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1166A -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1166A
KR20180031166A KR1020160119177A KR20160119177A KR20180031166A KR 20180031166 A KR20180031166 A KR 20180031166A KR 1020160119177 A KR1020160119177 A KR 1020160119177A KR 20160119177 A KR20160119177 A KR 20160119177A KR 20180031166 A KR20180031166 A KR 20180031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unit
power storage
heat exchanger
outdoor hea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3182B1 (ko
Inventor
박상준
이승준
제환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9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182B1/ko
Publication of KR20180031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4Protection means thereof, e.g. covers for refrigeran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1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 F24F11/42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of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for preventing fro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2Defrosting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2Defrosting cycles
    • F25B47/022Defrosting cycles hot gas defrosting
    • F25B47/025Defrosting cycles hot gas defrosting by reversing th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10Weather information or foreca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9Control issues
    • F25B2313/0294Control issues related to the outdoor fan, e.g. controlling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11Fan speed control
    • F25B2600/111Fan speed control of condense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1Sensor to detect if defrost is necess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는, 냉매배관 및 상기 냉매배관에 결합되는 핀을 구비하는 실외 열교환기;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 구비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 존재하는 이물의 양에 따라 전기용량이 가변되는 축전부; 상기 축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가변되는 전기용량에 기초하여 제상운전의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방법{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소정공간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되며,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어, 상기 소정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상기 소정공간은 공기조화기가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제안될 수 있다. 일례로, 공기조화기가 가정이나 사무실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정공간은 집 또는 건물의 실내공간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가 냉방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실외기에 구비되는 실외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수행하며, 실내기에 구비되는 실내 열교환기는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반면에,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실내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을 수행하면 실외온도 및 실외 열교환기간의 온도차에 의해, 실외 열교환기의 표면에는 이술이 맺히게 된다. 그리고, 실외 열교환기에 맺힌 이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실외 열교환기의 표면에 얼어붙어서, 실외 공기와 냉매간의 열교환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는 실외 열교환기에 발생된 서리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열교환기에 서리가 발생된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는 서리를 제거하기 위하여, 냉매 사이클을 역으로 동작시켜 실외 열교환기가 응축기의 기능을 하는 제상운전을 수행 한다. 이에 따라, 실외 열교환기의 표면에 응결된 서리가 녹아 내리게 된다.
공개번호 (공개일): 10-2005-0120395(2005년 12월 22일)
발명의 명칭: 히트 펌프식 에어컨의 저온 외기 조건에서의 제상 제어방법
상기 선행기술에 개시되는 히트 펌프식 에어컨의 저온 외기 조건에서의 제상 제어 방법에는,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가, 0℃이상인 제A경우와, 설정 온도(X)℃ 이상 0℃ 이하인 제B경우와, 설정 온도(X)℃ 이하인 제C경우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A경우에는 제상 진입없이 난방 운전을 하고, 상기 제B경우에는 제상 진입 지연을 위하여 간헐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켜 제상하고, 상기 제C경우에는 사방 밸브와 솔레노이드 밸브를 역사이클로 작동시켜 제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선행기술에 의하면, 상기 히트 펌프식 에어컨은 제상의 돌입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상 돌입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제상 돌입이 결정되면, 설정시간(약 9분)동안 압축기를 구동시킴으로써, 제상을 수행한다.
다만,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을 기준으로 제상돌입여부를 결정할 경우, 실제 열교환기의 서리 착상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실외 열교환기에는 성에가 발생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제상이 필요한 환경으로 판단되어 제상이 수행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상 돌입이 결정되면 정해진 설정시간(약 9분)동안 압축기가 구동되기 때문에, 열교환기에 착상된 서리가 충분히 제거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는, 착상된 서리의 양에 비하여, 과도하게 제상이 수행되어 열교환효율이 저하되며, 전력이 비효율적으로 소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상돌입 판단 여부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열교환기에 착상된 서리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열교환기에 착상된 서리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서리량을 기초로 제상운전 시간이 결정되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는, 냉매배관 및 상기 냉매배관에 결합되는 핀을 구비하는 실외 열교환기;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 구비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 존재하는 이물의 양에 따라 전기용량이 가변되는 축전부; 상기 축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가변되는 전기용량에 기초하여 제상운전의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상기 핀은 다수 개로 구비된다.
상기 다수 개의 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축전부를 구성한다.
상기 축전부는 상기 다수 개의 핀 중 제 1 핀에 구비되며, 양전압이 인가되는 제 1 축전부을 포함한다.
상기 축전부는 상기 다수 개의 핀 중 제 2 핀에 구비되며, 음전압이 인가되는 제 2 축전부을 더 포함한다.
상기 축전부의 전기용량은 상기 제 1 축전부와 상기 제 2 축전부의 사이에 착상되는 이물의 양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제 1 축전부 또는 상기 제 2 축전부를, 상기 냉매배관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차단시키기 위한 절연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제 1 축전부 또는 상기 제 2 축전부가 접촉되는 상기 냉매배관의 외주면에 설치된다.
상기 제 1 축전부 및 상기 제 2 축전부 사이의 간격과, 상기 축전부의 전기용량의 가변량에 관한 매핑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가 더 포함된다.
상기 매핑정보는, 상기 제 1, 2 축전부의 간격이 가까워질수록, 상기 축전부의 전기용량의 가변량이 증가되도록 매핑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축전부 또는 상기 제 2 축전부의 면적과, 상기 축전부의 전기용량의 가변량에 관한 매핑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매핑정보는, 상기 제 1 축전부 또는 상기 제 2 축전부의 면적이 증가할수록, 상기 축전부의 전기용량의 가변량이 증가되도록 매핑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측정된 전기용량이 상기 설정값보다 큰 경우, 제상운전을 수행한다.
