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8169A - 광결정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광결정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8169A
KR20180028169A KR1020160115510A KR20160115510A KR20180028169A KR 20180028169 A KR20180028169 A KR 20180028169A KR 1020160115510 A KR1020160115510 A KR 1020160115510A KR 20160115510 A KR20160115510 A KR 20160115510A KR 20180028169 A KR20180028169 A KR 20180028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nic crystal
polymer
crystal material
polymer domain
structur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2468B1 (ko
Inventor
박철민
강한솔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15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468B1/ko
Priority to US15/698,309 priority patent/US9933567B2/en
Publication of KR20180028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007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forming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multiplexer, demultiplex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02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materials engineered to provide properties not available in nature, e.g. metamaterials
    • G02B1/005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materials engineered to provide properties not available in nature, e.g. metamaterials made of photonic crystals or photonic band gap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33Core or cladding made from organic material, e.g. polymeric material
    • G02B6/02038Core or cladding made from organic material, e.g. polymeric material with core or cladding having graded refractive index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2Basic optical elements, e.g. light-guiding paths
    • G02B6/1225Basic optical elements, e.g. light-guiding paths comprising photonic band-gap structures or photonic latt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2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position or the direction of light beams, i.e. deflection
    • G02F1/31Digital deflection, i.e. optical switching
    • G02F1/313Digital deflection, i.e. optical switching in an optical waveguide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2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position or the direction of light beams, i.e. deflection
    • G02F1/31Digital deflection, i.e. optical switching
    • G02F1/313Digital deflection, i.e. optical switching in an optical waveguide structure
    • G02F1/3132Digital deflection, i.e. optical switching in an optical waveguide structure of directional coupl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20/00Nanooptics, e.g. quantum optics or photonic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2006/12035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32Photonic cryst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ptical Integrated Circuits (AREA)
  • Nano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결정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고분자 도메인 및 제 2 고분자 도메인을 포함하는 고분자 구조물층; 및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 상에 프린팅되고,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의 적어도 일부와 가역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의 팽윤도를 조절함으로써 소정 파장의 광을 반사시키도록 설계되는 광결정 물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광결정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Photonic crystal structure and a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결정(photonic crystal)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결정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고속 정보화 사회의 구현을 위하여 그 효율과 집적도 면에서 향상된 광전자 소자(photoelectronic device)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미시적인 공간에서 광자를 제어할 수 있는 광결정(photonic crystal)의 이용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광결정은 물질의 굴절률을 주기적으로 변화시켜 특정 파장 대역의 전자기파가 전달되지 않는 광밴드갭(photonic band gap)을 갖는 물질로서, 광 필터, 마이크로 레이저, 전기발광소자, 광기전소자, 광 스위치, 센서 등 다양한 광전자 소자에의 응용성을 가지고 있다.
광결정을 제작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리소그라피(lithography), 이온빔 에칭(ion beam etching)과 같은 나노 미세 가공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과 나머지 하나는 콜로이드 입자(colloidal particle)나 고분자 등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자기조립(self-assembly)을 이용하는 바텀-업(bottom-up) 방법이다.
그러나, 탑-다운 방식은 미세 가공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에 공정이 복잡하고, 고가의 광학 장비가 필요하며,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바텀-업 방식은 콜로이드 입자를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하나의 물질에 의하여 하나의 저지 대역(stop-band) 만을 나타낼 수 있는 한계가 있으므로, 다양한 광밴드갭을 갖는 광결정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하여는 매번 다른 콜로이드 용액 또는 고분자를 이용하여 광결정을 성장 또는 생성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광밴드갭을 표현할 수 있고, 가역성을 가지며, 빠른 반응 시간을 갖는 재기록(re-writable)이 가능한 광결정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이점을 갖는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구조체는, 제 1 고분자 도메인 및 제 2 고분자 도메인을 포함하는 고분자 구조물층; 및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의 적어도 일부와 가역적으로 결합되어 소정 파장의 광을 반사시키도록 설계되는 광결정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광결정 물질은 암모니윰 퍼설페이트, 소듐 퍼설페이트, 포타슘 퍼설페이트, 및 부틸 히드로퍼옥시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광결정 물질의 농도에 따라 상기 반사되는 소정 파장의 광이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은 폴리비닐피리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락티드, 및 폴리하이드록시스티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고분자 도메인은 폴리스티렌, 폴리사이클로헥실에틸렌, 및 폴리메틸스티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결정 물질이 포함되는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의 두께는 가역적 결합도에 따라 다양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광결정 물질이 포함되는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의 두께에 따라 반사되는 상기 소정 파장의 광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은 가시 광선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은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 및 상기 제 2 고분자 도메인이 교번하는 라미나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광결정 물질이 프린팅된 상기 광결정 구조체에 광결정 삭제 물질을 프린팅하여 상기 광결정 물질의 결합을 분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결정 삭제 물질은 브롬화수소, 염산, 및 요오도화수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 방법은, 기판 상에 제 1 고분자 도메인 및 제 2 고분자 도메인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들이 자기 조립하여 고분자 구조물층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 상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여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의 도메인을 조절하는 광결정 물질을 프린팅하는 