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657A -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무전 통신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무전 통신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4657A
KR20180024657A KR1020160111301A KR20160111301A KR20180024657A KR 20180024657 A KR20180024657 A KR 20180024657A KR 1020160111301 A KR1020160111301 A KR 1020160111301A KR 20160111301 A KR20160111301 A KR 20160111301A KR 20180024657 A KR20180024657 A KR 20180024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headset
information
radio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7543B1 (ko
Inventor
유형석
Original Assignee
유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형석 filed Critical 유형석
Priority to KR1020160111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543B1/ko
Priority to PCT/KR2017/009556 priority patent/WO2018044100A1/ko
Publication of KR20180024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08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 H04B1/086Portab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0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무전 통신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무선 헤드셋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와의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무선 헤드셋 중 설정된 소정의 동작모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무선 헤드셋을 포함하는 무전 대상을 결정하여 무전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무전 통신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무전 통신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ush To Talk Communication by using Wireless Headset}
본 실시예는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무전 통신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무전기 등과 같은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이어폰과 연결되어 전화 음성, 무전 등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어 이용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근거리 통신의 경우 특정 제품 또는 한정된 수의 단말기와 연결되어야 하며, 일정 거리 내에서만 무선 통신이 가능함으로 스포츠 분야와 같이 원거리에서 통신이 필요한 분야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원거리에서 무전 통신을 하기 위해 단말기에 무전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되어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단순히 무전기의 기능을 단말기에서 구현한 것으로써, 즉 단순히 무전기와 무전기 사이의 무전 통신을 단말기와 단말기 사이에서 무전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한다.
이러한 무전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단말기의 경우 원거리에 있는 대상에게 무전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나, 상대방도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를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특히, 스포츠 분야에서 감독(발신자)이 무전 메시지를 이용하여 선수(수신자)에게 지시를 하는 경우, 움직임이 많은 선수가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이러한 무전 시스템을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또한, 감독(발신자)은 한 명이고, 선수(수신자)는 여러 명인 스포츠 종목의 경우 감독이 선수를 선택하고 변경하기 매우 어려워 스포츠 분야에 무전 시스템을 적용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스포츠 분야에서 무전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이 필요로 한다.
본 실시예는 무선 헤드셋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와의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무선 헤드셋 중 설정된 소정의 동작모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무선 헤드셋을 포함하는 무전 대상을 결정하여 무전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무전 통신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무선 헤드셋으로부터 헤드셋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단말 식별정보 및 상기 헤드셋 정보를 기기 인증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기기 인증서버로부터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대한 연동 헤드셋 리스트를 획득하는 인증부; 무전 대상을 결정하기 위한 동작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연동 헤드셋 리스트에 근거하여 무전 후보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무전 후보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무전 대상 헤드셋을 포함하는 무전 대상을 결정하는 연동 제어부;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무전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무전 데이터를 상기 무전 대상으로 전송하는 무전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통신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무전통신장치가 무선 헤드셋을 이용하여 무전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무선 헤드셋으로부터 헤드셋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과정; 단말 식별정보 및 상기 헤드셋 정보를 기기 인증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기기 인증서버로부터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대한 연동 헤드셋 리스트를 획득하는 인증과정; 무전 대상을 결정하기 위한 동작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연동 헤드셋 리스트에 근거하여 무전 후보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무전 후보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무전 대상 헤드셋을 포함하는 무전 대상을 결정하는 연동 제어과정;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무전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무전 데이터를 상기 무전 대상으로 전송하는 무전 통신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무전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1 대 n의 무전 통신에서 효율적으로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스포츠 분야에서 선택된 스포츠 종목에 적합한 그룹을 설정하여 무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초기 접속시 단말기 및 무선 헤드셋 간의 인증을 통해 도청 및 해킹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전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전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전 통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드에서 무선 헤드셋의 연동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드에서 무선 헤드셋의 연동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3 모드에서 무선 헤드셋의 연동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스포츠 교육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시스템으로써, 송신 사용자(예: 교육자, 감독, 코치 등) 및 수신 사용자(훈련생, 선수, 학생, 교육생 등) 간의 무전 통신을 위한 시스템을 예를 들어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호 간의 무전 통신이 적용 가능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전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전통신 시스템은 단말기(110), 무선 헤드셋(120) 및 기기 인증서버(13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무전통신 시스템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무전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AP(Access Point), 근거리 통신, 통신 기지국 등을 이용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단말기(110)는 무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전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이며, AP, 근거리 통신, 통신 기지국 등을 이용하여 무선 헤드셋(120), 기기 인증서버(130) 등과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단말기(110)는 무선 헤드셋(120)과의 무전 통신을 위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무전 애플리케이션(112)을 구동할 수 있다. 이러한 무전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무전 애플리케이션은 단말기(110)가 스마트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다운로드된 후 인스톨된 애플리케이션을 말하며, 단말기(110)가 피쳐폰(Feature Phone)인 경우 통신사 서버를 통해 다운로드한 VM(Virtual Machine) 및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10)는 무전 애플리케이션(112)을 구동하여 무선 헤드셋(120)과의 무전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기(110)가 무전 통신을 위한 전자기기 예컨대, 무전통신장치(200)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무전 애플리케이션(112)는 단말기(11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전 통신을 위한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무선 헤드셋(120)과의 무전 통신을 위한 단말기(110)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무선 헤드셋(120)과의 초기 접속의 경우, 단말기(110)는 무선 헤드셋(120)으로부터 헤드셋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기(110)에 기 저장된 단말 식별정보와 헤드셋 정보를 기기 인증서버(130)로 전송한다. 여기서, 헤드셋 정보는 무선 헤드셋(120)을 식별하기 위한 시리얼 넘버, 기 설정 식별정보, 제조사 정보 등을 포함하며, 단말 식별정보는 발신 전화번호,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y), MIN(Mobile Identify Number), MDN(Mobile Diretory Numb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10)는 기기 인증서버(130)를 통해 단말기(110)와 무선 헤드셋(120) 사이의 인증을 처리하고, 기기 인증서버(130)로부터 연동 헤드셋 리스트를 획득하여 저장한다.
