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1292A - 다기능 헤어 드라이어 - Google Patents

다기능 헤어 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1292A
KR20180031292A KR1020160119564A KR20160119564A KR20180031292A KR 20180031292 A KR20180031292 A KR 20180031292A KR 1020160119564 A KR1020160119564 A KR 1020160119564A KR 20160119564 A KR20160119564 A KR 20160119564A KR 20180031292 A KR20180031292 A KR 20180031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se
photographing
switch
hair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호
전진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9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1292A/ko
Publication of KR20180031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2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14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for producing polarised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04N5/2256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후면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전면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고, 흡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바람을 생성하는 송풍 유닛;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고, 송풍 유닛에 의해 생성된 바람을 가열하는 가열 유닛; 케이스에 형성되고, 촬영 작업을 수행하는 촬영 유닛; 케이스에 형성되고, 가시광을 조사하는 조명 유닛; 케이스 하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부; 및 손잡이부 내부에 형성되는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촬영 유닛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는 통신 유닛을 통해 외부 기기로 송신된다.

Description

다기능 헤어 드라이어{MULTIFUNCTIONAL HAIR DRYER}
본 발명은 다기능 헤어 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촬영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외부 기기로 송신하는 헤어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헤어 드라이어는 사용자가 젖은 머리카락을 건조시키고자 할 때 이용되는 기구이다. 사용자는 이러한 헤어 드라이어를 헤어 스타일링 시에도 자주 이용한다.
다만, 사용자가 헤어 드라이어를 이용해서 헤어 스타일링시, 사용자는 자신의 측두부에서 후두부, 그리고 머리 정상부를 직접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어려운바, 헤어 스타일링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또한 최근 중장년층뿐만 아니라 청년층 사이에서도 급증하고 있는 탈모로 인해, 두발이나 두피 상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탈모 문제를 겪고 있는 사람들은 거울로 직접 확인하기 어려운 부분, 즉, 측두부에서 후두부, 그리고 머리 정상부에 대해 불안감을 가지고 헤어 드라이어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탈모 문제를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헤어 드라이어의 바람의 온도 및 세기는 민감한 문제이다. 따라서, 이러한 사람들은 바람의 온도 및 세기를 직접 확인하면서 헤어 드라이어를 사용하고 싶어한다.
본 발명은 두발의 건조 작업 또는 헤어 스타일링시, 거울로 직접 확인하기 어려운 머리 부분을 촬영하여 스마트 미러와 같은 외부 기기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헤어 드라이어의 바람의 온도 및 세기를 실시간으로 표시해주는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사용자가 자신의 측두부에서 후두부, 그리고 머리 정상부를 직접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두발의 건조 작업 또는 헤어 스타일링을 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촬영 유닛과 조명 유닛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확인하기 어려운 머리 부분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통신 유닛을 통해 스마트 미러와 같은 외부 기기로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 미러와 같은 외부 기기에 표시된 자신의 머리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두발의 건조 작업 또는 헤어 스타일링을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헤어 드라이어의 바람의 온도 및 세기를 대략 짐작할 뿐 직접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케이스의 측면에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바람의 온도 및 세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신의 머리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두발의 건조 작업 또는 헤어 스타일링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헤어 스타일링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바, 사용자 만족도 및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탈모로 문제를 겪고 있는 사용자의 경우, 두발 건조 작업 또는 헤어 스타일링시 자신의 두발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바, 헤어 드라이어 이용에 대한 스트레스가 저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바람의 세기 및 온도를 표시하는바,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온도 및 세기로 바람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 만족도 및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촬영 유닛 및 조명 유닛의 구동 여부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헤어 드라이어에서 조명 유닛을 생략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헤어 드라이어에서 촬영 유닛의 일부를 생략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헤어 드라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헤어 드라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헤어 드라이어에서 촬영 유닛의 일부를 생략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제어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두상 이미지가 외부 기기에 표시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헤어 드라이어에서 조명 유닛을 생략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헤어 드라이어에서 촬영 유닛의 일부를 생략한 단면도이다. 즉, 도 3은 도 2 촬영 유닛의 일부를 생략하고, 조명 유닛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는 케이스(100), 손잡이부(200), 촬영 유닛(300), 조명 유닛(400), 송풍 유닛(125), 가열 유닛(150), 통신 유닛(4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후면에 흡입구(120)가 형성되고, 전면에 토출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00)는 후면에 흡입구(120)가 형성되고, 전면에 토출구(110)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손잡이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20)는 케이스(100)의 후면에 형성되고, 복수의 흡입공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흡입구(120)는 복수의 흡입공이 아닌 단일한 흡입공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흡입구(120)가 복수의 흡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송풍 유닛(125)에 의해 케이스(100) 내부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는, 흡입구(120)를 통해 케이스(10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흡입구(120)를 통해 케이스(10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공기 흐름 통로(190)를 따라 토출구(110)로 제공될 수 있다.
