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8715A -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 - Google Patents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8715A
KR20180028715A KR1020160116381A KR20160116381A KR20180028715A KR 20180028715 A KR20180028715 A KR 20180028715A KR 1020160116381 A KR1020160116381 A KR 1020160116381A KR 20160116381 A KR20160116381 A KR 20160116381A KR 20180028715 A KR20180028715 A KR 20180028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ast
offici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1354B1 (ko
Inventor
박홍식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16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354B1/ko
Publication of KR20180028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3005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06F17/3001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3/00Indexing scheme for animation
    • G06T2213/08Animation software pac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은 얼굴 형상정보와 신체 형상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과거 실존인물의 공식 원형이미지가 학술적 고증이나 공적 합의의 과정을 거쳐 설정되고, 컴퓨터 그래픽 툴에 의해 3D 디지털 이미지로 과거 실존인물의 공식 원형이미지가 구현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함으로써, 과거 실존인물에 관한 문화컨텐츠/교육컨텐츠, 과거 실존인물을 활용한 문화컨텐츠/교육컨텐츠 등에서 공식 원형이미지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과거 실존인물에 대한 통일적이고 일관된 영상이미지 구현이 가능해지는 기준이 제공되면서 컨텐츠 제작자마다 달라지는 과거 실존인물의 영상이미지에 의한 혼란이나 컨텐츠 제작자가 과거 실존인물의 영상이미지를 자체적으로 구현해야 하는 어려움과 불편함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며, 공식 원형이미지를 기준으로 한 과거 실존인물의 각종 양태이미지와 동작 영상 등이 누적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함으로써 문화컨텐츠/교육컨텐츠의 질 향상이 도모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더불어 형상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과거 건축물이나 형상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과거 물품에 대한 공식 원형이미지도 학술적 고증이나 공적 합의의 과정을 거쳐 설정되고, 컴퓨터 그래픽 툴에 의해 3D 디지털 이미지로 공식 원형이미지가 구현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함으로써 과거 실존인물에서와 같은 각종 이점들이 향유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System for using official image of past object without shape information}
본 발명은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얼굴 형상정보와 신체 형상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과거 실존인물의 공식 원형이미지가 학술적 고증이나 공적 합의의 과정을 거쳐 설정되고, 컴퓨터 그래픽 툴에 의해 3D 디지털 이미지로 과거 실존인물의 공식 원형이미지가 구현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함으로써, 과거 실존인물에 관한 문화컨텐츠/교육컨텐츠, 과거 실존인물을 활용한 문화컨텐츠/교육컨텐츠 등에서 공식 원형이미지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과거 실존인물에 대한 통일적이고 일관된 영상이미지 구현이 가능해지는 기준이 제공되면서 컨텐츠 제작자마다 달라지는 과거 실존인물의 영상이미지에 의한 혼란이나 컨텐츠 제작자가 과거 실존인물의 영상이미지를 자체적으로 구현해야 하는 어려움과 불편함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며, 공식 원형이미지를 기준으로 한 과거 실존인물의 각종 양태이미지와 동작 영상 등이 누적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함으로써 문화컨텐츠/교육컨텐츠의 질 향상이 도모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더불어 형상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과거 건축물이나 형상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과거 물품에 대한 공식 원형이미지도 학술적 고증이나 공적 합의의 과정을 거쳐 설정되고, 컴퓨터 그래픽 툴에 의해 3D 디지털 이미지로 공식 원형이미지가 구현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함으로써 과거 실존인물에서와 같은 각종 이점들이 향유될 수 있도록 하며, 온라인 아카이빙용 상용서버에 의해 과거 실존인물/과거 건축물/과거 물품의 공식 원형이미지, 양태이미지, 동작 영상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업적으로도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유형의 각종 문화유물에 대한 복원이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으며, 문화유물 복원에 디지털 기술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유형의 문화유물에 대한 복원기술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42666호 "유형 문화재 복원 시스템" 등이 안출되어 있다.