상기 설정값은,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 존재하는 물 또는 착상된 서리의 양에 따라 다수의 설정값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설정값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지부에 측정된 전기용량을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 물이 맺힌 것으로 판단하는 제 1 설정값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설정값은 상기 제 1 설정값보다 작은 값으로 결정되며, 일부분에는 물이 맺히고, 다른 일부분에는 서리가 착상된 것으로 판단되는 제 2 설정값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측정된 전기용량이 상기 제 2 설정값 보다 크고 상기 제 1 설정값보다 작으면,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실외기팬의 RPM을 줄이거나, 압축기의 효율을 낮추도록 제어한다.
상기 다수의 설정값은 상기 제 2 설정값보다 작으며, 서리가 착상된 것으로 판단되는 제 3 설정값 중 어느 하나와 비교하여, 제상운전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측정된 전기용량이 상기 제 3 설정값보다 크고 상기 제 2 설정값보다 작으면, 제상운전을 수행하도록 결정한다.
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는, 난방 운전이 수행하는 단계; 실외 열교환기에 구비된 축전부의 전기용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축전부의 전기용량과 설정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축전부의 전기용량이 상기 설정값보다 크면 제상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지역에 대한 환경변수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환경변수에 대한 정보에 매핑된 값이 상기 설정값으로 결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환경변수에 대한 정보에는, 상기 공기조화기가 설치되는 지역이 해안가를 나타내는 제 1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 쌓인 이물은 염분인 것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환경변수에 대한 정보에는, 상기 공기조화기가 설치되는 지역이 사막지역을 나타내는 제 2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 2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 이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설정주기동안 실외기팬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감지부는 실외 열교환기에 구비되는 한 쌍의 핀에 형성되는 공간의 전기용량을 측정하여 착상된 서리량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상돌입 판단 여부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치의 작동 신뢰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상운전 시간은 감지부에 의해 측정되는 서리량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어서, 제상운전의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제상이 진행되면 감지부에 의해 측정되는 서리량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제상의 진행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설치지역에 따라 환경변수가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환경변수를 기초로 실외 열교환기에 쌓인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동작을 선별 및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성능이 개선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에 구비되는 실외 열교환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축전부를 나타낸 실외 열교환기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7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평으로 핀 간격을 조절한 축전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핀의 면적을 조절한 축전부의 사시도이다.
도 9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실외 열교환기의 서리착상상태 및 제상진행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해안지역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1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사막지역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1) 및 실외기(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내기(1)의 형상에 따라 스탠드형, 벽걸이형 또는 천장형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는, 냉방만을 수행하는 경우나, 난방만을 수행하는 경우, 그리고 냉난방 모두 수행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는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2)는 상기 실내기(1)와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1)에서 공기를 조화하는데 필요한 냉매를 상기 실내기(1)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내기(1) 및 실외기(2)를 제어하는 원격제어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기에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부(미도시) 및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내기(1)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실내기(1)의 동작상태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로컬제어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기 및 로컬제어기에 구비되는 출력부는 일례로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내기(1) 및 실외기(2) 이외에도 환기유닛, 공기청정유닛, 가습유닛, 제습유닛, 히터 등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제어기(미도시)에는, 조명유닛, 경보유닛 등이 연결되어 상호 연동하여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 및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는 상기 토출구에 구비되는 풍향조절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풍향조절수단은 상기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고,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는 상기 공기흡입구 또는 상기 공기토출구에 설치되는 베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인은, 상기 공기흡입구 및 상기 공기토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폐할 수 있고, 공기의 유동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상기 실내기(1)는 실내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되는 실내 열교환기(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가 냉방운전으로 작동될 때, 상기 실내 열교환기(11)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1)로 전달되는 액상 냉매가, 실내 공기에 의해 증발될 수 있도록 증발기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으로 작동될 때, 상기 실내 열교환기(11)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1)로 전달되는 기상 냉매가, 실내 공기에 의해 응축될 수 있는 응축기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는 실내 공기를 상기 실내 열교환기(11)로 송풍시키는 실내 송풍기(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내 송풍기(12)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실내기팬모터(121) 및 상기 실내기팬모터(121)에 연결되어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실내기팬(1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는 상기 실내 팽창밸브(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11)를 미통과한 냉매가 상기 실내 팽창밸브(13)를 통과할 경우, 상기 실내 팽창밸브(13)는 냉매를 팽창시키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실내 열교환기(11)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실내 팽창밸브(13)를 통과한 경우, 상기 실내 팽창밸브(13)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1)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조화기가 냉방 운전 시, 상기 실내 팽창밸브(13)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1)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다. 상기 실내 팽창밸브(13)는 일례로 전자팽창밸브(EEV)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외기(2)는, 실외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되는 실외 열교환기(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가 냉방 운전으로 작동될 ??, 상기 실외 열교환기(21)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1)로 전달되는 기상 냉매가 실외 공기에 의해 응축될 수 있는 응축기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으로 작동될 때, 상기 실외 열교환기(21)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1)로 전달되는 액상 냉매가, 실외 공기에 의해 증발될 수 있는 증발기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2)는 실외 공기를 상기 실외 열교환기(21)로 송풍시키는 실외 송풍기(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외 송풍기(31)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실외기팬모터(311) 및 상기 실외기팬모터(311)에 연결되어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실외기팬(3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외기(2)는 기상 냉매만을 추출하는 어큐뮬레이터(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큐뮬레이터(41)는, 상기 어큐뮬레이터(41)에 유입되는 냉매 중 기상 냉매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기상냉매는 압축기(51)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실외기(2)는 상기 어큐뮬레이터(41)로부터 추출된 기상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51)는 상기 어큐뮬레이터(41)로부터 유입되는 냉매와, 후술되는 오일분리기(61)로부터 유입되는 오일을 섞어서 압축한 뒤 상기 공기조화기의 작동 상태에 따라 실내 열교환기(11) 및 실외 열교환기(21) 중 어느 하나로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압축기(51)는 일례로 용량이 가변될 수 있는 인버터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외기(2)는 상기 압축기(51)에서 토출되는 오일이 포함된 냉매를 분리하는 오일분리기(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분리기(61)는 유입되는 냉매 및 오일을 각각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오일분리기(61)에 의해서 분리된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11) 및 실외 열교환기(21) 중 어느 하나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분리기(61)에 의해서 분리된 오일은 상기 압축기(51)로 회수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2)는 상기 오일분리기(61)에서 분리된 냉매의 흐름을 전환시킬 수 있는 사방밸브(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방밸브(71)에 의해서, 상기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21) 및 실내 열교환기(11) 중 어느 하나로 유입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사방밸브(71)는 상기 오일분리기(61)로부터 분리된 냉매를 상기 실내 열교환기(11) 측으로 전달되도록 유로를 조절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공기조화기가 냉방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사방밸브(71)는 상기 오일분리기(61)로부터 분리된 냉매를 상기 실외 열교환기(21) 측으로 유입되도록 유로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실외기(2)는 실외 팽창밸브(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외 팽창밸브(81)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1)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실외 팽창밸브(81)를 통과하는 경우,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 팽창밸브(81)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1)를 미 통과한 냉매가 상기 실외 팽창밸브(81)를 통과하는 경우, 냉매를 팽창시키지 않을 수 있다. 즉, 난방 운전시, 상기 실외 팽창밸브(81)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1)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다. 상기 실외 팽창밸브(81)는 일례로 전자팽창밸브(EEV)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외기(2)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에 착상된 이물의 량을 감지 및 측정할 수 있는 감지부(2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은 물, 얼음, 먼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의 일 영역에 대하여 전기장을 형성하고, 상기 전기장에 의해 전하를 축전하는 축전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251)는 상기 축전부(230)의 전기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축전부(230)의 상세한 내용은 후술된다.
