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1519A - Electric control piston valve for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 Google Patents

Electric control piston valve for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1519A
KR20180031519A KR1020160120288A KR20160120288A KR20180031519A KR 20180031519 A KR20180031519 A KR 20180031519A KR 1020160120288 A KR1020160120288 A KR 1020160120288A KR 20160120288 A KR20160120288 A KR 20160120288A KR 20180031519 A KR20180031519 A KR 20180031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main
back pressure
chamb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2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75636B1 (en
Inventor
이종우
김은중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0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636B1/en
Publication of KR20180031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5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6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16F9/463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characterised by electric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electronic control valve for a damping force variable-typ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control valve for a damping force variable-type shock absorber, which is mounted at a front end of a piston rod in a cylinder housing and changes damping force of a shock absorber in a hard mode or a soft mode by changing a path of working fluid in the cylinder housing, comprises: an electronic actuator mounted at a front end of the piston rod; a spool and a spool guide operated by the electronic actuator; a piston provided 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pool guide to divide the inside of the cylinder housing into a compression chamber and a tension chamber; first and second main valves installed 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ool guide to correspond to both sides of a stroke direction of the piston and generating a movement resistance on the working fluid passing through a main orifice; and first and second back pressure chambers including back pressure chambers formed therein to correspond to outer side of the stroke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valves; and first and second low speed control valves installed 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ool guid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in valves and the piston and generating a movement resistance on the working fluid on a bypassing path in the soft mode.

Description

감쇠력 가변식 쇽 업소버용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ELECTRIC CONTROL PISTON VALVE FOR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control piston valve for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감쇠력 가변식 쇽 업소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드 모드의 감쇠력 특성과는 상관없이 소프트 모드의 저속 감쇠력 특성을 자유롭게 튜닝할 수 있도록 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 업소버용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piston valve for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capable of freely tuning a low speed damping force characteristic of a soft mode regardless of a damping force characteristic of a hard mode will be.

일반적으로 쇽 업소버는 차량의 현가계에 설치되어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 및 완충하는 기능을 갖는다. Generally, the shock absorber has a function of absorbing and cushioning vibrations and shocks transmitted from the road surface while being installed on the current household of the vehicle.

쇽 업소버는 실린더 하우징과, 실린더 하우징 내부에서 압축방향과 인장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설치된 피스톤 밸브, 및 상기 피스톤 밸브에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하우징과 피스톤 로드가 각각 차륜 측 너클과 차체 사이에 연결된다.The shock absorber includes a cylinder housing, a piston valve installed to operate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and a tensile direction within the cylinder housing, and a piston rod connected to the piston valve, wherein the cylinder housing and the piston rod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wheel side knuckle Lt; / RTI >

도 1은 일반적인 쇽 업소버의 단면도이다. 1 is a sectional view of a general shock absorber.

도 1을 참조하면, 쇽 업소버(1)는 내부에 작동유체가 충진된 실린더 하우징(2)과, 실린더 하우징(2)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밸브(4), 및 일단이 실린더 하우징(2) 내부에서 피스톤 밸브(4)에 연결되고, 타단이 실린더 하우징(2) 외부에서 차체 일측에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3)를 포함한다. 1, the shock absorber 1 includes a cylinder housing 2 filled with a working fluid therein, a piston valve 4 reciprocating in the cylinder housing 2, And a piston rod 3 connected to the piston valve 4 in the insid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outside the cylinder housing 2. [

이때, 실린더 하우징(2)은 내부관(2a)과 외부관(2b)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린더 하우징(2)의 하부에는 피스톤 밸브(4)에 대향하도록 베이스 밸브(5)가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cylinder housing 2 can be composed of the inner tube 2a and the outer tube 2b, and the base valve 5 is installed below the cylinder housing 2 so as to face the piston valve 4.

한편, 실린더 하우징(2) 내부는 피스톤 밸브(4)에 의해 인장 챔버(C1)와 압축 챔버(C2)로 구획되는데, 피스톤 밸브(4)가 실린더 하우징(2) 내에서 왕복 운동할 때, 피스톤 밸브(4)에 형성되어 있는 오리피스(미도시)를 통해 작동유체가 인장 챔버(C1)로부터 압축 챔버(C2)로, 또는 압축 챔버(C2)로부터 인장 챔버(C1)로 유동하면서 감쇠력을 발생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ior of the cylinder housing 2 is partitioned into a tension chamber C1 and a compression chamber C2 by a piston valve 4. When the piston valve 4 reciprocates in the cylinder housing 2, The working fluid is caused to flow from the tension chamber C1 to the compression chamber C2 or from the compression chamber C2 to the tension chamber C1 through an orifice (not shown) formed in the valve 4 to generate a damping force do.

이러한 쇽 업소버는 감쇠력이 낮게 설정되면, 주행 시 노면의 요철 등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감쇠력이 높게 설정되면, 차체의 자세 변화가 억제되어 조종 안정성이 향상되는 특성이 있다.When the damping force is set low, such a shock absorber can improve the ride comfort by absorbing the vibration caused by the unevenness of the road surface during driving, and conversely, when the damping force is set high,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body is improved by suppressing the attitude change of the vehicle body .

최근에는 아래 특허문헌(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제1563963호(등록일 2015.10.22))과 같이, 쇽 업소버의 일측에 감쇠력 특성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가 적용된 감쇠력 가변식 쇽 업소버가 개발되어 노면 조건이나 주행 상태 등에 따라 감쇠력 특성을 적절하게 조정하는 스카이 훅 제어(sky hook control)를 통해 승차감이나 조종 안정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Recently,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piston valve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appropriately adjust the damping force characteristic on one side of the shock absorber, as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563963 The riding feeling and the steering stability are improved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sky hook control which appropriately adjusts the damping forc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road surface condition and the running condition.

그런데, 종래의 감쇠력 가변식 쇽 업소버에 적용되는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는 소프트 모드(Soft Mode) 제어 시, 감쇠력 특성이 리테이너를 통과하는 유체의 오리피스 효과에 영향을 받으며, 하드 모드(Hard Mode) 제어 시, 감쇠력 특성이 배압 챔버(Pilot Chamber)에 걸리는 압력의 영향을 받는다.However, the conventional electronic control piston valve applied to the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is affected by the orifice effect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retainer in the soft mode control, , And the damping force characteristic is influenced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ilot chamber.

이때, 상기 파일럿 챔버(Pilot Chamber)에 걸리는 압력은 상기 리테이너를 통과한 유량에도 영향을 받는 바, 결국은 소프트 모드의 저속 감쇠력을 임의로 조절하면, 하드 모드의 감쇠력도 함께 변동되어 모드별 감쇠력 튜닝의 자유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At this tim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ilot chamber is also influenced by the flow rate through the retainer. If the low speed damping force of the soft mode is arbitrarily adjusted, the damping force of the hard mode is also varied, The degree of freedom is lowered.