한편 과거의 역사적 인물들 중에서 초상화 등이 전해지지 않아 얼굴 형상정보나 신체 형상정보를 알수 없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은 과거 실존인물의 영상이미지 구현은 각종 컨텐츠 제작자마다 달라져 해당 인물의 영상이미지에 통일성 및 일관성이 없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라 컨텐츠 수용자의 혼란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과거 실존인물과 관련된 컨텐츠의 제작자는 자체적으로 해당 인물의 영상이미지를 구현해야 함에 따라 어려움과 불편함이 많고 제작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42666호 "유형 문화재 복원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얼굴 형상정보와 신체 형상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과거 실존인물의 공식 원형이미지가 학술적 고증이나 공적 합의의 과정을 거쳐 설정되고, 컴퓨터 그래픽 툴에 의해 3D 디지털 이미지로 과거 실존인물의 공식 원형이미지가 구현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며, 과거 실존인물의 공식 원형이미지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되는 과거 실존인물의 양태이미지와 동작 영상도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함으로써, 과거 실존인물에 관한 문화컨텐츠/교육컨텐츠, 과거 실존인물을 활용한 문화컨텐츠/교육컨텐츠 등에서 공식 원형이미지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과거 실존인물에 대한 통일적이고 일관된 영상이미지 구현이 가능해지는 기준이 제공되면서 컨텐츠 제작자마다 달라지는 과거 실존인물의 영상이미지에 의한 혼란이나 컨텐츠 제작자가 과거 실존인물의 영상이미지를 자체적으로 구현해야 하는 어려움과 불편함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과거 실존인물과 관련한 문화컨텐츠/교육컨텐츠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산출되는 과거 실존인물의 각종 양태이미지와 동작 영상 등이 누적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함으로써 문화컨텐츠/교육컨텐츠의 질 향상이 도모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형상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과거 건축물이나 형상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과거 물품에 대한 공식 원형이미지도 학술적 고증이나 공적 합의의 과정을 거쳐 설정되고, 컴퓨터 그래픽 툴에 의해 3D 디지털 이미지로 공식 원형이미지가 구현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함으로써 과거 실존인물에서와 같은 각종 이점들이 향유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온라인 아카이빙용 상용서버에 의해 과거 실존인물/과거 건축물/과거 물품의 공식 원형이미지, 양태이미지, 동작 영상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업적으로도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얼굴 형상정보와 신체 형상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과거 실존인물, 형상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과거 건축물, 형상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과거 물품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대상체에 대한 공식 원형이미지가 입력되는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입력모듈(10)과; 입력된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가 디지털정보로 저장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는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저장DB(20)와; 이미지편집 프로그램(80b)에 의해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가 편집되면서 생성되는 대상체 양태이미지가 입력 및 저장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는 대상체 양태이미지 저장DB(30)와; 동작편집 프로그램(80c)에 의해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와 대상체 양태이미지가 편집되면서 생성되는 대상체 동작 영상이 입력 및 저장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는 대상체 동작 영상 저장DB(40)와;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저장DB(20), 대상체 양태이미지 저장DB(30), 대상체 동작 영상 저장DB(40)에 접속하여 대상체 관련정보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게 되되, 대상체 관련정보는 대상체 및 대상체에 연동되어 있는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대상체 양태이미지, 대상체 동작 영상을 포함하는 대상체 DB 검색모듈(50)과; 대상체 DB 검색모듈(50)에 의해 검색된 대상체 