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9248A -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의 각구조물 - Google Patents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의 각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9248A
KR20180029248A KR1020187004509A KR20187004509A KR20180029248A KR 20180029248 A KR20180029248 A KR 20180029248A KR 1020187004509 A KR1020187004509 A KR 1020187004509A KR 20187004509 A KR20187004509 A KR 20187004509A KR 20180029248 A KR20180029248 A KR 20180029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ube
trigger unit
thyristor trigg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4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1076B1 (ko
Inventor
치한 첸
타이? 퐝
타이?? 퐝
? 양
?p 양
비아오 가오
레레 리
레이 리우
Original Assignee
엔알 일렉트릭 컴퍼니 리미티드
엔알 일렉트릭 파워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엔알 엔지니어링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알 일렉트릭 컴퍼니 리미티드, 엔알 일렉트릭 파워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엔알 엔지니어링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엔알 일렉트릭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29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 H05K7/1432Hous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drive units or power converters
    • H05K7/14339Hous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drive units or power converters specially adapted for high voltage oper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0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scre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14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 H05K7/1407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by turn-bolt or screw memb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 H05K7/1432Hous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drive units or power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wer Conversion In General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Rectifiers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의 각구조물(殼構造物, shell structure)은 쉘 바디와 측면판(2)으로 구성된다; 상기 쉘 바디는 홀더 및 일체로 형성된 입방체 구조물을 포함한다; 상기 일체로 형성된 입방체 구조물은 그 전면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입방체이다; 상기 입방체는 후방패널(7), 좌측패널(11), 우측패널(12), 상부패널(1) 및 하부패널(5)을 포함한다; 개구면이 상기 입방체의 전방 개구부에 형성된다; 상기 홀더는 정방형 고정판(3) 및 두 개의 삼각형의 보강판(4)을 포함한다; 상기 정방형 고정판(3)은 상기 입방체의 긴 측방으로 상기 좌측패널(11)의 측면으로 확장되는 하부패널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삼각형의 보강판(4)은 상기 정방형 고정판(3)과 상기 좌측패널(11) 사이에 고정되어 결합된다; 상기 측면판(2)은 상기 개구면과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개구면 상에 분리가능하게 탑재되어, 상기 개구면을 밀봉하고 그리하여 밀봉된 육면의 입방체 구조물을 형성한다.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의 각구조물은 쉘의 고정 및 회로기판의 설치, 회로기판에서의 신호측정 및 커미셔닝, 그리고 밸브 내부에서 누수의 경우 배수를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의 각구조물
본 발명은 전력계통의 여러 구성요소들의 영역, 특히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의 각구조물(殼 構造物, shell structure)에 관한 것이다.
고압 직류 컨버터 밸브에서,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의 성능은 극히 중요하다. 일부 직류 프로젝트에서는, 노출된 TE 플레이트(exposed TE plate)가 컨버터 밸브에 직접 설치된다. 비록 상기의 설치 방법이 편리하고 공간 절약이 이뤄지더라고, 얼룩방지 및 간섭방지 능력은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장기간 사용 후에는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컨버터 밸브의 다른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들은 다음 방식으로 설치될 것이다: 메인 트리거 회로 기판이 쉘에 패키징되고, 그리고 나서 상기 쉘은 밸브 층의 라디에이터에 나사결합 된다. 상기 트리거 유닛의 분리식 패널이 상기 쉘의 저부(bottom part)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 회로 기판은 상기 쉘의 내측면상에 고정된다. 실행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견된다.
첫째, 상기 메인 트리거 회로 기판이 상기 쉘의 내부에 고정되어질 때, 상기 쉘 바디(shell body)가 비교적 납작하고 앵커 스크루(고정나사, anchor screw)들이 상기 쉘의 측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쉘 상의 앵크 스크루와 상기 회로 기판상의 앵커 포인트(고정점)를 정렬하기 위해 손이 상기 쉘까지 뻗어 들어 가기가 어렵다.
