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915A - 전완근 단련기 - Google Patents

전완근 단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915A
KR20120006915A KR1020100072656A KR20100072656A KR20120006915A KR 20120006915 A KR20120006915 A KR 20120006915A KR 1020100072656 A KR1020100072656 A KR 1020100072656A KR 20100072656 A KR20100072656 A KR 20100072656A KR 20120006915 A KR20120006915 A KR 20120006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uide
bearing
weight part
fri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8732B1 (ko
Inventor
문경혜
Original Assignee
문경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경혜 filed Critical 문경혜
Publication of KR20120006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완근 단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축(100)과; 상기 회전축(100)의 외주연 중앙부를 감싸 고정되는 가이드(200)와; 상기 가이드(200)의 외주연에 내주연이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200)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베어링(300)과; 상기 베어링(300)의 외주연에 내주연이 밀착되어 상기 베어링(300)의 마찰력을 결정하는 하우징(400); 및 상기 하우징(400)의 일측에 장착되어서 상기 회전축(100)이 회전할 때 상기 하우징(400)이 회전방향에 대해 반발력을 갖게 하는 중량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완근 단련기{Health equipment for forearm training}
본 발명은 전완근 단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 중앙부를 감싸 고정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외주연에 내주연이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의 외주연에 내주연이 밀착되어 상기 베어링의 마찰력을 결정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되어서 상기 회전축이 회전할 때 상기 하우징이 회전방향에 대해 반발력을 갖게 하는 중량부;로 이루어짐으로써, 줄이 필요치 않고, 중량부의 반발력을 사용자가 손쉽게 변경하여 운동할 수 있는 전완근 단련기에 관한 것이다.
전완근을 단련하는데에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있지만, 일정 길이의 봉에 줄을 묶고, 줄의 끝단에 추를 매달아 양 손을 번갈아가면서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리는 '추감기'의 식이 주로 사용되어왔다.
이와 같은 단련 방법은 전완근을 단련하는데 매우 효과적이지만, 줄을 감아올릴 때 줄이 꼬이거나 흔들려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위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도 4 와 같이 줄(40)이 고정되는 회전봉(10)의 중심부분에 원형의 하우징(20)을 설치하고, 하우징(20)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30)을 통하여 추(50)를 매단 줄(40)이 감기게 함으로써 줄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추를 줄에 매달아 감아 올리는 방식을 그대로 채용하고 있으므로 휴대가 간편하지 못하고, 개인의 근력에 따른 추의 교체가 원활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 중앙부를 감싸 고정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외주연에 내주연이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의 외주연에 내주연이 밀착되어 상기 베어링의 마찰력을 결정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되어서 상기 회전축이 회전할 때 상기 하우징이 회전방향에 대해 반발력을 갖게 하는 중량부;로 이루어짐으로써, 줄이 필요치 않고, 중량부의 반발력을 사용자가 손쉽게 변경하여 운동할 수 있는 전완근 단련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전완근 단련기는, 회전축(100)과; 상기 회전축(100)의 외주연 중앙부를 감싸 고정되는 가이드(200)와; 상기 가이드(200)의 외주연에 내주연이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200)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베어링(300)과; 상기 베어링(300)의 외주연에 내주연이 밀착되어 상기 베어링(300)의 마찰력을 결정하는 하우징(400); 및 상기 하우징(400)의 일측에 장착되어서 상기 회전축(100)이 회전할 때 상기 하우징(400)이 회전방향에 대해 반발력을 갖게 하는 중량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완근 단련기는, 일정한 마찰력을 유지하는 베어링(300)에 의해 회전축(100)이 회전운동을 할 때, 하우징(400)에 편심되게 부착된 중량부(500)에 의하여 하우징(400) 및 중량부(500)는 회전하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마치 줄 끝에 달린 추를 감아 올리는듯한 반발력을 받게 하여 '추감기'와 동일한 운동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완근 단련기는,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리는 동작을 수행할 때 줄이 필요 없어 지속적인 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완근 단련기는 중량부(500)의 반발력을 사용자가 손쉽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여러 사용자의 근력에 맞는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완근 단련기의 사시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완근 단련기의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완근 단련기의 사시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부의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완근 단련기의 사시단면도.
도 6 은 종래의 전완근 단련기의 예시도.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완근 단련기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완근 단련기의 사시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완근 단련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완근 단련기의 사시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완근 단련기의 사시단면도이다.