이하에서는 실외 열교환기 및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 배치되는 감지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에 구비되는 실외 열교환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를 나태낸 실외 열교환기의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실외 열교환기(21)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되는 냉매배관(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매배관(210)은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21)는 다수 개의 냉매배관(210)을 연결하기 위하여 U자형으로 만곡되는 리턴밴드(2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냉매배관(210)은 상기 리턴밴드(211)를 통해 직렬로 연결되어 하나의 냉매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다수 개의 냉매배관(210)은 상기 리턴밴드(211)를 통해 직렬로 연결된 냉매배관(210)의 복수 군이 병렬로 연결되어 복수 개의 냉매 유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상기 다수 개의 냉매배관(210)이 상기 리턴밴드(211)를 통해 하나의 열교환기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21)는 상기 냉매배관(210)에 결합되며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는 핀(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220)에 형성되는 홀의 개수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에 구비되는 냉매배관(210)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 개의 냉매배관(210)이 상기 핀(22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에 각각 관통됨으로써, 상기 다수 개의 냉매배관(210)은 상기 핀(2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핀(220)은 일례로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220)은 상기 냉매배관(210) 및 핀(220) 주변의 공기 간의 열교환이 이루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220)은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핀(220)은 각각 설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 개의 핀(220)는 양전압(+)이 인가되는 제 1 핀(231) 및 음전압(-)이 인가되는 제 2 핀(232)을 포함할수 있다. 상기 제 1, 2 핀(231, 232)은 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2)는 상기 제 1, 2 핀(231, 232)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발생기(2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발생기(252) 및 상기 제 1, 2 핀(231, 232)은 일례로 케이블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핀(231)은 상기 전압발생기(252)에 구비되는 양전압발생기(미도시)에 의해 양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핀(232)은 상기 전압발생기(252)에 구비되는 음전압발생기(미도시)에 의해 음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전압발생기(252)는 상기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제 1, 2 핀(231, 232)에 양전압(+) 및 음전압(-)을 각각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실외 열교환기(21)는, 상기 제 1, 2 핀(231, 232) 및 상기 냉매배관(210)을 서로 전기적으로 차단시키기 위한 절연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240)는 상기 제 1, 2 핀(231, 232)이 상기 냉매배관(210)에 접촉되는 상기 냉매배관(210)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2 핀(231, 232) 및 상기 냉매배관(210)은 상기 절연부재(240)에 의해 전기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핀(231) 및 상기 제 2 핀(232)에 각각 양전압(+) 및 음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제 1 핀(231) 및 상기 제 2 핀(232) 사이의 공간부에는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에는 소정의 전하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공간부에 저장되는 전하의 량, 즉 전기용량(C)은 간단하게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C는 전기용량을, εr은 물질의 유전율을, C0는 자유공간에서의 전기용량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에 따르면, 상기 공간부의 전기용량은 상기 공간에 위치하는 물질의 유전율(εr)의 크기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서리(또는 얼음)의 유전율(εr)은 공기의 유전율(εr)보다 크다. 상기 제 1 핀(231) 및 상기 제 2 핀(232)에 양전압(+) 및 음전압(-)이 각각 인가되면, 상기 공간부에는, 전기장이 형성되며, 전하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간부에 공기만 있는 경우, 상기 공간부의 전기용량은 제 1 전기용량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핀(231) 또는 상기 제 2 핀(232)에 서리가 착상된 경우, 상기 공간부의 유전율(εr)은 증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간부의 전기용량은 제 2 전기용량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전기용량은 상기 제 1 전기용량보다 크다. 정리하면, 가변된 공간부의 전기용량의 값을 이용하여, 상기 공간부, 즉 상기 제 1, 2 핀(231, 232)에 서리의 착상 여부 및 착상된 서리량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공간부의 전기용량이 가변되는 것을 이용하여, 열교환기의 착상된 서리량을 감지하면, 실제로 열교환기에 착상된 서리의 유무를 판단하는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상 돌입 여부에 대한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성에가 발생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제상이 필요한 환경으로 판단되어 제상이 수행되는 가제상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 1 핀(231), 제 2 핀(232), 상기 제 1 핀(231)과 상기 제 2 핀(23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는 축전부(230)라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에서, 온도 변화가 큰 영역은, 이슬이 맺히기가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21) 맺힌 이슬은, 실외의 저온환경에 의해 쉽게 결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축전부(230)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에서 온도변화가 가장 클 것으로 기대되는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에 맺힌 이슬이 결빙되는 것을 신속하게 감지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의 제상 돌입 시점을 효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에서 온도변화가 가장 클 것으로 기대되는 영역은 일례로,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에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측(도 3의 A) 또는 냉매가 유출되는 출구측(도 3 의 B)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축전부(230)는 상기 실외기팬으로 인하여 공기의 흐름이 가장 원활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축전부(230)가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의 온도변화가 큰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의 제상 돌입 시점을 결정하는 데 용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 1 핀(231) 및 상기 제 2 핀(232)은 부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핀(231)에는 도체로 형성되며, 양전압발생기로부터 양전압(+)을 인가받은 제 1 검출전극(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핀(232)에는 도체로 형성되며, 음전압발생기로부터 음전압(-)을 인가받는 제 2 검출전극(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검출전극 및 상기 제 2 검출전극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검출전극 및 상기 제 2 검출전극은 전기장이 형성되어 전기용량을 갖을 수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검출전극 및 상기 제 2 검출전극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부에 의해 축전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 1, 2 핀은 각각 축전부의 구성에 해당되므로, 상기 제 1 핀은 제 1 축전부, 상기 제 2 핀은 제 2 축전부라 이름할 수 있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실외기(2)는 상기 축전부(230)의 전기용량을 측정할 수 있는 감지부(2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251)는 상기 축전부(230)의 전기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251)에 의해 출력되는 전기용량은 상기 실외기(2)의 각 모듈(열교환기, 사방벨브, 압축기)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55)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5)의 상세한 내용은 후술된다.
