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8354A -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데이터 채널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데이터 채널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8354A
KR20180048354A KR1020170140898A KR20170140898A KR20180048354A KR 20180048354 A KR20180048354 A KR 20180048354A KR 1020170140898 A KR1020170140898 A KR 1020170140898A KR 20170140898 A KR20170140898 A KR 20170140898A KR 20180048354 A KR20180048354 A KR 20180048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transmitting
time
contro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4940B1 (ko
Inventor
박규진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CN201780066665.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0114997B/zh
Priority to US16/346,108 priority patent/US10952206B2/en
Priority to ES17865576T priority patent/ES2955133T3/es
Priority to EP17865576.7A priority patent/EP3534561B1/en
Priority to EP23180467.5A priority patent/EP4239936A3/en
Priority to PCT/KR2017/012105 priority patent/WO2018080268A1/ko
Publication of KR20180048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8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940B1/ko
Priority to US17/170,922 priority patent/US11540272B2/en
Priority to US17/970,604 priority patent/US2023005663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14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using bitm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PDSCH) 또는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PUSCH) 송수신을 위한 기지국의 시구간 자원 할당 방법으로, 슬롯 또는 미니-슬롯 기반으로 OFDM 심볼 단위로 시구간 자원을 할당하되, 슬롯 또는 상기 미니-슬롯에서 데이터 채널 송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OFDM 심볼들에 대한 OFDM 심볼 할당 정보들을 포함하는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에 포함된 심볼 할당 정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데이터 채널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of Resource Allocation for Data Channel in wireless networks}
본 실시예들은 차세대/5G 무선 액세스 망(이하, "NR[New Radio]"라고도 함)을 위한 데이터 채널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3GPP는 최근 차세대/5G 무선 액세스 기술에 대한 연구를 위한 스터디 아이템인 "Study on New Radio Access Technology"를 승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RAN WG1에서는 각각 NR(New Radio)을 위한 프레임 구조, 채널 코딩 및 변조, 파형 및 다중 접속 방식 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NR은 LTE/LTE-Advanced에 대비하여 향상된 데이터 전송률뿐만 아니라 세분화되고 구체화된 사용 시나리오 별로 요구되는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설계가 이루어지도록 요구되고 있다.
특히 NR의 대표적 사용 시나리오로서 eMBB(enhancement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가 제기되고, 각각의 사용 시나리오 별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LTE/LTE-Advanced 대비 플렉서블한 프레임 구조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기존의 LTE/LTE-A 시스템에서 상/하향링크 데이터 자원 할당 방법에 따르면, 주파수 축에서는 RB(Resource Block) 단위로 시간 축에서는 서브프레임 단위로 자원 할당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해당 단말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는 PDCCH 전송을 위한 제어 영역(control region)을 제외한 모든 OFDM 심볼을 통해 해당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수신 동작을 수행하였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는 해당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모든 SC-FDMA 심볼, 혹은 SRS가 설정된 경우 마지막 심볼을 제외한 모든 SC-FDMA 심볼을 통해 해당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였다.
그런데, NR에서는 상/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스케줄링 자원으로 주파수 자원 뿐만 아니라 시구간 자원의 할당에 대해서 논의하고 있다.
일 실시예는,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PDSCH) 또는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PUSCH) 송수신을 위한 기지국의 시구간 자원 할당 방법으로, 슬롯 또는 미니-슬롯 기반으로 OFDM 심볼 단위로 시구간 자원을 할당하되, 슬롯 또는 상기 미니-슬롯에서 데이터 채널 송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OFDM 심볼들에 대한 OFDM 심볼 할당 정보들을 포함하는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에 포함된 심볼 할당 정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는,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PDSCH) 또는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PUSCH) 송수신을 위한 단말의 시구간 자원 할당 방법으로, 슬롯 또는 미니-슬롯 기반으로 OFDM 심볼 단위로 시구간 자원을 할당하되, 슬롯 또는 상기 미니-슬롯에서 상기 데이터 채널 송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OFDM 심볼들에 대한 OFDM 심볼 할당 정보들을 포함하는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에 포함된 상기 심볼 할당 정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구간 자원 할당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다른 SCS들에 대한 심볼-레벨 자원 할당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하나의 슬롯 내에 eMBB and URLLC 사이 TDM 기반 다중화를 타나낸 도면이다.
도 3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PDSCH) 또는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PUSCH) 송수신을 위한 기지국의 시구간 자원 할당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PDSCH) 송수신을 위한 테이블 형식의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의 정보 시퀀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3의 하향링크 할당 DCI의 포맷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6는 도 3의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PUSCH) 송수신을 위한 테이블 형식의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의 정보 시퀀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7는 도 3의 상향링크 그랜트 DCI의 포맷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8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PDSCH) 또는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PUSCH) 송수신을 위한 단말의 시구간 자원 할당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9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를 지원하는 단말 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기 위한 특정 카테고리로 정의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TE 기반의 MTC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새롭게 정의된 3GPP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기존의 LTE coverage 대비 향상된 coverage를 지원하거나, 혹은 저전력 소모를 지원하는 기존의 3GPP Release-12 이하에서 정의된 UE category/type, 혹은 새롭게 정의된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 또는 eNB, gNB, xNB)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small cel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 RU, small cell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상기 나열된 다양한 셀은 각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i)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ii) 상기 무선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i)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상기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eNB, RRH, 안테나, RU, LPN, 포인트,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예가 