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599A - Noise reduction pipe - Google Patents
Noise reduction pi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24599A KR20180024599A KR1020160111079A KR20160111079A KR20180024599A KR 20180024599 A KR20180024599 A KR 20180024599A KR 1020160111079 A KR1020160111079 A KR 1020160111079A KR 20160111079 A KR20160111079 A KR 20160111079A KR 20180024599 A KR20180024599 A KR 201800245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attenuation
- noise reduction
- frequency
- lengt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16L55/033—Noise absor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16L55/041—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specially adapted for preventing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음 저감 배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데드레그(dead leg)가 연결된 배관에서 공명에 의한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저감시킨 소음 저감 배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ise reduction pip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ise reduction pipe reduced in noise and vibration due to resonance in a pipe connected with a dead leg.
데드레그(dead leg)는 유체를 이송하는 주배관에 설치된 분지배관으로, 일반적인 공정조건의 유체이송에는 관여하지 않으나 임계치 이상의 고압이 주배관에 걸릴 경우, 데드레그에 설치된 밸브가 개방되어 유체를 분지관으로 이송시킴으로써 주배관 및 시스템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공정조건에서는 데드레그 입구에서 통상 와류가 발생하게 되는데, 데드레그에서 발생한 와류는 데드레그 내측으로 일정한 주기를 갖는 압력파를 전달한다. The dead leg is a branch pipe installed in the main pipe for transferring the fluid. When the high pressure above the threshold value is caught by the main pipe, the valve installed in the dead valve is opened and the fluid is branched to the branch pipe Thereby protecting the main pipes and the system. Under normal process conditions, a typical vortex occurs at the inlet of the Dredleg, where the vortex generated at the Deddog delivers a pressure wave having a constant period inside the Deddog.
이때, 와류가 발생시키는 압력파의 주기와 데드레그 내부의 음향학적 모드의 주파수(정재파 생성 주파수)가 일치하는 공명현상이 생기면, 공명에 의한 과소음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데드레그는 일종의 폐관(閉管)으로, 길이에 따라 음향학적 모드 주파수가 달라지게 되어 통상 배관을 통과하는 유체의 종류, 유속 등을 고려하여 데드레그의 길이를 조절하기도 한다.At this time, if the resonance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period of the pressure wave generated by the vortex and the frequency of the acoustic mode (standing wave generation frequency) in the deadgage are generated, under vibration due to resonance occurs. Dedleg is a kind of closed tube, and the acoustic mode frequency is changed according to the length. Therefore, the length of the Dedleg is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kind of fluid passing through the pipe and the flow rate.
그러나, 배관을 통해 이송되는 유체가 항상 동일할 수 없어 설계만으로 공진을 예방하기가 어려워, 유체의 종류, 유동속도 등에 따라 데드레그에서 공명이 발생하여 소음과 진동이 크게 발생하는 것을 막기가 어려웠다. 이러한 소음과 진동은 배관 구조물에 피로파괴를 발생시키는 등 여러 가지 문제를 발생시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였다.However, since the fluid conveyed through the pipe can not always be the same, it is difficult to prevent the resonance only by the design, and it is difficult to prevent noise and vibration from occurring due to resonance in the dredge depending on the type of fluid, Such noise and vibration caused various problems such as fatigue failure in the piping structure, and improvement was requir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데드레그(dead leg)가 연결된 배관에서 공명에 의한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저감시킨 소음 저감 배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ise reduction pipe in which noises and vibrations due to resonance are reduced in a piping to which a dead leg is connecte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other technical problem which i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의한 소음 저감 배관은, 주배관에 연결되며 측면에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분지배관; 및 복수 개의 상기 관통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며 끝단부가 폐쇄된 감쇄배관을 포함한다,The noise reduction pipe according to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ranch pipe connected to a main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a side surface thereof; And an attenuation pipe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having an end closed,
상기 관통홀은 상기 분지배관 내부에 생성되는 정상파의 배(antinode)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The through-hole may be formed in an antinode portion of a standing wave generated inside the branch pipe.
상기 감쇄배관은 상기 관통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attenuation pipe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through hole.
