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350Y1 -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350Y1
KR200398350Y1 KR20-2005-0022267U KR20050022267U KR200398350Y1 KR 200398350 Y1 KR200398350 Y1 KR 200398350Y1 KR 20050022267 U KR20050022267 U KR 20050022267U KR 200398350 Y1 KR200398350 Y1 KR 2003983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beverage
outlet
contain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2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진
Original Assignee
최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진 filed Critical 최성진
Priority to KR20-2005-00222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3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3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용기를 사용한 후 이를 버리게 될 때 발생되는 쓰레기의 양을 줄일 뿐만 아니라, 쓰레기 분리수거에도 유용한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음료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 두께를 가지고, 상단측이 개구되며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는 음료용기에 있어서, 음료용기의 상단측에는 음료용기의 전체 높이보다 소정 길이 낮게 절곡된 하나 이상의 절곡부가 형성되고, 절곡부로부터 음료용기의 내부 바닥면까지 음료용기의 두께 내부를 통해 하나 이상의 음료수 입출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료용기{CONTAINER FOR DRINKING WATER}
본 고안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용기를 사용한 후 이를 버리게 될 때 발생되는 쓰레기의 양을 줄일 뿐만 아니라, 쓰레기 분리수거에도 유용한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기는 음료가 충수되는 용기의 상부를 덮개로 밀폐시킨 상태로 제조되며, 음용시에는 덮개에 구비된 개로수단을 조작하여 이를 통해 직접 음용하거나 별도로 구비한 빨대를 사용하여 음용하였다.
도 1은 종래 빨대가 부착된 음료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사용되고 있는 음료용기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통상적인 음료용기의 모양으로 성형된 몸체(100)와, 몸체(100)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빨대(101)와, 전술한 빨대(101)에는 외면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용 비닐(102)이 부착되어 있으며, 몸체(100)의 상면 일측에는 빨대(101)가 인입될 수 있는 빨대 유입홀(10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음료용기의 경우 몸체(100)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빨대(101)를 몸체(100)에서 분리하여, 빨대(101)를 포장하고 있는 포장용 비닐(102)을 제거한 후, 빨대 유입홀(103)에 빨대(101)를 인입하여 음료를 마시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빨대(101)가 부착된 음료용기의 경우, 음료용기와 빨대를 별도로 제조하게 되므로 제조비용 및 유통비용이 높아지는 단점과 취급시 번거로운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이러한 빨대를 사용하여 음료용기 내부의 음료를 다 마신 후 이를 버리게 될 때 빨대 또한 함께 쓰레기로 배출되어 쓰레기의 양을 많게 할 뿐만 아니라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유리재질이나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되는 다양한 음료용기와는 달리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빨대는 쓰레기 분리 수거시 이를 각각 따로 분리하여 버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쓰레기의 양을 줄일 수 있는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쓰레기 분리수거에 유용한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음료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 두께를 가지고, 상단측이 개구되며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는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의 상단측에는 상기 음료용기의 전체 높이보다 소정 길이 낮게 절곡된 하나 이상의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로부터 상기 음료용기의 내부 바닥면까지 상기 음료용기의 두께 내부를 통해 하나 이상의 음료수 입출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를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음료수 입출관은, 상기 절곡부에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음료용기의 내부 바닥면에 유출구와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음료용기는, 상기 유출구에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보조 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료용기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음료용기의 내부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00)는 음료용기 본체(10)와 절곡부(20), 음료수 입출관(3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음료용기 본체(10)는 내부에 음료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 두께를 가지고 상단측이 개구되게 된다.
절곡부(20)는 음료용기 본체(10)의 개구된 상단 일측에 형성되는데, 이러한 절곡부(20)는 음료용기 본체(10)의 전체 높이보다 소정 길이 낮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부분이다.
음료수 입출관(30)은 음료용기 본체(10)의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유출구(32)와 유입구(34)로 구성되게 된다.
유출구(32)는 전술한 절곡부(20)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이러한 유출구(32)와 연통되는 유입구(34)가 음료용기 본체(10)의 내부 바닥면에 닿도록 형성되게 된다.
이때, 음료수 입출관(30)의 유입구(34)는 음료수가 보다 잘 유입될 수 있도록 음료용기 본체(10)의 소정 두께를 이루며 음료수 입출관(30)을 형성하게 되는 는 내부 벽면과 외부 벽면 중 내부 벽면의 하단이 음료용기 본체(10)의 중심을 향해 소정 각도로 휘어져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를 더욱 상세히 살펴본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00)를 사용하여 음료수를 음용고자 하는 경우 먼저 사용자가 음료용기 본체(10)의 개구된 상단측을 통해 음료수를 음료용기 본체(10)의 내부에 채우게 된다.
다음, 준비되어 있는 보조 빨대(40)를 절곡부(20)에 형성되어 있는 음료수 입출관(30)의 유출구(32)에 꽂은 후 사용자가 보조 빨대(40)에 입을 대고 빨아들인다.
이렇게 되면 음료용기(100) 내부에 채워져 있던 음료수가 유입구(34)를 통해 음료용기 본체(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음료용기 본체(10)의 두께 내부와 절곡부(20)에 형성되어 있는 유출구(32) 및 꽂혀있는 보조 빨대(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므로 사용자가 음료수를 마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살펴보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00)는 제1 실시예와 거의 유사하나 제1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절곡부(20) 및 음료수 입출관(30)가 형성되어 있는데 반해 제2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절곡부(20, 20a) 및 음료수 입출관(30, 30a)이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2개의 음료수 입출관(30, 30a)이 형성됨으로써 남녀 커플과 같이 두사람이 동시에 같은 음료수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는 2개의 절곡부(20, 20a) 및 음료수 입출관(30, 30a)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사용 목적 등에 따라 3개 이상의 절곡부 및 음료수 입출관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종사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에 의하면, 쓰레기의 양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쓰레기 분리수거에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빨대가 부착된 음료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료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음료용기의 내부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음료용기 10; 본체
20, 20a; 절곡부 30, 30a; 음료수 입출관
32, 32a; 유출구 34, 34a; 유입구
40; 보조 빨대

