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2203A - 회전익기 - Google Patents

회전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2203A
KR20180022203A KR1020160107220A KR20160107220A KR20180022203A KR 20180022203 A KR20180022203 A KR 20180022203A KR 1020160107220 A KR1020160107220 A KR 1020160107220A KR 20160107220 A KR20160107220 A KR 20160107220A KR 20180022203 A KR20180022203 A KR 20180022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wling
support means
reference axis
slider
closed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9332B1 (ko
Inventor
카데 얀 러
크리스토프 레터틀러
Original Assignee
에어버스 헬리콥터스
에어버스 헬리콥터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어버스 헬리콥터스, 에어버스 헬리콥터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어버스 헬리콥터스
Priority to KR1020160107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332B1/ko
Publication of KR20180022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9/00Power-plant nacelles, fairings, or cowlings
    • B64D29/06Attaching of nacelles, fairings or cow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0/629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체에서 개구를 닫기 위한 카울링을 포함하는 회전익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카울링은 동체의 내부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된 지지 수단과, 상기 카울링의 회전 운동과 병진 운동을 각각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지지 수단에 결합된 병진 운동 수단을 가지는 고정 시스템에 의해 상기 동체에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동체에 대해 회전 및 병진 운동이 가능한 카울링을 갖는 회전익기{ROTORCRAFT WITH COWLING ABLE TO ROTATE AND TRANSLATE RELATIVE TO THE FUSELAGE}
본 발명은 회전익기의 내부를 보호하기 위한 카울링(cowling)과 닫힌 위치로부터 열린 위치로 카울링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분야에 속한다.
카울링을 열기 위한 다양한 타입의 메커니즘이 관련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카울링들을 회전시키기 위해 의도된 배치의 제1 타입은 카울링이 열리는 축을 규정하는 2개 이상의 힌지(hinge)를 포함한다. 비록 그러한 배치가 간단하고 몇몇 기하학적 형태에 맞게끔 조정 가능하지만, 카울링을 동체로부터 멀리 돌출할 수 있고, 이는 도어를 열기 위해 넓은 면적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카울링은 동체의 윗 부분, 그리고 따라서 로터로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또 다른 배치에서는, 카울링이 나사 또는 다른 비슷한 수단에 의해 동체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메커니즘들이 위치하는 동체의 내부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카울링을 분해하기 위해 고정된 것이 제거되어야 한다. 이러한 절차는 시간이 소비되고, 고정은 유지하는데 비용이 많이 든다.
상이한 타입의 메커니즘은 미끄러지는 카울링을 그 특징으로 한다. 카울링은 닫힌 위치로부터 열린 위치로 동체를 따라 안내하는 레일 상에 장착된다. 이는, 보통은 적어도 2개의 레일이 특별한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요구하고, 이는 그러한 배치가 장착될 수 있는 동체의 특별한 표면의 기하학적 형태를 제한한다. 더욱이 이러한 메커니즘은 무겁고 부피가 크다.
문헌 US2332158은 항공기에 관한 둘러싸는 배열을 설명한다. 더 구체적으로, 이러한 배열은 주로 군용 항공기에 관해 사용되고, 그러한 군용 항공기의 동체의 앞 부분에 조종사의 조종실을 가지며, 조종사의 조종실 뒤에 사수(gunner)의 조종실을 가진다. 이러한 둘러싸는 배열의 주요 부분은 조종사의 조종실의 앞에 돔 형태의 바람막이 창(windshield)을, 2개의 조종실 사이에는 고정된 캐노피(canopy)를, 그리고 조종사의 조종실과 사수의 조종실 각각에 관한 이동 가능한 투명한 해치(hatch) 타입의 닫힘(closure) 부재를 포함한다.
문헌 US 2007/0267539A1은 항공기 나셀(nacelle)의 도어에 관한 힌지된 장치를 설명하고, 이러한 힌지된 장치에 의해 도어가 나셀의 페어링(fairing)에서 만들어지는 개구부(opening)를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도어에 연결되는 베이스(base)를 포함하고, 이러한 베이스는 그것이 나셀 안쪽에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제1 수축된(retracted) 상태와, 움직일 수 있도록 나셀의 페어링 바깥쪽에 베이스가 위치하는 제2 연장된(extended) 상태를 점유할 수 있다.