이러한 감쇠력 가변식 쇽 업소버용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의 모드별 감쇠력 특성은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을 참조하면 확인할 수 있다.The damping force characteristic of each mode of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piston valve for the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can be confirm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제1563963호(등록일 2015.10.22)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563963 (Registered on October 22, 2015)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tter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section are intend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not previous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상하 양측으로 설치되는 각 메인 밸브 사이에 각 저속 제어 밸브를 추가 구성하여 하드 모드 제어와는 상관없이, 소프트 모드 제어 시에만 저속 감쇠력을 자유롭게 튜닝할 수 있도록 한 감쇠력 가변식 쇽 업소버용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low speed damping force can be freely tuned only at the time of the soft mode control regardless of the hard mode control by configuring each low speed control valve between the piston and each main valve provided on both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iston And to provide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piston valve for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실린더 하우징의 내부에서 피스톤 로드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실린더 하우징 내부의 작동유체의 유로를 가변하여 쇽 업소버의 감쇠력을 하드 모드와 소프트 모드로 가변 제어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 업소버용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의 선단에 장착되는 전자 액추에이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내부 중심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전자 액추에이터에 고정되며, 하드 모드 유로와 소프트 모드 유로를 형성하도록 외주면 둘레에 관통된 다수의 포트가 형성되는 스풀 가이더; 상기 스풀 가이더의 내부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전자 액추에이터의 작동로드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포트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하드 모드 유로와 소프트 모드 유로를 형성하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랜드가 형성되는 스풀; 상기 스풀 가이더의 중앙부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내부를 압축챔버와 인장챔버로 구획하며, 상하로 관통된 복수의 메인 오리피스를 형성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행정방향 양측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스풀 가이더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오리피스와 연결된 리테이너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작동유체에 이동 저항을 발생시키는 제1, 제2 메인 밸브; 상기 제1, 제2 메인 밸브의 행정방향 각 외측에 각각 대응하여 내부에 배압실을 형성하여 상기 스풀 가이더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하드 모드 시, 바이패드되는 유로 상의 작동유체를 배압실로 유도하여 이동 저항을 발생시키는 제1, 제2 배압 챔버; 및 상기 제1, 제2 메인 밸브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서, 상기 스풀 가이더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소프트 모드 시, 바이패스되는 유로 상의 작동유체에 이동 저항을 발생시키는 제1, 제2 저속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 업소버용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가 제공될 수 있다.In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mping force varying variable control of the damping force of the shock absorber in the hard mode and the soft mode by varying the flow path of the working fluid inside the cylinder housing, which is mounted at the tip of the piston rod inside the cylinder housing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piston valve for a shock absorber, comprising: an electromagnetic actuator mounted on a front end of the piston rod; A spool guider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fixed to the electromagnetic actuator in a state of being disposed at an inner center of the cylinder housing and having a plurality of ports formed peripherally a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form a hard mode flow path and a soft mode flow path; A plurality of lands ar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ool guider so as to form a hard mode flow path and a soft mode flow path by selective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ports with the operating rod of the electromagnetic actuator, The spool being; A piston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central portion of the spool guider to divide the inside of the cylinder housing into a compression chamber and a tension chamber and forming a plurality of main orifices penetrating the cylinder chamber up and down; First and second main valves provided o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spool guider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both sides in the stroke direction of the piston to generate moving resistance in a working fluid passing through a retainer orifice connected to the main orifice; A back pressure chamber is form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main valve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out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valves in the stroke direction, and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ool guider, The first and second back pressure chambers generating the first and second back pressure chambers; And first and second low-speed control valve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in valves and the piston, the first and second low-speed control valves being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ool guider to generate a moving resistance in the working fluid on the bypassed flow path in the soft mode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piston valve for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스풀 가이더는 상기 피스톤에 대응하여 중앙부 둘레에 상하로 복수의 제1, 제2 소프트 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메인 밸브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소프트 포트의 상부 둘레에 복수의 제1 하드 유입 포트와 제1 하드 유출 포트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메인 밸브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소프트 포트의 하부 둘레에 복수의 제2 하드 유입 포트와 제2 하드 유출 포트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ool guider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oft ports formed vertically around a centra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iston, and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oft ports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in valve, A plurality of second hard inflow ports and a plurality of second hard inflow ports may be formed a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oft port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cond main valve.

또한, 상기 스풀은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상부 랜드와 하부 랜드가 구성되고, 상기 상부 랜드 및 하부 랜드 사이에서, 상기 제1 하드 유입 포트와 제1 하드 유출 포트, 상기 제2 하드 유입 포트와 제2 하드 유출 포트를 각각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하드 유입 포트와 제1 소프트 포트, 상기 제2 하드 유입 포트와 제2 소프트 포트를 각각 연결하는 제1, 제2 랜드가 구성될 수 있다.The spool includes an upper land and a lower land at an upper end portion and a lower land portion, respectively, and between the upper land and the lower land, the first hard inflow port and the first hard inflow port, the second hard inflow port, A first hard landing port, a first hard landing port, and a first hard landing port, respectively, or a first and a second land connecting the first hard inflow port and the first soft port, and the second hard inflow port and the second soft port, respectively.

또한, 상기 하드 모드 유로는 상기 압축챔버로부터 피스톤의 메인 오리피스, 제1 메인 밸브의 리테이너 오리피스를 통과하여 인장챔버로 연결되는 압축방향 메인 유로와 함께, 상기 제1 메인 밸브의 리테이너 오리피스로부터 제1 하드 유입 포트, 제1 하드 유출 포트, 및 제1 배압 챔버의 배압실을 거쳐 인장챔버로 연결되는 하드 모드 압축방향 바이패스 유로를 포함하는 하드 모드 압축 유로; 및 상기 인장챔버로부터 피스톤의 메인 오리피스, 제2 메인 밸브의 리테이너 오리피스를 통과하여 압축챔버로 연결되는 인장방향 메인 유로와 함께, 상기 제2 메인 밸브의 리테이너 오리피스로부터 제2 하드 유입 포트, 제2 하드 유출 포트, 및 제2 배압 챔버의 배압실을 거쳐 압축챔버로 연결되는 하드 모드 인장방향 바이패스 유로를 포함하는 하드 모드 인장 유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hard-mode flow path further includes a compression direction main flow path from the compression chamber through a main orifice of the piston, a retainer orifice of the first main valve to a tension chamber, and a compression direction main flow path from the retainer orifice of the first main valve to the first hard A hard mode compression flow path including a hard mode compression direction bypass flow path connected to a tension chamber through an inflow port, a first hard outflow port, and a back pressure chamber of a first back pressure chamber; And a tensioning main flow path extending from the tension chamber through the main orifice of the piston and the retainer orifice of the second main valve to the compression chamber and extending from the retainer orifice of the second main valve to the second hard inlet port, And a hard mode tensile bypass flow passage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chamber via the discharge port of the first back pressure chamber and the back pressure chamber of the second back pressure chamber.

또한, 상기 소프트 모드 유로는 상기 압축챔버로부터 피스톤의 메인 오리피스, 제1 메인 밸브의 리테이너 오리피스를 통과하여 인장챔버로 연결되는 압축방향 메인 유로와 함께, 상기 제1 메인 밸브의 리테이너 오리피스로부터 상기 제1 하드 유입 포트, 제1 소프트 포트, 제1 저속 제어 밸브를 거쳐 인장챔버로 연결되는 소프트 모드 압축방향 바이패스 유로를 포함하는 소프트 모드 압축 유로; 및 상기 인장챔버로부터 피스톤의 메인 오리피스, 제2 메인 밸브의 리테이너 오리피스를 통과하여 압축챔버로 연결되는 인장방향 메인 유로와 함께, 상기 제2 메인 밸브의 리테이너 오리피스로부터 상기 제2 하드 유입 포트, 제2 소프트 포트, 제2 저속 제어 밸브를 거쳐 압축챔버로 연결되는 소프트 모드 인장방향 바이패스 유로를 포함하는 소프트 모드 인장 유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oft-mode flow path may be provided with a compression direction main flow path from the compression chamber through the main orifice of the piston, the retainer orifice of the first main valve to the tension chamber, A soft mode compression flow passage including a soft mode compression direction bypass passage connected to a tension chamber via a hard inlet port, a first soft port, and a first low speed control valve; And a tensioning main flow path extending from the tension chamber through the main orifice of the piston and the retainer orifice of the second main valve to the compression chamber and from the retainer orifice of the second main valve to the second hard inlet port, And a soft-mode tensile bypass flow passage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chamber via the second low-speed control valve.

또한, 상기 제1, 제2 메인 밸브는 상기 제1, 제2 하드 유입 포트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스풀 가이더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의 메인 오리피스와 연결되는 복수의 리테이너 오리피스가 형성되는 제1, 제2 리테이너; 및 상기 제1 리테이너와 제1 배압 챔버 및 상기 제2 리테이너와 제2 배압 챔버 사이에서 상기 스풀 가이더의 외주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메인 오리피스 및 리테이너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작동유체에 이동 저항을 발생시키는 제1, 제2 리테이너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main valves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ool guid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and second hard inlet ports,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retainer orifices connected to the main orifice of the piston are formed. A second retainer; And first and second pressure chambers which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spool guider and between the first retainer and the first back pressure chamber and between the second retainer and the second back pressure chamber to generate a moving resistance in a working fluid passing through the main orifice and the retainer orifice, , And a second retainer valve.

