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7948A - 보습 효과가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보습 효과가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7948A
KR20180027948A KR1020160115250A KR20160115250A KR20180027948A KR 20180027948 A KR20180027948 A KR 20180027948A KR 1020160115250 A KR1020160115250 A KR 1020160115250A KR 20160115250 A KR20160115250 A KR 20160115250A KR 20180027948 A KR20180027948 A KR 20180027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detergent composition
group
surfactant
beta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3088B1 (ko
Inventor
박봉정
정재범
이인호
이정래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60115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088B1/ko
Publication of KR20180027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0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06Monohydric alcohols
    • C11D3/201Monohydric alcohols lin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662Carbohydrates o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11D1/90Beta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73Anticorrosion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84Antioxidants; Free-radical scaveng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0Dyes ;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50Perfum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킬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알킬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를 함유함으로써 세정력을 유지하면서도 뛰어난 보습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용 조성물은 알킬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를 함유함으로써, 종래 오일 기반의 세정제에서 부족했던 보습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소비자의 사용적 니즈를 만족시킨 헤어 및 피부용 세정제 조성물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보습 효과가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Cleaning composition having superior moisturizing effect}
본 발명은 헤어 또는 피부 등에 적용할 수 있는 보습 효과가 우수한 세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알킬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를 포함하는 보습 효과가 탁월한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환경의 변화나 내부의 요인에 의한 스트레스 및 외부 요인에 의한 자극 등으로 민감해지며 수분 보유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이러한 현상이 더욱 촉진될 수 있다. 피부의 수분이 감소하는 경우 피부는 건조하게 되며 탄력이 떨어지고 주름 생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더불어 피부톤도 어두워지며 피부 보호막 기능이 저하되어 외부의 자극에도 더욱 민감한 상태가 되어 각종 트러블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의 보습 기능을 향상시켜 이러한 현상을 방지 또는 완화함으로써 더욱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할 수 있도록 종래로부터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샤워 시 세정제를 사용하면 과도한 세정효과로 인하여 피부의 당김, 가려움, 트러블 등이 발생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세정 후 보습제 등을 바르는 단계를 거쳐야 했다. 하지만 별도로 보습제를 바르는 것은 귀찮을 뿐만 아니라 끈적거리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보습력이 증진되면서도 세정력은 유지되는 세정제에 대한 요구가 존재하였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세정제에 과량의 오일을 첨가함으로써 보다 보습력이 증진된 세정제를 구현하였는데, 그러나 세정제에 과량의 오일을 함유하기 위해서는 고점도의 라멜라상이 필요하며 이러한 라멜라상을 만들기 위해 지방산 알코올이나 지방산, 트리하이드록시 스테아린 등의 구조화제의 사용이 동반되어 안정도의 경시 문제나 기포력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오일 또는 실리콘의 첨가로 인해 오히려 세정 전 상태보다 피부 수분율 저하가 일어나는 문제도 종종 발생하였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보습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종래 유화제로 사용되던 알킬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를 바디워시나 샴푸 등의 세정제 조성물에 첨가하여 본 결과, 세정력을 유지하면서도 보습력이 증가되는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2016-0043758 A
본 발명의 목적은 알킬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를 포함하는 보습 효과가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알킬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n은 1이고; m은 6 내지 24이며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6 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식에서, n은 1이고; m은 6 내지 24이며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6 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킬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는 알킬렌글라이콜과 지방산의 에스테르화 반응에서 얻을 수 있는 화합물로서, 에스테르 화합물과 유사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헤어 및 피부의 유연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보습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알킬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는 프로필렌글라이콜 카프릴레이트(Propylene Glycol Caprylate), 프로필렌글라이콜 라우레이트(Propylene Glycol Laurate), 프로필렌글라이콜 미리스테이트(Propylene Glycol Myristate), 프로필렌글라이콜 스테아레이트(Propylene Glycol Stearate), 프로필렌글라이콜 베헤네이트(Propylene Glycol Behenate), 부틸렌글라이콜 라우레이트(Butylene Glycol Laurate), 부틸렌글라이콜 미리스테이트(Butylene Glycol Myristate), 부틸렌글라이콜 팔미테이트(Butylene Glycol Palmitate), 부틸렌글라이콜 스테아레이트(Butylene Glycol Stearate), 부틸렌글라이콜 베헤네이트(Butylene Glycol Behenate)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글라이콜 라우레이트(Propylene Glycol Laurate), 프로필렌글라이콜 미리스테이트(Propylene Glycol Myristate), 프로필렌글라이콜 스테아레이트(Propylene Glycol Stearate), 부틸렌글라이콜 라우레이트(Butylene Glycol Laurate), 부틸렌글라이콜 미리스테이트(Butylene Glycol Myristate), 부틸렌글라이콜 스테아레이트(Butylene Glycol Stearate) 일 수 있다.
