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5787A - 오븐 - Google Patents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5787A
KR20180025787A KR1020170016282A KR20170016282A KR20180025787A KR 20180025787 A KR20180025787 A KR 20180025787A KR 1020170016282 A KR1020170016282 A KR 1020170016282A KR 20170016282 A KR20170016282 A KR 20170016282A KR 20180025787 A KR20180025787 A KR 20180025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glass
cooking chamber
cooling fan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5015B1 (ko
Inventor
장형진
이상진
이정학
권명근
박상준
서응렬
성한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7/00948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044067A1/en
Priority to US15/693,036 priority patent/US10794599B2/en
Priority to EP20206148.7A priority patent/EP3795906A1/en
Priority to CN201710781367.5A priority patent/CN107788862B/zh
Priority to EP17188971.0A priority patent/EP3290808B1/en
Priority to CN202210766937.4A priority patent/CN115153316A/zh
Publication of KR20180025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787A/ko
Priority to US17/063,062 priority patent/US2021001818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4Elements and arrangements for heat storage or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6Protective guards, e.g. for preventing access to heated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24C3/12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in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electric circuits regulating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5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heating or cooling, e.g. in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조리실 내부를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를 조리실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면서, 조리실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카메라의 온도 상승이 방지될 수 있도록 카메라를 냉각시키는 구조를 갖는 오븐을 제공한다.
오븐은 조리실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상부에 배치되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카메라를 냉각시키는 카메라 냉각팬, 상기 카메라가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의 상부벽에 마련되며, 상기 조리실 내부의 열이 상기 카메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글래스 및 상기 카메라와 상기 제1글래스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카메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제2글래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븐{OVEN}
본 발명은 조리실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조리실 상부에 마련되는 오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븐은 조리실과, 조리실에 열을 가하는 가열장치와, 가열장치에서 발생된 열을 조리실 내부에서 순환시키는 순환 팬을 구비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오븐은 조리물을 밀폐,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구로서 일반적으로 그 열원에 따라 전기식, 가스식, 전자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기오븐은 전기히터를 열원으로 이용하고, 가스오븐과 전자레인지는 각각 가스에 의한 열과 고주파로 인한 물분자의 마찰열을 열원으로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오븐은 외관을 이루며 전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조리될 음식물이 투입되는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외장 카메라를 통해 오븐 내부의 조리실에서 조리중인 음식물의 조리상태를 스마트 기기를 통해 모니터링 하거나, 원격 제어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외장 카메라를 통해 조리실 내부를 촬영하게 되면, 오븐의 도어에 장착된 글래스의 특성 상 난반사가 발생하여 조리실 내부를 선명하게 촬영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조리실 내부를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를 조리실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면서, 조리실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카메라의 온도 상승이 방지될 수 있도록 카메라를 냉각시키는 구조를 갖는 오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은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상부에 배치되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카메라를 냉각시키는 카메라 냉각팬, 상기 카메라가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의 상부벽에 마련되며, 상기 조리실 내부의 열이 상기 카메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글래스 및 상기 카메라와 상기 제1글래스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카메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제2글래스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상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마련되며, 상기 흡입구 주위에는 상기 흡입구 내부로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브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조리실 상부에 전장품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전장실을 포함하며, 상기 전장실은 상기 전장실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전장실 내부를 냉각시킨 후 상기 전장실 외부로 배출시키는 전장실 냉각팬과, 상기 전장실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배출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장실 내부에는 상기 카메라 냉각팬이 장착되는 팬 홀더가 마련되며, 상기 팬 홀더는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흡입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 홀더 하부에는 상기 카메라가 장착되는 카메라 홀더가 마련되며, 상기 카메라 홀더는 상기 카메라 냉각팬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흡입유로로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덕트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카메라 홀더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원통 형상을 갖는 경통과, 상기 경통의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하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와 상기 전장실 냉각팬 사이에는 상기 배출덕트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카메라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출덕트의 일부를 차단하는 차단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배출덕트를 지지하여 상기 배출덕트의 처짐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카메라 홀더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글래스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카메라 하부에는 상기 복수개의 제2글래스가 고정되는 글래스 홀더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글래스 홀더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글래스 홀더는 상기 복수개의 제2글래스가 고정되는 복수개의 글래스 고정부와, 상기 렌즈가 배치된 상기 경통의 끝단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갖는 밀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통의 끝단이 삽입된 공간은 상기 제2글래스와 상기 밀폐부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상기 글래스 홀더는 상기 복수개의 제2글래스가 고정되는 복수개의 글래스 고정부와, 상기 경통의 끝단이 수용되도록 개방된 개구와, 상기 개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렌즈가 배치된 상기 경통의 끝단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갖는 가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경통의 끝단이 삽입된 공간은 상기 제2글래스와 상기 가스켓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상기 조리실 상부벽은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제1글래스가 장착된 글래스 브라켓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냉각팬에 의해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카메라를 냉각시킨 후,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배출덕트로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상기 전장실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은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 상부에 전장품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전장실, 상기 전장실 내부에 마련되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전장실 내부를 냉각시키는 전장실 냉각팬, 상기 전장실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덕트 및 상기 조리실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 상부에 배치되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카메라를 냉각시키는 카메라 냉각팬, 상기 카메라와 상기 전장실 냉각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덕트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카메라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출덕트의 일부를 차단하는 차단부재 및 상기 카메라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카메라가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조리실 내부의 열이 상기 카메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복수개의 글래스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글래스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의 상부벽에 마련되며, 상기 조리실 내부의 열이 상기 카메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글래스와, 상기 카메라와 상기 제1글래스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카메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제2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글래스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글래스 홀더에 고정되며, 상기 글래스 홀더는 상기 제2글래스가 고정되는 글래스 고정부와, 상기 카메라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갖는 밀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의 일단이 삽입된 공간은 상기 제2글래스와 상기 밀폐부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흡입구가 마련되며,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카메라를 냉각시킨 후, 상기 배출덕트로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상기 전장실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은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 상부에 전장품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전장실, 상기 전장실 내부에 마련되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전장실 내부를 냉각시키는 전장실 냉각팬, 상기 전장실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덕트, 상기 조리실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 상부에 배치되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카메라를 냉각시키는 카메라 냉각팬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냉각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카메라를 냉각시킨 후, 상기 배출덕트로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상기 전장실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카메라와 상기 전장실 냉각팬 사이에는 상기 배출덕트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카메라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배출덕트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차단부재를 우회하여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카메라 홀더에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를 냉각시킨 공기는 상기 배출덕트와 연통되는 상기 카메라 홀더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전장실 냉각팬은 상기 카메라 냉각팬에 비해 큰 크기를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전장실 냉각팬에 의해 상기 배출덕트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보다 빠른 속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배출덕트를 통해 상기 차단부재를 우회하여 배출되는 공기에 섞여 상기 전장실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은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조리실 상부에 전장품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전장실, 상기 전장실 내부에 마련되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전장실 내부를 냉각시키는 전장실 냉각팬 및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흡입유로와, 상기 흡입유로로 흡입된 외부의 공기가 상기 카메라를 냉각시킨 후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전장실 냉각팬의 흡입부를 향하도록 마련되는 흡입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구 상단은 상기 전장실 냉각팬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흡입덕트의 하부에는 상기 카메라가 장착되는 카메라 홀더가 마련되며, 상기 흡입유로 및 배출구는 상기 카메라 홀더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로로 흡입된 외부의 공기가 상기 카메라를 냉각시킨 후 상기 배출구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흡입유로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는 격벽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장실은 상기 전장실 냉각팬에 의해 흡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전장실 및 카메라를 냉각시킨 후, 상기 전장실 외부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배출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카메라 홀더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원통 형상을 갖는 경통과, 상기 경통의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하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하부에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조리실 내부의 열이 상기 카메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글래스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글래스는 4㎜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글래스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의 상부벽에 마련되며, 상기 조리실 내부의 열이 상기 카메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글래스와, 상기 카메라와 상기 제1글래스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카메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제2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글래스와 상기 제2글래스를 포함하는 상기 글래스 전체는 4㎜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글래스의 한쪽 면 또는 양쪽 면에는 열반사 코팅층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글래스는 강화유리 또는 붕규산 유리일 수 있다.
