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9766A - 서포트레그 및 이를 사용한 유아용 카시트 - Google Patents

서포트레그 및 이를 사용한 유아용 카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9766A
KR20180029766A KR1020160118274A KR20160118274A KR20180029766A KR 20180029766 A KR20180029766 A KR 20180029766A KR 1020160118274 A KR1020160118274 A KR 1020160118274A KR 20160118274 A KR20160118274 A KR 20160118274A KR 20180029766 A KR20180029766 A KR 20180029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support
hole
housing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8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0833B1 (ko
Inventor
정세훈
조현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쁘레베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쁘레베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쁘레베베
Priority to KR1020160118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833B1/ko
Priority to CN201610922110.2A priority patent/CN107813738B/zh
Publication of KR20180029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7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60N2/2824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part of the base being supported by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7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 B60N2/289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coupled to the vehicl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포트레그 및 이를 사용한 유아용 카시트에 관한 것이다. 서포트레그(20)는 제1레그(21)와 제2레그(22)를 사용하여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레그(21)와 제2레그(22) 사이의 잠금을 길이잠금부(24)로 한다. 상기 길이잠금부(24)에서는 조작다이얼(40)를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제1레그(21)와 제2레그(22)사이의 체결을 해제하여, 제1레그(21)와 제2레그(22)가 상대 이동가능하게 한다. 즉, 조작다이얼(40)의 회전에 의해 하우징(30) 내에서 연동캠(50)이 직선운동하고, 상기 연동캠(50)의 운동에 의해 잠금부재(60)가 제1레그(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결합핀(66)이 제1레그(21)의 제1통공(23)과 제2레그(22)의 제2통공(23')에서 빠져나오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제1레그(21)와 제2레그(22) 사이의 체결이 해제된다. 서포트레그(20)의 길이조절 후에는 상기 연동캠(50)을 복원시키는 제1탄성부재(58)의 복원력과 잠금부재(60)를 복원시키는 제2탄성부재(68)의 복원력에 의해 길이잠금부(24)가 원래의 상태로 된다.

Description

서포트레그 및 이를 사용한 유아용 카시트{Support leg and safety car seat for infa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서포트레그 및 이를 사용한 유아용 카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높이에 대해 대상물을 지지할 수 있는 서포트레그 및 이를 사용한 유아용 카시트에 관한 것이다.
유아용 카시트를 자동차에서 사용할 때, 자동차의 좌석에서 벗어난 부분까지 카시트가 연장되는 경우에는 서포트레그를 사용하여 카시트를 바닥에 지지되게 하여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서포트레그는 그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높이를 가지는 다양한 자동차의 좌석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동시에 서포트레그는 카시트 자체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도 필요하다.
하지만, 서포트레그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서로 상대 이동되는 제1레그와 제2레그 사이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되어야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제1레그와 제2레그 사이가 단순히 하나의 결합핀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어 결합상태가 상대적으로 약해 큰 충격에 의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제1레그와 제2레그 사이의 결합상태를 해제해서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제1레그와 제2레그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해야 한다. 이와 같은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 제1레그와 제2레그의 결합상태를 잘 해지하려면 사용자가 힘을 가하는 버튼의 반대쪽을 다른 손으로 지지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작업자가 제1레그와 제2레그의 상대 이동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261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4571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길이를 가변시키는 조작이 간단한 서포트레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길이가변이 가능한 서포트레그의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최대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포트레그의 조작이 간단한 유아용 카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레그와, 상기 제1레그의 내외부로 이동되는 제2레그와,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를 서로 결합하여 전체 길이가 고정되도록 하고 제1레그와 제2레그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여 제2레그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길이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잠금부에서는 조작다이얼을 회전시킴에 의해 잠금부재가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에서부터 분리되어 제1레그와 제2레그의 결합을 해제한다.