알킬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3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알킬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보습성이 미흡할 수 있으며, 50 중량% 초과인 경우 사용감이 좋지 않아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의 혼합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기포의 표면장력이 낮아져 기포의 형성이 어렵고 기포가 쉽게 없어지는 단점이 있어 풍성한 기포력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오염 제거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기포력은 좋으나 헹굼성이 좋지 않고, 피부에 미끈거리는 느낌이 강하며 전체적인 사용감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일례로,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아실라우릴설페이트,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 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라우릴 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암모늄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기포의 표면장력이 낮아져 기포의 형성이 어렵고 기포가 쉽게 없어지는 단점이 있어 풍성한 기포력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오염 제거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기포력은 좋으나 헹굼성이 좋지 않고, 피부에 미끈거리는 느낌이 강하며 전체적인 사용감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일례로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라우라미도프로필베타인, 라우릴베타인, 코코-베타인, 미리스틸베타인, 코코디메틸카복시메틸베타인, 라우릴디메틸카복시메틸베타인 코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 코코-하이드록시설테인, 코코-설테인, 에루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 하이드록시설테인, 라우라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 라우릴하이드록시설테인 또는 라우릴설테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기포의 표면장력이 낮아져 기포의 형성이 어렵고 기포가 쉽게 없어지는 단점이 있어 풍성한 기포력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오염 제거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기포력은 좋으나 헹굼성이 좋지 않고, 피부에 미끈거리는 느낌이 강하며 전체적인 사용감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일례로 통칭 알킬글루코사이드로 알려진 카프릴릴/카프릭글루코사이드(Caprylyl/Capryl Glucoside), 데실글루코사이드(Decyl Glucoside), 코코-글루코사이드(Coco-Glucoside), 라우릴글루코사이드(Lauryl Glucosid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기포의 표면장력이 낮아져 기포의 형성이 어렵고 기포가 쉽게 없어지는 단점이 있어 풍성한 기포력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오염 제거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기포력은 좋으나 헹굼성이 좋지 않고, 피부에 미끈거리는 느낌이 강하며 전체적인 사용감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에서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폴리사카라이드 검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사카라이드 검류는 알킬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와 함께 세정제 조성물에 사용되어 더욱 높은 보습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폴리사카라이드 검류의 일례로 아가(Agar), 알긴(Algin), 카라기난(Carrageenan), 귀리전분(Avena Sativa (Oat) Starch), 이눌린(Inulin), 펙틴(Pectin), 아세트산 전분(Starch Acetate), 타피오카 전분(Tapioca Starch), 밀전분(Triticum Vulgare (Wheat) Starch), 변성감자전분(Potato Starch Modified)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 전분(Starch Acetate)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사카라이드 검류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아세트산 전분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보습성이 미흡할 수 있으며,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사용감이 좋지 않아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용 조성물은 보습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희석제, pH 조정제, 피부 영양제, 향료, 보존제, 염료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들의 함량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세정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폴리올(Polyol)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Glycerin), 피이지-8(PEG-8), 소르비톨(Sorbitol),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향료는 세정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동물성 향료 또는 식물성 향료라면 사용가능하며,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아로마오일 또는 멘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존제는 세정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라면 사용가능하며,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이미다졸린우레아,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살리실산나트륨,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메칠이소치아졸리논 또는 안식향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연고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치제, 크림제, 산제, 현탁제, 젤제 또는 젤의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인체 세정제 조성물일 수 있으나, 이에 용도가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바디세척용 또는 모발세척용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바디워시(Body Wash) 또는 샴푸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알킬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를 함유함으로써 세정력을 유지하면서도 뛰어난 보습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용 조성물은 알킬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를 함유함으로써, 종래 오일 기반의 세정제에서 부족했던 보습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소비자의 사용적 니즈를 만족시킨 헤어 및 피부용 세정제 조성물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3: 프로필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를 함유한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 및 조성비로 프로필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를 함유한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제수에 라우릴하이드록시설테인,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소듐라우레스 설페이트를 투입하여 균일한 상이 되도록 교반한 다음 프로필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 보존제 및 향료를 투입하여 균일한 상이 되도록 잘 교반하였다.
