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5922A -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5922A
KR20180045922A KR1020160139404A KR20160139404A KR20180045922A KR 20180045922 A KR20180045922 A KR 20180045922A KR 1020160139404 A KR1020160139404 A KR 1020160139404A KR 20160139404 A KR20160139404 A KR 20160139404A KR 20180045922 A KR20180045922 A KR 20180045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cch
uci
transmission
type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9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진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60139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5922A/ko
Publication of KR20180045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9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1284
    • H04W72/041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GPP에서 논의가 시작된 차세대/5G 무선 액세스망(이하 본 발명에서는 NR[New Radio]라 지칭하도록 함.)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특히 NR에서 논의 중인 다양한 usage scenario를 고려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Description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of UL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for NR(New Radio)}
본 실시예들은 차세대/5G 무선 액세스망(이하, "NR[New Radio]"라 함)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는,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의 시간 도메인에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제1 PUCCH와 제2 PUCCH를 설정하는 단계와, UCI 정보의 종류 또는 정보량에 따라 제1 PUCCH 또는 제2 PUCCH 중 어느 하나를 UCI를 전송할 PUCCH로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PUCCH를 통해 UCI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를 지원하는 단말 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기 위한 특정 카테고리로 정의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TE 기반의 MTC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새롭게 정의된 3GPP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기존의 LTE coverage 대비 향상된 coverage를 지원하거나, 혹은 저전력 소모를 지원하는 기존의 3GPP Release-12 이하에서 정의된 UE category/type, 혹은 새롭게 정의된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 또는 eNB)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small cel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 RU, small cell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상기 나열된 다양한 셀은 각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i)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ii) 상기 무선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i)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상기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eNB, RRH, 안테나, RU, LPN, 포인트,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예가 된다. ii)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 RRH, 안테나, RU, LPN(Low Power Node), 포인트, eNB,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를 통칭하여 기지국으로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LTE, LTE-advanced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EPDCCH(enhanced PDCCH 또는 extended PDCCH)를 이용해서도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둘 이상의 송수신 포인트들이 협력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 포인트 협력형 송수신 시스템(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CoMP 시스템) 또는 협력형 다중 안테나 전송방식(coordinated multi-antenna transmission system), 협력형 다중 셀 통신시스템일 수 있다. CoMP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다중 송수신 포인트와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송수신 포인트는 기지국 또는 매크로 셀(macro cell, 이하 'eNB'라 함)과, eNB에 광케이블 또는 광섬유로 연결되어 유선 제어되는, 높은 전송파워를 갖거나 매크로 셀영역 내의 낮은 전송파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RRH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기재는 E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E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기재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PDCCH를 의미하거나, EPDCCH를 의미할 수 있으며, PDCCH 및 EPDCCH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EPDCCH를 적용할 수 있으며, E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PDCCH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은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정보를 전송하는 RRC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eNB은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eNB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그리고 PDSCH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