상기 제1레그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 폭의 제1평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평면에 상기 잠금부재의 일측이 관통하는 제1통공이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제2레그의 외면에도 상기 제1평면과 대응되게 제2평면이 제2레그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평면에는 상기 제1통공을 관통하나 잠금부재의 일측이 관통하는 제2통공이 상기 제1통공의 갯수와 대응되는 갯수의 열을 형성한다.
상기 길이잠금부에는 상기 조작다이얼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레그를 따라 직선이동하는 작동캠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캠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가 상기 제1레그의 외면에 가까워지고 멀어지도록 동작된다.
상기 길이잠금부의 외관을 하우징이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조작다이얼이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하우징커버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캠은 상기 조작다이얼의 배면 양단에서 돌출된 구동바아에 의해 직선운동되고, 상기 잠금부재가 안내되는 연동경사면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탄성부재에 의해 조작다이얼에 조작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상기 잠금부재에는 상기 제1레그의 제1통공과 제2레그의 제2통공을 동시에 관통하는 결합핀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제2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핀이 제1통공과 제2통공에 들어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다.
상기 제2레그의 단부에는 저면이 경사면으로 된 받침구가 구비되어 상기 경사면의 선단이 바닥에 지지되고, 상기 경사면에 있는 관통공을 통해 인디케이터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받침구의 설치상태를 표시한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회전중심인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제1부와 제2부가 있고 상기 제1부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받침구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2부의 일측 표면에 형성된 제1표시와 제2표시가 상기 받침구의 개방윈도우를 통해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카시트본체와, 상기 카시트본체의 일단부에서 상기 카시트본체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접어지고 카시트본체에 대해 펼쳐지도록 설치된 상기한 서포트레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서포트레그 및 이를 사용한 유아용 카시트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서포트레그를 구성하는 제1레그와 제2레그가 서로 결합되어 있도록 하기 위해서 길이잠금부가 있는데, 상기 길이잠금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조작다이얼이 있어서 사용자가 이를 회전시키면 된다. 따라서, 조작다이얼의 조작에 제1레그와 제2레그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나머지 한 손으로 제2레그의 이동조작을 할 수 있어 서포트레그의 길이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1레그와 제2레그를 결합하기 위한 잠금부재의 결합핀이 복수개가 있다. 따라서, 제1레그와 제2레그 사이의 길이방향 이동에 저항하는 힘이 더 커지게 되고, 제1레그와 제2레그에 제1평면과 제2평면이 있어서 제1레그와 제2레그 자체의 강성도 더 크게 되어 전체적으로 서포트레그가 견고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서포트레그가 유아용 카시트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한 손으로 조작다이얼을 돌려 제1레그와 제2레그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고, 나머지 한 손으로는 제2레그를 잡아 이동시키면서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조작이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받침구에 있는 인디케이터가 서포트레그가 정확하게 바닥에 밀착되어 지지되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므로, 사용자가 서포트레그의 상태를 확인하여 카시트를 보다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서포트레그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구비된 카시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포트레그에서 길이잠금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포트레그에서 길이잠금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하우징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받침구 부분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받침구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가 동작되는 것을 하우징본체쪽에서 보인 동작상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가 동작되는 것을 사시도 형태로 도시한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서포트레그(20)가 카시트(10)에 적용된 것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서포트레그(20)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다양한 것에 적용될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카시트(10)의 골격을 카시트본체(12)가 형성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체 카시트(10)의 구성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나, 설명은 필요한 부분만 하기로 한다. 즉, 카시트본체(12)에서 본 발명의 설명에 필요한 부분 위주로 설명한다. 상기 카시트본체(12)의 일단부에는 레그연결부(14)가 있다. 상기 레그연결부(14)에 아래에서 설명될 서포트레그(20)가 연결되어 도시된 상태와 같이, 카시트본체(12)에 대해 펼쳐지거나, 카시트본체(12)의 외면에 밀착되게 접어진다.
