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1029A - 발포 물질 및 이 물질과 연관된 물품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발포 물질 및 이 물질과 연관된 물품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1029A
KR20180031029A KR1020187005047A KR20187005047A KR20180031029A KR 20180031029 A KR20180031029 A KR 20180031029A KR 1020187005047 A KR1020187005047 A KR 1020187005047A KR 20187005047 A KR20187005047 A KR 20187005047A KR 20180031029 A KR20180031029 A KR 20180031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de
poly
weight
phenylene ether
foa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5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드리에 란다
아르노 씨. 하게나르스
마크 베릭스
Original Assignee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filed Critical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80031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02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B29C47/0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foa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08J9/14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25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L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C08L71/12Polyphen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1/00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 C08J2201/02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pre- or post-treatments
    • C08J2201/022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pre- or post-treatments premixing or pre-blending a part of the components of a foamable composition, e.g. premixing the polyol with the blowing agent, surfactant and catalyst and only adding the isocyanate at the time of foam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1/00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 C08J2201/02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pre- or post-treatments
    • C08J2201/03Extrusion of the foamable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14Saturated hydrocarbons, e.g. butane; Unspecifi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5/00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C08J2205/04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foam pores
    • C08J2205/05Open cells, i.e. more than 50% of the pores are op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5/00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C08J2205/06Flexible fo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7/00Foams characterised by their intended 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6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J24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C08J2471/12Polyphen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8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83/10Block- or graft-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8J2483/12Block- or graft-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발포 물질은 반결정질 수지 50 내지 90 중량% 및 폴리(페닐렌 에테르) 1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한다. 반결정질 수지는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올레핀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발포 물질의 밀도는 40 내지 700 kg/m3이다. 발포 물질은, 발포제(blowing agent)를, 반결정질 수지 및 폴리(페닐렌 에테르)를 포함하는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에 첨가하여, 예비-발포된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및 이러한 예비-발포된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압출하여, 발포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발포 물질은 내용매성을 필요로 하는 물품의 제조에 유용하다.

Description

발포 물질 및 이 물질과 연관된 물품 및 방법
본 발명은 발포 물질 및 이 물질과 연관된 물품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스티렌 단독으로부터 제조된 발포 물질뿐만 아니라 폴리스티렌/폴리(페닐렌 에테르) 블렌드로부터 제조된 발포 물질은 경량 및 우수한 단열을 포함한 바람직한 특성들을 나타낸다. 폼(foam)의 폴리(페닐렌 에테르) 함량을 증가시키면, 상기 폼의 내열성이 증가하지만, 폴리(페닐렌 에테르) 함량은 가공 시 고려사항에 의해 제한을 받는다.
폴리스티렌 및 폴리스티렌/폴리(페닐렌 에테르) 폼은 유기 용매, 특히 유기 연료, 예컨대 가솔린 및 디젤에 대해 불량한 저항성을 갖는다. 이들 폼의 불량한 내화학성은 자동차 언더후드 적용, 및 양호한 내화학성을 필요로 하는 다른 시장 제품들에서 이들 폼의 사용을 제한한다.
폴리스티렌 및 폴리스티렌/폴리(페닐렌 에테르) 폼과 비교하여 개선된 내용매성을 나타내는 폼 물질이 요망되고 있다.
일 구현예는 발포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반결정질 수지 50 내지 90 중량%; 및 폴리(페닐렌 에테르) 1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발포 물질로서; 여기서, 상기 발포 물질은 23℃에서 40 내지 700 kg/m3의 밀도를 갖는다.
또 다른 구현예는 발포 물질을 포함하는 물품이다.
또 다른 구현예는 발포 물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조 방법은 발포제(blowing agent)를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에 첨가하여, 예비-발포된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예비-발포된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압출기로부터 압출하여, 발포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은 (a)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반결정질 수지 50 내지 90 중량%, 및 (b) 폴리(페닐렌 에테르) 10 내지 50 중량%를 용융 블렌딩한 생성물을 포함하며; 중량%는 상기 발포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고; 상기 발포 물질의 밀도는 23℃에서 측정 시 40 내지 700 kg/m3인, 발포 물질의 제조 방법이다.
이들 구현예 및 다른 구현예들은 하기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폴리스티렌/폴리(페닐렌 에테르) 블렌드로부터 제조된 발포 물질과 비교하여, 반결정질 수지 및 폴리(페닐렌 에테르)의 블렌드로부터 제조된 발포 물질이 개선된 내용매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특성은 폼이, 탄화수소 유체에의 노출을 견뎌야 하는 자동차 언더후드 컴포넌트와 같은 물품의 제작에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일 구현예는 발포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반결정질 수지 50 내지 90 중량%; 및 폴리(페닐렌 에테르) 1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발포 물질로서; 여기서, 상기 발포 물질은 23℃에서 40 내지 700 kg/m3의 밀도를 갖는다.
반결정질 수지는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나일론으로도 공지된 폴리아미드는 복수의 아미드(-C(O)NH-) 기들의 존재를 특징으로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폴리아미드는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6,6, 폴리아미드-4,6, 폴리아미드-11, 폴리아미드-12, 폴리아미드-6,10, 폴리아미드-6,12, 폴리아미드-6/6,6, 폴리아미드-6/6,12, 폴리아미드-MXD,6, 폴리아미드-6,T, 폴리아미드-6,I, 폴리아미드-6/6,T, 폴리아미드-6/6,I, 폴리아미드-6,6/6,T, 폴리아미드-6,6/6,I, 폴리아미드-6/6,T/6,I, 폴리아미드-6,6/6,T/6,I, 폴리아미드-6/12/6,T, 폴리아미드-6,6/12/6,T, 폴리아미드-6/12/6,I, 폴리아미드-6,6/12/6,I, 폴리아미드-9T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폴리아미드는 폴리아미드-6,6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아미드들의 조합은 171℃ 이상의 용융점(Tm)을 갖는다.