또한, 상기 제1, 제2 배압 챔버는 상기 제1, 제2 하드 유출 포트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스풀 가이더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제1,제2 챔버 하우징; 상기 제1 챔버 하우징과 제1 메인 밸브 및 상기 제2 챔버 하우징과 제2 메인 밸브 사이에서, 상기 스풀 가이더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제2 챔버 하우징의 내부에 배압실을 형성하는 제1, 제2 배압 밸브; 및 상기 배압실의 내부에서 상기 스풀 가이더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제2 하드 유출 포트를 각 배압실로 연결함과 동시에, 제1 챔버 하우징과 제1 배압 밸브 및 상기 제2 챔버 하우징과 제2 배압 밸브 사이를 지지하는 제1, 제2 지지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back pressure chambers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chamber housing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hard outlet ports and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ool guider; A first chamber housing, a first main valve, a first chamber housing, and a second main valve, the first chamber housing and the second main valve being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ool guider to form a back pressure chamber in the first and second chamber housings, A second back pressure valve; And a spool guider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ool guider in the back pressure chamber to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hard outlet ports to the respective back pressure chambers and to connect the first chamber housing and the first back pressure valve,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rings supporting the two back pressure valves.

또한, 상기 제1, 제2 저속 제어 밸브는 디스크 모양의 내경부를 따라 복수개의 슬릿(Slit)을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lso, the first and second low-speed control valves may be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slits along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disk shap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상하 양측으로 설치되는 제1, 제2 메인 밸브 사이의 소프트 모드 유로 상에 각각 제1, 제2 저속 제어 밸브를 추가 구성하여 하드 모드 제어와는 상관없이, 상기 제1, 제2 저속 제어 밸브의 내경부에 형성되는 슬릿의 사이즈 조정으로 소프트 모드 제어에서만 저속 감쇠력을 자유롭게 튜닝할 수 있다.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irst and second low-speed control valves ar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soft mode flow path between the piston and the first and second main valv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iston, It is possible to freely tune the low speed damping force only in the soft mode control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slit formed in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low speed control valves.

이에,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10)의 감쇠력 튜닝 자유도를 더 크게 할 수 있어 주행 안정성과 함께, 저속에서의 승차감을 동시에 향상시켜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Therefore, the degree of freedom in tuning the damping force of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piston valve 10 can be increased, so that the ride stability at the low speed can be improved at the same time as the driving stability and the commerciality can be enhanced.

도 1은 일반적인 쇽 업소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가 적용된 감쇠력 가변식 쇽 업소버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에 적용되는 저속 제어용 밸브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의 하드 모드 제어 시의 압축방향 작동에 따른 작동유체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의 하드 모드 제어 시의 인장방향 작동에 따른 작동유체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의 소프트 모드 제어 시의 압축방향 작동에 따른 작동유체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의 소프트 모드 제어 시의 인장방향 작동에 따른 작동유체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sectional view of a general shock absorber.
2 is an internal sectional view of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to which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piston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speed control valve plate applied to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piston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vement path of the working fluid according to the compression direction operation in the hard mode control of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piston val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vement path of a working fluid according to a tension direction operation in hard mode control of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piston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vement path of a working fluid according to a compression direction operation in soft mode control of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piston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vement path of a working fluid according to a tension direction operation in soft mode control of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piston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가 적용된 감쇠력 가변식 쇽 업소버의 내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에 적용되는 저속 제어용 밸브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FIG. 2 is an internal sectional view of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to which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piston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lve plate for low speed control applied to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piston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쇠력 가변식 쇽 업소버(1)는 실린더 하우징(2)이 내부관(2a)과 외부관(2b)으로 구성되는 복통식 실린더로 내부에 작동유체가 충진된다. Referring to FIG. 1,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owable cylinder in which a cylinder housing 2 is composed of an inner tube 2a and an outer tube 2b, .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쇠력 가변식 쇽 업소버(1)는 실린더 하우징(2)의 내부관(2a)의 내부에서 피스톤 로드(3)와 연결되는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10)를 내장한다. 2, the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piston valve 10 (not shown) connected to the piston rod 3 inside the internal tube 2a of the cylinder housing 2, ).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실린더 하우징(2)이 내부관(2a)과 외부관(2b)으로 구성되는 복통식 실린더를 예로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통식 실린더에도 적용될 수 있다. 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the case of the abdominal cylinder in which the cylinder housing 2 is constituted by the inner tube 2a and the outer tube 2b,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s also applicable to the single cylinder.

이러한 실린더 하우징(2)은 내부가 상기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10)에 의해 하부의 압축챔버(C2)와 상부의 인장챔버(C1)로 구획된다.The interior of the cylinder housing 2 is partitioned by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piston valve 10 into a lower compression chamber C2 and an upper tension chamber C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10)는 전자 액추에이터(20), 스풀 가이더(21), 스풀(23), 피스톤(25), 상기 피스톤(25)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에 각각 구성되는 제1, 제2 메인 밸브(31,33), 상기 제1, 제2 메인 밸브(31,33)의 각 외측에 구성되는 제1, 제2 배압 챔버(41,43) 및 상기 제1, 제2 메인 밸브(31,33)와 상기 피스톤(25) 사이에 각각 구성되는 제1, 제2 저속 제어 밸브(51,53)가 구비되어 실린더 하우징(2)의 내부에서 작동유체의 유로를 가변하여 쇽 업소버(1)의 감쇠력을 하드 모드와 소프트 모드로 가변 제어한다. 2,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piston valv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magnetic actuator 20, a spool guider 21, a spool 23, a piston 25, The first and second main valves 31 and 33 and the first and second back pressure chambers 41 and 41 formed on the out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valves 31 and 33, 43) and first and second low-speed control valves (51, 53) respectively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in valves (31, 33) and the piston (25) The damping force of the shock absorber 1 is variably controlled in the hard mode and the soft mode.

상기 전자 액추에이터(20)는 솔레노이드 방식의 작동기로 상기 피스톤 로드(3)의 선단에 장착되어 내부 코일의 자기력에 의해 플런저와 연결된 작동로드를 전후진시키도록 구성된다. The electromagnetic actuator 20 is a solenoid type actuator and is mounted on the tip of the piston rod 3 so as to reciprocate the operation rod connected to the plunger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inner coil.

이러한 전자 액추에이터(20)는 상기 스풀 가이더(21) 및 스풀(23)과 함께 솔레노이드 밸브로 작동된다. The electromagnetic actuator 20 is operated as a solenoid valve together with the spool guider 21 and the spool 23.

상기 스풀 가이더(2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하우징(2)의 내부 중심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전자 액추에이터(20)에 고정되며, 하드 모드 유로와 소프트 모드 유로를 형성하도록 외주면 둘레에 관통된 다수의 포트가 형성된다. The spool guider 2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fixed to the electromagnetic actuator 20 in a state of being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ylinder housing 2,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상기 스풀 가이더(21)는 중앙부 둘레에 상하로 복수의 제1, 제2 소프트 포트(SP1)(SP2)가 형성된다. The spool guider 2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oft ports SP1 and SP2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또한, 상기 스풀 가이더(21)는 상기 제1 소프트 포트(SP1)의 상부 둘레에 복수의 제1 하드 유입 포트(HPI1)와 제1 하드 유출 포트(HPO1)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소프트 포트(SP2)의 하부 둘레에 복수의 제2 하드 유입 포트(HPI1)와 제2 하드 유출 포트(HPO2)가 형성된다.The spool guider 21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hard inlet ports HPI1 and a first hard outlet port HPO1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oft port SP1, A plurality of second hard inlet ports HPI1 and a second hard outlet port HPO2 are formed around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hard outlet port SP2.

여기서, 상기 각 포트는 원통형인 스풀 가이더(21)에 외주면 둘레를 따라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홀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홀의 내경을 설정하여 이루어진다. Here, each of the ports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le passing through the inside and the outsid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ylindrical spool guider 21, and if necessary,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e is set.

그리고 상기 스풀(23)은 상기 스풀 가이더(21)의 내부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전자 액추에이터(20)의 작동로드(미도시)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각 포트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하드 모드 유로와 소프트 모드 유로를 형성하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랜드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The spool 23 is integrally formed with an operating rod (not shown) of the electromagnetic actuator 20 in a state where the spool 23 is embedded in the spool guider 21, And a plurality of land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form a flow path and a soft mode flow path.

