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8672A - 뿔형 밀폐링을 적용한 파이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뿔형 밀폐링을 적용한 파이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8672A
KR20180028672A KR1020160116280A KR20160116280A KR20180028672A KR 20180028672 A KR20180028672 A KR 20180028672A KR 1020160116280 A KR1020160116280 A KR 1020160116280A KR 20160116280 A KR20160116280 A KR 20160116280A KR 20180028672 A KR20180028672 A KR 20180028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ring
pipe
connection pipe
horn
inser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광식
정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여울
주식회사 시안슈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여울, 주식회사 시안슈프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여울
Priority to KR1020160116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8672A/ko
Publication of KR20180028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6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16L17/03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의 상단부에 넓은 밀폐링삽입부와 좁은 접속관삽입부가 2단으로 형성된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접속관삽입부에 삽입되는 접속관과, 상기 연결관의 밀폐링삽입부에 안치되는 밀폐링, 연결관의 상단 외주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접속관을 밀폐링에 의해 연결관에 밀접하게 접착 고정시키는 조임캡을 포함하되, 상기 조임캡을 형성하는 억류상판의 밑면에는 결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밀폐링의 상단면에는 결착돌편을 형성하여 밀폐링을 뿔형 밀폐링으로 형성하며, 상기 조임캡의 결착홈에 뿔형 밀폐링의 결착돌편을 결속하여 주도록 된 뿔형 밀폐링을 적용한 파이프 연결장치이다.
본 발명은, 상기 밀폐링삽입부에 결합시킨 뿔형 밀폐링의 손망실을 방지하고, 접속관을 접속시킬 때에 뿔형 밀폐링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뒤틀리는 것과 같은 변형을 방지하여 접속관의 결속력 및 밀폐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으며, 조임캡과 밀폐링을 각각 성형할 때에는 결착홈과 결착돌편을 동시에 성형하여 별도의 성형 공정을 추가하지 않고 성형할 수 있고 제조원가 등도 거의 추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뿔형 밀폐링을 적용한 파이프 연결장치{A PIPEF CONN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뿔형 밀폐링을 적용한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단부의 내측에 넓은 밀폐링삽입부와 좁은 접속관삽입부가 2단으로 형성된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접속관삽입부에 삽입되는 접속관과, 상기 연결관의 밀폐링삽입부에 안치되는 밀폐링, 연결관의 상단 외주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접속관을 밀폐링에 의해 연결관에 밀접하게 접착 고정시키는 조임캡을 포함하되, 상기 조임캡을 형성하는 억류상판의 밑면에는 결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밀폐링의 상단면에는 결착돌편을 형성하여 밀폐링을 뿔형 밀폐링으로 형성하며, 상기 조임캡의 결착홈에 뿔형 밀폐링의 결착돌편을 결속하여 줌으로써, 상기 밀폐링삽입부에 결합시킨 뿔형 밀폐링의 손망실을 방지하고, 접속관을 접속시킬 때에 뿔형 밀폐링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뒤틀리는 것과 같은 변형을 방지하여 접속관의 결속력 및 밀폐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도록 된 뿔형 밀폐링을 적용한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개의 관을 연결할 경우 각 관의 말단을 용접이음하거나 별도로 제조된 파이프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연결한다.
종래의 파이프연결정치로서는 국내의 등록실용신안 제20-0419728호(파이프 연결구), 등록특허 제10-1266203호(환형요철을 갖는 파형패킹), 등록특허 제10-1273395호(관연결장치)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에서 등록실용신안 제20-0419728호(파이프 연결구)는, 분리된 양 파이프의 단부를 플랜지부재의 양측에서 삽입하되 플랜지부재의 양단에 형성된 밀폐링삽입부에 패킹을 결합한 상태에서 삽입하고, 상기 밀폐링삽입부의 외주에 형성된 나사부에는 각 파이프가 끼워지는 연결너트를 나사 결합하여 양측 파이프를 연결시키도록 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266203호(환형요철을 갖는 파형패킹)는, 환형요철 파형패킹의 밀봉 접촉부인 외주벽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동심원으로 형성된 다양한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환형요철파형을 잇도록 성형하여 연결구조물과 밀봉접촉을 하고, 내주벽면에 매끄러운 환형홈을 갖도록 성형하여 환형판 돌출물에 조립하여 고정하고, 또한 외주벽의 상측면에 외주벽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크라운형상의 일체형으로 연결되도록 성형하여서 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273395호(관 연결장치)는, 접속관 삽입부의 상부에 패킹부재 삽입부가 마련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접속관 삽입부에 삽입되는 접속관과; 상기 연결관의 