둘째, 커미셔닝(commissioning, 설치작업) 중에, 기판상 신호(onboard signal)를 측정하기 위해 오실로스코프의 사용이 필요할 때에, 측정을 위해 비교적 좁은 저부면에서 쉘 내부로 프로브를 확장하는 것이 어렵다.
얼음 용융(ice-melting)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도 역시 입방체 구조이다. 그것은 저부 고정판과 상부 하우징을 포함한다. 메인 회로 기판은 정방형 고정판에 설치되고, 상기 입방체 상부 하우징은 상기 메인 회로 기판을 커버한다. 광섬유 및 케이블의 통로로 사용되는 여러 개의 구멍이 상기 상부 하우징에 형성된다. 상기 트리거 유닛은 상기 저부 고정판으로부터 뻗어나오는 작은 부분을 통하여 고정된다.
상기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의 그러한 각 구조물은 상기 쉘 내부에 회로 기판의 설치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하지만, 몇몇 불리한 점들이 있다:
첫째, 상기 저부 고정판이 비교적 넓고, 확장 또한 비교적 넓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설치 및 고정에 커다란 공간이 요구되고, 그리고 비교적 협소한 라디에이터가 비교적 소형의 밸브에 사용될 때에는 상기 쉘이 적용될 수 없다.
둘째, 광 섬유과 케이블이 상기 상부 하우징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기 때문에, 상기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의 커미셔닝 중에 상기 상부 하우징이 제거될 필요가 있을 때에, 광 섬유 및 케이블은 또한 연결이 끊어져야 할 필요가 있고, 그 결과 상기 커미셔닝 이후에 다시 연결되어야 하고, 그리하여 상기 커미셔닝에 커다란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조를 갖고, 설치 및 고정에 공간이 크게 필요치 않으며, 커미셔닝을 용이하게 하고, 그리고 커다란 간섭 방지 능력을 갖는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의 각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 해결 방안들이 본 발명에서 사용된다.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의 각 구조물은 쉘 바디(shell body)와 측면판(side plate)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쉘 바디는 홀더 및 일체로 형성된 입방형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일체로 형성된 입방형 구조물은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입방체이고, 상기 입방체는 후방 패널, 좌측 패널, 우측 패널, 상부 패널 그리고 하부 패널을 포함하고, 개구면은 상기 입방체의 전방 개구부에 형성되며;
상기 홀더는 사각형의 고정판과 2개의 삼각형의 보강판(stiffener plates)을 포함하고, 상기 사각형의 고정판은 상기 입방체의 길이 측면 방향으로 상기 좌측 패널의 측면을 향해 확장되는 하부 패널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삼각형의 보강판들은 상기 사각형의 고정판과 상기 좌측 패널 사이에 고정되어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측면판은 상기 개구면과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개구면 상에 분리형으로 탑재되며, 상기 개구면을 밀봉하고 폐쇄된 육면 입방체 구조물을 형성한다.
게다가, 후방 패널에 트리거 회로 기판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구멍이 상기 후방 패널에 배치된다.
게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에 우연히 들어가는 물을 방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누수공(weep hole)이 상기 하부 패널 상에 형성된다.
게다가, 전력 케이블이 통과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력 케이블 구멍이 하부 패널에 형성된다. 메인 회로 기판은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력 케이블 구멍으로부터 확장되어 나온 여러 개의 케이블을 통해 밸브층에 있는 메인 회로에 연결된다.
게다가, 사이리스터 트리거 라인이 통과하기 위한 사이리스터 트리거 라인 구멍이 좌측 패널에 형성된다. 상기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은 상기 사이리스터 트리거 라인 구멍에서 확장되어 나온 트리거 라인을 통해 트리거 전기 임펄스를 사이리스터 게이트로 전송한다.
게다가, 트리거 광섬유와 피드백 광섬유가 통과하기 위한 2개의 광섬유 구멍이 우측 패널에 형성된다. 상기 2개의 광섬유 구멍 각각은 피드백 광섬유 인터페이스와 트리거 광섬유 인터페이스에 대응된다.