단계; 및 상기 광결정 물질은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의 적어도 일부와 가역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으로부터 반사되는 소정 파장의 광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광결정 물질은 암모니윰 퍼설페이트, 소듐 퍼설페이트, 포타슘 퍼설페이트, 및 부틸 히드로퍼옥시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소자는, 제 1 고분자 도메인 및 제 2 고분자 도메인을 포함하는 고분자 구조물층; 및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의 적어도 일부와 가역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의 팽윤도를 조절함으로써 소정 파장의 광을 반사시키도록 설계되는 광결정 물질을 포함하는 광결정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2 이상의 고분자 도메인을 포함하는 고분자 구조물층에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 도메인의 일부와 가역적으로 결합 또는 결합된 광결정 물질의 분해가 가능한 광결정 물질 또는 광결정 삭제 물질을 프린팅함으로써, 소정 파장의 광을 반사 시킬 수 있고 재기록이 가능한 광결정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분자 구조물층에 프린팅되는 광결정 물질의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적어도 일부의 고분자 도메인과 결합도에 따라 다양한 광밴드갭을 표현할 수 있는 광결정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구조체 중 고분자 구조물층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광결정 물질의 처리 방법의 일예인잉크젯 프린팅 방식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구조체의 가역적인 반사되는 소정 파장의 결정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구조체의 이온 교환도를 관찰하기 위한 분자 역동(molecular dynamics)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구조물층에 포함된 화합물을 관찰하기 위한 적외선 흡수분광법(FT-IR), 구면수차보정 주사투과전자현미경(Cs-corrected STEM), 에너지 분산 X선 분석(EDX) 및 X선 광전자 분광법(XPS)의 그래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광결정 물질의 농도에 따른 광결정 구조체의 광 밴드?W을 측정하기 위한 US-vis 분광 광도계 실험 결과 및 상기 광결정 구조체에 의하여 표현된 색상 이미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8은 동일 농도의 광결정 물질을 고분자 구조물층에 프린팅 한 후, 광결정 구조체의 최대 반사 파장 값을 프린팅 이후 용매에 노출된 시간에 따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9a 내지 도 9f는 본 발명의 광결정 구조체를 일반적인 잉크젯 프린터에 적용하여 신속하게 정확하게 풀 컬러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법 및 상기 풀 컬러 이미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구조체의 쓰기-삭제 기능을 측정한 결과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은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되는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층 또는 다른 층 "상에(on)" 형성된 층에 대한 언급은 상기 층 또는 다른 층의 바로 위에 형성된 층을 지칭하거나, 상기 층 또는 다른 층 상에 형성된 중간 층 또는 중간 층들 상에 형성된 층을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들에게 있어서, 다른 형상에 "인접하여(adjacent)" 배치된 구조 또는 형상은 상기 인접하는 형상에 중첩되거나 하부에 배치되는 부분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아래로(below)", "위로(above)", "상부의(upper)", "하부의(lower)", "수평의(horizontal)" 또는 "수직의(vertical)"와 같은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 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구성 부재, 층 또는 영역들이 다른 구성 부재, 층 또는 영역과 갖는 관계를 기술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용어들은 도면들에 표시된 방향 뿐 아니라 소자의 다른 방향들도 포괄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및 중간 구조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부재들의 크기와 형상은 설명의 편의와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 구현시,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도면의 부재들의 참조 부호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구조체 중 고분자 구조물층의 단면도 및 광결정 물질의 프린팅 방식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고분자 구조물층(100)은 서로 다른 고분자 물질들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block copolymer: BCP)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고분자 도메인(20)과 제 2 고분자 도메인(10)이 교대로 반복되는 구조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 일 수 있고,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20)과 상기 제 2 고분자 도메인(10)은 각각 친수성 고분자와 소수성 고분자로 우세하게 점유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은,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polystyrene)-폴리비닐피리딘(poly(vinylpyridine)) 공중합체,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공중합체, 폴리스티렌-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poly(tert-butylacrylate) 공중합체, 폴리아이소프렌(polyisoprene)-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oxide)) 공중합체, 폴리스티렌-폴리락티드(polylactide) 공중합체, 폴리사이클로헥실에틸렌(poly(cyclohexylethylene))-폴리락티드 공중합체, 또는 폴리메틸스티렌(polymethylstyrene)-폴리하이드록시스티렌(polyhydroxystyrene) 공중합체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비닐피리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락티드, 및 폴리하이드록시스티렌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친수성 고분자가 우세한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에 포함될 수 있고, 폴리스티렌, 폴리아이소프렌, 폴리사이클로헥실에틸렌, 및 폴리메틸스티렌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소수성 고분자가 우세한 상기 제 2 고분자 도메인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구조체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젯 프린팅 장치(1000)와 같은 프린팅 장치에서 이용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잉크젯 프린팅 장치(1000)는 이미지를 출력하고자 하는 이미지 출력층으로서 고분자 구조물층(100)을 사용하고, 소정의 위치에 소정의 발광 파장을 결정하기 위한 광결정 물질(200)을 잉크젯 프린팅 장치(1000)의 노즐을 이용하여 고분자 구조물층(100)의 원하는 위치에 프린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100)은 기판과 일체화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별도의 기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린팅된 광결정 물질은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에 흡수되어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의 일부와 결합 반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 반응으로 인하여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파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광결정 물질은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 중 일부 고분자 도메인에서만 결합 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결정 물질은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과만 결합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반응은 가교 반응, 공유 결합, 이온 결합 또는 수소 결합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교 반응(cross-link) 또는 공유결합 일 수 있다. 상기 광결정 물질은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의 고분자와 직접 결합할 수도 있고,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을 포함하는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에 용매가 추가되어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의 팽윤(swelling)이 진행된 이후에 추가되어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과 결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구조체의 가역적인 반사되는 소정 파장의 결정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 1 고분자, 제 2 고분자 및 분산 용매를 함유한 블록 공중합체 용액을 준비하고, 상기 블록 공중합체 용액을 기판 상에 도포하여 자기 조립되는 블록 공중합체을 포함하는 고분자 구조물층을 필름 형태로서 형성할 수 있다(S10). 상기 제 1 고분자는 사차화(quarternize)된 결합기를 갖고 벤젠 고리 중 탄소가 수소 결합에 용이한 질소 원자로 치환된 피리딘(pyridine)을 갖는 고분자일 수 있고, 상기 제 2 고분자는 폴리스티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고분자는 쿼터나이즈드-폴리-2-비닐피리딘(quaternized 2vinyl pyridine : QP2VP)일 수 있고, 상기 제 2 고분자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 PS)일 수 있다.
