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7142A - 메리골드 꽃의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메리골드 꽃의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7142A
KR20180027142A KR1020160114352A KR20160114352A KR20180027142A KR 20180027142 A KR20180027142 A KR 20180027142A KR 1020160114352 A KR1020160114352 A KR 1020160114352A KR 20160114352 A KR20160114352 A KR 20160114352A KR 20180027142 A KR20180027142 A KR 20180027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oil
fragrance
perfume
perfum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9981B1 (ko
Inventor
이유선
김재영
김성래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160114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981B1/ko
Publication of KR20180027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9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메리골드 꽃의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타겟 오일 0.1 내지 2 중량%, 부추 오일 0.1 내지 1 중량%, 베티버 오일 0.5 내지 2 중량%, 시더우드 오일 3 내지 9 중량%, 베르가못 오일 2 내지 6 중량%, 스위트 오렌지 오일 1.5 내지 4.5 중량%, 레몬 오일 2 내지 5 중량%, 페퍼민트 오일 0.5 내지 2 중량%, 헤디온 10 내지 30 중량%, 이소 이 슈퍼 7 내지 20 중량%, 에틸 리날룰 3 내지 9 중량%, 페녹사놀 3 내지 9 중량%, 스티랄릴 아세테이트 2 내지 5 중량%, 리날릴 아세테이트 2 내지 5 중량%, 갈락솔라이드 1 내지 5 중량%, 알파-이소메틸 이오논 1 내지 5 중량%, 쿠마린 1 내지 5 중량%, 릴리알 0.5 내지 2 중량% 및 에틸 말톨 0.1 내지 2 중량%를 함유한다.

Description

메리골드 꽃의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PERFUME COMPOSITION HAVING THE FRAGRNACE OF FLOWER OF TAGETES MINUTA}
본 발명은 메리골드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겟(Tagete) 오일, 부추(Buchu) 오일, 베티버(Vetyver) 오일, 시더우드(Cedarwood) 오일, 베르가못(Bergamot) 오일, 스위트 오렌지 오일, 레몬 오일 및 페퍼민트 오일과 합성향료를 적절히 조합하여 뛰어난 기호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메리골드(Tagetes minuta)는 남아메리카와 멕시코가 원산지이고 현재는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 북미 등지에서 자란다. 향이 강하게 나는 일년생 허브로 약 30cm까지 자라며 꽃은 밝은 오렌지색으로 데이지와 비슷하며, 잎은 달걀모양으로 진한 녹색이다.
인도에서는 프랑스 메리골드가 꽃을 피울 때 수확하여 증류한 뒤 샌달우드 오일이 담긴 용매와 혼합하여 아타르젠다(attar genda)라고 불리는 향수를 만들며, 중국에서는 이국 메리골드 꽃을 달여 발작적 기침, 감기, 복통, 유행성 이하선염, 유선염, 눈의 통증 등에 사용한다.
오일(taget)은 대부분 남아프리카, 프랑스, 아르헨티나, 이집트에서 생산되며 색은 짙은 오렌지 혹은 노란색의 오일로 달콤한 녹색 과일향이 난다. 주 성분은 타케톤(Tagetone)이며 오시멘(ocimene), 미르센(myrcene), 리나롤(linalool), 리모넨(limonene), 피넨(pinene), 카르본(carvone), 시트랄(citral), 캄펜(camphene), 발레릭산(valeric acid) 등이다. 오일의 주성분인 타게톤은 케톤류의 지방성 화합물로, 케톤류는 진정작용과 점막 등의 울혈제거제로 사용되며 상처치료를 빠르게 도와주지만 피부에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어 함부로 사용할 수 없으며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사용해야 안전하다.
