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5283A -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5283A
KR20180025283A KR1020170110732A KR20170110732A KR20180025283A KR 20180025283 A KR20180025283 A KR 20180025283A KR 1020170110732 A KR1020170110732 A KR 1020170110732A KR 20170110732 A KR20170110732 A KR 20170110732A KR 20180025283 A KR20180025283 A KR 20180025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urrent block
unit
coding
scanning 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4418B1 (ko
Inventor
이배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180025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8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relating to sub-band structure, e.g. hierarchical level, directional tree, e.g. low-high [LH], high-low [HL], high-high [H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9Scanning of coding units, e.g. zig-zag scan of transform coefficients or flexible macroblock ordering [FM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9Adaptive subdivision aspects, e.g. subdivision of a picture into rectangular or non-rectangular coding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Selec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transforms or standards, e.g. selection between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and sub-band transform or selection between H.263 and H.264
    • H04N19/122Selection of transform size, e.g. 8x8 or 2x4x8 DCT; Selection of sub-band transforms of varying structure or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2Sampling, masking or truncation of coding units, e.g. adaptive resampling, frame skipping, frame interpolation or high-frequency transform coefficient mas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04N19/147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according to rate distortion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slice, e.g. a line of blocks or a group of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set of transform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colour or a chrominance compon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scalable video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04N19/463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by compressing encoding parameters befor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6Tree coding, e.g. quad-tre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은, 현재 블록에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복호화하는 단계, 상기 정보가 상기 현재 블록에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존재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스캐닝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스캐닝 순서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에 포함된 변환 계수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HD(High Definition) 영상 및 UHD(Ultra High Definition) 영상과 같은 고해상도, 고품질의 영상에 대한 수요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증가하고 있다. 영상 데이터가 고해상도, 고품질이 될수록 기존의 영상 데이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데이터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기존의 유무선 광대역 회선과 같은 매체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기존의 저장 매체를 이용해 저장하는 경우, 전송 비용과 저장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영상 데이터가 고해상도, 고품질화 됨에 따라 발생하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효율의 영상 압축 기술들이 활용될 수 있다.
영상 압축 기술로 현재 픽쳐의 이전 또는 이후 픽쳐로부터 현재 픽쳐에 포함된 화소값을 예측하는 화면 간 예측 기술, 현재 픽쳐 내의 화소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픽쳐에 포함된 화소값을 예측하는 화면 내 예측 기술, 출현 빈도가 높은 값에 짧은 부호를 할당하고 출현 빈도가 낮은 값에 긴 부호를 할당하는 엔트로피 부호화 기술 등 다양한 기술이 존재하고 이러한 영상 압축 기술을 이용해 영상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압축하여 전송 또는 저장할 수 있다.
한편, 고해상도 영상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과 함께, 새로운 영상 서비스로서 입체 영상 컨텐츠에 대한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고해상도 및 초고해상도의 입체 영상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비디오 압축 기술에 대하여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복호화함에 있어서, 부호화/복호화 대상 블록에 대해 효율적으로 변환 계수를 부호화/복호화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복호화함에 있어서, 계층적으로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를 부호화/복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복호화함에 있어서, 스캐닝 순서 또는 스캐닝이 수행되는 기본 단위를 적응적으로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복호화 방법 및 장치는, 현재 블록에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복호화하고, 상기 정보가 상기 현재 블록에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존재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스캐닝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스캐닝 순서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에 포함된 변환 계수를 복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는, 현재 블록에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에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부호화하고, 상기 현재 블록에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스캐닝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스캐닝 순서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에 포함된 변환 계수를 정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현재 블록 내 소정의 서브 블록 단위로 부호화/복호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브 블록의 크기 또는 형태는, 상기 현재 블록의 크기 또는 형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소정의 단위 별로 부호화/복호화되고, 상기 소정의 단위는, 샘플의 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이 상기 소정 단위에 대응하는 샘플 수 보다 더 많은 수의 샘플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은 상기 소정 단위에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정보는,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해 부호화/복호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스캐닝 순서 후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현재 블록의 스캐닝 순서로 결정하되, 상기 복수의 스캐닝 순서 후보의 종류 또는 개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현재 블록의 크기 또는 형태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의 스캐닝 순서는, 상기 현재 블록을 포함하는 상위 블록의 스캐닝 순서와 동일한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상위 블록에 포함된 복수 블록들은 동일한 스캐닝 순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양상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호화/복호화 대상 블록에 대해 효율적으로 변환 계수를 부호화/복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계층적으로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를 부호화/복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캐닝 순서 또는 스캐닝이 수행되는 기본 단위를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트리 구조(tree structure)에 기반하여 코딩 블록을 계층적으로 분할하는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이 허용되는 파티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특정 형태의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만이 허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바이너리 트리 분할 허용 횟수와 관련된 정보가 부호화/복호화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코딩 블록에 적용될 수 있는 파티션 모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잔차 샘플을 획득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변환 계수 레벨 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소정 단위에 기초하여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가 복호화되는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각 스캐닝 순서에 따른, 변환 계수의 복호화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현재 블록의 스캐닝 순서에 따른 서브 블록 간의 스캐닝 순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현재 블록의 형태에 따른, 변환 계수 기본 블록의 스캐닝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픽쳐 분할부(110), 예측부(120, 125), 변환부(130), 양자화부(135), 재정렬부(160), 엔트로피 부호화부(165), 역양자화부(140), 역변환부(145), 필터부(150) 및 메모리(15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난 각 구성부들은 영상 부호화 장치에서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포함한 것으로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일부의 구성 요소는 본 발명에서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고 단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택적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 요소를 제외한 본 발명의 본질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구성부만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선택적 구성 요소를 제외한 필수 구성 요소만을 포함한 구조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픽쳐 분할부(110)는 입력된 픽쳐를 적어도 하나의 처리 단위로 분할할 수 있다. 이때, 처리 단위는 예측 단위(Prediction Unit: PU)일 수도 있고, 변환 단위(Transform Unit: TU)일 수도 있으며, 부호화 단위(Coding Unit: CU)일 수도 있다. 픽쳐 분할부(110)에서는 하나의 픽쳐에 대해 복수의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의 조합으로 분할하고 소정의 기준(예를 들어, 비용 함수)으로 하나의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 조합을 선택하여 픽쳐를 부호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픽쳐는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픽쳐에서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기 위해서는 쿼드 트리 구조(Quad Tree Structure)와 같은 재귀적인 트리 구조를 사용할 수 있는데 하나의 영상 또는 최대 크기 부호화 단위(largest coding unit)를 루트로 하여 다른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부호화 유닛은 분할된 부호화 단위의 개수만큼의 자식 노드를 가지고 분할될 수 있다. 일정한 제한에 따라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부호화 단위는 리프 노드가 된다. 즉, 하나의 코딩 유닛에 대하여 정방형 분할만이 가능하다고 가정하는 경우, 하나의 부호화 단위는 최대 4개의 다른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부호화 단위는 부호화를 수행하는 단위의 의미로 사용할 수도 있고,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위의 의미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예측 단위는 하나의 부호화 단위 내에서 동일한 크기의 적어도 하나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등의 형태를 가지고 분할된 것일 수도 있고, 하나의 부호화 단위 내에서 분할된 예측 단위 중 어느 하나의 예측 단위가 다른 하나의 예측 단위와 상이한 형태 및/또는 크기를 가지도록 분할된 것일 수도 있다.
부호화 단위를 기초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는 예측 단위를 생성시 최소 부호화 단위가 아닌 경우, 복수의 예측 단위 NxN 으로 분할하지 않고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예측부(120, 125)는 인터 예측을 수행하는 인터 예측부(120)와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는 인트라 예측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예측 단위에 대해 인터 예측을 사용할 것인지 또는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각 예측 방법에 따른 구체적인 정보(예컨대, 인트라 예측 모드, 모션 벡터, 참조 픽쳐 등)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예측이 수행되는 처리 단위와 예측 방법 및 구체적인 내용이 정해지는 처리 단위는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예측의 방법과 예측 모드 등은 예측 단위로 결정되고, 예측의 수행은 변환 단위로 수행될 수도 있다. 생성된 예측 블록과 원본 블록 사이의 잔차값(잔차 블록)은 변환부(13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예측을 위해 사용한 예측 모드 정보, 모션 벡터 정보 등은 잔차값과 함께 엔트로피 부호화부(165)에서 부호화되어 복호화기에 전달될 수 있다. 특정한 부호화 모드를 사용할 경우, 예측부(120, 125)를 통해 예측 블록을 생성하지 않고, 원본 블록을 그대로 부호화하여 복호화부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터 예측부(120)는 현재 픽쳐의 이전 픽쳐 또는 이후 픽쳐 중 적어도 하나의 픽쳐의 정보를 기초로 예측 단위를 예측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현재 픽쳐 내의 부호화가 완료된 일부 영역의 정보를 기초로 예측 단위를 예측할 수도 있다. 인터 예측부(120)는 참조 픽쳐 보간부, 모션 예측부, 움직임 보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참조 픽쳐 보간부에서는 메모리(155)로부터 참조 픽쳐 정보를 제공받고 참조 픽쳐에서 정수 화소 이하의 화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휘도 화소의 경우, 1/4 화소 단위로 정수 화소 이하의 화소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필터 계수를 달리하는 DCT 기반의 8탭 보간 필터(DCT-based Interpolation Filter)가 사용될 수 있다. 색차 신호의 경우 1/8 화소 단위로 정수 화소 이하의 화소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필터 계수를 달리하는 DCT 기반의 4탭 보간 필터(DCT-based Interpolation Filter)가 사용될 수 있다.
