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7046A -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7046A
KR20180027046A KR1020160114129A KR20160114129A KR20180027046A KR 20180027046 A KR20180027046 A KR 20180027046A KR 1020160114129 A KR1020160114129 A KR 1020160114129A KR 20160114129 A KR20160114129 A KR 20160114129A KR 20180027046 A KR20180027046 A KR 20180027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tub
drum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1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62308B1 (en
Inventor
조민규
김광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4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308B1/en
Publication of KR20180027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0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3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2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A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to dry laundry by supplying air to be heat or air not to be heated to the laundry stored in an accommodating space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operating an air blowing fan installed in a duct forming a flow path in which air in the accommodating space is circulated to circulate the air in the accommodating space; removing a foreign substance remaining in a filter by spraying washing water to the filter removing a foreign substance from the air flowing into the duct after stopping operation of the air blowing fan; removing a water film formed in the filter by the washing water sprayed to the filter after the step of removing the foreign substance remaining in the filter by spra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filter is finished; and restarting circulation of the air in the accommodating space by re-operating the air blowing fan.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물의 건조 시 발생하는 린트를 필터링하는 린트필터를 청소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cleaning a lint filter for filtering a lint generated when a laundry is dried.

의류처리장치의 예로는 세탁장치, 건조 겸용 세탁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세탁장치는 유화작용, 및 펄세이터 또는 드럼의 회전에 따른 수류의 마찰과 세탁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이용하여 의복이나 침구 등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제품이다. 건조 겸용 세탁장치는 이러한 세탁장치의 기능뿐만 아니라 세탁 완료 후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세탁장치의 일종이다. 이러한 건조 겸용 세탁장치에는 터브 내부의 공기를 인출하여 냉각수로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한 후 가열하여 터브로 재공급하는 응축식 건조 겸용 세탁장치가 있다.Examples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clude a washing apparatus, a drying and washing apparatus, and the like. The washing machine removes various pollutants adhered to clothes, bedding or the like by using an emulsification action, a friction of the water stream due to the rotation of the pulsator or the drum, and an impact applied to the laundry. The drying and washing apparatus is a type of washing machine capable of drying the laundry after completion of the washing as well as the function of the washing machine. In such a dry type washing machine, there is a condensing type drying and washing machine for extracting air in the tub and removing moisture in the air by cooling water, and then heating and supplying the air to the tub.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응축식 건조 겸용 세탁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캐비닛 내부에 구비된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터브로부터 인출된 공기가 응축될 수 있도록 터브의 외부에 형성되는 응축덕트, 응축덕트에 연결되어 제습된 공기를 가열하여 터브로 제공하는 가열덕트, 및 터브 내부의 공기가 응축덕트 및 가열덕트를 따라 순환되도록 하는 송풍팬을 포함한다.The conventional condensing type drying and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cabinet form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and 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air drawn from the tub A condensing duct formed outside the tub, a heating duct connected to the condensing duct for heating and dehumidifying the air, and a blowing fan for circulating the air in the tub along the condensing duct and the heating duct.

상술한 바와 같은 건조 겸용 세탁장치는 순환팬을 이용해 터브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데, 이때 가열덕트로 유입된 공기는 히터에 의해 가열된 후 터브로 공급된다. 터브 내부로 공급된 가열 공기는 세탁물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습한 공기로 변환되어 응축덕트로 이동하게 되며, 이를 통해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응축덕트로 유입된 습한 공기는 수분이 제거(제습)된 후 다시 가열덕트로 이동한다.The above-described drying and washing machine circulates air inside the tub by using a circulating fan. At this tim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eating duct is heated by the heater and then supplied to the tub. The heated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tub absorbs moisture from the laundry, is converted into moist air, and moves to the condensing duct, thereby drying the laundry. The humid air introduced into the condensing duct moves to the heating duct after the moisture is removed (dehumidified).

한편, 상술한 과정을 통해 세탁물의 건조가 진행되면 세탁물에 포함되어 있던 이물질(린트)도 공기와 함께 응축덕트로 유입될 수 있다. 응축덕트로 유입된 린트는 응축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히터나 순환팬의 고장을 유발할 수도 있다.Meanwhile, when the laundry is dri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foreign substance (lint) included in the laundry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ndensing duct together with the air. Lint introduced into the condensing duct can reduce condensation efficiency and, in some cases, may cause failure of the heater or circulating fan.

따라서, 응축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린트를 제거하기 위한 린트필터가 반드시 필요하며, 린트필터의 유지관리가 중요한 문제점으로 대두된다.Therefore, a lint filter for removing the lint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ondensing duct is indispensable, and maintenance of the lint filter becomes an important problem.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별도의 응축덕트 없이도 터브에서 배출되는 습한 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from humid air discharged from a tub without a separate condensing duct.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필터를 이용하여 터브에서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removing foreign matter from air discharged from a tub using a filter.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필터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accumulated in a filte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필터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건조 성능 저하 요인을 해소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solving the drying performance deterioration factor which may occur in the process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in the filter.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수용공간에 저장된 의류에 가열된 공기 또는 미가열 공기를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시키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가 순환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을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송풍팬의 작동을 중단시킨 후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필터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가 완료된 이후에 상기 필터로 분사된 세척수에 의해 상기 필터에 형성된 수막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송풍팬을 재작동시켜 상기 수용공간 내부 공기의 순환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for supplying garbage to a garment stored in a storage space by supplying heated air or unheated air to clothes, A step of operating a blowing fan installed inside the duct to circulate air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washing water is sprayed to a filt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 from the air flowing into the duct afte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Removing the remaining water from the filter by the washing water injected into the filter after the step of spra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filter and removing the foreign substances remaining in the filter is completed, And restarting the fan to restart circulation of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필터에 형성된 수막을 제거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송풍팬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step of removing the water film formed on the filter may include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for a predetermined tim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필터로의 세척수 공급이 종료된 시점에 완료되며, 상기 송풍팬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단계는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가 완료된 이후 110초 내지 120초 동안 지속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step of removing foreign matters remaining in the filter is completed when the supply of the washing water to the filter is finished, and the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is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filter Lt; RTI ID = 0.0 > 110 < / RTI > to 120 seconds after the removing step is completed.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필터로 분사된 세척수를 상기 터브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의 작동이 종료된 시점에 완료되며, 상기 송풍팬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단계는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가 완료된 이후 50초 내지 70초 동안 지속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step of removing foreign matters remaining in the filter is completed when the operation of the drain pump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sprayed by the filter to the outside of the tub is completed, May be continued for 50 to 70 seconds after the step of removing foreign matters remaining in the filter is completed.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필터에 형성된 수막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step of removing the water film formed on the filter may further include rotating the drum, which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to receive the clothes.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드럼의 회전과 멈춤을 적어도 1회 이상 반복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rotating the drum may repeat the rotation and pause of the drum at least one or more times.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시간은 상기 드럼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시간보다 더 길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time for rotating the drum may be longer than the time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drum.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step of removing foreign matters remaining in the filter may include rotating the drum that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to receive the clothes, and rotating the drum inside the receiving space to the outside And operating the drain pump for discharging the water.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필터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낙하방향을 향해 회전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drum can rotate through the filter toward the falling direction of the wash water flowing into the containing spac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필터에 세척수를 간헐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removing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filter may intermittently supply wash water to the filter.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필터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control method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need to remove foreign matter remaining on the filter by spraying wash water on the filter.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송풍팬의 회전 속도가 설정된 회전 속도보다 기 설정된 수치 이상 증가하면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need to remove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filter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need to remove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filter,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 need to remove the < RTI ID = 0.0 >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덕트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기 설정된 수치 이상 증가하면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need to remove foreign matter remaining on the filter may include removing foreign matter remaining on the filter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duct increases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is a need to do so.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 공기의 순환을 재개하는 단계는, 각각 상기 덕트 내부에 설치된 히터를 작동시켜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step of circulating the air in the receiving space and the step of restarting circulation of the air in the receiving space may be performed by operating a heater provided in the duc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heating.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 공기의 순환을 재개하는 단계는, 각각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step of circulating air within the containment space and resuming circulation of air in the containment space may include rotating the drum, which is rotatably disposed within the containment space, .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 공기의 순환을 재개하는 단계는, 각각 상기 수용공간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 중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step of circulating the air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step of restarting the circulation of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each include a step of discharging a part of the air circulating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to the outside .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은 별도의 응축덕트 없이도 터브에서 배출되는 습한 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moisture from the humid air discharged from the tub without a separate condensing duct.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은 필터를 이용하여 터브에서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Further,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foreign matter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tub using a filter.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은 필터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여 건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drying performance by removing the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in the filter.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은 필터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건조 성능 저하 요인을 해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drying performance deterioration factor that may occur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in the filter.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may be variously expand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의류처리장치에서 터브, 공기 순환 유닛 및 필터 세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필터 및 필터세척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 is a side view showing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ub, an air circulating unit and a filter washing unit i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f Fig. 1;
Figs. 3 and 4 are partial sectional views showing the filter and the filter cleaning unit. Fig.
5 and 6 are graphs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한편,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embodiments are provided by way of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and all chang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that fall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먼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의류처리장치에서 터브, 공기 순환 유닛 및 필터 세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필터 및 필터세척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ub, an air circulating unit and a filter washing unit i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f Fig. 1; Figs. 3 and 4 are partial sectional views showing the filter and the filter cleaning unit.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100)는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110), 캐비닛(110) 내부에 고정되는 터브(120), 터브(1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130), 터브(120) 외측에 설치되어 터브(12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 순환 유닛(160), 및 터브(120) 외측에 설치되어 터브(120) 내부 공기 중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 유닛(170)을 포함한다.1 to 4,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cabinet 110, a tub 120 fixed inside the cabinet 110, a drum 120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120, An air circulation unit 160 installed outside the tub 120 to circulate air inside the tub 120 and a circulation unit 160 installed outside the tub 120 to discharge a part of the air inside the tub 120 to the outside And an air exhaust unit 170.