천연 에센셜 오일은 향수 및 식품 등에서 기호성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재배시기 및 환경 등에 따라 향취 및 가격이 많이 달라지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천연오일의 향취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일정의 천연 에센셜 오일에 합성향료를 조합하여 일정한 품질의 천연의 향취를 유지하여, 제품의 기호성을 높이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08883호에서는 춘란(Cymbidium goeringii Reichb) 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천연향료 및 합성향료를 사용하여 메리골드 오일의 향취를 재현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타겟(Tagete) 오일, 부추(Buchu) 오일, 베티버(Vetyver) 오일, 시더우드(Cedarwood) 오일, 베르가못(Bergamot) 오일, 스위트 오렌지 오일, 레몬 오일 및 페퍼민트 오일과 헤디온(Hedione), 이소 이 슈퍼(Iso E Super), 에틸 리날룰(Ethyl linalool), 페녹사놀(Phenoxanol), 스티랄릴 아세테이트(Styrallyl acetate), 리날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갈락솔라이드(Galaxolide), 알파-이소메틸 이오논(Alpha-isomethyl ionone), 쿠마린(Coumarine), 릴리알(Lilial), 에틸 말톨(Ethyl maltol)의 합성향료를 일정한 비율로 조합하였을 때 네추럴한 메리골드의 향취를 재현할 수 있다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메리골드 꽃의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타겟 오일 0.1 내지 2 중량%, 부추 오일 0.1 내지 1 중량%, 베티버 오일 0.5 내지 2 중량%, 시더우드 오일 3 내지 9 중량%, 베르가못 오일 2 내지 6 중량%, 스위트 오렌지 오일 1.5 내지 4.5 중량%, 레몬 오일 2 내지 5 중량%, 페퍼민트 오일 0.5 내지 2 중량%, 헤디온 10 내지 30 중량%, 이소 이 슈퍼 7 내지 20 중량%, 에틸 리날룰 3 내지 9 중량%, 페녹사놀 3 내지 9 중량%, 스티랄릴 아세테이트 2 내지 5 중량%, 리날릴 아세테이트 2 내지 5 중량%, 갈락솔라이드 1 내지 5 중량%, 알파-이소메틸 이오논 1 내지 5 중량%, 쿠마린 1 내지 5 중량%, 릴리알 0.5 내지 2 중량% 및 에틸 말톨 0.1 내지 2 중량%를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타겟 오일, 부추 오일, 베티버 오일, 시더우드 오일, 베르가못 오일, 스위트 오렌지 오일, 레몬 오일, 페퍼민트 오일과 헤디온, 이소 이 슈퍼, 에틸 리날룰, 페녹사놀, 스티랄릴 아세테이트, 리날릴 아세테이트, 갈락솔라이드, 알파-이소메틸 이오논, 쿠마린, 릴리알, 에틸 말톨을 함유한 향료 조성물로써, 이 향료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메리골드의 향취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향료 조성물은 네추럴하고 따뜻하고 달콤한 듯한 편안한 나무 같은 향취를 가지며 기호성이 뛰어날 뿐 만 아니라, 다른 향을 풍부하고 볼륨있게 하여 향수 및 화장품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향료 조성물은 방향제품, 스킨케어 제품 등에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에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2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 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메리골드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향료 조성물은 타겟 오일, 부추 오일, 베티버 오일, 시더우드 오일, 베르가못 오일, 스위트 오렌지 오일, 레몬 오일, 페퍼민트 오일과 헤디온, 이소 이 슈퍼, 에틸 리날룰, 페녹사놀, 스티랄릴 아세테이트, 리날릴 아세테이트, 갈락솔라이드, 알파-이소메틸 이오논, 쿠마린, 릴리알, 에틸 말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타겟 오일 0.1 내지 2 중량%, 부추 오일 0.1 내지 1 중량%, 베티버 오일 0.5 내지 2 중량%, 시더우드 오일 3 내지 9 중량%, 베르가못 오일 2 내지 6 중량%, 스위트 오렌지 오일 1.5 내지 4.5 중량%, 레몬 오일 2 내지 5 중량%, 페퍼민트 오일 0.5 내지 2 중량%, 헤디온 10 내지 30 중량%, 이소 이 슈퍼 7 내지 20 중량%, 에틸 리날룰 3 내지 9 중량%, 페녹사놀 3 내지 9 중량%, 스티랄릴 아세테이트 2 내지 5 중량%, 리날릴 아세테이트 2 내지 5 중량%, 갈락솔라이드 1 내지 5 중량%, 알파-이소메틸 이오논 1 내지 5 중량%, 쿠마린 1 내지 5 중량%, 릴리알 0.5 내지 2 중량% 및 에틸 말톨 0.1 내지 2 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상기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기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향취의 기호도가 현저하게 떨어져 제품의 가치를 떨어뜨린다.