모션 예측부는 참조 픽쳐 보간부에 의해 보간된 참조 픽쳐를 기초로 모션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모션 벡터를 산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FBMA(Full search-based Block Matching Algorithm), TSS(Three Step Search), NTS(New Three-Step Search Algorithm)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모션 벡터는 보간된 화소를 기초로 1/2 또는 1/4 화소 단위의 모션 벡터값을 가질 수 있다. 모션 예측부에서는 모션 예측 방법을 다르게 하여 현재 예측 단위를 예측할 수 있다. 모션 예측 방법으로 스킵(Skip) 방법, 머지(Merge) 방법, AMVP(Advanced Motion Vector Prediction) 방법, 인트라 블록 카피(Intra Block Copy)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인트라 예측부(125)는 현재 픽쳐 내의 화소 정보인 현재 블록 주변의 참조 픽셀 정보를 기초로 예측 단위를 생성할 수 있다. 현재 예측 단위의 주변 블록이 인터 예측을 수행한 블록이어서, 참조 픽셀이 인터 예측을 수행한 픽셀일 경우, 인터 예측을 수행한 블록에 포함되는 참조 픽셀을 주변의 인트라 예측을 수행한 블록의 참조 픽셀 정보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참조 픽셀이 가용하지 않는 경우, 가용하지 않은 참조 픽셀 정보를 가용한 참조 픽셀 중 적어도 하나의 참조 픽셀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에서 예측 모드는 참조 픽셀 정보를 예측 방향에 따라 사용하는 방향성 예측 모드와 예측을 수행시 방향성 정보를 사용하지 않는 비방향성 모드를 가질 수 있다. 휘도 정보를 예측하기 위한 모드와 색차 정보를 예측하기 위한 모드가 상이할 수 있고, 색차 정보를 예측하기 위해 휘도 정보를 예측하기 위해 사용된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또는 예측된 휘도 신호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때 예측 단위의 크기와 변환 단위의 크기가 동일할 경우, 예측 단위의 좌측에 존재하는 픽셀, 좌측 상단에 존재하는 픽셀, 상단에 존재하는 픽셀을 기초로 예측 단위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때 예측 단위의 크기와 변환 단위의 크기가 상이할 경우, 변환 단위를 기초로 한 참조 픽셀을 이용하여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소 부호화 단위에 대해서만 NxN 분할을 사용하는 인트라 예측을 사용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 방법은 예측 모드에 따라 참조 화소에 AIS(Adaptive Intra Smoothing) 필터를 적용한 후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참조 화소에 적용되는 AIS 필터의 종류는 상이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현재 예측 단위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현재 예측 단위의 주변에 존재하는 예측 단위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부터 예측할 수 있다. 주변 예측 단위로부터 예측된 모드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예측 단위의 예측 모드를 예측하는 경우, 현재 예측 단위와 주변 예측 단위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동일하면 소정의 플래그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예측 단위와 주변 예측 단위의 예측 모드가 동일하다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만약 현재 예측 단위와 주변 예측 단위의 예측 모드가 상이하면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하여 현재 블록의 예측 모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또한, 예측부(120, 125)에서 생성된 예측 단위를 기초로 예측을 수행한 예측 단위와 예측 단위의 원본 블록과 차이값인 잔차값(Residual) 정보를 포함하는 잔차 블록이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잔차 블록은 변환부(130)로 입력될 수 있다.
변환부(130)에서는 원본 블록과 예측부(120, 125)를 통해 생성된 예측 단위의 잔차값(residual)정보를 포함한 잔차 블록을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DST(Discrete Sine Transform), KLT와 같은 변환 방법을 사용하여 변환시킬 수 있다. 잔차 블록을 변환하기 위해 DCT를 적용할지, DST를 적용할지 또는 KLT를 적용할지는 잔차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 예측 단위의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기초로 결정할 수 있다.
양자화부(135)는 변환부(130)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값들을 양자화할 수 있다. 블록에 따라 또는 영상의 중요도에 따라 양자화 계수는 변할 수 있다. 양자화부(135)에서 산출된 값은 역양자화부(140)와 재정렬부(160)에 제공될 수 있다.
재정렬부(160)는 양자화된 잔차값에 대해 계수값의 재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재정렬부(160)는 계수 스캐닝(Coefficient Scanning) 방법을 통해 2차원의 블록 형태 계수를 1차원의 벡터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정렬부(160)에서는 지그-재그 스캔(Zig-Zag Scan)방법을 이용하여 DC 계수부터 고주파수 영역의 계수까지 스캔하여 1차원 벡터 형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변환 단위의 크기 및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지그-재그 스캔 대신 2차원의 블록 형태 계수를 열 방향으로 스캔하는 수직 스캔, 2차원의 블록 형태 계수를 행 방향으로 스캔하는 수평 스캔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변환 단위의 크기 및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지그-재그 스캔, 수직 방향 스캔 및 수평 방향 스캔 중 어떠한 스캔 방법이 사용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165)는 재정렬부(160)에 의해 산출된 값들을 기초로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는 예를 들어, 지수 골롬(Exponential Golomb), CAVLC(Context-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CABAC(Context-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과 같은 다양한 부호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165)는 재정렬부(160) 및 예측부(120, 125)로부터 부호화 단위의 잔차값 계수 정보 및 블록 타입 정보, 예측 모드 정보, 분할 단위 정보, 예측 단위 정보 및 전송 단위 정보, 모션 벡터 정보, 참조 프레임 정보, 블록의 보간 정보, 필터링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165)에서는 재정렬부(160)에서 입력된 부호화 단위의 계수값을 엔트로피 부호화할 수 있다.
*역양자화부(140) 및 역변환부(145)에서는 양자화부(135)에서 양자화된 값들을 역양자화하고 변환부(130)에서 변환된 값들을 역변환한다. 역양자화부(140) 및 역변환부(145)에서 생성된 잔차값(Residual)은 예측부(120, 125)에 포함된 움직임 추정부, 움직임 보상부 및 인트라 예측부를 통해서 예측된 예측 단위와 합쳐져 복원 블록(Reconstructed Block)을 생성할 수 있다.
필터부(150)는 디블록킹 필터, 오프셋 보정부, ALF(Adaptive Loop Filter)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는 복원된 픽쳐에서 블록간의 경계로 인해 생긴 블록 왜곡을 제거할 수 있다. 디블록킹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블록에 포함된 몇 개의 열 또는 행에 포함된 픽셀을 기초로 현재 블록에 디블록킹 필터 적용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블록에 디블록킹 필터를 적용하는 경우 필요한 디블록킹 필터링 강도에 따라 강한 필터(Strong Filter) 또는 약한 필터(Weak Filter)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디블록킹 필터를 적용함에 있어 수직 필터링 및 수평 필터링 수행시 수평 방향 필터링 및 수직 방향 필터링이 병행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오프셋 보정부는 디블록킹을 수행한 영상에 대해 픽셀 단위로 원본 영상과의 오프셋을 보정할 수 있다. 특정 픽쳐에 대한 오프셋 보정을 수행하기 위해 영상에 포함된 픽셀을 일정한 수의 영역으로 구분한 후 오프셋을 수행할 영역을 결정하고 해당 영역에 오프셋을 적용하는 방법 또는 각 픽셀의 에지 정보를 고려하여 오프셋을 적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ALF(Adaptive Loop Filtering)는 필터링한 복원 영상과 원래의 영상을 비교한 값을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영상에 포함된 픽셀을 소정의 그룹으로 나눈 후 해당 그룹에 적용될 하나의 필터를 결정하여 그룹마다 차별적으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ALF를 적용할지 여부에 관련된 정보는 휘도 신호는 부호화 단위(Coding Unit, CU) 별로 전송될 수 있고, 각각의 블록에 따라 적용될 ALF 필터의 모양 및 필터 계수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적용 대상 블록의 특성에 상관없이 동일한 형태(고정된 형태)의 ALF 필터가 적용될 수도 있다.
메모리(155)는 필터부(150)를 통해 산출된 복원 블록 또는 픽쳐를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복원 블록 또는 픽쳐는 인터 예측을 수행 시 예측부(120, 125)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기(200)는 엔트로피 복호화부(210), 재정렬부(215), 역양자화부(220), 역변환부(225), 예측부(230, 235), 필터부(240), 메모리(245)가 포함될 수 있다.
영상 부호화기에서 영상 비트스트림이 입력된 경우, 입력된 비트스트림은 영상 부호화기와 반대의 절차로 복호화될 수 있다.
