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1746A - 고주파 초음파용 막 수중청음기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주파 초음파용 막 수중청음기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1746A
KR20180031746A KR1020187005214A KR20187005214A KR20180031746A KR 20180031746 A KR20180031746 A KR 20180031746A KR 1020187005214 A KR1020187005214 A KR 1020187005214A KR 20187005214 A KR20187005214 A KR 20187005214A KR 20180031746 A KR20180031746 A KR 20180031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film
hydrophone
film
membran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5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콜라스 크리스토퍼 샤가레스
올라그 아이반트스키이
구오펑 팡
마리우스 마쉰스키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소노사이트,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소노사이트, 인크. filed Critical 후지필름 소노사이트, 인크.
Publication of KR20180031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7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01H11/06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electric means
    • G01H11/08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electric means using piezoelectr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B06B1/0688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with foil-type piezoelectric elements, e.g.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B06B1/0688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with foil-type piezoelectric elements, e.g. PVDF
    • B06B1/069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with foil-type piezoelectric elements, e.g. PVDF with a plurality of electrodes on both si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3/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by using a detector in a fluid
    • G01H3/005Testing or calibrating of detectors covered by the subgroups of G01H3/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44Special adaptations for subaqueous use, e.g. for hydroph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8Testing, adjusting or calibrating the diagnostic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Transducers For Ultrasonic Wav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고주파 초음파 변환기를 분석하기 위한 막 수중청음기는 전극 패턴들이 구비된 압전막을 구비하며, 이때 상기 전극 패턴들은 상기 막의 표면 상에 생성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극 패턴들은 상기 수중청음기의 활성 영역을 제외한 상기 막의 각 측면 상에서 중복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극들은 레이저 펄스에 의해 상기 막 상의 전도성 코팅을 제거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레이저는 상기 전극들을 상기 활성 영역 내에 정확하게 정렬하기 위해 상기 압전막의 동일한 측면으로부터 상기 막으로부터 상기 전도성 코팅을 제거하도록 설정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수중청음기의 활성 영역은 900 내지 10,000제곱 마이크론 범위의 면적을 갖는다.

Description

고주파 초음파용 막 수중청음기 및 제조 방법
관련 출원서
본 출원은 2016년 02월 19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2/297,763 호 및 2015년 08월 18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2/206,808 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들 특허는 본원에서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다.
본원에 개시된 기술은 초음파 변환기를 시험하기 위한 수중청음기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주파 초음파 변환기를 시험하기 위한 사용된 수중청음기들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 이미지화(ultrasound imaging)는 음향 에너지의 다수의 짧은 펄스를 변환기로부터 관심 있는 영역 내로 보내고 상응하는 반향 신호(echo signal)에 포함된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1a는 다수의 개개의 변환기 성분(12)들(일정 비율로 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한 단순화된 초음파 변환기를 나타내며, 여기서 상기 성분(12)들은 변전압(varying voltage)이 상기 성분들을 가로질러 공급되는 경우에 초음파 음향 신호를 진동시키고 생성한다. 상기 성분들이 음향 에너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성분들은 또한 전자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성분(12)들은 전형적으로는 1차원 또는 2차원 어레이(array) 내에 배열되며, 이때 상기 어레이는 하나 이상의 정합층(14) 및 고정 렌즈(16)를 포함한다. 상기 변환기 성분들 각각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시간 및 진폭을 신중하게 선택함으로써 상기 음향 신호들은 구성적으로 조합하여 목적하는 위치에서 초점 구역과 함께 빔을 형성한다. 상기 변환기의 작동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초점 구역(종종 쌀 입자의 형태)의 크기는 감소한다. 예를 들어, 15MHz의 중심 주파수에서 상기 초점 구역의 크기는 약 500 × 300㎛ 정도이다. 30MHz에서 상기 초점 구역의 크기는 대략 280 × 150㎛까지 감소하고, 50MHz에서 상기 초점 구역의 크기는 200 × 100㎛ 미만이다. 초음파 어레이 이외에, 초음파 신호는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소자 변환기(17)들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초고주파(UHF)의 진단용 초음파는 70MHz 초과의 상부 절점 주파수(corner frequency)를 갖는 50MHz 중심 주파수 어레이가 구비된 시스템의 도입과 함께 임상전 산업 및 임상 산업 둘 모두에서 과거 10 동안 실질적으로 발전해 왔다. UHF 초음파의 보다 높은 해상도 및 대역폭으로부터 유래하는 다수의 신규한 과학적 및 의학적 가능성들을 탐구할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시험 및 특성화(characterization)와 같은 난제들이 새로운 응용 및 능력과 함께 나타난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변환기의 주파수가 더욱 더 높아짐에 따라 그 결과로서 파장이 감소하고, 수중에서의 음파의 비선형 전달과 같은 다양한 기타 기작들이 더욱 더 만연하게 된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현재 과학적 목적 및 의료 장치 및 임상전 장치를 조절할 목적 둘 모두를 위해 수중에서 UHF 초음파의 특징을 이해할 필요성이 존재하다. 게다가, 현대의 정교한 FEA 모델링(modelling)을 이용하기 위해 상기 어레이의 피치(pitch) 또는 심지어 상기 피치 미만에서 음장(acoustic field)을 정확하게 측정할 필요성이 존재하다. 명백히 배음(harmonics)의 정확한 측정을 보장하고 개구부가 비교적 큰 수중청음기에 의해 측정되는 단파장 음파로부터 유래하는 공간적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주파수 교정이 보다 높고 개구부가 보다 작은 수중청음기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하다.
초음파 변환기가 미국에서 식품 의약국(FDA)에 의해 임상용으로 승인될 수 있거나 유럽에서 임상용으로 CE 마크를 획득할 수 있기 이전에 상기 변환기에 의해 생성된 음향 에너지는 특성화되어야 한다. 상기 특성화로 인해 상기 초점 구역이 충분히 한정되고 상기 변환기가 원하지 않은 위치에서 에너지의 과열점(hot spot)을 생성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압력 세기 지도가 생성된다. 유사하게, 상기 특성화에 따르면 상기 생성된 에너지는 검진될 조직에서 공동현상(cavitation)을 야기할 정도로 크지 않으며, 동력의 출력은 다양한 기관에 의해 부과되는 허용 한계치 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규제 승인을 위해 요구되는 시험 프로토콜 및 결과를 규정하기 위해 충분히 확립된 표준이 존재한다. 그러나 적절하게는 수중청음기의 작은 개구부 크기의 부족 및 충분하게는 고주파 교정 데이터의 부족으로 인해 UHF 초음파는 이들 시험을 점진적으로 한계치 또는 그 이상으로 매진하게 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의 변환기 시험은 액체 수조(40)(전형적으로는 탈기된 물이지만 다른 액체일 수도 있음)에서 변환기(20)를 작동함으로써 수행된다. 수중청음기(50)는 초음파 빔의 경로에서 컴퓨터 제어 스테이지(미도시) 상에 위치한다. 상기 변환기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스테이지는 이동하여 상기 수중청음기가 초점 구역의 위치 및 다수의 위치에서의 빔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한다. 상기 수중청음기로부터의 신호는 상기 변환기가 의도한 바와 같이 작동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저장된다. 공간에서의 세기 측정치에 대한 플롯은 초음파 변환기 빔의 특징을 한정한다.