폴리아미드는 다수의 잘 공지된 공정들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폴리아미드는 또한, 다양한 공급원들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ISO 307에 따라 96 중량% 황산 중 0.5 중량% 용액에서 측정 시, 400 밀리리터/그램(mL/g)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는 90 내지 350 mL/g, 또는 더욱 더 구체적으로는 110 내지 250 mL/g의 점도수(viscosity number)를 갖는 폴리아미드가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폴리아미드는 염산을 이용한 적정에 의해 확인 시, 30 마이크로당량 이상의 아민 말단 기/1 그램의 폴리아미드(μeq/g)의 아민 말단 기 농도를 갖는다. 아민 말단 기 농도는 30 내지 100 μeq/g, 구체적으로는 30 내지 80 μeq/g일 수 있다. 아민 말단 기 함량은 폴리아미드를 적합한 용매 내에 선택적으로는 열을 이용하여 용해시킴으로써 확인될 수 있다. 폴리아미드 용액은 적합한 지시 방법을 사용하여 0.01 노르말 염산(HCl) 용액을 이용하여 적정된다. 아민 말단 기의 양은 시료에 첨가되는 HCl 용액의 부피, 블랭크용으로 사용되는 HCl의 부피, HCl 용액의 몰농도 및 폴리아미드 시료의 중량을 기반으로 계산된다.
반결정질 수지가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경우, 융화제(compatibilizing agent)는 선택적으로는, 폴리아미드 및 폴리(페닐렌 에테르)의 융화된 블렌드의 제조를 촉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융화제"는 폴리(페닐렌 에테르), 폴리아미드 또는 둘 다와 상호작용하는 다관능성 화합물을 지칭한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화학적(예를 들어 그래프팅) 및/또는 물리적(예를 들어 분산된 상들의 표면 특징에 영향을 미침)일 수 있다. 어느 경우든지, 생성된 폴리아미드-폴리(페닐렌 에테르) 블렌드는 특히, 증강된 충격 강도, 몰드 니트 라인 강도(mold knit line strength) 및/또는 인장 신율(tensile elongation)에 의해 입증되는 바와 같이 개선된 융화성을 나타낸다. 융화제의 예로는, 액체 다이엔 중합체, 에폭시 화합물, 산화된 폴리올레핀 왁스, 퀴논, 오르가노실란 화합물, 다관능성 화합물, 산-관능화된 폴리(페닐렌 에테르) 및 이들의 조합이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융화제는 시트르산, 아가릭산, 말산, 푸마르산,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말레산 무수물-관능화된 폴리(페닐렌 에테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폴리에스테르는 복수의 에스테르(-C(O)O-) 기들의 존재를 특징으로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폴리에스테르는 하기 식의 반복 단위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2가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2가 폴리옥시알킬렌 라디칼이고, A1은 각각 독립적으로, 2가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라디칼이다. 상기 식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의 예로는, 폴리(알킬렌 다이카르복실레이트), 액체 결정질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가 있다. A1 잔기를 혼입하는 방향족 다이카르복실산의 예로는,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1,2-다이(p-카르복시페닐)에탄, 4,4'-다이카르복시다이페닐 에테르, 4,4' 비스벤조산 및 이들의 조합 등이 있다. 1,4-나프탈렌다이카르복실산, 1,5-나프탈렌다이카르복실산 및 2,6-나프탈렌다이카르복실산에서와 같이, 융합된 고리를 함유하는 산이 또한,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한 다이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 다이카르복실산, 사이클로헥산 다이카르복실산 및 이들의 조합이다. 특히 적합한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1,3-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PPT), 폴리(1,4-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부틸렌 나프타노에이트)(PBN), 폴리(1,4-사이클로헥실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사이클로헥산다이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코-사이클로헥산다이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로 공지된 50 몰% 초과의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갖는 공중합체, 및 PCTG로 공지된 50 몰% 초과의 사이클로헥산다이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갖는 공중합체), 폴리(2,2,4,4-테트라메틸사이클로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사이클로헥산다이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코-2,2,4,4-테트라메틸사이클로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이다.
폴리에스테르는 다수의 잘 공지된 공정들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는 또한, 다양한 공급원들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반결정질 수지가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경우, 융화제는 선택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페닐렌 에테르)의 융화된 블렌드의 제조를 촉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페닐렌 에테르)에 대한 융화제의 예로는, 환형 이미노 에테르 기를 포함하는 측쇄를 갖는 스티렌 중합체(예를 들어 Hamersma 등의 미국 특허 5,011,889 참조), 이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방향족 에폭시 화합물(예를 들어 Nakamura 등의 유럽 특허 출원 공개 0 276 327 A1 참조), 폴리(페닐렌 에테르)-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예를 들어 Sybert의 미국 특허 4,845,160 참조),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예를 들어 Yates의 미국 특허 4,786,664 참조) 및 이들의 조합이 있다.