상기 실외기(2)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2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5)는 상기 타이머(253)를 이용하여, 상기 축전부(230)의 전기용량을 설정된 주기간격으로 획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251)에 의해 감지된 서리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255)는 상기 타이머(253)를 제어하여 제상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실외기(2)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2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54)에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의 서리 착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비교값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비교값은, 기체의 상변화(고체, 액체, 기체)에 따른 유전율, 이물(염분, 모래)의 유전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254)에는, 상기 제 1 핀(231)와 상기 제 2 핀(232) 사이의 간격과, 상기 축전부(230)의 전기용량의 가변량에 관한 매핑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매핑정보에는, 상기 제 1, 2 핀(231, 232)의 간격이 가까워질수록, 상기 축전부의 전기용량의 가변량이 증가되도록 매핑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메모리(254)에는, 상기 제 1 핀(231)와 상기 제 2 핀(232) 면적과, 상기 축전부(230)의 전기용량의 가변량에 관한 매핑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매핑정보에는, 상기 제 1 핀(231) 또는 상기 제 2 핀(232)의 면적이 증가할수록, 상기 축전부의 전기용량의 가변량이 증가되도록 매핑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2)는, 상기 감지부(251)에 의해 측정되는 전기용량을 기초로 제상을 수행할 수 있는 제어부(2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5)는 상기 전기용량이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에 서리가 착상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55)는 제상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상운전은 일례로, 난방 운전을 하는 중에 제상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냉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나,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 결합된 또는 인접하게 위치된 제상히터를 동작시키는 것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상 운전 방법은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이하에서는, 제상 돌입 여부를 판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난방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S1).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 수행시, 상기 실외 열교환기(21)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1)로 전달되는 액상 냉매가, 실외 공기에 의해 증발될 수 있는 증발기로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11)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1)로 전달되는 기상 냉매가, 실내 공기에 의해 응축될 수 있는 응축기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내공간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에 의해, 난방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 중에, 상기 제어부(255)는 상기 감지부(251)를 제어하여 축전부(230)의 전기용량(Cp)을 측정할 수 있다(S3). 상기 제어부(255)는 난방 시, 실시간으로 전기용량(Cp)을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255)는 난방 시, 설정된 주기 간격으로 전기용량(Cp)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5)는 상기 축전부(230)의 전기용량(Cp) 및 설정 기준값(Cr)을 서로 비교할 수 있다(S5). 상기 설정 기준값(Cr)은 서리가 측정되는 전기용량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상세히, 서리가 열교환기에 특정량 이상 착상되어, 사용자가 기대하는 공기조화기의 난방 성능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전기용량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축전부(230)의 전기용량(Cp)이 상기 설정 기준값(Cr)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255)는 제상운전모드를 동작시킬 수 있다(S7). 상기 축전부(230)의 전기용량(Cp)이 상기 설정 기준값(Cr)을 초과하는 것은 서리가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에 착상되어, 기대되는 성능을 달성하지 못하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제상운전모드가 동작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255)는 상기 감지부(251)에 의하여, 상기 축전부(230)의 전기용량(Cp)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획득된 전기용량(Cp) 및 설정기준값(Cr)을 비교할 수 있다(S9). 이때, 상기 제어부(255)는 상기 타이머(253)를 이용하여, 상기 축전부(230)의 전기용량(Cp)을 설정된 주기간격으로 획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기 또는 로컬제어기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상운전모드를 통해 실외 열교환기(21)에 착상된 서리량이 줄어드는 것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게 제상의 진행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축전부(230)의 상기 전기용량(Cp)이 상기 설정 기준값(Cr) 미만이 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255)는 제상운전모드를 종료한 뒤, 다시 난방기능을 동작 시킬 수 있다(S11). 또는 실내온도가 사용자가 기설정한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난방기능이 더 이상 동작될 필요가 없으므로, 공기조화기의 운전이 종료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감지부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착상된 서리량을 감지할 수 있어서, 공기조화기의 제상돌입여부를 판단하는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작동 신뢰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상운전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제상운전시간은 감지부에 의해 측정되는 서리량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상운전의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상운전이 과도하게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소비전력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상이 진행되면서 감지부에 측정되는 서리량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제상의 진행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는 하나의 축전부만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축전부가 다수 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이용하여, 다수 개로 구비되는 축전부의 값 및 설정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실외기의 제상돌입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예는 감지부의 감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축전부의 제 1 핀 및 제 2 핀 사이의 간격 및 면적이 조절되는 것에 대한 차이점이 있다.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평으로 핀 간격을 조절한 축전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실외 열교환기(21)는, 전압발생기(252)로부터 양전압(+)을 인가받는 제 1 핀(231) 및 상기 전압발생기(252)로부터 음전압(-)를 인가받는 제 2 핀(2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핀(231) 및 상기 제 2 핀(232)은 도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핀(231) 및 상기 제 2 핀(232)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면서, 상기 제 1 핀(231) 및 상기 제 2 핀(232) 사이에는 다수 개의 핀(233a, 233b)이 배치되는 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핀(231) 및 상기 제 2 핀에 상기 전압발생기(252)로부터 각각 양전압(+) 및 음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제 1 핀(231) 및 상기 제 2 핀(232) 사이의 공간부에는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에는 소정의 전하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공간부에 저장되는 전하의 량, 즉 전기 용량(C)은 간단하게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수학식 2에서 C는 전기용량을, εr은 물질의 유전율을, ε0는 진공상태에서의 유전율을, A는 제 