단말기(110)는 복수의 동작모드 중 하나의 동작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동작모드를 기반으로 무전 통신을 위한 무전 대상을 결정한다.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에 근거하여 무전 통신을 위한 복수의 동작모드 중 하나의 동작모드를 설정한다. 복수의 동작모드는 수동 동작모드, 헤드셋 기반 동작모드, 카테고리 기반 동작모드 등일 수 있다.
단말기(110)는 설정된 동작모드에 따라 연동 헤드셋 리스트에 근거하여 무전 후보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무전 후보 정보는 무전 통신이 가능한 무선 헤드셋(120) 각각에 대한 정보 또는 복수의 무선 헤드셋(120)을 포함하는 그룹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10)는 동작모드에 따라 생성된 무전 후보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기(110)와 무전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전 대상을 결정한다. 여기서, 단말기(110)는 무전 후보 정보에 근거하여 수동으로 무전 대상을 결정할 수 있으나, 기 설정된 임계값 또는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무전 통신을 위한 무전 대상을 결정할 수 있다.
단말기(110)에서 결정된 무전 대상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 헤드셋(120) 또는 복수의 무선 헤드셋(120)을 포함하는 소정의 그룹일 수 있다.
단말기(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무전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무전 데이터를 결정된 무전 대상으로 전송한다. 단말기(110)는 무전 데이터를 통신 기지국을 통해 무전 대상으로 전송하여 무전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무전 데이터를 무전 대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무선 헤드셋(120)은 무전 통신을 위해 단말기(110)와 연동하는 장치를 말한다. 무선 헤드셋(120)은 훈련생, 선수, 학생, 교육생 등의 사용자가 귀에 착용하여 무전 데이터에 대한 음성을 출력하는 장치로써, 방수 기능을 포함하며 스포츠 분야에서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헤드셋(120)은 헤드셋 정보를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여기서, 헤드셋 정보는 무선 헤드셋(120)을 식별하기 위한 시리얼 넘버, 기 설정 식별정보, 제조사 정보, 연동 요청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헤드셋(120)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 형태로 구현된다. 예컨대, 무선 헤드셋(120)은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위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헤드셋(120)은 센서를 통해 측정된 무선 헤드셋(120)의 위치정보, 이동 속도정보, 이동 방향정보 등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한편, 무선 헤드셋(120)은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부위에 신체 측정 센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헤드셋(120)은 신체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박수, 활동량, 체성분 등을 측정 및 분석하여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헤드셋(120)은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을 포함하고, 무선 헤드세(120)을 용이하게 착탈 및 휴대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귀에 밀착되는 이어폰부(미도시)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음파로 전해지는 소리의 진동은 귀속에 있는 고막으로 전달된다. 고막 속에 자리 잡고 있는 3개의 뼈(耳小骨)가 있는데, 고막의 진동은 이 뼈를 통하여 나사모양의 와우(蝸牛)라는 것에 전달된다. 와우에는 린바액이라는 액체가 차 있고 이 액체의 진동이 전기신호로 바뀌면서 청각신경에 전달이 된다. 이렇게 해서 사람의 뇌는 소리를 인식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120)은 골전도 방식을 이용하여 음성을 출력한다. 골전도(骨傳導) 방식이란 소리인식 메커니즘에서 진동이 고막과 이소골을 경유하는 과정을 생략한 것이다. 소리의 진동을 두개골을 통하여 직접 와우에 보냄으로써 고막이나 이소골에 이상이 있는 난청자라도, 와우나 청각신경이 정상이라면 골전도로 확실하게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이러한 원리를 응용한 스피커가 바로 골전도 스피커이며, 골전도 스피커는 케이스, 영구자석, 코일 및 탄성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무선 헤드셋(120)은 프레임 또는 몸체 중 일측에 전원을 ON / OFF할 수 있는 전원 버튼 및 음량을 조절하거나 통신 주파수 등을 변경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구비한다.