서포트레그(20)는 제1레그(21)와 제2레그(22)를 구비한다. 상기 제1레그(21)의 내부로 상기 제2레그(22)가 들어갈 수 있다. 상기 제1레그(21)의 길이방향 내부로 제2레그(22)가 이동하여 전체 서포트레그(20)의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2레그(22)의 내부로 상기 제1레그(21)가 들어가도록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길이잠금부(24)의 설치가 제2레그(22)에 되어야 한다.
상기 제1레그(21)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제1평면(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평면(21')은 소정의 폭을 가지고 제1레그(2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평면(21')은 상기 제2레그(22)와 연결되는 단부까지 형성된다. 상기 제1평면(21')은 제1레그(21)의 외면중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레그(21)에서 상기 제1평면(21')외의 나머지 외면은 곡면으로 된다. 상기 제1평면(21')의 반대쪽이 되는 제1레그(21)의 외면은 상기 제1평면(21')과 평행한 평면이 되거나 매우 큰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으로 되어 거의 평면이 되도록 된다. 하지만, 상기 제1레그(21)의 형상은 상기 제1평면(21')을 제외하고는 다양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2레그(22)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제2평면(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레그(22)의 횡단면은 상기 제1레그(21)의 횡단면과 같은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는 상기 제1레그(21)의 내부로 제2레그(22)가 들어가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제1레그(21)와 상기 제2레그(22)는 횡단면 형상이 거의 같지만, 치수는 제2레그(22)가 제1레그(21)보다 상대적으로 작다.
상기 제1평면(21')에는 제1통공(23)이 2개 형성되고, 상기 제2평면(22')에는 제2통공(23')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통공(23')은 본 실시례에서는 2열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1통공(23)은 상기 제2통공(23')의 2개의 열에 하나씩이 대응된다. 참고로, 상기 제2통공(23')은 다수개의 열, 즉, 2개, 3개 또는 4개의 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에 맞춰 상기 제1통공(23)은 상기 제2통공(23')의 열의 갯수만큼 형성된다. 참고로 제2통공(23')의 열이 3개라면 인접하는 열의 제2통공(23')은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2개의 열에서 상기 제2통공(23')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통공(23)과 제2통공(2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핀(66)이 동시에 관통하여 제1레그(21)와 제2레그(22) 사이의 상대 이동을 방지한다. 상기 제2통공(23')의 하나의 열에서 제2통공(23')의 갯수가 서포트레그(20)의 길이조절 정도와 관계된다.
상기 제2레그(22)의 하단부에는 받침구(26)가 있다. 상기 받침구(26)는 서포트레그(20)가 바닥에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받침구(26)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인디케이터(90)가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길이잠금부(24)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길이잠금부(24)의 외관을 하우징(3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30)은 하우징본체(31)와 하우징커버(32)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본체(31)와 하우징커버(32)는 서로 결합되어 하우징(30)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30)은 상기 제1레그(21)와 제2레그(22)를 둘러싼다.
상기 하우징커버(32)에는 개구부(34)가 한쌍이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34)를 통해서 아래에서 설명될 조작다이얼(4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개구부(34)의 구성은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커버(32)의 배면 양측과 하단 양측에는 제1결합부(36)(36')가 있다. 이들 제1결합부(36)(36')에 의해 상기 하우징본체(31)와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커버(32)의 배면에는 회전중심축(38)이 있다. 상기 회전중심축(38)은 아래에서 설명될 조작다이얼(40)의 회전중심이 된다.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는 조작다이얼(40)이 설치된다. 상기 조작다이얼(40)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하우징(30) 내에서 회전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조작다이얼(40)은 대략 원판형상으로 만들어져 있는데, 전면 양측에는 상기 개구부(34)를 통해 노출되도록 안착홈(42)이 있다. 상기 안착홈(42)은 상기 조작다이얼(40)을 사용자가 회전시킬 때 손가락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안착홈(42)은 상기 조작다이얼(40)을 정면도로 볼 때, 반원형상으로 되어 상기 조작다이얼(40)의 가장자리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조작다이얼(40)의 전면중에서 상기 안착홈(42)에 인접한 위치에는 회전표시(44)가 있다. 상기 회전표시(44)는 화살표 표시로서 상기 조작다이얼(40)을 회전시키는 방향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조작다이얼(40)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서는 소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의 구동바아(46)가 있다. 상기 구동바아(46)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동캠(50)이 상기 제1레그(21)의 외면을 따라 제1레그(2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구동바아(46)가 봉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동바아(46)는 상기 조작다이얼(40)의 배면 양측 가장자리에서 돌출된다.