막-형식 수중청음기들은 이들의 정주파수 반응 및 피시험 장치(DUT)에 의해 생성된 방사 패턴과의 단순한 상호작용으로 인해 초음파 빔을 샘플링(sampling)하는데 사용하기에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빔을 효과적으로 샘플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수중청음기의 활성 영역은 검사 중인 변환기의 초점 구역보다 실질적으로 작아야 한다. 과거에, 고주파 초음파 변환기를 시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충분히 작은 활성 영역이 구비된 막-형식 수중청음기를 신뢰 가능하게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바람직하지 않은 공명 및 측정되는 방사 패턴과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니들(needle)형 수중청음기를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게다가, 소위 "립스틱-형식"의 수중청음기들과 같이 원치 않는 공명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계된 특수 형태의 니들 수중청음기들이 사용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초고주파 초음파의 특성화를 위해 충분한 작은 척도로 이 같은 형상을 정확하게 제조하는 것은 어렵다. 그 결과, 니들형 수중청음기는 막-형식 수중청음기처럼 고주파 빔 패턴을 특성화하는데 정밀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들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향상된 고주파 막-형식 수중청음기뿐만 아니라 이 같은 수중청음기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들 및 기타 문제점을 제기하기 위해, 본원에 개시된 기술은 신규한 막-형식 수중청음기 설계 및 고주파 초음파 변환기를 특성화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막-형식 수중청음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특성화는 임상용의 변환기를 증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초음파 변환기 설계의 개발 및 시험에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수중청음기는 지지 구조를 가로질러 신장되고 금 또는 금 + 크롬의 박층과 같은 전도성 물질에 의해 양 측면이 코팅되는 압전막(piezoelectric membrane)을 포함한다. 이어 상기 전도성 물질의 일부분은 상기 막의 하나의 측면 상에 양극을 생성하고 상기 막의 다른 측면 상에 음극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압전막의 각 측면으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양극 및 음극은 상기 수중청음기의 활성 영역을 한정하는 작은 영역에서 중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활성 영역은 직경이 10 내지 30마이크론인 치수를 갖는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엑시머 레이저(excimer laser)와 같은 패터닝 도구는 상기 막 상에 전극을 생성하도록 상기 압전막으로부터 전도성 물질의 일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막의 양 측면 상의 전도성 물질은 상기 막의 동일한 측면으로부터, 예를 들어 상기 압전막을 전복시키지 않으면서도 상기 막을 레이저 에너지에 노출시킴으로서 제거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정렬 특징부(alignment feature) 또는 기준점(fiducial)은 상기 패터닝 도구의 좌표계에 대해 상기 압전막이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막 내에 생성된다. 일단 정렬되면 전도성 물질은 상기 막으로부터 정확하게 제거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상기 수중청음기는 상기 압전막의 양 측면 상에 서로 중첩하는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막의 하나의 측면 상의 양극은 상기 막의 다른 측면 상의 상응하는 양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유사하게, 상기 막의 하나의 측면 상의 음극은 상기 막의 다른 측면 상의 상응하는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상기 서로 중첩하는 전극들은 레이저에 의해 상기 압전막 내에 생성되고 전도성 물질로 충진된 하나 이상의 전도성 바이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수중청음기의 활성 영역은 상기 막의 하나의 측면 상의 양극의 일부분이 상기 막의 다른 측면 상의 음극과 중첩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형태에서, 상기 장치는 생필름(raw film)의 공격적인 분극(polling)에 의해 구현되는 최대 민감도를 감안하여 완전히 분극된 압전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막으로부터 제조된다. 이는 의도된 능동 개구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검출되는 의사 신호(spurious signal)와 관련된 난제들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개시된 기술의 몇몇 실시형태에서, 상기 압전막은 분극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장치로 제조되어, 상기 전극들은 상기 활성 영역을 스팟 분극(spot polling)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많은 의사 신호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지만, 민감도의 감소 및 스팟의 크기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서로 중첩하는 동극성 전극(like-polarity electrode)들은 상기 막에서 전계(electric field)를 클램핑(clamping)하기 위해 사용되어, 스팟 분극에서 보다 큰 공간적 특이성을 구현하고, 그 결과 보다 정밀하고 예측 가능한 능동 스팟 크기를 수득한다.
몇몇 기타 실시형태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위치에서 수신된 음향 에너지에 대한 상기 막의 전기 반응을 줄이기 위해 상기 압전막의 일부분은 이를 전도성 물질로 코팅하기 이전에 선택적으로 탈분극되며, 따라서 전체 막의 보다 공격적인 분극을 가능케 한다(스팟 분극과 비교된 바와 같음).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압전막은 상기 수중청음기의 활성 영역에서 멀리 있는 영역에서 선택적으로 탈분극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레이저 패터닝 도구는 상기 활성 영역을 제외한 수중청음기의 모든 영역에서 상기 막이 기계적으로 온전하게 유지되지만 압전기적으로 덜 효율적이 되도록 UV 레이저 에너지로 중합체를 개질함으로써 상기 압전막을 탈분극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분극되지 않은 압전 공중합체 막은 상기 장치로 제조되며, 레이저 패터닝 도구는 상기 막을 개질하기 위해 사용되어, 상기 활성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상기 막의 압전 전위를 감소시키고, 개질되지 않은 활성 영역에서 스팟 분극만이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하며, 전극들은 이들이 상기 활성 영역에 정렬되도록 증착되며, 상기 막은 스팟 분극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술한 이전의 접근법은 스팟 분극 이후에 극도로 한정된 능동 개구부를 구현하기 위해 서로 중첩하는 동극성 전극의 설계와 조합된다.
도 1a는 통상적인 초음파 변환기 어레이에 의해 형성된 빔 패턴(beam pattern)을 계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1b는 통상적인 단일-소자 초음파 변환기에 의해 형성된 빔 패턴을 나타내고;
도 2는 수중청음기를 이용하여 초음파 변환기들을 시험하기 위한 통상적인 시스템을 나타내고;
도 3a 및 도 3b는 상기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예시적인 고주파 막 수중청음기를 나타내고;
도 4는 상기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구성된 막-형식 수중청음기의 3차원 부분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5a는 상기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지지 포스트(supporting post) 상에 장착된 완성형 수중청음기를 나타내고;
도 5b는 상기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물과 음향적으로 충분히 정합되는 탄성중합체 물질로 코팅되어 있는 수중청음기 상부 표면 상의 전극의 일부분을 나타내고;
도 6은 상기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물과 음향적으로 충분히 정합되는 탄성중합체로 코팅되어 있는 수중청음기의 하부 표면을 나타내고;
도 7은 상기 개시된 기술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전도체의 도포 이전에 압전막이 어떻게 처리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고;
도 8은 상기 개시된 기술의 다른 양태에 따라 상기 막-형식 수중청음기로부터 신호를 컨디셔닝(conditioning)하기 위해 사용되는 완충 회로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9는 상기 개시된 기술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구성된 다수의 활성 영역을 구비한 어레이-형식 막 수중청음기를 나타낸다.
