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5803A - 화재 예방 기능 및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 장치 - Google Patents

화재 예방 기능 및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5803A
KR20180025803A KR1020170081323A KR20170081323A KR20180025803A KR 20180025803 A KR20180025803 A KR 20180025803A KR 1020170081323 A KR1020170081323 A KR 1020170081323A KR 20170081323 A KR20170081323 A KR 20170081323A KR 20180025803 A KR20180025803 A KR 20180025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ypass diode
solar cell
thermal fuse
unit
junctio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석환
강기환
소정훈
황혜미
정영석
주영철
송형준
송희은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80025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8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H02S50/10Testing of PV devices, e.g. of PV modules or single PV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4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including bypass 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01L31/0504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specially adapted for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예방 기능 및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 장치는 복수의 태양전지 셀이 직렬 연결된 태양전지 스트링을 구비하는 태양전지 모듈과, 상기 태양전지 스트링과 병렬 연결된 전류 차단부를 구비하는 정션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전류 차단부는 상기 태양전지 스트링의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바이패스 다이오드와,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타단과 상기 태양전지 스트링의 타단의 사이에 연결되는 써멀퓨즈와, 상기 써멀퓨즈에 병렬 연결되어 상기 써멀퓨즈의 구동 상태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제1 LED와,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에 병렬 연결되어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구동 상태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제2 LED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의 바이패스 다이오드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온도 상승에 의해 태양전지 모듈에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써멀퓨즈와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고장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고장에 따라 전력 발전량의 손실로 이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재 예방 기능 및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 장치{PHOTOVOLTAIC DEVICES WITH FIRE PREVENTING FUNCTION AND FAULT DIAGNOSING FUNCTION}
본 발명은 화재 예방 기능 및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태양전지 모듈의 바이패스 다이오드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온도 상승에 의해 태양전지 모듈에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고장상태에 따라 전력 발전량의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태양전지 모듈은 아주 적은 일부가 그림자로 인해 가려지더라도 모듈 전체의 출력이 크게 저하된다. 태양전지 모듈은 여러 개의 태양전지가 직렬로 연결된 구성이기 때문에, 그림자로 인해 가려져 출력이 없는 태양전지가 있는 경우 해당 태양전지에서 전류 통과가 어렵게 되어 전체적인 출력이 저하하게 된다. 그림자에 의한 손실을 예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내장된 정션박스가 태양전지 모듈에 부착된다.
바이패스 다이오드는 태양전지의 직렬 연결된 셀에 역바이어스 방향으로 연결된다. 바이패스 다이오드는 그림자로 인해 출력이 저하된 셀 또는 셀 그룹을 우회해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이를 통한 출력 감소는 오직 그림자에 의해 가려진 셀 또는 셀 그룹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제한해 출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 다이오드는 태양전지 셀의 크랙에 의해 핫 스팟(hot-spot)이 발생하여 화재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태양전지 모듈에 사용되는 바이패스 다이오드는 낙뢰(써지), 정션박스 내부 열배출 미비 등의 열악한 환경 조건에서 순방향 동작 상태와 역바이어스 상태 사이의 전환을 반복함에 따라 파손될 수 있다. 특히, 건물 일체형 태양광(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BIPV) 모듈의 경우 상시 음영 발생 빈도가 높아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고장 확률이 높아진다.