엔트로피 복호화부(210)는 영상 부호화기의 엔트로피 부호화부에서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한 것과 반대의 절차로 엔트로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부호화기에서 수행된 방법에 대응하여 지수 골롬(Exponential Golomb), CAVLC(Context-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CABAC(Context-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과 같은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엔트로피 복호화부(210)에서는 부호화기에서 수행된 인트라 예측 및 인터 예측에 관련된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재정렬부(215)는 엔트로피 복호화부(210)에서 엔트로피 복호화된 비트스트림을 부호화부에서 재정렬한 방법을 기초로 재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1차원 벡터 형태로 표현된 계수들을 다시 2차원의 블록 형태의 계수로 복원하여 재정렬할 수 있다. 재정렬부(215)에서는 부호화부에서 수행된 계수 스캐닝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고 해당 부호화부에서 수행된 스캐닝 순서에 기초하여 역으로 스캐닝하는 방법을 통해 재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역양자화부(220)는 부호화기에서 제공된 양자화 파라미터와 재정렬된 블록의 계수값을 기초로 역양자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역변환부(225)는 영상 부호화기에서 수행한 양자화 결과에 대해 변환부에서 수행한 변환 즉, DCT, DST, 및 KLT에 대해 역변환 즉, 역 DCT, 역 DST 및 역 KLT를 수행할 수 있다. 역변환은 영상 부호화기에서 결정된 전송 단위를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기의 역변환부(225)에서는 예측 방법, 현재 블록의 크기 및 예측 방향 등 복수의 정보에 따라 변환 기법(예를 들어, DCT, DST, KLT)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측부(230, 235)는 엔트로피 복호화부(210)에서 제공된 예측 블록 생성 관련 정보와 메모리(245)에서 제공된 이전에 복호화된 블록 또는 픽쳐 정보를 기초로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 부호화기에서의 동작과 동일하게 인트라 예측을 수행시 예측 단위의 크기와 변환 단위의 크기가 동일할 경우, 예측 단위의 좌측에 존재하는 픽셀, 좌측 상단에 존재하는 픽셀, 상단에 존재하는 픽셀을 기초로 예측 단위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지만, 인트라 예측을 수행시 예측 단위의 크기와 변환 단위의 크기가 상이할 경우, 변환 단위를 기초로 한 참조 픽셀을 이용하여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소 부호화 단위에 대해서만 NxN 분할을 사용하는 인트라 예측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측부(230, 235)는 예측 단위 판별부, 인터 예측부 및 인트라 예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측 단위 판별부는 엔트로피 복호화부(210)에서 입력되는 예측 단위 정보, 인트라 예측 방법의 예측 모드 정보, 인터 예측 방법의 모션 예측 관련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현재 부호화 단위에서 예측 단위를 구분하고, 예측 단위가 인터 예측을 수행하는지 아니면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인터 예측부(230)는 영상 부호화기에서 제공된 현재 예측 단위의 인터 예측에 필요한 정보를 이용해 현재 예측 단위가 포함된 현재 픽쳐의 이전 픽쳐 또는 이후 픽쳐 중 적어도 하나의 픽쳐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현재 예측 단위에 대한 인터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현재 예측 단위가 포함된 현재 픽쳐 내에서 기-복원된 일부 영역의 정보를 기초로 인터 예측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인터 예측을 수행하기 위해 부호화 단위를 기준으로 해당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의 모션 예측 방법이 스킵 모드(Skip Mode), 머지 모드(Merge 모드), AMVP 모드(AMVP Mode), 인트라 블록 카피 모드 중 어떠한 방법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부(235)는 현재 픽쳐 내의 화소 정보를 기초로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측 단위가 인트라 예측을 수행한 예측 단위인 경우, 영상 부호화기에서 제공된 예측 단위의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기초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부(235)에는 AIS(Adaptive Intra Smoothing) 필터, 참조 화소 보간부, DC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AIS 필터는 현재 블록의 참조 화소에 필터링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써 현재 예측 단위의 예측 모드에 따라 필터의 적용 여부를 결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기에서 제공된 예측 단위의 예측 모드 및 AIS 필터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참조 화소에 AIS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현재 블록의 예측 모드가 AIS 필터링을 수행하지 않는 모드일 경우, AIS 필터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참조 화소 보간부는 예측 단위의 예측 모드가 참조 화소를 보간한 화소값을 기초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는 예측 단위일 경우, 참조 화소를 보간하여 정수값 이하의 화소 단위의 참조 화소를 생성할 수 있다. 현재 예측 단위의 예측 모드가 참조 화소를 보간하지 않고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예측 모드일 경우 참조 화소는 보간되지 않을 수 있다. DC 필터는 현재 블록의 예측 모드가 DC 모드일 경우 필터링을 통해서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복원된 블록 또는 픽쳐는 필터부(240)로 제공될 수 있다. 필터부(240)는 디블록킹 필터, 오프셋 보정부, ALF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기로부터 해당 블록 또는 픽쳐에 디블록킹 필터를 적용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및 디블록킹 필터를 적용하였을 경우, 강한 필터를 적용하였는지 또는 약한 필터를 적용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영상 복호화기의 디블록킹 필터에서는 영상 부호화기에서 제공된 디블록킹 필터 관련 정보를 제공받고 영상 복호화기에서 해당 블록에 대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오프셋 보정부는 부호화시 영상에 적용된 오프셋 보정의 종류 및 오프셋 값 정보 등을 기초로 복원된 영상에 오프셋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ALF는 부호화기로부터 제공된 ALF 적용 여부 정보, ALF 계수 정보 등을 기초로 부호화 단위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ALF 정보는 특정한 파라메터 셋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메모리(245)는 복원된 픽쳐 또는 블록을 저장하여 참조 픽쳐 또는 참조 블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또한 복원된 픽쳐를 출력부로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코딩 유닛(Coding Unit)을 부호화 단위라는 용어로 사용하지만, 부호화뿐만 아니라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위가 될 수도 있다.
또한, 현재 블록은, 부호화/복호화 대상 블록을 나타내는 것으로, 부호화/복호화 단계에 따라, 코딩 트리 블록(또는 코딩 트리 유닛), 부호화 블록(또는 부호화 유닛), 변환 블록(또는 변환 유닛) 또는 예측 블록(또는 예측 유닛) 등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하나의 픽쳐는 정방형 또는 비정방형의 기본 블록으로 분할되어 부호화/복호화될 수 있다. 이때, 기본 블록은, 코딩 트리 유닛(Coding Tree Unit)이라 호칭될 수 있다. 코딩 트리 유닛은, 시퀀스 또는 슬라이스에서 허용하는 가장 큰 크기의 부호화 유닛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코딩 트리 유닛이 정방형 또는 비정방형인지 여부 또는 코딩 트리 유닛의 크기와 관련한 정보는 시퀀스 파라미터 셋트, 픽처 파라미터 셋트 또는 슬라이스 헤더 등을 통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 코딩 트리 유닛은 더 작은 크기의 파티션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때, 코딩 트리 유닛을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파티션을 뎁스 1이라 할 경우, 뎁스 1인 파티션을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파티션은 뎁스 2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코딩 트리 유닛 내 뎁스 k인 파티션을 분할함으로써 생성된 파티션은 뎁스 k+1을 갖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코딩 트리 유닛이 분할됨에 따라 생성된 임의 크기의 파티션을 코딩 유닛이라 정의할 수 있다. 코딩 유닛은 재귀적으로 분할되거나, 예측, 양자화, 변환 또는 인루프 필터링 등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일 예로, 코딩 유닛이 분할됨에 따라 생성된 임의 크기의 파티션은 코딩 유닛으로 정의되거나, 예측, 양자화, 변환 또는 인루프 필터링 등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 단위인 변환 유닛 또는 예측 유닛으로 정의될 수 있다.
코딩 트리 유닛 또는 코딩 유닛의 파티셔닝은, 수직선(Vertical Line) 또는 수평선(Horizontal Line)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코딩 트리 유닛 또는 코딩 유닛을 파티셔닝하는 수직선 또는 수평선의 개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예로, 하나의 수직선 또는 하나의 수평선을 이용하여, 코딩 트리 유닛 또는 코딩 유닛을 2개의 파티션으로 분할하거나, 두개의 수직선 또는 두개의 수평선을 이용하여, 코딩 트리 유닛 또는 코딩 유닛을 3개의 파티션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수직선 및 하나의 수평선을 이용하여, 코딩 트리 유닛 또는 코딩 유닛을 길이 및 너비가 1/2 인 4개의 파티션으로 분할할 수 있다.