패킹부재 삽입부와 나사결합되어 접속관을 연결관에 밀착 고정하는 조임캡과; 상기 연결관의 패킹부재 삽입부에 설치되어 연결관과 접속관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는 링형 패킹부재;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형성된 종래의 파이프(관) 연결장치(또는 파형패킹)는 밀폐링(또는 패킹)을 억류시키지 않고 자유상태로 유지하고 있으므로 이동 또는 운반 중에 손망실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체결작업 중에 뒤틀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불량하게 결합상태가 발생하여 결속력과 밀폐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된 뿔형 밀폐링을 적용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단부의 내측에 넓은 밀폐링삽입부와 좁은 접속관삽입부가 2단으로 형성된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접속관삽입부에 삽입되는 접속관과, 상기 연결관의 밀폐링삽입부에 안치되는 밀폐링과, 연결관의 상단 외주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접속관을 밀폐링에 의해 연결관에 밀접하게 접착 고정시키는 조임캡을 포함하되, 상기 조임캡을 형성하는 억류상판의 밑면에는 결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밀폐링의 상단면에는 결착돌편을 형성하여 밀폐링을 뿔형 밀폐링으로 형성하며, 상기 조임캡의 결착홈에 뿔형 밀폐링의 결착돌편을 결속하여서 된 뿔형 밀폐링을 적용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밀폐링삽입부에 결합시킨 뿔형 밀폐링의 손망실을 방지하고, 접속관을 접속시킬 때에 뿔형 밀폐링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뒤틀리는 것과 같은 변형을 방지하여 접속관의 결속력 및 밀폐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도록 된 뿔형 밀폐링을 적용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임캡을 성형할 때에는 결착홈을 동시에 성형하고, 밀폐링을 성형할 때에는 결착돌편을 동시에 성형하여, 별도의 성형 공정을 추가하지 않고 성형할 수 있고, 제조원가 등도 거의 추가되지 않도록 된 뿔형 밀폐링을 적용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상단부의 내측에 넓은 밀폐링삽입부와 좁은 접속관삽입부가 2단으로 형성된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접속관삽입부에 삽입되는 접속관과, 상기 연결관의 밀폐링삽입부에 안치되는 밀폐링과, 연결관의 상단 외주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접속관을 밀폐링에 의해 연결관에 밀접하게 접착 고정시키는 조임캡을 포함하는 파이프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임캡을 형성하는 억류상판의 밑면에는 결착홈을 형성한 것과;
상기 밀폐링의 상단면에는 결착돌편을 형성하여 밀폐링을 뿔형 밀폐링으로 형성한 것과;
상기 조임캡의 결착홈에 뿔형 밀폐링의 결착돌편을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뿔형밀폐링적용 파이프연결장치(1)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뿔형 밀폐링을 적용한 파이프 연결장치는, 상단부의 내측에 넓은 밀폐링삽입부와 좁은 접속관삽입부가 2단으로 형성된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접속관삽입부에 삽입되는 접속관과, 상기 연결관의 밀폐링삽입부에 안치되는 밀폐링, 연결관의 상단 외주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접속관을 밀폐링에 의해 연결관에 밀접하게 접착 고정시키는 조임캡을 포함하되, 상기 조임캡을 형성하는 억류상판의 밑면에는 결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밀폐링의 상단면에는 결착돌편을 형성하여 밀폐링을 뿔형 밀폐링으로 형성하며, 상기 조임캡의 결착홈에 뿔형 밀폐링의 결착돌편을 결속하여 주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밀폐링삽입부에 결합시킨 뿔형 밀폐링의 손망실을 방지하고, 접속관을 접속시킬 때에 뿔형 밀폐링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뒤틀리는 것과 같은 변형을 방지하여 접속관의 결속력 및 밀폐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으며, 조임캡과 밀폐링을 각각 성형할 때에는 결착홈과 결착돌편을 동시에 성형하여 별도의 성형 공정을 추가하지 않고 성형할 수 있고 제조원가 등도 거의 추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뿔형 밀폐링을 적용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뿔형 밀폐링을 적용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보인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뿔형 밀폐링을 적용한 파이프 연결장치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뿔형 밀폐링을 적용한 파이프 연결장치에 적용되는 뿔형 밀폐링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뿔형밀폐링적용 파이프연결장치(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뿔형밀폐링적용 파이프연결장치(1)를 보인 분해 사시도 및 분해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뿔형밀폐링적용 파이프연결장치(1)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단면도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뿔형밀폐링적용 파이프연결장치(1)에 적용되는 뿔형 밀폐링(400)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뿔형밀폐링적용 파이프연결장치(1)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뿔형밀폐링적용 파이프연결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100), 접속관(200), 조임캡(300), 뿔형 밀폐링(400)으로 크게 분할하여 형성하였다.