된다. ii)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 RRH, 안테나, RU, LPN(Low Power Node), 포인트, eNB,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를 통칭하여 기지국으로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LTE, LTE-Advanced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EPDCCH(enhanced PDCCH 또는 extended PDCCH)를 이용해서도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둘 이상의 송수신 포인트들이 협력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 포인트 협력형 송수신 시스템(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CoMP 시스템) 또는 협력형 다중 안테나 전송방식(coordinated multi-antenna transmission system), 협력형 다중 셀 통신시스템일 수 있다. CoMP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다중 송수신 포인트와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송수신 포인트는 기지국 또는 매크로 셀(macro cell, 이하 'eNB'라 함)과, eNB에 광케이블 또는 광섬유로 연결되어 유선 제어되는, 높은 전송파워를 갖거나 매크로 셀 영역 내의 낮은 전송파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RRH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기재는 EPDCCH/M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EPDCCH/M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기재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PDCCH를 의미하거나, EPDCCH를 의미할 수 있으며, PDCCH 및 EPDCCH/MPDCCH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EPDCCH/MPDCCH를 적용할 수 있으며, EPDCCH/M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PDCCH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은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정보를 전송하는 RRC시그널링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기지국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그리고 PDSCH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
차세대/5G 무선 액세스 망(5G NR(New Radio))
3GPP는 최근 차세대/5G 무선 액세스 기술에 대한 연구를 위한 스터디 아이템인 "Study on New Radio Access Technology"를 승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RAN WG1에서는 각각 NR(New Radio)를 위한 프레임 구조, 채널 코딩 및 변조, 파형 및 다중 접속 스킴(frame structure, channel coding & modulation, waveform & multiple access scheme) 등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NR은 LTE/LTE-Advanced 대비 향상된 데이터 전송률뿐 아니라, 세분화되고 구체화된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 별로 요구되는 다양한 요구(requirements)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설계가 이루어지도록 요구되고 있다. 특히 NR의 대표적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로서 eMBB(enhancement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TC) 및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가 제기되었으며, 각각의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별 요구(requirements)를 만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LTE/LTE-Advanced 대비 플렉서블한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3GPP에서 논의 중인 NR의 대표적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로서 eMBB, mMTC, URLLC가 고려되고 있다. 각각의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는 데이터 레이트(data rates), 레이턴시(latency), 커버리지(coverage) 등에 대한 요구(requirements)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임의의 NR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 각각의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 별 요구(requirements)를 효율적으로 만족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서로 다른 뉴머롤로지(numerology)(e.g. subcarrier spacing, subframe, TTI, etc.) 기반의 무선 자원 유닛(unit)을 효율적으로 다중화(multiplexing)하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를 위한 한 방법으로서, 서로 다른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값을 갖는 뉴머롤로지에 대해 하나의 NR 캐리어를 통해 TDM, FDM 혹은 TDM/FDM 기반으로 다중화하여 지원하는 방법 및 시간 도메인에서의 스케줄링 단위를 구성함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시간 유닛을 지원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와 관련하여 NR에서는 시간 도메인 구조의 한 종류로서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의가 이루어졌다. 해당 서브프레임 간격(duration)을 정의하기 위한 참조 뉴머롤로지로서, LTE와 동일한 15kHz SCS(Sub-Carrier Spacing) 기반 노멀 CP 오버헤드의 14개의 OFDM 심볼들로 구성된 단일한 서브프레임 간격을 정의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에 따라 NR에서 서브프레임은 1ms의 시간 간격을 가진다. 단, LTE와 달리 NR의 서브프레임은 절대적인 참조 시간 간격으로서, 실제 상/하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의 기반의 되는 시간 유닛으로서 슬롯 및 미니-슬롯이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슬롯을 구성하는 OFDM 심볼의 개수, y값은 뉴머롤로지에 관계없이 y=14의 값을 갖도록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임의의 슬롯은, 예를 들어 14개의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해당 슬롯의 하향링크 전송 방향에 따라 모든 심볼이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이용되거나, 모든 심볼이 상향링크/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이용되거나, 하향링크 부분(portion) + 갭(gap) + 상향링크 부분(portion)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뉴머롤로지(혹은 SCS)에서 해당 슬롯보다 적은 수의 심볼로 구성된 미니-슬롯이 정의되어, 이를 기반으로 상/하향링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짧은 길이의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인터벌(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이 설정되거나, 슬롯 집합(aggregation)을 통해 상/하향링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긴 길이의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인터벌이 구성될 수 있다.
특히 URLLC와 같이 레이턴시가 민감한 데이터에 대한 송수신의 경우, 15kHz와 같이 SCS값이 작은 뉴머롤로지 기반의 프레임 구조에서 정의된 1ms 기반의 슬롯 단위로 스케줄링이 이루어질 경우, 레이턴시 요구를 만족시키기 힘들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 해당 슬롯보다 적은 수의 OFDM 심볼로 구성된 미니-슬롯을 정의하여 이를 기반으로 해당 URLLC와 같은 레이턴시가 민감한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이 이루어지도록 정의할 수 있다.
또는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NR 캐리어 내에서 서로 다른 SCS값을 갖는 뉴머롤로지를 TDM 및/또는 FDM 방식으로 다중화하여 지원함으로써, 각각의 뉴머롤로지 별로 정의된 슬롯(혹은 미니-슬롯) 길이를 기반으로 레이턴시 요구에 맞추어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SCS가 60kHz인 경우, SCS가 15kHz인 경우보다 심볼 길이가 1/4정도로 줄어들기 때문에 동일하게 14개의 OFDM 심볼로 하나의 슬롯을 구성할 경우, 해당 15kHz 기반의 슬롯 길이는 1.0ms이 되는 반면, 60kHz 기반의 슬롯 길이는 0.25ms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처럼 NR에서는 서로 다른 SCS 혹은 서로 다른 TTI 길이를 정의함으로써, URLLC와 eMBB 각각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방법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제어정보와 데이터의 타이밍 관계]
현재 NR에서는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에 따른 HARQ ACK/NACK 피드백 타이밍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L1 시그널링(예를 들어 하향링크 제어정보(DCI))에 의해 동적으로(dynamically) 설정되거나, 상위 계층에 의해 준정적으로(semi-statically) 설정되거나, 상위 계층과 동적 L1 시그널링(dynamical L1 signaling)의 조합으로 설정하는 방법들에 대해 고려가 되고 있다(아래 agreements 참조).
또한 상향링크 할당와 그에 따른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간의 타이밍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역시, L1 시그널링(예를 들어 하향링크 제어정보)에 의해 동적으로 설정되거나, 상위 계층에 의해 준정적으로 설정되거나, 상위 계층와 동적 L1 시그널링의 조합으로 설정하는 방법들에 대해 고려가 되고 있다(아래 agreements 참조).
