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0213A - 다중 빔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를 위한 메타물질 기반 트랜스밋어레이 - Google Patents

다중 빔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를 위한 메타물질 기반 트랜스밋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0213A
KR20180030213A KR1020187005971A KR20187005971A KR20180030213A KR 20180030213 A KR20180030213 A KR 20180030213A KR 1020187005971 A KR1020187005971 A KR 1020187005971A KR 20187005971 A KR20187005971 A KR 20187005971A KR 20180030213 A KR20180030213 A KR 20180030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du
cell
cells
inductive
wire lo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5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7714B1 (ko
Inventor
셍리 푸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30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02Refracting or diffracting devices, e.g. lens, prism
    • H01Q15/10Refracting or diffracting devices, e.g. lens, prism comprising three-dimensional array of impedance discontinuities, e.g. holes in conductive surfaces or conductive discs forming artificial dielectr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0006Devices acting selectively as reflecting surface, as diffracting or as refracting device, e.g. frequency filtering or angular spatial filtering devices
    • H01Q15/0013Devices acting selectively as reflecting surface, as diffracting or as refracting device, e.g. frequency filtering or angular spatial filtering devices said selective devices working as frequency-selective reflecting surfaces, e.g. FSS, dichroic plates, surfaces being partly transmissive and reflective
    • H01Q15/0026Devices acting selectively as reflecting surface, as diffracting or as refracting device, e.g. frequency filtering or angular spatial filtering devices said selective devices working as frequency-selective reflecting surfaces, e.g. FSS, dichroic plates, surfaces being partly transmissive and reflective said selective devices having a stacked geometry or having multipl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5Patch antenna arr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5/00Antennas or antenna systems providing at least two radiating patter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5/00Antennas or antenna systems providing at least two radiating patterns
    • H01Q25/007Antennas or antenna systems providing at least two radiating patterns using two or more primary active elements in the focal region of a focusing device
    • H01Q25/008Antennas or antenna systems providing at least two radiating patterns using two or more primary active elements in the focal region of a focusing device lens fed multibeam arrays

Landscapes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트랜스밋어레이 또는 무선 주파수 렌즈는 큰 시간 지연 변화를 제공할 수 있다. 트랜스밋어레이는 유전체 재료에 의해 분리된 용량성 패치 및 직사각형 와이어 루프를 각각 갖는 다수의 TDU(time-delay unit) 셀을 포함한다. 직사각형 와이어 루프는 서로 다른 크기의 TDU가 트랜스밋어레이에 포함되어 있더라도 인접한 TDU 셀 간에 전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다중 빔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를 위한 메타물질 기반 트랜스밋어레이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5년 8월 25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다중 빔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를 위한 메타물질 기반 트랜스밋어레이(Metamaterial-Based Transmitarray for Multi-BeamAntenna Array Assemblies)"인 미국 가출원 제 62/209,655 호 및 2016년 4월 21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다중 빔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를 위한 메타물질 기반 트랜스밋어레이(Metamaterial-Based Transmitarray for Multi-BeamAntenna Array Assemblies)"인 미국 특허 출원 제 15/134,751 호의 이익 및 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 미국 출원은 그 전체가 재현된 것처럼 참조에 의해 본원에 통합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용 안테나 어레이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중 빔 통신 환경에서 사용되는 안테나 어레이를 위한 메타물질 기반 렌즈 또는 트랜스밋어레이(transmitarrays)에 관한 것이다.
다중 빔 안테나 어레이는 일반적으로 능동 또는 수동 안테나 어레이 구조를 사용하여 구현된다. 능동 다중 빔 어레이는 복잡한 고속 디지털 처리가 필요한 고전력 송신/수신 모듈의 개발을 필요로 한다. 수동 대구경 위상 어레이는 일반적으로 복잡한 빔 형성 네트워크에서 과도한 손실을 겪는다.
대안적 다중 빔 안테나 어레이는 공간적으로 분포된 급전 안테나에 의해 급전되는 유전체 마이크로파 렌즈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유전체 마이크로파 렌즈의 사용은 렌즈 개구와 급전 안테나 사이의 임피던스 불일치에 의해 야기되는 상당한 손실을 겪을 수 있다. 또한, 낮은 마이크로파 주파수에서 작동하는 렌즈는 일반적으로 제조하기에 부피가 크고 무겁고 비싸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위상 시프팅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접속된 안테나 요소들을 사용하는 몇 가지 유형의 평면 마이크로파 렌즈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일반적으로 스캔 성능이 좋지 않다. 또한, 이들 안테나는 일반적으로 급전 안테나와 렌즈 개구 사이에 큰 간격을 필요로 하며, 이는 안테나의 프로파일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부가적, 대안적 및/또는 개선된 다중 빔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가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인접한 시간-지연 유닛(time-delay unit: TDU) 셀을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RF) 안테나용 메타물질 렌즈가 제공되는데, 각각의 TDU 셀은, 유전체 재료와, 상기 유전체 재료의 제 1 측면 상에서 상기 TDU 셀의 둘레 주위에 배열된 유도성 직사각형 와이어 루프와, 상기 유전체 재료의 제 2 측면 상에서 상기 TDU 셀의 둘레 내에 위치한 용량성 패치를 포함한다.
메타물질 렌즈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TDU 셀은 TDU 셀의 복수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데, 상이한 서브세트의 TDU 셀은 상이한 크기이고, 동일한 서브세트 내의 TDU 셀은 동일한 크기이다.
메타물질 렌즈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상이한 크기의 TDU 셀의 복수의 서브세트는 동일한 크기의 TDU 셀의 서브세트를 함께 그룹화하는 복수의 구역으로 배열되되, 가장 작은 TDU 셀은 내부의 제 1 구역에 위치하고 점점 더 큰 크기의 TDU 셀이 더 작은 크기의 TDU 셀의 구역을 둘러싼다.
메타물질 렌즈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TDU 셀의 동일한 서브세트 내의 TDU 셀은 상이한 크기의 용량성 패치를 갖는다.
메타물질 렌즈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TDU 셀의 유도성 직사각형 와이어 루프는 인접한 TDU 셀의 유도성 직사각형 와이어 루프와 접촉한다.
메타물질 렌즈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TDU 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도성 와이어 루프 내에서 유도성 와이어 크로스(inductive wire cross)를 포함한다.
메타물질 렌즈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TDU 셀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세트의 용량성 패치는 상이한 패치 크기를 갖는다.
메타물질 렌즈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TDU 셀의 용량성 패치 중 하나 이상은 유도성 컷-아웃(inductive cut-out)을갖는다.
메타물질 렌즈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TDU 셀의 각각은 상기 TDU 셀의 둘레를 따라 위치된 유도성 직사각형 와이어 루프의 하나 이상의 추가 층을 포함한다.
