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8121A - 물 부족 알림 꽃병 - Google Patents

물 부족 알림 꽃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8121A
KR20180028121A KR1020160115352A KR20160115352A KR20180028121A KR 20180028121 A KR20180028121 A KR 20180028121A KR 1020160115352 A KR1020160115352 A KR 1020160115352A KR 20160115352 A KR20160115352 A KR 20160115352A KR 20180028121 A KR20180028121 A KR 20180028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se
water
weight
water shortage
flow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아
Original Assignee
정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아 filed Critical 정진아
Priority to KR1020160115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8121A/ko
Publication of KR20180028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1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6Flower v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22Weight
    • A47G2200/223Weight indicator

Landscapes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부족 알림 꽃병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꽃병의 물에 잔량을 확인하기 어렵고 물의 고갈됨을 인식하는 것이 늦어져 이로 인하여 꽃이 시드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꽃을 꽂고 물을 담는 내부수납공간을 형성한 꽃병몸체, 상기 꽃병몸체의 상부에 꽃을 투입하는 홀을 형성한 병입구부, 상기 꽃병몸체의 하부에 꽃병의 무게중심의 이동에 따라 꽃병이 기울여지기 용이하게 일정한 곡률을 구비한 모서리를 구비한 저면부, 상기 꽃병몸체 하부에 꽃병에 주입한 수량의 변화에 따라 꽃병의 무게중심이 이동되게 하기 위해 몸체의 중심축에 편측으로 구비한 물부족알림웨이트로 구성한 물 부족 알림 꽃병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꽃병에 물의 고갈됨을 꽃병의 기울임을 통하여 직관적으로 인지하며, 이를 통해 제때에 물을 주입하여 꽃의 시듦을 방지하며, 물을 추가 주입함에 있어서 꽃병의 기울기에 따라서 물의 잔양을 확인하여 적당량의 물을 주입하게 하여 효율적인 물의 관리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꽃병에 변화되는 생동성을 가미하게 되어 꽃병에 대한 전시성이 증가와 관심도의 향상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물 부족 알림 꽃병{vase of water shortage alert}
본 발명은 물부족 알림 꽃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꽃병에 있어서,
꽃을 꽂고 물을 담는 내부수납공간을 형성한 꽃병몸체, 상기 꽃병몸체의 상부에 꽃을 투입하는 홀을 형성한 병입구부, 상기 꽃병몸체의 바닥면에 꽃병의 무게중심 이동에 따라 꽃병이 기울여지기 용이하게 곡률을 구비한 저면부, 상기 꽃병몸체 하부에 물이 고갈되면 꽃병이 기울리게 하기 위해 몸체의 중심축에 편측으로 구비한 물부족알림웨이트로 구성하여서, 꽃병을 내부에 물의 양이 감소됨에 따라 꽃병이 기울여져 직관적으로 물의 감소를 인지하고, 이를 통해 제때에 꽃병에 물을 주입하게 함으로서 물 부족으로 인한 꽃이 시듦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꽃병은 꽃을 꽂고 내부에 물을 담아 보관함으로서 관상 및 장식을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꽃병은 몸체, 내부수납공간, 병입구부, 수평받침으로 구성되어, 꽃병의 병입구부를 이용하여 내부수납공간에 꽃을 꽂고 그 안에 물을 담아 보관하며, 하부 수평받침을 통하여 쓰러지지 않게 수직으로 세워서 관상 및 장식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특히 꽃병에 주입된 물은 자연적인 증발과 꽃의 소모에 의하여 지속적로 감소한다. 