Claims (3)

  1. 음료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 두께를 가지고, 상단측이 개구되며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는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의 상단측에는 상기 음료용기의 전체 높이보다 소정 길이 낮게 절곡된 하나 이상의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로부터 상기 음료용기의 내부 바닥면까지 상기 음료용기의 두께 내부를 통해 하나 이상의 음료수 입출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 입출관은,
    상기 절곡부에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음료용기의 내부 바닥면에 유출구와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는,
    상기 유출구에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보조 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KR20-2005-0022267U 2005-08-01 2005-08-01 음료용기 KR2003983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267U KR200398350Y1 (ko) 2005-08-01 2005-08-01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267U KR200398350Y1 (ko) 2005-08-01 2005-08-01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350Y1 true KR200398350Y1 (ko) 2005-10-12

Family

ID=43699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267U KR200398350Y1 (ko) 2005-08-01 2005-08-01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3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859B1 (ko) 2011-03-29 2012-12-10 남상경 음료 용기
KR20220138076A (ko) 2021-04-05 2022-10-12 주식회사 프린트삼영 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음료컵 밀봉캡지의 원터치 개봉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859B1 (ko) 2011-03-29 2012-12-10 남상경 음료 용기
KR20220138076A (ko) 2021-04-05 2022-10-12 주식회사 프린트삼영 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음료컵 밀봉캡지의 원터치 개봉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9858A (en) Jug and method
CN2506567Y (zh) 带有吸管的液体容器
CA2436006A1 (en) Improved beverage container
KR200398350Y1 (ko) 음료용기
CN210842543U (zh) 具有自吸功能的饮料杯
CN210276757U (zh) 一种防尘多功能杯盖
KR200296136Y1 (ko) 껌 포장용기
CN212101930U (zh) 一种便携式易拉罐辅助饮用封口器
CN2425881Y (zh) 方便卫生的内置吸管式液体易拉罐
CN212922718U (zh) 一种带吸管的饮料瓶
CN209871172U (zh) 一种饮料瓶
CN2371146Y (zh) 虹吸式旅行用饮料瓶
KR200351677Y1 (ko) 빨대 상단에 돌출부를 돌출 수용케한 음료수용 병
KR200375757Y1 (ko) 빨대를 내장한 음료 저장용 팩.
CN100473589C (zh) 全塑带吸管的易拉罐
KR200185021Y1 (ko) 스트로우 내장형 음료수 용기
KR20210130067A (ko) 바닥면이 경사진 컵
CN206307479U (zh) 一种牛奶包装盒
CN105747769A (zh) 一种储存式水杯
KR200459401Y1 (ko) 음료수의 흡입공이 개폐가능한 컵뚜껑
CN201016038Y (zh) 一种方便饮用的易拉杯
KR950006723Y1 (ko) 음료수용 스트로
KR820002102Y1 (ko) 합성수지 음료수병
KR200393527Y1 (ko) 봉투형 종이컵
KR20030022209A (ko) 스트로를 갖고 있는 음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