한편, 도 6은 종래의 전완근 단련기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전완근 단련기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00), 가이드(200), 베어링(300), 하우징(400) 및 중량부(500)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회전축(100), 가이드(200), 베어링(300), 하우징(400) 및 중량부(5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회전축(100)은 둥근 봉 형상으로, 외주연 중앙부에 가이드(200)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양단에 손잡이(110)가 각각 삽입 고정된다.
가이드(2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회전축(100)의 외주연 중앙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베어링(300) 및 하우징(400)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200)의 외주연 일측에는 나사홀(210)이 형성되어 가이드(200) 외곽에서 구심방향(求心方向 : 중심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삽입되는 가이드 고정나사(220)에 의해 회전축(100)에 고정된다. 가이드(200)의 외주연 일단에는 원심방향(遠心方向 : 중심에서 멀어져가는 방향)으로 단턱(230)이 형성되어 회전 운동시 베어링(300) 및 하우징(400)이 가이드(200)를 벗어나지 않고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이드(200)의 외주연 타단에는 링 형상의 가이드링(240)이 삽입 고정되어서 가이드(200)에 형성된 단턱(230)과 마찬가지로 베어링(300) 및 하우징(400)이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링(240)의 외주연 일측에는 나사홀(250)이 형성되어서 가이드링(240) 외곽에서 구심방향으로 삽입되는 가이드링 고정나사(260)에 의해 가이드(200)에 고정된다.
베어링(300)은 가이드(200)의 외주연에 내주연이 밀착되도록 삽입되며, 베어링(300)의 외주연에는 하우징(400)의 내주연이 밀착된다.
베어링(300)은 하우징(400)으로부터 삽입되는 마찰조절수단(420)에 의해 외주연 일측에 누름압력을 받음으로써 회전축(100)에 결합된 가이드(200)가 회전할 때 일정한 마찰력을 제공하게 된다.
베어링(300)은 일정한 회전마찰력 및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디유부시(DU bush)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400)은 베어링(300)의 외주연에 내주연이 밀착되도록 삽입되며, 외주연 일측에 베어링(300)과의 마찰력을 조절하는 마찰조절수단(420)이 구비되고, 다른 일측에 중량부(500)가 장착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하우징(400)은 내부가 중공된 형태로서 중공부가 베어링(300)의 외주연에 밀착되게 삽입되며, 마찰조절수단(420)이 삽입되기 위하여 외주연 일측에서 구심방향으로 관통된 마찰조절수단 삽입홀(410)이 형성된다. 마찰조절수단(420)은 마찰조절수단 삽입홀(410)을 통해 하우징(400) 외부에서 구심방향으로 삽입되어서 베어링(300)을 가압하거나 감압하여 베어링(300)이 가이드(200)에 제공하는 마찰력을 결정한다. 마찰조절수단(420)은 볼트로 된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편심레버 등에 의한 것 역시 가능하며 하우징(400)의 외부에서 구심방향으로 삽입되어 베어링(300)을 가압하거나 감압하는 구조이면 어느것이든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하우징(400)은 다른 일측에 중량부(500)를 장착할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레일 형상의 단턱(430)이 돌출 형성되며, 단턱(430)에는 중량부(5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나사홀(480)이 형성되어서 중량부(500)가 안정적으로 장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중량부(500)는 몸체가 중량부 하우징(400)의 일측에 장착 고정됨으로써 회전축(100)이 회전할 때 하우징(400)이 회전방향에 대한 반발력을 갖게 한다.
중량부(500)의 일측에는 홈(510)이 형성되어서 홈(510)을 하우징(400)의 단턱(430)에 일치시킨 후 중량부 고정나사홀(520)에 중량부 고정나사(580)을 통과시켜 하우징의 나사홀(480)에 나사결합하여 고정한다.
따라서, 회전축(100)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된 중량부(500) 및 하우징(400)은 중량부(500)의 무게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려는 힘이 발생하게 되며, 상술한 회전축(10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추를 줄에 매달아 감아올릴 때와 동일한 반발력을 얻게 된다.
한편, 도 3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완근 단련기의 사시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완근 단련기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하우징(400)은 외주연 일측에서 구심방향으로 절개되어 개구되고, 개구부로부터 조임수단(440)이 원심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다. 조임수단(440)에는 마찰조절수단 삽입홀(450)이 각각 형성되어서 마찰조절수단(460)을 관통시킨 후 너트(470)와 결합하고 이를 더욱 조임으로써 베어링(300)을 가압하거나 감압하여 베어링(300)이 가이드(200)에 제공하는 마찰력을 결정하게 된다.
