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859B1 - 음료 용기 - Google Patents

음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859B1
KR101209859B1 KR1020110027996A KR20110027996A KR101209859B1 KR 101209859 B1 KR101209859 B1 KR 101209859B1 KR 1020110027996 A KR1020110027996 A KR 1020110027996A KR 20110027996 A KR20110027996 A KR 20110027996A KR 101209859 B1 KR101209859 B1 KR 101209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wall
straw
moving groove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0254A (ko
Inventor
남상경
Original Assignee
남상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상경 filed Critical 남상경
Priority to KR1020110027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859B1/ko
Publication of KR20120110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2Straw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스트로우에 대한 추가적인 구비를 하지 않더라도 스트로우 방식으로의 음료 음용이 가능하며, 시각적인 재미감을 부여함과 더불어 제조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음료가 수용되는 내부 몸체를 형성하면서 음료의 입출을 위한 입출구를 가지며,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내벽체; 상기 내벽체의 외벽면을 감싸는 외부 몸체를 형성하며,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외벽체; 상기 외벽체의 내벽면 중 바닥측 부위로부터 상부측 부위에까지 서로 연통된 상태를 이루면서 요입 형성된 음료 이동홈; 상기 내벽체 내의 저부 공간과 상기 음료 이동홈 간을 연통하는 연통공; 그리고, 일단은 상기 음료 이동홈의 상측 끝단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내벽체의 입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스트로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음료 용기{container for a drink}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음료수의 음용에 따른 시각적인 효과를 부여하고, 원활한 제조가 가능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 용기는 음료수를 담은 용기를 의미하며, 금속이나 프라스틱 혹은, 유리 등의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음료 용기의 입구측에는 뚜껑 등의 덮개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필요에 따른 음료 용기 내부의 밀폐 및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한 음료 용기 내의 음료를 마시는 방법이 다양하게 존재하며, 통상적으로는 컵 등에 따라 마시거나 직접 입을 대고 마시는 방법 및 스트로우를 이용하여 음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하지만, 상기한 각 방법 중 스트로우를 이용하여 음용하는 방법은 상기 스트로우의 별도 사용에 의한 별도 준비가 요구되며, 이에 종래에는 별도의 스트로우를 판매하거나 혹은, 별도로 제공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종래에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5040호 등과 같이 스트로우가 음요 용기 외벽면을 따라 일체형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별도의 스트로우를 구비할 필요없이 음료에 대한 음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전술된 종래 기술은 음료 용기의 제조 후 스트로우를 상기 음료 용기의 외벽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부착시키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그 제조상의 불편함이 야기되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스트로우가 상기 음료 용기의 외벽면에 정확히 부착되지 못하고 쉽게 탈거 되었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국내 등록특허 제10-1014931호에서와 같이 음료 용기와 스트로우를 일체로 성형하여 상기 스트로우가 상기 음료 용기와 일체형을 이루도록 한 기술이 제공되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 기술은 음료 용기의 벽면에 스트로우를 일체로 성형하는 과정이 현실적으로는 극히 어려울 뿐 아니라 그 제조를 위한 금형도 복잡하고 또한, 제조 단가도 비쌈으로써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전술된 종래의 기술들은 음료 용기와 스트로우의 재질이 동일하며, 특히 모두가 투시 가능한 투명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음료의 음용 과정에서의 시각적인 재미를 제공하는 효과는 낮을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스트로우에 대한 추가적인 구비를 하지 않더라도 스트로우 방식으로의 음료 음용이 가능하며, 시각적인 재미감을 부여함과 더불어 제조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 용기에 따르면 음료가 수용되는 내부 몸체를 형성하면서 음료의 입출을 위한 입출구를 가지며,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내벽체; 상기 내벽체의 외벽면을 감싸는 외부 몸체를 형성하며,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외벽체; 상기 외벽체의 내벽면 중 바닥측 부위로부터 상부측 부위에까지 서로 연통된 상태를 이루면서 요입 형성된 음료 이동홈; 상기 내벽체 내의 저부 공간과 상기 음료 이동홈 간을 연통하는 연통공; 그리고, 일단은 상기 음료 이동홈의 상측 끝단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내벽체의 입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스트로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음료 