관련정보를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저장DB(20), 대상체 양태이미지 저장DB(30), 대상체 동작 영상 저장DB(40)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DB로부터 전송받는 사용자 단말기(60)를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기(60)로 전송된 대상체 관련정보에 포함되는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대상체 양태이미지, 대상체 동작 영상 군 중에서 어느 하나가 문화컨텐츠 및 교육컨텐츠에 활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은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가 컴퓨터 그래픽 툴(80a)을 통해 3D 디지털 이미지로 생성되는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생성모듈(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은 과거 실존인물의 행동특성 정보, 언어특성 정보, 반응특성 정보가 입력 및 저장되는 과거 실존인물 특성정보 DB(83)를 더 포함하고,
이미지편집 프로그램(80b)은,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저장DB(20)에 저장된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및 과거 실존인물 특성정보 DB(83)에 저장된 과거 실존인물의 행동특성 정보, 반응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체 양태이미지를 생성하여 대상체 양태이미지 저장DB(30)에 저장하게 되고,
동작편집 프로그램(80c)은,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저장DB(20)에 저장된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및 과거 실존인물 특성정보 DB(83)에 저장된 과거 실존인물의 행동특성 정보, 반응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체 동작 영상을 생성하여 대상체 동작 영상 저장DB(40)에 저장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에서 이미지편집 프로그램(80b)은 표정 특성 및 제스처 특성을 기준으로 하여 구분되는 다수 종류의 양태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양태이미지 생성알고리즘(811)이 라이브러리 형태로 설정 및 저장되어 있는 양태이미지 생성 라이브러리(81)를 포함하여, 선택된 양태이미지에 대응하는 양태이미지 생성알고리즘(811)을 양태이미지 생성 라이브러리(81)로부터 전달받아 활성화시키고, 양태이미지 생성알고리즘(811)은 해당 양태이미지를 생성시킬 과거 실존인물의 행동특성 정보, 반응특성 정보를 과거 실존인물 특성정보 DB(83)로부터 전달받아 과거 실존인물의 행동특성 정보, 반응특성 정보에 맞추어 해당 양태이미지를 생성시키게 되며, 동작편집 프로그램(80c)은 인물의 움직임을 종류별로 구분한 다수 종류의 동작을 생성하기 위한 동작 생성알고리즘(821)이 라이브러리 형태로 설정 및 저장되어 있는 동작 생성 라이브러리(82)를 포함하여, 선택된 동작에 대응하는 동작 생성알고리즘(821)을 동작 생성 라이브러리(82)로부터 전달받아 활성화시키고, 동작 생성알고리즘(821)은 해당 동작 영상을 생성시킬 과거 실존인물의 행동특성 정보, 반응특성 정보를 과거 실존인물 특성정보 DB(83)로부터 전달받아 과거 실존인물의 행동특성 정보, 반응특성 정보에 맞추어 해당 동작 영상을 생성시키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60)는, 문화컨텐츠 및 교육컨텐츠에 활용될 과거 실존인물을 대상체 DB 검색모듈(50)을 통해 검색하여 현재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과거 실존인물 공식 원형이미지, 과거 실존인물 양태이미지, 과거 실존인물 동작 영상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전송받게 되고, 사용자 단말기(60)에 설치되는 이미지편집 프로그램(80b)과 동작편집 프로그램(80c)을 통해 과거 실존인물이 활용될 문화컨텐츠 및 교육컨텐츠에 맞추어 전송받은 과거 실존인물 양태이미지, 과거 실존인물 동작 영상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게 되며, 이미지편집 프로그램(80b)과 동작편집 프로그램(80c)을 통한 편집으로 생성된 과거 실존인물 양태이미지와 과거 실존인물 동작 영상을 대상체 양태이미지 저장DB(30)와 대상체 동작 영상 저장DB(40)에 입력 및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은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저장DB(20), 대상체 양태이미지 저장DB(30), 대상체 동작 영상 저장DB(40)로부터 대상체 관련정보인 대상체 및 대상체에 연동되어 있는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대상체 양태이미지, 대상체 동작 영상을 전달받게 되고, 대상체 관련정보를 설정패턴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게 되며, 온라인 네트워크에 연결된 웹서버로 이루어지고, 공식이미지 활용 유료서비스를 위한 웹페이지를 생성시켜 대상체 관련정보의 안내, 검색, 선택, 유료 결재, 다운로드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아카이빙용 상용서버(90)를 더 포함하여, 대상체 관련정보에 포함되는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대상체 