태양전지 모듈의 구성에서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파손될 경우 내부적으로 단락 회로가 구성되고, 바이패스 다이오드를 통하여 상시적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시스템이 동작하지 않고, 높은 일사량이 인가되는 경우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역방향으로 단락 전류가 흐르게 되어 다이오드의 온도가 200도 이상 상승하게 되며, 이 온도는 정션박스의 재질을 녹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태양전지 셀이 단락 되어 태양전지 모듈에서 화재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태양전지 모듈에서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상태를 진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태양전지 모듈의 진단은 대부분 전문가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설치된 태양전지 모듈의 대부분의 바이패스 다이오드에 대해 진단을 수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태양전지 모듈의 유지보수 전문가가 도착하기 이전에 화재가 발생될 수도 있기 때문에 화재 예방을 위한 추가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00962호(태양광 발전 모듈용 정션박스)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의 바이패스 다이오드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온도 상승에 의해 태양전지 모듈에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상태를 진단하여 태양전지 모듈의 화재를 예방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이패스 다이오드 고장이 태양전지 모듈의 발전량 저하로 이어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고장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출된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태양전지 셀이 직렬 연결된 태양전지 스트링을 구비하는 태양전지 모듈과, 상기 태양전지 스트링과 병렬 연결된 전류 차단부를 구비하는 정션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전류 차단부는 상기 태양전지 스트링의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바이패스 다이오드와,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타단과 상기 태양전지 스트링의 타단의 사이에 연결되는 써멀퓨즈와, 상기 써멀퓨즈에 병렬 연결되어 상기 써멀퓨즈의 구동 상태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제1 LED와,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에 병렬 연결되어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구동 상태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제2 LED를 구비하여 상기 제1 LED 및 제2 LED의 빛 출력 여부를 통해 상기 써멀퓨즈 및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고장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류 차단부의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손상을 진단하는 고장 진단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장 진단부는 상기 정션박스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손상을 진단한다. 상기 고장 진단부는 양단 전압과 상기 정션박스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음영 상태와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고장 상태를 구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써멀퓨즈는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에 단락 고장이 발생하여 역방향 단락전류가 흐름에 따라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허용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에 인가되는 역방향 단락전류를 차단한다. 상기 허용온도는 단락고장 상태인 바이패스 다이오드에 상기 태양전지 셀의 단락전류를 다이오드 역방향으로 인가할 때 상기 정션박스의 기구부가 녹지 않는 온도이다. 또는 상기 허용온도는 손상된 바이패스 다이오드에 상기 태양전지 셀의 단락전류가 다이오드 역방향으로 흐를 때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포화 온도이고, 상기 허용온도에서 써멀퓨즈가 소손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장 진단부는 양단 전압과 상기 정션박스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음영 상태와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고장 상태를 구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션박스에 연결되고, 상기 고장 진단부로부터 상기 정션박스 내부의 온도를 전달받아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 및 상기 써멀퓨즈의 고장여부를 판단결과로서 생성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로부터 상기 판단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 및 상기 써멀퓨즈의 고장여부를 출력하는 알림 출력부를 포함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림 출력부는 상기 판단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판단결과를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판단결과를 소리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한다.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판단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판단결과를 외부의 서버 또는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이패스 다이오드에 단락 고장이 발생하여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최대 발열온도 이상일 때, 써멀퓨즈가 바이패스 다이오드로의 단락전류 인가 차단 동작을 수행하여 정션박스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고장 유무를 상시 진단할 수 있다. 정션박스의 내부온도와, 전류 차단부의 양단 전압을 측정하여 음영 상태와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손상에 따른 고장진단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단락 고장시 써멀퓨즈의 소손에 의해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발열을 제한하여 화재 예방이 가능하다. 또한 전류 차단부의 양단에 역전압이 발생 시 퓨즈의 소손 및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고장을 인지할 수 있으며, 고장 처리를 통한 에너지 손실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고장여부 및 써멀 퓨즈의 고장여부를 LED 출력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태양광 발전 장치의 유지 보수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 기능 및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 기능 및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 장치에 형성되는 모니터링부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정상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정방향 및 역방향 전류에 따른 각각의 온도 특성과, 고장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역방향 전류에 따른 온도 특성을 나타낸다.
도 4a는 음영 상태에서 바이패스 다이오드로 전류가 흐르는 특성을 나타낸다.
도 4b는 바이패스 다이오드에 단락 고장이 발생한 경우의 전류 특성을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 기능 및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100)는 태양전지 모듈(102)과 정션박스(104)를 구비한다.
태양전지 모듈(102)은 복수의 태양전지 셀(106)이 직렬 연결된 태양전지 스트링(108)을 구비한다.
