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3535A - 스탠드형 전완근 단련기 - Google Patents

스탠드형 전완근 단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3535A
KR20180023535A KR1020160109063A KR20160109063A KR20180023535A KR 20180023535 A KR20180023535 A KR 20180023535A KR 1020160109063 A KR1020160109063 A KR 1020160109063A KR 20160109063 A KR20160109063 A KR 20160109063A KR 20180023535 A KR20180023535 A KR 20180023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stand
exercise intensity
adjusting mechanism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7263B1 (ko
Inventor
남국현
Original Assignee
엔에이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9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263B1/ko
Publication of KR20180023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3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alternators or dynamo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1Exercise devices having computer circui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탠드에 고정되어 안정된 상태로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운동자가 요구하는 운동부하를 용이하게 자동으로 설정하여 전완근 운동을 할 수 있는 스탠드형 전완근 단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탠드형 전완근 단련기는 스탠드와, 스탠드의 상측에 구비된 단련기 본체와, 단련기 본체의 내부에 밀착하여 마찰력을 부여하는 베어링과, 베어링의 내부에서 운동자의 운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축과, 단련기 본체에 설치되어 베어링의 마찰력을 조절함에 따라 운동 강도를 조절하는 제1운동강도 조절기구와, 단련기 본체에 설치되어 단련기 본체에 하중을 추가로 부여하는 중량부와, 중량부의 중량체의 위치를 변화시킴에 따라 운동강도를 조절하는 제2운동강도 조절기구와, 제1운동강도 조절기구와 제2운동강도 조절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운동강도와 운동량 및 운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스탠드형 전완근 단련기에 의하면, 스탠드에 고정되어 안정된 상태로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운동자가 요구하는 운동부하를 용이하게 자동 설정하여 전완근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운동자의 운동량 및 운동상태를 파악하기가 용이하며 별도의 외부전원이 없이 운동부하 설정과 운동량 및 운동상태 표시를 하며 작동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탠드형 전완근 단련기{Forearm Trainer of Stand Type}
본 발명은 스탠드형 전완근 단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탠드에 고정되어 안정된 상태로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운동자가 요구하는 운동부하를 용이하게 설정하여 전완근 운동을 할 수 있는 스탠드형 전완근 단련기에 관한 것이다.
전완근(Forearm)은 사람이 일상생활과 운동을 즐기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신체부위로, 전완근이 단련되면 팔의 힘과 손잡이를 움켜쥐는 힘이 강화되어 일상 생활과 운동 시에 부상 방지와 운동의 목표를 쉽게 달성할 수 있으므로 많은 사람들이 운동으로 전완근을 단련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전완근을 단련하는 데는 여러가지 방법들이 있지만, 일정 길이의 봉에 줄을 묶고, 줄의 끝단에 추를 매달아 양 손을 번갈아가면서 줄을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리는 '추감기'방식의 운동기구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추감기 운동기구는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도록 휴대하기가 불편하고 운동 강도의 표시와 운동량을 관리할 수 없으며 흥미를 돋울 수 없으므로 많은 사람들에게 보급되지 못하고 있었다.
전완근을 단련하기 위한 개선된 전완근 단련기로서, 한국공개특허 제2012-0006915호, 한국공개특허 제2013-0030048호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개선된 전완근 단련기는 줄을 제거하고 중량부를 결합하거나, 추를 봉의 특정위치에 위치시켜 회전자의 마찰조절자를 이용하여 중량부 또는 추를 전방 또는 후방의 특정각도에 마찰로 유지하는 방식의 단련기로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전완근 단련기의 일측부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전완근 단련기는 회전축(10)과, 회전축(10)의 외주연 중앙부를 감싸 고정되는 가이드(20)와, 가이드(20)의 외주연에 내주연이 밀착되어 가이드(20)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베어링(30)과, 베어링(30)의 외주연에 내주연이 밀착되어 베어링(30)의 마찰력을 결정하는 하우징(40), 및 하우징(40)의 일측에 장착되어서 회전축(10)이 회전할 때 하우징(40)의 회전방향에 대해 반발력을 갖게 하는 중량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축(10)의 양단에는 손잡이(11)가 삽입 고정되고, 하우징(40)의 외주연 일측에서 구심방향으로 절개되어 개구되고, 개구부로부터 조임수단(44)이 원심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다. 조임수단(44)에는 마찰조절수단 삽입홀(45)이 각각 형성되어서 마찰조절수단(46)을 관통시킨 후 너트(47)와 결합하고 이를 더욱 조임으로써 베어링(30)을 가압하거나 감압하여 베어링(30)이 가이드(20)에 제공하는 마찰력을 결정하게 된다.