양태이미지, 대상체 동작 영상 군 중에서 어느 하나가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업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에 의하면, 과거 실존인물/과거 건축물/과거 물품(대상체)와 관련된 문화컨텐츠/교육컨텐츠 등에서 해당 대상체의 공식 원형이미지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고, 과거 실존인물에 대한 통일적이고 일관된 영상이미지 구현이 가능해지는 기준이 제공되므로, 컨텐츠 제작자마다 달라지는 과거 실존인물의 영상이미지에 의한 혼란이나 컨텐츠 제작자가 과거 실존인물의 영상이미지를 자체적으로 구현해야 하는 어려움과 불편함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에 의하면, 공식 원형이미지를 기준으로 한 과거 실존인물의 각종 양태이미지와 동작 영상 등이 누적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되므로, 문화컨텐츠/교육컨텐츠의 질 향상이 도모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에 의하면, 온라인 네트워크 상에 온라인 아카이빙용 상용서버가 구축되면서 과거 실존인물/과거 건축물/과거 물품의 공식 원형이미지, 양태이미지, 동작 영상에 대한 상업적 활용도 가능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에서 이미지편집 프로그램에 의해 과거 실존인물의 양태이미지가 생성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에서 동작편집 프로그램에 의해 과거 실존인물의 동작이 생성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에서 온라인 아카이빙용 상용서버가 온라인 네트워크 상에 구축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DB 검색시스템, 사용자 단말기, 컴퓨터 그래픽 툴, 이미지편집 프로그램, 동작편집 프로그램, 영상/이미지 편집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100)은 도 1에서와 같이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입력모듈(10),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저장DB(20), 대상체 양태이미지 저장DB(30), 대상체 동작 영상 저장DB(40), 대상체 DB 검색모듈(50), 사용자 단말기(6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입력모듈(10)은 얼굴 형상정보와 신체 형상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과거 실존인물, 형상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과거 건축물, 형상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과거 물품 등이 될 수 있는 대상체에 대한 공식 원형이미지가 입력되는 모듈이다. 이와 같은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입력모듈(10)은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저장DB(20)에 연결된 컴퓨터장치나 각종 스마트 기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는 학술적 고증이나 공적 합의의 과정을 거쳐 설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100)은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생성모듈(70)을 구비하여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가 컴퓨터 그래픽 툴(80a)에 의해 3D 디지털 이미지로 생성되도록 한다.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저장DB(20)는 입력된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가 디지털정보로 저장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는 DB이다.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는 메타정보(대상체 관련 메타정보,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관련 메타정보 등)와 연동되어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저장DB(20)에 저장되어 추후 대상체/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에 대한 검색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고, 대상체/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에 대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대상체 양태이미지 저장DB(30)는 이미지편집 프로그램(80b)에 의해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가 편집되면서 생성되는 대상체 양태이미지가 입력 및 저장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는 DB이고, 대상체 동작 영상 저장DB(40)는 동작편집 프로그램(80c)에 의해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와 대상체 양태이미지가 편집되면서 생성되는 대상체 동작 영상이 입력 및 저장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는 DB이다.