폴리올레핀은 C2-C20 모노올레핀 및/또는 C4-C20 다이올레핀의 동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다. 폴리올레핀의 예로는, 폴리에틸렌(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포함), 폴리프로필렌(어택틱(atactic), 신디오택틱(syndiotactic) 및 이소택틱(isotactic) 폴리프로필렌 포함) 및 폴리이소부틸렌 등이 있다. 폴리올레핀 및 이의 제조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폴리올레핀은 본질적으로 폴리올레핀 동종중합체로 구성된다. 폴리에틸렌(HDPE, LDPE, MDPE, LLDPE)의 밀도는 0.90 gram/cm3 내지 0.98 gram/cm3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으로는,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예컨대 에틸렌과 1-부텐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1-헥센의 공중합체, 및 에틸렌과 1-옥텐의 공중합체 등이 있다. 부가적으로, 폴리프로필렌과 고무의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과 고무의 공중합체와 같은 올레핀들의 공중합체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과 고무의 공중합체는 이따금, 충격 변형된 폴리프로필렌으로 지칭된다. 이러한 공중합체는 전형적으로 헤테로상(heterophasic)이고, 비정질 상 및 결정질 상을 둘 다 갖도록 각각의 구성성분의 충분히 긴 구역들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폴리올레핀은, 본질적으로 C2 내지 C3 올레핀의 폴리올레핀 동종중합체로 구성된 말단 기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및 C2 내지 C12 올레핀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중간 블록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폴리올레핀은 동종중합체와 공중합체의 조합, 서로 다른 용융점들을 갖는 동종중합체들의 조합, 및/또는 서로 다른 용융 유속들을 갖는 동종중합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폴리올레핀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포함한다.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0.941 내지 0.965 g/mL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폴리올레핀의 용융 유속(MFR)은 0.3 내지 10 그램/10분(g/10 min)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용융 유속은 0.3 내지 5 그램/10분일 수 있다. 용융 유속은 분말화된 폴리올레핀 또는 펠렛화된 폴리올레핀, 2.16 킬로그램의 로드(load) 및 상기 폴리올레핀에 적합한 온도(에틸렌-기반 폴리올레핀의 경우 190℃ 및 프로필렌-기반 폴리올레핀의 경우 230℃)를 사용하여 ASTM D1238-10에 따라 확인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포함), 폴리프로필렌(어택틱, 신디오택틱 및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포함),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알파-올레핀/다이엔 삼량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폴리올레핀은 호모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폴리에틸렌은 동종중합체와 공중합체의 조합, 서로 다른 용융점들을 갖는 동종중합체들의 조합 및/또는 서로 다른 유속들을 갖는 동종중합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0.911 내지 0.98 g/cm3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폴리올레핀은 호모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다.
반결정질 수지가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경우, 융화제가 선택적으로는, 폴리올레핀과 폴리(페닐렌 에테르)의 융화된 블렌드의 제조를 촉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페닐렌 에테르)에 대한 융화제의 예로는,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다이블록 공중합체, 트리블록 공중합체, 멀티블록 공중합체 및 라디칼 텔레블록 공중합체 포함),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다이블록 공중합체, 트리블록 공중합체, 멀티블록공중합체 및 라디칼 텔레블록 공중합체 포함), 폴리(스티렌-말레산 무수물) 및 이들의 조합이 있다.
발포 물질은 상기 발포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반결정질 수지를 50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한다. 이 범위 내에서, 반결정질 수지의 함량은 50 내지 80 중량%, 구체적으로는 50 내지 70 중량%일 수 있다.
반결정질 수지 외에도, 발포 물질은 폴리(페닐렌 에테르)를 포함한다. 폴리(페닐렌 에테르)는 하기 식을 가진 반복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것들을 포함한다: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Z1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하이드로카르빌기가 3차 하이드로카르빌이 아닌, 비치환된 또는 치환된 C1-C12 하이드로카르빌, C1-C12 하이드로카르빌티오, C1-C12 하이드로카르빌옥시, 또는 할로겐과 산소 원자 사이에 2 이상의 탄소 원자가 존재하는 C2-C12 할로하이드로카르빌옥시이고; Z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하이드로카르빌기가 3차 하이드로카르빌이 아닌, 비치환된 또는 치환된 C1-C12 하이드로카르빌, C1-C12 하이드로카르빌티오, C1-C12 하이드로카르빌옥시, 또는 할로겐과 산소 원자 사이에 2 이상의 탄소 원자가 존재하는 C2-C12 할로하이드로카르빌옥시이다. 본원에서, 용어 "하이드로카르빌"은 그 자체로 사용되거나, 또는 접두어, 접미어 또는 다른 용어의 일부로서 사용되든지 간에, 탄소와 수소만을 포함하는 잔기를 지칭한다. 이 잔기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직쇄, 고리형, 이중고리형,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된 것일 수 있다. 이는 또한 지방족, 방향족, 직쇄, 고리형, 이중고리형, 분지형, 포화 및 불포화된 탄화수소 모이어티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하이드로카르빌 잔기가 치환된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이는 선택적으로는 치환 잔기의 탄소 및 수소 구성원 위로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구체적으로 치환된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하이드로카르빌 잔기는 또한, 하나 이상의 카르보닐기, 아미노기, 하이드록시기 등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하이드로카르빌 잔기의 골격 내에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Z1은 말단 3,5-다이메틸-1,4-페닐기와 산화 중합 촉매의 다이-n-부틸아민 성분의 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다이-n-부틸아미노메틸기일 수 있다.