무선 헤드셋(120)은 단말기(110)로부터 무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전 데이터를 이어폰부(골전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무선 헤드셋(120)은 골전도 마이크(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헤드셋(120)은 골전도 마이크를 통해 단말기(110)로 음향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골전도 마이크는 사용자와 밀착되어 주변의 소음과 관계없이 사용자의 목소리만 송신 가능하도록 미세한 진동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음향 메시지를 생성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기기 인증서버(130)는 단말기(110)와 무선 헤드셋(120) 사이의 기기 인증을 수행한다.
기기 인증서버(130)는 단말기(110)로부터 단말 식별정보 및 헤드셋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단말 식별정보에 헤드셋 정보가 연동되도록 등록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에 대한 연동 헤드셋 리스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기기 인증서버(130)는 기존에 존재하는 단말 식별정보의 경우, 기 저장된 단말 식별정보에 신규로 무선 헤드셋(120)을 추가로 등록하며, 신규로 획득한 단말 식별정보인 경우, 신규로 단말 식별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단말 식별정보에 신규로 무선 헤드셋(120)을 추가로 등록할 수 있다.
즉, 기기 인증서버(130)는 단말기(110)의 단말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해당 단말기(110)와 연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헤드셋(120)을 등록하여 관리한다. 단말기(110)와 연동하는 무선 헤드셋(120)에 대한 연동 헤드셋 리스트는 기 설정된 주기로 갱신되어 단말기(11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전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전통신장치(200)는 통신부(210), 인증부(220), 연동 제어부(230), 무전통신 처리부(260) 및 음성 입력부(27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무전통신장치(2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무전통신장치(20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무전통신장치(200)는 무전 애플리케이션(112)을 포함하는 단말기(110)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헤드셋(120)과 무전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무전통신장치(200)는 단말기(110)에 탑재되어 단말기(110)의 하드웨어를 이용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무전통신장치(200)를 단말기(110)로 기재하며, 단말기(110)에 포함된 구성요소 각각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통신부(210)는 무선 헤드셋(120) 및 기기 인증서버(130)와 같은 외부기기와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통신부(210)는 단말기(110)와 무선 헤드셋(120)의 초기 접속 시 무선 헤드셋(120)으로부터 헤드셋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기(110)에 기 저장된 단말 식별정보와 헤드셋 정보를 기기 인증서버(130)로 전송한다. 여기서, 헤드셋 정보는 무선 헤드셋(120)을 식별하기 위한 시리얼 넘버, 기 설정 식별정보, 제조사 정보 등을 포함하며, 단말 식별정보는 발신 전화번호,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y), MIN(Mobile Identify Number), MDN(Mobile Diretory Numb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단말기(110) 및 무선 헤드셋(120) 간의 초기 인증이 완료된 경우, 무선 헤드셋(120)로부터 연동 요청신호를 수신하며 단말기(110)에서 무선 헤드셋(120)와의 무전 통신이 처리되도록 한다. 여기서, 연동 요청신호는 헤드셋 정보 내에 포함된 신호일 수 있다.
통신부(210)는 단말기(110)의 동작모드에 따라 무선 헤드셋(120)으로 상태 요청신호를 전송하거나, 무선 헤드셋(120)으로부터 상태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상태정보는 무선 헤드셋(120)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무선 헤드셋(120)의 위치정보, 이동 속도정보, 이동 방향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부(220)는 단말기(110)와 무선 헤드셋(120) 사이의 인증을 처리하고, 인증이 완료된 무선 헤드셋의 리스트를 저장 및 관리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인증부(220)는 무선 헤드셋(120)에 대한 헤드셋 정보를 기초로 인증 여부를 확인하고, 미인증 무선 헤드셋(120)인 경우 통신부(210)를 통해 단말 식별정보 및 헤드셋 정보를 기기 인증서버(130)로 전송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인증부(220)는 기기 인증서버(130)로부터 인증 등록이 완료된 무선 헤드셋(120)에 대한 연동 헤드셋 리스트를 저장 또는 갱신한다.
인증부(220)는 무선 헤드셋(120)에 대한 헤드셋 정보를 기초로 인증 여부를 확인하여, 기 인증된 무선 헤드셋(120)인 경우 기 저장된 연동 헤드셋 리스트를 연동 제어부(230)로 전송하여 무전 통신을 위한 대상이 결정되도록 한다.
연동 제어부(230)는 단말기(110)와 무선 헤드셋(120) 간 무전 통신을 위한 연동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연동 제어부(230)는 복수의 동작모드 중 하나의 동작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동작모드를 기반으로 무전 통신을 위한 무전 통신 대상을 결정한다. 여기서, 무전 통신 대상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 헤드셋(120) 또는 복수의 무선 헤드셋(120)을 포함하는 무전 대상 그룹일 수 있다.