메타물질 렌즈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TDU 셀의 각각은 용량성 패치의 복수의 층을 포함한다.
메타물질 렌즈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TDU 셀의 각각은 상기 TDU 셀의 둘레를 따라 위치된 유도성 직사각형 와이어 루프의 복수의 층 및 용량성 패치의 복수의 층을 포함하되, 각각의 층은 유전체 재료에 의해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초점 거리를 가지며 복수의 인접한 시간-지연 유닛(time-delay unit: TDU) 셀을 갖는 트랜스밋어레이(transmitarray) - 각각의 TDU 셀은 상기 TDU 셀의 둘레를 따라 위치된 유도성 직사각형 와이어 루프, 용량성 패치, 및 상기 유도성 직사각형 와이어 루프와 상기 용량성 패치를 분리하는 유전체 재료를 가짐 - 와, 상기 트랜스밋어레이로부터 상기 초점 거리에 위치된 초점 평면에 배열된 복수의 방사 요소를 포함하는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가 또한 제공된다.
안테나 어레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TDU 셀은 TDU 셀의 복수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되, 상이한 서브세트의 TDU 셀은 상이한 크기이고, 동일한 서브세트 내의 TDU 셀은 동일한 크기이다.
안테나 어레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상이한 크기의 TDU 셀의 서브세트는 동일한 크기의 TDU 셀의 서브세트를 함께 그룹화하는 복수의 구역으로 배열되되, 가장 작은 TDU 셀은 내부의 제 1 구역에 위치하고 점점 더 큰 크기의 TDU 셀이 더 작은 크기의 TDU 셀의 구역을 둘러싼다.
안테나 어레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구역의 각각의 구역 내의 TDU 셀은 상이한 크기의 용량성 패치를 갖는다.
안테나 어레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TDU 셀의 유도성 직사각형 와이어 루프는 인접한 TDU 셀의 유도성 직사각형 와이어 루프와 접촉한다.
안테나 어레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TDU 셀은 상기 방사 요소로부터의 무선 주파수(RF) 빔에 대한 다운-틸트 각도(down-tilt angle)를 제공한다.
안테나 어레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는 직교-빔-공간(orthogonal-beam-space: OBS) 대규모 다중-입력-다중-출력(orthogonal-beam-space: MIMO) 어레이 어셈블리이다.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a 및 도 1b는 다중 빔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다중 빔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를 위한 트랜스밋어레이의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도 3은 트랜스밋어레이 및 시간 지연 유닛(time delay unit: TDU) 셀의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도 4a는 트랜스밋어레이에 사용되는 TDU 셀의 또 다른 구조를 도시한다.
도 4b는 크로스를 갖는 직사각형 와이어 그리드의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도 5a는 트랜스밋어레이에 사용된 용량성 패치 층을 도시한다.
도 5b는 트랜스밋어레이에 사용된 유도성 와이어 루프 층을 도시한다.
도 6은 트랜스밋어레이의 계층 구조를 도시한다.
도 7은 TDU 셀의 등가 회로 표현을 도시한다.
도 8은 TDU 셀의 등가 회로 표현을 도시한다.
도 9는 TDU 셀의 등가 회로 표현을 도시한다.
도 10은 TDU 셀의 등가 회로 표현을 도시한다.
도 11은 TDU 셀의 등가 회로 표현을 도시한다.
도 12는 구역으로 배열된 상이한 크기의 TDU 셀을 도시한다.
도 13은 위상 프론트(phase front)의 다운-틸트(down-tilt)가 없는 트랜스밋어레이를 도시한다.
도 14는 위상 프론트의 20° 다운-틸트를 갖는 트랜스밋어레이를 도시한다.
도 15는 전형적 TDU 주파수 응답을 나타낸다.
도 16은 전형적 TDU의 그룹 지연 및 위상 시프트를 도시한다.
도 17은 2개의 트랜스밋어레이의 고도 방사 패턴을 도시한다.
도 18은 위상 프론트의 20° 다운-틸트를 갖는 트랜스밋어레이의 방위각 패턴을 도시한다.
안테나 요소의 어레이에 인접하게 배열된 메타물질 기반 렌즈(metamaterial-based lens) 또는 트랜스밋어레이(transmitarray)를 사용하여 다수의 협폭 빔을 생성할 수 있는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가 설명된다. 트랜스밋어레이는 메타물질로 형성된 복수의 서브-파장 실시간 지연 유닛 셀(sub-wavelength true-time-delay unit cells)을 포함한다. 트랜스밋어레이의 메타물질 시간 지연 유닛 셀의 각각은 각각의 특정 트랜스밋어레이 개구 위치에서 원하는 시간 지연 및 위상 시프트를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광대역 빔 시준 디바이스는 이들 메타물질 기반 시간 지연 유닛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된 메타물질 기반 시간 지연 유닛은, 상대적으로 작은 시간 지연 변화를 갖는 트랜스밋어레이로 제한되었던 이전의 메타물질 기반 시도에 비해 더 넓은 주파수 대역폭을 갖는 로우-프로파일(low-profile) 트랜스밋어레이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전의 트랜스밋어레이의 작은 시간 지연 변화는 좁은 주파수 대역으로 제한된 큰 안테나 어셈블리 프로파일 및/또는 안테나 어셈블리를 초래했다. 여기에서 설명된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는 직교 빔 공간(orthogonal beam space: OBS) 다중 사용자(multi-user: MU) 다중-입력-다중-출력(multiple-input-multiple-output: MIMO) 시스템 또는 다수의 직교 빔을 생성하는 것이 요구되는 다른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실시간 지연 메타물질 비-공진 구성 요소(true-time-delay metamaterial non-resonant constituting elements)는, 전통적인 공진 안테나 대신, 로우-프로파일의 대역 통과 주파수-선택 표면(frequency-selective surface:FSS) 및 마이크로파 렌즈의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비-공진 주기적 구조는 초박형 및 로우-프로파일 대역 통과 주파수-선택 표면(FSS) 또는 렌즈 안테나를 설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비-공진 요소는 일반적으로 서브-파장 주기성으로 와이어 크로스의 그리드 및 패치의 다수의 계층으로 구성된다. 이들 요소의 각각은 제한된 주파수 대역에 걸쳐 적절한 시간 지연 및 전송 위상을 갖는 N차 대역 통과 또는 저역 통과 필터 응답을 에뮬레이트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전의 시간 지연 유닛 셀은 유닛들 사이의 총 시간 지연 변화 범위가 비교적 작은 직사각형 그리드로 배열된 단일 크기의 시간 지연 유닛을 사용하는 마이크로파 렌즈만을 생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그러한 시간 지연 유닛 셀의 사용은 급전 안테나와 렌즈 개구 사이에 비교적 큰 간격을 갖는 안테나 어셈블리, 또는 좁은 주파수 대역폭을 갖는 로우 프로파일 안테나로 제한되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는 메타물질의 구조에서 각 구성 지연 유닛 셀에 대해 둘레 와이어 루프를 사용하는 메타물질 기반 트랜스밋어레이 또는 마이크로파 렌즈를 사용한다. 