항공기들은 그것들의 전체 무게, 그리고 따라서 비행을 위한 파워와 연료를 최소화하기 위해, 그리고 유료하중(payload)을 최대화하기 위해 경량의 카울링 시스템을 필요로 하고 있다. 게다가, 카울링의 설계는 예컨대 로터가 놓이는 동체의 상부 부분의 검사를 위해 서 있는 위치(standing position)를 허용함으로써, 보수 검사를 행하는 사람의 움직임을 가능한 적게 방해하면서, 회전익기의 내부에서 메커니즘으로의 쉽고 신속한 접근성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
본 발명의 회전익기는,
- 개구부를 포함하는 동체,
- 그러한 개구부를 닫는데 적합한 카울링,
- 상기 동체에 그러한 카울링을 부착하기 위한 고정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고정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병진 운동 수단을 포함하고,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은 상기 동체의 내부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이 닫히는 위치와 열리는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이 열리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동체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이 닫히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동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돌출 구역을 포함하며,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병진 운동 수단은 상기 카울링과 상기 돌출 구역에 결합되어, 상기 돌출 구역에 대하여 상기 카울링의 병진 운동이 가능해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이 닫히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개구부를 닫는 닫힌 위치에 카울링이 있는 방식으로 배치되며,
- 동체(2)의 내부와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3) 사이의 부착물(pivotal attachment)은 동체(2)의 내부에서 제1 기준 축(F) 상에 위치하고, 돌출 구역(3.1)에 대한 카울링(5)의 병진 운동이 일어날 수 있는 상기 돌출 구역(3.1)에 제2 기준 축(S)이 제공되며, 상기 제1 기준 축(F)과 상기 제2 기준 축(S)은 회전익기의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카울링(5)이 높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하는 최종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카울링은 닫힌 위치에 있을 때 동체의 개구부를 닫는다. 카울링과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병진 운동 수단에 의해, 카울링이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에 연결된다. 카울링이 그러한 닫힌 위치에 있을 때, 돌출 구역이 동체의 안쪽에 있는 닫히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이 있다. 그러므로 돌출 구역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병진 운동 수단 역시 동체의 안쪽에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은 동체의 내부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들 피벗 부착물 주위의 회전이 발생할 때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의 돌출 구역이 동체의 외측에 있는 포인트에 도달하고, 그 결과, 돌출 구역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병진 운동 수단이 또한 동체의 외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식으로 보통은 닫힌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동체와 같은 높이에 있는 카울링이 동체와 개구부로부터 해제된다.
적어도 하나의 병진 운동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의 돌출 구역과 카울링 사이의 적어도 상대적인 병진 운동을 허용할 수 있는 임의의 수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병진 운동 수단은 카울링이 부착되고 돌출 구역에 대해 병진 운동이 가능한 움직일 수 있는 소자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이러한 움직일 수 있는 소자의 병진 운동은 돌출 구역에 대한 카울링의 병진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적어도 하나의 병진 운동 수단이 동체의 외측에 있을 때에는, 병진 움직임이 회전익기의 충분한 검사를 방해하는 특별한 위치로부터 카울링을 제거하는 것을 허용한다.
게다가, 카울링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의 위에서 설명된 회전으로부터의 결과로서 동체에 대하여 회전한다. 이러한 상대적인 회전은, 수행될 동체 내부의 검사의 타입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덜 상세한 검사를 위해서는, 회전이 꽤 많은 필요는 없고, 좀더 상세한 검사를 위해서는, 내부 메커니즘이 좀더 용이하게 체크될 수 있도록, 추가 회전이 일어날 수 있다.
병진 운동과 회전 운동을 결합하는 것은 동시에 로터와 메커니즘들이 검사될 수 있는 것을 촉진한다.
일 실시예에서, 동체의 내부와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 사이의 피벗 부착물이 동체의 내부에서의 제1 기준 축 상에 위치하고, 돌출 구역에 대한 카울링의 병진 운동은 돌출 구역의 제2 기준 축을 따라 일어난다.
특별한 일 실시예에서, 제1 기준 축과 제2 기준 축은 회전익기의 세로 방향에 평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은 동체의 상부의 안쪽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된다.
회전익기의 세로 방향은, 동체가 노즈(nose)로부터 테일 붐까지 연장하는 방향이고, 높이 방향은 세로 방향에 수직이며, 로터의 회전 축에 평행하다.
동체에 대한 카울링의 회전이 일어나면, 이 실시예에서는 동체의 상부에서 회전익기의 높이 방향에 수직으로 놓이는 위치에 카울링이 접근한다.
그러므로 원칙적으로는 사람이 안쪽의 메커니즘을 검사할 수 있지만, 로터를 검사할 수는 없는데, 즉 그 사람 위의 카울링은 그 사람을 로터의 높이까지 서있지 못하게 한다. 병진 움직임이 이러한 상부 영역을 없애서(clear), 로터와 안쪽 메커니즘의 공동 검사를 허용한다.
또한, 회전익기의 항공역학을 위해서는 고정(fastening) 시스템이 유익한데, 즉 카울링이 닫히면, 고정 시스템이 동체의 안쪽에 숨겨진 채로 있게 되어 어떠한 방해도 야기하지 않는다. 이러한 시스템은 유지 보수 작업 동안에 지면에 있을 때에만 펴진다.
게다가, 이러한 시스템은 그것이 광, 간단한 구성 요소들에 의해 형성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는 그러한 배치가 기능하는 방식이 그러한 배치의 구성 성분들에 과다한 부담을 주지 않는다는 사실과, 예컨대 레버 암들이 또한 작아지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구성 성분들의 무게에 의해 발생된 모멘트들이 작다는 사실의 결과이다.