이때, 너트(470)를 구비하지 않고 조임수단(440) 중 한곳의 마찰조절수단 삽입홀(450)에만 나사산을 형성하여서,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쪽의 마찰조절수단 삽입홀(450)을 통해 마찰조절수단(460)을 삽입한 후 나사산이 형성된 쪽의 마찰조절수단 삽입홀(450)에 마찰조절수단(460)을 나사결합하여 조임으로써 마찰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마찰조절수단(460)은 볼트로 된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편심레버 등에 의한 것 역시 가능하며, 조임수단(440)의 유격을 당기는 힘을 조절함으로써 하우징(400)이 베어링(300)을 가압하거나 감압하도록 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상관 없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중량부(500)는 무게가 서로 다른 중량부(500)를 일체형으로서 교체할 수도 있지만, 기존의 중량부(500)에 별도의 추가중량부(54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중량부(50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부(500)는 추가중량부(540)가 장착되는 방향에 추가중량부(540)의 고정위치를 결정하는 홈(530)이 형성된다. 추가중량부(540)는 일단에 레일형상의 단턱(560)이 형성되고, 일단에서 타단을 관통하는 추가중량부 고정나사홀(550)이 형성되어서, 중량부(500)에 형성된 홈(530)에 추가중량부(540)의 단턱(560)을 일치시킨 후 중량부 고정나사(580)를 삽입 조임으로써 중량부(500) 및 추가중량부(540)가 하우징(4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추가중량부(540)의 타단에는 일단에 형성된 단턱(560)과 반대 형상의 홈(570)이 형성되어서, 추가중량부(540)를 연속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추가중량부(540)은 중량부(500) 및 하우징(400)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면 무게중심이 구심점으로부터 멀어져 적은 중량으로도 큰 반발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5 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완근단련기의 사시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완근 단련기는 하우징(400)의 일측에 슬라이딩 중량부(591)가 관통된 봉(590)이 장착되어서, 슬라이딩 중량부(591)의 위치에 따라 반발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봉(591)은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에 걸림턱이 슬라이딩 중량부(591)의 홀 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중량부(591)의 홀에 나사산이 형성된 봉(590)의 일단을 통과시켜 관통한 후 하우징(400)에 나사결합하여 장착하게 되면 슬라이딩 중량부(591)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봉(590)의 길이 내에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슬라이딩 중량부(591)는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하우징(400)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할 수록 큰 반발력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때 적절한 위치에 슬라이딩 중량부(591)가 위치하게 되면 슬라이딩 중량부(591)에 형성된 고정홀을 통해 고정나사(592)를 조여줌으로써 슬라이딩 중량부(591)가 봉(590)에 견고히 고정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완근 단련기는, 일정한 마찰력을 유지하는 베어링(300)에 의한 회전운동을 하며, 하우징(400)에 편심되게 부착된 중량부(500)에 의하여 사용자가 마치 줄 끝에 달린 추를 감아 올리는듯한 반발력을 받게 하여 '추감기'와 동일한 운동 효과를 누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완근 단련기는,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리는 동작을 수행할 때 줄이 필요 없어 계속적인 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완근 단련기는 중량부(500)의 반발력을 사용자가 손쉽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여러 사용자의 근력에 맞는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회전축 110 : 손잡이
200 : 가이드 230 : 단턱
240 : 가이드링 300 : 베어링
400 : 하우징 410 : 마찰조절수단 삽입홀
420 : 마찰조절수단 440 : 중량부 나사홀
500 : 중량부 540 : 추가중량부

Claims (9)

  1. 회전축(100)과;
    상기 회전축(100)의 외주연 중앙부를 감싸 고정되는 가이드(200)와;
    상기 가이드(200)의 외주연에 내주연이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200)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베어링(300)과;
    상기 베어링(300)의 외주연에 내주연이 밀착되어 상기 베어링(300)의 마찰력을 결정하는 하우징(400); 및
    상기 하우징(400)의 일측에 장착되어서 상기 회전축(100)이 회전할 때 상기 하우징(400)이 회전방향에 대해 반발력을 갖게 하는 중량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완근 단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200)는, 상기 베어링(300) 및 하우징(400)이 이탈하지 않도록 외주연 일단에 원심방향으로 단턱(230)이 돌출 형성되고, 외주연 타단에 링 형상의 가이드링(24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완근 단련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링(240)은, 외주연 일측에 나사홀(250)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링(240) 외곽에서 구심방향으로 삽입되는 고정나사(260)에 의해 상기 가이드(2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완근 단련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00)은, 외주연 일측에서 구심방향으로 관통된 마찰조절수단 삽입홀(410)과, 상기 마찰조절수단 삽입홀(410) 외곽에서 구심방향으로 삽입되어서 상기 베어링(300)을 가압하거나 감압하여 상기 베어링(300)이 상기 가이드(200)에 제공하는 마찰력을 결정하는 마찰조절수단(4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완근 단련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00)은,