와이어 루프는 트랜스밋어레이 내에서 상이한 크기의 시간 지연 유닛이 사용될 수 있게 한다. TDU의 다양한 크기의 사용은 시간 지연에 있어서 보다 큰 가능한 변화를 제공하며, 따라서 비교적 큰 주파수 범위에 걸쳐 동작하는 로우 프로파일 설계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a는 다중 빔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10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도 1a의 다중 빔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10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100)는 예를 들어 OBS MU-MIMO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100)는 반사기 또는 다른 지지 구조체(104) 상에 분포되는 어레이로 배열된 복수의 급전 안테나(102)를 포함한다. 트랜스밋어레이 또는 메타물질 RF 렌즈(106)는 마이크로파 렌즈로서 동작하며, 급전 안테나(102)로부터 초점거리 f만큼 떨어져 위치한다. 트랜스밋어레이(106)는 개구 치수 D를 갖는다. 트랜스밋어레이(106)는 메타물질 기반의 다중 계층 구성요소로 구성되는 로우-프로파일의 준주기적 평면 표면(low-profile quasi-periodicplanar surface)이다. 트랜스밋어레이(106)는 인쇄 회로 기술 또는 다른 제조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100)의 급전 안테나(102)는 트랜스밋어레이(106)의 표면으로부터 수직 거리 f에 위치된 초점 평면에서 지지 구조체(104) 상에 분포될 수 있다. 도 1a에서, 급전 안테나(102)의 방사 요소는 로우-프로파일 패치로서 도시되지만,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적절한 방사 패턴을 갖는 임의의 다른 방사 요소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트랜스밋어레이(106)는, 초점 평면 내의 급전 안테나의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하방 지향 빔(108)으로 도시된 고유 빔 지향 각도를 갖는 각각의 협폭 빔을 생성하기 위해 각각의 급전 안테나(102)로부터 입사된 방사 파를 변환하도록 설계된다. OBS MU-MIMO와 같은 통신 기술은, 모든 빔 중에서 최소 빔-커플링-인자(beam-coupling-factor: BCF)를 갖는 직교 빔 세트를 생성할 수 있는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100)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빔 사이에서 BCF를 최소화하기 위해, 급전 안테나(102)의 방사 요소는 도 1b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급전 안테나(102)의 방사 요소들 사이에 직교 축을 따라 적절한 간격을 가진 채 초점 평면 상에 분포될 수 있다. 이러한 급전 안테나(102)의 배열은 이웃하는 빔들 사이에서 트랜스밋어레이(106)로부터의 빔 지향 각도의 오프셋으로 인한 빔들 간의 중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a는 다중 빔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를 위한 트랜스밋어레이의 세부사항을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2b는 도 2a의 트랜스밋어레이(202)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b의 평면도는 트랜스밋어레이(202)를 형성하는 복수의 개별적인 TDU 셀(204), 또는 특히 TDU 셀의 용량성 패치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기지국 안테나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초점(206)으로부터 방사된 모든 신호가 모든 동작 주파수에 대해 동일한 전기 경로 길이 및 일정 위상 시프트를 가지면서 다운-틸트된 평면(208)에서 끝나도록 트랜스밋어레이(202)의 시간 지연 프로파일 및 위상 시프트 특성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은 다음 수학식으로 설명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TDU 셀(204)의 각각은 본질적으로 제한된 주파수 대역폭을 가지므로,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모두 만족시키는 메타물질 트랜스밋어레이(202)는 주파수 의존적 위상 시프트로 인해 트랜스밋어레이(202)에서 색수차(chromatic aberrations)를 완화시킨다. 아래에 설명된 주변 와이어 루프를 갖는 메타물질을 사용하면 불규칙한 그리드 패턴으로의 TDU 셀(204)의 분포가 허용된다. 불규칙한 그리드 패턴은 인접한 TDU 셀들 사이의 전류 연속성을 유지하면서 상이한 크기의 TDU 셀(204)이 사용될 수 있게 한다. TDU 셀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능력은 트랜스밋어레이(202)의 달성 가능한 총 시간 지연 변화를 상당히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총 시간 지연 변화는 더 작은 f/D 비를 갖는 RF 트랜스밋어레이(202)의 설계를 허용하여, 더 작은 가능한 안테나 프로파일, 또는 더 넓은 가능한 주파수 대역폭을 갖는 트랜스밋어레이(202)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트랜스밋어레이 및 시간 지연 유닛(TDU) 셀의 세부사항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밋어레이(300)는 복수의 인접한 TDU 셀(302)을 포함한다. TDU 셀(302)의 각각은 자신의 제 1 측면 상에 용량성 패치(306)를 갖는 유전체 재료(304)를 포함한다. 유도성 직사각형 와이어 루프(308)는 유전체 재료(304)의 제 2 측면 상에 위치한다. 직사각형 와이어 루프(308)는 인접한 TDU 셀들의 와이어 루프가 서로 접촉하여 인접한 TDU 셀들 사이에 전류 연속성을 제공하도록 TDU 셀들(302) 각각의 둘레 주위에 배열된다. 도 3에 도시된 TDU 셀(302)은 모두 같은 크기이다. 그러나, 이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트랜스밋어레이(300)는 상이한 크기의 TDU 셀을 가질 수 있다. 직사각형 와이어 루프는 TDU 셀의 둘레 주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이한 크기의 TDU 셀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인접한 TDU 셀의 와이어 루프는 서로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도 4a는 분포된 시간 지연 유닛(TDU) 셀의 세부 사항을 나타낸다. 전술된 바와 같이, 트랜스밋어레이는 복수의 인접한 개별 TDU로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TDU 셀(400)은 전술된 TDU 셀(302)과 유사하다. 그러나, 유전체 재료에 의해 분리된 단일 직사각형 와이어 층 및 단일 용량성 패치 층을 각각 갖는 TDU 셀(302)과 대조적으로, TDU 셀(400)은 복수의 용량성 패치 층(402) 및 복수의 유도성 와이어 루프 층(404)과 함께 각각의 용량성 및 유도성 층들(402, 404) 사이에 유전체 재료의 분리 층(406)을 포함한다. 각각의 용량성 패치(402)는 특정 크기의 직사각형 패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용량성 패치(402)는 중심에 유도성 컷-아웃(cut-out)(408)을 가질 수 있지만, 컷-아웃은 생략될 수도 있다.
