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258A - 손가락 빨기 교정기구 - Google Patents

손가락 빨기 교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4258A
KR20180024258A KR1020160110117A KR20160110117A KR20180024258A KR 20180024258 A KR20180024258 A KR 20180024258A KR 1020160110117 A KR1020160110117 A KR 1020160110117A KR 20160110117 A KR20160110117 A KR 20160110117A KR 20180024258 A KR20180024258 A KR 20180024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dy
band
thumb
finger
su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5517B1 (ko
Inventor
김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비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비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비유
Priority to KR1020160110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517B1/ko
Priority to PCT/KR2017/009402 priority patent/WO2018044023A1/ko
Priority to CN201780051033.0A priority patent/CN109640898A/zh
Priority to US16/329,191 priority patent/US20190240064A1/en
Publication of KR20180024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0Devices for preventing finger-suc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몸체의 상부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엄지손가락이 연결부를 기준으로 굽혀져, 개구부를 통해 전방방향으로 이탈가능한 손가락 빨기 교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손가락 빨기 교정기구 { Device for preventing thumb sucking }
본 발명은 손가락 빠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손가락 빨기 교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들은 누구나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손가락을 빠는 습관이 있으며, 연구에 의하면 손가락 빨기는 약 1세에서 40퍼센트, 5세 정도에서 20퍼센트, 10세에 5퍼센트의 어린이에게서 나타나는 버릇이라고 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손가락 빠는 버릇은 시간이 갈수록 점차 자연히 사라지지만 늦게까지 계속되는 경우도 있다. 이때 손가락을 빠는 습관은 턱뼈와 치아의 기형을 유발할 수 있고, 음식을 씹고 숨쉬는 것에 대한 지장 초래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얼굴형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영유아는 손가락을 빠는 것을 통해 기쁨이나 따뜻함, 만족감, 긴장감이 없는 편안함을 경험하며, 두려움을 느끼거나 배가 고플 때, 졸릴 때 혹은 불쾌할 때 등 여러 불만을 충족시키기 위해 손가락을 빨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지나치게 손가락 빠는 것을 제한하는 경우에는 유아에게 심리적으로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으로, 유아에게 심리적인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면서도 손가락 빠는 것이 지속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여러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도록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전통적으로 일반 가정에서 손가락 빠는 버릇을 교정하기 위해서, 손가락에 반창고 등을 감싸는 방법, 손가락에 쓴맛이 나는 약을 발라놓는 방법, 고무젖꼭지를 대용하는 방법, 취침 중에 장갑과 같은 것을 씌워 놓는 방법 등 여러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유아에게 지나치게 스트레스를 주게 되거나 위생에 문제가 있는 등 소기의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손가락 빨기 습관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7090호에 기재된 손가락 빨기 방지 교정기(10)는, 도 1과 같이, 손가락 캡(20)과, 상기 손가락 캡(20)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손목밴드(30)와, 상기 손가락 캡(20)과 손목 밴드(30)를 연결하는 이음부(40)와, 상기 손가락 캡(20)의 일 측에 장착되는 손가락 고리(50)가 일체로 형성된다.
손가락 빨기 방지 교정기(10)는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이나 합성수지 등을 택일하여 손가락 캡(20), 손목 밴드(30), 이음부(40), 손가락 고리(50)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보관 및 세척 등의 용이한 장점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손가락 캡(20)은 영유아의 손가락이 내부공간(21)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면둘레에는 공기순환을 위하여 공기 통로(22)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손가락 캡(20)의 상부(23)는 내측을 향해 곡면이나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부(24)는 외측을 향해 곡면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손가락 캡(20)은 상부(23)를 내측을 향해 곡면지게 형성하여 영유아가 무리 없이 입안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하부(24)는 영유아의 손가락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곡면지게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손가락 캡은, 엄지손가락 빨기를 방지하기 위해, 엄지손가락의 첫마디 및 끝마디의 외주를 둘러싸므로, 유아가 엄지손가락의 끝마디를 첫마디에 대해 굽히며 손가락 캡의 외측으로 이탈시킬 수 없어 물건을 잡기도 어렵고, 불편함을 느끼기 쉽다. 