즉, 상기 스풀(23)은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상부 랜드(LDA)와 하부 랜드(LDL)가 구성되고, 상기 상부 랜드(LDA) 및 하부 랜드(LDL) 사이에서, 상기 제1 하드 유입 포트(HPI1)와 제1 하드 유출 포트(HPO1), 상기 제2 하드 유입 포트(HPI2)와 제2 하드 유출 포트(HPO2)를 각각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하드 유입 포트(HPI1)와 제1 소프트 포트(SP1), 상기 제2 하드 유입 포트(HPI2)와 제2 소프트 포트(SP2)를 각각 연결하는 제1, 제2 랜드(LD1)(LD2)가 구성된다. That is, the spool 23 is formed with an upper land LDA and a lower land LDL at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respectively, and between the upper land LDA and the lower land LDL, The first hard outlet port HPI1 and the first hard outlet port HPO1 and the second hard inlet port HPI2 and the second hard outlet port HPO2, A first land LD1 and a second land LD2 which connect the second hard inflow port HPI2 and the second soft port SP2,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피스톤(25)은 상기 제1, 제2 소프트 포트(SP1)(SP2)에 대응하여 상기 스풀 가이더(21)의 중앙부 외주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피스톤(25)은 상기 실린더 하우징(2)의 내부를 상기와 같이, 하부의 압축챔버(C2)와 상부의 인장챔버(C1)로 구획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메인 오리피스(H1)를 형성한다. The piston 25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pool guider 21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soft ports SP1 and SP2. The piston 25 divides the inside of the cylinder housing 2 into a lower compression chamber C2 and an upper tension chamber C1 as described above and has a plurality of main orifices H1, .

상기 제1, 제2 메인 밸브(31,33)는 상기 피스톤(25)의 행정방향 양측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스풀 가이더(21)의 외주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오리피스(H1)를 통과하는 작동유체에 이동 저항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The first and second main valves 31 and 33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ool guider 21 in correspondence to both sides in the stroke direction of the piston 25 and connected to the working fluid passing through the main orifice H1 To generate a moving resistance.

즉, 상기 제1, 제2 메인 밸브(31,33)는 각각 제1, 제2 리테이너(31a,33a), 제1, 제2 리테이너 밸브(31b,33b)를 구비한다.That is, the first and second main valves 31 and 33 include first and second retainers 31a and 33a and first and second retainer valves 31b and 33b, respectively.

상기 제1, 제2 리테이너(31a,33b)는 상기 제1, 제2 하드 유입 포트(HPI1)(HPI2)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스풀 가이더(21)의 외주면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피스톤(25)의 메인 오리피스(H1)와 연결되는 복수의 리테이너 오리피스(H2)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retainers 31a and 33b ar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ool guider 21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and second hard inlet ports HPI1 and HPI2, And a plurality of retainer orifices H2 connected to the main orifice H1 of the main retainer ring 11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제1, 제2 리테이너 밸브(31b,33b)는 상기 제1 리테이너(31a)와 제1 배압 챔버(41) 및 상기 제2 리테이너(33a)와 제2 배압 챔버(43) 사이에서, 상기 스풀 가이더(21)의 외주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메인 오리피스(H1) 및 리테이너 오리피스(H2)를 통과하는 작동유체에 이동 저항을 발생시켜 감쇠력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The first and second retainer valves 31b and 33b are provided between the first retainer 31a and the first back pressure chamber 41 and between the second retainer 33a and the second back pressure chamber 43, The spool guider 21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ool guider 21 so as to generate a moving resistance in a working fluid passing through the main orifice H1 and the retainer orifice H2 to form a damping force.

여기서, 상기 제1, 제2 리테이너 밸브(31b,33b)는 디스크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하나 또는 다수가 적층되어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first and second retainer valves 31b and 33b are disk plates, and one or more of them may be stacked and coupled.

그리고 상기 제1, 제2 배압 챔버(41,43)는 및 상기 제1, 제2 메인 밸브(31,33)의 행정방향 각 외측에 각각 대응하여 내부에 배압실(BPC)을 형성하여 상기 스풀 가이더(21)의 외주면에 설치된다. A back pressure chamber (BPC) is form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back pressure chambers 41 and 43 and outside the respective angular dir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valves 31 and 33,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r (21).

이러한 제1, 제2 배압 챔버(41,43)는 하드 모드 시, 바이패드되는 유로 상의 작동유체를 배압실(BPC)로 유도하여 이동 저항을 발생시킨다. In the hard mode, the first and second back pressure chambers 41 and 43 guide the working fluid on the biped flow path to the back pressure chamber (BPC) to generate a moving resistance.

즉, 상기 제1, 제2 배압 챔버(41,43)는 제1, 제2 챔버 하우징(41a,43a)과, 제1, 제2 배압 밸브(41b,43b), 및 제1, 제2 지지링(41c,43c)으로 구성된다.That is, the first and second back pressure chambers 41 and 43 are provided with the first and second chamber housings 41a and 43a, the first and second back pressure valves 41b and 43b, And rings 41c and 43c.

상기 제1,제2 챔버 하우징(41a,43a)은 상기 제1, 제2 하드 유출 포트(HPO1,HPO2)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스풀 가이더(21)의 외주면에 설치된다. The first and second chamber housings 41a and 43a are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ool guider 21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hard outlet ports HPO1 and HPO2, respectively.

상기 제1, 제2 배압 밸브(41b,43b)는 상기 제1 챔버 하우징(41a)과 제1 메인 밸브(31) 및 상기 제2 챔버 하우징(43a)과 제2 메인 밸브(33) 사이에서, 상기 스풀 가이더(21)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제2 챔버 하우징(41a,43a)의 내부에 배압실(BPC)을 형성한다. The first and second back pressure valves 41b and 43b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hamber housing 41a and the first main valve 31 and between the second chamber housing 43a and the second main valve 33, A back pressure chamber (BPC) i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chamber housings (41a, 43a)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ool guider (21).

또한, 상기 제1, 제2 지지링(41c,43C)은 상기 배압실(BPC)의 내부에서 상기 스풀 가이더(21)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제2 하드 유출 포트(HPO1)(HPO2)를 각 배압실(BPC)로 연결함과 동시에, 제1 챔버 하우징(41a)과 제1 배압 밸브(41b) 및 상기 제2 챔버 하우징(43a)과 제2 배압 밸브(43b) 사이를 지지한다.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rings 41c and 43c are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ool guider 21 in the back pressure chamber BPC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hard outflow ports HPO1 and HPO2 Is connected to each back pressure chamber BPC and the first chamber housing 41a and the first back pressure valve 41b and between the second chamber housing 43a and the second back pressure valve 43b are supported .

여기서, 상기 제1, 제2 배압 밸브(41b,43b)도 디스크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하나 또는 다수가 적층되어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first and second back pressure valves 41b and 43b may be disk plates, and one or more of them may be stacked and coupled.

또한, 상기 제1, 제2 챔버 하우징(41a,43a)에는 각각 인장챔버(C1) 및 압축챔버(C2)에 대응하는 배출구(H3)가 형성되어 각 배압실(BPR)을 인장챔버(C1)와 압축챔버(C2)로 연결시킨다.The first and second chamber housings 41a and 43a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H3 corresponding to the tension chamber C1 and the compression chamber C2 so that each back pressure chamber BPR is connected to the tension chamber C1, And the compression chamber C2.

그리고 상기 각 배출구(H3)에 대응하여 제1, 제2 챔버 하우징(41a,43a)의 외측에서 상기 스풀 가이더(21)의 외주면 상에 제1, 제2 배출 밸브(45,47)가 구성되는데, 상기 제1, 제2 배출밸브(45,47)는 인장챔버(C1)와 압축챔버(C2) 측에서 각각 각 배출구(H3)를 차단하는 상태로 설치되며, 각 배압실(BPC)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인 경우, 개방되어 배압실(BPC) 내부의 작동유체를 배출한다.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valves 45 and 47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ool guider 21 on the outside of the first and second chamber housings 41a and 43a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discharge ports H3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valves 45 and 47 are installed in a state of shutting off the discharge ports H3 at the side of the tension chamber C1 and the side of the compression chamber C2,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t pressure, it is opened to discharge the working fluid in the back pressure chamber (BPC).

이러한 제1, 제2 배출 밸브(45,47)도 디스크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하나 또는 다수가 적층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그 형상 및 개수 등을 조절함으로써, 배압실(BPC)의 배출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valves 45 and 47 are also formed of disc plates, and one or a plurality of the discharge valves 45 and 47 can be stacked and coupled. By regulating the shape and the number of the discharge valves 45 and 47,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back pressure chamber .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제2 저속 제어 밸브(51,53)는 상기 제1, 제2 메인 밸브(31,33)와 상기 피스톤(25) 사이에서, 상기 스풀 가이더(21)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소프트 모드 시, 바이패스되는 유로 상의 작동유체에 이동 저항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3, the first and second low-speed control valves 51 and 53 are connected to the spool guider 21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in valves 31 and 33 and the piston 25, And is configured to generate a moving resistance in the working fluid on the bypassed flow path in the soft mode.