상기 조작다이얼(40)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중심공(48)이 있다. 상기 중심공(48)에는 상기 회전중심축(38)이 삽입되어 상기 조작다이얼(40)의 회전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 해당되는 상기 제1레그(21)의 외면에는 연동캠(50)이 설치된다. 상기 연동캠(50)은 상기 구동바아(46)마다 하나씩 대응되게 설치된다. 상기 연동캠(50)은 상기 구동바아(46)에 의해 상기 제1레그(21)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양측에 있는 연동캠(5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연동캠(50)의 골격을 캠몸체(52)가 형성한다. 상기 캠몸체(52)는 대략 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캠몸체(52)의 일측에는 바아연동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아연동부(54)에는 상기 구동바아(46)가 안착되어 조작다이얼(4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연동캠(50)을 직선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캠몸체(52)의 일측은 상기 제1레그(21)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서 상기 제1레그(21)의 외면을 따라 상기 캠몸체(52)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캠몸체(52)의 대응되는 외면은 상기 제1레그(21)의 표면의 곡률반경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대략 90도 내외의 각도에 걸쳐서 제1레그(21)의 외면과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연동캠(50)의 캠몸체(52)에는 연동경사면(56)이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연동경사면(5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잠금부재(60)의 일측이 안내된다. 상기 연동경사면(56)은 상기 캠몸체(52)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부분에 캠몸체(52)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만들어진다. 상기 연동경사면(56)이 형성된 캠몸체(52)의 반대쪽에 지지편(57)이 있다. 상기 지지편(57)에는 제1탄성부재(58)의 일단부가 지지된다. 상기 지지편(57)에 지지된 제1탄성부재(58)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본체(31)의 일측에 지지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58)는 상기 연동캠(50)에 상기 조작다이얼(40)에 의해 주어진 힘이 제거되면 상기 연동캠(50)과 조작다이얼(40)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되게 하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잠금부재(60)는 상기 연동캠(50)에 의해 동작되어 제1레그(21)와 제2레그(22) 사이의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잠금부재(60)의 골격을 몸체부(62)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62)의 양측에는 캠연동판(64)이 있다. 상기 캠연동판(64)은 상기 연동캠(50)의 연동경사면(56)을 따라 안내되는 부분이다. 상기 캠연동판(64)은 상기 몸체부(62)의 양측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레그(21)의 폭방향 양측에 있는 연동캠(50)의 연동경사면(56)에 각각 안내된다.
상기 잠금부재(60)에는 결합핀(66)이 있다. 상기 결합핀(66)은 상기 제1레그(21)의 제1통공(23)과 제2레그(22)의 제2통공(23')을 동시에 관통하여 제1레그(21)와 제2레그(22)가 결합되어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핀(66)은 본 실시례에서는 2개가 나란히 있다. 상기 결합핀(66)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통공(23) 사이의 간격 그리고 상기 제2통공(23')의 열 사이의 간격과 같다.
