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0157A -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및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및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0157A
KR20180030157A KR1020187004456A KR20187004456A KR20180030157A KR 20180030157 A KR20180030157 A KR 20180030157A KR 1020187004456 A KR1020187004456 A KR 1020187004456A KR 20187004456 A KR20187004456 A KR 20187004456A KR 20180030157 A KR20180030157 A KR 20180030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window
csi
trigger signaling
base st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4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훙 천
츄빈 가오
후이 리
탐라칼 라케시
룬화 천
Original Assignee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80030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1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43Feedback on reque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4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with feedback of measurements to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및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하였으며, 해당 방법은: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되, 해당 트리거 시그널링은 단말기가 규정된 측정 윈도우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보고하게끔 지시하도록 마련되는 단계; 및 단말기가 규정된 측정 윈도우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기지국에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말기는 오직 해당 단말기가 규정된 측정 윈도우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송신하기 때문에, 따라서 단말기가 CSI 피드백을 실시하는 빈도를 감소하고, CSI 피드백 지출도 절감되다.

Description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및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본 출원은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및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출원번호 201510429049.3, 출원일 2015년 7월 20일인 중국특허출원을 기반으로 제출하며 상기 중국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중국특허출원의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인용한다.
종래의 셀룰러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안테나 어레이는 일반적으로 도 1a 및 도 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다. 기지국의 송신기(transmitter) 빔은 수평 방향으로만 조절할 수 있다. 안테나 기술의 발전에 따라, 도 2a 및 도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업계에는 이미 각 안테나 요소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활성 안테나가 나타났다. 이러한 안테나를 사용하면, 빔이 수직 방향으로의 동적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3차원 안테나 어레이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빔포밍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UE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빔포밍 할 수도 있다. 2 차원의 빔포밍 후의 채널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기지국은 보통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s, CSI-RS)에 대해 수직 차원의 빔포밍을 실시하여(도 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UE가 수직 빔포밍후의 CSI-RS를 기반으로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도록 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CSI-RS가 사용한 수직 차원의 빔포밍 벡터 및 UE가 피드백한 CSI에 따라, 데이터에 대해 수직 및 수평 두 차원의 프리 코딩을 실시하고, 또한 링크 적응(link adaption)을 실시한다.
전체 차원 다중 입력 다중 출력(Full Dimensio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FD MIMO)시스템에서, 셀은 다수의 CSI-RS 자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이한 자원은 상이한 수직 차원 빔포밍 벡터를 사용한다. 현재의 CSI-RS 전송은 주기적이기 때문에, UE는 매 주기마다 CSIRS를 측정할 필요가 있으며, 주기적인 CSI 피드백에 대해서, UE는 CSI를 주기적으로 보고해야 하며, 피드백 빈도가 높고, 피드백 지출이 크며, 따라서 스펙트럼 효율에 영향을 미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및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하였으며, 피드백 빈도가 높고, 피드백 지출이 크며, 따라서 스펙트럼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체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방법은: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되,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단말기가 규정된 측정 윈도우 내에서 획득한 채널 상태 정보 CSI를 보고하게끔 명령하도록 마련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는 상기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미리 약정되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기지국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이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가 미리 약정된 고정 길이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 표시된 길이인 것을 지시하도록 마련된 표시 정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측정 윈도우 내에서 CSI 측정에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의 개수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측정 윈도우에 포함되는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 윈도우에 포함되는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는 N보다 작거나 동일한 값이며, 상기 N은 상기 기지국이 수신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의 서브 프레임과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CSI의 서브 프레임 사이에 포함된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이다.
상기 임의 한 실시예를 기반으로, 우선적인 실시 방식으로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되, 상기 제1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의 수신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들을 경과 한 후, 가장 가까운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 한 후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제1 측정 윈도우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한다.
다른 한 우선적인 실시 방식으로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되, 상기 제2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이 수신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의 수신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단계; 또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되, 상기 제2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이 수신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의 수신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들을 경과한 후,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제2 측정 윈도우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가장 가까운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제2 측정 윈도우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제2 측정 윈도우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한다.
상기 임의 한 실시예를 기반으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단말기에게 CSI를 측정하도록 지시하는 것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CSI 측정을 실시하는 것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의 세트의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제어 방법은:
기지국이 단말기에게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가 규정된 측정 윈도우 내에서 획득한 채널 상태 정보 CSI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미리 약정되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기지국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이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가 미리 약정된 고정 길이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 표시된 길이인 것을 지시하도록 마련된 표시 정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측정 윈도우 내에서 CSI 측정에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의 개수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측정 윈도우에 포함되는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 윈도우에 포함되는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는 N보다 작거나 동일한 값이며, 상기 N은 상기 기지국이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상기 기지국이 수신한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CSI의 서브 프레임 사이에 포함된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이다.
상기 임의 한 실시예를 기반으로, 우선적인 실시 방식으로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되, 상기 제1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지국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거나;
상기 기지국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한다.
다른 한 우선적인 실시 방식으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되, 상기 제2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단계; 또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기지국이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되, 상기 제2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가장 가까운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한다.
상기 임의 한 실시예를 기반으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단말기에게 CSI를 측정하도록 지시하는 것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CSI 측정을 실시하는 것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의 세트의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디바이스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마련된 모듈로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디바이스가 규정된 측정 윈도우에서 획득한 채널 상태 정보 CSI를 보고하게끔 지시하도록 마련된 수신 모듈; 및
상기 측정 윈도우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된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미리 약정되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기지국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에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이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이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가 미리 약정된 고정 길이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 표시된 길이인 것을 지시하도록 마련된 표시 정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측정 윈도우 내에서 CSI 측정에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의 개수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측정 윈도우에 포함되는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 윈도우에 포함되는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는 N보다 작거나 동일한 값이며, 상기 N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CSI를 보고하는 서브 프레임 사이에 포함된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이다.
상기 임의 한 실시예를 기반으로, 우선적인 실시 방식으로서,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처리 모듈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었다.
다른 한 우선적인 실시 방식으로,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거나; 또는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들을 경과한 후,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제2 측정 윈도우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가장 가까운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제2 측정 윈도우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제2 측정 윈도우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디바이스는:
단말기로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가 규정된 측정 윈도우 내에서 획득한 채널 상태 정보 CSI를 보고하게끔 지시하도록 마련된 송신 모듈; 및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된 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미리 약정되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디바이스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이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이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가 미리 약정된 고정 길이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 표시된 길이인 것을 지시하도록 마련된 표시 정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측정 윈도우 내에서 CSI 측정에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의 개수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측정 윈도우에 포함되는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 윈도우에 포함되는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는 N보다 작거나 동일한 값이며, 상기 N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CSI를 수신하는 서브 프레임 사이에 포함된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이다.