즉, 상기 제1, 제2 저속 제어 밸브(51,53)는 디스크 모양의 내경부를 따라 복수개의 슬릿(S; Slit)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슬릿(S)의 사이즈를 조정하여 하드 모드 제어와는 상관없이, 소프트 모드 제어에서만 저속 감쇠력을 자유롭게 튜닝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first and second low-speed control valves 51 and 53 are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slits S along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disk shape, and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slit S, Regardless of the control, the low speed damping force can be freely tuned only in the soft mode control.

여기서, 상기한 피스톤(25)과, 제1, 제2 메인 밸브(31,33), 제1, 제2 배압 챔버(41,43), 및 제1, 제2 저속 제어 밸브(51,53)는 모두 상기 스풀 가이더(21)의 외주면 상에 끼워진 상태로, 스풀 가이더(21)의 하단부에 와셔(61)와 함께 체결되는 체결너트(63)에 의해 고정된다. Here, the piston 25, the first and second main valves 31 and 33, the first and second back pressure chambers 41 and 43, and the first and second low-speed control valves 51 and 53, Are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spool guider (21) by a fastening nut (63) fastened together with the washer (61) in a state of being fit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ool guider (21).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10)는 차체의 자세 변화가 억제되어 조종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감쇠력이 높게 설정되는 하드 모드와, 노면의 요철 등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여 승차감이 향상되도록 감쇠력이 낮게 설정되는 소프트 모드로 이루어지는 감쇠력 특성을 구현한다. The electronic control piston valve 1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provided with a hard mode in which the damping force is set to be high so as to suppress the change of the posture of the vehicle body and to improve the steering stability and the damping force is set to be low by absorbing vibration caused by unevenness of the road surface, And a damping force characteristic in the soft mode.

즉, 상기 하드 모드 제어를 위한 하드 모드 유로는 하드 모드 압축 유로(HL1)와 하드 모드 인장 유로(HL2)와 같이, 압축방향과 인장방향으로 나누어진다. That is, the hard mode flow path for the hard mode control is divided into the compression direction and the tensile direction, such as the hard mode compression path HL1 and the hard mode tension path HL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의 하드 모드 제어 시의 압축방향 작동에 따른 작동유체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의 하드 모드 제어 시의 인장방향 작동에 따른 작동유체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의 소프트 모드 제어 시의 압축방향 작동에 따른 작동유체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의 소프트 모드 제어 시의 인장방향 작동에 따른 작동유체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ovement path of a working fluid according to a compression direction operation in hard mode control of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piston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vement path of the working fluid according to the compression direction operation in the soft mode control of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piston val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ovement path of the working fluid according to the tension direction operation in the soft mode control of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piston val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드 모드 압축 유로(HL1)는 상기 압축챔버(C2)로부터 피스톤(25) 상의 메인 오리피스(H1), 제1 메인 밸브(31)의 리테이너 오리피스(H2)를 통과하여 인장챔버(C1)로 연결되는 압축방향 메인 유로(ML1)와 함께, 상기 제1 메인 밸브(31)의 리테이너 오리피스(H2)로부터 제1 하드 유입 포트(HPI1), 제1 하드 유출 포트(HPO1), 및 제1 배압 챔버(41)의 배압실(BPC)을 거쳐 인장챔버(C1)로 연결되는 하드 모드 압축방향 바이패스 유로(HL11)를 포함한다. 4, the hard mode compression passage HL1 is passed from the compression chamber C2 through the main orifice H1 on the piston 25 and the retainer orifice H2 of the first main valve 31, The first hard inflow port HPI1, the first hard outflow port HPO1, and the second hard inflow port HPO from the retainer orifice H2 of the first main valve 31, together with the compression direction main flow path ML1 connected to the chamber C1, And a hard mode compression direction bypass passage HL11 connected to the tension chamber C1 via a back pressure chamber BPC of the first back pressure chamber 41. [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드 모드 인장 유로(HL2)는 상기 인장챔버(C1)로부터 피스톤(25)의 메인 오리피스(H1), 제2 메인 밸브(33)의 리테이너 오리피스(H2)를 통과하여 압축챔버(C2)로 연결되는 인장방향 메인 유로(ML2)와 함께, 상기 제2 메인 밸브(33)의 리테이너 오리피스(H2)로부터 제2 하드 유입 포트(HPI2), 제2 하드 유출 포트(HPO2), 및 제2 배압 챔버(43)의 배압실(BPC)을 거쳐 압축챔버(C2)로 연결되는 하드 모드 인장방향 바이패스 유로(HL22)를 포함한다.5, the hard mode tensile flow path HL2 passes the main orifice H1 of the piston 25 and the retainer orifice H2 of the second main valve 33 from the tension chamber C1 And the second hard inlet port HPI2 and the second hard outlet port HPO2 from the retainer orifice H2 of the second main valve 33 to the compression chamber C2, And a hard mode tension direction bypass passage HL22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chamber C2 via a back pressure chamber BPC of the second back pressure chamber 43. [

즉, 이러한 하드 모드 유로가 형성되면, 작동유체가 제1, 제2 메인 밸브(31,33)의 리테이너 오리피스(H2)로부터 제1, 제2 하드 유입 포트(HPI1,HPI2), 제1, 제2 하드 유출 포트(HPO1,HPO2), 및 제1, 제2 배압 챔버(41,43)의 배압실(BPC)을 거치면서 하드한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the hard mode flow path is formed, the working fluid flows from the retainer orifices H2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valves 31 and 33 to the first and second hard inlet ports HPI1 and HPI2, A hard damping force can be gener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two hard outlet ports HPO1 and HPO2 and the back pressure chamber BPC of the first and second back pressure chambers 41 and 43. [

그리고 상기 소프트 모드 제어를 위한 소프트 모드 유로는 소프트 모드 압축 유로(SL1)와 소프트 모드 인장 유로(SL2)와 같이, 역시 압축방향과 인장방향으로 나누어진다.The soft mode flow for the soft mode control is divided into the compression direction and the tensile direction, such as the soft mode compression flow path SL1 and the soft mode tension flow path SL2.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소프트 모드 압축 유로(SL1)는 상기 압축챔버(C2)로부터 피스톤(25)의 메인 오리피스(H1), 제1 메인 밸브(31)의 리테이너 오리피스(H2)를 통과하여 인장챔버(C1)로 연결되는 압축방향 메인 유로(ML1)와 함께, 상기 제1 메인 밸브(31)의 리테이너 오리피스(H2)로부터 상기 제1 하드 유입 포트(HPI1), 제1 소프트 포트(SP1), 제1 저속 제어 밸브(51)의 실릿(S)을 통해 인장챔버(C1)로 연결되는 소프트 모드 압축방향 바이패스 유로(SL11)를 포함한다.6, the soft mode compression passage SL1 is extended from the compression chamber C2 through the main orifice H1 of the piston 25 and the retainer orifice H2 of the first main valve 31, The first hard inlet port HPI1, the first soft port SP1, and the second hard inlet port H2 from the retainer orifice H2 of the first main valve 31, together with the compression direction main flow passage ML1 connected to the chamber C1, And a soft mode compression direction bypass flow path SL11 connected to the tension chamber C1 through a seal S of the first low speed control valve 51. [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소프트 모드 인장 유로(SL2)는 상기 인장챔버(C1)로부터 피스톤(25)의 메인 오리피스(H1), 제2 메인 밸브(33)의 리테이너 오리피스(H2)를 통과하여 압축챔버(C2)로 연결되는 인장방향 메인 유로(ML2)와 함께, 상기 제2 메인 밸브(33)의 리테이너 오리피스(H2)로부터 상기 제2 하드 유입 포트(HPI2), 제2 소프트 포트(SP2), 제2 저속 제어 밸브(53)의 실릿(S)을 통해 압축챔버(C2)로 연결되는 소프트 모드 인장방향 바이패스 유로(SL22)를 포함한다. 7, the soft mode tensioning flow path SL2 passes the main orifice H1 of the piston 25 and the retainer orifice H2 of the second main valve 33 from the tension chamber C1 The second hard inlet port HPI2 and the second soft port SP2 from the retainer orifice H2 of the second main valve 33 together with the tension direction main flow passage ML2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chamber C2, And a soft mode tension direction bypass passage SL22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chamber C2 through a seal S of the second low speed control valve 53. [

이러한 소프트 모드 유로가 형성되면, 작동유체가 상기 제1, 제2 메인 밸브의 리테이너 오리피스(H2)로부터 상기 제1, 제2 하드 유입 포트(HPI1,HPI2), 제1, 제2 소프트 포트(SP1,SP2), 제1, 제2 저속 제어 밸브(51,53)를 거치면서 소프트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When the soft mode flow path is formed, a working fluid flows from the retainer orifices H2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valves to the first and second hard inlet ports HPI1 and HPI2, the first and second soft ports SP1 , SP2) and the first and second low-speed control valves 51 and 53 to generate a soft damping force.