이동홈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외벽체의 내벽면 중 저부측 부위로부터 상부측 부위에 이르기까지 나선형을 이루면서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료 이동홈은 납작한 형태의 사다리꼴 혹은, 사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선형의 음료 이동홈이 이루는 상하 방향의 폭은 상기 나선형의 음료 이동홈이 이루는 피치(pitch)에 비해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벽체의 각 부위 중 입출구가 형성된 부위의 내벽면에는 상기 스트로우의 지지를 위한 지지부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입출구를 통한 음료의 유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입출구가 형성된 부위의 내벽면으로부터 방사 방향을 따라 복수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료 용기는 내벽체와 외벽체를 구분하여 구성하고, 상기 내벽체는 불투명 재질로 형성함에 반해 상기 외벽체는 투명 재질로 형성하면서 음료 이동홈은 상기 외벽체의 내벽면에 요입 형성함으로써, 일반적인 보관 상태에서는 내부에 저장된 음료의 색상이나 종류에 대한 식별이 불가능하고, 사용자가 스트로우를 통해 음료를 마시게 될 경우에만 상기 음료에 대한 식별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상기한 특징으로 인한 다양한 놀이 등의 진행이 가능하다는 효과 역시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음료 이동홈을 원형이 아닌 납작한 형태의 사다리꼴 혹은, 사각형을 이루도록 구성함에 따라 음료의 흡입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음료의 이동에 따른 식별이 더욱 뚜렷해질 수 있게 되어 심미감의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음료 입출구측 부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음료 용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외관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는 크게 내벽체(100)와, 외벽체(200)와, 음료 이동홈(300)과, 연통공(400) 및 스트로우(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내벽체(100)는 음료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면서 음료 용기의 내부 몸체를 형성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한 내벽체(10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원통, 다각통, 구형(求刑)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내벽체(100)가 상단에 유체의 입출구(110)를 가지는 통상의 병 구조로 형성됨을 그 예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내벽체(100)가 불투명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는, 음료 용기 내부에 저장되는 음료의 색상 등을 후술될 스트로우(500)를 통해 음료를 마시기 전까지는 알 수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외벽체(200)는 상기 내벽체(100)의 외벽면을 감싸는 음료 용기의 외부 몸체를 형성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한 외벽체(200)는 상기 내벽체(100)의 외벽면에 이중 사출이나 인서트 사출 혹은, 접착이나 융착 등의 방법에 의해 상기 내벽체와 일체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외벽체(200)가 투명 재질로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는, 상기한 내벽체(100)가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반면, 상기 외벽체(100)를 투명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내벽체(100)의 외벽면에 대한 투시가 가능함과 더불어 후술될 음료 이동홈(300)을 통한 음료의 유동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음료 이동홈(300)은 상기 내벽체(100) 내에 저장된 음료를 입출구(110)가 형성된 부위에 이르기까지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한 음료 이동홈(300)은 상기 외벽체(200)의 내벽면에 요입 형성되며, 상기 외벽체(200)의 내벽면 중 바닥측 부위로부터 상부측 부위에까지 서로 연통된 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음료 이동홈(300)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외벽체(200)의 내벽면 중 저부측 부위로부터 상부측 부위에 이르기까지 나선형을 이루면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음료 이동홈(300)이 원형이 아닌 납작한 형태의 사다리꼴 혹은, 사각형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음료의 흡입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음료의 이동에 따른 식별이 더욱 뚜렷해질 수 있도록 하여 심미감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함을 제시한다.
특히, 상기 나선형의 음료 이동홈(300)이 이루는 상하 방향의 폭은 상기 나선형의 음료 이동홈(300)이 이루는 피치(pitch)에 비해 크게 형성됨으로써 음료가 이송되는 모습에 대한 정확한 식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외벽체(200)의 내벽면 중 상기 나선형의 음료 이동홈(300)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는 상기 내벽체(100)의 외벽면과의 밀착 영역으로 제공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통공(400)은 상기 내벽체(100) 내의 저부 공간과 상기 음료 이동홈(200) 간을 연통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한 연통공(400)은 상기 내벽체(100) 내의 저부측 둘레 벽면을 관통하여 상기 음료 이동홈(300)의 저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트로우(500)는 상기 음료 이동홈(400)을 따라 유동된 음료를 음용하도록 연결되는 부재이다.