상기 임의 한 실시예를 기반으로, 우선적인 실시 방식으로서,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된다.
다른 한 우선적인 실시 방식으로,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거나; 또는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가장 가까운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기는, 수신기, 송신기 및 각각 해당 송신기 및 수신기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여기서:
수신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단말기가 규정된 측정 윈도우에서 획득한 채널 상태 정보 CSI를 보고하게끔 지시하도록 마련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있는 프로그램을 읽고, 아래 절차를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송신기를 트리거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측정 윈도우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미리 약정되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기지국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에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이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가 미리 약정된 고정 길이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 표시된 길이인 것을 지시하도록 마련된 표시 정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측정 윈도우 내에서 CSI 측정에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의 개수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측정 윈도우에 포함되는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 윈도우에 포함되는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는 N보다 작거나 동일한 값이며, 상기 N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CSI를 보고하는 서브 프레임 사이에 포함된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이다.
상기 임의 한 실시예를 기반으로, 우선적인 실시 방식으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기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 송신기를 트리거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제1 측정 윈도우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기지국에 보고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제1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기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송신기를 트리거하여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수신기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기를 트리거하여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된다.
다른 한 우선적인 실시 방식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송신기를 트리거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거나; 또는
상기 수신기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송신기를 트리거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송신기를 트리거하여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기를 트리거하여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수신기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송신기를 트리거하여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수신기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기를 트리거하여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기지국은, 수신기, 송신기 및 각각 해당 송신기 및 수신기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여기서: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있는 프로그램을 읽고, 아래: 송신기를 트리거하여 단말기로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가 규정된 측정 윈도우에서 획득한 채널 상태 정보 CSI를 보고하게끔 지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마련되고;
수신기는: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측정 윈도우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미리 약정되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기지국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이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이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가 미리 약정된 고정 길이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 표시된 길이인 것을 지시하도록 마련된 표시 정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측정 윈도우 내에서 CSI 측정에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의 개수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측정 윈도우에 포함되는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 윈도우에 포함되는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는 N보다 작거나 동일한 값이며, 상기 N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상기 단말이 보고한 CSI를 수신한 서브 프레임 사이에 포함된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이다.
상기 임의 한 실시예를 기반으로, 우선적인 실시 방식으로서, 상기 수신기는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기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신기는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기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송신기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된다.
다른 한 우선적인 실시 방식으로, 상기 수신기는 구체적으로: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거나; 또는
상기 송신기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신기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송신기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가장 가까운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송신기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디바이스는, 수신기, 송신기 및 각각 해당 송신기 및 수신기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여기서:
수신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단말기가 규정된 측정 윈도우에서 획득한 채널 상태 정보 CSI를 보고하게끔 지시하도록 마련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있는 프로그램을 읽고, 아래: 상기 송신기를 트리거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측정 윈도우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미리 약정되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기지국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이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가 미리 약정된 고정 길이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 표시된 길이인 것을 지시하도록 마련된 표시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측정 윈도우 내에서 CSI 측정에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의 개수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측정 윈도우에 포함되는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 윈도우에 포함되는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는 N보다 작거나 동일한 값이며, 상기 N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CSI를 보고하는 서브 프레임 사이에 포함된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기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 송신기를 트리거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제1 측정 윈도우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제1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기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송신기를 트리거하여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수신기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기를 트리거하여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송신기를 트리거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거나; 또는
상기 수신기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송신기를 트리거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송신기를 트리거하여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기를 트리거하여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수신기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송신기를 트리거하여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수신기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기를 트리거하여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제어 디바이스는, 수신기, 송신기 및 각각 해당 송신기 및 수신기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여기서: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있는 프로그램을 읽고, 아래: 송신기를 트리거하여 단말기로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가 규정된 측정 윈도우에서 획득한 채널 상태 정보 CSI를 보고하게끔 지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마련되고;
수신기는,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측정 윈도우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미리 약정되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기지국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이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이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가 미리 약정된 고정 길이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 표시된 길이인 것을 지시하도록 마련된 표시 정보이다.
진일보로,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측정 윈도우 내에서 CSI 측정에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의 개수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측정 윈도우에 포함되는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 윈도우에 포함되는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는 N보다 작거나 동일한 값이며, 상기 N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CSI를 수신하는 서브 프레임 사이에 포함된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송신기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송신기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수신기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거나; 또는
상기 송신기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송신기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가장 가까운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송신기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비주기적인 CSI-RS 전송에 기반한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방안을 제공하며,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해당 단말기가 규정된 측정 윈도우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기지국에 보고한다. 단말기는 오직 해당 단말기가 규정된 측정 윈도우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송신하기 때문에, 따라서 단말기가 CSI 피드백을 실시하는 빈도를 감소하였으며, CSI 피드백 지출도 절감한다.
도 1a는 제1 기지국 안테나 어레이의 구조도이다.
도 1b는 제2 기지국 안테나 어레이의 구조도이다.
도 2a는 제3 기지국 안테나 어레이의 구조도이다.
도 2b는 제4 기지국 안테나 어레이의 구조도이다.
도 3은 CSI-RS 송신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에서 제공한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방법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에서 제공한 기지국 및 단말기 처리의 시퀀스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에서 제공한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제어 방법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에서 제공한 제1 실시예 중의 기지국 및 단말기 처리의 시퀀스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에서 제공한 제2 실시예 중의 기지국 및 단말기 처리의 시퀀스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에서 제공한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디바이스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에서 제공한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제어 디바이스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에서 제공한 단말기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에서 제공한 기지국 개략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적 수단 및 장점을 더욱 명백히 하기 위하여, 아래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추가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적 수단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히 설명할 것이며, 분명한 것은, 설명된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가 아니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본 영역의 일반 기술자들이 창조적 노력을 거치지 않는 조건하에서 획득한 기타 모든 실시예들은, 전부 본 출원의 보호적 범위에 속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바로 본 출원의 기술적 수단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텀 에볼루션(LTE) 시스템, LTE-A 시스템,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 등이 있다.