토출구(110)는 케이스(100)의 전면에 형성되고, 복수의 구멍 즉, 복수의 토출공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토출구(110)는 복수의 토출공이 아닌 단일한 토출공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토출구(110)가 복수의 토출공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케이스(100)는 측면에 디스플레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70)는 케이스(100)의 측면에 형성되고, 스위치(210, 22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위치(210, 22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는, 송풍 유닛(125)에 의해 생성된 바람의 온도 및 세기와 촬영 유닛(300) 및 조명 유닛(400)의 구동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부(170)는 케이스(100)의 측면이 아닌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케이스(100)가 아닌 손잡이부(20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부(170)가 케이스(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케이스(100)는 공기 흐름 통로(19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구(120)를 통해 케이스(10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공기 흐름 통로(190)를 따라 토출구(110)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공기 흐름 통로(190)는 케이스(100)의 가로 방향을 따라 흡입구(120)와 토출구(110)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200)는 케이스(10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잡이부(200)는 케이스(100)의 하단에 세로 방향으로 곧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손잡이부(200)는 세로 방향에서 약간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손잡이부(200)는 전면에 스위치(210, 220)를 포함할 수 있고, 스위치(210, 220)는 제1 스위치(210) 및 제2 스위치(2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스위치(210)는 제2 스위치(22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1 스위치(210)는 제2 스위치(220)의 옆에 형성될 수도 있고, 제2 스위치(220)의 하단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1 스위치(210)가 제2 스위치(220)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1 스위치(210)는 송풍 유닛(125)에 의해 생성된 바람의 세기 및 가열 유닛(150)의 가열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스위치(210)는 슬라이딩 스위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스위치(210)를 위아래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바람의 세기 및 가열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치(210)는 제1 중심부(M1)를 기준으로 위로 슬라이딩 이동시킬수록 바람의 온도 및 세기가 높아질 수 있다. 즉, 바람의 세기가 강해지고(S; Strong의 약자), 바람의 온도가 높아질 수 있다(H; Hot의 약자).
또한 제1 스위치(210)는 제1 중심부(M1)를 기준으로 아래로 슬라이딩 이동시킬수록 바람의 온도 및 세기가 낮아질 수 있다. 즉, 바람의 세기가 약해지고(W; Weak의 약자), 바람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C; Cold 의 약자).
물론 제1 스위치(210)는 이와 같은 방식 외에도 일방향으로만 슬라이딩 되는 방식, 클릭형 스위치, 또는 터치형 디스플레이 스위치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스위치(220)는 촬영 유닛(300) 및 조명 유닛(40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스위치(220)는 슬라이딩 스위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2 스위치(220)를 위아래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촬영 유닛(300) 및 조명 유닛(40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위치(220)가 제2 중심부(M2)를 기준으로 위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우, 촬영 유닛(300)만 구동될 수 있다. 즉, 촬영 유닛(300)만 턴온 상태(C; Capture의 약자)가 될 수 있다.
또한 제2 스위치(220)는 제2 중심부(M1)를 기준으로 아래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우, 촬영 유닛(300)과 조명 유닛(400) 둘다 구동될 수 있다. 즉, 촬영 유닛(300)과 조명 유닛(400) 둘다 턴온 상태(L+C; Light + Capture의 약자)가 될 수 있다.