상기 잠금부재(60)는 상기 제1레그(21) 방향으로 제2탄성부재(68)에 의해 눌러진다. 상기 제2탄성부재(68)는 상기 잠금부재(60) 배면의 원형의 리브(도면부호 부여않음) 내측에 일단부가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본체(31)의 내면에 지지되어 항상 상기 잠금부재(6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본체(31)의 내부에는 가이드펜스(70)가 있다. 상기 가이드펜스(70)는 상기 잠금부재(6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본체(31)에는 상기 하우징커버(32)의 제1결합부(36,36')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제2결합부(72,72')가 있다. 상기 제2결합부(72)를 관통하여 제1결합부(36)에 나사(도시되지 않음)가 체결됨에 의해 이들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결합부(36')와 제2결합부(72')에도 동시에 나사가 관통하여 체결됨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2레그(22)의 하단에 있는 받침구(26)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받침구(26)는 바닥에 놓여지는 부분이다. 상기 받침구(26)의 외관을 상케이스(80)와 하케이스(82)가 형성한다. 상기 상케이스(80)와 하케이스(82)가 대략 육면체를 이룬다. 상기 하케이스(82)의 저면은 경사면(83)으로 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83)은 상기 제2레그(22)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83)은 서포트레그(20)가 사용될 때, 바닥에 밀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서포트레그(20)는 상기 카시트본체(12)의 일단부에 있는 레그연결부(14)에서 약간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이와 같이 되어야 상기 경사면(83)이 바닥에 밀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하케이스(8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도록 상기 경사면(83)의 일측에는 관통공(84)이 있다. 상기 관통공(84)은 아래에서 설명될 인디케이터(90)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케이스(82)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85)의 일측에는 개방윈도우(85')가 있다. 상기 개방윈도우(85')는 아래에서 설명될 인디케이터(90)의 제1표시(94) 또는 제2표시(96)가 외부로 노출되어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케이스(82)의 내측에는 상기 관통공(84)의 양측 단부에 인접하여 지지펜스(86)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펜스(86)에는 축공(8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공(88)은 상기 지지펜스(86)의 상단에 대략 반원정도로 형성된다.
상기 상케이스(80)와 하케이스(82)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서는 인디케이터(90)가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90)는 본 발명의 서포트레그(20)의 받침구(26)가 바닥에 잘 밀착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인디케이터(90)에는 상기 축공(88)에 안착되는 중심축(92)을 기준으로 양측에 제1부(93)와 제2부(93')가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90)는 상기 케이스(81,82)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91)에 의해 지지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제1부(93)가 관통공(84)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인디케이터(90)의 제2부(93') 일면에는 제1표시(94)와 제2표시(96)가 있다. 상기 제1표시(94)와 제2표시(96)는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색상이 다르게 되거나, 표면에 형성된 무늬나 글자 등이 다르게 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표시(94)는 초록색이고, 제2표시(96)는 빨간색으로 되어서 사용자에게 상기 서포트레그(20)가 바닥에 잘 밀착되었는지를 알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부(93)가 상기 관통공(84)을 통해 돌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표시(96)가 상기 개방윈도우(85')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제1부(93)가 상기 받침구(26)의 내부로 들어간 상태, 즉 상기 경사면(83)이 바닥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방윈도우(85')를 통해 제1표시(84)가 노출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서포트레그 및 이를 사용한 유아용 카시트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서포트레그(20)는 예를 들면 카시트(10)에 적용하여 카시트본체(12)의 일부가 자동차의 좌석보다 돌출되는 경우에 바닥에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서포트레그(20)를 카시트본체(12)의 저면에서부터 펼쳐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제2연결부(14)를 기준으로 서포트레그(20)를 회전시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 또는 그 보다 더 앞쪽으로 펼친다.
다음으로, 상기 서포트레그(20)의 길이를 조절해야 한다. 상기 서포트레그(2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길이잠금부(24)를 조작하여야 한다. 상기 길이잠금부(24)에서 잠금부재(60)가 제1통공(23) 및 제2통공(23')에서 빠져나오도록 하여 제1레그(21)와 제2레그(22) 사이의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조작다이얼(40)의 안착홈(42)에 각각 손가락을 넣고 회전표시(44)의 방향대로 힘을 가한다. 이와 같이 조작다이얼(40)을 회전시키면 상기 조작다이얼(40)은 상기 하우징커버(32)의 회전중심축(38)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조작다이얼(40)의 회전은 상기 구동바아(46)가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바아(46)는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연동캠(50)의 바아연동부(54)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연동캠(50)이 제1레그(21)의 외면을 따라 제1레그(2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양측의 상기 구동바아(46)가 대략 도 7의 (a)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연동캠(50)이 각각 대응되는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 연동캠(50)이 이동하게 되면 각각의 제1탄성부재(58)들은 압축된다. 즉, 상기 연동캠(50)의 지지편(57)과 상기 하우징본체(31)의 사이에서 제1탄성부재(58)가 압축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7의 (b)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연동캠(50)들이 상기 제1레그(21)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면, 상기 잠금부재(60)의 캠연동판(64)이 상기 연동캠(50)들의 연동경사면(56)을 따라 안내된다. 상기 연동경사면(56)을 따라 상기 잠금부재(60)의 캠연동판(64)이 안내되면 상기 잠금부재(60)는 상기 제2탄성부재(68)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하우징본체(31)의 배면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2탄성부재(68)가 상기 잠금부재(60)와 하우징본체(31)의 사이에 압착된다.