여기서 대상체 양태이미지와 대상체 동작 영상은 메타정보(대상체 관련 메타정보, 대상체 양태이미지 관련 메타정보 또는 대상체 동작 영상 관련 메타정보 등)와 연동되어 대상체 양태이미지 저장DB(30)와 대상체 동작 영상 저장DB(40)에 저장되어 추후 대상체/대상체 양태이미지 또는 대상체 동자 영상에 대한 검색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고, 대상체/대상체 양태이미지 또는 대상체 동작 영상에 대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100)은 과거 실존인물 특성정보 DB(83)도 구비하게 되는데, 과거 실존인물 특성정보 DB(83)는 과거 실존인물의 행동특성 정보, 언어특성 정보, 반응특성 정보가 입력 및 저장되는 DB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편집 프로그램(80b)은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저장DB(20)에 저장된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및 과거 실존인물 특성정보 DB(83)에 저장된 과거 실존인물의 행동특성 정보, 반응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체 양태이미지를 생성하여 대상체 양태이미지 저장DB(30)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편집 프로그램(80c)은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저장DB(20)에 저장된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및 과거 실존인물 특성정보 DB(83)에 저장된 과거 실존인물의 행동특성 정보, 반응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체 동작 영상을 생성하여 대상체 동작 영상 저장DB(40)에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편집 프로그램(80b)은 도 2에서와 같이 표정 특성 및 제스처 특성을 기준으로 하여 구분되는 다수 종류의 양태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양태이미지 생성알고리즘(811)이 라이브러리 형태로 설정 및 저장되어 있는 양태이미지 생성 라이브러리(81)를 포함하는데, 문화컨텐츠나 교육컨텐츠에서 활용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특정 종류의 선택된 양태이미지에 대응하는 양태이미지 생성알고리즘(811)을 양태이미지 생성 라이브러리(81)로부터 전달받아 활성화시키게 된다. 이때 양태이미지 생성알고리즘(811)은 해당 양태이미지를 생성시킬 과거 실존인물의 행동특성 정보, 반응특성 정보를 과거 실존인물 특성정보 DB(83)로부터 전달받아 과거 실존인물의 행동특성 정보, 반응특성 정보에 맞추어 해당 양태이미지를 생성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편집 프로그램(80c)은 도 3에서와 같이 인물의 움직임을 종류별로 구분한 다수 종류의 동작을 생성하기 위한 동작 생성알고리즘(821)이 라이브러리 형태로 설정 및 저장되어 있는 동작 생성 라이브러리(82)를 포함하는데, 문화컨텐츠나 교육컨텐츠에서 활용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특정 종류의 선택된 동작에 대응하는 동작 생성알고리즘(821)을 동작 생성 라이브러리(82)로부터 전달받아 활성화시키게 된다. 이때 동작 생성알고리즘(821)은 해당 동작 영상을 생성시킬 과거 실존인물의 행동특성 정보, 반응특성 정보를 과거 실존인물 특성정보 DB(83)로부터 전달받아 과거 실존인물의 행동특성 정보, 반응특성 정보에 맞추어 해당 동작 영상을 생성시키게 된다.
대상체 DB 검색모듈(50)은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저장DB(20), 대상체 양태이미지 저장DB(30), 대상체 동작 영상 저장DB(40)에 접속하여 대상체 관련정보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대상체 관련정보에는 대상체 및 대상체에 연동되어 있는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대상체 양태이미지, 대상체 동작 영상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대상체 DB 검색모듈(50)은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저장DB(20), 대상체 양태이미지 저장DB(30), 대상체 동작 영상 저장DB(40)에 연동되어 있는 검색서버로 온라인통신네트워크에서의 인터넷 웹페이지로 구현될 수도 있고, 근거리 통신네트워크에서의 검색페이지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60)는 대상체 DB 검색모듈(50)에 의해 검색된 대상체 관련정보를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저장DB(20), 대상체 양태이미지 저장DB(30), 대상체 동작 영상 저장DB(40) 등으로부터 전송받는 것으로,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60)는 컴퓨터장치, 스마트 폰, 스마트 기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60)로 전송된 대상체 관련정보에 포함되는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대상체 양태이미지, 대상체 동작 영상 등은 문화컨텐츠 및 교육컨텐츠에 활용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60)는 문화컨텐츠 및 교육컨텐츠에 활용될 과거 실존인물을 대상체 DB 검색모듈(50)을 통해 검색하여 현재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과거 실존인물 공식 원형이미지, 과거 실존인물 양태이미지, 과거 실존인물 동작 영상 등을 전송받게 되고, 사용자 단말기(60)에 설치될 수 있는 이미지편집 프로그램(80b)과 동작편집 프로그램(80c)을 통해 과거 실존인물이 활용될 문화컨텐츠 및 교육컨텐츠에 맞추어 전송받은 