이로 인하여 꽃병을 사용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고갈된 물을 제때에 인지하고 그에 따라 물을 주입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꽃병은 내부에 있는 물의 잔량을 확인하기 어렵고 이로 인하여 물이 고갈되어도 이를 인지하지 못하여 꽃이 시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꽃병에 물을 주입함에 있어서 꽃병에 들어가는 물의 양이 갸름하기 어려웠고 이로 인해 물을 과하게 주입하거나 부족하게 주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먼저, 과한 물의 주입은 물이 꽃병에 고여 있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물의 오염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꽃의 줄기를 괴사시키고 수관을 막아서 꽃의 색감을 떨어뜨리며 나아가 꽃을 죽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족한 물의 주입은 꽃병에 고여 있는 물의 양이 적어 물이 고갈이 빨리 이루어지며, 적은 물로 인하여 꽃병의 무게가 가벼워져서 꽃 자체의 중량에 의해 꽃병이 자주 쓰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꽃병의 경우에는 고갈된 물의 주입에 있어서 병입구부에 꽃이 끼워진 상태에서 물을 보충하는 경우 끼워진 꽃으로 인해 물을 주입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고, 그에 따라 물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물을 외부로 흘리게 되며, 또한 꽃을 병입구부에서 빼낸 후 물을 주입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04779860000 호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꽃병이 물의 잔량을 확인하기 어렵고 이로인해 물의 고갈을 인지하기 못하여 꽃이 시드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꽃을 꽂고 물을 담는 내부수납공간을 형성한 꽃병몸체, 상기 꽃병몸체의 상부에 꽃을 투입하는 홀을 형성한 병입구부, 상기 꽃병몸체의 바닥면에 꽃병의 무게중심의 이동에 따라 꽃병이 기울여지기 용이하게 일정한 곡률을 구비한 저면부, 상기 꽃병몸체 하부에 물이 고갈되면 꽃병이 기울리게 하기 위해 몸체의 중심축에 편측으로 구비한 물부족알림웨이트로 구성하며,
또한, 상기 물부족알림웨이트는 웨이트 내부에 물과 같은 액체를 주입하여 웨이트의 무게를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웨이트조절공간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꽃병몸체의 상부에 꽃병의 물의 고갈시 추가적인 물을 주입하기 용이하도록 꽃병몸체에서 내부수납공간까지 관통된 구멍을 상기 기울림고정면에 수직되게 형성한 추가물주입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꽃을 꽂고 물을 담는 내부수납공간을 형성한 꽃병몸체, 상기 꽃병몸체의 상부에 꽃을 투입하는 홀을 형성한 병입구부, 상기 꽃병몸체의 바닥면에 꽃병의 무게중심의 이동에 따라 꽃병이 기울여지기 용이하게 일정한 곡률을 구비한 저면부, 상기 꽃병몸체 하부에 물이 고갈되면 꽃병이 기울리게 하기 위해 몸체의 중심축에 편측으로 구비한 물부족알림웨이트로 구성함으로써, 꽃병에 물의 고갈됨을 꽃병의 기울임을 통하여 직관적으로 인지하며, 이를 통해 제때에 물을 주입하여 꽃의 시듦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물을 추가 주입함에 있어서 꽃병의 기울기에 따라서 필요한 물의 양을 확인하여 적당량의 물을 주입하게 하여 효율적인 물의 관리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물부족알림웨이트의 무게로 인하여 꽃병의 하부에 중량이 증가되어 꽃병이 안정적으로 세워지는 것이다.
또한, 물부족알림웨이트는 웨이트조절공간에 물과 같은 액체를 주입하여 웨이트의 중량을 조절하여 다양한 중량의 꽃에 따라 알맞은 웨이트 중량을 용이하게 변경할수 있는 것이다.