그래서 아이의 손가락 활동을 저하시키고, 손가락을 통한 촉각 인지 기능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709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엄지손가락 빨기를 감소시켜 빠는 습관을 교정할 수 있는 동시에, 엄지손가락의 굽힘 동작이 보다 용이한 손가락 빨기 교정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손가락 빨기 교정기구는, 엄지손가락이 삽입되어 감싸지도록 하부가 개방된 커버몸체; 양단부가 상기 커버몸체의 전방 양측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몸체의 상부는, 상면과 후면이 폐쇄되는 폐쇄부가 형성되고 그 전면이 개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엄지손가락이 상기 연결부를 기준으로 굽혀져,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방방향으로 이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복수 개가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몸체의 하부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 제1밴드 및 제2밴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밴드의 일단부가, 상기 제2밴드에 형성된 삽입구에 삽입되어 서로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몸체의 내부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밴드 및 상기 제2밴드의 내측면까지 연장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몸체의 외부 양측면에 돌출 형성된 측방돌출부, 또는 상기 커버몸체의 외부 후방면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후방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방돌출부 및 상기 후방돌출부는 하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집게손가락 또는 가운뎃손가락이 감싸지도록 형성된 보조커버몸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커버몸체의 하부에서 연장 형성된 제3밴드 및 제4밴드에는 고리부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밴드 및 상기 제2밴드는, 상기 고리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삽입되어, 제3밴드 및 제4밴드와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엄지손가락 빨기를 감소시켜 빠는 습관을 교정할 수 있는 동시에, 엄지손가락이 커버몸체의 전방으로 이탈되도록 굽힘 가능하여 엄지손가락의 움직임이 편하고, 유아가 물건 등을 잡는 동작이 용이하다. 그래서 엄지손가락의 촉각 인지 기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는 복수 개가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더 적은 면적을 커버하면서, 더 큰 범위의 상하 폭에 대해 엄지손가락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밴드의 일단부가 제2밴드의 삽입구에 삽입되어 체결됨으로, 커버몸체를 용이하게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부가 형성된 부분은 커버몸체의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께가 두꺼워 인장강도가 더 강하므로, 쉽게 늘어나는 것이 방지되어, 엄지손가락이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되고,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제품이 늘어나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가 손등 또는 손바닥에 접촉되면(선접촉 되면), 커버몸체, 제1밴드 및 제2밴드의 다른 부분이 유아의 손등 또는 손바닥에 상대적으로 덜 접촉될 수 있어, 외부 공기 유입이 잘 되고, 통풍이 보다 잘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측방돌출부 및 후방돌출부를 통해, 커버몸체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엄지손가락 대신 돌출된 측방돌출부 및 후방돌출부를 빨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밴드와 제3밴드가 서로 체결될 수 있고, 제2밴드와 제4밴드가 서로 체결될 수 있어, 집게손가락 또는 가운뎃손가락이 감싸지도록 형성된 보조커버몸체와, 커버몸체를 서로 혼용하여 사용하기 용이하다.
도 1은 종래의 손가락 빨기 교정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손가락 빨기 교정기구를 나타낸 사시도(보조커버몸체 제외).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제1밴드 및 제2밴드가 서로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손에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보조커버몸체의 사시도.
도 7은 커버몸체와 보조커버몸체가 서로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후면도.
도 8은 손가락 빨기 교정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보조커버몸체 제외).
도 9는 도 8의 측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아래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빨기 교정기구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엄지손가락(200)이 삽입되어 감싸지도록 하부가 개방된 커버몸체(100);와, 양단부가 커버몸체(100)의 전방 양측에 연결되는 연결부(122a,122b)를 포함하되, 커버몸체(100)의 상부는, 상면(112)과 후면(113)이 폐쇄되는 폐쇄부(110)가 형성되고 그 전면이 개방되는 개구부(115)가 형성되며, 엄지손가락(200)이 연결부(122a)를 기준으로 굽혀져, 개구부(115)를 통해 전방방향으로 이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커버몸체(100)의 양측 하부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 제1밴드(130) 및 제2밴드(140)를 더 포함한다.
커버몸체(100)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하부 및 전방부(101)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수평 단면은 전방이 개방된 반원 형상을 이루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래서 커버몸체(100)의 내부에는 엄지손가락(20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도 5와 같이 엄지손가락(200)과, 손바닥 및 손등의 일부가 삽입되어 감싸질 수 있다. 커버몸체(100)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어, 유연하다.
한편, 커버몸체(100)의 상부는, 상면(112) 및 후면(113)이 폐쇄되는 폐쇄부(110)가 형성되고, 그 전면이 개방되는 개구부(115)가 형성된다.