더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는 이동국 (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이동 전화(Mobile Telephone), 핸드 세트(handset) 및 이동 장비(portable equipment)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사용자 장비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를 통해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는 이동 전화(또는 "셀룰러" 전화),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일 수 있고, 휴대용, 포켓 크기, 핸드 헬드, 컴퓨터 내장 또는 자동차 장착 모바일 장치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기지국(예를 들어, 액서스 포인트)은 액세스 네트워크 내에서 무선 인터페이스상의 하나 또는 다수의 섹터들을 통해 무선 단말기와 통신하는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기지국은 수신된 에어 프레임 및 IP 패킷을 서로 변환하여, 무선 단말기와 액세스 네트워크의 나머지 파트 사이의 라우터로 구성 될 수 있으며, 여기서 액세스 네트워크의 나머지 부분은 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무선 인터페이스의 속성 관리에 대해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GSM 또는 CDMA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고, WCDMA중의 기지국(NodeB)일 수도 있고, LTE의 진화된 기지국(NodeB 또는 eNB 또는 e-NodeB, evolutional Node B)일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 방식에 대해 진일보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아래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을 예시적이고 본 출원을 해석하는데 마련될 뿐, 본 출원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방법을 제공하였으며, 해당 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41에서,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되, 해당 트리거 시그널링은 단말기가 규정된 측정 윈도우 내에서 획득한 CSI를 보고하게끔 명령하도록 마련되고;
단계 S42에서, 단말기는 규정된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기지국에 보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방안을 제공하며,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해당 단말기가 규정된 측정 윈도우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기지국에 보고한다. 단말기는 오직 해당 단말기가 규정된 측정 윈도우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송신하기 때문에, 따라서 단말기가 CSI 피드백을 실시하는 빈도를 감소하였으며, CSI 피드백 지출도 절감하였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트리거 시그널링은 단말기에게 CSI를 측정하도록 지시하는 것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CSI 측정을 실시하는 것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의 세트의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는: CSI-RS 자원 구성, CRS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ing) 자원 구성 또는 간섭 측정 자원 구성 등을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기지국과 단말기는 미리 모든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구성 정보를 알게 되며, 기지국이 트리거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단말에게 CSI 측정에 상응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를 수행하도록 명령한다. 예를 들어, 표시 정보는 2 비트의 정보를 사용하여 표시하고, 00은 CSI-RS 자원 할당 1을 표시하고, 01은 CSI-RS 자원 할당 2를 표시하며, 10은 CSI-RS 자원 할당 3 등을 표시한다.
기지국과 단말기는 미리 모든 다운링크 참조 신호의 구성 정보 집합를 알게 되며, 기지국이 트리거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단말에게 CSI 측정에 상응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 집합을 수행하도록 명령하며, 예를 들어, 표시 정보는 2 비트의 정보를 사용하여 표시하고, 00은 CSI-RS 자원 할당 1 및 CSI-RS 자원 할당 3의 집합을 표시하고, 10은 CSI-RS 자원 할당 1, CSI-RS 자원 할당 2, CSI-RS 자원 할당 3의 집합 등을 표시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규정된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아래 세 가지 우선적인 실시 방식을 포함한다.
방법 1에서, 규정된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미리 약정되었다.
구체적으로, 미리 약정된 방식은 기지국 측 및 단말기 측에서의 측정 윈도우 길이에 대한 인식을 일관성있게 보장 할 수 있는 임의의 방식 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명세 또는 프로토콜 예약 및 제조자 간의 합의 등을 통한 방식이다.
방법 2에서, 규정된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기지국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기에 통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측정 윈도우의 길이를 규정하고, 또한 상위 계층 시그널링, 예를 들어 무선 리소스 제어(RRC)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시그널링을 통해, 규정한 측정 윈도우의 길이를 단말기에 통지한다.
방법 3에서, 트리거 시그널링이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규정된 측정 윈도우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는 규정된 측정 윈도우 길이의 구체적인 값이거나, 또는 측정 윈도우의 길이가 미리 약정된 고정 길이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 표시된 길이인 것을 지시하도록 마련된 표시 정보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트리거 시그널링을 통해 특정된 규정된 측정 윈도우의 길이를 단말기에 통지하며, 해당 트리거 시그널링은 규정된 측정 윈도우의 길이를 직접 운반할 수도 있고, 규정된 측정 윈도우의 길이가 미리 약정된 고정 길이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 표시된 길이인 것을 지시하도록 마련된 표시 정보를 운반할 수도 있다. 단말기는 해당 표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규정된 측정 윈도우의 길이가 미리 약정된 고정 길이인지, 아니면 기지국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해당 단말기에 통지한 길이인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표시 정보는 1 비트 정보를 사용하며, 여기서, 0은 규정된 측정 윈도우의 길이가 미리 약정된 고정된 길이임을 표시하고, 1은 규정된 측정 윈도우의 길이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 지시된 길이임을 표시한다.
상기 임의 한 실시예를 기반으로, 규정된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해당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CSI 측정에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의 개수거나; 또는 규정된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해당 측정 윈도우가 포함하는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이다.
구체적으로, 규정된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해당 측정 윈도우에 포함된 CSI 측정에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의 개수 k로, CSI 측정을 수행하는 서브 프레임 (예를 들어, CSI-RS 전송 서브 프레임)을 정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규정된 측정 윈도우 내에서 CSI 측정에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의 개수가 k인 경우, 이는 해당 측정 윈도우 내에 k 개의 CSI 측정을 수행하는 서브 프레임이 포함되어야 하는 것을 표시하며, 허나 해당 측정 윈도우에 실제로 포함된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다.
바람직하게, 규정된 측정 윈도우가 포함하는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는 N보다 작거나 동일한 값이며, N은 단말기가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해당 단말기가 보고한 CSI의 서브 프레임 사이에 포함된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이다.
상기 임의 한 실시예를 기반으로, 단계 S42에서, 단말기는 규정된 측정 윈도우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기지국에 보고하는 단계는, 아래 세 가지 실시 방식을 포함한다.
방법 1에서, 단말기가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기지국에 보고하되, 해당 제1 측정 윈도우는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 또한 트리거 시그널링의 수신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여기서, M의 값은 미리 약정되거나,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확정하여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기에 통지하거나,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확정하여 트리거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기에 통지한다. 예를 들어,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에 대해서, M=4이다.
해당 방식하에서, 단말기는 수신된 CSI를 위해 사용되는 기준 신호에 대해 항상 측정할 수 있지만,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 할 때까지는 보고하지 않으며, 해당 단말기는 트리거 시그널링이 수신되는 서브 프레임에 가장 가까운 규정된 측정 윈도우(즉,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기지국에 보고하고, 기타 윈도우에서 측정된 CSI는 보고 할 필요가 없다.