Agreements:
Figure pat00001
Timing relationship between DL data reception and corresponding acknowledgement can be (one or more of, FFS which ones)
- dynamically indicated by L1 signaling (e.g., DCI)
- semi-statically indicated to a UE via higher layer
- a combination of indication by higher layers and dynamic L1 signaling (e.g., DCI)
Figure pat00002
FFS: minimum interval between DL data reception and corresponding acknowledgement
Figure pat00003
FFS: common channels (e.g. random access)
Agreements:
Figure pat00004
Timing relationship between UL assignment and corresponding UL data transmission can be (one or more of, FFS which ones)
- dynamically indicated by L1 signaling (e.g., DCI)
- semi-statically indicated to a UE via higher layer
- a combination of indication by higher layers and dynamic L1 signaling (e.g., DCI)
Figure pat00005
FFS: minimum interval between UL assignment and corresponding UL data transmission
Figure pat00006
FFS: common channels (e.g. random access)
추가적으로, 하향링크 할당와 그에 따른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 타이밍 역시 기지국에 의해 L1 시그널링(예를 들어 하향링크 제어정보)에 의해 동적으로 설정되거나, 상위 계층에 의해 준정적으로 설정되거나, 상위 계층와 동적 L1 시그널링의 조합으로 설정하는 방법들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NR에서 짧은 전송시간간격(short TTI) 길이 기반의 URLLC 데이터와 긴 전송시간간격(long TTI) 길이 기반의 eMBB 데이터를 주어진 주파수 자원 내에서 TDM으로 다중화하여 송수신하는 방법을 지원하기 위한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구성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기존의 LTE/LTE-A 시스템에서 상/하향링크 데이터 자원 할당 방법에 따르면, 주파수 축에서는 RB(Resource Block) 단위로 시간 축에서는 서브프레임 단위로 자원 할당이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PDSCH)에 대한 자원 할당 방법에 따르면 해당 하향링크 할당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assignment DCI)는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의 PDSCH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하도록 정의되었다. 상향링크 그랜트 제어정보(uplink grand DCI)는 4 서브프레임 이후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의 PUSCH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지시해주도록 정의되었다.
이에 따라 해당 단말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는 PDCCH 전송을 위한 제어 영역(control region)을 제외한 모든 OFDM 심볼을 통해 해당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수신 동작을 수행하였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는 해당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모든 SC-FDMA 심볼, 혹은 SRS가 설정된 경우 마지막 심볼을 제외한 모든 SC-FDMA 심볼을 통해 해당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였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NR에서는 주어진 SCS값 기반의 프레임 구조 내에서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혹은 TTI)으로서 슬롯이 정의될 수 있다. 하지만, 해당 슬롯 내에서 추가적으로 미니-슬롯 단위 혹은 큰 SCS 기반의 슬롯 단위로 레이턴시가 민감한 URLLC 데이터에 대한 자원 할당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해당 큰 SCS 기반의 슬롯이나, 작은 SCS 기반의 미니-슬롯 등 짧은 길이의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혹은 TTI)을 단위로 자원 할당이 이루어지는 NR의 리소스 블럭(RB)와 작은 SCS 기반의 슬롯 단위, 즉, 다소 긴 길이의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혹은 TTI)를 단위로 자원 할당이 이루어지는 NR의 RB를 주파수 대역에서 분리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도 2와 같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 및 RB 내에서 해당 URLLC 데이터와 eMBB 데이터를 각각의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혹은 TTI) 단위로 TDM 방식으로 다중화하여 송수신함으로써, 주파수 축에서의 FDM 기반의 다중화 방법 자원 사용 효율성을 높일 수도 있다.
이 경우, eMBB 혹은 mMTC와 같은 다소 긴 시간의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혹은 TTI)이 정의된 NR 단말에 대해 해당 스케줄링 유닛 내에서 심볼 단위 혹은 심볼 그룹 단위의 자원 할당 정보가 추가적으로 지시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임의의 NR 단말을 위한 상/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예를 들어 NR PDSCH 혹은 NR PUSCH)에 대한 자원 할당 방법으로서, 해당 상/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스케줄링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내에 주파수 자원의 할당 정보(RB 할당(allocation) 정보) 뿐만 아니라, 해당 단말을 위해 설정된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혹은 TTI)를 구성하는 OFDM 심볼 단위 혹은 심볼 그룹 단위의 OFDM 심볼 할당(symbol allocation) 정보를 포함하는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실시예 1 및 2에서 해당 단말을 위해 설정된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혹은 TTI)를 구성하는 OFDM 심볼 단위 혹은 심볼 그룹 단위의 OFDM 심볼 할당(symbol allocation) 정보를 이용하여 시구간 자원 할당 방법의 기본 개념들을 설명하고, 다음으로 기지국과 단말에서 이 시구간 자원 할당 방법을 구현하는 예들을 설명한다.
실시예 1. 심볼 단위 할당 방법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통한 상/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심볼 할당 정보 구성 방법으로서, 해당 단말을 위해 설정된 TTI를 구성하는 모든 심볼에 대해 비트맵 기반의 심볼 할당 정보를 구성하여 해당 상/하향링크 데이터 할당 하향링크 제어정보에 포함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CS 15kHz 기반의 14 심볼로 구성된 슬롯 단위로 시간 도메인 스케줄링 유닛(혹은 TTI)이 설정된 임의의 NR 단말에 대해 해당 NR 단말에 대한 상/하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구성함에 있어서, 14 비트들의 비트맵으로 구성된 심볼 할당 정보 영역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14 비트들의 비트맵 설정 정보를 구성하는 각각의 비트들은 해당 TTI를 구성하는 슬롯의 14개의 심볼에 1:1로 매핑되어, 해당 설정 정보에 따라 기지국과 단말은 각각 상/하향링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할당된 슬롯 내에서 추가적으로 해당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사용할 심볼 할당 정보를 설정/획득할 수 있도록 정의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통한 상/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심볼 할당 정보 구성의 또 다른 방법으로서, 해당 단말을 위해 설정된 TTI를 구성하는 모든 심볼에 대해 심볼 그룹 단위로 비트맵을 구성하여 해당 상/하향링크 데이터 할당 하향링크 제어정보에 포함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이때 해당 비트맵을 구성하는 각각의 비트에 매핑되는 심볼 그룹 사이즈는 해당 TTI 내에서 URLLC와 같은 레이턴시가 민감한 데이터를 위해 정의된 미니-슬롯 혹은 보다 긴 SCS 기반의 슬롯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5kHz 기반의 14 심볼로 구성된 슬롯 단위로 TTI가 설정된 임의의 NR 단말에 대해, 해당 셀 내에서 URLLC와 같은 레이턴시가 민감한 데이터에 대한 짧은 TTI을 지원하기 위해 하나의 슬롯 내에서 (2 심볼, 2 심볼, 3심볼, 2심볼, 2심볼, 3심볼)로 구성된 6개의 미니-슬롯이 정의된 경우, 해당 NR 단말에 대한 상/하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구성함에 있어서, 6 비트들의 비트맵으로 구성된 심볼 할당 정보 영역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6 비트들의 비트맵 설정 정보를 구성하는 각각의 비트들은 해당 슬롯 내에서 정의된 3개의 미니-슬롯(즉, 상기의 2 심볼 혹은 3심볼 단위의 미니-슬롯)을 구성하는 심볼 그룹에 1:1로 매핑되어, 해당 설정 정보에 따라 기지국과 단말은 각각 상/하향링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할당된 슬롯 내에서 추가적으로 해당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사용할 심볼 할당 정보를 설정/획득할 수 있도록 정의할 수 있다.