복수개의 상기 관통홀 중 상기 감쇄배관이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t least one plug that closes the remaining through hole among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to which the attenuation pipe is not coupled.
상기 감쇄배관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attenuation pip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may be variable.
상기 감쇄배관은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The damper pipe may include a piston which is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피스톤은 상기 감쇄배관 내측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The piston may be screwed into the damping pipe.
본 발명에 의한 소음 저감 배관은, 주배관을 통과하는 유체의 종류 및 속도 등에 따라 분지배관 내부에서 서로 다른 진동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공명 소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noise reduction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prevent resonance noise and vibration which may be caused by different frequencies in the branch pipe depending on the type and speed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main pipe.
특히, 분지배관에 설치되는 감쇄배관의 위치, 개수, 길이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어, 주배관을 통과하는 유체의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대응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osition, number, and length of the damper pipe installed in the branch pipe can be variously modified, so that it is possible to cope with various conditions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main pip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배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소음 저감 배관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소음 저감 배관의 감쇄배관이 형성되는 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소음 저감 배관의 주파수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배관의 감쇄배관 중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절개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감쇄배관의 길이변화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ise reducing pip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ise reducing pipe of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position where the noise reduction pipe of FIG. 2 is formed.
4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of the noise reduction pipe of FIG.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attenuation pipe of the noise reducing pip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length of the present attenuation pip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invention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소음 저감 배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noise reducing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FIG.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저감 배관(1)은 주배관(10)에 다양한 종류의 유체가 다양한 조건으로 유동하더라도 분지배관(20)에 공명으로 인한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다. 소음 저감 배관(1)은 주배관(10)에 연결된 분지배관(20)에 감쇄배관(30a)을 설치하여, 분지배관(20)의 입구에서 발생하는 와류에 의한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noise reduction pip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noise and vibration due to resonance are not generated in the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배관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First, a noise reducing pip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FIG.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배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소음 저감 배관의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ise reducing pip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noise reducing pipe of FIG. 1. FIG.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저감 배관(1)은 주배관(10)에 연결되며 측면에 복수 개의 관통홀(21)이 형성된 분지배관(20); 및 복수 개의 상기 관통홀(21)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며 끝단부가 폐쇄된 감쇄배관(30a)을 포함한다.A noise reduction pip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nch pipe (20) connected to a main pipe (10)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 formed on a side surface thereof; And an attenuation pipe (30a)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 and having an end closed.
주배관(10)은 유체가 이동하는 배관으로 주배관(10)의 측면에는 주배관(10)과 연결되는 분지배관(20)이 형성된다. 분지배관(20)은 주배관(10)으로부터 분지된 배관을 말하며, 일측에 밸브(40) 등이 설치되어 필요 시에만 개폐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분지배관(20)은 밸브(40)가 폐쇄되면 일종의 폐관(閉管)과 같은 구조를 이루어 유체가 흐르지 않는 관구조가 될 수 있다.The