하기에 더욱 상세하게 개시된 바와 같이, 본원에 개시된 기술은 하나 이상의 작은 활성 영역이 구비된 막-형식 수중청음기로서, 고주파 초음파 변환기들을 특성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막은 소정의 두께, 예를 들어 3 내지 12마이크론의 두께를 갖는 P(VDF-TrFE)와 같은 박막 압전 공중합체로 제조된다. 그러나 기타 두께 또는 기타 압전 물질(예를 들어, PVDF)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막으로부터 임의의 주름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프레임을 가로질러 신장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막은 외부 후프(outer hoop) 상에 고정된 후, 동시에 내부 후프에 의해 이의 둘레를 따라 신장되며, 이때 상기 내부 후프는 원주상에서 상기 막의 일부분을 홈 내로 압입하여 드럼 헤드(drum head)와 같이 주름 없이 이를 신장한다. 일단 상기 막이 신장되며, 상기 막은 상기 내부 후프 내에 적합한 원형 프레임에 부착되고, 상기 프레임 외부의 과량의 막은 절삭된다. 이어 상기 프레임은 상기 수중청음기의 일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프레임은 대략 2㎝의 직경을 갖지만, 보다 크거나 작은 프레임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금속 지지체에 장착되고, 이어 스퍼터링(sputtering) 또는 다른 공정에 의해 금 또는 금 + 크롬(또는 기타 금속성 전도체)과 같은 금속성 전도체로 코팅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막 상에 위치한 전도체의 두께는 1,500 내지 2,500옹스트롬(angstrom)의 두께이다. 그러나 300옹스트롬 내지 5,000옹스트롬과 같이 훨씬 얇거나 두꺼운 전도체 코팅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어 상기 막의 양 측면 상의 전도성 코팅은 상기 수중청음기의 활성 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막의 상단 및 하부 표면 상의 전도체들의 중첩 부분을 형성하도록 패터닝된다. 상기 서로 중첩하는 전도성 영역은 정밀하게 정렬되어야 하며, 몇몇 실시형태에서는 전체적으로 대략 10 내지 30마이크론의 두께를 가지며, 이는 미국 가출원 제 62/206,808 호에 개시된 기법 이전에는 신뢰 가능하게 제조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도 3a 및 도 3b는 상기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구성된 수중청음기(100)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상기 수중청음기(100)는 일반적으로 원형 프레임(104)에 접착되어 있는 압전막(102)의 원형 디스크를 포함하며, 상기 원형 프레임(104)은 이어 지지체(105)에 안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지지체(105)는 티타늄과 같은 전도성 금속으로 제조된다. 제 1 전극(106)은 상기 압전막의 하나의 측면 상에 패터닝되는 반면, 제 2 전극(미도시)은 상기 압전막의 다른 측면 상에 패터닝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상기 압전막은 상기 막이 레이저 패터닝 시스템에 의해 정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압전막을 통해 절단되는 한 쌍의 등록 특징부 또는 기준점(108, 110)(일정 비율로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록 특징부들은 레이저에 의해 생성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임의의 형상(정사각형, 직사각형, 십자형 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등록 특징부들은 각 측면 당 대략 10마이크론 크기의 정사각형이다. 상기 등록 특징부들의 모서리는 상기 압전막이 서브마이크론 수준의 정확도로 정렬되도록 한다.
상기 막의 양 측면이 금속성 전도체로 코팅된 상태에서는 엑시머 레이저 또는 기타 패터닝 도구는 상기 막이 상대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 방식으로 상기 압전막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전도성 코팅의 일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일단 전극 패턴이 상기 막의 제 1 측면 상에 생성된 경우, 상기 막은 전복되며, 하나 이상의 등록 특징부(108, 110)를 이용하여 상기 패터닝 도구에 정렬된다. 일단 정렬되면, 상기 패터닝 도구는 상기 막의 제 2 측면 상에 전극을 형성한다. 상기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막의 제 1 측면의 전극은 상기 수중청음기의 양극을 형성하는 반면, 상기 압전막의 다른 표면 상의 보다 큰 제 2 전극은 접지된다.
하기에 상세하게 개시된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막의 양 측면 상의 전극의 사실상 대부분은 상기 막의 단일 측면을 레이저 에너지에 노출시킴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등록 특징부 또는 기준점들이 불필요할 수 있다.
얇은 와이어(120)(예를 들어, 금 본딩 와이어 또는 은-도금된 구리 버스 와이어)는 상기 막 상의 제 1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게다가, 본딩 와이어는 제 2 전극에 또한 연결될 수 있거나, 상기 프레임(104) 및/또는 지지체(105)가 전도성을 갖는 경우에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 2 전극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음향적 정합 탄성중합체(126)는 상기 수중청음기의 배면 상에 주입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정합 탄성중합체는 생략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각각의 전극이 구비된 막의 양 측면은 최대 민감도를 위해 커버되지 않은 채로 남겨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탄성중합체(126)는 물의 음향 임피던스(acoustic impedance)와 밀접하게 정합하는 음향 임피던스를 갖는 실리콘 고무로 제조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상기 지지체(105) 상에 위치하는 인쇄 회로 기판에 완충 증폭기를 장착하거나 상기 수중청음기의 막 상에 직접 완충 증폭기를 장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완충 증폭기는 생성된 신호의 이득(gain)을 증가시킬 수 있고/있거나 신호가 신호 케이블(미도시)에 의해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신호를 버퍼링(buffering)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수중청음기의 지지체(105)는 SMA 또는 기타 형식의 연결기(128)에 적합하다. 상기 SMA 연결기(128)는 외부 차폐가 상기 전도성 지지체(105) 또는 음극에 연결되고 중심 전도체가 양극(또는 사용되는 경우에 완충 증폭기의 출력부)에 연결되어 있는 동축 연결기이다. 상기 SMA 연결기에 대한 연결은 필요한 경우에 반대일 수도 있다.