단, 이 경우, 해당 심볼 할당 단위가 되는 심볼 그룹의 크기(즉, 하나의 심볼 그룹을 구성하는 OFDM 심볼들의 개수) 및 심볼 그룹에 개수(그에 따른 비트맵 크기)는 해당 단말을 위해 설정된 TTI의 크기 및 해당 TTI 내에서 구성된 짧은 TTI의 크기(상기의 예에서 짧은 TTI에 해당하는 미니-슬롯의 크기인 2심볼, 혹은 3심볼)와 그에 따른 짧은 TTI의 개수(전술한 예에서 6개에 해당)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는 해당 셀에서 지원하는 SCS값과 해당 단말이 동작하는 SCS값 및 TTI 크기에 따라 미리 정의된 값이 정의되거나, 셀-특정/단말-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통한 상/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심볼 할당 정보 구성의 또 다른 방법으로서, 해당 단말을 위해 설정된 TTI를 구성하는 모든 심볼에 대해 심볼 할당 후보 테이블을 구성하고, 해당 테이블에 기반한 심볼 할당 인덱스 지시 정보를 해당 하향링크 제어정보 내에 포함하여 기지국이 전송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5kHz 기반의 14 심볼로 구성된 슬롯 단위로 TTI가 설정된 임의의 NR 단말에 대해, 심볼 할당 후보 테이블이 아래의 표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Symbol allocation field in DCI Allocated symbol indices
for PDSCH(or PUSCH)
000 0,1,2,3,4,5,6,7,8,9,10,11,12,13
001 1,2,3,4,5,6,7,8,9,10,11,12,13
010 2,3,4,5,6,7,8,9,10,11,12,13
011 3,4,5,6,7,8,9,10,11,12,13
100 0,1,2,3,4,5,6,7,8,9,10,11,12
101 1,2,3,4,5,6,7,8,9,10,11,12
110 2,3,4,5,6,7,8,9,10,11,12
111 3,4,5,6,7,8,9,10,11,12
단말을 위해 정의된 TTI를 구성하는 #0~13까지 14개의 심볼 중 실제 해당 단말을 위한 상/하향링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사용될 심볼 할당 정보를 설정/획득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단, 이 경우 해당 심볼 할당 테이블은 해당 셀에서 지원하는 SCS값이나, TTI의 크기에 의해 미리 정의되거나, 셀-특정/단말-특정 RRC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심볼 할당 후보 테이블은 단말별로 OFDM심볼(혹은 SC-FDMA 심볼) 할당 정보들 및 심볼 할당 정보들을 각각 지정하는 인덱스들을 표 2와 같이 테이블 형식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OFDM 심볼(혹은 SC-FDMA 심볼) 할당 정보들은 각각 스타팅 OFDM 심볼(혹은 SC-FDMA 심볼)과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OFDM 심볼은 SC-FDMA 심볼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미할 수 있다.
인덱스(Index) OFDM 심볼 (혹은 SC-FDMA 심볼)할당 정보들
스타팅 OFDM 심볼(starting OFDM symbol) 길이(length)
0 0 4
1 0 5
2 0 6
3 1 3
4 1 4
5 1 5
6 2 2
7 2 3
8 2 4
9 3 1
10 3 2
11 3 3
12 4 1
13 4 2
14 5 1
15 reserved reserved
이때 심볼 할당 후보 테이블이 단말별로 OFDM심볼(혹은 SC-FDMA 심볼) 할당 정보들 및 그 인덱스들을 표 2와 같이 테이블 형식으로 포함한다는 것은 기지국 또는 단말이 OFDM심볼(혹은 SC-FDMA 심볼) 할당 정보들 및 그 인덱스들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해당 단말을 위해 설정된 TTI를 구성하는 모든 심볼에 대해 심볼 할당 후보 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이 15kHz 기반의 14 심볼로 구성된 슬롯 단위로 TTI가 설정된 임의의 NR 단말에 대해, 심볼 할당 후보 테이블이 표 1 혹은 표 2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심볼 할당 테이블은 해당 셀에서 지원하는 SCS값이나, TTI의 크기에 의해 미리 정의되거나, 셀-특정/단말-특정 RRC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상/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 송수신을 위한 테이블 형식의 심볼 할당 정보를 단말-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상/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 송수신을 위한 테이블 형식의 심볼 할당 정보를 단말-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심볼 할당 테이블은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 즉 PDSCH에 대한 심볼 할당 테이블과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 즉 PUSCH에 대한 심볼 할당 테이블이 별도로 정의되거나, 혹은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어 각각의 단말 별로 단말-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각각의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이처럼 심볼 할당 테이블이 상기의 표 1, 혹은 표 2와 같이 구성된 경우,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은 DL 할당 DCI를 통해 해당 단말을 위해 구성된 PDSCH 심볼 할당 테이블 기반의 인덱스 지시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해당 PDSCH에 대한 OFDM 심볼 자원 할당 정보를 단말로 지시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기지국은 UL 그랜트 DCI를 통해 해당 단말을 위해 구성된 PUSCH 심볼 할당 테이블 기반의 인덱스 지시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해당 PUSCH에 대한 OFDM 심볼(혹은 SC-FDMA 심볼) 자원 할당 정보를 단말로 지시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실시예 2. 심볼 -레벨 할당의 구성
추가적으로 상기의 실시예 1에서 서술한 심볼 할당은 기지국에 의해 단말-특정/셀-특정 RRC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단말-특정/셀-특정 RRC 시그널링을 통해 심볼-레벨 할당이 설정된 경우(즉, 활성화(enable)된 경우), 해당 NR 단말을 위한 하향링크 할당 하향링크 제어정보 및/또는 상향링크 할당 하향링크 제어정보는 상기의 심볼 할당 정보 영역을 포함하도록 한다.
반대로 해당 단말-특정/셀-특정 RRC 시그널링을 통해 심볼-레벨 할당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즉, 비활성화(enable)된 경우), 해당 NR 단말을 위한 하향링크 할당 하향링크 제어정보 및/또는 상향링크 할당 하향링크 제어정보는 상기의 심볼 할당 정보 영역을 포함하지 않도록 한다.
