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6618A -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주파수 자원 구조 설계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주파수 자원 구조 설계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6618A
KR20180026618A KR1020160113505A KR20160113505A KR20180026618A KR 20180026618 A KR20180026618 A KR 20180026618A KR 1020160113505 A KR1020160113505 A KR 1020160113505A KR 20160113505 A KR20160113505 A KR 20160113505A KR 20180026618 A KR20180026618 A KR 20180026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merology
sub
band
present
inde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진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60113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6618A/ko
Publication of KR20180026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6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mixed numerology 기반의 frame structure에서의 RB grid 정의 방법으로서 특히, 2n * 15kHz 의 subcarrier spacing을 갖는 numerology 간의 FDM 형태로 multiplexing이 이루어질 때의 RB grid 정의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임의의 NR carrier를 통해 reference numerology를 제외한 하나 이상의 secondary numerology가 FDM 형태로 지원될 경우, RB grid를 정의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Description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주파수 자원 구조 설계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of frequency resource grid design for NR(New Radio)}
본 발명은 3GPP에서 논의가 시작된 차세대/5G 무선 액세스망(이하, 본 발명에서는 "NR[New Radio]"라 지칭하도록 함)에서 mixed numerology 지원을 위한 주파수 자원 구조 설계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일 실시예는,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주파수 자원 구조 설계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NR 주파수 대역에서 reference numerology와 하나 이상의 secondary numerology를 설정하는 단계와, reference numerology의 RB 단위로 secondary numerology의 sub-band를 할당하는 단계와, 할당된 sub-band에 기초하여 numerology 별 RB를 독립적으로 index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TDM 기반의 Mixed numerology에서의 RB 구조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할당된 sub-band 기반의 numerology 별 독립적 RB indexing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System bandwidth 기반의 numerology 별 독립적 RB indexing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Numerology common RB indexing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를 지원하는 단말 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기 위한 특정 카테고리로 정의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TE 기반의 MTC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새롭게 정의된 3GPP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기존의 LTE coverage 대비 향상된 coverage를 지원하거나, 혹은 저전력 소모를 지원하는 기존의 3GPP Release-12 이하에서 정의된 UE category/type, 혹은 새롭게 정의된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 또는 eNB)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small cel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 RU, small cell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상기 나열된 다양한 셀은 각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i)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ii) 상기 무선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i)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상기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eNB, RRH, 안테나, RU, LPN, 포인트,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예가 된다. ii)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 RRH, 안테나, RU, LPN(Low Power Node), 포인트, eNB,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를 통칭하여 기지국으로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LTE, LTE-advanced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EPDCCH(enhanced PDCCH 또는 extended PDCCH)를 이용해서도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둘 이상의 송수신 포인트들이 협력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 포인트 협력형 송수신 시스템(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CoMP 시스템) 또는 협력형 다중 안테나 전송방식(coordinated multi-antenna transmission system), 협력형 다중 셀 통신시스템일 수 있다. CoMP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다중 송수신 포인트와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송수신 포인트는 기지국 또는 매크로 셀(macro cell, 이하 'eNB'라 함)과, eNB에 광케이블 또는 광섬유로 연결되어 유선 제어되는, 높은 전송파워를 갖거나 매크로 셀영역 내의 낮은 전송파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RRH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기재는 E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E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기재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PDCCH를 의미하거나, EPDCCH를 의미할 수 있으며, PDCCH 및 EPDCCH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EPDCCH를 적용할 수 있으며, E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PDCCH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은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정보를 전송하는 RRC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eNB은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eNB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그리고 PDSCH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
NR (New Radio)