1, 2 핀의 면적을, d는 제 1 핀과 제 2 핀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2에 따르면, 상기 제 1 핀(231) 및 제 2 핀(232) 사이의 거리(d)의 간격이 조절됨에 따라, 감지부(251)에 의해서 감지되는 축전부(230)의 전기용량(C) 가변범위가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핀(231) 및 제 2 핀(232) 사이의 거리(d)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상기 감지부(251)에 의해서 측정되는 전기용량(C)의 가변범위는 커질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 1 핀(231) 및 상기 제 2 핀(232) 사이의 거리(d)가 상대적으로 먼 경우, 상기 감지부(251)에 의해서 측정되는 전기용량(C)의 가변범위는 작아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용량(C)의 가변범위에 따라 제상돌입시점이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핀(231) 및 상기 제 2 핀(232) 사이의 거리(d)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상기 감지부(251)에 측정되는 전기용량(Cp)의 가변범위가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251)에 측정되는 전기용량(Cp)이 설정기준(Cr)을 초과하는 시점이 상대적으로 빨라질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 1 핀(231) 및 상기 제 2 핀(232) 사이의 거리(d)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 전기용량(Cp)의 가변범위가 상대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251)에 측정되는 전기용량(Cp)이 설정기준(Cr)을 초과하는 시점이 상대적으로 늦춰질 수 있다.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핀의 면적을 조절한 축전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핀(231) 및 제 2 핀(232)은 면적이 조절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핀(231) 및 제 2 핀(232)은 상하방향(도면 상 상하방향)으로 면적(A)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핀(231) 및 상기 제 2 핀(232)에는, 제 1 냉매배관(210a) 및 제 2 냉매배관(210b)이 관통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 1 핀(231) 및 상기 제 2 핀(232)에 의해서, 상기 제 1 냉매배관(210a) 및 상기 제 2 냉매배관(21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냉매배관(210a, 210b)의 외주면과 상기 제 1 핀(231) 및 제 2 핀(232)이 접촉되는 부분은 절연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핀(231) 및 상기 제 2 핀(232)에 전압이 인가되더라도, 상기 절연부재에 의해서, 상기 제 1, 2 핀(231, 232)은 서로 전기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핀(231) 및 제 2 핀(232)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핀(233c, 233d)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핀(233c, 233d)은 부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발생기(252)에 의해서, 상기 제 1 핀(231) 및 상기 제 2 핀(232)에 각각 양전압(+) 및 음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제 1 핀(231) 및 상기 제 2 핀(232) 사이의 공간부, 즉 축전부(230)에는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에는 소정의 전하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공간부의 전기용량은 상기 수학식 2에 따라 간단히 설명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2에 따르면, 상기 제 1 핀(231) 및 제 2 핀(232)의 면적이 조절됨에 따라, 감지부(251)에 의해서 감지되는 축전부(230)의 전기용량(C)이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핀(231) 및 상기 제 2 핀(232)이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갖는 경우, 상기 감지부(251)에서 측정되는 전기용량(C)의 가변범위는 작아질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 1 핀(231) 및 상기 제 2 핀(232)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경우, 상기 감지부(251)에서 측정되는 전기용량(C)의 가변범위는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용량(C)의 가변범위에 따라 제상돌입시점이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핀(231) 및 상기 제 2 핀(232)이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갖는 경우, 상기 감지부(251)에 측정되는 전기용량(Cp)의 가변범위가 작아질 수 있다. 이때, 감지부(251)에 측정되는 전기용량(Cp)이 설정기준값(Cr)을 초과하는 시점이 상대?Ю막? 늦춰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외기(2)의 제상돌입시점이 늦춰질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 1 핀(231) 및 상기 제 2 핀(232)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갖는 경우, 상기 감지부(251)에 측정되는 전기용량(Cp)의 가변범위는 커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부(251)에 감지되는 전기용량(Cp)이 설정기준값(Cr)을 초과하는 시점이 상대적으로 빨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외기(2)의 제상돌입시점이 빨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핀 및 제 2 핀의 사이의 간격과 면적의 크기에 따라, 감지부에 측정되는 전기용량의 가변범위가 조절되어, 실외기(2)의 제상돌입시점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핀 및 제 2 핀의 간격 및 면적의 크기에 따라 가변범위가 조절되는 것은, 감지부의 감도가 조절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부의 감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는 간편하게 제상돌입시점을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 1 핀 및 제 2 핀 사이의 간격과 면적의 크기가 각각 조절됨으로써, 감지부에 측정되는 전기용량의 가변범위가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다만, 제 1 핀 및 제 2 핀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면서 상기 제 1 핀 및 상기 제 2 핀의 면적이 조절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제 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전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 3 실시예에는, 열교환기의 서리착상상태 및 제상진행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물 또는 착상된 서리의 양에 따라 다수의 설정값이 포함되는 특징이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
도 9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실외 열교환기의 서리착상상태 및 제상진행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난방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S21). 공기 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상기 실외열교환기는 증발기로써 작동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 중에, 상기 제어부(255)는 상기 감지부(251)를 제어하여 축전부(230)의 전기용량(Cp)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55)는 메모리에 기설정된 설정값을 상기 감지부(251)에 의해 측정된 전기용량(Cp)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설정값에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 존재하는 물 또는 착상된 서리의 양에 따라 결정되는 다수의 설정값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설정값은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전기용량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제 1 설정값(Cr1) 이상의 값은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에 물이 맺힌 경우에 상기 감지부(251)에 측정된 전기용량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설정값(Cr1)보다 작은 상기 제 2 설정값(Cr2) 및 상기 제 1 설정값(Cr1) 사이 범위의 값은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에 물과 얼음이 함께 있는 경우에 상기 감지부(251)에 측정된 전기용량 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설정값(Cr2)보다 작은 상기 제 3 설정값(Cr3) 및 상기 제 2 설정값(Cr2) 사이 범위의 값은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에 얼음이 착상된 경우에 상기 감지부(251)에 측정된 전기용량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설정값(Cr3)보다 작은 전기용량인 경우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주변에 얼음 또는 물이 착상되지 않은 정상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255)는 상기 감지부(251)에 의해 측정되는 전기용량(Cp) 및 상기 제 1 설정값(Cr1)을 서로 비교할 수 있다(S23).