타겟(Tagetes minuta) 오일은 대부분 남아프리카, 프랑스, 아르헨티나, 이집트에서 생산되며 색은 짙은 오렌지 혹은 노란색의 오일로 달콤한 녹색 과일향이 난다. 주 성분은 타게톤(Tagetone)이며 오시멘(ocimene), 미르센(myrcene), 리나롤(linalool), 리모넨(limonene), 피넨(pinene), 카르본(carvone), 시트랄(citral), 캄펜(camphene), 발레릭산(valeric acid) 등을 포함한다.
부추(agotbosma betulina)는 남아프리카에서 자생하는 식물로서, 잎은 지역적으로 방부효과나 벌레를 퇴치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서양 허브학에서는 방광염, 요도염, 전립선염 등 비뇨기계의 감염에 사용되었으며, 영국 허브약전에 방광의 염증치료목적으로 사용하도록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 오일은 진황갈색 액으로 민트향과 캄포와 같은 향취를 지닌다. 주요 구성물질은 디오스페노(diosphenoe)가 25 내지 40% 차지하고 있다.
베티버(Vetiveria zizanoides)는 인도 남부와 인도네시아에서 자라는 볏과(Poaceae)식물로, 높이 1 내지 2 m로 커다란 포기를 형성한다. 잎은 너비 1 cm 이내이고 다소 흰빛이 도는 녹색이다. 베티버는 땅속줄기와 뿌리에서 베티버 오일을 추출하는데, 이 베티버 오일은 인도와 스리랑카에서 "평안을 가져다주는 오일"로 알려져 있다. 베티버 오일은 진밤색, 주황, 올리브색의 점성오일로 진한 머스크향과 나무, 달콤한 향들이 어울려 난다. 베티버 오일은 그 풍요롭고 특이하고 복합적인 향으로 기초제나 고정제로 향수에 사용되어 향을 풍부하고 오래 지속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아로마테라피에서 베티버 오일은 여드름, 지성피부, 관절염, 근육통 및 우울증과 불면증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주된 구성성분은 베티베롤(vetiverol), 베티본(vetivone), 베티벤스(vetivenes) 및 테르펜이다.
시더우드(Juniperus asliei)는 미국 남서부와 중부지역, 멕시코가 원산지이고, 시더우드 오일은 달콤하고 발삼을 함유한 무색 혹은 연노란색 액체로서 연필의 나무 향과 비슷한 냄새를 낸다. 뉴멕시코에서는 미국원주민들이 피부 발진에 사용하였으며, 아로마테라피에서 시더우드 오일은 관절염 및 류머티즘, 스트레스와 관련된 질병에 사용한다. 주요 구성물질은 세드렌(cedrene), 세드롤(cedrol), 츄욥센(thujopsene), 사비넨(sabinene)이다.
베르가못(Citrus bergamia) 오일은 적도 아시아 지역에서 자생하는 베르가못에서 추출하는 오일로, 밝은 녹색을 띤 노란색 액상이며 시원한 과일향, 약간 매운 발삼의 얇은 향을 가지고 있다. 이탈리아의 최근 연구에 의하면 피부, 호흡계, 비뇨기계 감염에 매우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주요 구성성분은 리날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리날룰(linalool), 그리고 기타 알코올, 세스퀴테르펜이다.
스위트 오렌지(Citrus sinensis) 오일은 주로 이스라엘, 사이프러스, 브라질과 북미에서 생산되는 오일로 노란 오렌지색을 띠며 달고 신선하며 연한 과일향을 가지고 있다. 아로마테라피에서 스위트 오렌지 오일은 항우울제, 항염증제로 사용되며, 화장품 및 향수, 세제 등에도 많이 사용된다. 주요 구성성분은 90% 이상이 모노테르펜류로 대부분이 리모넨(limonene)이다.
