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7879A - 안전밸브 - Google Patents

안전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7879A
KR20180027879A KR1020160115092A KR20160115092A KR20180027879A KR 20180027879 A KR20180027879 A KR 20180027879A KR 1020160115092 A KR1020160115092 A KR 1020160115092A KR 20160115092 A KR20160115092 A KR 20160115092A KR 20180027879 A KR20180027879 A KR 20180027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hole
safety valve
bonnet
disc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7253B1 (ko
Inventor
이종원
박정수
Original Assignee
에프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프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5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253B1/ko
Publication of KR20180027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opening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안전밸브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안전밸브는, 내부유체가 유입될 수 있는 입구(In)를 가지는 관통공(1a)이 상하 방향으로 성형되어 상부가 열린 바디(1); 상기 바디의 열린 상부와 결합되어 내부에 일정한 공간(R)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장착공(2a)이 성형되며,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Out)를 구비하는 본넷(2); 상기 본넷(2)의 장착공(2a)에 상부가 나사 결합되고, 본넷의 내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조절나사(12); 상기 바디(1)의 입구를 통하여 관통공(1a)에 나사 결합되는 원통상의 시트(3); 하단부가 상기 원통상의 시트의 상부 외측에 나사 결합되고 바디와 시트 사이에 조립되며, 상부에는 다수의 배출공(7a)을 구비하는 리프팅에이드(7); 상기 리프링에이드의 내부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저면에는 시트(3)의 상단과 접촉 또는 이격됨으로써 입구(In)를 통하는 유체를 단속 가능한 디스크(5)를 구비하는 디스크홀더(6); 그리고 상기 디스크홀더(6)와 조절나사 사이에 설치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디스크홀더(6)에 인가함으로써 내부 유체의 배출을 억제하는 탄성부재(10)로 구성되고 있다. 여기서 벨로즈(11)가 탄성부재를 감싸면서 디스크홀더와 조절나사 사이에 설치되어, 스프링 등이 강부식성 유체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안전밸브{A safety valve}
본 발명은 안전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밸브가 열고 닫히는 압력 조절에 대한 조작이 용이하고, 강산성 등과 같이 부식을 발생하는 유체에 대하여 내부 부품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전밸브에 관한 것이다.
안전밸브는 일반적으로 정해진 이상의 압력이 걸리는 경우, 오픈 상태로 전화되어 내부에 있는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전밸브는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한국 실용신안 등록 20-0475277에도 일종의 안전 밸브를 제안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먼저 밸브가 열리는 압력 및 닫히는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지적될 수 있다. 이는 실질적으로 밸브가 조립된 후에는 내부의 부품을 조작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조립된 상태에서 이와 같은 압력 조절이 쉽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강한 산성 등과 같은 부식을 발생하는 유체가 내장된 경우에는 이러한 유체에 의하여 밸브 내부 부품의 손상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내구성의 측면에서도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안전밸브의 내부에, 예를 들면 강한 산성을 띠는 유체가 내장되어 있는 경우, 외부 환경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유체의 유동에 의하여 밸브 내부의 부품이 부식되는 경우도 예상할 수 있다. 즉 안전밸브가 설치된 부분에서 강산성의 유체가 안전밸브에 접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대한 구조에 대해서는 어떠한 기술적 제안도 찾아볼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의 개폐 압력 조절이 용이한 안전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부식성 액체에 대하여 내부 부품을 충분히 보호함으로써 동작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안전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부식성 액체가 밸브 내부에 고여 있어서, 이에 따른 부식 등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안전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안전밸브는, 내부유체가 유입될 수 있는 입구를 가지는 관통공이 상하 방향으로 성형되어 상부가 열린 바디; 상기 바디의 열린 상부와 결합되어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장착공이 성형되며,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를 구비하는 본넷; 상기 본넷의 장착공에 상부가 나사 결합되고, 본넷의 내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조절나사; 상기 바디의 입구를 통하여 관통공에 나사 결합되는 원통상의 시트; 하단부가 상기 원통상의 시트의 상부 외측에 나사 결합되고 바디와 시트 사이에 조립되며, 상부에는 다수의 배출공을 구비하는 리프팅에이드; 상기 리프링에이드의 내부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저면에는 시트의 상단과 접촉 또는 이격됨으로써 입구를 통하는 유체를 단속 가능한 디스크를 구비하는 디스크홀더; 상기 디스크홀더와 조절나사 사이에 설치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디스크홀더에 인가함으로써 내부 유체의 배출을 억제하는 탄성부재;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를 감싸면서 디스크홀더와 조절나사 사이에 설치되어, 스프링이 내부 유체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벨로즈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 예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바디의 측면에는 개폐 가능한 조작공(1b)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공을 통하여 리프팅에이드를 회전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있다.