중량부(50)는 하우징(40)의 일측에 슬라이딩 중량부(59a)가 관통된 봉(59)이 장착되어서, 슬라이딩 중량부(59a)의 위치에 따라 반발력을 조절하게 되는데, 봉(59)은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에 걸림턱이 슬라이딩 중량부(59a)의 홀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중량부(59a)의 홀에 나사산이 형성된 봉(59)의 일단을 통과시켜 관통시킨 후 하우징(40)에 나사결합하여 장착하게 되면 슬라이딩 중량부(59a)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봉(59)의 길이 내에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슬라이딩 중량부(59a)는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하우징(40)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할 수록 큰 반발력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때 적절한 위치에 슬라이딩 중량부(59a)가 위치하게 되면 슬라이딩 중량부(59a)에 형성된 고정홀을 통해 고정나사(59b)를 조여줌으로써 슬라이딩 중량부(59a)가 봉(59)에 견고히 고정되게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전완근 단련기는 운동시에 좌우측의 손잡이가 좌우 및 상하로 흔들리고 팔의 위치가 운동 시마다 변화되므로 운동효과를 높일 수 없고, 마찰력을 조절하거나 중량을 조절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운동자의 운동량을 파악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과 휴대용이라는 특징상 운동부하를 늘리기 위해 추의 중량을 중부하 또는 고부하로 늘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06915호(공개일: 2012.01.19.) 한국공개특허 제2013-0030048호(공개일: 2013.03.26.)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탠드 본체에 고정되어 안정된 상태로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운동자가 요구하는 운동부하를 용이하게 설정하여 전완근 운동을 할 수 있는 스탠드형 전완근 단련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동자의 운동량 및 운동상태를 파악하기가 용이하며 별도의 외부전원이 없이 운동부하 자동 설정과 운동량 및 운동상태 표시를 하며 작동시킬 수 있는 스탠드형 전완근 단련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스탠드형 전완근 단련기는 스탠드와, 스탠드의 상측에 구비된 단련기 본체와, 단련기 본체의 내부에 밀착하여 마찰력을 부여하는 베어링과, 베어링의 내부에서 운동자의 운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축과, 단련기 본체에 설치되어 베어링의 마찰력을 조절함에 따라 운동 강도를 조절하는 제1운동강도 조절기구와, 단련기 본체에 설치되어 단련기 본체에 하중을 추가로 부여하는 중량부와, 중량부의 중량체의 위치를 변화시킴에 따라 운동강도를 조절하는 제2운동강도 조절기구와, 제1운동강도 조절기구와 제2운동강도 조절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운동강도와 운동량 및 운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스탠드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연결되어 단련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 포스트부를 포함하며, 스탠드에는 운동자의 키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기구가 추가로 설치된다.
단련기 본체에는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전기를 발생하는 발전부가 추가로 구비된다.
스탠드 또는 단련기 본체에는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운동데이터를 무선기기에 송신하거나 무선기기의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가 추가로 구비된다.
제1운동강도 조절기구와 제2운동강도 조절기구는 제어모터 및 이송부재(스크류 등)에 의해 구동되는 기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스탠드형 전완근 단련기는 스탠드에 고정되어 안정된 상태로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운동자가 요구하는 운동부하를 용이하게 자동으로 설정하여 전완근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운동부하도 저부하, 중부하 및 고부하까지 선택가능하며, 운동자의 운동량 및 운동상태를 파악하기가 용이하며 별도의 외부전원이 없이 운동부하 설정과 운동량 및 운동상태 표시를 하며 작동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전완근 단련기의 일측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탠드형 전완근 단련기를 나타내는 입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탠드형 전완근 단련기의 제어부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탠드형 전완근 단련기를 나타내는 입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탠드형 전완근 단련기의 제어부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탠드형 전완근 단련기(100)는 스탠드(110)와, 단련기 본체(120)와, 베어링(130)과, 회전축(140)과, 제1운동강도 조절기구(150)와, 중량부(160)와, 제2운동강도 조절기구(170)와, 제어부(180)와, 표시부(190)를 포함한다.
스탠드(110)는 회전축(140)을 지지하여 설치되며, 운동시에 좌우측의 손잡이가 좌우 및 상하로 흔들리지 않게 하고 팔의 위치가 운동 시마다 변화되지 않게 하여 운동효과를 높이게 하며, 베이스(111)와, 베이스(111)에 연결되어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 포스트부(112)로 이루어진다. 베이스(111)에는 운동자의 키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기구(210)가 설치되는 한편, 배터리(220)가 내장된다.