커버몸체(100)의 상부의 후면(113)은, 후방으로 볼록한 곡선면으로 형성되어 수평 단면은 전방이 개방된 반원 형상을 이룬다. 커버몸체(100)의 상부의 후면(113)은, 커버몸체(100)의 중앙부의 후면(105) 상단에 연결되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커버몸체(100)의 상부 후면(113)의 내부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작게 형성된다. 커버몸체(100)의 상부의 후면(113) 내부에는, 도 5와 같이 손톱이 형성된, 엄지손가락(200)의 끝마디(204)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커버몸체(100)의 상부의 후면(113)은, 엄지손가락(200)의 끝마디(204)의 바깥측을 커버한다. 커버몸체(100)의 상부의 내부 폭은, 커버몸체(100)의 중앙부의 내부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커버몸체(100)의 상부 후면(113)의 상단에는, 곡선면으로 형성된 상면(112)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커버몸체(100)의 상부 상면(112)의 하단은, 커버몸체(100)의 상부 후면(113)의 상단에 연결된다. 또한, 커버몸체(100)의 상부의 상면(112)은, 상단 전방에 변곡점부(114)를 갖는다. 커버몸체(100)의 상부의 상면(112)은, 변곡점부(114)에서 좌우측 및 후방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진 곡선면으로 형성된다. 커버몸체(100)의 상부의 상면(112)에 의해, 도 5와 같이, 커버몸체(100)의 내부에 삽입된 엄지손가락(200)의 끝마디(204)의 상측이 커버되어 폐쇄될 수 있다.
한편, 폐쇄부(110)의 전방, 다시 말해 커버몸체(100)의 상부의 전면은 개방되어 개구부(115)가 형성된다. 개구부(115)는, 커버몸체(100)의 상부 후면(113)의 전방 및 상면(112)의 전방에 걸쳐 형성된다. 그래서 폐쇄부(110)의 내부에 삽입된 엄지손가락(200)의 끝마디(204)는, 첫마디(202)에 대해 전방으로 굽혀져, 개구부(115)를 통해 커버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엄지손가락(200)의 끝마디(204)는 개구부(115)를 통해 커버몸체(100)의 전방방향으로 이탈가능하다.
또한, 커버몸체(100)에는 내외측이 연통되도록 다수 개의 통공(120)이 관통 형성된다. 통공(120)은 장공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커버몸체(100)의 전방 양측에는 연결부(122a,122b)의 양단부가 연결된다. 연결부(122a,122b)는 전방으로 볼록한 곡선 형태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커버몸체(100)의 중앙부의 전방 양측에 연결된다. 다시 말해, 커버몸체(100)의 중앙부의 후면(105)의 전방 양측에, 연결부(122a,122b)의 양단부가 연결된다. 연결부(122a,122b)는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어, 수평 단면은 후방이 개방된 반원 형상을 이룬다.
연결부(122a,122b)는, 커버몸체(100)의 개방된 전방부(101)의 일부를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도 5와 같이, 커버몸체(100)의 내부에 엄지손가락(200)이 삽입되면, 엄지손가락(200)의 첫마디(202)의 내측을 커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부(122a,122b)는 복수 개가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22a,122b)는 상측에 형성된 제1연결부(122a)와, 하측에 형성된 제2연결부(122b)를 포함한다. 그래서 엄지손가락(200) 내측의 더 적은 면적을 커버하면서, 더 큰 범위의 상하 폭에 대해 엄지손가락(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커버몸체(100)의 내부에 유아의 엄지손가락(200)이 삽입되면, 커버몸체(100)의 상부, 다시 말해 폐쇄부(110)의 내부에 엄지손가락(200)의 끝마디(204)가 위치되고, 커버몸체(100)의 중앙부에 엄지손가락(200)의 첫마디(202)가 위치된다. 다시 설명하면, 개구부(115)의 내측에 엄지손가락(200)의 끝마디(204)가 위치되고, 연결부(122a,122b)의 내측에 엄지손가락(200)의 첫마디(202)가 위치된다. 그래서, 유아는 엄지손가락(200)이 연결부(122a,122b), 보다 자세하게는 제1연결부(122a)를 기준으로 굽혀져, 개구부(115)를 통해 전방방향으로 이탈가능하다. 엄지손가락(200)은 끝마디(204)가 첫마디(202)에 대해 전방으로 굽혀짐으로써, 제1연결부(122a)를 기준으로 굽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엄지손가락(200)의 바깥측 및 상측을 커버할 수 있으므로, 엄지손가락(200) 빨기를 감소시켜 빠는 습관을 교정할 수 있는 동시에, 엄지손가락(200)이 커버몸체(100)의 전방으로 이탈되도록 굽힘 가능하여 엄지손가락(200)의 움직임이 편하다. 그래서 유아가 불편함을 덜 느끼고, 물건 등을 잡는 동작이 용이하며, 엄지손가락(200)의 촉각 인지 기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종래의 교정기구들은 엄지손가락(200)의 끝마디(204)가 외측으로 이탈되도록 굽힐 수가 없었다. 다시 말해, 엄지손가락(200)의 첫마디(202) 및 끝마디(204)의 외주를 둘러싸므로, 유아가 엄지손가락(200)의 끝마디(204)를 첫마디(202)에 대해 굽히며 교정기구의 외측으로 이탈시킬 수 없어 물건을 잡기도 어렵고, 불편함을 느끼기 쉬웠다. 그래서 유아의 엄지손가락(200)의 동작을 방해하고, 손가락을 통한 촉각 인지 기능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커버몸체(100)의 하부 전방 양측에는 제1밴드(130) 및 제2밴드(140)가 연장 형성된다. 또한, 제1밴드(130) 및 제2밴드(140)의 후방 상부에는, 상면이 후방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진 경사부(150)를 각각 포함한다.