비교예 1
알킬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알킬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 대신 해바라기씨 오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 및 조성비로 아세트산 전분을 함유한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제수에 아세트산 전분, 라우릴하이드록시설테인,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소듐라우레스 설페이트를 투입하여 균일한 상이 되도록 교반한 다음 보존제 및 향료를 투입하여 균일한 상이 되도록 잘 교반하였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프로필렌글라이콜 라우레이트 10.0 - - - - -
프로필렌글라이콜 미리스테이트 - 10.0 - - - -
프로필렌글라이콜 스테아레이트 - - 10.0 - - -
해바라기씨 오일 - - - - 10.0 -
아세트산 전분 - - - - - 10.0
소듐라우레스 설페이트 11.2 11.2 11.2 11.2 11.2 11.2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1.5 1.5 1.5 1.5 1.5 1.5
라우릴하이드록시 설테인 3.0 3.0 3.0 3.0 3.0 3.0
향료 1.0 1.0 1.0 1.0 1.0 1.0
보존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시예 4 내지 6: 부틸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를 함유한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와 같은 조성 및 조성비로 부틸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를 함유한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제수에 라우릴하이드록시설테인,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소듐라우레스 설페이트를 투입하여 균일한 상이 되도록 교반한 다음 부틸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 보존제 및 향료를 투입하여 균일한 상이 되도록 잘 교반하였다.
성분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부틸렌글라이콜 라우레이트 10.0 - -
부틸렌글라이콜 미리스테이트 - 10.0 -
부틸렌글라이콜 스테아레이트 - - 10.0
소듐라우레스 설페이트 11.2 11.2 11.2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1.5 1.5 1.5
라우릴하이드록시 설테인 3.0 3.0 3.0
향료 1.0 1.0 1.0
보존제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실시예 7 내지 9: 프로필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 및 아세트산 전분을 함유한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3과 같은 조성 및 조성비로 프로필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 및 아세트산 전분을 함유한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제수에 아세트산 전분을 잘 분산시킨 후, 라우릴하이드록시설테인,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소듐라우레스 설페이트를 투입하여 균일한 상이 되도록 교반한 다음 프로필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 보존제 및 향료를 투입하여 균일한 상이 되도록 잘 교반하였다.
성분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프로필렌글라이콜 라우레이트 5.0 - -
프로필렌글라이콜 미리스테이트 - 5.0 -
프로필렌글라이콜 스테아레이트 - - 5.0
아세트산 전분 5.0 5.0 5.0
소듐라우레스 설페이트 11.2 11.2 11.2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1.5 1.5 1.5
라우릴하이드록시 설테인 3.0 3.0 3.0
향료 1.0 1.0 1.0
보존제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실시예 10 내지 12: 부틸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 및 아세트산 전분을 함유한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4와 같은 조성 및 조성비로 부틸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 및 아세트산 전분을 함유한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제수에 아세트산 전분을 잘 분산시킨 후, 라우릴하이드록시설테인,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소듐라우레스 설페이트를 투입하여 균일한 상이 되도록 교반한 다음 부틸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 보존제 및 향료를 투입하여 균일한 상이 되도록 잘 교반하였다.