상기 분산 용매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예를 들어, 헵탄, 톨루엔), 할로겐화 지방족, 방향족 탄화수소(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브로모벤젠), 에테르(예를 들어, 디에틸 에테르), 알코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산 용매는 벤젠, 에탄올, 또는 PGMEA(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산 용매 하에 혼합된 상기 제 1 고분자 및 상기 제 2 고분자는 기판 상에 코팅 또는 프린팅되어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형태로 고분자 구조물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코팅 또는 프린팅 방법은 스핀 코팅, 스프레이 코팅, 딥 코팅(dip coating), 스크린 프린팅, 잉크젯 프린팅, 진공여과, 함침 코팅, 도포 코팅, 드롭 캐스팅(drop casting), 또는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와 같은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제 1 고분자 및 상기 제 2 고분자에 포함된 상기 관능기에 의하여 결합하여 자기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자기 조립된 고분자 구조물층은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과 상기 제 2 고분자 도메인이 교대로 반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스티렌-폴리비닐피리딘 공중합체, 폴리스티렌-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스티렌-폴리(t-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아이소프렌-폴리(에틸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스티렌-폴리락티드 공중합체, 폴리사이클로헥실에틸렌-폴리락티드 공중합체, 또는 폴리메틸스티렌-폴리하이드록시스티렌 공중합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스티렌-쿼터나이즈드-폴리비닐피리딘 공중합체(PS-b-QP2VP)일 수 있다.
상기 제 1 고분자와 상기 제 2 고분자가 차례로 교번하며 적층되는 라미라 구조(laminar structure)의 블록 공중합체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후, 어닐링(annealing)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20). 상기 어닐링 단계는 열 어닐링(thermal annealing)법 또는 용매 어닐링(solvent annealing)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어닐링 과정에서 상기 혼합 용액 내의 상기 제 1 고분자와 상기 제 2 고분자의 반복 정렬 정도가 크게 향상되는 고분자 구조물층이 형성될 수 있다(S30).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 내의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 및 상기 제 2 고분자 도메인의 반복 정렬 구조는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 내에 함유된 상기 제 1 고분자와 상기 제 2 고분자의 부피 분율에 따라 라미나 구조, 실린더 구조 또는 구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 내에 상기 제 1 고분자 블록과 상기 제 2 고분자 블록이 서로 비슷한 부피 분율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 내의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과 상기 제 2 고분자 도메인이 라미나 구조로 반복 정렬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 상에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 중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여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의 반사 광의 파장을 변경시킬 수 있는 광결정 물질을 프린팅할 수 있다(S40). 상기 광결정 물질은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 중 어느 한 도메인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결정 물질은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의 사차화 반응된 2 이상의 결합기들과 동시에 또는 별도로 결합하여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 내의 상기 제 1 고분자들이 교차 결합(cross-link)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광결정 물질은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의 일부 결합기와 반응이 가능한 결합기를 갖는 물질이면 한정되지는 아니하나, 바람직하게는 암모늄 퍼설페이트(ammonium persulfate: APS)일 수 있다. 상기 광결정 물질은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의 일부 결합기와 반응 결합이 진행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의 사차화 반응된 일부 결합기와 반응하여 교차 결합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교차 결합이 형성된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은 상기 교차 결합이 형성되지 아니한 도메인의 경우에 비하여,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에 선택적 용매를 침지하여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의 적어도 일부 도메인을 팽윤시키는 경우, 상기 교차 결합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팽윤도가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교차 결합에 의한 팽윤도 조절로 인하여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파장이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교차 결합이 형성된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을 선택적 용매에 침지하여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 중 어느 하나의 도메인을 선택적으로 팽윤시킬 수 있다(S50). 이 때, 상기 선택적 용매가 친수성 용매인 경우에는 친수성 고분자 도메인인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이 선택적으로 팽윤(swelling)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친수성 용매는 물 또는 친수성 유기용매일 수 있으며, 상기 친수성 유기 용매는 알코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 내로 상기 친수성 용매를 선택적으로 침투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적절한 첨가제를 추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 내의 친수성 고분자가 폴리(2-비닐피리딘)인 경우, 할로알케인(haloalkane)과 같은 첨가제를 이용하여, 피리딘의 질소와 할로알케인 사이의 친핵성 치환반응을 통하여 피리딘을 피리디늄으로 사차화(quaternization) 시킴으로써, 상기 친수성 용매의 침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용매는 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할로알케인은 브로모에탄(bromoethane) 또는 요오드화 메틸일 수 있다. 상기 광결정 물질의 프린팅 단계(S40) 및 상기 선택적 용매에 의한 팽윤 단계(S50)는, 상기 팽윤 단계 이후에 상기 프린팅 단계를 수행하여도 무방하다.
이후, 상기 광결정 물질 및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교차 결합은 광결정 삭제 물질을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 상에 프린팅함으로써, 가역적으로 분해될 수 있다(S6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구조체는 상기 광결정 물질의 상기 교차 결합을 형성하였다가 상기 광결정 삭제 물질에 의하여 용이하게 상기 교차 결합을 분해하는 가역적인 반응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을 필름으로 이용하여 다양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광결정 삭제 물질은 브롬화수소, 염산, 요오드화수소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브롬화수소일 수 있다. 상기 광결정 삭제 물질은 프린팅시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 중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에 선택적으로 침투하여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 내에 형성된 상기 교차 결합을 분해하여 삭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교차 결합이 분해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에 의하여 반사되는 소정 파장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광결정 구조체는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 내에서 상기 광결정 물질에 의하여 상기 제 1 고분자 간의 교차 결합이 빠르게 형성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교차 결합은 상기 광결정 삭제 물질에 의하여 가역적으로 분해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구조체는 다양한 광을 생성하기 위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고분자 도메인(10) 및 제 2 고분자 도메인(20a)을 포함하는 고분자 구조물층은 θ1의 반사각을 갖는 파장의 빛을 반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을 친수성 용매에 침지시키는 경우,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이 팽윤되어(swelling)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의 사이즈(d1)이 증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은 증가된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의 사이즈(d1)에 따라, 반사되는 빛(반사각 θ2)이 결정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친수성 용매이 제거되는 경우, 가역적으로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은 용해되어(deswelling)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의 사이즈는 감소될 수 있다.
이후, 광결정 물질(APS)이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에 프린팅되면 상기 광결정 물질은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 내의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20b)에 선택적으로 흡수되어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의 적어도 일부의 상기 제 1 고분자들 사이에 교차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20b).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20b)은 상기 친수성 용매에 침지시,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상기 교차 결합에 의하여 교차 결합이 없는 고분자 구조물층의 제 1 고분자 도메인(20a)보다 상대적으로 더 적은 사이즈(d2)로 팽윤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광결정 물질에 의하여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 내에 교차 결합이 형성된 광결정 구조체는 반사각 θ3을 갖는 다른 파장의 빛을 반사할 수 있다.