게다가, 적어도 하나의 고정간(fixing rod)이 상기 입방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간의 일단은 나사봉(threaded rod)이며, 타단은 내부 나사공을 갖고 있으며, 그리고 상기 나사봉은 후방 패널상에 나사공과 결합된다.
게다가. 적어도 하나의 설치(installation) 나사공이 상기 측면판(side plate)에 형성되고, 상기 측면판은 적어도 하나의 나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치 나사공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간을 통해 상기 개구면(open face)에 고정된다.
게다가, 밸브층에 있는 라디에이터에 상기 쉘 바디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fixing) 나사공이 상기 정방형의 고정판에 형성된다.
상기의 해결 방안들을 사용하므로써,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가 있다: 1. 쉘의 고정 및 회로기판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2. 회로기판에서 신호측정 및 커미셔닝이 용이해진다; 3. 밸브 내에서 누수가 생길 경우 배수가 용이해진다.
도 1은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의 각구조물에 대한 45도 각도의 개요도이며;
도 2는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의 측면도이다.
(실시예1)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의 각구조물은 쉘 바디와 측면판(side plate)(2)을 포함한다. 상기 쉘 바디는 홀더 및 일체로 형성된 입방체 구조물을 포함한다. 상기 일체로 형성된 입방체 구조물은 전면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입방체이다. 상기 입방체는 후방패널(7), 좌측패널(11), 우측패널(12), 상부패널(1) 및 하부패널(5)을 포함한다. 개구면이 상기 입방체의 전면 개구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더는 정방형 고정판(3)과 두 개의 삼각형의 보강판(4)을 포함한다. 상기 정방형 고정판(3)은 상기 입방체의 긴 측방으로 좌측패널(11)의 측면으로 확장되는 하부패널(5)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삼각형의 보강판(4)은 상기 정방형 고정판(3)과 상기 좌측패널(11) 사이에 고정되어 결합된다. 상기 측면판(2)은 상기 개구면과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개구면 상에 분리가능하게 탑재되어, 상기 개구면을 밀봉하고 폐쇄된 육면 입방체 구조물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해결 방안으로서, 트리거 회로기판을 후방패널(7)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공이 후방패널(7)에 배치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에 우연히 들어가는 물을 배출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누수공(weep hole)(9)이 상기 하부 패널(5) 상에 형성된다. 전력 케이블이 통과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력 케이블 구멍(10)이 상기 하부패널에 형성된다. 메인 회로 기판은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력 케이블 구멍으로부터 확장되어 나온 여러 개의 케이블을 통해 밸브층에 있는 메인 회로에 연결된다. 사이리스터 트리거 라인이 통과하기 위한 사이리스터 트리거 라인 구멍이 좌측 패널(11)에 형성된다. 상기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은 상기 사이리스터 트리거 라인 구멍에서 확장되어 나온 트리거 라인을 통해 트리거 전기 임펄스를 사이리스터 게이트로 전송한다. 트리거 광섬유와 피드백 광섬유가 통과하기 위한 2개의 광섬유 구멍(13)이 우측 패널(12)에 형성된다. 상기 2개의 광섬유 구멍 각각은 피드백 광섬유 인터페이스와 트리거 광섬유 인터페이스에 대응된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간(fixing rod)(8)이 상기 입방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간의 일단은 나사봉(threaded rod)이며, 타단은 내부 나사공을 갖고 있으며, 그리고 상기 나사봉은 후방 패널(7)상에 나사공(16)과 결합된다. 적어도 하나의 설치 나사공(14)이 상기 측면판(side plate)(2)에 형성되고, 상기 측면판(2)은 적어도 하나의 나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치 나사공(14)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간(8)을 통해 상기 개구면(open face)에 고정된다. 밸브층에 있는 라디에이터에 상기 쉘 바디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나사공(6)이 상기 정방형의 고정판(3)에 형성된다.