한편, 커버몸체(100)의 내부 양측면에 선상(線狀)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밴드(130) 및 제2밴드(140)의 내측면까지 연장 형성된 돌출부(152)를 포함한다. 돌출부(152)는, 경사부의 내측면을 따라 곡선 형태로 구부러져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전방 방향으로는 제1밴드(130) 및 제2밴드(140)의 상부 내측까지 연장 형성되고, 후방 방향으로는 커버몸체(100)의 내부의 양측 전단부를 따라 연장되어, 제2연결부(122b)의 하부까지 연장 형성된다. 실리콘 재질인 커버몸체(100)에서 돌출부(152)가 형성된 부분은, 커버몸체(100)의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께가 두꺼워 인장강도가 더 강하므로, 쉽게 늘어나는 것이 방지되어, 커버몸체(100)의 상부 내부에 삽입된 엄지손가락(200)이 하부로 쉽게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제품이 늘어나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아의 손에, 손가락 빨기 교정기구 착용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152)가 손등 또는 손바닥에 접촉되면(선접촉 되면), 커버몸체(100), 제1밴드(130) 및 제2밴드(140)의 다른 부분이 유아의 손등 또는 손바닥에 상대적으로 덜 접촉될 수 있어, 외부 공기 유입이 잘 되고, 통풍이 보다 잘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제1밴드(130)와 제2밴드(140)는, 제1밴드(130)의 일단부가, 제2밴드(140)에 형성된 삽입구(142)에 삽입되어 서로 체결될 수 있다(도 2 및 도 4 참고).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1밴드(130)는, 커버몸체(100)의 하부 전방 일측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또한, 제1밴드(130)의 일단부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134)와, 연장부의 단부에서 구형으로 돌출된 체결수단(132)을 포함한다. 체결수단(132)의 상하 및 좌우 폭은, 연장부(134)보다 크다. 체결수단(132)은 제2밴드(140)의 삽입구(142)에 강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밴드(140)는 단부에 체결고리(143)가 형성된다. 체결고리(143)의 내부에는 제1밴드(130)의 일단부, 다시 말해 체결수단(132)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된 구멍(144)이 형성된다. 또한, 제2밴드(140)에는 체결수단(132)이 강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삽입구(142)가 관통 형성된다. 삽입구(142)는 제2밴드(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어 일정간격 이격된다.
제1밴드(130)는, 도 4와 같이, 체결수단(132)이 체결고리(143)의 구멍(144)을, 제2밴드(140)의 바깥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관통한 후, 삽입구(142)를 제2밴드(140)의 내측에서 바깥측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강제 삽입됨으로써,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체결됨으로써, 유아가 스스로 제1밴드(130) 및 제2밴드(140)의 체결을 쉽게 풀지 못할 수 있다.