폴리(페닐렌 에테르)는, 전형적으로 하이드록실기에 대해 오르토 위치에 위치하는 아미노알킬-함유 말단기(들)를 가진 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테트라메틸다이페노퀴논 부산물이 존재하는 2,6-다이메틸페놀-함유 반응 혼합물로부터 수득되는 테트라메틸다이페노퀴논(TMDQ) 말단기가 또한 종종 존재한다. 폴리(페닐렌 에테르)는 호모중합체,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이오노머 또는 블록 공중합체뿐만 아니라 이들의 혼합물의 형태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폴리(페닐렌 에테르)는 폴리(페닐렌 에테르)-폴리실록산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폴리(페닐렌 에테르)-폴리실록산 블록 공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폴리(페닐렌 에테르) 블록 및 하나 이상의 폴리실록산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를 지칭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폴리(페닐렌 에테르)-폴리실록산 블록 공중합체는 산화 공중합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이 방법에서, 폴리(페닐렌 에테르)-폴리실록산 블록 공중합체는, 1가 페놀 및 하이드록시아릴-말단화된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모노머 혼합물을 산화 공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의 생성물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모노머 혼합물은 1가 페놀과 하이드록시아릴-말단화된 폴리실록산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가 페놀 70 중량부 내지 99 중량부 및 하이드록시아릴-말단화된 폴리실록산 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한다. 하이드록시아릴-이말단화된 폴리실록산은 하기의 구조를 가진 복수 개의 반복 유닛:
Figure pct00003
상기 구조에서,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12 하이드로카르빌 또는 C1-C12 할로하이드로카르빌임; 및
하기의 구조를 가진 2개의 말단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00004
상기 구조에서, Y는 수소, C1-C12 하이드로카르빌, C1-C12 하이드로카르빌옥시 또는 할로겐이며,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12 하이드로카르빌 또는 C1-C12 할로하이드로카르빌이다. 매우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R8 및 R9는 각각 메틸이고, Y는 메톡실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1가 페놀은 2,6-다이메틸페놀을 포함하고, 하이드록시아릴-말단화된 폴리실록산은 하기의 구조를 가진다:
Figure pct00005
상기 구조에서, n은 평균적으로 5 내지 100, 구체적으로는 30 내지 60이다.
산화 공중합 방법에 의해, 폴리(페닐렌 에테르)-폴리실록산 블록 공중합체가 원하는 생성물로서 제조되며 (폴리실록산 블록이 포함되지 않은) 폴리(페닐렌 에테르)가 부산물로서 제조된다. 폴리(페닐렌 에테르)를 폴리(페닐렌 에테르)-폴리실록산 블록 공중합체로부터 분리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폴리(페닐렌 에테르)-폴리실록산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페닐렌 에테르) 및 폴리(페닐렌 에테르)-폴리실록산 블록 공중합체를 둘 다 포함하는 "반응 생성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소프로판올로부터의 석출(precipitation)과 같은 특정 분리 절차에 의해, 반응 생성물에 하이드록시아릴-말단화된 폴리실록산 출발 물질이 본질적으로 잔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이들 분리 절차에 의해, 반응 생성물의 폴리실록산 함유물은 본질적으로 모두 폴리(페닐렌 에테르)-폴리실록산 블록 공중합체 형태로 존재한다. 폴리(페닐렌 에테르)-폴리실록산 블록 공중합체에 대한 상세한 제조 방법은 Carrillo 등의 미국 특허 8,017,697 및 미국 특허 8,669,332에 기술되어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폴리(페닐렌 에테르)는 25℃, 클로로포름에서 Ubbelohde 점도계에 의해 측정 시 0.25 ㎗/g 내지 1 ㎗/g의 고유 점도를 가진다. 이 범위 내에서, 폴리(페닐렌 에테르)의 고유 점도는 0.3 ㎗/g 내지 0.65 ㎗/g, 보다 구체적으로는 0.35 ㎗/g 내지 0.5 ㎗/g,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0.4 ㎗/g 내지 0.5 ㎗/g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폴리(페닐렌 에테르)는 2,6-다이메틸페놀, 2,3,6-트리메틸페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량체들의 동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폴리(페닐렌 에테르)는 폴리(페닐렌 에테르)-폴리실록산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들 구현예에서, 폴리(페닐렌 에테르)-폴리실록산 블록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발포 물질 전체에 대해 0.05 중량% 내지 5 중량%, 구체적으로는 0.1 중량% 내지 3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0.2 중량% 내지 2 중량%의 실록산기를 기여할 수 있다.
발포 물질은 상기 발포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페닐렌 에테르)를 1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한다. 이 범위 내에서, 폴리(페닐렌 에테르)의 함량은 20 중량% 내지 50 중량%, 구체적으로는 30 중량%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발포 물질은 폴리아미드 및 폴리(페닐렌 에테르)를 총 90 내지 100 중량%로 포함한다. 이 범위 내에서, 폴리아미드 및 폴리(페닐렌 에테르)의 총 양은 95 내지 100 중량%, 구체적으로는 98 내지 100 중량%일 수 있다.
반결정질 수지, 폴리(페닐렌 에테르) 및 상기 기재된 선택적인 융화제 외에도, 발포 물질은 선택적으로는, 호모폴리스티렌(어택틱, 이소택틱 및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포함), 고무-변형된 폴리스티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가의 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중합체가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중합체의 총 양은 발포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전형적으로 1 내지 20 중량%이다.
발포 물질은 선택적으로는, 열가소성 분야에 공지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포 물질은 선택적으로는, 안정화제, 이형제, 윤활제, 가공 보조제, 난연제, 드립 지연제, 핵형성제(nucleating agents), UV 차단제, 염료, 안료, 항산화제, 대전방지제, 무기 오일, 금속 비활성화제, 안티블로킹제(antiblocking agent)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가 존재하는 경우, 이는 전형적으로, 발포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 이하, 구체적으로는 10 중량%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는 5 중량% 이하의 총 양으로 사용된다.
발포 물질은 선택적으로는, 필요하다면 본원에 기재되지 않은 구성성분들은 배제할 수 있다. 상기에 기재된 선택적인 첨가제 및 선택적인 추가의 중합체 외에도, 발포 물질은 선택적으로는, 충전제(강화 충전제 및 비-강화 충전제 포함), 전기 전도성 제제(탄소 나노섬유 및 전도성 카본 블랙 포함), 할로겐화된 발포제 및 이들의 조합을 배제할 수 있다.