이때, 특히, 상기 소프트 모드에서의 저속 감쇠력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제2 저속 제어 밸브(51,53)에 형성되는 슬릿(S)의 사이즈를 조정하여 자유롭게 튜닝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low-speed damping force in the soft mode can be freely tuned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slit 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low-speed control valves 51 and 53, as shown in FIG. 3 .

이하, 도 4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의 모드별 작동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mode-dependent operation of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piston val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먼저, 도 4에서와 같이, 전자 액추에이터(20)를 후진 구동하여 하드 모드로 동작시킨 후, 압축방향으로 작동하는 경우, 작동유체는 상기 하드 모드 압축 유로(HL1)를 따라 이동하면서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작동유체는 압축챔버(C2)로부터 메인 오리피스(H1)와 제1 메인 밸브(31)의 리테이너 오리피스(H2)를 통과하여 인장챔버(C1)로 연결되는 압축방향 메인 유로(ML1)를 따라 이동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메인 밸브(31)의 리테이너 오리피스(H2)로부터 제1 하드 유입 포트(HPI1)와 제1 하드 유출 포트(HPO1)를 통해 및 제1 배압 챔버(41)의 배압실(BPC)로 유입되는 하드 모드 압축방향 바이패스 유로(HL11)를 따라 하드한 감쇠력을 형성하면서 인장챔버(C1)로 이동한다. First, as shown in FIG. 4, when the electromagnetic actuator 20 is driven backward to operate in the hard mode and then operates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the working fluid moves along the hard mode compression passage HL1 to generate a damping force . That is, the working fluid flows from the compression chamber C2 through the main orifice H1 and the retainer orifice H2 of the first main valve 31 to the compression chamber main flow passage ML1 connected to the expansion chamber C1 At the same time from the retainer orifice H2 of the first main valve 31 through the first hard inlet port HPI1 and the first hard outlet port HPO1 and from the back pressure of the first back pressure chamber 41 And moves to the tension chamber C1 while forming a hard damping force along the hard mode compression direction bypass passage HL11 flowing into the chamber BPC.

반대로, 도 5에서와 같이, 하드 모드 상태에서, 인장방향으로 작동하는 경우, 도 5와 같이, 작동유체는 상기 하드 모드 인장 유로(HL2)를 따라 이동하면서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작동유체는 인장챔버(C1)로부터 메인 오리피스(H1)와 제2 메인 밸브(33)의 리테이너 오리피스(H2)를 통과하여 압축챔버(C2)로 연결되는 인장방향 메인 유로(ML2)를 따라 이동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메인 밸브(33) 의 리테이너 오리피스(H2)로부터 제2 하드 유입 포트(HPI2)와 제2 하드 유출 포트(HPO2)를 통해 및 제2 배압 챔버(43)의 배압실(BPC)로 유입되는 하드 모드 인장방향 바이패스 유로(HL22)를 따라 하드한 감쇠력을 형성하면서 압축챔버(C2)로 이동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when operating in the tension mode in the hard mode, the working fluid moves along the hard mode tension passage HL2 to generate the damping force, as shown in FIG. That is, the working fluid flows from the tension chamber C1 through the main orifice H1 and the retainer orifice H2 of the second main valve 33 to the tension chamber main flow passage ML2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chamber C2 At the same time from the retainer orifice H2 of the second main valve 33 through the second hard inlet port HPI2 and the second hard outlet port HPO2 and from the back pressure of the second backpressure chamber 43 And moves to the compression chamber C2 while forming a hard damping force along the hard mode tensile direction bypass passage HL22 flowing into the chamber BPC.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전자 액추에이터(20)를 전진 구동하여 소프트 모드로 동작시킨 후, 압축방향으로 작동하는 경우, 도 6과 같이, 작동유체는 소프트 모드 압축 유로(SL1)를 따라 이동하면서 소프트한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작동유체는 압축챔버(C2)로부터 메인 오리피스(H1)와 제1 메인 밸브(31)의 리테이너 오리피스(H2)를 통과하여 인장챔버(C1)로 연결되는 압축방향 메인 유로(ML1)를 따라 이동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메인 밸브(33)의 리테이너 오리피스(H2)로부터 상기 제1 하드 유입 포트(HLPI1)와 제1 소프트 포트(SP1), 및 제1 저속 제어 밸브(51)를 거치는 소프트 모드 압축방향 바이패스 유로(SL11)를 따라 소프트한 감쇠력을 형성하면서 인장챔버(C1)로 이동한다.6, when the electromagnetic actuator 20 is advanced and operated in the soft mode and then operated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as shown in FIG. 6, the working fluid moves along the soft mode compression passage SL1 Soft damping force is generated. That is, the working fluid flows from the compression chamber C2 through the main orifice H1 and the retainer orifice H2 of the first main valve 31 to the compression chamber main flow passage ML1 connected to the expansion chamber C1 At the same time, the first hard inlet port HLPI1, the first soft port SP1, and the first low-speed control valve 51 are moved from the retainer orifice H2 of the first main valve 33 And moves to the tension chamber C1 while forming a soft damping force along the soft mode compression direction bypass flow path SL11.

반대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소프트 모드 상태에서, 인장방향으로 작동하는 경우, 도 7과 같이, 작동유체는 소프트 모드 인장 유로(SL2)를 따라 이동하면서 소프트한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작동유체는 인장챔버(C1)로부터 메인 오리피스(H1)와 제2 메인 밸브(33)의 리테이너 오리피스(H2)를 통과하여 압축챔버(C2)로 연결되는 인장방향 메인 유로(ML2)를 따라 이동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메인 밸브(33)의 리테이너 오리피스(H2)로부터 상기 제2 하드 유입 포트(HPI2)와 제2 소프트 포트(SP2), 및 제2 저속 제어 밸브(53)를 거치는 소프트 모드 압축방향 바이패스 유로(SL22)를 따라 소프트한 감쇠력을 형성하면서 압축챔버(C2)로 이동한다.Conversely, as shown in FIG. 7, when operating in the tensile direction in the soft mode state, as shown in FIG. 7, the working fluid moves along the soft mode tension passage SL2 to generate a soft damping force, as shown in FIG. That is, the working fluid flows from the tension chamber C1 through the main orifice H1 and the retainer orifice H2 of the second main valve 33 to the tension chamber main flow passage ML2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chamber C2 At the same time, the second hard inlet port HPI2, the second soft port SP2, and the second low-speed control valve 53 are moved from the retainer orifice H2 of the second main valve 33 And moves to the compression chamber C2 while forming a soft damping force along the soft mode compression direction bypass passage SL22.

이때, 특히, 상기 소프트 모드에서의 저속 감쇠력은 상기 제1, 제2 저속 제어 밸브(51,53)에 형성되는 슬릿(S)의 사이즈를 조정하여 자유롭게 튜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프트 모드에서의 저속 감쇠력 튜닝은 하드 모드에서의 감쇠력 변동 없이 이룰 수 있다.In particular, the low-speed damping force in the soft mode can be freely tuned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slit 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low-speed control valves 51 and 53. In this soft mode, The damping force tuning can be achieved without changing the damping force in the hard mode.

즉, 상기 소프트 모드는 저속 감쇠력 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기 제1, 제2 저속 제어 밸브(51,53)가 하드 모드 유로와 전혀 다른 위치에 구비되어 하드 모드의 감쇠력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That is, in the soft mode, the first and second low-speed control valves 51 and 53, which directly affect the low-speed damping force adjustment, are provided at position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hard mode flow path and have no influence on the damping force of the hard mode.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피스톤(25)과, 상기 피스톤(25)의 상하 양측으로 설치되는 각 메인 밸브(31,33) 사이에 각 저속 제어 밸브(51,53)를 추가 구성하여 하드 모드 제어와는 상관없이, 소프트 모드 제어 시에만 저속 감쇠력을 자유롭게 튜닝할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speed control valves 51 and 53 are additionally provided between the piston 25 and the main valves 31 and 33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iston 25, Regardless of the mode control, the low-speed damping force can be freely tuned only in soft mode control.

