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7192A -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 및 그에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 - Google Patents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 및 그에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7192A
KR20180027192A KR1020160114484A KR20160114484A KR20180027192A KR 20180027192 A KR20180027192 A KR 20180027192A KR 1020160114484 A KR1020160114484 A KR 1020160114484A KR 20160114484 A KR20160114484 A KR 20160114484A KR 20180027192 A KR20180027192 A KR 20180027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temperature sensor
ultracapacito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8400B1 (ko
Inventor
김성현
이하영
유용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4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400B1/ko
Publication of KR20180027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14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adjusting or protecting hybrid or EDL capacitors
    • H01G11/18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adjusting or protecting hybrid or EDL capacitors against thermal overloads, e.g.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7/0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 H01C7/04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having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10Multiple hybrid or EDL capacitors, e.g. arrays or modu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15Non-printed capaci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의 내부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인쇄회로기판 기반의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울트라 캐패시터 셀과 상기 복수의 울트라 캐패시터 셀이 장착되며 상기 장착된 복수의 울트라 캐패시터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셀 배선패턴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울트라 캐패시터를 장착한 인쇄회로기판 모듈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인쇄회로기판 중앙부의 상기 울트라 캐패시터 장착 위치를 벗어난 지점에 표면 실장되는 온도 센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듈 내부 온도의 모니터링이 가능한 인쇄회로기판 기반의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 및 그에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Ultra-Capacitor Module And PCB Module For The Same}
본 발명은 울트라 캐패시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에 복수의 울트라 캐패시터를 배열된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 및 그에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에 관한 것이다.
울트라 캐패시터(Ultra-Capacitor)는 슈퍼 캐패시터(Super Capacitor)라고도 불리우며, 전해 콘덴서와 이차전지의 중간적인 특성을 갖는 에너지 저장장치로써 높은 효율, 반영구적인 수명 특성으로 이차전지와의 병용 및 대체 가능한 차세대 에너지 저장장치이다.
이러한 울트라 캐패시터는 고전압용 전지로 사용되기 위해서 수천 패럿(Farad) 또는 수십 내지 수백 전압의 고전압 모듈이 필요하다. 고전압 모듈은 각각의 단위 셀(Cell)인 울트라 캐패시터가 필요한 수량만큼 연결되어 고전압용 울트라 캐패시터 어셈블리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10) 내에는 복수의 울트라 캐패시터(도시하지 않음)가 수납되어 있다. 상기 모듈에는 복수의 울트라 캐패시터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극 단자(12, 16)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듈에는 상기 울트라 캐패시터의 중간 전압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중간 전압 단자(1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극 단자(12, 16) 및 중간 전압 단자(14)를 통해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의 충방전 및 중간 전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울트라 캐패시터가 빠른 충방전 특성, 높은 효율, 반영구적인 수명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인적 접근이 불편한 원격지의 부하 전원으로 사용되기에 보다 적합하다는 장점을 갖지만, 울트라 캐패시터의 동작 상태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한 요구가 있다.