상기 교차 결합이 형성된 광결정 구조체는 광결정 삭제 물질(HBr) 에 의하여 상기 교차 결합을 가역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상기 광결정 삭제 물질은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에 선택적으로 침투하여 상기 교차 결합을 분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교차 결합이 분해되는 경우, 친수성 용매에 침지된 광결정 구조체는 상기 교차 결합이 형성된 경우에 비하여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의 사이즈(d3)가 더 크게 팽윤될 수 있다.
이후, 다시 상기 광결정 물질을 프린팅하는 경우,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 내에 교차 결합은 재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팽윤되는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의 사이즈는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광결정 물질 및 상기 광결정 삭제 물질에 의한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 내의 교차 결합의 형성 및 분해는 가역적 반응일 수 있다. 반응으로 반복적으로 실시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광결정 구조체는 상기 광결정 물질의 농도에 따라 상기 교차 결합의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광결정 구조체로부터 반사되는 소정 파장의 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교차 결합의 가역적인 반응에 의하여 서로 다른 소정 파장의 광을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구조체의 이온 교환도를 관찰하기 위한 분자 역동(molecular dynamics)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에 상기 광결정 물질을 코팅 또는 프린팅 하기 이전에,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 내의 이온 교환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을 생성한다.
서로 다른 이온들 사이의 이온 교환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QP2VP+ㆍㆍBr- 및 NH4 +ㆍㆍSO3-O-OSO3-ㆍㆍNH4 + 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짝지어진 이온들이 존재하는 물과 에탄올의 1:1 혼합 용매에 대하여 시간에 따른 MD 시뮬레이션 결과를 측정하였다. 최초 0.5 ns 이내의 시간에서는 QP2VP+ㆍㆍBr- 및 NH4 +ㆍㆍSO3 - 중 QP2VP+ㆍㆍBr- 에 대한 농도가 더 높은 것으로 관찰되지만, 1.0 내지 1.5 ns 의 시간 범위에서는 QP2VP+ㆍㆍBr- 및 NH4 +ㆍㆍSO3 - 중 NH4 +ㆍㆍSO3 - 의 결합이 더 많이 발견됨을 알 수 있으며, 2.0 ns 이후에는 평형 상태(equilibration)을 이룸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 내의 QP2VP+ㆍㆍSO3-O-OSO3-ㆍㆍ QP2VP+ 사이의 교차 결합(crosslinking)은 광결정 물질이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 상에 프린팅되는 경우, 이온 교환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구조물층에 포함된 화합물을 관찰하기 위한 적외선 흡수분광법(FT-IR), 구면수차보정 주사투과전자현미경(Cs-corrected STEM), 에너지 분산 X선 분석(EDX) 및 X선 광전자 분광법(XPS)의 그래프이다.
먼저 도 6a는 도 4를 참조하여 형성된 브로모에탄올(BrEt) 처리된 고분자 구조물층(실시예 1),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 상에 광결정 물질(APS)을 프린팅한 광결정 구조체(실시예 2), 및 상기 광결정 구조체 형성 후 브롬화수소(HBr)를 처리한 광결정 구조체(실시예 3)의 적외선 흡수분광법(FT-IR) 결과 그래프이다. 이를 살펴보면, 실시예 1 보다 실시예 2 및 실시예 3 의 경우 약 1630 cm-1 에서 피크가 더 많이 관찰되었다. 이는, 브로모에탄올 처리된 고분자 구조물층인 실시예 1 에 비하여, 광결정 물질인 암모늄 설페이트를 처리한 실시예 2에서 사차화된 아민 그룹들이 크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퍼설페이트 이온이 사차화된 아민 주변에 우세하게 위치함을 의미한다.
또한, 브롬화수소(HBr)를 추가 처리한 실시예 3 에서 실시예 2에 비하여 약 1630 cm-1 에서의 흡광도가 더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이는 브롬 음이온과 반응하는 사차화된 아민 그룹들이 브롬화수소에 의하여 더 증가하기 때문이다.
도 6b 및 도 6c는 광결정 물질로 암모늄 설페이트(APS)를 고분자 구조물층에 프린팅하여 형성된 광결정 구조체의 SEM 단면 이미지 및 EDX 분석 결과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구조체는 제 1 고분자 도메인과 제 2 고분자 도메인이 교번하며 적층되는 라미라 구조가 광결정 물질의 프린팅 이후에도 지속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c를 참조하면, 광결정 구조체의 단면에서 황(S) 원소가 배치되는 위치와 질소(N) 원소가 배치되는 위치가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황 원소를 갖는 상기 광결정 물질이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에 우세하게 도핑됨을 나타낸다.
하기 표 1은 상기 광결정 물질을 처리한 후 제 1 고분자 도메인에 포함되는 원소들의 함량을 측정한 것이다.