지지 포스트부(112)는 베이스(111)에 고정된 하나의 기둥에서 상측으로 한 갈래 또는 두 갈래(본 실시예에서는 두 갈래)로 뻗어 그 상단의 일측부 또는 양측부(본 실시예에서는 양측부)가 베어링 메탈 하우징(304) 및 베어링 메탈(305)를 매개로 회전축(140)을 지지하게 되어 있다. 즉, 지지 포스트부(112)는 회전축(140)에 베어링 메탈(304)와 같은 축 받침 베어링이 마련되어 회전축(140)의 외주연을 감싸며, 베어링 메탈(304)은 베어링 메탈 하우징(305)내에 장착되어 이 베어링 메탈 하우징(305)을 지지한다.
지지 포스트부(112)의 중간에는 제어부(180)의 제어모듈이 설치된다. 높이 조절기구(210)는 이송모터 및 이송스크류로 이루어져,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이송모터가 작동함에 다라 이송스크류의 회동에 따라 지지 포스트부(112)를 승하강시키게 되어 있다. 배터리(220)는 충전식 배터리가 바람직하여, 후술하는 발전부(400)의 발전에 따라 충전되거나 외부 전원에 따라 충전되며, 베이스(111)에는 충전구(111a)가 형성되어 있다.
단련기 본체(120)는 스탠드(110)의 스탠드의 상측에 구비된다. 단련기 본체(120)의 후측에는 제1운동강도 조절기구(150)가 설치되고, 하측에는 중량부(160) 및 제2운동강도 조절기구(170)가 설치된다.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베어링(130)과 회전축(140)이 삽입된다.
단련기 본체(120)는 내부가 중공된 형태로서 중공부가 베어링(130)의 외주연에 밀착되게 삽입된다. 단련기 본체(120)는 외주연 일측에서 반경방향으로 절개되어 개구되고, 개구부로부터 한쌍의 조임플랜지(121)가 연장형성되어 제1운동강도 조절기구(150)에 의해 조여지거나 풀어짐에 따라 베어링(130)을 가압하거나 감압하여 베어링(130)이 회전축(140)에 제공하는 마찰력을 결정하게 되어 운동강도가 조절되게 한다.
베어링(130)은 원통형으로서, 회전축(140)의 외주연에 내주연이 밀착되도록 삽입되며, 베어링(130)의 외주연에는 하우징(120)의 내주연이 밀착된다. 베어링(130)의 일측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만큼 절개되어 제1운동강도 조절기구(150)의 작동에 따라 누름압력을 받음으로써 탄성변형되어, 회전축(140)이 회전할 때 일정한 마찰력을 제공하게 된다. 베어링(130)은 일정한 회전 마찰력 및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해 디유부시(DU bush)등 다양한 형태의 베어링이 사용될 수 있다.
회전축(140)은 둥근 봉형상으로서, 양단에는 손잡이(141)가 각각 삽입 고정된다. 회전축(140)에는 회전축 회전자(402)가 고정되고, 발전기 본체(401)의 고정 회전자(404)에서 가감속기기(403, 예를 들어 벨트)를 통해 회전축 회전자(402)에 연결되어 발전을 하는 발전부(400)가 구비된다. 도 3에서 회전축 회전자(402)는 베어링(130)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단련기 본체(120)의 일측 또는 양측에서 회전축(140)에 고정된 회전자이다.
제1운동강도 조절기구(150)은 베어링(130)의 마찰력을 조절함에 따라 운동 강도를 조절하는 기구로서, 한쌍의 조임 플랜지(121)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조임 플랜지(121)를 조이거나 푸는 나사봉(151)과,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나사봉(151)을 회전시키는 제어모터(152)를 포함한다. 이때, 하나의 조임 플랜지(상측)에는 나사봉(151)이 나사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조임 플랜지(하측)에는 나사봉(151)이 관통하여 걸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모터(152)의 정역회전에 따라 한쌍의 조임 플랜지(121)사이의 간격이 조정됨에 따라 조임 플랜지(121)가 조여지거나 풀리게 된다.