일 실시예에서, 카울링의 회전은 오로지, 동체의 내부에 이루어진 카울링의 피벗 부착물 주위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의 회전의 결과이다. 이 실시예의 고정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병진 운동 수단에 대한 카울링의 추가 회전을 방해하도록 구성되고, 카울링과 적어도 하나의 병진 운동 수단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만이 병진 운동의 성질을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병진 운동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의 돌출 구역에 고정되게 부착될 수 있고, 이 경우 이러한 병진 움직임은 돌출 구역에 대한 카울링의 병진 운동을 의미하게 된다.
이 실시예의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병진 운동 수단은,
- 돌출 구역에 고정되고, 제2 기준 축을 따라 연장하는 가이딩(guiding) 레일,
- 가이딩 레일을 따라 미끄러지기에 적합한 슬라이더(slider),
- 슬라이더와 카울링을 일체로 부착하기에 적합한 보유 수단을 포함하고, 이러한 보유 수단은,
가이딩 레일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세로 바(longitudinal bar)와,
슬라이더, 세로 바, 및 카울링과 일체로 만나는 핀(pin)을 포함하며,
이러한 잠금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에 일체로 부착되고, 돌출 구역에 대한 카울링의 회전을 방해하기 위해 세로 바와 접하는 롤러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은 동체의 안쪽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된 하나의 단부(end)를 가지는 복수의 만곡된 로드(curved rod)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돌출 구역의 부분을 형성하는, 만곡된 로드들의 반대쪽 단부는, 예를 들면 관통 구멍(through hole)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관통 구멍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병진 운동 수단의 가이딩 레일이 고정되게 부착된다.
이 실시예의 적어도 하나의 병진 운동 수단은 또한 가이딩 레일에 대해서 가이딩 레일을 따라 미끄러지기에 적합한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따라서 이러한 슬라이더는 위에서 언급된 움직일 수 있는 부분을 구성한다. 가이딩 레일이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의 돌출 구역에 고정되기 때문에, 슬라이더는 가이딩 레일에 대해 병진 운동이 가능하고, 카울링은 슬라이더에 일체로 고정되며, 카울링은 돌출 구역에 대하여 병진 운동이 가능하다.
가이딩 레일에 대한(그리고, 따라서 돌출 구역에 대한) 카울링의 상대적 회전이 없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고정 시스템은 롤러가 세로 바에 대해 회전할 수 없는 방식으로, 세로 바와 접하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에 일체로 부착된 롤러를 포함한다. 롤러가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에 고정되기 때문에, 핀에 의해 세로 바가 카울링에 고정되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이 돌출 구역에 고정되며, 받침대(abutment)가 카울링이 가이딩 레일과 돌출 구역에 대해 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또 다른 특별한 예들에서는, 롤러를 알맞게 수용하도록, 세로 바가 L자 또는 U자 모양을 가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카울링이 돌출 구역에 대해 회전할 수 있어서, 동체에 대한 카울링의 전체 회전은 돌출 구역에 대한 카울링의 회전에다가 그것의 피벗 부착물 주위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의 회전을 더한 것이다.
이 구성의 예에서는, 동체의 내부와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 사이의 피벗 부착물은 동체의 내부의 제1 기준 축 상에 위치하고, 돌출 구역에 대한 카울링의 병진 운동과 회전은 돌출 구역의 제2 기준 축을 따라 그리고 그러한 제2 기준 축 둘레에서 일어난다. 이러한 예의 특별한 경우에서는, 병진 운동 수단이
- 돌출 구역에 고정되고 제2 기준 축을 따라 연장하는 가이딩 레일,
- 가이딩 레일을 따라 미끄러지기에 적합하고 가이딩 레일 둘레에서 회전하는 슬라이더,
- 슬라이더와 카울링을 일체로 부착하기에 적합한, 핀과 같은 보유 수단을 더 포함한다.
위 대안예에서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은 한쪽 끝이 동체의 내부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된 복수의 만곡된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돌출 구역의 부분을 형성하는, 만곡된 로드들의 반대쪽 끝은 또한,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병진 운동 수단의 가이딩 레일이 안쪽에 고정되게 부착되는 관통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별한 경우의 슬라이더는 가이딩 레일을 따라 미끄러지고, 가이딩 레일 둘레에서 회전하기에 적합한데, 이는 가이딩 레일이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의 돌출 구역에 고정되고, 슬라이더가 가이딜 레일에 대하여 병진 운동하고 회전할 수 있으며, 카울링이 슬라이더에 일체로 고정되고, 카울링이 돌출 구역에 대해 병진 운동하고 회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그러한 회전은 세로 바, 핀, 슬라이더, 및 카울링이 가이딩 레일과 돌출 구역에 대하여 회전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 맞물리는 위 예의 세로 바와 롤러와 같은 소자들이 없기 때문에 일어날 수 있다.