또는 상기의 실시예 1에서 서술한 심볼 할당은 해당 단말을 위해 정의된 SCS 값 및 TTI 길이에 따라 묵시적으로(implicit) 활성화(enable) 혹은 비활성화(disable)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임계값보다 작은 SCS 값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임의의 NR 단말에 대해 해당 단말을 위해 설정된 TTI 길이가 특정 값보다 큰 경우, 해당 단말을 위한 하향링크 할당 하향링크 제어정보 및/또는 상향링크 할당 하향링크 제어정보는 상기의 심볼 할당 정보 영역을 포함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반대로 특정 임계값보다 작은 SCS 값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임의의 NR 단말에 대해 해당 단말을 위해 설정된 TTI 길이가 특정 값보다 작거나, 특정 임계값보다 큰 SCS 값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임의의 NR 단말의 경우, 해당 단말을 위한 하향링크 할당 하향링크 제어정보 및/또는 상향링크 할당 하향링크 제어정보는 상기의 심볼 할당 정보 영역을 포함하지 않도록 정의할 수 있다.
도 3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PDSCH) 또는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PUSCH) 송수신을 위한 기지국의 시구간 자원 할당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PDSCH) 또는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PUSCH) 송수신을 위한 기지국의 시구간 자원 할당 방법(300)은, 슬롯 또는 미니-슬롯 기반으로 OFDM 심볼(혹은 SC-FDMA 심볼) 단위로 시구간 자원을 할당하되, 슬롯 또는 미니-슬롯에서 데이터 채널 송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OFDM 심볼들(혹은 SC-FDMA 심볼)에 대한 OFDM 심볼(혹은 SC-FDMA 심볼) 할당 정보들을 포함하는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S310) 및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에 포함된 심볼 할당 정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S320)를 포함한다.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PDSCH) 송수신을 위한 시구간 자원 할당을 위해,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는 단말별로 OFDM심볼 할당 정보들 및 심볼 할당 정보들을 각각 지정하는 인덱스들을 표 2와 같이 테이블 형식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PDSCH) 송수신을 위한 OFDM 심볼 할당 정보들은 각각 스타팅 OFDM 심볼과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가 단말별로 OFDM심볼 할당 정보들 및 그 인덱스들을 표 2와 같이 테이블 형식으로 포함한다는 것은 기지국 또는 단말이 OFDM심볼 할당 정보들 및 그 인덱스들을 매핑하여 저장하거나 OFDM심볼 할당 정보들 및 그 인덱스들을 데이터 및 제어정보, 신호에 포함하여 다른 송수신 주체와 송수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해당 단말을 위해 설정된 TTI를 구성하는 모든 심볼에 대해 심볼 할당 후보 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이 15kHz 기반의 14 심볼로 구성된 슬롯 단위로 TTI가 설정된 임의의 NR 단말에 대해, 심볼 할당 후보 테이블이 표 1 혹은 표 2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심볼 할당 테이블은 해당 셀에서 지원하는 SCS값이나, TTI의 크기에 의해 미리 정의되거나, 셀-특정/단말-특정 RRC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PDSCH) 송수신을 위한 테이블 형식의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의 정보 시퀀스를 도시하고 있다.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S310)에서, 기지국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PDSCH) 송수신을 위한 테이블 형식의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400)를 단말-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표 1, 혹은 표 2와 같은 테이블 형식의 PDSCH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구성하여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이 표 1, 혹은 표 2와 같은 테이블 형식의 PDSCH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구성하여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전송할 경우, 해당 심볼 할당 테이블을 구성하는 각각의 인덱스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 영역(예를 들어, 표1의 경우 인덱스들 0 내지 7을 지시하기 위한 3 비트 혹은 표 2의 경우 인덱스들 0 내지 15를 지시하기 위한 4 비트로 구성된 정보 영역)을 포함하고, 각각의 인덱스에 해당하는 OFDM 심볼 할당 정보를 특정 값으로 포함하여 RRC 메시지(예를 들어 PDSCH 시구간 자원 설정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표 1, 혹은 표 2와 같은 PDSCH 전송을 위한 테이블 형식의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기지국과 단말에서 미리 정의하고, 기지국에서 임의의 단말을 위한 PDSCH 심볼 할당을 위해 사용할 테이블 entry 정보를 RRC 시그널링 통해 해당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2와 같은 테이블 형식의 PDSCH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가 기지국과 단말에서 미리 정의된 경우, 이 중 해당 단말에서 사용할 ㅇ에엔트리(entry) 관련 정보를 RRC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이 전송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즉, 표 2의 0 내지 15의 인덱스들 중 해당 단말의 PDSCH 심볼 할당을 위해 사용할 인덱스 정보(예를 들어, 사용할 인덱스 값이나, 사용할 인덱스 구간 관련 정보)를 설정하여 RRC 메세지(예를 들어 PDSCH 시구간 자원 설정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S320)에서, 기지국은 인덱스들 중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하향링크 할당 DCI의 포맷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정보는 하향링크 할당 하향링크 제어정보(하향링크 할당 DCI)(500)이며, 제어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S320)에서, 인덱스들 중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할당 하향링크 제어정보(500)를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을 통해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한 하향링크 할당 하향링크 제어정보(500)는 인덱스들 중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를 표현하는 필드, 예를 들어 SAF(Symbol Allocation Field) 필드(5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SAF 필드(510)는 전술한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한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400)에 포함된 인덱스들 중 하나를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표 2의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의 전부를 단말에 전송한 경우, SAF 필드(410)는 4비트로 표 2의 OFDM 심볼 할당 정보를 모두 표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표 2의 시구간의 자원 설정 정보의 일부, 예를 들어 인덱스들 0 내지 7을 단말에 전송한 경우, SAF 필드(410)는 3비트로 OFDM 심볼 할당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PUSCH) 송수신을 위한 시구간 자원 할당을 위해,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는 단말별로 OFDM심볼(혹은 SC-FDMA 심볼) 할당 정보들 및 심볼 할당 정보들을 각각 지정하는 인덱스들을 테이블 형식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PUSCH) 송수신을 위한 OFDM 심볼(혹은 SC-FDMA 심볼) 할당 정보들은 각각 스타팅 OFDM 심볼(혹은 SC-FDMA 심볼) 과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S310)에서, 기지국은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PUSCH) 송수신을 위한 테이블 형식의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단말-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해당 단말을 위해 설정된 TTI를 구성하는 모든 심볼에 대해 심볼 할당 후보 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이 15kHz 기반의 14 심볼로 구성된 슬롯 단위로 TTI가 설정된 임의의 NR 단말에 대해, 심볼 할당 후보 테이블이 표 2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심볼 할당 테이블은 해당 셀에서 지원하는 SCS값이나, TTI의 크기에 의해 미리 정의되거나, 셀-특정/단말-특정 RRC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6는 도 3의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PUSCH) 송수신을 위한 테이블 형식의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의 정보 시퀀스를 도시하고 있다.