과거 실존인물 양태이미지, 과거 실존인물 동작 영상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편집된 과거 실존인물 양태이미지, 과거 실존인물 동작 영상이 문화컨텐츠 및 교육컨텐츠에 실제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60)는 이미지편집 프로그램(80b)과 동작편집 프로그램(80c)을 통한 편집으로 생성된 과거 실존인물 양태이미지와 과거 실존인물 동작 영상을 대상체 양태이미지 저장DB(30)와 대상체 동작 영상 저장DB(40)에 입력 및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100)은 도 4에서와 같이 온라인 아카이빙용 상용서버(90)를 온라인 네트워크 상에 구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온라인 아카이빙용 상용서버(90)에 의해 과거 실존인물, 과거 건축물, 과거 물품의 공식 원형이미지, 양태이미지, 동작 영상이 이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업적으로도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온라인 아카이빙용 상용서버(90)는 온라인 네트워크에 연결된 웹서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공식이미지 활용 유료서비스를 위한 웹페이지를 생성시켜 대상체 관련정보의 안내, 검색, 선택, 유료 결재, 다운로드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온라인 아카이빙용 상용서버(90)에 사용자 단말기(60)가 접속하여 웹브라우저를 통해 공식이미지 활용 유료서비스 제공 웹페이지에 접근하면서 대상체 관련정보의 안내, 검색, 선택, 유료 결재, 다운로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아카이빙용 상용서버(90)는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저장DB(20), 대상체 양태이미지 저장DB(30), 대상체 동작 영상 저장DB(40)와 온라인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대상체 관련정보인 대상체 및 대상체에 연동되어 있는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대상체 양태이미지, 대상체 동작 영상을 전달받게 되고, 대상체 관련정보를 설정패턴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100)은 얼굴 형상정보와 신체 형상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과거 실존인물의 공식 원형이미지가 학술적 고증이나 공적 합의의 과정을 거쳐 설정되고, 컴퓨터 그래픽 툴에 의해 3D 디지털 이미지로 과거 실존인물의 공식 원형이미지가 구현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며, 과거 실존인물의 공식 원형이미지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되는 과거 실존인물의 양태이미지와 동작 영상도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하므로, 과거 실존인물에 관한 문화컨텐츠/교육컨텐츠, 과거 실존인물을 활용한 문화컨텐츠/교육컨텐츠 등에서 공식 원형이미지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과거 실존인물에 대한 통일적이고 일관된 영상이미지 구현이 가능해지는 기준이 제공되면서 컨텐츠 제작자마다 달라지는 과거 실존인물의 영상이미지에 의한 혼란이나 컨텐츠 제작자가 과거 실존인물의 영상이미지를 자체적으로 구현해야 하는 어려움과 불편함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100)은 과거 실존인물과 관련한 문화컨텐츠/교육컨텐츠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산출되는 과거 실존인물의 각종 양태이미지와 동작 영상 등이 누적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하므로, 문화컨텐츠/교육컨텐츠의 질 향상이 도모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100)은 형상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과거 건축물이나 형상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과거 물품에 대한 공식 원형이미지도 학술적 고증이나 공적 합의의 과정을 거쳐 설정되고, 컴퓨터 그래픽 툴에 의해 3D 디지털 이미지로 공식 원형이미지가 구현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하므로, 과거 실존인물에서와 같은 각종 이점들이 향유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입력모듈
20 :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저장DB
30 : 대상체 양태이미지 저장DB
40 : 대상체 동작 영상 저장DB
50 : 대상체 DB 검색모듈
60 : 사용자 단말기
70 :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생성모듈
80a : 컴퓨터 그래픽 툴
80b : 이미지편집 프로그램
80c : 동작편집 프로그램
81 : 양태이미지 생성 라이브러리
811 : 양태이미지 생성알고리즘
82 : 동작 생성 라이브러리
821 : 동작 생성알고리즘
83 : 과거 실존인물 특성정보 DB
90 : 온라인 아카이빙용 상용서버
100 :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

Claims (6)

  1. 얼굴 형상정보와 신체 형상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과거 실존인물, 형상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과거 건축물, 형상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과거 물품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대상체에 대한 공식 원형이미지가 입력되는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입력모듈(10)과;