특히,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은 설치 후에는 분해 관찰이 용이하지 않으며, 모듈 내에 탑재되는 울트라 캐패시터 셀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의 정상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사전에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모니터링 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듈의 내부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인쇄회로기판 기반의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모듈 내부에 온도 모니터링 수단의 배치를 최적화 하는 인쇄회로기판 기반의 울트라 캐피시터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인쇄회로기판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울트라 캐패시터 셀과 상기 복수의 울트라 캐패시터 셀이 장착되며 상기 장착된 복수의 울트라 캐패시터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셀 배선패턴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울트라 캐패시터를 장착한 인쇄회로기판 모듈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인쇄회로기판 중앙부의 상기 울트라 캐패시터 장착 위치를 벗어난 지점에 표면 실장되는 온도 센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복수의 울트라 캐패시터의 충전 또는 방전을 위한 전극 단자; 상기 울트라 캐패시터의 모듈의 중간 전압 측정을 위한 중간 전압 모니터링 단자; 및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수신하기 위한 온도 센서 모니터링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단자, 상기 중간 전압 모니터링 단자 및 온도 센서 모니터링 단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셀 배선패턴으로부터 상기 중간 전압 모니터링 단자로 연결되는 제1 연결배선; 및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상기 온도 센서 모니터링 단자로 연결되는 제2 연결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서 상기 제1 연결배선 및 제2 연결배선의 최소한 일부는 동일한 울트라 캐패시터 셀 사이에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연결배선 및 제2 연결배선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울트라 캐패시터 셀은 실질적으로 사각형 배열을 가지며,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사각형 배열의 대각선 교차점에서 최단거리에 있는 4개의 울트라 캐패시터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4개의 울트라 캐패시터의 중심을 연결한 영역 내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온도 센서는 NTC 써미스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울트라 캐패시터 셀이 장착되며 상기 장착된 복수의 울트라 캐패시터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셀 배선패턴을 구비하고, 중앙부의 울트라 캐패시터 장착 위치를 벗어난 지점에 표면 실장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 상기 인쇄회로기판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하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를 덮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전극 단자 접점. 중간 전압 모니터링 접점 및 온도 센서 모니터링 접점이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듈 내부 온도의 모니터링이 가능한 인쇄회로기판 기반의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듈 내부 온도 모니터링 수단의 배치를 인쇄회로기판에 표면 실장함으로써 간편하게 모듈 내부 온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듈의 충방전 단자, 전압 모니터링 단자와 함께 온도 센싱용 단자의 배치를 최적화하는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 외관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을 탑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에 탑재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NTC 써미스터의 외관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NTC 써미스터의 배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NTC 써미스터의 배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을 탑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200)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210)와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상부 케이스(2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는 적절한 절연성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210)는 내부에 직육면체 형태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바닥면(212)과 바닥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벽(214)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는 사출 또는 압출 성형될 수 있다. 이 때, 금형으로부터의 탈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외벽(214)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면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220)는 하부 케이스(2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 커버(221)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220)의 커버(221)의 적절한 위치에는 하부 케이스(210)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 부재(229)가 제공된다.
이상 하부 케이스는 소정 체적의 수용 공간을 갖는 것으로, 상부 케이스(220)는 판 형태의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220)와 하부 케이스(210)는 각각 수용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소정 체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케이스(120) 및 하부 케이스(210)은 동일한 높이의 대칭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케이스(22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복수개의 단자 접점(230, 240, 250, 260)이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자 접점은 전극 단자 접점(230, 240), 중간 전압 모니터링 접점(260) 및 온도 센서 모니터링 접점(25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내부 수용 공간에는 인쇄회로기판 모듈(100)이 삽입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 모듈(100)은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이하 '장착면'이라고 함)에 복수의 울트라 캐패시터 셀(101)이 배열된 구조를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장착면은 하부 케이스(210)의 바닥면(212)과 대향하도록 삽입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110)은 복수의 울트라 캐패시터 셀(101)이 장착되는 장착면(110A)과 상기 장착면의 배면(110B)을 포함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장착면(110A)에는 복수의 울트라 캐패시터 셀(101)이 배열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울트라 캐패시터 셀(101)은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의 울트라 캐패시터 셀(101)은 행과 열을 이루어 사각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사각형 배열 내에서 상기 복수의 울트라 캐패시터 셀(101)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10B)에는 상기 복수의 울트라 캐패시터 셀(10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셀 배선패턴(120)이 구비된다. 상기 셀 배선패턴(120)은 상기 복수의 울트라 캐패시터(101)을 직렬, 병렬 또는 양자를 적절히 조합하는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시한 도면은 배선패턴(120)에 의해 복수의 울트라 캐패시터 셀(101)을 직렬로 연결되고, 직렬 연결된 배열의 양단이 두 전극 단자(130, 140)로 접속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은 단일층의 절연기판의 상하면에 회로패턴이 형성된 단일층 기판이거나 복수의 절연기판이 적층된 다층회로기판일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 모듈의 일단에는 일련의 단자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자가 형성된 면은 인쇄회로기판의 배면이다.