상기 감지부(251)에 측정된 전기용량(Cp)이 상기 제 1 설정값(Cr1)보다 큰 경우는 실외온도 및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차에 의해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에 물이 맺힌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S25).
따라서, 상기 제어부(255)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에 물이 맺힌 상태임을 상기 공기조화기의 원격제어기 및 로컬제어기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55)는 감지부(251)에 의해 측정되는 전기용량(Cp)값을 확인하여,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251)에 측정된 전기용량(Cp)이 상기 제 1 설정값(Cr1)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부(255)는 상기 전기용량(Cp) 및 제 2 설정값(Cr2)을 서로 비교할 수 있다(S27).
상기 감지부(251)에 측정된 전기용량(Cp)이 제 2 설정값(Cr2)보다 큰 경우,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의 일부에는 서리가 착상되고, 다른 일부에는 물이 맺혀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S29). 또한, 상기 감지부(251)에 측정된 전기용량(Cp)이 제 2 설정값(Cr2)보다 큰 경우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에 서리의 착상이 진행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55)는 난방 효율을 일시적으로 낮춤으로써,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에 진행되는 서리의 착상을 늦출 수 있다. 일 례로, 실외기팬모터(221)의 RPM을 낮추거나, 압축기의 효율을 낮춤으로써, 상기 제어부(255)는 난방 효율을 일시적으로 낮출 수 있다.
상기 감지부(251)에 측정된 전기용량(Cp)이 상기 제 2 설정값(Cr2)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부(255)는 상기 전기용량(Cp) 및 제 3 설정값(Cr3)을 서로 비교할 수 있다(S31).
상기 감지부(251)에 측정된 전기용량(Cp)이 제 3 설정값(Cr3)보다 큰 경우,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에 서리가 착상되어, 사용자가 기대하는 성능을 달성하지 못하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S33).
이때, 상기 제어부(255)는 제상운전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S35). 상기 제어부(255)는 제상운전모드를 수행 하면서, 상기 S23단계 내지 S33단계를 통해,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의 상태를 메모리(254)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격제어기 및 로컬제어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메모리(254)에 저장된 정보는 고객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제상운전모드가 수행되는 중에, 상기 제어부(255)는 상기 감지부(251)를 제어하여 축전부(230)의 전기용량(Cp)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55)는 측정된 전기용량(Cp)을 제 1,2,3 설정값(Cr1, Cr2, Cr3)값과 비교하여, 실외 열교환기(21)에 착상된 서리가 제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감지부(251)에 측정된 전기용량(Cp)이 제 2 설정값(Cr2) 보다 크고 제 3 설정값(Cr3) 보다 작은 경우, 제상운전에 의해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의 일부에는 서리가 착상되고, 다른 일부에는 물이 맺혀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감지부(251)에 측정된 전기용량(Cp)이 제 1 설정값(Cr1) 보다 크고 제 2 설정값(Cr2)보다 작은 경우, 제상운전에 의해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에는 물이 맺혀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측정된 전기용량(Cp)이 제 1, 2, 3 설정값(Cr1, Cr2, Cr3)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부(255)는 감지부(251)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7). 상기 제어부(255)는 상기 감지부(251)에 측정된 전기용량(Cp)을 제 1 이상변수(K1) 및 제 2 이상변수(K2)와 비교하여 감지부(251)의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 2 이상변수(K2)는 상기 제 1 이상변수(K1)보다 큰 값일 수 있다.
상기 감지부(251)에 측정된 전기용량(Cp)이 상기 제 1 이상변수(K1)보다 크고 상기 제 2 이상변수(K2)보다 작은 경우, 상기 감지부(251)에는 이상이 없으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21)가 정상동작 가능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S39). 따라서, 상기 제어부(255)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의 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255)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종료될 수 있다.
