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402A - 슬랩밴드 오프너 - Google Patents

슬랩밴드 오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4402A
KR20180024402A KR1020160110537A KR20160110537A KR20180024402A KR 20180024402 A KR20180024402 A KR 20180024402A KR 1020160110537 A KR1020160110537 A KR 1020160110537A KR 20160110537 A KR20160110537 A KR 20160110537A KR 20180024402 A KR20180024402 A KR 20180024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stopper
friction
contain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범
Original Assignee
김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범 filed Critical 김기범
Priority to KR1020160110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4402A/ko
Publication of KR20180024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4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14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tightly-fitting lids or covers, e.g. of shoe-polish tins, by gripping and ro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18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threaded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사이즈 용기에 적절하게 적용하여 보다 적은 힘으로 용기를 개폐할 수 있는 슬랩밴드 오프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랩밴드 오프너는,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마개를 개폐시키는 오프너에 있어서, 외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마개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양단이 와인딩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일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탄성부의 양단이 와인딩되면서 상기 마개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마찰부; 및 상기 탄성부의 타측면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상기 마개를 개폐할시 상기 사용자의 손에 밀착되는 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슬랩밴드 오프너{slapband opener}
본 발명은 슬랩밴드 오프너에 관한 것으로,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사이즈 용기에 적용하여 효율적으로 용기를 개폐할 수 있는 슬랩밴드 오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 또는 플라스틱 용기의 경우 용기 내부를 개폐하기 위해 입구에 회전식 뚜껑이 구비된다. 이러한 회전식 뚜껑은 일회용 뚜껑과는 달리, 회전력만 가하면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뚜껑은 밀폐도가 우수하여 용기 내부로 외부 공기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용기의 경우, 내용물이 용기 외부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 공기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뚜껑에 강한 회전력을 가하여 용기 입구에 뚜껑을 단단히 고정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경우, 용기의 밀폐도 면에서는 큰 기능을 발휘하지만, 차후 다시 용기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 적지 않은 힘을 가하여 뚜껑을 회전시켜야 하므로 근력이 약한 노약자는 용기의 내용물을 음용하기 힘든게 사실이었다. 특히, 잼, 벌꿀 등의 점성이 크고 끈적거리는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의 경우, 용기와 뚜껑 사이에 내용물이 유입되어 용기를 개폐하는데 더 큰 어려움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6227(등록일자: 2012.03.09) "회전식 병뚜껑의 오프너"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등록특허는 뚜껑보다 큰 곡률반경을 갖는 제1 파지부(10), 제1 파지부(10)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갖는 제2 파지부(30), 제1 파지부(10)에 구비되며 스프링이 장착되는 고정 손잡이(20) 및 제2 파지부(30)에 구비되는 이동 손잡이(40)가 구비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등록특허는 다양한 회전식 뚜껑에 적용하여 적은 힘으로 용기를 개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한국 등록특허는, 다양한 뚜껑 크기에 적용하기 위해 고정 손잡이(20)로부터 이동 손잡이(40)를 이동시켜 제2 파지부(30)를 뚜껑에 밀착시켜야 하므로 번거롭고,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단가 및 제작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부피가 커서 휴대하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으로 용기의 뚜껑을 개폐가능하게 하여 근력이 약한 노약자들도 용기의 내용물을 쉽게 음용할 수 있게 하는 슬랩밴드 오프너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용기의 뚜껑에 적절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범용성이 뛰어난 슬랩밴드 오프너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부피가 작아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고, 구성이 단순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용기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제작 시간 및 단가를 줄일 수 있는 슬랩밴드 오프너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슬랩밴드 오프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랩밴드 오프너는,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마개를 개폐시키는 오프너에 있어서, 외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마개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양단이 와인딩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일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탄성부의 양단이 와인딩되면서 상기 마개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마찰부; 및 상기 탄성부의 타측면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상기 마개를 개폐할시 상기 사용자의 손에 밀착되는 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탄성부는, 폭방향 일측면으로 만곡되는 라운드면이 형성되고, 상기 폭방향 일측면으로 상기 외력이 가해질시, 상기 라운드면이 폭방향 타측면으로 