정션박스(104)는 전류 차단부(110)와 고장 진단부(FD: fault detector)(116)를 구비한다. 전류 차단부(110)는 바이패스 다이오드(112), 써멀퓨즈(114), 제1 저항(1131), 제2 저항(1132), 제1 LED(1151), 그리고 제2 LED(1152)를 구비하며, 태양전지 스트링(108)과 병렬 연결된다. 바이패스 다이오드(112)의 일단은 태양전지 스트링(108)의 일단에 연결되고, 써멀퓨즈(114)는 바이패스 다이오드(112)의 타단과 태양전지 스트링(108)의 타단의 사이에 연결된다. 제1 저항(1131)은 써멀퓨즈(114)에 병렬 연결되고, 제1 LED(1151)는 제1 저항(1131)의 일단에 연결된다. 제2 저항(1132)는 바이패스 다이오드(112)에 병렬 연결되고, 제2 LED(1152)는 제2 저항(1132)의 일단에 연결된다. 전류 차단부(110)는 태양전지 스트링(108)과 동일한 개수가 직렬로 연결된다.
써멀퓨즈(114)는 바이패스 다이오드(112)에 단락 고장이 발생하여 역방향 단락전류가 흐름에 따라 바이패스 다이오드(112)가 허용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바이패스 다이오드(112)에 인가되는 역방향 단락전류를 차단한다. 상기 허용온도는 단락고장 상태인 바이패스 다이오드에 태양전지 셀(106)의 단락전류를 다이오드 역방향으로 인가할 때 정션박스(104)의 기구부가 녹지 않는 온도이다. 또는 상기 허용온도는 손상된 바이패스 다이오드에 태양전지 셀(106)의 단락전류가 다이오드 역방향으로 흐를 때 바이패스 다이오드(112)의 포화 온도이고, 상기 허용온도에서 써멀퓨즈(114)가 소손된다.
제1 저항(1131) 및 제2 저항(1132)는 10MΩ의 저항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LED(1151)는 써멀퓨즈(114)가 소손 상태일 때 온(on) 되고, 써멀퓨즈(114)가 정상 상태일 때, 즉, 태양전지 셀(106)이 정상작동 중인 경우 오프(off) 상태이다.
제2 LED(1152)는 바이패스 다이오드(112)가 정상 작동하는 경우, 즉, 바이패스 다이오드(112)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경우 온(on) 되고, 태양전지 셀(106)의 음영, 적설, 오염 등에 의해 바이패스 다이오드(112)에 전류가 흐르도록 동작하는 경우 오프(off) 된다.
제1 LED(1151)는 빨간색 LED로 구성되고, 제2 LED(1152)는 초록색 LED로 구성되어 써멀퓨즈(114) 및 바이패스 다이오드(112)의 정상 동작 여부, 즉, 고장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고장 진단부(116)는 첫번째 전류 차단부와 마지막 전류 차단부의 양단의 전압을 측정한다. 고장 진단부(116)는 전류 차단부(110)의 양단의 전압과, 정션박스(104)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태양전지 모듈(102)의 음영 상태와 바이패스 다이오드(112)의 고장 상태를 구분한다.
태양광 발전 장치(100)는 인버터, 서지보호장치 등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태양전지 모듈(102)과, 전류 차단부(110)의 구성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인버터와 관련되는 동작들은 공지 기술의 범위로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태양전지 모듈(102)은 태양광을 제공받아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고, 전류를 출력한다. 태양전지 모듈(102)는 도 1에 예시한 것처럼, 20개의 태양전지 셀을 직렬 연결하여 구성한 태양전지 스트링을 3개 직렬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하나의 태양전지 스트링에는 하나의 전류 차단부가 병렬 연결된다.