유도성 와이어 그리드 층(404)은 각각 TDU 셀의 에지 또는 둘레를 따라 배열 된 직사각형 와이어 루프를 포함한다. 따라서, 인접한 TDU 셀 내의 대응하는 층들의 와이어 루프는 서로 접촉하여 인접한 TDU 셀 사이에 전류 연속성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유도성 와이어 루프는 와이어 루프의 중간에 와이어 접속 크로스(41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루프는 셀의 중심이 아니라 TDU 셀의 에지를 따르기 때문에 이웃하는 TDU 셀의 크기와 위치에 관계없이 모든 TDU 셀 간의 전류 연속성이 강화된다. 이러한 지오메트리(geometry)의 결과로서, TDU 셀들 간의 전류 연속성을 강화하기 위해 TDU의 와이어 그리드가 더 이상 동일한 크기일 필요가 없으므로, TDU 셀의 메타물질은 TDU의 불규칙한 격자를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이한 크기를 갖는 TDU 셀의 사용을 허용한다. 이는 일정한 TDU 셀 치수의 사용을 필요로 했던 이전의 메타물질 지오메트리에 비해 트랜스밋어레이 전반의 총 시간 지연 변화를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도 4b는 크로스를 갖는 직사각형 와이어 그리드의 세부 사항을 도시한다. 복수의 TDU 셀이 도시되는데, 그 중 2개는 412a, 412b로 표시된다. 복수의 개별적인 직사각형 와이어 루프(그 중 2개가 414a, 414b로 표시됨)는 TDU 셀(412a, 412b) 각각의 경계를 정의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와이어 루프(414a, 414b)는 공통 와이어 섹션(416)을 통해 인접 와이어 루프와 접촉한다. 서로 접촉하는 복수의 와이어 루프로부터 형성된 와이어 그리드에 추가하여, 와이어 그리드는 그리드의 각각의 직사각형 와이어 루프 내에 와이어 크로스(418a)를 포함한다. 각각의 직사각형 와이어 루프 내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크로스는 직사각형 와이어 루프의 전부보다 적게 위치할 수도 있다. TDU 셀들 중 하나의 용량성 패치의 위치는 파선 직사각형(420)으로 도시된다.
도 5a는 트랜스밋어레이에 사용된 용량성 패치 층을 도시한다. 도 5b는 트랜스밋어레이에 사용된 유도성 와이어 루프 층을 도시한다. 트랜스밋어레이(500)는 전술된 바와 같이 복수의 용량성 패치 층(502) 및 유도성 와이어 루프 층(504)을 포함할 수 있다. 개별 TDU 셀로서 전술되었지만, 트랜스밋어레이(500)의 복수의 TDU 셀은 층으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패치 층(502)은 기판(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지 않음)의 제 1 측면 상에 형성 될 수 있다. 유도성 와이어 루프 층(504)은 제 1 측면에 대향하는 기판의 제 2 측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직사각형 와이어 루프 층(504) 및/또는 용량성 패치 층(502)이 트랜스밋어레이(500)에 사용될 경우, 트랜스밋어레이의 모든 TDU의 전체 계층 구조가 형성될 때까지 프로세스는 반복될 수 있다.
도 6은 트랜스밋어레이의 개별 층들의 3D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인접 배열된 시간 지연 유닛(TDUs) 셀은 유전체 재료에 의해 분리된 용량성 패치 및 유도성 와이어 루프의 복수의 층으로서 형성된다. 특히, 트랜스밋어레이(600)는 4개의 용량성 패치 층(602a, 602b, 602c, 602d)(총괄적으로 용량성 패치 층(602)이라 칭함) 및 3개의 와이어 루프 층(604a, 604b, 604c)(총괄적으로 와이어 루프 층(604)이라 칭함)을 포함한다. 각각의 용량성 패치 층(602)은 유전체 재료 층(606a, 606b, 606c, 606d, 606e, 606f)(총괄적으로 유전체층(606)이라 칭함)에 의해 인접 와이어 루프 층(604)으로부터 분리된다.
특정 층의 TDU 셀들의 용량성 패치 크기는 TDU 셀 크기의 범위 내에서 변할 수 있다. 또한, 특정 TDU 셀의 상이한 용량성 패치 층의 용량성 패치 크기는 변할 수 있다. 유사하게, 용량성 패치의 컷-아웃 크기는 단일 TDU 셀의 상이한 용량성 패치 층 사이에서 뿐만 아니라 상이한 TDU 셀들에 걸쳐 변할 수 있다. 각 TDU 셀의 각 와이어 루프 층의 각 와이어 루프 구조는 TDU 셀의 에지 주위에 배열된 와이어 루프를 포함하여 동일한 와이어 루프 층 상의 인접 TDU 셀들의 와이어 루프는 서로 접촉하지만, 이들은 선택적으로 개별 TDU 셀의 전기적 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해 내부 와이어 크로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TDU 셀의 전부가 특정 층(예컨대, 층(604b)) 내에 와이어 크로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TDU 셀의 일부만이 특정 층 내에 내부 와이어 크로스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와이어 루프 층들(604a 및 604c)은 크로스 없이 도시되며, 와이어 루프 층(604b)은 각 TDU의 와이어 루프 내에 와이어 크로스를 포함한다. 직사각형 와이어 루프 내에 와이어 크로스를 포함하는 것 외에도, 와이어 루프 층에 사용된 와이어의 두께를 변경하고 와이어에 사용된 전도성 재료를 변화시킴으로써 전기적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트랜스밋어레이(600)는, 절연된 유전체 재료의 얇은 층 또는 층들에 의해 분리된, 분포된 준-주기적 서브-파장 용량성 패치 층(602) 및 유도성 와이어 그리드 층(604)의 교번 층을 포함하는 비교적 얇은 다중 계층 인쇄 회로 구조로서 형성된다. 와이어 루프 층(604)은 일반적으로 더 넓은 시간-지연 분포를 허용하는 2D 비-주기적 구조의 형태이다. 즉, 직사각형 와이어 루프는 상이한 크기의 TDU 셀이 비-주기적 구조에서 함께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용량성 패치 및 유도성 와이어 루프의 교번 층을 갖는 전술된 개별 TDU 셀의 구조는 종속접속된(cascaded) 일련의 LC 공진기로서 모델링 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은 TDU 셀의 등가 회로 표현을 도시한다. 용량성 패치(702a-702d)의 N개 층 및 와이어 루프(704a-704b)의 (N-1)개 층을 갖는 TDU 셀(700)은 N개의 공진기를 형성할 수 있고, 따라서 N차 대역 통과 필터 응답을 에뮬레이트할 수 있다. 수직 입사에서의 공간 시간-지연 메타물질 TDU 셀의 등가 회로(802)가 도 8에 도시된다. 용량성 패치 및 컷-아웃(702a-702d)의 각각은 션트 인덕터(814)와 병렬인 커패시터(812)로서 동작한다. 와이어 루프(704a-704b)의 각각은 각각의 인덕터(822)로서 동작한다. 용량성 패치 및 연관된 컷아웃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회로(802)의 특성이 조정될 수 있다. 등가 회로(802)는 전송 라인 모델을 갖는 TDU 셀(700)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유전체 기판 재료는 인덕터(816)에 의해 분리된 한 쌍의 커패시터(816, 820)로서 모델링될 수 있다. 등가 회로(802)는 병렬 기생 커패시턴스를 결합하고 인덕턴스에 대해 T - 파이(T to pi) 회로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도 9 및 도 10에 각각 도시된 전송 라인 모델 등가 회로(902 및 1002)로 더 단순화될 수 있다. 도 11의 등가 회로(1102)는 필터 공진기 표현의 등가 회로(1002)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TDU 셀은 N개의 공진기(1112a-1112d)를 제공한다.