막 수중청음기의 다른 실시형태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막 상의 전도체는 상기 막의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 상의 실질적 정합 전극을 생성하기 위해 패터닝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압전막의 상단 및 하부 표면 상의 2개의 양극은 서로 중첩하며, 상기 압전막의 상단 및 하부 표면 상의 2개의 음극은 서로 중첩한다. 상기 상부 표면 상의 양극은 상기 수중청음기의 활성 영역을 제외한 하부 표면(또는 그 반대) 상의 음극과 중첩하지 않는다. 도 4는 수중청음기(200)의 3차원 부분 단면도이며, 여기서 실선으로 나타낸 전극 패턴들은 상기 막의 상부 표면 상에 있고, 점선으로 나타낸 전극 패턴들은 상기 막의 하부 표면 상에 있다. 상기 막의 상부 표면은 접지 평면 또는 접지 전극(214)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T-자형 전극(210)(일정 비율로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T-자형 전극(212)은 상기 막의 하부 표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막의 상부 표면 상의 전극(210)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상기 접지 평면 전극(214)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상응하는 접지 평면 또는 접지 전극(216)은 상기 막의 상부 표면 상에 있는 상기 접지 평면(214) 바로 하부에 있는 상기 막의 하부 표면 상에 위치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상기 접지 평면 전극(214, 216)들은 모든 측면 상의 양극의 둘레를 둘러싸고 있는 간극에 의해 상기 양극(210, 212)들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상기 압전막의 상단 및 하부 표면 상의 양극 및 상기 압전막의 상단 및 하부 표면 상의 음극 또는 접지 평면 전극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바이어스(220)는 상부 양극(210)을 하부 양극(212)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전도성 에폭시 또는 기타 전도성 물질로 충진된다. 유사한 하나 이상의 충진된 바이어스는 상기 상부 접지 평면 전극(214)을 상기 하부 접지 평면 전극(216)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바이어스는 연소(burning)에 의해 상기 압전막을 통한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 레이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어 상기 구멍은 전도성 에폭시와 같은 전도성 물질로 충진된다. 상기 바이어스(220)는 또한 충진되지 않은 채 유지될 수 있고, 상기 막이 스퍼터링되기 전에 이들 바이어스(220)가 상기 막 내로 절삭되는 경우에 이를 통해 스퍼터링될 수 있다. 상기 신장된 압전막을 지지하는 프레임 또는 이의 일부분이 전도성을 갖는 경우, 상기 전극(214, 216)들은 상기 프레임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보다 큰 음극(214, 216)에 대한 바이어스는 제거될 수 있다. 상기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 상기 서로 중첩하는 T-자형 전극(210, 212)들은 상기 수중청음기용 양극인 반면, 상기 서로 중첩하는 접지 평면(214, 216)들은 전기적으로 접지된다. 그러나 상기 극성은 서로 바뀔 수 있다.
상기 막 수중청음기에서, 상기 상부 접지 평면 전극(214)의 상응하는 형상의 탭 부분(214a) 아래에는 상기 하부 양극(212)의 탭 부분(212a)이 존재한다. 상기 2개의 탭 부분(212a, 214a) 사이의 중첩은 상기 수중청음기의 활성 영역을 형성하며, 이는 음향 에너지에 노출된 경우에 신호를 생성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상기 서로 중첩하는 양극 및 접지 전극의 면적은 약 900제곱 마이크론이다. 그러나 본원에 개시된 수중청음기의 기타 실시형태의 중첩 면적은 약 100제곱 마이크론 내지 약 10,000제곱 마이크론 범위일 수 있다. 그러나 보다 크거나 작은 중첩 영역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활성 영역의 최적의 크기는 분석될 초음파 변환기의 작동 주파수에 의존한다. 상기 활성 영역이 너무 작은 경우, 민감도가 너무 낮을 수 있으며, 그 결과 허용 불가능한 SNR, 불확실성의 증가 및 시험 시간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활성 영역이 너무 큰 경우에는 공간 평균화(spatial averaging)로 인해 부정확성이 허용 불가능한 공간 및 스펙트럼 불확실성을 야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접지 평면(214)의 탭 부분(214a)과 상기 막의 상부 표면 상의 양극(210) 사이에는 간극(211)이 존재한다. 유사하게, 상기 양극(12)의 탭 부분(212a)과 상기 막의 하부 표면 상의 주변 접지 평면(216) 사이에는 간극(213)이 존재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간극(211, 213)들은 상기 전극들의 중첩 부분(예를 들어, 활성 영역)이 일반적으로 정사각형이 되도록 직선형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간극들은 상기 활성 영역이 일반적으로 원형이 되도록 곡선일 수 있다. 상기 활성 영역의 기타 형상(타원형, 별 모양 등)은 또한 패터닝 도구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간극(211 및 213)들은 약 5㎛의 유사한 너비를 갖는다. 그러나 이들은 약 1.5㎛ 만큼 작거나 최대 100마이크론 만큼 클 수 있다. 상기 간극(211)은 상기 간극(213)과 동일한 너비를 가질 수 있거나. 이들은 서로 다른 너비를 가질 수 있다. 탭(212a 및 214a)들의 중첩 영역에 의해 한정되는 상기 활성 영역의 길이와 결합된 상기 간극의 너비는 상기 막 내의 비정상적인 전계 구성성분들을 설명함으로써 상기 활성 영역의 유효 스팟 크기를 제어하기 위해 간극(211 및 213)들과 함께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사각형의 유효 활성 영역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탭(212a 및 214a)의 너비에 대한 간극(211 및 213)의 근위 가장자리들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킴으로써 보다 작은 중첩 길이를 이용할 수 있다.
전기 전도체(224)는 고주파 초음파 신호에 노출되는 경우에 상기 전극의 중첩 영역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증폭하는 광대역 완충 증폭기(미도시)에 상기 신호 전극(210, 212)을 연결한다. 상기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도체(224)는 상기 수중청음기의 밑면 상의 양극(212)에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 전도체는 상기 수중청음기의 상부 표면 상의 양극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신호 전극은 상기 신호와 접지 전극 사이에 어떠한 DC 오프셋(offset)도 존재하지 않는 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광대역 완충 증폭기에 용량적으로 결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신호 전극은 약 10nF 값을 갖는 직렬형 축전기(226)에 의해 광대역 증폭기의 입력부에 연결될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요구되는 주파수 및 임피던스 특성에 따라 기타 값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접지 평면(214, 216)들은 솔더(solder)로 상기 막을 지지하는 상기 프레임에 대해 단락되어 있다. 상기 증폭기로부터의 신호는 동축 케이블 또는 기타 전기 전도체에 의해 수신용 전자제품(미도시)에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수신용 전자제품은 초음파 변환기에 의해 생성된 빔 패턴을 특성화하기 위해 상기 신호를 저장하고 분석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성형 막 수중청음기는 포스트(228)에 안착되며, 이때 상기 포스트(228)는 시험될 변환기에 대해 다양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이동식 스테이지에 상기 수중청음기가 장착 가능케 한다. 도 5a는 일정 비율로 추가로 도시되며, 상기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T-자형 전극의 길이는 대략 7.5㎜인 반면, 상기 전극 중첩 부분의 길이는 대략 30㎛이다. 비교를 위해, 해변 모래의 입자는 100㎛ 이상의 크기이다. 따라서 정밀한 패터닝 도구는 상기 막 상에 중첩 영역을 정확하게 형성하기 위해 요구된다.
상기 전극 패턴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막 상의 전도성 코팅은 레이저에 의해 패터닝되며, 이때 상기 레이저는 전도체를 제거하지만 상기 막 자체에 대해 손상을 입히지 않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 1 레이저 펄스는 상기 막의 상부 표면 상의 전도체를 제거하고, 동일한 위치(및 상기 막의 동일한 측면)에 있는 제 2 펄스는 상기막의 하부 표면 상의 전도체를 제거한다. 따라서 상기 T-자형 전극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이중 펄스는 상기 T-자형 전극(210, 212)의 형상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T-자형 전극(210)의 말단과 상기 접지 평면(214)의 탭 부분(214a) 사이에 간극(211)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레이저 펄스의 크기는 상기 간극의 목적하는 크기로 설정되며, 단일 펄스는 상기 레이저가 이동하면서 상기 막의 상부 표면 상의 전도체만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레이저 펄스의 정밀한 제어에 의해 상기 막의 오직 하나의 측면 상의 전극 물질의 제거가 보장되며, 따라서 다른 측면 상의 전극은 손상되지 않은 채로 남게 된다.