상기 글래스 중 상기 조리실과의 거리가 가까운 상기 제1글래스는 강화유리 또는 붕규산 유리일 수 있다.
상기 조리실의 상부벽에는 상기 제1글래스가 설치되는 개구부가 마련되며, 상기 개구부의 폭을 f라 하고, 상기 조리실의 상부벽과 상기 렌즈 사이의 거리를 g라 하고, 상기 조리실의 폭을 w라 하고, 상기 렌즈와 상기 조리실의 바닥벽 사이의 거리를 h라 할 때, f≥g*w/h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카메라가 조리실 상부에 배치되어 조리실 내부를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으며, 조리실 상부에 배치된 카메라의 온도 상승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전장실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가 배출덕트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래스의 한 쪽면에 열반사 코팅층이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래스의 양 쪽면에 열반사 코팅층이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가 전장실의 바닥벽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홀더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재가 카메라와 전장실 냉각팬 사이에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출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차단부재에 의해 카메라에 접촉되지 않고 우회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장실 냉각팬과 카메라 냉각팬에 의해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가 배출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차단부재가 글래스 홀더에 일체로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차단부재가 카메라 홀더에 일체로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전장실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가 배출덕트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가 전장실 냉각팬에 의해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에 의해 냉각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전장실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조리실(20)과, 본체(10)의 전면에 마련되어 조리실(20)를 개폐하는 도어(30)와, 조리실(20) 상부에 마련되어 조리실(20)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10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본체(1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1)과, 본체(10)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패널(12)과, 본체(10)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패널(13)과, 본체(10)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패널(14)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패널(11)의 전면 상부에는 하기할 전장실(50)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장실 커버(17)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전장실 커버(17)에는 하기할 디스플레이 모듈(40)이 장착될 수 있다.
측면패널(12)에는 하기할 전장실(50)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부(12a)가 마련되며, 흡입부(12a)를 통해 전장실(50)로 흡입된 외부 공기는 전장실(50) 내부를 유동하며 전장품을 냉각시킨다.
상부패널(14)에는 카메라 모듈(100)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15)가 마련되며, 카메라 모듈(100)의 카메라 냉각팬(120)에 의해 흡입구(15)로 흡입된 외부 공기는 하기할 카메라(140)를 냉각시킨다.
상부패널(14)의 흡입구(15) 주위에는 상부패널(14)로 낙수된 물이 흡입구(15)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브(16)가 마련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리브(16)가 흡입구(15)의 전면 쪽에만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리실(20)은 본체(10) 내부에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며, 조리실(2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조리실(20) 내부로 조리물을 출납할 수 있도록 한다.
조리실(20)의 상부벽(18)에는 제1개구부(18b)가 마련되는데, 제1개구부(18b)는 조리실(20) 상부에 마련되는 카메라(140)가 조리실(20)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조리실(20)이 밀폐될 수 있도록 제1개구부(18b)는 하기할 제1글래스(170)에 의해 커버된다.(도 4 참조)
조리실(20) 내부의 양 측벽에는 복수개의 지지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지지대에는 조리물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랙(미도시)을 장착할 수 있다.
복수개의 지지대에는 조리실(20)을 복수개로 분할할 수 있는 디바이더(미도시)가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디바이더에 의해 복수개로 분할된 조리실(20)은 크기가 서로 동일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크기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디바이더는 단열 재질로 마련되어 각각의 조리실(20)을 단열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조리실(20)의 복수개로 분할된 공간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조리실(20)에는 조리물을 가열시키는 히터(21)가 마련되며, 히터(21)는 전기 저항체를 포함하는 전기 히터일 수 있다.
히터(21)는 전기 히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스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가스 히터일 수도 있다.
따라서, 오븐은 전기 오븐 및 가스 오븐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실(20)의 후방에는 조리실(20)의 공기를 순환시켜 조리물이 골고루 가열되도록 하는 순환 팬(25)과, 순환 팬(25)을 구동시키는 순환 모터(23)가 마련될 수 있다.
순환 팬(25)의 전면에는 순환 팬(25)을 커버하는 팬 커버(27)가 마련될 수 있으며, 팬 커버(27)에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통공(29)이 형성된다.
조리실(20)의 개방된 전면은 도어(30)에 의해 개폐되며, 도어(30)는 본체(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본체(10) 하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어(30)의 전면 상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도어 핸들(31)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도어 핸들(31)를 파지하여 조리실(20)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오븐의 각종 동작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동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40)은 전면패널(11)의 전면 상부에 마련된 전장실 커버(17)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전장실 커버(17)에는 오븐을 추가적으로 동작시키도록 마련되는 조작부(41)가 마련될 수 있다.
오븐에는 디스플레이 모듈(40)을 포함한 각종 부속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장품(미도시)을 수용하는 전장실(50)이 마련된다.
전장실(50)은 조리실(20) 상부에 마련되며, 전장실(50)과 조리실(20) 사이에는 조리실(20)의 열기가 전장실(5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장실(50)과 조리실(20)을 단열하는 단열재(미도시)가 마련된다.