연동 제어부(230)는 모드 설정부(240) 및 대상 결정부(250)를 포함하며, 이하, 연동 제어부(23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모드 설정부(24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에 근거하여 무전 통신을 위한 복수의 동작모드 중 하나의 동작모드를 설정한다. 모드 설정부(240)는 설정된 동작모드에 따라 연동 헤드셋 리스트에 근거하여 무전 후보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무전 후보 정보는 무전 통신이 가능한 무선 헤드셋(120) 각각에 대한 정보 또는 복수의 무선 헤드셋(120)을 포함하는 그룹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동작모드는 수동 동작모드, 헤드셋 기반 동작모드, 카테고리 기반 동작모드 등일 수 있다.
수동 동작모드로 설정된 경우, 모드 설정부(240)는 연동 헤드셋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무선 헤드셋(120) 각각을 선택할 수 있도록 리스트 또는 지도 형태를 갖는 무전 후보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수동 동작모드에서 모드 설정부(240)는 연동 헤드셋 리스트에 근거하여 인증 순서, 시리얼 넘버 순서, 초기 인증 위치(가맹점) 등에 따라 복수의 무선 헤드셋(120) 각각을 선택할 수 있는 무전 후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헤드셋 기반 동작모드로 설정된 경우, 모드 설정부(240)는 연동 헤드셋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무선 헤드셋(120)의 위치, 이동 속도, 이동 방향 등의 현재 상태에 대한 상태정보를 확인하고,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무선 헤드셋(120)을 클러스터링(Clustering)한 그룹정보를 포함하는 무전 후보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헤드셋 기반 동작모드에서 모드 설정부(240)는 소정의 위치값 또는 소정의 이동 속도 범위를 기준으로 클러스터링한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모드 설정부(240)는 헤드셋 기반 동작모드에서 무선 헤드셋(120)의 위치 또는 이동 속도만을 이용하여 그룹을 형성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헤드셋(120)을 착용하는 사용자의 선수 번호, 이전 훈련 결과 순번 등의 사용자 정보를 추가로 이용하여 그룹을 형성할 수도 있다.
카테고리 기반 동작모드로 설정된 경우, 모드 설정부(24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에 따라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선택된 카테고리에 기 설정된 규칙(Rule)에 따라 연동 헤드셋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무선 헤드셋(120)을 클러스터링(Clustering)한 그룹정보를 포함하는 무전 후보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카테고리는 스포츠 종목일 수 있으며, 예컨대, 수영, 골프, 축구, 야구, 승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테고리 기반 동작모드는 카테고리마다 기 설정된 규칙을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영 카테고리의 경우 선두 그룹, 중위 그룹, 하위 그룹 등으로 그룹을 형성할 수 있고, 축구 카테고리의 경우 공격 그룹, 미드필더 그룹, 수비 그룹 등으로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모드 설정부(240)는 사용자의 이용환경 또는 필요에 따라 수시로 동작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대상 결정부(250)는 모드 설정부(240)에서 생성된 무전 후보 정보에 근거하여 단말기(110)와 무전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전 대상을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대상 결정부(250)는 무전 후보 정보에 근거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무전 통신을 위한 무전 대상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무전 대상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 헤드셋(120) 또는 복수의 무선 헤드셋(120)을 포함하는 소정의 그룹일 수 있다. 이하, 대상 결정부(250)에서 동작모드에 따른 무전 후보 정보를 이용하여 무전 대상을 결정하는 동작을 동작모드 별로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수동 동작모드에서 생성된 무전 후보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대상 결정부(25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헤드셋(120) 각각을 별도로 표시하는 형태로 무전 후보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에 근거하여 선택된 무선 헤드셋(120) 각각을 무전 대상으로 결정한다.
헤드셋 기반 동작모드에서 생성된 무전 후보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대상 결정부(250)는 복수의 무선 헤드셋(120)의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형성된 그룹정보를 표시하는 형태로 무전 후보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에 근거하여 선택된 소정의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헤드셋(120)을 무전 대상으로 결정한다.
한편, 헤드셋 기반 동작모드에서 대상 결정부(25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을 통해 무전 대상을 결정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 설정된 상태 임계값을 기준으로 소정의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하는 그룹정보를 무전 대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카테고리 기반 동작모드에서 생성된 무전 후보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대상 결정부(250)는 선택된 카테고리의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형성된 그룹정보를 표시하는 형태로 무전 후보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에 근거하여 선택된 소정의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헤드셋(120)을 무전 대상으로 결정한다.
한편, 카테고리 기반 동작모드에서 대상 결정부(25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을 통해 무전 대상을 결정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카테고리별로 기 설정된 소정의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하는 그룹정보를 무전 대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무전통신 처리부(260)는 음성 데이터를 무전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무전 데이터를 무전 대상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음성 데이터는 음성 입력부(27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의미하며, 무전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전 대상은 대상 결정부(250)를 통해 결정된 무선 헤드셋(120) 또는 복수의 무선 헤드셋(120)을 포함하는 그룹을 의미한다.