이전 예와 양립하는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더는 가이딩 레일에 대한 슬라이더의 병진 운동을 허용하도록 가이딩 레일이 통과하는 관통 구멍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는, 2개의 슬라이더, 적어도 슬라이더들과 만나는 2개의 핀, 및 카울링과, 돌출 구역들에 의해 가이딩 레일에 고정되게 부착되고 균일하게 분포된 3개의 만곡된 모양의 지지 수단이 존재하고, 이 경우 가이딩 레일의 끝에서는 2개가, 가이딩 레일의 가운데에는 하나가 존재한다. 슬라이더는 각각 지지 수단들 사이의 상이한 스테이지에 위치하고, 따라서 2개의 연속적인 지지 수단 사이의 세로 간극(gap)과 같은 병진 운동의 거리를 허용할 수 있는데, 이 예에서 그러한 거리는 700㎜로서, 로터를 검사하기 위해 사람이 서 있는 것을 허용하는 언급된 장점을 달성하기에는 충분하다.
이 외에도, 슬라이더는 결합(coupling) 및 병진 움직임과,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가이딩 레일에 대한 회전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베어링, 워셔(washer), 및 유지 링거(retaining ringer)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 시스템은 동체와 카울링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된 가이딩 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딩 로드는 병진 운동(translational)을 링크(link)함으로써, 그리고 일부 경우에서는 돌출 구역에 대한 카울링의 회전 움직임을 링크함으로써 미리 결정된 경로를 도어가 따를 수 있도록, 도어의 안내를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가이딩 로드와 동체 사이의 피벗 부착물과 카울링은 상대적인 회전을 허용하기 위해 구면 베어링(spherical bearing)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울링은 바깥 둘레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고, 가이딩 로드가 적어도 10cm의 바깥 둘레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카울링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된다. 카울링의 가장자리에 대한 이러한 거리는 카울링의 올바른 안내를 위해 적당하다.
제2 기준 축은, 카울링이 병진 운동에 의해, 그리고 이것이 그 경우라면 돌출 구역의 제2 기준 축을 따라서 그리고 그러한 제2 기준 축 둘레에서의 회전과, 그것의 피벗 부착물 주위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의 회전에 의해 높이 방향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최종 위치에 도달할 수 있고, 카울링이 그러한 최종 위치에 있을 때, 가이딩 로드가 그러한 최종 위치에서 카울링을 붙잡고 있도록 가이딩 로드와 동체 사이의 부착점보아 가이딩 로드와 카울링 사이의 부착점이 더 멀리 있게끔 회전익기의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카울링이 최종 위치에 있을 때에는, 가이딩 로드를 지지하는 것이 중력을 상쇄하고, 따라서 카울링은 그러한 최종 위치에 안정되게 붙잡혀 있을 수 있다. 설명된 것처럼, 이 예에서는 세로 방향을 따라 병진 움직임이 발생하고, 이는 장애물 없이 동체의 내부를 검사하는 사람 위에 공간을 남기는데, 즉 사람은 개구부 상에 서서 로터를 검사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닫힘 위치와 최종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가이딩 로드와 함께 카울링을 붙잡고 있기에 적합한 보유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보유 수단은 사람이 동체의 외부 쪽으로 카울링을 잡아당길 때, 사람이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과 동체 사이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회전까지 저항을 느끼게 한다. 예를 들면, 그러한 저항은 20°의 상대적 회전까지 나타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가이딩 로드의 지지와 보유 수단의 저항은 중력을 상쇄함으로써, 카울링이 중간 위치에서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보유 수단의 저항은 만약 추가로 잡아 당기는 힘이 카울링에 발휘된다면 극복된다. 그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의 돌출 구역과 카울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과,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과 동체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카울링이 최종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지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유 수단은 가이딩 로드 내로 통합될 수 있는 운동학적(kinematic) 또는 유압식(hydraulic) 액추에이터이고, 그러한 액추에이터는 일단 카울링과 돌출 구역 사이의 미리 결정된 상대적인 회전이 도달하였을 때, 최종 위치까지 카울링을 여는 것에 기여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타입의 액추에이터는, 예를 들면 일부 카 트렁크(car trunk)에서 사용된 것과 비슷할 수 있다.
회전익기는 또한 닫힌 위치에서 카울링을 잠그기 위한 잠금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잠금 수단으로서는 종래의 회전익기 도어 로크(lock) 또는 래치(latch)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회전익기의 카울링을 열기 위한 방법을 또한 포함하고, 이러한 방법은
- 닫히는 위치로부터 열리는 위치까지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을 회전시키는 단계와,
- 돌출하는 구역에 대해 카울링을 병진 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카울링이 동체의 개구부를 닫는 닫힌 위치로부터 열린 위치까지 움직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울링이 돌출 구역의 닫힌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적어도 하나의 병진 운동 수단이 동체의 내부에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은 닫히는 위치라고 부르는 위치에 있다.