중량부(160)는 운동자에 의해 회전축(140)이 회전할 때 단련기 본체(120)가 회전방향에 대해 중력에 따른 반발력을 갖게 하는 부분이다. 즉, 회전축(140)이 회전할 때 회전된 중량부(160) 및 단련기 본체(120)는 중량부(160)의 무게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려는 힘이 발생하므로, 회전축(14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반발력를 갖게 된다. 중량부(160)는 제2운동강도 조절기구(170)의 작동에 따라 단련기 본체(120)에 고정된 이송용 봉(162)에 이송되기 위해 관통된 슬라이딩 중량체(161)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반발력이 조절된다. 슬라이딩 중량체(161)의 일측에는 제2운동강도 조절기구(170)의 후술하는 이송나사축이 나사결합되어 관통되는 플랜지부(161a)가 형성된다.
제2운동강도 조절기구(170)는 중량부(160)의 슬라이딩 중량체(161)의 위치를 변화시킴에 따라 운동강도를 조절하는 기구로서, 슬라이딩 중량체(161)의 플랜지부(161a)를 관통하여 이송나사 결합되어 슬라이딩 중량체(161)를 봉(162)을 따라 상하로 이송시키는 이송나사축(171)과,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이송나사축(171)을 회전시키는 제어모터(172)를 포함한다.
제어부(180)는 후술하는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운동데이터를 산출하는 한편 제1운동강도 조절기구(150)와 제2운동강조 조절기구(170)를 제어하고 전완근 단련기(100)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스탠드(110) 또는 단련기 본체(120)에 설치된다. 제어부(180)는 제어 전반을 행하기 위한 CPU를 포함하여 음성제어부, 화상제어부, 모터 제어부, 통신 제어부, 타이머, 검출신호 처리부, 연산부 및 데이터 저장부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180)에 정보를 입력하는 수단으로서, 회전축(140)에는 회전축의 회동량 및 회동횟수를 감지하는 엔코더 등의 센서(231)가 설치되고, 제1운동강도 조절기구(150)에는 베어링(130)의 마찰력을 감지하는 스트레인 게이지 등의 센서(232)가 설치되며, 제2운동강도 조절기구(170)에는 슬라이딩 중량체(161)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233)가 설치되고, 표시부(190)의 전면에는 제어부(180)를 조작하는 스위치로서 조작 스위치(SW)가 설치된다.
표시부(190)는 제어부(180)의 연산 및 제어에 따라 출력되는 운동강도와 운동량 및 운동상태 등의 정보를 출력하는 수단으로서, 디스플레이(DP)를 구비한다. 표시부(190)는 단련기 본체(120)의 상측에 위치하며, 스탠드(110)의 지지 포스트부(112)의 상측에 고정된다. 표시부(190)는 베어링 메탈 하우징(305)에 안착되어 지지되거나 그에서 연장된 위치에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탠드형 전완근 단련기의 제어부(180)에 의한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에 의한 제어 시스템은 위에서 설명한 배터리(220)을 포함한 발전부(400)와 복수의 센서(231,232,233)을 비롯하여, 조작부(234)와, 무선 송수신부(235)와, 음향 발생부(236)과, 표시부(190)와 모터 구동부(238) 등을 포함한다.
조작부(234)는 제어부(180)를 조작하는 스위치로서 무선스위치나 각종 입력수단이 될 수 있다. 무선 송수신부(235)는 제어부(180)에 의해 산출된 운동정보를 스마트 폰 등의 무선기기(H)에 송신하거나 무선기기의 정보를 수신한다.
음향발생부(236)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운동시에 안내음성 또는 리듬음 등의 음성 또는 음향을 발생하는 부분으로서, 음성이나 음향 메세지를 전달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표시부(190)는 디스플레이(DP)로 된 액정 표시부와 램프로 된 점등 표시부를 포함하며, 제어부(180)에 의해 계산된 운동의 세기와 운동량(소모 칼로리), 운동시간 등의 운동데이터를 표시하는 부분으로서, 액정 표시부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문자 또는 숫자를 표시하는 LCD 등으로 되어 있으며, 점등 표시부는 광원을 점등시켜 운동정보를 표시하는 LED 등으로 되어 있다.
모터 구동부(238)는 제1운동강도 조절기구(150)의 제어모터(152)와, 제2운동강도 조절기구(170)의 제어모터(172)와, 높이조절기구(210)의 이송모터들 구동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탠드형 전완근 단련기(100)에서, 운동자는 우선 자신의 근력에 맞는 운동강도를 조절하기 위해, 조작부(234)의 조작을 통해 운동강도를 선택하면, 제어부(180)가 제1운동강도 조절기구(150) 및 제2운동강도 조절기구(170)를 자동으로 알맞게 조절한다. 즉, 제1운동강도 조절기구(150)의 제어모터(152)를 작동시켜 나사부(151)을 통해 조임플랜지(121)을 조우거나 풀어 베어링(130)의 마찰력을 조절하고, 제2운동강도 조절기구(170)의 제어모터(172)를 작동시켜 이송나사축(171)을 통해 슬라이딩 중량체(161)의 위치를 변경시켜 반발력을 조절한다.