상기 단자는 전극 단자(130, 140), 중간 전압 모니터링 단자(160) 및 온도 센서 모니터링 단자(150)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들은 인쇄회로기판의 가장 자리에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단자들은 모듈 조립시 상부 케이스(220)의 전극 단자 접점(230, 240), 중간 전압 모니터링 접점(250) 및 온도 센서 모니터링 접점(260)과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단자들은 인쇄회로기판(110)의 적절한 위치에 분산배치 될 수 있으며, 도 4와 관련한 단자 배치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전극 단자(130, 140)는 인쇄회로기판 모듈(100)에 장착된 복수의 울트라 캐패시터 셀(101)의 충방전에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전극 단자(130, 140)는 외부의 부하나 전원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서 전극 단자(130, 140)는 각각 두 개의 접점을 제공하고 있다. 여분의 접점은 예컨대 다른 울트라 캐패시터와의 전기적 연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전압 모니터링 단자(150)는 모듈을 구성하는 복수의 울트라 캐피시터 셀 어레이 중 절반의 울트라 캐패시터에 대한 전압 정보(중간 전압)를 제공한다. 중간 전압을 통해 셀의 충방전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 모니터링 단자(160)는 인쇄회로기판(110)에 장착된 온도 센서의 출력 신호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온도 센서의 배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 모듈(100)에는 복수의 체결부재 삽입홈(18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재 삽입홈(180)에는 상부 케이스(220)의 체결부재(229)가 삽입되며, 삽입된 체결부재(229)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모듈(100)을 케이스에 견고히 고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셀 장착면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 상의 셀 장착 위치(112)가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다. 셀의 장착을 위해 셀 장착 위치(112)에는 각각 울트라 캐패시터 셀의 양극 및 음극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삽입홈(101A, 101B)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인쇄회로기판은 10*6의 사각형 배열을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울트라 캐패시터는 사각형 배열 내에서 각 행의 개별 울트라 캐패시터가 지그재그된 위치를 갖도록 배치되어 있다.
인쇄회로기판(110)의 개별 셀 배선패턴(120, 120A, 120B)은 인접하는 울트라 캐패시터의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장착된 모든 울트라 캐패시터는 좌측 하단의 전극 단자(132A, 132B)와 우측 하단의 전극 단자(142A, 142B) 사이에서 모두 직렬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모듈의 전극 단자(130, 140), 중간 전압 모니터링 단자(150) 및 온도 센서 모니터링 단자(160)에 대응하는 단자 배선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자 배선패턴은 전극 단자 패턴(132A, 132B, 142A, 142B), 중간 전압 모니터링 단자 패턴(152A, 152B) 및 온도 센서 모니터링 단자 패턴(160A, 160B)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의 단자 패턴들은 울트라 캐패시터의 지그재그 배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단자 패턴들은 지그재그된 울트라 캐패시터에 의해 제공되는 인쇄회로기판의 공백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은 셀 어레이의 중간 전압의 모니터링을 위한 회로 패턴을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중앙부 상단의 셀 배선패턴(120A)은 연결배선(154A)에 의해 중간 전압 모니터링 단자 패턴(152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우측 하단의 셀 배선패턴(120B)는 연결배선(154B)을 통해 중간 전압 모니터링 단자 패턴(152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두 연결배선(154A, 154B) 사이의 전압은 셀 어레이 중 절반의 울트라 캐패시터들의 연결 전압 즉 중간 전압을 나타낸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의 중앙부에는 온도 센서(170)가 장착된다. 상기 온도 센서는 예컨대 NTC 써미스터일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170)는 바람직하게는 셀 장착 위치(112)를 벗어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온도 센서는 셀 배선패턴(120, 120A, 120B)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치는 울트라 캐패시터 셀 또는 셀 배선패턴과의 원하지 않는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요구된다.