3GPP는 최근 차세대/5G 무선 액세스 기술에 대한 연구를 위한 study item인 "Study on New Radio Access Technology"를 승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RAN WG1에서는 각각 NR(New Radio)를 위한 frame structure, channel coding & modulation, waveform & multiple access scheme 등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NR은 LTE 대비 향상된 데이터 전송율 뿐 아니라, 세분화되고 구체화된 usage scenario 별로 요구되는 다양한 requirements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설계가 이루어지도록 요구되고 있다. 특히 NR의 대표적 usage scenario로서 eMBB(enhancement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TC) 및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가 제기되었으며, 각각의 usage scenario별 requirements를 만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LTE 대비 flexible한 frame structure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3GPP에서 논의 중인 NR의 대표적 usage scenario로서 eMBB, mMTC, URLLC가 고려되고 있다. 각각의 usage scenario는 data rates, latency, coverage 등에 대한 requirements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임의의 NR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 각각의 usage scenario 별 requirements를 효율적으로 만족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서로 다른 numerology(e.g. subcarrier spacing, subframe, TTI, etc.) 기반의 무선 자원 유닛(unit)을 효율적으로 multiplexing하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LTE와 동일하게 15kHz의 subcarrier spacing 기반의 1 ms subframe(혹은 0.5 ms slot) 구조와 30kHz의 subcarrier spacing 기반의 0.5 ms subframe(혹은 0.25 ms slot) 구조 및 60kHz 기반의 0.25 ms subframe(0.125ms slot) 구조를 하나의 NR 주파수 대역을 통해 지원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임의의 numerology, 즉 sub-carrier spacing 구조 내에서도 time domain에서의 자원 할당 단위, 즉 time domain에서의 scheduling unit으로서 X개의 OFDM symbols로 구성된 subframe(e.g. X=14 혹은 7, 또는 그 외의 임의의 자연수)이나 혹은 Y개의 OFDM symbols로 구성된 slot(Y=14 or 7 혹은 또는 그 외의 임의의 자연수)이 설정되거나, 혹은 해당 subframe이나 slot보다 작은 granularity를 갖는 Z개의 OFDM symbol(s)(i.e. Z<Y & Z<X를 만족하는 임의의 자연수)로 구성된 mini-slot을 정의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TDM 기반의 Mixed numerology에서의 RB 구조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NR carrier를 통해 복수의 numerology가 지원되고, 각각의 numerology 별 subcarrier spacing이 2n * 15kHz의 값을 가질 경우, 각각의 numerology 별 subcarrier들은 15kHz subcarrier spacing의 subcarrier에 대해 subset/superset 형태의 nested manner로 frequency domain에서 mapping이 되도록 정의되었다. 또한 추가적으로 해당 numerology 간 TDM 기반으로 다중화 되어 frame structure가 구성될 경우, 해당 NR carrier를 통한 주파수 축에서의 자원 할당 단위가 되는 RB(Resource Block)은 도 1과 같이 15kHZ 기반의 RB grid에 대해 subset/superset 형태의 nested manner로 구성되도록 정의되었다.
단, 각각의 numerology에서 하나의 RB를 구성하는 subcarrier의 개수는 해당 numerology에 관계 없이 12 혹은 16 중 하나의 값을 갖도록 결정되었다.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NR에서는 다양한 usage scenario를 만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time domain에서 서로 다른 length를 갖는 scheduling unit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위한 한 방법으로서, URLLC와 같이 latency가 중요한 usage scenario를 위해 짧은 time domain scheduling unit 설정에 용이한 large subcarrier spacing(e.g. 60kHz, 120kHz, 240kHz 등) 기반의 numerology와 상대적으로 긴 time domain scheduling unit 기반의 자원 할당 방법이 효율적일 수 있는 eMBB(혹은 mMTC) 등의 usage scenario를 위한 small subcarrier spacing(e.g. 15kHz for eMBB, 3.75kHz for mMTC)를 하나의 NR carrier를 통해 FDM, TDM 혹은 FDM/TDM 형태로 지원하는 mixed numerology 기반의 frame structure가 제안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mixed numerology 기반의 frame structure에서의 RB grid 정의 방법으로서 특히, 2n * 15kHz 의 subcarrier spacing을 갖는 numerology 간의 FDM 형태로 multiplexing이 이루어질 때의 RB grid 정의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임의의 NR carrier에서 복수의 numerology가 지원될 경우, 시간 축에서 정의되는 subframe duration이 기준이 되는 reference numerology를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NR carrier에서의 하향 링크 동기 신호(e.g. PSS/SSS) 및 필수적인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PBCH 등 역시 해당 reference numerology를 기반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처럼 임의의 NR carrier에서 reference numerology가 정의된 경우, 해당 NR carrier를 통해 지원되는 reference numerology를 제외한 다른 형태(혹은 type)의 numerology, 즉 reference numerology 이외의 subcarrier spacing 및 그에 따른 slot length 등을 갖는 numerology를 본 발명에서는 secondary numerology라 지칭하도록 하겠다. 단, secondary numerology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그 명칭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임의의 NR carrier를 통해 reference numerology를 제외한 하나 이상의 secondary numerology가 FDM 형태로 지원될 경우, RB grid를 정의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Point 1. Reference RB based secondary numerology sub-band allocation
Secondary numerology와 reference numerology 간 FDM 기반으로 multiplexing이 이루어질 경우, 해당 secondary numerology 기반의 subcarrier spacing이 이루어지는 sub-band는 reference numerology 기반의 RB(본 발명에서는 이를 reference RB라 지칭하겠다)를 단위로 할당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reference numerology의 subcarrier spacing 값을 fR kHz라 하고, secondary numerology의 subcarrier spacing 값이 fS=2n * fR kHz의 값을 가지고, n>1일 경우에는 해당 secondary numerology를 구성하는 sub-band는 2n개의 reference RBs를 단위로 그 할당이 이루어지며, n<1인 경우 해당 secondary numerology를 구성하는 sub-band는 하나의 reference RB를 단위로 그 할당이 이루어지도록 정의할 수 있다.
