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8267A - 디지털 피킹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피킹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8267A
KR20180028267A KR1020160115745A KR20160115745A KR20180028267A KR 20180028267 A KR20180028267 A KR 20180028267A KR 1020160115745 A KR1020160115745 A KR 1020160115745A KR 20160115745 A KR20160115745 A KR 20160115745A KR 20180028267 A KR20180028267 A KR 20180028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gesture
peaking
output image
pi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의현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5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8267A/ko
Publication of KR20180028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9/00Indexing codes relating to order picking devices in General
    • B65G2209/04Indication loca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피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영상 출력기를 통해 피킹 정보를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피킹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피킹 시스템은 복수의 부품이 위치하는 랙(rack) 상의 각 부품별 일측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표시기, 상기 복수의 표시기에 피킹(picking) 출력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기, 작업자의 제스처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제스처 감지기, 및 작업 순서 정보를 기반으로 피킹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피킹 정보를 기반으로 피킹 출력 영상을 생성하며, 상기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작업 완료 여부를 확인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피킹 시스템 및 그 방법{DIGITAL PICKING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피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영상 출력기를 통해 피킹 정보를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피킹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킹 시스템은 생산 공정에서 사용되는 부품을 순서에 따라 피킹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때, 피킹(picking)은 보관된 부품을 선택하여 이송하도록 하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피킹 시스템은 작업의 효율성 및 정확성을 지원하기 위해 디지털 피킹 시스템이 개발되어 왔다.
디지털 피킹 시스템은 부품이 보관된 선반 즉, 랙(rack)의 일면에 부품 별로 피킹 단말기가 설치된다. 이러한 피킹 단말기에는 피킹 수량 및 피킹 유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피킹 단말기를 통해 피킹 작업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에는 부품이 증가할 때 마다 부품 별로 피킹 단말기가 필요했으며, 최초 설치 시 피킹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한 복잡한 배선공사가 필요하였다.
또한, 종래의 경우에는 피킹 선반을 확장하거나, 레이아웃이 변경된 경우에 별도의 설치가 필요하여 추가적으로 시스템 구축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영상 출력기를 통해 피킹 정보를 출력하는 디지털 피킹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제스처 감지기를 통해 작업자로부터 피킹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디지털 피킹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부품이 위치하는 랙(rack) 상의 각 부품별 일측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표시기; 상기 복수의 표시기에 피킹(picking) 출력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기; 작업자의 제스처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제스처 감지기; 및 작업 순서 정보를 기반으로 피킹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피킹 정보를 기반으로 피킹 출력 영상을 생성하며, 상기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작업 완료 여부를 확인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피킹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기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부품별 상기 패널의 각도에 기반으로 피킹 출력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피킹 시스템은 상기 패널의 일측에 구성되어 작업자의 제스처를 유도하기 위한 더미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스처 감지기는 상기 작업자가 상기 더미 버튼을 누르는 제스처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감지 신호를 제어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피킹 정보를 기반으로 부품 별로 필요 유무 정보 및 개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피킹 출력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요 유무 정보는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스처 감지기가 제스처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에 재시도 요청을 포함하는 피킹 출력 영상을 재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출력기는 빔 프로젝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스처 감지기는 키넥트 센서(kinect sensor)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작업 순서 정보를 기반으로 피킹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피킹 정보를 기반으로 피킹 출력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영상 출력기를 통해 피킹 출력 영상을 표시기에 출력하는 단계; 작업자의 제스처를 감지하여 생성한 감지 신호를 제스처 감지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작업 완료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기는 복수의 부품이 위치하는 랙 상의 각 부품별 일측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피킹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영상 출력기를 통해 피킹 정보를 출력하므로 별도의 피킹 단말기가 필요 없고, 피킹 선박을 확장하거나 레이아웃 변경할 경우 간단한 작업으로 가능하므로 시스템 구축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제스처 감지기를 통해 작업자로부터 피킹 완료 정보를 수신하므로 복잡한 배선 공사가 필요 없어 시스템 구축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피킹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피킹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랙, 표시기 및 더미 버튼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피킹 시스템을 나타낸 정면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피킹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킹 출력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피킹 시스템 및 그 방법의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실시 예들 중에서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에만 한정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 또는 통합, 또는 분리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피킹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피킹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피킹 시스템(100)은 작업 관리 장치(10)와 연결된다.