발포 물질의 밀도는 23℃에서 40 내지 700 kg/m3이다. 이 범위 내에서, 상기 밀도는 60 내지 600 kg/m3, 구체적으로는 80 내지 400 kg/m3일 수 있다. 23℃에서 밀도는 폼 시료를 칭량하고, 상기 폼 시료를 23℃ 물에 완전히 침지시킨 다음, 시료의 침지와 연관된 부피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확인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밀도는 중량을 부피로 나눈 값으로서 계산되고, 필요하다면, 상기 단위를 밀도를 표현하기 위해 kg/m3 단위로 전환시킨다. 폼의 밀도는 예를 들어, 발포제의 정체성(identity) 및 함량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발포 물질의 매우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반결정질 수지는 폴리아미드-6,6이며, 폴리(페닐렌 에테르)는 폴리(2,6-다이메틸-1,4-페닐렌 에테르)를 포함하고, 조성물은 폴리아미드 50 내지 80 중량% 및 폴리(페닐렌 에테르) 2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며, 발포 물질은 폴리아미드 및 폴리(페닐렌 에테르)를 총 90 내지 100 중량%로 포함하고, 발포된 조성물의 밀도는 23℃에서 측정 시 100 내지 600 kg/m3이다.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기재된 변화들 중 임의의 변화에서 발포 물질을 포함하는 물품이다. 발포 물질은 특히, 양호한 내용매성을 필요로 하는 물품의 제작에 적합하다. 이러한 물품으로는, 자동차 언더후드 컴포넌트,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언더후드 커버, 자동차 언더후드 쉴드 및 자동차 언더후드 배터리 홀더가 있다.
또 다른 구현예는 발포 물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조 방법은, 발포제를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에 첨가하여, 예비-발포된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예비-발포된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압출기로부터 압출하여, 발포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은 (a)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반결정질 수지 50 내지 90 중량%, 및 (b) 폴리(페닐렌 에테르) 10 내지 50 중량%를 용융 블렌딩한 생성물을 포함하며; 중량%는 상기 발포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고; 상기 발포 물질의 밀도는 23℃에서 측정 시 40 내지 700 kg/m3이다.
특히 적합한 발포제로는, C3-C6 알칸, C1-C4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및 이소프로판올 포함), 이산화탄소, 질소 분자, 물 및 이들의 조합이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발포제는 프로판, 2-메틸프로판, n-부탄, 2-메틸부탄, n-펜탄, 네오펜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발포제를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에 첨가하는 단계는 전형적으로, 상기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의 비율로 수행된다. 이 범위 내에서, 발포제는 0.4 내지 15 중량%, 구체적으로는 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은 반결정질 수지를 포함하는 연속상 및 폴리(페닐렌 에테르)를 포함하는 분산상을 포함하고, 상기 분산상은 평균 단면적이 0.2 내지 5 ㎛2인 분산상 입자를 포함한다. 분산상 입자의 단면적은 전자 현미경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기 구현예들을 포함한다.
구현예 1: 발포 물질로서, 상기 발포 물질은, 상기 발포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반결정질 수지 50 내지 90 중량%; 및 폴리(페닐렌 에테르) 1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발포 물질은 23℃에서 40 내지 700 kg/m3의 밀도를 갖는, 발포 물질.
구현예 2: 구현예 1에 있어서, 상기 반결정질 수지가 폴리아미드인, 발포 물질.
구현예 3: 구현예 2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가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6,6, 폴리아미드-4,6, 폴리아미드-11, 폴리아미드-12, 폴리아미드-6,10, 폴리아미드-6,12, 폴리아미드-6/6,6, 폴리아미드-6/6,12, 폴리아미드-MXD,6, 폴리아미드-6,T, 폴리아미드-6,I, 폴리아미드-6/6,T, 폴리아미드-6/6,I, 폴리아미드-6,6/6,T, 폴리아미드-6,6/6,I, 폴리아미드-6/6,T/6,I, 폴리아미드-6,6/6,T/6,I, 폴리아미드-6/12/6,T, 폴리아미드-6,6/12/6,T, 폴리아미드-6/12/6,I, 폴리아미드-6,6/12/6,I, 폴리아미드-9T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발포 물질.
구현예 4: 구현예 3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가 폴리아미드-6,6인, 발포 물질.
구현예 5: 구현예 1에 있어서, 상기 반결정질 수지가 폴리에스테르인, 발포 물질.
구현예 6: 구현예 5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가 하기 식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며:
Figure pct00006
상기 식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2가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2가 폴리옥시알킬렌 라디칼이고, A1은 각각 독립적으로, 2가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라디칼인, 발포 물질.
구현예 7: 구현예 1에 있어서, 상기 반결정질 수지가 폴리올레핀인, 발포 물질.
구현예 8: 구현예 7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알파-올레핀/다이엔 삼량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발포 물질.
구현예 9: 구현예 1 내지 4 중 어느 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및 상기 폴리(페닐렌 에테르)를 총 9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발포 물질.
구현예 10: 구현예 1에 있어서, 상기 반결정질 수지가 폴리아미드-6,6이며; 상기 폴리(페닐렌 에테르)가 폴리(2,6-다이메틸-1,4-페닐렌 에테르)를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이 폴리아미드 50 중량% 내지 80 중량% 및 폴리(페닐렌 에테르) 20 중량%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발포 물질이 상기 폴리아미드 및 상기 폴리(페닐렌 에테르)를 총 9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발포된 조성물의 밀도가 23℃에서 측정 시 100 kg/m3 내지 600 kg/m3인, 발포 물질.