단열재는 전장실(50)과 조리실(20) 사이 뿐 아니라, 조리실(20)의 열기가 오븐 외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조리실(20) 외측을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장실(50) 내부는 각종 전장품의 열기에 의해 온도가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오븐에는 전장실(50) 주위에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전장실(50)을 냉각시키는 냉각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오븐의 냉각 구조는 공기를 유동시키는 전장실 냉각팬(51)과, 전장실 냉각팬(51)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오븐의 전방으로 토출시키는 배출유로(55)가 형성된 배출덕트(53)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븐 외부의 공기는 측면패널(12)에 형성된 흡입부(12a)를 통해 전장실(50)로 흡입되고, 전장실(50)로 흡입된 공기는 전장실(50) 내부를 유동하며 전장품을 냉각시킨 후에 배출덕트(53)의 배출유로(55)에 의해 가이드되어 오븐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덕트(53)와 전장실(50)의 바닥벽(57)에는 각각 제2개구부(54)와 제3개구부(59)가 마련되며, 제2개구부(54)는 제3개구부(59)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제2개구부(54)와 제3개구부(59)로 카메라 모듈(1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도 4 참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가 배출덕트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래스의 한 쪽면에 열반사 코팅층이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래스의 양 쪽면에 열반사 코팅층이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가 전장실의 바닥벽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실(20)의 상부에는 조리실(20) 내부에서 조리되는 음식물 등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100)이 마련된다.
카메라 모듈(100)은 본체(10)의 상부패널(14)에 마련된 흡입구(15)와 연통되는 팬 홀더(110)와, 팬 홀더(110)에 장착되는 카메라 냉각팬(120)과, 카메라(140)가 장착되는 카메라 홀더(130)와, 카메라 홀더(130)에 장착되어 조리실(20)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140)와, 카메라(140) 하부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글래스(170, 180)를 포함한다.
팬 홀더(110)는 전장실(50) 내부에 마련되며, 흡입구(15)와 연통되는 흡입유로(111)와, 카메라 냉각팬(120)이 결합되는 냉각팬 결합홀(113)과, 카메라 냉각팬(120)을 고정시키는 제1고정돌기(115)와, 흡입구(15)를 통해 물이 낙수되는 경우 낙수된 물이 저장되도록 하여 물이 흡입유로(111)를 통해 카메라(140)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물 저장부(117)를 포함한다.
흡입유로(111)는 팬 홀더(110)의 상부에 마련되어 흡입구(15)와 연통되며, 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가 카메라(140)로 유도되도록 가이드한다.
냉각팬 결합홀(113)과 제1고정돌기(115)는 팬 홀더(110)의 하부에 마련되며, 카메라 냉각팬(120)의 고정홀(123)에 제1고정돌기(115)가 삽입되도록 하여 카메라 냉각팬(120)을 팬 홀더(110)에 고정시킨다.
카메라 냉각팬(120)이 팬 홀더(110)에 고정되면, 팬 홀더(110)의 냉각팬 결합홀(113)과 카메라 냉각팬(120)의 제1결합홀(121)은 대응되는 위치에 있게 되고, 냉각팬 결합홀(113)과 제1결합홀(121)에 삽입되는 체결부재(B)에 의해 카메라 냉각팬(120)은 팬 홀더(110)에 결합된다.
카메라 냉각팬(120)은 팬 홀더(110)에 결합되어 흡입구(15)를 통해 외부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며, 흡입된 외부 공기가 카메라(140)로 전달되도록 하여 카메라(140)를 냉각시킨다.
카메라(140)는 전장실(50)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전장실(50) 내부의 전장품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온도가 높아질 수 있으며, 카메라(140)가 배치되는 전장실(50)은 조리실(20) 상부에 마련되기 때문에, 조리실(2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도 온도가 높아질 수 있다.
카메라(140)의 온도가 높아지면, 카메라(140)에 고장이 발생될 수도 있고, 화질이 나빠지기 때문에, 카메라(140) 상부에 카메라(140)를 냉각시키기 위한 카메라 냉각팬(120)이 마련된다.
카메라 냉각팬(120)의 하부에는 카메라(140)가 장착되는 카메라 홀더(130)가 마련된다.
카메라 홀더(130)는 카메라 냉각팬(120)이 안착되는 안착부(131)와, 팬 홀더(110)의 흡입유로(111)로 흡입된 공기가 카메라(140)를 냉각시킨 후 배출되는 배출구(137)와, 배출덕트(53)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139)를 포함한다.
안착부(131)에는 팬 홀더(110)에 장착된 카메라 냉각팬(120)이 안착되며, 안착부(131)는 카메라 냉각팬(120)의 고정홀(123)에 삽입되는 제2고정돌기(133)와, 카메라 냉각팬(120)의 제1결합홀(121)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2결합홀(135)을 포함한다.
카메라 냉각팬(120)의 고정홀(123)에 안착부(131)의 제2고정돌기(133)가 삽입되도록 하여 카메라 냉각팬(120)을 안착부(131)에 안착시키면, 팬 홀더(110)의 냉각팬 결합홀(113)과 카메라 냉각팬(120)의 제1결합홀(121)과 안착부(131)의 제2결합홀(135)은 대응되는 위치에 있게 되고, 팬 홀더(110)와 카메라 냉각팬(120)과 카메라 홀더(130)는 체결부재(B)에 의해 결합된다.
팬 홀더(110)의 흡입유로(111)로 흡입되어 카메라(140)를 냉각시킨 공기는 배출구(137)를 통해 배출되며, 배출구(137)로 배출되는 공기는 배출덕트(53)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덕트(53)에는 제2개구부(54)가 마련되며, 제2개구부(54)의 주위에는 카메라 홀더(130)가 결합되는 카메라 홀더 결합홀(54a)이 마련된다.
카메라 홀더(130)는 제1결합부(139)와 카메라 홀더 결합홀(54a)에 삽입되는 체결부재(B)에 의해 배출덕트(53)에 결합되며, 배출덕트(53)에 결합된 카메라 홀더(130)의 하부는 제2개구부(54)로 삽입된다.
카메라(140)는 카메라 홀더(130)에 장착되는 장착부(141)와, 장착부(141)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원통 형상을 갖는 경통(143)과, 경통(143)의 끝단에 배치되어 조리실(20) 내부를 촬영하는 렌즈(145)를 포함한다.
렌즈(145)는 카메라 홀더(130)에 장착된 카메라(140)의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카메라 홀더(130)의 하부와 함께 제2개구부(54)로 삽입된다.
제2개구부(54)로 삽입된 렌즈(145)는 전장실(50)의 바닥벽(57)에 마련된 제3개구부(59)로 삽입되어 조리실(20)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조리실(20)의 상부벽(18)과 인접한 위치에 있게 된다.
카메라(140)의 하부에는 복수개로 마련되는 제1글래스(170) 및 제2글래스(180)를 포함하는 글래스(170, 180)가 배치되며, 두 개의 제1글래스(170)는 상부벽(18)의 상면과 하면에 배치되도록 글래스 브라켓(190)에 고정되고, 복수개의 제2글래스(180)는 카메라(140)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글래스 홀더(150)에 고정된다.