또 다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출공의 저면부분은,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테이퍼면으로 성형되고 있다. 또한 상기 리프팅에이드의 외측을 감싸는 바디에서 상기 배출공에 대응하거나 배출공보다 높은 부분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테이퍼면으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밸브의 정상 동작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 중의 하나를 수행하는 스프링이 기본적으로 벨로즈에 의하여 감싸진 상태로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내부식성이 강한 유체 등을 취급하는 안전 밸브로써, 내부 유체에 의한 스프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밸브 자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는 리프팅에이드는, 예를 들어 세트스크류를 제거한 상태에서 조작공을 통하여 회전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실질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있다. 또한 조절나사 역시 본넷에 나사 결합되어 있어서 회전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스프링을 조절함으로써 한계 압력의 조절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프팅에이드에 성형되는 배출공의 하부 부분을 경사면(테이퍼면)으로 성형함으로써, 강부식성 유체가 내부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강부식성 유체가 밸브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 중에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는 내구성의 향상이라는 장점으로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리프팅에이드 외측에 결합된 바디의 측면부분 일부도 경사면으로 성형함으로서, 부식성 유체가 내부에서 머물게 되는 단점을 해소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안전밸브에서 부식성 유체에 노출되는 부분을 하스텔로이 등과 같은 내부식성이 우수한 합금으로 성형함으로써, 전체적인 제품의 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전밸브의 예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안전배브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디와 본넷의 결합 부분 정면 예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밸브는 입구(In) 및 출구(Out)를 가지는 케이싱으로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안전밸브 케이싱은, 예를 들면 수직 방향의 입구(In)를 가지는 바디(1)와, 상기 바디(1)의 상부에 결합되고 예를 들면 수평 방향의 출구(Out)를 가지는 본넷(2)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넷(2)의 열린 하단부가, 바디(1)의 열린 상단부에 외측으로 나사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그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R)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R)은 입구(In) 및 출구(Out)와 선택적으로 연통하게 될 것이다. 예를 들면 디스크(5)에 작용하는 내부 유체의 힘이 스프링(10)의 힘 보다 강하면 디스크(5)는 상승하게 되고, 내부의 유체는 입구(In)에서 공간(R)을 거쳐 출구(Out)로 배출될 것이다. 일정량의 유체가 배출된 후, 내부의 압력이 낮아져서 디스크(5)를 상승시키는 힘이 스프링(10)의 힘보다 작아지면 디스크(5)는 하강하게 되고 이러한 배출경로는 막히게 된다.