구현예 11: 구현예 1 내지 10 중 어느 한 구현예에 따른 발포 물질을 포함하는 물품.
구현예 12: 구현예 11에 있어서, 상기 물품이 자동차 언더후드 커버, 자동차 언더후드 쉴드 및 자동차 언더후드 배터리 홀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품.
구현예 13: 발포 물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조 방법은 발포제(blowing agent)를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에 첨가하여, 예비-발포된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예비-발포된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압출기로부터 압출하여, 발포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은 (a)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반결정질 수지 50 내지 90 중량%, 및 (b) 폴리(페닐렌 에테르) 10 내지 50 중량%를 용융 블렌딩한 생성물을 포함하며; 중량%는 상기 발포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고; 상기 발포 물질의 밀도는 23℃에서 측정 시 40 내지 700 kg/m3인, 발포 물질의 제조 방법.
구현예 14: 구현예 13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가 프로판, 2-메틸프로판, n-부탄, 2-메틸부탄, n-펜탄, 네오펜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발포 물질의 제조 방법.
구현예 15: 구현예 13 또는 14에 있어서, 발포제를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에 첨가하는 상기 단계가, 상기 발포제를 상기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20 중량%의 비율로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포 물질의 제조 방법.
구현예 16: 구현예 13 내지 15 중 어느 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이 상기 반결정질 수지를 포함하는 연속상 및 상기 폴리(페닐렌 에테르)를 포함하는 분산상을 포함하고; 상기 분산상이, 평균 단면적이 0.2 ㎛2 내지 5 ㎛2인 분산상 입자를 포함하는, 발포 물질의 제조 방법.
본원에 개시된 모든 범위들은 종점들을 포함하며, 이러한 종점들은 독립적으로 서로 조합 가능하다. 본원에 개시된 각각의 범위는 개시된 범위 내에 포함된 임의의 점 또는 하위 범위의 개시내용을 구성한다.
본 출원은 2015년 7월 22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62/195,344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가출원은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하기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의해 더 예시된다.
실시예 1
발포된 조성물을 제조하는 데 사용된 구성성분들은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구성성분 설명
PPE 0.3 25℃, 클로로포름에서 측정 시 고유 점도가 약 0.32 ㎗/g인 폴리(2,6-다이메틸-1,4-페닐렌 에테르), CAS Reg. No. 24938-67-8; SABIC Innovative Plastics사로부터 PPO™ 80630 수지로서 입수됨.
PPE 0.4 25℃, 클로로포름에서 측정 시 고유 점도가 약 0.40 ㎗/g인 폴리(2,6-다이메틸-1,4-페닐렌 에테르), CAS Reg. No. 24938-67-8; SABIC Innovative Plastics사로부터 PPOTM 80640 수지로서 입수됨.
PS 200℃ 및 5 kg 로드에서 약 7 g/10분의 용융 유동 지수를 갖는 어택틱 호모폴리스티렌, CAS Reg. No. 9003-53-6; TOTAL Petrochemicals사로부터 LACQRENETM 1450N 고 내열성 폴리스티렌으로서 입수됨.
PA66 저 IV 점도수가 123-129 밀리리터/그램이고 아민 말단 기 함량이 40-60 마이크로당량/그램인 폴리아미드-6,6, CAS Reg. No. 32131-17-2; Solvay사로부터 STABAMIDTM 24FE1로서 입수됨.
PA66 고 IV 점도수가 223-243 밀리리터/그램이고 아민 말단 기 함량이 30-50 마이크로당량/그램인 폴리아미드-6,6, CAS Reg. No. 32131-17-2; Radici Group사로부터 RADIPOLTM A95H01 수지로서 입수됨.
시트르산 시트르산, CAS Reg. No. 77-92-9; Jungbunzlauer사로부터입수됨.
이소부탄 이소부탄, CAS Reg. No. 75-28-5; Evonic Industries AG사로부터 DRIVOSOLTM 21로서 입수됨.
활석 활석, CAS Reg. No. 14807-96-6; Imerystalc사로부터 ULTRATALCTM로서 입수됨.
항산화제 옥타데실 3-(3,5-다이-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CAS Reg. No. 2082-79-3; Ciba Specialty Chemicals사로부터 IRGANOXTM 1076로서 입수됨.
CuI 쿠프러스 요오다이드(Cuprous iodide), CAS Reg. No. 7681-65-4.
KI, 수 중 50% 포타슘 요오다이드, CAS Reg. No. 7681-11-0, 수 중 50 중량% 용액.
조성물은 표 2에 요약되어 있으며, 여기서, 구성성분의 양은 100 중량% 수지(즉, 폴리(페닐렌 에테르), 폴리스티렌 및 폴리아미드의 총 양) 당 중량%로 표현되어 있다. 조성물을, 폴리아미드 이외에 구성성분들을 고속 블렌더를 사용하여 건조 블렌딩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생성된 건조 블렌드를 ZSK 28 밀리미터 트윈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폴리아미드와 함께 용융 혼합하였다. 배럴의 온도는 300℃이었으며, 스크류 속도는 300 회전수/분이었고, 처리량은 13.5-16 킬로그램/시(hour)이었으며, 토크는 80%이었다.
발포 실험을, 정적 혼합기(static mixer) 및 기체 유입구가 장착된 15 밀리리터 XploreTM 코니칼 트윈 스크류 마이크로 컴파운더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스크류는 길이가 약 20 cm인 코니칼 모양을 가졌다. 처리량은 1.5 내지 5 그램/분의 범위였으며, 스크류 속도는 100 회전수/분이었다. 배럴 온도 설정점은 270℃ 내지 290℃의 범위이었고, 용융물의 온도는 약 270℃이었다. 활석(talc)을 1 중량%에서 핵 형성제(nucleating agent)로서 사용하였으며, 이소부탄을 22 내지 27 중량%에서 발포제로서 사용하였다.