도 5에서 도시된 바, 제1 측정 윈도우의 확정을 예로 설명하면, 기지국은 주기적으로 CSI-RS 신호를 전송하고, 다양한 주기에서 CSI-RS 신호가 사용하는 수직형 빔포밍 벡터는 다를 수 있으며, CSI-RS의 주기를 4로 가정한다. 예를 들어, 서브 프레임 n-8에서 송신된 CSI-RS는 UE1의 수직 빔포밍 벡터를 채택하고, 서브 프레임 n-4 및 n에서의 CSI-R는 UE2의 수직 빔포밍 벡터를 채택한다. 기지국은 서브 프레임 n+1에서 트리거 시그널링을 UE2에 전송한다. 규정된 측정 윈도우의 길이가 CSI 측정에 사용되는 2 개의 서브 프레임인 경우, UE2에 대한 제1 측정 윈도우는 서브 프레임 n-4에서 서브 프레임 n까지이고, 지정된 측정 윈도우의 길이가 6 개의 서브 프레임인 경우, UE2에 대한 제1 측정 윈도우는 서브 프레임 n-5에서 서브 프레임 n까지이다.
바람직하게, 주기적인 CSI 피드백인 경우, 단말기는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가장 가까운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자원을 통해,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기지국에 보고한다.
바람직하게, 비주기적인 CSI 피드백인 경우, 단말기는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자원을 통해, 제1 측정 윈도우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기지국에 보고한다.
방법 2에서, 단말기는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기지국에 보고하며, 해당 제2 측정 윈도우는 트리거 시그널링이 수신된 후 또한 트리거 시그널링의 수신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규정된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구체적으로, 단말기는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에 CSI 측정을 수행하지 않고,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 한 후 또한 트리거 시그널링이 수신되는 서브 프레임에 가장 가까운 약정된 측정 윈도우 (즉, 제2 측정 윈도우)에서 CSI 측정을 시작하고, 또한 획득된 CSI를 기지국에 보고한다.
여전히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정 윈도우의 확정을 예로 설명하면, 기지국은 주기적으로 CSI-RS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다양한 주기에서 CSI-RS 신호가 사용하는 수직형 빔포밍 벡터는 다를 수 있으며, CSI-RS의 주기를 4로 가정한다. 예를 들어, 서브 프레임 n-8에서 송신된 CSI-RS는 UE1의 수직 빔포밍 벡터를 채택하고, 서브 프레임 n-4 및 n에서의 CSI-R는 UE2의 수직 빔포밍 벡터를 채택한다. 기지국은 서브 프레임 n+1에서 트리거 시그널링을 UE2에 전송한다. 규정된 측정 윈도우의 길이가 CSI 측정에 사용되는 2 개의 서브 프레임인 경우, UE2에 대한 제2 측정 윈도우는 서브 프레임 n-4에서 서브 프레임 n까지이고; 지정된 측정 윈도우의 길이가 6 개의 서브 프레임 프레임인 경우, UE2에 대한 제2 측정 윈도우는 서브 프레임 n-5에서 서브 프레임 n까지이다.
바람직하게, 주기적인 CSI 피드백인 경우, 단말기는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들을 경과한 후,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기지국에 보고한다.
바람직하게, 비주기적인 CSI 피드백인 경우, 단말기는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들을 경과한 후, PUSCH 자원을 통해, 제2 측정 윈도우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기지국에 보고한다.
방법 3에서, 단말기는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제2 측정 윈도우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기지국에 보고하며, 제2 측정 윈도우는 트리거 시그널링이 수신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의 수신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규정된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바람직하게, 주기적인 CSI 피드백인 경우, 단말기는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기지국에 보고한다.
바람직하게, 비주기적인 CSI 피드백인 경우, 단말기는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PUSCH 자원을 통해,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기지국에 보고한다.
상기 방법 2 및 방법 3에서, 단말기는 규정된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면 되고, 또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피드백하며, 따라서 단말기의 측정 복잡성을 감소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FD MIMO 시스템에서, 셀은 다수의 CSI-RS 자원으로 구성 될 수 있고, 상이한 자원은 상이한 수직 차원 빔포밍 벡터를 사용하며, 하나의 셀에서 비교적 많은 수직 빔이 사용되는 경우, 각 빔은 하나의 대응하는 CSI-RS 자원이 필요하며, 이는 셀 내에서 CSI-RS가 대량의 물리적 자원을 점유하고, 스펙트럼 효율에 영향을 미치게한다. CSI-RS 자원 지출을 줄이고, 하나의 CSI-RS 자원이 다수의 단말기에 의해 공유되는 것을 달성하기 위해, 기지국은 상이한 순간에 상이한 빔포밍 벡터를 사용하여 해당 CSI-RS 자원에 대해 빔포밍할 수 있으며, 각각 상이한 단말의 CSI 측정 및 피드백에 사용될 수 있다. 기존 UE들은 모두 자체적으로 CSI 측정을 위한 측정 윈도우의 길이를 결정하기 때문에, UE는 측정하는 경우, 기타 UE에 대해 빔포밍하는 CSI-RS를 측정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측정 결과가 부정확하게 된다. 따라서, 기지국은 각 단말에게 해당 단말에 전속되는 빔포밍 벡터에 대응되는 CSI-RS의 전송 시점에서 CSI 측정을 실시하도록 지시할 필요가 있다. 다른 시간에, 비록 기지국은 여전히 CSI-RS를 전송하지만, 전송 된 CSI-RS는 해당 단말기에 대해 의미가 없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방안은 상기 CSI-RS 전송에 적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동일한 CSI-RS를 공유하는 단말의 경우, 각 단말에 대응되는 규정된 측정 윈도우내의 파일럿 신호는 기지국이 해당 CSI-RS 자원이 해당 단말이 전속되는 빔포밍 벡터를 사용하여 형성하여 획득한 것이며, 따라서 CSI-RS 효율을 효과적으로 제고할 수 있고, CSI-RS 자원 지출을 줄이며, 특히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사용자 수가 비교적 적은 케이스에서이다.
동일한 발명 구상을 기반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제어 방법을 제공하였으며,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61에서, 기지국은 단말기에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여, 단말기가 규정된 측정 윈도우 내에서 획득한 CSI를 보고하도록 지시한다.