일단 카울링이, 예컨대 잠금 수단의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열리면,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이 동체의 내부까지 피벗 부착물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고, 일정한 회전 후에는 돌출 구역이 항공기 외측 위치에 도달하고, 돌출 구역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병진 운동 수단도 그렇게 된다.
돌출 구역의 외측 위치로 인해, 적어도 하나의 병진 운동 수단이 동체의 외측에 있을 때에는, 구조물의 개구를 깨끗하게 하기 위해 피벗 부착물 주위의 돌출 구역의 회전과 함께, 돌출 구역에 대한 카울링의 병진 운동이 유리하게 일어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방법은 위 예들 중 일부에서 설명된 것처럼, 돌출 구역에 대해서 카울링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병진 운동 단계, 그리고 일부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의 돌출 구역에 대한 카울링의 회전, 및 피벗 부착물 둘레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의 회전 단계는, 카울링이 중간의 열린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피벗 부착물 둘레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의 20°의 회전이 특징이 될 수 있는 그러한 위치는, 메커니즘의 신속함 검사에 적합하다.
이들 단계는 카울링이 높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하는 최종 열린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지속될 수 있다.
회전축들이 회전익기의 세로 방향에 평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이 개구보다 랜딩 기어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더 멀리 동체, 즉 동체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1 기준 축과 제2 기준 축을 포함하는 실시예에서는, 병진 움직임, 그리고 몇몇 예에서는 카울링과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 사이의 회전 움직임과,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의 회전이 그러한 최종 위치로 이끌 수 있다. 그러한 병진 움직임은 동체의 상부에 장애물이 없게 만들고, 이는 로터의 검사를 용이하게 한다.
가이딩 로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간 위치 또는 최종 위치에서 카울링을 붙들고 있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과 다른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이고 비한정적인 예를 통해서만 주어진, 바람직한 실시예의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좀더 분명해진다.
도 1은 로터의 메커니즘을 보호하기 위해 카울링을 포함하는 회전익기의 사시도.
도 2는 닫힌 위치에 있는 2개의 카울링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동체의 개구에 대해 열린 위치에 있는 카울링과 동체 사이의 고정(fastening)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개구부 상에 서 있으면서 로터를 검사하는 사람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동체의 내부에서 메커니즘을 검사하기 위해, 개구부 상에서 웅크리고 있는 사람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관통 구멍을 포함하고, 가이딩 레일에 대해 적어도 미끄러지기에 적합한 슬라이더의 상세 도면.
도 7은 카울링과 가이딩 로드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허용하는 구면 베어링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중간 위치에서 가이딩 로드에 의해 붙들려 있는 카울링을 도시하는 도면.
도 9은 카울링이 닫히는 위치에 있을 때의, 고정 시스템의 안쪽 부분의 사시도.
도 10은 그러한 닫히는 위치에 있는 고정 시스템 안쪽의 정면도.
도 1은 동체(2)의 상부에서 카울링(5)을 가지는 회전익기(1)를 보여준다. 도 1은 메커니즘 안쪽의 검사를 가능하게 하는 동체(2)의 개구부(8)를 닫는 닫힌 위치에 있는 카울링(5)을 나타낸다.
도 2은 개구부(8)를 닫는 닫힌 위치에 있는 2개의 카울링(5)을 보여준다. 도면을 참조할 때 동체(2)에 부착하는 고정 시스템의 안쪽 부분과 관찰자로부터 더 멀리 위치한 카울링(5)이 부분적으로 보일 수 있는데, 즉 만곡된 모양의 지지 수단(3)이 동체(2)의 내부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되고, 돌출 구역(3.1)에 의해 병진 운동 수단(4)의 가이딩 레일(4.1)에 고정 부착된다.
닫힌 위치에서는, 병진 운동 수단(4)이 카울링(5)에 의해 닫히는 개구부(8)를 가진 동체(2) 안쪽에 놓인다.
가이딩 로드(6)는 구면 베어링(6.1)에 의해 동체(2)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된다.
도 2의 카울링(5)은 잠금 수단(11)에 의해 닫힌 위치에서 잠금이 이루어진다.
도 3에 나타낸 위치에서는, 3개의 지지 수단(33) 각각이 동체(2)의 안쪽에 위치한 제1 기준 축(F) 둘레에서 회전하였다. 이러한 회전으로 인해, 지지 수단(3)의 돌출 구역(3.1)이 동체(2) 바깥쪽에 있어서 병진 운동 수단(4) 역시 그러한 바깥쪽 위치로 가져간다. 도 3의 예에서의 병진 운동 수단(4)은 또한 가이딩 레일(4.1)이 통과하는 관통 구멍을 가지는 2개의 슬라이더(4.2)를 포함한다. 슬라이더(4.2) 각각은 이 실시예의 3개의 지지 수단(3)에 의해 가이딩 레일(4.1)을 따라 규정된 지지 수단(3) 사이의 2개의 스테이지(stage) 중 상이한 것에 위치한다.