물론 제2 스위치(220)는 이와 같은 방식 외에도 일방향으로만 슬라이딩 되는 방식, 클릭형 스위치, 또는 터치형 디스플레이 스위치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촬영 유닛(300)은 케이스(100)에 형성되고, 촬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영 유닛(300)은 대상물을 촬영하는 카메라(310)와 카메라(310)로 입사되는 광을 편광시키는 제1 편광 필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유닛(300)은 케이스(100) 내부에 형성되되, 케이스(100) 상부, 즉, 토출구(110)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310)의 광축은 촬영 방향(17)을 향하고, 카메라(310)는 제1 편광 필터(320)를 통해 대상물(18, 예를 들어, 사용자의 후두부가 될 수 있음. 이하부터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함)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유닛(300)은 적외선 차단 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함으로써, 적외선 광을 차단할 수도 있다.
참고로, 토출구(110)에서 토출된 바람은 송풍 방향(14)을 따라 사용자의 후두부(18)에 제공됨으로써, 그 바람에 의해 모발을 적당히 밀어 헤칠 수 있고, 이에 따라, 두피를 노출시킬 수 있다. 즉, 카메라(310)의 촬영 위치(18; 사용자의 후두부)에 토출구(110)에서 토출된 바람을 제공함으로써, 두발 뿐만 아니라 두피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탈모의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촬영 유닛(30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는 이미지 처리 유닛(도 14의 30)으로 제공되고, 이미지 처리 유닛(도 14의 30)에서 가공된 후, 통신 유닛(40)으로 제공되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조명 유닛(400)은 케이스(100)에 형성되고, 가시광을 조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명 유닛(400)은 조명 광원(410), 제2 편광 필터(420), 집광 렌즈(4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유닛(400)은 케이스(100) 내부에 형성되되, 케이스(100) 상부, 즉, 토출구(110) 위에 형성될 수 있고, 촬영 유닛(300)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조명 광원(410)은 광을 생성할 수 있고, 제2 편광 필터(420)는 생성된 광을 편광시키며, 집광 렌즈(430)는 편광된 광을 집광시킬 수 있다. 또한 집광 렌즈(430)가 가장 전면에 배치되고, 그 뒤에 제2 편광 필터(420), 가장 뒤에 조명 광원(410)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조명 광원(410)에서 생성된 광은 제2 편광 필터(420)를 통과한 후, 집광 렌즈(430)에서 집광되고, 집광된 광은 조명 방향(19)을 조명하는데 이용된다. 즉, 조명 유닛(400)에서 제공되는 광은, 사용자의 후두부(18)를 조명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보다 명료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유닛(300)의 촬영 방향(17)과 조명 유닛(400)의 조명 방향(19), 송풍 유닛(125)의 송풍 방향(14)이 모두 사용자의 후두부(18)에 집중됨으로써, 두발 뿐만 아니라 두피가 선명하게 촬영될 수 있다.
여기에서, 조명 유닛(400)에 포함되는 제2 편광 필터(420)의 편광 축방향과 촬영 유닛(300)에 포함되는 제1 편광 필터(320)의 편광 축방향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편광 필터(320, 420)의 축방향을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조명 유닛(400)으로부터의 조명광이 사용자 후두부(18)의 두발이나 두피에 반사되어 빛나는 현상(소위 하이라이트)을 억제할 수 있다. 즉, 하이라이트를 억제함으로써, 두피나 두발을 자동으로 이미지로 인식하거나 보다 정밀도 높은 이미지 처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편광 필터(320)와 제2 편광 필터(420)의 편광 축방향을 직행하도록(즉, 90도 다르게) 설치함으로써, 하이라이트 억제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편광 필터(320) 및 제2 편광 필터(420) 중 적어도 하나의 편광 축방향을 가변 요소로 설정함으로써, 하이라이트 억제 효과를 유효하게 하거나 무효화시킬 수 있다.