만곡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상기 탄성복원력이 발생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랩밴드 오프너는 효율적으로 용기의 뚜껑을 개폐가능하게 하여 근력이 약한 노약자들도 용기의 내용물을 쉽게 음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체의 일방향 감기려고 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용기의 뚜껑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부피가 작아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고, 구성이 단순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용기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제작 시간 및 단가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랩밴드 오프너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마찰부에 마찰돌기가 형성된 슬랩밴드 오프너의 사시도 및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마찰부 및 파지부에 마찰돌기 및 결속홈이 형성된 슬랩밴드 오프너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후크가 구비된 슬랩밴드 오프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슬랩밴드 오프너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슬랩밴드 오프너가 직경이 작은 용기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일부가 간략하거나 과장되게 표현되었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도시되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더불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랩밴드 오프너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마찰부에 마찰돌기가 형성된 슬랩밴드 오프너의 사시도 및 사용 상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마찰부 및 파지부에 마찰돌기 및 결속홈이 형성된 슬랩밴드 오프너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에 후크가 구비된 슬랩밴드 오프너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슬랩밴드 오프너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슬랩밴드 오프너가 직경이 작은 용기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랩밴드 오프너(10)는,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마개(C)를 개폐시키는 슬랩밴드 오프너(10)에 있어서, 외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마개(C)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양단이 와인딩되는 탄성부(100); 탄성부(100)의 일측면에 구비되되, 탄성부(100)의 양단이 와인딩되면서 마개(C)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마찰부(200); 및 탄성부(100)의 타측면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마개(C)를 개폐할시 사용자의 손에 밀착되는 파지부(30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랩밴드 오프너(10)는 탄성부(100), 마찰부(200) 및 파지부(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탄성부(100)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탄성부(100)는 외부 충격이나 외력에 의하여 탄성복원력이 발생하는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즉, 이러한 탄성부(100)는 외부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이나 외부 힘에 의하여 발생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마개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양단이 와인딩(Winding)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탄성부(100)의 구조에 관한 일예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탄성부(100)는 폭방향 일측면으로 만곡되는 라운드면(110)이 형성되고, 폭방향 일측면으로 외력이 가해질시, 라운드면(110)이 폭방향 타측면으로 만곡되면서 길이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이 발생한다.
즉, 탄성부(100)는 일정한 폭과 일정한 길이를 갖는 탄성체로 제공된다. 또한, 탄성부(100)는 폭방향 일측면으로 만곡되는 라운드면(110)을 갖는 탄성체로 제공된다. 이러한 라운드면(110)은, 탄성부(100)가 폭방향 일측면으로 만곡되어 탄성부(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라운드면(110)은 탄성부(100)의 폭방향 중앙에 볼록하게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라운드면(110)은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외부 충격이나 외부 힘이 가해질 경우 폭방향 타측으로 만곡된다. 이때, 탄성부(100)는 라운드면(110)이 폭방향 타측으로 만곡되면서 길이방향으로 발생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마개(C)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양단이 둥글게 와인딩된다.
상기와 같은 탄성부(100)는 탄성력을 갖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제공되어, 펼쳐진 상태에서는 탄성력이 소멸되고, 펼쳐진 상태에서 라운드면(110)에 외부 충격이나 외부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양단이 일방향으로 감기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어서, 마찰부(200)는 탄성부(100)의 일측면에 구비된다. 또한, 마찰부(200)는 탄성부(100)의 양단이 와인딩되면서 마개(C)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마찰부(200)는 본딩, 접착제 등의 다양한 접착 수단을 통하여 탄성부(100)의 라운드면(110)에 접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마찰부(200)는 후술할 파지부(300)와 탄성부(100)의 전체를 감싸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마찰부(200)는 소정에 두께를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마찰부(200)는 마개(C)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경우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탄성부(100)와 대응되도록 탄성부(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찰부(200)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적어도 1이상 형성되되, 마개(C)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마찰돌기(21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찰부(200)는 탄성부(100)가 마개(C)를 둘러싸며 와인딩되는 경우, 마개(C)의 외주면에 맞닿아 마개(C)와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마찰돌기(210)가 형성된다.
