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2793A - 광고결합 방식의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고결합 방식의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2793A
KR20180032793A KR1020160121885A KR20160121885A KR20180032793A KR 20180032793 A KR20180032793 A KR 20180032793A KR 1020160121885 A KR1020160121885 A KR 1020160121885A KR 20160121885 A KR20160121885 A KR 20160121885A KR 20180032793 A KR20180032793 A KR 20180032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hoto
donation
information
don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우
장영수
김태성
김형구
정해현
김혜경
경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오로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오로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오로라
Priority to KR1020160121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2793A/ko
Publication of KR20180032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7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2Bill distribution or pay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광고결합 방식의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광고 패널을 포함하는 통합 장치; 및 상기 통합 장치와 인접한 위치에서 포토 기부증을 발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디스플레이부; 상기 포토 기부증이 발급되는 출력부; 및 하나 이상의 기부 단체 또는 상기 기부 단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인물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기부 단체 중 특정 기부 단체에 대한 기부금 결재를 처리하며, 상기 특정 기부 단체와 관련된 인물 객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인물 객체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는 사용자 이미지를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합성 이미지 및 기부 정보가 인쇄된 포토 기부증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장치는, 상기 광고 패널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광고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고결합 방식의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PHOTO- TYPED DONATION SYSTEM OF ADVERTISEMENT COMBINATION}
본 발명은 광고결합 방식의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기부 행위에 따라 현장에 설치된 장치에서 포토 기부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기부는 일부 기부 단체에서 파견된 인원이 길거리 등에서 모금 운동을 통해 이루어지거나, 인터넷을 통한 크라우딩 펀드를 이용하거나, 일부 단체에서 운영하는 웹 페이지 운영 방식 또는 ARS 번호를 이용하는 전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 현장에서의 기부 방식은 기부하려고 하는 자가 다가가기에는 다소 부담스러운 환경일 수 있으며, ARS 또는 웹을 이용한 정기적인 기부는 기부하려는 자에게 경제적으로 부담이 될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한편, 영화관, 극장, 공연장 또는 경기장 등에서는 티켓을 구입하거나 현장과 관련된 정보를 안내하는 키오스크 등을 구비함으로써, 티켓 또는 현장의 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키오스크 등을 이용한 티켓 제공 또는 정보 제공 서비스는 현장에 관련된 공연, 영화, 연극 또는 경기 내용에 대해서만 관련되어 있어 현장에 설치된 키오스크 등에서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4279 (공고일: 2013.04.1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현장에 설치되어 기부 행위와 다양한 엔터테인요소를 결합하여 기부 행위에 따른 포토 기부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광고 패널을 포함하는 통합 장치; 및 상기 통합 장치와 인접한 위치에서 포토 기부증을 발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디스플레이부; 상기 포토 기부증이 발급되는 출력부; 및 하나 이상의 기부 단체 또는 상기 기부 단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인물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기부 단체 중 특정 기부 단체에 대한 기부금 결재를 처리하며, 상기 특정 기부 단체와 관련된 인물 객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인물 객체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는 사용자 이미지를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합성 이미지 및 기부 정보가 인쇄된 포토 기부증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장치는, 상기 광고 패널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광고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은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통합 장치 및 상기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상기 통합 장치 또는 상기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통합 장치는 상기 광고 패널과 인접한 영역에 위치하는 메인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 장치는 상기 광고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수 및 사용자가 상기 광고 컨텐츠를 시청하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오버츄어 정보를 상기 메인 카메라를 통해 수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통합 장치에서 수집된 오버츄어 정보를 상기 통합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오버츄어 정보 또는 상기 오버츄어 정보를 가공한 데이터를 상기 광고 컨텐츠와 관련된 광고주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은, 글로벌 NGO 단체에서 운영하는 기부포털 서버와 통신하여 각국에서 수집된 기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통합 장치는 상기 광고 패널과 인접한 영역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모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션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통합 장치와 소정 거리내에 위치하는 것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통합 장치는 상기 광고 컨텐츠의 세부 정보 또는 새로운 광고 컨텐츠를 상기 광고 패널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통합 장치는 키넥트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 장치는 상기 키넥트 장치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신체와 음성을 상기 광고 패널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포토 기부증에 인쇄된 기부 정보는, 기부일자, 기부금액 및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부 정보는 QR 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QR 코드를 스캔함에 따른 정보를 요청받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상기 합성 이미지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기능, 상기 합성 이미지를 SNS 서버에 공유하는 기능, 상기 기부 단체와 관련된 기부현황 열람 기능 및 기부혜택 