Point 2. RB indexing 방안
방안 1. 할당된 sub-band 기반의 numerology 별 독립적 RB indexing 방안
도 2와 같이 임의의 NR carrier를 통한 하나의 reference numerology 및 하나 이상의 secondary numerology가 지원될 경우, 각각의 numerology에 따른 subcarrier spacing이 적용된 sub-band 별로 독립적인 RB indexing을 수행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즉, 각각의 numerology를 기반으로 subcarrier 할당이 이루어진 sub-band내에서 lowest subcarrier로부터 연속적인 12개(혹은 16개)의 subcarrier를 묶어 RB #0를 구성하고, 이어서 increasing subcarrier order로서 연속적인 12개(혹은 16개) subcarrier들을 묶어서 RB #1, RB #2, …를 구성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래의 그림 1에서 임의의 NR carrier를 구성하는 전체 시스템 대역폭이 W MHz이고, 해당 W MHz의 대역폭 내에서 각각 reference numerology로서 subcarrier spacing, fR kHz기반의 reference numerology 기반의 sub-band가 K MHz, secondary numerology #1으로서 subcarrier spacing fS1=2 * fR kHz 기반의 sub-band가 P MHz, secondary numerology #2로서 subcarrier spacing fS1=2-1 * fR kHz 기반의 sub-band가 N MHz로 설정된 경우, reference numerology 기반의 sub-band를 통해서는 reference RB size(해당 RB size는 하나의 RB가 12개의 subcarrier로 구성될 경우, 12 * fR kHz이고, 16개의 subcarrier로 구성될 경우, 16 * fR kHz가 된다)에 따라 총 c+1개의 reference numerology 기반의 RB가 구성될 수 있다. 단, 이 경우 c+1= (K MHz / reference RB size)가 된다. 이에 따라 해당 reference numerology sub-band에서는 각각 reference RB를 기반으로 RB #0 ~ RB #a까지 RB indexing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Secondary numerology #1 sub-band 및 secondary numerology #2 sub-band 내에서도 각각의 sub-band size와 해당 secondary numerology #1 및 #2의 subcarrier spacing 값에 따른 RB size에 따라 각각의 sub-band 내에서 secondary #1 기반의 RB 개수(도 2의 경우, b+1개) 및 secondary #2 기반의 RB 개수(도 2의 경우, c+1개)가 각각 도출되고, 그에 따라 reference sub-band의 RB indexing과 마찬가지로 각각 secondary #1 sub-band에서 RB#0 ~ RB #b로, secondary #2에서 RB#0 ~ RB#c로 RB indexing이 이루어지도록 정의할 수 있다.