코딩 트리 유닛 또는 코딩 유닛을 적어도 하나의 수직선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선을 이용하여 복수의 파티션으로 분할하는 경우, 파티션들은 균일한 크기를 갖거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어느 하나의 파티션이 나머지 파티션과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후술되는 실시예들에서는, 코딩 트리 유닛 또는 코딩 유닛이 쿼드 트리 또는 바이너리 트리 구조로 분할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더 많은 수의 수직선 또는 더 많은 수의 수평선을 이용한 코딩 트리 유닛 또는 코딩 유닛의 분할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트리 구조(tree structure)에 기반하여 코딩 블록을 계층적으로 분할하는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입력 영상 신호는 소정의 블록 단위로 복호화되며, 이와 같이 입력 영상 신호를 복호화하기 위한 기본 단위를 코딩 블록이라 한다. 코딩 블록은 인트라/인터 예측, 변환, 양자화를 수행하는 단위가 될 수 있다. 또한, 코딩 블록 단위로 예측 모드(예컨대, 화면 내 예측 모드 또는 화면 간 예측 모드)가 결정되고, 코딩 블록에 포함된 예측 블록들은, 결정된 예측 모드를 공유할 수 있다. 코딩 블록은 8x8 내지 64x64 범위에 속하는 임의의 크기를 가진 정방형 또는 비정방형 블록일 수 있고, 128x128, 256x256 또는 그 이상의 크기를 가진 정방형 또는 비정방형 블록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딩 블록은 쿼드 트리(quad tree)와 바이너리 트리(binary tree)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계층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여기서, 쿼드 트리 기반의 분할은 2Nx2N 코딩 블록이 4개의 NxN 코딩 블록으로 분할되는 방식을,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은 하나의 코딩 블록이 2개의 코딩 블록으로 분할되는 방식을 각각 의미할 수 있다.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이 수행되었다 하더라도, 하위 뎁스에서는 정방형인 코딩 블록이 존재할 수 있다.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은 대칭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비대칭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바이너리 트리 기반으로 분할된 코딩 블록은 정방형 블록일 수도 있고, 직사각형과 같은 비정방형 블록일 수도 있다. 일 예로,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이 허용되는 파티션 형태는 도 4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대칭형(symmetric)인 2NxN (수평 방향 비 정방 코딩 유닛) 또는 Nx2N (수직 방향 비정방 코딩 유닛), 비대칭형(asymmetric)인 nLx2N, nRx2N, 2NxnU 또는 2Nxn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은, 대칭형 또는 비대칭 형태의 파티션 중 어느 하나만 제한적으로 허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코딩 트리 유닛을, 정방형 블록으로 구성하는 것은 쿼드 트리 CU 파티셔닝에 해당하고, 코딩 트리 유닛을, 대칭형인 비정방형 블록으로 구성하는 것은 이진 트리 파티셔닝에 해당할 수 있다. 코딩 트리 유닛을 정방형 블록과 대칭형 비정방형 블록으로 구성하는 것은 쿼드 및 바이너리 트리 CU 파티셔닝에 해당할 수 있다.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은 쿼드 트리 기반의 분할이 더 이상 수행되지 않는 코딩 블록에 대해서 수행될 수 있다. 바이너리 트리 기반으로 분할된 코딩 블록에 대해서는 쿼드 트리 기반의 분할이 더 이상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하위 뎁스의 분할은 상위 뎁스의 분할 형태에 종속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2개 이상의 뎁스에서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이 허용된 경우, 하위 뎁스에서는 상위 뎁스의 바이너리 트리 분할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만이 허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위 뎁스에서 2NxN 형태로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이 수행된 경우, 하위 뎁스에서도 2NxN 형태의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상위 뎁스에서 Nx2N 형태로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이 수행된 경우, 하위 뎁스에서도 Nx2N 형태의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이 허용될 수 있다.
반대로, 하위 뎁스에서, 상위 뎁스의 바이너리 트리 분할 형태와 상이한 형태의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만을 허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시퀀스, 슬라이스, 코딩 트리 유닛 또는 코딩 유닛에 대해, 특정 형태의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만이 사용되도록 제한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코딩 트리 유닛에 대해 2NxN 또는 Nx2N 형태의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만이 허용되도록 제한할 수 있다. 허용되는 파티션 형태는 부호화기 또는 복호화기에 기 정의되어 있을 수도 있고, 허용되는 파티션 형태 또는 허용되지 않는 파티션 형태에 관한 정보를 부호화하여 비트스트림을 통해 시그널링할 수도 있다.
도 5는 특정 형태의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만이 허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는 Nx2N 형태의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만이 허용되도록 제한된 예를 나타내고, 도 5의 (b)는 2NxN 형태의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만이 허용되도록 제한된 예를 나타낸다. 상기 쿼드 트리 또는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적응적 분할을 구현하기 위해 쿼드 트리 기반의 분할을 지시하는 정보, 쿼드 트리 기반의 분할이 허용되는 코딩 블록의 크기/깊이에 관한 정보,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을 지시하는 정보,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이 허용되는 코딩 블록의 크기/깊이에 대한 정보,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이 허용되지 않는 코딩 블록의 크기/깊이에 대한 정보 또는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이 세로 방향인지 또는 가로 방향인지에 관한 정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코딩 트리 유닛 또는 소정의 코딩 유닛에 대해, 바이너리 트리 분할이 허용되는 횟수, 바이너리 트리 분할이 허용되는 깊이 또는 바이너리 트리 분할이 허용된 뎁스의 개수 등이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코딩 트리 유닛 또는 코딩 유닛 단위로 부호화되어, 비트스트림을 통해 복호화기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비트스트림을 통해, 바이너리 트리 분할이 허용되는 최대 뎁스를 나타내는 신택스 'max_binary_depth_idx_minus1'가 비트스트림을 통해 부호화/복호화될 수 있다. 이 경우, max_binary_depth_idx_minus1+1이 바이너리 트리 분할이 허용되는 최대 뎁스를 가리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를 살펴보면, 도 6에서는, 뎁스 2인 코딩 유닛 및 뎁스 3인 코딩 유닛에 대해 바이너리 트리 분할이 수행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이에 따라, 코딩 트리 유닛 내 바이너리 트리 분할이 수행된 횟수(2회)를 나타내는 정보, 코딩 트리 유닛 내 바이너리 트리 분할이 허용된 최대 뎁스(뎁스 3)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코딩 트리 유닛 내 바이너리 트리 분할이 허용된 뎁스의 개수(2개, 뎁스 2 및 뎁스 3)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비트스트림을 통해 부호화/복호화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바이너리 트리 분할이 허용되는 횟수, 바이너리 트리 분할이 허용되는 깊이 또는 바이너리 트리 분할이 허용된 뎁스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는 시퀀스, 슬라이스별로 획득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정보는, 시퀀스, 픽처 또는 슬라이스 단위로 부호화되어 비트스트림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슬라이스 및 제2 슬라이스의, 바이너리 트리 분할 횟수, 바이너리 트리 분할이 허용되는 최대 뎁스 또는 바이너리 트리 분할이 허용되는 뎁스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슬라이스에서는, 하나의 뎁스에서만 바이너리 트리 분할이 허용되는 반면, 제2 슬라이스에서는, 두개의 뎁스에서 바이너리 트리 분할이 허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슬라이스 또는 픽쳐의 시간레벨 식별자(TemporalID)에 따라 바이너리 트리 분할이 허용되는 횟수, 바이너리 트리 분할이 허용되는 깊이 또는 바이너리 트리 분할이 허용되는 뎁스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시간레벨 식별자(TemporalID)는, 시점(view), 공간(spatial), 시간(temporal) 또는 화질(quality)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케일러빌리티(Scalability)를 갖는 영상의 복수개의 레이어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깊이(split depth)가 k인 제1 코딩 블록 300은 쿼드 트리(quad tree)에 기반하여 복수의 제2 코딩 블록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코딩 블록 310 내지 340은 제1 코딩 블록의 너비와 높이의 절반 크기를 가진 정방형 블록이며, 제2 코딩 블록의 분할 깊이는 k+1로 증가될 수 있다.