열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는, 상기 선택된 인물 객체 및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는 사용자의 프리뷰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사용자의 촬영 요청 또는 미리 설정된 정책에 의해 상기 표시 중인 인물 객체 및 프리뷰 영상을 촬상하며, 촬상된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 입력이 수신되거나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촬상된 이미지를 상기 합성 이미지로서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 또는 상기 관리 서버는, 각 기부 단체별로 상기 각 기부 단체가 포토 기부증에 인쇄된 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각 기부 단체와 관련된 각각의 인물 객체별로 상기 각각의 인물 객체가 포토 기부증에 인쇄된 횟수를 카운팅하며, 카운팅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각 기부 단체의 서버로 전송하거나 웹 페이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 또는 상기 관리 서버는, 결재 처리된 기부금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선택된 인물 객체와 관련된 법인 명의로 기부한 것으로 처리되도록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은 광고 패널을 포함하는 통합 장치와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를 포함하는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기부참여 서비스와 광고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기부단체의 홍보 대사를 나타내는 인물 객체와 사진 촬영을 하여 합성된 이미지를 포토 기부증에 인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기부 행위에 대한 즐거움과 결과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합 장치에 구비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오버츄어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광고주에 제공함으로써 광고주에게 광고 컨텐츠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다양한 실시예에서 통합 장치의 모션 센서 또는 키넥트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MSQR 또는 다른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기부 행위를 하거나 기부 행위를 하기 위해 사진 촬영을 하는 동안 다양한 엔터테인 요소를 여러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에서 포토 기부증을 생성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에서 포토 기부증을 발급하는 동작들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포토 기부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10)의 구성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10)은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 통합 장치(200) 및 관리 서버(300)를 포함하여 광고 장치(400), 사용자 장치(500) 및 기부단체 서버(600)와 통신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10)이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 통합 장치(200) 및 관리 서버 (300)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일부 실시예에서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10)은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와 통합 장치(200)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는 사용자가 특정 기부 단체에 대하여 기부금을 결제하도록 하고, 해당 특정 기부 단체와 관련된 인물 객체와 사용자 이미지의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여 기부 정보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통합 장치(200)는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와 인접한 위치에서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고, 광고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오버츄어 정보와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관리 서버(300)는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와 통합 장치(200)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와 통합 장치(200)로부터 수신하며,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 또는 통합 장치(200)에 포토 기부증 또는 광고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관리 서버(300)는 제어부(예: 프로세서), 저장부(예: 메모리), 통신부(예: 네트워크 통신 모듈, 무선통신 모듈 등)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주 장치(400)는 통합 장치(200)에서 출력될 광고 컨텐츠를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10)에 제공하며,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10)으로부터 정보(예: 사용자의 오버츄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치, 서버 또는 프로그램이다.
사용자 장치(500)는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로서, 예컨대 스마트폰, 테블릿, PC, 데스크탑, 노트북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관련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기부단체 서버(600)는 본 발명의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1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기부금을 제공 받는 기부단체에서 운용하는 장치 또는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기부단체 서버(600)는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10)으로부터 기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기부포털 서버(700)는 글로벌 NGO 단체에서 운영하는 서버이다. 글로벌 NGO 단체에서는 관련 홍보대사(예: 스타)의 초상권을 제공하고, 글로벌 타겟으로 각국에 포토 기부증 발급 시스템을 구축하여 각국에서 모이는 기부금, NGO 기부 단체별, 또는 인물 별 통합된 DB를 관리/운영한다. 이러한 DB가 빅데이터 분석됨으로써, 전세계 기부사이트로 통합 운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10)은 상기 기부포털 서버(700)와 통신하여 각국에서 수집된 기부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각국의 기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빅데이터 분석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10)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10)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10)은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 및 통합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관리 서버(300)는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 또는 통합 장치(200)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는 기부 단체, 상기 기부 단체와 관련된 인물 객체 및 기부와 관련된 화면들을 안내하는 디스플레이부(120)와 포토 기부증이 출력되는 출력부(160)를 포함한다. 이러한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4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통합 장치(200)는 광고 컨텐츠가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 패널(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 및 통합 장치(200)의 일 예시가 도 3에서와 같이 도시된다.