슬라이더(4.2)는 도 6에 더 상세히 나타나 있다. 관통 구멍은 보유 링거(16)와 워셔(17)에 의해 바라는 세로 위치에 보관된 원통형 베어링(15)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슬라이더(4.2)의 관통 구멍들은 가이딩 레일(4.1)의 축에 의해 이 실시예에서 규정된 돌출 구역(3.1)의 제2 기준 축(S)을 따라 슬라이더(4.2)가 병진 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슬라이더(4.2)는, 일 실시예에서는 가이딩 레일(4.1)에 평행한 세로 바(4.3)와, 세로 바(4.3) 및 카울링(5)과 슬라이더(4.2)를 결합시키는 2개의 핀(4.4)을 포함하는 보유 수단(4.3, 4.4)에 의해, 카울링(5)에 일체로 부착된다. 따라서, 슬라이더(4.2)의 병진 운동은 카울링(5)의 대응하는 병진 운동을 의미한다. 세로 바(4.3)는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도록, 측면 부착물(4.5)로 카울링(5)에 또한 링크된다.
가이딩 레일(4.1)이 지지 수단(3)의 돌출 구역(3.1)에 고정되기 때문에, 슬라이더(4.2)는 가이딩 레일(4.1)에 대해 병진 운동하고, 카울링(5)은 슬라이더(4.2)에 일체로 부착되며, 카울링(5)은 돌출 구역(3.1)에 대해 병진 운동한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에서, 지지 수단(3)에 대한 카울링(5)의 병진 움직임은 슬라이더(4.2)의 병진 움직임에 의해 주어지고, 이는 연속적인 지지 수단(3) 사이의 거리(D)에 의해 제한된다. 일 실시예에서, 그 거리(D)는 700㎜이다.
도 3의 실시예에서, 돌출 구역(3.1)에 대한 카울링(5)의 회전은 지지 수단(3) 중 2개에 부착되고, 세로 바(4.3)의 접하도록 구성되는 롤러(18)에 의해 방해를 받는다. 세로 바(4.3)는 카울링(5) 및 슬라이더(4.2)와 일체로 되어 있고, 이들 소자들은 핀(4.4)에 의해 링크되어 있다. 그러므로 카울링(5)은 지지 수단(3)의 돌출 구역(3.1)에 대해 회전할 수 없다.
이러한 배치는 도 9 및 도 10에 상세히 나타내어져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3개의 지지 수단(3) 중 2개가 그것들에 부착된 롤러(18)를 가진다. 롤러(18)들은 세로 바(4.3)의 U자 모양의 프로필에 맞게끔 U자 모양으로 되어 있어, 설명된 회전 받침대(abutment)가 생기게 한다. 반면에, 거꾸로 된 U자 모양의 프로필이 세로 바(4.3)의 상대적인 병진 운동을 허용하고, 따라서 롤러(18) 대한 것과 그로 인한 돌출 구역(3.1)에 대한 카울링(5)의 상대적 병진 운동을 허용한다.
지지 수단(3)의 회전에 의해, 동체(2)의 내부로의 개구부(2)가 깨끗해지고, 동체 안쪽의 메커니즘이 검사될 수 있다.
도 1 내지 4의 실시예에서, 제1 기준 축(F)과 제2 기준 축(S)은 회전익기(1)의 세로 방향에 평행하다. 따라서, 제1 기준 축(F)에 위치한 피벗 부착물 둘레에서의 지지 수단(3)의 회전과, 카울링(5)의 대응하는 회전이 회전익기(1)의 높이 방향에 수직인 카울링(5)의 위치를 이끌 수 있다. 그러한 위치는 도 4와 도 5에 나타낸 위치이다.
도 3 내지 5의 실시예들에서는, 병진 운동이 카울링(5)의 장애물이 없는 개구부(8) 위의 동체(2)의 외측 구역 부분을 남겨서, 개구부 상에서 웅크리고 있는 사람이 내측 메커니즘을 검사하면서, 또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서서 로터를 조사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슬라이더(4.2)는, 지지 수단(3)이 닫히는 위치에 있고, 카울링(5)이 개구부(8)를 닫을 때, 2개의 연속적인 지지 수단(3)과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닫히는 위치는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것에 대응하는데, 즉 도 9와 도 10을 참조하게 되면, 좌측 및 중앙 슬라이더(4.2)는 좌측 및 중앙 지지 수단에 접함으로써, 슬라이더(4.2)가 우측 쪽으로 이동할 때 700㎜일 수 있는, 지지 수단 사이의 거리(D)와 같은 스트로크(stroke)를 가진다. 따라서, 병진 운동 방향으로의 최대 간격(clearance)은 거리 D이고, 700㎜인 값이 로터의 검사를 허용하는 설명된 편의상 적당하다.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카울링(5)이 가이딩 로드(6)에 의해 높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최종 위치에 붙들려 있다. 가이딩 로드(6)는 구면 베어링들(6.1, 6.2)에 의해 동체(2)와 카울링(5)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된다. 도 7은 가이딩 바(6)와 카울링(5)을 결합시키는 구면 베어링(6.1)을 나타낸다. 동체(2)에 부착한 것은 이들 도면을 참조할 때 카울링(5)에 부착한 것보다 낮게 위치하고, 따라서 가이딩 로드(6)의 지지는 중력을 상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부착 시스템은 닫힌 위치와 최종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가이딩 로드(6)와 함께 카울링(5)을 붙들고 있기에 적합한 보유 수단을 더 포함한다. 그러한 위치는 도 8에 나타나 있다.