상기 잠금부재(60)가 이동한 상태는 도 8의 (b)에서 알 수 있다. 상기 조작다이얼(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60)가 상기 하우징본체(31)의 배면쪽, 도 8의 (a)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결합핀(66)이 상기 제1통공(23) 및 제2통공(23')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레그(21)와 제2레그(22)는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상대 이동이 가능하다. 이 상태는 도 8의 (b)에 잘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제2레그(22)를 제1레그(21)에서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서포트레그(20)의 길이를 설정한다. 상기 제2레그(22)의 길이를 조절할 때, 상기 조작다이얼(40)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조작다이얼(40)은 상기 연동캠(50)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제1탄성부재(58)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려한다. 하지만, 상기 잠금부재(60)의 결합핀(66)이 상기 제1통공(23)을 통과하여 제2통공(23')중 하나에 삽입될 때까지는 제1탄성부재(58)의 상태가 여전히 압축된 상태이고, 상기 잠금부재(60)는 상기 제2탄성부재(68)가 복원되려는 복원력에 의해 제1레그(21) 쪽으로 이동하려 한다. 따라서, 상기 결합핀(66)이 상기 제2레그(22)의 이동에 의해 특정한 제2통공(23')을 만나 그 제2통공(23')으로 들어가면, 상기 잠금부재(60)가 상기 제2탄성부재(68)에 의해 이동된다. 이때, 상기 연동캠(50)도 제1탄성부재(58)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고, 상기 조작다이얼(40)도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한편, 상기 서포트레그(20)의 길이가 설정되었을 때, 상기 받침구(26)가 바닥에 정확하게 닿았는지는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받침구(26)의 경사면(83)이 바닥에 밀착되기 전에는 상기 인디케이터(90)의 제1부(93)가 상기 관통공(84)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개방윈도우(85')를 통해서는 제2표시(86)가 노출되어 있어, 사용자가 받침구(26)의 경사면(83)이 바닥에 닿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받침구(26)의 경사면(83)이 바닥에 밀착되면, 상기 인디케이터(90)의 제1부(93)는 상기 스프링(91)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즉, 상기 중심축(92)의 기준으로 인디케이터(90)가 회전하여, 상기 제1표시(94)가 상기 개방윈도우(85')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받침구(26)의 경사면(83)이 바닥에 닿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레그(2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받침구(26)가 바닥에서 떨어지므로 경사면(83)의 관통공(84)을 통해 상기 인디케이터(90)의 제1부가 스프링(91)의 복원력에 의해 돌출되고, 상기 개방윈도우(85')를 통해서는 제2표시(94)가 노출되어 보이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상기 받침구(26)는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인디케이터(90)와 관련된 구성은 더욱 그러하다. 상기 받침구(26)는 단순히 제2레그(22)의 끝부분에 있어서 바닥에 서포트레그(20)를 지지하는 역할만을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받침구(26) 없이 상기 제2레그(22)가 직접 바닥에 닿을 수도 있다.