도 2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10)은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와 통합 장치(200)가 수용될 수 있는 프레임(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와 통합 장치(200)는 프레임(50)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와 통합 장치(200) 각각 독립적으로 구현되어 프레임(50)의 물리적인 공간에 삽입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 패널(210)을 통해 광고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광고 컨텐츠는, 광고주 장치(400)로부터 제공 받은 컨텐츠일 수 있으며,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컨텐츠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통합 장치(200)는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의 기능 운용에 기반하여 출력되거나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와 무관하게 미리 정해진 패턴으로 광고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광고 패널(210)을 통해, 사용자가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에서 기부하고 사진 촬영하여 포토 기부증을 출력하는 동안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광고를 시청할 수 있다. 또한,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뿐 아니라 대기 중인 사람이나 구경하는 사람들도 통합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광고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장치(200)는 광고 패널(210)과 인접한 영역에 위치하는 메인 카메라(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통합 장치(200)는 메인 카메라(220)의 화각 내에서 상기 광고 패널(210)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오버츄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의 오버츄어 정보는 예컨대, 사용자가 광고 패널에서 출력되는 광고 컨텐츠를 시청하는 시간 정보, 광고 컨텐츠를 시청한 사용자의 수, 소정 시간 내에서 광고 컨텐츠를 시청한 사용자의 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카메라(220)는 소정 화각 내에서 사용자를 감지하여 사용자(예: 사용자의 얼굴)를 인식할 수 있으며, 다양한 사용자 인식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자의 오버츄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통합 장치(200) 또는 통합 장치(200)로부터 사용자의 오버츄어 정보를 수집한 관리 서버(300)는 광고 컨텐츠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과 피드백 정보를 광고주 장치(4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통합 장치(200) 또는 관리 서버(300)는 오버츄어 정보를 가공한 데이터를 광고주 장치(400)에 제공할 수 있다. 오버츄어 정보를 가공한 데이터는 예컨대, 횟수 또는 시간 정보를 그래프 등을 통해 시각화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장치(200)는 각 광고 패널(210)마다 인접한 영역에 위치하는 패널 카메라(221)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패널 카메라(221)의 기능은 전술한 메인 카메라(220)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예컨대, 패널 카메라(221)는 각 광고 패널(210) 별로 수집되는 사용자의 오버츄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통합 장치(200)의 각각의 패널(221)이 서로 다른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는 경우, 통합 장치(200)는 각 광고 패널(220)에 할당된 패널 카메라(221)를 이용하여 각각의 광고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오버츄어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개별적 광고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모션 센서(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230)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거나 사용자와 모션 센서(230)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센서일 수 있다. 이러한 모션 센서(230)를 통해 사용자가 소정 거리 내에 접근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통합 장치(200)는 광고 컨텐츠의 세부 정보 또는 새로운 광고 컨텐츠를 광고 패널(21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접근에 따른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구체적인 정보 또는 엔터테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키넥트 장치(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키넥트 장치(240)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예: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제스처와 다양한 인터랙션 동작들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예: 3D 센서) 또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할 수 있는 마이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키넥트 장치(240)를 통해, 통합 장치(200)는 사용자의 신체(예: 얼굴) 또는 제스처 동작을 광고 패널(210)을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재미 요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는 통신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저장부(130), 카메라부(140), 조명부(150), 출력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는 도 4의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통신부(110)는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를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 장치(200), 관리 서버(300), 광고주 장치(400), 사용자 장치(500) 또는 기부단체 서버(60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 연결하여 포토 기부증의 생성, 출력 및 관리와 관련된 데이터를 다른 구성요소와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예컨대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BT 모듈, GPS 모듈, NFC 모듈, 모바일 네트워크 모듈, RF 송/수신 모듈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와 같은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에서 생성되는 정보들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은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입력부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120)는 일반 터치 입력, 근접 터치 입력, 제스처 입력 등을 수신할 수 있는 패널, 시트, 또는 디지타이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에서 포토 기부증의 생성 및 출력 기능을 운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7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되거나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메모리(memory), 캐시(cash), 버퍼(buffe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30)는 보정 프로그램(1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정 프로그램(131)은 실행 시에 제어부(170)가 인물 객체 및 사용자의 촬영 사진을 보정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 루틴, 또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들로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30)는 컨텐츠 DB(133) 및 정보 DB(135)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DB(133)는 예컨대, 기부 단체를 나타내는 컨텐츠 또는 상기 기부 단체와 관련된 인물 객체를 나타내는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정보 DB(135)는 포토 기부증 발급과 관련된 동작에서 생성되는 정보(예: 사용자가 입력한 기부 금액, 연락처 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부(140)는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시(flash)(예: LED 또는 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는 카메라부(140)를 구동하여 사용자를 촬상 또는 촬영할 수 있다.