한편, 주배관(10)에서 유체가 흐르게 되면, 주배관(10)과 연결된 분지배관(20)의 입구에서 일종의 와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와류는 일정한 주기를 갖는 압력파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이러한 압력파는 분지배관(20) 내부에서 공명을 일으킬 수 있다. 즉, 와류에 의한 압력파는 분지배관(20) 내측에서 정상파를 이루며 공명을 일으키게 되어, 배관 전체에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When the fluid flows in the
분지배관(20) 내부에서 발생하는 공명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지배관(20)의 측부에 감쇄배관(30a)을 설치한다. 감쇄배관(30a)은 일종의 동흡진기(dynamic absorber)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지배관(20)에 설치되어 1자유도계 진동을 2자유도계 또는 다자유도계 진동으로 변화시켜 공진주파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resonance occurring in the
감쇄배관(30a)은 분지배관(20)의 측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홀(21)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다. 관통홀(21)은 분지배관(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정상파의 배(antinode)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감쇄배관(30a)은 관통홀(21)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관통홀(21) 중 적어도 하나에는 감쇄배관(30a)에 결합되며, 나머지에는 플러그(22)가 나사결합될 수 있다. 플러그(22)가 결합된 관통홀(21)은 분지배관(20)의 측면과 사실상 차이가 없어 공명을 일으키거나 상쇄할 수 없게 된다.The
한편, 관통홀(21)이 형성되는 위치는 분지배관(20)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분지배관(20) 내부에 발생하는 정상파의 홀수 배 진동파형에 따라 그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관통홀(21)은 분지배관(20)의 일측면을 따라 일직선상에 배열되는 것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정상파의 배 부분에 해당되는 측면 어느 곳에도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The position where the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소음 저감 배관의 감쇄배관이 형성되는 위치에 따른 효과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effect of the noise reduction pi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도 3은 도 2의 소음 저감 배관의 감쇄배관이 형성되는 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소음 저감 배관의 주파수가 도시된 그래프이다.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position where the noise reduction pipe of FIG. 2 is formed, and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of the noise reduction pipe of FIG.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주배관(10)을 따라 흐르는 유체가 분지배관(20)의 입구를 지나면서 공간적 변화가 생기게 되면서 압력이 급격하게 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유체의 종류와 속도에 따라 일정한 주기를 갖는 와류가 발생하게 된다. 와류로 인해 생성되는 압력파 주파수와 분지배관(20) 내의 음향학적 모드 주파수가 일치하게 되는 공명현상이 일어나면 분지배관(20) 내 과소음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키는 공명주파수를 제거하기 위해 분지배관(20)의 측면에 감쇄배관(30a)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S. 3 and 4, as the fluid flowing along the
감쇄배관(30a)은 분지배관(20)에 생성되는 정상파의 배(antinode) 부분, 즉, 분지배관(20)의 형성되는 정재파의 압력비가 최고점(anti-nodal point)인 곳에 감쇄배관(30a)을 설치할 수 있다. 감쇄배관(30a)이 정상파의 배 부분에 설치되면서, 감쇄배관(30a)에서 분지배관(20) 내에 과소음을 발생시키는 공명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The
유체의 종류에 따라 파장의 길이가 각각 다르게 생성되는 정상파의 배 부분에 복수개의 감쇄배관(30a)를 설치함으로써, 분지배관(20)에 형성되는 다양한 조건을 갖는 공명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분지배관(20)의 공명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감쇄배관(30a)을 분지배관(20) 측면의 정상파의 배 부분에 설치함으로써, 공명주파수가 기 공명주파수를 중심으로 2개의 주파수로 나누어지며 문제가 되는 주파수가 없어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resonance frequency having various conditions to be formed in the
예를 들어, 공명주파수가 150Hz에 공명주파수와 vortex 생성 주파수와 일치하여 문제가 생겼을 때를 도 4의 (a)라고 가정한다. 이때, 분지배관(20)의 정재파의 압력비가 최고점인 곳에 감쇄배관(30a)을 설치한 경우 150 Hz의 공명주파수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0Hz와 170Hz로 나뉜 것을 볼 수 있으며, 소음과 진동의 문제가 되는 150Hz의 주파수는 사라진 것을 알 수 있다. 즉, 문제가 되는 주파수 대역을 제거함으로써, 소음과 진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assume that the resonance frequency is equal to th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vortex generation frequency at 150 Hz, and a problem occurs in FIG. 4 (a). At this time, in the case where the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배관의 감쇄배관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ttenuation pipe of the noise reducing pip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배관의 감쇄배관 중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절개사시도이다.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attenuation pipe of the noise reducing pip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배관(1)은 감쇄배관(30b)의 일단부가 분지배관(20)에 결합되어 있고, 나머지 끝단부가 막혀있지 않고 피스톤(31)으로 나사결합 되어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이미 설명한 제1 실시예와 사실상 동일하다. 