상기 하부 T-자형 전극(212)의 탭 부분(212a)과 상기 주변의 접지 평면(216) 사이의 간극(213)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막은 뒤집혀지며, 단일 펄스는 상기 막의 하부 표면 상의 전도체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전도체가 제거된 경우에 상기 막은 가시광선 및 자외선 둘 모두에 대해 실질적으로 투과성이기 때문에 레이저의 정렬 시스템에 의해 막의 등록(registration)이 단순화된다. 게다가, 대부분의 상부 및 하부 전극이 상기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막의 동일한 측면으로부터 패터닝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 및 하부 전극의 정렬은 고도로 정확하다. 정확한 전극의 한정 및 작고 정밀한 간극(211 및 213)들은 상기 활성 영역의 치수가 상기 막의 두께에 근접하게 됨에 따라 중요성을 갖는 고도로 정확하고 예측 가능한 활성 영역을 허용하며, 그 결과 비정상적인 전계 구성성분들의 정밀한 제어 및 최소화를 가능케 한다.
비록 상기 개시된 실시형태에서 T-자형 전극들이 사용될지라도 "I-자형" 또는 "L-자형" 전극과 같은 형상 또는 기타 형상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인지될 것이다.
상기 압전막의 양 측면 상의 이중 전극의 사용은 상기 수중청음기의 구성에서 예비 분극된 막을 사용할 때에 특히 유리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상기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 상기 서로 중첩하는 전극들은 신호 전극 흔적을 함유하는 막의 모든 영역 및 상기 접지 전극을 함유하는 모든 영역에서 제로(또는 제로에 근접한) 전계 조건을 강요한다. 몇몇 이전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극 및 얇은 압전막에 연결하는 환충 회로 중의 물의 미미한 전도성 및 민감한 전자제품으로 인해 상기 이중 전극이 없는 수중청음기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접지 전극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임의의 비감쇠 신호 흔적이 의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조건은 상기 활성 영역으로부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요구되는 민감한 전자제품에서 매우 소량의 전하가 검출됨에 따라 상기 개시된 고주파 수중청음기들에서 바람직한 얇은 압전막의 사용에 의해 특히 악화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분극되지 않은 필름과 함께 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극들이 생성되고, 상기 활성 영역은 상기 활성 영역에 인가된 전압과 온도의 적절한 조합을 이용하여 스팟 분극된다. 이중 전극 설계와 함께 분극되지 않은 필름을 사용하여 스팟 분극 이후에 탭(214a 및 212a) 및 간극(211 및 213)들에 의해 한정된 매우 정확하게 한정된 활성 중첩 영역 외부의 신호를 사실상 제거한다.
상기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극 설계에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활성 영역은 개발용 수중청음기의 레이저 제작을 단순화하기 위해 이용되었다. 상기 개시된 기법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원형 전극을 제조하기 위해 조정될 수 있다. 광절제(photoablation) 레이저 마스크를 통해 제조될 수 있는 임의의 전극 형상(예를 들어, 원형, 정사각형, 타원형 또는 심지어는 별 모양)은 압전막을 통한 금속성 전도체의 제거(절단 막 없이 막을 통한 등록)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전도체의 제거는 약한 금속 식각액(예를 들어, 5% 아세트산)에 의해 추가로 증강되며, 이때 상기 식각액은 레이저에 의해 광절제되었던 영역에 어떠한 전도성 금속도 잔류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완성된 전극 패턴에 도포된다. 상기 레이저에 의해 상기 금속 전극을 100% 제거하는 것이 가능할지라도 상기 전극의 100% 제거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레이저를 완벽하게 튜닝(tuning)하는 것은 고무적이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수중청음기 막은 100 내지 200옹스트롬의 금속을 제거하기 위해 설계된 약한 화학적 식각액에 침지하며, 그 결과 광절제 이후에 남아있을 수 있는 전극의 임의의 잔류물이 상기 막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다는 것이 보장된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화학적 식각 공정은 목적하는 바와 같이 물질 제거를 최적화하는 다수의 방식으로 미세하게 조정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막의 양 측면 상의 전극들은 얇은 포토레지스트(photo resist), 또는 습식 식가 물질을 견딜 수 있는 기타 물질 내에서 코팅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이저는 목적하는 전극 패턴을 생성하도록 상기 레지스트 및 전도체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가 인지하는 바와 같이, 이 같은 레지스트 층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에서 사용된 습식 식각액은 상기 목적하는 나머지 전극들의 열화에 대한 위험성 없이 훨씬 더 공격적이 될 수 있다. 상기 서로 중첩하는 전극 영역(212a 및 214a)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 특별한 간극 영역에서 이러한 방법이 이용되기 위해서는 상기 레지스트에 의한 레이저 에너지의 흡수를 적절히 처리하기 위해 상기 포토레지스트와의 레이저 상호작용을 이해하도록 주의해야 한다. 그러나 레지스트는 상부 및 하부 전극 둘 모두가 다중 레이저 펄스에 의해 제거되어야 하는 임의의 영역에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습식 식각액은 본원에 개시된 개구부가 작은 수중청음기의 구성을 위해 사용된 얇은 중합체 막들과의 화학적 및 열적 상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신중하게 선택되어야 한다.
본원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막의 전면 및 배면 상의 전도체가 상기 막의 동일한 측면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전극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 레이저의 특성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수중청음기의 전면 및 배면 둘 모두로부터 전극 물질의 거의 완벽하게 등록된 영역을 제거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이는 실질적으로 전극 패턴 전체가 상기 막의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생성되도록 하며, 그 결과 상기 수중청음기의 배면에 대한 상기 수중청음기의 전면의 서브마이크론 수준의 정확도가 보장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서로 중첩하는 전극을 전후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바이어스를 포함한다. 상기 바이어스는 레이저 또는 기타 수단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전극과 배면 전극을 전도성 있게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 전도성 에폭시 또는 기타 전도성 수단(스퍼터링, 와이어 등)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비록 상기 하나의 측면 상의 전극을 상기 다른 측면 상의 상응하는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바이어스(예를 들어, 와이어)를 제외한 수단이 이용되어야 할지라도 바이어스는 기계적 응력이 거의 없이 막을 통해 절단되도록 단순히 레이저를 이용하여 매우 낮은 임피던스 및 낮은 인덕턴스(inductance) 연결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 같이 낮은 인덕턴스 및 낮은 임피던스 연결로 인해 고도로 역학적인 RF 조건에서도 상기 막은 상기 전극들 사이의 제로에 근접한 전계에 클램핑될 수 있다는 것이 보장된다.
