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6646A - 이어폰 정리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액세서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어폰 정리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액세서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6646A
KR20180026646A KR1020160113555A KR20160113555A KR20180026646A KR 20180026646 A KR20180026646 A KR 20180026646A KR 1020160113555 A KR1020160113555 A KR 1020160113555A KR 20160113555 A KR20160113555 A KR 20160113555A KR 20180026646 A KR20180026646 A KR 20180026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earphone
present
smartphone accessory
access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현
Original Assignee
송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정현 filed Critical 송정현
Priority to KR1020160113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6646A/ko
Publication of KR20180026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6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B65H75/4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ing mo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9Other types of filamentary materials or special applications
    • B65H2701/3919USB, earphones, audio or video cables, e.g. for connecting small electronic devices such as MP3 player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 정리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액세서리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어폰을 감기 위한 모터부, 사용자가 모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부, 스마트폰의 이어폰 단자에 연결하여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 스마트폰 케이스에 부착하여 거치대의 효과를 줄 수 있는 부착부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어폰 정리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액세서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SMARTPHONE ACCESSORY HAVING ARRANGEMENT EARPHON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어폰 정리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액세서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수동입력으로 내부의 소형 모터를 작동시켜 이어폰을 감아 정리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액세서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으로 스마트폰의 이용자가 급증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음악 재생 기능을 사용하다 보면 꼭 필요하게 되는 것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이어폰이다. 이어폰은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향상된 음질로 음악을 감상할 수 있게 해주는 편리한 장치이다. 하지만 이 장치에는 선이 잘 꼬인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시중에는 다양한 이어폰 정리기가 유통되고 있지만, 사용자가 수동으로 감았다가 풀어서 써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자동으로 선을 감아서 정리해주는 이어폰 정리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액세서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수동입력으로 내부의 소형 모터를 작동시켜 이어폰을 감아 정리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액세서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을 감을 수 있는 스마트폰 액세서리 장치는 이어폰을 감기 위한 소형 모터부; 사용자가 입력을 할 수 있는 버튼부; 스마트폰에 연결하여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 스마트폰 케이스에 부착할 수 있는 부착부; 부착되었을 경우 스마트폰 거치대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을 감을 수 있는 스마트폰 액세서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버튼 하나로 이어폰을 감았다가, 이어폰을 사용해야 할 때는 감긴 이어폰을 잡아당겨 풀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이어폰 선의 꼬임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이어폰 삽입부에 연결하거나 스마트폰 케이스에 부착하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이어폰 정리기보다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 케이스에 부착할 경우 거치대의 효과도 함께 누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정리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액세서리(100)와 스마트폰간의 연결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이어폰 정리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액세서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액세서리(100)는 부착부(110)를 통해 스마트폰 케이스에 부착할 수 있으며, 부착할 경우 접혀있던 거치부(120)를 펼쳐 거치대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부착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연결부(120)를 통해 스마트폰의 이어폰 삽입부분에 연결하여 휴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정리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액세서리(100)는 크게 부착부(110), 거치부(120), 연결부(130), 버튼부(140), 모터부(150)를 포함한다.
거치부(120)는 사용자가 접었다 폈다 할수 있다. 폈을 경우 스마트폰 거치대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버튼부(130)는 사용자가 조작하면 모터부(140)를 작동시킨다.
모터부(140)는 사용자가 버튼부(130)를 조작함에 따라 작동되어 이어폰을 감아 정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00 : 이어폰 정리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액세서리
110 : 부착부
120 : 거치부
130 : 연결부
140 : 버튼부
150 : 모터부

Claims (3)

  1. 본 발명의 스마트폰 액세서리의 외형에 위치하며, 스마트폰 케이스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빨판 모양의 부착부;
    부착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스마트폰 거치대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부.
    본 발명의 스마트폰 액세서리의 외형에 위치하며, 이어폰의 단자 모양과 같은 모양을 통해 스마트폰의 이어폰 삽입부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
    본 발명의 스마트폰 액세서리의 외형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모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부; 및
    본 발명의 스마트폰 액세서리의 내부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버튼부를 조작하면 작동하는 모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정리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액세서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부착부를 통해 이어폰 정리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액세서리가 케이스에 부착되었을 경우 스마트폰을 적당한 각도로 세워두는 거치대의 기능을 할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정 각도 이상 펼쳐지지 않으며, 부착부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정리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액세서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는,
    모터에 부착되어있는 고리에 이어폰을 걸고 버튼부를 조작하면, 고리에 걸려있는 이어폰을 감아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정리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액세서리.





KR1020160113555A 2016-09-03 2016-09-03 이어폰 정리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액세서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266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555A KR20180026646A (ko) 2016-09-03 2016-09-03 이어폰 정리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액세서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555A KR20180026646A (ko) 2016-09-03 2016-09-03 이어폰 정리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액세서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646A true KR20180026646A (ko) 2018-03-13

Family

ID=61660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555A KR20180026646A (ko) 2016-09-03 2016-09-03 이어폰 정리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액세서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66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1387A (zh) * 2018-11-15 2019-03-08 佳禾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耳机关机过程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耳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1387A (zh) * 2018-11-15 2019-03-08 佳禾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耳机关机过程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耳机
CN109451387B (zh) * 2018-11-15 2020-06-05 佳禾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耳机关机过程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耳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26882A1 (en) Earphone
US20090191920A1 (en) Multi-Function Electronic Ear Piece
US20220279264A1 (en) Electronic device
JP2003188967A (ja) ヘッドセット
US20140079275A1 (en) Headphone Having Integrated Cord Storage
KR20180026646A (ko) 이어폰 정리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액세서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11504A (ko) 상하 왕복 및 회전 가능한 골절 타입 이어후크를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
CN104581487B (zh) 背贴式耳机绕线器
CN210042147U (zh) 一种蓝牙耳机
KR101850541B1 (ko)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KR101930732B1 (ko) 다기능 넥밴드형 블루투스 스피커
CN205847510U (zh) 一种可用作手机支撑架的耳机绕线板
KR101612672B1 (ko) 이어폰 겸용 휴대폰 케이스
JP2007143033A (ja) イヤホンマイク
KR20220060765A (ko) 슬라이드형 뜰채
KR100500226B1 (ko) 휴대폰용 목걸이형 이어폰
CN109151633B (zh) 电子信息设备
CN204810505U (zh) 一种耳机绕线器
KR20160001981A (ko) 이어폰줄 엉킴 방지용 신형 이어폰
KR200396751Y1 (ko) 하드/소프트 전환타입의 목걸이형 동영상 및 통신단말기거치장치
KR20060093214A (ko)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폰 잭
KR200218558Y1 (ko) 휴대폰용 핸즈프리장치
KR20200059518A (ko) 이어폰 수납공간이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20200064360A (ko) 이어폰 보관 및 탈부착이 가능한 폰 케이스
KR20170143268A (ko) [이어폰을 보관할 수 있고 탈부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