상기 제1레그(21)의 제1평면(21')과 제2레그(22)의 제2평면(22')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제1평면(21')과 제2평면(22')에 의해 제1레그(21)와 제2레그(22)의 강성이 상대적으로 더 커지게 되고, 제2레그(22)와 제1레그(21)가 상대회전하지 않게 되어 제1통공(23)과 제2통공(23')의 위치를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10: 카시트 12: 카시트본체
14: 제2연결부 20: 서포트레그
21: 제1레그 21': 제1평면
22: 제2레그 22': 제2평면
23: 제1통공 23': 제2통공
24: 길이잠금부 26: 받침구
30: 하우징 31: 하우징본체
32: 하우징커버 34: 개구부
36,36': 제1결합부 38: 회전중심축
40: 조작다이얼 42: 안착홈
44: 조작표시 46: 구동바아
48: 중심공 50: 연동캠
52: 캠몸체 54: 바아연동부
56: 연동경사면 57: 지지편
58: 제1탄성부재 60: 잠금부재
62: 몸체부 64: 캠연동판
66: 결합핀 68: 제2탄성부재
70: 가이드펜스 72, 72': 제2결합부
80: 상케이스 82: 하케이스
84: 관통공 85: 측벽
85': 개방윈도우 86: 지지펜스
88: 축공 90: 인디케이터
91: 스프링 92: 중심축
93: 제1부 93': 제2부
94: 제1표시 96: 제2표시

Claims (10)

  1. 제1레그와,
    상기 제1레그의 내외부로 이동되는 제2레그와,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를 서로 결합하여 전체 길이가 고정되도록 하고 제1레그와 제2레그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여 제2레그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길이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잠금부에서는 조작다이얼을 회전시킴에 의해 잠금부재가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에서부터 분리되어 제1레그와 제2레그의 결합을 해제하는 서포트레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그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 폭의 제1평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평면에 상기 잠금부재의 일측이 관통하는 제1통공이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제2레그의 외면에도 상기 제1평면과 대응되게 제2평면이 제2레그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평면에는 상기 제1통공을 관통하나 잠금부재의 일측이 관통하는 제2통공이 상기 제1통공의 갯수와 대응되는 갯수의 열을 형성하는 서포트레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잠금부에는 상기 조작다이얼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레그를 따라 직선이동하는 작동캠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캠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가 상기 제1레그의 외면에 가까워지고 멀어지도록 동작되는 서포트레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잠금부의 외관을 하우징이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조작다이얼이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서포트레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하우징커버로 구성되는 서포트레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캠은 상기 조작다이얼의 배면 양단에서 돌출된 구동바아에 의해 직선운동되고, 상기 잠금부재가 안내되는 연동경사면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탄성부재에 의해 조작다이얼에 조작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서포트레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에는 상기 제1레그의 제1통공과 제2레그의 제2통공을 동시에 관통하는 결합핀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제2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핀이 제1통공과 제2통공에 들어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 서포트레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그의 단부에는 저면이 경사면으로 된 받침구가 구비되어 상기 경사면의 선단이 바닥에 지지되고, 상기 경사면에 있는 관통공을 통해 인디케이터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받침구의 설치상태를 표시하는 서포트레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회전중심인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제1부와 제2부가 있고 상기 제1부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받침구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2부의 일측 표면에 형성된 제1표시와 제2표시가 상기 받침구의 개방윈도우를 통해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서포트레그.
  10. 카시트본체와,
    상기 카시트본체의 일단부에서 상기 카시트본체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접어지고 카시트본체에 대해 펼쳐지도록 설치된 청구항 제1 항 내지 청구항 제9 항중 어느 한 항의 서포트레그를 포함하는 유아용 카시트.