전류 차단부(110)는 바이패스 다이오드(112)와 써멀퓨즈(114)가 직렬 연결되어 구성되는데, 전류 차단부(110)는 바이패스 다이오드(112)의 허용온도 초과 여부에 따라 바이패스 다이오드(112)로의 전류 흐름을 차단한다. 전류 차단부(110)는 전류 차단부(110)를 구성하는 바이패스 다이오드(112)의 단락 고장에 의해 바이패스 다이오드(112)가 허용온도를 초과함에 따라 바이패스 다이오드(112)에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한다. 전류 차단부(110)의 바이패스 다이오드(112)가 낙뢰 또는 누설전류에 의해 단락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바이패스 다이오드(112)에 역방향 단락전류가 흐르게 되어 바이패스 다이오드(112)에 허용온도를 초과하는 고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바이패스 다이오드(112)에 허용온도를 초과하는 고열이 발생하는 경우 정션박스(104) 재질이 녹을 수 있다. 또한, 주간시간대에 고 일사량이 인가됨에 따라 태양전지 모듈(102)에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바이패스 다이오드(112)에 역방향 단락전류가 인가됨에 의한 바이패스 다이오드(112)의 허용온도 초과에 따라 전류 차단부(110)의 써멀퓨즈(114)가 바이패스 다이오드(112)로의 전류를 차단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바이패스 다이오드(112)의 단락 고장에 따른 정션박스(104)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태양전지 모듈(102)의 화재발생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 기능 및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 장치에 형성되는 모니터링부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재 예방 기능 및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 장치에 형성되는 모니터링부(200)는 태양광 발전 장치(100)에 부가되는 부분으로서, 판단부(210), 알림 출력부(220), 그리고 통신부(230)를 포함한다.
판단부(220)는 고장 진단부(116)로부터 정션박스 내부의 온도와 통신부(240)로부터 전달받은 다른 정션박스 내부의 온도를 비교하고, 고장 진단부(116)로부터 전압측정결과를 전달받아 바이패스 다이오드(112) 또는 써멀퓨즈(113)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판단결과를 생성하여 알림 출력부(230) 및 통신부(240)로 전달한다.
한 예에서, 판단부(220)는 고장 진단부(116)로부터 전달받은 정션박스 내부의 온도가 다른 정션박스 내부의 온도보다 10℃ 이상 높은 경우 또는 정션박스 내부의 온도가 100℃이상인 경우 해당 정션박스 내부의 바이패스 다이오드 및 써멀퓨즈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결과를 생성한다.
판단부(220)는 복수 개의 고장 진단부(116)와 각각 연결되어 특정 태양광 발전장치(100)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를 위해서, 서로 다른 고장 진단부(116)에 각각 고유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각 고장 진단부(116)로부터 측정값을 전달받을 때 고유 식별번호를 함께 전달받아 특정 태양광 발전장치(100)의 고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부(220)는 고장 진단부(116)로부터 전달받은 전압 측정값이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단락고장 발생시 전압 측정값의 특성을 갖는 경우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결과를 생성한다.
알림 출력부(230)는 판단부(220)로부터 판단결과를 전달받아 텍스트, 이미지 또는 소리로서 알리는 부분으로서, 텍스트나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240)는 판단부(220)로부터 판단결과를 전달받아 이를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의 서버 또는 휴대단말로 전송한다.
판단부(220), 알림 출력부(230), 그리고 통신부(240)는 태양광 발전장치(100)의 외측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정상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정방향 및 역방향 전류에 따른 각각의 온도 특성과, 고장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역방향 전류에 따른 온도 특성을 나타낸다.
표 1 및 도 3을 참조하여 태양광 발생 장치(100)의 동작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태양전지 모듈(102)에 인가되는 일사량이 1000W/m2이고, 10A의 단락전류가 바이패스 다이오드(112)에 인가되는 경우, 바이패스 다이오드(112)의 온도는 표 1로부터 약 200℃에 이를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Forward direction for normal diode
(음영 시 다이오드 순방향 온도특성)
Reverse direction for damaged diode
(고장 시 다이오드 역방향 온도특성)
Current (A) Temperature (℃) Current (A) Temperature (℃)
2 41.6 2 35.1
4 62.4 4 56.4
6 79.5 6 91.7
8 100.6 8 139.7
10 120.2 10 219.2
표 1과 같이, 음영 시 바이패스 다이오드(112)에 순방향 전류가 흐르는 경우 10A의 전류가 바이패스 다이오드(112)에 인가되어도 120℃ 정도로 온도가 상승하지만, 바이패스 다이오드(112)에 단락 고장이 발생하여 역방향 전류가 흐르는 경우 200℃가 넘게 되어 이는 정션박스(104)의 허용온도를 초과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장치(100)는 전류 차단부(110)가 바이패스 다이오드(112)와 써멀퓨즈(114)를 구비하고 있어, 바이패스 다이오드(112)에 인가될 수 있는 단락전류를 별도의 수동 동작 없이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표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바이패스 다이오드(112)에서 고열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장 진단부(116)는 써멀퓨즈(114)가 소손될 경우 전류 차단부(110)의 양단에 역전압이 생성되어 퓨즈소손 및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고장을 진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의 빠른 조치 미비 시 태양전지 모듈의 화재를 예방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써멀퓨즈(114)는 음염 상태 및 바이패스 다이오드(112)의 고장 시에만 상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써멀퓨즈(114)의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다. 써멀퓨즈(114)의 소손은 바이패스 다이오드(112)의 역방향으로 단락전류가 인가되어 고열이 발생할 때만 동작된다.