성분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부틸렌글라이콜 라우레이트 5.0 - -
부틸렌글라이콜 미리스테이트 - 5.0 -
부틸렌글라이콜 스테아레이트 - - 5.0
아세트산 전분 5.0 5.0 5.0
소듐라우레스 설페이트 11.2 11.2 11.2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1.5 1.5 1.5
라우릴하이드록시 설테인 3.0 3.0 3.0
향료 1.0 1.0 1.0
보존제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시험예 1: 피부 수분 변화율 분석
상기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세정제 조성물을 피부에 사용하여 피부 수분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피검자의 팔뚝에 2cm x 2cm의 사각형 영역을 정하고, 상기 영역에 흐르는 물을 적신 후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세정용 조성물 0.1 g을 처리한 뒤 헹궈낸 다음, 물기를 가볍게 제거하고 25℃, 50%의 항온항습실에서 20분간 안정화 과정을 거친 뒤 시간에 따라 피부 표면의 수분율을 피부수분 측정기(모델명 my-808s; Scalar사 제조)로 측정하였다. 각 조성물 당 10명씩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정리하였으며, 도 1의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구분 처리 후 30분 경과 60분 경과
비교예1 -5.01 -6.13 -5.51
비교예2 -1.54 -2.83 -0.90
비교예3 -1.77 -2.52 -1.80
실시예1 -0.80 0 0.40
실시예2 -1.33 -1.5 -0.20
실시예3 -0.85 -0.21 0.35
실시예4 -1.25 -0.44 0.21
실시예5 -1.31 -1.37 -0.35
실시예6 -1.26 -0.99 -0.2
실시예7 -0.11 0.57 3.81
실시예8 -0.15 0.21 2.35
실시예9 -0.15 0.42 3.59
실시예10 -0.37 0.43 3.5
실시예11 -0.44 0.02 1.77
실시예12 -0.39 0.39 3.12
상기 표에서 '처리 후'의 의미는 피부에 세정제를 도포, 세정한 후 항온 항습 조건에서 20분 동안 안정화 과정을 거친 뒤 피부의 수분율 수치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세정제를 사용하게 되면 세정직후에는 피부 표면의 수분율이 세정 전보다 감소하게 된다. 실험을 통하여 이러한 사실은 물론 오일을 함유한 세정제를 사용하였을 때에도 세정 전보다 수분율이 감소한 결과를 볼 수 있다.
'30분 경과'는 세정제 도포, 세정 후 30분이 경과한 시점이며 '처리 후' 데이터 측정 뒤 10분이 경과한 시점이다.
'60분 경과'는 세정제 도포, 세정 후 60분이 경과한 시점에서의 피부 수분율 수치이다.
상기 표 5를 통해 프로필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를 함유한 실시예 1, 2 및 3의 조성물과, 부틸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를 함유한 실시예 4, 5 및 6의 조성물은, 알킬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의 조성물 및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해바라기씨 오일(sunflower seed oil)을 함유하는 비교예 2의 조성물, 아세트산 전분(Starch Acetate)을 함유하는 비교예 3의 조성물보다 높은 보습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프로필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와 아세트산 전분(Starch Acetate)을 같이 함유하는 실시예 7, 8 및 9의 조성물은 실시예 1, 2 및 3의 조성물보다 더욱 높은 보습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프로필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와 아세트산 전분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프로필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만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보습에 더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마찬가지로 부틸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와 아세트산 전분을 같이 함유하는 실시예 10, 11 및 12의 조성물은 실시예 4, 5 및 6의 조성물보다 더욱 높은 보습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부틸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와 아세트산 전분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부틸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만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보습에 더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모발 함수율 분석
상기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세정용 조성물을 모발에 사용하여 모발 표면의 함수율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1g의 모발에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세정용 조성물을 처리한 후 25℃, 55%RH에서 3시간 이상 건조 후에, 65℃에서 30분간 가열한 다음 건조잔분 측정기(모델명 HG53 Halogen Moisture Analyzer; Mettler Toledo사 제조)로 측정하였다. 각 조성물 당 10번씩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정리하였다.