NR (New Radio)
3GPP는 최근 차세대/5G 무선 액세스 기술에 대한 연구를 위한 study item인 "Study on New Radio Access Technology"를 승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RAN WG1에서는 각각 NR(New Radio)를 위한 frame structure, channel coding & modulation, waveform & multiple access scheme 등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NR은 LTE 대비 향상된 데이터 전송율 뿐 아니라, 세분화되고 구체화된 usage scenario 별로 요구되는 다양한 requirements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설계가 이루어지도록 요구되고 있다. 특히 NR의 대표적 usage scenario로서 eMBB(enhancement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TC) 및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가 제기되었으며, 각각의 usage scenario별 requirements를 만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LTE 대비 flexible한 frame structure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3GPP에서 논의 중인 NR의 대표적 usage scenario로서 eMBB, mMTC, URLLC가 고려되고 있다. 각각의 usage scenario는 data rates, latency, coverage 등에 대한 requirements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임의의 NR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 각각의 usage scenario 별 requirements를 효율적으로 만족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서로 다른 numerology(e.g. subcarrier spacing, subframe, TTI, etc.) 기반의 무선 자원 유닛(unit)을 효율적으로 multiplexing하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를 위한 한 방법으로서, 서로 다른 subcarrier spacing값을 갖는 numerology에 대해 하나의 NR carrier를 통해 TDM, FDM 혹은 TDM/FDM 기반으로 다중화하여 지원하는 방법 및 time domain에서의 스케줄링 단위를 구성함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time unit을 지원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와 관련하여 NR에서는 time domain structure의 한 종류로서 subframe에 대한 정의가 이루어졌으며, 해당 subframe duration을 정의하기 위한 reference numerology로서 LTE와 동일한 15kHz SCS(Sub-Carrier Spacing) 기반 normal CP overhead의 14개의 OFDM symbols로 구성된 단일한 subframe duration을 정의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에 따라 NR에서 subframe은 1ms의 time duration을 가진다. 단, LTE와 달리 NR의 subframe은 절대적인 reference time duration으로서, 실제 상/하향 링크 데이터 스케줄링의 기반의 되는 time unit으로서 slot 및 mini-slot이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slot을 구성하는 OFDM 심볼의 개수, y값은 up to 60kHz의 SCS값을 갖는 numerology에 대해 y=7 and 14으로 정의되고, 60kHz보다 큰 SCS값을 갖는 numerology의 경우 y=14의 값을 갖도록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임의의 slot은 7개 혹은 14개의 심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slot의 transmission direction에 따라 모든 심볼이 DL transmission을 위해 이용되거나, 혹은 모든 심볼이 UL transmission을 위해 이용되거나, 혹은 DL portion + (gap) + UL portion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UL control channel for NR ]
지난 3GPP RAN1 회의 결정 사항에 따르면, NR에서의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 송수신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 채널을 정의함에 있어서, 하나의 상향 링크 심볼(혹은 몇몇의 심볼 duration, 혹은 일정 수 이하의 심볼 duration)을 통해 송수신되는 short duration을 갖는 NR PUCCH(본 발명에서는 LTE의 PUCCH에 해당하는 UCI 송수신을 위해 정의된 상향 링크 제어 채널에 대해 NR PUCCH라 지칭하도록 하겠다.)와 복수의 심볼(혹은 일정 수 이상의 심볼 duration)을 통해 전송되는 long duration을 갖는 NR PUCCH의 2가지 type의 NR PUCCH를 정의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3GPP RAN1 86bis회의 의장 노트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Agreements:
Figure pat00001
At least two ways of transmissions are supported for NR UL control channel
- UL control channel can be transmitted in short duration
Figure pat00002
around the last transmitted UL symbol(s) of a slot
Figure pat00003
FFS: How to define and treat the potential gap at the end of the slot
Figure pat00004
FFS: in the other positions, e.g., the first UL symbol(s) of a slot
Figure pat00005
TDMed and/or FDMed with UL data channel within a slot
- UL control channel can be transmitted in long duration
Figure pat00006
over multiple UL symbols to improve coverage
Figure pat00007
FDMed with UL data channel within a slot
- FFS how to multiplex with SRS
The frequency resource and hopping, if hopping is used, may not spread over the carrier bandwidth
Agreements:
● For UL control channel in short duration,
≫ 1 symbol duration of a slot is supported.
≫ FFS: a few symbol duration of a slot is supported.
● Mechanism enabling frequency-diversity is supported.
Agreements:
● In frequency-domain, a PRB (or multiple PRBs) is the minimum resource unit size for UL control channel.