또한, 꽃병이 물의 감소에 따라 점차적으로 기울여지는 변화성은 종래의 고정되어진 꽃병과 대비되게 꽃병에 생동성을 가미하게 되어 꽃병에 대한 전시성이 증가와 관심도의 향상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수납공간의 물의 잔량의 변화에 따른 꽃병의 기울림의 예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수납공간에 알맞는 물의 주입에 의해 꽃병이 수직으로 세워짐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내부수납공간에 물의 고갈로 인해 꽃병이 기울여짐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울여진 꽃병의 추가물주입부를 통해 추가적인 물을 주입한 예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세워진 꽃병에서 물주입구도어의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울여진 꽃병에서 물주입구도어의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저면부의 실시예를 보인 하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몸체일체형에 따른 실시예를 보인 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몸체일체형에 따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내부수납공간에 물부족알림웨이트를 구비한 실시예를 보인 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물부족알림웨이트의 중량을 조절하는 웨이트조절공간을 구비한 실시예를 보인 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물부족알림웨이트의 중량을 조절하는 웨이트조절공간을 구비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스토퍼의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꽃병에 있어서, 꽃병 내에 물의 고갈을 꽃병의 기울임을 통해 직관적으로 인지하며, 추가적인 물 주입시에 꽃병의 기울기를 통하여 알맞은 양의 주입을 가능하게 하며, 꽃병의 하부중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안정감 있게 꽃병을 세우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꽃을 꽂고 물을 담는 내부수납공간(200)을 형성한 꽃병몸체(100), 상기 꽃병몸체(100)의 상부에 꽃을 투입하는 홀을 형성한 병입구부(300), 상기 꽃병몸체(100)의 바닥면에 꽃병의 무게중심의 이동에 따라 꽃병이 기울여지기 용이하게 일정한 곡률을 구비한 모서리를 구비한 저면부(400), 상기 꽃병몸체(100) 하부에 물이 고갈되면 꽃병이 기울리게 하기 위해 몸체의 중심축에 편측으로 구비한 물부족알림웨이트(500)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저면부(400)는 꽃병을 수직으로 세우는 평탄한 수평면(410), 꽃병을 기울이게 하는 일정곡률을 지닌 곡률모서리(420), 꽃병이 일정각도이상으로 넘어가 쓰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기울여져 평탄한 기울림고정면(430)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도9와 도10에 도시된 예와 같이 상기 물부족알림웨이트(500)는 제품의 제조과정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꽃병몸체(100)가 무게추가 되게 형성한 몸체일체형으로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물부족알림웨이트(500)는 꽃병의 외형이 대칭되게 보이기 위하여 상기 꽃병몸체(100) 하부 일측벽 내부에 편심되게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11에 도시된 예와 같이 상기 물부족알림웨이트(500)는 상기 내부수납공간(200)의 하부에 편측되게 구비하며, 꽃병에 끼워진 꽃의 고정하기 위하여 꽃의 줄기를 꽂는 구멍을 지닌 꽃고정홀(530)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12와 도13에 도시된 예와 같이 상기 물부족알림웨이트(500)는 내부에 중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물과 같은 액체를 수납하는 웨이트조절공간(520)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꽃병몸체(100)의 상부에 꽃병의 물의 고갈시 추가적인 물을 주입하기 용이하도록 꽃병몸체(100)에서 내부수납공간(200)까지 관통된 구멍을 상기 기울림고정면(430)에 수직되게 형성한 추가물주입구(31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추가물주입구(310)는 꽃병이 기울여졌을 때에만 열리게 하기 위해 기울임에 따라 중력에 의해 방향에 따라 열고 닫히게 도어무게추(321)를 구비한 물주입구도어(320)를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면부(400)의 기울림고정면(430)은 꽃병의 기울임의 진행을 명확히 멈추기 위하여 돌출된 스토퍼(440)을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440)은 꽃병의 급격한 기울임이 발생시에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장치(45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토퍼(440)은 꽃병이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에는 함몰되고 꽃병이 기울여짐에 따라 서서히 돌출되도록 중량을 지닌 스토퍼무게추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꽃병에 있어서, 꽃을 꽂고 물을 담는 내부수납공간(200)을 형성한 꽃병몸체(100), 상기 꽃병몸체(100)의 상부에 꽃을 투입하는 홀을 형성한 병입구부(300), 상기 꽃병몸체(100)의 바닥면에 꽃병의 무게중심의 이동에 따라 꽃병이 기울여지기 용이하게 일정한 곡률을 구비한 모서리를 구비한 저면부(400), 상기 꽃병몸체(100) 하부에 꽃병에 주입한 수량의 변화에 따라 꽃병의 무게중심이 이동되게 하기 위해 몸체의 중심축에 편측으로 구비한 물부족알림웨이트(500)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꽃병 내에 물의 감소에 따라 꽃병이 기울여져서 물의 감소를 직관적으로 인지하며 적시에 꽃병에 물을 주입하게 되어 꽃의 시듦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400)는 평탄한 수평면(410), 일정곡률을 지닌 곡률모서리(420), 기울여져 평탄한 기울림고정면(430)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물이 적당량 있을 경우 꽃병이 수평면(410)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세워지며, 물이 점차 감소하면 무게중심이 이동하여 곡률모서리(420)에 의해 꽃병이 곡률에 따라 점차적으로 기울여지게 되며, 물이 일정량이하로 고갈되면 꽃병이 기울림고정면(430)에 의해 일정각도로 기울여 고정되는 것이다.