상기 전극 패턴 및 바이어스가 완성된 이후, 일 실시형태는 실리콘과 같은 중합체성 탄성중합체(126)가 구비된 배면 또는 하부 전극을 포함하며, 그 결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신호 및 접지 전극을 포함하게 된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일부 실리콘은 물에 대한 매우 양호한 음향 정합을 나타내며, 상기 신호 전극이 단일 전극 절연 밴드(isolation band)의 영역에서 임의의 의사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방지하는 매우 높은 전기 절연 특성과 함께 고주파에서의 상대적으로 높은 음향 손실을 나타낸다. 상기 실리콘은 또한 상기 전극 및 막을 마모 또는 파손으로부터 보호하고 상기 막의 강성을 상당히 증강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 결과 스캐닝 시스템을 위한 보다 신속한 스캐닝 및 덜 엄격한 진동 감소 사양이 허용된다. 기타 중합체들, 예를 들어 TPX 또는 LDPE와 같이 물과 충분히 정합되는 에폭시 또는 공업용 플라스틱 또는 폴리우레탄 또는 라텍스 물질과 같은 탄성중합체, 또는 특별히 개발된 음향 중합체 물질들은 이들이 물과 충분히 정합되고 낮은 응력에 의해 상기 얇은 수중청음기 막에 도포(예를 들어, 액체 형태로 붓거나 적소에서 경화됨)될 수 있는 한 음향 지지재 또는 커버재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막의 상부 표면 상의 양극의 일부분은 또한 음향 정합 탄성중합체(126)에 의해 커버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탄성중합체는 현미경 하에 이쑤시개 또는 기타 소형의 도포장치를 이용하여 상부 전극 상에 도포한다. 그러나 기타 정밀 물질 증착 도구들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인지될 것이다. 상기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 상기 수중청음기의 활성 영역 상에는 음향 정합 탄성중합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극들은 UV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코팅된 P(VDF TrFE) 막 상에 패터닝되며, 이때 상기 UV 레이저는 제 1 펄스에서 상기 막의 전면부로부터 상기 전극 물질을 제거하고 제 2 펄스에서 상기 막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전극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조정되며, 그 결과 상기 막 자체는 손상되지 않은 채로 남게 된다. 상기 전면 전극의 단일 영역은 상기 막의 전면 상의 접지 평면/전극으로부터 신호 전극을 단리하기 위해 상기 막으로부터 제거된다. 이어 상기 막은 뒤집혀지고, 상기 막의 배면 상의 패턴(이는 투명한 막을 통해 레이저 절제에 의해 생성됨)에 대해 시각적으로 정렬된다. 일단 정렬되면 상기 배면 전극의 단일 영역은 상기 막의 배면 상의 접지 평면/전극으로부터 신호 전극을 단리하기 위해 제거된다. 상기 막의 전면 상의 접지 전극 패턴의 일부분은 상기 막의 배면 상의 신호 전극 패턴의 일부분과 중첩한다(또는 그 반대로 중첩함). 이는 상기 신호 및 접지 전극이 중첩하는 상기 막 상의 유일한 장소이다. 전극이 존재하지만 서로 중첩되지 않는 상기 막 상에는 단지 2개의 장소가 존재한다(예를 들어, 서로 중첩하는 전극을 한정하는 작은 단리 영역 또는 간극(211 및 213)).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도성 물질은 1,900옹스트롬의 두께로 도포되는 Cr/Au이다(기타 전도성 물질 및 두께가 사용될 수 있음). 상기 전도성 물질은 마스크를 통해 작용하는 엑시머 레이저에 의한 절재 및 상기 막의 하나의 측면으로부터의 10x 축소 광학계에 의해 상기 막의 전면 및 배면 둘 모두로부터 제거된다. 레이저 파장은 248㎚로 설정되고, 플루언스(fluence)는 절제 문턱값(ablation threshold) 미만이 되도록 선택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플루언스는 0.25J/㎠가 되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펄스 특징은 상기 전극 물질이 상기 배면 표면 상의 전극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단일 펄스에서 상기 막의 전면 표면으로부터 제거되도록 한다. 이어 제 2의 동일한 펄스는 상기 막의 배면 표면으로부터 전도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상기 막 자체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근법에 따르면 상기 막의 반대 측면 상의 서로 중첩된 전극의 가장자리를 정렬하는 난제가 제거된다.
레이저 출력/파장/플루언스의 기타 조합은 하부 전극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상부 전극을 제거하거나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 둘 모두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목표는 압전 성분으로 사용되는 중합체 막에 의해 유의하게 흡수되지 않지만 전극 물질에 의해 강하게 흡수되는 레이저 펄스를 이용하는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약 15나노초(ns) 기간의 펄스를 갖는 248㎚ 엑시머 레이저가 사용되었다. 부가적으로, 광절제의 사용은 복잡한 패턴이 상기 막 상에 집속하도록 하며, 따라서 간극이 단일 펄스에서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고주파 막 수중청음기는 이의 반대 측면 상에 전도성 물질을 갖는 압전막을 포함한다. 상기 막의 각 측면으로부터 상기 전도체를 절제함으로써 전극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전면 표면에 대한 절제 및 배면 표면의 막-통과 절제를 통해 전면 및 배면 전극 물질 상에 하나 이상의 등록 특징부를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며, 그 결과 전면 및 배면 측면의 기준점의 우수한 등록이 보장된다. 상기 압전막의 제 1 측면은 상기 전도성 물질 중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되는 제 1 전극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압전막의 제 2 측면은 상기 전도성 물질 중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되는 제 2 전극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패턴들은 상기 수중청음기의 활성 영역에서 중첩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상기 수중청음기의 활성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 상기 압전막을 "탈분극"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도 7은 상기 막의 압전 반응을 줄이는 방식으로 영역(302)에 대해 레이저 처리된 압전막(300)의 일부분을 나타낸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처리는 상기 수중청음기의 활성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일어난다. 상기 처리는 상기 막에 대해 전도성 코팅을 도포하기 전에 수행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기준점(310, 312)은 일단 전극 패턴이 형성되면 상기 수중청음기의 활성 영역이 미처리 상태로 남아 있는 영역 상에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막 내에 생성된다.
상기 레이저에 의해 수행된 처리에 의해 상기 막이 수신된 음향 에너지에 대해 덜 반응성을 나타내도록 상기 압전막이 개질된다. 이는 상기 활성 영역에 의해 생성된 인공물을 제외한 상기 전극의 영역에 의해 생성된 인공물을 감소시킨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영역(302)에서의 처리는 0.5 내지 1J/㎠의 레이저 플루언스 및 약 20Hz의 펄스 반복 주파수로 약 15ns 동안 일련의 펄스에 의해 상기 압전막을 패터닝함으로써 수행된다.