도면 상에는 글래스(170, 180)가 두 개의 제1글래스(170)와, 두 개의 제2글래스(18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글래스(170)와 제2글래스(180)가 각각 한 개로 마련되거나 세 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글래스(170, 180)가 제1글래스(170)와 제2글래스(180)로 나누어지지 않고 한 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글래스(170, 180)가 한 개로 마련되는 경우에 글래스(170, 180)는 4㎜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래스(170, 180)가 제1글래스(170)와 제2글래스(180)로 나누어지는 경우에는 제1글래스(170)와 제2글래스(180) 두께의 합이 4㎜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래스(170, 180)의 두께가 4㎜ 이하인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래스(170, 180)의 한 쪽면에 열반사 코팅층(175)이 마련되도록 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래스(170, 180)의 양 쪽면에 열반사 코팅층(175)이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
글래스(170, 180)의 한 쪽면에 열반사 코팅층(175)이 마련되는 경우에는 열반사 코팅층(175)이 마련되는 면이 조리실(20)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글래스(170, 180)는 열에 의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열에 강한 강화유리 또는 붕규산 유리로 마련될 수 있으며, 글래스(170, 180)가 복수개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조리실(20)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글래스(170)만 강화유리 또는 붕규산 유리로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
글래스 홀더(150)는 복수개의 제2글래스(180)가 고정되는 글래스 고정부(151)와, 렌즈(145)가 배치되는 카메라(140)의 경통(143) 끝단이 삽입되는 삽입홀(153)을 갖는 밀폐부(152)와, 전장실(50)의 바닥벽(57)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157)를 포함한다.
렌즈(145)가 배치된 카메라(140)의 경통(143) 끝단이 삽입된 공간은 복수개의 제2글래스(180) 중 가장 상부에 위치하는 제2글래스(180)와 밀폐부(152)에 의해 밀폐되어 렌즈(145)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렌즈(145)가 배치된 카메라(140)의 경통(143) 끝단만 삽입홀(153)로 삽입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조리실(20)에서 카메라(140)를 쳐다볼 때 렌즈(145)를 제외한 카메라(140)의 나머지 부분은 보이지 않게 되어 불필요한 부분의 노출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글래스 홀더(1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2글래스(180)가 고정되는 글래스 고정부(151)와, 경통(143)의 끝단이 수용되도록 개방된 개구(154)와, 개구(154)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경통(143)의 끝단이 삽입되는 삽입홀(156)을 갖는 가스켓(155)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글래스 홀더(150)의 경우에는 렌즈(145)가 배치된 카메라(140)의 경통(143) 끝단이 삽입된 공간은 복수개의 제2글래스(180) 중 가장 상부에 위치하는 제2글래스(180)와 가스켓(155)에 의해 밀폐되어 렌즈(145) 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전장실(50)의 바닥벽(57)에는 배출덕트(53)에 마련된 제2개구부(54)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3개구부(59)가 마련되며, 제3개구부(59)의 주위에는 글래스 홀더(150)가 결합되는 글래스 홀더 결합홀(59a)이 마련된다.
글래스 홀더(150)는 제2결합부(157)와 글래스 홀더 결합홀(59a)에 삽입되는 체결부재(B)에 의해 전장실(50)의 바닥벽(57)에 결합되고, 글래스 홀더(150)의 상부에 배치되는 렌즈(145)는 글래스 홀더(150)에 고정된 제2글래스(180)와 전장실(50) 바닥벽(57)에 마련된 제3개구부(59)를 통해 조리실(20) 내부를 촬영하게 된다.
조리실(20)의 상부벽(18)에 마련되는 제1개구부(18b)는 배출덕트(53)에 마련되는 제2개구부(54) 및 전장실(50)의 바닥벽(57)에 마련되는 제2개구부(59)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1개구부(18b)주위에는 제1글래스(170)가 장착되는 글래스 브라켓(190)이 결합되는 글래스 브라켓 결합홀(18c)이 마련된다.
글래스 브라켓(190)에는 글래스 브라켓 결합홀(18c)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4결합부(191)가 마련되어 글래스 브라켓(190)은 제4결합부(191)와 글래스 브라켓 결합홀(18c)에 삽입되는 체결부재(B)에 의해 조리실(20)의 상부벽(18)에 결합된다.
글래스 브라켓(190)은 조리실(20)의 상부벽(18)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조리실(20)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제1글래스(170)에 이물질이 묻게 되면 글래스 브라켓(190)을 조리실(20)의 상부벽(18)으로부터 분리한, 후 제1글래스(170)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글래스(170)는 조리실(20)의 상부벽(18)에 마련된 제1개구부(18b)에 위치하게 되고, 제2글래스(180)는 전장실(50)의 바닥벽(57)에 마련된 제3개구부(59)에 위치하게 되어 카메라(140)의 렌즈(145)는 제2글래스(180)와 제1글래스(170)를 투시하여 조리실(20)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도 10 참조)
또한, 제1글래스(170)와 제2글래스(180)에 의해 조리실(20) 내부의 열이 카메라(140)에 전달되는 것을 이중으로 차단할 수 있어 카메라(140)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재가 카메라와 전장실 냉각팬 사이에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출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차단부재에 의해 카메라에 접촉되지 않고 우회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덕트(53)의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140)와 전장실 냉각팬(51) 사이에는 배출덕트(5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카메라(140)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부재(160)가 마련된다.
차단부재(160)는 전장실(50)의 바닥벽(57)에 결합되는 제3결합부(161)와, 배출덕트(53)를 지지하여 배출덕트(53)의 처짐을 방지하는 지지부(163)를 포함한다.
차단부재(160)가 결합되는 전장실(50)의 바닥벽(57)에는 차단부재 결합홀(59b)이 마련되어 제3결합부(161)와 차단부재 결합홀(59b)에 삽입되는 체결부재(B)에 의해 차단부재(160)는 전장실(50)의 바닥벽(57)에 결합된다.
전장실(50)의 바닥벽(57)에 결합된 차단부재(160)는 카메라(140)와 전장실 냉각팬(51) 사이에서 배출덕트(53)의 일부를 차단하여 전장실 냉각팬(51)에 의해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가 배출덕트(5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때 카메라(140)에 접촉되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전장실 냉각팬(51)에 의해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는 전장실(50) 내부의 전장품을 냉각시킨 후 배출덕트(5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배출덕트(5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높은 온도를 갖게 되고, 높은 온도의 공기가 카메라(140)에 직접 접촉되면 카메라(140)의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차단부재(160)가 카메라(140)와 전장실 냉각팬(51)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차단부재(160)의 상부에는 배출덕트(53)를 지지하는 지지부(163)가 마련되어 배출덕트(53)의 처짐이 방지되도록 한다.