구성원소 C N O S Br 합계
비율(%) 88.1 2.2 6.9 2.8 0.0 100.0
표 1을 참조하면, 상기 광결정 물질을 프린팅 한 후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에 포함되었던 브롬 원소의 함량이 거의 0 에 가까움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광결정 물질이 고분자 구조물층 상에 프린팅되면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 내에서 브롬에탄올로부터 상기 광결정 물질의 일예인 암모늄 설페이트로 거의 대부분 이온 교환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광결정 물질이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 내에 우선적으로 도핑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광결정 물질과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 사이에 교차 결합이 형성된 상기 광결정 구조체를 상부면부터 에칭하면서 X선 광전자 분광법으로 측정하여 도 6d에 도시하였다. 도 6d를 참조하면, 라미나 구조의 광결정 구조체는 에칭 시간에 따라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 및 상기 제 2 고분자 도메인이 노출되어 측정되며, 질소를 포함하는 N1s가 측정되는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이 노출되는 시간(약 400 및 1600 초)에 O1s 및 S2p가 측정되는 것으로 볼 때, 상기 광결정 물질인 암모늄 설페이트가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광결정 구조체는 다양한 광 밴드갭을 갖는 파장을 반사시킬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광결정 물질의 농도에 따른 광결정 구조체의 광 밴드갭을 측정하기 위한 US-vis 분광 광도계 실험 결과 및 상기 광결정 구조체에 의하여 표현된 색상 이미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광결정 물질을 프린팅하기 이전의 고분자 구조물층만으로 구성된 광결정 구조체(실시예 4)는 약 680 nm 에서 최대 반사 파장 값을 갖는다. 이후, 에탄올에 의하여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이 팽윤되어 도메인 사이즈가 팽윤전보다 약 5배 이상 증가할 수 있다. 상기 광결정 물질이 프린팅되어 교차 결합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팽윤은 상기 교차 결합이 형성되지 아니한 경우에 비하여 팽윤도가 작을 수 있으며, 도 7a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팽윤 정도가 증가할수록 최대 반사 파장값은 감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결정 물질의 농도에 따라 상기 광결정 구조체의 최대 반사 파장 값을 가시 광선 영역 내에서 제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광결정 물질의 농도가 0 인 경우 광결정 구조체의 최대 반사 파장은 약 30 nm 이며, 상기 광결정 물질의 농도가 1 wt%에 가까워질수록 약 350 nm에 수렴하여 파란색 영역의 가시 광선을 반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광결정 구조체는 상기 광결정 물질의 농도에 따라 다양한 가시 광선 영역의 색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풀 컬러 디스플레이의 광결정 구조체로서 적합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풀 컬러 디스플레이에서 광결정 구조체로서 이용되기 위해서는, 상기 광결정 물질에 의한 교차 결합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
도 8은 동일 농도의 광결정 물질을 고분자 구조물층에 프린팅 한 후, 광결정 구조체의 최대 반사 파장 값을 프린팅 이후 용매에 노출된 시간에 따라 측정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상기 광결정 물질의 농도는 0.03 wt%로 고정하였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린팅 직후 약 40 m 이었던 최대 반사 파장 값은 약 15초 이후에 약 120 nm 이상으로 급격히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광결정 구조체에 의한 정보 리딩은 광결정 물질의 쓰기(writing) 단계의 약 15초 이후부터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광결정 구조체가 풀 컬러를 표현하는 소자에서 이용되기 위해서는, 광결정 물질에 의한 교차 결합이 신속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색상을 표현하고자 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표현될 수 있어야 한다. 도 9a 내지 도 9f는 본 발명의 광결정 구조체를 일반적인 잉크젯 프린터에 적용하여 신속하게 정확하게 풀 컬러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법 및 상기 풀 컬러 이미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앞서 도 7a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광결정 구조체는 광결정 물질의 농도에 의하여 최대 반사 파장의 값이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인 잉크젯 프린터를 이용하여 상기 광결정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먼저 가시 광선 전 영역을 표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광결정 물질의 농도를 프로그래밍화 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프로그래밍에 의하여 파란색, 초록색, 빨간색 영역의 파장을 갖는 광을 반사할 수 있는, 즉, 광결정 물질의 농도가 높은 순서로 C1, C2, C3의 농도의 광결정 물질을 프린터의 노즐을 통하여 드랍하게 되면, 고분자 구조물층의 제 1 고분자 도메인이 광결정 물질이 많이 프린팅된 영역에서 교차 결합에 의하여 적게 팽윤되므로 C1, C2, C3의 농도로 광결정 물질이 프린팅된 영역에서는 파란색, 초록색, 빨간색의 광을 반사할 수 있게 된다.
도 9b를 참조하면, 종래의 잉크젯 프린터에서는 R, G, B 잉크의 상대적인 비율에 의하여 다양한 컬러들을 표현하지만, 본 발명의 광결정 구조체는 광결정 물질의 검정 및 흰색의 명암비(contrast ratio)에 의하여 다양한 컬러들을 표현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상기 광결정 물질의 농도가 높은 경우, 상기 광결정 물질이 프린팅되어 고분자 구조물층 내로 흡수되어 고분자 구조물층 내의 제 1 고분자 도메인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여 제 1 고분자 도메인 내의 교차 결합의 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광결정 구조체의 최대 반사 파장 값은 블루 쉬프트(blue-shift) 될 수 있고, 광결정 물질의 농도가 낮은 경우, 교차 결합의 수가 적기 때문에 광결정 구조체의 최대 반사 파장 값은 레드 쉬프트(red-shift) 될 수 있다.
도 9d 는 본 발명의 광결정 물질을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대하여 명암 대조비로 프로그래밍한 이미지를 나타내며, 도 9e는 도 9d와 같이 프로그래밍된 광결정 물질을 고분자 구조물층에 프린팅하여 풀 컬러로 표현된 광결정 구조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9d 및 도 9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광결정 물질의 농도와 광결정 구조체에서 표현되는 이미지 색상은 대응함을 알 수 있다.
도 9f는 일반적인 잉크젯 프린터의 해상도(왼쪽) 및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구조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터의 해상도(오른쪽)을 비교한 이미지이다. 일반적인 R, G, B 잉크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터는 약 57 ㎛의 해상도를 가지며, 상기 광결정 구조체를 이용한 경우에는 약 72 ㎛ 의 해상도를 가진다. 그러므로, 상기 광결정 구조체를 잉크젯 프린터를 이용하여 풀 컬러의 이미지를 프린팅하는 경우에도 일반적인 잉크를 이용하여 프린팅하는 경우와 크게 화질의 해상도에서 차이를 보이지 아니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구조체의 큰 장점 중 하나는 재기록 및 삭제가 가역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이다. 상기 광결정 구조체는 상기 광결정 물질 및 상기 광결정 삭제 물질에 의하여 제 1 고분자 도메인 내에 교차 결합의 생성 및 분해가 가역적으로 가능하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구조체의 쓰기-삭제 기능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10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광결정 물질이 프린팅되지 아니한 순수한 고분자 구조물층은 약 360 nm 에서 최대 반사 파장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비교예의 왼쪽 피크).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에 광결정 물질인 암모늄 퍼설페이트(APS) 1.67 wt% 를 프린팅하여 형성된 광결정 구조물층은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에 내에 교차 결합이 형성되므로, 팽윤도가 작아질 수 있다. 그러므로, 비교예의 광결정 물질이 프린팅되지 아니한 순수한 고분자 구조물층의 경우에 비하여 약간 레드-쉬프트 된 약 340 nm 에서 최대 반사 파장 값을 가질 수 있다(실시예 6). 이후, 상기 교차 결합이 형성된 광결정 구조물층에 브롬화수소(HBr)를 처리하는 경우, 상기 교차 결합이 분해되며 약 680 nm 에서 최대 반사 파장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비교예의 오른쪽 피크). 이와 같이, 브롬화수소와 같은 광결정 삭제 물질을 처리하여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 내에 교차 결합을 가역적으로 분해하여 최대 반사 파장의 값을 변경시킬 수 있다.