방안 2. System bandwidth 기반의 numerology 별 독립적 RB indexing 방안
RB indexing을 위한 또 다른 방안으로서, 도 3과 같이 각각의 numerology를 기반으로 해당 NR carrier의 전체 system bandwidth에 대하여 RB indexing을 한 후에 실제 해당 numerology를 기반으로 subcarrier spacing이 이루어지는 각각의 numerology 별로 할당된 sub-band 내에 속하는 RB들만을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eference sub-band를 구성하는 RB indexing의 경우, 전체 시스템 대역인 W MHz를 해당 reference RB size를 기반으로 나누었을 때 도 3과 같이 RB #0부터 RB#(i-1)까지 i개의 RB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해당 reference numerology sub-band에 속하는 RB는 RB #g+1 ~ RB # g+h까지 h개의 RB가 된다. 이 경우 해당 reference numerology를 구성하는 reference RB size 기반의 RB indexing은 해당 는 RB #g+1 ~ RB # g+h로 indexing이 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각 secondary #1의 경우에도 전체 시스템 대역을 해당 secondary #1 RB size를 기반으로 RB indexing을 한 후, 해당 secondary #1 sub-band에 속하는 RB #(v+1) ~ RB #(v+q)의 RB indexing을 사용하고, secondary #2의 경우에도 전체 시스템 대역을 해당 secondary #2 RB size를 기반으로 RB indexing을 한 후, 해당 secondary #2 sub-band에 속하는 RB #0 ~ RB #c의 RB indexing을 사용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방안 3. Numerology common RB indexing
RB indexing을 위한 또 다른 방안으로서, 도 4와 같이 해당 NR carrier에서 lowest frequency sub-band를 구성하는 numerology를 기반으로 RB indexing을 수행한 후에 이어서 연속적으로 다음의 frequency sub-band를 구성하는 numerology를 기반으로 RB indexing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맨 마지막의 highest frequency sub-band를 구성하는 numerology를 기반으로 RB indexing까지 전체 시스템 대역에서 연속적인 increasing order로 RB indexing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10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1000)은 제어부(1010)과 송신부(1020), 수신부(1030)을 포함한다.
제어부(1010)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라 secondary numerology의 sub-band를 할당하고 할당된 sub-band에 기초하여 numerology별로 RB를 독립적으로 indexing함에 따른 전반적인 기지국(10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020)와 수신부(103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11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1100)은 수신부(1110) 및 제어부(1120), 송신부(1130)을 포함한다.
수신부(1110)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120)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라 reference numerology의 RB 단위로 secondary numerology의 sub-band를 할당하고 할당된 sub-band에 기초하여 numerology 별로 RB가 독립적으로 indexing됨에 따른 전반적인 사용자 단말(1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130)는 기지국에 상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표준내용 또는 표준문서들은 명세서의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위 표준내용 및 표준문서들의 일부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추가하거나 청구범위에 기재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주파수 자원 구조 설계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NR 주파수 대역에서 reference numerology와 하나 이상의 secondary numerology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reference numerology의 RB 단위로 상기 secondary numerology의 sub-band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할당된 sub-band에 기초하여 numerology 별 RB를 독립적으로 index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60113505A 2016-09-02 2016-09-02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주파수 자원 구조 설계 방법 및 장치 KR201800266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505A KR20180026618A (ko) 2016-09-02 2016-09-02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주파수 자원 구조 설계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505A KR20180026618A (ko) 2016-09-02 2016-09-02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주파수 자원 구조 설계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618A true KR20180026618A (ko) 2018-03-13

Family

ID=61660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505A KR20180026618A (ko) 2016-09-02 2016-09-02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주파수 자원 구조 설계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66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34075B (zh) 用于调度新无线电中的数据信道的方法和装置
KR102129362B1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하향 링크 선점 지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123233B1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 망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11160051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ownlink control channel in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 and apparatus therefor
KR20180046358A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102222396B1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주파수 자원을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48354A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데이터 채널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190038300A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대역폭 파트를 전환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201902689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control data in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
KR20180050215A (ko) 무선 통신에서 멀티 빔 기반 스케줄링 요청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108940A (ko) 차세대 무선 단말을 위한 하향 링크 제어 정보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20180107417A (ko) Nr을 위한 하향 링크 harq 동작 방법 및 장치
CN110114997B (zh) 针对下一代无线接入网络分配数据信道资源的方法和设备
KR102198758B1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013452A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상향링크 채널을 송수신하기 위한 주파수 호핑 방법 및 그 장치
KR102246988B1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채널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190028262A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 피기백 방법 및 장치
KR102206761B1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비트맵을 이용하여 하향 링크 선점 지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107691A (ko) New Radio를 위한 효율적인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2090773B1 (ko) Mtc 단말을 위한 부분 물리 자원 블록 기반의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26604A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다중 numerology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180045099A (ko) 차세대 무선 통신에서 심볼 레벨 alignment를 위한 CP설정 방법 및 장치
KR20180023136A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하향 링크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80011419A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프레임 구조 설계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90429A (ko) 차세대 무선 단말을 위한 하향 링크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