상기 온도 센서(180)는 연결배선(174A, 174B)을 통해 상기 온도 센서 모니터링 단자 패턴(162A, 162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 센서 모니터링 단자 패턴(162A, 162B)을 통해 온도 센서의 출력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온도 센싱을 위한 연결배선(174A, 174B)과 중간 전압 측정을 위한 연결배선(154A, 154B)은 인쇄회로기판의 중앙부를 가로질러 인접하는 셀 사이에서 동일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정 구간에서 상기 온도 센싱을 위한 연결배선(174A, 174B)과 중간 전압 측정을 위한 연결배선(154A, 154B)은 중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호 간의 신호 간섭을 억제하기 위하여 인쇄회로기판의 상이한 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중간 전압 측정용 연결배선(154A, 154B)은 셀 장착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온도 센싱용 연결배선(174A, 174B)은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 센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온도 센서(170)는 예컨대 NTC 써미스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NTC 써미스터는 양단에 전극(172A, 172B)를 구비한 칩형 NTC 써미스터일 수 있다. 상기 양단 전극(172A, 172B)는 인쇄회로기판 표면에 실장되어 도 5에서 설명한 연결배선(174A, 174B)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온도 센서의 배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도시된 10*6 배열을 갖는 울트라 캐패시터의 모듈에서 기판 상의 여러 위치에 NTC 써미스터를 배치한 후 방전시의 온도를 모니터링하였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NTC 써미스터를 ① 내지 ⑦의 위치에 배치한 후 온도 측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위치 측정 온도(℃)
35
37.8
36
40.2
34.5
37
40.7
위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앙부인 위치 ⑦에서 가장 높은 온도를 나타내었고, 주변부로 갈수록 온도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센서의 배치 위치는 다음의 순서로 설정될 수 있다.
먼저, 울트라 캐패시터 배열에서 내 모서리의 울트라 캐패시터의 중심점들을 연결하는 대각선을 긋고, 그 교차점을 인쇄회로기판의 중심(P)으로 정의한다. 다음, 기판의 중심(P)으로부터 최단 거리에 배치된 4개의 울트라 캐패시터(C1, C2, C3, C4)를 선정한다. 마지막으로 선정된 4개의 울트라 캐패시터만을 포함하는 영역을 작도하여 이 영역을 센서 배치 위치로 선정한다.
도 7은 센서 배치 위치로 선정 가능한 두 가지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영역 A는 4개의 최인접 울트라 캐패시터를 온전히 포함하는 영역이다. 영역 B는 최인접 울트라 캐패시터의 중심을 연결하는 영역으로 각 울트라 캐패시터의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이와 같이 선정된 영역 중 셀 장착 위치에서 벗어난 지점에 온도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도 7과는 다른 배열을 갖는 모듈의 온도 센서의 배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각선 교차점(P)의 최인접 울트라 캐패시터(C1, C2, C3, C4)의 중심을 잇는 영역은 온도 센서의 배치에 적합한 영역이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인쇄회로기판 모듈 101 울트라 캐패시터 셀
110 인쇄회로기판 110A 셀 장착면
110B 배면 112 셀 장착위치
120, 120A, 120B 셀 배선패턴
130, 140 전극 단자
132, 132B, 142A, 142B 전극 단자 패턴
152A, 152B 중간 전압 모니터링 단자
162A, 162B 온도 센서 모니터링 단자
150 중간 전압 모니터링 단자
154A, 154B 연결 배선
160 온도 센서 모니터링 단자
170 온도 센서 172A, 172B 센서 전극
174A, 174B 연결배선 180 체결부재 삽입홈
200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
210 하부 케이스 212 바닥면
214 외벽 220 상부 케이스
221 커버 229 체결부재
230, 240 전극 단자 접점
250 중간 전압 모니터링 접점
260 온도 센서 모니터링 접점

Claims (9)

  1. 복수의 울트라 캐패시터 셀과 상기 복수의 울트라 캐패시터 셀이 장착되며 상기 장착된 복수의 울트라 캐패시터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셀 배선패턴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울트라 캐패시터를 장착한 인쇄회로기판 모듈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인쇄회로기판 중앙부의 상기 울트라 캐패시터 장착 위치를 벗어난 지점에 표면 실장되는 온도 센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복수의 울트라 캐패시터의 충전 또는 방전을 위한 전극 단자;
    상기 울트라 캐패시터의 모듈의 중간 전압 측정을 위한 중간 전압 모니터링 단자; 및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수신하기 위한 온도 센서 모니터링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단자, 상기 중간 전압 모니터링 단자 및 온도 센서 모니터링 단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셀 배선패턴으로부터 상기 중간 전압 모니터링 단자로 연결되는 제1 연결배선; 및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상기 온도 센서 모니터링 단자로 연결되는 제2 연결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서 상기 제1 연결배선 및 제2 연결배선의 최소한 일부는 동일한 울트라 캐패시터 셀 사이에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배선 및 제2 연결배선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울트라 캐패시터 셀은 실질적으로 사각형 배열을 가지며,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사각형 배열의 대각선 교차점에서 최단거리에 있는 4개의 울트라 캐패시터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4개의 울트라 캐패시터의 중심을 연결한 영역 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는 NTC 써미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