반대로, 측정된 전기용량(Cp)이 제 1 이상변수(K1) 보다 작고, 제 2 이상변수(K2)보다 큰 경우, 상기 감지부(251)에 고장이 발생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41). 따라서, 상기 제어부(255)는 상기 실외기(2)의 기능을 정지시키고, 상기 감지부(251)에 고장이 발생한 정보를 상기 로컬제어기 및 원격제어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S43). 상기 표시된 고장 정보에 의해, 사용자는 유지보수를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부(251)에 고장이 발생된 것은, 상기 감지부(251)의 제 1 핀(231) 및 제 2 핀(232)이 외부 충격에 의해 변형되거나, 금속 등의 이물질이 부착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핀(231) 및 상기 제 2 핀(232)이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제어부(255)는 난방 운전 시, 감지부(251)에 의해 측정된 전기용량(Cp)값을 기설정된 제 1, 2, 3 설정값과 비교하여, 실외 열교환기(21)에 서리가 착상되는 과정 및 제상운전에 의해 제거되는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리가 착상되는 정보 및 제상운전에 의해 착상된 서리가 제거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제 4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전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 4 실시예는 공기조화기가 해안지역에 설치되는 경우, 축전부 및 감지부를 이용하여 실외 열교환기의 이상유무을 판단하는 방법에 차이점이 있다.
도 10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해안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밥어 대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조화기는 냉방 또는 난방운전 수행될 수 있다(S71).
상기 제어부(255)는 상기 메모리(254)를 참조하여, 기설정된 환경변수를 확인 할 수 있다(S73). 상기 환경변수는 상기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지역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모리(254)에는, 상기 설치된 지역이 일례로 해안지역인 제 1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5)는 상기 감지부(251)를 제어하여,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에 구비된 축전부(230)의 전기용량(Cp)를 측정할 수 있다(S75).
그리고, 상기 제어부(255)는 상기 감지부(251)에 측정된 전기용량(Cp)를 기 설정된 제 1 설정값(Cr1)과 비교할 수 있다(S77). 상기 제 1 설정값(Cr1) 및 상기 제 1 설정값(Cr1)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는 제 2 설정값(Cr2)은 상기 기설정된 환경변수에 매핑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환경변수가 해안지역인 경우, 상기 제 1 설정값(Cr1)은 상기 감지부(251)에 염분이 특정량이상 누적되어,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유지보수가 요구되는 전기용량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 2 설정값(Cr2)에 대한 설명은 후술된다.
상기 감지부(251)에 측정된 전기용량(Cp)이 상기 제 1 설정값(Cr1)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255)는 로컬제어기 및 원격제어기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상기 염분의 누적량 및 경고를 표시할 수 있다(S79).
상기 제어부(255)는 상기 감지부(251)에 측정된 전기용량(Cp)을 기 설정된 제 2 설정값(Cr2)과 비교할 수 있다(S81). 상기 제 2 설정값(Cr2)은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의 부식 가능성이 높은 상태인 전기용량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251)에 측정된 전기용량(Cp)이 상기 제 2 설정값(Cr2)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255)는 실외기의 기능을 정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이상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S83).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공기조화기는 상기 감지부를 제어하여, 실외 열교환기에 누적된 염분을 감지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실외 열교환기의 청소가 요구되는 상황을 인식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에 누적된 염분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제 5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전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 5 실시예는 공기조화기가 사막지역에 설치되는 경우, 축전부 및 감지부를 이용하여 실외 열교환기에 누적된 모래량을 판단하고, 누적된 모래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하여 차이점이 있다.
도 11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사막지역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조화기는 공기 조화가 완료된 경우 또는 상기 공기조화기가 더 이상 구동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정지운전될 수 있다(S91). 상기 정지운전은 상기 실내기 및 상기 실외기의 열교환을 위한 동작이 정지되어 냉방 또는 난방이 수행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정지운전은 상기 실외기 측에는 전원이 인가된 상태로, 상기 제어부(255)의 제어에 의해, 실외기팬모터(311)가 동작될 수 있도록,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5)는 상기 메모리(254)를 참조하여, 기설정된 환경변수를 확인 할 수 있다(S93). 상기 환경변수는 상기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지역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모리(254)에는, 상기 설치된 지역은 일례로 사막지역인 제 2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5)는 상기 감지부(251)를 제어하여,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에 구비된 축전부(230)의 전기용량(Cp)를 측정할 수 있다(S95).
그리고, 상기 제어부(255)는 상기 감지부(251)에 측정된 전기용량(Cp)를 기 설정된 설정기준값(Cr)과 비교할 수 있다(S97). 상기 설정기준값(Cr)은 상기 기설정된 환경변수에 매핑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결정될 있다. 일례로, 상기 환경변수가 사막지역인 경우, 상기 설정기준값(Cr)은 상기 감지부(251)에 모래가 특정량이상 쌓임으로 인하여 실외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이 저감되거나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정된 전기용량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251)에 측정된 전기용량(Cp)이 상기 설정기준값(Cr)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에 모래가 쌓인 것으로 판단 수 있다(S99)
따라서, 상기 제어부(255)는 모래제거모드를 수행하여 상기 실외 열교환기(21)에 쌓인 모래를 제거할 수 있다(S101). 상기 모래제거모드는 일 례로 설정주기동안 상기 실외 송풍기(31)을 동작시킴으로써, 실외 열교환기(21)에 쌓인 모래를 제거하는 것일 수 있다.
모래제거모드 수행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255)는 측정된 전기용량(Cp) 및 상기 설정값(Cr)을 비교할 수 있다(S103).