도 10b는 쓰기(write) 및 삭제(erase)의 반복시 광결정 구조체의 유지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광결정 물질 및 광결정 삭제 물질에 의한 고분자 구조물층 내의 교차 결합의 생성 및 분해가 10 번 이상 반복되는 경우에도 최대 반사 파장 값은 크게 영향을 받지 아니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잉크젯 프린터를 이용하여 표현되는 광결정 구조체에 의한 이미지는 광결정 삭제 물질에 의하여 쉽고 안정적으로 삭제되고, 광결정 물질에 의하여 새로운 이미지가 반복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쓰기 및 삭제를 반복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구조체를 이용한 이미지를 도 10c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롬화수소는 광결정 삭제 물질로 이용되어 고분자 구조물층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표현하는 필름층에 이미 기록된 이미지를 삭제할 수 있고, 암모늄 설페이트는 광결정 물질로 이용되어 고분자 구조물층에 원하는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결정 구조체는 가역적으로 디스플레이 가능한 광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광 필터, 마이크로 레이저, 전기발광소자, 광기전소자, 광 스위치, 및 센서와 같은 다양한 광전자 소자에의 응용성을 가지고 있으며, 반사형 디스플레이 소자에서 컬러 필터 뿐만 아니라, 전자책(e-book), 디지털 액자와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가역적으로 다양한 색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하고, 위조방지 태그(tag)에 이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21)

  1. 제 1 고분자 도메인 및 제 2 고분자 도메인을 포함하는 고분자 구조물층; 및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의 적어도 일부와 가역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의 팽윤도를 조절함으로써 소정 파장의 광을 반사시키도록 설계되는 광결정 물질을 포함하는 광결정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결정 물질은 암모니윰 퍼설페이트, 소듐 퍼설페이트, 포타슘 퍼설페이트, 및 부틸 히드로퍼옥시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결정 구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결정 물질의 농도에 따라 상기 반사되는 소정 파장의 광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결정 구조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은 폴리비닐피리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락티드, 및 폴리하이드록시스티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결정 구조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분자 도메인은 폴리스티렌, 폴리사이클로헥실에틸렌, 및 폴리메틸스티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결정 구조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결정 물질이 포함되는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의 두께는 가역적 결합도에 따라 다양한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결정 구조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결정 물질이 포함되는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의 두께에 따라 반사되는 상기 소정 파장의 광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결정 구조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가시 광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결정 구조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은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 및 상기 제 2 고분자 도메인이 교번하는 라미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결정 구조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결정 물질이 프린팅된 상기 광결정 구조체에 광결정 삭제 물질을 프린팅하여 상기 광결정 물질의 결합을 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결정 구조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결정 삭제 물질은 브롬화수소, 염산, 및 요오드화수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결정 구조체.
  12. 기판 상에 제 1 고분자 도메인 및 제 2 고분자 도메인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들이 자기 조립하여 고분자 구조물층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 상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여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의 도메인을 조절하는 광결정 물질을 프린팅하는 단계; 및
    상기 광결정 물질은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의 적어도 일부와 가역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으로부터 반사되는 소정 파장의 광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결정 물질은 암모니윰 퍼설페이트, 소듐 퍼설페이트, 포타슘 퍼설페이트, 및 부틸 히드로퍼옥시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결정 물질의 농도에 따라 상기 반사되는 소정 파장의 광이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은 폴리비닐피리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락티드, 및 폴리하이드록시스티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분자 도메인은 폴리스티렌, 폴리사이클로헥실에틸렌, 및 폴리메틸스티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결정 물질은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의 적어도 일부와 가역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결정 물질이 포함되는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의 두께는 가역적 결합도에 따라 다양한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결정 물질이 포함되는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의 두께에 따라 반사되는 상기 소정 파장의 광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결정 구조체의 제조 방법.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을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광결정 물질이 상기 고분자 구조물층의 일부와 결합된 구조를 분해하는 광결정 삭제 물질을 프린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결정 구조체.