  8. 복수의 울트라 캐패시터 셀이 장착되며 상기 장착된 복수의 울트라 캐패시터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셀 배선패턴을 구비하고, 중앙부의 울트라 캐패시터 장착 위치를 벗어난 지점에 표면 실장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
    상기 인쇄회로기판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하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를 덮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전극 단자 접점. 중간 전압 모니터링 접점, 온도 센서 모니터링 접점이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
KR1020160114484A 2016-09-06 2016-09-06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 및 그에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 KR102408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484A KR102408400B1 (ko) 2016-09-06 2016-09-06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 및 그에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484A KR102408400B1 (ko) 2016-09-06 2016-09-06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 및 그에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192A true KR20180027192A (ko) 2018-03-14
KR102408400B1 KR102408400B1 (ko) 2022-06-13

Family

ID=61660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484A KR102408400B1 (ko) 2016-09-06 2016-09-06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 및 그에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4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9289A (ja) * 2013-03-15 2014-09-25 Hitachi Vehicle Energy Ltd 蓄電モジュール
JP2014220157A (ja) * 2013-05-09 2014-1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基板および蓄電装置の組立方法
KR20160136472A (ko) * 2013-01-14 2016-11-29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Tdd 모드에서 epdcch를 위한 pucch 리소스 압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6472A (ko) * 2013-01-14 2016-11-29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Tdd 모드에서 epdcch를 위한 pucch 리소스 압축
JP2014179289A (ja) * 2013-03-15 2014-09-25 Hitachi Vehicle Energy Ltd 蓄電モジュール
JP2014220157A (ja) * 2013-05-09 2014-1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基板および蓄電装置の組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8400B1 (ko) 202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17782B (zh) 用于电连接电池组电池的连接构件
EP2465122B1 (en) Composite capacitance and use thereof
US10910616B2 (en) Battery pack for vehicle and vehicle comprising battery pack
JP2011243561A (ja) バッテリーパック
US9543555B2 (en) Battery module
KR20120055158A (ko) 신규한 구조의 버스 바 어셈블리
EP3958373A1 (en) Stacking power supply cabinet
KR20060073433A (ko) 분리형 커넥팅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이차전지 모듈의제조방법
US20050168911A1 (en) Capacitor module and capacitor battery comprising the same
EP2612389B1 (en) High-voltage battery with integrated cell connector
KR101490054B1 (ko)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PCB assembly)를 이용한 울트라캐패시터 모듈과 그 제조방법
JP3691260B2 (ja) 組電池及びその連結体
CN114256544A (zh) 电池模块及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EP3432331B1 (en) Connection structure for energy storage module
KR102408400B1 (ko)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 및 그에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
EP4020661A1 (en) Battery pack, electronic device and vehicle
US11398664B2 (en) Battery and battery system
KR102294491B1 (ko)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 및 그에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 모듈
KR101476330B1 (ko) 커패시터 모듈
KR20130032680A (ko) 울트라 커패시터 모듈 및 이를 위한 연결부재
KR101530129B1 (ko) 울트라캐패시터 모듈과 그 제조방법
CN210516495U (zh) 一种高温型高能量锂电容
CN220021500U (zh) 连接片、采集集成件以及储能装置
CN219321538U (zh) 一种应用在电动汽车上的电池模组
KR102551634B1 (ko) 결합 및 접속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