이로써,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10)의 감쇠력 튜닝 자유도를 더 크게 할 수 있어 주행 안정성과 함께, 저속에서의 승차감을 더욱 향상시켜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As a result, the degree of freedom in tuning the damping force of the electronically controlled piston valve 10 can be increased, thereby improving ride comfort at low speed and improving the commerciality, as well as driving stability.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all changes to the scope that are deemed to be valid.

1: 감쇠력 가변식 쇽 업소버
2: 실린더 하우징
3: 피스톤 로드
10: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
C1: 인장챔버
C2: 압축챔버
20: 전자 액추에이터
21: 스풀 가이더
23: 스풀
25: 피스톤
31, 33: 제1, 제2 메인 밸브
31a, 33a: 제1, 제2 리테이너
31b, 33b: 제1, 제2 리테이너 밸브
41, 43: 제1, 제2 배압 챔버
41a, 43a: 제1, 제2 챔버 하우징
41b, 43b: 제1, 제2 배압 밸브
41c, 43c: 제1, 제2 지지링
45, 47: 제1, 제2 배출 밸브
51, 53: 제1, 제2 저속 제어 밸브
SP1, SP2: 제1, 제2 소프트 포트
HPI1, HPI2: 제1, 제2 하드 유입 포트
HPO1, HPO2: 제1, 제2 하드 유출 포트
LDA: 상부 랜드
LDL: 하부 랜드
LD1, LD2: 제1, 제2 랜드
H1: 메인 오리피스
H2: 리테이너 오리피스
H3: 배출구
BPC: 배압실
S: 슬릿(Slit)
61: 와셔
63: 체결너트
ML1: 압축방향 메인 유로
ML2: 인장방향 메일 유로
HL1: 하드 모드 압축 유로
HL2: 하드 모드 인장 유로
HL11: 하드 모드 압축방향 바이패스 유로
HL22: 하드 모드 인장방향 바이패스 유로
SL1: 소프트 모드 압축 유로
SL2: 소프트 모드 인장 유로
SL11: 소프트 모드 압축방향 바이패스 유로
SL22: 소프트 모드 인장방향 바이패스 유로
1: Variable damping force shock absorber
2: cylinder housing
3: Piston rod
10: Electronically Controlled Piston Valve
C1: tensile chamber
C2: compression chamber
20: Electronic actuator
21: Spool guider
23: spool
25: Piston
31, 33: First and second main valves
31a, 33a: first and second retainers
31b, 33b: first and second retainer valves
41, 43: first and second back pressure chambers
41a, 43a: first and second chamber housings
41b, 43b: first and second back pressure valves
41c and 43c: first and second supporting rings
45, 47: first and second discharge valves
51, 53: first and second low speed control valves
SP1, SP2: First and second soft ports
HPI1, HPI2: first and second hard inlet ports
HPO1, HPO2: First and second hard outlet ports
LDA: upper land
LDL: Lower land
LD1, LD2: First and second lands
H1: Main orifice
H2: Retainer orifice
H3: Outlet
BPC: back pressure chamber
S: Slit
61: Washer
63: Clamping nut
ML1: Compression direction Main flow path
ML2: Traction direction mail euro
HL1: Hard mode compression channel
HL2: hard mode tensile flow
HL11: Hard Mode Compression Direction Bypass
HL22: Hard Mode Traction Direction Bypass
SL1: Soft mode compression channel
SL2: soft mode tensile flow
SL11: Soft mode compression direction bypass flow
SL22: soft mode tension direction bypass line

Claims (8)