  모발 함수율 블랭크 대비 함수율 증가량(%)
비교예1
(블랭크)
9.91 -
비교예2 10.01 1.01
비교예3 10.35 4.44
실시예1 12.34 24.52
실시예2 11.66 17.66
실시예3 12.08 21.90
실시예4 12.06 21.70
실시예5 11.41 15.14
실시예6 11.02 11.20
실시예7 17.04 71.95
실시예8 15.89 60.34
실시예9 16.26 64.08
실시예10 16.52 66.7
실시예11 15.58 57.21
실시예12 15.57 57.11
블랭크 대비 함수율 증가량(%) = (결과값-블랭크)/블랭크 * 100
상기 표 6을 통해 프로필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를 함유한 실시예 1, 2 및 3의 조성물과, 부틸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를 함유한 실시예 4, 5 및 6의 조성물은, 알킬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의 조성물 및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해바라기씨 오일(sunflower seed oil)을 함유하는 비교예 2의 조성물, 아세트산 전분(Starch Acetate)를 함유하는 비교예 3의 조성물보다 높은 함수율 증가를 보여 보습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프로필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와 아세트산 전분(Starch Acetate)을 같이 함유하는 실시예 7, 8 및 9의 조성물은 실시예 1, 2 및 3의 조성물보다 더욱 높은 보습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프로필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와 아세트산 전분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프로필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만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보습에 더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마찬가지로 부틸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와 아세트산 전분을 같이 함유하는 실시예 10, 11 및 12의 조성물은 실시예 4, 5 및 6의 조성물보다 더욱 높은 보습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부틸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와 아세트산 전분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부틸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만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보습에 더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5)

  1.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알킬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식 1에서, n은 1이고, m은 6 내지 24 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4

    상기 식 2에서, n은 1이고, m은 6 내지 24 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는 프로필렌글라이콜 라우레이트(Propylene Glycol Laurate), 프로필렌글라이콜 미리스테이트(Propylene Glycol Myristate), 프로필렌 글라이콜 스테아레이트(Propylene Glycol Stearate), 부틸렌글라이콜 라우레이트(Butylene Glycol Laurate), 부틸렌글라이콜 미리스테이트(Butylene Glycol Myristate) 및 부틸렌글라이콜 스테아레이트(Butylene Glycol Stear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세정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렌글라이콜 알킬레이트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용 세정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의 혼합인 것인 세정제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아실라우릴설페이트,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 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라우릴 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나트륨 및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암모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것인 세정제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라우라미도프로필베타인, 라우릴베타인, 코코-베타인, 미리스틸베타인, 코코디메틸카복시메틸베타인, 라우릴디메틸카복시메틸베타인, 코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 코코-하이드록시설테인, 코코-설테인, 에루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 하이드록시설테인, 라우라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 라우릴하이드록시설테인 및 라우릴설테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것인 세정제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카프릴릴/카프릭글루코사이드(Caprylyl/Capryl Glucoside), 데실글루코사이드(Decyl Glucoside), 코코-글루코사이드(Coco-Glucoside) 및 라우릴글루코사이드(Lauryl Glucos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것인 세정제 조성물.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용 세정제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조성물은 폴리사카라이드 검류를 더 포함하는것인 보습용 세정제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사카라이드 검류는 아가(Agar), 알긴(Algin), 카라기난(Carrageenan), 귀리전분(Avena Sativa (Oat) Starch), 이눌린(Inulin), 펙틴(Pectin), 아세트산 전분(Starch Acetate), 타피오카 전분(Tapioca Starch), 밀전분(Triticum Vulgare (Wheat) Starch) 및 변성감자전분(Potato Starch Modifie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것인 보습용 세정제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사카라이드 검류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보습용 세정제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방부제, 희석제, pH 조정제, 피부 영양제, 향료, 보존제, 염료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용 세정제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용 세정제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조성물은 바디세척용인 것인 보습용 세정제 조성물.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조성물은 모발세척용인 것인 보습용 세정제 조성물.