캐비닛(110)의 전면에는 세탁물 출입구가 형성된 전방패널(111)이 구비되고, 전방패널(111)에는 상기 세탁물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113)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전방패널(111)의 상측에는 컨트롤 패널(115)이 구비되는데, 컨트롤 패널(115)은 의류처리장치(10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의류처리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binet 110 is provided with a front panel 111 formed with a laundry inlet and a door 11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aundry inlet and outle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111. A control panel 115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panel 111. The control panel 115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And the like.

터브(120)는 캐비닛(110) 내부에 고정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120)는 프런트 터브(121) 및 리어 터브(123)로 구성될 수 있다. 프런트 터브(121)와 리어 터브(123)는 나사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며 내부에 세탁수 저장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tub 120 is installed to be fixedly supported in the cabinet 110. 2, the tub 120 may be composed of a front tub 121 and a rear tub 123. As shown in FIG. The front tub 121 and the rear tub 123 are coupled by a coupling member such as a screw and can form a space for storing wash water therein.

프런트 터브(121)의 전방에는 도어(113)와 연접하여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21a)가 형성되고, 투입구(121a)의 내주면에는 도어(113)를 향해 전방으로 돌출되는 림부(121b)가 형성될 수 있다. 투입구(121a)에는 후술할 공기 순환 유닛(160)의 공기 토출부(167)가 연결되고, 림부(121b)에는 전방패널(111)의 세탁물 출입구와의 기밀 유지를 위한 전방 가스켓(114)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전방 가스켓(114)은 터브(120)의 진동이 캐비닛(1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터브(12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A front portion of the front tub 121 is formed with an inlet 121a through which the laundry is inserted into the door 113 and a rim portion 121b protruding forward toward the door 113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121a . The air outlet portion 167 of the air circulation unit 160 to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the input port 121a and the front gasket 114 is connected to the rim portion 121b for maintaining the airtightness with the laundry inlet / . At this time, the front gasket 114 can prevent the vibration of the tub 12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cabinet 110, and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tub 120.

리어 터브(123)의 외주면에는 공기 순환 유닛(160)의 공기 회수부(161), 공기 배출 유닛(170), 및 급수부(140)의 급수라인(141)이 연결될 수 있다. 이들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air recovery unit 161 of the air circulation unit 160, the air exhaust unit 170 and the water supply line 141 of the water supply unit 140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tub 123. These will be described later.

드럼(130)은 리어 터브(123)를 관통하는 회전축(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구동모터(135)와 직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130)은 구동모터(135)의 동력을 전달받아 터브(120)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The drum 130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135 through a rotary shaft (not shown) passing through the rear tub 123. [ Accordingly, the drum 130 can be rotated in the tub 120 by receiving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135.

공기 순환 유닛(160)은 터브(120)의 상부에 설치되며, 공기 공급 행정 시 터브(120)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 공급 행정은 터브(120) 내부로 가열 공기 또는 미가열 공기를 공급하는 행정을 의미하며, 건조 행정을 예로 들 수 있다. 건조 행정에서, 공기 순환 유닛(160)은 터브(12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킴과 동시에 가열할 수 있다.The air circulation unit 16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tub 120 and can circulate the air inside the tub 120 in the air supply stroke. The air supply stroke means a stroke for supplying heated air or unheated air to the inside of the tub 120, and a drying stroke is exemplified. In the drying cycle, the air circulation unit 160 can heat the inside of the tub 120 while circulating the air.

공기 순환 유닛(160)은 터브(12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터브(120) 내부의 공기를 회수하는 공기 회수부(161), 공기 회수부(161) 상부에 위치하여 터브(120) 내부의 공기를 공기 회수부(161)로 이동시키는 송풍팬(163), 공기 회수부(161)로 유입된 공기를 터브(120)의 전방으로 안내하는 덕트(165), 덕트(165)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66), 및 가열된 공기를 터브(120)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 토출부(167)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irculation unit 160 includes an air recovery unit 161 that passes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120 to recover air inside the tub 120 and an air recovery unit 161 that is positioned above the air recovery unit 161, A duct 165 for guid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recovery unit 161 to the front of the tub 120 and a duct 165 for guid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recovery unit 161 to the air recovery unit 161, And an air discharge unit 167 for supplying the heated air to the inside of the tub 120. [

공기 회수부(161)는 터브(120)의 외주면 중에서 측면 상부에 형성된다. 공기 회수부(161) 내부에는 의류 건조 시 발생하는 린트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180)가 설치되며, 공기 회수부(161)의 일측에는 필터(180) 세척을 위한 세척수가 공급되는 필터 세척부(190)가 연결된다. 필터(180) 및 필터 세척부(190)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The air recovery unit 161 is formed on the upper side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120. A filter 180 for removing lint generated when clothes are dried is installed in the air recovery unit 161 and a filter cleaning unit 160 for supplying washing water for cleaning the filter 18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air recovery unit 161 190 are connected. The filter 180 and the filter cleaning unit 19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송풍팬(163)은 공기 회수부(161) 상부에 설치되며, 터브(12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풍팬(163)이 작동하면 터브(120) 내부의 공기는 공기 회수부(161)를 통해 덕트(165)로 유입되고, 공기 토출부(167)를 통해 다시 터브(12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The air blowing fan 163 is installed above the air returning unit 161 and can circulate the air inside the tub 120. [ Specifically, when the air blowing fan 163 is operated, the air inside the tub 120 flows into the duct 165 through the air returning unit 161 and then flows back into the tub 120 through the air discharging unit 167 Can be supplied.

한편, 송풍팬(163)에 의해 덕트(165)로 유입된 공기는 히터(166)에 의해 가열되며, 가열된 공기는 공기 토출부(167)를 통해 다시 터브(12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공기 토출부(167)는 터브(120)의 전방에 연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ct 165 by the air blowing fan 163 is heated by the heater 166, and the heated air can be supplied into the tub 120 through the air discharging portion 167 again . At this time, the air discharge portion 167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tub 120.

공기 토출부(167)를 통해 터브(120) 내부로 유입된 가열 공기는 드럼(130) 내부로 공급되어 의류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고, 드럼(130) 표면의 관통홀(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드럼(130)과 터브(120)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The heated air introduced into the tub 120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ion 167 is supplied into the drum 130 to remove moisture from the clothes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s To the space between the tub (130) and the tub (120).

한편, 터브(120)의 외주면은 외부 공기와 접하고 있기 때문에, 터브(120)의 표면은 대략 상온과 유사한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드럼(130)과 터브(120)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된 가열 공기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터브(120)의 내주면과 접촉하게 되고, 가열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될 수 있다. 즉, 드럼(130)과 터브(120) 사이의 공간이 응축 공간이 되고, 터브(120)의 내주면이 응축면으로 기능하게 된다. 특히, 터브(120)는 드럼(120)을 감싸는 형태이므로, 터브(120)의 내주면 전체에서 골고루 응축이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120 is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the surface of the tub 120 maintains a temperature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normal temperature. Thus, the heated air discharg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drum 130 and the tub 1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latively low-temperature tub 120, and moisture in the heated air can be condensed. That is, the space between the drum 130 and the tub 120 becomes a condensation spa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120 functions as a condensation surface. Particularly, since the tub 120 surrounds the drum 120, condensation may be uniformly generated on the entir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120.