송풍 유닛(125)은 케이스(100) 내부에 형성되고, 흡입구(120)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바람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풍 유닛(125)은 송풍 모터(130)와 송풍팬(140)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 모터(130)는 송풍팬(140)을 구동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제1 스위치(210)가 조절되고, 제1 스위치(210)는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입력을 토대로 제어부(도 12의 20)에 명령을 제공하고, 제어부(도 12의 20)는 제공받은 명령을 토대로 송풍 모터(130)를 구동할 수 있다. 즉, 제어부(도 12의 20)는 송풍 모터(13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가열 유닛(150)은 케이스(100) 내부에 형성되고, 송풍 유닛(125)에 의해 생성된 바람을 가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열 유닛(150)은 케이스(100) 내부에 형성되되, 송풍 유닛(125)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송풍 유닛(125)에 의해 흡입구(120)를 통해 케이스(10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가열 유닛(150)에 의해 가열된 후, 토출구(11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제1 스위치(210)가 조절되고, 제1 스위치(210)는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입력을 토대로 제어부(도 12의 20)에 명령을 제공하고, 제어부(도 12의 20)는 제공받은 명령을 토대로 가열 유닛(150)을 구동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는 가열 유닛(150)의 가열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참고로, 가열 유닛(150)은 단일한 코일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가열 유닛(150)은 복수개의 코일이 직렬 배치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가열 유닛(150)이 단일한 코일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 유닛(40)은 손잡이부(20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유닛(40)은 촬영 유닛(30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외부 기기(10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유닛(40)은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는바, 무선 통신 모듈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외부 기기(1000)는 예를 들어, 스마트 미러, 스마트 폰 등의 이미지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 기기(1000)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 유닛(30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예를 들어, 사용자의 후두부)를 확인하면서 헤어 스타일링 또는 두발 건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를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와 일부 구성요소를 제외하고는 동일한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헤어 드라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촬영 유닛(300)은 케이스(100) 내부의 공기 흐름 통로(190) 중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보호 부재(330)가 촬영 유닛(300)을 둘러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촬영 유닛(300)을 송풍 유닛(125)에 의해 생성된 바람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보호 부재(330)는 단열재로 구성됨으로써, 가열 유닛(150)으로부터 촬영 유닛(300)을 보호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열 유닛(150)은 도 2와 달리, 촬영 유닛(300)의 촬영 방향을 가리지 않도록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코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코일은 서로 이격되되, 직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가열 유닛(150)은 촬영 유닛(300)보다 전방에 배치됨으로써, 가열 유닛(150)의 열이 촬영 유닛(300)이 아닌 토출구(110)로 토출되는 바람에만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열 유닛(150)에서 발생된 열이 촬영 유닛(300)에 미치는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유닛(400)은 토출구(110)의 위가 아닌 양 옆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2)는 케이스(100) 내부의 공기 흐름 통로(190) 중간에 촬영 유닛(300)을 배치함으로써, 카메라(310)의 광축과 토출구(110)에서 토출되는 바람의 방향(14)을 일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헤어 드라이어 사용시, 토출구(110)와 사용자의 후두부(18) 간 거리가 다소 변한다 하더라도, 카메라(310)의 촬영 부위와 토출구(110)의 바람 토출 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카메라(310)의 촬영 방향(17)과 바람의 송풍 방향(14)이 일치하는바, 사용자는 자신의 두피를 바람으로 노출시키면서 노출된 부위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조명 유닛(400)이 토출구(110)의 양 옆에 배치됨으로써, 조명 방향(19) 역시 촬영 방향(17) 및 송풍 방향(14)과 일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확인하고 싶은 머리 부분을 보다 선명하고 효과적이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를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3)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2)와 일부 구성요소를 제외하고는 동일한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헤어 드라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조명 유닛(400)은 토출구(110)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조명 유닛(400)은 토출구(110)의 위, 아래, 양 옆에 모두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후두부(18)를 다양한 방향에서 균등하게 조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3)는 다양한 방향에서 균등하게 조명을 비출 수 있는바, 조명의 불균일성으로 인한 불필요한 그림자나 그라데이션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를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와 일부 구성요소를 제외하고는 동일한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헤어 드라이어에서 촬영 유닛의 일부를 생략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흡입구(120)는 케이스(100)가 아닌 손잡이부(200)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송풍 유닛(125)은 케이스(100)가 아닌 손잡이부(20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구(120)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손잡이부(200) 내부를 거쳐 케이스(100) 내부로 제공되고, 최종적으로 케이스(100) 전면에 형성된 토출구(11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흡입구(120)의 위치가 케이스(100)가 아닌 손잡이부(200) 하부에 형성됨에 따라, 공기 흐름 통로(190) 역시 그 형태가 변경된다. 