따라서, 이미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noise reducing pipe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of the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배관(1)의 감쇄배관(30b)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일단부의 외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관통홀(21)에 나사 결합되며, 나머지 끝단부의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피스톤(31)이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분지배관(20) 내에 형성되는 공명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하여 분지배관(20)의 측면에 복수 개의 감쇄배관(30b)을 설치하여 공명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지만, 다른 방법으로는 L=4f/c에서와 같이 매질의 속도가 일정하며 와류에 의해 진동주파수가 생성될 때, 감쇄배관(30b)의 길이를 조절하여 주파수의 제어가 가능하다. 즉, 감쇄배관(30b)의 길이를 조절하여 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공명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In order to control the resonant frequency formed in th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감쇄배관(30b)은 끝단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감쇄배관(30b)의 끝단부에 피스톤(31)이 형성되어 감쇄배관(30b)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피스톤(31)은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감쇄배관(30b)에 나사결합 할 수 있으며, 감쇄배관(30b) 내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주파수가 생성되는 감쇄배관(30b)의 내부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감쇄배관(30b) 외측의 나사산을 관통홀(21)에 결합할 때 나사산의 길이를 조절하여 감쇄배관(30b)을 가변할 수 있다. 즉, 감쇄배관(30b)이 관통홀(21)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감쇄배관(30b) 내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주파수와 유동매질에 따라 감쇄배관(30b)의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감쇄배관(30b)은 피스톤(31)을 조절하여 내부길이를 가변할 수 있다.The damping
분지배관(20)과 연결되어 있는 주배관(10)을 따라 이동하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 음속이 변하며, 이에 따른 감속 배관의 위치 및 길이를 조절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때, 감쇄배관(30b) 내부의 L=4f/c 에서 음속을 c, 주파수를 f라 할 때 유체에 따라 음속이 변할 때 주파수와 음속을 대입하여 감쇄배관(30b)의 내부길이를 계산하여 조절할 수 있다.The speed of sound changes depending on the kind of fluid moving along the
예를 들어, 음속이 300m/s이고, 제어하고자 하는 주파수가 150Hz인 경우, 감쇄배관(30b) 내부 길이 L = 4f/c = 300/(4x150) = 0.5m이고, 음속이 300m/s이고, 제어하고자 하는 주파수가 50Hz인 경우, 감쇄배관(30b) 내부 길이 L=4f/c=300/(4x150)=1.5m이다. 감쇄배관(30b)의 길이 1.5m는 50Hz를 제어하는데 목표를 두었지만, 추가로 50Hz 뿐만 아니라 그 홀수배인 150Hz, 250Hz도 제어할 수 있다. 즉, 문제가 되는 공명주파수를 제거할 수 있으며, 소음과 진동 및 피로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ound velocity is 300 m / s and the frequency to be controlled is 150 Hz, the internal length L of the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배관의 감쇄배관의 길이변화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length variation of the attenuation pipe of the noise reducing pip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배관의 감쇄배관의 길이변화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hange in the length of the attenuation pipe of the noise reducing pip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주배관(10)을 따라 이동하는 유체에 의한 소음과 진동을 발생하는 특정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하여 분지배관(20)에 감쇄배관(30b)을 결합할 수 있다. 진동을 전달하는 유동물질이 되는 유체의 종류와 속도는 미리 알 수 있는 값이므로 위에 기술된 공식(L = 4f/c)에 유속과 와류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주파수를 대입하여 감쇄배관(30b)의 내부길이를 계산할 수 있다. 주파수가 작은 경우에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L1)의 길이가 길어지며, 주파수가 큰 경우에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L2)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제2 실시예에 의한 감쇄배관(30b)은 피스톤(31)의 나사결합으로 길이조절을 하여 감쇄배관(30b)을 교체하지 않고 쉽게 감쇄배관(30b) 내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감쇄배관(30b)은 본 발명에 도시된 공명기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이외에도 헬름홀츠 공명기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The length of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 소음 저감 배관
10: 주배관
20: 분지배관
21: 관통홀
22: 플러그
30a, 30b: 감쇄배관
31: 피스톤
40: 밸브1: noise reduction pipe 10: main pipe
20: branch piping 21: through hole
22: plug 30a, 30b: attenuation piping
31: Piston 40: Valve
Claims (7)
복수 개의 상기 관통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며 끝단부가 폐쇄된 감쇄배관을 포함하는 소음 저감 배관.A branch pipe connected to the main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a side surface thereof; And
And an attenuation pip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having an end closed.