용량성 패치의 중심에 있는 직사각형 컷-아웃은 패치의 션트 커패시터와 병렬인 션트 인덕터를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TDU의 공진 주파수는 직사각형 컷-아웃의 물리적 크기를 단순히 변경함으로써 쉽게 위 또는 아래로 시프트될 수 있다. TDU의 물리적 지오메트리 파라미터는 다양한 공지된 절차를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일단 물리적 지오메트리 파라미터가 결정되면, 각 TDU 셀의 특성은 표준 필터 설계 공식을 사용하여 TDU 셀의 개구 위치에 따라 요구되는 시간 지연, 위상 및 주파수 응답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TDU 셀에 대해 결정된 특성은, 예를 들어, 각각의 용량성 층에 대한 용량성 패치의 크기, 각각의 용량성 층의 용량성 패치의 컷-아웃의 크기, 각 와이어 루프 층의 와이어의 크기, 각 와이어 루프 층 내의 와이어 접속 크로스의 존재 및 유전체 재료의 두께를 포함할 수 있다.
TDU 셀의 물리적 차원인 Cd는 특정 값으로 처음에 사전 결정되어 고정된다. 그런 다음, 용량성 패치, 컷-아웃 및 와이어의 크기는 필요한 위상 및 시간-지연 특성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위상 및 시간 지연의 변경은 TDU 셀의 중심 동작 주파수를 또한 변경시키지만, 이러한 절차는 작은 범위의 시간-지연 변화에서 적용된다. 시간 지연 및 위상 변화의 변경이 더 커짐에 따라, TDU 셀의 주파수 시프트는 결국 TDU 셀의 동작 주파수를 관심있는 동작 주파수 대역 밖으로 이동시킨다. 결과적으로, 이는 렌즈의 달성 가능한 전체 시간 지연 변화를 제한한다. 그러나, 이전의 접근법과 달리, 현재의 TDU 셀 지오메트리는 TDU 셀 경계에서 전류 연속성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임의의 위치에 있는 TDU 셀의 치수 변경을 허용함으로써 설계에서 추가적인 자유도를 허용한다. 트랜스밋어레이의 방사 치수(radial dimension)가 증가함에 따라 TDU 셀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은, TDU 셀의 중심 동작 주파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자연스러운 위상-시프트 및 시간-지연 감소를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더 큰 시간-지연 및 위상 시프트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타물질 트랜스밋어레이는 전체 표면을 여러 개의 개별 영역 또는 구역으로 분리함으로써 설계될 수 있다. 각각의 TDU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기 때문에, 전체 트랜스밋어레이 또는 렌즈는 M개의 직사각형 구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들 구역 각각의 TDU 셀은 다른 구역의 셀 크기와 상이할 수 있는 동일한 셀 크기 Cd를 갖는다. 셀 크기는 더 큰 전체 주파수 대역폭을 달성하기 위해 바깥쪽 구역이 안쪽 구역보다 더 큰 셀 크기를 갖도록 선택된다. 각 구역의 셀 크기가 동일하더라도, 동일한 구역 내의 TDU 셀의 용량성 패치 및 그 패치의 유도성 컷-아웃은 변할 수 있다.
도 12는 상이한 크기의 TDU 셀을 갖는 트랜스밋어레이의 용량성 패치를 도시한다. 트랜스밋어레이는 TDU를 복수의 구역(1202a-h)(총괄적으로 구역(1202)으로 지칭됨)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또한, 도 12는 각 TDU 셀의 용량성 패치를 도시 하며, 각 TDU 셀의 경계에 있는 와이어 루프는 보이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구역(1202)의 각각은 작은 시간-지연 변동 범위 내에 다수의 TDU 셀을 포함한다. 설계는 중심 구역(802a)에서 시작하는데, 중심 구역(802a)은 보통 다른 구역에 비해 주어진 시간 지연 범위 내에 더 많은 TDU 셀을 포함한다. 이 구역(802a) 내의 모든 TDU는 동일한 초기 단위 셀 치수(Cdz1)를 갖는다. TDU 셀의 상대적 위치가 결정된 후에, 각 TDU 셀의 시간 지연 및 위상 시프트는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중심 구역의 TDU 셀 설계가 완료된 후, 제 2 구역(802b)에는 중심 구역(802a)보다 약간 더 큰 셀 치수(Cdz2)가 부가될 수 있다. 그러나, 트랜스밋어레이의 기하학적 연속성을 위해, 이 두 구역에서 TDU 셀의 치수는 다음 조건이 충족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Figure pct00003
여기서, Cdz1 과 Cdz2는 각각 제 1 구역(802a)과 제 2 구역(802b)의 셀 크기이고, M은 제 1 구역(802a)의 x 또는 y 방향으로의 TDU 셀의 수이고, N은 제 2 구역(802b)의 임의의 직선 방향에서의 TDU 셀의 수이다. 일반적으로, 값 N=M-1을 선택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 프로세스는 추가 구역의 각각에 대해 반복된다.
도 13은 위상 프론트의 다운-틸트(down-tilt)가 없는 트랜스밋어레이를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TDU 셀(1306)의 패치 크기(1302) 및 컷-아웃 크기(1304)는 수직 대칭이므로, 트랜스밋어레이(1300)는 어떠한 틸트도 제공하지 않는다.
도 14는 위상 프론트의 20 ° 다운-틸트를 갖는 트랜스밋어레이를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TDU 셀(1406)의 패치 크기(1402) 및 컷-아웃 크기(1404)는 수직 대칭이 아니며, 트랜스밋어레이가 위상 프론트의 20 ° 다운-틸트를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도 15 및 도 16은 몇몇 전형적 TDU의 주파수 응답, 위상 시프트 및 그룹 지연을 도시한다. 도 15 및 도 16에서, 전형적 TDU 셀은 TDU 셀의 실제 구현을 위해 합리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범위 내에 있는 시간 지연 및 위상 시프트 값을 갖는다. 그룹 지연 값은 비교적 작은 변화를 가지며 위상 시프트는 4GHz 내지 5GHz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선형이다.