KR1020160118274A 2016-09-13 2016-09-13 서포트레그 및 이를 사용한 유아용 카시트 KR101850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8274A KR101850833B1 (ko) 2016-09-13 2016-09-13 서포트레그 및 이를 사용한 유아용 카시트
CN201610922110.2A CN107813738B (zh) 2016-09-13 2016-10-21 支架立柱及使用其的幼儿用安全座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8274A KR101850833B1 (ko) 2016-09-13 2016-09-13 서포트레그 및 이를 사용한 유아용 카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766A true KR20180029766A (ko) 2018-03-21
KR101850833B1 KR101850833B1 (ko) 2018-05-31

Family

ID=61600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8274A KR101850833B1 (ko) 2016-09-13 2016-09-13 서포트레그 및 이를 사용한 유아용 카시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50833B1 (ko)
CN (1) CN10781373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887B1 (ko) * 2018-08-30 2019-01-25 주식회사 이노프 상하 슬라이드 운용 제어를 기반으로 한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CN115123033A (zh) * 2022-05-05 2022-09-30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安全座椅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79433A (zh) * 2020-10-22 2022-04-22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用于安全座椅的支撑脚装置的指示组件和安全座椅
KR200497819Y1 (ko) 2022-05-12 2024-03-08 이지영 시트 회전 제어가 가능한 유아용 카시트
KR20230002213U (ko) 2022-05-12 2023-11-21 이지영 편리성이 향상된 유아용 카시트
KR102464139B1 (ko) 2022-06-22 2022-11-09 주식회사 비전이노베이션 카시트로 호환되는 유모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96485B2 (ja) * 2010-10-06 2014-09-24 タカタ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KR101400683B1 (ko) * 2013-04-19 2014-05-29 이현용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CN203637616U (zh) * 2013-11-19 2014-06-11 宁波妈咪宝婴童用品制造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支撑脚伸缩调节机构
KR20160001874A (ko) * 2014-06-27 2016-01-07 (유)삼송 유아용 카시트의 서포터랙
CN105329123B (zh) * 2014-07-11 2018-05-04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调整机构及具有该调整机构的儿童安全座椅
CN204077432U (zh) * 2014-09-05 2015-01-07 宁波市博林日用品制造有限公司 一种儿童安全座椅的支撑脚结构
CN205344586U (zh) * 2016-02-02 2016-06-29 麦克英孚(宁波)婴童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底部接触指示装置的安全座椅支撑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887B1 (ko) * 2018-08-30 2019-01-25 주식회사 이노프 상하 슬라이드 운용 제어를 기반으로 한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CN115123033A (zh) * 2022-05-05 2022-09-30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安全座椅
CN115123033B (zh) * 2022-05-05 2024-04-05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安全座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833B1 (ko) 2018-05-31
CN107813738A (zh) 2018-03-20
CN107813738B (zh)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833B1 (ko) 서포트레그 및 이를 사용한 유아용 카시트
US8905476B2 (en) Adjustment mechanism for juvenile product
ES2845567T3 (es) Dispositivo de conexión para una parte móvil de mueble
GB2517288A (en) Joint device
JPH0127494Y2 (ko)
US20160249741A1 (en) Ball chair
ES2948013T3 (es) Asiento de seguridad para niños
EP3144178B1 (en) Child seat
KR20120011317A (ko) 차량용 차일드 시트
JP2013233165A (ja) 椅子の肘掛け装置
KR20160039560A (ko) 잠금 해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잠금 장치
EP3278745A3 (en) Adapter assemblies for surgical devices
CN112519646A (zh) 婴幼儿安全座椅以及解锁致动件
CN209299735U (zh) 一种推手姿态锁定机构
KR20190078360A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MX2013004585A (es) Soporte para dispositivos electricos.
JP7079477B2 (ja) 折り畳み式テーブル及び折り畳み式椅子
WO2019100567A1 (zh) 一种座椅姿态调整装置及安全座椅
US11897535B2 (en) Folding hook structure and carriage frame and as well as baby carriage having the same
JP6837120B1 (ja) 押しボタン錠装置
US8894432B1 (en) Connector assembly
US8683661B2 (en) Push button type belt buckle
KR102114188B1 (ko) 서포트 레그 및 서포트 레그를 구비한 차일드 시트
JP7333046B2 (ja) ラッチ錠のハンドルの台座ユニット
KR101513934B1 (ko) 받침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