    입력된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가 디지털정보로 저장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는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저장DB(20)와;
    이미지편집 프로그램(80b)에 의해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가 편집되면서 생성되는 대상체 양태이미지가 입력 및 저장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는 대상체 양태이미지 저장DB(30)와;
    동작편집 프로그램(80c)에 의해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와 대상체 양태이미지가 편집되면서 생성되는 대상체 동작 영상이 입력 및 저장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는 대상체 동작 영상 저장DB(40)와;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저장DB(20), 대상체 양태이미지 저장DB(30), 대상체 동작 영상 저장DB(40)에 접속하여 대상체 관련정보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게 되되, 대상체 관련정보는 대상체 및 대상체에 연동되어 있는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대상체 양태이미지, 대상체 동작 영상을 포함하는 대상체 DB 검색모듈(50)과;
    대상체 DB 검색모듈(50)에 의해 검색된 대상체 관련정보를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저장DB(20), 대상체 양태이미지 저장DB(30), 대상체 동작 영상 저장DB(40)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DB로부터 전송받는 사용자 단말기(60)를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기(60)로 전송된 대상체 관련정보에 포함되는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대상체 양태이미지, 대상체 동작 영상 군 중에서 어느 하나가 문화컨텐츠 및 교육컨텐츠에 활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가 컴퓨터 그래픽 툴(80a)을 통해 3D 디지털 이미지로 생성되는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생성모듈(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과거 실존인물의 행동특성 정보, 언어특성 정보, 반응특성 정보가 입력 및 저장되는 과거 실존인물 특성정보 DB(83)를 더 포함하고,
    이미지편집 프로그램(80b)은,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저장DB(20)에 저장된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및 과거 실존인물 특성정보 DB(83)에 저장된 과거 실존인물의 행동특성 정보, 반응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체 양태이미지를 생성하여 대상체 양태이미지 저장DB(30)에 저장하게 되고,
    동작편집 프로그램(80c)은,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저장DB(20)에 저장된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및 과거 실존인물 특성정보 DB(83)에 저장된 과거 실존인물의 행동특성 정보, 반응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체 동작 영상을 생성하여 대상체 동작 영상 저장DB(40)에 저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이미지편집 프로그램(80b)은 표정 특성 및 제스처 특성을 기준으로 하여 구분되는 다수 종류의 양태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양태이미지 생성알고리즘(811)이 라이브러리 형태로 설정 및 저장되어 있는 양태이미지 생성 라이브러리(81)를 포함하여, 선택된 양태이미지에 대응하는 양태이미지 생성알고리즘(811)을 양태이미지 생성 라이브러리(81)로부터 전달받아 활성화시키고, 양태이미지 생성알고리즘(811)은 해당 양태이미지를 생성시킬 과거 실존인물의 행동특성 정보, 반응특성 정보를 과거 실존인물 특성정보 DB(83)로부터 전달받아 과거 실존인물의 행동특성 정보, 반응특성 정보에 맞추어 해당 양태이미지를 생성시키게 되며,
    동작편집 프로그램(80c)은 인물의 움직임을 종류별로 구분한 다수 종류의 동작을 생성하기 위한 동작 생성알고리즘(821)이 라이브러리 형태로 설정 및 저장되어 있는 동작 생성 라이브러리(82)를 포함하여, 선택된 동작에 대응하는 동작 생성알고리즘(821)을 동작 생성 라이브러리(82)로부터 전달받아 활성화시키고, 동작 생성알고리즘(821)은 해당 동작 영상을 생성시킬 과거 실존인물의 행동특성 정보, 반응특성 정보를 과거 실존인물 특성정보 DB(83)로부터 전달받아 과거 실존인물의 행동특성 정보, 반응특성 정보에 맞추어 해당 동작 영상을 생성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60)는,
    문화컨텐츠 및 교육컨텐츠에 활용될 과거 실존인물을 대상체 DB 검색모듈(50)을 통해 검색하여 현재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과거 실존인물 공식 원형이미지, 과거 실존인물 양태이미지, 과거 실존인물 동작 영상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전송받게 되고,
    사용자 단말기(60)에 설치되는 이미지편집 프로그램(80b)과 동작편집 프로그램(80c)을 통해 과거 실존인물이 활용될 문화컨텐츠 및 교육컨텐츠에 맞추어 전송받은 과거 실존인물 양태이미지, 과거 실존인물 동작 영상에 대한 편집을 수행하게 되며,