2개의 메타물질 트랜스밋어레이가 설계되었고 성능이 시뮬레이션되었다. 이 두 트랜스밋어레이는 공칭 다운-틸트 각도가 0° 및 20° 인 4GHz 내지 5G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었다. 트랜스밋어레이의 외부 물리적 치수는 20°의 다운-틸트 각도에서는 313mmx351mm이고, 0°의 다운-틸트 각도에서는 276mmx276mm이다. 20° 다운-틸트를 갖는 트랜스밋어레이는 총 372개의 TDU 셀을 가지며, 다운 틸트가 없는 트랜스밋어레이는 341개의 TDU 셀을 갖는다. 각 TDU 셀은 4GHz 내지 5GHz 주파수 범위에서 작동하는 4차 또는 5차 대역 통과 필터 응답을 제공하도록 설계되는 서브-파장 TDU 셀이다. 트랜스밋어레이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된 구역과 유사하게 8개의 구역으로 설계되었다. 중심 구역(구역 #1)의 TDU 셀은 대부분 8 층의 유전체 기판과 함께 5 층의 용량성 패치와 4 층의 와이어 그리드로 이루어진 5차 유닛이었다. 바깥쪽 구역의 TDU 셀은 대부분 3 층의 와이어 그리드와 6 층의 유전체 기판과 함께 4 층의 용량성 패치만을 필요로 하는 4차 유닛이었다. 메타물질 TDU 셀의 구성에 사용된 재료는 Rogers 4003C 탄화수소 세라믹 라미네이트였다. 이 재료는 우수한 RF, 기계적 및 열적 성능을 지니며 다양한 두께로 사용될 수 있다. 4차 및 5차 TDU 셀에서 유닛 셀의 상단 및 하단 층에 RO4003C 60mil(1.524mm)의 기판을 사용했다. 20mil(0.508mm) RO4003C의 얇은 층이 모든 안쪽 층에 사용되었다. 각 기판 재료를 함께 결합시키기 위해 RO4450 본딩 재료의 4mil(0.101mm) 층이 또한 TDU 셀 모델에 포함되었다. TDU 셀의 총 두께는 4차 TDU 셀에서는 5.686mm, 5차 TDU 셀에서는 8.936mm였다. TDU 셀 구성 및 PCB 재료의 두께가 결정된 후, 각 TDU 셀의 패치의 크기 및 와이어 그리드의 직경은 위의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 따라 요구되는 시간-지연 및 위상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파라미터 설정 프로세스에는 ANSYS HFSS®와 같은 반복적 풀-웨이브 시뮬레이터를 사용한 EM 시뮬레이션이 수반된다.
로우 프로파일 패치에 의해 제공되는 급전 안테나는, 다운-틸트=20°의 경우에 TDU 셀의 바닥면으로부터 140mm(f/D=0.4) 떨어져 위치하고 다운-틸트=0°의 경우에 120mm(f/D=0.43) 떨어져 위치한 평면 반사기 상에 분포되었다. 양쪽 트랜스밋어레이에 있어서 다운 틸트=20°에 대해 트랜스밋어레이의 중심에서의 11.5mm로부터 트랜스밋어레이의 바깥쪽 에지에서의 19.55mm에 이르는 범위의 셀 크기 치수를 갖는 총 M=8개의 구역이 사용되었다. 20° 다운 틸트 트랜스밋어레이의 TDU 셀 배열은 도 14에 도시된다. 다운-틸트 각도가 0°인 트랜스밋어레이에 대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TDU 셀 크기의 6 개의 구역이 사용되었다.
아래의 표 1 및 표 2는 2개의 트랜스밋어레이에 대한 TDU 셀의 셀 크기, 시간-지연 및 삽입 위상 특성을 제공한다. 다운-틸트=20°에 대해, TDU 셀 크기는 11.5mm에서 19.55mm로 서서히 증가한다. 이 배열은 245psec(105-350psec) 및 406°(+6/-400°)의 총 TDU 셀 시간 지연 및 위상 변화를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다운-틸트=0°트랜스밋어레이에 대해, 총 시간-지연 및 위상 변화는 각각 224psec 및 371°이다. 이전의 RF 렌즈 설계의 예는 44psec에서 63psec의 시간 지연의 합계를 제공했는데, 이는 1보다 큰 f/D를 요구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밋어레이는 245psec 초과의 시간 지연을 가지고 f/D<0.45인 렌즈를 생성하는데, 이것은 훨씬 더 낮은 프로파일을 갖는 트랜스밋어레이를 구성할 수 있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도 17은 2개의 트랜스밋어레이의 방사 패턴을 도시한다. 다운 틸트=20°의 경우는 다운 틸트가 없는 트랜스밋어레이(21.5dBi)에 비해 약간 더 높은 방향성(22dBi)을 갖는다. 2개의 트랜스밋어레이 사이의 방향성 차이는 더 높은 스캔 각도에서 더 큰데, 30°의 스캔 각도에서는 21.2dBi 대 18.2dBi이다. 프리-틸트(pre-tilt) 트랜스밋어레이의 스캔 각도에 대한 이득 강하가 일반 렌즈보다 훨씬 느리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러한 패턴의 BCF는 요소 간격 및 어레이 구성에 따라 -12dB에서 -22dB 사이와 같이 다소 낮거나 중간 정도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적으로, 오프셋 배열을 갖는 어레이는 일반 직사각형 어레이에 비해 약간 더 낮은 BCF를 갖는다.
도 18은 다운-틸트 각도 θ0=20°를 갖는 트랜스밋어레이의 방위각 방사 패턴을 도시한다. 이 경우, 각 빔의 빔-지향-각도는 급전 안테나의 오프셋(방위각 오프셋=16mm, 고도 오프셋=17mm)으로 인해 서로 약간 오프셋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임의의 2개의 이웃하는 빔들 사이의 BCF는 -13dB 내지 -21.8dB 사이에 있다.