분할 깊이가 k+1인 제2 코딩 블록 310은 분할 깊이가 k+2인 복수의 제3 코딩 블록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2 코딩 블록 310의 분할은 분할 방식에 따라 쿼트 트리 또는 바이너리 트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분할 방식은 쿼드 트리 기반으로의 분할을 지시하는 정보 또는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을 지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2 코딩 블록 310이 쿼트 트리 기반으로 분할되는 경우, 제2 코딩 블록 310은 제2 코딩 블록의 너비와 높이의 절반 크기를 가진 4개의 제3 코딩 블록 310a으로 분할되며, 제3 코딩 블록 310a의 분할 깊이는 k+2로 증가될 수 있다. 반면, 제2 코딩 블록 310이 바이너리 트리 기반으로 분할되는 경우, 제2 코딩 블록 310은 2개의 제3 코딩 블록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때, 2개의 제3 코딩 블록 각각은 제2 코딩 블록의 너비와 높이 중 어느 하나가 절반 크기인 비정방형 블록이며, 분할 깊이는 k+2로 증가될 수 있다. 제2 코딩 블록은 분할 방향에 따라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의 비정방형 블록으로 결정될 수 있고, 분할 방향은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이 세로 방향인지 또는 가로 방향인지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2 코딩 블록 310은 쿼드 트리 또는 바이너리 트리에 기반하여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말단 코딩 블록으로 결정될 수도 있고, 이 경우 해당 코딩 블록은 예측 블록 또는 변환 블록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제3 코딩 블록 310a은 제2 코딩 블록 310의 분할과 마찬가지로 말단 코딩 블록으로 결정되거나, 쿼드 트리 또는 바이너리 트리에 기반하여 추가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한편, 바이너리 트리 기반으로 분할된 제3 코딩 블록 310b은 추가적으로 바이너리 트리에 기반하여 세로 방향의 코딩 블록(310b-2) 또는 가로 방향의 코딩 블록(310b-3)으로 더 분할될 수도 있고, 해당 코딩 블록의 분할 깊이는 k+3으로 증가될 수 있다. 또는, 제3 코딩 블록 310b는 바이너리 트리에 기반하여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말단 코딩 블록(310b-1)으로 결정될 수 있고, 이 경우 해당 코딩 블록(310b-1)은 예측 블록 또는 변환 블록으로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분할 과정은 쿼드 트리 기반의 분할이 허용되는 코딩 블록의 크기/깊이에 관한 정보,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이 허용되는 코딩 블록의 크기/깊이에 대한 정보 또는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이 허용되지 않는 코딩 블록의 크기/깊이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한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코딩 블록이 가질 수 있는 크기는 소정 개수로 제한되거나, 소정 단위 내 코딩 블록의 크기는 고정된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일 예로, 시퀀스 내 코딩 블록의 크기 또는 픽처 내 코딩 블록의 크기는, 256x256, 128x128 또는 32x32로 제한될 수 있다. 시퀀스 또는 픽처 내 코딩 블록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가 시퀀스 헤더 또는 픽처 헤더를 통해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쿼드 트리 및 바이터리 트리에 기반한 분할 결과, 코딩 유닛은, 정방형 또는 임의 크기의 직사각형을 띨 수 있다.
코딩 블록은, 스킵 모드, 화면 내 예측, 화면 간 예측 또는 스킵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부호화된다. 코딩 블록이 결정되면, 코딩 블록의 예측 분할을 통해 예측 블록(Prediction Block)을 결정할 수 있다. 코딩 블록의 예측 분할은 코딩 블록의 분할 형태를 나타내는 파티션 모드(Part_mod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측 블록의 크기 또는 형태는 코딩 블록의 파티션 모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파티션 모드에 따라 결정되는 예측 블록의 크기는 코딩 블록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코딩 블록이 화면 간 예측으로 부호화되었을 때, 코딩 블록에 적용될 수 있는 파티션 모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코딩 블록이 화면 간 예측으로 부호화된 경우, 코딩 블록에는 도 7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8개의 파티션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코딩 블록이 화면 내 예측으로 부호화된 경우, 코딩 블록에는 파티션 모드 PART_2Nx2N 또는 PART_NxN 이 적용될 수 있다.
PART_NxN은 코딩 블록이 최소 크기를 갖는 경우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코딩 블록의 최소 크기는 부호화기 및 복호화기에서 기 정의된 것일 수 있다. 또는, 코딩 블록의 최소 크기에 관한 정보는 비트스트림을 통해 시그널링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코딩 블록의 최소 크기는 슬라이스 헤더를 통해 시그널링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스별로 코딩 블록의 최소 크기가 정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예측 블록의 크기는 64x64 부터 4x4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단, 코딩 블록이 화면 간 예측으로 부호화된 경우, 움직임 보상을 수행할 때, 메모리 대역폭(memory bandwidth)을 줄이기 위해, 예측 블록이 4x4 크기를 갖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부호화기는, 소정의 블록 단위로 잔차 샘플(또는 잔차 신호)에 대한 변환 또는 양자화를 수행하고, 이에 따라 잔차 계수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블록 단위는, 변환 또는 양자화가 수행되는 단위로, 컬러 성분별로 동일한 크기를 갖거나, 컬러 성분별로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휘도 성분(Luma) 및 각 색차 성분(Cb, Cr) 별로 상이한 블록 단위로 잔차 계수가 생성될 수 있다.
변환 또는 양자화가 수행되는 블록 단위를 변환 블록이라 호칭할 수 있고, 변환 블록은 정방형 또는 비정방형일 수 있다. 일 예로, 변환 블록은, 4x4, 8x, 16x16, 32x32 또는 64x64 등의 정방형이거나, 4x8, 8x4, 8x16, 16x8, 16x32, 32x16, 32x64, 64x32, 4x16, 4x32, 또는 8x32 등의 비정방형일 수 있다.
복호화기는 부호화기로부터 수신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잔차 계수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잔차 신호에 역양자화 또는 역변환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잔차 샘플(또는 잔차 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다. 잔차 계수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잔차 신호에 역양자화 또는 역변환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잔차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잔차 계수 복호화'라 정의할 수 있다.
이하, 잔차 계수 복호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잔차 샘플을 획득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복호화기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현재 블록 내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복호화하고(S810),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의 잔차 계수를 복호화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820).
상기 정보는, 현재 블록 내 변환 계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coded_block_flag, CBF)를 포함할 수 있다.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는 소정 단위의 블록 내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가 0인 것은, 소정 단위의 블록 내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가 1인 것은, 소정 단위의 블록 내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함을 나타낸다.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는 휘도 성분 및 색차 성분 각각에 대해 부호화되어 시그널링될 수 있다.
상기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는, 블록 단위(예컨대, 변환 블록, 부호화 블록 또는 코딩 트리 블록 등)로 시그널링되는 지시자(예컨대, 'rqt_root_cbf') 또는 소정 크기의 서브 블록 단위로 시그널링되는 지시자(예컨대, 'coded_sub_block_fla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rqt_root_cbf는 현재 블록에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복호화기는 상기 rqt_root_cbf의 값에 따라, 잔차 계수를 복호화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rqt_root_cbf가 0인 경우, 현재 블록(예컨대, 현재 변환 블록)에 대한 변환 계수 복호화가 수행되지 않고, 현재 블록 내 잔차 샘플의 값이 모두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반면, rqt_root_cbf가 1인 경우, 현재 블록 내 변환 계수 복호화가 수행될 수 있다.
coded_sub_block_flag는 소정 크기의 서브 블록 내 0이 아닌 변한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coded_sub_block_flag는 4x4 크기의 서브 블록 단위로 부호화되어 시그널링될 수 있다. coded_sub_block_flag가 0인 것은, 소정 크기의 서브 블록 내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하고, coded_sub_block_flag가 1인 것은, 소정 크기의 서브 블록 내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함을 의미할 수 있다.
rqt_root_cbf 및 coded_sub_block_flag는 계층적으로 부호화되어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일 예로, rqt_root_cbf가 0인 경우, coded_sub_block_flag의 부호화는 생략될 수 있다. 반면, rqt_root_cbf가 1이고, 현재 블록의 크기가 서브 블록보다 큰 경우, 현재 블록 내 소정 크기의 서브 블록 단위로 coded_sub_block_flag가 부호화되어 시그널링될 수 있다.
변환 블록 및 코딩 블록 간에도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를 계층적으로 부호화하여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개의 변환 블록 중 0이 아닌 변환 계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환 블록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1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를 부호화/복호화하고, 상기 제1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의 값에 따라, 각 변환 블록 별 제2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의 부호화/복호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변환 블록을 포함하는 상위 블록의 크기 또는 형태 중 적어도 하나는 기 정의된 값을 갖거나, 비트스트림을 통해 복호화되는 정보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코딩 트리 블록의 분할 형태에 기초하여 상위 블록의 크기 또는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복수의 비정방형 변환 블록을 포함하는 비정방형 코딩 블록 또는 정방형 코딩 블록이 복수 비정방형 변환 블록에 대한 상위 블록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는 2개 이상의 계층을 통해 계층적으로 부호화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를 계층적으로 부호화하는 방법을, 계층적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Hierarchical Coded Block Flag, HCBF) 유도 방법이라 호칭할 수 있다.
현재 블록에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적어도 하나 포함되어 있는 경우, 변환 계수가 0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변환 계수 레벨 지시자를 이용하여, 변환 계수를 복호화할 수 있다. 변환 계수 레벨 지시자는 1비트의 플래그(예컨대, 'significant_flag')로, 현재 블록 내 각 변환 계수가 0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일 예로, significant_flag가 1인 것은, 변환 계수가 0이 아님을 나타내고, significant_flag가 0인 것은, 변환계수가 0임을 나타낸다.
현재 블록 내 각 변환 계수들이 0인지 여부를 나타낸 것을, 변환 계수 레벨 맵(Significant Map)이라 호칭할 수 있다. 부호화기는 변환 계수 레벨 맵에 따라,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 및 각 변환 계수에 대한 변환 계수 레벨 지시자를 부호화하고, 0이 아닌 변환 계수의 절대값 및 부호(Sign)를 부호화할 수 있다. 복호화기는,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 및 변환 계수 레벨 지시자에 따라 변환 계수 레벨 맵을 복호화하고, 0이 아닌 변환 계수의 절대값 및 부호를 복호화할 수 있다.