비발포된 조성물의 물리적 및 열적 특성들을, 290℃의 배럴 온도 및 100℃의 몰드 온도에서 작동하는 Engle 110 톤 사출 성형 기계 상에서 사출 성형된 시험 시료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파스칼-초(pascal-second)의 단위로 표현된 용융 점도 값을 300℃의 온도에서 ISO 11443-200에 따라 확인하였다. cm3/10분의 단위로 표현된 용융 부피 유속(MVR) 값을 300℃의 온도 및 5 kg의 로드에서 ISO 1113-2011에 따라 확인하였다. g/cm3의 단위로 표현된 비발포된 시료의 밀도 값을 23℃의 온도에서 ISO 1183-2004에 따라 확인하였다. ℃ 단위로 표현된 Vicat B 값을 50 뉴튼 및 120℃/시(hour)의 가열 속도에서 ISO 306-2004에 따라 확인하였다. 각각 메가파스칼 단위로 표현된 인장 탄성률 및 파단 인장 강도 값들을, 80 mm x 10 mm x 4 mm 치수, 50 mm의 게이지(gage) 길이 및 50 mm/분의 시험 속도를 사용하여 ISO 527-1993에 따라 확인하였다.
발포된 시료의 경우, 내화학성을, 발포된 가닥을 옥탄에 23℃에서 1분 동안 침지시킨 다음, 시료를 구부리고, 상기 시료가 취성(brittle) 또는 연성(ductile)인지 기록함으로써 확인하였다. 실시예 1의 경우, "우수한" 내화학성 특징은 90° 각도까지 구부린 후의 연성에 상응하였다. 실시예 2의 경우, "우수한" 내화학성 특징은 180° 각도까지 구부린 후의 연성에 상응하였다.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경우, "불량한" 내화학성 특징은 30° 각도까지 구부린 후의 취성 파괴(brittle failure)에 상응하였다.
표 2의 특성 결과는, 폴리스티렌 및 폴리(페닐렌 에테르)를 함유하는 폼과 비교하여, 폴리아미드 및 폴리(페닐렌 에테르)를 함유하는 폼이 훨씬 더 양호한 내용매성을 나타냄을 보여준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조성
PPE 0.3 0 0 50 0
PPE 0.4 40 40 0 70
PS 0 0 50 30
PA66 저 IV 60 0 0 0
PA66 고 IV 0 60 0 0
시트르산 0.65 0.65 0 0
활석 0 1 1 1
항산화제 0.3 0.3 0 0
CuI 0.01 0.01 0 0
KI, 수 중 50% 0.1 0.1 0 0
특성, 비발포됨
용융 점도, 300℃ (Pa.s) 115 245 -- --
MVR (cm3/10 min) 89 12 -- --
밀도 (g/cm3) 1.10 1.10 1.06 1.08
Vicat B (℃) 225 215 145 169
인장 탄성률 (MPa) 2750 2687 2540 --
파단 인장 강도 (MPa) 67 60 70 --
특성, 발포됨
내화학성 우수함 우수함 불량함 불량함

Claims (16)

  1. 발포 물질로서,
    상기 발포 물질은, 상기 발포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반결정질 수지 50 중량% 내지 90 중량%; 및
    폴리(페닐렌 에테르) 10 중량%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발포 물질은 23℃에서 40 kg/m3 내지 700 kg/m3의 밀도를 갖는, 발포 물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결정질 수지가 폴리아미드인, 발포 물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가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6,6, 폴리아미드-4,6, 폴리아미드-11, 폴리아미드-12, 폴리아미드-6,10, 폴리아미드-6,12, 폴리아미드-6/6,6, 폴리아미드-6/6,12, 폴리아미드-MXD,6, 폴리아미드-6,T, 폴리아미드-6,I, 폴리아미드-6/6,T, 폴리아미드-6/6,I, 폴리아미드-6,6/6,T, 폴리아미드-6,6/6,I, 폴리아미드-6/6,T/6,I, 폴리아미드-6,6/6,T/6,I, 폴리아미드-6/12/6,T, 폴리아미드-6,6/12/6,T, 폴리아미드-6/12/6,I, 폴리아미드-6,6/12/6,I, 폴리아미드-9T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발포 물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가 폴리아미드-6,6인, 발포 물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결정질 수지가 폴리에스테르인, 발포 물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가 하기 식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며:
    Figure pct00007

    상기 식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2가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2가 폴리옥시알킬렌 라디칼이고, A1은 각각 독립적으로, 2가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라디칼인, 발포 물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결정질 수지가 폴리올레핀인, 발포 물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알파-올레핀/다이엔 삼량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발포 물질.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및 상기 폴리(페닐렌 에테르)를 총 9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발포 물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결정질 수지가 폴리아미드-6,6이며;
    상기 폴리(페닐렌 에테르)가 폴리(2,6-다이메틸-1,4-페닐렌 에테르)를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이 폴리아미드 50 중량% 내지 80 중량% 및 폴리(페닐렌 에테르) 20 중량%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발포 물질이 상기 폴리아미드 및 상기 폴리(페닐렌 에테르)를 총 9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발포된 조성물의 밀도가 23℃에서 측정 시 100 kg/m3 내지 600 kg/m3인, 발포 물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포 물질을 포함하는 물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이 자동차 언더후드 커버, 자동차 언더후드 쉴드 및 자동차 언더후드 배터리 홀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품.