상기한 스트로우(500)의 일단은 상기 음료 이동홈(400)의 상측 끝단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내벽체(100)의 입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트로우(500)는 휨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보관시에는 상기 내벽체(100) 내에 수용됨과 더불어 음료를 마실 때에는 상기 내벽체(100) 내로부터 취출하여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벽체(100)의 각 부위 중 입출구(110)가 형성된 부위의 내벽면에는 상기 스트로우(500)의 지지를 위한 지지부재(6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600)는 상기 스트로우(500)가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상기 스트로우(500)가 원치않게 내벽체(100)의 내부로 요입될 경우 상기 입출구(110)가 협소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스트로우(500)를 쉽게 꺼내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기한 지지부재(600)는 첨부된 도 3과 같이 상기 입출구(110)를 통한 음료의 유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입출구(110)가 형성된 부위의 내벽면으로부터 방사 방향을 따라 복수로 제공됨을 제시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제조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사출 공정을 통해 외벽체(200)를 성형한다.
이때, 상기 외벽체(200)는 투명 재질로 사출되며, 제조하고자 하는 음료 용기의 외형을 이루도록 성형된다.
또한, 상기한 외벽체(200)의 내벽면에는 나선형의 음료 이동홈(300)이 요입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음료 이동홈(300)은 상기 외벽체(200)의 사출이 완료된 후 상기 외벽체(200)의 내벽면에 기계 가공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상기 외벽체(200)에 대한 사출 공정시 상기한 음료 이동홈(300)이 함께 성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사출 공정을 통해 상기 외벽체(200)의 내벽면에 내벽체(100)를 성형한다.
이때, 상기 내벽체(100)는 불투명 재질로 사출되며, 내부에 음료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갖도록 하며, 상단에는 음료의 입출을 위한 입출구(110)가 개구되도록 형성한다.
이와 함께, 상기 내벽체(100)의 하단측 둘레벽면에는 상기 외벽체(200)의 음료 이동홈(300)과 연통되는 연통공(400)이 관통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연통공(400)은 상기 내벽체(100)의 성형 완료 후 별도의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기로는 사출 공정시 상기한 연통공(400)이 내벽체(100)에 성형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사출이 완료된 내벽체(100)의 음료 입출구(110)측 내벽면에 스트로우(500)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한 스트로우(500)는 그 일단이 상기 음료 이동홈(300)의 상측 끝단에 이르도록 연통되게 연결하고, 타단은 상기 내벽체(100)의 입출구(11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결국, 전술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완성되는 음료 용기는 내부에 음료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저장되는 음료의 색상이나 종류에 대하여는 외부에서의 식별이 어렵다.
즉, 외벽체(200)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지만, 내벽체(100)의 경우는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내벽체(100) 내에 저장되는 음료의 색상이나 종류에 대하여는 알 수 없는 것이다.
물론, 사용자가 스트로우(500)를 통해 내벽체(100) 내에 저장된 음료를 흡인하게 되면 상기 음료는 음료 이동홈(300)을 따라 제공되는 흡인력에 의해 상기 음료 이동홈(300)을 따라 유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음료 이동홈(300)이 형성되는 외벽체(200)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음료 이동홈(300)을 따라 유동되는 음료의 색상이나 종류에 대한 외부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는 일반적인 보관 상태에서는 내부에 저장된 음료의 색상이나 종류에 대한 식별이 불가능하고, 사용자가 스트로우(500)를 통해 음료를 마시게 될 경우에만 상기 음료에 대한 식별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지며, 이를 이용한 다양한 놀이 등의 진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상기한 음료 이동홈(300)은 원형이 아닌 납작한 형태의 사다리꼴 혹은, 사각형을 이루도록 구성됨에 따라 음료의 흡입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음료의 이동에 따른 식별이 더욱 뚜렷해질 수 있게 되어 심미감의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 장점을 가진다.