도 9는 변환 계수 레벨 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에 표기된 값들은, 변환 계수 레벨 지시자의 값을 나타내고, coded_sub_block_flag는 4x4 단위의 서브 블록에 대해 0이 아닌 변환계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부호화/복호화되는 소정 크기의 서브 블록을 변환 계수 기본 블록이라 호칭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9에서, coded_sub_block_flag가 부호화되는 4x4 크기의 블록을 변환 계수 기본 블록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때, 변환 계수 기본 블록의 형태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는 코딩 블록 또는 변환 블록의 형태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현재 블록이 정방형인 경우, 현재 블록의 변환 계수 기본 블록은 정방형이고, 현재 블록이 비정방형인 경우, 현재 블록의 변환 계수 기본 블록 역시 비정방형일 수 있다. 예컨대, 현재 블록이 Nx2N 또는 Nx4N 등의 비정방형인 경우, 현재 블록의 변환 계수 기본 블록은 2x8일 수 있고, 현재 블록이 2NxN 또는 4NxN 등의 비정방형인 경우, 현재 블록의 변환 계수 기본 블록은, 8x2일 수 있다.
쿼드 트리 분할 및 바이너리 트리 분할 결과, 코딩 트리 블록 또는 부호화 블록에는 2x8, 8x2, 4x16 또는 16x4 등의 변환 블록이 포함될 수 있다. 이처럼, 쿼드 트리 분할 이외에 바이너리 트리 분할을 추가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쿼드 트리 분할만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코딩 트리 블록 내 더 많은 개수의 변환 블록 또는 더 다양한 형태의 변환 블록이 포함될 것이다. 변환 블록의 개수가 증가 또는 형태가 다변화함에 따라, 모든 변환 블록 별로 변환 계수 보호화 지시자를 시그널링하는 것은, 부호화 효율을 감소시킬 염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변환 블록 단위로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를 부호화하는 대신, 소정 단위로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를 부호화/복호화하거나, 현재 블록의 크기를 소정 단위와 비교하여, 현재 블록에 대한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의 부호화/복호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단위는, 블록의 크기, 블록의 형태 또는 샘플의 개수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
부호화기는 소정 단위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예컨대, 변환 계수 부호화 단위 지시자)를 부호화하여 시그널링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블록의 크기, 형태 또는 샘플의 개수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는, 비디오 시퀀스 레벨, 픽처 파라미터 세트, 슬라이스 헤더 또는 블록 레벨 중 적어도 하나에서 부호화되어 시그널링될 수 있다.
소정 단위가 블록의 크기 또는 샘플의 개수와 관련한 것이고, 현재 블록이 소정 단위보다 작은 경우, 현재 블록에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는 소정 단위로 부호화되어 시그널링되는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반면, 현재 블록이 소정 단위와 동일하거나 큰 경우,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는 현재 블록에 대해 부호화되어 시그널링될 수 있다.
도 10은 소정 단위에 기초하여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가 복호화되는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소정 단위가 256개의 샘플을 나타내는 경우,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는 256개 이상의 샘플을 포함하는 블록을 기준으로 부호화되어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 16x16 또는 8x32 크기의 블록에 대해,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가 복호화될 수 있다.
256개보다 더 많은 개수의 샘플을 포함하는 블록에 대해서도,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가 부호화되어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 16x32 또는 32x32 크기의 블록에 대해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가 복호화될 수 있다.
소정 단위가 1024개의 샘플을 나타내는 경우,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는 1024개 이상의 샘플을 포함하는 블록을 기준으로 부호화되어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 16x16 크기의 4개의 정방형 블록을 포함하는 상위 블록에 대해 하나의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가 복호화되고, 2개의 8x32 크기의 비정방형 블록 및 16x32 크기의 비정방형 블록을 포함하는 상위 블록에 대해 하나의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가 복호화될 수 있다.
1024개 이상의 샘플을 포함하는 블록에 대해서는 개별적으로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가 부호화되어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 32x32 크기의 블록에 대해서는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가 복호화될 수 있다.
소정 단위는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가 부호화되어 시그널링되는 최대 단위를 지시할 수도 있다. 즉, 소정 단위에 기초하여,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가 부호화되는 블록의 최대 크기 또는 블록의 형태 등이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변환 계수 부호화 단위 지시자가 가리키는 샘플의 개수와 변환 블록에 포함된 샘플의 개수를 비교하여, 변환 계수가 시그널링되는 단위를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변환 계수 부호화 단위 지시자가 가리키는 샘플의 개수가 변환 블록에 포함된 샘플의 개수보다 큰 경우, 해당 변환 블록에 대해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를 부호화하여 시그널링할 수 있다. 반면, 변환 계수 부호화 단위 지시자가 가리키는 샘플의 개수가 변환 블록에 포함된 샘플의 개수보다 작은 경우, 변환 블록을 소정 단위에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별로 변환 계수 부호화 지시자를 부호화하여 시그널링할 수 있다.
현재 블록 내 0이 아닌 잔차 계수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현재 블록에 대한 스캐닝 순서를 결정하고(S830), 결정된 스캐닝 순서에 따라, 각 변환 계수의 절대값 또는 부호 등을 복호화할 수 있다(S840).
복호화기는 복수의 스캐닝 순서 후보 중 현재 블록의 스캐닝 순서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스캐닝 순서 후보는, 대각 스캔(Diagonal Scan), 수평 스캔(Horizontal Scan) 또는 수직 스캔(Vertical Sc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1은 각 스캐닝 순서에 따른, 변환 계수의 복호화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현재 블록의 스캐닝 순서는, 현재 블록(예컨대, 변환 블록 또는 부호화 블록)의 크기, 형태, 부호화 모드 또는 인트라 예측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블록의 크기는, 블록의 너비, 높이 또는 넓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일 예로, 현재 블록의 크기를 기 정의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현재 블록의 스캐닝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정의된 임계값은, 최대값 또는 최소값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된 4x4 또는 8x8 크기의 변환 블록 또는 코딩 블록에 대해서는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수직 스캔, 수평 방향 또는 대각 스캔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트라 예측 모드가 수평 방향인 경우에는 수직 스캔을 사용하고, 인트라 예측 모드가 수직 방향인 경우에는 수평 스캔을 사용하며, 그 이외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대해서는 대각 스캔을 사용할 수 있다. 반면, 인터 모드로 부호화되었거나, 인트라 모드로 부호화된 16x16 이상 크기의 변환 블록 또는 코딩 블록에 대해서는 대각 스캔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현재 블록의 크기, 형태, 부호화 모드 또는 인트라 예측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이 이용할 수 있는 스캐닝 순서 후보의 개수 또는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열거된 조건에 따라, 현재 블록이 대각 스캔, 수평 스캔 또는 수직 스캔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일 예로, 현재 블록이 비정방 형태인 경우, 너비 및 높이비에 따라, 현재 블록이 이용할 수 있는 스캐닝 순서가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블록이 높이가 너비보다 더 긴 형태(예컨대, Nx2N 또는 Nx4N 등)의 코딩 블록 또는 변환 블록인 경우, 대각 스캔 또는 수평 스캔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반면, 현재 블록이 너비가 높이보다 더 긴 형태(예컨대, 2NxN 또는 4NxN)의 코딩 블록 또는 변환 블록인 경우, 대각 스캔 또는 수직 스캔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현재 블록은 소정의 서브 블록 단위로 분할되고, 서브 블록 단위로 변환 계수 스캐닝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소정 개수의 픽셀을 포함하는 변환 계수 기본 블록 단위로 변환 계수 스캐닝이 수행될 수 있다.
현재 블록이 비정방형인 경우에도, 현재 블록은 서브 블록 단위로 분할되어, 서브 블록 단위로 스캐닝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서브 블록의 크기는, 고정된 값을 가질 수도 있고, 현재 블록(예컨대, 코딩 블록 또는 변환 블록)의 크기 또는 형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가변적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예컨대, 앞서 변환 계수 기본 블록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서브 블록은 고정된 개수의 픽셀(예컨대, 16개)을 포함하되, 그 크기는 코딩 블록 또는 변환 블록의 형태에 따라, 4x4, 2x8 또는 8x2 등으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서브 블록의 분할 형태는 코딩 블록 또는 변환 블록과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 또는, 서브 블록의 분할 형태는 코딩 블록의 분할 형태와 독립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서브 블록은, 분할 형태에 따라, 정방형 또는 비정방형일 수 있다.
각 서브 블록들의 스캐닝 순서는, 현재 블록의 스캐닝 순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2는 현재 블록의 스캐닝 순서에 따른 서브 블록 간의 스캐닝 순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예에서, 현재 블록의 스캐닝 순서가 대각 스캔인 경우, 서브 블록 간 스캐닝 순서 또는 서브 블록 내 스캐닝 순서 중 적어도 하나는 대각 스캔을 따를 수 있다. 반면, 현재 블록의 스캐닝 순서가 수평 스캔인 경우, 서브 블록 간 스캐닝 순서 또는 서브 블록 내 변환 계수의 스캐닝 순서 중 적어도 하나는 수평 스캔을 따를 수 있다. 또는, 현재 블록의 스캐닝 순서가 수직 스캔인 경우, 서브 블록 간 스캐닝 순서 또는 서브 블록 내 스캐닝 순서 중 적어도 하나는 수직 스캔을 따를 수 있다.