본 발명은 특별한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기술되어졌다. 분명하게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적절한 대치나 변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보다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Claims (9)

  1. 쉘 바디와 측면판을 포함하는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의 각구조물(殼構造物, shell structure)에 있어서,
    상기 쉘 바디는 홀더 및 일체로 형성된 입방체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일체로 형성된 입방체 구조물은 그 전면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입방체이며, 상기 입방체는 후방패널, 좌측패널, 우측패널, 상부패널 및 하부패널(5)을 포함하고, 개구면이 상기 입방체의 전방 개구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더는 정방형 고정판 및 두 개의 삼각형의 보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정방형 고정판은 상기 입방체의 긴 측방으로 상기 좌측패널의 측면으로 확장되는 하부패널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삼각형의 보강판은 상기 정방형 고정판과 상기 좌측패널 사이에 고정되어 결합되며;
    상기 측면판은 상기 개구면과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개구면 상에 분리가능하게 탑재되어, 상기 개구면을 밀봉하는,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의 각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패널상에 트리거 회로기판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공이 상기 후방패널에 형성되는,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의 각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에 우연히 들어가는 물을 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누수공이 상기 하부패널에 형성되는,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의 각구조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전력케이블이 통과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력케이블 구멍이 상기 하부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의 각구조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사이리스터 트리거 라인의 통과를 위한 사이리스터 트리거 라인 구멍이 상기 좌측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의 각구조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트리거 광섬유와 피드백 광섬유의 통과를 위한 두 개의 광섬유 구멍이 상기 우측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의 각구조물.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간이 상기 입방체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간의 일단은 나사봉이고, 그것의 타단은 내부 나사공을 갖고 있고, 상기 나사봉은 상기 후방패널상에 나사공과 결합되는,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의 각구조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설치 나사공이 상기 측면판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판은 적어도 하나의 나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치 나사공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간을 통하여 상기 개구면에 고정되는,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의 각구조물.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쉘 바디를 밸브층의 라디에이터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나사공이 상기 정방형 고정판에 형성되어 있는,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의 각구조물.

KR1020187004509A 2015-07-28 2016-07-13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의 각구조물 KR1019110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451692.6A CN105025671B (zh) 2015-07-28 2015-07-28 晶闸管触发单元的外壳结构
CN201510451692.6 2015-07-28
PCT/CN2016/089943 WO2017016391A1 (zh) 2015-07-28 2016-07-13 晶闸管触发单元的外壳结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248A true KR20180029248A (ko) 2018-03-20
KR101911076B1 KR101911076B1 (ko) 2018-10-24

Family

ID=54415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509A KR101911076B1 (ko) 2015-07-28 2016-07-13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의 각구조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37986B2 (ko)
JP (1) JP2018533224A (ko)
KR (1) KR101911076B1 (ko)
CN (1) CN105025671B (ko)