즉, 공기 흐름 통로(190)는 토출구(110)와 흡입구(120)를 연결하되, 케이스(100) 내부에 형성되는 제1 부분(192)과 손잡이부(200) 내부에 형성되는 제2 부분(19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부분(192)은 케이스(100)의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2 부분(194)은 손잡이부(200)의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부분(192)의 일단은 케이스(100)의 토출구(110)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2 부분(194)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부분(194)의 일단은 제1 부분(192)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흡입구(12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유닛(40)은 손잡이부(200)가 아닌 케이스(10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통신 유닛(40)은 케이스(100)가 아닌 손잡이부(200)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유닛(40)이 케이스(100)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4)의 촬영 유닛(300)과 조명 유닛(40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와 동일하게 구성 및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에서는 조명 유닛(400)을 생략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서는, 촬영 유닛(300) 중 제1 편광 필터(320)를 생략하고, 조명 유닛(400)을 표현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를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2)와 일부 구성요소를 제외하고는 동일한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흡입구(120)는 케이스(100)가 아닌 손잡이부(200)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송풍 유닛(125)은 케이스(100)가 아닌 손잡이부(20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구(120)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손잡이부(200) 내부를 거쳐 케이스(100) 내부로 제공되고, 최종적으로 케이스(100) 전면에 형성된 토출구(11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흡입구(120)의 위치가 케이스(100)가 아닌 손잡이부(200) 하부에 형성됨에 따라, 공기 흐름 통로(190) 역시 그 형태가 변경된다. 즉, 공기 흐름 통로(190)는 토출구(110)와 흡입구(120)를 연결하되, 케이스(100) 내부에 형성되는 제1 부분(192)과 손잡이부(200) 내부에 형성되는 제2 부분(19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부분(192)은 케이스(100)의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2 부분(194)은 손잡이부(200)의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부분(192)의 일단은 케이스(100)의 토출구(110)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2 부분(194)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부분(194)의 일단은 제1 부분(192)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흡입구(12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유닛(40)은 손잡이부(200)가 아닌 케이스(10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통신 유닛(40)은 케이스(100)가 아닌 손잡이부(200)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유닛(40)이 케이스(100)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5)의 촬영 유닛(300)과 조명 유닛(40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2)와 동일하게 구성 및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를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6)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3)와 일부 구성요소를 제외하고는 동일한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흡입구(120)는 케이스(100)가 아닌 손잡이부(200)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송풍 유닛(125)은 케이스(100)가 아닌 손잡이부(20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구(120)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손잡이부(200) 내부를 거쳐 케이스(100) 내부로 제공되고, 최종적으로 케이스(100) 전면에 형성된 토출구(11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흡입구(120)의 위치가 케이스(100)가 아닌 손잡이부(200) 하부에 형성됨에 따라, 공기 흐름 통로(190) 역시 그 형태가 변경된다. 즉, 공기 흐름 통로(190)는 토출구(110)와 흡입구(120)를 연결하되, 케이스(100) 내부에 형성되는 제1 부분(192)과 손잡이부(200) 내부에 형성되는 제2 부분(19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부분(192)은 케이스(100)의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2 부분(194)은 손잡이부(200)의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부분(192)의 일단은 케이스(100)의 토출구(110)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2 부분(194)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부분(194)의 일단은 제1 부분(192)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흡입구(12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유닛(40)은 손잡이부(200)가 아닌 케이스(10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통신 유닛(40)은 케이스(100)가 아닌 손잡이부(200)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유닛(40)이 케이스(100)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6)의 촬영 유닛(300)과 조명 유닛(40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3)와 동일하게 구성 및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6)의 제어 신호 흐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제어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스위치(2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스위치(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슬라이딩 스위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송풍 유닛(125)에 의해 생성된 바람의 세기 및 가열 유닛(150)의 가열 정도를 조절하는 스위치이다.
한편 제1 스위치(210)는 사용자로부터 바람의 세기 및 온도에 대한 입력을 제공받으면, 제어부(20)로 명령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제1 스위치(210)로부터 제공받은 명령을 토대로 송풍 유닛(125) 및 가열 유닛(150)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제1 스위치(210)로부터 제공받은 명령을 토대로 송풍 모터(13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고, 가열 유닛(150)의 가열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면, 제2 스위치(2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스위치(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슬라이딩 스위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촬영 유닛(300) 및 조명 유닛(400)을 구동하는 스위치이다.