레몬(Citrus Limon) 오일은 신선한 과일껍질 외피들은 냉각 압착하여 추출하는 오일로 아시아, 일부 동부 인도에서 자생하며, 이탈리아, 시실리, 아메리카 전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재배되고 있다. 주요 구성물질은 리모넨(limonene)이 약 70%이며, 그 외 피넨(pinene), 사비넨(sabinene), 미르센(myrcene), 시트랄(citra)l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화장품 및 식품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페퍼민트(mentba piperita)는 중국과 일본에서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왔으며, 동양과 서양에서 소화불량, 메스꺼움, 후두염, 복통 등 다양한 증세에 사용되어 왔다. 오일은 연노란색 혹은 녹색의 액체로 찌르는 듯한 강한 민트같은 캄포어 향을 내며 주요 구성물질은 멘톨(menthol) 29 내지 48%이고, 멘틸아세테이트(menthyl acetate), 민토퓨란(minthofuran), 리모넨 등이다.
헤디온(Hedione)은 신선함과 투명한 꽃 향을 내는 물질로 네추럴한 부드러움과 빛나는 이미지를 부여하여 다양한 향 타입에 사용되고 있다.
이소 이 슈퍼(Iso E Super)는 우디와 앰버의 향취를 가지고 있으며 향을 벨벳과 같이 부드럽게 표현해준다.
에틸 리날룰(Ethyl linalool)은 프레쉬한 베르가못과 유사한 캐릭터를 가지고 있는 향으로 꽃향과 함께 약간의 우디, 그린향을 가지고 있다.
페녹사놀(Phenoxanol)은 로즈의 캐릭터를 가지고 있는 향으로 로즈향과 함께 그린향을 가지고 있으며 향의 지속성에 영향을 준다.
스티랄릴 아세테이트(Styrallyl acetate)는 가데니아, 자두, 사과등에서 느낄 수 있는 향긋한 그린향취를 가지고 있다.
리날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는 베르가못과 라벤더 에센셜오일의 주성분 중 하나로 허브와 같은 향을 가진다.
갈락솔라이드(Galaxolide)는 머스크 향을 내는 대표적인 물질로 향의 지속성을 길게 해주며 부드러운 이미지를 준다.
알파-이소메틸 이오논(Alpha-isomethyl ionone)은 바이올렛 우디와 같은 향을 내는 물질로 향의 탑과 바디를 강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쿠마린(Coumarine)은 많은 식물에서 발견되는 물질로 달콤한 냄새를 내며 쿠마린을 생성하는 식물에서 살충제로 작용하기도 한다.
릴리알(Lilial)은 촉촉하고 프레쉬한 꽃향을 내는 물질로 뮤게, 시클라멘 노트로 많이 이용된다.
에틸 말톨(Ethyl maltol)은 캐러맬화된 설탕과 조리된 과일과 같은 달콤한 향기를 갖는 흰색의 고체로 향미료로도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메리골드 꽃과 같은 우수한 향취를 가지고 있으며, 메리골드 에센셜 오일보다 가격이 저렴하여 제품의 가격경쟁력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로션, 크림, 에멀션 등과 같은 화장품뿐만 아니라, 연고, 가용화상, 현탁액, 젤, 스프레이, 파프제, 경고제, 패치제 또는 물파스 등의 피부 외용제로도 제형화될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배합량은 당 업계에 통상적인 기술에 따라 목적하는 효과를 이루기 위해 적절하게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의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 메리골드 꽃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의 예로서 하기 표 1의 조성과 같이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명(함량:중량%) 제조예 1 제조예 2 비교제조예 1 비교제조예 2 비교제조예 3
타겟 오일 1 1 1 1 1
부추 오일 0.5 1 -
베티버 오일 1 2 1 -
시더우드 오일 6 3 6 -
베르가못 오일 4 4 4 4 4
스위트 오렌지 오일 3 3 3 3 3
레몬 오일 3.5 3.5 3.5 3.5 3.5
페퍼민트 오일 1.5 1.5 1.5 1.5 1.5
헤디온 20 20 20 20 20
이소 이 슈퍼 14 14 14 14 14
에틸 리날룰 5.5 5.5 5.5 5.5 5.5
페녹사놀 5.5 5.5 5.5 5.5 5.5
스티랄릴 아세테이트 3.5 3.5 3.5 3.5 3.5
리날릴 아세테이트 3.5 3.5 3.5 3.5 3.5
갈락솔라이드 3 3 3 3 3
알파-이소메틸 이오논 2.5 2.5 2.5 2.5 2.5
쿠마린 2.5 2.5 2.5 2.5 2.5
릴리알 1.5 1.5 1.5 1.5 1.5
에틸 말톨 0.5 0.5 0.5 0.5 0.5
디프로필렌 글라이콜(용매) 17.5 19 18 25 25
총 합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 향수의 제조
상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제조예 1 내지 2와 비교제조예 1 내지 3의 향취와 천연 메리골드 꽃의 오일(타겟 에센셜 오일)의 향취(비교예 4, 향수 F)를 비교하기 위하여 아래 표 2와 같이 향수를 제조하였다.