실린더 하우징의 내부에서 피스톤 로드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실린더 하우징 내부의 작동유체의 유로를 가변하여 쇽 업소버의 감쇠력을 하드 모드와 소프트 모드로 가변 제어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 업소버용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의 선단에 장착되는 전자 액추에이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내부 중심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전자 액추에이터에 고정되며, 하드 모드 유로와 소프트 모드 유로를 형성하도록 외주면 둘레에 관통된 다수의 포트가 형성되는 스풀 가이더;
상기 스풀 가이더의 내부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전자 액추에이터의 작동로드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포트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하드 모드 유로와 소프트 모드 유로를 형성하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랜드가 형성되는 스풀;
상기 스풀 가이더의 중앙부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내부를 압축챔버와 인장챔버로 구획하며, 상하로 관통된 복수의 메인 오리피스를 형성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행정방향 양측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스풀 가이더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오리피스와 연결된 리테이너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작동유체에 이동 저항을 발생시키는 제1, 제2 메인 밸브;
상기 제1, 제2 메인 밸브의 행정방향 각 외측에 각각 대응하여 내부에 배압실을 형성하여 상기 스풀 가이더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하드 모드 시, 바이패드되는 유로 상의 작동유체를 배압실로 유도하여 이동 저항을 발생시키는 제1, 제2 배압 챔버; 및
상기 제1, 제2 메인 밸브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서, 상기 스풀 가이더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소프트 모드 시, 바이패스되는 유로 상의 작동유체에 이동 저항을 발생시키는 제1, 제2 저속 제어 밸브;
를 포함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 업소버용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piston valve for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mounted on a front end of a piston rod in a cylinder housing to variably control a damping force of a shock absorber in a hard mode and a soft mode by varying a flow path of a working fluid in the cylinder housing ,
An electronic actuator mounted on a front end of the piston rod;
A spool guider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fixed to the electromagnetic actuator with being disposed at an inner center of the cylinder housing and having a plurality of ports formed peripherally a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form a hard mode flow path and a soft mode flow path;
A plurality of lands ar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ool guider so as to form a hard mode flow path and a soft mode flow path by selective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ports with the operating rod of the electromagnetic actuator, The spool being;
A piston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central portion of the spool guider to divide the inside of the cylinder housing into a compression chamber and a tension chamber and forming a plurality of main orifices penetrating the cylinder chamber up and down;
First and second main valves provided o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spool guider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both sides in the stroke direction of the piston to generate moving resistance in a working fluid passing through a retainer orifice connected to the main orifice;
A back pressure chamber is form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main valve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out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valves in the stroke direction, and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ool guider, The first and second back pressure chambers generating the first and second back pressure chambers; And
First and second low-speed control valve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in valves and the piston, the first and second low-speed control valves being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ool guider to generate a moving resistance in the working fluid on the bypassed flow path in the soft mode;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piston valve for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가이더는
상기 피스톤에 대응하여 중앙부 둘레에 상하로 복수의 제1, 제2 소프트 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메인 밸브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소프트 포트의 상부 둘레에 복수의 제1 하드 유입 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압 챔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하드 유입 포트의 상부 둘레에 복수의 제1 하드 유출 포트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메인 밸브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소프트 포트의 하부 둘레에 복수의 제2 하드 유입 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압 챔버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하드 유입 포트의 하부 둘레에 복수의 제2 하드 유출 포트가 형성되는 감쇠력 가변식 쇽 업소버용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ool guider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oft ports are vertically formed around the centra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iston,
Wherein a plurality of first hard inlet ports are formed around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oft port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in valve and a plurality of first hard inlet ports are formed around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hard inlet port corresponding to the first back pressure chamber, A hard outlet port is formed,
A plurality of second hard inflow ports are formed a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oft por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ain valve and a plurality of second hard inflow ports are formed a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hard inflow por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ack pressure chamber,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piston valve for a damping variable shock absorber in which a hard outlet port is form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상부 랜드와 하부 랜드가 구성되고, 상기 상부 랜드 및 하부 랜드 사이에서, 상기 제1 하드 유입 포트와 제1 하드 유출 포트, 상기 제2 하드 유입 포트와 제2 하드 유출 포트를 각각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하드 유입 포트와 제1 소프트 포트, 상기 제2 하드 유입 포트와 제2 소프트 포트를 각각 연결하는 제1, 제2 랜드가 구성되는 감쇠력 가변식 쇽 업소버용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pool
A first hard inflow port and a second hard inflow port, and a second hard inflow port and a second hard inflow port, respectively, between the upper land and the lower land, Or an electronic control piston valve for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constituted by first and second lands connecting the first hard inflow port and the first soft port and the second hard inflow port and the second soft port,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모드 유로는
상기 압축챔버로부터 피스톤의 메인 오리피스, 제1 메인 밸브의 리테이너 오리피스를 통과하여 인장챔버로 연결되는 압축방향 메인 유로와 함께, 상기 제1 메인 밸브의 리테이너 오리피스로부터 제1 하드 유입 포트, 제1 하드 유출 포트, 및 제1 배압 챔버의 배압실을 거쳐 인장챔버로 연결되는 하드 모드 압축방향 바이패스 유로를 포함하는 하드 모드 압축 유로; 및
상기 인장챔버로부터 피스톤의 메인 오리피스, 제2 메인 밸브의 리테이너 오리피스를 통과하여 압축챔버로 연결되는 인장방향 메인 유로와 함께, 상기 제2 메인 밸브의 리테이너 오리피스로부터 제2 하드 유입 포트, 제2 하드 유출 포트, 및 제2 배압 챔버의 배압실을 거쳐 압축챔버로 연결되는 하드 모드 인장방향 바이패스 유로를 포함하는 하드 모드 인장 유로;
로 이루어지는 감쇠력 가변식 쇽 업소버용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
The method of claim 3,
The hard-
A first hard inflow port from the retainer orifice of the first main valve to a first hard inflow port, a second hard inflow port from the retainer orifice of the first main valve, and a compression direction main flow path from the compression chamber through the main orifice of the piston, Port and a hard mode compression direction bypass passage connected to a tension chamber through a back pressure chamber of the first back pressure chamber; And
A second hard inflow port from the retainer orifice of the second main valve and a second hard inflow port from the retainer orifice of the second main valve to the compression chamber, A hard mode tensile flow passage including a hard mode tensile direction bypass passage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chamber via a port and a back pressure chamber of the second back pressure chamber;
Controlled piston valve for variable damping shock absorbe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모드 유로는
상기 압축챔버로부터 피스톤의 메인 오리피스, 제1 메인 밸브의 리테이너 오리피스를 통과하여 인장챔버로 연결되는 압축방향 메인 유로와 함께, 상기 제1 메인 밸브의 리테이너 오리피스로부터 상기 제1 하드 유입 포트, 제1 소프트 포트, 제1 저속 제어 밸브를 거쳐 인장챔버로 연결되는 소프트 모드 압축방향 바이패스 유로를 포함하는 소프트 모드 압축 유로; 및
상기 인장챔버로부터 피스톤의 메인 오리피스, 제2 메인 밸브의 리테이너 오리피스를 통과하여 압축챔버로 연결되는 인장방향 메인 유로와 함께, 상기 제2 메인 밸브의 리테이너 오리피스로부터 상기 제2 하드 유입 포트, 제2 소프트 포트, 제2 저속 제어 밸브를 거쳐 압축챔버로 연결되는 소프트 모드 인장방향 바이패스 유로를 포함하는 소프트 모드 인장 유로;
로 이루어지는 감쇠력 가변식 쇽 업소버용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
The method of claim 3,
The soft-
And a compression direction main passage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chambers through a main orifice of the piston and a retainer orifice of the first main valve to a tension chamber, the first main inflow port, the first soft inflow port, Port and a soft mode compression direction bypass passage connected to the tension chamber via a first low speed control valve; And
A second main inlet port, a second main inlet port, a second main inlet port, a second main inlet port, a second main inlet port, a second main inlet port, a second main inlet port, Port and a soft mode tensile bypass flow channel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chamber via a second low speed control valve;
Controlled piston valve for variable damping shock absorber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메인 밸브는
상기 제1, 제2 하드 유입 포트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스풀 가이더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의 메인 오리피스와 연결되는 복수의 리테이너 오리피스가 형성되는 제1, 제2 리테이너; 및
상기 제1 리테이너와 제1 배압 챔버 및 상기 제2 리테이너와 제2 배압 챔버 사이에서 상기 스풀 가이더의 외주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메인 오리피스 및 리테이너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작동유체에 이동 저항을 발생시키는 제1, 제2 리테이너 밸브;
로 이루어지는 감쇠력 가변식 쇽 업소버용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and second main valves
First and second retainer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hard inlet ports an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ool guider and having a plurality of retainer orifices connected to a main orifice of the piston; And
A first and a second back pressure chambers, and first and second back pressure chambers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ool guide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ck pressure chambers, respectively, for generating a moving resistance in a working fluid passing through the main orifice and the retainer orifice, A second retainer valve;
Controlled piston valve for variable damping shock absorber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배압 챔버는
상기 제1, 제2 하드 유출 포트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스풀 가이더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제1,제2 챔버 하우징;
상기 제1 챔버 하우징과 제1 메인 밸브 및 상기 제2 챔버 하우징과 제2 메인 밸브 사이에서, 상기 스풀 가이더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제2 챔버 하우징의 내부에 배압실을 형성하는 제1, 제2 배압 밸브; 및
상기 배압실의 내부에서 상기 스풀 가이더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제2 하드 유출 포트를 각 배압실로 연결함과 동시에, 제1 챔버 하우징과 제1 배압 밸브 및 상기 제2 챔버 하우징과 제2 배압 밸브 사이를 지지하는 제1, 제2 지지링;
으로 이루어지는 감쇠력 가변식 쇽 업소버용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and second back pressure chambers
First and second chamber housing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ool guider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hard outlet ports;
A first chamber housing, a first main valve, a first chamber housing, and a second main valve, the first chamber housing and the second main valve being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ool guider to form a back pressure chamber in the first and second chamber housings, A second back pressure valve; And
A first back pressure valve, a second back pressure chamber, a second back pressure chamber, and a second back pressure chamber, wherein the first back pressure chamber and the second back chamber are formed in the back pressure chamber, First and second support rings for supporting between back pressure valves;
Controlled piston valve for variable damping shock absorb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저속 제어 밸브는
디스크 모양의 내경부를 따라 복수개의 슬릿(Slit)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감쇠력 가변식 쇽 업소버용 전자 제어 피스톤 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low speed control valves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piston valve for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lits formed along a disk-shaped inner diameter portion.
KR1020160120288A 2016-09-20 2016-09-20 Electric control piston valve for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KR1018756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288A KR101875636B1 (en) 2016-09-20 2016-09-20 Electric control piston valve for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288A KR101875636B1 (en) 2016-09-20 2016-09-20 Electric control piston valve for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519A true KR20180031519A (en) 2018-03-28
KR101875636B1 KR101875636B1 (en) 2018-07-06

Family

ID=61901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288A KR101875636B1 (en) 2016-09-20 2016-09-20 Electric control piston valve for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636B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376B1 (en) * 2005-11-02 2007-12-11 주식회사 만도 Damping force variable solenoid valve of a shock absorber
KR100854597B1 (en) * 2007-05-21 2008-08-28 주식회사 만도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KR101162307B1 (en) * 2007-07-05 2012-07-04 주식회사 만도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KR101563963B1 (en) * 2014-06-12 2015-10-28 주식회사 만도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KR102349894B1 (en) * 2015-01-29 2022-01-11 주식회사 만도 Electronically controlled internal dam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5636B1 (en) 201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4405B2 (en) Damping force control type shock absorber
KR101457660B1 (en)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nd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the assembly
JP4919045B2 (en) Damping force adjustable fluid pressure shock absorber
JP4427066B2 (en) Variable damping force type valve and shock absorber using the same
JP4729512B2 (en) Variable damping force type valve and shock absorber using the same
US7654369B2 (en) Hydraulic vibration damper piston with an integral electrically operated adjustment valve
KR102482569B1 (en) Shock absorber
US10927917B2 (en) Shock absorber
US9366270B2 (en) Damping valve arrangement for a semiactive vibration damper
KR20150125289A (en)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nd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the assembly
CN113613915A (en) Damping force adjusting type buffer
KR20000055863A (en) Apparatus for adjusting a damping force of a shock absorber
KR101771690B1 (en)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additional valve installed inside rod guide
KR101756425B1 (en) Shock absorber with a frequency unit
WO2020179682A1 (en) Shock absorber
KR101875636B1 (en) Electric control piston valve for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JP4096153B2 (en) Damping force adjustable hydraulic shock absorber
JP2004301271A (en) Damping force adjustment type shock absorber
KR101615256B1 (en) Body valve assembly for shock absorber
JP2012047310A (en) Rear cushion unit
KR20110026173A (en) Valve structure of a shock absorber
JP2016102574A (en) Buffer
KR101761867B1 (en)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JP2009243591A (en) Damping force adjusting shock absorber and suspension device using same
KR100769523B1 (en) A damping force apparatus for adjusting type shock absor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