  21. 제 1 고분자 도메인 및 제 2 고분자 도메인을 포함하는 고분자 구조물층; 및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의 적어도 일부와 가역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1 고분자 도메인의 팽윤도를 조절함으로써 소정 파장의 광을 반사시키도록 설계되는 광결정 물질을 포함하는 광결정 구조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KR1020160115510A 2016-09-08 2016-09-08 광결정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62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510A KR101862468B1 (ko) 2016-09-08 2016-09-08 광결정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US15/698,309 US9933567B2 (en) 2016-09-08 2017-09-07 Photonic crystal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510A KR101862468B1 (ko) 2016-09-08 2016-09-08 광결정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169A true KR20180028169A (ko) 2018-03-16
KR101862468B1 KR101862468B1 (ko) 2018-05-29

Family

ID=61280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510A KR101862468B1 (ko) 2016-09-08 2016-09-08 광결정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33567B2 (ko)
KR (1) KR101862468B1 (ko)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361A (ko) 2020-05-04 2020-05-22 김용원 발판보드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0307A (ko) 2020-05-06 2020-05-29 김용원 자전거와 리어 캐리어에 설치하는 발전장치들
KR20200060309A (ko) 2020-05-08 2020-05-29 김용원 헬스차량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0308A (ko) 2020-05-07 2020-05-29 김용원 수상보드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1324A (ko) 2020-05-11 2020-06-02 김용원 보트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2092A (ko) 2020-05-11 2020-06-03 김용원 수차와 공기 컴프레서를 이용한 공기 터빈구조 발전기와 바퀴구조 발전기를 합한 발전기
KR20200068614A (ko) 2020-05-26 2020-06-15 김용원 펠티어소자를 이용한 공기, 물 컨디션너 조절장치 내에 설치한 발전기
KR20200083393A (ko) 2020-06-16 2020-07-08 김용원 "공기 터빈구조 발전기"와 "바퀴구조를 합한 발전기"를 "발열소자를 이용한 발전기"와 적용 양방향 모터(양방향 프로펠러)를 양방향공기추진기(Propullor)와 결합 장착한 드론
KR20200088241A (ko) 2020-06-30 2020-07-22 김용원 역방향 모터(양방향 프로펠러)의 추진에 맞는 관성을 이기는 팬이 없는 양방향공기추진기(Propullor)를 장착한 드론
KR102147599B1 (ko) * 2019-04-11 2020-08-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광결정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108392A (ko) 2020-08-31 2020-09-18 김용원 전동 오토바이 모터의 정격에 맞는 오토바이바퀴에 회전자와 물받이 고정자 발전기를 설치한 오토바이에 모터가 장착된 항공기 공기추진기(Propulsor)와 장착한 드론의 프로퓰러(Propullor)를 장착하는 제조기술)
KR20210018367A (ko) 2021-01-26 2021-02-17 김용원 전동 오토바이에 설치한 모터가 장착된 항공기 공기추진기와 장착한 프로퓰러(Propullor)로 구성한 오토에어크라프트(Autoaircraft)
KR20210029730A (ko) 2021-02-22 2021-03-16 김용원 산사태에 대비, 대응하는 에어 레이어들 블록들이 형성된 거대장비들(에어 레이어들 블록들)
KR20210040852A (ko) 2021-03-24 2021-04-14 김용원 전동에어버스
KR20210043513A (ko) 2021-03-26 2021-04-21 김용원 전동에어버스에 설치하는 연기(분연), 재 포집장치
KR20210045369A (ko) 2021-03-31 2021-04-26 김용원 전기 에어 카
KR20210049046A (ko) 2021-04-13 2021-05-04 김용원 전기에어버스를 강풍, 태풍에 구조하는 보조날개와 보조출입문 장치
KR20210055643A (ko) 2021-04-27 2021-05-17 김용원 모터가 장착된 회전축에 다량의 회전자바퀴와 다량의 고정자바퀴발전기를 설치한 전동보드
KR20210072739A (ko) 2021-05-27 2021-06-17 김용원 의료용 전동보드
KR20210080293A (ko) 2021-06-11 2021-06-30 김용원 바퀴 사이 발전기 케이스
KR20220016234A (ko) 2022-01-14 2022-02-08 김용원 공기추진기(공기펌프와 공기터빈)를 장착한 3륜 자전거
KR20220038026A (ko) 2022-02-24 2022-03-25 김용원 4합 공기터빈 : 공기터빈 축에 1. 인너 팬들의 인너 실린더와 2. 아웃터 팬들의 아웃터 실린더와 3. 양쪽 1. 인너 실린더들과 2. 아웃터 실린더들의 사이에 아웃터 팬들에 덕트팬들과 덕트흡입구와 4 1. 인너 실린더들과 2. 아웃터 실린더들의 사이에 아웃터 팬들의 3. 덕트팬들에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외부 형틀
KR20220056159A (ko) 2022-04-04 2022-05-04 김용원 물탱크 내의 스팀집 슈퍼히터에 전력공급한 스팀공급으로 스팀터빈을 구동하는 것과 슈퍼히터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청소기에 발전기들을 설치하는 것과 공기터빈의 흡입구들의 공기필터들 설치와 펠티에소자를 이용한 냉온 공기배출과 얼음제조기 시스템
KR20220056835A (ko) 2022-04-18 2022-05-06 김용원 공기추진기(공기펌프와 여러 공기터빈들)들을 장착한 수상 자전거
KR20220076421A (ko) 2022-05-11 2022-06-08 김용원 공기추진기(공기펌프와 공기터빈들)들을 장착한 페달자전차
KR20220080053A (ko) 2022-05-27 2022-06-14 김용원 다중 에어 레이어 튜브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80563B (zh) * 2018-10-22 2019-12-21 國立中山大學 固態光子晶體之製備方法
CN110304636A (zh) * 2019-06-28 2019-10-08 上海交通大学 一种真空抽滤制备光子晶体厚膜的方法
TWI796944B (zh) * 2022-01-28 2023-03-21 國立中山大學 螢光增強基板及螢光檢測裝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9702B2 (en) 1999-02-26 2005-02-01 Robert W. Callahan Polymer matrix material
US7251386B1 (en) * 2004-01-14 2007-07-31 Luxtera, Inc Integrated photonic-electronic circuits and systems
US20080214687A1 (en) 2005-06-20 2008-09-04 Heinz-Joachim Muller Cross Linking Treatment of Polymer Membranes
US8110823B2 (en) * 2006-01-20 2012-02-0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III-V photonic integration on silicon
WO2011030950A1 (ko) * 2009-09-14 2011-03-1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광결정 및 그 제조방법
KR101631983B1 (ko) 2009-11-09 2016-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사형 컬러필터의 제조 방법
KR101623461B1 (ko) 2014-07-24 2016-05-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자 결정 소자, 상기 광자 결정 소자 제조 방법 및 상기 광자결정 소자를 포함하는 반사형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599B1 (ko) * 2019-04-11 2020-08-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광결정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56361A (ko) 2020-05-04 2020-05-22 김용원 발판보드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0307A (ko) 2020-05-06 2020-05-29 김용원 자전거와 리어 캐리어에 설치하는 발전장치들