WO (1) WO20170163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25671B (zh) 2015-07-28 2016-09-28 南京南瑞继保电气有限公司 晶闸管触发单元的外壳结构
DE102020100360A1 (de) * 2020-01-09 2021-07-1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Gehäuseeinrichtung für eine Leistungselektronik eines Kraftfahrzeugs sowie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r Gehäuseeinrichtung für eine Leistungselektronik eines Kraftfahrzeugs
CN112078513A (zh) * 2020-09-29 2020-12-15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控制器固定装置及汽车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6198A (en) * 1982-08-31 1985-03-19 Eaton Corporation Trigger speed control switch
EP0108874B1 (en) * 1982-11-15 1987-11-25 Kabushiki Kaisha Toshiba Radiation-controllable thyristor
JPH0519990Y2 (ko) * 1987-05-07 1993-05-25
EP0356991B1 (en) * 1988-08-31 1995-01-11 Hitachi, Ltd. Inverter device
JP3406906B1 (ja) * 2001-12-18 2003-05-19 アライドテレシス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集線装置の取付方法、取付器具及び取付システム
JP4043883B2 (ja) * 2002-08-06 2008-02-0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US7746649B2 (en) * 2007-01-08 2010-06-29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Modular soft starter
EP2485253B1 (en) * 2009-09-29 2019-12-18 Kyocera Corporation Device housing package
CN101719719B (zh) * 2009-12-14 2013-02-06 中国电力科学研究院 一种晶闸管换流阀阀模块
CN201830591U (zh) * 2010-07-16 2011-05-11 中国电力科学研究院 一种电路板固定装置
DE102010034520A1 (de) * 2010-08-16 2012-02-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Ges.D. Staates Delaware) Träger für ein Steuergerät eines Kraftfahrzeuges, Steuergerät und Kraftfahrzeug
KR101265997B1 (ko) * 2012-09-18 2013-05-22 (주)월드이엔씨 컷아웃스위치 설치용 브래킷
CN103269169A (zh) * 2013-05-29 2013-08-28 北京四方继保自动化股份有限公司 晶闸管整流模块
CN203950808U (zh) * 2014-07-17 2014-11-19 温岭资发半导体有限公司 晶闸管
CN104158521A (zh) * 2014-08-08 2014-11-19 南京南瑞继保电气有限公司 一种紧凑型晶闸管触发保护单元
CN104219943B (zh) * 2014-09-17 2017-12-26 国家电网公司 一种大功率晶闸管装置高电位控制板用屏蔽盒
CN204168154U (zh) * 2014-09-28 2015-02-18 国家电网公司 一种高压直流换流阀的晶闸管监控触发单元的支承模块
CN105025671B (zh) * 2015-07-28 2016-09-28 南京南瑞继保电气有限公司 晶闸管触发单元的外壳结构
CN204887748U (zh) * 2015-07-28 2015-12-16 南京南瑞继保电气有限公司 晶闸管触发单元的外壳结构
JP6594717B2 (ja) * 2015-09-17 2019-10-23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防水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1076B1 (ko) 2018-10-24
WO2017016391A1 (zh) 2017-02-02
JP2018533224A (ja) 2018-11-08
US20180302993A1 (en) 2018-10-18
CN105025671B (zh) 2016-09-28
CN105025671A (zh) 2015-11-04
US10237986B2 (en) 2019-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076B1 (ko) 사이리스터 트리거 유닛의 각구조물
JP2018533224A5 (ko)
RU2013113457A (ru) Элемент теплозащитного экрана
CN208142751U (zh) 一种电缆桥架
CN211530486U (zh) 一种防盗系统用的防拆卸的电源稳压器
DE502005007263D1 (de) Montageteil für eine flüssigkeitsdichte Kabeldurchführung
CN212695499U (zh) 一种船载集成智能配电设备
CN214665540U (zh) 一种带有低温补偿的双温冷柜控制面板结构
CN204887748U (zh) 晶闸管触发单元的外壳结构
KR20180120956A (ko) 설치가 간편한 분전반
CN109116488B (zh) 一种光纤终端盒
CN210379821U (zh) 一种固定分隔式开关柜柜体
CN215421109U (zh) 一种防水防湿的电气仪表装置
CN210137124U (zh) 一种方便组装的配电箱外壳
CN220855139U (zh) 一种电气设备短路预警检测装置
CN217283658U (zh) 一种视觉检测设备用模块化控制柜
CN214255277U (zh) 一种安全性能好的船舶用配电盘
CN207458493U (zh) 一种密封性好的led显示屏箱体
CN219498637U (zh) 一种除湿机房用配电箱
CN208423306U (zh) 一种配电柜插座
CN211929817U (zh) 一种带有防漏电保护装置的接线盘
CN219477322U (zh) 一种电气柜用绝缘隔板
CN210723545U (zh) 一种具有防水功能的电子连接器
CN216929200U (zh) 一种具有分线功能的电源进线柜
CN211480581U (zh) 一种带有防漏电结构的电气自动化配电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