1: 회전익기 2: 동체
3: 지지 수단 3.1: 돌출 구역
4: 병진 운동 수단 4.1: 가이딩 레일
4.2: 슬라이더 4.3: 세로 바
4.4: 핀 4.5: 측면 부착물
5: 카울링 6: 가이딩 로드
6.1, 6.2: 구면 베어링 8: 개구부
9: 랜딩 기어 11: 잠금 수단
15: 원통형 베어링 16: 유지 링거
17: 워셔 18: 롤러
F: 제1 기준 축 S: 제2 기준 축
D: 거리

Claims (14)

  1. 회전익기(1)로서,
    - 개구부(8)를 가지는 동체(2),
    - 상기 개구부(8)를 닫기에 적합한 카울링(cowling)(5),
    - 상기 동체(2)에 상기 카울링(5)을 부착하기 위한 고정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3)과, 적어도 하나의 병진 운동 수단(4)을 포함하며,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3)은 상기 동체(2)의 내부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3)이 닫히는 위치와 열리는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3)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3)이 열리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동체(2)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3)이 닫히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동체(2)의 내측에 위치하는 돌출 구역(3.1)을 포함하고,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병진 운동 수단(4)은 상기 카울링(5)과 상기 돌출 구역(3.1)에 결합되어, 상기 돌출 구역(3.1)에 대하여 상기 카울링(5)의 병진 운동이 가능해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3)이 닫히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개구부(8)를 닫는 닫힌 위치에 상기 카울링(5)이 있는 방식으로 배치되며,
    - 상기 동체(2)의 내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3) 사이의 피벗 부착물은 상기 동체(2)의 내부에서 제1 기준 축(F) 상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 구역(3.1)에 대한 상기 카울링(5)의 병진 운동이 일어날 수 있는 상기 돌출 구역(3.1)에 제2 기준 축(S)이 제공되며,
    상기 제1 기준 축(F)과 상기 제2 기준 축(S)은 상기 회전익기의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상기 카울링(5)이 높이(elevation) 방향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최종 위치에 상기 카울링(5)이 도달할 수 있게 하는, 회전익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병진 운동 수단(4)은,
    - 상기 돌출 구역(3.1)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기준 축(F)을 따라 연장하는 가이딩 레일(4.1),
    - 상기 가이딩 레일(4.1)을 따라 미끄러지기에 적합한 슬라이더(4.2),
    - 상기 슬라이더(4.2)와 상기 카울링(5)을 일체로 부착시키기에 적합한 보유 수단(4.3, 4.4)을 포함하고,
    상기 보유 수단(4.3, 4.4)은,
    - 상기 가이딩 레일(4.1)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세로 바(4.3)와,
    - 상기 슬라이더(4.2), 상기 세로 바(4.3), 및 상기 카울링(5)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핀(4.4)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3)에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돌출 구역(3.1)에 대한 상기 카울링(5)의 회전을 방해하기 위해 세로 바(4.3)와 인접하는 롤러(18)를 추가로 포함하는, 회전익기.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구역(3.1)에 대한 상기 카울링(5)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병진 운동 수단(4)은 상기 돌출 구역(3.1)과 상기 카울링(5)에 결합되는, 회전익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구역(3.1)에 대한 상기 카울링(5)의 병진 운동과 회전은, 상기 제2 기준 축(S)을 따라서, 그리고 상기 제2 기준 축(S) 주위에서 일어날 수 있는, 회전익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병진 운동 수단(4)은,
    - 상기 돌출 구역(3.1)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기준 축(F)을 따라 연장하는 가이딩 레일(4.1),
    - 상기 가이딩 레일(4.1)을 따라 미끄러지고, 상기 가이딩 레일(4.1) 주위에서 회전하기에 적합한 슬라이더(4.2),
    - 상기 슬라이더(4.2)와 상기 카울링(5)을 일체로 부착시키기에 적합한 보유 수단(4.3, 4.4)을 더 포함하는, 회전익기.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2)와 카울링(8)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된 가이딩 로드(rod)(6)를 더 포함하는, 회전익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 로드(6)는 구면 베어링(6.1, 6.2)에 의해, 상기 동체(2)와 상기 카울링(5)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되는, 회전익기.
  8.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울링(5)은 바깥 둘레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고, 상기 가이딩 로드(6)는 상기 바깥 둘레로부터 적어도 10㎝의 거리를 두고 상기 카울링(5)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되는, 회전익기.