KR1020160115250A 2016-09-07 2016-09-07 보습 효과가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 KR102643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250A KR102643088B1 (ko) 2016-09-07 2016-09-07 보습 효과가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250A KR102643088B1 (ko) 2016-09-07 2016-09-07 보습 효과가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948A true KR20180027948A (ko) 2018-03-15
KR102643088B1 KR102643088B1 (ko) 2024-03-04

Family

ID=61659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250A KR102643088B1 (ko) 2016-09-07 2016-09-07 보습 효과가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0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0246A1 (en) * 2001-12-21 2003-09-25 Seren Frantz Stable surfactant compositions for suspending components
KR20080041148A (ko) * 2005-05-20 2008-05-09 로디아 인코포레이티드 구조화된 계면활성제 조성물
KR20150126894A (ko) * 2013-03-08 2015-11-13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비이온성의 양친매성 폴리머의 사용을 통한 클렌징 조성물의 개선된 발포 성능
KR20160043758A (ko) 2014-10-14 2016-04-2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보습력이 우수한 저자극성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0246A1 (en) * 2001-12-21 2003-09-25 Seren Frantz Stable surfactant compositions for suspending components
KR20080041148A (ko) * 2005-05-20 2008-05-09 로디아 인코포레이티드 구조화된 계면활성제 조성물
KR20150126894A (ko) * 2013-03-08 2015-11-13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비이온성의 양친매성 폴리머의 사용을 통한 클렌징 조성물의 개선된 발포 성능
KR20160043758A (ko) 2014-10-14 2016-04-2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보습력이 우수한 저자극성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3088B1 (ko) 202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5308B2 (en) Novel hair cleansing composition
JP6449544B2 (ja) 洗浄用組成物
US8057786B2 (en) Cosmetic and dermatological compositions in particular for the treatment of keratin containing substrates
CN118078667A (zh) 包含两性离子烷基-烷酰基酰胺和/或烷基链烷酸酯的组合物
US20160089322A1 (en) Cleansing Compositions
KR101629502B1 (ko) 세정효과가 우수한 저자극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
EP2663278B1 (de) Kosmetisches reinigungsmittel
WO2019205086A1 (en) A hair cleansing composition containing natural oils
KR20180027948A (ko) 보습 효과가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
GB2455294A (en) Skin or hair wash formulation
EP2839827A1 (en) Composition for skin hygiene and/or hydration
KR102401483B1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JP2007297393A (ja) オキシエチレンソルビトールエステル及びシクロデキストリンを含む化粧料組成物、方法並びに使用
KR101062156B1 (ko) 황기종자 스크럽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60119273A (ko) 워셔블 팩 화장료 조성물
EP1000606B1 (en) Weak acid skin cleanser containing an alkali salt of N-acyl-amino acid
KR100663593B1 (ko) 크림타입의 샴푸 조성물
JP3323826B2 (ja) 化粧品組成物
KR101105810B1 (ko) 인체 세정제 조성물
JP2007332046A (ja) ヘアシャンプー
WO2020070661A1 (en) Cleaning composition
KR20210015291A (ko) 비듬 완화 두피 세정용 조성물
KR100532698B1 (ko) 미네랄복합체를 함유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KR20180016144A (ko) 컨디셔닝이 우수한 모발 세정제 조성물
CN115414271B (zh) 一种具有良好用后肤感的沐浴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