무전통신 처리부(260)는 무전 데이터를 통신 기지국을 통해 무전 대상으로 전송하여 무전 통신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무전 데이터를 무전 대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무전통신 처리부(260)는 기 설정된 통신조건에 따라 통신 기지국 또는 근거리 통신을 변경 적용하여 무전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무전통신 처리부(260)는 통신 기지국을 통해 무전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기본적으로 사용하다가 무전 대상인 무선 헤드셋(120)이 단말기(110)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임계 거리 내에 존재하는 경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무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전통신 처리부(260)는 단말기(110)에서 무선 헤드셋(120)으로 무전 데이터를 전송하는 일방향 통신인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무전통신 처리부(260)는 무선 헤드셋(120)에 음성 입력 장치(예: 골전도 마이크 등)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무선 헤드셋(120)으로부터 음향 메시지(무전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음향 메시지는 단말기(110)에 구비된 음향 출력장치(미도시) 또는 단말기(110)와 연결된 외부 출력장치(미도시)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음성 입력부(270)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모듈로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무전통신 처리부(260)로 전송한다. 여기서, 음성 입력부(270)는 단말기(110)의 일측에 구비된 마이크일 수 있으며, 단말기(110)와 별도로 연결된 음성 입력장치(미도시)일 수도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전 통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말기(110) 및 무선 헤드셋(120) 간의 초기 접속인 경우 무전 통신을 위한 인증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말기(110)는 무선 헤드셋(120)에 대한 헤드셋 정보를 획득하고(S310), 단말기(110) 및 무선 헤드셋(120) 사이의 기기 인증을 위해 단말 식별정보 및 헤드셋 정보를 기기 인증서버(130)로 전송한다(S312).
기기 인증서버(130)는 단말 식별정보 및 헤드셋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110)에 무선 헤드셋(120)의 등록을 수행한다(S320). 기기 인증서버(130)는 기존에 존재하는 단말 식별정보의 경우, 기 저장된 단말 식별정보에 신규로 무선 헤드셋(120)을 추가로 등록한다. 한편, 기기 인증서버(130)는 신규로 획득한 단말 식별정보인 경우, 신규로 단말 식별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단말 식별정보에 신규로 무선 헤드셋(120)을 추가로 등록할 수 있다.
기기 인증서버(130)는 기기 인증을 통해 단말기(110)에 등록된 무선 헤드셋(120)에 대한 연동 헤드셋 리스트를 생성하여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330). 여기서, 연동 헤드셋 리스트는 단말기(110)와 연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헤드셋(120) 각각에 대한 헤드셋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기(110)는 기기 인증서버(130)로부터 획득한 연동 헤드셋 리스트를 저장한다(S332). 단말기(110)는 단계 S332 이후 무전통신을 진행하는 경우 기 획득한 헤드셋 정보에 포함된 연동 요청신호에 근거하여 단계 S35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무선 헤드셋(120)의 전원이 켜져있는 경우, 단계 S340 및 S342의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단말기(110) 및 무선 헤드셋(120) 간의 기기인증이 수행된 후 무선통신을 위한 접속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에 근거하여 무선 헤드셋(120)의 전원이 온(On)되는 경우(S340), 무선 헤드셋(120)은 단말기(110)로 연동 요청신호를 전송한다(S342).
단말기(110)는 연동 요청신호에 근거하여 무전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S350). 여기서, 단말기(110)는 무전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단말기(110)와 무선 헤드셋(120) 간의 무전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전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없이 단말기(110)와 무선 헤드셋(120) 간의 무전통신을 수행 가능한 경우 단계 S350은 생략될 수 있다.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에 근거하여 무선 헤드셋(120)와의 연동을 위한 동작모드를 설정한다(S360). 단말기(110)는 설정된 동작모드에 따라 연동 헤드셋 리스트에 근거하여 무전 후보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무전 후보 정보는 무전 통신이 가능한 무선 헤드셋(120) 각각에 대한 정보 또는 복수의 무선 헤드셋(120)을 포함하는 그룹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동작모드는 수동 동작모드, 헤드셋 기반 동작모드, 카테고리 기반 동작모드 등일 수 있다.
수동 동작모드로 설정된 경우, 단말기(110)는 연동 헤드셋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무선 헤드셋(120) 각각을 선택할 수 있도록 리스트 또는 지도 형태를 갖는 무전 후보 정보를 생성한다.
헤드셋 기반 동작모드로 설정된 경우, 단말기(110)는 연동 헤드셋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무선 헤드셋(120)의 위치, 이동 속도, 이동 방향 등의 현재 상태에 대한 상태정보를 확인하고,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무선 헤드셋(120)을 클러스터링(Clustering)한 그룹정보를 포함하는 무전 후보 정보를 생성한다.