또는, 각 서브 블록들의 스캐닝 순서는 코딩 블록 또는 현재 블록의 형태 또는 크기에 따라 적응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현재 블록의 크기 또는 형태에 따라, 변환 계수 기본 블록들의 스캐닝 순서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3은 현재 블록의 형태에 따른, 변환 계수 기본 블록의 스캐닝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서, 각 서브 블록에 표기된 숫자들은, 스캐닝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현재 블록이 높이가 너비보다 더 긴 형태의 코딩 블록 또는 변환 블록인 경우, 도 13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대각 스캔을 사용하여 변환 계수 기본 블록을 순차적으로 스캐닝할 수 있다.
반면, 현재 블록이 너비가 높이보다 더 긴 형태의 코딩 블록 또는 변환 블록인 경우, 도 13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수평 스캔을 사용하여 변환 계수 기본 블록을 순차적으로 스캐닝할 수 있다.
즉, 현재 블록의 형태에 따라, 변환 계수 기본 블록을 스캐닝 순서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3에 정의된, 현재 블록의 형태 및 변환 계수 기본 블록의 스캐닝 순서 사이의 관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도 13에 정의된 것과 달리, 현재 블록이 높이가 너비보다 더 긴 형태의 코딩 블록 또는 변환 블록인 경우, 수직 스캔을 사용하여 변환 계수 기본 블록을 순차적으로 스캐닝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르면, 블록 그룹(또는 블록 단위) 단위로 스캐닝을 수행하거나, 블록 그룹 단위로 스캐닝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 그룹은 스캐닝이 수행되는 블록 단위를 나타내거나, 동일한 스캐닝 타입을 공유하는 변환 블록들의 그룹을 나타낼 수 있다. 블록 그룹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환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정방형 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비정방형 변환 블록을 블록 그룹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블록 그룹의 크기 또는 범위가 결정되면, 블록 그룹을 스캐닝을 위한 단위로 다시 분할하여, 블록 그룹에 대한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스캐닝 단위는 블록 그룹에 포함된 변환 블록들과 동일한 크기 또는 형태일 수 있다. 또는, 스캐닝 단위의 크기 또는 형태 중 적어도 하나는, 블록 그룹에 포함된 변환 블록들과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스캐닝 단위는 정방 형태로 제한되는 반면, 블록 그룹에는 비정방형 변환 블록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블록 그룹의 크기 또는 범위가 결정되면, 블록 그룹에 대한 스캐닝 순서를 결정하고, 블록 그룹 내 모든 변환 블록들에 대해 결정된 스캐닝 순서를 적용할 수 있다.
블록 그룹은 정방 또는 비정방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블록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비정방 형태의 변환 블록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정방 형태의 변환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 그룹의 크기는 고정된 값을 가질수도 있고, 가변적으로 결정되는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일 예로, 블록 그룹의 크기는 64x64, 32x32 또는 16x16 등 고정된 크기를 갖거나, 비트스트림을 통해 전송되는 블록 그룹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현재 블록의 잔차 계수가 획득되면, 현재 블록의 잔차 계수에 대해 역양자화를 수행할 수 있다(S850).
현재 블록의 역양자화된 잔차 계수에 역변환을 스킵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860). 구체적으로, 복호화기는 현재 블록의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역변환을 스킵(skip)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현재 블록의 수직 또는 수평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역변환을 적용하기로 결정된 경우, 현재 블록의 역양자화된 잔차 계수를 역변환함으로써, 현재 블록의 잔차 샘플을 획득할 수 있다(S870). 여기서, 역변환은, DCT, DST 또는 KL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현재 블록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 모두에 역변환이 스킵된 경우, 현재 블록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역변환이 수행되지 않는다. 이 경우, 역양자화된 잔차 계수를 기 설정된 값으로 스케일링하여, 현재 블록의 잔차 샘플을 획득할 수 있다(S880).
수평 방향으로의 역변환을 생략하는 것은, 수평 방향으로는 역변환을 수행하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는 역변환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수평 방향으로는 스케일링이 수행될 수 있다.
수직 방향의 역변환을 생략하는 것은, 수직 방향으로는 역변환을 수행하지 않고, 수평 방향으로는 역변환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수직 방향으로는 스케일링이 수행될 수 있다.
현재 블록의 분할 형태에 따라, 현재 블록에 대해 역변환 스킵 기법을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현재 블록이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을 통해 생성된 것일 경우, 현재 블록에 대해 역변환 스킵 기법을 이용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블록이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을 통해 생성된 것일 경우, 현재 블록을 역변환 함으로써, 현재 블록의 잔차 샘플을 획득할 수 있다. 아울러, 현재 블록이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을 통해 생성된 것일 경우, 역변환이 스킵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예컨대, transform_skip_flag)의 부호화/복호화가 생략될 수 있다.
또는, 현재 블록이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을 통해 생성된 경우,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서만 역변환 스킵 기법이 허용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역변환 스킵 기법이 제한되는 방향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복호화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거나, 현재 블록의 크기, 현재 블록의 형태 또는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현재 블록이 너비가 높이보다 큰 비정방형 블록일 경우, 수직 방향에 대해서만 역변환 스킵 기법을 허용하고, 수평 방향에 대해서는 역변환 스킵 기법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즉, 현재 블록이 2NxN인 경우, 현재 블록의 수평 방향으로는 역변환이 수행되고, 수직 방향으로는 선택적으로 역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반면, 현재 블록의 높이가 너비보다 큰 비정방형 블록일 경우, 수평 방향에 대해서만 역변환 스킵 기법을 허용하고, 수직 방향에 대해서는 역변환 스킵 기법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즉, 현재 블록이 Nx2N인 경우, 현재 블록의 수직 방향으로는 역변환이 수행되고, 수평 방향으로는 선택적으로 역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의 예와 반대로, 현재 블록이 너비가 높이보다 큰 비정방형 블록일 경우, 수평 방향에 대해서만 역변환 스킵 기법을 허용하고, 현재 블록이 높이가 너비보다 큰 비정방형 블록일 경우, 수직 방향에 대해서만 역변환 스킵 기법을 허용할 수도 있다.
수평 방향에 대한 역변환을 스킵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 또는 수직 방향에 대한 역변환을 스킵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비트스트림을 통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일 예로, 수평 방향에 대한 역변환을 스킵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1비트의 플래그로, 'hor_transform_skip_flag'이고, 수직 방향에 대한 역변환을 스킵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1비트의 플래그로, 'ver_transform_skip_flag'일 수 있다. 부호화기는, 현재 블록의 형태에 따라, 'hor_transform_skip_flag' 또는 'ver_transform_skip_flag' 중 적어도 하나를 부호화할 수 있다. 또한, 복호화기는 'hor_transform_skip_flag' 또는 'ver_transform_skip_flag' 중 적어도 이용하여,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의 역변환이 스킵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현재 블록의 분할 형태에 따라, 어느 하나의 방향에 대해서는, 역변환이 생략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일 예로, 현재 블록이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을 통해 생성된 경우,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의 역변환을 생략할 수 있다. 즉, 현재 블록이 바이너리 트리 기반의 분할로 생성된 것이라면, 현재 블록의 역변환이 스킵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예컨대, transform_skip_flag, hor_transform_skip_flag, ver_transform_skip_flag)의 부호화/복호화 없이도, 현재 블록에 대해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역변환을 스킵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일련의 단계 또는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으나, 이는 발명의 시계열적 순서를 한정한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동시에 수행되거나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블록도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예를 들어, 유닛, 모듈 등) 각각은 하드웨어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복수의 구성요소가 결합하여 하나의 하드웨어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Claims (15)

  1. 현재 블록에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복호화하는 단계;
    상기 정보가 상기 현재 블록에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존재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스캐닝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스캐닝 순서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에 포함된 변환 계수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현재 블록 내 소정의 서브 블록 단위로 시그널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블록의 크기 또는 형태는, 상기 현재 블록의 크기 또는 형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소정의 단위 별로 시그널링되고, 상기 소정의 단위는, 샘플의 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이 상기 소정 단위에 대응하는 샘플 수 보다 더 많은 수의 샘플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은 상기 소정 단위에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정보는,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해 시그널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스캐닝 순서 후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현재 블록의 스캐닝 순서로 결정하되,
    상기 복수의 스캐닝 순서 후보의 종류 또는 개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현재 블록의 크기 또는 형태에 따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의 스캐닝 순서는, 상기 현재 블록을 포함하는 상위 블록의 스캐닝 순서와 동일한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상위 블록에 포함된 복수 블록들은 동일한 스캐닝 순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8. 현재 블록에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에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부호화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에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스캐닝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스캐닝 순서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에 포함된 변환 계수를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현재 블록 내 소정의 서브 블록 단위로 부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블록의 크기 또는 형태는, 상기 현재 블록의 크기 또는 형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소정의 단위 별로 부호화되고, 상기 소정의 단위는, 샘플의 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이 상기 소정 단위에 대응하는 샘플 수 보다 더 많은 수의 샘플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은 상기 소정 단위에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정보는,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해 부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13. 제8 항에 있어서,
    복수의 스캐닝 순서 후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현재 블록의 스캐닝 순서로 결정하되,
    상기 복수의 스캐닝 순서 후보의 종류 또는 개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현재 블록의 크기 또는 형태에 따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14.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의 스캐닝 순서는, 상기 현재 블록을 포함하는 상위 블록의 스캐닝 순서와 동일한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상위 블록에 포함된 복수 블록들은 동일한 스캐닝 순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15. 현재 블록에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복호화하고, 상기 정보가 상기 현재 블록에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존재함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스캐닝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스캐닝 순서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에 포함된 변환 계수를 복호화하는 엔트로피 복호화부를 포함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