단계 S62에서, 기지국은 단말기가 보고한 규정된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비주기적인 CSI-RS 전송에 기반한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제어 방안을 제공하며, 기지국은 단말기로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여, 단말기가 규정된 측정 윈도우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며; 기지국은 단말기가 보고한 규정된 측정 윈도우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한다. 단말기는 오직 해당 단말기가 규정된 측정 윈도우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송신하기 때문에, 따라서 단말기가 CSI 피드백을 실시하는 빈도를 감소하였으며, CSI 피드백 지출도 절감하였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규정된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미리 약정되거나; 또는
규정된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기지국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기에 통지하거나; 또는
트리거 시그널링이 규정된 측정 윈도우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규정된 측정 윈도우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는 규정된 측정 윈도우의 길이거나, 또는 규정된 측정 윈도우의 길이가 미리 약정된 고정 길이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 표시된 길이인 것을 지시하도록 마련된 표시 정보이다.
진일보로, 규정된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규정된 측정 윈도우 내에서 CSI 측정에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의 개수거나; 또는 규정된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규정된 측정 윈도우가 포함하는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이다.
바람직하게, 규정된 측정 윈도우가 포함하는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는 N보다 작거나 동일한 값이며, N은 기지국이 트리거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과 기지국이 수신한 단말기가 보고한 CSI의 서브 프레임 사이에 포함된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이다.
상기 임의 한 실시예를 기반으로, 우선적인 실시 방식으로서, 단계 S62에서, 기지국이 단말기가 보고한 규정된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는 단계는:
기지국이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단말기가 보고한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되, 제1 측정 윈도우는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규정된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주기적인 CSI 피드백에 대하여, 기지국은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단말기가 보고한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 비주기적인 CSI 피드백에 대하여, 기지국은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 PUSCH 자원을 통해, 단말기가 보고한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한다.
두번째 우선적인 실시 방식으로, 단계 S62에서, 기지국이 단말기가 보고한 규정된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는 단계는:
기지국이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단말기가 보고한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되, 제2 측정 윈도우는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또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규정된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주기적인 CSI 피드백인 경우, 기지국은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단말기가 보고한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 비주기적인 CSI 피드백인 경우, 기지국은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된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단말기가 보고한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한다.
세번째 우선적인 실시 방식으로, 단계 S62에서, 기지국이 단말기가 보고한 규정된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는 단계는:
기지국이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 단말기가 보고한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되, 제2 측정 윈도우는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 또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규정된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주기적인 CSI 피드백에 대하여, 기지국은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단말기가 보고한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 비주기적인 CSI 피드백에 대하여, 기지국은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단말기가 보고한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한다.
상기 임의 한 실시예를 기반으로, 트리거 시그널링은 단말기에게 CSI를 측정하도록 지시하는 것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CSI 측정을 실시하는 것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의 세트의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방안은 상기 CSI-RS 전송에 적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동일한 CSI-RS를 공유하는 단말의 경우, 각 단말에 대응되는 규정된 측정 윈도우내의 파일럿 신호는 기지국이 해당 CSI-RS 자원이 해당 단말이 전속되는 빔포밍 벡터를 사용하여 빔포밍하여 획득한 것이며, 따라서 CSI-RS 효율을 효과적으로 제고할 수 있고, CSI-RS 자원 지출을 줄이며, 특히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사용자 수가 비교적 적은 케이스에서이다.
아래 두 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합하여, 단말기와 기지국의 상호 작용의 각도에서 본 출원에서 제공된 방안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제1 실시예>
1) 기지국은 주기적으로 CSI-RS 신호를 전송하고, 다양한 주기에서 CSI-RS 신호가 사용하는 빔포밍 벡터는 다를 수 있으며, CSI-RS의 주기를 T로 가정한다. 예를 들어, 서브 프레임 n-2T에서 송신된 CSI-RS는 UE1의 빔포밍 벡터를 채택하고, 서브 프레임 n-T 및 n에서의 CSI-R는 UE2의 빔포밍 벡터를 채택하며, 타이밍 다이어그램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다.
2) UE2는 각 CSI-RS 주기 내에서 CSI-RS를 기반으로 CSI 측정을 수행하고, 또한 기지국과 미리 약정된 CSI 측정 윈도우는 k=2개의 CSI 측정을 수행하는 서브 프레임(CSI 측정 서브 프레임이라고도 함)이다. 따라서, UE는 각 CSI-RS 주기에서 측정을 수행하지만, 최신 두 개의 CSI-RS 서브 프레임들에서 측정된 CSI만 저장한다.
3) 기지국은 서브 프레임 n+2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 UE2를 트리거하여 CSI 피드백을 실시한다.
4) UE2는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n+6 서브 프레임(즉 M=4개의 서브 프레임을 지연)의 PUSCH에서 비주기적 CSI 보고를 실시하며, 보고한 CSI는 서브 프레임 n+2 전에 가장 가까운 두 개의 CSI 측정 서브 프레임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며, 즉 서브 프레이임 n-T 및 n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이다. 따라서, UE가 보고한 CSI는 전부 자신의 빔포밍 벡터가 포밍한 CSI-RS를 기반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것이다.
<제2 실시예>
1) 기지국은 주기적으로 CSI-RS 신호를 송신하고, 다양한 주기에서 CSI-RS 신호가 사용하는 빔포밍 벡터는 다를 수 있으며, CSI-RS의 주기를 T=5로 가정한다. 예를 들어, 서브 프레임 n-10에서 송신된 CSI-RS는 UE1의 빔포밍 벡터를 채택하고, 서브 프레임 n-5 및 n에서의 CSI-R는 UE2의 빔포밍 벡터를 채택하며, 타이밍 다이어그램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다.
2) UE는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CSI-RS 자원 구성을 파악하며, 허나 CSI-RS를 기반으로 CSI 측정을 실시할 필요가 없다.
3) 기지국은 서브 프레임 n-7에서 DCI를 통해 UE2를 트리거하여 CSI 측정 및 피드백을 실시한다. 동시에 트리거 시그널링에서 UE2에게 CSI 측정 윈도우의 크기가 L=10개의 서브 프레임인 것을 지시한다.