상기 본넷(2)의 상단부는 장착공(2a)이 성형되어 있고, 이러한 장착공(2a)에는 조절나사(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절나사(12)는, 그 상부(12a)가 장착공(2a)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그 상단부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조립된다. 그리고 조절나사(12)의 돌출된 상단부(12a)에는 체결너트(15)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조절나사(12)의 상단부(12a)도 체결너트(15)와 나사 결합되도록 외측면에 수나사 가공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조절나사(12)와 장착공(2a)의 내측면 사이에는 씰링을 위한 씰링용링(13)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넷(2)의 상단은 캡(14)에 의하여 개폐되는데 이러한 캡(14)은 나사 결합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구조로 착탈 가능하게 본넷(2)에 조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조절나사(12)는 회전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이렇게 이동한 위치에서 체결너트(15)를 조임으로써 정해진 위치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조절나사(12)를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은, 유체의 압력에 반응하여 밸브가 열릴 때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조절나사(12)가 하강하여 스프링(10)을 압축한 상태로 유지하면 내부 유체의 압력이 디스크(5)를 상방으로 미는 힘이 상대적으로 더 커야 밸브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기 조절나사(12)의 하부에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하부지지부(12b)가 성형되어 있고, 코일 스프링(10)은 상기 하부지지부(12b)를 감싸면서 끼워져서 지지되고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10)의 상단부는 정해진 위치를 유지하는 조절나사(12)의 중간부분에 성형된 플랜지(12f)의 저면에 접촉되고, 코일스프링(10)의 하단부는 스프링시트(9)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스프링(10)의 탄성력은 스프링시트(9)에 가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입구(In)가 구비되고 상하 방향의 관통공(1a)을 구비하는 바디(1)에는, 링형상의 시트(3)가 관통공(1a)에 하부에서 상부로 나사 결합되어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시트(3)의 하단 플랜지(3a)는 바디(1)의 플랜지(1f) 저면에 접촉되어 지지되고 있다. 상기 시트(3)의 상단부에는, 링형상의 리프트에이드(7)가 외측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리프트에이드(7)의 하부는 바디(1)의 관통공(1a) 내측면에 근접하고 있으나 완전히 수밀 상태로 밀착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리프트에이드(7)의 상부는 바디(1) 상부의 확대된 내측면과 완전히 이격되어 그 사이에서 유체가 흐를 수 있으며, 더욱이 리프트레이트(7)이 상부측에 성형된 통과공(7a)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는 유체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다.
상기 리프트에이드(7)는 실질적으로 시트(3)의 상부에서 나사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바디(1)에 고정된 시트(3)와는 달리 리프트에이드(7)가 회전하게 되면 상하 방향으로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프트에이드(7)가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은 유체의 압력에 대한 반응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열린 밸브가 닫히는 경우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리프트에이드(7)의 회전 조작을 위하여, 바디(1)의 외측면에는 조작공(1b)를 성형해 두고 있고, 이러한 조작공(1b)는 평소에는 세트스크류(19)에 의하여 막혀 있다.
그리고 리프트에이드(7)의 외측면에는 널링 가공을 함으로써, 상기 세트스크류(19)을 분해한 후, 조작공(1b)이 개방되면 도구를 이용하여 널링 가공된 외측면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리프트에이드(7)를 회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리프트에이드(7)의 회전은 실질적으로는 상하 방향의 이동으로 나타나게 되어, 내부 유체의 외부 유출 시 밸브가 닫히는 압력을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시트(3)의 개구된 상부에는 디스크(5)가 밀착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디스크(5)는 디스크홀더(6)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있다. 예를 들면 디스크홀더(6)의 저면에 원형의 홈이 성형되고, 디스크(5)의 상부에는 이러한 원형의 홈에 들어가는 원형의 돌기가 성형되어, 양자가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홀더(6)의 상면에는 오목부분(6a)이 성형되고, 이러한 오목부분(6a)의 저면에는 원뿔형 홈(6b)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원뿔형 홈(6b)에는, 스프링시트(9)의 하부 정점부(9b)가 접촉하여 지지되고 있다. 