도 8은 원격 컴퓨터 시스템(미도시)에서 전자제품의 가공을 위해 전송되기 이전에 상기 수중청음기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수신하고 버퍼링하기 위한 회로를 나타낸다. 상기 회로는 완충 증폭기(400)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완충 증폭기(400)는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수중청음기의 양극에 축전기(226)를 경유하여 연결되어 있는 양의 입력부를 구비한 단위 이득 구성(unity gain configuration)으로 연결된 집적 회로(모델 번호: AD8045, 아날로그디바이시스(Analog Devices)사 제조)이다. 상기 수중청음기 상의 음극은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접지에 연결된다. 동축 케이블(406)은 상기 완충 증폭기(400)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추가적인 신호 가공 회로(프리앰프(pre-amp), A/D 컨버터(converter), DSP 등)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완충 증폭기가 장착된 인쇄 회로 기판용 접지뿐만 아니라 상기 완충 증폭기용 양의 전압 및 음의 전압 공급장치는 개별 와이어에 의해 공급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수중청음기의 지지체(126)로 운반된다. 상기 회로 기판 전체는 상기 회로가 수중에서 작동하도록 내수성 밀봉재 내에 넣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구성된 수중청음기의 대안적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그리드 수중청음기는 상기 막의 각 표면 상의 다수의 얇은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개개의 전극들은 상기 수중청음기의 다수의 활성 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의 위치에서 서로 중첩한다. 상기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 다수의 양극(500a, 500b...500f)은 상기 막의 하나의 측면 상에 패터닝되고, 다수의 음극은 상기 막의 다른 측면 상에 형성된다. 상기 수중청음기의 활성 영역은 양극과 음극이 중첩하는 각각의 위치에서 형성된다. 인지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전극 각각은 멀티플렉서(multiplexer) 등을 이용하여 개별 완충 증폭기 또는 공통의 완충 증폭기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도 9에 도시된 어레이-유형의 수중청음기는 양극 및 음극이 수신용 전자제품에 연결되어야 할 장소를 선택함으로써 다중 위치가 샘플링되도록 하며, 상기 수중청음기 자체는 이동되어서는 안 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서로 중첩하는 전극은 상기 막의 각 측면을 패터닝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거나, 상기 양 측면으로부터 물질의 제거가 요구되는 영역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필름의 단일 측면으로부터 패터닝될 수 있다.
보다 높은 고주파 초음파에서 부가적인 임상적 용도를 발견함에 따라 고주파 초음파 변환기가 환자에 대해 사용하기에 안전하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시험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상기 개시된 기술은 이들이 20 내지 50MHz 이상의 중심 주파수를 갖는 이들 고주파 초음파 변환기로부터 빔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막 수중청음기가 소형의 충분한 활성 영역을 갖도록 제조되게 한다.
상술한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들은 본원에서 예시를 목적으로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인지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외하고는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17)

  1. 고주파 초음파 변환기로부터 음향 에너지를 측정하기 위한 막 수중청음기(membrane hydrophone)로서,
    프레임;
    제 1 측면 및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측면을 구비하고 압전막(piezoelectric membrane)의 양 측면 상에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압전막; 및
    상기 전도성 물질 내에 형성되고 상기 수중청음기의 활성 영역을 한정하기 위해 상기 압전막의 반대 측면 상에서 서로 중첩하고 있는 제 1 및 제 2 전극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전극 패턴은 상기 압전막의 양 측면 상에 생성되고 상기 활성 영역을 제외하고 서로 중첩되어 있고,
    상기 제 2 전극 패턴은 상기 압전막의 양 측면 상에 생성되고 상기 활성 영역을 제외하고 서로 중첩하고 있는 막 수중청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막의 각 측면 상의 제 1 전극 패턴들은 전기적으로 함께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수중청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막 내에 하나 이상의 전도성 바이어스(vias)를 더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전도성 바이어스는 상기 압전막의 각 측면 상의 제 1 전극 패턴들을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수중청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청음기의 활성 영역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완충 증폭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완충 증폭기에 대한 입력부는 상기 막 상의 전극 패턴에 용량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수중청음기.
  5. 제 1 항에 있어서, 레이저에 의해 상기 압전막 내로 절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등록 특징부(registration featur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수중청음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청음기의 활성 영역은 1,600제곱 마이크론(square micron) 미만의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수중청음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청음기의 활성 영역은 900제곱 마이크론 미만의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수중청음기.
  8. 고주파 초음파 변환기로부터 음향 에너지를 측정하기 위한 막 수중청음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프레임을 가로질러 압전막을 신장하는 단계;
    상기 압전막의 제 1 및 제 2 측면에 도전층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수중청음기의 활성 영역에서 중첩하는 제 1 및 제 2 전극 패턴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압전막 상의 도전층의 일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도전층은 상기 도전층에 레이저 에너지를 인가하여 상기 도전층의 일부분을 제거하고 상기 압전막을 온전하게 유지함으로써 제거되는 고주파 초음파 변환기로부터 음향 에너지를 측정하기 위한 막 수중청음기를 제조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상기 압전막의 제 1 측면 상에 제 1 전극 패턴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막의 제 1 측면 상의 도전층에 레이저 에너지를 인가하고;
    상기 압전막의 제 2 측면 상에 제 1 전극 패턴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도전층이 상기 압전막의 제 1 측면으로부터 제거되었던 위치에서 상기 압전막의 제 1 측면에 레이저 에너지를 인가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제거되되,
    상기 압전막의 제 1 및 제 2 측면 상의 제 1 전극 패턴은 상기 수중청음기의 활성 영역을 제외하고 서로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스퍼터링 도구에 의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들은 상기 도전층의 일부분이 레이저에 의해 상기 압전막으로부터 제거된 이후에 상기 압전막에 화학적 식각액을 도포함으로써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들은 레지스트 층의 레이저 패터닝과 화학적 식각의 조합에 의해 상기 압전막으로부터 전도성 코팅을 제거함으로써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막의 각 측면 상의 전극 패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압전막 내에 전도성 바이어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의 도포 이전에 상기 수중청음기의 활성 영역을 제외한 막의 압전 특징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압전막의 영역들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막 상의 제 1 및 제 2 전극 패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막의 활성 영역을 스팟 분극(spot polling)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고주파 초음파 변환기로부터 음향 에너지를 측정하기 위한 막 수중청음기로서,
    압전막;
    상기 압전막의 하나의 표면 상의 제 1 전극;
    상기 압전막의 다른 표면 상에 형성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은 10 내지 30마이크론의 직경을 갖는 영역에서 중첩하고 있는 제 2 전극; 및
    상기 압전막을 통해 절단되고 전극 패터닝 도구에 의해 상기 압전막이 정렬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등록 특징부를 포함하는 고주파 초음파 변환기로부터 음향 에너지를 측정하기 위한 막 수중청음기.
  17. 고주파 초음파 변환기로부터 음향 에너지를 측정하기 위한 막 수중청음기로서,
    압전막;
    상기 압전막의 하나의 표면 상의 다수의 전극; 및
    상기 압전막의 다른 표면 상에 형성되며, 이로 인해 상기 표면 상의 전극들이 활성 영역의 그리드 패턴에서 중첩하고 있는 다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고주파 초음파 변환기로부터 음향 에너지를 측정하기 위한 막 수중청음기.