카테고리 기반 동작모드로 설정된 경우,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에 따라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선택된 카테고리에 기 설정된 규칙(Rule)에 따라 연동 헤드셋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무선 헤드셋(120)을 클러스터링(Clustering)한 그룹정보를 포함하는 무전 후보 정보를 생성한다.
단말기(110)는 단계 S360에서 설정된 동작모드에 근거하여 무전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전 대상을 결정한다(S370). 다시 말해, 단말기(110)는 설정된 동작모드에 따른 무전 후보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무선 헤드셋(120) 또는 복수의 무선 헤드셋(120)을 포함하는 소정의 그룹을 무선 대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말기(110)는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고(S380),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무전 데이터로 변환한다(S382). 단말기(110)는 단계 S370에서 결정된 무선 헤드셋(120)으로 무전 데이터를 전송한다(S390).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무전 통신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무전 통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드에서 무선 헤드셋의 연동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제1 모드에서 무선 헤드셋의 연동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4b는 제1 모드에서의 무전 대상을 결정하기 위한 무선 후보 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동작은 도 3의 단계 S360 내지 S390에서 동작모드를 설정하고, 무전 통신을 위한 무전 대상을 결정하는 동작을 구체화한 것이며, 제1 모드는 수동 동작모드를 의미한다. 이하, 제1 모드를 수동 동작모드로 기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에 근거하여 수동 동작모드를 설정한다(S410).
단말기(110)는 수동 동작모드에서 연동 헤드셋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무선 헤드셋(120) 각각을 선택할 수 있는 형태의 무전 후보 정보를 생성한다(S420). 단말기(11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헤드셋(120) 각각을 별도로 표시하는 형태를 갖는 무전 후보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을 기초로 무전 후보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무선 헤드셋(120) 각각을 무전 대상으로 결정한다(S430). 단말기(110)는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무전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무전 데이터를 무전 대상으로 전송한다(S440).
도 4b의 (a) 및 (b)는 무전 대상을 결정하기 위해 단말기에 출력된 수동 동작모드의 무전 후보 정보를 나타낸다.
도 4b의 (a)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헤드셋(120) 각각을 리스트의 형태로 출력하는 무전 후보 정보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리스트 상에서 무선 헤드셋(120)에 대한 선택을 수행하여 무전 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
도 4b의 (b)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헤드셋(120) 각각을 지도(Map)의 형태로 출력하는 무전 후보 정보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지도 상에서 무선 헤드셋(120)에 대한 선택을 수행하여 무전 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드에서 무선 헤드셋의 연동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제2 모드에서 무선 헤드셋의 연동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5b는 제2 모드에서의 무전 대상을 결정하기 위한 무선 후보 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동작은 도 3의 단계 S360 내지 S390에서 동작모드를 설정하고, 무전 통신을 위한 무전 대상을 결정하는 동작을 구체화한 것이며, 제2 모드는 헤드셋 기반 동작모드를 의미한다. 이하, 제2 모드를 헤드셋 기반 동작모드로 기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에 근거하여 헤드셋 기반 동작모드를 설정한다(S510).
단말기(110)는 헤드셋 기반 동작모드에서 무선 헤드셋(120)에 대한 상태정보를 확인한다(S520). 여기서, 상태정보는 복수의 무선 헤드셋(120) 각각의 위치, 이동 속도, 이동 방향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10)는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무선 헤드셋(120)을 클러스터링(Clustering)한 소정의 그룹을 형성하고(S530), 소정의 그룹에 대한 그룹정보를 포함하는 무전 후보 정보를 생성한다(S540). 단말기(110)는 소정의 기준값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무선 헤드셋(120)이 그룹화된 소정의 그룹을 표시하는 형태의 무전 후보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단말기(110)는 기 설정된 상태 임계값의 설정 여부를 확인한다(S550).
기 설정된 상태 임계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에 따라 무전 후보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소정의 그룹을 무전 대상으로 결정한다(S560).
한편, 기 설정된 상태 임계값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기(110)는 기 설정된 상태 임계값을 기준으로 소정의 조건에 해당하는 그룹을 무전 대상으로 결정한다(S562).
단말기(110)는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무전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무전 데이터를 무전 대상으로 전송한다(S570).
도 5b의 (a) 및 (b)는 무전 대상을 결정하기 위해 단말기(110)에 출력된 헤드셋 기반 동작모드의 무전 후보 정보를 나타낸다.
도 5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10)는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무선 헤드셋(120)을 클러스터링(Clustering)한 제1 그룹(610), 제2 그룹(612), 제3 그룹(613)을 포함하는 무전 후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헤드셋 기반 동작모드의 무전 후보 정보는 인접한 위치, 속도 등을 기준으로 그룹화된 복수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그룹 중 소정의 그룹에 대한 선택을 수행하거나 기 설정된 상태 임계값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된 그룹을 무전 대상을 결정할 수 있다.