상기 관통홀은 상기 분지배관 내부에 생성되는 정상파의 배(antinode) 부분에 형성되는 소음 저감 배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an antinode portion of a standing wave generated inside the branch pi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1079A KR20180024599A (en) | 2016-08-30 | 2016-08-30 | Noise reduction pi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1079A KR20180024599A (en) | 2016-08-30 | 2016-08-30 | Noise reduction pip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4599A true KR20180024599A (en) | 2018-03-08 |
Family
ID=61726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1079A KR20180024599A (en) | 2016-08-30 | 2016-08-30 | Noise reduction pi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24599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790322A (en) * | 2021-09-01 | 2021-12-14 | 哈尔滨工程大学 | Fluid control unit for sealing side branch pipelin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159U (en) * | 1989-05-24 | 1991-01-08 | ||
JP3001159U (en) * | 1994-01-12 | 1994-08-23 | 丸一産業株式会社 | Temporary pipe |
JPH0942576A (en) * | 1995-07-26 | 1997-02-14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Pressure oil pulsation reduction device |
JP2003166689A (en) * | 2001-11-28 | 2003-06-13 | Tokyo Gas Co Ltd | Pressure fluctuation reducing device and pressure fluctuation reducing method |
-
2016
- 2016-08-30 KR KR1020160111079A patent/KR20180024599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159U (en) * | 1989-05-24 | 1991-01-08 | ||
JP3001159U (en) * | 1994-01-12 | 1994-08-23 | 丸一産業株式会社 | Temporary pipe |
JPH0942576A (en) * | 1995-07-26 | 1997-02-14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Pressure oil pulsation reduction device |
JP2003166689A (en) * | 2001-11-28 | 2003-06-13 | Tokyo Gas Co Ltd | Pressure fluctuation reducing device and pressure fluctuation reducing method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 3001159호(1994.08.23.) 1부. *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790322A (en) * | 2021-09-01 | 2021-12-14 | 哈尔滨工程大学 | Fluid control unit for sealing side branch pipeline |
CN113790322B (en) * | 2021-09-01 | 2024-03-15 | 哈尔滨工程大学 | Fluid control unit for sealing bypass pipeli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512795B2 (en) | Mute structure of natural ventilation opening | |
US8312962B2 (en) | Sound absorber having helical fixtures | |
KR101606017B1 (en) | Damper for gas turbine | |
US20170356585A1 (en) | Damping device | |
US9618151B2 (en) | Compact modular low resistance broadband acoustic silencer | |
RU2757434C2 (en) | Hydraulic regulating valve containing gate assembly having lateral branched resonator group | |
JP2019143478A (en) | Noise suppressor | |
JP2016014523A (en) | Damper for gas turbine | |
US20160281660A1 (en) | Multi-frequency quarter-wave resona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CN104006260A (en) | Water pipe flow stabilizing broadband muffler | |
KR102042910B1 (en) | An acoustic attenuator for damping pressure vibrations in an exhaust system of an engine, an acoustic attenuation system using the attenuators, and method of damping pressure vibrations in an exhaust system of an engine | |
CN107208508B (en) | Noise silencer | |
KR20180024599A (en) | Noise reduction pipe | |
JPH04503390A (en) | Screw rotor machine with silencer | |
CN103353042B (en) | Pressure adaptive broad band low frequency elasticity resonance muffler device | |
CN112628516A (en) | Frequency adjustable water pipeline silencer | |
Pan et al. | Hybrid fluid-borne noise control in fluid-filled pipelines | |
RU2013106758A (en) | REDUCED VAPOR COOLER | |
CN205842088U (en) | Pipeline acoustic filter | |
CN106523071B (en) | Exhaust silencer with automatic following under two working condi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KR20160085671A (en) | Active silencer for reducing D/G exhaust noise | |
RU2328650C1 (en) | Silencer | |
JP2009144975A (en) | Acoustic damper structure | |
RU2781900C1 (en) | Combined device for damping pressure fluctuations in pipelines of power plants and noise reduction of power plants | |
JPH08200585A (en) | Noise preventing structure for fluid control valv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