KR1020187005214A 2015-08-18 2016-08-18 고주파 초음파용 막 수중청음기 및 제조 방법 KR201800317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06808P 2015-08-18 2015-08-18
US62/206,808 2015-08-18
US201662297763P 2016-02-19 2016-02-19
US62/297,763 2016-02-19
PCT/US2016/047650 WO2017031375A1 (en) 2015-08-18 2016-08-18 Membrane hydrophone for high frequency ultrasound and method of manufa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746A true KR20180031746A (ko) 2018-03-28

Family

ID=58051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5214A KR20180031746A (ko) 2015-08-18 2016-08-18 고주파 초음파용 막 수중청음기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451476B2 (ko)
EP (1) EP3338068B1 (ko)
JP (1) JP6851368B2 (ko)
KR (1) KR20180031746A (ko)
CN (1) CN107923788B (ko)
HK (1) HK1255491A1 (ko)
TW (1) TWI709730B (ko)
WO (1) WO20170313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09730B (zh) 2015-08-18 2020-11-11 美商富士膠片索諾聲公司 用於高頻超音波的膜水下聽音器及其製造方法
US11579011B2 (en) 2016-02-19 2023-02-14 Fujifilm Sonosite, Inc. Membrane hydrophone for high frequency ultrasound and method of manufacture
WO2019126477A2 (en) * 2017-12-22 2019-06-27 Lawrence Fishman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underwater sound pressure
EP4034307A4 (en) * 2019-09-23 2023-10-11 Fujifilm Sonosite, Inc. MEMBRANE HYDROPHONE FOR HIGH-FREQUENCY ULTRASOUN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7665A (en) 1980-11-24 1985-05-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coustically transparent hydrophone probe
US4433400A (en) * 1980-11-24 1984-02-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coustically transparent hydrophone probe
US4653036A (en) * 1984-10-23 1987-03-2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Transducer hydrophone with filled reservoir
CN85100712B (zh) * 1985-04-01 1987-12-16 中国科学院声学研究所 复合陶瓷宽带水听器及其工艺
CN85200264U (zh) * 1985-04-01 1985-11-10 南京工学院 多层平面的压电薄膜水听器
FR2614152B1 (fr) * 1987-04-14 1991-06-14 Thomson Csf Procede de compensation d'un circuit a amplificateur de charge notamment pour hydrophone piezoelectrique
FR2625640B1 (fr) * 1987-12-30 1990-06-22 Inst Francais Du Petrole Capteur piezo-electrique tubulaire a grande sensibilite
DE3931578A1 (de) 1989-09-22 1991-04-04 Wolf Gmbh Richard Piezoelektrisches membran-hydrophon
JPH0432726A (ja) 1990-05-30 1992-02-04 Toshiba Corp ハイドロホン
EP0546696A1 (en) * 1991-12-13 1993-06-16 Hewlett-Packard Company Process for lithography on piezoelectric films
US5339290A (en) * 1993-04-16 1994-08-16 Hewlett-Packard Company Membrane hydrophone having inner and outer membranes
US5381386A (en) * 1993-05-19 1995-01-10 Hewlett-Packard Company Membrane hydrophone
US5479377A (en) 1994-12-19 1995-12-26 Lum; Paul Membrane-supported electronics for a hydrophone
US20030036746A1 (en) * 2001-08-16 2003-02-20 Avi Penner Devices for intrabody delivery of molecules and systems and methods utilizing same
US7296329B1 (en) * 2000-02-04 2007-11-20 Agere Systems Inc. Method of isolation for acoustic resonator device
US6355498B1 (en) * 2000-08-11 2002-03-12 Agere Systems Guartian Corp. Thin film resonators fabricated on membranes created by front side releasing
US6674291B1 (en) * 2000-10-30 2004-01-06 Agere Systems Guardian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d/or improving high power reliability in thin film resonator devices, and a thin film resonator device resultant therefrom
JP4496091B2 (ja) * 2004-02-12 2010-07-07 株式会社東芝 薄膜圧電アクチュエータ
JP4591157B2 (ja) * 2005-03-31 2010-12-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配線基板及びこれを用いた入力装置とその製造方法
TWI328972B (en) * 2006-02-27 2010-08-11 Univ Nat Cheng Kung Analytical back scattering arrayed ultrasound transducer (absaut)
CN2919209Y (zh) 2006-05-22 2007-07-04 华中科技大学 压电谐振膜片式传感器
US9619064B2 (en) * 2012-10-26 2017-04-11 Corning Incorporated Structure with integrated acoustics function
TWI709730B (zh) 2015-08-18 2020-11-11 美商富士膠片索諾聲公司 用於高頻超音波的膜水下聽音器及其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09730B (zh) 2020-11-11
JP6851368B2 (ja) 2021-03-31
CN107923788B (zh) 2021-10-08
EP3338068A1 (en) 2018-06-27
EP3338068A4 (en) 2019-05-22
US20170052061A1 (en) 2017-02-23
TW201716753A (zh) 2017-05-16
CN107923788A (zh) 2018-04-17
EP3338068B1 (en) 2023-03-01
HK1255491A1 (zh) 2019-08-16
WO2017031375A1 (en) 2017-02-23
US10451476B2 (en) 2019-10-22
JP2018534800A (ja) 2018-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24596B (zh) 超聲波探頭、超聲波成像設備及其製造方法
KR20180031746A (ko) 고주파 초음파용 막 수중청음기 및 제조 방법
JP7362659B2 (ja) デュアル周波数超音波トランスデューサ
US11579011B2 (en) Membrane hydrophone for high frequency ultrasound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0353131B1 (ko) 어포다이즈된수직포커스를갖는초음파트랜스듀서어레이
EP2614897A2 (en) Ultrasonic prob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ilkens et al. Broadband PVDF membrane hydrophone for comparisons of hydrophone calibration methods up to 140 MHz
JPH0730999A (ja) 超音波プローブ
US7223243B2 (en) Thin film ultrasonic transmitter/receiver
JPH11155863A (ja) 超音波探触子
CN114423530B (zh) 高频超声波用膜式水听器及其制造方法
Zanelli et al. A robust hydrophone for HIFU metrology
Jiang et al. Micromachined PMN-PT single crystal composite transducers--15–75 MHz PC-MUT
Roa et al. Fine pitch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patterning for miniaturized endoscopic MicroUltrasound arrays
JP2013154139A (ja) 光音響画像化装置および光音響画像化装置用プローブ
JP7014178B2 (ja) アレイ型超音波振動子、超音波プローブ、超音波カテーテル、手持ち手術器具及び医療機器
JP3808456B2 (ja) 超音波探触子の製造方法
Shung et al. High-frequency ultrasonic transducers and arrays
Takeuchi et al. Hydrophone with hydrothermally deposited lead zirconate titanate poly-crystalline film on titanium film as acoustic receiving surface for estimation of high power acoustic field by HIFU
Wilkens et al. 2F-1 Constr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Broadband Reference PVDF Membrane Hydrophone for Comparisons of Hydrophone Calibration Methods up to 140 MHz
Devaraju Design,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wideband polymer ultrasonic probes for medical ultrasound applications
Devaraju Identification of primary measurement errors and uncertainties during ultrasonic hydrophone probe calib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