한편, 터브(120) 내주면에서 응축이 계속되면, 터브(120) 내주면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이 경우 터브(120)의 내주면이 응축면으로서 기능하지 못할 수도 있어, 의류처리장치의 응축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터브(120) 내주면을 냉각시키는 냉각수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condensation continue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120,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120 may rise. In this cas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120 may not function as a condensation surface, so that the efficiency of condensatio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may deteriorate.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oling water supply unit for cool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120.

상기 냉각수 공급부는 터브(120)의 내주면으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터브(120) 내주면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브(120) 내주면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고, 응축 성능 및 건조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cooling water supply unit may supply cooling water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120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120. [ Thus, the temperature ris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120 can be prevented, and the condensing performance and the drying performance can be increased.

다만,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냉각수 공급라인을 형성하지 않고, 세탁수가 공급되는 급수라인(141)을 냉각수 공급부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세탁 행정에서는 급수라인(14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세탁수로 기능하고, 건조 행정에서는 급수라인(14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냉각수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냉각수 공급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캐비닛 내부의 장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line 141 to which washing water is supplied can be used as a cooling water supply portion without forming a separate cooling water supply line. That is, in the washing cycl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line 141 functions as washing water, and in the drying cycl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line 141 can function as cooling water. Accordingly,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cooling water supply unit,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inside the cabinet can be simplified.

터브(120)의 내주면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터브(120) 하부에 설치된 배수부(14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수부(145)는 배수펌프(146) 및 배수라인(148)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공기 회수부(161)를 통해 덕트(165)로 회수될 수 있다.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12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drainage unit 145 provided under the tub 120. The drain portion 145 may include a drain pump 146 and a drain line 148. In addition, the moisture-removed air can be recovered to the duct 165 through the air recovery unit 161.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터브(120)의 내주면에서 응축이 발생한다. 따라서, 덕트(165) 내에 별도의 응축덕트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덕트(165)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덕트(165)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어 덕트(165) 내부를 흐르는 공기의 유동저항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류처리장치(100)의 에너지 효율 및 건조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garment tre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densation occurs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 120. [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condensing duct in the duct 165,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duct 165 can be simplified. In addition, since the length of the duct 165 can be shortened, the flow resistance of the air flowing in the duct 165 can be reduced. Accordingly, the energy efficiency and drying performanc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can be increased.

한편, 건조 기능을 가진 의류처리장치는 건조 방식에 따라 '순환식 건조장치'와 '배기식 건조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순환식 건조장치는 터브(120)에서 배출된 습한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여 다시 터브(120) 내부로 순환시키는 방식의 건조장치이다. 상기 배기식 건조장치는 터브(120) 외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터브(120) 내부로 공급하고, 의류로부터 수분을 흡수한 공기는 다시 터브(120)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의 건조장치이다.On the other hand,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drying function can be classified into a 'circulating drying apparatus' and an 'exhaust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 drying method. The circulation type drying apparatus is a drying apparatus in which humid air discharged from the tub 120 is dehumidified and heated, and then circulated back into the tub 120. [ The exhaust type drying apparatus is a drying apparatus in which air outside the tub 120 is heated and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tub 120 and air having absorbed moisture from the clothe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ub 120 again.

상기 두 가지 방식의 의류처리장치들은 각각 장단점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순환식 건조의 경우, 터브(120) 내부의 공기가 배기되지 않고 계속해서 순환하므로 공기가 많은 열량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물을 사용하여 응축면(터브의 내주면)을 냉각시키는 상기 순환식 건조장치의 경우에는,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키기 위해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배기식 건조의 경우에도, 상온의 외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터브(120) 내부로 공급해야 하므로, 공기 가열에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The above-described two types of clothes processing apparatuses hav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For example, in the circulation type drying, air in the tub 120 is continuously circulated without being exhausted, so that the air contains a large amount of heat.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circulation type drying apparatus for cooling the condensation surfac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 by using water, a large amount of water is required to condense moisture in the air. Further, even in the case of the exhaust drying, external air at room temperature is heated and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tub 120, so that it takes a lot of time and energy to heat the air.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순환식 건조를 기본으로 하되 배기식 건조를 병행함으로써, 두 가지 건조 방식의 단점을 극복한 건조 행정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공기 순환 유닛(160)을 이용해 터브(12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므로, 외부의 찬 공기를 가열하는데 많은 에너지가 소모된다는 배기식 건조 방식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공기 배출 유닛(170)을 이용하여 순환하는 공기의 일부를 외부로 배기함으로써 순환하는 나머지 공기를 보다 용이하게 응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순환식 건조는 공기 순환 유닛(160)에 의해 달성되며, 배기식 건조는 공기 배출 유닛(170)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공기 순환 유닛(160)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공기 배출 유닛(17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Accordingly, the garment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drying the clothes by overcoming the disadvantages of the two drying methods by performing the circulation type drying on the basis of the exhaust type drying. Specifically, the air circulation unit 160 circulates the air inside the tub 120, thereby overcoming the disadvantage of the exhaust drying method in which much energy is consumed for heating the external cold air. In addition, by exhausting a part of the circulating air to the outside by using the air discharge unit 170, the remaining air circulating can be condensed more easily. That is, the circulating drying is achieved by the air circulation unit 160, and the exhaust drying can be achieved by the air exhaust unit 170. [ Since the air circulation unit 160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air discharge unit 17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공기 배출 유닛(170)는 공기 순환 유닛(160)에 의해 터브(120) 내부로 공급된 공기 중의 일부를 터브(120) 외부로 배출하여, 터브(120) 내부 공기의 상대 습도를 낮출 수 있다. 공기 배출 유닛(170)의 일단은 터브(1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캐비닛(110)의 후방패널(112)을 향해 연장된다. The air discharge unit 170 can discharge a part of the air supplied into the tub 120 by the air circulation unit 160 to the outside of the tub 120 to lower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air inside the tub 120. [ One end of the air discharge unit 170 is connected to the tub 120 and the other end extends toward the rear panel 112 of the cabinet 110.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 배출 유닛(170)의 일단은 공기 회수부(161)에 인접하도록 터브(120)의 외주면에 연결될 수 있다. 터브(120) 내부의 공기는 공기 회수부(161)를 통해 공기 순환 유닛(160)로 유입되므로, 공기 배출 유닛(170)이 공기 회수부(161)에 인접해 위치하면 터브(120) 내부의 공기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In one embodiment, one end of the air discharge unit 170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120 so as to be adjacent to the air recovery unit 161. The air in the tub 120 flows into the air circulation unit 160 through the air recovery unit 161. When the air discharge unit 170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air recovery unit 161, The air can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 배출 유닛(170)의 타단은 캐비닛(110)의 후방패널(112)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통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배출 유닛(170)은 터브(120)의 진동이 캐비닛(1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진동 감쇄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진동 감쇄수단은 벨로우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별도의 진동 감쇄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공기 배출 유닛(170) 자체를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로 제작하여 진동을 흡수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ther end of the air exhaust unit 170 may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rear panel 112 of the cabinet 110. In this case, the air discharge unit 170 may further include vibration damping means for preventing the vibration of the tub 12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cabinet 110. For example, the vibration damping means may include a bellows or the like. Alternatively, the air discharging unit 170 itself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o absorb the vibration without a separate vibration damping means.

한편, 공기 배출 유닛(17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외부 공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 및 습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고온 다습한 배기 공기가 캐비닛(110) 외부에서 상온의 공기와 만나면, 배기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될 수 있다. 그런데, 의류처리장치는 일반적으로 배면이 벽 등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므로, 의류처리장치의 배면에 위치한 벽에 응축수가 고일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 배출 유닛(170)의 타단에 필터 어셈블리(200)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200)는 공기 배출 유닛(170)을 통해 캐비닛(110)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필터 어셈블리(200)는 캐비닛(110) 내부의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unit 170 has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and humidity as compared with the outside air. Therefore, when the hot and humid exhaust air meets the room temperature air outside the cabinet 110, moisture in the exhaust air can be condensed. Incidentally, since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s generally arranged such that the back surface is adjacent to the wall, condensed water can be accumulated on the wall plac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 order to prevent this, a filter assembly 200 may be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air exhaust unit 170. The filter assembly 200 can remove moisture from the air exhaust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10 through the air exhaust unit 170. Also, the filter assembly 200 can prevent the noise in the cabinet 110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이와 다르게, 공기 배출 유닛(170)의 타단이 후방패널(112)을 관통하지 않고, 터브(120)와 캐비닛(110) 사이의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응축수가 발생하더라도 캐비닛(110) 내부로 떨어지므로, 캐비닛(110) 외부로 응축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air exhaust unit 170 may be exposed to the space between the tub 120 and the cabinet 11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rear panel 112. [ In this case, even if condensed water is generated, the condensed water falls into the cabinet 110, so that the condensed water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of the cabinet 110.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 배출 유닛(170)은 원활한 공기 배출을 위한 별도의 배기팬(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기팬의 크기 및/또는 상기 배기팬의 구동 속도에 따라 배기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ir discharge unit 17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exhaust fan (not shown) for smooth air discharge. In this case, the amount of air to be exhauste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xhaust fan and / or the driving speed of the exhaust fan.