이때, 작업 관리 장치(10)는 디지털 피킹 시스템(100)을 관리 및 제어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관리 장치(10)는 출하 지시 시스템 및 기업 자원 관리 장치(enterprise resources planning: ERP) 등일 수 있다.
디지털 피킹 시스템(100)은 표시기(110), 영상 출력기(120), 더미 버튼(130), 제스처 감지기(140) 및 제어기(150)를 포함한다.
표시기(110)는 랙(50) 상에 설치된다. 즉, 표시기(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부품이 위치하는 랙(50) 상의 각 부품별 일측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이때, 부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상자(60)에 보관된다.
표시기(110)는 영상 출력기(120)에서 출력한 피킹 출력 영상을 표시한다. 이를 위해, 표시기(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15)을 포함한다.
패널(11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패널(115)은 작업자(30)의 키 및 선반 높이에 따라 상이하게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영상 출력기(120)는 피킹 출력 영상을 표시기(110)에 출력한다. 즉, 영상 출력기(120)는 제어기(150)의 제어에 따라 표시기(110)의 패널(115)로 피킹 출력 영상을 출력한다.
영상 출력기(120)는 제어기(15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와이파이(Wifi), 무선랜(Wireless LAN),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근거리 자기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지그비(ZigBee)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일 수 있다.
영상 출력기(120)는 랙(50)이 설치된 공간의 상부 구조물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영상 출력기(120)는 랙(50)이 설치된 공간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출력기(120)는 표시기(110)에 피킹 출력 영상을 출력할 수 있으면 그 종류는 무관한다. 예를 들어, 영상 출력기(120)는 빔 프로젝터일 수 있다.
더미 버튼(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50) 상의 각 부품별 일측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즉, 더미 버튼(130)은 작업자(30)로부터 작업 완료를 유도하기 위해 패널(115)의 일측에 구성된다.
제스처 감지기(140)는 작업자(30)의 제스처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 다시 말하면, 작업자(30)가 피킹 작업을 완료한 후 더미 버튼(130)을 누르면, 제스처 감지기(140)는 더미 버튼(130)을 누르는 제스처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스처 감지기(140)는 생성한 감지 신호를 제어기(150)에 제공한다.
제스처 감지기(140)는 제어기(15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와이파이(Wifi), 무선랜(Wireless LAN),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근거리 자기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지그비(ZigBee)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일 수 있다.
제스처 감지기(140)는 랙(50)과 이격되어 랙(50)의 전방 일측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제스처 감지기(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30)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랙(50)의 전방 중앙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스처 감지기(140)는 작업자(30)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으면 그 종류는 무관하다. 예를 들어, 제스처 감지기(140)는 키넥트 센서일 수 있다.
제어기(150)는 작업 순서 정보를 작업 관리 장치(10)로부터 수신하여 확인한다. 이때, 작업 순서 정보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순서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작업 순서 정보는 차량 종류, 제품 종류, 제품 순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작업 순서 정보를 기반으로 피킹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피킹 정보는 제품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부품에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피킹 정보는 제품에 포함되는 부품, 부품에 따른 개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영상 출력기(120)를 통해 표시기(110)로 표시하기 위해 피킹 정보를 기반으로 피킹 출력 영상을 생성한다.
제어기(150)는 제스처 감지기(140)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작업 완료 여부를 확인한다. 즉,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작업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정된 프로그램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방법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디지털 피킹 시스템(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피킹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킹 출력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기(150)는 작업 순서 정보를 확인한다(S610). 즉, 제어기(150)는 작업 관리 장치(10)로부터 작업 순서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한다.