이러한 마찰돌기(210)는 마찰부(200)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마찰돌기(210)는 마찰부(200)의 외주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찰돌기(210)는 마찰부(200)의 폭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마찰돌기(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끝단이 둥글게 라운드져 마찰부(200)의 폭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찰돌기(21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에서 보았을 때, 원, 타원, 마름모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비록 도면상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마찰돌기(210)는 마찰부(200)로부터 끝이 뾰족하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마찰돌기(210)는 마찰부(200)로부터 끝이 뾰족하게 돌출형성되어 마개(C)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홈(미도시)에 일부가 삽입되어 마개(C)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파지부(300)는 탄성부(100)의 타측면에 구비된다. 파지부(300)는 사용자가 마개(C)를 개폐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에 밀착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파지부(300)는 상술한 마찰부(200)와 동일하게 본딩, 접착제 등의 다양한 접착 수단을 통하여 탄성부(100)의 타측면에 접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파지부(300)는 상술한 마찰부(200)와 동일하게 소정에 두께를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파지부(300)는 사용자가 마개(C)를 개폐하기 위하여 손으로 파지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파지부(300)는 탄성부(100)와 대응되도록 탄성부(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파지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 없는 평면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주면에 다수의 굴곡(미도시)이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굴곡(미도시)은 사용자가 마개(C)를 개폐할 경우, 사용자의 손이 파지부(300)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지부(300)는 마찰부(200)가 마개의 외주면에 밀착될 경우, 마찰돌기(210)가 삽입되는 결속홈(310)이 적어도 1이상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지부(300)는 탄성부(100)가 마개(C)를 둘러싸며 와인딩되는 경우, 탄성부(100)의 일단에 탄성부(100)의 타단이 고정되도록 마찰돌기(210)가 삽입되는 결속홈(310)이 형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파지부(300)에는 탄성부(100)가 마개(C)를 감싸면서 탄성부(100)의 일단이 탄성부(100)의 타단에 포개지는 경우, 마찰돌기(210)가 삽입되는 결속홈(310)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속홈(310)은, 파지부(300)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결속홈(310)은 파지부(300)의 외주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속홈(310)은 파지부(300)의 폭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결속홈(310)은 마찰돌기(2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마찰돌기(210)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결속홈(310)은 마찰돌기(210)가 삽입됨으로써, 마개(C)에 마찰돌기(210)가 보다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하고, 마개(C)의 외주면으로부터 탄성부(1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슬랩밴드 오프너(10')는 일단이 탄성부(100)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사용자가 마개(C)를 회전시키는 경우 사용자 손의 일부가 걸리도록, 일단으로부터 타단이 둥글게 절곡되는 후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크(400)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후크(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단이 탄성부(100)의 일단에 결합되는데, 핀, 리벳, 나사 등과 같은 다양한 결합수단을 통하여 탄성부(100)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후크(400)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이 둥글게 절곡되어 사용자가 슬랩밴드 오프너(10')를 이용하여 마개(C)를 개폐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의 일부가 걸리는 구조로 제공된다.