한편 제2 스위치(220)는 사용자로부터 촬영 유닛(300) 및 조명 유닛(400)의 구동 여부에 대한 입력을 제공받으면, 제어부(20)로 명령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제2 스위치(220)로부터 제공받은 명령을 토대로 촬영 유닛(300) 및 조명 유닛(400)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제2 스위치(220)로부터 제공받은 명령을 토대로 촬영 유닛(300) 중 카메라(310)를 구동할 수 있고, 조명 유닛(400)의 조명 광원(410)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제2 스위치(220)로부터 제공받은 명령을 토대로 촬영 유닛(300) 및 조명 유닛(40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촬영 유닛(30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가 외부 기기(1000)로 제공될 때의 제어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참고로, 도 14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와 외부 기기(1000) 간 통신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이러한 통신 방식은 나머지 다른 실시예들(2~6)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촬영 유닛(300)은 제어부(20)에 의해 구동되어 대상물을 촬영할 수 있다. 즉, 촬영 유닛(300)은 제어부(20)에 의해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카메라(310)를 통해 대상물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유닛(300)은 촬영된 이미지를 이미지 처리 유닛(3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유닛(30)은 촬영 유닛(300)으로부터 제공받은 이미지를 가공(예를 들어, 화상 처리나 수치 산출 처리와 같은 작업)하고, 가공된 이미지 정보를 통신 유닛(40)에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유닛(40)은 이미지 처리 유닛(30)으로부터 제공받은 이미지 정보를 외부 기기(1000)로 송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외부 기기(1000)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된 머리 부분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두상 이미지가 외부 기기에 표시된 모습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두상 이미지가 외부 기기에 표시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15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1)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나머지 다른 실시예들(2~6)에도 도 15의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헤어 드라이어(1)가 사용자(15)의 후두부(18)를 촬영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촬영된 이미지가 통신 유닛(40)에 의해 외부 기기(1000)로 송신되어, 외부 기기(1000)의 디스플레이(23)에 표시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외부 기기(1000)는 예를 들어, 스마트 미러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 미러(1000)에 표시된 자신의 후두부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헤어 스타일링 또는 건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촬영 유닛(300)과 조명 유닛(400)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확인하기 어려운 머리 부분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통신 유닛(40)을 통해 스마트 미러와 같은 외부 기기로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 미러와 같은 외부 기기에 표시된 자신의 머리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두발의 건조 작업 또는 헤어 스타일링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헤어 스타일링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바, 사용자 만족도 및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탈모로 문제를 겪고 있는 사용자의 경우, 두발 건조 작업 또는 헤어 스타일링시 자신의 두발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바, 헤어 드라이어 이용에 대한 스트레스가 저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100)의 측면에 디스플레이부(170)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바람의 온도 및 세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원하는 온도 및 세기로 바람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 만족도 및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70)는 촬영 유닛 및 조명 유닛의 구동 여부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4)

  1. 후면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전면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바람을 생성하는 송풍 유닛;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송풍 유닛에 의해 생성된 바람을 가열하는 가열 유닛;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고, 촬영 작업을 수행하는 촬영 유닛;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고, 가시광을 조사하는 조명 유닛;
    상기 케이스 하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 형성되는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 유닛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는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외부 기기로 송신되는 헤어 드라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전면에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측면에 상기 스위치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송풍 유닛에 의해 생성된 바람의 세기 및 상기 가열 유닛의 가열 정도를 조절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촬영 유닛 및 상기 조명 유닛을 구동시키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로부터 명령을 제공받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치로부터 제공받은 명령을 토대로 상기 송풍 유닛 및 상기 가열 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치로부터 제공받은 명령을 토대로 상기 촬영 유닛 및 상기 조명 유닛을 제어하는 헤어 드라이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는,
    상기 송풍 유닛에 의해 생성된 바람의 온도 및 세기와 상기 촬영 유닛 및 상기 조명 유닛의 구동 여부를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유닛은,
    대상물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로 입사되는 광을 편광시키는 제1 편광 필터를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유닛은,
    광을 생성하는 조명 광원과,
    상기 생성된 광을 편광시키는 제2 편광 필터와,
    상기 편광된 광을 집광시키는 집광 렌즈를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유닛은,
    송풍 모터와,
    상기 송풍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유닛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가공한 후, 상기 가공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통신 유닛에 제공하는 이미지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유닛에 의해 생성된 바람은 상기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헤어 드라이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공기 흐름 통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흐름 통로는 상기 케이스의 가로 방향을 따라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헤어 드라이어.