도 5b의 (b)는 무선 헤드셋(120)의 상태정보 중 이동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그룹화한 복수의 그룹을 리스트의 형태로 출력하는 무전 후보 정보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리스트 상에서 소정의 그룹에 대한 선택을 수행하여 무전 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3 모드에서 무선 헤드셋의 연동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제3 모드에서 무선 헤드셋의 연동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6b는 제3 모드에서의 무전 대상을 결정하기 위한 무선 후보 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동작은 도 3의 단계 S360 내지 S390에서 동작모드를 설정하고, 무전 통신을 위한 무전 대상을 결정하는 동작을 구체화한 것이며, 제3 모드는 카테고리 기반 동작모드를 의미한다. 이하, 제3 모드를 카테고리 기반 동작모드로 기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에 근거하여 카테고리 기반 동작모드를 설정한다(S610).
단말기(110)는 카테고리 기반 동작모드에서 소정의 카테고리를 선택한다(S612). 여기서, 카테고리는 스포츠 종목일 수 있으며, 예컨대, 수영, 골프, 축구, 야구, 승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10)는 카테고리 기반 동작모드에서 무선 헤드셋(120)에 대한 상태정보를 확인한다(S614). 여기서, 상태정보는 복수의 무선 헤드셋(120) 각각의 위치, 이동 속도, 이동 방향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10)는 선택된 카테고리에 기 설정된 규칙 및 상태정보에 따라 복수의 무선 헤드셋(120)을 클러스터링(Clustering)한 소정의 그룹을 형성하고(S620), 소정의 그룹에 대한 그룹정보를 포함하는 무전 후보 정보를 생성한다(S630).
단말기(110)는 기 설정된 우선 선택값의 설정 여부를 확인한다(S640).
기 설정된 우선 선택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에 따라 무전 후보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소정의 그룹을 무전 대상으로 결정한다(S650).
한편, 기 설정된 우선 선택값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기(110)는 기 설정된 우선 선택값에 근거하여 소정의 조건에 해당하는 그룹을 무전 대상으로 결정한다(S652).
단말기(110)는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무전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무전 데이터를 무전 대상으로 전송한다(S660).
도 6b의 (a)는 수영 카테고리에 대한 무전 후보 정보를 나타내고, 도 6b의 (b)는 축구 카테고리에 대한 무전 후보 정보를 나타내고, 도 6b의 (c)는 야구 카테고리에 대한 무전 후보 정보를 나타낸다.
도 6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10)는 복수의 무선 헤드셋(410, 412, 414, 416 및 418)을 수영 카테고리에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선두 그룹, 중위 그룹, 하위 그룹 등으로 그룹화한 무전 후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10)는 복수의 무선 헤드셋(120)을 축구 카테고리에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공격 그룹(420), 미드필더 그룹(422), 수비 그룹(424) 등으로 그룹화한 무전 후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b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10)는 복수의 무선 헤드셋(120)을 야구 카테고리에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외야 그룹(430), 내야 그룹(432), 투수 그룹(434) 등으로 그룹화한 무전 후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단말기 112: 무전 애플리케이션
120: 무선 헤드셋 130: 기기 인증서버
200: 무전통신장치 210: 통신부
220: 인증부 230: 연동 제어부
240: 모드 설정부 250: 대상 결정부
260: 무전통신 처리부 270: 음성 입력부

Claims (13)

  1. 무선 헤드셋으로부터 헤드셋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단말 식별정보 및 상기 헤드셋 정보를 기기 인증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기기 인증서버로부터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대한 연동 헤드셋 리스트를 획득하는 인증부;
    무전 대상을 결정하기 위한 동작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연동 헤드셋 리스트에 근거하여 무전 후보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무전 후보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무전 대상 헤드셋을 포함하는 무전 대상을 결정하는 연동 제어부;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무전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무전 데이터를 상기 무전 대상으로 전송하는 무전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통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무선 헤드셋의 초기 1 회 접속 시에만 상기 기기 인증서버로 상기 단말 식별정보 및 헤드셋 정보를 전송하여 초기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초기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무선 헤드셋으로부터 연동 요청신호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통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제어부는,
    수동 동작모드, 헤드셋 기반 동작모드, 카테고리 기반 동작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동작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동작모드에 대한 상기 무전 후보 정보를 생성하는 모드 설정부; 및
    상기 무전 후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전 대상을 결정하는 대상 결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통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부는,
    수동 동작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연동 헤드셋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헤드셋 각각을 선택할 수 있는 상기 무전 후보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대상 결정부는 상기 무전 후보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무선 헤드셋을 상기 무전 대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통신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부는,
    헤드셋 기반 동작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연동 헤드셋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헤드셋에 대한 상태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형성된 소정의 그룹에 대한 그룹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무전 후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통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무선 헤드셋의 위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무전 후보 정보는 소정의 기준값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헤드셋을 클러스터링(Clustering)하여 형성된 상기 소정의 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통신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결정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무전 후보 정보 중 소정의 그룹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무전 대상 헤드셋을 상기 무전 대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통신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결정부는,
    기 설정된 상태 임계값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상태 임계값을 기준으로 소정의 조건에 해당하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무전 대상 헤드셋을 상기 무전 대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통신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부는,
    카테고리 기반 동작모드로 설정된 경우 소정의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상기 연동 헤드셋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헤드셋에 대한 상태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카테고리 및 상기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형성된 소정의 그룹에 대한 그룹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무전 후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통신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는 스포츠 종목 중 선택된 하나의 종목이고, 상기 카테고리 각각은 기 설정된 규칙(Rule)을 포함하며,
    상기 무전 후보 정보는 상기 기 설정된 규칙 및 상기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헤드셋을 클러스터링(Clustering)하여 형성된 상기 소정의 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통신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결정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무전 후보 정보 중 소정의 그룹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무전 대상 헤드셋을 상기 무전 대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통신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결정부는,
    기 설정된 우선 선택값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우선 선택값을 기준으로 소정의 조건에 해당하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무전 대상 헤드셋을 상기 무전 대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통신장치.