운동자의 운동에 따라 회전축(140)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 발전부(400)에서 발전되는 전기는 배터리(220)에 축전되거나 제어부(180)를 포함한 제어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별도로 전완근 단련기(10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아도 된다.
운동자의 운동강도와 운동량 및 운동상태는 음향발생부(236) 및 표시부(190)의 디스플레이(DP)를 통해 표시되며, 필요에 따라 무선 송수신부(235)를 통해 무선기기(H)에 송신하고, 또한 무선기기(H)의 정보는 무선 송수신부(235)를 통해 수신되어 제어부(180)를 통해 무선으로 제어된다.
즉, 전완근 단련운동 중의 운동의 세기와 운동량 또는 소모 에너지등의 운동 데이터는, 센서(231, 232, 233)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180)에 지속적으로 입력되고 제어부(180)에서 연산과정이 계속되어 운동데이터는 운동안내와 함께 음향발생부(236)와 표시부(190)를 통해 표시된다. 제어부(180)의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운동데이터와 운동안내는 무선 송수신부(235)을 통해 연결(페어링) 되어진 각 개인의 스마트폰 및 기기 등의 무선기기(H)에 전송함에 따라, 각자의 운동 상태를 스마트폰 또는 기기 등의 무선기기(H)와 연동하여 프로그램(APP 등)을 관리하며 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동하는 중에 회전축(140)의 회동에 따라 발전부(400)에서는 회전자의 회전에 따라 전기가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전기는 배터리(220)에 축전되거나 제어부(180)를 포함한 제어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별도로 전완근 단련기(10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탠드형 전완근 단련기에 의하면, 운동자가 부하를 선택 입력하면 자동적으로 슬라이딩 중량체(161)을 봉(162)의 이송위치에 위치시키고, 이와 동시에 베어링(130)의 마찰강도를 자동조절 선택하여 운동자가 원하는 운동부하를 자동 선택하여 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휴대형 전완근 단련기에서 운동시 본체 및 손잡이가 좌우 및 상하로 흔들리는 문제를 해결하고, 휴대용에서는 특징상 저 부하 운동기기로서 운동 강도를 높이기 위해 추의 무게를 크게 증가시키지 못하는 단점도 해결하여 중 부하에서 고 부하 운동까지 실시할 수 있게 하였으며, 운동자가 팔을 뻗는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항상 일정 운동 각도를 유지시켜 운동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하였다. 위에서 기술한 자동선택기능으로 운동자가 근력을 측정하는 기능을 선택하고 근력을 측정하면 기기와 운동자와 대결모드로 들어가게 되고 이를 통해 운동자의 근력(약력 등)도 측정할 수 있다.
특히, 회전축(140)에는 회전검출 센서(231)에 의해 회전속도를 검출하여 운동자의 운동량을 표시부(19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그 데이터를 스마트 기기등의 외부기기에 전송하게 하에 프로그램(APP 등)에 의해 관리되게 한다.
또한, 회전축의 회전 운동량을 배터리(220)에 충전하여 외부전원없이 작동전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자가 운동을 하지 않을 시에는 배터리가 자연방전되고, 방전 중에는 일정방전량이 경과할 시마다 LED 또는 음성으로 경고를 하여 운동을 수시 또는 지속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전완근 단련기 110: 스탠드
111: 베이스 112: 지지 포스트부
120: 단련기 본체 121: 조임 플랜지
130: 베어링 140: 회전축
141: 손잡이 150: 제1운동강도 조절기구
151: 나사봉 152: 제어모터
160: 중량부 161: 슬라이딩 중량체
162: 봉 170: 제2운동강조 조절기구
171: 이송나사축 172: 제어모터
180: 제어부 190 : 표시부
210: 높이조절기구
220: 밧테리 231, 232, 233: 센서
234: 조작부 235: 무선 송수신부
236: 음향 발생부 238: 모터 구동부
400: 발전부 401: 발전기 본체
402: 회전축 회전자 403: 가감속기기
404: 고정 회전자
H: 무선기기 DP : 디스플레이
SW:조작 스위치

Claims (5)

  1.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의 상측에 구비된 단련기 본체와,
    상기 단련기 본체의 내부에 밀착하여 마찰력을 부여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의 내부에서 운동자의 운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단련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베어링의 마찰력을 조절함에 따라 운동 강도를 조절하는 제1운동강도 조절기구와,
    상기 단련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단련기 본체에 하중을 추가로 부여하는 중량부와,
    상기 중량부의 중량체의 위치를 변화시킴에 따라 운동강도를 조절하는 제2운동강도 조절기구와,
    상기 제1운동강도 조절기구와 상기 제2운동강도 조절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운동강도와 운동량 및 운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전완근 단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단련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 포스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에는 운동자의 키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기구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전완근 단련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련기 본체에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전기를 발생하는 발전부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전완근 단련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또는 상기 단련기 본체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운동데이터를 무선기기에 송신하거나 무선기기의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전완근 단련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운동강도 조절기구와 상기 제2운동강도 조절기구는 제어모터 및 이송부재에 의해 구동되는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전완근 단련기.