상기 스프링시트(9)는 조절나사(12)와의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1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프링시트(9)는 디스크홀더(6)의 오목부분(6a)에 들어간 상태로 조립되고, 스프링시트(9)의 하단 정점부(9b)는 원뿔형 홈(6b)에 접촉(가능하면 점 접촉)하고 있다. 이러한 스프링시트(9) 및 디스크홀더(6)의 구성은, 이들의 수평유지가 편리하고 상하 이동 동작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홀더(6)와 조절나사(12) 사이에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의 벨로즈(11)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은 안전밸브에서 상술한 스프링(10)은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압력에 대하여 정확한 반응을 필요로 한다. 즉, 설정된 한계압력에서 정확하게 동작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데 설정된 탄성계수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만일 내장된 부식성 유체 또는 흄 가스에 스프링이 노출되면, 스프링(10)은 부식이 발생하게 되어 정확한 동작이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벨로즈(11)는 상기 스프링(10)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궁극적으로 스프링(10)을 부식성 유체 및 흄 가스 등에 대하여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프링(10)을 완벽하게 감싸기 위하여, 벨로즈(11)의 상단부는 조절나사(12)의 중간 플랜지(12f) 외측면에 접촉하여 결합되고, 벨로즈(11)의 하단부는 디스크홀더(6)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밸브의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1)와 본넷(2)은 서로 나사결합하고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바디(1)와 본넷(2)을 서로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케이싱이 슬림화됨과 같이 디자인적으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래에는 바디(1)와 본넷(2)은, 각각의 플랜지부에 다수의 볼트 및 너트 등으로 체결하여 연결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외형 디자인의 설계에 한계가 지적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바디(1)와 본넷(2)을 서로 나사 결합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디자인에 대한 설계 변형의 가능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나사 결합 방식으로 바디(1)와 본체(2)을 구성하는 경우, 임의로 바디(1) 또는 본넷(2)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회전 방지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또한 위의 설명에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공(1b)은 세트스크류(18)에 의하여 막혀 있다. 그리고 상기 세트스크류(19)의 외측에는 플러그(18)에 의하여 막혀지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플러그(18)는 세트크류(19)를 감싸면서 나사결합하는 결합부(18b)와 상기 결합부(18b)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헤드부(18a)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18b)는, 조립공(1b)보다 큰 지름을 가지도록 바디(1)에 성형된 결합공(1c)에 삽입된다.
그리고 세트스크류(19)에 플러그(18)가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플러그(18)의 헤드부(18a)는, 본넷(2)의 하단부에 오목하게 성형된 원호형홈(2g)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18)의 헤드부(18a)가 상기 원호형홈(2g)의 내부에 삽입되면, 바디(1)를 기준으로 할 때 본넷(2)은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세트스크류(19)에 결합되는 플러그(18) 및 본넷(2)의 하단부에 성형되는 원호형홈(2g)을 이용하여, 바디(1) 또는 본넷(2)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실질적으로는 임의로 바디(1)와 본넷(2)의 견고한 결합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안전밸브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안전밸브는 특정 유체의 용기 또는 배관 등에 설치되어, 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허용 압력 이상으로 되면 열려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한 상태에서 시트(3)에 형성된 입구(In)는 시트(3)의 상단부에 밀착된 디스크(5)에 의하여 막혀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내부 유체 압력이 설정된 한계 압력에 도달하게 되면, 이러한 유체의 압력이 디스크(5)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디스크(5)의 상향 이동은 유체의 압력이 디스크(5)를 가하는 힘은, 스프링(10)이 스프링시트(9)에 가하는 힘보다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스크(5)는 리프팅에이드(7)의 내부에 일정 간격 상승하게 된다. 상기 디스크(5)가 상승하여 이와 같은 배출공(7a)에 도달하게 되면 내부 유체가 배출공(7a)을 통하여 빠져 나간 후, 공간(R)을 경유하여 출구(Out)로 나가게 된다.