100. 내벽체 110. 입출구
200. 외벽체 300. 음료 이동홈
400. 연통공 500. 스트로우
600. 지지부재

Claims (6)

  1. 음료가 수용되는 내부 몸체를 형성하면서 음료의 입출을 위한 입출구를 가지며,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내벽체;
    상기 내벽체의 외벽면을 감싸는 외부 몸체를 형성하며,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외벽체;
    상기 외벽체의 내벽면 중 바닥측 부위로부터 상부측 부위에까지 서로 연통된 상태를 이루면서 요입 형성된 음료 이동홈;
    상기 내벽체 내의 저부 공간과 상기 음료 이동홈 간을 연통하는 연통공; 그리고,
    일단은 상기 음료 이동홈의 상측 끝단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내벽체의 입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스트로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이동홈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외벽체의 내벽면 중 저부측 부위로부터 상부측 부위에 이르기까지 나선형을 이루면서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이동홈은
    납작한 형태의 사다리꼴 혹은, 사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이동홈이 이루는 상하 방향의 폭은 상기 나선형의 음료 이동홈이 이루는 피치(pitch)에 비해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체의 각 부위 중 입출구가 형성된 부위의 내벽면에는 상기 스트로우의 지지를 위한 지지부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입출구를 통한 음료의 유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입출구가 형성된 부위의 내벽면으로부터 방사 방향을 따라 복수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KR1020110027996A 2011-03-29 2011-03-29 음료 용기 KR101209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996A KR101209859B1 (ko) 2011-03-29 2011-03-29 음료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996A KR101209859B1 (ko) 2011-03-29 2011-03-29 음료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254A KR20120110254A (ko) 2012-10-10
KR101209859B1 true KR101209859B1 (ko) 2012-12-10

Family

ID=47281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996A KR101209859B1 (ko) 2011-03-29 2011-03-29 음료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8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408B1 (ko) * 2013-02-07 2014-09-25 남상경 음료 용기
KR102141118B1 (ko) * 2019-03-18 2020-08-04 남상경 유색 음료 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350Y1 (ko) 2005-08-01 2005-10-12 최성진 음료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350Y1 (ko) 2005-08-01 2005-10-12 최성진 음료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254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76451T3 (es) Cuerpo de contención para la fabricación de una cápsula para la elaboración de bebidas y método para la fabricación de cápsulas con diferentes cantidades de sustancia alimenticia en polvo utilizando un único tipo de cuerpo de contención
ES2550092T3 (es) Procedimiento, dispositivo y cápsula para la infusión de una bebida
JP3143301U (ja) 即席注入式飲料の素材を有する容器ビン・キャップの構造
KR101209859B1 (ko) 음료 용기
ITBO980395A1 (it) Stampi per fabbricazione di bicchieri di ghiaccio e supporti per soste nere tali bicchieri durante l' impiego .
CN111409930B (zh) 保持在注塑容器上且部分保持于其中的组合吹塑瓶
US20050194340A1 (en) Double-walled drinking vessel
US6179153B1 (en) Two-chamber container with changeable upper cover
US6253945B1 (en) Container having separable liquid-ornament unit
US11458432B2 (en) Rechargeable dehumidifier
KR101441408B1 (ko) 음료 용기
CN205831673U (zh) V形出水槽保温热水瓶
CN201905651U (zh) 双层保温杯
US20170251848A1 (e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For Serving And Entertaining Children
CN206562017U (zh) 一种茶叶存放盒及茶叶存放盒组
KR101014931B1 (ko) 음료수 용기
CN201375322Y (zh) 工艺杯
CN204274023U (zh) 具醒酒功能的酒杯
CN202508383U (zh) 产生气泡的饮料容器
JP2012106785A (ja) 飲用容器
KR102273546B1 (ko) 음료수의 음용을 위한 스트로 어셈블리
KR200362753Y1 (ko) 술잔
KR200342890Y1 (ko) 음료용기
CN210446519U (zh) 一种快速分水过滤杯盖件
CN205006700U (zh) 一种醒酒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