캐비닛(110)의 내부에는 세탁수 공급을 위한 급수부(140), 후술할 필터(180)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공급하는 필터 세척부(190), 및 급수부(140)와 필터 세척부(190)로의 물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밸브부(150)는 캐비닛(110)의 후방패널(112)을 통해 외부의 급수원(a source of water supply)에 연결될 수 있다.A water supply unit 140 for supplying washing water, a filter washing unit 190 for supplying washing water for washing the filter 180 to be described later, 190 may be provided with a valve unit 150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water. The valve portion 15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source of water supply through the rear panel 112 of the cabinet 110.

급수부(140)는 터브(120)의 외주면과 밸브부(150)를 연결하는 급수라인(141), 및 급수라인(141) 상에 설치되는 세제공급장치(143)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라인(14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143)를 경유하면서, 세제와 함께 터브(12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급수라인(141)은 밸브부(150)와 세제공급장치(143)를 연결하는 제1급수라인(141a), 및 세제공급장치(143)와 터브(120)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제2급수라인(141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급수라인(141)으로의 물 공급은 밸브부(150)의 급수밸브(15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140 may include a water supply line 141 conne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120 and the valve unit 150 and a detergent supply unit 143 installed on the water supply line 141.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line 141 can be supplied to the tub 120 together with the detergent while passing through the detergent supply device 143. [ The water supply line 141 includes a first water supply line 141a for connecting the valve unit 150 and the detergent supply unit 143 and a second water supply line 141a for connecting the detergent supply unit 143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120, And a water supply line 141b.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to the water supply line 141 can be controlled by the water supply valve 152 of the valve unit 150. [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별도의 냉각수 공급부를 구비하지 않고,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140)를 냉각수 공급부로 이용할 수 있다. 즉, 세탁 행정에서는 급수라인(14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세탁수로 기능하고, 건조 행정에서는 급수라인(14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냉각수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냉각수 공급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캐비닛 내부의 장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separate cooling water supply unit, and the water supply unit 140 that supplies wash water can be used as the cooling water supply unit. That is, in the washing cycl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line 141 functions as washing water, and in the drying cycl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line 141 can function as cooling water. Accordingly,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cooling water supply unit,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inside the cabinet can be simplified.

필터 세척부(190)의 일단은 밸브부(150)의 세척수 밸브(154)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기 회수부(161)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 세척부(190)로의 물 공급은 세척수 밸브(154)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공급된 물은 공기 회수부(161)를 통해 필터(180)로 공급될 수 있다. 즉, 필터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는 세탁 행정 및 헹굼 행정에서 사용되는 세탁수와 별도로 제어될 수 있으며, 건조 행정에서 사용되는 냉각수와도 별도로 제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로, 필터(180) 및 필터 세척부(190)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One end of the filter cleaning unit 190 may be connected to the wash water valve 154 of the valve unit 150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air recovery unit 161. In this case, the water supply to the filter cleaning unit 190 can be controlled by the wash water valve 154, and the supplied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filter 180 through the air recovery unit 161. That is, the washing water used for the filter washing can be controlled separately from the washing water used in the washing and rinsing cycles, and can be controlled separately from the cooling water used in the drying cycle.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filter 180 and the filter cleaning unit 19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회수부(161)가 터브(120)의 외주면과 만나는 위치에는 필터(180)가 구비되고, 공기 회수부(161)의 측면 필터(180) 상부에는 필터 세척부(190)가 구비된다.3, a filter 180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air recovery unit 161 mee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120, and a filter cleaning unit 170 is provided above the side filter 180 of the air recovery unit 161. [ (Not shown).

필터(180)는 터브(120) 내부에서 공기 회수부(161)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린트 등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에는 필터(180)의 표면이 터브(120)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필터(180)가 공기 회수부(161) 내부에 위치하면 족하고, 필터(180)의 곡률 반경이 터브(120)의 곡률 반경과 달라도 무방하다.The filter 180 can filter foreign substances such as lint from the air flowing into the air recovery unit 161 from inside the tub 120. In this case, although the surface of the filter 180 is shown as form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120 in Fig. 3, i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filter 180 may be located inside the air recovery unit 161,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lter 180 may be different from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tub 120.

한편, 필터(180)를 장시간 사용하면, 필터(180)에 많은 양의 이물질이 잔류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회수부(161)로의 공기 유입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고, 의류처리장치(100)의 건조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필터 세척부(190)는 필터(180)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필터(180)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filter 180 is used for a long time, a large amount of foreign matter may remain in the filter 180. In this case, the inflow of air into the air recovery unit 161 is not smooth, and the drying performanc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be deteriorated. The filter cleaning unit 190 may remove the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filter 180 by spra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filter 180.

필터 세척부(190)는 세척수 밸브(154)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세척수라인(191), 및 공기 회수부(161)를 관통하여 공기 회수부(161)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9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노즐(193)은 공기 회수부(161) 측면에 고정되어 세척수라인(191)이 연결되는 체결부(195), 및 체결부(195)에 결합되며 세척수 분사를 위한 다수개의 노즐들이 구비된 확산부(196)를 포함할 수 있다. 확산부(196)는 다수개의 노즐들을 이용하여 필터(180)의 전면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180)에 대한 세척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체결부(195) 및 확산부(196)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lter cleaning unit 190 includes a washing water line 191 for supplying washing water from the washing water valve 154 and a spray nozzle 193 for spraying washing water through the air returning unit 161, . ≪ / RTI > At this time, the nozzle 193 is fixed to the side of the air recovery unit 161 and includes a coupling part 195 connected to the washing water line 191, and a plurality of nozzle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195, And a diffusion unit 196. The diffusion unit 196 may spray the washing water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filter 180 using a plurality of nozzles. Thus, the cleaning ability for the filter 180 can be improved. The coupling part 195 and the diffusion part 196 may be formed in various structures as required.

필터 세척부(190)의 세척수 공급에 따라, 필터(180)에 쌓인 이물질은 세척수와 함께 터브(120) 내부로 유입된 후 배수부(14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in the filter 180 may be introduced into the tub 120 together with the washing water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age unit 145. [

이 경우에 있어서, 공기 회수부(161)는 드럼(130)의 회전 중심(C)으로부터 소정 거리(L) 이격되어 위치한다. 따라서, 터브(120) 내부로 유입된 세척수는 터브(120)와 드럼(130) 사이의 공간을 통해 배수부(145)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공기 회수부(161)의 위치를 적절히 선정하면, 터브(120) 내부로 유입된 세척수가 터브(120)의 외주면 또는 후벽면을 따라 흘러내릴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드럼(130) 내부에 수용된 의류가 세척수에 의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ir recovery unit 161 is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C of the drum 1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L. Therefore,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tub 120 can be transferred to the drain 145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tub 120 and the drum 130. When the air recovery unit 161 is appropriately positioned,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tub 120 may flow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the rear wall surface of the tub 120. Accordingly, the clothes accommodated in the drum 13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wet by the washing water.

또한, 세척수가 터브(120)의 외주면 또는 후벽면을 따라 흐르는 경우에는, 세척수가 터브(120) 내주면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효과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터브(120)와 드럼(130) 사이에서 진행되는 공기 중 수분의 응축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ashing water flow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the rear wall surface of the tub 120, the washing water also has an effect of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120. [ Accordingly, the condensation of moisture in the air flowing between the tub 120 and the drum 130 can be further activated.

한편, 필터 세척부(190)를 이용한 필터(180) 세척은 건조 행정 시작 전에 행해지거나 또는 건조 행정 중에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건조 행정을 시작하기 전에 필터(180) 세척을 진행함으로써 건조 행정의 효율을 담보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lter 180 cleaning using the filter cleaning unit 190 can be performed before the start of the drying cycle or during the drying cycle. For example, the efficiency of the drying cycle can be secured by proceeding with the filter 180 cleaning before starting the drying cycle.