KR20200060308A (ko) 2020-05-07 2020-05-29 김용원 수상보드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0309A (ko) 2020-05-08 2020-05-29 김용원 헬스차량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1324A (ko) 2020-05-11 2020-06-02 김용원 보트에 설치하는 발전기
KR20200062092A (ko) 2020-05-11 2020-06-03 김용원 수차와 공기 컴프레서를 이용한 공기 터빈구조 발전기와 바퀴구조 발전기를 합한 발전기
KR20200068614A (ko) 2020-05-26 2020-06-15 김용원 펠티어소자를 이용한 공기, 물 컨디션너 조절장치 내에 설치한 발전기
KR20200083393A (ko) 2020-06-16 2020-07-08 김용원 "공기 터빈구조 발전기"와 "바퀴구조를 합한 발전기"를 "발열소자를 이용한 발전기"와 적용 양방향 모터(양방향 프로펠러)를 양방향공기추진기(Propullor)와 결합 장착한 드론
KR20200088241A (ko) 2020-06-30 2020-07-22 김용원 역방향 모터(양방향 프로펠러)의 추진에 맞는 관성을 이기는 팬이 없는 양방향공기추진기(Propullor)를 장착한 드론
KR20200108392A (ko) 2020-08-31 2020-09-18 김용원 전동 오토바이 모터의 정격에 맞는 오토바이바퀴에 회전자와 물받이 고정자 발전기를 설치한 오토바이에 모터가 장착된 항공기 공기추진기(Propulsor)와 장착한 드론의 프로퓰러(Propullor)를 장착하는 제조기술)
KR20210018367A (ko) 2021-01-26 2021-02-17 김용원 전동 오토바이에 설치한 모터가 장착된 항공기 공기추진기와 장착한 프로퓰러(Propullor)로 구성한 오토에어크라프트(Autoaircraft)
KR20210029730A (ko) 2021-02-22 2021-03-16 김용원 산사태에 대비, 대응하는 에어 레이어들 블록들이 형성된 거대장비들(에어 레이어들 블록들)
KR20210040852A (ko) 2021-03-24 2021-04-14 김용원 전동에어버스
KR20210043513A (ko) 2021-03-26 2021-04-21 김용원 전동에어버스에 설치하는 연기(분연), 재 포집장치
KR20210045369A (ko) 2021-03-31 2021-04-26 김용원 전기 에어 카
KR20210049046A (ko) 2021-04-13 2021-05-04 김용원 전기에어버스를 강풍, 태풍에 구조하는 보조날개와 보조출입문 장치
KR20210055643A (ko) 2021-04-27 2021-05-17 김용원 모터가 장착된 회전축에 다량의 회전자바퀴와 다량의 고정자바퀴발전기를 설치한 전동보드
KR20210072739A (ko) 2021-05-27 2021-06-17 김용원 의료용 전동보드
KR20210080293A (ko) 2021-06-11 2021-06-30 김용원 바퀴 사이 발전기 케이스
KR20220016234A (ko) 2022-01-14 2022-02-08 김용원 공기추진기(공기펌프와 공기터빈)를 장착한 3륜 자전거
KR20220038026A (ko) 2022-02-24 2022-03-25 김용원 4합 공기터빈 : 공기터빈 축에 1. 인너 팬들의 인너 실린더와 2. 아웃터 팬들의 아웃터 실린더와 3. 양쪽 1. 인너 실린더들과 2. 아웃터 실린더들의 사이에 아웃터 팬들에 덕트팬들과 덕트흡입구와 4 1. 인너 실린더들과 2. 아웃터 실린더들의 사이에 아웃터 팬들의 3. 덕트팬들에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외부 형틀
KR20220056159A (ko) 2022-04-04 2022-05-04 김용원 물탱크 내의 스팀집 슈퍼히터에 전력공급한 스팀공급으로 스팀터빈을 구동하는 것과 슈퍼히터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청소기에 발전기들을 설치하는 것과 공기터빈의 흡입구들의 공기필터들 설치와 펠티에소자를 이용한 냉온 공기배출과 얼음제조기 시스템
KR20220056835A (ko) 2022-04-18 2022-05-06 김용원 공기추진기(공기펌프와 여러 공기터빈들)들을 장착한 수상 자전거
KR20220076421A (ko) 2022-05-11 2022-06-08 김용원 공기추진기(공기펌프와 공기터빈들)들을 장착한 페달자전차
KR20220080053A (ko) 2022-05-27 2022-06-14 김용원 다중 에어 레이어 튜브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33567B2 (en) 2018-04-03
US20180067258A1 (en) 2018-03-08
KR101862468B1 (ko) 201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468B1 (ko) 광결정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ang et al. 3D touchless multiorder reflection structural color sensing display
Sohn et al. Fabrication of the multilayered nanostructure of alternating polymers and gold nanoparticles with thin films of self-assembling diblock copolymers
EP2531566B1 (en) Photosensitive ink compositions and transparent conductor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104221098B (zh) 导电性部件的制造方法、导电性部件、使用了该导电性部件的触控面板
EP1828814B1 (de) Optische komponente aus einem anorganisch-organischen hybridmaterial zur herstellung von brechzahlgradientenschichten mit hoher lateraler auflösung, deren verwendung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60129847T2 (de) Optische geräte aus strahlungsvernetzten fluormischungen
CN104205244B (zh) 导电性组合物、导电性部件、导电性部件的制造方法、触摸屏和太阳能电池
EP1463963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optischer elemente mit gradientenstruktur
CN103424949A (zh) 电泳器件及其制造方法、电泳显示装置、和电子装置
KR102147599B1 (ko) 광결정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TW200839791A (en) A transparent electrical conducting film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Li et al. Direct patterning of colloidal nanocrystals via thermally activated ligand chemistry
WO2006015990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hotonischen kristalls, der aus einem material mit hohem brechungsindex besteht
KR20100013741A (ko) 졸-겔 법에 의한 스피로피란 함유 광변색 코팅막의제조방법
Chanda et al. One-dimensional diffractive optical element based fabrication and spectral characterization of three-dimensional photonic crystal templates
KR101192941B1 (ko)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광결정 및 그 제조방법
US7158709B2 (en) Three-dimensional periodic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Choi et al. Dual nanopatterns consisting of both nanodots and nanoholes on a single substrate
Jonsson et al. Artificially inscribed defects in opal photonic crystals
Arsenault et al. Tailoring photonic crystals with nanometer-scale precision using polyelectrolyte multilayers
Zhang et al. 3D holographic photonic crystals containing embedded functional features
Ran et al. Multicolor Electrochromic Display and Patterned Device Based on Hollow-SiO2-Supported WO3 Photonic Crystals
Mun et al. Reconfigurable dual-mode optical encryption enabled by block copolymer photonic crystal with micro-imprinted holographic metasurface
Shen et al. From 1D to 3D: a new route to fabricate tridimensional structures via photo-generation of silver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