특히, 상부 저면부(400)의 곡률모서리(420)로 인하여 꽃병의 물에 감소에 따라 기울임이 점진적으로 변화하게 되고, 이러한 기울기값을 통하여 꽃병의 물의 잔량을 대략적으로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꽃병에 추가적인 물을 주입해야하는 때를 가늠해 볼 수 있으며, 또한 추가 물을 주입함에 있어서 꽃병의 기울기값의 변화량을 확인하며 주입하면 적당량의 물의 주입이 가능하게 되어 과도한 물의 주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물부족알림웨이트(500)는 꽃병몸체(100)가 무게추가 되게 형성한 몸체일체형으로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제품의 제조에 있어서 별도의 부품을 필요하지 않고 압출성형의 방식을 이용하여 생산단가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물부족알림웨이트(500)는 상기 꽃병몸체(100) 하부 일측벽 내부에 편심되게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꽃병을 대칭된 외형을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물부족알림웨이트(500)는 상기 내부수납공간(200)의 하부에 편측되게 구비하고, 꽃의 줄기를 꽂는 구멍을 지닌 꽃고정홀(530)을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물을 주입함에 있어서 꽃고정홀(530)부터 물이 주입되어 고이게 되어 무게중심이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며, 꽃의 줄기를 고정하게 되어 꽃이 일측으로 편향되게 꽂아지는 것을 방지하며 편향된 꽃에 중량에 의해 꽃병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물부족알림웨이트(500)는 내부에 물과 같은 액체를 수납하는 웨이트조절공간(520)을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액체의 주입량에 따라 물부족알림웨이트(500)의 중량을 변화하여 꽃병에 주입되는 물의 적당량을 필요에 따라 조정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꽃병몸체(100)의 상부에 꽃병몸체(100)에서 내부수납공간(200)까지 관통된 구멍을 상기 기울림고정면(430)에 수직되게 형성한 추가물주입구(310)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꽃병의 물의 고갈에 의해 추가적인 물을 주입함에 있어서 병입구부(300)를 이용하지 않게 되어 꽃을 빼낸 후 물을 주입하는 번거러움을 해결하며 물의 고갈로 인하여 기울여진 상태에서 추가물주입구(310)가 꽃병에 수직으로 뚫려있어서 추가적인 물을 용이하게 주입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추가물주입구(310)는 꽃병이 기울여졌을 때에만 열리게 하기 위해 기울임에 따라 중력에 의해 방향에 따라 열고 닫히게 도어무게추(321)를 구비한 물주입구도어(320)를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병입구부(300)를 통한 물 주입시 물이 추가물주입구(310)를 통해 흘러내리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면부(400)의 기울림고정면(430)은 돌출된 스토퍼(440)을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440)은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장치(450)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꽃병의 급격한 기울임이 발생시에 충격을 흡수하여 꽃병에 가해지는 데미지를 감소하고 꽃병의 쓰러짐을 방지하며 꽃병의 기울임의 진행을 명확히 멈추기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토퍼(440)은 꽃병이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에는 함몰되고 꽃병이 기울여짐에 따라 서서히 돌출되도록 중량을 지닌 무게추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꽃병의 기울임의 진행을 명확히 멈추기 하여 꽃병의 쓰러짐을 방지하는 것이다.