여기서 원통상의 리프팅에이드(7)에는 일정 높이에 성형된 다수의 배출공(7a))의 저면부분은,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테이퍼면(7b)으로 성형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리프팅에이드(7)의 외측을 감싸는 바디(1)에서 상기 배출공(7a)에 대응하거나 더 높은 부분도 상기 테이퍼면(7b)과 동일하게 테이퍼면(1b)으로 성형되고 있다. 이와 같은 리프팅에이드(7)의 테이퍼면(7b) 및 바디의 테이퍼면(1b)은, 외부로 배출되던 유체가 본 발명 안전밸브의 내부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 경사면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테이퍼면(1b,7b)의 구성에 의하여, 고압에 기인하여 배출되는 유체가 밸브 내부에서 고이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내부 부품의 부식 등과 같은 단점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디스크(5)의 상승에 의하여 내부 유체가 출구(Out)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면 내부의 압력은 낮아지게 된다. 내부 압력이 낮아지면 디스크(5)를 상승시키는 힘이 작아져서 결국은 스프링(10)의 복원력이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1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디스크(5)는 시트(3)의 상단부에 밀착되어 내부를 밀폐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 부품을 가지는 본 발명의 안전밸브에서, 내부 유체가 강한 산성 등과 같은 부식성 유체인 경우, 이러한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 상에서유체에 노출되는 부품은 내부식성 금속으로 성형하거나 테프론 등과 같이 내부식성이 높은 합성수지재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리프팅 에이드와 시트 등은 하스텔로이 또는 스테인레스 등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내부를 막기 위하여 시트의 상단부를 접촉하는 디스크는 합성수지재로, 바람직하게는 테프론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다양한 변화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자명하다고 할 수 있다.
1 ..... 바디
1a ..... 관통공
2 ..... 본넷
2a ..... 장착공
5 ..... 디스크
6 ..... 디스크홀더
9 ..... 스프링시트
10 ..... 스프링
11 ..... 벨로즈
12 ..... 조절나사
14 ..... 캡
15 ..... 체결너트

Claims (5)

  1. 내부유체가 유입될 수 있는 입구(In)를 가지는 관통공(1a)이 상하 방향으로 성형되어 상부가 열린 바디(1);
    상기 바디의 열린 상부와 결합되어 내부에 일정한 공간(R)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장착공(2a)이 성형되며,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Out)를 구비하는 본넷(2);
    상기 본넷(2)의 장착공(2a)에 상부가 나사 결합되고, 본넷의 내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조절나사(12);
    상기 바디(1)의 입구를 통하여 관통공(1a)에 나사 결합되는 원통상의 시트(3);
    하단부가 상기 원통상의 시트의 상부 외측에 나사 결합되고 바디와 시트 사이에 조립되며, 상부에는 다수의 배출공(7a)을 구비하는 리프팅에이드(7);
    상기 리프링에이드의 내부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저면에는 시트(3)의 상단과 접촉 또는 이격됨으로써 입구(In)를 통하는 유체를 단속 가능한 디스크(5)를 구비하는 디스크홀더(6);
    상기 디스크홀더(6)와 조절나사 사이에 설치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디스크홀더(6)에 인가함으로써 내부 유체의 배출을 억제하는 탄성부재(10);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를 감싸면서 디스크홀더와 조절나사 사이에 설치되어, 스프링이 내부 유체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벨로즈로 구성되는 안전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측면에는 개폐 가능한 조작공(1b)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공을 통하여 리프팅에이드를 회전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는 안전밸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의 저면부분은,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테이퍼면으로 성형되는 안전밸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에이드 및 시트는 하스텔로이로 성형되는 안전밸브.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공을 개폐하기 위하여 조작공에 나사결합되는 세트스크류와, 상기 세트스크류에 나사 결합되는 플러그, 그리고 상기 플러그의 헤드부가 내측에 결합되도록 바디의 하단부에 성형되는 원호형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전밸브.