4) UE2는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그 다음의 L=10개 서브 프레임 내에서 CSI측정을 실시하며, 또한 측정 윈도우가 종료된 후(즉 서브 프레임 n+3 다음)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보고한다. 여기서, 단말기는 측정 윈도우 내의 두 개 CSI-RS 서브 프레임(즉 서브 프레임 n-5 및 서브 프레임 n)을 기반으로 채널 정보 측정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 두 서브 프레임내의 CSI-RS는 UE2의 빔포밍 벡터를 채택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실시예에서는 오직 수직 차원의 빔포밍을 예로 삼아 설명했을 뿐, 빔포밍 방식에 대해 한정하지 않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기타 빔포밍 벡터를 채택하여 CSI-RS에 대해 빔포밍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수평 차원의 빔포밍 벡터를 채택하여 CSI-RS에 대해 빔포밍할 수 있고; 다른 예에서, 기지국은 수평 및 수직 이차원 빔포밍 벡터를 채택하여 CSI-RS에 대해 빔포밍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의 처리 절차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호출될 경우, 상기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한다.
동일한 발명 구상을 기반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디바이스를 제공하였으며, 해당 디바이스가 문제를 해결하는 원리는 상기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방법과 유사하기 때문에, 해당 디바이스의 실시예는 실시 방법을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된 부분에 대해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디바이스를 제공하였으며, 상기 디바이스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마련된 모듈로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디바이스가 규정된 측정 윈도우에서 획득한 채널 상태 정보 CSI를 보고하게끔 지시하도록 마련된 수신 모듈(91); 및
상기 측정 윈도우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된 처리 모듈(92)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미리 약정되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기지국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에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이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이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가 미리 약정된 고정 길이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 표시된 길이인 것을 지시하도록 마련된 표시 정보이다.
진일보로,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측정 윈도우 내에서 CSI 측정에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의 개수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측정 윈도우에 포함되는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 윈도우에 포함되는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는 N보다 작거나 동일한 값이며, 상기 N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CSI를 보고하는 서브 프레임 사이에 포함된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이다.
상기 임의 한 실시예를 기반으로, 우선적인 실시 방식으로서, 상기 처리 모듈(92)은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91)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처리 모듈(92)은 구체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91)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처리 모듈(91)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었다.
다른 한 우선적인 실시 방식으로, 상기 처리 모듈(92)은 구체적으로: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거나; 또는
상기 수신 모듈(91)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처리 모듈(92)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들을 경과한 후,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제2 측정 윈도우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수신 모듈(91)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가장 가까운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제2 측정 윈도우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수신 모듈(91)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제2 측정 윈도우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된다.
동일한 발명 구상을 기반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디바이스를 제공하였으며, 해당 디바이스가 문제를 해결하는 원리는 상기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제어 방법과 유사하기 때문에, 해당 디바이스의 실시예는 실시 방법을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된 부분은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제어 디바이스를 제공하였으며, 상기 디바이스는:
단말기로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가 규정된 측정 윈도우 내에서 획득한 채널 상태 정보 CSI를 보고하게끔 지시하도록 마련된 송신 모듈(101); 및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된 수신 모듈(102)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미리 약정되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디바이스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이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가 미리 약정된 고정 길이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 표시된 길이인 것을 지시하도록 마련된 표시 정보이다.
진일보로,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측정 윈도우 내에서 CSI 측정에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의 개수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측정 윈도우에 포함되는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 윈도우에 포함되는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는 N보다 작거나 동일한 값이며, 상기 N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CSI를 수신하는 서브 프레임 사이에 포함된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이다.
상기 임의 한 실시예를 기반으로, 우선적인 실시 방식으로서, 상기 수신 모듈(102)은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 모듈(101)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신 모듈(102)은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 모듈(101)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수신 모듈(101)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된다.
다른 한 우선적인 실시 방식으로, 상기 수신 모듈(102)은 구체적으로: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거나; 또는
상기 송신 모듈(101)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신 모듈(102)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송신 모듈(101)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송신 모듈(101)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된다.
아래 우선적인 하드웨어 구조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기의 구조 및 처리 방식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11의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수신기(111), 송신기(112) 및 각각 해당 수신기(111) 및 송신기(112)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3)를 포함하며, 여기서:
수신기(111)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단말기가 규정된 측정 윈도우에서 획득한 채널 상태 정보 CSI를 보고하게끔 지시하도록 마련되고;
프로세서(113)는 메모리에 있는 프로그램을 읽고, 아래: 상기 송신기(112)를 트리거하여 상기 프로세서(113)가 상기 측정 윈도우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절차를 실시하도록 마련된다.
도 11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 개수의 상호 연결된 버스 및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113)가 대표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114)가 대표하는 메모리의 다양한 회로로 함께 링크되어 있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장치, 전압 조정기 및 전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다양한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으며, 이는 전부 본 영역에 잘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본 출원은 이에 대해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수신기(111) 및 송신기(112)는 전송 매체에서 각종 다양한 기타 장치와 통신하도록 마련된 유닛을 제공한다. 다양한 사용자 장비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115)는 또한 필요한 장치들을 외부적 또는 내부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연결 장치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이스틱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13)는 버스 아키텍처 및 일반적인 프로세싱을 관리하고, 메모리(114)는 프로세서(113)가 절차를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미리 약정되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기지국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이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가 미리 약정된 고정 길이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 표시된 길이인 것을 지시하도록 마련된 표시 정보이다.
진일보로,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측정 윈도우 내에서 CSI 측정에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의 개수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측정 윈도우에 포함되는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 윈도우에 포함되는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는 N보다 작거나 동일한 값이며, 상기 N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CSI를 보고하는 서브 프레임 사이에 포함된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이다.
상기 임의 한 실시예를 기반으로, 우선적인 실시 방식으로서, 상기 프로세서(113)는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기(111)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 송신기(112)를 트리거하여 상기 프로세서(113)가 제1 측정 윈도우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제1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113)는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기(111)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송신기(112)를 트리거하여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113)가 상기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수신기(111)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기(112)를 트리거하여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113)가 상기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된다.
다른 한 우선적인 실시 방식으로, 상기 프로세서(113)는 구체적으로: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송신기(112)를 트리거하여 상기 프로세서(113)가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거나; 또는
상기 수신기(111)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송신기(112)를 트리거하여 상기 프로세서(113)가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113)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송신기(112)를 트리거하여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113)가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기(112)를 트리거하여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113)가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수신기(111)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송신기(112)를 트리거하여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113)가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수신기(111)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기(112)를 트리거하여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113)가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된다.