  12. 전면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하단에 형성되고, 하부에 흡입구가 형성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바람을 생성하는 송풍 유닛;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송풍 유닛에 의해 생성된 바람을 가열하는 가열 유닛;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고, 촬영 작업을 수행하는 촬영 유닛;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고, 가시광을 조사하는 조명 유닛;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 유닛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는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외부 기기로 송신되는 헤어 드라이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와 상기 흡입구를 연결하는 공기 흐름 통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흐름 통로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 형성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케이스의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손잡이부의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헤어 드라이어.
KR1020160119564A 2016-09-19 2016-09-19 다기능 헤어 드라이어 KR20180031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564A KR20180031292A (ko) 2016-09-19 2016-09-19 다기능 헤어 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564A KR20180031292A (ko) 2016-09-19 2016-09-19 다기능 헤어 드라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292A true KR20180031292A (ko) 2018-03-28

Family

ID=61901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564A KR20180031292A (ko) 2016-09-19 2016-09-19 다기능 헤어 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129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05621A (zh) * 2018-06-13 2019-07-12 周超强 离心式防护型吹风机
KR20200097842A (ko) * 2019-02-08 2020-08-20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모발 진단 기능을 갖는 헤어 드라이어
TWI754994B (zh) * 2019-10-08 2022-02-11 南韓商Lg電子股份有限公司 吹風機
TWI762977B (zh) * 2019-10-08 2022-05-01 南韓商Lg電子股份有限公司 吹風機及其控制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05621A (zh) * 2018-06-13 2019-07-12 周超强 离心式防护型吹风机
CN110005621B (zh) * 2018-06-13 2020-10-02 宁波瑞卡电器有限公司 离心式防护型吹风机
KR20200097842A (ko) * 2019-02-08 2020-08-20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모발 진단 기능을 갖는 헤어 드라이어
TWI754994B (zh) * 2019-10-08 2022-02-11 南韓商Lg電子股份有限公司 吹風機
TWI762977B (zh) * 2019-10-08 2022-05-01 南韓商Lg電子股份有限公司 吹風機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1292A (ko) 다기능 헤어 드라이어
US10380405B2 (en) System and method of capturing and producing biometric-matching quality fingerprints and other types of dactylographic images with a mobile device
JP5094389B2 (ja) 撮像装置及び携帯情報端末装置
EP3327485A1 (en) Apparatus for augmenting vision
KR2009011558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430308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TW201608180A (zh) 空氣調和機、及空氣調和機之控制方法
CN108024101A (zh) 投影机以及焦距调整方法
WO2015042783A1 (zh) 非接触式掌纹认证方法、装置及便携终端
JP6295418B2 (ja) ヘアドライヤおよび頭部画像取得方法
JPH08106060A (ja) 内視鏡装置
JP3359247B2 (ja) 個人識別装置
CN104345316B (zh) 激光测距仪
JP4680100B2 (ja) 画像認証装置、撮影装置および画像認証システム
KR200340273Y1 (ko) 홍채 유도 장치
JP2000207536A (ja) 撮影装置およびアイリス画像入力装置およびアイリス画像入力方法
US20230397706A1 (en) Haircare appliance
KR101629553B1 (ko) 이동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화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10062153A (zh) 一种全景拍照无人机系统及全景拍照方法
KR102087975B1 (ko) 공기조화기
KR101989990B1 (ko) 공기조화기
KR100557037B1 (ko)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위치 표시장치
CN215409292U (zh) 电风扇、电子设备
KR20190106056A (ko) 공기조화기
KR200327692Y1 (ko) 홍채영상 인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