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S310)에서, 기지국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PUSCH) 송수신을 위한 테이블 형식의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600)를 단말-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은 표 1, 혹은 표 2와 같은 테이블 형식의 PUSCH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구성하여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이 표 1, 혹은 표 2와 같은 테이블 형식의 PUSCH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구성하여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전송할 경우, 해당 심볼 할당 테이블을 구성하는 각각의 인덱스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 영역(예를 들어, 표1의 경우 인덱스들 0 내지 7을 지시하기 위한 3 비트 혹은 표 2의 경우 인덱스들 0 내지 15를 지시하기 위한 4 비트로 구성된 정보 영역)을 포함하고, 각각의 인덱스에 해당하는 OFDM 심볼(혹은 SC-FDMA 심볼) 할당 정보를 특정 값으로 포함하여 RRC 메시지(예를 들어 PUSCH 시구간 자원 설정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표 1, 혹은 표 2와 같은 PUSCH 전송을 위한 테이블 형식의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기지국과 단말에서 미리 정의하고, 기지국에서 임의의 단말을 위한 PUSCH 심볼 할당을 위해 사용할 테이블 entry 정보를 RRC 시그널링 통해 해당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2와 같은 테이블 형식의 PUSCH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가 기지국과 단말에서 미리 정의된 경우, 이 중 해당 단말에서 사용할 ㅇ에엔트리(entry) 관련 정보를 RRC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이 전송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즉, 표 2의 0 내 15의 인덱스들 중 해당 단말의 PUSCH 심볼 할당을 위해 사용할 인덱스 정보(예를 들어, 사용할 인덱스 값이나, 사용할 인덱스 구간 관련 정보)를 설정하여 RRC 메세지(예를 들어 PUSCH 시구간 자원 설정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S320)에서, 기지국은 인덱스들 중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도 7는 도 3의 상향링크 그랜트 DCI의 포맷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정보는 상향링크 그랜트 하향링크 제어정보(상향링크 그랜트 DCI)(700)이며, 제어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S320)에서, 인덱스들 중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그랜트 하향링크 제어정보(700)를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을 통해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한 상향링크 그랜트 하향링크 제어정보(700)는 인덱스들 중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를 표현하는 필드, 예를 들어 SAF(Symbol Allocation Field) 필드(7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SAF 필드(710)는 전술한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한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에 포함된 인덱스들 중 하나를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표 2의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의 전부를 단말에 전송한 경우, SAF 필드(710)는 4비트로 표 2의 OFDM 심볼(혹은 SC-FDMA 심볼) 할당 정보를 모두 표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표 2의 시구간의 자원 설정 정보의 일부, 예를 들어 인덱스들 0 내지 7을 단말에 전송한 경우, SAF 필드(710)는 3비트로 OFDM 심볼(혹은 SC-FDMA 심볼) 할당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도 8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PDSCH) 또는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PUSCH) 송수신을 위한 단말의 시구간 자원 할당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PDSCH) 또는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PUSCH) 송수신을 위한 단말의 시구간 자원 할당 방법(x00)은 슬롯 또는 미니-슬롯 기반으로 OFDM 심볼 단위로 시구간 자원을 할당하되, 슬롯 또는 미니-슬롯에서 데이터 채널 송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OFDM 심볼들에 대한 OFDM 심볼 할당 정보들을 포함하는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810) 및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에 포함된 심볼 할당 정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820)를한다.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PDSCH) 송수신을 위한 시구간 자원 할당을 위해,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는 단말별로 OFDM심볼 할당 정보들 및 심볼 할당 정보들을 각각 지정하는 인덱스들을 테이블 형식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PDSCH) 송수신을 위한 OFDM 심볼 할당 정보들은 각각 스타팅 OFDM 심볼과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810)에서, 단말은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PDSCH) 송수신을 위한 테이블 형식의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단말-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PDSCH) 송수신을 위한 테이블 형식의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400)를 단말-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표 1, 혹은 표 2와 같은 테이블 형식의 PDSCH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RRC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이 표 1, 혹은 표 2와 같은 테이블 형식의 PDSCH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RRC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경우, 해당 테이블을 구성하는 각각의 인덱스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 영역(예를 들어, 표1의 경우 인덱스들 0 내지 7을 지시하기 위한 3 비트 혹은 표 2의 경우 인덱스들 0 내지 15를 지시하기 위한 4 비트로 구성된 정보 영역)을 포함하고, 각각의 인덱스에 해당하는 OFDM 심볼 할당 정보를 특정 값으로 포함하여 RRC 메시지(예를 들어 PDSCH 시구간 자원 설정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표 1, 혹은 표 2와 같은 PDSCH 전송을 위한 테이블 형식의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기지국과 단말에서 미리 정의하고, 해당 테이블 형식의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 중 단말에서 PDSCH 수신을 위해 사용할 테이블 entry 관련 정보를 RRC 시그널링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2와 같은 테이블 형식의 PDSCH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가 기지국과 단말에서 미리 정의된 경우, 이 중 해당 단말에서 사용할 엔트리(entry) 관련 정보를 RRC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즉, 표 2의 0 내 15의 인덱스들 중 해당 단말의 PDSCH 심볼 할당 정보 수신을 위해 사용할 인덱스 정보(예를 들어, 사용할 인덱스 값이나, 사용할 인덱스 구간 관련 정보)를 설정하여 RRC 메세지(예를 들어 PDSCH 시구간 자원 설정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어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820)에서, 단말은 인덱스들 중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어정보는 하향링크 할당 하향링크 제어정보(500)이며, 제어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820)에서, 인덱스들 중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할당 하향링크 제어정보(500)를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한 하향링크 할당 하향링크 제어정보(500)는 인덱스들 중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를 표현하는 필드, 예를 들어 SAF(Symbol Allocation Field) 필드(5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SAF 필드(510)는 전술한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한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400)에 포함된 인덱스들 중 하나를 표현할 수 있다.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PUSCH) 송수신을 위한 시구간 자원 할당을 위해,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는 단말별로 OFDM심볼(혹은 SC-FDMA 심볼) 할당 정보들 및 심볼 할당 정보들을 각각 지정하는 인덱스들을 테이블 형식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PUSCH) 송수신을 위한 OFDM 심볼(혹은 SC-FDMA 심볼) 할당 정보들은 각각 스타팅 OFDM 심볼(혹은 SC-FDMA 심볼) 과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810)에서,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PUSCH) 송수신을 위한 테이블 형식의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600)를 단말-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은 표 1, 혹은 표 2와 같은 테이블 형식의 PUSCH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RRC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이 표 1, 혹은 표 2와 같은 테이블 형식의 PUSCH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RRC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경우, 해당 테이블을 구성하는 각각의 인덱스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 영역(예를 들어, 표1의 경우 인덱스들 0 내지 7을 지시하기 위한 3 비트 혹은 표 2의 경우 인덱스들 0 내지 15를 지시하기 위한 4 비트로 구성된 정보 영역)을 포함하고, 각각의 인덱스에 해당하는 OFDM 심볼(혹은 SC-FDMA 심볼) 할당 정보를 특정 값으로 포함하여 RRC 메시지(예를 들어 PUSCH 시구간 자원 설정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표 1, 혹은 표 2와 같은 PUSCH 전송을 위한 테이블 형식의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기지국과 단말에서 미리 정의하고, 해당 테이블 형식의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 중 단말에서 PUSCH 전송을 위해 사용할 테이블 entry 관련 정보를 RRC 시그널링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2와 같은 테이블 형식의 PUSCH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가 기지국과 단말에서 미리 정의된 경우, 이 중 해당 단말에서 사용할 엔트리(entry) 관련 정보를 RRC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즉, 