구형으로 형성된 체결수단(132)의 폭(직경)은, 삽입구(142)의 내부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삽입구(142)의 내부 폭이 커지며 벌어지도록 밀면서 강제 삽입될 수 있다. 체결수단(132)이 삽입되는 삽입구(142)의 위치에 따라 체결된 제1밴드(130) 및 제2밴드(14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제2밴드(140)는 제1밴드(130)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몸체(100)의 하부 내부에는, 도 5와 같이, 엄지손가락(200) 하부에 위치하는 손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고, 제1밴드(130)는 손바닥의 하부 또는 손목을 두르고, 제2밴드(140)는 손등 또는 손목의 바깥측을 두른 후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제1밴드(130) 및 제2밴드(140)의 체결을 통해 커버몸체(100)가 엄지손가락(200)에 씌워진 상태로 용이하게 위치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과 같이, 손가락 빨기 교정기구는, 집게손가락 또는 가운뎃손가락이 감싸지도록 형성된 보조커버몸체(160)를 더 포함한다. 보조커버몸체(160)는 집게손가락 및 가운뎃손가락이 삽입되어 감싸질 수 있도록 형성된 중공의 원통부(161)를 두 개 포함한다. 원통부의 전방 및 후방에는 각각 개구(161a)가 복수 개 형성된다.
보조커버몸체(160)의 하부에서 제3밴드(162) 및 제4밴드(166)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3밴드(162) 및 제4밴드(166)의 외측에는 고리부(163)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고리부(163)의 내부에는, 제1밴드(130) 및 제2밴드(140)가 관통되어 삽입될 수 있는 공간(164)이 형성된다. 각각의 고리부(163)에는 공간(164)이 상하 방향으로 구획되어 복수 개 형성된다.
도 7과 같이, 제1밴드(130)는 고리부(163) 내부의 공간(164,도 6 참고)을 관통하여 제3밴드(162)와 서로 체결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2밴드(140)도 제4밴드(166)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그래서 집게손가락 또는 가운뎃손가락이 감싸지도록 형성된 보조커버몸체(160)와, 커버몸체(100)를 함께 혼용하여 사용하기 용이하다.
한편, 도 8 및 도 9에는 손가락 빨기 교정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도 8 및 도 9의 손가락 빨기 교정기구는, 커버몸체(100)의 외부 양측면에 돌출 형성된 측방돌출부(220)와, 커버몸체(100)의 외부 후방면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후방돌출부(230)를 더 포함한다. 측방돌출부(220)는 커버몸체(100)의 외부 양측면에 형성되되, 측방돌출부(220)의 상부는 제2연결부(122b)의 양측 단부에 접하는 지점에 형성된다. 또한, 후방돌출부(230)는 커버몸체(100)의 외부 후방면에서 하부에 형성된다.
측방돌출부(220) 및 후방돌출부(230)는, 각각 삼각 형상의 상어 지느러미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측방돌출부(220) 및 후방돌출부(230)를 통해, 커버몸체(100)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유아가 엄지손가락(200) 대신 돌출된 측방돌출부(220) 및 후방돌출부(230)를 빨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커버몸체 101: 전방부
105: 후면(커버몸체의 중앙부) 110: 폐쇄부
112: 상면(커버몸체의 상부) 113: 후면(커버몸체의 상부)
114: 변곡점부 115: 개구부
120: 통공 122a: 제1연결부
122b: 제2연결부 130: 제1밴드
132: 체결수단 140: 제2밴드
142: 삽입구 143: 체결고리
144: 구멍 150: 경사부
152: 돌출부 160: 보조커버몸체
161: 원통부 161a: 개구
162: 제3밴드 163: 고리부
164: 공간 166: 제4밴드
200: 엄지손가락 202: 첫마디
204: 끝마디 220: 측방돌출부
230: 후방돌출부

Claims (6)

  1. 엄지손가락이 삽입되어 감싸지도록 하부가 개방된 커버몸체;
    양단부가 상기 커버몸체의 전방 양측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몸체의 상부는, 상면과 후면이 폐쇄되는 폐쇄부가 형성되고 그 전면이 개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엄지손가락이 상기 연결부를 기준으로 굽혀져,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방방향으로 이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빨기 교정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복수 개가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빨기 교정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몸체의 하부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 제1밴드 및 제2밴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밴드의 일단부가, 상기 제2밴드에 형성된 삽입구에 삽입되어 서로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빨기 교정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버몸체의 내부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밴드 및 상기 제2밴드의 내측면까지 연장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빨기 교정기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버몸체의 외부 양측면에 돌출 형성된 측방돌출부, 또는 상기 커버몸체의 외부 후방면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후방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방돌출부 및 상기 후방돌출부는 하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빨기 교정기구.
  6. 청구항 3에 있어서,
    집게손가락 또는 가운뎃손가락이 감싸지도록 형성된 보조커버몸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커버몸체의 하부에서 연장 형성된 제3밴드 및 제4밴드에는 고리부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밴드 및 상기 제2밴드는, 상기 고리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삽입되어, 제3밴드 및 제4밴드와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빨기 교정기구.

