), 내측링(20), 그립링(30), 외측링(40)이 그 내부에 고정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내경은 위치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외경도 위치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하우징(50)은 강한 압력과 충격 등에 잘 견딜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 강철과 같은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패킹부재(10)는 하우징(50)의 각 단 내측에 배치되며 중앙에 배관이 삽입되는 중앙홀(12)이 형성된다. 패킹부재(10)는 배관 내에 흐르는 유체가 배관 연결장치에서 누수되는 것을 막아준다. 이를 위해 패킹부재(10)의 중앙홀(12)은 배관 연결장치에 삽입될 배관의 외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패킹부재의 외경은 패킹부재가 위치할 하우징(50)의 내경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패킹부재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내측링(20)은 중앙에 배관이 삽입되는 가이드홀(21)이 형성되고 배관 삽입 방향을 따라 가이드홀(21)의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20b)가 형성되며, 일측면이 패킹부재의 일측면에 맞닿게 하우징의 각 단 내측에 배치된다. 내측링(20)은 플라스틱을 사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다.
그립링(30)은 가이드홀(21)에 연통되는 관통공(31)이 중앙에 형성되고 내측링(20)의 테이퍼각에 대응되는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된 탄성재질의 걸림돌기(32)가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그립링(30)은 걸림돌기(32)가 내측링(20)을 향하도록 하여 하우징(50)의 각 단 내측에 배치된다. 그리하여 배관이 삽입될 때는 내측링(20)을 향하도록 배치된 탄성재질의 걸림돌기(32)가 탄성 변형되어 배관이 용이하게 삽입되나, 배관이 삽입된 이후에는 걸림돌기(32)가 탄성 복원력으로 배관을 압착하여 배관이 배관 연결장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외측링(40)은 중앙에 배관이 삽입되는 삽입홀(41)이 형성되고 일측 외주면에 테이퍼각에 대응되는 경사면(40a)이 형성되어 경사면(40a)이 걸림돌기(32)에 맞닿게 하우징(50)의 각 단 내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외측링(40)은 그립링(30)의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외측링(40)이 하우징(50) 내에 고정되어 그립링(30)의 위치를 잡아줄 수 있도록 하우징(50)의 양끝(51)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된다. 한편, 하우징(50)의 양끝(51) 내주면은 선반 등으로 절삭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50)의 양끝 부위(51)의 두께가 얇아지므로 절곡이 용이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의 일단에 배관을 연결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추가로 참조하여 배관 연결장치(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50)의 일단 내에는 패킹부재(10), 내측링(20), 그립링(30), 외측링(40)이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하우징의 끝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패킹부재(10), 내측링(20), 그립링(30), 외측링(40)이 하우징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막는다.
이러한 배관 연결장치(1)의 양 쪽에 배관(P)을 삽입한다. 배관이 삽입될 때는 내측링(20)을 향하도록 배치된 탄성재질의 걸림돌기(32)가 탄성 변형되어 배관이 용이하게 삽입되나, 배관이 삽입된 이후에는 걸림돌기(32)가 탄성 복원력으로 배관을 압착하여 배관이 배관 연결장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삽입된 배관은 배관 연결장치(1)에 의해 고정되어 서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관과 배관을 용접이나 나사 체결없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가장 안쪽에 삽입된 패킹부재(10)가 파이프(P) 및 하우징(50)과 밀착되어 밀폐력이 향상된다. 그리하여 배관 연결장치(1)에서 유체가 누수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패킹부재(10)는 배관 삽입 방향을 따라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다. 즉, 패킹부재(10)는 사다리꼴을 옆으로 눕힌 모양일 수 있다. 패킹부재(10)가 배관 삽입 방향을 따라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우, 패킹부재(10)의 외주면 전체가 하우징(50)의 내주면과 맞닿는 것이 아니므로, 패킹부재(10)를 하우징(50)의 내면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패킹부재(10)의 내주면 전체가 배관(P)가 맞닿는 것이 아니므로 패킹부재(10)에 배관(P)을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패킹부재(10)는 배관이 삽입되는 쪽의 반대쪽 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배관을 따라 흐르는 유체는 패킹부재(10)의 내주면과 배관(P)의 외주면 사이 그리고 패킹부재(10)의 외주면과 하우징(50) 내주면 사이의 틈을 통해 누설될 수 있다. 그런데 패킹부재(10)에 홈(11)이 형성되는 경우 해당 홈(11)에 유체가 유입되고, 유체가 패킹부재(10)에 압력을 가해 패킹부재(10)의 내주면과 외주면이 배관 및 하우징(50)에 밀착되게 변형된다. 그리하여 배관 내의 유체가 누설되는 것이 더욱 더 잘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외측링(40)은 경사면(40a)이 형성된 측의 반대측에 걸림단(40b)이 형성될 수 있다. 외측링(40)에 걸림단(40b)이 없는 경우에는 하우징(50)에서 외측링(4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하우징(50)을 외측링(40)의 두께만큼 절곡하여야 한다. 그러나 외측링(40)에 걸림단(40b)이 있는 경우에는 하우징(50)을 외측링(40)의 두께만큼 절곡할 필요 없이 걸림단(40b)의 높이만큼만 절곡하면 된다. 따라서 하우징(50)을 더 쉽게 절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배관 연결장치 10: 패킹부재
11: 홈 12: 중앙홀
20: 내측링 21: 가이드홀
31: 관통공 32: 걸림돌기
40: 외측링 41: 삽입홀
40a: 경사면 40b: 걸림단
50: 하우징