이와 다르게, 건조 행정의 진행 중에는 필요에 따라 필터(180)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터(180)에 많은 양의 이물질이 쌓이면 공기 회수부(161)를 통한 공기 유입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데, 이 경우 송풍팬(163)에 걸리는 부하가 작아져 송풍팬(163)의 회전 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팬(163)의 회전 속도가 설정된 속도보다 기 설정된 수치만큼 빨라지면 필터(180)에 대한 세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덕트(165) 내부의 온도를 이용하여 필터(180) 세척의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180)가 린트 등으로 막히게 되면 공기 순환이 원활하지 못하여 덕트(165) 내부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덕트(165) 내부의 온도를 설정 온도와 비교함으로써 필터(180) 세척의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레이저 등으로 필터(180)를 직접 관찰하여 필터(180) 세척의 필요성을 판단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during the course of the drying cycle, the filter 180 may be cleaned as needed. For example, when a large amount of foreign matter is accumulated in the filter 180, the inflow of air through the air recovery unit 161 is not smooth. In this case, the load applied to the air blowing fan 163 is reduced, The rotational speed can be increased. Accordingly, if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ing fan 163 is faster than the preset speed by a predetermined valu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filter 180 needs to be cleaned. Alternatively, the necessity of cleaning the filter 180 can be determined us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duct 165.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of the duct 165 may be increased because the air circulation is not smooth when the filter 180 is clogged by the lint or the like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of the duct 165 is compared with the set temperature, The necessity of washing can be judged. Alternatively, the necessity of cleaning the filter 180 may be determined by directly observing the filter 180 with a laser or the like.

필터(180) 세척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건조 행정의 진행을 중단하고 필터 세척부(190)를 이용하여 필터(180)를 세척할 수 있다. 세척 후에는 다시 나머지 건조 행정이 진행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lter 180 needs to be cleaned, the progress of the drying process can be stopped and the filter 180 can be cleaned using the filter cleaning unit 190. After washing, the remainder of the drying cycle may proceed again.

한편, 필터(180)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필터(180)를 세척하는 경우, 분사된 물이 필터(180) 표면에 잔류하여 수막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180)는 다수의 구멍을 가진 그물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물질이 작은 구멍을 통과하지 못하고 필터(180) 표면에 잔류하거나 또는 물의 표면 장력으로 인하여 필터(180) 표면에 수막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막은 일정 시간 동안 필터(180) 표면에 유지되며, 공기 회수부(161)를 통한 공기 유입을 방해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순환이 원활하지 못하여 이어지는 건조 행정의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로 필터(180)에 형성된 수막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lter 180 is washed by spra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filter 180, the sprayed water may remain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180 to form a water film. Since the filter 180 is generally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net having a plurality of holes, the foreign matter does not pass through the small hole and remains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180, or a water film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180 due to the surface tension of water . This water film is retained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180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can interfere with air inflow through the air recovery unit 161. In this case, the air circulation is not smooth and the efficiency of the subsequent drying step may be lowered. Hereinafter, a method of removing the water film formed on the filter 18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의 예로는 건조 겸용 세탁장치를 들 수 있다. 상기 건조 겸용 세탁장치를 이용한 의류의 처리 과정은, 크게 세탁 행정, 헹굼 행정, 탈수 행정 및 건조 행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세탁 행정은 세제와 세탁수를 공급하여 의류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헹굼 행정은 상기 의류로부터 분리된 이물질과 의류에 남아있는 세제를 제거하는 과정이다. 탈수 행정은 터브(120) 내부의 세탁수를 배수부(145)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이다. 또한, 건조 행정은 젖은 의류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상기 건조 겸용 세탁장치를 이용한 의류의 처리 과정은 상술한 네 가지 행정들이 적어도 1회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이며, 세탁 행정, 헹굼 행정 및 탈수 행정은 필요에 따라 복수 회 실시될 수 있다.An exampl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ying and washing machine. The clothes processing process using the drying and washing apparatus can be divided into a washing process, a rinsing process, a dewatering process, and a drying process. The washing process is a process of removing foreign matters from clothes by supplying detergent and washing water. The rinsing step is a process of removing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clothes and the detergent remaining in the clothes. The dewatering process is a process of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in the tub 120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age unit 145. In addition, the drying process is the process of removing moisture from wet clothing. The laundry process using the drying and washing machine is performed at least once, and the washing, rinsing, and dewatering processes may be performed a plurality of times as needed.

필터 세척부(190)를 이용한 필터(180) 세척은 주로 건조 행정의 중간에 실시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건조 행정의 초기나 말기에 실시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은 건조 행정의 중간에 필터(180) 세척이 진행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로, 건조 행정 중에 필터(180) 세척이 진행되고, 이후 필터(180)에 생긴 수막을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건조 행정의 초기에 필터(180) 세척이 진행되는 경우에도 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수막 제거가 진행될 수 있다.Cleaning of the filter 180 using the filter cleaning unit 190 is mainly performed in the middle of the drying cycle, and may be performed at the beginning or end of the drying cycle, if necessary. 5 and 6 show a case where the filter 180 is washed in the middle of the drying cycle. 5 and 6, a process of cleaning the filter 180 during the drying process and then removing the water film formed on the filter 180 will be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even when the filter 180 cleaning is carried out at the beginning of the drying cycle, hydrodemulsion can proceed in substantially the same or similar manner.

도 5에 도시된 건조 행정은 총 4개의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Ⅰ 단계와 Ⅳ 단계는 건조 행정을 나타내고, Ⅱ 단계는 필터 세척 단계를 나타내며, Ⅲ 단계는 수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즉, 건조 행정 중에 필터 세척을 행하고, 이후 다시 건조 행정을 진행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Ⅰ 단계는 제1 건조 단계로 명명하고, Ⅳ 단계는 제2 건조 단계로 명명하기로 한다.The drying cycle shown in FIG. 5 can be divided into four stages in total. Steps I and IV represent the drying cycle, step II represents the filter washing step, and step III represents the step of removing the water film. That is, it shows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filter cleaning during the drying step and then the drying step agai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step I will be referred to as the first drying step, and step IV will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drying step.

제1 건조 단계(Ⅰ)에서는, 공기 순환 유닛(160)을 이용해 터브(120)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의류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In the first drying step (I), the air contained in the garment can be removed by supplying the heated air into the tub 120 using the air circulation unit 160.

구체적으로, 송풍팬(163)을 가동하여 터브(120) 내부의 공기를 공기 회수부(161)로 유입시킨다. 이때, 공기 회수부(161)에 설치된 필터(180)가 공기 중에 포함된 린트 등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공기 회수부(161)로 유입된 공기는 덕트(165)를 지나는 과정에서 히터(166)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가열된 공기는 공기 토출부(167)를 통해 다시 터브(120) 내부로 공급되어, 젖은 의류로부터 수분을 흡수할 수 있다. 이후, 고온 다습해진 공기는 드럼(130) 벽면의 통공을 통해 드럼(130)과 터브(120) 사이의 공간으로 유출되고, 공기 중의 수분은 터브(120)의 내주면에서 응축될 수 있다.Concretely, the air blowing fan 163 is operated to introduce the air inside the tub 120 into the air recovery unit 161. [ At this time, the filter 180 installed in the air recovery unit 161 can filter foreign substances such as lint contained in the air.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recovery unit 161 can be heated by the heater 166 while passing through the duct 165. The heated air is supplied into the tub 120 again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ion 167 to absorb moisture from the wet clothes. Thereafter, the hot and humid air is discharged to the space between the drum 130 and the tub 120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wall surface of the drum 130, and moisture in the air can be conden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120.

이 때, 급수부(140)를 이용해 터브(120)의 내주면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면 터브(120) 내주면의 온도를 낮출 수 있고, 공기 중 수분의 응축 효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by supplying the cooling water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120 using the water supply unit 140,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120 can be lowered and the condensation efficiency of moisture in the air can be further increased.

또한, 구동모터(135)를 작동시켜 드럼(130)을 회전시키면 의류의 건조를 촉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럼(130)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의류들이 드럼(130) 하부에 쌓여있게 되므로, 의류 중 일부만이 가열된 공기와 직접 접촉하게 된다. 이에 반해, 드럼(130)을 소정 속도로 회전시키면 드럼(130) 내부의 의류가 뒤섞이게 되면서 가열된 공기와의 접촉하는 면적 및 시간이 증가되고,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drum 130 is rotated by operating the driving motor 135, the drying of the clothes can be promoted. Specifically, when the drum 130 is stopped, the clothes are piled up under the drum 130, so that only a part of the clothes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heated air. On the other hand, when the drum 13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speed, the clothes in the drum 130 are mixed and the area and time of contact with the heated air are increased and the drying time can be shortened.