KR1020170110732A 2016-08-31 2017-08-31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4244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006 2016-08-31
KR20160112126 2016-08-31
KR1020160112005 2016-08-31
KR20160112005 2016-08-31
KR20160112006 2016-08-31
KR1020160112126 2016-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283A true KR20180025283A (ko) 2018-03-08
KR102424418B1 KR102424418B1 (ko) 2022-07-22

Family

ID=61301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732A KR102424418B1 (ko) 2016-08-31 2017-08-31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1159812B2 (ko)
EP (2) EP3509301B1 (ko)
KR (1) KR102424418B1 (ko)
CN (5) CN117412036A (ko)
ES (1) ES2711209R1 (ko)
WO (1) WO20180440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86358B2 (en) * 2016-07-05 2021-04-20 K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signal
CN117412036A (zh) * 2016-08-31 2024-01-16 株式会社Kt 用于处理视频信号的方法和设备
US11095892B2 (en) * 2016-09-20 2021-08-17 K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signal
CA3060201C (en) * 2017-04-13 2023-09-19 Lg Electronics Inc.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CN111602397B (zh) * 2018-01-17 2024-01-23 英迪股份有限公司 使用各种变换技术的视频编码方法和装置
CN116600141A (zh) * 2018-03-27 2023-08-15 株式会社Kt 对图像进行解码或编码的方法以及图像数据的传送方法
KR102527184B1 (ko) * 2018-03-29 2023-05-03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변환 계수 블록 코딩
JP2022016726A (ja) * 2018-11-16 2022-01-25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7197720B2 (ja) 2019-02-24 2022-12-27 北京字節跳動網絡技術有限公司 パレットモードの使用の指示の独立した符号化
US11032543B2 (en) * 2019-03-22 2021-06-08 Tencent America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ding
KR20220032520A (ko) 2019-07-20 2022-03-15 베이징 바이트댄스 네트워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팔레트 모드 사용 지시의 조건 종속적인 코딩
CN117221536A (zh) 2019-07-23 2023-12-12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调色板模式编解码的模式确定
CN114208188A (zh) * 2019-07-29 2022-03-18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调色板模式编解码的扫描顺序改进
CN114365492B (zh) * 2019-08-24 2023-12-15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残差系数编解码
CN115004704A (zh) * 2019-11-21 2022-09-02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变换与系数信令的方法和装置
CN114513663A (zh) * 2020-11-17 2022-05-1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视频解码方法、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6994A (ko) * 2011-06-29 2014-02-10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인트라 코딩 동안에 스캔 코딩 패턴을 이용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49098A (ko) * 2011-09-12 2014-04-2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비디오 코딩에서 비정방형 변환 유닛들 및 예측 유닛들
KR20140120909A (ko) * 2012-01-13 2014-10-1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비디오 코딩에서 변환 계수 데이터를 코딩하기 위한 콘텍스트들의 결정
KR20150003320A (ko) * 2012-04-16 2015-01-08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계수 그룹들 및 계수 스캔들을 위한 계수 코딩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32126C (zh) * 2002-09-30 2005-12-14 三星电子株式会社 图像编码方法和装置以及图像解码方法和装置
US9635368B2 (en) * 2009-06-07 2017-04-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a video signal
US9549190B2 (en) 2009-10-01 2017-01-17 Sk Telecom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image using variable-size macroblocks
EP2485490B1 (en) 2009-10-01 2015-09-30 SK Telecom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image using split layer
CN105007491B (zh) 2009-10-01 2018-02-06 Sk电信有限公司 视频解码装置
CN104935934B (zh) 2009-10-21 2018-04-03 Sk电信有限公司 视频编码装置
JP5688136B2 (ja) 2010-04-23 2015-03-25 エム アンド ケ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映像を符号化する装置及び方法
KR101341993B1 (ko) * 2010-10-06 2013-12-1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고정밀 필터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9042440B2 (en) 2010-12-03 2015-05-26 Qualcomm Incorporated Coding the position of a last significant coefficient within a video block based on a scanning order for the block in video coding
US8976861B2 (en) 2010-12-03 2015-03-10 Qualcomm Incorporated Separately coding the position of a last significant coefficient of a video block in video coding
US20120163472A1 (en) 2010-12-22 2012-06-28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ly coding scanning order information for a video block in video coding
US9049444B2 (en) 2010-12-22 2015-06-02 Qualcomm Incorporated Mode dependent scanning of coefficients of a block of video data
US20120163456A1 (en) 2010-12-22 2012-06-28 Qualcomm Incorporated Using a most probable scanning order to efficiently code scanning order information for a video block in video coding
KR20120100836A (ko) 2011-03-03 2012-09-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변환 계수 스캔 방법 및 그 장치
WO2012118358A2 (ko) 2011-03-03 2012-09-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변환 계수 스캔 방법 및 그 장치
US9826238B2 (en) 2011-06-30 2017-11-21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syntax elements for transform coefficients for sub-sets of a leaf-level coding unit
CN103748877B (zh) 2011-08-17 2017-05-10 联发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帧内预测方法和装置
GB2551088B (en) 2011-10-17 2018-09-19 K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image
RU2719340C2 (ru) 2011-10-18 2020-04-17 Кт Корпорейшен Способ декодирования видеосигнала
GB2509671C (en) * 2011-10-19 2019-09-25 Kt Corp Encoding and decoding video using skip transform mode
MX338988B (es) 2011-10-24 2016-05-09 Infobridge Pte Ltd Aparato para la decodificacion de imagenes.
WO2013062194A1 (ko) 2011-10-24 2013-05-02 (주)인터앱 복원 블록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3107027A1 (en) * 2012-01-19 2013-07-25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s and apparatuses of cbf coding in hevc
CN104782125B (zh) * 2012-11-08 2019-03-15 佳能株式会社 对编码单位的变换单位编码和解码的方法、设备和系统
EP3217663A4 (en) * 2014-11-06 2018-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video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EP3270593A4 (en) * 2015-03-13 2018-11-0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cessing video signal and device for same
KR20180039578A (ko) * 2015-09-08 2018-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엔트로피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7057953A1 (ko) * 2015-09-30 2017-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코딩 시스템에서 레지듀얼 신호 코딩 방법 및 장치
CN113810712A (zh) * 2016-04-29 2021-12-17 世宗大学校产学协力团 用于对图像信号进行编码和解码的方法和装置
KR20180007680A (ko) * 2016-07-13 2018-0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CN117412036A (zh) * 2016-08-31 2024-01-16 株式会社Kt 用于处理视频信号的方法和设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6994A (ko) * 2011-06-29 2014-02-10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인트라 코딩 동안에 스캔 코딩 패턴을 이용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49098A (ko) * 2011-09-12 2014-04-2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비디오 코딩에서 비정방형 변환 유닛들 및 예측 유닛들
KR20140120909A (ko) * 2012-01-13 2014-10-1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비디오 코딩에서 변환 계수 데이터를 코딩하기 위한 콘텍스트들의 결정
KR20150003320A (ko) * 2012-04-16 2015-01-08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계수 그룹들 및 계수 스캔들을 위한 계수 코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412035A (zh) 2024-01-16
US20190215524A1 (en) 2019-07-11
EP3509301C0 (en) 2023-08-09
US20230291923A1 (en) 2023-09-14
US20220014770A1 (en) 2022-01-13
CN109661819B (zh) 2023-11-07
ES2711209A2 (es) 2019-04-30
CN117412036A (zh) 2024-01-16
US11159812B2 (en) 2021-10-26
KR102424418B1 (ko) 2022-07-22
EP3509301A4 (en) 2020-04-22
EP4236321A3 (en) 2023-09-13
WO2018044087A1 (ko) 2018-03-08
CN117425005A (zh) 2024-01-19
CN117412037A (zh) 2024-01-16
EP3509301A1 (en) 2019-07-10
CN109661819A (zh) 2019-04-19
EP4236321A2 (en) 2023-08-30
US11700389B2 (en) 2023-07-11
ES2711209A8 (es) 2020-07-01
EP3509301B1 (en) 2023-08-09
ES2711209R1 (es)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20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signal
KR102424418B1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JP7198268B2 (ja) 画像復号化方法、画像符号化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録媒体
KR102424419B1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1903131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signal
KR20180037600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80126383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80126382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80001479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80065953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80005121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471209B1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80005119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80059367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80015599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80005120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90044533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80126384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80025285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80037599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90139785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80031614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80056396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80103732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80098159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