  13. 무전통신장치가 무선 헤드셋을 이용하여 무전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무선 헤드셋으로부터 헤드셋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과정;
    단말 식별정보 및 상기 헤드셋 정보를 기기 인증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기기 인증서버로부터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대한 연동 헤드셋 리스트를 획득하는 인증과정;
    무전 대상을 결정하기 위한 동작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연동 헤드셋 리스트에 근거하여 무전 후보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무전 후보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무전 대상 헤드셋을 포함하는 무전 대상을 결정하는 연동 제어과정;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무전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무전 데이터를 상기 무전 대상으로 전송하는 무전 통신과정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무전 통신 방법.
KR1020160111301A 2016-08-31 2016-08-31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무전 통신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1887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301A KR101887543B1 (ko) 2016-08-31 2016-08-31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무전 통신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PCT/KR2017/009556 WO2018044100A1 (ko) 2016-08-31 2017-08-31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무전 통신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301A KR101887543B1 (ko) 2016-08-31 2016-08-31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무전 통신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657A true KR20180024657A (ko) 2018-03-08
KR101887543B1 KR101887543B1 (ko) 2018-08-10

Family

ID=61301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301A KR101887543B1 (ko) 2016-08-31 2016-08-31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무전 통신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87543B1 (ko)
WO (1) WO20180441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84183A (zh) * 2022-11-25 2023-03-31 厦门亿联网络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第三方平台的无线耳麦部署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2933A2 (ko) * 2010-04-20 2011-10-27 주식회사 모토넷 무선 커뮤니케이션 장치
KR20130035716A (ko) * 2011-09-30 2013-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들의 그룹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268B1 (ko) * 2007-12-21 2014-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전화 연결 방법
KR20120038876A (ko) * 2010-10-14 2012-04-24 주식회사 셈앤텍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01190A (ko) * 2012-03-05 2013-09-13 채연지 그룹관리기능을 포함하는 다기능 무선통신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2933A2 (ko) * 2010-04-20 2011-10-27 주식회사 모토넷 무선 커뮤니케이션 장치
KR20130035716A (ko) * 2011-09-30 2013-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들의 그룹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44100A1 (ko) 2018-03-08
KR101887543B1 (ko) 2018-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5272B2 (en) Assistive listening device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dio streams within sound fields
CN108605073B (zh) 声音信号处理的方法、终端和耳机
CN108141696A (zh) 用于空间音频调节的系统和方法
US9781524B2 (en) Communication system
EP303988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d/or configuring a user-specific hearing system via a communication network
ES2633457T3 (es) Sistema de comunicaciones de ondas de ultrasonidos
US9271103B2 (en) Audio control based on orientation
KR102611321B1 (ko) 다중-사용자 환경에서 지능형 경보들
CN105247877A (zh) 显示控制器、显示控制方法以及计算机程序
CN108886542B (zh) 系统、终端设备、方法和记录介质
JP6512815B2 (ja) 位置データを用いる聴覚装置、音声システム、および関連する方法
US201201965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consumer electronics device by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O2015178070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記憶媒体及び情報処理方法
CN108307374A (zh) 无线音频设备设置
KR101887543B1 (ko)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무전 통신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N105474547A (zh) 多模式音频设备和监视系统
US201401495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stant message
JP2019197497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通知制御装置、通知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263017B (zh) 通话方式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06730876A (zh) 智能玩偶的控制系统
US10158751B2 (en) Performing a notification event at a headphone device
WO2018190099A1 (ja) 音声提供装置、音声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92647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ウエアラブルデバイス
CN109448418B (zh) 一种应用于学校班车的学生到站提醒方法
CN108939545B (zh) 一种基于环绕声音的模拟失明人士的体感游戏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