아래 우선적인 하드웨어 아키텍처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기지국의 구조 및 처리 방식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12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수신기(121), 송신기(122) 및 각각 해당 송신기(121) 및 수신기(122)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3)를 포함하며, 여기서:
프로세서(123)는, 메모리(124)에 있는 프로그램을 읽고, 아래: 송신기(122)를 트리거하여 상기 단말기가 규정된 측정 윈도우에서 획득한 채널 상태 정보 CSI를 보고하게끔 지시하는 절차를 수행하도록 마련되고;
수신기(121)는: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측정 윈도우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된다.
도 12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 개수의 상호 연결된 버스 및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123)가 대표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124)가 대표하는 메모리의 다양한 회로로 함께 링크되어 있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장치, 전압 조정기 및 전력 관리 회로 등과 같은 다양한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으며, 이는 전부 본 영역에 잘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본 출원은 이에 대해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수신기(121) 및 송신기(122)는, 전송 매체에서 각종 다양한 기타 장치와 통신하도록 마련된 유닛을 제공한다. 프로세서(123)는 버스 아키텍처 및 일반적인 프로세싱을 관리하고, 메모리(124)는 프로세서(123)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미리 약정되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기지국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에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이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가 미리 약정된 고정 길이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 표시된 길이인 것을 지시하도록 마련된 표시 정보이다.
진일보로,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측정 윈도우 내에서 CSI 측정에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의 개수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측정 윈도우에 포함되는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 윈도우에 포함되는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는 N보다 작거나 동일한 값이며, 상기 N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상기 단말이 보고한 CSI를 수신하는 서브 프레임 사이에 포함된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이다.
상기 임의 한 실시예를 기반으로, 우선적인 실시 방식으로서, 상기 수신기(121)는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기(122)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신기(121)는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기(122)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송신기(122)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된다.
다른 한 우선적인 실시 방식으로, 상기 수신기(121)는 구체적으로: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거나; 또는
상기 송신기(122)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신기(121)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송신기(122)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송신기(122)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된다.
본 분야의 기술자들이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는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은 하드웨어 실시예,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결부된 실시예의 형식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 저장 매체(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CD-ROM, 광학 저장 장치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에서 실시 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디바이스(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 다이아그램을 참조해 설명한다.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에서의 각각의 흐름 및/또는 블록, 및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에서의 흐름 및/또는 블록의 조합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내장형 프로세서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에 제공하여 하나의 머신을 생성하여,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실시하는 명령들이 흐름도의 하나 또는 다수의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다수의 블록들에서 특정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생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 장치가 특정 방식으로 작업하도록 지도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도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이 명령 장치를 포함하는 제조품을 형성하도록 하며, 해당 명령 장치는 흐름도의 하나 또는 다수의 절차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다수의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 장치에도 로딩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일련의 조작 단계를 실시하여 컴퓨터로 구현된 프로세스를 생성하도록 하고, 컴퓨터 또는 다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장치에서 실행되는 명령들이 흐름도의 하나 또는 다수의 흐름들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또는 다수의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마련된 절차들을 제공하도록 한다.
비록 본 출원의 우선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영역의 기술자들은 기본 발명 개념을 알게 되는 경우,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 부가적인 변경 및 수정을 실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 범위는 우선적인 실시예 및 본 출원의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물론, 본 영역의 기술자들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대해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이러한 변경 및 변형이 본 출원의 청구항 및 기타 등가 기술에 속하는 경우, 본 출원은 또한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28)

  1.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단말기가 규정된 측정 윈도우 내에서 획득한 채널 상태 정보 CSI를 보고하게끔 명령하도록 마련됨; 및
    상기 단말기는 상기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미리 약정되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기지국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이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가 미리 약정된 고정 길이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 표시된 길이인 것을 지시하도록 마련된 표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측정 윈도우 내에서 CSI 측정에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의 개수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측정 윈도우에 포함되는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윈도우에 포함되는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는 N보다 작거나 동일한 값이며, 상기 N은 상기 기지국이 수신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의 서브 프레임과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CSI의 서브 프레임 사이에 포함된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되, 상기 제1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의 수신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들을 경과 한 후, 가장 가까운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 한 후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제1 측정 윈도우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는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되, 상기 제2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이 수신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의 수신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단계;
    또는,
    상기 단말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되, 상기 제2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이 수신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의 수신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들을 경과한 후,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제2 측정 윈도우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가장 가까운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제2 측정 윈도우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제2 측정 윈도우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단말기에게 CSI를 측정하도록 지시하는 것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CSI 측정을 실시하는 것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의 세트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방법.
  10. 기지국이 단말기에게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가 규정된 측정 윈도우 내에서 획득한 채널 상태 정보 CSI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미리 약정되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기지국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이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가 미리 약정된 고정 길이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 표시된 길이인 것을 지시하도록 마련된 표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측정 윈도우 내에서 CSI 측정에 사용되는 서브 프레임의 개수거나, 또는 상기 측정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측정 윈도우에 포함되는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윈도우에 포함되는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는 N보다 작거나 동일한 값이며, 상기 N은 상기 기지국이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상기 기지국이 수신한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CSI의 서브 프레임 사이에 포함된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의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되, 상기 제1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거나;
    상기 기지국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은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되, 상기 제2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단계;
    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기지국이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되, 상기 제2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가장 가까운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단말기에게 CSI를 측정하도록 지시하는 것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CSI 측정을 실시하는 것에 대응되는 다운링크 기준 신호의 구성 정보의 세트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방법.
  19. 기지국으로부터 송신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마련된 모듈로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디바이스가 규정된 측정 윈도우에서 획득한 채널 상태 정보 CSI를 보고하게끔 지시하도록 마련된 수신 모듈; 및
    상기 측정 윈도우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된 처리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디바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처리 모듈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디바이스.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처리 모듈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처리 모듈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디바이스.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거나;
    또는,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디바이스.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들을 경과한 후,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제2 측정 윈도우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가장 가까운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제2 측정 윈도우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제2 측정 윈도우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디바이스.
  24. 단말기로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가 규정된 측정 윈도우 내에서 획득한 채널 상태 정보 CSI를 보고하게끔 지시하도록 마련된 송신 모듈; 및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측정 윈도우 내에서 자체적으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된 수신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디바이스.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디바이스.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1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디바이스.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거나; 또는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측정 윈도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 또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서브 프레임과 가장 가까운 하나의 상기 측정 윈도우이며, M은 0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디바이스.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가장 가까운 PUC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측정 윈도우가 종료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또한 M 개의 서브 프레임을 경과한 후에, 가장 가까운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의 M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SCH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기가 보고한 상기 제2 측정 윈도우 내에서 측정하여 획득한 CSI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상태 정보의 피드백 디바이스.