조명부(150)는 사용자를 촬영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대한 광원을 조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60)는 합성 이미지 또는 합성 이미지에 추가적인 필터 처리가 수행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한정되지 않는 예로서 프린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출력부(160)는 프린터, 포토 프린터와 같이 사진을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모든 프린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의 전원 공급 제어 등과 같은 전반적인 동작 및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의 내부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입력을 기반으로 혹은 미리 정해진 설정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의 화면에 사용자의 화상과 함께 배치될 인물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화상과 인물 객체를 합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혹은 미리 입력된 명령에 따라 상기 합성된 객체(예: 합성 이미지)에 추가적인 필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카메라부(140)로부터 사용자 화상을 획득하여 화면을 통해 재현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인물 객체와 실시간 카메라 화상을 상기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의 화면에 동시에 표현하기 위해 사진 촬영 전/후의 인물 객체들을 사진 또는 애니메이션 등의 형태로 상기 카메라 화상 위에 오버랩(overlap)하여 화면 상에 표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는 도 4에서 도시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예: 오디오 처리 모듈, 센서 모듈, 카드 리더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10)에서 포토 기부증을 생성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의 각 단계 중 적어도 일부는 생략되거나 상호간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5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10)에서 포토 기부증을 발급하는 동작들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를 통해 기부 단체 또는 인물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S510). 구체적으로,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도 6과 같이 스타와 함께 기부할 수 있는 UI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도 6의 화면은 디폴트로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에 내장된 기부 단체가 표시된 것이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기부 단체의 화면일 수 있다. 사용자가 해당 UI 아이템을 선택하는 경우,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는 도 7과 같이 해당 기부 단체에 대한 간략한 설명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는 기부금의 처리를 위한 결재 수단 및 기부 금액을 사용자로부터 선택 받을 수 있다(S520). 예를 들어,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는 도 8과 같이 기부 금액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카드 결제 또는 현금 결제 등의 결제 수단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결제 수단과 기부 금액을 선택하면,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는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의 카드 리더기(미도시) 또는 현금 투입구(미도시) 등을 통해 자체적으로 또는 결제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기부 금액에 대한 결재를 처리할 수 있다(S530).
한정되지 않는 실시예에 따르면,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는 도 9와 같이 사용자의 핸드폰 번호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핸드폰 번호는 연말정산용 기부금 명세서로 소득공제를 받기를 희망하는 경우,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예: 핸드폰 번호)를 입력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는 법인(예: 인물 객체에 해당하는 인물이 소속된 소속사) 또는 사업자가 소득 공제를 받기 위해 법인 또는 사업자의 정보(예: 사업자 번호 또는 법인 등록 번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는 이러한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 또는 법인의 정보를 관리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10)은 사용자가 기부한 금액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인물 객체(예: 특정 스타)와 관련된 소속사 법인명으로 기부된 것으로 기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정보에 의해, 소속사 법인은 해당 금액에 따른 연말정산 또는 소득공제를 국세청 등에 신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10)은 인물 객체와 관련된 소속사의 법인 정보(예: 법인명, 사업자 번호 등)를 인물 객체와 매칭시켜 DB화하거나, 소속사 관계자 또는 소속사의 서버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10)은 저장된 법인정보 또는 법인명의의 기부 기록 정보를 외부 서버(예: 국세청 서버 등)에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는 사용자와 특정 인물 객체를 촬영할 수 있다(S540). 이러한 순서는 예시적인 것이며,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는 먼저 기부 단체 또는 기부 단체와 관련된 인물 객체를 표시하고 선택받은 후 기부금에 대한 결재 처리를 진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는 도 10과 같이 기부 단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인물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인물 객체는 예컨대, 해당 기부 단체를 후원하거나 홍보하는 연예인을 나타내는 객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아대책”이라는 기부 단체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기부 단체에 홍도 대사로 선정된 연예인들의 이미지 객체가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10의 인물 객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는 도 11과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인물 객체를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는 카메라부(140)를 통해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표시되는 인물 객체와 카메라부(140)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사용자의 프리뷰 영상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물 객체와 프리뷰 영상은 중첩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특정 버튼 또는 제스처를 이용하여 촬영을 요청하거나 미리 설정된 정책(예: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자동으로 촬상)에 의해,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는 표시 중인 인물 객체 및 프리뷰 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1에서는 3초 후에 자동으로 촬영되는 기능이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다음으로,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는 합성 또는 보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550).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는 다양한 보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합성 또는 보정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인물 객체와 사용자 이미지가 합성된 합성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는 포토 기부증을 출력할 수 있다(S560). 구체적으로,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는 합성 이미지와 기부 정보가 인쇄된 포토 기부증을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포토 기부증은 예컨대, 도 12와 같이 출력될 수 있다.