Agreements:
● UE-specific RS is used for PUCCH transmission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NR에서는 UCI 송수신을 위한 NR PUCCH를 정의함에 있어서, time domain에서 서로 다른 duration을 갖는 2가지 type의 NR PUCCH를 정의하기로 결정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임의의 NR 단말에서 UCI를 전송하기 위한 NR PUCCH 설정 방안에 대해 제안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의 long duration을 갖는 NR PUCCH에 대해 type-1 NR PUCCH라 지칭하고, short duration을 갖는 NR PUCCH에 대해 type-2 NR PUCCH라 지칭하도록 한다. 단 본 발명이 그 명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NR에서는 time domain에서 서로 다른 duration을 갖는 type-1 NR PUCCH와 type-2 NR PUCCH가 정의된다. 이처럼 서로 다른 NR PUCCH type(혹은 structure)가 정의될 경우, 임의의 NR 단말에서 임의의 UCI를 전송하기 위한 NR PUCCH type을 정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NR 단말 별로 임의의 UCI를 전송하기 위한 NR PUCCH type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방법 1. UCI 정보 종류 혹은 정보량(payload size)에 따른 implicit 설정 방법
임의의 NR 단말에서 임의의 slot(혹은 mini-slot)을 통해 전송할 UCI의 종류에 따라 NR PUCCH type이 implicit하게 결정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R에서 정의된 UCI의 종류로서, channel state information 관련 피드백 정보와 하향 링크 데이터 수신에 대한 HARQ ACK/NACK 피드백 정보 및 SR(Scheduling Request) 정보가 정의될 수 있다. 단, channel state information 관련 피드백 정보는 Tx/Rx beam acquisition 관련 정보, PMI/CQI/RI 관련 정보 혹은 그 외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참조 신호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하향 링크 measurement 관련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임의의 NR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정의된 모든 종류의 UCI에 대해 임의의 slot 혹은 mini-slot에서 해당 NR 단말이 전송하도록 설정된 UCI의 종류에 따라 해당 UCI를 전송할 NR PUCCH type이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NR slot 혹은 mini-slot을 통해 전송할 UCI가 channel state information 관련 피드백 정보일 경우, type-1 NR PUCCH를 통해 전송하도록 하고, 임의의 NR slot 혹은 mini-slot을 통해 전송할 UCI가 HARQ ACK/NACK 피드백 정보 혹은 SR일 경우, type-2 NR PUCCH를 통해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임의의 NR slot 혹은 mini-slot을 통해 복수의 UCI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경우, 해당 UCI 조합에 따라 해당 UCI를 전송하기 위한 NR PUCCH type을 정의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slot 혹은 mini-slot을 통해 channel state information 관련 피드백 정보 + HARQ ACK/NACK 피드백을 전송하도록 설정된 경우 type-1 NR PUCCH를 통해, HARQ ACK/NACK 피드백+SR의 경우 type-2 NR PUCCH를 통해 각각 해당 UCI 조합을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임의의 slot 혹은 mini-slot을 통해 전송하도록 설정된 UCI의 payload size에 따라 해당 UCI를 전송할 NR PUCCH type을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UCI의 payload size가 특정 threshold값, X를 초과하는 경우 type-1 NR PUCCH를 통해 해당 UCI를 전송하도록 정의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type-2 NR PUCCH를 통해 해당 UCI를 전송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단, 이 경우 해당 threshold, X값은 UE-specific 혹은 cell-specific RRC signaling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방법 2. RRC signalling 혹은 L1/L2 control channel을 통한 explicit 설정 방법
임의의 NR 단말에서 임의의 UCI를 전송하기 위한 NR PUCCH type에 대해 기지국이 explicit signalling을 통해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NR 기지국은 임의의 NR 단말이 임의의 slot 혹은 mini-slot을 통해 UCI를 전송하기 위한 NR PUCCH type을 설정하여 하향 링크 L1/L2 control channel을 통해 해당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기지국은 UE-specific L1/L2 control channel을 통해 각각의 단말 별로 UCI 전송을 위한 NR PUCCH type을 dynamic하게 설정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혹은 broadcast/cell-specific or slot/mini-slot common한 L1/L2 control channel을 통해 각각의 slot 혹은 mini-slot 별로 단말이 UCI 전송을 위해 사용할 NR PUCCH type을 설정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UE-specific 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해 각각의 단말 별로 UCI를 전송하기 위한 NR PUCCH type을 설정하거나, 혹은 cell-specific 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해 UCI 종류에 따라 NR PUCCH type을 설정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단, 상기의 UE-specific 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한 NR PUCCH type 설정 방법의 경우, UCI 종류 혹은 UCI 조합 등에 따라 별도의 NR PUCCH type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hybrid한 방법으로서, 각각의 단말 별로 UCI 종류 및 조합 혹은 UCI 전송 방법 등에 따라 RRC signalling 및 L1/L2 control channel을 통한 NR PUCCH type을 설정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CI 종류에 따라 CSI 피드백 관련 UCI 혹은 SR 관련 UCI는 RRC signaling을 통해 각각의 UCI를 위한 NR PUCCH type 설정 정보를 전송하도록 정의하고, HARQ ACK/NACK 피드백 관련 UCI는 L1/L2 control channel을 통해 NR PUCCH type 설정 정보를 전송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도록 정의된 UCI(e.g. periodic CSI reporting 정보)의 경우, RRC signaling을 통해 해당 UCI 전송을 위한 NR PUCCH type을 설정하도록 정의하고, event-triggered UCI(e.g. HARQ ACK/NACK 피드백, aperiodic CSI reporting, etc.)의 경우 L1/L2 control channel을 통해 NR PUCCH type을 설정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단, 상기는 하나의 실시예일뿐 UCI의 종류나 조합 혹은 UCI 전송 방법(periodic vs. aperiodic/event-triggered)에 따라 별도의 signalling 방법을 통해 해당 UCI 전송을 위한 NR PUCCH type을 설정하는 모든 경우는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10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1000)은 제어부(1010)과 송신부(1020), 수신부(1030)를 포함한다.