KR1020187004456A 2015-07-20 2016-07-19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및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KR201800301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429049.3A CN106656280A (zh) 2015-07-20 2015-07-20 一种信道状态信息的反馈及其控制方法和设备
CN201510429049.3 2015-07-20
PCT/CN2016/090522 WO2017012535A1 (zh) 2015-07-20 2016-07-19 一种信道状态信息的反馈及其控制方法和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157A true KR20180030157A (ko) 2018-03-21

Family

ID=57833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456A KR20180030157A (ko) 2015-07-20 2016-07-19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및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61832B2 (ko)
EP (1) EP3327942A4 (ko)
JP (1) JP2018522488A (ko)
KR (1) KR20180030157A (ko)
CN (1) CN106656280A (ko)
WO (1) WO20170125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3680B2 (en) * 2015-10-21 2019-06-25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reporting CSI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nlicensed band and apparatus supporting the same
WO2018227538A1 (en) * 2017-06-16 2018-12-20 Qualcomm Incorporated Reporting aperiodic csi via pucch
CN109803405A (zh) 2017-11-17 2019-05-24 华为技术有限公司 检测窗指示方法及装置
WO2019148399A1 (zh) * 2018-01-31 2019-08-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上报信道状态信息csi的方法和装置
WO2020068906A1 (en) * 2018-09-25 2020-04-02 Idac Holdings, Inc. Wtru autonomous beamformed unicast transmission
CN113748632B (zh) * 2019-04-25 2023-05-05 华为技术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参考信号的配置方法和装置
WO2024016313A1 (en) * 2022-07-22 2024-01-25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ate information configuration
WO2024077430A1 (en) * 2022-10-10 2024-04-18 Qualcomm Incorporated Csi report starting location and window configuration for high doppler csi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31989B (zh) 2009-06-26 2013-08-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反馈方法和装置
WO2011002389A1 (en) * 2009-06-30 2011-01-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ontrolling csi reporting in a lte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US8638684B2 (en) * 2010-04-05 2014-01-28 Qualcomm Aperiodic channel state information request in wireless communication
US9219571B2 (en) * 2010-04-13 2015-12-22 Qualcomm Incorporated Aperiodic CQI repor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762372B2 (en) * 2010-06-15 2017-09-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SI reporting on PUSCH for carrier aggregation
KR20120083192A (ko) * 2011-01-17 2012-07-25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의 전송 장치 및 방법
US10085164B2 (en) * 2011-04-28 2018-09-2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valid reference subframe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CN102291223B (zh) * 2011-08-05 2014-03-1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信道状态信息反馈指示及反馈方法和设备
CN102291764A (zh) * 2011-08-05 2011-12-2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配置测量信息和进行上报的方法、系统及设备
CN102291224B (zh) * 2011-08-18 2015-11-18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非周期csi的反馈方法和设备
CN102368697B (zh) * 2011-09-30 2018-04-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干扰测量信令通知、干扰测量及反馈方法及其装置
CN103891377B (zh) * 2011-10-27 2018-03-13 诺基亚通信公司 通过在多个子帧中报告相同的测量来提供增强的csi覆盖
GB2496451A (en) * 2011-11-14 2013-05-15 Renesas Mobile Corp Designating a subframe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measurement at least a specified number of subframes before a subframe in which it is to be reported
EP2847918B1 (en) * 2012-05-10 2018-10-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csi reporting
CN103391174B (zh) * 2012-05-10 2019-06-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Csi反馈信令的指示配置方法及基站
CN103427938B (zh) * 2012-05-18 2018-11-2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配置信道测量和dl csi反馈的方法、系统及设备
CN108111196B (zh) * 2012-06-04 2021-06-18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传递多个传输点的信道状态信息(csi)
EP3252963B1 (en) * 2012-06-18 2021-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eriodic and periodic csi feedback modes fo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US9912430B2 (en) * 2012-07-06 2018-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reporting
CN103782637B (zh) * 2012-09-04 2018-09-28 华为技术有限公司 信道测量的处理方法、基站、和用户设备
CN103945449B (zh) * 2013-01-18 2018-12-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Csi测量方法和装置
GB2527246A (en) * 2013-04-16 2015-12-1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5168925A1 (en) * 2014-05-09 2015-11-12 Qualcomm Incorporated Restricted aperiodic csi measurement reporting in enhanced interference management and traffic adaptation
BR112016026874B8 (pt) * 2014-05-19 2024-01-09 Huawei Tech Co Ltd Dispositivo de estação base, equipamento de usuário, método para receber informação de estado de canal e método para comunicar informações de estado de ca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22488A (ja) 2018-08-09
US10461832B2 (en) 2019-10-29
EP3327942A1 (en) 2018-05-30
WO2017012535A1 (zh) 2017-01-26
US20180205439A1 (en) 2018-07-19
EP3327942A4 (en) 2018-08-29
CN106656280A (zh)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860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signaling
US20220094399A1 (en) Low overhead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feedback for multi-transmission point (trp) transmission
US9838106B2 (en) Method for feeding back channel state information and an apparatus
KR20180030157A (ko)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및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US10009083B2 (en)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US9596066B2 (en) Multipoint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ing method and device
WO2018126887A1 (zh) 信道状态信息测量上报的配置方法及相关设备
JP2019531634A (ja) 上りリンクの送信方法
WO2017020749A1 (zh) 一种fd mimo系统信道状态信息反馈方法及相关设备
US10555333B2 (en) Scheduling method, coordinated-transmission node and central coordination node for downlink coordinated-transmission
US10419094B2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measurement method, channel state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WO2012073846A1 (ja) 移動通信方法、無線基地局及び移動局
CN110268637B (zh) Srs发送的用户设备和方法
WO20200070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link recovery with discontinuous reception
EP33438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KR20190051993A (ko) Srs를 전송하는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KR20200003869A (ko) 채널 상태 정보-기준 신호(csi-rs)의 획득
CN114071748A (zh) 信号传输方法、终端和网络设备
CN111819878A (zh) 基于非码本的ul传输的方法和装置
WO20231843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and receiv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JP7216813B2 (ja) チャネル状態情報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10048820B (zh) 一种信道状态信息的配置方法、反馈方法及装置
CN117336781A (zh) 测量上报方法、装置及通信设备
CN116980096A (zh) 信息传输方法、装置、终端、网络侧设备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