카메라 모듈(100)의 일부가 배출덕트(53)의 상부에 결합되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100)의 일부가 결합되는 부분의 배출덕트(53)는 하부 방향으로 처짐이 발생될 수 있는데, 차단부재(160)의 지지부(163)가 배출덕트(53)를 지지하여 배출덕트(53)의 처짐을 방지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장실 냉각팬과 카메라 냉각팬에 의해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가 배출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실 냉각팬(51)은 외부의 공기가 측면패널(12)의 흡입부(12a)를 통해 전장실(50) 내부로 흡입되도록 한다.
전장실(5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전장실(50) 내부의 전장품을 냉각시킨 후, 전장실 냉각팬(51)에 의해 배출덕트(53)로 흡입되고, 배출덕트(53)로 흡입된 공기는 배출유로(55)에 의해 가이드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카메라 냉각팬(120)에 의해 상부패널(14)의 흡입구(15)로 흡입된 외부의 공기는 흡입유로(111)를 통해 이동되어 카메라(140)를 냉각시킨 후, 배출구(137)를 통해 배출된다.
전장실 냉각팬(51)은 전장실(50) 전체를 냉각시켜야 하기 때문에, 카메라(140)를 냉각시키는 카메라 냉각팬(120)에 비해 많은 풍량을 필요로 하게 되어 카메라 냉각팬(140)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전장실 냉각팬(51)에 의해 배출덕트(53)로 배출되는 공기는 카메라 냉각팬(120)에 의해 배출구(137)로 배출되는 공기에 비해 빠른 속도를 갖게 되고, 배출구(137)로 배출되는 공기는 전장실 냉각팬(51)에 의해 배출덕트(53)로 배출되는 공기에 섞여서 함께 외부로 배출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차단부재가 글래스 홀더에 일체로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차단부재가 카메라 홀더에 일체로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재(158)는 별도로 마련되지 않고, 글래스 홀더(150)에 일체로 마련되어 전장실 냉각팬(51)에 의해 흡입되어 배출덕트(53)로 배출되는 공기가 카메라(140)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재(138)는 별도로 마련되지 않고, 카메라 홀더(130)에 일체로 마련되어 전장실 냉각팬(51)에 의해 흡입되어 배출덕트(53)로 배출되는 공기가 카메라(140)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개략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실 상부벽(18)에는 조리실 상부벽(18)의 상부에 배치되는 카메라(140)를 통해 조리실(20)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제1개구부(18b)가 마련된다.
카메라(140)가 조리실 상부벽(18)의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카메라(140)를 통해 조리실(20) 내부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조리실 상부벽(18)과 렌즈(235) 사이의 거리와, 조리실(20)의 폭과, 렌즈(235)와 조리실(20)의 바닥벽 사이의 거리 등을 통해 제1개구부(18b)의 폭을 결정하여야 한다.
제1개구부(18b)의 폭을 f라 하고, 조리실 상부벽(18)과 렌즈(235) 사이의 거리를 g라 하고, 조리실(20)의 폭을 w라 하고, 렌즈(235)와 조리실(20)의 바닥벽 사이의 거리를 h라 할 때, 제1개구부(18b)의 폭은 f≥g*w/h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측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전장실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가 배출덕트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가 전장실 냉각팬에 의해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에 의해 냉각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실(20)의 상부에는 조리실(20)의 내부에서 조리되는 음식물 등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200)이 마련된다.
도 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100)에는 카메라(140)를 냉각시키기 위한 카메라 냉각팬(120)이 별도로 마련되지만, 카메라 모듈(200)에는 카메라(230)를 냉각시키기 위한 카메라 냉각팬이 별도로 마련되지 않고, 전장실(50) 내부의 전장품을 냉각시키기 위해 전장실(50)에 마련되는 전장실 냉각팬(51)에 의해 카메라(230)가 냉각될 수 있도록 한다.
카메라 모듈(200)은 본체(10)의 상부패널(14)에 마련된 흡입구(15)와 연통되는 흡입덕트(210)와, 카메라(230)가 장착되는 카메라 홀더(220)와, 카메라 홀더(220)에 장착되어 조리실(20)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230)와, 카메라(230) 하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글래스(250, 260)를 포함한다.
흡입덕트(210)는 전장실(50) 내부에 마련되며, 흡입구(15)와 연통되는 흡입유로(211)와, 흡입유로(211)로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213)와, 흡입유로(211)와 배출구(213) 사이에 마련되는 격벽(215)과, 카메라 홀더(220)에 결합되는 카메라 홀더 결합홀(217)과, 흡입구(15)를 통해 낙수된 물이 저장되도록 하여 물이 흡입유로(211)를 통해 카메라(230)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물 저장부(219)를 포함한다.
흡입유로(211)는 흡입구(15)와 연통되며, 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가 카메라(230)로 유도되도록 가이드한다.
배출구(213)는 흡입구(15)를 통해 흡입유로(211)로 흡입되어 카메라(230)를 냉각시킨 공기가 카메라 모듈(20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배출구(213)는 전장실 냉각팬 흡입부(52)를 향하도록 마련되며, 배출구(213)의 상단은 전장실 냉각팬(51)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된다.
배출구(213)의 상단은 전장실 냉각팬(51)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어 배출구(213)는 전장실 냉각팬 흡입부(52)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배출구(213)가 전장실 냉각팬 흡입부(52)의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200)에 별도의 카메라 냉각팬이 마련되지 않아도 전장실 냉각팬(51)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구(15)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된다.
격벽(215)은 흡입유로(211)와 배출구(213) 사이에 마련되어 흡입유로(211)로 흡입된 공기가 직접 배출구(213)를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흡입덕트(210)의 하부에는 카메라(230)가 장착되는 카메라 홀더(220)가 마련되며, 흡입덕트(210)와 카메라 홀더(220)는 흡입덕트(210)에 마련되는 카메라 홀더 결합홀(217)과 카메라 홀더(220)에 마련되는 흡입덕트 결합홀(221)에 체결되는 체결부재(B)에 의해 결합된다.
흡입덕트(210)의 흡입유로(211)와 배출구(213)는 각각 카메라 홀더(220)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며, 흡입유로(211)로 흡입된 공기는 격벽(215)에 의해 배출구(213)로의 이동이 차단되어 카메라 홀더(220)로 전달되고, 카메라 홀더(220)로 전달된 공기는 카메라(230)를 냉각시킨다.
카메라(230)를 냉각시킨 공기는 배출구(213)를 통해 카메라 모듈(200) 외부로 배출되고, 배출구(213)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전장실 냉각팬 흡입부(52)로 흡입되어 배출덕트(53)를 통해 전장실(50) 외부로 배출된다.
카메라 홀더(220)는 흡입덕트(210)에 고정되는 고정후크(221)와, 카메라 홀더(220)의 하부에 마련되는 글래스 홀더(240)에 고정되는 고정돌기(223)와, 흡입덕트(210)의 카메라 홀더 결합홀(217)에 결합되는 흡입덕트 결합홀(225)과, 글래스 홀더(240)에 결합되는 글래스 홀더 결합홀(227)을 포함한다.