제어부(1010)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라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에서 상향 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할 채널을 결정함에 따른 전반적인 기지국(10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020)와 수신부(103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도 2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11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1100)은 수신부(1110) 및 제어부(1120), 송신부(1130)를 포함한다.
수신부(1110)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120)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라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에서 상향 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함에 따른 전반적인 사용자 단말(1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130)는 기지국에 상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표준내용 또는 표준문서들은 명세서의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위 표준내용 및 표준문서들의 일부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추가하거나 청구범위에 기재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의 시간 도메인에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제1 PUCCH와 제2 PUCCH를 설정하는 단계;
    UCI 정보의 종류 또는 정보량에 따라 상기 제1 PUCCH 또는 상기 제2 PUCCH 중 어느 하나를 상기 UCI를 전송할 PUCCH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PUCCH를 통해 상기 UCI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60139404A 2016-10-25 2016-10-25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800459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404A KR20180045922A (ko) 2016-10-25 2016-10-25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404A KR20180045922A (ko) 2016-10-25 2016-10-25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922A true KR20180045922A (ko) 2018-05-08

Family

ID=62187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404A KR20180045922A (ko) 2016-10-25 2016-10-25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59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14560A1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10820318B2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based upon downlink control in current subframe
KR20180046358A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101475123B1 (ko) 상향링크 제어채널 전송방법 및 수신방법, 그 단말, 그 송수신포인트
US20190297638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in next generation wireless access network
US20220070913A1 (en) Terminal, radio base st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20190261337A1 (en)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data channel resource for next-generation wireless access network
KR20180081669A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공용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90038983A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복수의 상향 링크 제어 정보 다중화 방법 및 장치
US20210168785A1 (en)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data channel resource for next-generation wireless access network
KR20180107417A (ko) Nr을 위한 하향 링크 harq 동작 방법 및 장치
KR20180108940A (ko) 차세대 무선 단말을 위한 하향 링크 제어 정보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20190028262A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 피기백 방법 및 장치
KR102246988B1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채널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160135013A (ko) Mtc 단말을 위한 상향 링크 물리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80090429A (ko) 차세대 무선 단말을 위한 하향 링크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80023136A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하향 링크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80111443A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전송 블록 구성 방법 및 장치
KR20180107690A (ko) 효율적인 하향 링크 자원 할당을 위한 하향 링크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80045922A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80036909A (ko)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80026604A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다중 numerology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180011419A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프레임 구조 설계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118479A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효율적인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23137A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하향 링크 제어 채널 전송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