도 4a는 음영 상태에서 바이패스 다이오드로 전류가 흐르는 특성을 나타내며, 도 4b는 바이패스 다이오드에 단락 고장이 발생한 경우의 전류 특성을 나타낸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태양광 발전 장치
102: 태양전지 모듈
104: 정션박스
106: 태양전지 셀
108: 태양전지 스트링
110: 전류 차단부
112: 바이패스 다이오드
114: 써멀퓨즈
116: 고장 진단부
200 : 모니터링부
210 : 판단부
220 : 알림 출력부
230 : 통신부

Claims (10)

  1. 복수의 태양전지 셀이 직렬 연결된 태양전지 스트링을 구비하는 태양전지 모듈과,
    상기 태양전지 스트링과 병렬 연결된 전류 차단부를 구비하는 정션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전류 차단부는
    상기 태양전지 스트링의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바이패스 다이오드와,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타단과 상기 태양전지 스트링의 타단의 사이에 연결되는 써멀퓨즈와,
    상기 써멀퓨즈에 병렬 연결되어 상기 써멀퓨즈의 구동 상태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제1 LED와,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에 병렬 연결되어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구동 상태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제2 LED를
    구비하여 상기 제1 LED 및 제2 LED의 빛 출력 여부를 통해 상기 써멀퓨즈 및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고장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예방 기능 및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차단부의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손상을 진단하는 고장 진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예방 기능 및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진단부는 상기 정션박스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손상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예방 기능 및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써멀퓨즈는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에 단락 고장이 발생하여 역방향 단락전류가 흐름에 따라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허용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에 인가되는 역방향 단락전류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예방 기능 및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온도는 단락고장 상태인 바이패스 다이오드에 상기 태양전지 셀의 단락전류를 다이오드 역방향으로 인가할 때 상기 정션박스의 기구부가 녹지 않는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예방 기능 및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온도는 손상된 바이패스 다이오드에 상기 태양전지 셀의 단락전류가 다이오드 역방향으로 흐를 때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포화 온도이고, 상기 허용온도에서 써멀퓨즈가 소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예방 기능 및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진단부는 양단 전압과 상기 정션박스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음영 상태와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고장 상태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예방 기능 및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박스에 연결되고,
    상기 고장 진단부로부터 상기 정션박스 내부의 온도를 전달받아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 및 상기 써멀퓨즈의 고장여부를 판단결과로서 생성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로부터 상기 판단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 및 상기 써멀퓨즈의 고장여부를 출력하는 알림 출력부를 포함하는 모니터링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예방 기능 및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출력부는 상기 판단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판단결과를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판단결과를 소리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예방 기능 및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판단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판단결과를 외부의 서버 또는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예방 기능 및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 장치.