상기 연결관(100)은 상단부의 내측에 상대적으로 지름이 넓은 밀폐링삽입부(120)와 좁은 접속관삽입부(140)를 2단으로 형성하여 밀폐링삽입부(120)의 하단에 밀폐링안착홈(160)이 형성되도록 하였고, 상기 밀폐링삽입부(120)의 외주에는 통상의 나사부(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아니함)를 형성하였다.
상기 연결관(100)의 접속관삽입부(140)에는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조임캡(300)에 끼워져 삽입되는 접속관(200)의 단부를 결착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연결관(100)과 접속관(200)의 기술적 특성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구성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연결관(100)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는 조임캡(300)은, 하단이 개방된 캡의 형상으로 하되 억류상판(310)의 중앙부를 개방되게 형성하여 전술한 접속관(200)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였고, 내주연에는 연결관(100)의 나사부(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아니함)와 대응되게 나사부(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아니함)를 형성하였다.
특히 상기 조임캡(300)은 억류상판(310)의 밑면에 결착홈(320)을 형성하여 차후에 설명되는 뿔형 밀폐링(400)을 결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조임캡(300)의 결착홈(320)에 결착되고 연결관(100)의 밀폐링안착홈(160)에 안착되는 뿔형 밀폐링(400)은 밀폐링(410)의 상단에 결착돌편(420)을 일체로 형성(성형)하였는데, 결착돌편(420)은 밀폐링(410)과 동일한 재질(고무재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 등)로 형성하고 밀폐링(410)을 성형할 때에 동시에 성형하도록 하였다.
상기 밀접돌편(420)은 역삼각형 또는 역사다리꼴형으로 형성한 것을 들 수있다.
특히, 상기 뿔형 밀폐링(400)은 도 4a 내지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면(상단 주연부)에 결착돌편(420)이 형성된 밀폐링(410)의 밑면(하단 주연부)에는 대체로 역삼각형을 이루는 밀접돌편(430)을 일체로 형성하여, 조임캡(300)을 연결관(100)에 나사 결합하였을 때에 밀접돌편(430)이 밀폐링안착홈(160)에 밀접하게 및착(접착)되어 수밀도와 지지력을 더욱 강화(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밀접돌편(430)은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내향형밀접돌편(430-1)으로 형성하는 것,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외향형밀접돌편(430-1)으로 형성하는 것, 도 4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내향형밀접돌편(430-1)과 외향형밀접돌편(430-1)을 동시에 형성하는 양립형밀접돌편(430-3)으로 형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특히, 조임캡(300)을 형성하는 억류상판(310)의 밑면에 형성되는 결착홈(320)과 밀폐링(41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결착돌편(420)은, 사각형, 역삼각형, 역사다리꼴형, 원형, 역반원형 중에서 어느 하나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결착돌편(420)을 결착홈(320)에 용이하면서도 결실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뿔형밀폐링적용 파이프연결장치(1)의 결합상태(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뿔형밀폐링적용 파이프연결장치(1)는, 조입캡(300)의 결착홈(320)에 뿔형 밀폐링(400)의 결착돌편(420)을 억지끼움하여 결합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뿔형 밀폐링(400)의 결착돌편(420)을 조입캡(300)의 결착홈(320)에 억지끼움하여 결합시켜 줌으로써, 조입캡(300)을 휴대 또는 이동시킬 때에 뿔형 밀폐링(400)이 조임캡(300)에서 이탈(분리) 및 손망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뿔형 밀폐링(400)이 결합된 조임캡(300)에 접속관(200)을 삽입하고, 조임캡(300)에 삽입된 접속관(200)의 단부를 연결관(100)의 접속관삽입부(140)까지 삽입하여 준다.
접속관(200)의 단부를 연결관(100)의 접속관삽입부(140)까지 삽입시킨 상태에서 접속관(200)의 외측에 결합되어 있는 조임캡(300)을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100)의 상단에 나사 결합시켜 준다.
조임캡(300)을 연결관(100)의 상단에 나사 결합시켜 주면 조임캡(300)에 결합되어 있는 뿔형 밀폐링(400)이 밀폐링삽입부(120)를 삽입(유입)되어 밀폐링안착홈(160)까지 유입되며, 조임캡(300)을 연결관(100)에 더욱 강하게 나사 결합시키면 뿔형 밀폐링(400)을 형성하는 밀폐링(410)의 하단(밑면) 또는 밀접돌편{430: 내향형밀접돌편(430-1), 외향형밀접돌편(430-1), 양립형밀접돌편(430-3)}이 압착되면서 밀폐링안착홈(160)에 더욱 밀접하게 접속되고, 밀폐링(410)의 외면도 접속관(200)의 외면 및 밀폐링삽입부(120)의 내면과 더욱 밀착된다.