    이미지편집 프로그램(80b)과 동작편집 프로그램(80c)을 통한 편집으로 생성된 과거 실존인물 양태이미지와 과거 실존인물 동작 영상을 대상체 양태이미지 저장DB(30)와 대상체 동작 영상 저장DB(40)에 입력 및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저장DB(20), 대상체 양태이미지 저장DB(30), 대상체 동작 영상 저장DB(40)로부터 대상체 관련정보인 대상체 및 대상체에 연동되어 있는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대상체 양태이미지, 대상체 동작 영상을 전달받게 되고, 대상체 관련정보를 설정패턴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게 되며, 온라인 네트워크에 연결된 웹서버로 이루어지고, 공식이미지 활용 유료서비스를 위한 웹페이지를 생성시켜 대상체 관련정보의 안내, 검색, 선택, 유료 결재, 다운로드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아카이빙용 상용서버(90)를 더 포함하여,
    대상체 관련정보에 포함되는 대상체 공식 원형이미지, 대상체 양태이미지, 대상체 동작 영상 군 중에서 어느 하나가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업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
KR1020160116381A 2016-09-09 2016-09-09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 KR101851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381A KR101851354B1 (ko) 2016-09-09 2016-09-09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381A KR101851354B1 (ko) 2016-09-09 2016-09-09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715A true KR20180028715A (ko) 2018-03-19
KR101851354B1 KR101851354B1 (ko) 2018-04-23

Family

ID=61911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381A KR101851354B1 (ko) 2016-09-09 2016-09-09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3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1354B1 (ko) 201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9416B2 (en) Content creation tool
JP6013642B2 (ja) 体験コンテンツデータセットに関するキャンペーン最適化
KR101759415B1 (ko) 실제 세계 분석론 시각화
CN108961418A (zh) 一种基于虚拟三维空间的知识可视化界面系统和方法
CN109785687B (zh) 一种用于在线视频教学的数据处理方法、装置及系统
US201803493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virtual objects with electronic documents, and searching for a virtual object or an electronic document based on the association
US20190314985A1 (en) Mirror loss neural networks
KR20200097637A (ko) 시뮬레이션 모래상자 시스템
CN115857704A (zh) 一种基于元宇宙的展览系统、交互方法以及电子设备
CN114387400A (zh) 三维场景的显示方法、显示装置、电子设备和服务器
US20220300145A1 (en) Media content planning system
CN114116086A (zh) 一种页面编辑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Batch et al. Evaluating View Management for Situated Visualization in Web‐based Handheld AR
KR102184162B1 (ko) 반응형 웹툰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101851354B1 (ko) 형상정보 미존재 과거 대상체의 공식 이미지 활용시스템
JP2020107254A (ja) 画像検査装置、学習済みモデル生成装置、画像検査システム、画像検査用プログラム、学習済みモデル生成用プログラム、および学習済みモデル
KR102167588B1 (ko) 복수의 사용자 장치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 서비스 장치, 복수의 사용자 장치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Bakaoukas Virtual Reality Reconstruction Applications Standards for Maps, Artefacts, Archaeological Sites and Monuments
Zhang et al. An implementation of generic augmented reality in mobile devices
Xiao et al. Research and design of digital library based on virtual reality
Dos Santos et al. Using a multi-user desktop-based virtual reality system to recreate the São Miguel das Missões Ruins
CN114332433A (zh) 信息输出方法、装置、可读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20110107707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장치 및 그 방법
Król et al. Digital Heritage
WO20191050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virtual 3d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