한편, 도 5에서는 제1 건조 단계(Ⅰ)에서 배수펌프(146)가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배수펌프(146)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는 터브(120)의 내주면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함이다.5, the drain pump 146 is not operated in the first drying step (I), but it is also possible to operate the drain pump 146 if necessary. This is for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120 to the outside.

또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건조 행정 중에 터브(120) 내부 공기 중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는 도 1의 공기 배출 유닛(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1 to 4,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charge a part of the air inside the tub 120 to the outside during the drying stroke. This can be performed by the air discharge unit 170 of Fig.

건조 행정의 진행 중 필터(180)의 세척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건조 행정을 일시 중단하고, 필터 세척 단계(Ⅱ)를 진행한다. 즉, 송풍팬(163)과 히터(166)의 작동을 중단하고, 구동모터(135)의 작동도 중단한다. 이후, 세척수 밸브(154)를 개방하여 필터 세척부(190)에 세척수를 공급한다. 필터 세척부(190)는 필터(180)로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필터(180)에 쌓인 린트가 제거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cleaning of the filter 180 is necessary during the progress of the drying process, the drying process is temporarily stopped and the filter cleaning process (II) is performed. That is,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163 and the heater 166 is stopped, and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135 is also stopped. Thereafter, the washing water valve 154 is opened to supply washing water to the filter washing unit 190. The filter cleaning unit 190 can remove the lint accumulated in the filter 180 by spraying the washing water into the filter 180. [

한편, 필터(180)의 세척이 필요한 경우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송풍팬(163)의 회전속도를 이용하거나, 덕트(165) 내부의 온도를 이용하거나, 또는 필터(180) 표면의 린트 양을 직접 측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술하였다.Whether or not the filter 180 needs to be cleaned may be determined by us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ing fan 163 or by us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duct 165 or by using the lint amount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180 For example, by directly measuring the temperature. This has been described above.

필터(180) 세척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필터 세척 단계(Ⅱ)를 진행한다. 이때, 송풍팬(163)의 작동은 중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필터 세척부(190)가 필터(180)에 세척수를 분사할 때 송풍팬(163)이 작동하면, 필터(180) 표면의 세척수가 터브(120) 내부로 하강하지 못하고 필터(180) 표면에 머무르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180) 표면에 수막이 형성되고, 후속되는 제2 건조 단계(Ⅳ)에서 공기 회수부(161)를 통한 공기의 유입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터 세척 단계(Ⅱ)에서는 송풍팬(163)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필터 세척 단계(Ⅱ)가 종료된 이후 제2 건조 단계(Ⅳ)에서 송풍팬(163)을 다시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lter 180 needs to be cleaned, proceed to the filter cleaning step (II).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163. This is because when the blowing fan 163 is operated when the filter cleaning unit 190 injects the washing water into the filter 180, the washing water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180 can not descend into the tub 120, . ≪ / RTI > In this case, a water film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180, and air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through the air recovery unit 161 in the subsequent second drying step (IV).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163 is stopped in the filter washing step II, and the blowing fan 163 is operated again in the second drying step IV after the filter washing step II is finished .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필터 세척 단계(Ⅱ) 진행 중에 구동모터(135)를 작동시켜 드럼(1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드럼(130)이 회전하면 터브(120) 내부에는 기류(공기의 흐름)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기류가 필터(180) 표면에 잔류하는 세척수를 필터(18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 밸브(154)를 개방해 필터(180)를 세척하는 동안 드럼(130)을 회전시켜 수막 형성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method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otate the drum 130 by operating the driving motor 135 during the filter cleaning step II. When the drum 130 rotates, an air current (air flow) is generated inside the tub 120 because the washing water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180 can be separated from the filter 180. Therefore, as shown in FIG. 5, it is desirable to open the wash water valve 154 to rotate the drum 130 while cleaning the filter 180 to prevent water film formation.

이 경우에 있어서, 드럼(130)이 필터(180)를 통해 터브(120)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낙하 방향을 향해 회전하도록 제어하면, 필터(180)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기류가 형성되어 세척수 분리 효과가 더욱 증가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drum 130 is controlled to rotate toward the falling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tub 120 through the filter 180, an airflow is form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180 downward, The separation effect can be further increas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세척수 밸브(154)는 필터 세척부(190)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간헐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즉, 세척수 밸브(154)는 필터 세척 단계(Ⅱ)가 진행되는 동안 세척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도 있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헐적으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도 있다. 이처럼 간헐적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이유는 분사노즐(193)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출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즉, 세척수 공급부(190)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이 낮은 경우에는 필터(180)에 부착된 린트가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못할 수도 있는데, 세척수를 간헐적으로 분사하면 일시적으로 그 분출압력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필터(180)에 고착된 린트에 충격을 가할 수 있고, 린트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sh water valve 154 may intermittently supply wash water supplied to the filter wash section 190. [ That is, the wash water valve 154 may continuously supply the wash water while the filter washing step (II) proceeds, but may also supply the wash water intermittently as shown in FIG. The reason why the wash water is intermittently supplied is to increase the ejection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spray nozzle 193. That is, when the pressure of the wash water supplied to the wash water supply unit 190 is low, the lint attached to the filter 180 may not be effectively removed. However, if the wash water is intermittently sprayed, . This makes it possible to apply an impact to the lint fixed to the filter 180 and to more effectively remove the lint.

세척수 공급부(190)를 통해 분사된 세척수는 필터(180)를 거쳐 터브(120)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배수펌프(146)를 작동시켜 터브(120) 내부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켜 드럼(130) 내부의 의류가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wash water injected through the wash water supply unit 190 flows into the tub 120 through the filter 180. Accordingly, the drain pump 146 is operated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in the tub 120 to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the clothes in the drum 130 from being wetted.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 세척 단계(Ⅱ)에서도 필터(180)에 수막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들이 있다. 세척수 분사 중 송풍팬(163)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드럼(130)을 회전시키는 것이 그것이다. 그러나, 필터 세척 단계(Ⅱ)가 종료되었다고 해서 필터(180)의 수막이 모두 해소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필터 세척 단계(Ⅱ) 이후에 곧바로 건조 행정(제2 건조 단계, Ⅳ)을 재개하면, 필터(180)에 남아있는 세척수의 수막으로 인하여 건조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필터 세척 단계(Ⅱ)의 종료 이후에 수막 제거 단계(Ⅲ)를 추가적으로 실시함으로써, 필터(180)에 형성된 수막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re are also methods for preventing the water film from being formed in the filter 180 in the filter cleaning step (II).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163 is stopped and the drum 130 is rotated during the washing water injection. However, the termination of the filter cleaning step (II) does not completely eliminate the water film of the filter 180. Accordingly, if the drying cycle (the second drying step IV) is resumed immediately after the filter washing step (II), the drying efficiency may be lowered due to the water film of the washing water remaining in the filter (180).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film formed on the filter 180 can be more reliably removed by further performing the water film removing step (III) after the end of the filter washing step (II).

한편, 필터 세척 단계(Ⅱ)의 종료 시점은 관점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 펌프(146)의 종료 시점, 즉, 필터 세척부(190)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모두 배수된 시점을 필터 세척 단계(Ⅱ)의 종료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밸브(154)의 작동 종료 시점, 즉, 세척수 공급이 종료된 시점을 필터 세척 단계(Ⅱ)의 종료 시점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필터 세척 단계(Ⅱ)의 종료 시점은 연속적인 건조 행정을 구분하기 위한 임의적인 것일 뿐이고, 그 종료 시점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세척수의 배수가 종료된 시점을 필터 세척 단계(Ⅱ)의 종료 시점으로 설정한 경우를 예로 들어 수막 제거 단계(Ⅲ)를 설명하고, 도 6에서는 세척수 공급이 종료된 시점을 필터 세척 단계(Ⅱ)의 종료 시점으로 설정한 경우를 예로 들어 수막 제거 단계(Ⅲ)를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end point of the filter cleaning step (II) can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viewpoin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ending point of the drain pump 146, that is, the point at which all of th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filter washing unit 190 is drained, can be set as the ending point of the filter washing step (II) have.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6,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ending time of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water valve 154, that is, the point at which the washing water supply is finished, to the ending point of the filter washing step (II). Therefore, the ending point of the filter cleaning step (II) is only arbitrary for discriminating the successive drying strokes, and the ending point thereof can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In FIG. 5, the water removal step (III)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the end of the drainage of the washing water is set as the ending point of the filter washing step (II). In FIG. 6, (II) is set as an end point of time, the meniscus removing step (III) will be described.