KR1020160110117A 2016-08-29 2016-08-29 손가락 빨기 교정기구 KR101925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117A KR101925517B1 (ko) 2016-08-29 2016-08-29 손가락 빨기 교정기구
PCT/KR2017/009402 WO2018044023A1 (ko) 2016-08-29 2017-08-29 손가락 빨기 교정기구
CN201780051033.0A CN109640898A (zh) 2016-08-29 2017-08-29 手指吮吸校正机构
US16/329,191 US20190240064A1 (en) 2016-08-29 2017-08-29 Thumb sucking correction mechanis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117A KR101925517B1 (ko) 2016-08-29 2016-08-29 손가락 빨기 교정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258A true KR20180024258A (ko) 2018-03-08
KR101925517B1 KR101925517B1 (ko) 2018-12-05

Family

ID=61301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117A KR101925517B1 (ko) 2016-08-29 2016-08-29 손가락 빨기 교정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90240064A1 (ko)
KR (1) KR101925517B1 (ko)
CN (1) CN109640898A (ko)
WO (1) WO201804402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598B1 (ko) 2018-11-05 2019-06-10 윤종희 손가락 빨기 교정용 스티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792Y1 (ko) 2021-04-27 2023-04-27 (주)실리만 엄지손가락 빨기 교정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33037A (en) * 1926-12-11 1927-06-21 Hazel B Rood Thumb-sucking preventive for babies
US1990384A (en) * 1934-01-19 1935-02-05 Lena M Klohs Infant's thumb or finger guard
US4665907A (en) * 1985-12-11 1987-05-19 Leverette Charles R Apparatus for inhibiting digit sucking
US5515870A (en) 1990-04-23 1996-05-14 Zilber; Eugene A. Thumb and finger sucking prevention device
KR200472088Y1 (ko) * 2012-05-07 2014-04-07 김종석 손가락 빨기 교정기
NL2010497C2 (en) * 2013-03-21 2014-09-24 Pieter Casper Smit Finger protection device.
KR101415530B1 (ko) * 2013-04-03 2014-07-04 김종석 손가락 빨기 방지구
KR20150019340A (ko) * 2013-08-13 2015-02-25 김을수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
DE102014211257A1 (de) * 2014-06-12 2015-12-1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Gelenkorthese
KR20160046084A (ko) * 2014-10-20 2016-04-28 이석진 손가락 빨기 방지 교정기
DE202014008445U1 (de) * 2014-10-22 2014-12-03 Heiko Strohbach Vorrichtung zum Verhindern des Daumenlutschens bzw.-Nuckelns für Kleinkinder
FR3031896A1 (fr) * 2015-01-27 2016-07-29 Yann Sivy Dispositif de maintien et/ou de protection de doigts ou d'orteils
KR101683380B1 (ko) 2015-06-08 2016-12-06 양수정 손가락 빨기 교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598B1 (ko) 2018-11-05 2019-06-10 윤종희 손가락 빨기 교정용 스티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517B1 (ko) 2018-12-05
US20190240064A1 (en) 2019-08-08
WO2018044023A1 (ko) 2018-03-08
CN109640898A (zh) 201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7831B2 (en) Lip closing tool
RU2619339C2 (ru) Соска
US11291905B2 (en) Interchangeable mouth shield
JP3213065U (ja) マスクホルダー
JP5291391B2 (ja) 乳頭保護具
US4665907A (en) Apparatus for inhibiting digit sucking
KR101925517B1 (ko) 손가락 빨기 교정기구
US8186356B2 (en) Mouth guard
US20100081106A1 (en) Orthodontic implement removably attached to lip protector
KR102129363B1 (ko)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
CN205411137U (zh) 护牙内窥镜咬口器
JP2008178436A (ja) 外反母趾矯正具
KR20150019340A (ko)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
WO2004004496A1 (ja) 靴下
US20080172089A1 (en) Pacifier with integral protective nipple housing
US20220110782A1 (en)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KR101935690B1 (ko) 손목밴드를 구비한 치아발육기
JP6225627B2 (ja) 内視鏡用マウスピース
KR200301232Y1 (ko)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
KR200496792Y1 (ko) 엄지손가락 빨기 교정기
KR101976272B1 (ko) 손목에 착용한 상태로 다방향 물림이 가능한 상부 개방형 치아발육기
KR101254562B1 (ko) 유아의 손가락 구강삽입 방지구
EP1933802B1 (en) Soother
JP4704705B2 (ja) おしゃぶり
KR200170265Y1 (ko) 유아용 골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