위에서는 특히 신호의 송신과 관련하여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의 상호 관계로 인해 동일한 구조가 신호의 수신에 적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는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설명의 목적으로 다수의 특정 실시예, 구현, 예 및 세부사항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실시예가 특정 세부사항 모두 없이 또는 등가의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이한 예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지된 구조 및 디바이스는 블록도 형태로 도시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설명은, 여기에 도시되고 설명된 예시적인 설계 및 구현을 포함하여, 도시된 예시적 구현, 도면 및 기술로 제한되어서는 안되며, 등가물의 전체 범위와 함께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수정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몇 가지 실시예가 제공되었지만, 개시된 시스템 및 구성요소는 본 개시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다른 특정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 주어진 세부사항으로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다양한 요소 또는 구성요소는 다른 시스템에서 결합되거나 통합될 수 있거나, 특정 피처는 생략되거나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Claims (18)

  1. 복수의 인접한 시간-지연 유닛(time-delay unit: TDU) 셀을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RF) 안테나용 메타물질 렌즈로서,
    각각의 TDU 셀은,
    유전체 재료와,
    상기 유전체 재료의 제 1 측면 상에서 상기 TDU 셀의 둘레 주위에 배열된 유도성 직사각형 와이어 루프와,
    상기 유전체 재료의 제 2 측면 상에서 상기 TDU 셀의 둘레 내에 위치한 용량성 패치를 포함하는
    메타물질 렌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TDU 셀은 TDU 셀의 복수의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상이한 서브세트의 TDU 셀은 상이한 크기이고, 동일한 서브세트 내의 TDU 셀은 동일한 크기인
    메타물질 렌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이한 크기의 TDU 셀의 서브세트는 동일한 크기의 TDU 셀의 서브세트를 함께 그룹화하는 복수의 구역으로 배열되되, 가장 작은 TDU 셀은 내부의 제 1 구역에 위치하고 점점 더 큰 크기의 TDU 셀이 더 작은 크기의 TDU 셀의 구역을 둘러싸는
    메타물질 렌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TDU 셀의 동일한 서브세트 내의 TDU 셀은 상이한 크기의 용량성 패치를 갖는
    메타물질 렌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TDU 셀의 유도성 직사각형 와이어 루프는 인접한 TDU 셀의 유도성 직사각형 와이어 루프와 접촉하는
    메타물질 렌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TDU 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도성 와이어 루프 내에서 유도성 와이어 크로스(inductive wire cross)를 포함하는
    메타물질 렌즈.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TDU 셀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세트의 용량성 패치는 상이한 패치 크기를 갖는
    메타물질 렌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TDU 셀의 용량성 패치 중 하나 이상은 유도성 컷-아웃(inductive cut-out)을 갖는
    메타물질 렌즈.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TDU 셀의 각각은 상기 TDU 셀의 둘레를 따라 위치된 유도성 직사각형 와이어 루프의 하나 이상의 추가 층을 포함하는
    메타물질 렌즈.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TDU 셀의 각각은 용량성 패치의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메타물질 렌즈.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TDU 셀의 각각은 상기 TDU 셀의 둘레를 따라 위치된 유도성 직사각형 와이어 루프의 복수의 층 및 용량성 패치의 복수의 층을 포함하되, 각각의 층은 유전체 재료에 의해 분리되는
    메타물질 렌즈.
  12.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로서,
    초점 거리를 가지며 복수의 인접한 시간-지연 유닛(time-delay unit: TDU) 셀을 갖는 트랜스밋어레이(transmitarray) - 각각의 TDU 셀은 상기 TDU 셀의 둘레를 따라 위치된 유도성 직사각형 와이어 루프, 용량성 패치, 및 상기 유도성 직사각형 와이어 루프와 상기 용량성 패치를 분리하는 유전체 재료를 가짐 - 와,
    상기 트랜스밋어레이로부터 상기 초점 거리에 위치된 초점 평면에 배열된 복수의 방사 요소를 포함하는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TDU 셀은 TDU 셀의 복수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되, 상이한 서브세트의 TDU 셀은 상이한 크기이고, 동일한 서브세트 내의 TDU 셀은 동일한 크기인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이한 크기의 TDU 셀의 서브세트는 동일한 크기의 TDU 셀의 서브세트를 함께 그룹화하는 복수의 구역으로 배열되되, 가장 작은 TDU 셀은 내부의 제 1 구역에 위치하고 점점 더 큰 크기의 TDU 셀이 더 작은 크기의 TDU 셀의 구역을 둘러싸는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역의 각각의 구역 내의 TDU 셀은 상이한 크기의 용량성 패치를 갖는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
  16.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TDU 셀의 유도성 직사각형 와이어 루프는 인접한 TDU 셀의 유도성 직사각형 와이어 루프와 접촉하는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
  17. 제 12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TDU 셀은 상기 방사 요소로부터의 무선 주파수(RF) 빔에 대한 다운-틸트 각도(down-tilt angle)를 제공하는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
  18. 제 12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는 직교-빔-공간(orthogonal-beam-space: OBS) 대규모(mass) 다중-입력-다중-출력(orthogonal-beam-space: MIMO) 어레이 어셈블리인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
KR1020187005971A 2015-08-25 2016-07-15 다중 빔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를 위한 메타물질 기반 트랜스밋어레이 KR1020277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09655P 2015-08-25 2015-08-25
US62/209,655 2015-08-25
US15/134,751 US9812786B2 (en) 2015-08-25 2016-04-21 Metamaterial-based transmitarray for multi-beam antenna array assemblies
US15/134,751 2016-04-21
PCT/CN2016/090201 WO2017032184A1 (en) 2015-08-25 2016-07-15 Metamaterial-based transmitarray for multi-beam antenna array assembl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213A true KR20180030213A (ko) 2018-03-21
KR102027714B1 KR102027714B1 (ko) 2019-10-01

Family

ID=58096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5971A KR102027714B1 (ko) 2015-08-25 2016-07-15 다중 빔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를 위한 메타물질 기반 트랜스밋어레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12786B2 (ko)
EP (1) EP3320580B1 (ko)
JP (1) JP6555675B2 (ko)
KR (1) KR102027714B1 (ko)
CN (1) CN107534212B (ko)
WO (1) WO201703218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934A (ko) 2018-07-11 2020-01-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특정 각도에서 빔 조향 손실을 보상하기 위한 비선형 메타표면
WO2022010042A1 (ko) * 2020-07-08 2022-01-13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안테나 빔 향상용 적층공극의 방사열화를 극복한 트랜스밋어레이를 구비한 안테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11532B2 (en) * 2017-05-01 2019-02-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Liquid-crystal reconfigurable multi-beam phased array
KR102026081B1 (ko) * 2017-06-22 2019-09-27 주식회사 센서뷰 고 이득 안테나
EP3447845A1 (en) 2017-08-21 2019-02-27 Postech Academy-Industry-Found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ea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1819733B (zh) * 2017-09-22 2022-04-19 杜克大学 用可重构的超表面天线增强的mimo通信系统及其使用方法
WO2019130382A1 (en) * 2017-12-25 2019-07-04 Nec Corporation Phase control device, antenna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phase of electromagnetic wave
CN108767485B (zh) * 2018-05-28 2020-11-13 电子科技大学 一种平面微带透射阵天线