표 2의 0 내 15의 인덱스들 중 해당 단말의 PUSCH 심볼 할당 정보 수신을 위해 사용할 인덱스 정보(예를 들어, 사용할 인덱스 값이나, 사용할 인덱스 구간 관련 정보)를 설정하여 RRC 메세지(예를 들어 PUSCH 시구간 자원 설정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어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810)에서, 인덱스들 중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정보는 상향링크 그랜트 하향링크 제어정보이며, 제어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810)에서, 인덱스들 중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그랜트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통해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한 상향링크 그랜트 하향링크 제어정보(700)는 인덱스들 중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를 표현하는 필드, 예를 들어 SAF(Symbol Allocation Field) 필드(7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SAF 필드(710)는 전술한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한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에 포함된 인덱스들 중 하나를 표현할 수 있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9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900)은 제어부(910)과 송신부(920), 수신부(930)를 포함한다.
제어부(910)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라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에서 데이터 자원 할당을 위한 심볼 할당 정보를 구성함에 따른 전반적인 기지국(9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910)는 도 3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PDSCH) 또는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PUSCH) 송수신을 위한 시구간 자원 할당 방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반적인 기지국(9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920)와 수신부(93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즉, 송신부(920)와 수신부(930)는 도 3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PDSCH) 또는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PUSCH) 송수신을 위한 기지국의 시구간 자원 할당 방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반적인 신호 등을 송수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1000)은 수신부(1010) 및 제어부(1020), 송신부(1030)를 포함한다.
수신부(1010)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020)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라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 내 심볼 할당 정보를 획득함에 따른 전반적인 사용자 단말(10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010)는 도 3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PDSCH) 또는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PUSCH) 송수신을 위한 시구간 자원 할당 방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반적인 사용자 단말(10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030)는 기지국에 상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즉, 송신부(1020)와 수신부(1030)는 도 3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PDSCH) 또는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PUSCH) 송수신을 위한 기지국의 시구간 자원 할당 방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반적인 신호 등을 송수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표준내용 또는 표준문서들은 명세서의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위 표준내용 및 표준문서들의 일부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추가하거나 청구범위에 기재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2)

  1.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PDSCH) 또는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PUSCH) 송수신을 위한 기지국의 시구간 자원 할당 방법으로,
    슬롯 또는 미니-슬롯 기반으로 OFDM 심볼 단위로 시구간 자원을 할당하되, 상기 슬롯 또는 상기 미니-슬롯에서 상기 데이터 채널 송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OFDM 심볼들에 대한 OFDM 심볼 할당 정보들을 포함하는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에 포함된 상기 심볼 할당 정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PDSCH) 송수신을 위한 시구간 자원 할당을 위해,
    상기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는 단말별로 상기 OFDM심볼 할당 정보들 및 상기 심볼 할당 정보들을 각각 지정하는 인덱스들을 테이블 형식으로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PDSCH) 송수신을 위한 상기 OFDM 심볼 할당 정보들은 각각 스타팅 OFDM 심볼과 길이를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PDSCH) 송수신을 위한 상기 테이블 형식의 상기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단말-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인덱스들 중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는 하향링크 할당 하향링크 제어정보이며,
    상기 제어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인덱스들 중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하향링크 할당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PUSCH) 송수신을 위한 시구간 자원 할당을 위해,
    상기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는 단말별로 상기 OFDM심볼 할당 정보들 및 상기 심볼 할당 정보들을 각각 지정하는 인덱스들을 테이블 형식으로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PUSCH) 송수신을 위한 상기 OFDM 심볼 할당 정보들은 각각 스타팅 OFDM 심볼과 길이를 포함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PUSCH) 송수신을 위한 상기 테이블 형식의 상기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단말-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상기 인덱스들 중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는 상향링크 그랜트 하향링크 제어정보이며,
    상기 제어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상기 인덱스들 중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방법.
  12.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PDSCH) 또는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PUSCH) 송수신을 위한 단말의 시구간 자원 할당 방법으로,
    슬롯 또는 미니-슬롯 기반으로 OFDM 심볼 단위로 시구간 자원을 할당하되, 상기 슬롯 또는 상기 미니-슬롯에서 상기 데이터 채널 송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OFDM 심볼들에 대한 OFDM 심볼 할당 정보들을 포함하는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에 포함된 상기 심볼 할당 정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구간 자원 할당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PDSCH) 송수신을 위한 시구간 자원 할당을 위해,
    상기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는 단말별로 상기 OFDM심볼 할당 정보들 및 상기 심볼 할당 정보들을 각각 지정하는 인덱스들을 테이블 형식으로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PDSCH) 송수신을 위한 상기 OFDM 심볼 할당 정보들은 각각 스타팅 OFDM 심볼과 길이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PDSCH) 송수신을 위한 상기 테이블 형식의 상기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단말-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인덱스들 중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는 하향링크 할당 하향링크 제어정보이며,
    상기 제어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인덱스들 중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하향링크 할당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PUSCH) 송수신을 위한 시구간 자원 할당을 위해,
    상기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는 단말별로 상기 OFDM심볼 할당 정보들 및 상기 심볼 할당 정보들을 각각 지정하는 인덱스들을 테이블 형식으로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PUSCH) 송수신을 위한 상기 OFDM 심볼 할당 정보들은 각각 스타팅 OFDM 심볼과 길이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상향 링크 데이터 채널(PUSCH) 송수신을 위한 상기 테이블 형식의 상기 시구간 자원 설정 정보를 단말-특정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상기 인덱스들 중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방법.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는 상향링크 그랜트 하향링크 제어정보이며,
    상기 제어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상기 인덱스들 중 하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방법.