KR1020170081323A 2016-09-01 2017-06-27 화재 예방 기능 및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 장치 KR201800258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12793 2016-09-01
KR1020160112793 2016-09-01
PCT/KR2017/006135 WO2018043875A1 (ko) 2016-09-01 2017-06-13 화재 예방 기능 및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 장치
WOPCT/KR2017/006135 2017-06-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803A true KR20180025803A (ko) 2018-03-09

Family

ID=61301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323A KR20180025803A (ko) 2016-09-01 2017-06-27 화재 예방 기능 및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25803A (ko)
WO (1) WO201804387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571B1 (ko) * 2021-05-06 2021-11-15 (주)신한티이씨 태양전지별로 고장진단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66428B1 (ko) * 2021-04-19 2022-02-23 조현석 태양광 회전식 모듈
WO2023008832A1 (ko) * 2021-07-28 2023-02-02 현대에너지솔루션(주) 태양광 모듈
WO2023201176A1 (en) * 2022-04-15 2023-10-19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Reconfigurable solar array for stable output voltage over a range of temperatures with high operational efficienc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77476B (zh) * 2020-01-02 2022-03-08 湖南金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设备短路或漏电故障点的检测方法
CN111697098A (zh) * 2020-07-15 2020-09-22 苏州腾晖光伏技术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组件
CN113364414A (zh) * 2021-07-09 2021-09-07 上海数明半导体有限公司 光伏组件、光伏发电系统以及电子设备
DE102021125242A1 (de) * 2021-09-29 2023-03-30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Photovoltaikmodul und Anschlussanordnung für ein Photovoltaikmodu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532B1 (ko) * 2012-03-02 2012-09-20 주식회사 유비테크 태양광발전 채널별 감시 및 개별 모니터링 시스템
KR20130131515A (ko) * 2012-05-24 2013-12-04 (주)엠케이에너지 태양전지 보호회로와 네트워킹을 포함한 모니터링 신호 송출 장치
KR101456241B1 (ko) * 2012-12-04 2014-11-03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 이상상태 감지장치
KR101598205B1 (ko) * 2015-02-13 2016-03-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전지모듈 모니터링을 위한 온도검출 기능을 가지는 정션박스, 상기 정션박스를 구비한 태양전지모듈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KR101560345B1 (ko) * 2015-06-12 2015-10-20 (주)세진엔지니어링 태양광 발전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428B1 (ko) * 2021-04-19 2022-02-23 조현석 태양광 회전식 모듈
WO2022225258A1 (ko) * 2021-04-19 2022-10-27 조현석 태양광 회전식 모듈
KR102326571B1 (ko) * 2021-05-06 2021-11-15 (주)신한티이씨 태양전지별로 고장진단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3008832A1 (ko) * 2021-07-28 2023-02-02 현대에너지솔루션(주) 태양광 모듈
WO2023201176A1 (en) * 2022-04-15 2023-10-19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Reconfigurable solar array for stable output voltage over a range of temperatures with high operational efficienc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43875A1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5803A (ko) 화재 예방 기능 및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 장치
KR101560345B1 (ko)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1470348B1 (ko) 화재방지 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JP5590475B2 (ja) 逆電流センサ
KR101496199B1 (ko) 전력 차단 기능을 구비한 태양 전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ES2935107T3 (es) Sistema de onduladores en paralelo y método de control de desactivación y dispositivo de control de desactivación para sistema de onduladores en paralelo
US20110301772A1 (en) Protection, monitoring or indication apparatus for a direct current electrical generating apparatus or a plurality of strings
Wohlgemuth et al. How can we make PV modules safer?
KR102262547B1 (ko) 태양광 접속반 사고관리시스템
KR101602844B1 (ko) 과열 및 아크 검출을 통해 전기화재 감시진단 기능을 갖는 태양광 접속반
Guerriero et al. Toward a hot spot free PV module
Dhere et al. The reliability of bypass diodes in PV modules
KR101963937B1 (ko) 신속차단 기능을 이용한 태양광 접속반 보호 장치
KR101212124B1 (ko) 태양광발전소 모니터링시스템
KR101879742B1 (ko) 아크 종류와 위치 검출 및 열화 방지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20160146398A (ko) 마이크로컨버터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1938382B1 (ko) 지능형 안전 사고 예방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868433B1 (ko) 태양광 모듈 스트링 사고예방을 위한 스트링 블록 디바이스가 구비된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접속반 및 이를 구비한 태양광발전시스템
KR101712823B1 (ko) 화재 예방을 위한 바이패스 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접속반
US103888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ed rapid shutdown of electrical devices
CN108365595B (zh) 基于模糊数学的柔性直流配电系统单端量保护方法
JP2016220265A (ja) 分電盤
JP6621000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劣化判別方法及び劣化判別装置
KR102534230B1 (ko) 태양광 dc 어레이의 고장 전류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한 회로분리 장치가 적용된 스마트 접속반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569199B1 (ko) 임피던스 측정과 우회회로를 통한 화재방지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