제어기(150)는 작업 순서 정보를 기반으로 피킹 정보를 생성한다(S620). 다시 말하면, 제어기(150)는 작업 순서 정보에 포함된 차량 종류 및 제품 종류를 확인하고, 차량 종류 및 제품 종류를 이용하여 피킹 작업을 수행할 부품에 대한 피킹 정보를 생성한다.
제어기(150)는 피킹 정보를 기반으로 피킹 출력 영상을 생성한다(S630). 구체적으로, 제어기(150)는 피킹 정보를 기반으로 부품 별로 필요 유무 정보 및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피킹 출력 영상을 생성한다. 즉, 제어기(150)는 랙(50)에 설치된 부품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피킹 정보를 통해 확인한 부품의 표시기(110)에 출력되도록 피킹 출력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필요 유무 정보는 제품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부품의 필요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로,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킹 출력 영상은 도 7에 도시된 도면번호 700번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피킹 출력 영상(7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 부품 정보(710) 및 불필요 부품 정보(7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필요 부품 정보(710)는 초록색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개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불필요 부품 정보(730)는 빨강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50)는 패널(115)의 각도에 따라 피킹 출력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기(150)는 각도에 따라 표시할 영상이 변경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킹 출력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 출력기(120)는 피킹 출력 영상을 표시기(110)에 출력한다(S640). 즉, 영상 출력기(120)는 제어기(150)의 제어에 따라 피킹 출력 영상을 표시기(110)에 출력한다.
제어기(150)는 제스처 감지기(140)에서 작업자(30)의 제스처를 감지하는지를 확인한다(S650). 즉, 제스처 감지기(140)는 작업자(30)가 더미 버튼(130)을 누르는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기(150)는 제스처 감지기(140)에서 작업자(30)의 제스처를 감지하지 못하면 피킹 출력 영상을 재생성한다(S660). 다시 말하면, 제스처 감지기(140)는 제스처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기(150)로 오류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기(150)는 제스처 감지로부터 오류 신호를 수신한다. 오류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기(150)는 재시도 요청을 포함하는 피킹 출력 영상을 재생성한다. 이때, 재시도 요청은 작업자(30)에게 다시 하면 더미 버튼(130)을 누르라는 것을 알리기 위한 정보로서, 색을 통해 표시하거나, 깜박임을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기(150)는 제스처 감지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확인한다(S670).
제어기(150)는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작업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한다(S680). 즉, 제어기(150)는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작업자(30)가 누르는 더미 버튼(130)의 위치를 확인하고, 위치를 기반으로 부품을 확인하여 작업이 완료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제어기(150)는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피킹 정보에 포함된 모든 부품의 피킹이 완료됨을 확인하고, 최종적으로 작업이 완료되면 영상 출력기(120)를 제어하여 피킹 출력 영상의 출력을 중지한다.
한편, 제어기(150)는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작업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단계 S650으로 리턴하여 작업자(30)의 제스처를 감지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작업 관리 장치
50: 랙
60: 부품상자
100: 디지털 피킹 시스템
110: 표시기
115: 패널
120: 영상 출력기
130: 더미 버튼
140: 제스처 감지기
150: 제어기

Claims (15)

  1. 복수의 부품이 위치하는 랙(rack) 상의 각 부품별 일측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표시기;
    상기 복수의 표시기에 피킹(picking) 출력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기;
    작업자의 제스처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제스처 감지기; 및
    작업 순서 정보를 기반으로 피킹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피킹 정보를 기반으로 피킹 출력 영상을 생성하며, 상기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작업 완료 여부를 확인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디지털 피킹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피킹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부품별 상기 패널의 각도에 기반으로 피킹 출력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피킹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일측에 구성되어 작업자의 제스처를 유도하기 위한 더미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피킹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감지기는
    상기 작업자가 상기 더미 버튼을 누르는 제스처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감지 신호를 제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피킹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피킹 정보를 기반으로 부품 별로 필요 유무 정보 및 개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피킹 출력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피킹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요 유무 정보는 색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피킹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스처 감지기가 제스처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에 재시도 요청을 포함하는 피킹 출력 영상을 재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피킹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기는 빔 프로젝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피킹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감지기는 키넥트 센서(kinect sens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피킹 시스템.