수막 제거 단계(Ⅲ)에서는, 필터 세척 단계(Ⅱ) 완료 이후에 송풍팬(163)의 작동을 중단한 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한다. 이는 필터(180)에 남아있는 세척수가 중력에 의해 터브(120) 내부로 낙하함으로써 수막이 자연적으로 제거되는데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In the water film removing step (III), after the completion of the filter washing step (II),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163) is interrupted and waits for a predetermined time. This is to ensure the time required for the water film to be naturally removed by dropping the washing water remaining in the filter 180 into the tub 120 by gravity.

한편, 대기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수막 제거를 더욱 확실히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대기 시간이 길어지면 건조 행정의 전체 소요 시간도 길어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수막이 제거되는 최적의 시간을 도출해내는 것이 중요하다. 본 출원인은 실험을 통하여 상기 최적의 대기시간이 약 50초 내지 70초 사이인 것을 확인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필터(180) 세척수의 배수가 완료된 이후, 약 60초간 대기하면 대부분의 수막이 제거되었다.On the other hand, the longer the waiting time, the more secure the removal of the meninges. However, the longer the waiting time, the longer the total time required for drying.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rive the optimum time for removal of the water film. The Applicant has confirmed through experiments that the optimum waiting time is between about 50 and 70 seconds. More specifically, after the drainage of the washing water of the filter 180 is completed, waiting for about 60 seconds, most of the water film is remov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막 제거 단계(Ⅲ)는 드럼(130)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럼(130)을 회전시키는 이유는 필터 세척 단계(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브(120) 내부에 기류를 형성하여 필터(180) 표면에 잔류하는 세척수를 필터(18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함이다. 이때, 드럼(130)의 회전 속도가 40rpm 내지 50rpm, 보다 바람직하게는 46rpm이 되도록 드럼(130)을 회전시키면 수막 제거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mbrane removal step (III) may further comprise rotating the drum 130. The reason for rotating the drum 130 is to separate the washing water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180 from the filter 180 by forming an air flow inside the tub 120 as described in the filter washing step II. At this time, if the drum 130 is rotated such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drum 130 is 40 rpm to 50 rpm, more preferably 46 rpm, the water film removing effect can be maximized.

이 경우에 있어서, 수막 제거 단계(Ⅲ)가 진행되는 동안 드럼(130)이 연속적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수막 제거 단계(Ⅲ)의 일부에서만 드럼(130)이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드럼(130)이 회전과 멈춤을 반복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드럼(130) 회전에 의한 기류 생성과 기류 소멸이 반복되면서 필터(180)에 형성된 수막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드럼(130)을 25초 동안 회전시키고, 이후 5초 동안 드럼(130)의 회전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수막 제거 단계(Ⅲ) 동안 1회 내지 2회 실시할 수 있다. 도 5에는 수막 제거 단계(Ⅲ) 동안 드럼(130)의 회전과 멈춤을 2회 반복하여 실시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rum 130 to rotate continuously during the film removal step (III), or to control the drum 130 to rotate only in a part of the film removal step (III). Alternatively, the drum 130 may be controlled to repeat rotation and pause. In this case, generation of airflow and extinction of the airflow due to rotation of the drum 130 are repeated, so that the water film formed on the filter 180 can be more effectively removed. For example, the drum 130 may be rotated for 25 seconds, and then the rotation of the drum 130 may be stopped for 5 seconds. This process can be carried out once or twice during the meniscus removal step (III). FIG. 5 shows that the rotation and stop of the drum 130 are repeated twice during the water film removing step (III).

수막 제거 단계(Ⅲ)가 완료된 이후에는 다시 건조 행정을 재개한다. 즉, 제2 건조 단계(Ⅳ)를 진행한다. 수막 제거 단계(Ⅲ)를 통해 필터(180)에 형성된 수막이 제거된 상태이므로, 터브(120) 내부의 공기가 공기 회수부(161)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어 건조 효율은 증가되고 건조 시간은 단축될 수 있다.After the meniscus removal step (III) is completed, the drying cycle is resumed again. That is, the second drying step (IV) proceeds. Since the water film formed on the filter 180 is removed through the water film removing step III, the air inside the tub 120 can be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air recovery part 161, Can be shortened.

한편, 제2 건조 단계(Ⅳ)를 마지막으로 건조 행정이 종료될 수도 있으나, 필터(180)가 린트로 막혀 필터(180) 세척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필터 세척 단계(Ⅱ)와 수막 제거 단계(Ⅲ)를 적어도 1회 이상 다시 실시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lter 180 needs to be rinsed to clean the filter 180, the filter cleaning step II and the meniscus removal step III ) May be carried out again at least once.

도 6은 도 1의 의류처리장치(100)를 이용하여 필터(180)에 형성된 수막을 제거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다. 이때, 도 6의 제어방법은, 필터 세척 단계(Ⅱ)의 종료 시점과 구동모터(135)의 동작을 제외하고는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동일한 단계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고,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기술하기로 한다.6 shows a control method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for removing the water film formed on the filter 180 using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of Fig. The control method of FIG. 6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except for the end point of the filter cleaning step (II) and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135. Therefore,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same step is omitted, and only the difference will be described.

도 6에 도시된 건조 행정은 총 4개의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Ⅰ 단계와 Ⅳ 단계는 건조 행정을 나타내고, Ⅱ 단계는 필터 세척 단계를 나타내며, Ⅲ 단계는 수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즉, 건조 행정 중에 필터 세척을 행하고, 이후 다시 건조 행정을 진행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Ⅰ 단계는 제1 건조 단계로 명명하고, Ⅳ 단계는 제2 건조 단계로 명명하기로 한다.The drying cycle shown in FIG. 6 can be divided into four stages in total. Steps I and IV represent the drying cycle, step II represents the filter washing step, and step III represents the step of removing the water film. That is, it shows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filter cleaning during the drying step and then the drying step agai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step I will be referred to as the first drying step, and step IV will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drying step.

한편, 도 5에 도시된 제어방법에서는 필터 세척 단계(Ⅱ)의 시작 시와 종료 시에 드럼(130)의 회전을 중단시켰으나, 도 6에 도시된 제어방법에서는 드럼(130)의 회전을 중단시키지 않고 계속 작동시킨다는 차이가 있다. 이는 필터 세척 단계(Ⅱ) 중에도 기류 형성을 위하여 드럼(130)을 회전시키게 되므로, 불필요한 드럼(130) 제어를 생략하여 제어과정을 보다 단순화시키기 위함이다.In the control method shown in FIG. 5, the rotation of the drum 130 is stopped at the start and end of the filter cleaning step II, but in the control method shown in FIG. 6, the rotation of the drum 130 is stopped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it continues to operate. This is to simplify the control process by omitting the unnecessary control of the drum 130 since the drum 130 is rotated to form the airflow during the filter cleaning step II.

다만, 도 6에는 드럼(130)의 구동모터(135)가 건조 행정 내내 연속적으로 구동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달리, 건조 행정 동안 드럼(130)의 구동모터(135)가 작동과 멈춤을 반복하는 형태로 작동될 수도 있고, 일부 구간에서만 작동과 멈춤을 반복하는 형태로 작동될 수도 있다.In FIG. 6, the driving motor 135 of the drum 130 is shown as being driven continuously throughout the drying strok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6, the driving motor 135 of the drum 130 during the drying stroke may be operated in the form of repeating operation and stop, and may be operated in the form of repeating operation and pause only in a certain section It is possible.

도 6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세척수밸브(154)의 작동이 종료된 시점, 즉, 필터 세척부(190)를 통한 세척수 공급이 종료된 시점이 필터 세척 단계(Ⅱ)의 종료 시점이 된다. 필터 세척 단계(Ⅱ) 종료 이후에는 수막 제거 단계(Ⅲ)가 진행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shown in Fig. 6 is the same as the control method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shown in Fig. 6 except that the point at which the operation of the wash water valve 154 is terminated, . After the completion of the filter washing step (II), the meniscus removal step (III) may proceed.

수막 제거 단계(Ⅲ)에서는, 필터 세척 단계(Ⅱ) 완료 이후에 송풍팬(163)의 작동을 중단한 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한다. 이는 필터(180)에 남아있는 세척수가 중력에 의해 터브(120) 내부로 낙하함으로써 수막이 자연적으로 제거되는데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In the water film removing step (III), after the completion of the filter washing step (II),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163) is interrupted and waits for a predetermined time. This is to ensure the time required for the water film to be naturally removed by dropping the washing water remaining in the filter 180 into the tub 120 by gravity.