    외주연 일측에서 구심방향으로 절개되어 개구되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원심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조임수단(440);
    상기 조임수단(440)에 형성된 마찰조절수단 삽입홀(450)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마찰조절수단(46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마찰조절수단(460)이 상기 조임수단(440)을 당기는 힘에 비례하여 상기 베어링(300)을 가압 또는 감압하여서 상기 베어링(300)이 상기 가이드(200)에 제공하는 마찰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완근 단련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500)는, 상기 하우징(400)의 일측에 슬라이딩 중량부(591)가 관통된 봉(590)이 장착되어서, 상기 슬라이딩 중량부(591)의 위치에 따라 반발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완근 단련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조절수단(420, 460)은 편심레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완근 단련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500)는, 무게 변경을 위한 추가중량부(5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완근 단련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중량부(540)는, 상기 중량부(500) 및 상기 하우징(400)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완근 단련기.
KR1020100072656A 2010-07-13 2010-07-28 전완근 단련기 KR1011587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272 2010-07-13
KR20100067272 2010-07-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915A true KR20120006915A (ko) 2012-01-19
KR101158732B1 KR101158732B1 (ko) 2012-07-03

Family

ID=45612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656A KR101158732B1 (ko) 2010-07-13 2010-07-28 전완근 단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87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3535A (ko) 2016-08-26 2018-03-07 엔에이피 주식회사 스탠드형 전완근 단련기
KR20180027967A (ko) 2016-09-07 2018-03-15 엔에이피 주식회사 전완근 단련기를 이용한 실내 자전거 복합운동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0036A (ja) 2001-01-09 2002-07-30 Shoen Sai 腕の力を増やす貯金箱付きトレーニング用具
US6916275B2 (en) 2002-10-28 2005-07-12 Rocky K. Beedy Muscle strengthening bar
KR200379526Y1 (ko) 2004-12-28 2005-03-18 송충헌 전완근 단련기구
US7753827B1 (en) 2009-06-29 2010-07-13 Emick Daniel W Wrist roller exercise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3535A (ko) 2016-08-26 2018-03-07 엔에이피 주식회사 스탠드형 전완근 단련기
KR20180027967A (ko) 2016-09-07 2018-03-15 엔에이피 주식회사 전완근 단련기를 이용한 실내 자전거 복합운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8732B1 (ko) 201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14874A (en) Appliance for swimmers
US20200215373A1 (en) Multipurpose exercise training device
US8105214B2 (en) Compact and light exercise machine providing variable resistance and variable range of motion
US10596413B2 (en) Multi-functional finger exercise device
US20190143167A1 (en) Muscle Exercising Apparatus
US10220261B1 (en) Mountable resistance exercise device
KR101158732B1 (ko) 전완근 단련기
AU2012357215A1 (en) Restraint device, in particular for training purposes
KR101311810B1 (ko) 자동 부하조절부를 갖는 웨이트 운동기구
US11684813B2 (en) Jump rope with spring-supported collet handle
JP2015084776A (ja) 運動補助具
US7029423B2 (en) Cord-winding exercise apparatus
US20070032354A1 (en) Weighted skipping exercise device
US20220184444A1 (en) Forearm fitness equipment
US11007395B2 (en) Exercise device and sporting equipment with said device
DE102009012127B4 (de) Seiltrainingsgerät
US20030134728A1 (en) Exercise machine
CN210645003U (zh) 一种体育舞蹈韧带拉伸装置
CN203971273U (zh) 一种长度可调跳绳
KR102597077B1 (ko) 근력 운동 장치
KR200379526Y1 (ko) 전완근 단련기구
CN216798601U (zh) 一种阻力调节装置
KR20230054088A (ko) 와전류와 플라이휠에 기반한 근력 운동 장치
CN209500691U (zh) 一种高尔夫球杆
US20240181290A1 (en) A spring exerci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