KR1020170140898A 2016-10-31 2017-10-27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데이터 채널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2114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80066665.4A CN110114997B (zh) 2016-10-31 2017-10-30 针对下一代无线接入网络分配数据信道资源的方法和设备
US16/346,108 US10952206B2 (en) 2016-10-31 2017-10-30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data channel resource for next-generation wireless access network
ES17865576T ES2955133T3 (es) 2016-10-31 2017-10-30 Método y dispositivo para asignar un recurso de canal de datos para una red de acceso inalámbrico de próxima generación
EP17865576.7A EP3534561B1 (en) 2016-10-31 2017-10-30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data channel resource for next-generation wireless access network
EP23180467.5A EP4239936A3 (en) 2016-10-31 2017-10-30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data channel resource for next-generation wireless access network
PCT/KR2017/012105 WO2018080268A1 (ko) 2016-10-31 2017-10-30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데이터 채널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US17/170,922 US11540272B2 (en) 2016-10-31 2021-02-09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data channel resource for next-generation wireless access network
US17/970,604 US20230056636A1 (en) 2016-10-31 2022-10-21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data channel resource for next-generation wireless access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013 2016-10-31
KR20160143013 2016-10-3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315A Division KR102130803B1 (ko) 2016-10-31 2020-05-04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데이터 채널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354A true KR20180048354A (ko) 2018-05-10
KR102114940B1 KR102114940B1 (ko) 2020-05-26

Family

ID=621852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898A KR102114940B1 (ko) 2016-10-31 2017-10-27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데이터 채널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20200053315A KR102130803B1 (ko) 2016-10-31 2020-05-04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데이터 채널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315A KR102130803B1 (ko) 2016-10-31 2020-05-04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데이터 채널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52206B2 (ko)
EP (1) EP3534561B1 (ko)
KR (2) KR1021149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687A1 (ko) * 2018-12-13 2020-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4880B2 (en) * 2017-03-24 2021-01-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source allocation signaling for slot aggregation
EP4170945A1 (en) * 2017-05-03 2023-04-26 Apple Inc. Handling collision for mini-slot-based and slot-based transmission
US20190159238A1 (en) * 2017-11-21 2019-05-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providing low latency service in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BR112020017498A2 (pt) * 2018-02-28 2020-12-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étodos realizados por um equipamento de usuário e por um nó de rede, equipamento de usuário, e, nó de rede
CN110784290B (zh) * 2018-07-30 2020-10-02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KR20220046323A (ko) * 2020-10-07 2022-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크로스-슬롯 스케쥴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4143816A (zh) * 2021-12-20 2022-03-04 国网河南省电力公司信息通信公司 一种基于电力业务质量保障的5g网络资源动态调度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8432A (ko) * 2010-01-26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060677A (ko) * 2012-09-20 201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포트 관계를 고려한 하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58978B (zh) * 2011-04-22 2017-03-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下行控制信息的处理方法和系统
KR101560390B1 (ko) * 2011-06-15 2015-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4106223A (zh) 2012-02-11 2014-10-15 Lg电子株式会社 报告信道状态信息的方法、其支持方法及所述方法的设备
WO2013119092A1 (ko) 2012-02-11 2013-08-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셀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4170275B (zh) 2012-02-11 2017-05-03 Lg电子株式会社 在基于多小区的无线通信系统中接收下行数据信道的方法
KR20150030661A (ko) 2012-07-09 2015-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 또는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554371B2 (en) 2012-07-16 2017-01-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042475A1 (ko) 2012-09-16 201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포트 관계를 고려한 하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9380571B2 (en) 2012-10-04 2016-06-2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receiving downlink signal by considering antenna port relationship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054900A1 (ko) 2012-10-04 2014-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포트 관계를 고려한 하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4054904A1 (ko) 2012-10-04 2014-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포트 관계를 고려한 하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4065525A1 (ko) 2012-10-25 2014-05-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4956743B (zh) 2013-01-31 2018-10-26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同步的方法和设备
CN105191174B (zh) 2013-03-27 2019-09-03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消除干扰的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装置
EP3267747B1 (en) * 2015-03-06 2020-12-16 Nec Corporation Reduced latency from the transmission of a scheduling request to the completion of ul data transmiss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8432A (ko) * 2010-01-26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060677A (ko) * 2012-09-20 201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포트 관계를 고려한 하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609919* *
3GPP R1-167343*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687A1 (ko) * 2018-12-13 2020-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916681B2 (en) 2018-12-13 2024-02-2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34561B1 (en) 2023-07-26
KR102114940B1 (ko) 2020-05-26
KR102130803B1 (ko) 2020-07-06
EP3534561A4 (en) 2020-05-27
KR20200051545A (ko) 2020-05-13
EP3534561A1 (en) 2019-09-04
US10952206B2 (en) 2021-03-16
US20190261337A1 (en) 201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51874A1 (en) Method and device for scheduling uplink control channel in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
KR102130803B1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데이터 채널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US20190297638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in next generation wireless access network
US202200953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control data in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
US20230056636A1 (en)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data channel resource for next-generation wireless access network
KR20180046372A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상향 링크 제어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38983A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복수의 상향 링크 제어 정보 다중화 방법 및 장치
KR20170114243A (ko) 공유 복조 기준 신호 기반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108940A (ko) 차세대 무선 단말을 위한 하향 링크 제어 정보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20180107417A (ko) Nr을 위한 하향 링크 harq 동작 방법 및 장치
KR20190028262A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 피기백 방법 및 장치
KR102246988B1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채널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2206761B1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비트맵을 이용하여 하향 링크 선점 지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85195B1 (ko)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80111443A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전송 블록 구성 방법 및 장치
KR20180090429A (ko) 차세대 무선 단말을 위한 하향 링크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80023136A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하향 링크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195869B1 (ko) 차세대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48371A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데이터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23137A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하향 링크 제어 채널 전송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180049423A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주파수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180045922A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80090939A (ko) 차세대 무선 단말을 위한 하향 링크 제어 정보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20180118479A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효율적인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36886A (ko) 상향 링크 harq 동작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