Claims (4)

  1.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배관을 연결하는 배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양단이 서로 연통된 원통형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각 단 내측에 배치되며 중앙에 배관이 삽입되는 중앙홀이 형성된 패킹부재;
    중앙에 배관이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배관 삽입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홀의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가 형성되며, 일측면이 상기 패킹부재의 일측면에 맞닿게 상기 하우징의 각 단 내측에 배치된 내측링;
    상기 가이드홀에 연통되는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링의 테이퍼각에 대응되는 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된 탄성재질의 걸림돌기가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내측링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의 각 단 내측에 배치된 탄성재질의 그립링;
    중앙에 배관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일측 외주면에 상기 테이퍼각에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이 상기 걸림돌기에 맞닿게 상기 하우징의 각 단 내측에 배치된 외측링;
    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양단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외측링이 상기 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관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배관 삽입 방향을 따라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배관이 삽입되는 쪽의 반대쪽 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링은 경사면이 형성된 측의 반대측에 걸림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장치.
KR1020160123216A 2016-09-26 2016-09-26 배관 연결장치 KR201800338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216A KR20180033809A (ko) 2016-09-26 2016-09-26 배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216A KR20180033809A (ko) 2016-09-26 2016-09-26 배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809A true KR20180033809A (ko) 2018-04-04

Family

ID=61975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3216A KR20180033809A (ko) 2016-09-26 2016-09-26 배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38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67293B (zh) 一种用于启封管道组合件内的管道的设备
US20160146387A1 (en) Quick connector assembly
JP2008298155A (ja) 管継手のシール材およびこのシール材を用いた管継手
US11002393B1 (en) Enhanced seal
KR101894895B1 (ko) 탄성력을 이용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는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밸브
KR101120145B1 (ko) 관 조인트
KR101732065B1 (ko) 파이프 수밀용 패킹부재
KR101218352B1 (ko) 배관용 연결기구
KR100764877B1 (ko) 탄성튜브 시일시스템
KR20180033809A (ko) 배관 연결장치
KR101638835B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424262Y1 (ko) 유체이송관의 연결관 접속구조
JP5401063B2 (ja) 差込式管継手
WO2019204951A1 (zh) 一种管件连接结构
JP4972422B2 (ja) 管継手
KR101906327B1 (ko) 슬리브 일체형 연결구
US20190024833A1 (en) Female Connector of a Plug-In Connector and Plug-In Connector
CN111247365A (zh) 一种管路快接装置
JP6594160B2 (ja) シール材および管継手
CN203431368U (zh) 一种易拆装管道接头
CN210950268U (zh) 一种具有检漏功能的卡压管件
KR200492249Y1 (ko) 관 이음구용 고무링
KR101446425B1 (ko) 파이프 체결구
KR200318940Y1 (ko) 배관 연결구
KR101186550B1 (ko) 관이음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