카메라 홀더(220)의 고정후크(221)가 흡입덕트(210)에 고정되면, 흡입덕트(210)의 카메라 홀더 결합홀(217)과 카메라 홀더(220)의 흡입덕트 결합홀(225)에 체결부재(B)를 체결하여 카메라 홀더(220)가 흡입덕트(210)에 결합되도록 한다.
카메라(230)는 카메라 홀더(220)에 장착되며, 카메라(230)가 전장실(50)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전장실(50) 내부의 전장품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온도가 높아질 수 있으며, 카메라(230)가 배치되는 전장실(50)은 조리실(20) 상부에 마련되기 때문에, 조리실(2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도 온도가 높아질 수 있다.
카메라(230)의 온도가 높아지면, 카메라(230)에 고장이 발생될 수도 있고, 화질이 나빠지기 때문에, 카메라(230)를 냉각시킬 필요가 있는데, 카메라(230)는 전장실 냉각팬(51)에 의해 흡입구(15)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에 의해 냉각된다.
카메라(230)는 카메라 홀더(220)에 장착되는 장착부(231)와, 장착부(231)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원통 형상을 갖는 경통(233)과, 경통(233)의 끝단에 배치되어 조리실(20) 내부를 촬영하는 렌즈(235)를 포함한다.
렌즈(235)는 카메라 홀더(220)에 장착된 카메라(230)의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카메라 홀더(220)의 하부와 함께 제2개구부(54)로 삽입된다.
제2개구부(54)로 삽입된 렌즈(235)는 전장실(50)의 바닥벽(57)에 마련된 제3개구부(59)로 삽입되어 조리실(20)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조리실(20)의 상부벽(18)과 인접한 위치에 있게 된다.
카메라(230)의 하부에는 카메라(230)가 조리실(20)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며, 조리실(20) 내부의 열이 카메라(23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글래스(250, 260)가 마련된다.
글래스(250, 260)는 글래스 브라켓(270)에 고정되어 상부벽(18)의 상면과 하면에 배치되는 두 개의 제1글래스(250)와, 글래스 홀더(240)에 고정되어 카메라(230)와 제1글래스(250) 사이에 배치되는 한 개의 제2글래스(260)를 포함한다.
도면 상에는 글래스(250, 260)가 두 개의 제1글래스(250)와, 한 개의 제2글래스(26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글래스(250)는 한 개 또는 세 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제2글래스(260)는 두 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글래스(250, 260)가 제1글래스(250)와 제2글래스(260)로 나누어지지 않고 한 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글래스(250, 260)가 한 개로 마련되는 경우에 글래스(250, 260)는 4㎜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래스(250, 260)가 제1글래스(250)와 제2글래스(260)로 나누어지는 경우에는 제1글래스(250)와 제2글래스(260) 두께의 합이 4㎜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래스(250, 260)의 두께가 4㎜ 이하인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래스(250, 260)의 한 쪽면에 열반사 코팅층(255)이 마련되도록 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래스(250, 260)의 양 쪽면에 열반사 코팅층(255)이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
글래스(250, 260)의 한 쪽면에 열반사 코팅층(255)이 마련되는 경우에는 열반사 코팅층(255)이 마련되는 면이 조리실(20)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글래스(250, 260)는 열에 의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열에 강한 강화유리 또는 붕규산 유리로 마련될 수 있으며, 글래스(250, 260)가 복수개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조리실(20)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글래스(250)만 강화유리 또는 붕규산 유리로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
글래스 홀더(240)에는 한 개의 제2글래스(260)가 고정되며, 글래스 홀더(240)는 글래스 홀더(240)의 상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홀더(220)에 결합되는 카메라 홀더 결합홀(241)과, 카메라 홀더(220)의 고정돌기(223)가 고정되는 고정홀(243)를 포함한다.
글래스 홀더(240)의 고정홀(243)에 카메라 홀더(220)의 고정돌기(223)가 고정되도록 한 후, 글래스 홀더(240)의 카메라 홀더 결합홀(241)과 카메라 홀더(220)의 글래스 홀더 결합홀(227)에 체결부재(B)를 체결하여 글래스 홀더(240)가 카메라 홀더(220)의 하부에 결합되도록 한다.
렌즈(235)가 배치된 카메라(230)의 경통(233) 끝단이 위치하는 공간은 카메라(230)의 장착부(231)와 글래스 홀더(240)에 의해 밀폐되어 렌즈(235)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조리실 상부벽(18)에 제1개구부(18b)가 마련되고, 배출덕트(53)에 제2개구부(54)가 마련되고, 전장실 바닥벽(57)에 제3개구부(59)가 마련되며, 카메라(230)가 개구부(18b, 54, 59)를 통해 조리실(20) 내부를 촬영하는 구성은 도 2 내지 도 14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100)의 경우에는 제3개구부(59) 주위에 글래스 홀더(150)와 차단부재(160)가 결합되는 결합홀(59a, 59b)이 마련되지만, 카메라 모듈(200)의 경우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래스 홀더(240)가 카메라 홀더(220)에 결합되고, 차단부재가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제3개구부(59) 주위에 결합홀이 마련될 필요가 없다.
제1글래스(250)가 고정되는 글래스 브라켓(270)에는 글래스 브라켓 결합홀(18c)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부(271)가 마련되어 글래스 브라켓(270)은 결합부(271)와 글래스 브라켓 결합홀(18c)에 삽입되는 체결부재(B)에 의해 조리실(20)의 상부벽(18)에 결합된다.
글래스 브라켓(270)은 조리실(20)의 상부벽(18)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조리실(20)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제1글래스(250)에 이물질이 묻게 되면 글래스 브라켓(270)을 조리실(20)의 상부벽(18)으로부터 분리한, 후 제1글래스(250)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20을 참고로 하여 카메라 모듈(200)의 카메라(230)가 냉각되는 공기의 흐름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17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공기는 전장실 냉각팬(51)에 의해 본체(10)의 양 측면패널(12)에 형성된 흡입부(12a)와 본체의 상부패널(14)에 형성된 흡입구(15)로 흡입된다.
흡입부(12a)로 흡입된 공기는 전장실(50) 내부를 냉각시킨 후, 전장실 냉각팬 흡입부(52)를 통해 흡입되어 배출덕트(53)를 통해 전장실(50) 외부로 배출된다.