  13. 발포 물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조 방법은
    발포제(blowing agent)를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에 첨가하여, 예비-발포된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예비-발포된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압출기로부터 압출하여, 발포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은
    (a)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반결정질 수지 50 중량% 내지 90 중량%, 및
    (b) 폴리(페닐렌 에테르) 10 중량% 내지 50 중량%
    를 용융 블렌딩한 생성물을 포함하며;
    중량%는 상기 발포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고;
    상기 발포 물질의 밀도는 23℃에서 측정 시 40 kg/m3 내지 700 kg/m3인, 발포 물질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가 프로판, 2-메틸프로판, n-부탄, 2-메틸부탄, n-펜탄, 네오펜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발포 물질의 제조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발포제를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에 첨가하는 상기 단계가, 상기 발포제를 상기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20 중량%의 비율로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포 물질의 제조 방법.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이 상기 반결정질 수지를 포함하는 연속상 및 상기 폴리(페닐렌 에테르)를 포함하는 분산상을 포함하고;
    상기 분산상이, 평균 단면적이 0.2 ㎛2 내지 5 ㎛2인 분산상 입자를 포함하는, 발포 물질의 제조 방법.
KR1020187005047A 2015-07-22 2016-06-30 발포 물질 및 이 물질과 연관된 물품 및 방법 KR201800310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95344P 2015-07-22 2015-07-22
US62/195,344 2015-07-22
PCT/IB2016/053951 WO2017013510A1 (en) 2015-07-22 2016-06-30 Foamed material and associated article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029A true KR20180031029A (ko) 2018-03-27

Family

ID=56418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5047A KR20180031029A (ko) 2015-07-22 2016-06-30 발포 물질 및 이 물질과 연관된 물품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215886A1 (ko)
EP (1) EP3325543B1 (ko)
KR (1) KR20180031029A (ko)
CN (1) CN107835831A (ko)
WO (1) WO20170135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24022B1 (de) 2018-07-18 2024-09-11 Basf Se Schaumstoffpartikel auf basis von langkettigen polyamiden
KR20220065012A (ko) 2019-09-17 2022-05-19 바스프 에스이 고결정성 폴리아미드 폼 입자 및 폼 성형물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5160A (en) 1986-07-14 1989-07-04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phenylene ether-polyester copolymers and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WO1988000953A1 (en) 1986-08-04 1988-02-11 Toray Industries, Inc. Resi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NL8603112A (nl) 1986-12-08 1988-07-01 Gen Electric Polymeermengsel met polyfenyleenether, polyester en styreen polymeer.
US4786664A (en) 1987-03-26 1988-11-22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atible polyphenylene ether-linear polyester blends having improved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US5389320A (en) * 1991-10-28 1995-02-14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making expandable polyphenylene ether and polyolefin blend
US5272182A (en) * 1992-12-03 1993-12-21 General Electric Company Blowing agent concentrate and compositions and article prepared therefrom
JP3349749B2 (ja) * 1993-03-04 2002-11-25 旭化成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体
US7445839B2 (en) * 2003-08-08 2008-11-04 Sekisui Plastics Co., Ltd. Foam sheet for car interior member, and car interior member
US20090030141A1 (en) * 2007-07-23 2009-01-29 Kim Gene Balfour Poly(arylene ether) composition, method, and article
US8017697B2 (en) 2008-06-24 2011-09-13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Poly(arylene ether)-polysiloxane composition and method
US8450412B2 (en) * 2009-12-22 2013-05-28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Flame retardant polyamide composition, method, and article
US8304478B2 (en) * 2010-07-30 2012-11-06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Polyamide/poly(arylene ether) composition, article, and method
US8669332B2 (en) 2011-06-27 2014-03-11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Poly(arylene ether)-polysiloxane composition and method
KR101476912B1 (ko) * 2013-06-27 2014-12-29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를 포함하는 전도성 발포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25543A1 (en) 2018-05-30
US20180215886A1 (en) 2018-08-02
CN107835831A (zh) 2018-03-23
WO2017013510A1 (en) 2017-01-26
EP3325543B1 (en) 202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81488B2 (ja) 成形品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US7718721B2 (en) Poly(arylene ether)/polyolefin composition, method, and article
EP2169007B1 (en) Method for preparing a poly(arylene ether) composition with improved melt flow
US8961834B2 (en) Carbon nanotube masterbatch, preparation thereof, and use in forming electrically conductive thermoplastic composition
JP5657385B2 (ja) ポリ(アリーレンエーテル)組成物とその押出成形物品および被覆線製造における利用
KR101942881B1 (ko) 융화된 바이오폴리아미드 폴리(아릴렌 에테르) 열가소성 수지
US7655714B2 (en) Flame-retardant poly(arylene ether) composition and its use as a covering for coated wire
KR101836956B1 (ko) 폴리(아릴렌 에테르)-블록 코폴리머 조성물을 사용한 사출 성형품
EP2673128B1 (en) Profile extrusion method, article, and composition
US20090084577A1 (en) Flame-retardant poly(arylene ether) composition and its use as a covering for coated wire
JP2017214491A (ja) 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KR101757578B1 (ko) 변성 폴리(아릴렌 에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US8063133B2 (en) Poly(arylene ether) compositions, methods, and articles
US20150166777A1 (en) Polyolefin composition with poly(phenylene ether) filler and article thereof
KR20180031029A (ko) 발포 물질 및 이 물질과 연관된 물품 및 방법
US11814479B2 (en) Composition,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article formed therefrom, and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 comprising the composition
WO2024074917A1 (en) Thermoplastic composition,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comprising the composition
US20190225799A1 (en) Poly(phenylene ether) composition and article, and method of reducing odor of a poly(phenylene ether) com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