KR1020160109063A 2016-08-26 2016-08-26 스탠드형 전완근 단련기 KR101897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063A KR101897263B1 (ko) 2016-08-26 2016-08-26 스탠드형 전완근 단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063A KR101897263B1 (ko) 2016-08-26 2016-08-26 스탠드형 전완근 단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535A true KR20180023535A (ko) 2018-03-07
KR101897263B1 KR101897263B1 (ko) 2018-09-10

Family

ID=61688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063A KR101897263B1 (ko) 2016-08-26 2016-08-26 스탠드형 전완근 단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2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53938A (zh) * 2018-08-20 2018-11-23 安阳市翔宇医疗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上肢推举互动评估训练器
CN112402895A (zh) * 2020-11-24 2021-02-26 方静 一种根据重力调节强度带自锁的太空漫步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915A (ko) 2010-07-13 2012-01-19 문경혜 전완근 단련기
JP5011517B2 (ja) * 2007-12-17 2012-08-29 幹夫 福永 運動装置
KR20130030048A (ko) 2011-09-16 2013-03-26 이미영 전완근 단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1517B2 (ja) * 2007-12-17 2012-08-29 幹夫 福永 運動装置
KR20120006915A (ko) 2010-07-13 2012-01-19 문경혜 전완근 단련기
KR101158732B1 (ko) * 2010-07-13 2012-07-03 문경혜 전완근 단련기
KR20130030048A (ko) 2011-09-16 2013-03-26 이미영 전완근 단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53938A (zh) * 2018-08-20 2018-11-23 安阳市翔宇医疗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上肢推举互动评估训练器
CN112402895A (zh) * 2020-11-24 2021-02-26 方静 一种根据重力调节强度带自锁的太空漫步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7263B1 (ko) 2018-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70739B (zh) 并入跑步机的缆索系统
US9789362B1 (en) Exercise system and adjustment method thereof
US8574101B2 (en) Training device to enhance hand-eye coordination
US20080242508A1 (en) Gyroscopic total exerciser
KR101425769B1 (ko) 전동식 근력운동기구 및 그 제어방법
WO2022023767A1 (en) Smart training attachment for an exercise bicycle
KR101875512B1 (ko) 손잡이 각도가 조절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KR101897263B1 (ko) 스탠드형 전완근 단련기
WO2007015096A3 (en) Exercise machine
EP2079365A2 (en) Performance monitoring&display system for exercise bike
CA3172268C (en) Dynamic motion resistance module
US11413490B1 (en) Intelligent electrically adjustable dumbbell
CN211962926U (zh) 一种健身设备
EP2646117B1 (en) Apparatus for physical exercise
ITBO20080267A1 (it) Dispositivo di modulazione della forza per una macchina ginnica.
KR20120130692A (ko) 운동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부하 제어 장치
KR101518486B1 (ko) 무동력 자가 발전 트레드밀
KR101897264B1 (ko) 전완근 단련기를 이용한 실내 자전거 복합운동기
KR101385004B1 (ko) 경사각이 조절되는 자가발전형 러닝머신
US20100210429A1 (en) Resistance apparatus for a waist-twisting exerciser
US5470296A (en) Sport jump apparatus
WO2012160523A2 (en) Dynamic apparatus for gymnastic equipe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as training system using the apparatus
KR101233974B1 (ko) 사이클링 컴퓨터로 제어되는 자전거 거치형 트레이너
KR101667378B1 (ko) 조절식 전완근 단련기
US6726604B2 (en) Sport jump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