KR1020160115092A 2016-09-07 2016-09-07 안전밸브 KR101857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092A KR101857253B1 (ko) 2016-09-07 2016-09-07 안전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092A KR101857253B1 (ko) 2016-09-07 2016-09-07 안전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879A true KR20180027879A (ko) 2018-03-15
KR101857253B1 KR101857253B1 (ko) 2018-06-20

Family

ID=61659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092A KR101857253B1 (ko) 2016-09-07 2016-09-07 안전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2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8431A (zh) * 2019-12-13 2020-02-28 罗浮阀门集团有限公司 双重密封弹簧式安全阀
US11614176B1 (en) 2022-08-29 2023-03-28 Prince Mohammad Bin Fahd University Relief valve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01545A (en) * 1958-10-22 1961-09-26 Manning Maxwell & Moore Inc Spring loaded pop-action safety valves
KR970703510A (ko) * 1994-05-18 1997-07-03 윌리암 알. 피플즈 다중 매체 안전 밸브(Multi-Media Safety Relief Valve)
KR200447280Y1 (ko) * 2009-01-21 2010-01-13 김경호 보일러 압력용기용 안전 밸브
KR20170099720A (ko) * 2016-02-24 2017-09-01 조광아이엘아이주식회사 디스크 상부에 탄성체가 구비된 안전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01545A (en) * 1958-10-22 1961-09-26 Manning Maxwell & Moore Inc Spring loaded pop-action safety valves
KR970703510A (ko) * 1994-05-18 1997-07-03 윌리암 알. 피플즈 다중 매체 안전 밸브(Multi-Media Safety Relief Valve)
KR200447280Y1 (ko) * 2009-01-21 2010-01-13 김경호 보일러 압력용기용 안전 밸브
KR20170099720A (ko) * 2016-02-24 2017-09-01 조광아이엘아이주식회사 디스크 상부에 탄성체가 구비된 안전밸브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8431A (zh) * 2019-12-13 2020-02-28 罗浮阀门集团有限公司 双重密封弹簧式安全阀
CN110848431B (zh) * 2019-12-13 2023-06-30 罗浮阀门集团有限公司 双重密封弹簧式安全阀
US11614176B1 (en) 2022-08-29 2023-03-28 Prince Mohammad Bin Fahd University Relief valve device
US11662035B1 (en) 2022-08-29 2023-05-30 Prince Mohammad Bin Fahd University Oil-damped pressure release valve
US11746916B1 (en) 2022-08-29 2023-09-05 Prince Mohammad Bin Fahd University Relief device with partial oil filling
US11761550B1 (en) 2022-08-29 2023-09-19 Prince Mohammad Bin Fahd University Stem-base hollow relief valve device
US11773996B1 (en) 2022-08-29 2023-10-03 Prince Mohammad Bin Fahd University Hollow stem relief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253B1 (ko) 201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679B1 (ko) 유체 제어기
US7077157B2 (en) Spring-loaded pressure relief valve, particularly for containers of pressurized fluids
KR101857253B1 (ko) 안전밸브
KR101905742B1 (ko) 파열디스크가 일체로 구비된 안전밸브
KR101708756B1 (ko) 잠금형 다이어프램 밸브
US9222582B2 (en) Main valve with internal rigid structure
KR101163775B1 (ko) 유체 제어기
US9416893B2 (en) Fluid controller actuator
JP2010525467A5 (ko)
KR930004837A (ko) 유체 제어기
KR20170009970A (ko) 유체 제어기
KR101917730B1 (ko) 초고압밸브용 밸브시트
EP3821159B1 (en) Safety valve and radiator using such safety valve
JP2010174911A (ja) 開閉弁
JP2007016891A (ja) エア抜き弁
KR101695938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글로브 밸브
CN203730872U (zh) 一种节水装置
US9353883B2 (en) Excess pressure safety relief valve
JP5779559B2 (ja) ダイヤフラム弁
KR101061244B1 (ko) 안전 방출 밸브
JP2021021409A (ja) ダイヤフラムバルブ
US10386868B2 (en) Piston sensor with baffle plate
CN203585491U (zh) 一种启闭可靠的水利控制阀
CN213419896U (zh) 一种螺纹快装止回阀
KR200290357Y1 (ko) 역압배출장치를 일체로 갖춘 감압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