  11. 작업 순서 정보를 기반으로 피킹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피킹 정보를 기반으로 피킹 출력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영상 출력기를 통해 피킹 출력 영상을 표시기에 출력하는 단계;
    작업자의 제스처를 감지하여 생성한 감지 신호를 제스처 감지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작업 완료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기는 복수의 부품이 위치하는 랙 상의 각 부품별 일측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피킹 시스템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킹 출력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강기 피킹 정보를 기반으로 부품 별로 필요 유무 정보 및 개수 정보 중 적어도 하는 피킹 출력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피킹 시스템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요 유무 정보는 부품의 필요 여부를 나타내는 색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피킹 시스템의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신호를 제스처 감지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스처 감지기에서 작업자의 제스처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에 재시도 요청을 포함하는 피킹 출력 영상을 재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피킹 시스템의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신호는
    작업자가 상기 표시기의 일측에 구성된 더미 버튼을 누르는 제스처를 감지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파킹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60115745A 2016-09-08 2016-09-08 디지털 피킹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282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745A KR20180028267A (ko) 2016-09-08 2016-09-08 디지털 피킹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745A KR20180028267A (ko) 2016-09-08 2016-09-08 디지털 피킹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267A true KR20180028267A (ko) 2018-03-16

Family

ID=61910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745A KR20180028267A (ko) 2016-09-08 2016-09-08 디지털 피킹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82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48725A4 (en) * 2019-03-28 2022-06-29 Dematic Corp. Touchless confirmation for pick and put system and method
KR20240029970A (ko) 2022-08-29 2024-03-07 구준호 인공지능과 실시간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피킹 검수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48725A4 (en) * 2019-03-28 2022-06-29 Dematic Corp. Touchless confirmation for pick and put system and method
KR20240029970A (ko) 2022-08-29 2024-03-07 구준호 인공지능과 실시간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피킹 검수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542930A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object height for overhead clearance detection
US9000885B2 (en) Portable interface device for controlling a machine
US9426656B2 (en) On-vehicle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50109262A1 (en) Terminal device, display device, calibration method and calibration program
GB2536593A (en) Interactive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of rail transportation vehicle debugging task information
WO2013051905A2 (ko) 위치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28267A (ko) 디지털 피킹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60313968A1 (en) Display system, display appararus and adjustment method
KR100954614B1 (ko) 트럭스케일 자동계량장치
JP2013205686A5 (ko)
JP3183675U (ja) 表示装置
CN114179571A (zh) 胎压传感器的定位方法、装置及车辆
JP6373680B2 (ja) 電子機器、セキュリティ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802987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nd aligning roof bolts
US9473636B2 (en) Method for optimizing customer support in the activation of access control devices or payment devices
CN112506383A (zh) 红外触控屏的控制方法、装置及红外触控屏
CN106843598B (zh) 实现产品展示投影控制的系统、方法及投影控制装置
JP2000242257A5 (ko)
KR20150068680A (ko) 스마트 주차 안내 단말기 및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주차 안내 방법
JP2006321590A (ja) ピッキング支援装置
US8274483B2 (en) Remote control signal-using device, remote control signal-using method, car navigation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KR101668805B1 (ko) 스마트보드의 디스플레이부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시스템
KR20180119344A (ko) 영역 감시 장치 및 이에 의한 영역 감시 방법
CN117321980A (zh) 卡车-平板电脑接口
KR101557976B1 (ko) 원격 주차 위치 확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