상기 감지부(251)에 측정된 전기용량(Cp)이 상기 설정기준값(Cr)보다 작은 경우, 정상기동가능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S105). 반대호, 상기 감지부(251)에 측정된 전기용량(Cp)이 상기 설정값(Cr)보다 큰 경우, 모래제거모드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설재거모드를 다시 수행한 뒤에도 측정된 전기용량(Cp)이 상기 설정기준값(Cr)보다 큰 경우, 상기 실외기(2)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경고표시를 띄어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어부(255)는 상기 실외기(2)의 기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공기조화기는 실외 열교환기에 구비되는 감지부를 제어하여, 정지운전 상태에서,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쌓인 모래량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쌓인 모래량이 설정값 이상이 되는 경우, 모래제거모드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모래가 쌓여서 열교환기의 성능이 저감되거나,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실내기 11: 실내 열교환기
2: 실외기 21: 실외 열교환기
210: 냉매배관 211: 리턴밴드
220: 핀 230: 축전부
231: 제 1 핀 232: 제 2 핀
240: 절연부재 251: 감지부
252: 전압발생기 253: 타이머
254: 메모리 255: 제어부
31: 실외송풍기 311: 실외기팬모터
312: 실외기팬 51: 압축기
71: 사방밸브

Claims (20)

  1. 냉매배관 및 상기 냉매배관에 결합되는 핀을 구비하는 실외 열교환기;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 구비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 존재하는 이물의 양에 따라 전기용량이 가변되는 축전부;
    상기 축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가변되는 전기용량에 기초하여 제상운전의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다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축전부를 구성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부는,
    상기 다수 개의 핀 중 제 1 핀에 구비되며, 양전압이 인가되는 제 1 축전부; 및
    상기 다수 개의 핀 중 제 2 핀에 구비되며, 음전압이 인가되는 제 2 축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전부의 전기용량은 상기 제 1 축전부와 상기 제 2 축전부의 사이에 착상되는 이물의 양에 의해 결정되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전부 또는 상기 제 2 축전부를, 상기 냉매배관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차단시키기 위한 절연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제 1 축전부 또는 상기 제 2 축전부가 접촉되는 상기 냉매배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전부 및 상기 제 2 축전부 사이의 간격과, 상기 축전부의 전기용량의 가변량에 관한 매핑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정보는,
    상기 제 1, 2 축전부의 간격이 가까워질수록, 상기 축전부의 전기용량의 가변량이 증가되도록 매핑된 정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전부 또는 상기 제 2 축전부의 면적과, 상기 축전부의 전기용량의 가변량에 관한 매핑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정보는,
    상기 제 1 축전부 또는 상기 제 2 축전부의 면적이 증가할수록, 상기 축전부의 전기용량의 가변량이 증가되도록 매핑된 정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측정된 전기용량이 상기 설정값보다 큰 경우, 제상운전을 수행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은,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 존재하는 물 또는 착상된 서리의 양에 따라 다수의 설정값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설정값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지부에 측정된 전기용량을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 물이 맺힌 것으로 판단하는 제 1 설정값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설정값은,
    상기 제 1 설정값보다 작은 값으로 결정되며, 일부분에는 물이 맺히고, 다른 일부분에는 서리가 착상된 것으로 판단되는 제 2 설정값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측정된 전기용량이 상기 제 2 설정값 보다 크고 상기 제 1 설정값보다 작으면,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실외기팬의 RPM을 줄이거나, 압축기의 효율을 낮추도록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설정값에는,
    상기 제 2 설정값보다 작으며, 서리가 착상된 것으로 판단되는 제 3 설정값 중 어느 하나와 비교하여, 제상운전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공기조화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측정된 전기용량이 상기 제 3 설정값보다 크고 상기 제 2 설정값보다 작으면, 제상운전을 수행하도록 결정하는 공기조화기.
  17. 난방 운전이 수행하는 단계;
    실외 열교환기에 구비된 축전부의 전기용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축전부의 전기용량과 설정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축전부의 전기용량이 상기 설정값보다 크면 제상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지역에 대한 환경변수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환경변수에 대한 정보에 매핑된 값이 상기 설정값으로 결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변수에 대한 정보에는,
    상기 공기조화기가 설치되는 지역이 해안가를 나타내는 제 1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 쌓인 이물은 염분인 것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변수에 대한 정보에는,
    상기 공기조화기가 설치되는 지역이 사막지역을 나타내는 제 2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 2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 이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설정주기동안 실외기팬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160119177A 2016-09-19 2016-09-19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KR101953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177A KR101953182B1 (ko) 2016-09-19 2016-09-19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177A KR101953182B1 (ko) 2016-09-19 2016-09-19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166A true KR20180031166A (ko) 2018-03-28
KR101953182B1 KR101953182B1 (ko) 2019-03-04

Family

ID=61901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177A KR101953182B1 (ko) 2016-09-19 2016-09-19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1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46255A (zh) * 2021-03-08 2022-09-1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046255B (zh) * 2021-03-08 2024-05-2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3074U (ko) * 1996-10-30 1998-07-25 배순훈 착상센서를 이용한 냉장고용 제상시스템
KR20120022315A (ko) * 2010-09-02 2012-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각 시스템 및 그의 제상 제어 방법
KR20150047287A (ko) * 2013-10-24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3074U (ko) * 1996-10-30 1998-07-25 배순훈 착상센서를 이용한 냉장고용 제상시스템
KR20120022315A (ko) * 2010-09-02 2012-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각 시스템 및 그의 제상 제어 방법
KR20150047287A (ko) * 2013-10-24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46255A (zh) * 2021-03-08 2022-09-1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046255B (zh) * 2021-03-08 2024-05-2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3182B1 (ko) 201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39518B1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EP2320151B1 (en) Air-conditioning device
US20110088414A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refrigerant quantity determination method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EP2320169B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amount of refrigerant therein
JP5626439B2 (ja) 冷凍装置
US20090314017A1 (en) Air conditioner
KR10191794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JP6652219B1 (ja) 冷媒漏洩判定システム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US20090095000A1 (en) Air conditioner
JP6584497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の異常検知システム
WO2009150824A1 (ja) 冷凍装置
WO2020115935A1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130098694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0096474A (ja) 空調制御装置及び空気調和システム
AU2010253372B2 (en) Heating dedicated air conditioner
EP3896353B1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JP2013029307A (ja) 冷凍装置
JP2009299987A (ja) 冷凍装置
KR101953182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US20090308088A1 (en) Air conditioner
KR20090067738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EP3943824B1 (en) Device evaluation system and device evaluation method
KR20070077639A (ko) 멀티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07352B1 (ko) 공기 조화기, 공기 조화기의 온도 센서의 고장 검출 방법및 공기 조화기의 온도 센서 제빙 방법
WO2022249502A1 (ja) 冷凍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