  9. 제6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울링(5)은 회전 위치에 있고, 상기 가이딩 로드(6)가 상기 최종 위치에서 상기 카울링(5)을 붙잡고 있도록, 상기 가이딩 로드(6)와 상기 카울링(5) 사이의 부착점은 상기 가이딩 로드(6)와 상기 동체(2) 사이의 부착점보다 랜딩 기어(9)로부터 더 멀리 있는, 회전익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시스템은 닫힌 위치와 최종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상기 가이딩 로드(6)와 함께 상기 카울링(5)을 붙잡고 있기에 적합한 보유 수단을 더 포함하는, 회전익기.
  11.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회전익기(1)의 카울링(5)을 열기 위한 방법으로서,
    동체(2)의 개구부(8)를 닫는 닫힌 위치로부터 열린 위치까지 상기 카울링(5)이 이동하도록,
    - 닫히는 위치로부터 열리는 위치까지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3)을 회전시키는 단계와,
    - 돌출 구역(3.1)에 대하여 상기 카울링(5)을 병진 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돌출 구역(3.1)에 대하여 카울링(5)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1 항 또는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울링(5)은, 상기 카울링(5)이 높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하는 최종 위치와, 닫히는 위치와 상기 최종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 도달하는,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가이딩 로드(6)에 의해 중간 위치 및/또는 최종 위치에서 상기 카울링(5)을 붙잡고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60107220A 2016-08-23 2016-08-23 회전익기 KR101979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220A KR101979332B1 (ko) 2016-08-23 2016-08-23 회전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220A KR101979332B1 (ko) 2016-08-23 2016-08-23 회전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203A true KR20180022203A (ko) 2018-03-06
KR101979332B1 KR101979332B1 (ko) 2019-08-28

Family

ID=61727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220A KR101979332B1 (ko) 2016-08-23 2016-08-23 회전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3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8306A (ko) * 2022-02-04 2023-08-11 그리드스페이스(주) 도어 개폐장치 및 잠금장치가 구비된 구체 시뮬레이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67539A1 (en) * 2004-05-16 2007-11-22 Airbus France Hinged device for doors of an aircraft nacelle and nacelle equipped with said hinged device
KR20110048902A (ko) * 2009-11-03 2011-05-12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헬기의 후방 카울링 잠금장치용 후크
US20160145918A1 (en) * 2013-07-24 2016-05-26 Yantao LIANG Engine door and latch assembly
KR20160087767A (ko) * 2015-01-14 2016-07-22 에어버스 헬리콥터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스윙 및 슬라이딩 동작으로 도어를 움직이기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67539A1 (en) * 2004-05-16 2007-11-22 Airbus France Hinged device for doors of an aircraft nacelle and nacelle equipped with said hinged device
KR20110048902A (ko) * 2009-11-03 2011-05-12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헬기의 후방 카울링 잠금장치용 후크
US20160145918A1 (en) * 2013-07-24 2016-05-26 Yantao LIANG Engine door and latch assembly
KR20160087767A (ko) * 2015-01-14 2016-07-22 에어버스 헬리콥터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스윙 및 슬라이딩 동작으로 도어를 움직이기 위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8306A (ko) * 2022-02-04 2023-08-11 그리드스페이스(주) 도어 개폐장치 및 잠금장치가 구비된 구체 시뮬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9332B1 (ko)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3783B2 (en) Rotorcraft with cowling able to rotate and translate relative to the fuselage
EP3059157B1 (en) Rotorcraft with cowling able to rotate and translate relative to the fuselage
RU2423291C2 (ru) Гондола турбореактивного двигателя с боковым раскрытием створок
US9783314B2 (en) Foldable guiding ventilator cover for an aircraft engine assembly
US8128022B2 (en) Device to handle and lock a cover of an aircraft nacelle
US20060060707A1 (en) Landing gear door assembly
CN106167099A (zh) 包括两个风扇罩门的飞行器发动机机舱
US10059424B2 (en) Arrangement for moving a door in swinging and sliding motions
US11319083B2 (en) Aircraft nacelle comprising a cowl with two articulated doors
US11643182B2 (en) Radome cover shell and opening kinematic
KR101979332B1 (ko) 회전익기
EP3599171B1 (en) Mechanism for indicating position of a latch mechanism for an aircraft nacelle
RU2703813C1 (ru) Обтекатель для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CA3081871C (en) A radome cover shell and opening kinematic
CN107757862B (zh) 具有能相对于机身转动和平移的整流罩的旋翼飞行器
EP3626626B1 (en) Bi-folding engine cowl having a plurality of open positions to provide access
US20200070991A1 (en) Nacelle for an aircraft engine including means preventing the deformation of the articulated fan covers
EP3409583B1 (en) Cover panel for aircraft landing gear wheel well
KR20220070197A (ko) 레이돔 커버 쉘 및 개방 운동학부
CN114435581A (zh) 雷达天线罩盖壳体和打开运动学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