흡입구(15)로 흡입된 공기는 흡입유로(211)를 거쳐 카메라 홀더(220)로 전달되어 카메라(230)를 냉각시킨 후, 배출구(213)를 통해 배출되고, 배출구(213)로 배출된 공기는 전장실 냉각팬 흡입부(52)를 통해 흡입되어 배출덕트(53)를 통해 전장실(50) 외부로 배출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카메라(230) 주변에 진공단열재를 발포하여 카메라(230)가 위치하는 공간이 진공 상태가 되도록 할 경우에는 카메라(230)에 열이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카메라(230)를 냉각시키기 위한 구성이 생략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오븐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11 : 전면패널
12 : 측면패널 12a : 흡입부
13 : 후면패널 14 : 상부패널
15 : 흡입구 16 : 리브
17 : 전장실 커버 18 : 조리실 상부벽
18b : 제1개구부 18c : 글래스 브라켓 결합홀
20 : 조리실 21 : 히터
23 : 순환모터 25 : 순환팬
30 : 도어 31 : 도어 핸들
40 : 디스플레이 모듈 41 : 조작부
50 : 전장실 51 : 전장실 냉각팬
52 : 전장실 냉각팬 흡입부
53 : 배출덕트 54 : 제2개구부
55 : 배출유로 57 : 바닥벽
59 : 제3개구부 59a : 글래스 홀더 결합홀
59b : 차단부재 결합홀
100 : 카메라 모듈
110 : 팬 홀더 111 : 흡입유로
113 : 냉각팬 결합홀 115 : 제1고정돌기
117 : 물 저장부
120 : 카메라 냉각팬 121 : 제1결합홀
123 : 고정홀
130 : 카메라 홀더 131 : 안착부
133 : 제2고정돌기 135 : 제2결합홀
137 : 배출구 138 : 차단부재
139 : 제1결합부
140 : 카메라 141 : 장착부
143 : 경통 145 : 렌즈
150 : 글래스 홀더 151 : 글래스 고정부
152 : 밀폐부 153 : 삽입홀
154 : 개구 155 : 가스켓
156 : 삽입홀 157 : 제2결합부
158 : 차단부재
160 : 차단부재 161 : 제3결합부
163 : 지지부
170 : 제1글래스 180 : 제2글래스
175 : 열반사 코팅층
190 : 글래스 브라켓 191 : 제4결합부
B : 체결부재
200 : 카메라 모듈
210 : 흡입덕트 211 : 흡입유로
213 : 배출구 215 : 격벽
217 : 카메라 홀더 결합홀 219 : 물 저장부
220 : 카메라 홀더 221 : 고정후크
223 : 고정돌기 225 : 흡입덕트 결합홀
227 : 글래스 홀더 결합홀
230 : 카메라 231 : 장착부
233 : 경통 235 : 렌즈
240 : 글래스 홀더 241 : 카메라 홀더 결합홀
243 : 고정홀
250 : 제1글래스 260 : 제2글래스
255 : 열반사 코팅층
270 : 글래스 브라켓 271 : 결합부

Claims (38)

  1.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상부에 배치되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카메라를 냉각시키는 카메라 냉각팬;
    상기 카메라가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의 상부벽에 마련되며, 상기 조리실 내부의 열이 상기 카메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글래스; 및
    상기 카메라와 상기 제1글래스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카메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제2글래스;
    를 포함하는 오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마련되며, 상기 흡입구 주위에는 상기 흡입구 내부로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브가 마련되는 오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조리실 상부에 전장품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전장실을 포함하며, 상기 전장실은 상기 전장실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전장실 내부를 냉각시킨 후 상기 전장실 외부로 배출시키는 전장실 냉각팬과, 상기 전장실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배출덕트를 포함하는 오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실 내부에는 상기 카메라 냉각팬이 장착되는 팬 홀더가 마련되며, 상기 팬 홀더는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흡입유로를 포함하는 오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팬 홀더 하부에는 상기 카메라가 장착되는 카메라 홀더가 마련되며, 상기 카메라 홀더는 상기 카메라 냉각팬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흡입유로로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덕트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오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카메라 홀더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원통 형상을 갖는 경통과, 상기 경통의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오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와 상기 전장실 냉각팬 사이에는 상기 배출덕트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카메라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출덕트의 일부를 차단하는 차단부재가 마련되는 오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배출덕트를 지지하여 상기 배출덕트의 처짐이 방지되도록 하는 오븐.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카메라 홀더와 일체로 마련되는 오븐.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글래스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카메라 하부에는 상기 복수개의 제2글래스가 고정되는 글래스 홀더가 마련되는 오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글래스 홀더와 일체로 마련되는 오븐.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홀더는 상기 복수개의 제2글래스가 고정되는 복수개의 글래스 고정부와, 상기 렌즈가 배치된 상기 경통의 끝단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갖는 밀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통의 끝단이 삽입된 공간은 상기 제2글래스와 상기 밀폐부에 의해 밀폐되는 오븐.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홀더는 상기 복수개의 제2글래스가 고정되는 복수개의 글래스 고정부와, 상기 경통의 끝단이 수용되도록 개방된 개구와, 상기 개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렌즈가 배치된 상기 경통의 끝단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갖는 가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경통의 끝단이 삽입된 공간은 상기 제2글래스와 상기 가스켓에 의해 밀폐되는 오븐.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 상부벽은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제1글래스가 장착된 글래스 브라켓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오븐.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냉각팬에 의해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카메라를 냉각시킨 후,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배출덕트로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상기 전장실 외부로 배출되는 오븐.
  16.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 상부에 전장품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전장실;
    상기 전장실 내부에 마련되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전장실 내부를 냉각시키는 전장실 냉각팬;
    상기 전장실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덕트; 및
    상기 조리실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 상부에 배치되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카메라를 냉각시키는 카메라 냉각팬;
    상기 카메라와 상기 전장실 냉각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덕트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카메라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출덕트의 일부를 차단하는 차단부재; 및
    상기 카메라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카메라가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조리실 내부의 열이 상기 카메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복수개의 글래스;
    를 포함하는 오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글래스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의 상부벽에 마련되며, 상기 조리실 내부의 열이 상기 카메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글래스와, 상기 카메라와 상기 제1글래스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카메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제2글래스를 포함하는 오븐.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글래스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글래스 홀더에 고정되며, 상기 글래스 홀더는 상기 제2글래스가 고정되는 글래스 고정부와, 상기 카메라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갖는 밀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의 일단이 삽입된 공간은 상기 제2글래스와 상기 밀폐부에 의해 밀폐되는 오븐.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흡입구가 마련되며,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카메라를 냉각시킨 후, 상기 배출덕트로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상기 전장실 외부로 배출되는 오븐.