따라서 뿔형 밀폐링(400)에 의해 연결관(100)과 접속관(200) 및 조임캡(300)의 결합 및 밀폐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할 것이다.
1: 뿔형밀폐링적용 파이프연결장치 100 : 연결관
120 : 밀폐링삽입부 140 : 접속관 삽입부
200 : 접속관 300 : 조임캡
320: 결착홈 400 : 뿔형 밀폐링
410: 밀폐링 420: 결착돌편
430: 밀접돌편

Claims (5)

  1. 상단부의 내측에 넓은 밀폐링삽입부와 좁은 접속관삽입부가 2단으로 형성된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접속관삽입부에 삽입되는 접속관과, 상기 연결관의 밀폐링삽입부에 안치되는 밀폐링과, 연결관의 상단 외주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접속관을 밀폐링에 의해 연결관에 밀접하게 접착 고정시키는 조임캡을 포함하는 파이프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임캡을 형성하는 억류상판의 밑면에는 결착홈을 형성한 것과;
    상기 밀폐링의 상단면에는 결착돌편을 형성하여 밀폐링을 뿔형 밀폐링으로 형성한 것과;
    상기 조임캡의 결착홈에 뿔형 밀폐링의 결착돌편을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뿔형 밀폐링을 적용한 파이프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억류상판의 밑면에 형성되는 결착홈과 밀폐링의 상단면에형성되는 결착돌편은;
    사각형, 역삼각형, 역사다리꼴형, 원형, 역반원형 중에서 어느 하나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뿔형 밀폐링을 적용한 파이프 연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뿔형 밀폐링은;
    밀폐링의 밑면(하단 주연부)에 밀접돌편을 일체로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뿔형 밀폐링을 적용한 파이프 연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뿔형 밀폐링에 형성되는 밀접돌편은;
    역삼각형 또는 역사다리꼴형 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뿔형 밀폐링을 적용한 파이프 연결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뿔형 밀폐링에 형성되는 밀접돌편은;
    내향형밀접돌편, 외향형밀접돌편, 상기 내향형밀접돌편과 외향형밀접돌편을 동시에 형성하는 양립형밀접돌편 중에서 어느 하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뿔형 밀폐링을 적용한 파이프 연결장치.
KR1020160116280A 2016-09-09 2016-09-09 뿔형 밀폐링을 적용한 파이프 연결장치 KR201800286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280A KR20180028672A (ko) 2016-09-09 2016-09-09 뿔형 밀폐링을 적용한 파이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280A KR20180028672A (ko) 2016-09-09 2016-09-09 뿔형 밀폐링을 적용한 파이프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672A true KR20180028672A (ko) 2018-03-19

Family

ID=61911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280A KR20180028672A (ko) 2016-09-09 2016-09-09 뿔형 밀폐링을 적용한 파이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86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136B1 (ko) * 2020-07-02 2021-03-29 주식회사 지스 재사용이 가능한 고온용 핸드 락 피팅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136B1 (ko) * 2020-07-02 2021-03-29 주식회사 지스 재사용이 가능한 고온용 핸드 락 피팅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25246B (zh) 电缆压盖和封装传感器
CN104229343B (zh) 用于中型散装容器的排放口固定夹
EA015297B1 (ru) Соединения для труб
KR20100027369A (ko) 유체파이프의 분기지관 접속구조
KR20140003261U (ko) 주름파이프용 연결장치
KR20180028672A (ko) 뿔형 밀폐링을 적용한 파이프 연결장치
KR200482060Y1 (ko) Pb 파이프 연결 소켓 장치
KR20120006296A (ko) 소켓 일체형 합성수지 관의 연결구조
US20210062948A1 (en) Push To Connect Coupling
KR101179435B1 (ko) 분기관 접속 연결구
KR102100056B1 (ko) 배수용 본관에 지관을 연결하는 장치
KR20080033131A (ko) 분기관 연결구
KR20090008533A (ko) 파이프 연결관과 그 제조방법
CN103574201B (zh) 一种包胶卡圈组件
KR100836905B1 (ko) 하수관용 연결구
KR101003293B1 (ko) 내구성이 강화된 관 연결장치
KR200302163Y1 (ko) 이중수밀유지용 관
US9366368B2 (en) Pipe coupling
US20150137510A1 (en) Device for connecting a tap and/or external water source and water supply hose
KR20180076991A (ko) 기밀 보강 구조를 가지는 횡주관의 연결장치
KR200414288Y1 (ko) 유체이송관 분기용 내측와셔
KR20100003286U (ko) 합성수지관의 관이음구
KR200422531Y1 (ko) 유체이송관 분기용 내측와셔
KR100547610B1 (ko) 합성수지재 파이프 조인트
CN110159761A (zh) 一种密封连接法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