한편, 대기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수막 제거를 더욱 확실히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대기 시간이 길어지면 건조 행정의 전체 소요 시간도 길어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수막이 제거되는 최적의 시간을 도출해내는 것이 중요하다. 본 출원인은 실험을 통하여 상기 최적의 대기시간이 약 110초 내지 130초 사이인 것을 확인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필터(180)로의 세척수 공급이 종료된 이후, 약 120초간 대기하면 대부분의 수막이 제거되었다.On the other hand, the longer the waiting time, the more secure the removal of the meninges. However, the longer the waiting time, the longer the total time required for drying.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rive the optimum time for removal of the water film. The Applicant has confirmed through experiments that the optimum waiting time is between about 110 and 130 seconds. More specifically, after the supply of the washing water to the filter 180 is completed, waiting for about 120 seconds, most of the water film is removed.

또한, 도 5를 참조로 상술한 바와 같이, 수막 제거 단계(Ⅲ) 동안 드럼(130)을 회전시키면 수막 제거 효과가 더욱 극대화될 수 있다.Further,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 when the drum 130 is rotated during the water film removing step (III), the water film removing effect can be further maximized.

수막 제거 단계(Ⅲ)가 완료된 이후에는 다시 건조 행정을 재개한다. 즉, 제2 건조 단계(Ⅳ)를 진행한다. 수막 제거 단계(Ⅲ)를 통해 필터(180)에 형성된 수막이 제거된 상태이므로, 터브(120) 내부의 공기가 공기 회수부(161)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어 건조 효율은 증가되고 건조 시간은 단축될 수 있다.After the meniscus removal step (III) is completed, the drying cycle is resumed again. That is, the second drying step (IV) proceeds. Since the water film formed on the filter 180 is removed through the water film removing step III, the air inside the tub 120 can be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air recovery part 161, Can be shortened.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의류처리장치 110: 캐비닛
120: 터브 130: 드럼
135: 구동모터 140: 급수부
141: 급수라인 143: 세제공급장치
145: 배수부 146: 배수펌프
148: 배수라인 150: 밸브부
152: 급수밸브 154: 세척수밸브
160: 공기 순환 유닛 161: 공기 회수부
163: 송풍팬 165: 덕트
166: 히터 167: 공기 토출부
170: 공기 배출 유닛 180: 필터
190: 필터 세척부 191: 세척수라인
193: 분사노즐
100: Apparatus for processing clothes 110: cabinet
120: a tub 130: a drum
135: drive motor 140:
141: water supply line 143: detergent supply device
145: Drain part 146: Drain pump
148: Drain line 150:
152: Water supply valve 154: Water wash valve
160: air circulation unit 161: air recovery unit
163: blower fan 165: duct
166: Heater 167: Air discharge part
170: air exhaust unit 180: filter
190: filter cleaning unit 191: washing water line
193: Spray nozzle

Claims (16)

수용공간에 저장된 의류에 가열된 공기 또는 미가열 공기를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시키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가 순환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을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송풍팬의 작동을 중단시킨 후, 상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필터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가 완료된 이후에, 상기 필터로 분사된 세척수에 의해 상기 필터에 형성된 수막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송풍팬을 재작동시켜 상기 수용공간 내부 공기의 순환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 control method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for drying clothes by supplying heated air or unheated air to clothing stored in a receiving space,
Operating a blowing fan installed in a duct forming a flow path for circulating air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to circulate air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Removing the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filter by spraying washing water to a filt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 from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ct afte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Removing the water film formed on the filter by the washing water sprayed on the filter after the step of spraying washing water on the filter and removing the foreign substances remaining on the filter is completed; And
And restarting circulation of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by reactivating the blowing fa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에 형성된 수막을 제거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송풍팬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removing the water film formed on the filter includes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for a predetermined ti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필터로의 세척수 공급이 종료된 시점에 완료되며,
상기 송풍팬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단계는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가 완료된 이후 110초 내지 120초 동안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tep of removing the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filter is completed when the supply of the washing water to the filter is completed,
Wherein the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ng fan is continued for 110 to 120 seconds after the step of removing foreign matters remaining in the filter is comple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필터로 분사된 세척수를 상기 터브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의 작동이 종료된 시점에 완료되며,
상기 송풍팬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단계는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가 완료된 이후 50초 내지 70초 동안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ep of removing the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filter is completed when the operation of the drain pump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sprayed by the filter to the outside of the tub is completed,
Wherein the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is continued for 50 to 70 seconds after the step of removing foreign matters remaining in the filter is comple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에 형성된 수막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removing the water film formed on the filter include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otating the drum (10) rotatably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12) to receive the clothes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드럼의 회전과 멈춤을 적어도 1회 이상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tep of rotating the drum repeats the rotation and stop of the drum at least once or mor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시간은 상기 드럼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시간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time for rotating the drum is longer than the time for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dru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removing the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filter includes:
Rotating the drum rotatably in the receiving space to receive the clothes;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perating a drain pump for discharging the water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to the outsid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필터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낙하방향을 향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rum rotates toward the falling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containing space through the fil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필터에 세척수를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removing the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filter intermittently supplies the washing water to the fil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need to remove foreign matter remaining on the filter by spraying wash water on the filt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송풍팬의 회전 속도가 설정된 회전 속도보다 기 설정된 수치 이상 증가하면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need to remove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filter includes determining that there is a need to remove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filter wh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ing fan increases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덕트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기 설정된 수치 이상 증가하면 상기 필터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need to remove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filter comprises determining that there is a need to remove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filter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duct increases by more than a preset valu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 공기의 순환을 재개하는 단계는, 각각 상기 덕트 내부에 설치된 히터를 작동시켜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circulating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step of restarting the circulation of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each include the step of heating the air suppli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by operating a heater provided inside the duct Wherein said control means controls said control means to control said control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 공기의 순환을 재개하는 단계는, 각각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circulating the air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step of restarting the circulation of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each include the step of rotating the drum rotatably provid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o receive the clothes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 공기의 순환을 재개하는 단계는, 각각 상기 수용공간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 중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circulating the air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step of restarting the circulation of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each include discharging a part of the air circulating in the accommodation space to the outside A method of controlling a processing apparatus.
KR1020160114129A 2016-09-05 2016-09-05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6623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129A KR102662308B1 (en) 2016-09-05 2016-09-05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129A KR102662308B1 (en) 2016-09-05 2016-09-05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046A true KR20180027046A (en) 2018-03-14
KR102662308B1 KR102662308B1 (en) 2024-04-30

Family

ID=61660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129A KR102662308B1 (en) 2016-09-05 2016-09-05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30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5771A1 (en) * 2019-12-17 2021-06-2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laundry treating apparatus
RU2789288C1 (en) * 2019-12-17 2023-02-01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Laundry processing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processing device
WO2024045712A1 (en) * 2022-08-31 2024-03-07 深圳洛克创新科技有限公司 Clothing treatment equipment, water supply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8196A (en) * 2011-04-18 2012-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ter cleaning method for laundry machine
KR20130075755A (en) * 2013-06-13 2013-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machine
KR20130114780A (en) * 2012-04-10 2013-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50856A (en) * 2013-11-01 201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8196A (en) * 2011-04-18 2012-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ter cleaning method for laundry machine
KR20130114780A (en) * 2012-04-10 2013-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30075755A (en) * 2013-06-13 2013-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machine
KR20150050856A (en) * 2013-11-01 201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5771A1 (en) * 2019-12-17 2021-06-2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laundry treating apparatus
RU2789288C1 (en) * 2019-12-17 2023-02-01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Laundry processing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processing device
WO2024045712A1 (en) * 2022-08-31 2024-03-07 深圳洛克创新科技有限公司 Clothing treatment equipment, water supply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O2024045480A1 (en) * 2022-08-31 2024-03-07 深圳洛克创新科技有限公司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308B1 (en) 202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5418B1 (en)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having steam generation
KR100700793B1 (en) Lint filter assembly of drum type washing machine for having dry function
RU2578117C1 (en) Machine for linen processing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027256B2 (en) Laundry lint filter cleaning machine
EP2817445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EP2280115B1 (en) Clothes washing device with drying procedur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060097210A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to remove suds thereof
JP2008259665A (en) Drum type washing/drying machine
JP2010523195A (en) Drum washing machine
JP3898687B2 (en) Drum type washer / dryer
KR20120108168A (en)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481596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2662308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634171B1 (en) Washing machine
KR20180048513A (en) Laundry treating machine
JP2010011924A (en) Washing/drying machine
KR20180027043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7112187B2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100659309B1 (en)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with steam generation device
KR101287537B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to control spin-drying thereof
JP2005224351A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100400749B1 (en) Pulsator type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WO2023203833A1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JP7478915B2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100413445B1 (en) Pulsator type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