  20.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 상부에 전장품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전장실;
    상기 전장실 내부에 마련되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전장실 내부를 냉각시키는 전장실 냉각팬;
    상기 전장실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덕트;
    상기 조리실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 상부에 배치되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카메라를 냉각시키는 카메라 냉각팬;
    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냉각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카메라를 냉각시킨 후, 상기 배출덕트로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상기 전장실 외부로 배출되는 오븐.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와 상기 전장실 냉각팬 사이에는 상기 배출덕트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카메라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배출덕트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차단부재를 우회하여 배출되는 오븐.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카메라 홀더에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를 냉각시킨 공기는 상기 배출덕트와 연통되는 상기 카메라 홀더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오븐.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실 냉각팬은 상기 카메라 냉각팬에 비해 큰 크기를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전장실 냉각팬에 의해 상기 배출덕트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보다 빠른 속도를 갖는 오븐.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배출덕트를 통해 상기 차단부재를 우회하여 배출되는 공기에 섞여 상기 전장실 외부로 배출되는 오븐.
  25.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조리실 상부에 전장품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전장실;
    상기 전장실 내부에 마련되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전장실 내부를 냉각시키는 전장실 냉각팬; 및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흡입유로와, 상기 흡입유로로 흡입된 외부의 공기가 상기 카메라를 냉각시킨 후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전장실 냉각팬의 흡입부를 향하도록 마련되는 흡입덕트;
    를 포함하는 오븐.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 상단은 상기 전장실 냉각팬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는 오븐.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의 하부에는 상기 카메라가 장착되는 카메라 홀더가 마련되며, 상기 흡입유로 및 배출구는 상기 카메라 홀더와 연통되는 오븐.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로로 흡입된 외부의 공기가 상기 카메라를 냉각시킨 후 상기 배출구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흡입유로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는 격벽이 마련되는 오븐.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실은 상기 전장실 냉각팬에 의해 흡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전장실 및 카메라를 냉각시킨 후, 상기 전장실 외부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배출덕트를 포함하는 오븐.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카메라 홀더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원통 형상을 갖는 경통과, 상기 경통의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오븐.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하부에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조리실 내부의 열이 상기 카메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글래스가 마련되는 오븐.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는 4㎜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마련되는 오븐.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의 상부벽에 마련되며, 상기 조리실 내부의 열이 상기 카메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글래스와, 상기 카메라와 상기 제1글래스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카메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제2글래스를 포함하는 오븐.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글래스와 상기 제2글래스를 포함하는 상기 글래스 전체는 4㎜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마련되는 오븐.
  3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의 한쪽 면 또는 양쪽 면에는 열반사 코팅층이 마련되는 오븐.
  36.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는 강화유리 또는 붕규산 유리인 오븐.
  37.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중 상기 조리실과의 거리가 가까운 상기 제1글래스는 강화유리 또는 붕규산 유리인 오븐.
  38.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의 상부벽에는 상기 제1글래스가 설치되는 개구부가 마련되며, 상기 개구부의 폭을 f라 하고, 상기 조리실의 상부벽과 상기 렌즈 사이의 거리를 g라 하고, 상기 조리실의 폭을 w라 하고, 상기 렌즈와 상기 조리실의 바닥벽 사이의 거리를 h라 할 때, f≥g*w/h 인 오븐.
KR1020170016282A 2016-09-01 2017-02-06 오븐 KR102665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9485 WO2018044067A1 (en) 2016-09-01 2017-08-30 Oven
US15/693,036 US10794599B2 (en) 2016-09-01 2017-08-31 Cooking oven with mounted camera
EP20206148.7A EP3795906A1 (en) 2016-09-01 2017-09-01 Oven
CN201710781367.5A CN107788862B (zh) 2016-09-01 2017-09-01 烤箱
EP17188971.0A EP3290808B1 (en) 2016-09-01 2017-09-01 Oven
CN202210766937.4A CN115153316A (zh) 2016-09-01 2017-09-01 烤箱
US17/063,062 US20210018182A1 (en) 2016-09-01 2020-10-05 Ov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778 2016-09-01
KR20160112778 2016-09-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787A true KR20180025787A (ko) 2018-03-09
KR102665015B1 KR102665015B1 (ko) 2024-05-13

Family

ID=61727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282A KR102665015B1 (ko) 2016-09-01 2017-02-06 오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501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43049A (zh) * 2021-04-30 2021-07-23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具有摄像功能的烤制烹饪设备
KR20220144538A (ko) 2021-04-20 2022-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EP4174384A1 (en) * 2021-10-28 2023-05-03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WO2023113145A1 (ko) * 2021-12-17 2023-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WO2024053908A1 (ko) * 2022-09-07 202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4053907A1 (ko) * 2022-09-07 202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WO2024053906A1 (ko) * 2022-09-07 202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WO2024090750A1 (ko) * 2022-10-24 2024-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99512A1 (de) * 1997-08-27 1999-03-0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argerät mit Bildschirm
KR20070103871A (ko) * 2006-04-20 2007-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110099541A (ko) * 2010-03-02 2011-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CN104287640A (zh) * 2014-11-03 2015-01-21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拍照功能的烤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99512A1 (de) * 1997-08-27 1999-03-0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argerät mit Bildschirm
KR20070103871A (ko) * 2006-04-20 2007-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110099541A (ko) * 2010-03-02 2011-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CN104287640A (zh) * 2014-11-03 2015-01-21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拍照功能的烤箱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538A (ko) 2021-04-20 2022-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WO2022225092A1 (ko) 2021-04-20 2022-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CN113143049A (zh) * 2021-04-30 2021-07-23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具有摄像功能的烤制烹饪设备
EP4174384A1 (en) * 2021-10-28 2023-05-03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WO2023113145A1 (ko) * 2021-12-17 2023-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WO2024053908A1 (ko) * 2022-09-07 202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4053907A1 (ko) * 2022-09-07 202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WO2024053906A1 (ko) * 2022-09-07 202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WO2024090750A1 (ko) * 2022-10-24 2024-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5015B1 (ko) 2024-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88862B (zh) 烤箱
KR20180025787A (ko) 오븐
EP1544547B1 (en) Electric oven with door cooling structure
KR102656201B1 (ko) 조리기기
US7348527B2 (en) Microwave oven having a door ventilation system
EP3309463B1 (en) Oven
US11274833B2 (en) Oven
US7629561B2 (en) Electric oven with hood having opening/closing device to open and close an exhaust passage
US20090008375A1 (en) Double Arrangement of Domestic Appliances
US20190234618A1 (en) Domestic appliance with an illumination device and a cooling channel
KR10123319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20090242541A1 (en) Electric oven and door thereof
KR20190124584A (ko) 오븐
US20230003392A1 (en) Cooking apparatus
KR100402578B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20180028856A (ko) 도어 및 이를 갖는 오븐
KR20060125295A (ko) 오븐
KR20230006358A (ko) 조리 기기
US20240133559A1 (en) Cooking appliance
KR20240057938A (ko) 조리 기기
US20240077209A1 (en) Cooking appliance
KR20230092658A (ko) 조리 기기
KR20220144538A (ko) 조리기기
KR20210083041A (ko) 오븐
KR100938203B1 (ko) 벽걸이형 전자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