도 1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포토 기부증의 일면(예: 앞면)은 합성 이미지가 인쇄되고, 나머지 일면(예: 뒷면)은 기부 정보가 인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부 정보는 기부일자, 기부금액 및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기부 정보는 기부 종류, 기부 단체의 정보, 기부 단체를 지원하는 기업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포토 기부증의 기부 정보는 QR 코드(12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500, 예: 스마트폰)를 이용하여 포토 기부증의 QR 코드(1201)를 스캔하는 경우,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장치(500)에서 상기 합성 이미지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기능, 합성 이미지를 SNS 서버에 공유하는 기능, 기부 단체와 관련된 기부현황 열람 기능 또는 기부혜택 열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장치(5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 서버(300)는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100)로부터 합성 이미지 및 기부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사용자 장치(500) 또는 사용자의 SNS 서버(미도시)와 통신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구체적인 동작을 이하의 도면에서 상술하도록 한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포토 기부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는 예시도이다.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500, 예: 스마트폰)를 이용하여 도 12의 포토 기부증의 QR 코드(1201)를 스캔하면, 도 13과 같은 화면이 도시된다. 또한, 사용자는 도 14와 같이 기부된 합성 이미지를 이용하여 SNS에서 공유할 수 있으며, 도 15와 같이 기부단체별 또는 인물 객체별 기부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각 인물 객체(예: 홍보대사)를 선택하면, 사용자 장치(500)는 도 16과 같이 각 홍보대사 별 기부금 사용내역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선택에 의해 정기후원도 가능하다. 나아가, 사용자 장치(500)는 기부 행위에 따른 기부 혜택 정보를 도 17과 같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부 혜택은 기부 단체 서버(600)에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 100: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
200: 통합 장치 300: 관리 서버
400: 광고주 장치 500: 사용자 장치
600: 기부단체 서버 700: 기부포털 서버

Claims (11)

  1.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광고 패널을 포함하는 통합 장치; 및
    상기 통합 장치와 인접한 위치에서 포토 기부증을 발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디스플레이부;
    상기 포토 기부증이 발급되는 출력부; 및
    하나 이상의 기부 단체 또는 상기 기부 단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인물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기부 단체 중 특정 기부 단체에 대한 기부금 결재를 처리하며, 상기 특정 기부 단체와 관련된 인물 객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인물 객체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는 사용자 이미지를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합성 이미지 및 기부 정보가 인쇄된 포토 기부증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장치는,
    상기 광고 패널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광고 컨텐츠를 출력하는,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은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통합 장치 및 상기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상기 통합 장치 또는 상기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장치는 상기 광고 패널과 인접한 영역에 위치하는 메인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 장치는 상기 광고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수 및 사용자가 상기 광고 컨텐츠를 시청하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오버츄어 정보를 상기 메인 카메라를 통해 수집하는,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은,
    글로벌 NGO 단체에서 운영하는 기부포털 서버와 통신하여 각국에서 수집된 기부 정보를 수신하는,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장치는 상기 광고 패널과 인접한 영역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모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션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통합 장치와 소정 거리내에 위치하는 것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통합 장치는 상기 광고 컨텐츠의 세부 정보 또는 새로운 광고 컨텐츠를 상기 광고 패널을 통해 출력하는,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장치는 키넥트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 장치는 상기 키넥트 장치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신체와 음성을 상기 광고 패널을 통해 출력하는,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 기부증에 인쇄된 기부 정보는,
    기부일자, 기부금액 및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정보는 QR 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QR 코드를 스캔함에 따른 정보를 요청받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상기 합성 이미지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기능, 상기 합성 이미지를 SNS 서버에 공유하는 기능, 상기 기부 단체와 관련된 기부현황 열람 기능 및 기부혜택 열람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제공하는,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는,