US11237103B2 (en) * 2018-05-31 2022-02-01 Socovar Sec Electronic device testing system, electronic device production system including same and method of testing an electronic device
JP6958748B2 (ja) * 2018-06-28 2021-11-02 日本電気株式会社 位相制御装置、アンテナシステム及び位相制御方法
KR102137198B1 (ko) 2019-03-18 2020-07-24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안테나 모듈 및 그에 배치되는 칩 패치 안테나
CN112234361B (zh) * 2019-06-30 2023-09-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组件、天线装置及电子设备
CN112563761B (zh) * 2019-09-25 2022-07-22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天线装置及信号处理方法
KR20210067469A (ko) 2019-11-29 2021-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FR3105610B1 (fr) * 2019-12-18 2021-12-17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Antenne reconfigurable à réseau transmetteur avec intégration monolithique des cellules élémentaires
US11888233B2 (en) * 2020-04-07 2024-01-30 Ramot At Tel-Aviv University Ltd Tailored terahertz radiation
KR102403313B1 (ko) 2020-12-01 2022-06-0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 레이어 메타표면 단위 셀 기반 투과배열
CN112909529B (zh) * 2021-02-09 2022-01-28 山西大学 一种宽频大角度扫描的二维多波束超表面天线
US20230053102A1 (en) * 2021-08-04 2023-02-16 Commscope Technologies Llc Antenna systems having radiating elements therein that are paired with high performance broadband planar lenses
US20230187824A1 (en) * 2021-12-03 2023-06-15 Kymeta Corporation Flexible multi-beam, multi frequency, wideband rf and digital transceiver architecture for modular metasurface antenna
WO2023189994A1 (ja) * 2022-03-29 2023-10-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メタレンズ
KR102671046B1 (ko) 2022-10-20 2024-05-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능동형 호이겐스 메타표면 유닛셀 및 이를 포함하는 호이겐스 메타표면 어레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9264A (ko) * 2008-10-07 2010-04-15 탈레스 반사기 어레이 및 이러한 반사기 어레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US20120076498A1 (en) * 2010-09-28 2012-03-29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Hybrid analog-digital phased mimo transceive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1333A (en) 1974-08-29 1976-06-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adome wire grid having low pass frequency characteristics
US6686885B1 (en) 2002-08-09 2004-02-03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Phased array antenna for space based radar
US7456803B1 (en) * 2003-05-12 2008-11-25 Hrl Laboratories, Llc Large aperture rectenna based on planar lens structures
US7154451B1 (en) * 2004-09-17 2006-12-26 Hrl Laboratories, Llc Large aperture rectenna based on planar lens structures
US7245269B2 (en) * 2003-05-12 2007-07-17 Hrl Laboratories, Llc Adaptive beam forming antenna system using a tunable impedance surface
JP5174424B2 (ja) 2007-10-24 2013-04-03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アンテナ回路及びその抵抗低減方法、並びにトランスポンダ
US9318811B1 (en) * 2008-04-15 2016-04-19 Herbert U. Fluhler Methods and designs for ultra-wide band(UWB) array antennas with superior performance and attributes
WO2010116675A1 (ja) 2009-03-30 2010-10-14 日本電気株式会社 共振器アンテナ
US8451189B1 (en) * 2009-04-15 2013-05-28 Herbert U. Fluhler Ultra-wide band (UWB)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AMC) metamaterials for electrically thin antennas and arrays
CN103682642B (zh) * 2012-08-31 2018-07-06 深圳光启创新技术有限公司 一种微带贴片天线
EP3084882B1 (en) * 2013-12-16 2018-04-11 Esa European Space Agency Method for designing a modulated metasurface antenna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9264A (ko) * 2008-10-07 2010-04-15 탈레스 반사기 어레이 및 이러한 반사기 어레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US20120076498A1 (en) * 2010-09-28 2012-03-29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Hybrid analog-digital phased mimo transceiver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934A (ko) 2018-07-11 2020-01-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특정 각도에서 빔 조향 손실을 보상하기 위한 비선형 메타표면
WO2022010042A1 (ko) * 2020-07-08 2022-01-13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안테나 빔 향상용 적층공극의 방사열화를 극복한 트랜스밋어레이를 구비한 안테나 장치
KR20220006362A (ko) * 2020-07-08 2022-01-1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안테나 빔 향상용 적층공극의 방사열화를 극복한 트랜스밋어레이를 구비한 안테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20580A4 (en) 2018-07-18
CN107534212B (zh) 2019-07-23
EP3320580A1 (en) 2018-05-16
JP6555675B2 (ja) 2019-08-07
US9812786B2 (en) 2017-11-07
EP3320580B1 (en) 2020-01-01
CN107534212A (zh) 2018-01-02
WO2017032184A1 (en) 2017-03-02
US20170062945A1 (en) 2017-03-02
JP2018529278A (ja) 2018-10-04
KR102027714B1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714B1 (ko) 다중 빔 안테나 어레이 어셈블리를 위한 메타물질 기반 트랜스밋어레이
JP6692996B2 (ja) ビーム・ステアリング・アンテナのための液晶調整可能メタサーフェス
CN110574236B (zh) 一种液晶可重构多波束相控阵列
KR101944568B1 (ko) 메타물질을 사용한 안테나 격리 기법
US20190386364A1 (en) Angle of incidence-stable frequency selective surface device
US10446923B2 (en) Antenna array with reduced mutual coupling effect
US8319698B2 (en) Reflector array and antenna comprising such a reflector array
Kapoor et al. Frequency selective surfaces as spatial filters: Fundamentals, analysis and applications
KR101567260B1 (ko) 다층구조의 메타물질 흡수체
WO2019213784A1 (en) Applications of metamaterial electromagnetic bandgap structures
Lee et al. Band-switchable substrate-integrated waveguide resonator and filter
JP2021525463A (ja) 位相制御装置、アンテナシステム及び位相制御方法
Fadhil et al. A beam-split metasurface antenna for 5G applications
Baracco et al. A dual frequency Ka-band printed Fresnel reflector for ground terminal applications
US11715883B2 (en) Frequency selective surface
KR20220141821A (ko) 가변 모듈형 안테나 장치
CA2936482C (en) Metamaterial electromagnetic bandgap structures
GB2615582A (en) Multiband antenna and antenna system
US20050168391A1 (en) Configurable omnidirectional antenna
Foo Metamaterial-based transmitarray for orthogonal-beam-space massive-MIMO
Rowe et al. 3D frequency selective surfaces with highly selective reponses
Ma et al. Design of band-stop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with large and stable reflection band
Prasad A Comprehensive Survey Of Metamaterial Based Microstrip Patch Antenna For Multiband Applications
Yatongchai et al. Gain Enhancement of Electronically Steered Dual-Beam Antenna Using Metamaterial Radome
CN117855854A (zh) 超材料结构及天线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