성분명(함량:중량%) 실시예 1
(향수 A)
실시예 2
(향수 B)
비교예 1
(향수 C)
비교예 2
(향수 D)
비교예 3
(향수 E)
비교예 4
(향수 F)
에탄올 76.98 76.98 76.98 76.98 76.98 76.98
유비널(Uvinul) A+B 0.02 0.02 0.02 0.02 0.02 0.02
부틸렌 글리콜 3 3 3 3 3 3
정제수 10 10 10 10 10 10
타겟 에센셜 오일 - - - - - 10
제조예 1 10 - - - - -
제조예 2 - 10 - - - -
비교제조예 1 - - 10 - - -
비교제조예 2 - - - 10 - -
비교제조예 3 - - - - 10 -
실험예 - 관능평가
관능평가는 20 내지 50세 일반 남녀 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2, 비교예 1 내지 3, 및 100% 메리골드 에센셜 오일만 함유된 향수(비교예 4)를 각각 향수 A 내지 F로 표시하여 향취 유사성(질문 1) 및 향취의 기호성(질문 2)을 표 3과 같이 제시하여 조사하였다. 향취 유사성 비교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고, 향 선호도(만족도)에 대한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설문지
1. 향수 F와 향수 A 내지 E의 향취 유사성을 비교하시오.
(1) 전혀 유사하지 않다.
(2) 별로 유사하지 않다.
(3) 보통이다.
(4) 어느 정도 유사하다.
(5) 많이 유사하다.
2. 샘플 A 내지 E의 전반적인 향 선호도(만족도)는?
(1) 매우 불만족한다.
(2) 불만족한다.
(3) 보통이다.
(4) 만족한다.
(5) 매우 만족한다.
향취 유사성 비교 결과
향수 A 향수 B 향수 C 향수 D 향수 E
①전혀 유사하지 않다 1 2 1 4 6
②별로 유사하지 않다 1 1 2 4 4
③보통이다 2 2 3 3 3
④어느 정도 유사하다 4 5 5 3 1
⑤많이 유사하다 7 5 4 1 1
④+⑤ (%) 11(73%) 10(67%) 9(60%) 4(27%) 2(13%)
전반적인 향 선호도(만족도)
향수 A 향수 B 향수 C 향수 D 향수 E
매우 불만족한다 0 1 2 0 1
불만족한다 1 1 3 1 1
보통이다 2 3 1 6 6
만족한다 10 9 8 6 6
매우 만족한다 2 1 1 2 1
④+⑤(%) 12(80%) 10(67%) 9(60%) 8(53%) 7(47%)
상기 표 4 및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반인을 상대로 한 관능평가에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제조예 1 및 2를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2(향수 A 및 B)가 100% 천연 메리골드 꽃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향수(향수 F)의 향취와 가장 유사하며 향 선호도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3)

  1. 메리골드 꽃의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로서,
    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타겟 오일 0.1 내지 2 중량%, 부추 오일 0.1 내지 1 중량%, 베티버 오일 0.5 내지 2 중량%, 시더우드 오일 3 내지 9 중량%, 베르가못 오일 2 내지 6 중량%, 스위트 오렌지 오일 1.5 내지 4.5 중량%, 레몬 오일 2 내지 5 중량%, 페퍼민트 오일 0.5 내지 2 중량%, 헤디온 10 내지 30 중량%, 이소 이 슈퍼 7 내지 20 중량%, 에틸 리날룰 3 내지 9 중량%, 페녹사놀 3 내지 9 중량%, 스티랄릴 아세테이트 2 내지 5 중량%, 리날릴 아세테이트 2 내지 5 중량%, 갈락솔라이드 1 내지 5 중량%, 알파-이소메틸 이오논 1 내지 5 중량%, 쿠마린 1 내지 5 중량%, 릴리알 0.5 내지 2 중량% 및 에틸 말톨 0.1 내지 2 중량%를 함유하는, 메리골드 꽃의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2. 제1항의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의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60114352A 2016-09-06 2016-09-06 메리골드 꽃의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101849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352A KR101849981B1 (ko) 2016-09-06 2016-09-06 메리골드 꽃의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352A KR101849981B1 (ko) 2016-09-06 2016-09-06 메리골드 꽃의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142A true KR20180027142A (ko) 2018-03-14
KR101849981B1 KR101849981B1 (ko) 2018-04-25

Family