    상기 선택된 인물 객체 및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는 사용자의 프리뷰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사용자의 촬영 요청 또는 미리 설정된 정책에 의해 상기 표시 중인 인물 객체 및 프리뷰 영상을 촬상하며, 촬상된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 입력이 수신되거나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촬상된 이미지를 상기 합성 이미지로서 생성하는,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 또는 상기 관리 서버는,
    각 기부 단체별로 상기 각 기부 단체가 포토 기부증에 인쇄된 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각 기부 단체와 관련된 각각의 인물 객체별로 상기 각각의 인물 객체가 포토 기부증에 인쇄된 횟수를 카운팅하며, 카운팅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각 기부 단체의 서버로 전송하거나 웹 페이지를 통해 출력하는,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 기부증 발급 장치 또는 상기 관리 서버는,
    결재 처리된 기부금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선택된 인물 객체와 관련된 법인 명의로 기부한 것으로 처리되도록 기록하는,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
KR1020160121885A 2016-09-23 2016-09-23 광고결합 방식의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 KR20180032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885A KR20180032793A (ko) 2016-09-23 2016-09-23 광고결합 방식의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885A KR20180032793A (ko) 2016-09-23 2016-09-23 광고결합 방식의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793A true KR20180032793A (ko) 2018-04-02

Family

ID=61976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885A KR20180032793A (ko) 2016-09-23 2016-09-23 광고결합 방식의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27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548B1 (ko) * 2023-02-23 2024-02-07 주식회사 레이월드 포토 박스를 기반으로 한 이벤트 참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548B1 (ko) * 2023-02-23 2024-02-07 주식회사 레이월드 포토 박스를 기반으로 한 이벤트 참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86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ag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11782667B2 (en) Multi-panel, multi-communication video wall and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ly isolating one or more panels for individual user interaction
US9519896B2 (en) Check cashing automated banking machine
US20140081858A1 (en) Banking system controlled responsive to data read from data bearing records
US201501425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pictures on a cloud platform and printing the pictures from different locations
CN106257396A (zh) 用于管理协作环境的计算机实现方法、系统和设备
US20130307998A1 (en) Interactive unattended photobooth
CN105069514A (zh) 一种基于微信平台的凭证打印系统以及打印方法
US11886766B2 (en) Multi-panel, multi-communication video wall and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ly isolating one or more panels for individual user interaction
JP2016110209A (ja) チケット発行装置及びチケット発行システム
JP6369074B2 (ja) 写真撮影編集装置、サーバ、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230385010A1 (en) Multi-Panel, Multi-Communication Video Wall and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ly Isolating One or More Panels for Individual User Interaction
US84113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images comprising individ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on second side of sheet of printing paper
KR20180032793A (ko) 광고결합 방식의 포토기반 기부 시스템
CN111756951A (zh) 生物特征认证系统、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7075999A (ja) Idカード交付申請装置及びidカード交付申請方法
KR101758712B1 (ko) 영수증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311383B2 (ja) 写真撮影編集装置、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6939329B2 (ja) 画像提供システム
US9019568B2 (en) Accurately extracting information based on orthogonal images
US11783724B1 (en) Interactive training apparatus using augmented reality
JP2019023807A (ja) Idカード作成システム、idカード作成方法、及び印画物作成装置
US20230144239A1 (en) Modular virtual reality environment
JP2022150174A (ja) 撮影システム
KR20170056478A (ko) 서비스 대기자를 위한 포토 티켓 출력 제어 방법 이를 지원하는 포토 티켓 운영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