또한, 후크(400)는 탄성부(10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용기의 마개(C)를 개폐할 경우, 사용자의 손의 일부가 걸리는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하기 위함이다. 즉, 사용자는 슬랩밴드 오프너(10')를 이용하여 마개(C)를 일방향 회전시키거나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슬랩밴드 오프너(10)를 마개(C)에 재설치할 필요없이 후크(400)를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후크는(400) 고리 형태로 제공되어 실내공간의 벽면에 설치된 못이나 고리(hook) 등에 걸수 있음에 따라, 본 발명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탄성부(100)에 후크(400)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마찰부(200)에 마찰돌기(210)가 형성되고, 파지부(300)에 결속홈(310)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한 본 발명은 마찰부(200) 및 파지부(300)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용기의 마개(C)를 개폐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부피가 작아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고, 구성이 단순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용기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제작 시간 및 단가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직경이 작은 마개(C')에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용량이 적은 유리병의 음료를 음용할 경우, 마개(C')의 면적 및 직경이 작아 힘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마개(C')의 외주면에 복수번 감겨 마개(C')의 직경 및 사용자의 손에 밀착되는 면적을 늘림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음료를 쉽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슬랩밴드 오프너
100 : 탄성부
110 : 라운드면
200 : 마찰부
210 : 마찰돌기
300 : 파지부
310 : 결속홈
400 : 후크

Claims (4)

  1.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마개를 개폐시키는 오프너에 있어서,
    외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마개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양단이 와인딩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일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탄성부의 양단이 와인딩되면서 상기 마개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마찰부; 및
    상기 탄성부의 타측면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상기 마개를 개폐할시 상기 사용자의 손에 밀착되는 파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랩밴드 오프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폭방향 일측면으로 만곡되는 라운드면이 형성되고, 상기 폭방향 일측면으로 상기 외력이 가해질시, 상기 라운드면이 폭방향 타측면으로 만곡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상기 탄성복원력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랩밴드 오프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적어도 1이상 형성되되, 상기 마개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마찰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랩밴드 오프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마찰부가 상기 마개의 외주면에 밀착될시, 상기 마찰돌기가 삽입되는 결속홈이 적어도 1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랩밴드 오프너.
KR1020160110537A 2016-08-30 2016-08-30 슬랩밴드 오프너 KR201800244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537A KR20180024402A (ko) 2016-08-30 2016-08-30 슬랩밴드 오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537A KR20180024402A (ko) 2016-08-30 2016-08-30 슬랩밴드 오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402A true KR20180024402A (ko) 2018-03-08

Family

ID=61725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537A KR20180024402A (ko) 2016-08-30 2016-08-30 슬랩밴드 오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44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040B1 (ko) * 2018-04-27 2019-09-24 주식회사 명인정밀 다기능 줄자
US20210316976A1 (en) * 2020-04-10 2021-10-14 Reaction Items LLC Closure open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040B1 (ko) * 2018-04-27 2019-09-24 주식회사 명인정밀 다기능 줄자
US20210316976A1 (en) * 2020-04-10 2021-10-14 Reaction Items LLC Closure opener
US12043530B2 (en) * 2020-04-10 2024-07-23 Reaction Items LLC Closure ope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8158B1 (en) Self-closing cap for a bottle
US7069815B1 (en) Container opener
US20160213889A1 (en) Guidewire clamp and introducer
US20170239074A1 (en) Ostomy pouch vent and method of venting an ostomy pouch
KR101039990B1 (ko) 스크류캡 개폐 보조기구
US10279965B2 (en) Lid comprising drinking closure for a drinking vessel
JP2013227079A (ja) 閉塞具及びボトル
KR20180024402A (ko) 슬랩밴드 오프너
TW201433314A (zh) 改良式瓶子
EP2298692A1 (en) Container lid opener
US20220185644A1 (en) Ergonomic Flexible Grip Container Opener
JPH09183490A (ja) ネジ蓋開け具
JP2012081975A (ja) 飲料容器用オープナー
KR101509541B1 (ko) 밴드형 오프너
WO2010056071A2 (ko) 개폐가 용이한 용기 캡
KR100557018B1 (ko) 오프너
KR200382937Y1 (ko) 오프너
JP5798152B2 (ja) キャップオープナー
JP3015529U (ja) スクリュー式キャップの開閉工具
JP2012006657A (ja) 飲料缶
KR102321054B1 (ko) 돌려서 여는 마개를 개방하기 위한 롤 타입 오프너
KR200389939Y1 (ko) 바틀 오프너
KR200488299Y1 (ko) 병마개 오프너
JP2000079989A (ja) 栓開封用治具
JP2007050929A (ja) オープ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