꽃 : 1 물 : 2 물주전자 : 3
꽃병몸체 : 100 내부수납공간 : 200 병입구부 : 300
추가물주입구 : 310 물주입구도어 : 320 도어무게추 : 321
저면부 : 400 수평면 :410 곡률모서리:420
기울림고정면 :430 스토퍼 : 440 완충장치 : 450
물부족알림웨이트 : 500 웨이트주입구 : 510 웨이트조절공간 :520
웨이트조절액체 :521 꽃고정홀 : 530

Claims (4)

  1. 꽃병에 있어서;
    꽃을 꽂고 물을 담는 내부수납공간(200)을 형성한 꽃병몸체(100), 상기 꽃병몸체(100)의 상부에 꽃을 투입하는 홀을 형성한 병입구부(300), 상기 꽃병몸체(100)의 바닥면에 꽃병의 무게중심의 이동에 따라 꽃병이 기울여지기 용이하게 일정한 곡률을 구비한 모서리를 구비한 저면부(400), 상기 꽃병몸체(100) 하부에 물이 고갈되면 꽃병이 기울리게 하기 위해 몸체의 중심축에 편측으로 구비한 물부족알림웨이트(500)로 구성하며,

    상기 꽃병몸체(100)의 상부에 꽃병의 물의 고갈시 추가적인 물을 주입하기 용이하도록 꽃병몸체(100)에서 내부수납공간(200)까지 관통된 구멍을 상기 기울림고정면(430)에 수직되게 형성한 추가물주입구(310)를 구비하며,

    상기 저면부(400)는 꽃병을 수직으로 세우는 평탄한 수평면(410), 꽃병을 기울이게 하는 일정곡률을 지닌 곡률모서리(420), 꽃병이 일정각도이상으로 넘어가 쓰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기울여져 평탄한 기울림고정면(43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부족 알림 꽃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부족알림웨이트(500)는 제품의 제조과정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꽃병의 몸체가 무게추가 되게 편심으로 치우지게 형성한 몸체일체형 물부족알림웨이트(5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부족 알림 꽃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부족알림웨이트(500)는 상기 내부수납공간(200)의 하부에 편측되게 구비하며, 꽃병에 끼워진 꽃의 고정하기 위하여 꽃의 줄기를 꽂는 구멍을 지닌 꽃고정홀(5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부족 알림 꽃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부족알림웨이트(500)는 내부에 웨이트의 중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물과 같은 액체를 수납하는 웨이트조절공간(5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부족 알림 꽃병
KR1020160115352A 2016-09-08 2016-09-08 물 부족 알림 꽃병 KR201800281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352A KR20180028121A (ko) 2016-09-08 2016-09-08 물 부족 알림 꽃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352A KR20180028121A (ko) 2016-09-08 2016-09-08 물 부족 알림 꽃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121A true KR20180028121A (ko) 2018-03-16

Family

ID=61910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352A KR20180028121A (ko) 2016-09-08 2016-09-08 물 부족 알림 꽃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81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129B1 (ko) 넘침 방지용 냄비 뚜껑
US10501259B2 (en) Control of bubble size in a carbonated liquid
US9468166B2 (en) Automatic subterranean watering system with refill indicator and gripping mechanism
US20120325866A1 (en) Fluid storage tank
KR20180028121A (ko) 물 부족 알림 꽃병
KR20180001499U (ko) 물 부족 알림 꽃병
JP5788366B2 (ja) 給水式プランター装置
CN204268793U (zh) 具有可调门栏条的冰箱门及冰箱
JP3114418U (ja) 漏斗受け具
CN202089380U (zh) 注出容器
RU2012126068A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жидкости, содержащий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выхода текучей среды
JP2002019862A (ja) 噴射器用ディップチューブ
KR200439003Y1 (ko) 저장용기의 액체 배출장치
US6477942B1 (en) Beverage infusion container
US20150047255A1 (en) Cut Tree Watering Stand Device
KR101209859B1 (ko) 음료 용기
CN205197631U (zh) 泡茶器及饮茶容器
CN203952717U (zh) 简易茶盒
CA2418564A1 (en) Beverage infusion container
CN214241796U (zh) 适用于工夫茶杯或平底酒杯的收纳盒
JP2020105716A (ja) 薬液供給装置
KR200485159Y1 (ko) 물 부족을 알려주는 꽃병
CN208463490U (zh) 一种陶瓷花瓶
TWI626964B (zh) Water stop device for drip infusion
CN205649152U (zh) 茶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