ID=61660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352A KR101849981B1 (ko) 2016-09-06 2016-09-06 메리골드 꽃의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9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2268A (zh) * 2021-01-04 2022-07-08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防疲劳香水、制作方法及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592B1 (ko) 2013-05-22 2014-02-13 김성문 좌측 전전두엽 (Fp1) 부위에서 베타파를 감소시키고, 우측 전전두엽 (Fp2) 부위에서 SEF50 (spectral edge frequency 50%) 값을 감소시켜 심신을 이완시키고 안정을 유도하는 조합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2268A (zh) * 2021-01-04 2022-07-08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防疲劳香水、制作方法及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981B1 (ko) 2018-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belan et al. Potential use of essential oils in cosmetic and dermatological hair products: A review
de Groot et al. Essential oils, part V: peppermint oil, lavender oil, and lemongrass oil
BAĞDAT et al. The essential oil of lemon balm (Melissa officinalis L.), its components and using fields
WO2002051428A1 (fr) Composition de parfum stimulant le systeme sympathique
Szutt et al. Evaluation of Chemical Composition of Essential Oils Derived from Different Species Leaves
Abate et al. Potential role of forest-based plants in essential oil production: an approach to cosmetic and personal health care applications
KR101834491B1 (ko) 쑥의 천연 정유 및 하이드로졸을 포함하는 디퓨저 방향제 조성물
KR101849981B1 (ko) 메리골드 꽃의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101993375B1 (ko) 로즈마리의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Sharma et al. Role of Essential Oil Used Pharmaceutical Cosmetic Product
KR101830947B1 (ko) 쑥의 천연 정유 및 하이드로졸을 포함하는 아로마 바디샴푸 조성물
Muñoz-Acevedo et al. Some Latin American plants promising for the cosmetic, perfume and flavor industries
Sadeq et al. A novel preparation of thyme cream as superficial antimicrobial treatment
KR101936426B1 (ko) 향료를 이용한 천연탈취제
Jamshiya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Herbal Skin Cream for Wound Healing
Hans et al. Clary sage essential oil
Sobhy et al. Role of Egyptian Essential Oils in Health Care and Industry
Padole et al. Multivalent role of essential oil in cosmetics: A review
KR101428370B1 (ko) 네롤리 향취를 재현한 천연향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화장료조성물
Prabhu et al. Role of Essential Oils of Spices and Herbs and Their Applications: A Review
KR20160128117A (ko) 쑥의 천연 정유 및 하이드로졸을 포함하는 디퓨저 방향제 조성물
KR102601434B1 (ko) 석창포 추출액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KR102301494B1 (ko) 보습과 영양 공급이 가능한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Wakhidah Ethnobotany of Bedaka: Face Brightening Concoction from Sahu Tribe, West Halmahera, Indonesia
Ruas 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bioactivity of commercial essential oils obtained from Portuguese logging residues and thinn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